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0737A -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송신전력 제어장치와 방법,이동국 및 통신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송신전력 제어장치와 방법,이동국 및 통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0737A
KR20060090737A KR1020067015443A KR20067015443A KR20060090737A KR 20060090737 A KR20060090737 A KR 20060090737A KR 1020067015443 A KR1020067015443 A KR 1020067015443A KR 20067015443 A KR20067015443 A KR 20067015443A KR 20060090737 A KR20060090737 A KR 200600907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power
power control
base station
mobile station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5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19223B1 (ko
Inventor
유키히코 오쿠무라
신수케 오가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ublication of KR20060090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07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9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92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40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during macro-diversity or soft handof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05Control of transmission; Equali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28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code-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or spread spectrum multiple access [SS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1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channel quality metrics, e.g. SIR, SNR, CIR, Eb/l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50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at the moment of starting communication in a multiple access environ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08Closed loop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0Open loop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2Outer and inner lo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국과 각 기지국간의 전파전송로에서의 전반손실을 연산하는 전반손실 연산수단과, 각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어 이동국에서 얻어지는 송신전력 제어정보와, 전반손실 연산수단에서 연산된 각 기지국과 이동국간의 전파전송로의 전반손실을 기초로 하여 이동국의 송신전력 제어에 필요한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결정하고, 수신신호 품질이 소정의 품질보다 낮다고 판정될 때에는 다른 통신장치에서의 송신전력 제어정보와 관련없이 송신전력을 해당 판정시의 송신전력값으로부터 소정의 특성에 따라 상승시키는 자율제어 단계를 포함하며,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에 대한 이동국에서의 동기가 확립된 후에 기지국으로부터의 송신전력 제어정보와 관계없이 송신전력을 초기값으로부터 소정의 특성에 따라 상승시키도록 제어한다.
이동통신, 기지국, 이동국, 송신전력 제어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송신전력 제어장치와 방법, 이동국 및 통신장치 {Transmission power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mobile station, and communication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송신전력 제어방법이 적용된 이동통신 시스템의 소프트 핸드오버 모델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송신전력 제어방법에 따라 송신전력 제어가 행해지는 이동국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동국의 송신전력 제어신호 결정부의 제 1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경판정부(硬判定部)(hard decision unit)의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연산부에서의 연산논리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이동국의 송신전력 제어신호 결정부의 제 2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이동국의 송신전력 제어신호 결정부의 제 3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이동국의 송신전력 제어신호 결정부의 제 4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9는 도 2에 도시된 이동국의 송신전력 제어신호 결정부의 제 5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송신전력 제어방법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내 보인 블록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이동국에의 송수신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송수신 장치의 SIR감시부의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이동국에서의 수신 SIR의 상태예와, 그것을 토대로 하는 송신전력 제어의 상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4는 이동국의 송수신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15는 이동국에 있어서 송신전력의 제 1 제어예를 나타낸 도면,
도 16은 송수신 장치에 있어서 폐쇄루프 제어개시 타이밍 결정부에서의 처리단계의 일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 17은 이동국에 있어서 송신전력의 제 2 제어예를 나타낸 도면,
도 18은 이동국의 송수신 장치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19는 이동국에 있어서 송신전력의 제 3 제어예를 나타낸 도면,
도 20은 종래의 송신전력 제어를 토대로 한 수신SIR의 상태예를 나타낸 도면,
도 21은 이동국과 기지국간에 동기화 하기 위한 단계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22는 종래의 송신전력 제어방법에 의한 이동국에 있어서 송신전력의 제어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송신전력 제어장치 및 방법, 이동국 및 통신장치에 관한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복수의 기지국과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이동국의 송신전력 제어를 행하는 송신전력 제어장치 및 방법과 이동국 및 통신장치, 또는 다른 통신장치와 신호의 무선 송수신을 행하며, 수신신호 품질을 토대로 결정한 상기 다른 통신장치에서의 송신전력 제어에 이용될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송신하는 통신장치에서의 송신전력을 제어하는 송신전력 제어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특개평 9-312609에는 CDMA방식의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이동국이 복수의 기지국과 무선통신을 행하여 소프트 핸드오버(soft hand over)를 수행할 때의 송신전력 제어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송신전력 제어방법에서는 소프트 핸드오버일 때, 이동국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2개의 기지국 각각은 수신신호에 대해 희망파에 대한 간섭파 및 잡음전력 비율(이하, 수신 SIR(SIR : 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power Ratio 라고 함)을 측정하고, 이 수신 SIR이 목표 SIR에 근접하도록 송신전력 제어비트(전력증가 또는 전력감소를 나타냄)를 생성한다. 그리고, 생성된 송신전력 제어비트가 각 기지국에서 이동국으로 전송된다. 이동국은 해당 2개의 기지국 각각으로부터 신호에 대한 수신 SIR을 측정하고, 대응하는 기지국으로부터의 송신전력 제어비 트의 신뢰도로서 각 기지국의 수신 SIR을 고려하면서 각 기지국으로부터의 송신전력 제어비트를 토대로 송신전력 제어(전력증가, 전력감소 또는 전력유지)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는 한쪽의 기지국의 수신 SIR이 소정의 기준치 이하일 경우에는, 그 기지국으로부터의 송신전력 제어비트는 신뢰도가 낮다고 판단되어 무시되고, 다른 한쪽의 기지국으로부터 받은 송신전력 비트를 토대로 송신전력 제어(전력증가 또는 전력감소)가 행해진다. 또한, 쌍방의 기지국의 수신 SIR이 소정의 기준치 이하일 경우에는, 쌍방의 기지국으로부터의 송신전력 제어비트의 신뢰도가 낮은 것으로 판단되어 그것들의 송신전력 제어비트와 상관없이 현재의 송신전력이 유지된다. 더욱이, 쌍방의 기지국의 수신 SIR이 소정의 기준치보다 클 경우, 송신전력이 보다 적어지도록 선택된 송신전력 제어비트(전력감소를 나타냄)를 기초로 송신전력 제어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이동국에서의 송신전력 제어에 따르면, 각 기지국에서 수신된 복수의 송신전력 제어비트 중, 보다 신뢰성이 높은 송신전력 제어비트를 토대로 송신전력이 보다 적어지도록 이동국에서의 송신전력 제어가 수행되므로, 안정적인 통신품질을 유지함과 동시에 낭비 없는 송신전력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이동국은 복수의 기지국에 대해서 상기와 같이 측정된 각 수신 SIR을 최대비율로 합성하고, 그 합성을 통해 얻어진 SIR을 토대로 송신전력 제어비트를 생성한다. 그리고, 그 생성된 송신전력 제어비트가 이동국에서 각 기지국으로 전송되고, 각 기지국은 이동국에서 수신되는 송신전력 제어비트를 토대로 송신전력 제어를 수행한다.
상술한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이동국에서의 송신전력 제어는 각 기지국에 관해서의 수신 SIR을, 대응하는 기지국으로 부터의 송신전력 제어비트의 신뢰도로서 취급한다. 그러나, 이동국에서의 신호수신 품질(상기 합성 SIR)이 어느 정도의 레벨이 되도록 각 기지국에서 송신전력 제어가 행해지면서, 송신된 신호를 토대로 해당 이동국에서 그 수신 SIR이 측정되기 때문에, 항상 이동국과 각 기지국간의 전파전송로(電派傳送路)의 상태(페이딩 상태(fading condition), 거리 등)를 충실히 반영하였다고 볼 수는 없다. 소프트 핸드오버일 때는 이동하는 이동국과 각 기지국간의 전파전송로의 상태(특히, 거리)가 시시각각 변하기 때문에, 그러한 전파 전송로의 상태를 보다 충실히 고려하면서 이동국의 송신전력 제어를 행하는 것이, 통신품질을 만족시키면서 이동국의 송신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종래의 CDMA방식의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호 신호의 무선 송수신을 행하는 각각의 이동국과 기지국은 다음과 같이 송신전력 제어를 수행한다.
이동국은 기지국으로부터의 수신신호에 대한 희망파 대 간섭파 및 잡음전력 비율(이하, 수신 SIR(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power ratio)을 수신신호 품질로서 측정하고, 이 수신 SIR과 목표 SIR과의 차이를 토대로 송신전력 제어비트(전력증가 또는 송신전력 감소를 나타냄)를 생성한다. 그리고, 이동국은 이 송신전력 제어비트(송신전력 제어정보)를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기지국은 이동국으로부터의 송신전력 제어비트를 토대로 송신전력을 제어하는 한편, 이동국으로부터의 수신신호에 대한 수신 SIR을 측정하고, 그 수신 SIR과 목표 SIR과의 차이를 토대로 송신전력 제어비트를 생성한다. 그리고, 기지국은 이 송신전력 제어비트를 이동국으로 송신한다.
이동국은 상술한 바와 같이, 기지국으로 송신해야 할 송신전력 제어비트를 생성함과 동시에, 기지국으로부터의 송신전력 제어비트를 토대로 자국(自局)의 송신전력을 제어한다.
상기와 같은 이동국 및 기지국에서의 송신전력제어에 따라, 이동국에서는 기지국에서의 수신 SIR이 목표 SIR에 근접할 수 있도록 송신전력 제어가 이루어진다. 또한, 기지국에서도 마찬가지로 이동국에서의 수신 SIR이 목표 SIR에 근접할수 있도록 송신전력 제어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송신전력 제어에 의해, 이동국과 기지국간의 전파 전송로의 상태(거리, 페이딩의 상태 등)가 변동하여도 이동국 및 기지국은 수신신호 품질이 안정적인 상태에서 낭비 없는 송신전력으로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하게 된다.
이동국 및 기지국에 있어서 상술한 송신전력 제어가 정상적으로 행해지고 있을 경우, 이동국 및 기지국에서는, 예를 들면, 도 20에서 “정상”으로 표시된 영역과 같이, 수신 SIR은 목표 SIR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비교적 좁은 범위내에서 추이하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송신전력 제어를 행하여도, 예를 들면, 도 20에서 “이상”으로 표시된 영역과 같이, 수신 SIR이 목표 SIR에 미치지 못하고 점차적으로 저하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은 다음과 같은 이유에 근거한다고 판단되어 진다.
이동국에서의 수신 SIR이 상술한 바와 같이 저하해 버리는 경우를 예를 들 면, 이동국에서 생성된 송신전력 제어비트를 토대로 하는, 기지국에서의 송신전력제어가 정상적으로 행해지고 있지 않는 경우가 있다. 그 이유의 하나로, 이동국에서 업링크(up link)로 전송되는 송신전력 제어비트의 기지국에서의 수신품질이 충분하지 않고, 이동국에서 생성된 송신전력 제어비트 값과 다른 값으로 기지국에서의 송신전력 제어가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이와 같은 상황은 이동국에서 송신전력 제어비트를 송신할 때의 송신전력 제어가, 기지국에서의 그 송신전력 제어비트의 수신 품질을 반드시 소정의 레벨로 유지할 수 있도록 행해지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즉, 상기와 같은 상황에서는 이동국에서의 수신 SIR의 저하에 기인하여, 기지국에서 송신된 송신전력 제어비트가 이동국에서 그 수신품질이 저하되고, 해당 이동국에서의 송신전력 제어가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없게 되며, 그 정상적이지 못한 송신전력 제어로 인하여 이동국에서 송신된 송신전력 제어비트가 기지국에서 그 수신품질이 저하된다. 또한, 기지국에서 송신전력 제어비트의 수신품질이 저하되어서, 기지국에서 송신전력 제어가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없게 되고, 이동국에서의 수신 SIR이 점차 저하된다. 이와 같은 상황이 계속되면 이동국과 기지국간의 통신이 끊길 우려가 있다.
종래의 CDAM방식의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기지국과 이동국간에 정보 데이터 전송을 개시하기 전에 이동국과 기지국은 공통 제어채널을 이용하여 여러 종류의 정보(사용하는 고유 확산부호에 관한 정보, 개별채널의 신호포맷에 관한 정보 등)의 송수신을 행하고, 그 후 상기 각종 정보를 토대로 결정된 개별채널을 이용하 여 소정포맷에 따른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여 양측에서의 신호동기를 수행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동기화를 위한 처리는, 예를 들면 도 21에 도시한 단계에 따라 이루어진다.
도 21에 있어서, 기지국(200)이 소정 포맷에 따른 신호의 송신(다운링크 송신)을 개시한다(①). 이 다운링크 송신되는 신호는 소정의 패턴이 되는 송신전력 제어비트(전력증가 또는 전력감소를 나타내는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포함한다. 이동국(100)은 기지국(200)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동기인입(synchronization initiation) 처리를 수행한다(②). 이 동기인입 처리에 의해 동기가 확립(다운링크 동기확립)된 것으로 판단되면(③), 이동국(100)은 수신되는 상기 소정 패턴의 송신전력 제어비트에 따라 송신전력 제어를 수행하면서 소정의 포맷에 따른 신호의 송신(업링크 송신)을 개시한다(④).
기지국(200)은 이동국(100)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동기인입 처리를 수행한다(⑤). 이 동기인입 처리에 따라, 해당 기지국(200)에서의 동기가 확립된다(업링크 동기 확립) (⑥). 기지국(200)이 신호의 송신을 개시(①)하고 나서 해당 기지국(200)에서의 업링크 동기 확립(⑥)이 이루어질 때 까지 유한의 시간을 필요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동기화하기 위한 처리 과정에서, 이동국(100)의 송신전력 제어는, 예를 들면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행해진다.
기지국(200)은, 당초 이동국(100)에서의 신호를 수신받지 않는 상태에서 다운링크 송신을 시작해야 하기 때문에(도 21의 ①참조), 예를 들면, 항상 전력증가 를 나타내는 패턴(예를 들면, 전체가 「1」인 패턴)의 송신전력 제어비트를 해당 신호와 함께 송신한다. 이동국(100)은 다운링크 동기확립(도 21에 있어서의③)의 판정을 내린 다음,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업링크 송신개시(도 21에 있어서의④)의 시각 t1부터 송신전력을 상기와 같은 송신전력 제어비트(1,1,1,1,....)에 따라서, 예를 들면, 전반 손실 등을 토대로 결정된 초기값 P0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상승시킨다.
상기 송신전력 제어비트에 따른 송신전력 제어주기는 상기 이동국(100)과 기지국(200)에서 동기 확립이 이루어질 때까지 필요로 하는 시간보다 매우 짧다. 그 때문에 상기 송신전력 제어비트에 따른 송신전력 제어에 의해 송신전력 값이 상승하여 최대값 Pmax 에 도달하면 송신전력은 그 최대값 Pmax으로 유지된다.
이렇게 하여 이동국(100)이 최대값 Pmax 가 되도록 송신전력 제어를 수행하면서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에서, 그 신호의 기지국(200)에서의 동기인입에 의해 업 링크 동기가 확립되면(시각 t2), 그 후, 기지국(200)은 이동국(100)으로부터의 신호에 대한 희망파 대 간섭파 및 잡음전력 비율(이하, 수신 SIR(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power ratio라 함)을 수신신호 품질로서 측정하고, 이 수신 SIR과 별도로 정해진 목표 SIR과의 차이를 기초로 송신전력 제어비트(전력증가 또는 전력감소를 나타냄)를 생성한다. 그리고, 기지국(200)은 이와같이 생성된 송신전력 제어비트를 이동국(100)으로 송신(다운링크 송신)한다.
상기와 같이 기지국(200)에서의 업링크 동기가 확립된 시점(시각 t2)에서는, 이동국(100)은 최대값 Pmax가 되도록 송신전력 제어를 수행하므로, 해당 이동 국(100)으로부터의 수신 SIR은 목표 SIR보다 큰 값이 되고(과잉 품질), 업링크 동기가 확립한 직후에 있어서는 통상적으로 연속적으로 전력감소를 나타내는 송신전력 제어비트(예컨데 「0」)가 생성된다.
상기와 같이 기지국(200)에서의 업링크 동기 확립이 이루어진 이후(시각 t2 이후), 이동국 (100)은 상기와 같이 하여 기지국(200)에서 생성되는 송신전력 제어비트를 토대로 송신전력 제어(폐쇄루프 제어)를 수행하면서 신호의 송신을 수행한다(업링크 송신). 그 결과, 이동국(100)의 송신전력은, 기지국(200)에서의 수신 SIR이 목표SIR로 유지될 수 있는 적정한 값으로 제어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이동국(100)은 소정의 타이밍으로 정보 데이터를 포함한 신호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은 기지국(200)과 이동국(100)간 정보 데이터의 송신을 개시하기 전에 이동국(100)에서의 송신전력 제어방법은, 이동국(100)에서 기지국(200)으로부터의 신호와 다운링크 동기가 확립된 후(도 22에 있어서의 시각 t1후)에, 이동국(100)은 기지국(200)에서의 연속적으로 전력증가를 나타내는 송신전력 제어 비트(1,1,1,1,...)를 토대로 송신전력을 급속히 상승시키도록 제어하면서 신호 송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송신전력 제어에 의해 기지국(200)에 있어서, 이동국(100)으로부터의 신호의 수신품질이 급속하게 상승한다. 이 때문에 기지국(200)에서의 다운링크 동기확립을 보다 빨리 실현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기지국(200)과 이동국(100)간의 신호 송수신에 있어서, 이동국(100)에서의 송신전력은 기지국(200)에서의 수신신호 품질(예컨데, 수신SIR)이 목표 품질(예컨데, 목표SIR)로 유지된다면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는다(도 22에 있어서 시 각 t2 이후의 송신전력값 참조). 이와 같이 기지국(200)에서의 수신신호 품질이 목표품질로 유지되도록 이동국(100)에서의 송신전력을 제어하면 충분한데도 불구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국(100)에서의 송신전력을 최대값 Pmax 로 제어하거나, 이 최대값 Pmax에 가까운 값으로 제어하면 기지국(200)과 이동국(100)사이에서 정보데이터의 송신이 개시되기 직전에 있어서, 이동국(100)의 송신전력이 일시적으로 과잉값으로 되어 업링크 회선의 쓸데없는 전력소비가 발생됨과 동시에 기지국(200)에서 무선 리소스가 낭비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제 1의 기술적 과제는 이동국이 복수의 기지국과 무선통신을 할 때, 이동국과 각 기지국간의 전파 전송로의 상태를 보다 충실히 고려하여 이동국의 송신전력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송신전력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2의 기술적 과제는 이와 같은 송신전력 제어 장치에서 송신전력 제어가 이루어지는 이동국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의 기술적 과제는, 다른 통신장치와 신호의 무선송수신을 하여 수신신호 품질을 토대로 결정된 상기 다른 통신장치에서의 송신전력 제어에 필요한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송신하는 통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신신호품질이 연속해서 소정의 품질보다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수 있도록 한 송신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제 4의 기술적 과제는 이와같은 송신전력 제어장치를 구비한 통신장치를 구비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5의 기술적 과제는 이동국과 기지국간에서 정보 데이터 의 전송이 개시되기 전에 가능한한 신속하게 동기 확립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이동국에서 낭비없는 송신전력이 되도록 제어가 가능한 송신전력 제어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 6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송신전력 제어방법에 따라 송신전력의 제어가 이루어지는 이동국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제 1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이동국과 무선접속되는 복수의 기지국 각각이 수신신호품질에 따라서 결정한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이동국으로 송신할 때, 각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어 이동국에서 얻어진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기초로, 이동국의 송신전력을 제어하는 송신전력 제어장치에 있어서, 각 기지국에서 고정적인 송신전력으로 송신되는 소정의 신호를 기초로, 이동국과 각 기지국간의 전파전송로(電波傳送路)에서의 전반손실(傳搬損失)을 연산하는 전반손실 연산수단과, 각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어 이동국에서 얻어진 송신전력제어정보와, 상기 전반손실 연산수단에 의해 연산된 각 기지국과 이동국간의 전파전송로에서의 전반손실을 기초로, 이동국의 송신전력 제어에 필요한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결정하는 송신전력 제어정보 결정수단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송신전력 제어장치에서는 이동국과 각 기지국간의 전파 전송로의 전반손실을 연산할 때 기초가 되는, 각 기지국에서 소정의 신호가 고정적으로 송신전력으로 송신되기 때문에, 이 연산된 전반손실은 대응하는 이동국과 기지국간의 전파 전송로의 상태(거리, 페이딩 상태 등)를 보다 충실히 나타낸다. 그리고, 이와 같은 각 기지국과 이동국간의 전파 전송로의 전반손실과, 각 기지국으로부터 이 동국을 통해 얻어진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기초로, 이동국의 송신전력 제어에 필요한 송신전력 제어정보가 결정된다.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결정할 때, 각 기지국과 이동국간의 전파전송로의 상태를 각 상태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하여 고려한다는 관점에서 볼 때, 본 발명은, 상기 송신전력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신전력 제어정보 결정수단은, 이동국간의 전파전송로에서의 전반손실이 보다 작은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송신전력 제어정보에 대한 가중치가 보다 커지도록, 각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어 이동국에서 얻어진 송신전력 제어정보에 대하여 가중치를 주어 가중치 보정 제어정보를 생성하는 가중치 보정수단과, 상기 가중치 보정수단에서 얻어진 각 기지국으로부터의 송신전력 제어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가중치 보정정보를 합성하여, 합성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생성하는 합성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합성수단에서 얻어진 합성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기초로, 이동국의 송신전력 제어에 필요한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각 기지국에서 송신되는 송신전력 제어정보는, 전력증가의 제어상태를 나타내는 제 1 값 및 전력감소의 제어상태를 나타내는 제 2 값을 얻을 수 있는 정보이며, 이동국이 각 기지국의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연판정(軟判定;soft decision))값으로서 취득하며, 상기 송신전력 제어정보 결정수단은, 상기 합성수단에서 얻어진 합성 송신전력 제어정보의 값을 소정의 문턱값(threshold)을 이용하여 경판정(硬判定;hard decision)하는 경판정수단을 포함하며, 그 경판정결과에 따라서 이동국의 송신전력 제어에 필요한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가능한 한 낭비없는 송신전력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는 관점에서 볼때, 본 발명은, 상기 송신전력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경판정수단에서 이용되는 상기 소정의 문턱값은, 각 기지국에서 송신되는 송신전력 제어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제 1 값과 제 2 값의 중간값에서 소정량 만큼 제 1 값에 근접한 값으로 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송신전력 제어장치는 상기 소정의 문턱값이 소정량 만큼 전력증가의 제어상태를 나타내는 제 1 값에 근접한 값으로 되었기 때문에 합성 송신전력 제어정보의 값은 이 문턱값을 이용한 경판정에 따라 전력증가의 제어상태가 아니라고 판정되기 쉽다.
