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5564A - 자동이륜차의 차체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이륜차의 차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5564A
KR20060105564A KR1020060028833A KR20060028833A KR20060105564A KR 20060105564 A KR20060105564 A KR 20060105564A KR 1020060028833 A KR1020060028833 A KR 1020060028833A KR 20060028833 A KR20060028833 A KR 20060028833A KR 20060105564 A KR20060105564 A KR 200601055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ody
grab rail
motorcycle
support
g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8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18061B1 (ko
Inventor
겐고 야노
가츠히코 시라키
가즈노리 요시무라
다카야스 스기타니
고 후쿠마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05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55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80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80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1/00Motorcycles, engine-assisted cycles or motor scooters with one or two wheels
    • B62K11/02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7/00Luggage carriers
    • B62J7/02Luggage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thereof on cycles
    • B62J7/04Luggage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thereof on cycles arranged above or behind the rear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202/00Motorised scoo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 Steering Devices For Bicycles And Motorcycles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부 그립의 지지 강성의 저하를 초래하지 않고, 측부 그립을 차체 상의 적정 높이에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는 자동 이륜차의 차체 구조를 제공한다.
개폐 가능한 시트의 하방에 배치되는 수납 박스(8)의 후부에 연료 탱크 커버(17)를 연장 설치한다. 이 연료 탱크 커버(17)에, 운전자가 손을 대어 차체를 하방측으로부터 지지하기 위한 측부 그립(23)을 일체로 형성한다. 시트의 후방측으로 뻗어 나온 그랩 레일(31)의 부착부(32) 측을 후부 프레임(7)에 체결하고, 부착부(32)의 상부에 지지 부재(35)의 일단을 체결한다. 지지 부재(35)의 타단은, 그랩 레일(31)과 후부 프레임(7)의 체결부보다 위쪽에서, 또한 차체 내측 위치에서 측부 그립(23)에 체결한다.

Description

자동이륜차의 차체 구조{BODY STRUCTURE FOR MOTORCYC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한 자동이륜차의 측면도.
도 2는 동 실시형태를 도시한 수납 박스의 평면도.
도 3은 동 실시형태를 도시한 수납 박스의 측면도.
도 4는 동 실시형태를 도시한 차체 후부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동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 4의 A-A단면에 대응하는 단면도.
도 6은 동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 4의 B-B단면에 대응하는 단면도.
도 7은 동 실시형태를 도시한 시트를 제거한 상태에서의 차체 후부의 평면도.
도 8은 동 실시형태를 도시한 차체 후부의 부분 단면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 : 후부 프레임(차체 프레임) 8 : 수납 박스
9 : 연료 탱크 10 : 시트
17 : 연료 탱크 커버(연장편) 23 : 측부 그립
31 : 그랩 레일 35 : 지지 부재(지지부)
본 발명은, 자동이륜차의 차체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탠드 세우기 등을 할 때에 차체를 하방측으로부터 지지하기 위해 운전자가 손을 대는 측부 그립을 구비한 자동이륜차의 차체 구조에 관한 것이다.
자동이륜차의 차체 구조로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과 같은 것이 안출되어 있다.
