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5295A - 땅빈대를 주원료로 한 건강보조식품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땅빈대를 주원료로 한 건강보조식품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5295A
KR20110125295A KR1020100044731A KR20100044731A KR20110125295A KR 20110125295 A KR20110125295 A KR 20110125295A KR 1020100044731 A KR1020100044731 A KR 1020100044731A KR 20100044731 A KR20100044731 A KR 20100044731A KR 20110125295 A KR20110125295 A KR 201101252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lth supplement
land
health
bedbugs
wi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4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남철
Original Assignee
조남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남철 filed Critical 조남철
Priority to KR1020100044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25295A/ko
Publication of KR20110125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52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8Fungi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24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땅빈대를 주원료로 한 건강보조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땅빈대를 주원료로 한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은, 땅빈대(Euphorbia Humifusa wild), 인삼, 당귀, 상황버섯, 감초, 대추 중 선택된 1 종이상을 각각 정선하여 준비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정선한 땅빈대(Euphorbia Humifusa wild), 인삼, 당귀, 상황버섯, 감초, 대추 중 선택된 1종 이상을 용기에 넣은 후 여기에 물을 넣고 100 ~ 120 ℃에서 1 ~ 4시간 동안 추출하여 추출액을 제조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인체에 유용한 땅빈대를 주원료로 하여 인체에 무해하면서 유익한 건강보조식품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땅빈대를 주원료로 한 건강보조식품 및 그 제조방법{HEALTH ASSISTANCE FOOD USED THE EUPHORBIA HUMIFUSA WILD BY MAIN RAW MATERIAL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OF}
본 발명은 땅빈대를 주원료로 한 건강보조식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인체에 유용한 땅빈대를 주원료로 하여 인체에 무해하면서 유익한 건강보조식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핵가족화, 개인주의화, 야간활동의 인구증가, 대중소비시대, 소비패턴의 다양화, 편리성 추구, 그리고 여성의 사회진출 증가 등의 사회경제적인 환경의 변화로 식생활 구조의 변화를 겪고 있다.
이러한 식사 구성에 대한 의식변화와 간편식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 증가는 편의성을 추구하는 경향으로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현대인의 잘못된 식생활은 영양부족, 영양 과잉 및 잘못된 영양정보에 의한 영양불량을 초래하기 쉽다.
영양부족으로 인한 영양불량은 빈혈 등 여러 질병을 일으키게 되고 영양소의 과잉섭취는 체중 과다 및 비만을 유발하여 오늘날 보건문제로 대두하고 있을 뿐 아니라 동맥경화증, 당뇨병, 고혈압과 같은 만성 퇴행성 질환의 발병을 더욱 가중시키게 된다.
또한, 각종 암, 악성종양, 심장병, 신장병 등의 발병과 수명단축 등의 심각한 상태에 이르고 있다.
이에 각종 질병을 예방하고 치료에 도움을 주기 위한 기능성 보조식품이 다수 소개되고 있다.
최근에는 상기와 같이 질병예방 뿐만 아니라 웰빙(Wellbeing)바람과 함께 건강에 대한 관심이 더 높아지면서 사람의 체질을 바꾸고 부작용이 없는, 생약재를 이용한 건강보조식품들이 많이 판매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이 생약재들은 생약재 특유의 쓴맛, 신맛으로 인하여 생약의 좋은 점을 알고도 복용을 피하게 된다.
또한, 생약재 자체가 가지고 있는 독성과 성질로 인하여 생약재를 혼합할 시 이들의 혼합에 주의를 기울여야하고, 또한 독성을 중화시킬 별도의 전처리를 하여야 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부작용이 발생하기도 한다.
