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9820B1 - 대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대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9820B1
KR102269820B1 KR1020210006906A KR20210006906A KR102269820B1 KR 102269820 B1 KR102269820 B1 KR 102269820B1 KR 1020210006906 A KR1020210006906 A KR 1020210006906A KR 20210006906 A KR20210006906 A KR 20210006906A KR 102269820 B1 KR102269820 B1 KR 1022698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obesity
composition
preventing
he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6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완
김태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이처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이처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이처센스
Priority to KR1020210006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98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9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9820B1/ko
Priority to US17/460,262 priority patent/US20220226407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1Hydrocarbons
    • A61K31/015Hydrocarbons carbocyclic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40Complete food formulations for specific consumer groups or specific purposes, e.g. infant formul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61K31/05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30Other 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Abstract

본 발명은 대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천연물인 대마 추출물을 포함하여 복용 및 투여에 의해 부작용이 없거나 적고, 식이성 비만 유도 마우스 모델에서 고지방 식이에 의한 체중 및 체지방 증가를 억제할 수 있는 것으로,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대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CANNABIS SATIVA AS AN EFFECTIVE INGREDIENT FOR PREVENTING OR TREATING OF OBESITY}
본 발명은 대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천연물인 대마 추출물을 포함하여 복용 및 투여에 의해 부작용이 없거나 적고, 식이성 비만 유도 마우스 모델에서 고지방 식이에 의한 체중 및 체지방 증가를 억제할 수 있는 것으로,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경제 성장과 식생활의 서구화로 인하여 음식물에서 얻는 지방분의 섭취량에 증가하였으며 운동부족 등으로 인해 비만, 당뇨병, 고지혈증, 고혈압, 동맥경화증 및 지방간과 같은 대사성 질환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비만은 젊은이들에게 있어서 마른 체형을 좋아하는 미용적인 모습을 해칠 뿐만 아니라 비만이 지속됨으로써 여러 가지 질환들이 취급되고 있다.
비만은 소모하는 열량을 섭취함으로써 여분의 열량이 체내에 지방의 형태로 축적되는 현상을 말한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15세 이상의 세계인 가운데 비만으로 분류되는 사람은 약 4억명, 과체중 인구는 16억 명에 이르는 것으로(2006년 9월 발표) 발표하였고, 이러한 추세에 따라 비만이 개인의 단순 질병이 아닌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비만은 유전적 영향, 서구화되는 식생활에 의한 환경적인 영향, 스트레스에 의한 심리적인 영향 등에 의해 유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그 정확한 원인이나 기전에 대해서는 명확히 밝혀져 있지 않다.
비만 치료의 목표는 크게 두가지로 구분되는데, 첫 번째는 과량의 지방을 연소시켜 체중을 감소시키는 것이며, 두번째는 대상성 불균형(metabolic imbalance)을 개선시키는 것이다. 복부 비만은 인슐린 저항성, 제 2형 당뇨병, 고혈압 및 지질대사 이상과 같은 증상과 밀접히 관련되어 있으며, 조기 동맥경화, 허혈성 심질환 및 뇌혈관 질환의 강력한 위험인자로 작용한다. 따라서 현재 비만의 치료는 체중 감량뿐만 아니라, 조기에 심혈관 질환을 유발하는 요인을 제거하여 대사 이상을 개선하는 데 그 목표가 있다.
현재 비만을 치료하는 치료제로는 크게 중추 신경계에 작용하여 식욕에 영향을 주는 약제와 위장관에 작용하여 흡수를 저해하는 약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중추 신경계에 작용하는 약물로는 각각의 기전에 따라 세로토닌 (5-HT) 신경계를 저해하는 펜플루라민, 덱스펜플루라민 등의 약물, 노르아드레날린 신경계를 통한 에페드린 및 카페인 등의 약물 및 최근에는 세로토닌 및 노르아드레날린 신경계에 동시 작용하여 비만을 저해하는 시부트라민 등의 약물들이 시판되고 있다. 이외에도, 위/장관에 작용하여 비만을 저해하는 약물로 장관 리파제를 저해하여 지방의 흡수를 줄여 주는 비만 치료제로 허가된 오를리스타트 등이 대표적인 약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에 사용되어온 약물 중 펜플루라민 등의 약물은 부작용으로 원발성 폐고혈압이나 심장 판막 병변을 일으켜 최근에 사용이 금지되었으며, 다른 약물들도 혈압감소나 유산산혈증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여 심부전, 신장질환 등의 환자에는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우선, 비만 치료를 위한 보다 개선된 방법을 찾기 위하여 최근 에너지 대사를 조절하는 기전에 관심을 갖게 되고, 이쪽 계열의 화합물이 보다 높은 안전성(낮은 독성)을 가져야 한다는 전제하에 인간이 고지방식이를 섭취하였을 때 지방으로 축적되는 시그널과 지방축적에 영향을 끼치는 단백질들의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이런 지방 축적의 단백질의 발현을 억제하고, 이미 축적된 지방을 분해시키기 위한 시그널 연구 및 관여 단백질의 연구를 통해 지방분해를 촉진하는 연구 및 펩타이드를 개발하게 되었다.