이 차체 구조는, 개폐 가능한 시트의 하방에 수납 박스가 설치되고, 이 수납 박스의 후방측 위쪽 가장자리부에 연료 탱크의 위쪽을 덮는 연료 탱크 커버가 일체로 연장 설치되고, 이 연료 탱크 커버의 옆쪽 가장자리부에 측부 그립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차체의 후부(後部) 프레임(차체 프레임)에는, 상기 연료 탱크 커버에 의해 덮이는 연료 탱크가 지지되는 동시에, 후단부 근방에 위쪽으로 돌출하는 보스가 설치되고, 이 보스에 결합된 스테이에, 상기 연료 탱크 커버의 뒤쪽 가장자리부(측부 그립의 후단)와 캐리어가 함께 조임 고정되고, 캐리어에 그랩 레일의 부착부가 결합되어 있다. 또한, 캐리어는 스테이의 하면 측에 체결되고, 연료 탱크 커버의 뒤쪽 가장자리부는 스테이의 상면 측에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이 자동이륜차의 차체 구조에서는, 스탠드 세우기 등을 할 때에 운전자가 측부 그립을 파지하여 차체를 들어올리면, 연료 탱크 커버의 결합부를 통하여 후부 프레임에 하중이 입력된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 2004-182108호 공보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차체 구조에서는, 차체의 후부 프레임에 보스를 통하 여 결합된 스테이의 하면 측에 캐리어가 결합되는 한편, 스테이의 상면 측에 측부 그립의 후단이 결합되기 때문에, 스탠드 세우기를 하는 때에 요망되는 적정 높이에 측부 그립을 설정하고자 하면, 측부 그립의 손가락을 걸기 위한 만곡부를, 스테이에 의한 측부 그립의 지지 위치에 대하여 크게 위쪽으로 오프셋 해야만 하는 경우가 있고, 그 경우에는, 측부 그립이나 그 주변부의 두께를 두껍게 하거나, 보강용 리브를 설치하는 등의 측부 그립의 지지 강성을 확보하기 위한 수단을 별도로 강구하였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측부 그립의 지지 강성을 효율적으로 확보하면서, 측부 그립을 차체 상의 적정 높이에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는 자동이륜차의 차체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체 프레임(예를 들어, 후술하는 실시형태에서의 후부 프레임(7))에 지지되는 그랩 레일(예를 들어, 후술하는 실시형태에서의 그랩 레일(31))이 운전자가 착석하는 시트(예를 들어, 후술하는 실시형태에서의 시트(10))의 후방측으로 뻗어나와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시트의 하방측부에, 운전자가 손을 대어 차체를 하방측으로부터 지지하기 위한 측부 그립(예를 들어, 후술한 실시형태에서의 측부 그립(23))이 설치된 자동이륜차의 차체 구조에서, 상기 그랩 레일의 부착부 측을 차체 프레임에 체결하는 동시에, 이 그랩 레일의 부착부 측의 상부에 상기 측부 그립을 지지하는 지지부(예를 들어, 후술하는 실시형태에서의 지지 부재(35))를 설치하고, 이 지지부에 의한 측부 그립의 지지 위 치를, 그랩 레일과 차체 프레임의 체결 부위보다 위쪽에 설정하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경우, 지지부에 의한 측부 그립의 지지 위치가, 그랩 레일과 차체 프레임의 체결 부위보다 위쪽에 설정되기 때문에, 측부 그립을 상방측으로 크게 만곡시키지 않으면서, 측부 그립을 차체 상의 적정 높이 위치에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에 의해, 상방측으로 크게 만곡시키는 경우에 필요한, 보강 리브나, 두께 증가 등의 보강을 생략할 수 있다.
상기 시트가 개폐 가능하게 되는 동시에, 그 시트의 하방에 수납 박스가 배치된 자동이륜차에서는, 수납 박스에 후방측으로 연장하는 연장편(예를 들어, 후술하는 실시형태에서의 연료 탱크 커버(17))을 설치하고, 그 연장편에 상기 측부 그립을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측부 그립이 수납 박스의 연장편에 일체로 형성되어 부품 점수가 삭감되기 때문에, 제조 코스트의 저감이 가능해지는 동시에 조립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그랩 레일과 별체의 지지 부재에 의해 구성하고, 그 지지 부재를 상기 그랩 레일에 고정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 경우, 지지 부재의 변경만으로 차체의 형상이나 사이즈의 차이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기 때문에, 설계의 자유도가 높아지는 동시에, 그랩 레일을 다른 차종에 유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그랩 레일과 차체 프레임의 체결 부위에 함께 조임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지지 부재를 그랩 레일과 차체 프레임의 체결 부위에 함께 조임 고 정함으로써 부품 점수의 삭감과 구조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기 때문에, 측부 그립 주위를 콤팩트화하고, 제조 코스트를 더 저감하는 것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 상의 측부 그립의 지지 위치는, 상기 시트의 하방으로서, 상기 그랩 레일과 차체 프레임의 체결 부위보다 차폭 방향 내측에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시트의 옆쪽으로부터 측부 그립이 뻗어나오는 것을 없애, 차체의 콤팩트화와 디자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편은 연료 탱크(예를 들어, 후술하는 실시형태에서의 연료 탱크(9))를 덮는 연료 탱크 커버이어도 되며, 이 경우에는, 상기 지지부에 의한 측부 그립의 지지 위치를, 연료 탱크보다 