그 결과 낮은 전력에서도 송신전력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각 기지국에서 송신되는 송신전력 제어정보는, 전력증가의 제어상태를 나타내는 제 1 값 및 전력감소의 제어상태를 나타내는 제 2 값을 얻을 수 있는 정보이며, 이동국은 각 기지국의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연판정값으로 취득하는 경우, 보다 세밀한 송신전력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는 관점에서 볼때, 상기 송신전력 제어 정보 결정수단은, 상기 합성수단에서 얻어진 합성 송신전력 제어정보의 값을 제 1 문턱값을 이용하여 경판정하는 제 1 경판정수단과, 상기 합성 송신전력 제어정보의 값을, 상기 제 1 문턱값과 상이한 제 2 문턱값을 이용하여 경판정하는 제 2경판정수단과, 상기 제 1 경판정수단의 판정결과 및 상기 제 2 경판정수단의 판정결과에 따라서 전력증가의 제어상태를 나타내는 제 1 제어정보, 전력감소의 제어상태를 나 타내는 제 2 제어정보 및 전력유지의 제어상태를 나타내는 제 3 제어정보 중 어느 하나를 생성하는 제어정보 생성수단을 포함하며,상기 제어정보 생성수단에 의해 생성된 제어정보를 이동국의 송신전력 제어에 필요한 송신전력 제어정보로서 결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송신전력 제어장치에서는 합성 송신전력 제어정보 값이 제 1 및 제 2 문턱값보다 클 경우, 제 1 및 제 2 문턱값보다 작을 경우, 제 1 문턱값과 제 2 문턱값 사이의 값이 될 경우가 있다. 이 경우를 제 1 제어상태, 제 2 제어상태 및 제 3 제어상태에 대응시킬 수 있다.
이동국간의 전파송신로의 상태가 양호하지 않은 기지국으로부터의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이동국의 송신전력 제어에 필요한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결정할 때에 고려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본 발명은, 상기 송신전력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신전력 제어정보 결정수단은, 각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어 이동국에서 얻어진 송신전력 제어정보로부터, 상기 전반손실 연산수단에 의해 연산된 이동국간의 전파전송로에서의 전반손실이 최소가 되는 기지국으로부터의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선택하는 선택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선택수단에서 선택된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기초로, 이동국의 송신전력 제어에 필요한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낭비없는 송신전력 제어가 가능하다 라는 관점에서 본 발명은, 상기 송신전력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신전력 제어정보 결정수단은, 이동국간의 전파전송로에서의 전반손실이 보다 작은 기지국으로부터터 전송된 송신전력 제어정보 에 대한 가중치가 보다 커지도록, 각 지지국으로부터 전송되어 이동국에서 얻어진 송신전력 제어정보에 대하여 가중치를 주어 가중치 보정 제어정보를 생성하는 가중치 보정수단과, 상기 가중치 보정수단에서 얻어진 각 기지국으로부터의 송신전력 제어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가중치 보정 제어정보 중에서 전력감소의 제어상태를 나타내는 송신전력 제어정보에 근접한 보정정보가 우선시되도록 결정된 가중치 보정 제어정보를 기초로 제어정보를 생성하는 제어정보 생성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정보 생성수단에서 생성된 제어정보를 이동국의 송신전력제어에 필요한 송신전력 제어정보로서 결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기지국에서 송신되는 송신전력 제어정보는, 전력증가의 제어상태를 나타내는 제 1 값 및 전력감소의 제어상태를 나타내는 제 2 값을 얻을 수 있는 정보이며, 이동국이 각 기지국의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연판정값으로서 취득하는 경우, 상기 제어정보 생성수단은, 상기 가중치 보정수단에서 얻어진 각 기지국으로부터의 송신전력 제어정보에 대응한 상기 가중치 보정 제어정보값을 소정의 문턱값을 이용하여 경판정하는 경판정수단과, 각 기지국의 송신전력 제어정보에 대응한 경판정 결과의 어느 하나를 전력감소의 제어상태를 나타내는 경판정 결과가 우선시되도록 선택하는 선택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선택수단에서 선택된 경판정결과를 기초로 제어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국간의 전파전송로가 양호한 기지국의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우선으로 고려함과 동시에, 낭비없는 송신전력을 가능하게 한다라는 관점에서, 본 발명은, 상기 송신전력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신전력 제어 결정수단은, 상기 전반손실 연산수단에서 연산된 각 전반손실이 소정의 전반손실 보다 작은지를 판정하는 전반손실 판정수단과, 상기 전반손실 판정수단으로 상기 소정의 전반손실보다 작다고 판정된 전반손실이 한개인 경우에 그와같이 판정된 전반손실에 대응한 기지국으로부터의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근거로 제어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전반손실 판정수단에서 상기 소정의 전반손실보다 작다고 판정된 전반손실이 복수인 경우에 그 복수의 전반손실에 대응한 각 기지국으로부터의 송신전력 제어 정보중에서 전력감소의 제어상태를 나타내는 송신전력 제어정보에 근접한 송신전력 제어정보가 우선시되도록 결정된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기초로 제어정보를 생성하고, 나아가, 상기 전반손실 판정수단에서 전체 전반손실이 상기 소정의 전반손실보다 작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각 기지국으로부터의 송신전력 제어정보에서 전력감소의 제어상태를 나타내는 송신전력 제어정보에 근접한 송신전력 제어정보가 우선시되도록 결정된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기초로, 제어정보를 생성하는 제어정보 생성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정보 생성수단에서 생성된 제어정보를 이동국의 송신전력 제어에 필요한 송신전력 제어정보로서 결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이동국과 무선접속되는 복수의 기지국 각각이 수신신호품질에 따라서 결정된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이동국으로 송신할 때, 각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어 이동국에서 얻어지는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기초로, 이동국의 송신전력을 제어하는 송신전력 제어장치에 있어서, 각 기지국에서 고정적인 송신전력으로 송신되는 소정의 신호를 기초로, 이동국과 각 기지국간의 전파전송로에서의 전반손실을 연산하는 전반손실 연산수단 과, 이동국의 페이딩의 상태를 측정하는 페이딩 측정수단과, 상기 페이딩 측정수단에서 측정된 이동국의 페이딩 상태가 소정의 상태보다 양호한지를 판정하는 페이딩 상태 판정수단과, 상기 페이딩 상태 판정수단에서 이동국의 페이딩 상태가 소정의 상태보다 양호하다고 판정된 경우, 제 1 송신전력 제어정보 결정수단을 유효하게 하며, 상기 페이딩 상태 판정수단에서 이동국의 페이딩 상태가 소정의 상태보다 양호하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제 2 송신전력 제어정보 결정수단을 유효하게 하는 절환(切換) 제어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송신전력 제어정보 결정수단은, 이동국간의 전파전송로의 전반손실이 보다 작은 기지국으로부터의 송신전력 제어정보에 대하여 가중치가 보다 커지도록, 각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어 이동국에서 얻어지는 송신전력 제어정보에 대하여 가중치를 주어 가중치 보정 제어정보를 생성하는 가중치 보정수단과, 상기 가중치 보정수단에서 얻어진 각 기지국으로부터의 송신전력 제어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가중치 보정 제어정보를 합성하여, 합성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생성하는 합성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합성수단에서 얻어진 합성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기초로, 이동국의 송신전력 제어에 필요한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결정하도록 하고, 상기 제 2 송신전력 제어정보 결정수단은, 각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어 이동국에서 얻어지는 송신전력 제어정보에서, 상기 전반손실 연산수단에서 연산된 이동국간의 전파전송로의 전반손실이 최소가 되는 기지국으로부터의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선택하는 선택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선택수단에서 선택된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기초로 이동국의 송신전력 제어에 필요한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송신전력 제어장치에서는 이동국의 페이딩 상태가 소정의 상태보다 양호한 경우, 각 기지국과 이동국간의 전파전송로의 상태를 충실히 나타내는 전반손실과, 각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어 이동국에서 얻어진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기초로 이동국의 송신전력 제어에 필요한 송신전력 제어정보가 결정된다. 한편, 이동국의 페이딩 상태가 소정의 상태보다 양호하지 않은 경우, 이동국간의 전파전송로에서의 전반손실이 최소가 되는 기지국의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근거로 이동국의 송신전력 제어에 필요한 송신전력 제어정보가 결정되어지기 때문에, 이동국간의 전파전송로의 상태가 양호하지 않은 기지국의 송신전력 제어정보는 이동국의 송신전력 제어에 필요한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결정할 때 고려되지 않게 된다.
나아가, 상기 제 1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이동국과 무선접속되는 복수의 기지국 각각이 수신신호 품질에 따라서 결정한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이동국으로 송신할 때, 각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어 이동국에서 얻어지는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기초로, 이동국의 송신전력을 제어하는 송신전력 제어장치에 있어서, 각 기지국에서 고정적인 송신전력으로 송신되는 소정의 신호를 기초로, 이동국이 무선접속될 기지국을 결정하기 위해 이용되는 이동국과 각 기지국간의 전송로 품질을 측정하는 전송로 품질 측정수단과, 각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어 이동국에서 얻어지는 송신전력 제어정보와 상기 전송로 품질 측정수단에서 얻어지는 이동국과 각 기지국간의 전송로 품질에 따라서, 이동국의 송신전력 제어에 필요한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결정하는 송신전력 제어정보 결정수단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송신전력 제어장치에서는 각 기지국과 이동국간의 전파전송로의 상태를 보다 충실히 나타내는 전송로 품질과, 각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어 이동국에서 얻어지는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근거로 이동국의 송신전력 제어에 필요한 송신전력 제어정보가 결정된다. 나아가,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국과 각 기지국간의 전송로 품질은 원래 이동국이 무선접속 될 기지국을 결정하기 위해 이용되는 것으로, 해당 송신전력 제어장치의 구성을 간략화 하는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각 기지국에서 고정적인 송신전력으로 송신되는 소정의 신호를 토대로 측정되는 전송로 품질은 이동국과 각 기지국간의 거리, 페이딩 상태 등을 나타낼 수 있으며, 이동국이 무선접속될 기지국을 결정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전반손실, 이동국에서의 상기 소정신호의 수신 레벨 및 이 소정 신호에 따라 측정되는 희망파 대 간섭파 및 잡음전력 비율(수신 SIR(SIR: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의 어느것이라도 상관없다.
또한, 상기 제 1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이동국과 무선접속되는 복수의 기지국 각각이 수신신호 품질에 따라서 결정한 전력증가의 제어상태를 나타내는 제 1 값 및 전력감소의 제어상태를 나타내는 제 2 값을 얻을 수 있는 정보인,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이동국으로 송신할 때에, 각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어 이동국에서 얻어지는 송신전력 제어정보의 연판정값에 따라서 이동국의 송신전력을 제어하는 송신전력 제어장치에 있어서, 각 기지국에서 고정적인 송신전력으로 송신되는 소정의 신호를 기초로, 이동국과 각 기지국간의 전송로 품질을 측정하는 전송로 품질 측정수단과, 각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어 이동국에서 얻어지는 송신전력 제어정보의 연판정값과, 상기 전송로 품질 측정수단에서 측정된 각 기지국과 이동국간의 전송로 품질에 따라서, 이동국의 송신전력 제어에 필요한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결정하는 송신전력 제어정보 결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송신전력 제어수단은 이동국간의 전송로 품질이 보다 양호한 기지국의 송신전력 제어정보에 대한 가중치가 커지도록, 각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어 이동국에서 얻어지는 송신전력 제어정보의 연판정값에 대해 가중치를 주어 가중치 보정 제어정보를 생성하는 가중치 보정수단과, 상기 가중치 보정수단에서 얻어진 각 기지국의 송신전력 제어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가중치 보정 제어정보를 합성해서 합성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생성하는 합성수단과, 상기 합성수단에서 생성된 합성 송신전력 제어정보의 값을, 각 기지국에서 송신되는 송신전력 제어정보가 얻을 수 있는 제 1 값과 제 2 값의 중간 값보다 소정량 만큼 제 1 값에 근접한 값으로 되는 문턱값을 이용하여 경판정을 수행하는 경판정수단을 포함하며, 그 경판정결과에 따라서 이동국의 송신전력 제어에 필요한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각 기지국에서 고정적인 송신전력으로 송신되는 소정의 신호를 기초로 측정되는 이동국과 각 기지국간의 전송로 품질은 이동국과 각 기지국간의 거리, 페이딩 상태 등을 나타낼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지 않고, 예를 들면 전반손실, 이동국에서의 상기 소정신호의 수신 레벨 및 이 소정 신호에 따라 측정되는 희망파 대 간섭파 및 잡음전력 비율(수신 SIR(SIR: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의 어느것이라도 상관없다.
또한, 상기 제 1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이 동국과 무선접속되는 복수의 기지국 각각이 수신신호 품질에 따라서 결정한 전력증가 제어상태를 나타내는 제 1 값 및 전력감소의 제어상태를 나타내는 제 2 값을 얻을 수 있는 정보인,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이동국으로 송신할 때에, 각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어 이동국에서 얻어지는 송신전력 제어정보의 연판정값에 따라서 이동국의 송신전력을 제어하는 송신전력 제어장치에 있어서,각 기지국에서 고정적인 송신전력으로 송신되는 소정의 신호를 기초로, 이동국과 각 기지국간의 전송로 품질을 측정하는 전송로 품질 측정수단과, 각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어 이동국에서 얻어지는 각 기지국의 송신전력 제어정보의 연판정값과, 상기 전송로 품질 측정수단에서 측정된 각 기지국과 이동국간의 전송로 품질에 따라서, 이동국의 송신전력 제어에 필요한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결정하는 송신전력 제어정보 결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송신전력 제어수단은, 이동국간의 전송로 품질이 보다 양호한 기지국의 송신전력 제어정보에 대한 가중치가 커지도록, 각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어 이동국에서 얻어지는 송신전력 제어정보의 연판정값에 대해 가중치를 주어 가중치 보정 제어정보를 생성하는 가중치 보정수단과, 상기 가중치 보정수단에서 얻어진 각 기지국의 송신전력 제어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가중치보정 제어정보를 합성해서 합성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생성하는 합성수단과, 상기 합성수단에서 생성된 합성 송신전력 제어정보의 값을, 제 1 문턱값을 이용하여 경판정하는 제 1 경판정수단과, 상기 합성 송신전력 제어정보 값을, 상기 제 1 의 문턱값과 상이한 제 2 문턱값을 이용하여 경판정하는 제 2 경판정수단과, 상기 제 1 경판정수단의 판정결과 및 제 2 경판정수단의 판정결과에 따라서, 전력증가의 제어상태를 나타내는 제 1 제어정보, 전력감소의 제어상태를 나타내는 제 2 제어정보, 및 전력유지의 제어상태를 나타내는 제 3 제어정보 중 어느 하나를 생성하는 제어정보 생성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정보 생성수단에서 생성된 제어정보를 이동국의 송신전력 제어에 필요한 송신전력 제어정보로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 1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이동국과 무선접속되는 복수의 기지국 각각이 수신신호품질에 따라서 결정한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이동국으로 송신할 때, 각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어 이동국에서 얻어지는 송신전력 제어정보에 따라서 이동국의 송신전력을 제어하는 송신전력 제어장치에 있어서, 각 기지국에서 고정적인 송신전력으로 송신되는 소정의 신호를 기초로, 이동국과 각 기지국간의 전송로 품질을 측정하는 전송로 품질 측정수단과, 이동국의 페이딩 상태를 측정하는 페이딩 측정수단과, 상기 페이딩 측정수단에서 측정된 이동국의 페이딩 상태가 소정의 상태보다 양호한지를 판정하는 페이딩 상태 판정수단과, 상기 페이딩 상태 판정수단에 의하여 이동국의 페이딩 상태가 소정의 상태보다 양호한 것으로 판정된 경우, 제 1 송신전력 제어정보 결정수단을 유효하게 하며, 상기 페이딩 상태 판정수단에 의하여 이동국의 페이딩 상태가 소정의 상태보다 양호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 제 2 송신전력 제어정보 결정수단을 유효하게 하는 절환 제어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송신전력 제어정보 결정수단은, 이동국간의 전송로 품질이 보다 양호한 기지국으로부터의 송신전력 제어정보에 대한 가중치가 보다 커지도록, 각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어 이동국에서 얻어지는 송신전력 제어정보에 대한 가중치를 부여하여 가중치 보정 제어정보를 생성하는 가 중치 보정수단과, 상기 가중치 보정수단에서 얻어진 각 기지국으로부터의 송신전력 제어정보에 대응한 상기 가중치 보정 제어정보를 합성하여 합성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생성하는 합성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합성수단에서 얻어진 합성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기초로, 이동국의 송신전력 제어에 필요한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결정하도록 하며, 상기 제 2 송신전력 제어정보 결정수단은, 각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어 이동국에서 얻어지는 송신전력 제어정보로부터, 상기 전송로 품질 측정수단에서 측정된 이동국간의 전송로 품질이 최상이 되는 기지국의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선택하는 선택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선택수단에 의하여 선택된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기초로 이동국에서의 송신전력 제어에 필요한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2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복수의 기지국과 무선접속될 수 있는 이동국은 복수의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합성하는 신호합성수단과, 상기 신호 합성수단에서 얻어진 합성신호로부터 다운링크 전송정보를 복원하는 정보복원수단과, 상기 신호합성수단에서 얻어진 합성신호의 수신품질을 연산하는 수신품질 연산수단과, 상기 수신품질 연산수단에서 연산된 수신품질을 기초로, 각 기지국의 송신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생성하는 송신전력 제어정보 생성수단과, 상기 송신전력 제어정보 생성수단에서 생성된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각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송신전력 제어정보 송신수단과, 상술한 송신전력 제어장치의 어느하나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3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 1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다른 통신장치와 신호의 무선송수신을 수행하고, 수신신호품질에 따라서 결정 된 상기 다른 통신장치에서의 송신전력 제어에 필요한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송신하는, 통신장치의 송신전력을, 상기 다른 통신장치로부터 제공된 소정의 정보를 기초로 제어하는 송신전력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신신호 품질이 소정의 품질보다 저하되었는지를 판정하는 품질 판정단계와, 상기 품질 판정단계에서 상기 수신신호 품질이 소정의 품질보다 저하된 것으로 판정된 경우, 송신전력을 상기 다른 통신장치로부터 제공된 소정의 정보에 관계없이 그 판정시의 송신전력값에서 소정 특성에 따라서 상승시키는 자율 제어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송신전력 제어방법에서는 통신장치의 수신신호 품질이 소정의 품질보다 저하되면, 해당 통신장치의 송신전력은 상기 다른 통신장치의 소정의 정보에 관계없이 소정의 특성에 따라서 자율적으로 상승된다.