한편, 식이섭취 조절 및 에너지 소비 조절을 통해 비만을 억제하는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음식을 섭취하는 행동을 조절하는 기관으로 시상 하부와 운동신경, 자율신경 및 말초신경계가 모두 관여하는데 비만의 병인론에 있어서 중추신경계 중 특히 시상 하부가 중요한 역할을 하며 뉴로펩타이드 Y, POMC/CART, 멜라노코틴 수용체, 노르에피네프린, 세로토닌 등이 시상하부에서 분비되는 대표적인 인자들이다. 현재 비만치료제 개발 전략은 식사량 감소, 열량흡수의 억제, 발열 반응 촉진, 에너지 대사 조절, 신경계를 통한 신호전달조절과 같은 것들이다.
이러한 비만으로 인한 체중을 감소시키기 위한 약물로서는 식욕을 억제하는 약물인 시부트라민(sibutramine)과 체내의 리파제(lipase)를 억제하여 음식물에 포함된 지방질의 흡수를 감소시키는 올리스타트(orlistat)가 대표적이다. 그러나 시부트라민의 경우 혈압상승, 불면증, 구강건조, 어지러움 등의 부작용이 비교적 흔하다. 또한, 시부트라민은 심혈관질환 또는 조절되지 않는 고혈압을 가진 환자에게는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올리스타트의 경우에는 설사, 지방변, 분실금 등의 부작용이 흔하고 한국인과 같이 지방 섭취가 서양인에 비해 적은 경우에는 약물의 효과가 뚜렷하지 않다.
따라서 보다 안전하면서도 항비만 효과가 탁월한 약물에 대한 꾸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KR 10-2020-0180279 B1
본 발명의 목적은 천연물인 대마 추출물을 포함하여 복용 및 투여에 의해 부작용이 없거나 적은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식이성 비만 유도 마우스 모델에서 고지방 식이에 의한 체중 및 체지방 증가를 억제할 수 있는 것으로,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은 대마(Cannabis sativ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상기 대마 추출물은 칸나비디올(cannabidiol) 및 테르펜(terpene)을 포함한다.
상기 조성물은 비만 분화 촉진 인자의 억제를 통해 비만을 억제하는 것이다.
상기 지방 분화 촉진 인자는 PPARγ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γ), C/EBPα(CCAAT/enhancer-binding protein α) 및 지방산 합성 효소(fatty acid synthase)를 포함한다.
상기 대마 추출물은 물, C1 내지 C6의 저급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비만 예방용 식품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여 제조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비만 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여 제조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예방'은 추출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투여로 비만 또는 그 합병증의 발병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비만 또는 그 합병증에 치료효과가 있는 본원의 추출물은 비만 또는 그 합병증의 초기 증상, 또는 나타나기 전에 복용할 경우 이러한 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치료'란 추출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투여로 비만 또는 그 합병증 예를 들면, 고지혈증 또는 이로 인한 다른 질환의 증세를 호전시키거나 이롭게 변경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대한의학협회 등에서 제시된 자료를 참조하여 비만 또는 그 합병증에 대하여 본원의 조성물이 효과가 있는 질환의 정확한 기준을 알고, 개선, 향상 및 치료된 정도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비만'이란, 단순히 체중이 많이 나가는 것이 아니라 체지방이 과도하게 축적된 상태를 말한다. 겉으로 정상체중으로 보여도 체지방 비율이 높으면 비만이라고 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보통 비만을 판정하는 방법은 체질량지수 (BMI)를 이용하게 되는데 23~24.9인 경우에 과체중, 25~29.9까지를 경도비만으로 판정하며, 30~34.9는 중등도비만, 35 이상일 경우는 고도비만으로 판정하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체지방'은 신체를 구성하는 지방 조직을 의미하며 피하조직, 유선 및 신장주위 등에 널리 분포하고, 저장지방으로 에너지에 이용되는 것 이외에 내장 보호와 체온 조절기능을 한다. 저장지방이 과잉으로 축적된 상태를 비만이라고 하며, 비만에서는 합병증 예방 관점에서 체중보다 체지방의 양이 중요시된다. 피하지방보다 복강 내 내장지방의 축적이 당, 지질대사이상, 고혈압 및 관상동맥질환과의 관련이 깊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체지방은 피하지방과 내장지방을 모두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추출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당업계에서 조추출물(crude extract)로 통용되는 의미를 갖지만, 광의적으로는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분획(fractionation)한 분획물도 포함한다. 즉,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얻은 것뿐만 아니라, 여기에 정제과정을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얻은 것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추출물을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통과시켜 얻은 분획,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은 대마(Cannabis sativ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대마(Cannabis sativa)는 삼과(Cannabaceae) 대마속의 한해살이 식물로, 3개의 상이한 종, 칸나비스 사티바(Cannabis sativa), 칸나비스 인디카(Cannabis indica) 및 칸나비스 루데랄리스(Cannabis ruderalis)를 포함하는 개화 식물 속이다.
