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2453A - 스위치 장치 - Google Patents

스위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2453A
KR20060132453A KR1020060051339A KR20060051339A KR20060132453A KR 20060132453 A KR20060132453 A KR 20060132453A KR 1020060051339 A KR1020060051339 A KR 1020060051339A KR 20060051339 A KR20060051339 A KR 20060051339A KR 20060132453 A KR20060132453 A KR 200601324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on knob
case
switch
cylinde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1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62601B1 (ko
Inventor
카츠야 코야마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32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24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2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26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H01H9/04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04Cases; Covers
    • H01H21/08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04Cases; Covers
    • H01H23/06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80User interfaces
    • E05Y2400/85User input means
    • E05Y2400/852Sensors
    • E05Y2400/854Swi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80User interfaces
    • E05Y2400/85User input means
    • E05Y2400/856Actuation thereof
    • E05Y2400/858Actuation thereof by body parts, e.g. by feet
    • E05Y2400/86Actuation thereof by body parts, e.g. by feet by han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5Window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8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1/22Operating parts, e.g. handle
    • H01H2021/225Operating parts, e.g. handle with push-pull operation, e.g. which can be pivoted in both directions by pushing or pulling on the same extremity of the operating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3/00Casings
    • H01H2223/002Casings sealed
    • H01H2223/004Evacuation of penetrating liqui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00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or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covered by H01H
    • H01H2300/01Application power window

Landscapes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Tumbler Switche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Abstract

과제
케이스의 외부로부터 조작 노브의 하측을 경유하여 케이스의 내부로 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스위치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스위치(13)와, 스위치(13)가 내부에 수납된 케이스(1)와, 케이스(1)의 윗면에 일체적으로 마련되고, 상하로 개구하여 케이스(1)의 내부와 연통하는 중공의 통(7)과, 통(7)의 상부 개구(7b)를 덮도록 요동 가능하게 마련된 조작 노브(6)와, 통(7)의 하부 개구(7c)를 관통하여 케이스(1)의 내부로 늘어나고, 조작 노브(6)의 움직임을 스위치(13)에 전달하는 조작봉(12)을 구비한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케이스(1)의 윗면의 통(7)의 주위에 오목한 곳(9)을 마련하고, 오목한 곳(9)의 통(7)측에 오목한 곳(9)의 일부를 덮는 덮개(10)를 마련한다.
스위치

Description

스위치 장치{SWITCH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스위치 장치를 도시한 외관도.
도 2는 동 스위치 장치로부터 조작 노브를 떼어낸 상태를 도시한 외관도.
도 3은 동 스위치 장치에 커버를 부착한 상태를 도시한 외관도.
도 4는 동 스위치 장치에 커버를 부착한 상태에서의 주요부 단면도.
도 5는 조작 노브가 요동한 상태를 도시한 주요부 단면도.
도 6은 종래의 스위치 장치의 개략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동 스위치 장치에 커버를 부착한 상태에서의 주요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스 1e : 케이스의 윗면
6 : 조작 노브 6g : 조작 노브의 전단부
7 : 통 7b : 통의 상부 개구
7c : 통의 하부 개구 9 : 오목한 곳
10 : 덮개 10a : 덮개의 통과 반대측의 단부
12 : 조작봉 13 : 스위치
100 : 스위치 장치
기술 분야
본 발명은, 요동 가능한 조작 노브의 조작에 의해 스위치의 온/오프를 행하는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케이스의 내부에의 물의 침입을 방지하는 방수형의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경 기술
도 6은, 차량의 창 개폐 장치(파워 윈도우 장치)에 사용되는 종래의 스위치 장치(50)의 개략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51은 스위치 장치(50)의 케이스이고, 그 중부에는 후술하는 스위치나 회로 기판 등이 수납되어 있다. 56은 창 개폐 스위치의 시소형의 조작 노브로서, 차량의 창을 개폐하는 경우에 조작된다. 56a는 조작 노브(56)의 조작부, 56b는 조작부(56a)와 일체로 형성된 캡부, 56c는 캡부(56b)의 측벽에 형성된 구멍이다. 57은 케이스(51)의 윗면(51e)에 일체적으로 마련된 통, 57a은 이 통(57)의 외벽에 마련된 축이다. 조작 노브(56)의 캡부(56b)를 상방으로부터 통(57)에 씌우고, 통(57)의 축(57a)에 조작 노브(56)의 구멍(56c)을 감합(嵌合)시킴에 의해, 조작 노브(56)는 축(57a)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 가능하게 통(57)에 지지되어 있다. 54는 창 로크 스위치의 푸시 로크형의 조작 노브로서, 차량의 창이 열리지 않도록 로크하거나 또는 해당 로크를 해제하는 경우에 조작된다. 이 스위치 장치(50)는, 차량의 운전석의 도어에 마련되어 있는 암 레스트(도시 생략)에 부착되고, 조작 노브(54, 56)의 부분을 남기고, 도 7에 도시한 커버(61)로 덮인 다.