해당 통신장치의 송신전력이 상승됨에 따라 수신신호 품질에 따라 결정된 다른 통신장치에서의 송신전력 제어에 필요한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송신할 때, 해당 송신전력 제어정보의 상기 다른 통신장치에서의 수신품질이 개선된다. 그 결과, 상기 다른 통신장치는 그 품질이 개선된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기초로 송신전력 제어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수신신호품질은 다른 통신장치에서 송신제어가 수행되면서 송신되는 신호의 해당 통신장치에서의 수신품질을 나타내는 것이라면, 어느 정보라도 나타낼수가 있고, 예컨데 상기 신호의 수신신호 레벨이라도 그 신호와 간섭파로서 작용하는 다른 신호나 잡음과의 비율을 나타내는 SIR(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power ratio)이어도 상관없다.
또한, 상기 송신전력을 상승시키기 위한 소정의 특성은 상기 판정시의 송신전력값보다 저하되지 않으면, 어떠한 특성을 가져도 상관이 없을뿐 아니라 어떠한 경사를 가지고 서서히 상승하는 특성이라도 상관없다. 나아가, 서서히 상승시키는 과정에서 일시적으로 전력값이 저하되어도 저하된 후의 전력값이 상기 판정시의 전력값보다 작게되지 않으면 상관없다.
해당 통신장치의 송신전력 제어에 이용되는 상기 다른 통신장치의 소정의 정보는 상기 다른 통신장치에서 해당 통신장치의 송신전력 제어에 이용되는 정보로 전송되는 정보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상기 다른 통신장치에서 측정되는 해당 통신장치의 신호의 수신품질을 기초로 작성한 송신전력 제어정보이어도, 상기 다른 통신장치에 있어서 측정되는 해당 통신장치의 신호의 수신품질에 관련한 정보이어도 나아가 다른 정보이어도 상관없다.
상기 통신장치는, 수신신호 품질값이 목표 수신품질값에 근접하도록 결정된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다른 통신장치로 송신하는 경우, 쉽게 수신품질의 상태를 판정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제 2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품질 판정단계는 상기 수신신호 품질값이 제 1 문턱값 보다 저하되었는지를 판정하는 제 1 문턱값 판정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문턱값 판정단계에서 상기 수신신호 품질값이 상기 제 1 문턱값보다 저하되어 있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 상기 수신신호 품질이 소정의 품질보다 저하된 것으로 판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같은 관점에서 볼때 제 3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품질판정단계는 상기 목표수신 품질값에서 상기 수신품질값을 감산하여 차이값을 연산하는 차이값 연산단계와, 상기 차이값 연산단계에서 연산된 상기 차이값이 제 2 문턱값 이상이 되는지를 판정하는 제 2 문턱값 판정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문턱값 판정 단계에서 상기 차이값이 상기 제 2 문턱값 이상이 된다고 판정되는 경우, 상기 수신신호품질이 소정의 품질보다 저하된 것으로 판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장치는, 수신신호 품질값이 소정의 패러미터에 따라서 제어되는 목표수신 품질값에 근접하도록 결정된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다른 통신장치로 송신하는 경우,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볼때 제 4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품질 판정단계는, 상기 수신신호 품질값이 제 1 문턱값 보다 저하되었는지를 판정하는 제 1 문턱값 판정단계와, 상기 목표수신 품질값에서 상기 수신품질값을 감산하여 차이값을 연산하는 차이값 연산단계와, 상기 차이값 연산단계에서 연산된 상기 차이값이 제 2 문턱값 이상이 되는지를 판정하는 제 2 문턱값 판정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문턱값 판정단계에서 상기 수신신호 품질값이 상기 제 1 문턱값보다 저하된 것으로 판정된 경우, 또는, 상기 제 2 문턱값 판정단계에서 상기 차이값이 상기 제 2 문턱값 이상으로 판정된 경우, 상기 수신신호품질이 소정의 품질보다 저하된 것으로 판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목표수신 품질값은 제어의 기초가 되는 소정의 패러미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목표 수신품질값이 고정값이 아닌, 그 제어에 따라 변화하는 경우, 상기 구성은 유효하게 된다. 상기 소정의 패러미터는, 예를 들면 통신장치에서 얻어지는 수신신호에 포함된 전송정보의 오류율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자율제어단계는, 예를 들면 제 5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소정의 특성에 따라서 송신전력을 상승시키는 자율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품질판정단계에서 상기 수신신호품질이 소정의 품질보다 저하된 것으로 판정된 경우, 상기 다른 통신장치로부터의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기초로 한 송신전력제어로부터, 상기 자율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기초로 한 송신전력 제어로, 절환하는 제어 절환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수신신호 품질이 개선되지 않은채 쓸데없는 송신전력 상승제어가 행해지는것을 방지한다는 관점에서, 본 발명은 제 6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각 송신전력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자율제어단계는, 상기 소정의 특성에 따라서 송신전력을 상승시키는 과정에서 그 송신전력의 상승량이 소정량으로 도달되었는지를 판정하는 판정단계와, 상기 판정단계에서 그 송신전력의 상승량이 소정량으로 도달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상기 소정의 특성에 따라서 송신전력을 상승시키는 것을 정지시키는 자율제어 정지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 3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 7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다른 통신장치와 신호의 무선송수신을 수행하고, 수신신호 품질에 따라서 결정된 상기 다른 통신장치에서의 송신전력 제어에 필요한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송신하는, 통신장치의 송신전력을, 상기 다른 통신장치로부터 제공된 소정 정보를 기초로 제어하는 송신전력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신신호 품질이 소정의 품질보다 저하되었는지를 판정하는 품질 판정수단과, 상기 품질판정수단에서 상기 수신신호품질이 소정의 품질보다 저하된 것으로 판정된 경우, 송신전력을 상기 다른 통신장치로부터 제공된 소정의 정보에 관계없이 그 판정시의 송신전력값에서 소정 특성에 따 라서 상승시키는 자율 제어수단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 4의 과제는 제 13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다른 통신장치와 신호의 무선송수신을 수행하고, 수신신호품질에 따라서 결정된 상기 다른 통신장치에서의 송신전력 제어에 필요한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송신하는, 송신전력 제어정보 송신수단과, 상기 다른 통신장치의 소정의 정보를 근거로 송신전력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제 7항 내지 제 10항의 어느 하나의 항의 송신전력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통신장치에서 해결된다.
나아가, 상기 제 5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 15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과 이동국간의 정보 데이터의 전송이 개시되기 전에, 기지국이 이동국의 송신전력에 필요한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송신함과 동시에, 기지국과 이동국간에 신호를 송수신하여 동기화를 위한 처리가 수행될 때 이동국에서의 송신전력을 제어하는, 송신전력 제어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에 대한 이동국에서의 동기가 확립된 후에, 기지국으로부터의 송신전력 제어정보와 관계없이, 송신전력을 초기값에서 소정의 특성에 따라 상승시키도록 제어하는 자율 제어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송신전력 제어방법은 이동국과 기지국간의 정보 데이터의 전송이 개시되기 전, 기지국과 이동국간에서 신호를 송수신하여 동기화를 위한 처리가 행해질 때, 이동국은 기지국의 송신전력 제어정보와 관계없이, 송신전력이 초기값에서 소정의 특성에 따라 상승하도록 제어된다.
상기 소정의 특성은 기지국에서의 송신전력 제어정보가 급격하게 송신전력을 상승시키는 특성을 갖는다. 그 송신전력 제어정보와 관계없이 동기 확립이 보다 초기에 수행된다는 점과, 낭비없는 송신전력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정할 수 있다. 이 소정의 특성은 상기 초기값보다 송신전력이 저하되지 않는다면 상기의 관점에 따라 임의로 정할 수 있으며, 서서히 상승하는 특성이어도 어떠한 값까지 스탭 상태로 상승시킨 후, 그 값을 유지하도록 하는 특성이어도 무관한다.
특히, 본 발명은 제 16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송신전력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자율 제어단계는 상기 기지국의 송신전력 제어정보에 기초한 송신전력 제어에 의한 송신전력의 변화보다 완만하게 변화하는 특성에 따라서 송신전력을 상승시키도록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자율제어 단계에 따른 송신전력 제어의 정지시기에서 송신전력 제어의 절환을 매끄럽게 행하게 한다는 관점에서, 본 발명은 제 17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송신전력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자율 제어단계에 의한 송신전력 제어가 개시된 후에, 상기 자율제어단계에 의한 송신전력의 제어를 정지시키기 위한 소정의 조건이 만족되었는지를 판정하는 자율제어 정지조건 판정단계와, 상기 자율제어 정지조건 판정단계에 의해 상기 소정의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정된 경우, 상기 자율 제어단계에 의한 송신전력 제어로부터,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송신전력 제어정보에 기초한 송신전력의 제어로, 절환하는 제어 절환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송신전력 제어방법은 상기 소정의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판정될때, 자율 제어단계에 따른 송신전력의 제어에서 기지국의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토 대로 송신전력의 제어로 절환한다.
*상기 자율 제어단계에 따른 송신전력의 제어를 정지시키는 소정의 조건은 기지국의 정보와 관계없이 이동국에서 판정할 수 있는 조건이어도, 기지국의 정보를 토대로 이동국에서 판정할 수 있는 조건이어도, 무방하다.
전자의 경우, 보다 용이하게 정지 시기를 판정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본 발명은 제 18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송신전력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자율제어 정지조건 판정단계는, 상기 자율 제어단계에 의한 송신전력의 제어가 개시된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였는지를 판정하고, 상기 자율 제어단계에 의한 송신전력의 제어가 개시된 후 상기 소정의 시간이 경과된 것으로 판정한 것을 상기 소정의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후자의 경우, 본 발명은 제 19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송신전력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해당 기지국에서의 동기가 확립되기 전에는 소정의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이동국으로부터의 신호를 기초로 해당 기지국에서의 동기가 확립된 후에는 이동국에서 송신되는 신호의 수신품질에 따라서 결정된 폐쇄 루프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송신하도록 하며, 상기 자율제어 정지조건 판정단계는, 상기 기지국에서 수신되는 송신전력 제어정보가 상기 소정의 송신전력 제어정보에서 폐쇄루프 송신전력 제어정보로 절환되었는지를 판정하는 제어정보 절환 판정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정보 절환 판정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송신전력 제어정보가 상기 소정의 송신전력 제어정보에서 폐쇄루프 송신전력 제어정보로 절환된 것으로 판정하는 것을, 상기 소정의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기지국에서 송신되는 소정의 송신전력 제어정보가 정확하게 이동국으로 수신되지 않는 경우, 기지국의 송신전력 제어정보가 폐쇄 루프 송신전력 제어정보로 변하였다고 오류판정되는 가능성을 저감시킨다는 관점에서, 본 발명은 제 20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송신전력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자율 제어 정지조건 판정단계는, 상기 자율 제어 단계에 의한 송신전력 제어가 개시된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었는지를 판정하는 개시 타이밍 판정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개시 타이밍 판정단계에서 상기 자율 제어단계에 의한 송신전력 제어가 개시된 후 상기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상기 제어정보 절환 판정단계에 따른 판정을 개시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송신전력 제어방법에서는 상기 상기 자율 제어단계에 의한 송신전력 제어가 개시되고 나서 적어도 상기 소정 시간은 기지국의 송신전력 제어정보가 폐쇄 루프 송신전력 제어라고 판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 5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제 21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과 이동국간의 정보데이터 전송이 개시되기 전에, 기지국이 이동국의 송신전력 제어에 필요한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송신함과 동시에, 기지국과 이동국간에 신호를 송수신하여 동기화를 위한 처리가 수행될 때에 이동국에서의 송신전력을 제어하는, 송신전력 제어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에 대한 이동국에서의 동기가 확립된 후에,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송신전력 제어 정보를 기초로 제어되는 송신전력의 변화특성보다 완만하게 변화하는 특성으로 송신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완만 특성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기초로 한 송신전력을 제어하는 완만 특성 송신전력 제어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송신전력 제어방법은 기지국과 이동국간에서 정보데이터 전송이 개시되기 전, 기지국과 이동국간의 신호를 송수신하여 동기화 하기 위한 처리가 이루어질 때, 이동국에서는 기지국의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완만 특성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기초로 송신전력의 제어가 행해진다. 이에 따라 기지국의 송신전력 제어정보가 급격히 송신전력을 변화시키는 특성을 내타내는 것이어도, 그 특성에 따라 완만히 변화하는 특성에서 이동국의 송신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완만 특성 송신전력 제어정보는 기지국의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상기 송신전력 제어정보에서 부분적으로 추출된 정보를 기초로 작성된 것이어도, 또한 그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세분화하여 얻어지는 각 부분의 평균적인 정보를 토대로 작성된 것이어도 무관하다.
또한, 상기 완만 특성 송신전력 제어단계에 따라 송신전력 제어의 정지 시기에서 송신전력 제어의 절환을 매끄럽게 수행하도록 한다는 관점에서, 본 발명은 제 22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송신전력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완만 특성 송신전력 제어단계에 의한 송신전력 제어가 개시된 후에, 상기 완만 특성 송신전력 제어단계에 의한 송신전력의 제어를 정지시키기 위한 소정의 조건이 만족되었는지를 판정하는 완만 특성 송신전력 제어정지 판정단계와, 상기 완만 특성 송신전력 제어정지 판정단계에 의해 상기 소정의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상기 완만 특성 송신전력 제어단계에 의한 송신전력의 제어로부터,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송신전력 제어를 기초로 한 송신전력의 제어로, 절환하는 제어 절환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제 23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과 이동국간의 정보 데이터의 전송이 개시되기 전, 기지국에서 이동국의 송신전력 제어에 필요한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송신하는 함과 동시에, 기지국과 이동국간에 신호를 송수신하여 동기화를 위한 처리가 수행될 때 이동국에서의 송신전력을 제어하는, 송신전력 제어장치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에 대한 이동국에서의 동기가 확립된 후에, 기지국으로부터의 송신전력 제어정보와 관계없이, 송신전력을 초기값에서 소정 특성에 따라 상승시키도록 제어하는 자율 제어수단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 5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제 29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과 이동국간의 정보 데이터 전송이 개시되기 전에, 기지국이 이동국의 송신전력 제어에 필요한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송신함과 동시에, 기지국과 이동국간에 신호를 송수신하여 동기화를 위한 처리가 수행될 때 이동국에서의 송신전력을 제어하는, 송신전력 제어장치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에 대한 이동국에서의 동기가 확립된 후에, 각 기지국으로부터의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기초로 제어되는 송신전력의 변화특성보다 완만하게 변화하는 특성으로 송신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완만 특성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기초로 한 송신전력을 제어하는 완만 특성 송신전력 제어수단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6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제 31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송신전력 제어에 필요한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송신하는 기지국에 대해 정보 데이터의 전송이 이루어지기 전에,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신호를 송신하여 동기화하기 위한 처리가 이루어질 때에, 송신전력을 제어하는 송신전력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이동국에 있어서, 상기 송신전력 제어장치는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에 대한 해당 이동국에서의 동기가 확립된 후에, 기지국으로부터의 송신전력 제어정보와 관계없이 송신전력을 초기값으로부터 소정의 특성에 따라서 상승시키도록 제어하는 자율 제어수단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 6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 33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송신전력 제어에 필 요한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송신하는 기지국에 대해 정보 데이터의 전송이 이루어진기 전에,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신호를 송신하여 동기화하기 위한 처리가 이루어질 때에, 송신전력을 제어하는 송신전력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이동국에 있어서, 상기 송신전력 제어장치는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에 대한 이동국에서의 동기가 확립된 후에,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기초로 제어되는 송신전력의 변화보다 완만하게 변화하는 특성으로 송신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완만 특성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기초로 한 송신전력을 제어하는 완만 특성 송신전력 제어수단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이점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상세 설명에 의해 명확해 진다.
[실시예]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송신전력 제어방법이 적용되는 CDMA방식의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소프트 핸드 오버의 일반적인 모델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소프트 핸드오버에서는 기지국 BS1의 서비스 지역에서 기지국 BS2의 서비스 지역으로 이동중인 이동국 MS는, 이 서비스 지역의 경계 지역에 서 쌍방의 기지국 BS1, BS2와 무선접속된다. 이 상태에서 이동국 MS는 각 기지국 BS1, BS2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합성하고, 이 합성신호로부터 전송정보를 취득한다. 또한, 각 기지국 BS1, BS2는 이동국 MS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이 수신신호가 예를 들면, 상위국에서 합성되어 이 합성신호로부터 이동국 MS의 전송정보를 얻는다.
상기 이동국 MS와 각 기지국 BS1, BS2가 무선접속된 상태에서 이동국 MS 및 각 기지국 BS1, BS2은, 각각 통신 상대국에서 전송되는 송신전력 제어비트를 토대로 송신전력제어를 수행한다.
상기 이동국 MS 구성의 한 예가 도 2에 도시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동국 MS는 송수신분리부(20)를 비롯하여 송신계로서 오류정정 부호화부(11), 데이터 비트 변조부(12), 송신전력 제어비트 변조부(13), 확산부(14), 무선송신부(15), 및 송신전력 제어부(16)를 구비한다.
정보원(음성처리부, 데이터처리부 등)의 데이터에 대한 소정의 처리 예를 들면, CRC(cycle redundancy check) 순서에 따라 오류검출용의 패리티 비트(Parity bit)를 프레임 단위로 부가하는 등의 처리가 수행된다. 오류정정 부호화부(11)는 이와 같은 처리에 의해 얻어진 프레임 단위의 패리티 비트로 구성된 데이터의 부호화를 수행한다. 데이터 비트 변조부(12)는 오류정정 부호화부(11)에서 프레임 단위로 부호화 된 데이터를 토대로 데이터 변조부호를 생성한다.
송신전력제어 비트변조부(13)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기지국의 생성된 송신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송신전력 제어비트를 토대로 하여 제어비트 변조신호를 생성한다. 이 제어비트 변조신호는 예를 들면, 송신전력 제어비트「1」(전력증가를 나타냄)에 대응하는 값인 「+1」및 송신전력 제어비트「0」(전력저감을 나타냄)에 대응하는 값인 「-1」중 어느 하나의 값을 나타낸다.
확산부(14)는 상기 데이터 비트 변조부(12)에서 생성된 데이터 변조신호 및 송신전력 제어비트 변조부(13)에서 생성된 제어비트 변조신호를 다중화하고, 이동국 MS 고유의 확산코드를 이용하여 이 다중화된 신호의 확산처리를 수행한다. 이러한 확산부(14)에서 얻어진 확산신호는 소정의 주파수 신호로서 무선송신부(15)에서 송수신 분리부(20)을 통해 송신된다.
송신전력 제어부(16)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생성되는 송신전력 제어신호를 토대로 무선송신부(15)에서의 송신전력을 제어한다. 상기 송신전력 제어신호는 예를 들면, 송신전력 증가, 송신전력 저감 및 송신전력 유지의 어느 하나의 제어동작을 나타낼 수 있다. 송신전력 제어부(16)는 송신전력 제어신호가 나타내는 제어동작에 따라 무선 송신부(15)에서의 송신전력을 소정량(dB)만큼 증가 또는 저감 내지는 현재의 송신전력을 유지시킨다.