현재까지 알려진 바, 대마에서 약 400여 개의 화합물이 발견되었고 그 중 대부분이 칸나비노이드(cannabinoids)와 테르펜(terpene), 그리고 페놀화합물(phenolic compounds)이다. 그 중에서도 칸나비노이드는 대마의 대표적인 유효성분으로 알려져 있는데 현재까지 약 90여 가지의 칸나비노이드가 밝혀졌으며, 대마에서만 발견되는 성분도 다수 알려져 있다. 1899년 대마로부터 칸나비놀(cannabinol, CBN)을 분리하였으나 후에 단일화합물이 아니었다고 알려졌고, 1930년대에 대마로부터 정제된 순수한 화합물인 칸나비디올(cannabidiol, CBD)과 테트라하이드로칸나비놀(tetrahydrocannabinol, THC)이 분리되면서 대마의 성분에 대한 연구는 더욱 활발해졌다.
이처럼 대마의 특정 성분을 이용해 약물을 개발하려는 노력도 계속되고 있으며, 이중 의료용 대마의 주요 화합물인 THC와 CBD가 치료목적에서 가장 주목받고 있다. CBD의 경우 향정신작용이 없으며, 통증을 경감시키고 간질발작을 조절하는 데 유효한 결과는 얻었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또한, 대마의 향과 맛을 내는 역할을 하는 테르펜(terpene) 계열의 화합물 역시 대마에서 100여개 이상이 밝혀졌고, 다양한 모노테르페노이드(monoterpenoids)와 세스키테르페노이드(sesquiterpenoids) 등의 형태로 존재한다. 테르펜은 항염증 작용 등 다양한 약리작용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나 아직까지 대마에서 추출된 테르펜 화합물들의 연구는 THC에 비해 미비한 실정이다.
상기 대마 추출물은 칸나비디올(cannabidiol) 및 테르펜(terpene)을 포함한다.
칸나비디올(CBD: cannabidiol)은 대마(Cannabis)의 주된 성분 중 하나로 테트라하이드로칸나비디올(THC: Tetrahydrocannabinol)와 함께 많이 비교되는 물질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마약류로 지정되어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으나 외국의 경우 통증이나 기억 장애, 불안 등의 증상 완화를 위한 의료용으로 실제 사용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물질이다.
테트라히드로칸나비놀(THC)은 대마초 식물의 주된 향정신성 성분으로, THC는 탈카르복실화된 상태에서만 향정신성을 띈다. THC는 CBD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나, THC는 흥분을 유도하고 일부 암에서 세포 사멸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는 반면 CBD는 THC에 비해 연구가 많이 되어있지 않고 흥분을 유도하지 않는다고 알려져 있다.
가장 훌륭하게 연구된 칸나비노이드는 테트라히드로칸나비놀(THC), 칸나비디올(CBD) 및 칸나비놀(CBN)을 포함한다. 다른 칸나비노이드는, 예를 들면 칸나비크로멘(CBC), 칸나비게롤(CBG), 칸나비니디올(CBND), 칸나비시클롤(CBL), 칸나비바린(CBV), 테트라히드로칸나비놀바린(THCV), 칸나비디바린(CBDV), 칸나비크로메바린(CBCV), 칸나비게로바린(CBGV) 및 칸나비게롤 모노메틸 에테르(CBGM)를 포함한다.
테르펜(terpene)는 CBD와 THC와 같은 칸나비노이드(cannabinoids)와 함께 작용할 때, 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으며, 칸나비노이드(cannabinoids)의 흡수를 향상시키고 세균 방어 매커니즘을 극복하며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대마는 부위에 따라 과거에는 다양하게 사용되어 왔는데, 삼잎인 대마초 혹은 마엽은 회충을 죽이는 작용이 있다고 하며, 마엽을 삶은 물로 머리를 감으면 머리가 길게 자라고 윤택해진다고 한다. 또한 천식이나 오래된 기침, 회충, 진통작용, 마취, 이뇨제로 사용되었다. 대마의 뿌리는 마근으로 난산과 태반이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하였고, 어혈을 풀고 석림이 나오게 한다고 하였으며 복용 방법으로는 달여서 물을 마신다고 하였다. 대마의 껍질인 마피는 타박상 및 열림창통을 치료하고, 대마의 꽃인 마화는 마비증상, 가려움증에 사용되었다고 한다. 대마의 꽃이삭은 마분이라고 하여 난산, 변비, 통풍, 진광, 불면 등에 활용되었다. 특히, 대마 씨앗에는 L-아르기닌이 풍부하여 근육의 긴장을 풀어 긴장 완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대마 특유의 성분인 카나비노이드는 통증 완화 및 긴장의 완화에 효과적이다.
상기 조성물은 비만 분화 촉진 인자의 억제를 통해 비만을 억제하는 것으로, 상기 지방 분화 촉진 인자는 PPARγ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γ), C/EBPα(CCAAT/enhancer-binding protein α) 및 지방산 합성 효소(fatty acid synthase)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대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은 지방 분화 촉진 인자의 억제를 통해 비만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지방 분화 촉진 인자는 본 발명의 목적 달성을 저해하지 않는 한 제한되지 않으나 PPARγ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γ), C/EBPα (CCAAT/enhancer-binding protein α) 및 지방산 합성 효소(fatty acid synthas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방 분화 촉진 인자는 전사 조절 인자 중 핵심적인 것으로 PPARγ 및 C/EBPα의 상호 작용을 통해 지방 생성과 관련된 유전자의 발현과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촉진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상기 지방 분화 촉진 인자의 억제를 통해 지방의 축적을 억제할 수 있다.
