KR101330190B1 - 하고초 추출물의 헴 옥시게나아제-1 발현 조절을 통한 지방 생성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하고초 추출물의 헴 옥시게나아제-1 발현 조절을 통한 지방 생성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0190B1
KR101330190B1 KR1020110094760A KR20110094760A KR101330190B1 KR 101330190 B1 KR101330190 B1 KR 101330190B1 KR 1020110094760 A KR1020110094760 A KR 1020110094760A KR 20110094760 A KR20110094760 A KR 20110094760A KR 101330190 B1 KR101330190 B1 KR 1013301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ression
extract
fat
cosmetic composition
differenti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4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1070A (ko
Inventor
김남경
김안나
Original Assignee
(주)그린솔루션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그린솔루션스 filed Critical (주)그린솔루션스
Priority to KR10201100947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0190B1/ko
Publication of KR20130031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10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0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01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6Prunella or Brunella (selfhe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rd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고초 추출물 (Prunellavulgarisextract)을 포함하고, 헴 옥시게나아제(Heme oxygenase, HO-1)의 유전자 발현 조절을 통하여 지방 생성 억제 효능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 생성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하고초 추출물의 헴 옥시게나아제-1 발현 조절을 통한 지방 생성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inhibits adipogenesis of Prunella vulgaris extract via modulated HO-1 expression}
본 발명은 하고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 생성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HO-1의 발현 조절 효능이 있는 하고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 생성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비만은 유전적 원인 또는 생활습관상의 원인에 의한 체내 지방의 과잉축적 상태를 말하며, 성인병, 만성퇴행성질환 등의 질병을 유발하여 선진국의 경우 총 국민의료비의 2~7%가 과체중 및 비만에 의해 발생하고 있다(보건복지부, 2006 비만 심포지움 자료).
비만은 단순히 미용의 문제가 아니라 심각한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으며 여러 가지 수많은 건강상의 문제들을 야기할 수 있는, 장기적인 치료와 관찰을 요구하는 만성질환이다. 이는 다만 서구사회의 문제만이 아니라 우리나라를 포함한 여러 아시아 국가들에서도 유행병처럼 급증하고 있는 심각한 보건문제의 하나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체질량 지수 25 kg/m2이상의 비만 인구의 비율이 1995년 국민건강 영양조사 당시 13.9% 였던 것이 2001년 30.6%로 매우 빠른 속도로 급증하고 있다. (비만, 만병의 바로미터, 대한비만학회지, 2010, April)
인체를 구성하고 있는 기관 중 가장 큰 기관인 피부는 표피, 진피 및 피하지방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진피 아래의 피하지방층은 지방세포 (adipocyte)로 구성되어서 외부의 열이나 충격에 대해 피부 내부의 기관의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영양성분을 트리아실글리세롤의 형태로 저장하여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피부 미용적인 측면에서 볼 때 피하지방층은 비만의 원인이 된다. 특히, 셀룰라이트라고 하여 특정 부위에 지방 성분이 과도하게 축적됨으로 인해 얼굴, 허리, 허벅지, 가슴 등 특정 부위에 피부가 처지게 되어 탄력이 떨어지게 되고 비만 등과 같은 현상이 유발되기도 한다.
웰빙(well-being)의 붐과 함께 삶의 질에 대한 관심 증가로 건강과 미를 동시에 추구하고자 하는 경향이 높아짐에 따라 비만에 대한 미용적 측면이 부각되었으며, 국소적 지방 감량이나 셀룰라이트 관리를 위한 슬리밍, 아로마 약물 및 식이요법 등이 대중에게 손쉽게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The lifestyle Drug Outlook to 2007, Reuters, KISTI 재구성)
지방 생성 억제 효능에 관한 연구는 주로 3T3-L1 지방 전구 세포에 대하여 진행되고 있으며, 3T3-L1에 지방세포로 분화를 유도하는 인자를 처리하여 지방 생성 억제 효능 평가에 사용한다. 지방 분화는 여러 가지 양성 조절자에 의해서 일어나게 되는데, 이때 관련 양성 조절자로는 C/EBP와 SREBP1등이 있다. C/EBP는 CCAAT 인헨서에 붙는 단백질로서 cAMP에 의해 발현이 증가되어 지방세포 분화 시에 활성화 되어 지방 분화 시기에 따라 다양한 동형체가 발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SREBP1도 역시 지방분화와 함께 증가하며 다양한 지방대사 관련 유전자인 Lipoprotein lipase, Fatty acid synthase, leptin, adiponectin 등의 발현을 증가시킨다.