도 7은, 스위치 장치(50)에 커버(61)를 부착한 상태에서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통(筒)(57)은 상하로 개구하여 케이스(51)의 내부와 연통하는 중공(中空)의 통으로 이루어진다. 케이스(51)의 내부에는, 회로 기판(64)이 배설되어 있고, 이 회로 기판(64)에는 스위치(63)가 실장되어 있다. 이 스위치(63)는 창 개폐용의 스위치로서, 공지의 슬라이드 스위치로 구성되어 있다. 63a는 스위치(63)의 액추에이터이다. 62는 조작 노브(56)에 연결된 조작봉으로서, 통(57)의 하부 개구(57c)를 관통하여 케이스(51)의 내부로 늘어나 있다. 조작봉(62)의 하단부에는, 오목부(62a)가 형성되어 있고, 이 오목부(62a)에 스위치(63)의 액추에이터(63a)를 감합시킴에 의해, 조작 노브(56)의 움직임이 조작봉(62)을 통하여 스위치(63)에 전달되고, 조작 노브(56)의 조작 위치에 따라 스위치(63)의 내부에 마련되어 있는 접점이 전환된다. Q는 조작 노브(56)의 회전 중심으로서, 도 6에서 도시한 축(57a)이 이 위치에 상당한다. 커버(61)에는, 조작 노브(56)의 조작부(56a)를 조작할 때에 손가락을 삽입하는 개구(61a)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개구(61a)로부터 조작부(56a)가 노출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스위치 장치(50)와 같은 구조를 갖는 스위치 장치가, 하기한 특허문헌1, 특허문헌2에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3에는, 마찬가지의 스위치 장치에서, 회로 기판상의 전기 부품 단자의 솔더링 부분을 고무 접점 부재의 측벽으로 둘러쌈에 의해, 코팅을 하는 일 없이 방수 대책을 시행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1 ; 특개평8-180755호 공보
특허문헌2 ; 특개평5-314864 공보
특허문헌3 ; 특개평11-86662호 공보
상술한 스위치 장치(50)에서, 커버(61)의 개구(61a)는, 조작 노브(56)의 조작부(56a)에 손가락을 얹어 쓰러뜨리거나 일으키거나 하는 조작으로 지장이 생기지 않도록, 개구 면적이 크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닫는 것을 잊은 창으로부터 침입하는 빗물이나, 차 내에서 잘못하여 엎지른 음료 등(이하, 이들을 총칭하여 「물(水)」이라고 한다)이 개구(61a)로부터 오목부(61b)로 흘러 들어가는 일이 있다. 이 경우, 오목부(61b)로 흘러들어간 물의 양이 많아지면, 그 흘러들어간 물은, 도 7에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오목부(61b)의 저벽(61f)과 조작 노브(56)의 캡부(56b) 사이에 형성된 간극(65)을 통과하여, 조작 노브(56)의 캡부(56b)와 통(57)의 측벽(57e) 사이에 형성된 간극(66)을 상승하고, 통(57)의 상부 개구(57b)로부터 통(57)의 내부로 들어가서, 통(57)의 하부 개구(57c)로부터 케이스(51)의 내부로 침입한다.
앞에 게시한 특허문헌1, 특허문헌2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조작 노브(56)의 하측을 경유하여 침입하여 오는 물에 대한 방수 대책에 관해 전혀 개시가 없다. 또한, 특허문헌3은, 단락을 방지하기 위한 방수 대책에 관해 개시하고 있지만, 해당 문헌의 기술에서는, 고무 접점을 이용하지 않는 스위치 장치에 대해서는, 조작 노브의 하측을 경유하여 케이스 내부로 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없다.