비만(obesity)은 대사 장애로 인하여 체내에 지방세포가 증식 분화하고 이로 인하여 지방이 과잉으로 축적된 상태를 의미하며, 고혈압, 당뇨 및 이상지질혈증 등을 동반하는 대사증후군을 포함하는 관련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상기 대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은 고지혈증, 지방간, 심혈관 질환 및 동맥경화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효과가 우수하다.
상기 대사성질환은 비만과 밀접하게 연관성이 있거나, 비만에 기인하는 상태 또는 질환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 고지혈증, 지방간, 심혈관 질환 및 동맥경화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고지혈증은 혈액 중에 지방성분 특히 콜레스테롤(cholesterol)과 중성지방(triglyceride)의 농도가 높은 경우로 일반적으로 240mg/㎗을 넘거나 중성지방이 200mg/㎗ 이상일 때를 고지혈증이라고 한다. 고지혈증은 유전적 소인, 비만, 식이습관, 당뇨병, 신증후군, 갑상선기능저하증에 의해서 유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은 혈액 중의 지질 농도를 저하시키는 것이 요구되는 모든 상태를 포함하는 광범위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지방간(fatty liver)은 간의 지방 대사 장애로 지방이 간세포에 과도한 양으로 축적되는 상태 또는 질환을 의미한다.
상기 동맥경화증(arteriosclerosis)은 동맥벽이 두꺼워지고 탄력성이 감소하여 체내의 장기 및 조직으로의 혈액 순환이 저하되는 상태 또는 질환을 의미하며, 지방, 콜레스테롤 등 기타 물질이 동맥내벽에 침착되어 플라크(plaque)를 형성하여 내강이 좁아짐으로써 혈액 순환이 저하되는 상태 또는 질환을 의미하는 "아테롬성 동맥경화증(atherosclerosis)"을 포함하는 의미를 가진다. 동맥경화증은 체내 어느 부위에서도 발생할 수 있으며, 심장내 혈관에서 발생하는 경우에는 협심증, 심근경색 등 관상동맥질환이 유발되며, 뇌에서 발생하는 뇌경색이 유발될 수 있으며, 신장에서 일어나는 경우에는 신부전증 등이 유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대마 추출물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은 상기 비만 혹은 대사성 질환의 개선, 예방 및 치료가 가능한 것으로, 다양한 원인에 의해 체중 또는 체지방이 증가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 고지 방식에 의해 유발된 비만 혹인 대사성 질환의 예방이 가능하다.
상기 고지 방식이를 장기간 투여하였을 때, 체중과 체지방이 증가하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지방세포의 분화와 지방 축적을 유도하고, 체중과 체지방의 함량을 증가시키며, 혈청 내 엔도톡신, 중성지방 및 총 콜레스테롤 농도뿐만 아니라 지방분화 관련 호르몬의 발현을 높여, 비만 혹은 대사성질환을 유도하게 된다.
본 발명의 대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은 상기 지방세포 분화와 지방 축적을 억제하여, 체중과 체지방의 증가를 감소시키고, 지방 분화 관련 호르몬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이다.
상기 대마 추출물은 물, C1 내지 C6의 저급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대마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천연물을 분쇄하는 단계;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상기 분쇄물을 침출시키는 단계; 시료를 침출 후 건조시키는 단계; 건조된 시료를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재 침출 시키는 단계; 시료를 침출 후 건조시키는 단계; 물을 이용하여 침출시키는 단계; 및 침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천연 추출물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 천연 추출물은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분획을 실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 용매는 시료의 중량 기준으로 2 내지 50배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2 내지 20배이다. 추출을 위해 시료는 추출 용매에서 침출을 위해 1 내지 72 시간 동안 방치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24 내지 48시간 동안 방치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용매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환류 추출법, 침출법, 발효법 및 포제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추출법으로 수득하는 것을 포함한다.
초음파 추출법은 30 내지 50℃, 0.5 내지 2.5시간 동안 반응을 진행하며, 추출용매는 물 또는 50 내지 10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에 의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40 내지 50℃, 1 내지 2.5시간 동안 추출하며, 추출용매로 물 또는 70 내지 8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에 의한 것이다.
환류 추출법은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100mL기준으로, 천연물의 분쇄물 10 내지 30g, 환류 시간 1 내지 3시간 및 50 내지 10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또는 물에 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100Ml 또는 물 100mL 기준으로, 천연물의 분쇄물 10 내지 20g, 환류 시간 1 내지 2시간 및 70 내지 90%의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또는 물에 의한 것이다.
침출법은 15 내지 30℃, 24 내지 72시간 동안 진행하며, 추출 용매로 물 또는 50 내지 10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을 이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20 내지 25℃, 30 내지 54시간 동안 진행하며, 추출 용매는 물 또는 70 내지 8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에 의한 것이다.