여기서, 각 기지국 BS1, BS2는 상기 이동국 MS의 송신계와 대략 비슷하게 구성되는 송신계를 가진다. 이에 따라 각 기지국 BS1, BS2는 데이터와 이동국 MS에서의 송신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송신전력 제어비트를 다중화하고, 이 다중화된 신호를 고유의 확산코드를 이용하여 송신한다.
또한, 이동국 MS는 수신계로서 무선수신부(21), 2개의 역확산부(22, 23), 복조/합성부(24), 오류정정 복호/오류 검출부(25), 오류 측정부(26), SIR측정부(27), 목표 SIR 결정부(28), SIR 비교부(29) 및 송신전력 제어비트 결정부(30)를 갖는다.
소프트 핸드오버인 경우, 각 기지국 BS1, BS2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 및 송신전력 제어비트가 다중화된 확산신호가 송수신 분리부(20)를 통하여 무선수신부(21)로 수신되면, 그 수신신호가 역확산부(22,23)로 공급된다. 역확산부(22)는 기지국 BS1 고유의 확산코드를 이용하여 그 수신신호의 역확산처리를 수행한다. 이 역확산처리를 통해 기지국 BS1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및 송신전력 제어비트에 대응되는 수신 데이터 신호 및 수신송신 전력 제어비트 신호(이하, 수신 TPC 신호1이라고 함)를 얻는다. 역확산부(23)는 기지국 BS2 고유의 확산 코드를 이용하여 수신신호의 역확산처리를 수행한다. 이 역확산 처리를 통해 기지국 BS2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및 송신전력 제어비트에 대응되는 수신 데이터 신호 및 수신송신 전력 제어비트 신호(이하, 수신 TPC 신호2라고 함)를 얻는다.
복조/합성부(24)는 역확산부(22,23)에서 얻어진 각 수신 데이터 신호를 복조하여 합성하고, 합성 베이스밴드 신호를 생성한다. 이 합성 베이스밴드 신호는 오류정정복호/오류검출부(25)에 공급되어 프레임 단위로 오류정정 복호가 이루어짐과 동시에, CRC 방식에 따라 전송오류의 유무가 검출된다. 이 복호결과가 정보출력으로서 해당 이동국 MS의 신호처리부(도시 생략)에 공급된다. 또한, 이 오류정정 복호/오류검출부(25)는 프레임 단위마다 상위 오류의 유무를 나타내는 오류 검출 결과를 출력한다.
오류율 측정부(26)는 상기 오류정정 복호/오류검출부(25)에서의 오류 검출결과를 토대로 예를 들면, 프레임 오류율(FER : Frame Error Rate)을 수신신호(희망파)에서 복원된 정보의 수신품질로서 연산한다.
SIR 측정부(27)는 복조/합성부(24)의 합성 베이스밴드 신호를 토대로 수신 SIR(희망파에 대한 간섭파 및 잡음전력 비율)을 연산한다. 목표 SIR 결정부(28)는 오류율 측정부(26)에서 출력되는 정보의 수신품질(FER)이 목표품질이 되도록 목표 SIR을 결정한다(아우터 루프 제어). SIR 비교부(29)는 상기 SIR 측정부(27)의 수신SIR과 목표 SIR 결정부(28)의 목표 SIR을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를 출력한다.
송신전력 제어 비트 결정부(30)는 SIR 비교부(29)에서의 비교결과를 토대로 송신전력 제어 비트값을 결정한다(인너 루프 제어). 구체적으로는 수신 SIR이 목표 SIR 보다 작을 경우, 희망파의 수신레벨이 낮으므로 송신전력 제어 비트가 송신전력을 증가시켜야 할 값인 「1」로 결정된다. 한편, 수신 SIR이 목표 SIR 이상일 경우, 희망파 수신레벨이 높으므로 송신전력 제어비트가 송신전력을 저감시켜야 할 값인 「0」으로 결정된다. 이와 같이 값이 결정되는 송신전력 제어비트는 상술한 바와 같이, 송신전력 제어비트 변조부(13)로 공급된다. 이에 따라, 송신전력제어 비트는 각 기지국 BS1, BS2로 전송되며, 각 기지국 BS1, BS2 는 그 송신전력 제어 비트를 토대로 송신전력 제어를 수행한다.
여기서, 각 기지국 BS1, BS2 는 상기 이동국 MS의 수신계와 같이, 상기와 같은 송신전력 제어가 이루어지는 이동국에서의 신호의 수신 SIR을 측정하고, 그 수신 SIR이 목표 SIR에 근접하게 되도록 송신전력 제어비트를 결정한다.
또한, 각 기지국 BS1, BS2 는 상기 데이터 및 송신전력 제어비트 전송에 이용되는 확산코드와는 다른 확산코드로 확산된 파일럿 채널을 통해 파일럿 신호를 항시 고정전력 값으로 송신한다. 각 기지국에서 송신되는 파일럿 신호는, 이동국 MS가 소프트 핸드오버인경우 무선접속 해야 할 기지국을 결정하기 위해 이용된다. 즉, 이동국 MS는 각 기지국으로부터 파일럿 신호를 수신하고, 그 파일럿 신호의 수신레벨 또는 수신SIR, 또는 이들의 값과 기지국으로부터 별도로 통지받은 파일럿 신호의 송신레벨을 이용하여 구한 기지국 및 이동국간의 전반손실을 기초로하여 무선접속 해야 할 기지국을 결정한다.
여기서, 파일럿 신호의 송신레벨은 각 기지국의 안테나로부터 송신되는 파일럿 신호의 송신레벨을 알림정보로서 이동국 MS에 통지되는 값이다. 이 파일럿 신호의 송신레벨(dBm)로부터 이동국 MS에서 측정된 수신레벨(dBm)을 감산한 값이 전반손실(dB)이 된다. 전반손실값을 구할 때 이용되는 수신레벨은 전파 전송로 상태의 순시변동(페이딩 변동)분의 영향을 받지 않을 정도로 평균화함으로써 거리변동정도를 보다 충실히 나타낼 수 있다.
이동국 MS는 또한 수신계로서, 2개의 파일럿 신호 복조/전반손실 연산부(31,32) 및 송신전력 제어신호 결정부(33)를 가진다. 각 파일럿 신호복조/전반 손실 연산부(31,3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국 MS가 무선접속할 기지국을 결정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전반손실을 연산한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처리가 이루어진다.
소프트 핸드오버일 경우에 무선 접속되는 기지국으로 결정된 상기 각 기지국 BS1, BS2로부터 상기 파일럿 채널을 통해 송신되는 파일럿 신호가 송수신 분리부(20)를 통해 무선수신부(21)로 수신되면, 그 수신신호가 역확산부(22, 23)로 공급된다. 역확산부(22)는 기지국 BS1의 파일럿 채널의 확산코드를 이용하여 그 수신신호의 역확산처리를 수행한다. 이 역확산처리를 통해 기지국 BS1에서 전송되는 파일럿 신호에 대응되는 수신 파일럿 신호가 획득된다. 또한, 역확산부(23)는 기지국 BS2의 파일럿 채널의 확산코드를 이용하여 수신신호의 역확산처리를 수행한다. 이 역확산처리를 통해 기지국 BS2에서 전송되는 파일럿 신호에 대응되는 수신 파일럿 신호가 획득된다.
역확산부(22)에서 획득되는 수신 파일럿 신호는 파일럿 신호복조 /전반송신 연산부(31)에 공급된다. 파일럿 신호 복조/전반손실 연산부(31)는 공급되는 수신 파일럿 신호를 복조하고, 그 복조신호로부터 파일럿 신호의 수신레벨 (dBm)을 연산한다. 그리고, 이 파일럿 신호의 수신레벨 (dBm)과 상술한 바와 같은 네트워크측에서 알림정보로서 통지되는 파일럿 신호의 송신레벨 (dBm)을 이용하여 이동국 MS와 기지국 BS1간의 전파 전송로에서의 전파손실 1이 연산된다. 구체적으로는 파일럿 신호의 송신레벨(dBm)과 파일럿 신호의 수신레벨 (dBm)과의 차이값이 전반손실 1(dB)로서 연산된다.
*상기 역확산부(23)에서 획득된 수신 파일럿 신호는 파일럿 신호 복조/전반손실 연산부(32)로 공급된다. 파일럿 신호 복조/전반손실 연산부(32)는 공급되는 수신 파일럿 신호를 복조하고, 이 복조신호로부터 파일럿 신호의 수신레벨(dBm)을 연산한다. 그리고, 상기 파일럿 신호 복조/전반손실 연산부(31)와 마찬가지로, 이 파일럿 신호의 송신레벨 (dBm)과 알림정보로서 통지된 파일럿 신호의 수신레벨 (dBm)과의 차이값이 이동국 MS와 기지국 BS2간의 전파 전송로에서의 전반손실 2(dB)로서 연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역확산부(22)에서 획득된 기지국 BS1에서 송신되는 송신전력 제어비트에 대응되는 수신 TPC신호 1, 역확산부(23)에서 획득된 기지국 BS2에서 송신되는 송신전력 제어 비트에 대응되는 수신 TPC신호 2, 및 상기 파일럿 신호 복조/전반손실 연산부(31)에서 획득된 이동국 MS와 기지국 BS1간의 전파 전송로에서의 전반손실 1, 상기 파일럿 신호 복조/전반손실 연산부(32)에서 획득된 이동국 MS와 기지국 BS2간의 전파 전송로에서의 전반손실 2가 송신전력 제어신호 결정부(33)에 공급된다.
송신전력 제어신호 결정부(33)는 이동국 MS와 무선 접속된 각 기지국 BS1, BS2에서 전송되는 2개의 송신전력 제어비트의 정보를 토대로 해당 이동국 MS에서의 송신전력 제어신호를 결정하는 것으로, 상기 수신 TPC신호 1, 수신 TPC 신호 2, 전반손실 1, 및 전반손실 2를 기초로 하여 송신전력 제어신호를 결정한다. 이 송신전력 제어신호를 결정할 때 상기 전반손실 1 및 전반손실 2는 상기 수신 TPC신호 1 및 수신 TPC신호 2의 신뢰도로서 고려된다.
다음은 도 3을 참조하여 송신전력 제어신호 결정부(33)의 제 1 구성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에 있어서, 송신전력 제어신호 결정부(33)는 2개의 TPC 복조부(301, 302), TPC 연(軟)판정값 가중치 합성부(303)(soft decision value weight combinder) 및 경(硬)판정부(304)(hard decision unit)를 갖는다. TPC 연판정값 가중치 합성부(303)는 가중치 계수 결정부(310), 2개의 가중치 보정부(311), (312) 및 합성부(313)를 갖는다.
상기 TPC 복조부(301)는 상기 역확산부(22)로부터의 수신 TPC 신호 1을 복조하고, 이 복조신호의 레벨값을 기지국 BS1에서의 송신전력 제어비트의 연판정값 TPC-SS1로서 출력한다. 상기 TPC 복조부(302)는 상기 역확산부(23)으로부터의 수신 TPC 신호 2를 복조하고, 이 복조신호의 레벨값을 기지국 BS2 에서의 송신전력 제어 비트의 연판정값 TPC-SS2로서 출력한다. 이러한 연판정값 TPC-SS1 및 TPC-SS2는 이동국 MS와 각 기지국 BS1, BS2간의 전파 전송로의 상태를 반영하며 예를 들면, 송신전력 제어비트가 「+1」, 「-1」값으로 변조되어 전송되는 경우, 이상적인 전송로의 상태에서는 「+1」또는「-1」이 된다.
TPC 연판정값 가중치 합성부(303)의 가중치 계수 결정부(310)는 전반손실 1과 전반손실 2를 토대로 상기 연판정값 TPC-SS1 및 연판정값 TPC-SS2에 대한 가중치 계수를 결정한다. 이 가중치 계수 결정부(310)는 보다 작은 전반손실에 대해서 보다 큰 가중치 계수가 되도록 가중치 계수를 결정한다. 예컨데, 각 전반손실 1, 2 의 역수를 기초로 한 가중치 계수가 결정된다.
가중치 보정부(311)는 상기 송신전력 제어비트의 연판정값 TPC-SS1에 상기 전반손실 1에 대응한 가중치 계수를 곱하여 그 보정값을 출력한다. 또한, 가중치 보정부(312)는 상기 송신전력 제어비트의 연판정값 TPC-SS2에 상기 전반손실 2에 대응한 가중치 계수를 곱하여 그 보정값을 출력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전반손실 1 및 2는 상기 송신전력 제어비트의 연판정값 TPC-SS1 및 TPC-SS2의 신뢰도로서 고려된다. 즉, 전반손실이 적으며 보다 신뢰도가 높다고 예상되는 연판정값 TPC-SS1 또는 TPC-SS2에 대해 보다 큰 가중치 계수를 곱하게 되는 것이 된다.
합성부(313)는 각 가중치 보정부(311), (312)에서 출력되는 각 연판정값 TPC-SS1, TPC-SS2의 보정값을 최대비율 합성(MRC : Maximum Ration Combining)한다. 구체적으로는 각 보정값을 가산하여 합성부(313)에서 TPC 합성 연판정값을 출력한다.
기지국 BS1에서의 송신전력 제어비트(0, 0, 0, 0, 0,....)의 연판정값 TPC-SS1은 예를 들면,
- 0.2, - 0.3, 0.1, 0.3, -0.6 ....
과 같이 획득되고, 기지국 BS2 에서의 송신전력 제어 비트(1, 1, 1, 1, 1, ...)의 연판정값 TPC-SS2는 예를 들면,
0.6, 0.3, 0.4, 0.2, - 0.1 ....
과 같이 획득되고, 또한 전반손실(1)에 대응한 가중치 계수가 1.1, 전반손실 2에 대응한 가중치 계수가 0.9로 각각 얻어지는 경우에 TPC 합성 연판정값은,
0.32, - 0.06, 0.47, - 0.15, - 0.75 .....
가 된다.
상기와 같이 획득된 TPC 합성 연판정값은 경판정부(304)로 공급된다. 이 경판정부(304)는 공급되는 TPC 합성 연판정값이 소정의 문턱값(threshold value) 이상인지, 문턱값보다 작은지를 판정하고, 그 판정결과를 송신전력 제어신호로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 소정의 문턱값이 「0」이고, TPC 합성 연판정값이,
0.32, - 0.06, 0.47, - 0.15, - 0.75,...
일 경우,
1, 0, 1, 0, 0, ....
과 같은 송신전력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이 송신전력 제어신호를 토대로 상술한 송신전력 제어부(16)는 무선 송신부(15)에서의 송신전력을 소정량 만큼 증가(송신전력 제어신호 = 1) 또는 이 송신전력을 소정량 만큼 감소(송신전력 제어신호 = 0)시킨다.
상술한 바와같이 이동국 MS에서는 각 기지국 BS1, BS2에서 송신되는 송신전력 제어비트의 연판정값 TPC-SS1 및 TPC-SS2는 송신전력 제어를 행하지 않는 (고정 송신전력에서 송신되는) 파일럿 신호의 송신레벨 및 수신레벨을 기초로 하여 구해진 이동국 MS와 각 기지국 BS1, BS2 간의 전송로에서의 전반손실이 신뢰도로서 고려되도록 가중치 합성된다. 그리고, 이 가중치 합성 결과로 획득된 TPC 합성 연판정값을 경판정한 결과가 송신전력 제어신호로서 결정된다. 이렇게 결정된 송신전력 제어신호를 토대로 이동국 MS에서의 송신전력 제어가 이루어짐에 따라 이동국 MS와 각 기지국 BS1, BS2간의 전송로의 상태를 보다 충실히 고려하여 이동국 MS의 송신전력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의 예에서 상기 경판정부(304)에서의 문탁값은 예를 들면, 각 기지국 BS1과 BS2에서 송신되는 송신전력 제어비트의 변조신호 취득값 「+1」과 「-1」의 중심값인 「0」으로 설정된다. 경제적인 송신전력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는 관점에서 볼때, 상기 문턱값을 「+1」가까운 값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TPC 가중치 합성값이 송신전력의 저감을 나타내는 「0」으로 경판정되기 쉬어지고, 비교적 낮은 전력으로 송신전력제어가 이루어진다. 경판정부(304)에서의 문턱값은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항상 이동국과 기지국간의 통신이 적정하게 행해지는 범위로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판정부(304)는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판정부(304)는 2개의 문턱값 Th1, Th2를 이용한다.
도 4에 있어서 경판정 결정부(304)는 제 1 경판정부(321), 제 2 경판정부(322), 및 연산부(323)을 갖는다. 제 1 경판정부(321)는 TPC 연판정값 가중치 합성부(303)에서의 TPC 합성 연판정값을 제 1 문턱값 Th1를 이용하여 경판정한다. 즉, TPC 합성연판정값이 상기 제 1 문턱값 Th1이상인지, 내지는 상기 제 1 문턱값보다 작은지를 판정하고, 그 판정결과를 출력한다. 또한, 제 2 경판정부(322)는 상기 TPC 합성 연판정값을 상기 제 1 문턱값 Th1보다 작은 제 2 문턱값 Th2( Th2 <Th1)을 이용하여 경판정 한다. 즉, TPC 합성연판정값이 상기 제 2 문턱값 Th2이상인지, 내지는 상기 제 2 문턱값 Th2보다 작은지를 판정하고, 그 판정결과를 출 력한다.
연산부(323)는 상기 제1 경판정부(321)의 판정값 A 및 제2 경판정부(322)의 판정값 B를 토대로 하여 얻어지는 연산결과 C를 송신전력 제어신호로서 출력한다. 이러한 연산논리는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즉, 판정값 A가 「1」(TPC 합성 연판정값이 제1 문턱값 Th1이상인 것을 나타냄)로, 판정값 B가 「1」(TPC 합성 연판정값이 제2 문턱값 Th2 이상인 것을 나타냄)인 경우, 연산결과 C = 「1」가 송신전력을 소정량(dB)만큼 증가시킨 것을 나타내는 송신전력 제어신호로서 출련된다. 또한, 판정값 A가 「0」(TPC 합성 연판정값이 제1 문턱값 Th1 보다 작음을 나타냄)이고, 판정값 B가 「0」(TPC 합성 연판정값이 제2 문턱값 Th2 보다 작음을 나타냄)인 경우, 연산결과 C = 「0」이 송신전력을 소정량(dB)만큼 감소시키는 것을 나타내는 송신전력 제어신호로서 출력된다.
여기서, 판정값 A가 「0」이고, 판정값 B가 「1」인 경우, 즉, TPC 합성 연판정값이 제 1 문턱값 Th1 보다 작고, 제 2 문턱값 Th2 이상인 경우, 연산결과 C = 「유지」가 현재의 송신전력을 유지하는 것을 나타내는 송신전력 제어신호로서 출력된다. 또한, 판정값 A가 「1」이고, 판정값 B가 「0」인 상황에서는, 제 1 문턱값 Th1 및 제 2 문턱값 Th2의 대소관계(Th1>Th2)로부터 논리적으로 일어날 수가 없다.
이러한 경판정부(304)의 구성에 따르면, TPC 합성 연판정 합성값이 전력증대 및 전력감소를 명확하게 나타낼 수 있는 값이 되지 않는 경우(제 1 문턱값 Th1보다 작고, 제 2 문턱값 Th2 이상), 현재의 송신전력이 유지되기 때문에, 송신전력을 증 가하거나 감소하거나 하는 오류적 제어를 방지 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송신전력 제어신호 결정부(33)의 제 2 구성예를 설명한다. 도 6에 있어서, 도 3에 도시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가 부여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전력 제어신호 결정부(33)는 두개의 TPC 복조부(301, 302), 비교부(305), 선택부(306), 및 경판정부(307)로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예(도 3참조)에서와 마찬가지로, TPC 복조부(301, 302)는 상기 역확산부(22, 23)에서의 수신 TPC 신호 1 및 수신 TPC 신호 2를 복조하여, 그 복조신호의 레벨값을 기지국 BS1 및 BS2로부터의 송신전력 제어비트의 연판정값 TPC-SS1, TPC-SS2로서 출력한다.