3T3-L1 지방 전구세포는 1-메틸-3-이소부틸-잔틴(1-methyl-3-isobutyl- xanthine), 데사메타손 (dexamethasone) 과 인슐린(insulin) (MDI)을 처리하여 배양하면 G1에서 S기로 진입하여 분화가 시작되는데 그 조절자로 Rb(retinoblastoma protein)가 작용하여 C/EBPs에 결합된다. C/EBPs는 지방세포의 분화에 있어서 중요한 전사인자로서 다이머(dimer)를 형성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leucine -zipper' 결합부위와 DNA 결합부위를 가지고 있다(T. Mosmann, Rapid colorimetric assay for the cellular growth and survival: application to proliferation and cytotoxic assay,J.Immun.Methods.,65,55(1983)). MDI를 배지에 첨가하여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유도시키면 4시간 이내에 C/EBPβ와 C/EBPα가 유도되어 헤테로다이머(heterodimer)를 이루게 되어 PPAR-γ(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 γ) 와 C/EBPα를 활성화시켜 아딥신(adipsine), aP2(adipocyte-specific fatty acid binding protein), 렙틴(leptin) 등과 같은 지방 세포 특이 유전자들을 활성화 시킨다(Z. Cao, R. M. Umek, and S. L. McKnight, Regulated expression of three C/EBP isoforms during aipose conversion of 3T3-L1 cells. GenesDev.,5(9),1538(1991), W. C. Yeh, Z. Cao, M. Classon, and S. L. McKnight, Cascade regulation of terminal adipocyte differentiation by three members of the C/EBP familly of leucine zipper proteins. GenesDev.,9(2), 168(1995), Q. Q. Tang, M. S. Jiang, and M. D. Lane, Repressive effect of Sp1 on the C/EBPα gene promoter: Role in adipocyte differentiation. Mol.Cell.Biol.,19(7), 4855(1999)).
또한, heme oxygenase-1 (HO-1) 단백질은 세포 내 유리된 heme을 분해하는 효소로 알려져 있으나 최근의 연구보고에 의하면 산화적 스트레스 반응이나 염증 반응에서 그 발현이 현저히 증가하며 강력한 항염증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비만 관련 대사성 질환이 염증반응에 의해 촉진된다는 최근의 보고들을 고려하면 HO-1은 항비만 단백질로서의 작용기능이 크게 기대되며 HO-1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천연물 유래 추출성분은 항염증 및 항비만 효능을 동시에 가질 수 있는 기능성 소재 개발로 이어질 수 있다.