또한, 생약재 중 인체에 유익한 땅빈대를 주원료로 이용한 건강보조식품은 아직까지 개발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독성이 없으면서 인체에 유용한 땅빈대를 주원료로 하여 인체에 무해하면서 유익한 건강보조식품을 제공하려는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땅빈대를 주원료로 한 건강보조식품은 땅빈대(Euphorbia Humifusa wild)를 추출한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추출액에는 인삼, 당귀, 상황버섯, 감초, 대추 중 선택된 1종 이상이 더 혼합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땅빈대, 인삼, 당귀, 상황버섯, 감초, 대추를 모두 혼합시 1 : 0.02 ~ 0.1 : 0.02 ~ 0.1 : 0.01 ~ 0.05 : 0.02 ~ 0.1 : 0.05 ~ 0.2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땅빈대를 주원료로 한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은, 땅빈대(Euphorbia Humifusa wild), 인삼, 당귀, 상황버섯, 감초, 대추 중 선택된 1 종이상을 각각 정선하여 준비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정선한 땅빈대(Euphorbia Humifusa wild), 인삼, 당귀, 상황버섯, 감초, 대추 중 선택된 1종 이상을 용기에 넣은 후 여기에 물을 넣고 100 ~ 120 ℃에서 1 ~ 4시간 동안 추출하여 추출액을 제조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인체에 유용한 땅빈대를 주원료로 하여 인체에 무해하면서 유익한 건강보조식품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땅빈대를 주원료로 한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도1.
도 2는 본 발명의 땅빈대를 주원료로 한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도2.
본 발명의 땅빈대를 주원료로 한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재료 준비단계
땅빈대를 정선하여 준비한다.
땅빈대(Euphor bia humifusa)는 대극과에 딸린 한해살이풀로서, 풀밭이나 마당, 길옆에 흔히 자라는 식물이다.
땅빈대는 플라보노이드와 사포닌이 주성분으로 잎에는 탄닌질이 10 % 이상 들어 있으며 몰식자산, 메틸에스테르, 마쿨라통, 시토스테롤, 알칼로이드 등이 함유되어 있고, 항암작용과 해독작용, 항균작용, 진정작용 등에 효능이 있다고 알려 져 있다.
또한, 한방에서는 땅빈대의 효능으로 이질, 설사, 위염, 대장염, 감기로 인한 기침, 혈변, 토혈, 자궁출혈, 혈뇨, 잇몸염증, 대상포진, 인후염 등에 효과가 있다고 한다.
또한, 소비자들이 선호할 수 있는 건강보조식품을 제조하기 위해 인삼, 당귀, 상황버섯, 감초, 대추 중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첨가하기도 한다.
인삼(Panax ginseng C.A.Mey., Ginseng)은 사포닌(saponin), 파나센 (panacene), 파나퀼론(panaquilon) 및 파낙신(panaxin) 등의 약용성분과 단백질, 핵산, 필수 지방산, 필수 아미노산을 비롯하여 각종 무기질, 비타민 및 당류, 콜린(choline) 등의 다양한 영양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약용뿐만 아니라, 건강식품으로서도 귀중한 자원이다.
인삼은 예로부터 인체의 신진대사를 촉진시키고 강장작용을 하는 보약으로 애용되어 왔으며 한방에 따르면 신경을 안정시켜 주고, 스트레스성 자극에 대한 저항성을 높여주며, 혈당을 강화시키고, 면역력을 강화시켜 주는 약리효과가 매우 우수하다.
당귀(當歸)는 미나리과의 다년생 여러해살이풀로써, 한방에서는 당귀뿌리를 약재로 사용하는데, 이는 온성정혈약, 아픔멎이약, 진정약, 강장약으로 빈혈증과 부인병에 주로 쓰인다.
상황버섯(Phellinus linteus)은 고산지대에 서식하고 있는 산뽕나무, 참나무, 밤나무, 상수리나무 등의 고목에서 자생하는 희귀한 담자균류의 다년생 버섯으로서, 흔히 "목질진흙버섯"이라고 한다.
이러한 상황버섯은 칼륨, 칼슘, 마그네슘, 비타민 B2, B3, C, 섬유질 아미노산의 성분외에 다당류(polysaccharide)를 함유하고 있는데, 이 물질이 바로 면역활성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감초(licorice root)는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여러해살이풀로써, 한방에서는 감초뿌리를 약재로 쓰이는데, 이는 가래삭임작용, 완화작용, 항염증작용과 진경작용, 항히스타민작용 등이 있으며, 단맛이 있으므로 약품의 맛고침약으로도 쓰이며, 독풀이약이나 부형약, 위십이지장궤양, 애디슨병, 기관지천식, 황달과 간염, 습진을 비롯한 피부병 등에 널리 쓰이고 있다.