추출 후, 추출물은 새로운 분획 용매를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분획할 수 있다. 분획시 사용하는 분획 용매는 상기 용매는 물, 헥산, 부탄올, 에틸아세트산, 에틸 아세테이트,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메틸렌클로라이드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대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은 털잎솔나물(Galium verum L. var.) 추출물, 그늘취(Artemisia sylvatica Maxim.) 추출물 및 흑종초(Nigella sativa)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털잎솔나물(Galium verum L. var.)은 잎은 8-10개가 윤생하며 선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길이 2-3cm, 폭1.5-3cm로서 뒷면은 마디 및 화서와 더불어 많은 털이 있다. 전국 각지에 분포하며, 북부지방의 산지 숲 가장자리와 풀밭, 하천가에 주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솔나물에 비해 잎 앞면에 짧은 털과 가시 모양 털이 있어 구분되며, 털솔나물에 비해 잎 앞면에 짧은 털과 가시 모양 털이 있다.
상기 그늘취(Artemisia sylvatica Maxim.)는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산지 숲속에서 자란다. 뿌리에서 난 잎은 꽃이 필 때까지 남아 있고 장미꽃 모양으로 퍼지며 달걀 모양 또는 긴 타원형이고 끝이 뾰족하다. 길이 11 내지 20cm, 나비 7 내지 9.5cm로서 표면에 약간 꼬불꼬불한 털이 나고 뒷면에는 거미줄 같은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다. 줄기에서 난 잎도 뿌리에서 난 잎과 비슷하나 크기가 다르다.
흑종초(Nigella sativa)는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의 한해 또는 두해살이풀이다. 50~80cm 정도 자라는 1년초로, 잎은 3~4회 우상으로 갈라져 코스모스 잎모양으로 광택이 있다. 꽃은 6~7월에 연보라 색으로 가지 끝에 하나씩 달린다. 과실은 통통하고 공모양이며, 종자는 작고 검어 8~9월에 익는다. 씨앗이 검다고 하여 흑종초라고 하며, 남유럽이 원산지이다. 딸기향이 나는 흑종초 씨앗은 인도, 이집트, 그리스, 터키 등지에 널리 보급되어 있는 매운 육두구 맛을 가진다. 생것을 구워서 말린 씨앗은 카레, 야채, 콩요리에 맛을 더한다.
상기 천연 추출물을 복합으로 사용하는 경우, 각 구성 성분 간의 혼합 작용으로 인해 식이성 비만 유도 마우스 모델에서 고지방 식이에 의한 체중 및 체지방 증가를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하여, 우수한 비만 예방 및 치료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털잎솔나물 추출물, 그늘취 추출물 및 흑종초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함에 따라, 대마 추출물 특유의 맛과 향을 중화시켜, 기호성이 우수한 조성물로의 제공을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조성물은 대마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해, 털잎솔나물 추출물 20 내지 40 중량부, 그늘취 추출물 20 내지 40 중량부 및 흑종초 추출물 20 내지 4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복합 추출물로 사용 시, 우수한 비만 예방 및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 동시에, 기호도가 우수한 조성물로의 제공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대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비만 예방용 식품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여 제조한 것이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기능성 식품"은 기능성 식품에 관한 법률 제6727호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의미하며,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비만 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여 제조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의약품에 대한 제형은 사용방법에 따라 바람직한 형태일 수 있으며, 구체적인 제형의 예로는 과립제, 산제, 시럽제, 액제, 현탁제, 전제, 침제, 정제, 좌제, 주사제, 주정제, 캅셀제, 환제, 연질 또는 경질 젤라틴 캅셀 등일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당업계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부형제, 충진제, 중량제, 결합제, 붕해제, 윤활제, 방부제, 항산화제, 등장제, 완충제, 피막제, 감미제, 용해제, 기제, 분산제, 습윤제, 현탁제, 안정제, 착색제, 방향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약품의 제조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의 함량은 약제의 형태에 따라 다르며, 투여량 또한 치료되는 대상의 종류, 투여경로, 체중, 성별, 나이, 질환의 정도에 따라 당업자가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대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의하면, 천연물인 대마 추출물을 포함하여 복용 및 투여에 의해 부작용이 없거나 작고, 식이성 비만 유도 마우스 모델에서 고지방 식이에 의한 체중 및 체지방 증가를 억제할 수 있는 것으로,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는 분화된 지방 세포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의 지방 축적 비율(lipid accumulation)을 분광광도계로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분화된 지방 세포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의 지방 분화 촉진 인자 억제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고지방 사료 식이 중인 마우스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을 경구 투여시, 마우스의 체중 및 사료 식이량을 대조군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조예 1: 대마 추출물의 제조]
1. 대마 추출물의 제조
잎과 꽃을 포함하는 대마를 흐르는 물에 깨끗이 세척한 다음 완전히 자연 건조시켰다. 건조된 대마를 믹서기로 분쇄한 다음 분말로 제조하였다. 100g의 대마 분말을 1000g의 에탄올에 침적시키고, 40℃에서 48시간동안 용출시켰다. 이어서, 원심분리기로 고형분을 분리한 후 분리된 상등액을 취하여 여과하였다. 이를 통상적인 감압 농축 방법에 준하여, 농도가 0.15 mg/ml인 칸나비디올과 테르펜을 포함하는 대마 추출물(CE)을 얻었다.