비교부(305)는, 파일럿 신호 복조/전반손실 연산부(31)를 통해 연산된 전반손실 1과 파일럿 신호 복조/전반손실 연산부(302)을 통해 연산된 전반손실 2를 비교하여, 그 비교된 결과를 출력한다. 선택부(306)는 비교부(305)에서의 비교결과를 선택 제어신호로서 입력하고, 그 선택 제어신호를 근거로, 기지국 BS1에서의 송신전력 제어비트의 연판정값 TPC-SS1이 되는 TPC 복조부(301)에서의 출력, 및 기지국 BS2에서의 송신전력 제어비트의 연판정값 TPC-SS2가 되는 TPC 복조부(302)에서의 출력,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비교부(305)에서 전반손실 1이 전반손실 2보다 작다라는 비교결과에 따라서 선택 제어신호가 선택부(306)로 입력되면, 선택부(306)는 TPC 복조부(301)에서의 출력을 선택한다. 또한, 비교부(305)에서 전반손실 2가 전반손실 1보다 작다라는 비교결과에 따라서 선택 제어신호가 선택부(306)에 입력되면, 선택부(306)는 TPC 복조부(302)로부터의 출력을 선택한다.
경판정부(307)는 상기와 같이 선택된 송신전력 제어비트의 연판정값 TPC-SS1 또는 TPC-SS2는 소정의 문턱값을 이용하여 경판정하고, 그 경판정 결과를 송신전력 제어신호로서 출력한다. 또한 경판정부(307)는 상술한 경판정부(304)(도 3 참조)와 동일한 처리를 통해 연판정값 TPC-SS1 또는 TPC-SS2의 경판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송신전력 제어신호 결정부(33)의 구성에 따르면, 이동국 MS와 각 기지국 BS1, BS2간의 전파전송로 중 전반손실이 최소가 되는 전파전송로를 통해 전송되는 송신전력 제어비트의 연판정값(TPC-SS1 또는 TPC-SS2)를 토대로 송신전력 제어신호가 결정된다. 따라서, 이동국 MS와 각 기지국 BS1, BS2간의 전송로 상태를 고려하여 이동국 MS의 송신전력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구성예(도 6참조)의 송신전력 제어신호 결정부(33)에서 결정된 송신전력 제어신호를 근거로 한 이동국 MS의 송신전력 제어는, 이동국 MS와 각 기지국 간의 전송로에서의 전반손실에 커다란 차이가 있는 경우에, 보다 적절한 송신전력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송신전력 제어신호 결정부(33)의 제3 구성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에 있어서, 도 3의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가 부여된다.
도 7에 있어서, 송신전력 제어신호 결정부(33)는 두개의 TPC 복조부(301, 302), 가중치 계수 결정부(310), 두개의 가중치 보정부(311, 312), 두개의 경판정부(314, 315), 및 최소값 선택부(316)으로 구성된다.
상술한 제 1 구성예(도3 참조)와 마찬가지로, 가중치 계수 결정부(310)가 전반손실 1 및 전반손실 2에 대응한 가중치 계수를 결정하고, 가중치 결정부(311, 312)가 기지국 BS1, BS2로부터의 송신전력 제어비트의 연판정값 TPC-SS1, TPC-SS2가 되는 TPC 복조부(301, 302)의 출력에 대하여 그 전반손실 1, 전반손실 2에 대응한 가중치 계수를 곱하여, 그 보정값을 출력한다.
경판정부(314)는 소정의 문턱값을 이용하여 가중치 보정부(311)에서 출력되는 연판정값 TPC-SS1의 보정값에 대한 경판정을 수행한다. 또한, 경판정부(315)는 소정의 문턱값을 이용하여 가중치 보정부(312)에서 출력되는 연판정값 TPC-SS2의 보정값에 대한 경판정을 수행한다. 경판정부(314)에서의 경판정 출력은 기지국 BS1에서 전송되는 송신전력 제어비트에 대응한 것이며, 경판정부(315)에서의 경판정 출력은 기지국 BS2에서 전송되는 송신전력 제어비트에 대응한 것이다.
최소값 선택부(316)는 경판정부(314, 315)에서의 양경판정 출력값이 동일한 경우(송신전력 증가를 나타내는 「1」 또는 송신전력의 감소를 나타내는 「0」인 경우), 그 경판정 출력값을 송신전력 제어신호로서 출력한다. 한편, 최소값 선택부(316)는 경판정부(314, 315)에서의 양경판정 출력값이 다른 경우(송신전력 증가를 나타내는 「1」 및 송신전력감소를 나타내는 「0」인 경우), 그 중 작은 값 「0」을 송신전력 제어신호로서 출력한다.
경판정부(314)에서의 경판정 출력값은 예를 들면,
1, 0, 1, 0, 0, ...
가 되고, 경판정부(315)에서의 경판정 출력값이 예를 들면,
1, 1, 1, 1, 1, ...
가 되는 경우, 최소값 선택부(316)는,
1, 0, 1, 0, 0, ...
을 송신전력 제어신호로서 출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송신전력 제어신호 결정부(33)의 구성에 의하면, 이동국MS에서 각 기지국 BS1, BS2와의 전송로에서의 전반손실이 신뢰도로서 고려되어, 각 기지국BS1, BS2에서 전송되는 송신전력 제어비트의 연판정값 TPC-SS1, TPC-SS2에 대한 가중치 보정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러한 가중치 보정이 이루어진 값의 경판정 결과가 다른 경우, 보다 작은 경판정 결과가 송신전력 제어신호로서 결정된다. 이와 같이 결정되는 송신전력 제어신호을 토대로 이동국 MS의 송신전력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이동국 MS와 각 기지국 BS1, BS2의 전송로 상태를 보다 충실하게 고려하여 이동국 MS의 경제적인 송신전력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송신전력 제어신호 결정부(33)의 제 4 구성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도 8에 있어서, 도 3에 도시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가 부여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전력 제어신호 결정부(33)는 2개의 TPC 복조부(301, 302), 4개의 경판정부(317, 318, 331, 332), 최소값 선택부(319), 및 선택 부(333)를 구비한다. 상술한 예들과 마찬가지로, TPC 복조부(301, 302)는 상기 역확산부(22, 23)(도 2참조)로부터의 수신 TPC 신호 1 및 수신 TPC 신호 2를 복조하고, 그 복조신호의 레벨값을 기지국 BS1 및 BS2에서의 송신전력 제어비트의 연판정값 TPC-SS1, TPC-SS2로서 출력한다.
경판정부(317)는 소정의 문턱값을 이용하여 상기 TPC복조부(301)에서의 연판정값 TPC-SS1의 경판정을 수행한다. 경판정부(317)에서의 경판정 출력은 기지국 BS1에서 전송되는 송신전력제어 비트에 대응한 것이다. 또한 경판정부(318)는 소정의 문턱값을 이용하여 상기 TPC 복조부(302)에서의 연판정값 TPC-SS2의 경판정을 수행한다. 이 경판정부(318)에서의 경판정 출력은 기지국 BS2로부터 전송되는 송신전력 제어비트에 대응한 것이다.
최소값 선택부(319)는 경판정부(317, 318)에서의 양측 경판정 출력의 값이 동일한 경우, 그 경판정 출력값을 출력한다. 한편, 경판정부(317, 318)에서의 경판정 출력값이 다른 경우(「0」과「1」의 경우), 그중 작은 값인 「0」을 송신전력 제어신호로서 출력한다.
경판정부(331)는 파일럿 신호복조/전반손실 연산부(31)를 통해 연산된 전반손실 1이 소정의 문턱값 이상인가, 또는 소정의 문턱값 보다 작은 값인가를 판정하는 결과를 경판정 결과로서 출력한다. 경판정부(332)는 파일럿 신호복조/전반손실 연산부(32)에서 연산된 전반손실이 상기 소정의 문턱값 이상인가, 또는 소정의 문턱값 보다 작은가의 판정결과를 경판정결과로서 출력한다. 그리고, 각 경판정부(331, 332)에서의 경판정결과가 선택 제어신호로서 선택부(333)에 공급된다.
선택부(333)는 상기 선택 제어신호를 근거로 기지국 BS1에서 전송되는 송신전력 제어비트에 대응한 경판정부(317)의 경판정 출력값 A, 최소 선택부(319)에서의 출력값 MIN 및 기지국 BS2로부터 전송되는 송신전력 제어 비트에 대응한 경판정부(318)의 경판정 출력값 B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예를 들면, 전반손실 1이 소정의 문턱값 보다 작고 전반손실 2가 소정의 문턱값 이상인 경우, 경판정부(331, 332)에서 출력되는 경판정 결과에 따른 선택제어신호에 의하여, 선택부(333)는 경판정부(317)의 경판정 출력값 A를 선택하여 송신전력 제어신호로서 출력한다. 또한 전반손실 1이 소정의 문턱값 이상이고 전반손실 2가 소정의 문턱값 보다 작은 경우, 경판정부(331, 332)에서 출력되는 경판정 결과에 기초한 선택 제어신호에 의해 선택부(333)는 경판정부(318)의 경판정출력 B를 선택하여 송신전력 제어신호로서 출력한다. 또한, 전반손실 1 및 전반손실 2 양쪽이 소정의 문턱값 보다 작은 경우, 또는, 그 양쪽이 소정의 문턱값 이상인 경우, 경판정부(331, 332)에서 출력되는 경판정 결과를 기초로 선택 제어신호에 의해 선택부(333)는 최소 선택부(319)에서의 출력값 MIN을 선택하여 송신전력 제어신호로서 출력한다.
상기와 같은 송신전력 제어신호 결정부(33)의 구성에 의하면, 이동국 MS와 각 기지국 BS1, BS2와의 전파전송로 중 전반손실이 보다 작은 값이 되는 전파전송로를 통해 전송되는 송신전력 제어비트의 연판정값의 경판정 결과가 송신전력 제어신호로서 결정된다. 또한, 이동국 MS와 각 기지국 BS1, BS2간의 전파전송로의 전반손실이 동일하도록 소정의 문턱값 이상, 또는 동일하도록 소정의 문턱값 보다 작은 경우, 기지국 BS1, BS2에서 전송되는 송신전력 제어비트의 연판정값 TPC-SS1,TPC-SS2는 동일한 정도의 신뢰성이 있다(동일한 정도의 신뢰성이 없다)로, 그들의 경판정 결과중 작은 값인 「0」이 송신전력 제어신호로서 결정된다.
따라서, 이동국 MS와 각 기지국 BS1, BS2간의 전송로 상태를 고려한 경제적인 송신전력 제어가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송신전력 제어신호 결정부(33)의 제 5의 구성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에 있어서, 도 3 및 도 6의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한다.
도 9을 참조하면, 송신전력 제어신호 결정부(33)는 도 3에 도시된 구성예와 마찬가지로, 2개의 TPC 복조부(301, 302), TPC 연판정값 가중치 합성부(303), 및 경판정부(304)로 구성된다. 또한, 이러한 송신전력 제어신호 결정부(33)는 도 6에 도시된 구성예와 마찬가지로, 2개의 TPC 복조부(301, 302)에서의 연판정값 TPC-SS1, TPC-SS2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부(306), 전반손실 1과 전반손실 2를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를 선택 제어신호로서 선택부(306)에 공급하는 비교부(305) 및 연판정부(307)를 포함한다. 또한, 송신전력 제어신호 결정부(33)는 경판정부(304)에서의 경판정 출력값 및 경판정(307)에서의 경판정 출력값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부(334)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이동국 MS는 페이딩 주파수 측정부(40) 및 페이딩 판정부(41)를 포함한다. 페이딩 주파수 측정부(40)는 수신신호의 페이딩 주파수를 측정한다. 이러한 페이딩 주파수는 예를 들면, 복조/합성부(24)에서의 출력신호(합성 복조신호)의 레 벨변동에 따라서 측정 가능하다. 또한, 각 확산 채널에서의 파일럿 신호의 복조신호 레벨 변동에 따라서 각 확산 채널마다 페이딩 주파수를 구할 수 있다(예를 들면, 본원의 출원인이 출원한 일본국 특허출원 2000-082929 참조). 확산 채널마다 페이딩 주파수의 평균값이나 각 페이딩 주파수 중에서 큰 페이딩 주파수를 페이딩 주파수의 측정값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페이딩에 의해 희망파의 레벨이 저하되면, 수신 SIR이 저하되고, 그 수신 SIR을 목표 SIR에 근접하도록 송신전력 제어비트가 결정된다. 따라서, 이와같이 결정되는 송신전력 제어비트의 변동상황을 기초로 페이딩 주파수를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페이딩 판정부(41)는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페이딩 주파수 측정부(40)에서 측정된 페이딩 주파수가 기준값 이상인지를 판정하고, 그 판정결과를 선택 제어신호로서 출력한다. 선택부(334)는 페이딩 판정부(41)에서 페이딩 주파수의 측정값이 기준치 보다 작다고 판정된 결과에 대응한 선택제어 신호를 입력하면, 경판정부(304)에서의 경판정 출력값을 선택하여 송신전력 제어 신호로서 출력한다. 한편, 선택부(334)는 페이딩 판정부(41)에서 페이딩 주파수의 측정값이 기준치 이상으로 판정된 결과에 대응한 선택제어 신호를 입력하면, 경판정부(307)에서의 경판정 출력값을 선택하여 송신전력 제어신호로서 출력한다.
이와 같은 송신전력 제어신호 결정부(33)의 구성에 의하면, 이동국 MS의 이동속도가 비교적 작고 이동국 MS에서의 페이딩 주파수가 비교적 작은 경우, 도 3에 도시된 예와 같이, 각 기지국 BS1, BS2에서 송신되는 송신전력 제어비트의 연판정값 TPC-SS1, TPC-SS2가 이동국MS와 각 기지국 BS1, BS2간의 전파전송로에서의 전반 손실1, 2를 토대로 가중치 합성되고, 그 가중치 합성의 결과가 얻어진 TPC 합성 연판정값을 경판정한 결과가 송신전력 제어신호로서 결정된다. 한편, 이동국MS의 이동속도가 비교적 크고 이동국MS에서의 페이딩 주파수가 비교적 큰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국MS와 각 기지국BS1, BS2간의 전파전송로 중 전반손실이 최소가 되는 전파전송로를 통해 전송되는 송신전력 제어비트의 연판정값에 따라서 송신전력 제어신호가 결정된다.
따라서, 이동국 MS와 각 기지국 BS1, BS2간의 전송로 상태가 비교적 양호할 경우 (페이딩 주파수가 비교적 작을 경우), 각 기지국 BS1, BS2에서 전송되는 쌍방의 송신전력 제어비트를 토대로 이동국 MS에서의 송신전력 제어신호가 결정된다. 또한, 이동국 MS와 각 기지국 BS1, BS2 간의 전송로의 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페이딩 주파수가 비교적 큰 경우)에는, 가장 양호한 (전반손실이 최소가 되는) 전송로를 통해 전송되는 송신전력 제어비트에 따라서만 이동국 MS에서의 송신전력 제어신호가 결정된다. 그 결과, 이동국 MS와 각 기지국 BS1, BS2간의 보다 좋은 전송로의 상태를 고려한 이동국 MS에서의 송신전력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예에서는, 도 6에 도시된 구성에서 얻어지는 송신전력 제어신호와 도3에 도시된 구성에서 얻어지는 송신전력 제어신호를 페이딩 주파수를 기초로 절환한 것이지만, 도 6에 도시된 구성에 의하여 얻어지는 송신전력 제어신호 대신 도 7 또는 도 8에 도시된 구성에서 얻어지는 송신전력 제어신호를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각 예에서는, 이동국 MS가 2개의 기지국 BS1, BS2와 무선접속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이동국 MS가 3개 이상의 기지국과 무선접속되는 경우에 대해서도 동일한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이동국 MS의 송신전력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예에서는 이동국 MS와 각 기지국 BS1, BS2간의 전파전송로의 전반손실을 고려하여 이동국 MS를 통해 얻어지는 각 기지국에서의 송신전력 제어정보로부터 송신전력 제어에 필요한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결정하고 있다.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전반손실에 대신하여, 각 기지국에서 송신되는 파일럿신호를 토대로 측정되는 이동국 MS와 각 기지국 BS1, BS2간의 전송로 품질을 나타내는 정보인 파일럿 신호의 수신 레벨이나 해당 파일럿 신호에서 연산되는 수신 SIR 등을 이용해도 무방하다. 이러한 전송품질을 나타내는 정보는 이동국MS가 무선접속될 기지국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지만, 장치의 구성을 간략화 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바람직하다.
상기 각 예에 있어서, 파일럿 신호복조/전반손실 연산부(31, 32)는 전반손실 연산수단, 전송로품질 측정수단에 대응하고, 전송전력 제어신호 결정부(33)는 송신전력 제어정보 결정수단에 대응한다.
또한, 가중치 계수 결정부(310), 가중치 보정부(311, 312)는 가중치 보정수단에 대응하고, 합성부(313)는 합성수단에 대응하며, 도 9에 도시된 선택부(334)는 선택수단에 대응한다.
다음으로 특허청구 범위 제 1항 내지 제 14항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특허청구 범위 제1항 내지 제14항의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송신전력 제어방법이 적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은 예를 들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다. 이러한 무선통신 시스템은 이동국과 기지국간의 신호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CDMA방식의 이동통신 시스템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국(100)과 기지국(200)은 CDMA 방식에 따라서 신호(패킷, 제어신호, 음성신호 등)의 송수신을 수행한다. 이동국(100)은 송수신장치(110), 신호처리부(15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160)을 포함한다. 또한, 기지국(200)은 송수신장치(210) 및 신호처리부(220)을 포함한다.
이동국(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6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음성, 문서, 화상 등)는 신호처리부(150)에서 소정의 형식을 가진 신호가 되도록 처리된다. 신호처리부(150)의 신호는 송수신장치(110)에 공급되어, 부호화 처리, 변조처리 등 소정의 처리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러한 처리에 의해 얻어진 신호가 송수신 장치(110)에서 기지국(200)으로 송신된다.
이동국(100)의 신호를 수신한 기지국(200)의 송수신 장치(210)는 그 수신신호에 대해 복조처리, 복호처리 등 소정의 처리를 수행한다. 그리고, 송수신 장치(210)를 통해 생성된 신호는 신호처리부(220)를 통해 네트워크상을 전송가능한 형식으로 변환되어, 신호처리부(220)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상대인 단말기로 송신된다.
기지국(200)에 있어서, 네트워크에서 공급되는 신호는 신호처리부(220)에서 소정의 형식이 되도록 처리된다. 이러한 신호처리부(220)에서의 신호는 수신장치(210)에 공급되어 부호화처리, 변조처리 등 소정의 처리가 수행된다. 그 처리에 따라 얻어진 신호는 송수신 장치(210)에서 이동국(100)으로 송신된다.
기지국(200)에서의 신호를 수신한 이동국(100)의 송수신 장치(110)는, 그 수신신호에 대해서 복조처리, 복호처리 등 소정의 처리를 한다. 그리고, 송수신장치(110)에서 생성된 신호가 신호처리부(150)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160)로 처리가능한 형식으로 변환되어, 인터페이스(160)는 그 신호에 따라서 사용자에게 정보(음성, 문서(메일), 화상 등)를 제시한다.
이동국(100)의 송수신 장치(110)는 기지국(200)에서 송신되는 송신전력 제어비트(전력증가 또는 전력감소를 나타내는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근거로 송신전력 제어(업링크 회선 송신전력 제어)를 수행한다. 기지국(200)의 송수신장치(210)도 이동국(100)에서 송신되는 송신전력 제어비트를 근거로 송신전력 제어(다운링크 회선 송신전력 제어)를 수행한다. 따라서, 이동국(100) 및 기지국(200)의 송수신장치(110, 210)는 송신전력 제어에 관해 거의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이하, 업링크 회선 송신전력 제어에 대해 설명한다.
이동국(100)의 송수신장치(110)는 예를 들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다.