대추(date)는 대추나무(Zizyphus jujuba var. inermis)의 열매로서, 한방에서는 이뇨·강장(强壯)·완화제(緩和劑)로 쓰인다.
2)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정선한 재료들 중 선택된 1종 이상을 용기에 넣고 여기에 물을 넣고 100 ~ 120 ℃에서 1 ~ 4시간 동안 열수추출하여 건강보조식품을 제조한다.
또한, 상기 정선한 재료들을 모두 넣을 시, 땅빈대, 인삼, 당귀, 상황버섯, 감초, 대추를 1: 0.02 ~ 0.1 : 0.02 ~ 0.1 : 0.01 ~ 0.05 : 0.02 ~ 0.1 : 0.05 ~ 0.2 중량비로 넣고 추출하는 것이 좋다.
즉, 본원 발명자는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건강보조식품의 원료로 여러가지 생약재 및 식품을 이용하여 과학적이고 객관적으로 유효성이 평가된 기능성을 지닌 건강보조식품을 개발하여 건강보조식품으로서의 활용방안을 모색하던 중, 항암작용과 해독작용, 항균작용, 진정작용을 나타내는 땅빈대를 주원료로 하여 열수추출할 시 부작용이 없으면서 역류성 식도염, 위염, 대장염 및 숙치해소 등에 유용하여 기능성이 강화된 건강보조식품이 제조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여러 한방재료들 중 인삼, 당귀, 상황버섯, 감초, 대추 중 선택된 1종이상을 더 첨가하여 건강보조식품을 제조할 경우 맛과 향이 더 좋아 소비자들이 선호할 수 있는 건강보조식품이 제조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이 각각의 다양한 효능을 가지고 있는 생약재 추출액을 건조하여 생성된 분말을 환의 형태로 제조할 시 소비자들이 부담없이 시음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여기서 환은 통상적으로 가루로 만든 약재에 꿀, 풀 등의 부형제를 첨가하여 둥근 모양으로 빚은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나 음료조성물로도 사용하기도 하며, 본 발명을 분말화 하여 식품첨가제로 사용하기도 한다.
이하, 실시예와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나, 이들이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1> 본 발명의 땅빈대를 주원료로 한 건강보조식품1 제조
땅빈대(Euphorbia Humifusa wild)를 정선하여 준비하였다.
상기 정선된 땅빈대 25g을 용기에 넣은 후 여기에 물 1000 cc를 넣고 100℃에서 2시간 동안 추출하여 건강보조식품1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땅빈대를 주원료로 한 건강보조식품2 제조
땅빈대(Euphorbia Humifusa wild), 상황버섯, 감초, 대추를 각각 정선하여 준비하였다.
상기 정선된 땅빈대 20g, 상황버섯 0.3g, 감초 0.5g, 대추 1.5g을 용기에 넣은 후 여기에 물 1000cc를 넣고 110 ℃에서 3시간 동안 추출하여 건강보조식품2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본 발명의 땅빈대를 포함한 건강보조식품3 제조
땅빈대(Euphorbia Humifusa wild), 인삼, 당귀, 상황버섯, 감초, 대추를 각각 정선하여 준비하였다.
상기 정선된 땅빈대 20g, 인삼 1.5g, 당귀 1.5g, 상황버섯 1.0g, 감초 1.5g, 대추 2.5g을 용기에 넣은 후 여기에 물 1000cc를 넣고 110 ℃에서 3시간 동안 추출하여 건강보조식품3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본 발명의 건강보조식품을 사용한 식품첨가제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건강보조식품1을 준비하였다.
준비한 건강보조식품1 100 ㎖를 진공건조한 후, 남은 잔여 수분 제거를 위해 동결건조시켜 분말화하여 식품첨가제 5 g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본 발명의 건강보조식품을 이용한 음료조성물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2에서 제조한 건강보조식품2를 준비하였다.
준비한 건강보조식품2 100 ㎖ 에 구연산 0.3 g, 구연산나트륨 0.1 g, 오렌지에센스 0.1 ㎖, 정제수 700 ㎖를 넣고 혼합한 후, 액상과당 12 ㎖을 사용하여 당도를 조절한 후, 나머지 정제수 200 ㎖를 넣어 교반하여 본 발명의 건강보조식품을 사용한 음료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본 발명의 건강보조식품을 환의 형태로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3에서 제조한 건강보조식품3을 준비하였다.