그래서, 본 발명은, 케이스의 외부로부터 조작 노브의 하측을 경유하여 케이스의 내부로 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스위치와, 해당 스위치가 내부에 수납된 케이스와, 해당 케이스의 윗면에 마련되고, 상하로 개구하여 케이스의 내부와 연통하는 통과, 해당 통의 개구를 덮도록 요동 가능하게 마련된 조작 노브와, 해당 조작 노브로부터 통의 개구를 관통하여 케이스의 내부로 늘어나고, 조작 노브의 움직임을 스위치에 전달하는 조작봉을 구비한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케이스의 윗면의 통의 부근에 오목한 곳을 마련하고, 오목한 곳의 통측에 오목한 곳의 일부를 덮는 덮개를 마련한다.
이와 같이 하면, 물이 케이스의 외부로부터 조작 노브의 하측으로 흘러가도, 해당 물이 오목한 곳으로 들어가고, 오목한 곳으로부터 조작 노브와 통과의 간극을 향하여 상승하는 것이 덮개에 의해 저지되기 때문에, 통의 개구를 통과하여 케이스의 내부로 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는, 덮개의 통과 반대측의 단부(端部)를, 조작 노브의 단부보다 통측에 위치시킨다.
이와 같이 하면, 물이 덮개의 위를 통과하여 통측을 향하여 흘러가는 일 없고, 오목한 곳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조작 노브와 통과의 간극을 통과하여 케이스의 내부로 물이 침입하는 것을 한층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 1 내지 도 5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이들의 도면에 있어서,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다.
도 1은, 파워 윈도우 장치에 이용되는 스위치 장치(100)의 한 예를 도시한 외관도이다. 1은 스위치 장치(100)의 케이스로서, 그 내부에는 후술하는 스위치나 회로 기판 등이 수납되어 있다. 케이스(1)의 하면측은 개구하여 있고, 도시하지 않은 아래 커버를 감합(嵌合)함에 의해 막혀 있다. 케이스(1)의 앞면과 후면에는, 케이스(1)에 도 3의 커버(11)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 플랜지(8)가 마련되어 있고, 각 부착 플랜지(8)에는 구멍(8a)이 형성되어 있다.
4는 창 로크 스위치의 푸시 로크형의 조작 노브로서, 차량의 창을 개폐할 수 없도록 로크하거나 또는 해당 로크를 해제하기 위해 조작된다. 6은 창 개폐 스위치의 시소형의 조작 노브로서, 합계 2개 마련되어 있고, 차량의 창을 개폐하는 경우에 조작된다. 6a는 조작 노브(6)의 조작부, 6b는 조작부(6a)와 일체로 형성된 캡부, 6c는 캡부(6b)의 측벽에 형성된 구멍이다. 도 1에서는, 각 조작 노브(6)의 구멍(6c)은 하나밖에 나타나 있지 않지만, 실제로는, 구멍(6c)이 형성된 측벽과 반대측에 있는 측벽에도, 구멍(6c)과 같은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도 2는, 도 1에서 조작 노브(4, 6)를 떼어낸 상태를 도시한 외관도이다. 7은 케이스(1)의 윗면(1e)에 마련된 도 1의 조작 노브(6)가 장착되는 통, 7a는 각 통(7)의 외벽에 일체 형성된 축, 7b는 통(7)의 상방에 개구하는 상부 개구이다. 여기서는, 통(7)의 수평 단면(斷面)의 형상이 개략 직사각형으로 되어 있지만, 통(7)의 수평 단면의 형상은 원형이나 그 밖의 형상이라도 좋다. 도 2에서, 통(7)의 상 부 개구(7b)를 덮도록, 도 1의 조작 노브(6)의 캡부(6b)를 상방으로부터 통(7)에 씌워서, 통(7)의 축(7a)에 조작 노브(6)의 구멍(6c)을 감합시킴에 의해, 조작 노브(6)는 축(7a)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 가능하게 통(7)에 지지된다. 5는 케이스(1)의 윗면(1e)에 마련된 도 1의 조작 노브(4)가 장착되는 통이다.