도 11에 있어서, 송수신 장치(110)는 송수신 분리부(111)를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송신계와 수신계를 구비한다. 수신계는 무선수신부(112), 오류정정부호/오류검출부(113), 오류율 측정부(114), SIR 측정부(115), SIR 비교부(116), 목표 SIR 결정부(117), 송신전력 제어비트 결정부(118), 및 송신전력 제어비트 추출부(119)를 포함한다.
기지국(200)에서 송신되는 신호가 송수신 분리부(111)를 통해 무선 수신부(112)로 공급된다. 무선 수신부(112)는 송수신 분리부(111)에서 공급되는 수신신호에 대해서 역확산처리 및 복조처리를 수행하여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한다. 후술 하듯이, 상기 수신신호는 기지국(200)에서 송신되는 데이터에 대응한 데이터 신호와 송신전력 제어비트에 대응한 제어신호를 포함하고, 그 제어신호에 대한 복조처리를 통해 얻어진 베이스 밴드 신호는 송신전력 제어비트 추출부(119)에 공급된다. 송신전력 제어비트 추출부(119)는 그 베이스 밴드 신호로부터 송신전력 제어 비트를 복원한다.
상기 데이터 신호에 대한 무선 수신부(112)의 복조처리를 통해 얻어진 베이스 밴드 신호는 오류 정정 복호/오류 검출부(113)로 공급되어, 프레임 단위로 오류정정 복호가 이루어짐과 동시에 예를 들면, CRC(cycle redundancy check) 방법에 따라서 전송오류의 유무를 검출한다. 이러한 복호결과가 정보출력으로서 해당 송수신장치(110)에서 신호처리부(150)(도 10 참조)에 공급된다. 오류 정정 복호/오류검출부(113)는 또한, 프레임 단위마다 상기 전송오류의 유무를 나타내는 오류검출 결과를 출력한다.
오류율 측정부(114)는 상기 오류 정정 복호/오류 검출부(113)를 통한 오류검출결과에 따라서, 프레임 오류율(FER: Frame Error Rate)을 수신신호(희망파)로부터 복원한 정보의 수신품질로서 연산한다.
SIR 측정부(115)는 무선수신부(112)을 통해 얻어진 수신신호에 따라서 수신SIR(희망파 대 간섭파 및 잡음전력 비율)을 연산한다. 이러한 연산 주기는 데이터 의 프레임 주기 보다 짧다. 목표 SIR 결정부(117)는 오류 측정부(114)에서 출력되는 정보의 수신품질(FER)이 목표품질이 되도록 목표SIR을 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이러한 목표SIR 결정부(117)는 정보의 수신품질이 목표 품질보다 낮으면, 목표 SIR의 값을 높게 하고, 정보의 수신품질이 목표품질보다 높으면, 목표 SIR의 값을 낮게 하는 제어(아우터 루프 제어:outer loop control)를 수행한다. SIR 비교부(116)는 상기 SIR 측정부(115)에서의 수신SIR과 목표 SIR결정부(117)에서의 목표 SIR과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를 출력한다.
송신전력 제어비트 결정부(118)는 SIR 비교부(116)에서의 비교결과에 따라서 기지국(200)에서의 송신전력 제어에 필요한 송신전력 제어비트를 결정한다 (인너 루프 제어:inner loop control). 수신 SIR이 목표 SIR 보다 작은 경우, 희망파의 수신레벨이 낮다고 보아, 송신전력 제어비트는 송신전력을 저감시켜야 할 값(예들 들면, 「1」)으로 결정된다. 한편, 수신 SIR이 목표 SIR보다 큰 경우, 희망파의 수신레벨이 높다고 보아, 송신전력 제어비트는 송신전력을 저감시켜야 할 값(예를 들면, 「0」)으로 결정된다. 이와 같이 값이 결정된 송신전력 제어비트는 송신전력 제어비트 결정부(118)로부터 후술할 송신계의 무선송신부(122)에 공급되어 기지국(200)으로 전송된다.
이동국(100)의 송신계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 처리부(150)(도10 참조)에서 공급되는 정보에 대해서 소정의 처리 예를 들면, CRC방법에 따라서 오류검출용 패리티 비트를 프레임 단위로 부가하는 처리, 이러한 처리에 의해 얻어진 프레임 단위의 패리티로 구성된 데이터의 오류 정정 부호화를 수행하는 처리 등이 이 루어진다. 이러한 부호화 데이터는 무선송신부(122)에 공급된다.
무선 송신부(122)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급되는 부호화 데이터에 대해서 변조처리하여 데이터 변조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무선송신부(12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송신전력 제어비트 결정부(118)에서 공급되는 송신전력 제어비트에 대해서 변조처리하여 제어비트 변조신호를 생성하고, 이 제어비트 변조신호와 상술한 데이터 변조신호를 다중화한다. 그리고 소정의 확산코드를 이용하여 다중화된 신호의 확산처리가 이루어진다. 무선송신부(122)는 그 확산처리를 통해 얻어진 신호를 송수신분리부(111)를 통해 송신한다.
또한, 이동국(100)의 송신계는 송신전력 제어부(123), SIR 감시부(124), 점차 상승비트 패턴 생성부(125), 및 스위치(126)를 포함한다.
상기 수신계의 송신전력 제어비트 추출부(119)에서의 송신전력 제어비트는 스위치(126)를 통해 송신전력 제어부(123)에 공급된다. 이 경우, 송신전력 제어부(123)는 상기 기지국(200)에서의 송신전력 제어비트를 토대로 무선 송신부(122)에서의 송신전력을 제어한다. 이와 같은 제어에 의해, 기지국(200)에서의 수신 SIR가 목표 SIR에 근접하도록 이동국(100)의 무선송신부(122)에서의 송신전력 제어가 이루어진다.
SIR 감시부(124)는, 상술한 SIR 측정부(115)를 통해 측정된 수신 SIR 및 목표 SIR 결정부(117)를 통해 결정된 목표 SIR를 입력하고, 미리 설정된 제 1 문턱값 ThA 및 제 2 문턱값 ThB을 이용하여 상기 수신 SIR이 정상적인 상태인지를 감시한 다. 그리고, SIR 감시부(124)는 수신 SIR이 정상적인 상태로 판단되면, 제 1 상태(예를 들면, 낮은 레벨)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한편, 수신 SIR이 이상(異常)한 상태로 판정되면, 제 2 상태(예를 들면, 높은 레벨)가 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SIR 감시부(124)에서 제 1 상태가 되는 제어신호가 출력되는 경우(수신 SIR이 정상적인 상태), 그 제어신호에 따라서 상기 스위치(126)는 송신전력 제어비트 추출부(119)를 송신전력 제어부(123)에 접속시키는 상태가 된다. 그 결과, 상술한 바와 같이, 송신전력 제어비트 추출부(119)에서의 송신전력 제어비트가 송신전력 제어부(123)로 공급된다.
한편, 상기 SIR 감시부(124)에서 제 2 상태가 되는 제어신호가 출력되는 경우(수신 SIR이 이상상태), 그 제어신호에 따라서 점차 상승 비트 패턴 생성부(125)가 기동된다. 점차 상승 비트 패턴 생성부(125)는 송신전력이 서서히 상승하도록 작용하는 송신전력 제어비트 배열에 대응되는 비트 패턴(이하, 점차 상승 비트 패턴이라고 함)을 생성한다. 또한, 그 제어신호에 따라서 상기 스위치(126)는 점차 상승 비트 패턴 생성부(125)를 송신전력 제어부(123)에 접속하는 상태가 된다. 그 결과, 점차상승 비트 패턴 생성부(125)를 통해 생성된 점차 상승 비트 패턴이 송신전력 제어부(123)에 공급된다.
상기 SIR 감시부(124)는 예를 들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다.
도 12에 있어서, SIR 감시부(124)는 수신 SIR과 제1 문턱값 ThA와 비교하는 비교기(131), 목표 SIR에서 수신 SIR을 감산하여 SIR 차이값 ΔSIR을 출력하는 감산 기(132), 및 감산기(132)에서 출력되는 SIR 차이값 ΔSIR과 제 2 문턱값 ThB을 비교하는 비교기(133)을 포함한다. 상기 비교기(131)는 수신 SIR이 제 1의 문턱값 ThA 보다 작아지는 경우, 예를 들면, 높은 레벨이 되는 신호를 출력하고, 수신 SIR이 제 1 문턱값 ThA이상이 되는 경우, 예를 들면, 낮은 레벨이 되는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비교기(133)는 상기 SIR 차이값ΔSIR이 제 2 문턱값 ThB 이상이 되는 경우, 예를 들면, 높은 레벨이 되는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SIR 차이값ΔSIR이 제 2 문턱값 ThB 보다 작아지게 되는 경우, 예를 들면, 낮은 레벨이 되는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SIR 감시부(124)는 오어 게이트(134), 업/다운 카운터(135) 및 엔드게이트(136)를 포함한다. 상기 비교기(131, 133)의 출력신호가 오어 게이트(134)에 입력되고, 이 오어 게이트(134)에서의 출력신호가 업/다운 카운터(135)의 스타트 단자(S) 및 리셋단자(R)에 입력되는 것과 동시에, 엔드 게이트(136)에 입력된다. 또한, 상술한 점차 상승 비트 패턴 생성부(125)를 통해 생성되는 점차 상승 비트 패턴이 업/다운 카운터(135)의 계수단자(C)에 입력된다.
업/다운 카운터(135)는 오어 게이트(134)에서의 출력신호가 높은 레벨로 올라가면, 리셋되어 스타트하고, 그 출력신호를 높은 레벨로 올린다. 업/다운 카운터(135)는 점차 상승 비트 패턴의 전력증가를 나타내는 비트(예를 들면, 「1」)가 입력되면, +1만큼 업카운트하고, 전력감소를 나타내는 비트(예를 들면, 「0」)가 입력되면 -1만큼 다운 카운트한다. 그리고, 계수치가 소정값 N에 달하면, 업/다운 카운터(135)는 그 출력신호를 낮은 레벨로 내린다. 업/다운 카운터(135)의 출력신호는 상기 오어 게이트(134)의 출력과 동시에 엔드 게이트(136)에 입력된다. 엔드 게이트(136)의 출력이 SIR 감시부(124)의 출력이 된다.
상기 점차 상승 비트 패턴의 각 비트 값에 따라서 업카운트 및 다운카운트를 수행하는 업/다운 카운터(135)에서의 카운터 값은, 점차 상승 비트 패턴을 통해 제어되는 송신전력의 상승량에 대응한다. 업/다운 카운터(135)에 설정되는 상기 소정값 N은 점차 상승 비트 패턴을 통해 제어되는 송신전력의 상승량의 상한선에 대응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이동국(100)에서는, 예를 들면,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송신전력 제어(업링크 회선 송신전력 제어)가 이루어진다.
도 13을 참조하면, 수신 SIR가 목표 SIR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비교적 좁은 범위내에서 추이하는 상태(시각 t1 까지의 기간)에서는, 수신 SIR은 제 1 문턱값 ThA 이상의 값이 되고, 목표 SIR과 수신 SIR과의 차이를 나타내는 SIR 차이값 ΔSIR은 제 2 문턱값 ThB 보다 작은 값이 된다. 따라서, SIR 감시부(124)에 있어서 비교기(131, 133)의 출력은 동시에 낮은 레벨이 되고, SIR 감시부(124)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는 제 1 상태(낮은 레벨)가 된다. 이러한 제어신호에 의해, 스위치(26)는 송신전력 제어비트 추출부(119)를 송신전력 제어부(123)에 접속시키는 상태가 되고, 이러한 송신전력 제어비트 추출부(119)를 통해 추출되는 기지국(200)에서의 송신전력 제어 비트(...11100001111000)에 따라서 송신전력 제어부(123)가 무선송신 부(122)의 송신전력 제어를 수행한다. 이러한 상태는 정상적인 상태이며, 이동국(100)에서의 송신전력제어는 기지국(200)에서의 수신 SIR이 목표 SIR에 근접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소정의 원인으로 기지국(200)에서의 수신신호의 품질이 저하되어 수신SIR이 저하된다(시각 t1에서 시각 t2까지의 구간). 이러한 상태에서는, 수신 SIR과 목표 SIR과의 관계에 따라서, 송신전력 제어비트 결정부(118)는 기지국(200)의 송신전력을 상승시키기 위한 송신전력 제어비트를 생성하고, 그 송신전력 제어비트가 이동국(100)에서 기지국(200)으로 송신된다. 이것과 상관 없이, 기지국(200)에서의 수신신호의 품질이 저하하여 수신 SIR이 제 1 문턱값 ThA 보다 작아지면 (시간 t2), SIR 감시부(124)의 비교기(131)의 출력이 높은 레벨이 되고, 이에 따라서, 업/다운 카운터(135)가 기동되고, 업/다운 카운터(135)의 출력신호가 높은 레벨이 된다. 그 결과, 엔드 게이트(136), 즉, SIR 감시부(124)에서 제 2 상태(높은 레벨)가 되는 제어신호가 출력된다.
이와 같이 SIR 감시부(124)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가 제 2 상태가 되면, 점차 상승 비트 패턴 생성부(125)가 기동됨과 동시에, 스위치(126)가 이러한 점차 상승비트 패턴 생성부(125)을 송신전력 제어부(123)에 접속시키는 상태로 절환된다. 이에 의해, 송신전력 제어부(123)는 점차 상승 비트 패턴 생성부(125)로부터의 점차 상승 비트 패턴에 따라서 무선송신부(122)의 송신전력 제어를 수행한다.
상기 점차 상승 비트 패턴이 예를 들면, (11101110111)이 되는 경우, 소정 주기로 3회 소정량(예를 들면 1dB)증가와 1회 소정량 감소가 반복됨으로써, 송신전력은 점차 상승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이동국(100)으로부터 송신되는 송신전력 제어비트가 기지국(200)에서 그 수신품질이 개선되면, 기지국(200)에서는 이동국(100)에서 생성된 송신전력 제어비트를 기초로한 정상적인 송신전력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동국(100)에 있어서, 기지국(200)에서의 송신전력 제어비트와 관계없이, 점차 상승 비트 패턴에 따른 송신전력의 자율적인 제어가 이루어짐으로써, 이동국(100)의 SIR 측정부(115)에서 측정되는 수신 SIR이 도 13의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더 저하되는 이상상태를 나타내지 않고, 점차로 상승하며, 시각 t3에서 상기 제1 문턱값 ThA 이상이 되면 SIR 감시부(124)의 비교기(131)의 출력이 낮은 레벨로 내려간다. 이에 따라, SIR 감시부(124)에서의 제어신호가 제 1 상태(낮은 레벨)로 절환된다. 그러면, 스위치(126)가 송신전력 제어비트 추출부(119)를 송신전력 제어부(123)에 접속시키는 상태로 절환되고, 송신전력 제어부(123)는 상술한 정상시와 같이, 송신전력 제어비트 추출부(119)에서 추출되며 기지국(200)에서 송신되는 송신전력 제어 비트(00111000011...)에 따라서 무선송신부(122)의 송신전력제어를 수행한다.
이동국(100)에서는 목표 SIR이 수신되는 정보의 품질(FER)에 따라서 제어된다(아우터 루프 제어). 이 때문에, 수신 SIR의 절대값 만큼을 감시하고 있어도, 반드시 그 수신 SIR의 이상을 검출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이 때문에, 본 예에서 는 목표 SIR에서 수신SIR을 감산하여 얻을 수 있는 SIR 차이값 ΔSIR과 제 2 문턱값 ThB을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에 따라서 송신전력 제어를 수행한다.
즉, 수신 SIR가 제 1 문턱값 ThA 이상이 되는 상태에서도 SIR 차이값 ΔSIR이 제 2 문턱값 ThB 이상이 되면, SIR 감시부(124)의 비교기(132)의 출력이 높은 레벨이 되고, 상술한 바와 같이, SIR 감시부(124)에서 제2 상태(높은 레벨)가 되는 제어신호가 출력된다. 이러한 제 2 상태가 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점차 상승 비트 패턴에 따른 송신전력의 자율적인 제어가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점차 상승 비트 패턴을 기초로 한 송신전력의 자율적인 제어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수신 SIR이 좀처럼 개선되지 않는 경우, 해당 수신SIR이 제 1 문턱값 ThA 이상이 되기 전에 SIR 감시부(124)의 업/다운 카운터(135)의 계수치가 소정값 N에 달하게 된다. 즉, 송신전력의 상승량이 상한적으로 달하게 된다. 그러면, 업/다운 카운터(135)에서의 출력신호가 낮은 레벨로 내려오고, SIR 감시부(124)에서의 제어신호가 제 1 상태로 절환된다. 이것에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점차 상승 비트 패턴에 따른 송신전력의 자율적인 제어가 중단되어, 기지국(200)에서의 송신전력 제어 비트에 따른 통상의 송신전력 제어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점차 상승 비트 패턴의 각 비트의 값에 따라서 업카운트 및 다운카운트를 수행하는 업/다운카운터(135)의 계수치가 소정값 N에 도달할 때에, 점차상승 비트 패턴에 따른 송신전력의 자율적인 제어를 중단함으로써, 수신 SIR의 개 선이 예상되지 않는 상태에서 불필요한 송신전력의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이동국(100)에서의 송신전력 제어에 의하면, 수신 SIR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송신전력 제어비트를 기지국(200)으로 송신하고 있어도, 그 수신 SIR의 개선이 이루어 지지 않는 경우에, 이동국(100)에서의 송신전력을 서서히 상승시키도록 하기 때문에, 기지국(200)에서 수신되는 송신전력 제어비트의 품질을 개선 할 수 있다. 기지국(200)에서의 수신송신 전력 제어비트의 품질을 개선함으로써, 기지국(200)의 송신전력 제어가 정상적으로 수행되며, 이동국(100)에서 측정되는 수신 SIR이 연속하여 소정의 품질(목표 SIR) 보다 저하됨을 방지하게 된다.
상술한 제 1 문턱값 ThA 및 제 2 문턱값 ThB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실제의 통신상황에 따라서 실험적으로 구해진 적절한 값으로 설정된다. 또한, 업/다운 카운터(135)에 설정되는 송신전력의 상승량의 상한선에 대응한 소정 값 N은 수신 SIR의 개선특성이나 경제적인 전력제어 등의 병합 등을 통해 정해진다.
상기 예에서는, 수신 SIR과 제 1 문턱값 ThA의 비교결과 및 SIR 차이값 ΔSIR과 제 2 문턱값 ThB의 비교결과에 따라서 수신 SIR이 정상적인지를 판정하지만, 어느 하나의 비교결과에 따라서 수신 SIR이 정상적인지를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목표 SIR을 고정값으로서 송신전력 제어를 수행하는 경우, 상기 양쪽 비교결과 중 어느 하나에 따라서 수신 SIR의 정상의 정도를 판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문턱값을 이용하여 수신 SIR의 정상 정도를 판정하는 방법은, 상술한 예에 한정하지 않고, 정상에서 이상으로 이행할 때의 문턱값과, 이상에서 정상으로 복귀 할 때의 문턱값을 따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문턱값으로 구분되는 상태(정상상태 또는 이상상태)가 소정시간 계속될 때, 그 상태인 것으로 최종 판정하는 것도 좋다. 나아가, 문턱값을 이용한 다른 일반적인 판정방법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의 예에서는, 점차 상승 비트 패턴에 의해, 전력증가 및 전력감소를 조합하여 송신전력이 점차적으로 상승하도록 하지만, 전력증가와 전력을 유지하는 제어상태를 이용하여 송신전력을 점차적으로 상승시킬 수도 있다.
상기 예에서는, 수신 SIR이 개선될 때까지 송신전력을 점차적으로 상승시키도록 하고 있지만, 수신 SIR이 이상상태로 판정될 경우, 송신전력을 소정량 만큼 한꺼번에 상승시켜, 그 상태를 유지하여 수신 SIR이 소정시간내에 개선되는지를 판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소정시간내에 수신 SIR이 어느 상태까지 개선된 경우는 통상의 송신전력 제어로 돌아간다. 이 경우, 수신 SIR이 개선되지 않은 채 비교적 높은 송신전력 값을 유지함으로써 낭비적인 제어가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는 점에서, 수신 SIR이 어느 상태까지 개선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소정시간이 경과한 경우에는 통상의 송신전력 제어로 돌아갈 수도 있다.