준비한 건강보조식품3 100 ㎖를 진공건조한 후, 남은 잔여 수분 제거를 위해 열풍건조시켜 분말화한 후, 꿀과 함께 환제조기에 넣어 환의 형태로 제조된 건강보조식품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땅빈대(Euphorbia Humifusa wild)의 독성측정
본 발명의 주재료인 땅빈대(Euphorbia Humifusa wild)의 독성을 확인하기 위해 한국화학시험연구원에서 랫드를 이용하여 실시예1의 땅빈대를 주원료로 한 건강보조식품1을 2주 동안 경구 투여시 나타나는 독성 반응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기본적으로 식품의약품안정청 고시 제2005-60호 "의약품 등 독성시험 기준"에 준하여 수행하였다.
이에 대한 실험방법 및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실험방법
SD계 랫드를 이용하여 시험군당 암, 수 각 5마리에 땅빈대를 2 주 동안 경구 투여하였다.
시험물질(실시예1의 땅빈대를 주원료로 한 건강보조식품1)의 투여용량은 62.5, 125, 250 mg/kg/day로 설정하여 투여하였으며, 대조군에는 부형제만을 투여하였다.
시험물질 투여기간 동안 임상증상, 체중 증가량, 사료 소비량을 관찰하였으며, 투여 종료시에 모든 동물에 대하여 뇨 검사, 혈액학적 검사 및 혈액생화학적 검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부검시 장기에 대하여 육안적으로 병리학적 검사를 실시하였다.
2. 실험결과
상기 시험기간 동안 대조군 및 모든 시험군의 동물에서 투여 후 8일 째부터 입모, 민감함 반응 및 공격성 행동이 관찰되었으나 11일째 모두 회복하였고, 사망동물이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체중변화, 사료, 음수 섭취량 뇨검사, 혈액학적 검사에서 유의적인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혈액생화학적 검사에서 수컷의 경우 대조군과 비교하여 ALP, BUN, IP 측정치에 유의적인 변화를 보였고, 암컷의 경우는 Cholesterol, IP, Na, Cl 측정치에 유의적인 변화를 보였다.
그러나 이는 암컷과의 상관성이 없고, 또한 측정치가 정상범위 안에 포함되어 이는 시험물질 투여에 의한 변화라 판단되지 않는다.
부검소견에 있어서는 대조군 및 모든 시험군동물에서 소장에 용종이 관찰되었으나 이는 전례에서 관찰된 것으로 시험물질이 아닌 부형제의 영향이라 판단된다.
이상의 결과로 부터 땅빈대를 62.5, 125 및 250 mg/kg/day로 설정하여 2주동안 경구투여한 결과, 최고 투여용량인 250 mg/kg/day까지 유의할 만한 독성학적인 변화가 없었으므로 무해용량(NOAEL; No Observed Adverse Effect Level)은 250 mg/kg/day이상으로 판단된다.
<실험예 2> 임상설문조사
상기 실시예 1,2에 제조된 건강보조식품에 대해서 평소에 위염, 역류성 식도염, 피로를 호소하는 20 대 ~ 50 대 성인 남녀를 각각 연령대별로 5 명씩 총 20 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비교대상으로 시중에 판매되고있는 건강보조제들(위염개선관련 건강보조식품, 역류성 식도염개선 관련 건강보조식품, 피로회복자양강장제)을 이용하였다.
이때, 1일 2회, 1회당 200 ml씩 30일간 섭취하도록 하였으며, 그 후 설문 조사를 하였다.
효과의 정도를 5 점법에 따라 응답하도록 하였으며, 그 수치를 평균을 내어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기호도 기준; 1. 효과가 전혀 없다., 3. 보통이다., 5. 효과가 아주 좋다.)