최근 체내 지방 분해 촉진을 위한 많은 성분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 중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이 카페인(caffeine)이다. 카페인은 지방 분해와 관련된 효소인 아데닐레이트 사이클레이즈(adenylate cyclase)의 촉진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이렇듯 많은 제품들이 카페인을 기본 성분으로 하고 있으며, 여기에 열량 소모를 높여주기 위해 고추의 캡사이신 성분과 L-카르니틴 등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카페인은 중독성 물질이라는 안 좋은 인식과 기관지 확장을 유도하거나, 월경 전 증후군 현상을 악화시키는 등의 부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서 이들의 효능과 안전성이 의심되고 있다. 이와 같은 부작용은 대중들의 의심과 두려움을 높여주고 있다. 그러므로 보다 안전하고 효능이 우수한 천연 기능성 소재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Caffeine and the Student Body, Research conducted by BC Community Nutritionists Council, School Food Advisory Committee)
천연 기능성 소재의 개발은 슬리밍 효능 화장품뿐만 아니라 항비만 효능과 연계하여 의약품 혹은 다이어트 식품류 등과 연계하여 보다 안전하고 우수한 효능의 제품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하고초(夏枯草, PrunellavulgarisL.)은 꿀풀이라고도 불리는 식물로 꿀풀과에 속하며, 우리나라 전국 각처의 산야지 양지에 흔히 자생한다. 5~6월에 꽃이 피고 여름이면 시든다 하여 하고초라고도 불린다. 전초에 루틴, 히페로시드, 트리테르펜사포닌 (우르솔산과 그 배당체 프루넬린)이 있다. 잎에서 0.56%의 우르솔산, 꽃이삭에서 0.5%의 정유를 얻는다. 정유는 캄포르 (약 50%), 펜콘으로 되었다. 또한 전초에는 트리테르페노이드, 배당체, 플라보노이드, 프루넬린, 쓴맛물질, 수지, 0.98%의 탄닌질, 알칼로이드, 30mg%의 아스코르빈산, 6mg%의 카로틴, 비타민K가 있다. 물에 출리는 무기물질은 약 3.5% 들어있는데 그 가운데서 68%는 칼륨염이다. 뿌리줄기에는 스타키오즈가 있다.
하고초에 대한 선행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46027호(이소멘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조성물),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71386호(발명의 명칭:하고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36904호(발명의 명칭:하고초 추출물과 아데노신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01031호(발명의 명칭:하고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등이 보고된 바 있으나, 이는 주로 주름개선 또는 노화방지용에 관한 것일 뿐 현재까지 하고초 추출물의 비만 억제 효능에 대한 작용 기전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하고초 추출물의 HO-1 발현 조절을 통한 지방 생성 억제 효능 작용 기전을 규명하여 보다 안전하고 우수한 지방 생성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고초 추출물 (Prunella vulgaris extract)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 생성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고초 추출물이 헴 옥시게나아제-1(Heme oxygenase-1, HO-1)의 유전자 발현 조절을 통하여 지방 생성 억제 효능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 생성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하고초 추출물을 지방전구세포인 3T3-L1 세포에 처리한 결과 지방의 분화가 저해되고 그에 따른 단백질의 발현 역시 저해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완성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효능은 하고초 추출물의 헴 옥시게나아제-1(heme oxygenase-1, HO-1)의 유전자 발현 조절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천연물 유래의 하고초 추출물은 지방세포주의 HO-1 발현을 증가시키고 지방세포의 분화 및 지방 생성에 중요한 인자인 C/EBP(CCAAT/enhancer-binding protein)α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우수한 지방 생성 억제 효능을 나타낸다. 즉, 본 발명의 하고초 추출물은 천연물에서 유래한 HO-1 발현 조절 물질로 지방세포 분화 및 지방 생성 억제 효능이 있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하고초 추출물을 추출하는 방법은 특정의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추출용매로 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C1 내지 C4 저급 알코올, 가장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또는 메탄올을 추출용매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하고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지방 생성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은 각종 국소적 지방 감량이나 셀룰라이트 관리를 위한 슬리밍 효능 제품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지방 생성 억제용 조성물은 세포 내 축적된 지방을 감소시키고, HO-1의 발현을 증가시킴으로써 C/EBPα의 발현을 조절하는 하고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실질적인 지방축적을 억제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은 천연물질을 함유함으로써 피부 화장료에 적용이 가능하고 인체에 무해하여 안전성이 우수하고, 화학물질에 대한 소비자의 거부감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지방전구세포인 3T3-L1에 대한 하고초 추출물의 세포 독성 평가 결과이다.
도 2는 분화가 유도된 지방전구세포에 대한 하고초 추출물의 지방생성 저해능 결과이다.