위쪽에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한 경우, 연료 탱크가 측부 그립이나 지지부에 의해 제한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연료 탱크의 사이즈나 형상 등의 설계의 자유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 전측이란 차량의 전진 방향을 말하는 것으로 하고, 또한, 우측 및 좌측은 차량이 전진하는 방향을 향해 우측 및 좌측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자동이륜차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 실시형태의 자동이륜차는, 소위 스쿠터 타입의 저상식 차량이고, 핸들(1)에 연결된 스티어링 칼럼(2)의 중간부가 차체 프레임의 일부를 이루는 헤드 파이프(3)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스티어링 칼럼(2)의 하단 측에 프런트 포크(4)를 통하여 전륜(W1)이 지지되어 있다. 또한, 헤드 파이프(3)에는, 차체의 후부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다운 파이프(6)가 결합되고, 그 다운 파이프(6)의 후단에, 차체의 후부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후부 프레임(7)(차체 프레임)이 결합되어 있다. 후부 프레임(7)은 차체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고, 차체 후단부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
후부 프레임(7)에는, 헬멧이나 짐 등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 박스(8)와, 연료 탱크(9)가 차체 전후로 나열되어 장착되고, 이들의 상방에, 운전자가 착석하는 더블 시트 타입의 시트(10)가 장착되어 있다. 이 시트(10)는, 전단부 측을 힌지 중심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시트(10)의 전방위치에는, 운전자가 발을 올려두기 위한 스텝 플로어(11)가 한단 내려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후부 프레임(7)에는, 엔진과 변속기를 포함하는 파워 유닛(12)이 도시하지 않는 피벗 지지축과 행거 링크(13)를 통하여 상하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이 파워 유닛(12)에 후륜(W2)이 유지 및 구동 연결되어 있다. 또, 파워 유닛(12)과 후부 프레임(7)의 사이에는 도시하지 않는 서스펜션 부재가 개재되어 있다.
또, 후부 프레임(7)의 전단부에는 메인 스탠드(14)의 피벗(15)이 설치되어, 이 메인 스탠드(14)를 세움으로써, 시트(10)의 거의 바로 아래 위치에서 차체를 직 립 자세로 지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런데, 수납 박스(8)는, 도 2,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 측이 개구한 박스 본체부(16)와, 이 박스 본체부(16)의 상부 뒤쪽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연료 탱크 커버(17)(연장편)를 구비하고, 이들이 수지 재료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박스 본체부(16)는 전부(前部) 측이 얕고, 후부 측이 점차로 깊어지도록 상면 전체가 경사지고, 개구(18)의 외주 가장자리부에는, 시트(10) 측의 시일 부재(비 도시)가 밀접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연료 탱크 커버(17)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부 프레임(7)의 후단 측의 외형을 거의 따르는 외형으로 형성되어, 도시하지 않는 시트 록 기구나 연료 탱크(9)의 상방을 연속하여 덮도록 되어 있다.
연료 탱크 커버(17)는, 도 4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부로부터 양 측부에 걸친 단 가장자리가 굴곡하여 융기벽(20)이 되고, 그 융기벽(20)에 둘러싸인 거의 중앙 위치에 연료 탱크의 급유구(21)에 면하는 개구(2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차체 좌측의 융기벽(20)의 전단 측은, 차체 폭 방향의 단면 형상이 전방 측을 향하여 완만하게 만곡 변화하고, 그 만곡 부분과 그 만곡 부분에 연속하는 차체 외측 벽이, 스탠드 세우기를 할 때에 운전자가 손끝을 대는 측부 그립(23)으로 되어 있다. 또한, 측부 그립(23)의 뒤쪽 가장자리부에는, 측부 그립(23)의 주변부를 후부 프레임(7) 측에 결합하기 위한 나사 구멍(2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4 중에서, 25는 시트 록 기구의 록 레버(비 도시)가 돌출하는 창이며, 26은 차체 번호를 확인하기 위한 확인창, 27은 이 확인창(26)을 폐쇄하는 뚜껑 부재이다.
한편, 차체 양측의 후부 프레임(7)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자를 후단부보다 전방 측에서 연결하는 크로스 파이프(28)가 용접되고, 차체 번호를 타각한 브래킷(29)이 이 크로스 파이프(28)에 장착되는 동시에, 그 브래킷(29)에 연료 탱크(9)의 전방 가장자리부가 지지되어 있다. 이 브래킷(29)의 타각은, 상기 확인창(26)을 통해 수납 박스(8)의 박스 본체(16) 측으로부터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차체 양측의 후부 프레임(7) 중의, 크로스 파이프(28)의 결합 위치보다 후방측에는 각기 브래킷(30)이 장착되고, 이들 브래킷(30)에 대략 ㄷ자 형상의 그랩 레일(31)의 양측의 부착부(32)가 결합되어 있다.