9는 케이스(1)의 윗면(1e)의 통(7)의 일부(앞측)의 부근에 마련된 오목한 곳으로서, 조작 노브(6)보다 약간 넓은 폭으로 케이스(1)의 폭방향으로 늘어나고, 케이스(1)의 측면측의 단부(9e)가 개방되어 있다. 오목한 곳(9)의 통(7)측에는, 오목한 곳(9)의 일부를 덮는 차양 형상의 돌기로 이루어지는 덮개(10)가 전방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이들의 상세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스위치 장치(100)에 커버(11)를 부착한 상태를 도시한 외관도이다. 이 커버(11)는, 스위치 장치(100)를 차량의 운전석의 도어에 마련되어 있는 암 레스트(도시 생략)에 부착한 때에, 조작 노브(4, 6)를 남기고 스위치 장치(100)를 덮는 것이다. 11d는 커버(11)를 암 레스트에 부착하기 위한 훅크 편(片)이다. 커버(11)의 이면에는, 도 1의 케이스(1)가 부착 플랜지(8)에 대응하도록, 선단에 나사 구멍이 형성된 보스(도시 생략)가 마련되어 있고, 각 보스를 각 부착 플랜지(8)에 닿게 한 상태에서 나사(도시 생략)를 각 부착 플랜지(8)의 구멍(8a)을 관통시켜 각 보스의 나사 구멍에 나사 결합함에 의해, 커버(11)가 케이스(1)에 부착된다.
커버(11)의 개략 중앙에는, 조작 노브(6)의 조작부(6a)를 조작할 때에 손가락을 삽입하는 개구(11a)가 2개 형성되어 있고, 각 개구(11a)로부터 조작부(6a)가 노출되어 있다. 또한, 조작 노브(4)가 노출하는 개구(11c)도 형성되어 있다. 조작 노브(4)는, 상방으로부터 압박할 뿐 조작 가능하기 때문에, 개구(11c)의 개구 면적은 작지만, 조작 노브(6)에 관해서는, 조작부(6a)에 손가락을 얹어 쓰러뜨리거나 일으키거나 하는 조작을 행하기 때문에, 개구(11a)의 개구 면적이 크게 되어 있다. 개구(11a)의 하방에는, 조작 노브(6)나 통(7)을 수용하는 오목부(11b)가 형성되어 있다.
도 4는, 스위치 장치(100)에 커버(11)를 부착한 상태에서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통(7)은 상하로 개구하여 케이스(1)의 내부와 연통하는 중공의 통으로 이루어진다. 케이스(1)의 내부에는, 회로 기판(14)이 배설되어 있고, 이 회로 기판(14)에는 스위치(13)가 실장되어 있다. 이 스위치(13)는 창 개폐용의 스위치로서, 공지의 슬라이드 스위치로 구성되어 있다. 13a는 스위치(13)의 액추에이터이다. 12는 조작 노브(6)에 연결된 조작봉으로서, 통(7)의 하부 개구(7c)를 관통하여 케이스(1)의 내부로 늘어나 있다. 조작봉(12)의 하단부에는, 오목부(12a)가 형성되어 있고, 이 오목부(12a)에 스위치(13)의 액추에이터(13a)를 감합시킴에 의해, 조작 노브(6)의 움직임이 조작봉(12)을 통하여 스위치(13)에 전달되고, 조작 노브(6)의 조작 위치에 따라 스위치(13)의 내부에 마련되어 있는 접점이 전환된다. Q는 조작 노브(6)의 회전 중심으로서, 도 1에서 도시한 축(7a)이 이 위치에 상당한다.
오목한 곳(9)의 통(7)과 반대측의 측면(9a)은, 통(7)에 근접함에 따라 비스듬하게 하강하도록 경사하고 있고, 통(7)측의 측면(9b)은, 통(7)의 앞면(7e)과 동 일한 연직인 면 내에 있다. 오목한 곳(9)의 통(7)과 반대측의 단부(9c)는, 조작 노브(6)의 캡부(6b)의 전단부(6g) 및 해당 전단부(6g)와 간극(15)을 멀리하여 대향하는 커버(11)의 저벽(11f)의 단부(11g)보다 통(7)과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다. 덮개(10)의 통(7)과 반대측의 단부(10a)는, 커버(11)의 단부(11g) 및 조작 노브(6)의 전단부(6g)보다 통(7)측에 위치하고 있다. 즉, 간극(15)의 바로 아래에는, 오목한 곳(9)의 덮개(10)로 덮이지 않은 개구(9d) 및 사면(9a)이 위치하고 있다.