위염개선 역류성 식도염 개선 피로회복
실시예 1 4.1 4.2 4.0
실시예 2 4.1 4.2 4.1
비교대상 2.7 2.5 1.9
상기 표 1에 나타나 있듯이, 비교대상들은 최소 3개월이상 섭취를 하여야 일부 개선효과들을 확인할 수 있는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 1,2에 따른 건강보조식품이 단기간에 위염개선, 역류성 식도염 개선, 피로회복등에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숙취해소정도 조사
주정계를 이용하여 준비된 주류의 알코올 농도를 측정하였다.
이후 유리병을 준비한 후 하기 주류들을 각각 100㎖를 넣고 동량의 실시예2의 건강보조식품을 넣은 후 균일하게 혼합될 정도로 흔들고, 12 시간 정도 경과 후 주정계를 이용하여 알코올 농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맥주 소주
주류의 사용량
(㎖)
100 100
주류의 알코올 농도
(%)
5 19
실시예 3의 혼합량
(㎖)
100 100
혼합 후 알코올 농도 1 % 이하 3 % 이하
상기 실험결과에서, 실시예 3의 건강보조식품2는 주류와 혼합하고 12시간 후 알코올 농도를 측정하여 그 알코올 농도가 저하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땅빈대를 주원료로 한 건강보조식품은 숙취해소에도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4> 관능검사 실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건강보조식품1 내지 6에 대하여 향과 맛을 조사하여 전반적인 소비자들의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연령과 성별을 고려하여 20 대 ~ 50 대 성인 남녀를 각각 연령대별로 5 명씩 총 20 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향과 맛을 비교 조사하여 전반적인 소비자만족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아래의 표 3에 나타내었다.
소비자만족도
실시예 1 3.5 3.3 3.4
실시예 2 4.1 4.2 4.1
실시예 3 5 4.8 5
실시예 4 4.0 4.1 4.1
실시예 5 4.3 4.4 4.2
실시예 6 4.2 4.3 5
* 기호도 기준; 1. 아주 나쁘다., 3. 보통이다., 5. 아주 좋다.
상기 표 3과 같이 본 발명인 실시예 1과 실시예 2의 건강보조식품은 여러가지 생약재가 잘 어울러져 쓴맛 및 신맛이 거의 나타나지 않으며 맛과 향이 좋아 소비자들이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어, 전반적으로 소비자들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을 통해 기존의 생약재들을 이용한 건강보조식품의 문제점을 해소해 줌과 동시에 인체에 유익한 건강보조식품이 제조됨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본 발명인 건강보조식품을 식품첨가제, 음료조성물로 사용하여도 맛과 향이 좋아 전반적으로 소비자들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특히, 본 발명의 건강보조식품을 환 형태로 제조할 시 소비자들이 더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어 소비자들의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Claims (8)

  1. 땅빈대(Euphorbia Humifusa wild)를 추출한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구성된,
    땅빈대를 주원료로 한 건강보조식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액에는 인삼, 당귀, 상황버섯, 감초, 대추 중 선택된 1종 이상이 더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땅빈대를 주원료로 한 건강보조식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땅빈대, 인삼, 당귀, 상황버섯, 감초, 대추를 모두 혼합시 1 : 0.02 ~ 0.1 : 0.02 ~ 0.1 : 0.01 ~ 0.05 : 0.02 ~ 0.1 : 0.05 ~ 0.2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땅빈대를 주원료로 한 건강보조식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음료조성물로 사용되는 것이 특징인,
    땅빈대를 주원료로 한 건강보조식품.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건강보조식품을 건조시킨 다음, 분쇄하여 제조된 분말로서, 식품첨가제로 사용되는 것이 특징인,
    땅빈대를 주원료로 한 건강보조식품.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건강보조식품을 건조시킨 다음, 분쇄하여 제조된 분말을 환의 형태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땅빈대를 주원료로 한 건강보조식품.