그랩 레일(31)은, 시트(10)의 후부에 착석한 동승자가 파지하는 레일이고, 양측의 부착부(32)는 연료 탱크 커버(17)의 양측의 가장자리부에 의해 덮이고, 부착부(32)로부터 연장되는 일반부는 시트(10)의 상부 후방측으로 뻗어 나와 있다. 또한, 그랩 레일(31)의 양측의 부착부(32)는, 하면 측이 편평하게 형성되어 브래킷(30)의 상면에 중합되도록 되어 있는 동시에, 차체 전후 방향으로 이격하여 한 쌍의 나사 구멍(33)이 형성되어 있다. 부착부(32)는, 이들 나사 구멍(33)을 통하여 브래킷(30)의 상면에 볼트(34)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또한, 그랩 레일(31)의 차체 좌측의 부착부(32)는, 전방 측의 나사 구멍(33)의 위쪽 가장자리에 금속제의 지지 부재(35)(지지부)가 중합되어, 그 지지 부재(35)가 그랩 레일(31)과 브래킷(30)에 상기 볼트(34)에 의해 함께 조임 고정되어 있다.
지지 부재(35)는, 도 4, 도 5,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평행한 하부벽(36)과 상부벽(37)이 한 쌍의 경사벽(38)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이 지지 부재(35)의 상부벽(37)은 하부벽(36)에 대하여 차폭 방향 내측으로 오프셋하도록 배치되고, 하부벽(36)이 상기 볼트(34)에 의해 그랩 레일(31)과 후부 프레임(7)(브래킷(30))에 함께 조임 고정된 상태로, 상부벽(37)이 수납 박스(8)의 측부 그립(23)의 뒤쪽 가장자리에 볼트(39)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 볼트(39)는 측부 그립(23)의 나사 구멍(24)에 삽입 통과되고, 이 나사 구멍(24)의 둘레 가장자리부는, 측부 그립(23) 상의 지지부(지지 부재(35))에 의한 지지 위치로 되어 있다. 이 측부 그립(23)의 지지 위치는, 볼트(34)에 의한 그랩 레일(31)과 후부 프레임(7)(브래킷(30))의 체결 부위에 대하여, 적어도 지지 부재(35)의 높이(하부벽(36)과 상부벽(37)의 사이의 거리)와 그랩 레일(31)의 부착부(32)의 두께 분만큼 상방 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수납 박스(8)의 상방에 배치되는 시트(10)는, 경질 수지로 이루어진 바닥판(40) 상에 쿠션재(41)가 장착되고, 그 쿠션재(41)의 외측이 표피재(42)에 의해 피복되어 있다. 바닥판(40)은 도시하지 않는 복수의 리브에 의해 보강되는 동시에, 시트(10)의 외주 가장자리부가, 박스 본체부(16)의 상단부와 연료 탱크 커버(17)의 외주역(外周域)을 감싸도록 만곡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바닥판(40) 중의, 연료 탱크 커버(17)의 측부 그립(23)의 상방 위치에는, 측부 그립(23)이 위쪽으로 부풀어오른 것에 대응하도록 오목 형상부(4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차체의 외측은, 도 1,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지제의 바디 커버 (44)에 의해 덮여 있으나, 이 바디 커버(44)는 시트(10)의 하방 측에서 연료 탱크 커버(17)의 외주 가장자리부의 근방까지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바디 커버(44)는, 측부 그립(23)의 하방 위치에서는, 측부 그립(23)의 만곡부 내로 손끝을 넣기 쉽도록 차체 내측 방향으로 만곡한 오목부(45)가 형성되고(도 6 참조), 그 오목부(45)가 측부 그립(23)의 만곡 형상의 연결 위치의 바로 아래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의 자동이륜차는, 이상 구성을 설명한 바와 같이 후부 프레임(7)의 상부 측에 그랩 레일(31)의 부착부(32)를 체결하는 동시에, 한 쪽의 부착부(32)의 상면 측에 지지 부재(35)를 장착하고, 그 지지 부재(35)의 차체 내측 상방으로 돌출한 단부(상부벽(37))에 측부 그립(23)의 뒤쪽 가장자리부를 체결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측부 그립(23)을 상방측으로 크게 만곡시키는 일없이, 후부 프레임(7)과 그랩 레일(31)의 체결부에 대하여 충분히 높은 적정 위치에 측부 그립(23)을 배치할 수 있다. 