2. 기타 천연 추출물 제조
먼저, 털잎솔나물(Galium verum L. var.) 세척하고, 건조한 뒤 이를 분쇄하였다. 상기 분쇄물을 60% 에탄올에 혼합하고, 이를 2시간 동안 추출하여, 이를 냉각시킨 뒤 와트만 여과지로 여과한 후, 그 여액을 수득하여 털잎솔나물 추출물(GE)을 제조하였다.
상기 털잎솔나물 추출물(GE)의 제조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그늘취 추출물(AE) 및 흑종초 추출물(NE)을 제조하였다.
3. 복합 추출물의 제조
상기 대마 추출물(CE), 털잎솔나물 추출물(GE), 그늘취 추출물(AE) 및 흑종초 추출물(NE)을 하기 표 1과 같이 혼합하여 복합 추출물로 하였다.
OT1 OT2 OT3 OT4 OT5 OT6
CE 100 100 100 100 100 100
VE - 10 20 30 40 50
RE - 10 20 30 40 50
NE - 10 20 30 40 50
(단위: 중량부)
[실험예 1: 세포 독성실험]
상기 제조예에서 제조한 대마 추출물(CE, OT1) 및 복합 추출물(OT2 내지 OT6)의 독성을 실험하기 위하여 랫트 반복투여 독성실험에서 복합 추출물 투여 시 독성 및 부작용 발현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SD 개통의 6주령의 암수 랫트를 군당 10 마리(암수 각 5마리)씩으로 나누어 대마 추출물(CE, OT1) 및 복합 추출물(OT2 내지 OT6)을 투여하였으며, 각각의 약물을 0.5% MC 용액에 용해한 후 매일 동일한 오전 시간대에 1회 경구 투여하는 것을 13주 동안 반복하였다. 1회 투여량은 3.75 mg/kg 내지 5mg/kg의 양으로 투여하였다. 이후 사망률, 일반증상, 체중변화, 사료 및 물 섭취량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실험 기간 내에 사망개체는 발생하지 않았다. 상기 실험 결과에 비추어, 대마 추출물(CE, OT1) 및 복합 추출물(OT2 내지 OT6)은 독성에 문제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지방 세포 분화 및 지방 축적 억제 효과]
지방 세포 분화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대마 추출물(CE, OT1) 및 복합 추출물(OT2 내지 OT6)의 지방 세포 분화 및 지방 축적 억제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3T3-L1 지방 전구세포를 12-웰 플레이트에 뭉치는 상태(confluent)가 될 때까지 배양한 후 OT1 내지 OT6을 처리하고, 지방 분화 배양액인 MDI 배양액 (10% FBS(fetal bovine serum)이 함유된 고농도 글루코스 함유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500 uM 메틸이소부틸잔틴(methylisobutylxanthine), 1 uM 덱사메타손 (dexamethasone), 10 ug/mL 인슐린 혼합액)에서 분화를 유도하였다.
10% FBS DMEM, 500 uM 메틸이소부틸잔틴(methylisobutylxanthine), 1 uM 덱사메타손 및 10 ug/mL 인슐린이 포함된 배지로 교체하고 3일 경과 후, 10 ug/mL 인슐린이 포함된 배지로 교체하였다. 6일 경과 후, 이틀 간격으로 10% FBS DMEM 배지를 교체해 주면서 10일간 분화를 유도하였다.
10 일 경과 후, 분화된 세포는 4% 파라포름알데히드(Paraformaldehyde)이 혼합된 PBS(phosphate bufferedsaline) 용액에서 1 시간 고정시키고, 60% 이소프로판올이 포함된 PBS로 2회 세척한 후, Oil-Red-O 염색 용액으로 15분간 염색한 후, 흐르는 물로 세척하였다. 염색 완료 후, 세포 사진을 촬영하고, '이미지 제이(Image J)'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염색된 부분을 정량화하였다.
지방 축적 억제 효과
상기 분화된 세포에서 지방 축적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지방 축적 비율(lipid accumulation)을 분광광도계로 측정하였으며, 상기 실험에서 OT1 내지 OT6을 투여하는 대신, 각각 플로레틴 및 무처리하여 대조군으로 수행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도 1에 도시하였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대마 추출물(CE, OT1) 및 복합 추출물(OT2 내지 OT6)을 처리한 군에서 지방 세포의 분화가 현저히 억제된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플로레틴을 처리한 군에 비해서도 현저히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세포 내 지방 축적량을 측정한 결과 역시 대조군(control) 대비 30% 정도로 현저히 억제되었으며, 플로레틴을 처리한 경우에 비해서도 2배 이상 탁월한 지방 축적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지방 분화 촉진 인자 억제 효과]
상기 실험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지방 전구 세포를 분화시킨 후, 본 발명의 대마 추출물(CE, OT1), 복합 추출물(OT2 내지 OT6), 플로레틴 및 무처리 대조군의 6가지 실험군에 대하여, 분화가 완료된 지방 전구 세포를 각각 수확하였다.
이후, 비만 관련 유전자인 PPARγ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γ), C/EBPα(CCAAT/enhancer-binding protein α) 및 지방산 합성 효소(fatty acid synthase; FAS) 유전자 증폭을 위한 프라이머를 하기 표 2와 같이 제작하여, RT-PCR을 수행하였다. PCR은 95℃에서 1분간 변성(denaturation), 54℃에서 1분간 어닐링(annealing) 및 72℃에서 1분간 연장(extension)하는 주기(cycle)을 35회 반복 수행하였다.