  7. 땅빈대(Euphorbia Humifusa wild), 인삼, 당귀, 상황버섯, 감초, 대추를 각각 정선하여 재료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정선한 재료들을 용기에 넣고, 여기에 물을 넣고 100 ~ 120 ℃에서 1 ~ 4시간 동안 열수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땅빈대를 주원료로 한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하는 단계에서, 땅빈대, 인삼, 당귀, 상황버섯, 감초, 대추를 1 : 0.02 ~ 0.1 : 0.02 ~ 0.1 : 0.01 ~ 0.05 : 0.02 ~ 0.1 : 0.05 ~ 0.2 중량비로 넣고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땅빈대를 주원료로 한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KR1020100044731A 2010-05-13 2010-05-13 땅빈대를 주원료로 한 건강보조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201101252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4731A KR20110125295A (ko) 2010-05-13 2010-05-13 땅빈대를 주원료로 한 건강보조식품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4731A KR20110125295A (ko) 2010-05-13 2010-05-13 땅빈대를 주원료로 한 건강보조식품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5295A true KR20110125295A (ko) 2011-11-21

Family

ID=45394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4731A KR20110125295A (ko) 2010-05-13 2010-05-13 땅빈대를 주원료로 한 건강보조식품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25295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14283A (zh) * 2012-04-06 2012-08-01 南通市肿瘤医院 一种促进术后胃肠功能恢复的药物及其应用
CN102961464A (zh) * 2012-12-11 2013-03-13 青岛农业大学 一种治疗痢疾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3316129A (zh) * 2013-07-08 2013-09-25 朱克兰 一种治疗急性胃炎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3751347A (zh) * 2014-02-08 2014-04-30 王秀勤 一种治疗十二指肠溃疡的中药组合物
CN104758708A (zh) * 2015-04-28 2015-07-08 李志刚 一种治疗腹泻的药物
KR20160140021A (ko) 2015-05-29 2016-12-07 (주)월드코스텍 땅빈대 발효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14283A (zh) * 2012-04-06 2012-08-01 南通市肿瘤医院 一种促进术后胃肠功能恢复的药物及其应用
CN102961464A (zh) * 2012-12-11 2013-03-13 青岛农业大学 一种治疗痢疾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3316129A (zh) * 2013-07-08 2013-09-25 朱克兰 一种治疗急性胃炎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3751347A (zh) * 2014-02-08 2014-04-30 王秀勤 一种治疗十二指肠溃疡的中药组合物
CN104758708A (zh) * 2015-04-28 2015-07-08 李志刚 一种治疗腹泻的药物
KR20160140021A (ko) 2015-05-29 2016-12-07 (주)월드코스텍 땅빈대 발효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374538C (zh) 五脏滋补酒及其制备工艺
KR100793204B1 (ko)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상동맥성 심장 질환 또는 동맥경화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CN101264177B (zh) 一种具有提神清咽利喉作用的压片糖果
CN109007808A (zh) 一种解酒护肝组合物及包含其的解酒护肝制剂
KR102136052B1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기능보호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KR20110125295A (ko) 땅빈대를 주원료로 한 건강보조식품 및 그 제조방법
CN105532998A (zh) 一种含有蛹虫草的保健茶及其制备方法
CN106359720A (zh) 一种清咽利喉和润肺清火的保健茶及其制备方法
KR100947278B1 (ko) 하엽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탄수화물 및 지방 흡수억제 활성을 가지는 생약 조성물과 이의 제조 방법
CN108578544A (zh) 一种具有降糖作用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101060309B1 (ko) 대추 경옥고
CN105941816A (zh) 一种具有保健功效的青钱柳口香糖
CN108813501A (zh) 具有清热润肺止咳化痰平喘和调节人体机能的养生蜂蜜膏
KR100793205B1 (ko)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상동맥성 심장 질환 또는 동맥경화증 개선용 건강보조식품
EP1369123A1 (en) A health-care product comprising lotus rhizome and process for its preparation
KR101160088B1 (ko) 알코올성 지방간과 고지혈증 억제 및 숙취 억제 조성물
KR20190053108A (ko)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남성 항비만용 조성물
KR100974584B1 (ko) 땅빈대를 포함한 건강보조식품 및 그 제조방법
CN102827740B (zh) 一种百岁酒及其制备方法
CN112869160B (zh) 一种含叶酸的祛斑组合物及其制备方法
Nimbhorkar et al. Caffeine alternatives: Seraching a herbal solution
KR101795261B1 (ko) 구기자를 포함하는 간 기능 개선용 한방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330687B1 (ko) 한약재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456127B1 (ko) 골성장 촉진을 위한 조성물
KR101154031B1 (ko)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로회복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