도 4는, 조작 노브(6)가 요동하지 않은 상태, 즉 조작 노브(6)가 중립 위치에 있는 상태로서, 이 상태에서는, 조작 노브(6)의 캡부(6b)의 하단부(6e)는, 커버(11)의 하단부(11e)와 덮개(10)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창을 열기 위해, 조작부(6a)를 쓰러뜨려서, 조작 노브(6)를 도 5에 1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요동시키면, 조작 노브(6)의 하단부(6e)는, 커버(11)의 하단부(11e)로부터 멀어져 가, 오목한 곳(9)으로 들어가서, 덮개(10)보다 하방에 위치한다. 이 요동시의 조작 노브(6)의 전단부(6g)의 궤적과 거의 평행하게 되도록, 오목한 곳(9)의 사면(9a)은 소정의 곡률로 커브하고 있다. 또한, 창을 닫기 위해, 조작부(6a)를 일으켜, 조작 노브(6)를 도 5에 2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요동시키면, 조작 노브(6)의 하단부(6e)는 덮개(10)로부터 멀어져서, 커버(11)의 하단부(11e)보다 상방에 위치한다. 조작 노브(6)의 전단부(6g)와 커버(11)의 단부(11g)와의 사이의 간극(15)은, 상기한 양방향으로의 요동 조작에 지장이 생기지 않는, 즉 양방향으로의 요동시에 조작 노브(6)와 커버(11)가 접하지 않는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조작 노브(6)가 도 4의 중립 위치에 있을 때, 간극(15)은 상하 방향에 걸쳐서 최소의 일정 폭으로 되고, 조작 노브(6)가 도 5에 2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시계 회전 방향으로 요동하면, 간극(15)은 상방을 향함에 따라 약간 넓어진다. 또한, 조작 노브(6)가 도 5에 1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요동하면, 커버(11)의 단부(11g)와 조작 노브(6)의 전단부(6g)가 상하로 으긋나서 대향하지 않게 되고, 간극(15)이 크게 벌어진다.
이상과 같은 스위치 장치(100)에 있어서, 닫는 것을 잊은 창으로부터 침입하는 빗물이나, 차내에서 잘못하여 엎지른 음료 등(이하, 이들을 총칭하여 「물(水)」이라고 한다)이, 커버(11)의 개구(11a)로부터 오목부(11b)로 다량 흘러들어가면, 해당 물은, 도 4에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간극(15)을 통과하여 오목부(11b)로부터 유출되어 간다. 그리고, 유출된 물의 대부분은, 굵은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바로 아래의 오목한 곳(9)의 개구(9d)로부터 내부로 들어가, 사면(9a)을 따라 흘러내려 가고, 측면(9b)에 충돌하여 상승하고, 또한 덮개(10)에 충돌하여 사면(9a)을 향하여 가는것 것처럼, 오목한 곳(9) 내에서 소용돌이 모양으로 대류(對流)한다. 즉, 오목한 곳(9)으로부터 통(7)과 조작 노브(6) 사이의 간극(16)을 향하는 물의 상승류가 덮개(10)에 의해 저지된다. 그 후, 오목한 곳(9) 내에서 대류한 물은, 덮개(10)보다 상승하는 일 없이, 오목한 곳(9)의 개방된 단부(9e)(도 1)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오목한 곳(9)의 단부(9e) 부근의 저부에 외측을 향하여 비스듬하게 하강하도록 사면을 형성하여 두면, 오목한 곳(9) 내의 물을 그 사면에 따라 스무스하게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오목부(11b)로부터 유출된 물의 극히 일부는, 가는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오목한 곳(9)과 반대측을 향하여 흘러가고, 케이스(1)의 단차벽(1f)에 충돌하여 튀어 되돌아와, 오목한 곳(9)으로 들어가서 상술한 바와 같이 외부로 배출되거나, 단차벽(1f)을 따라 측방을 향하여 흘러서, 케이스(1)의 단부로부터 외부로 배출되거나 한다.