도 3은 지방전구세포에 대한 하고초 추출물의 HO-1 단백질 발현을 나타낸 결과이다.
도 4는 지방전구세포에 대한 하고초 추출물의 C/EBPα 단백질 발현 정도를 분석한 결과이다.
도 5는 지방전구세포에 대한 하고초 추출물의 HO-1 단백질 발현 증가 및 인위적인 HO-1 발현 억제 시 C/EBPα의 발현 증가를 나타내는 결과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단,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와 등가의 기술적 사상의 변형까지를 포함한다.
실시예 : 하고초 추출물의 제조
하고초는 음건한 약재로 강원도 춘천시에 위치한 대광약업사를 통해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각 원재료를 분쇄하여 50g을 정확히 칭량하여 70% 에탄올 1L를 첨가하여 3시간 동안 용매 추출을 수행하였다. 추출이 완료된 시료는 원심분리(4℃, 10min)를 실시하여 잔사물을 제거하고 최종적으로는 paper filter를 이용하여 1μm 이상의 입자를 여과한 여액을 회수하였다. 회수된 여액은 회전감압농축기 및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농축을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분말 상의 고형분 시료를 확보하였으며, 4℃에 보관하면서 시험 직전에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 용해시켜 실험에 사용하였다.
시험예 1 : 하고초 추출물의 세포 독성 평가
본 시험예에서는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하고초 추출물에 대한 세포 독성 평가능을 MTT assay를 통해서 평가하였다.
지방 전구 세포인 3T3-L1 세포를 96웰 플레이트의 각 웰에 1X105/cells의 농도로 배양해준 후,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하고초 추출물을 96 웰 플레이트의 각 웰에 0, 10, 50, 100, 200 μg/mL의 농도로 100 μL씩 넣은 후 24시간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각 웰에 5 mg/mL의 농도로 PBS에 희석된 MTT용액을 20 μL씩 첨가하여 4시간 동안 배양한 후 isopropanol 100㎕로 용출시켜 ELISA reader(VICTOR3, Perkin Elmer)를 이용하여 570nm에서 흡광을 측정하였다.
상기 실험군과 대조군에 대한 흡광을 측정 후, 세포 독성 평가능을 환산하여 그 결과를 하기 도 1에 나타내었다. 여기서, 세포생존률(%)은 하기의 수학식 1에 의하여 구하였으며, 대조군은 시료 무처리군이다.
도 1은 지방전구세포인 3T3-L1에 대한 하고초 추출물의 세포 독성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데, 이에 의하면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하고초 추출물은 시험에 사용한 농도 범위에서 세포 독성을 보이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부터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하고초 추출물의 세포에 독성이 없는 농도를 확인할 수 있었고 또한 독성이 크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2 : 하고초 추출물의 지방 분화 억제율 확인( Oil Red O staining )
본 시험예에서는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하고초 추출물에 대한 지방 분해 억제율을 확인하였다.
지방 전구세포 3T3-L1 세포를 6-well plate에 3X105cells/mL의 농도로 희석하여 1 mL씩 접종한 후 24시간 배양하고 MDI 배지(100μM IBMX + 250nM dexamethasone + 10 μg /mL insulin)로 분화를 유도한 후 10, 50, 100 μg/mL의 농도로 시료를 처리하였다. 24시간 배양 후 각 웰에 4% paraformaldehyde를 1 mL씩 접종하여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60% isopropanol을 이용하여 세척하고 각 웰이 완전히 마른 후에 Oil Red O working solution을 첨가하고 10분간 방치하였다. 10분 후 Oil Red O working solution을 제거하고 물을 모두 제거하고 말려준 후 100% isopropanol을 가하여 용출시킨 후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500nm에서 흡광을 측정하였다. 이때 대조군으로는 추출물 대신 100% isopropanol를 사용하였다.
도 2는 분화가 유도된 지방전구세포에 대한 하고초 추출물의 지방생성 저해능 결과를 나타낸다. 여기서, 지방생성율(%)은 하기의 수학식 2에 의하여 구하였으며, 대조군은 100% 분화가 유도된 지방세포 (시료무처리군)이다.