GAPDH(glyceraldehyde-3-phosphate dehydrogenase)은 세포에서 필수적인 대사과정인 포도당 분해과정(glycolysis)에 관여하는 효소로, 세포 내에서 항상 발현되면서 그 발현량이 잘 변하지 않는 유전자이다. 이러한 유전자는 세포 내에서 발현량의 변화를 조사하고자 하는 대상 유전자에 대해서 좋은 세포 내 기준이 된다.
프라이머 염기서열
GAPDH-F 5'-CCC TTA TTG ACC TCA ACT ACA TGG T-3
GAPDH-R 5'-GAG GGG CCA TCC ACA GTC TTC TG-3'
PPARγ2-F 5'-GTT TTA TGC TGT TAT GGG TG-3'
PPARγ2-R 5'-GTA ATT TCT TGT GAA GTG CT-3'
C/EBPα-F 5-TTA CAA CAG GCC AGG TTT CC-3'
C/EBPα-R 5'-GGC TGG CGA CAT ACA GTA CA-3'
FAS-F 5'-TTG CTG GCA CTA CAG AAT GC-3
FAS-R 5-AAC AGC CTC AGA GCG ACA AT-3'
RT-PCR 수행 후 결과를 '이미지 제이(Image J)'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발현된 부분을 정량화하여, 도 2에 도시하였다.
하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대마 추출물(CE, OT1) 및 복합 추출물(OT2 내지 OT6)을 처리한 실험군에서는 대조군들에 비해 지방 세포 분화 촉진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PPARγ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γ), C/EBPα(CCAAT/enhancer-binding protein α) 및 지방산 합성 효소(fatty acid synthase; FAS) 유전자의 발현이 현저히 억제되었으며, 특히, 플로레틴 대비해서도 현저히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4: 고지방 식이 요법에 따른 체중 감소 효과]
고지방 식이 요법 실험군
본 발명의 대마 추출물(CE, OT1) 및 복합 추출물(OT2 내지 OT6), 플로레틴을 각각 0.5% DMSO에 용해시킨 후, 실험군의 마우스에 격일 간격으로 20 mg/kg씩 14주 동안 경구 투여하였다. 다른 하나의 마우스 실험군에는 DMSO를 같은 방법으로 투여하였다.
체중은 매일 같은 시각에 0.01 g 단위로 측정하였고, 사료의 식이량은 1주일에 1회씩 7일이 경과하는 시점에 측정하였다.
이후, 고지방 사료 식이 12주 후에 각 마우스의 지방 조직을 분리하여, 그 무게를 확인하였다.
표준 식이요법 실험군
나머지 하나의 마우스 실험군에는 상기 고지방 식이 요법과 동일한 온도 및 환경 조건에서 표준 식이 요법을 적용하여, DMSO를 같은 방법으로 투여한 후, 마찬가지로 체중을 측정하고 식이 12주 후에 각 마우스의 지방 조직을 분리하여, 음성 대조군으로 그 크기와 무게를 확인하였다.
지방 조직 분리
상기 고지방 식이 요법 실험군 및 표준 식이 요법 실험군으로부터 분리한 지방 조직은 통상적인 헤마톡실린과 에오신(Hematoxylin and Eosin, H&E) 염색 방법을 이용하여 조직검사를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지방 조직을 파라핀(paraffin)을 이용하여 포매(Embedding)하여 동결한 후, 냉동조직절편기(cryocut microtome)를 이용하여 8 um의 두께로 박절한 후, 슬라이드 글래스에 부착시켰다. 조직의 절편이 부착되어 있는 슬라이드를 크실렌(xylene)에 5분간 담지하여 파라핀을 제거하고, 에탄올의 농도를 각각 2분씩 100%-95%-85%-70%로 서서히 낮추어 수화(hydration) 시켰다.
이후, 물로 세척하여 잔류한 에탄올을 제거하고 헤마톡실린으로 6분간 염색시킨 후, 1% 염산-에탄올(HCl-EtOH)혼합 용액에 3회 담갔다가 꺼내는 과정을 반복하여 헤마톡실린이 조직에 충분히 흡수되도록 하고, 0.5% 암모니아수에 10회 담갔다가 꺼내는 과정을 반복하여 염색을 고정시켰다.
상기 헤마톡실린으로 염색된 조직 절편을 에오신으로 1분 동안 다시 염색시키고 에탄올의 농도를 각각 2분씩 70%-85%-95%-100%로 높여주어 탈수화(dehydration) 시켰다.
체중 감소 효과
상기 탈수된 조직 슬라이드를 크실렌에 5분간 담가 깨끗이 세척한 후 상온에서 완전히 말린 후, 조직 단면을 현미경으로 관찰하고 체중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도 3에 도시하였다.
하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지방 식이 요법을 적용한 마우스 실험군 중에서 DMSO 및 플로레틴을 투여한 경우에 비해, 본 발명의 대마 추출물(CE, OT1) 및 복합 추출물(OT2 내지 OT6)을 투여한 마우스 실험군에서 체중 증가율이 현저히 낮음을 확인하였다.