즉, 측부 그립(23)은, 후부 프레임(7) 상의 브래킷(30)에 대하여 그랩 레일(31)의 부착부(32)의 두께와 지지 부재(35)의 높이만큼을 가산한 높이에 설정되기 때문에, 상방측으로 만곡(팽출)하는 것을 작게 한 채로 드라이버에 의한 충분한 파지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차체 구조에 의하면, 측부 그립(23)을 콤팩트하게, 또한 대폭적인 두께 증가나 리브의 추가 등을 수반하지 않고, 적정 높이에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측부 그립(23)을 수납 박스(8)로부터 연장하는 연료 탱크 커버(17)에 일체로 형성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부품 점수의 삭감과 조립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측부 그립(23)은 수납 박스(8)와 별체 부품 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그랩 레일(31)의 한 쪽의 부착부(32)의 상면 측에 별체의 지지 부재(35)를 결합하고, 이 지지 부재(35)의 상부벽(37)에 측부 그립(23)의 뒤쪽 가장자리부를 결합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그랩 레일(31)의 부착부(32)에 일체로 지지부를 형성하고, 그 지지부에 측부 그립(23)을 결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차체의 형상이나 사이즈의 차이에 대하여 지지 부재(35)의 교환에만 의해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경우, 설계의 자유도가 높아지는 동시에, 그랩 레일(31)을 타 차종에 유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지지 부재(35)를 그랩 레일(31)과 후부 프레임(7)(브래킷(30))에 공통의 볼트(34)에 의해 함께 조임 고정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부품 점수의 삭감과 구조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경우, 지지 부재(35)의 상부벽(37)을 차폭 방향 내측에서 측부 그립(23)에 체결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시트(10)의 옆쪽으로부터 측부 그립(23)이 뻗어 나오는 것을 없앨 수 있다. 이 때문에, 차체의 콤팩트화와 디자인성 향상이 가능하다.
또한, 이 장착 구조에서는, 지지 부재(35)에 의한 측부 그립(23)의 체결 위치를 연료 탱크(9)의 상방으로 설정하기 때문에, 연료 탱크(9)가 지지 부재(35)나 측부 그립에 의해 제한되기 어려워, 그만큼, 연료 탱크(9)의 형상이나 사이즈 등의 설계의 자유도가 높아져, 연료 탱크(9)의 용량의 확보도 용이해진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이 차체 구조를 채용하는 자동이륜차는, 스쿠터 타입의 저상식 차량에 한정되지 않고, 그 타입의 차량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측부 그립을 상방측으로 크게 만곡시키지 않고서 측부 그립을 스탠드 세우기 등에 적합한 최적 높이에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측부 그립의 대폭적인 두께 증가나 리브에 의한 보강을 요하지 않고, 측부 그립을 적정 높이 위치에 높은 지지 강성으로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측부 그립의 소형화와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Claims (6)

  1. 차체 프레임에 지지되는 그랩 레일이 운전자가 착석하는 시트의 후방측으로 뻗어나오도록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시트의 하방측부에, 운전자가 손을 대어 차체를 하방 측으로부터 지지하기 위한 측부 그립이 설치된 자동이륜차의 차체 구조로서,
    상기 그랩 레일의 부착부 측을 차체 프레임에 체결하는 동시에, 이 그랩 레일의 부착부 측의 상부에 상기 측부 그립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설치하고,
    이 지지부에 의한 측부 그립의 지지 위치를, 그랩 레일과 차체 프레임의 체결 부위보다 위쪽에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이륜차의 차체 구조.
  2. 청구항 1 기재의 상기 시트가 개폐 가능하게 되는 동시에, 그 시트의 하방에 수납 박스가 배치된 자동이륜차의 차체 구조로서,
    상기 수납 박스에 후방측으로 연장되는 연장편을 설치하고, 그 연장편에 상기 측부 그립을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이륜차의 차체 구조.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를, 상기 그랩 레일과 별체의 지지 부재에 의해 구성하고, 그 지지 부재를 상기 그랩 레일에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이륜차의 차체 구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를, 상기 그랩 레일과 차체 프레임의 체결 부위에 함께 조임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이륜차의 차체 구조.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 상의 상기 측부 그립의 지지 위치를, 상기 시트의 하방으로서, 상기 그랩 레일과 차체 프레임의 체결 부위보다 차폭 방향 내측에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이륜차의 차체 구조.