Figure 112011073173748-pat00002
도 2에 의하면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하고초 추출물을 농도의존적으로 지방 생성 억제 효능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3 : 하고초 추출물의 Heme oxygenase -1의 발현 조절 분석
본 시험예에서는 상기 시험을 통해 확인한 결과를 토대로 지방 생성에 관여하는 인자들의 발현을 확인하기 위해 western blot을 통한 단백질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지방 전구 세포인 3T3-L1 세포를 60mm 플레이트에 3X105/cells의 농도로 배양해준 후 지방 분화 인자를 넣어서 지방 분화를 유도하여 준 후,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하고초 추출물을 60mm 플레이트의 각 웰에 100, 250, 500 μg/mL의 농도로 넣은 후 분화를 유도하였다. 플레이트의 세포에서 단백질을 추출한 후 SDS-PAGE 전기영동을 통해 지방 생성에 관여하는 인자들의 항체와 반응시켜 단백질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도 3은 지방전구세포에 대한 하고초 추출물의 HO-1(Heme oxygenase-1) 단백질 발현을 나타낸 결과로, 이에 의하면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하고초 추출물은 HO-1의 발현을 단백질 수준에서 농도의존적으로 증가시킴을 알 수 있었다. 이를 이루어보면, 하고초 추출물은 항염증 효능도 기대할 수 있다고 판단되었다.
시험예 4 : 하고초 추출물의 C/ EBP α의 발현 조절 분석
본 시험예에서는 HO-1단백질 발현을 증가시키는 하고초 추출물의 지방 생성에 관여하는 인자들의 발현을 확인하기 위해 C/EBPα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지방 전구 세포인 3T3-L1 세포를 60mm 플레이트에 3X105/cells의 농도로 배양해준 후 지방 분화 인자를 넣어서 지방 분화를 유도하여 준 후,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하고초 추출물을 60mm 플레이트의 각 웰에 500 μg/mL의 농도로 넣은 후 분화를 유도하였다. 플레이트의 세포에서 단백질을 추출한 후 SDS-PAGE 전기영동을 통해 지방 생성에 관여하는 인자들의 항체와 반응시켜 단백질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도 4는 지방전구세포에 대한 하고초 추출물의 C/EBPα 단백질 발현 정도를 분석한 결과인데, 이에 의하면 상기 실시예의 하고초 추출물을 처리한 지방세포는 대조군 대비 C/EBPα의 발현이 현저히 억제되었음을 알 수 있었는데, 이는 지방세포의 분화를 억제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시험예 5 : 하고초 추출물의 HO -1과 C/ EBP α의 발현 조절 분석
본 시험예에서는 상기 시험예 3, 4의 연계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HO-1의 발현 억제(shHO-1) 시 C/EBPα의 발현을 확인하였으며, 하고초 추출물의 처리(pSuper) 시 HO-1의 발현 및 C/EBPα의 발현 억제 효능을 확인하였다.
지방 전구 세포인 3T3-L1 세포를 60mm 플레이트에 3X105/cells의 농도로 배양해준 후 지방 분화 인자를 넣어서 지방 분화를 유도하여 준 후,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하고초 추출물을 60mm 플레이트의 각 웰에 500 μg/mL의 농도로 넣은 후 분화를 유도하였다. 플레이트의 세포에서 단백질을 추출한 후 SDS-PAGE 전기영동을 통해 지방 생성에 관여하는 인자들의 항체와 반응시켜 단백질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도 5는 지방전구세포에 대한 하고초 추출물의 HO-1 단백질 발현 증가 및 인위적인 HO-1 발현 억제 시 C/EBPα의 발현 증가를 나타내는 결과이다. 이에 의하면 상기 실시예의 하고초 추출물은 HO-1의 발현을 현저히 증가시키는 반면, C/EBPα의 발현을 억제시켰다. 또한, 이와 대조적으로 HO-1의 발현을 억제한 지방세포주 (shHO-1)의 경우에는 HO-1의 발현이 억제되고 C/EBPα의 발현이 현저히 증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 종합하면, 지방세포주의 HO-1 발현을 증가시키는 천연물 유래의 소재인 하고초 추출물은 지방세포의 분화 및 지방 생성에 중요한 C/EBPα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지방 생성 억제 효능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산화적 스트레스 및 항염증 효능을 나타내는 HO-1 의 발현과 지방세포의 분화 및 지방생성의 연계성 입증에 그 의미가 있는 것이다.