이상에 의하면, 물이 케이스(1)의 외부로부터 간극(15)을 통과하여 조작 노브(6)의 하측에 흘러가더라도, 해당 물이 오목한 곳(9)으로 들어가고, 오목한 곳(9)으로부터 조작 노브(6)와 통(7)과의 간극(16)을 향하여 상승하는 것이 덮개(10)에 의해 저지되기 때문에, 통(7)의 상하의 개구(7b, 7c)를 통과하여 케이스(1)의 내부로 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덮개(10)의 단부(10a)를 조작 노브(6)의 전단부(6g)보다 통(7)측에 위치시키고 있음에 의해, 물이 덮개(10)의 윗면을 통과하여 통측을 향하여 흘러가는 일 없이, 오목한 곳으로 들어가고, 게다가, 오목한 곳(9)의 단부(9c)를 조작 노브(6)의 전단부(6g) 및 커버(11)의 단부(11g)보다 통(7)과 반대측에 위치시키고 있음에 의해, 물이 간극(15)으로부터 오목한 곳(9)에 다이렉트로 들어가기 때문에, 조작 노브(6)와 통(7)과의 간극(16)을 통과하여 케이스(1)의 내부로 물이 침입하는 것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상 기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케이스(1)의 윗면(1e)의 통(7)의 일부(앞측만)의 부근에 오목한 곳(9)을 마련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만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통의 앞측 이외의 부근 개소에도 오목한 곳을 마련하여도 좋고, 또한 통의 전 주위에에 걸쳐서 오목한 곳을 마련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이상 기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본 발명을 파워 윈도우 장치에 이용되는 스위치 장치(100)에 적용한 경우를 예로 들었지만, 본 발명은 문 개폐 장치에 이용되는 스위치 장치 등에도 적용할 수 있고, 또한, 차량탑재 이외의 용도에 이용되는 스위치 장치에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물이 케이스의 외부로부터 조작 노브의 하측으로 흘러가도, 오목한 곳으로 들어가서 조작 노브와 통과의 간극을 향하여 상승하는 것이 덮개에 의해 저지되기 때문에, 통의 개구를 통과하여 케이스의 내부로 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2)

  1.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가 내부에 수납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윗면에 마련되고, 상하로 개구하여 상기 케이스의 내부와 연통하는 통과,
    상기 통의 개구를 덮도록 요동 가능하게 마련된 조작 노브와,
    상기 조작 노브로부터 상기 통의 개구를 관통하여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늘어나고, 상기 조작 노브의 움직임을 상기 스위치에 전달하는 조작봉을 구비한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윗면의 상기 통의 부근에 오목한 곳을 마련하고,
    상기 오목한 곳의 상기 통측에 오목한 곳의 일부를 덮는 덮개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상기 통과 반대측의 단부를, 상기 조작 노브의 단부보다 상기 통측에 위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KR1020060051339A 2005-06-17 2006-06-08 스위치 장치 KR1007626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78482A JP4280250B2 (ja) 2005-06-17 2005-06-17 スイッチ装置
JPJP-P-2005-00178482 2005-06-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2453A true KR20060132453A (ko) 2006-12-21
KR100762601B1 KR100762601B1 (ko) 2007-10-01

Family

ID=37025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1339A KR100762601B1 (ko) 2005-06-17 2006-06-08 스위치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294800B2 (ko)
EP (1) EP1734549B1 (ko)
JP (1) JP4280250B2 (ko)
KR (1) KR100762601B1 (ko)
CN (1) CN100456402C (ko)
AT (1) ATE380388T1 (ko)
BR (1) BRPI0602296B1 (ko)
CA (1) CA2540468C (ko)
DE (1) DE602006000293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640Y1 (ko) * 2009-06-29 2011-03-14 유영석 냉동창고 스위치용 방수케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41887A1 (de) * 2003-09-09 2005-03-31 Leopold Kostal Gmbh & Co. Kg Elektrisches Schaltermodul
EP1936646B1 (en) * 2006-12-20 2010-07-2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ower window switch apparatus
CN101679540B (zh) * 2007-05-02 2012-09-05 Lg化学株式会社 聚烯烃及其制备方法
EP1988441A1 (de) * 2007-05-03 2008-11-05 Behr-Hella Thermocontrol GmbH Bedieneinheit für eine Fahrzeugkomponente, insbesondere für eine Heizungs- oder Klimaanlage eines Fahrzeuges
JP5406599B2 (ja) * 2009-06-08 2014-02-05 クラリオン株式会社 車載器の入力装置
JP5271988B2 (ja) * 2010-10-06 2013-08-21 リンナイ株式会社 ガスコンロの操作部防水構造
JP5340251B2 (ja) 2010-11-15 2013-11-1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