  6. 청구항 2 기재의 상기 연장편이 연료 탱크를 덮는 연료 탱크 커버인 자동이륜차의 차체 구조로서,
    상기 지지부에 의한 측부 그립의 지지 위치를, 연료 탱크보다 상방에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이륜차의 차체 구조.
KR1020060028833A 2005-03-31 2006-03-30 자동이륜차의 차체 구조 KR1007180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02505A JP4476857B2 (ja) 2005-03-31 2005-03-31 自動二輪車の車体構造
JPJP-P-2005-00102505 2005-03-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5564A true KR20060105564A (ko) 2006-10-11
KR100718061B1 KR100718061B1 (ko) 2007-05-14

Family

ID=37029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8833A KR100718061B1 (ko) 2005-03-31 2006-03-30 자동이륜차의 차체 구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476857B2 (ko)
KR (1) KR100718061B1 (ko)
CN (1) CN100447036C (ko)
IT (1) ITTO20060196A1 (ko)
TW (1) TWI28611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09208B2 (ja) * 2009-08-31 2014-02-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り型車両のシート下カバー構造
JP5560059B2 (ja) * 2010-01-29 2014-07-2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り型車両
JP5872447B2 (ja) * 2012-12-13 2016-03-0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り型車両の後部構造
JP6132627B2 (ja) * 2013-03-29 2017-05-2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型車両の把持部構造
CN108263525B (zh) * 2016-12-30 2020-04-03 雅马哈发动机株式会社 骑乘型车辆
CN108688754B (zh) * 2017-03-31 2021-07-09 Tvs电机股份有限公司 一种跨步式车辆
CN109131653B (zh) * 2017-06-15 2022-05-24 Tvs电机股份有限公司 用于两轮车辆的后座把手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72430B2 (ja) 1989-03-31 1998-07-02 スズキ株式会社 スクーターのスタンドグリップ
JP3487362B2 (ja) * 1994-04-04 2004-01-1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小型車両のシート支持構造
JP3901563B2 (ja) * 2002-04-11 2007-04-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におけるシートロック装置及びグラブレールの取り付け構造
JP4238291B2 (ja) * 2002-12-04 2009-03-1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2輪車の車体構造
JP4008375B2 (ja) * 2003-03-31 2007-11-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グラブレール
JP4464647B2 (ja) * 2003-09-18 2010-05-1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キャリ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706434A (en) 2007-02-16
KR100718061B1 (ko) 2007-05-14
JP2006281920A (ja) 2006-10-19
ITTO20060196A1 (it) 2006-10-01
TWI286110B (en) 2007-09-01
JP4476857B2 (ja) 2010-06-09
CN1840410A (zh) 2006-10-04
CN100447036C (zh) 2008-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8061B1 (ko) 자동이륜차의 차체 구조
JP4549916B2 (ja) 自動二輪車の車体構造
KR100768368B1 (ko) 자동 이륜차의 차체 구조
JP2007203778A (ja) 自動二輪車のリヤクッション配置構造
US8919487B2 (en) Fuel tank support structure for a saddle-type vehicle, and body frame incorporating the fuel tank support structure
WO2011065424A1 (ja) 自動二輪車のシート支持構造
JP3569597B2 (ja) スクータ型車両における車体構造
KR20080006631A (ko) 모터사이클
KR100763869B1 (ko) 자동 이륜차의 차체 구조
JPH07156852A (ja) スクータ型車両
JP2000313391A (ja) スクータ型車両用車体フレーム
JP3676798B2 (ja) スクータ型車両の車体構造
JPH09315364A (ja) 自動二輪車の燃料タンク構造
JP2000313393A (ja) スクータ型車両用車体フレーム
JP3199759B2 (ja) スクータ型自動二輪車の車体前部構造
JP3676487B2 (ja) スクータ型車両
JP2000313387A (ja) 自動二輪車用車体フレーム
JP4452295B2 (ja) 自動二輪車
JP2004323017A5 (ko)
JP6033157B2 (ja) 鞍乗型車両のフロアステップ構造
JP2000313390A (ja) スクータ型車両におけるリヤクッションユニットの取付構造
WO2016002422A1 (ja) 自動二輪車
JP3569595B2 (ja) スクータ型車両の車体構造
JP2950847B2 (ja) 自動二輪車
JP3569596B2 (ja) スクータ型車両における車体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