시험예 6 : 하고초 추출물의 피부 안전성 평가
본 시험예에서는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하고초 추출물의 피부 자극 유발 여부를 평가하기 위하여 인체 첩포 시험 (Human patch test)을 통하여 인체에 대한 1차 자극 시험 및 누적 자극 시험을 수행하였다.
건강한 성인 남녀 20명을 대상으로 CTFA 가이드라인 (The Cosmetic, Toiletry and Fragrance Association. Inc. Washington, D.C., 20036, 1991)에 따라 실시하였다. 핀 쳄버 (Finn chamber)에 시료 20㎕를 적하시킨 후, 이를 시험 부위인 인체의 팔 한쪽에 첩포하고 테이프로 고정시켰다.
1차 피부 자극시험은 24시간 동안 첩포한 후, 첩포를 제거하고 다시 4시간, 24시간 경과 한 후의 시험부위의 피부 반응을 평가하였다. 하기 표 1은 1차 자극 시험 판정 결과이며, 표 2는 누적 자극 시험 평가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시료 피시험자수 판정결과 자극도
++ + ± -
시험군 20 - - - 20 0
대조군 20 - - - 20 0
(판정기준)
- : 홍반이나 특이한 현상 없음
±: 주위보다 약간 붉어짐
+: 주위보다 현저히 붉어짐
++: 주위보다 심하게 붉어지고 부풀어 오름
(자극도 계산식)
자극도 = [{(±) 수 × 1}+{(+)수 × 2}+{(++)수 × 3}]/피시험자 수
시료 피시험자수 유도단계 도전단계 자극도
1 2 3 4 5 6 7 8 9 24hr 48hr 72hr
시험군 20 - - - - - - - - - - - - 0
대조군 20 - - - - - - - - - - - - 0

(계산식)
자극도 = [{(±)수 × 1}+{(+)수 × 2}+ {(++)수 × 3}]/피시험자 수
상기 표 1과 표 2에 의하면, 인체에 대한 피부 자극 시험을 평가한 결과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하고초 추출물은 자극을 유발하지 않으며 피부에 적용하기에 안전한 소재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5)

  1. 하고초(Prunella vulgaris extract)의 70% 에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 생성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고초의 70% 에탄올 추출물은 헴 옥시게나아제-1(Heme oxygenase-1, HO-1)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반면, C/EBP(CCAAT/enhancer-binding protein)α의 발현은 억제시켜 지방 생성 억제 효능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 생성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10094760A 2011-09-20 2011-09-20 하고초 추출물의 헴 옥시게나아제-1 발현 조절을 통한 지방 생성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301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4760A KR101330190B1 (ko) 2011-09-20 2011-09-20 하고초 추출물의 헴 옥시게나아제-1 발현 조절을 통한 지방 생성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4760A KR101330190B1 (ko) 2011-09-20 2011-09-20 하고초 추출물의 헴 옥시게나아제-1 발현 조절을 통한 지방 생성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1070A KR20130031070A (ko) 2013-03-28
KR101330190B1 true KR101330190B1 (ko) 2013-11-15

Family

ID=48180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4760A KR101330190B1 (ko) 2011-09-20 2011-09-20 하고초 추출물의 헴 옥시게나아제-1 발현 조절을 통한 지방 생성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01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4720B1 (ko) * 2016-10-24 2018-06-08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꿀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결 손상 및 피부 위축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1624A (ko) * 2006-05-18 2007-11-22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상동맥성 심장 질환 또는 동맥경화증 개선용 건강보조식품
JP2010520246A (ja) 2007-03-07 2010-06-10 インデナ エッセ ピ ア 肥満の治療において有用である、シーナラ・スコリムスおよびフェセオラス・ブルガリスの抽出物を含む組成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1624A (ko) * 2006-05-18 2007-11-22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상동맥성 심장 질환 또는 동맥경화증 개선용 건강보조식품