이로부터, 본 발명의 대마 추출물(CE, OT1) 및 복합 추출물(OT2 내지 OT6)의 투여에 의해 체중 증가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러한 체중 증가 억제 효과는 실험군 간의 사료 식이량에 변화가 없는 점으로부터, 식이량 차이에 의한 효과가 아님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5: 기호성 테스트]
본 발명의 대마 추출물(CE, OT1) 및 복합 추출물(OT2 내지 OT6)을 희석하여 차(茶)음료를 제조하였다. 상기 차(茶)음료는 10 인의 시음자가 시음하여 맛과 향을 1내지 10의 지수로 표현하였고, 그 평균값(0.5 반올림 적용)을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하기 지수는 그 숫자가 높을수록 기호도가 높은 것이다.
OT1 OT2 OT3 OT4 OT5 OT6
6.0 6.0 6.5 7.0 7.5 6.0
6.0 6.5 6.5 7.0 7.5 7.0
종합기호도(평균) 6.0 6.0 7.0 7.0 7.5 6.5
(단위: 지수)
상기 표 3을 참조하면, OT1의 경우 대마 추출물(CH)을 단독으로 사용하여 특유의 맛과 향이 기호도를 저하시켰고, OT2 내지 OT6의 혼합에 의하는 경우 대마 추출물 특유의 맛과 향이 다른 천연 추출물에 의해 중화되면서 기호도가 상승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OT3 내지 OT5에 의하는 경우, 비만 예방 및 치료 효과가 우수할 뿐 아니라, 맛과 향이 높게 평가되면서 기호도가 크게 상승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 OT3 내지 OT5에 의하는 경우, 보다 기호도가 높은 향미와 맛으로 우수한 비만 예방 및 치료 효과를 가진 기능성 식품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7)

  1. 대마(Cannabis sativ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털잎솔나물 추출물, 그늘취 추출물 및 흑종초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마 추출물은 칸나비디올(cannabidiol) 및 테르펜(terpene)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지방 분화 촉진 인자의 억제를 통해 비만을 억제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 분화 촉진 인자는 PPARγ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γ), C/EBPα(CCAAT/enhancer-binding protein α) 및 지방산 합성 효소(fatty acid synthase)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마 추출물은 물, C1 내지 C6의 저급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용 식품 조성물.
  7.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비만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0210006906A 2021-01-18 2021-01-18 대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2698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6906A KR102269820B1 (ko) 2021-01-18 2021-01-18 대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US17/460,262 US20220226407A1 (en) 2021-01-18 2021-08-29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cannabis sativa as an effective ingredient for preventing or treating of obes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6906A KR102269820B1 (ko) 2021-01-18 2021-01-18 대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9820B1 true KR102269820B1 (ko) 2021-06-28

Family

ID=76607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6906A KR102269820B1 (ko) 2021-01-18 2021-01-18 대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20226407A1 (ko)
KR (1) KR10226982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83414A1 (en) * 2010-12-20 2012-06-28 Bernard Le Foll Use of marihuana and compounds therein for treating obesity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44116A1 (en) * 2018-08-27 2020-03-05 Emerald Health Therapeutics Canada Inc. Therapeutic combinations of cannabinoids with curcumi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83414A1 (en) * 2010-12-20 2012-06-28 Bernard Le Foll Use of marihuana and compounds therein for treating obesity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Phytomedicine, 2012, 19(7), 575-582*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226407A1 (en) 2022-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85803A (zh) 用于抑制环加氧酶和/或5-脂氧化酶的组合物
KR20100122333A (ko) 콩잎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고지혈증, 동맥경화, 지방간, 당뇨 또는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092831A (ko) 호장근과 계심을 함유하는 여성갱년기 증상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100587398B1 (ko) 항지방화 및 항비만 활성을 갖는 박과 식물 추출물 또는이로부터 분리한 정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830048B1 (ko) 가자나무열매추출물 및 암라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1501233B1 (ko) 흑차 에탄올 수용액 냉침 추출물을 함유하는 체중 및 체지방 감소 또는 지질관련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식품
Wang et al. A review of the historical records, chemistry, pharmacology, pharmacokinetics and edibility of Angelica dahurica
KR102269820B1 (ko) 대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50077794A (ko)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KR101931305B1 (ko) 양하 추출물과 비타민나무잎 추출물의 복합물을 함유하는 비만 또는 비알코올성 지방간 개선용 식품 조성물 및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KR102269823B1 (ko) 대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210021333A (ko) 벌개미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0679291B1 (ko) Hgd­sj­101 생약 복합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동맥경화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070068837A (ko) 영실로부터 얻은 지방세포분화 억제용 활성 분획 조성물
KR20180041062A (ko) 갈색 지방화 유도용 조성물
KR102232867B1 (ko) 산딸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KR20150091770A (ko) 옥덩굴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2285839B1 (ko) 산딸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관신생 억제용 조성물
KR20110078237A (ko) 비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2496864B1 (ko) 갯대추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20140037513A (ko) 차전초 조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및 비만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93317B1 (ko) 비만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
KR102490206B1 (ko) 겨우살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립선 비대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61920B1 (ko) 황기 및 지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손상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952257B1 (ko) 미역취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비만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