DE102011100675A1 (de) 2011-05-06 2012-05-31 Daimler Ag Bedienelementanordnung
TWI471084B (zh) * 2012-02-21 2015-01-21 Wistron Corp 適用於電子裝置之散熱機構及其電子裝置
JP2014157695A (ja) 2013-02-15 2014-08-28 Omron Automotive Electronics Co Ltd スイッチ装置
JP2014157694A (ja) * 2013-02-15 2014-08-28 Omron Automotive Electronics Co Ltd スイッチ装置
KR101510012B1 (ko) * 2013-12-18 2015-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파워윈도우 스위치
CN107539230B (zh) * 2016-06-23 2021-09-21 阿尔派株式会社 电子装置以及开关防水机构
JP6785396B2 (ja) 2018-03-26 2020-11-18 アルプスアルパイン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
JP7201484B2 (ja) * 2019-03-07 2023-01-10 東洋電装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
JP7369649B2 (ja) * 2020-03-18 2023-10-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
JP7369648B2 (ja) * 2020-03-18 2023-10-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79627U (ko) * 1987-05-12 1988-11-21
JPH056605U (ja) * 1991-07-12 1993-01-29 小島プレス工業株式会社 スイツチ装置
JP2671711B2 (ja) 1992-05-13 1997-10-29 オムロン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
US5414231A (en) * 1993-03-15 1995-05-09 Tokyo Denso Kabushiki Kaisha Switch device
JP2593229Y2 (ja) * 1993-04-27 1999-04-05 東洋電装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
DE4322238A1 (de) * 1993-07-03 1995-01-12 Abb Patent Gmbh Elektrisches Schaltgerät
JP3111221B2 (ja) * 1993-12-17 2000-11-20 ナイルス部品株式会社 車両用スイッチユニットの排水構造
JP3259883B2 (ja) 1994-12-20 2002-02-25 ナイルス部品株式会社 スイッチの組付け構造
JP3527000B2 (ja) 1996-01-26 2004-05-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付きスイッチボックス
JPH09265851A (ja) * 1996-03-28 1997-10-07 Niles Parts Co Ltd スイッチの防水用ケース
KR19980051619U (ko)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이물질 유입방지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JP3670120B2 (ja) 1997-09-03 2005-07-13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スイッチ装置
US6444930B1 (en) * 2001-03-07 2002-09-03 Carling Technologies Environmentally sealed rocker switch
JP3998174B2 (ja) * 2001-08-30 2007-10-24 ナイルス株式会社 スイッチ
JP4194874B2 (ja) 2003-04-10 2008-12-10 デンセイ・ラムダ株式会社 風除け部を有する屋外設置用筐体
DE10341101B4 (de) * 2003-09-05 2006-10-12 Trw Automotive Electronics & Components Gmbh & Co. Kg Kippschalt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640Y1 (ko) * 2009-06-29 2011-03-14 유영석 냉동창고 스위치용 방수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351443A (ja) 2006-12-28
CA2540468C (en) 2008-04-22
DE602006000293D1 (de) 2008-01-17
JP4280250B2 (ja) 2009-06-17
CN100456402C (zh) 2009-01-28
US20060283696A1 (en) 2006-12-21
KR100762601B1 (ko) 2007-10-01
BRPI0602296B1 (pt) 2018-04-03
CA2540468A1 (en) 2006-12-17
EP1734549B1 (en) 2007-12-05
DE602006000293T2 (de) 2008-11-27
BRPI0602296A (pt) 2007-02-21
EP1734549A1 (en) 2006-12-20
ATE380388T1 (de) 2007-12-15
US7294800B2 (en) 2007-11-13
CN1881494A (zh) 2006-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2601B1 (ko) 스위치 장치
KR100858405B1 (ko) 스위치 장치
JP4007379B2 (ja) スイッチ装置
JP4312739B2 (ja) スイッチ装置
JP2006221929A (ja) スイッチ装置
JP2006351444A (ja) スイッチ装置
ATE491109T1 (de) Hahn mit hebelverriegelung
JP3168551U (ja) 誤動作防止機能付きロッカースイッチ
KR200241106Y1 (ko) 물통뚜껑
KR100817407B1 (ko) 스위치 장치
KR20050110291A (ko) 글로브박스 잠금장치
US8796568B2 (en) Switching assembly having an interlock device for a selector switch
US7339129B2 (en) Spring to actuator bearing mechanism
US9934193B2 (en) Electronic apparatus
JPH09306297A (ja) スイッチのストッパー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