또한, 상기예에서, 점차 상승 비트 패턴에 따른 송신전력의 자율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그 상승량이 상한선에 도달할 때(업/다운 카운터(135)의 계수값이 소정값 N에 도달할 때), 송신전력제어 비트를 기초로 한 통상의 송신전력 제어로 돌아가지만, 그 시점에서의 송신전력값이 고정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SIR 감시부(124)에서 이용되는 수신SIR은 예를 들면, 상기 예에서처럼, 각 슬롯마다 측정되는 값을 이용하지만, 복수의 슬롯에 걸쳐서 평균화한 값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동국(100)이 소프트 핸드 오버에 의해 복수의 기지국과 무선접속되는 경우, 각 기지국에서 수신신호를 합성한 합성 수신신호에 대한 수신 SIR을 토대로 상술한 송신전력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송신전력 제어는 이동국(100)에서 이루어지지만, 기지국(100)에서 이루어지도록 해도 무방하다.
상기 예에 있어서, SIR 감시부(124)는 품질측정 단계(수단)에 대응하고, 점차 상승 비트 패턴 생성부(125) 및 스위치(126)은 자율 제어단계(수단)에 대응한다.
도 12에 나타나는 비교기(131)는 제 1 문턱값 판정단계(수단)에 대응하고, 감산기(132)는 차이값 연산단계(수단)에 대응하며, 비교기(133)는 제 2 문턱값 판정단계(수단)에 대응한다.
점차 상승 비트 패턴 생성부(125)는 자율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수단)에 대응하고, 스위치(126)는 제어 절환단계(수단)에 대응한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업/다운 카운터(135)는 측정단계(수단)에 대응하고, 엔드 게이트(136)은 자율 제어 정지수단(단계)에 대응한다.
다음으로, 특허청구 범위 제 15항내지 34항까지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특허청구범위 제15항 내지 제34항의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신전력 제어방법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은 상술한 이동통신 시스템과 동일하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이동국(100)과 기지국(200)은 CDMA방식에 따라서 신호(패킷, 제어신호, 음성신호 등)의 송수신을 수행한다. 이동국(100)은 송수신장치(110), 신호처리부(15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160)을 포함한다. 또한, 기지국(200)은 송수신장치 (210)및 신호처리부(220)을 구비한다.
이동국(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60)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음성, 문서, 화상 등)는 신호처리부(150)에서 소정 형식의 신호가 되도록 처리된다. 신호처리부(150)에서의 신호는 송수신장치(110)에 공급되어, 부호화 처리, 변조처리 등의 소정 처리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러한 처리에 의해 얻어진 신호는 송수신장치(110)에서 기지국(200)으로 송신된다.
이동국(100)에서의 신호를 수신한 기지국(200)의 송수신장치(210)는, 그 수신신호에 대해서 복조처리, 복호처리 등 소정 처리를 수행한다. 그리고, 송수신장치(210)에서 생성된 신호는 신호처리부(220)에서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가능한 형식으로 변환되며, 그 신호가 신호처리부(220)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상대가 되는 단말기로 송신된다.
기지국(200)에 있어서, 네트워크에서 공급되는 신호는, 신호처리부(220)에서 소정의 형식이 되도록 처리된다. 신호처리부(220)에서의 신호는 송수신장치(210)에 공급되어, 부호화처리, 변조처리 등의 소정 처리가 수행된다. 이러한 처리에 의해 얻어진 신호는 송수신장치(210)에서 이동국(100)으로 송신된다.
기지국(200)에서의 신호를 수신한 이동국(100)의 송수신장치(100)는, 그 수신신호에 대해서 복조처리, 복호처리 등의 소정의 처리를 실시한다. 그리고, 송수신장치(110)에서 형성된 신호가 신호처리부(150)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160)에서 처리가능한 형식으로 변화되며, 그 신호를 기초로 사용자 인터페이스(160)에서 사용자에 대한 정보(음성, 문서(메일), 화상 등)의 제시가 이루어진다.
이동국(100)의 송수신장치(110)는, 통상적으로, 기지국(200)에서 송신되는 송신전력 제어비트(전력증가 또는 전력감소를 나타내는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토대로 송신전력 제어(업링크 회선 송신전력 제어)을 수행한다. 기지국(200)의 송수신장치(210)도 이동국(100)에서 송신되는 송신전력 제어비트를 토대로 송신전력 제어(다운링크 회선 송신전력 제어)를 수행한다.
이동국(100)의 송수신장치(110)의 한 예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다.
도 14를 참조하면, 송수신장치(110)는 송수신 분리부(111)를 공통으로 사용하는 송신계와 수신계를 구비한다. 수신계는 무선 수신부(112), 오류 정정 복호/오류 검출부(113), 오류율 측정부(114), SIR 측정부(115), SIR 비교부(116), 목표 SIR 결정부(117), 송신전력 제어비트 결정부(118) 및 송신전력 제어비트 추출부(119)을 포함한다.
기지국(200)에서 송신되는 신호가 송수신 분리부(111)를 통해 무선 수신부(112)로 공급된다. 무선 수신부(112)는 송수신 분리부(111)에서 공급되는 수신 신호에 대해 역확산처리 및 복조처리를 수행하여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수신신호는 기지국(200)에서 송신되는 정보 데이터에 대응한 데이터 신호와 송신전력 제어비트에 대응한 제어신호를 포함하고 있고, 그 제어신호에 대한 복조처리를 통해 얻어진 베이스 밴드 신호는 송신전력 제어비트 추출부(119)에 공급된다. 송신전력 제어비트 추출부(119)는 그 베이스 밴드 신호로부터 송신전력 제어비트를 복원한다.
무선 수신부(112)에 의한 상기 데이터 신호에 대한 복조처리를 통해 얻어진 베이스 밴드 신호는 오류 정정 복호/오류 검출부(113)에 공급되어, 프레임단위로 오류 정정 복호가 이루어짐과 동시에, 예를 들면, CRC(cycle redundancy check) 방법에 따른 전송오류의 유무검출을 수행한다. 이러한 복호 결과가 정보출력으로서 해당 송수신장치(110)에서 신호처리부(150)(도 10 참조)로 공급된다. 오류 정정 복호/오류 검출부(113)는 또한, 프레임 단위마다 상기 전송오류의 유무를 나타내는 오류 검출결과를 출력한다.
오류율 측정부(114)는 상기 오류 정정 복호/오류 검출부(113)에서의 오류검출 결과에 따라서, 프레임 오류율(FER: Frame Error Rate)을 수신신호(희망파)로부터 복원한 정보의 수신품질로서 연산한다.
SIR 측정부(115)는 무선수신부(112)에서 얻어진 수신신호를 근거로 수신SIR(희망파 대 간섭파 및 잡음전력의 비율)을 연산한다. 이 연산주기는, 데이터의 프레임주기 보다 짧다. 목표 SIR 결정부(117)는, 오류율 측정부(114)에서 출력되는 정보의 수신품질(FER)이 목표품질이 되도록 목표 SIR을 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목표 SIR 결정부(117)는 정보의 수신품질이 목표품질보다 낮으면, 목표 SIR의 값을 높게하고, 정보의 수신품질이 목표품질보다 높으면, 목표 SIR의 값을 낮게하는 제어(아우터 루프 제어)를 수행한다. SIR 비교부(116)는 상기 SIR 측정부(115)로부터의 수신 SIR과 목표 SIR 결정부(117)로부터의 목표 SIR을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를 출력한다.
송신전력 제어비트 결정부(118)는 SIR 비교부(116)에서의 비교결과에 따라서, 기지국(200)에서의 송신전력 제어에 필요한 송신전력 제어비트를 결정한다(인너 루프 제어). 수신 SIR이 목표 SIR 보다 작은 경우, 희망파의 수신레벨이 낮은것으로 보고, 송신전력 제어비트는 송신전력을 증가시켜야 할 값(예를 들면, 「1」)으로 결정된다. 한편, 수신 SIR이 목표 SIR 보다 큰 경우, 희망파의 수신레벨이 높은 것으로 보고, 송신전력 제어비트는 송신전력을 저감시켜야 할 값(예를 들면, 「0」)으로 결정된다. 이와 같이 값이 결정된 송신전력 제어비트는 송신전력 제어비트 결정부(118)에서 후술할 송신계의 무선송신부(122)로 공급되어, 기지국(200)으로 전송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수신계는, 또한, 동기상태 판정부(13) 및 폐쇄 루프 제어개시 타이밍 결정부(135)를 포함한다.
이동국(100)은 기지국(200)에 전송될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실질적인 업링크 회선통신을 개시하기 전에, 기지국(200)과 소정의 포맷으로 되는 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하여 동기화하기 위한 처리를 수행한다. 이러한 동기화를 위한 처리에서 무선수신부(112)는 기지국(200)에서의 신호를 토대로 동기 인입을 수행하여, 그 동 기인입에 의해 동기를 확립시킨다.
상기 동기상태 판정부(130)는 무선수신부(112)에서의 동기 인입의 상태를 감시하여 동기(업링크 동기)가 확립되었는지를 판정한다. 동기가 확립된 것으로 판정되면, 동기상태 판정부(130)은 동기확립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폐쇄 루프 제어개시 타이밍 결정부(135)는 타이머 기능을 가지며, 상기 동기화를 위한 처리 과정에서 해당 송수신장치(110)의 송신전력 제어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절환하기 위한 절환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폐쇄 루프 제어개시 타이밍 결정부(135)의 기능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이동국(100)의 송신계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 처리부(150)(도 10참조)에서 공급되는 정보에 대한 소정의 처리 예를 들면, CRC 방법에 따라서 오류검출용의 페리티 비트를 프레임 단위로 부가하는 처리, 이와 같은 처리에 의해 얻어진 프레임 단위의 페리티로 구성된 데이터의 오류 정정 부호화를 수행하는 처리 등이 이루어진다. 이렇게 얻어진 부호화 데이터는 무선송신부(122)에 공급된다.
무선 송신부(122)는 상기와 같이 공급되는 부호화 데이터에 대한 변조처리를 수행하여 데이터 변조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무선송신부(12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송신전력 제어비트 결정부(118)에서 공급되는 송신전력 제어비트에 대한 변조처리를 수행하여 제어비트 변조신호를 생성하고, 이 제어비트 변조신호와 상기 데이터 변조신호를 다중화한다. 그리고, 소정의 확산코드를 이용하여 그 다중화된 신호의 확산처리가 이루어진다. 무선송신부(122)는 그 확산처리를 통해 얻어진 신호를 송수신 분리부(111)를 통해 송신한다.
이동국(100)에 있어서, 송수신장치(110)의 송신계는, 또한, 송신전력 제어부(123), 점차 상승 비트 패턴 생성부(125), 스위치(126) 및 송신개시/정지제어부(127)를 포함하고 있다.
송신전력 제어부(123)는, 스위치(126)를 통해 공급되는 송신전력 제어비트 추출부(119)에서 추출된 기지국(200)에서의 송신전력 제어비트 또는 점차 상승 비트패턴 생성부(126)에서 생성되는 송신전력 제어비트(이하, 점차 상승 비트 패턴이라고 함)를 토대로 무선송신부(122)에서의 송신전력을 제어한다. 점차 상승 비트 패턴 생성부(125)에서 생성되는 점차 상승 비트패턴은, 연속해서 전력증가를 나타내는 송신전력 제어비트(1,1,1,1,...)를 토대로 제어되는 송신전력의 변화보다 완만하게 변화하는 특성으로 송신전력을 상승시키기도록 제어하기 위한 송신전력 제어비트가 된다. 이러한 점차 상승 비트 패턴은 예를 들면, 전력증가를 나타내는 연속된 2개의 비트「1」과, 전력감소를 나타는 1개의 비트「0」이 반복되어 배열되는 패턴(1,1,0,1,1,0,1,1,0,...)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동기상태 판정부(130)에서 동기확립 신호가 출력되면, 송신개시/정지제어부(127)는 무선송신부(122)에서 기지국(100)에서의 동기처리하는 데에 필요한 소정 포맷의 신호송신이 개시되도록 한다. 송신개시/정지제어부(127)는 무선송신부(122)에서 상기 소정의 포맷의 신호송신이 개시되도록 할 때, 송신 개시 신호①을 출력한다. 폐쇄루프 제어 개시 타이밍 결정부(135)는 송신개시/정지제어부(127)에서의 송신개시 신호①에 의해 기동되는 타이머를 포함하고 있다. 폐쇄루프 제어 개시 타이밍 결정부(135)는 상기 타이머로 계측시간이 소정시간에 도 달하였는지를 판정하고, 그 계측시간이 소정시간에 도달하면, 절환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해당 이동국(100)이 기지국(200)에 대한 정보 데이터의 전송을 개시하기 전에는, 스위치(126)는 통상적으로 송신전력 제어부(123)를 점차 상승 비트 패턴 생성부(125)에 접속시키는 상태가 된다. 그 상태에서, 전력제어부(123)는 점차 상승 비트패턴 생성부(125)에서의 점차 상승 비트 패턴에 따라서 무선 송신부(122)의 송신전력 제어를 수행한다. 상기 폐쇄루프 제어 개시 타이밍 결정부(135)에서 절환제어신호가 출력되면, 스위치(126)는 송신전력 제어부(123)을 송신전력 제어 비트 추출부(119)에 접속시키는 상태로 절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전력 제어부(123)는 송신전력 제어비트 추출부(119)에서 추출되는 기지국(200)에서의 송신전력 제어비트를 근거로 무선송신부(122)의 송신전력 제어를 수행한다(폐쇄 루프 제어).
또한, 기지국(200)의 송수신장치(210)는 이동국(100)의 송수신장치(110)와 같이, 이동국(100)에서의 수신신호에 대한 수신 SIR를 근거로 송신전력 제어비트를 결정하고, 송신전력 제어비트를 이동국(100)에 송신한다. 또한, 기지국(200)의 송수신장치(210)는 이동국(100)에서의 송신전력 제어비트에 따라서 송신전력 제어를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기지국(200)과 이동국(100)간 정보 데이터의 전송이 개시되기 전에, 종래의 시스템과 같이, 기지국(200)과 이동국(100)은, 공통 제어 채널을 이용하여 다양한 정보의 송수신을 수행하고, 그후, 상기 각종의 정보에 따라서 결정된 개별 채널(확산부호 채널)을 이용하여 소정의 포맷으로 되는 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하며, 동기화하기 위한 처리를 수행한다. 이러한 동기화를 위한 처리의 기본적인 단계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와 같은 동기화하기 위한 처리 과정에서, 이동국(100)에서의 동기화가 확립되면(도 21에 도시된 ③), 송수신 장치(110)의 동기상태 판정부(130)에서 출력되는 동기확립 신호를 토대로 하는 송신개시/정지제어부(127)의 제어에 의해, 무선송신부(122)에서 소정 포맷의 신호 송신이 개시된다(도 21에 도시된 ④). 그리고, 그 신호에 대한 송신전력 제어가 예를 들면, 도 15에 도시된다. 송신전력 제어 개시와 동시에, 상기 동기상태 판정부(130)에서의 송신개시 신호①에 의해 폐쇄루프 제어 개시 타이밍 결정부(135)의 타이머가 기동된다.
또한, 기지국(200)은, 당초, 이동국(100)에서의 송신을 수신하지 않는 상태에서, 다운링크 송신을 개시하여야 하기 때문에(도 21의 ①참조), 예를 들면, 종래의 시스템과 같이, 연속적으로 전력증가를 나타내는 패턴의 송신전력 제어비트(1,1,1,1,..)을 송신한다.
도 15에 있어서, 이동국(100)에서의 동기가 확립되어, 시각 t1에서 소정의 포맷신호가 무선 송신부(122)로부터 송신될 때, 점차 상승 비트 패턴 생성부(125)로부터의 점차 상승 비트 패턴(1,1,0,1,1,0,...)이 스위치(126)을 통해 송신전력 제어부(123)에 공급된다. 송신전력 제어부(123)은 점차 상승 비트패턴에 따라서, 무선 송신부(122)의 송신전력을 예를 들면, 전반손실 등에 따라 결정된 초기값 P0부터 순차적으로 상승시킨다. 이 경우, 송신전력의 상승특성은, 기지국(200)에서의 송신전력 제어비트(1,1,1,1,...)를 토대로 한 송신전력의 변화(2점 쇄선 참조) 보다 완만하게 변화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송신전력이 점차로 상승되면서 무선송신부(122)에서 상기 소정의 신호가 송신되는 과정에서, 그 신호에 따라서 기지국(200)에서 동기 인입이 이루어져(도 21의 ⑤), 예를 들어, 시각 t21에서 기지국(200)에서의 동기가 확립되면, 기지국(200)은 상기와 같은 연속적인 전력증가를 나타내는 송신전력 제어비트(1,1,1,1...)를 대신하여, 이동국(100)에서의 신호에 대한 수신 SIR에 따라서 결정된 송신전력 제어비트의 출력을 개시한다.
상기 기지국(200)에서의 동기가 확립되는 시각 t21에서는, 폐쇄루프 제어개시 타이밍 결정부(135)는 타이머의 계측시간이 소정시간(자율 제어기간 Ts)에 도달된 것으로 판정하지 않기 때문에, 전력제어부(123)는 점차 상승 비트 패턴에 따른 송신전력 제어를 계속한다. 그리고, 시각 t3에 있어서, 폐쇄루프 제어개시 타이밍 결정부(135)에서 타이머의 계측시간이 소정시간에 도달한 것으로 판정되면, 폐쇄루프 제어개시 타이밍 결정부(135)에서 절환 제어신호가 출력된다. 이러한 절환 제어신호에 의해 스위치(126)는, 송신전력 제어부(123)를 송신전력 제어비트 추출부(119)에 접속시키는 상태로 절환된다. 이후, 해당 이동국(100)으로부터의 신호의 수신SIR에 따라서 결정된 기지국(200)에서의 송신전력 제어비트에 따라서 무선송신부(122)의 송신전력 제어(폐쇄 루프 제어)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기지국(200)에서의 송신전력 제어비트에 따라서 무선 송신부(122)의 송신전력이 제어됨으로써, 상기 시각 t3 이후의 송신전력은, 점차적으로 저하되어, 기지국(200)에서의 수신 SIR이 목표 SIR에 유지될 수 있는 적정의 값으로 유지 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소정의 타이밍에서 이동국(100)의 송수신장치(110)는 전송할 데이터를 포함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실질적인 업링크 회선통신을 개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지국(200)과 이동국(100)간의 정보 데이터 전송이 개시되기 전의, 이동국에서의 송신전력 제어에 의하면, 이동국(100)에서 동기가 확립된 후에 해당 이동국(100)에서 신호를 송신할 때 점차상승 비트 패턴(1,1,0,1,1,0...)에 따라서 송신전력의 제어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송신전력이 종래의 시스템과 같이 급격하게 상승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이러한 점차 상승 비트 패턴에 따른 송신전력 제어에서도, 기지국(200)의 수신품질(수신SIR)이 소망하는 품질(목표SIR)로 유지가능한 정도의 송신전력 값으로 비교적 빠른 시기에 도달하기 때문에, 기지국(200)에서의 동기도 비교적 빠르게 확립될 수 있다.
상기 폐쇄루프 제어 개시 타이밍 결정부(135)의 타이머에 설정되는 소정시간은, 상기 점차 상승 비트에 따른 송신전력 제어가 이루어지면서 이동국(100)에서 송신되는 신호에 따라서 기지국(200)에서 동기 확립에 필요하다고 예상되는 시간에 따라서 결정된다. 통상적으로, 그 소정시간은 예상되는 시간보다 약간 긴 시간으로 설정된다. 그러나, 이동국(100)과 기지국(200)간의 전송로의 상태에 따라서 기지국(200)의 동기 확립에 상기 소정시간보다 긴 시간을 요구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차 상승 비트 패턴에 따른 송신전력 제어로부터 기지국(200)에서의 송신전력 제어비트에 따른 송신전력으로, 절환되는 시각 t3에서 기지국(200)에서의 동기가 실제적으로 확립되는 시각 t22 사이 동안, 기지국(200)에서 연속해서 전력증가를 나타내는 송신전력 제어비트(1,1,1,1...)에 따른 송신전력 제어가 이루어진다. 이 경우, 시각 t3에서 시각 t22까지, 송신전력은 상승하지만, 통상시에는, 시각 t3과 시각 t22 사이의 시간은 근소하기 때문에, 이동국(100)에서 소비되는 송신전력의 증가분도 비교적 작아진다(도 15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특성참조).