JP2010520246A (ja) 2007-03-07 2010-06-10 インデナ エッセ ピ ア 肥満の治療において有用である、シーナラ・スコリムスおよびフェセオラス・ブルガリスの抽出物を含む組成物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ngelique Nicolai et al. Heme Oxygenase-1 Induction Remodels Adipose Tissue and Improves Insulin sensitivity in Obesity-Induces Diabetic Rats. Hypertension, 2009.1.26., Vol.53, pp.508~515. *
Angelique Nicolai et al. Heme Oxygenase-1 Induction Remodels Adipose Tissue and Improves Insulin sensitivity in Obesity-Induces Diabetic Rats. Hypertension, 2009.1.26., Vol.53, pp.508~515.*
Gil Saeng Jeong et al. Effects of Herbal extracts Used in Oriental Medicines on Heme Oxygenase-1 Expression.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006, Vol.20, No.5, pp.1334~1336. *
Gil Saeng Jeong et al. Effects of Herbal extracts Used in Oriental Medicines on Heme Oxygenase-1 Expression.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006, Vol.20, No.5, pp.1334~133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1070A (ko) 2013-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ornara et al. Therapeutic potential of temperate forage legumes: a review
Das Review on nutritional, medicinal and pharmacological properties of Centella asiatica (Indian pennywort)
Ahn et al. Anti-obesity effects of glabridin-rich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 of licorice in high-fat-fed obese mice
KR20140012964A (ko) 폴리페놀이 풍부한 마카 지상부위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한 조성물
Fidrianny et al. Phytochemistry and pharmacology of moringa tree: An overview
KR20200063855A (ko) 밀크씨슬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촉진용 조성물
Rayees et al. Withania somnifera: from traditional use to evidence based medicinal prominence
KR101330190B1 (ko) 하고초 추출물의 헴 옥시게나아제-1 발현 조절을 통한 지방 생성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Mittal et al. A Critical Review on Ethnobotanical and Pharmacological Aspects of Euryale Ferox Salisb.
KR20130132508A (ko) 항산화용 및 황사에 의한 피부 유해영향 완화용 조성물
KR102120220B1 (ko) 천연식물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복부 비만 감소용 화장료 또는 식품 조성물
KR20160069919A (ko) 삼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제
KR100999227B1 (ko) 치매치료 및 억제용 복합생약제제 조성물
KR101127166B1 (ko) 후박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방축적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JP5047511B2 (ja) 顆粒球・マクロファージコロニー刺激因子(gm−csf)産生抑制剤i
JP2011126824A (ja) 脂肪蓄積抑制剤
Yadav et al. Evaluation of antidepressant activity of leaves extract of Moringa oliefera by using FST and TST model on Swiss Albino Mice
KR20080081393A (ko) 광곽향, 해바라기, 육계 추출액을 함유하는 모발 성장촉진용 조성물
Banerjee et al. A Review: Medicinal Properties and Health Benefits of Bael (Aegle marmelos)
KR101330742B1 (ko) 생더덕 및 찐더덕 추출물을 이용한 지방 생성 억제용 조성물
KR101866742B1 (ko) Nrf-2 활성증진 감초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14040487A (ja) 脂肪蓄積抑制剤
Pal et al. Therapeutic uses of Withania somnifera (Ashwagandha)
Mehta et al. Luteolin: protective effects against diabetes and diabetes associated complications
Jan et al. Anticancer properties of soybean: an updated revie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