한편, 시각 t3에서 시각 t22간의 시간이 길어지는 경우는, 기지국(100)과 이동국(200)간의 전송로 상태가 매우 나빠지는 경우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기지국(200)에서의 동기를 확립하기 위하여 본래 이동국(100)의 송신전력을 충분히 큰 값으로 제어해야하기 때문에, 시각 t3과 시각 t22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연속하는 전력증가를 나타내는 송신전력 제어비트를 토대로 하는 송신전력 제어가 필요하게 된다.
상기 폐쇄루프 제어개시 타이밍 결정부(135)는 예를 들면, 도 16에 도시된 단계에 따라서 송신전력 제어를 절환하기 위한 절환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이 예에서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루프 제어개시 타이밍 결정부(135)는 상기 송신개시/정지제어부(127)에서의 송신개시 신호①와 동시에, 송신전력 제어비트 추출부(119)에서 추출되는 기지국(200)에서의 송신전력 제어비트②의 상태에 따라서 송신전력 제어의 절환 타이밍을 결정한다.
또한, 폐쇄루프 제어개시 타이밍 결정부(135)에 의한 도 16에 도시된 단계에 따른 처리에 의해, 이동국(200)의 무선송신부(122)의 송신전력은 예를 들면,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화한다.
도 16에 있어서, 상기 송신 개시신호①에 따라서 무선송신부(122)에서 기지국(200)에서의 동기 확립을 위해 이용되는 신호의 송신 개시(업링크 송신개시: 도 21의 ④참조)가 확인되면(S1), 타이머 T가 기동된다 (S2). 그리고, 그 타이머 T의 계측시간이 소정시간 T0에 도달하였는지를 판정한다(S3). 타이머 T의 계측시간이 소정의 시간 T0에 도달하지 않은 상태에서는(S3에서 NO), 상술한 예와 마찬가지로, 송신전력 제어부(123)는 점차상승 비트 패턴 생성부(125)의 점차 상승 비트 패턴에 따라서 무선송신부(122)의 송신전력을 제어한다. 그 결과, 무선송신부(122)의 송신전력은 상기 점차 상승 비트 패턴에 따라서 비교적 완만한 특성을 가지고 점차적으로 상승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예를 들면, 도 17에 도시된 시각 t2 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 T의 계측시간이 소정의 시간 T0에 도달하면, 카운터 n이 0으로 리셋되고(S4), 그 후, 카운터 n이 +1만큼 증가된다(S5). 그리고, 폐쇄루프 제어 개시 타이밍 결정부(135)는, 송신전력 제어비트 추출부(119)에서 추출된 기지국(200)에서의 단일한 송신전력 제어비트의 값 Bn(1 또는 0이며, 이하, TPC 비트값이라고 한다)을 취득한다(S6). 그리고, 그 TPC 비트값 Bn을 이용하여 이동평균값 An이 다음 수학식 1에 의해 연산된다(S8).
Figure 112006054781915-PAT00001
카운터 값 n이 소정의 값 n0에 도달 할 때까지(S8 참조), 카운터 n의 증 가(S5), TPC 비트값 Bn의 취득(S6), 이동 평균값 An의 연산(S7)이 반복되어 실행된다. 그리고, 카운터값 n이 소정의 값 n0에 도달하면(S8에서 YES), 그 시점에서 얻어지는 이동 평균값 An은 연속하는 n0개의 TPC 비트값 B1~Bn0의 평균값이 된다. TPC 비트값은 1 또는 0이고, 그 이동 평균값An은 그 평균값 연산(상기식(1) 참조)에 제공된 1이 되는 TPC 비트값의 수와, 0이 되는 TPC 비트값의 수의 비율을 반영시킨 값이 된다.
즉, 기지국(200)에서 동기가 확립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모두 「1」이 되는 송신전력 제어비트가 기지국(200)에서 출력되기 때문에, 그 이동 평균값 An은 이상적으로는 1이 된다. 한편, 기지국(200)에서의 동기가 확립된 직후에는, 이동국(200)에서의 신호의 수신품질(수신SIR)에 따라서 결정되는 송신전력 제어비트가 기지국(200)에서 출력되기 때문에, TPC 비트값 Bn은 0으로 되는 비율이 높아지고, 그 이동 평균값 An은 1 보다 작아진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카운터 값 n이 소정의 값 n0을 초과하면, TPC 비트값 Bn의 이동 평균값 An이 기준값 α(0< α<1) 이하인지를 판정한다(S9). 그리고, 그 이동 평균값 An이 그 기준값 α이하가 될 때까지, 취득되는 TPC 비트값 Bn을 이용하여 이동평균값 An이 연산된다(S6, S7).
그와 같은 처리(S5, S6, S7, S8, S9)을 반복하여 실행하는 과정에서, 예를 들면, 도 17에 도시된 시각 t3에서 기지국(200)에서의 동기가 확립되면, 그 이후, 기지국(200)에서 0이 되는 송신전력 제어비트가 송신되는 빈도가 높아지고, 도 17에 도시된 시각 t4에서, 그 이동평균값 An이 기준값 α이하가 되면(S9에서 YES), 폐쇄루프 제어 개시 타이밍 결정부(135)는 절환 제어신호를 출력한다(S10).
그 절환 제어신호에 의해 스위치(126)는, 송신전력 제어부(123)에 송신전력 제어비트 추출부(119)을 접속시키는 상태가 되고, 송신전력 제어부(123)는 송신전력 제어비트 추출부(119)에서 추출되는 기지국(200)에서의 송신전력 제어비트를 토대로 무선송신부(122)의 송신전력 제어를 수행한다. 따라서, 도 17에 도시된 시각 t4이후에는, 무선송신부(122)의 송신전력은 순차적으로 저하되고, 이동국(100)의 기지국(200)에서의 수신 SIR이 목표 SIR로 유지될 수 있는 정도의 송신전력값으로 제어되도록 된다.
상기의 예에서는, 기지국(200)에서의 동기가 확립하기 전에 해당 기지국(200)에서 모두 「1」이 되는 송신전력 제어비트가 송신되고, 동기가 확립된 후에는 이동국(100)에서의 신호의 수신품질(수신SIR)에 따라서 결정된 송신전력 제어비트(폐쇄 송신전력 제어비트)가 해당 기지국(200)에서 송신되는 것을 이용하여, 폐쇄루프 제어개시 타이밍 결정부(135)가 기지국(200)에서의 동기가 확립되었는지를 판정한다. 즉, 폐쇄루프 제어 개시 타이밍 결정부(135)는 기지국(200)에서 송신되는 송신전력 제어비트가 모두 「1」이 되는 패턴에서 「0」과 「1」이 혼재하는 패턴으로 변화되는 것을 검출함으로써, 기지국(200)에서의 동기가 확립된 것을 검출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기지국(200)에서 1이 되는 송신전력 제어비트의 수와, 0이되는 송신전력 제어비트의 수의 비율을 토대로, 점차 상승 패턴에 따른 송신전력의 종료 타이밍을 판정하는 것 뿐만 아니라, 0이 되는 송신전력 제어비트의 소정 기간의 누계값에 따라서 판정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7에 있어서, 시각 t2에서 시각 t4까지의 시간은, 도 16의 S5~S9의 처리를 반복하여 실행하고 있는 기간(감시기간Tw)이 된다. 이러한 감시기간(Tw)에서는 기지국(200)에서의 송신전력 제어비트가 감시되는 것과 동시에, 점차 상승 비트패턴에 따라 무선송신기(122)의 송신전력 제어가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기지국(200)에서의 송신전력 제어비트의 감시는, 이동국(100)에서의 신호 송신이 개시된 시각t2에서 개시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예에서는, 이동국(100)에서의 신호 송신이 개시된 시각 t2에서 소정시간 T0은 상술한 바와 같은 송신전력 제어의 감시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 때문에, 이 기간에 송신전력 제어비트의 수신오류가 발생하여도, 그 오류비트는 상기 감시의 대상이 되지 않는다. 송신전력 제어비트의 패턴의 변화가 예상되는 기간만큼 해당 송신전력 비트의 감시를 수행하여도 무방하므로, 이동국(100)에서의 처리 부담이 저감된다.
이동국(100)의 송수신장치(110)는 예를 들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도 있다. 이 예에서, 이동국(100)에서의 동기가 확립되어 해당 이동국(100)에서 소정의 포맷의 신호를 기지국(200)으로 송신할 때, 기지국(200)에서 송신되는 송신전력 제어비트를 근거로 그 송신전력 제어비트에 의한 송신전력의 변화보다 완만하게 변화하는 특성에 따라서 송신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송신전력 제어정보(이하, 1/N 송신전력 제어비트라고 함)를 생성한다. 그리고, 그 1/N 송신전력 제어비트에 따라서 이동국(100)의 송신전력을 제어하도록 한다. 또한, 도 18에 있어서, 도 14와 같은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한다.
도 18에 있어서, 송수신장치(110)는 상술한 예와 동일하게, 송수신 분리부(111)를 공통적으로 이용하는 수신계 및 송신계를 갖는다. 해당 수신계는, 상기한 예와 동일하게, 무선수신부(112), 오류 정정 부호/오류 검출부(113), 오류율 측정부(114), SIR 측정부(115), SIR 비교부(116), 목표 SIR 결정부(117), 송신전력 제어비트 결정부(118), 송신전력 제어비트 추출부(119) 및 동기상태 판정부(13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송신계는 상기한 예와 같이, 무선송신부(122) 및 송신개시/정지제어부(127)을 포함한다.
송신계는, 또한, 송신전력 제어부(123a), 1/N 송신전력 제어부(123b), 제어절환 스위치(128)을 포함한다. 제어 절환 스위치(128)은 소정의 제어부(미도시)에의한 절환 제어신호에 의해, 무선송신부(122)을 1/N 송신전력 제어부(123b)로 접속시키는 상태에서, 무선 송신부(122)를 송신전력 제어부(123a)에 접속시키는 상태로 절환된다. 송신전력 제어부(123a)는 송신전력 제어비트 추출부(119)에서 추출되는 기지국(200)에서의 송신전력 제어비트가 스위치(128)를 통해 공급되면, 그 송신전력 제어비트를 근거로 무선송신부(122)의 전력제어가 이루어진다. 각 송신전력 제어비트는 1 슬롯에 할당되어 있고, 송신전력 제어부(123a)는 그 송신전력 제어비트에 따라서, 무선송신부(122)의 송신전력을 슬롯마다 갱신한다.
1/N 송신전력 제어부(123b)는 송신전력 제어비트 추출부(119)에서 추출된 기지국(200)에서의 송신전력 제어비트를 N비트(예를 들면, 3비트)씩 주사하여, 그 중에서 가장 많은 값이 되는 대표비트(이하, 1/N 송신전력 제어비트라고 함)을 결정한다. 그리고, 1/N 송신전력 제어부(123b)는 그 1/N 송신전력 제어비트에 따라서 N 슬롯마다 무선 송신부의 송신전력을 갱신한다.
예를 들면,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국(100)에서의 동기가 확립되고, 무선 송신부(122)에서 소정 포맷의 신호 송신이 시각 t1에서 개시되면, 1/N 송신전력 제어부(123b)가 송신전력 제어비트에서 생성되는 1/N 송신전력 제어비트를 토대로 무선송신부(122)의 송신전력을 초기값에서 3 슬롯(N=3)마다 갱신한다.
예를 들면,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전력 제어비트가
1 1 1 1 1 1 1 0 1 1 1 1 1 0 1 1 1 1 1 0 0 0 0 0 0 0 1 1 1 0 0 1 1
이 되는 경우,
1/N 송신전력 제어비트는
ㆍ1ㆍㆍ1ㆍㆍ1ㆍㆍ1ㆍㆍ1ㆍㆍ1ㆍㆍ0ㆍㆍ0ㆍㆍ0ㆍㆍ1ㆍㆍ1...
이 된다.
이와 같은 1/N 송신전력 제어비트를 근거로 3 슬롯마다 갱신되도록 제어되는 송신전력은, 원래의 송신전력 제어비트를 토대로 각 슬롯마다 갱신되도록 제어되는 송신전력 보다 완만하게 변화한다 (도 19의 점선 특성, 및 실선의 특성 참조). 따라서, 낭비적인 전력소비 없이 기지국(200)에서의 동기가 확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송신전력 제어가 이루어짐과 동시에 이동국(100)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토대로, 예를 들면, 도 19에 도시된 시각 t2에 있어서, 기지국(200)에서의 동기가 확립되면, 이후, 기지국(200)은 이동국(100)에서의 신호 수신품질(수신SIR)에 따라서 결정되는 송신전력 제어비트를 송신한다.
이동국(100)에서는, 1/N 송신전력 제어부(123b)가 송신전력 제어비트 추출 부(119)에서 추출된 상기 송신전력 제어비트에서 상기한 방법에 따라서, 1/N 송신전력 제어비트를 결정하고, 그 1/N 송신전력 제어비트에 따라서 상기와 같은 송신전력 제어를 계속한다. 그리고, 미리 결정된 소정의 타이밍이 되면(도 19에서의 시각 t3), 소정의 제어부에서의 절환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절환 스위치(128)은 무선송신부(122)를 송신전력 제어부(123a)로 접속시키는 상태로 절환한다.
이것에 의해, 송신전력 제어부(123a)는 송신전력 제어비트 추출부(119)에서 추출된 기지국(200)에서의 송신전력 제어비트를 토대로 무선송신부(122)의 송신전력을 슬롯마다 갱신한다.
기지국(200)에서의 동기가 확립된 후(시각t2 이후), 이동국(100)에서 기지국(200)으로 송신된 신호의 수신품질(수신 SIR)이 안정화되면, 그 수신신호 품질과 목표품질의 차이에 따라서 결정되는 송신전력 제어비트에 따른 송신전력 제어후의 송신전력의 변동폭은 비교적 작아진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기지국(200)에서의 송신전력 제어비트를 토대로 각 슬롯마다 갱신되는 송신전력의 변동과, 1/N 송신전력 제어비트를 근거로 3 슬롯마다 갱신되는 송신전력의 변동의, 차이는 커지지 않는다(도 19에 있어서 시각 t2 이후의 실선 및 파선의 변동참조). 따라서, 상기 1/N 송신전력 제어비트에 따른 송신전력 제어에서 원래의 송신전력 제어비트에 따른 송신전력 제어로의 절환 타이밍(시각 t3)은, 비교적 러프하게 또한 늦게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예에서는, 송신전력 제어비트를 N 비트씩 주사하여, 그 중에서 가장 많은 값이 되는 비트를 1/N 송신전력 제어비트로서 결정하지만, 그 N 비트마다 평균 값 등에 따라서 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각 예에서, 점차 상승 비트 패턴에 따른 송신전력 제어는, 자율제어 단계(수단)에 대응하고, 폐쇄루푸 제어개시 타이밍 결정부(135)는 자율제어 정지조건 판정단계(수단)에 대응하고, 스위치(126)는 제어절환 단계(수단)에 대응한다.
또한, 도 18에 도시된 1/N 송신전력 제어부(123b)는 완만 특성 송신전력 제어단계(수단)에 대응하고, 도 18에 도시된 절환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소정의 제어부는 완만 특성 송신전력 제어정지 판정단계(수단)에 대응하고, 도 18에 도시된 제어절환 스위치(128)는 제어 절환단계(수단)에 대응한다.
본 발명은 이동국이 복수의 기지국과 무선통신을 할 때, 이동국과 각 기지국간의 전파 전송로의 상태를 보다 충실히 고려하여 이동국의 송신전력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송신전력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송신전력 제어 장치에서 송신전력 제어가 이루어지는 이동국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통신장치와 신호의 무선송수신을 하여 수신신호 품질을 토대로 결정된 상기 다른 통신장치에서의 송신전력 제어에 필요한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송신하는 통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신신호품질이 연속해서 소정의 품질보다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수 있도록 한 송신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송신전력 제어장치를 구비한 통신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국과 기지국간에서 정보 데이터의 전송이 개시되기 전에 가능한한 신속하게 동기 확립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이동국에서 낭비없는 송신 전력이 되도록 제어가 가능한 송신전력 제어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송신전력 제어방법에 따라 송신전력의 제어가 이루어지는 이동국을 제공한다.

Claims (20)

  1.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과 이동국간의 정보 데이터의 전송이 개시되기 전에, 기지국이 이동국의 송신전력에 필요한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송신함과 동시에, 기지국과 이동국간에 신호를 송수신하여 동기화를 위한 처리가 수행될 때 이동국에서의 송신전력을 제어하는, 송신전력 제어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에 대한 이동국에서의 동기가 확립된 후에, 기지국으로부터의 송신전력제어정보와 관계없이, 송신전력을 초기값에서 소정의 특성에 따라 상승시키도록 제어하는 자율 제어단계를 포함하는 송신전력 제어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율 제어단계는,
    상기 기지국의 송신전력 제어정보에 기초한 송신전력 제어에 의한 송신전력의 변화보다 완만하게 변화하는 특성에 따라서 송신전력을 상승시키도록 제어하는 송신전력 제어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자율 제어단계에 의한 송신전력 제어가 개시된 후에, 상기 자율제어단계에 의한 송신전력의 제어를 정지시키기 위한 소정의 조건이 만족되었는지를 판정하는 자율제어 정지조건 판정단계; 및
    상기 자율제어 정지조건 판정단계에 의해 상기 소정의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정된 경우, 상기 자율 제어단계에 의한 송신전력 제어로부터,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송신전력 제어정보에 기초한 송신전력의 제어로, 절환하는 제어 절환단계;를 포함하는 송신전력 제어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자율제어 정지조건 판정단계는,
    상기 자율제어단계에 의한 송신전력의 제어가 개시된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였는지를 판정하고, 상기 자율 제어단계에 의한 송신전력의 제어가 개시된 후 상기 소정의 시간이 경과된 것으로 판정한 것을 상기 소정의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정하는 송신전력 제어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해당 기지국에서의 동기가 확립되기 전에는 소정의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이동국으로부터의 신호를 기초로 해당 기지국에서의 동기가 확립된 후에는 이동국에서 송신되는 신호의 수신품질에 따라서 결정된 폐쇄 루프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송신하도록 하며,
    상기 자율제어 정지조건 판정단계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송신전력 제어정보가 상기 소정의 송신전력 제어정보에서 폐쇄루프 송신전력 제어정보로 절환되었는지를 판정하는 제어정보 절환 판정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정보 절환 판정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송신전력 제어정보가 상기 소정의 송신전력 제어정보에서 폐쇄루프 송신전력 제어정보로 절 환된 것으로 판정하는 것을, 상기 소정의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정하는 송신전력 제어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자율 제어 정지조건 판정단계는, 상기 자율 제어 단계에 의한 송신전력 제어가 개시된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었는지를 판정하는 개시 타이밍 판정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개시 타이밍 판정단계에서 상기 자율 제어단계에 의한 송신전력 제어가 개시된 후 상기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상기 제어정보 절환판정단계에 따른 판정을 개시하는 송신전력 제어방법.
  7.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과 이동국간의 정보데이터 전송이 개시되기 전에, 기지국이 이동국의 송신전력 제어에 필요한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송신함과 동시에, 기지국과 이동국간에 신호를 송수신하여 동기화를 위한 처리가 수행될 때 이동국에서의 송신전력을 제어하는, 송신전력 제어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에 대한 이동국에서의 동기가 확립된 후에,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기초로 제어되는 송신전력의 변화특성보다 완만하게 변화하는 특성으로 송신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완만 특성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기초로 한 송신전력을 제어하는 완만 특성 송신전력 제어단계를 포함하는 송신전력 제어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완만 특성 송신전력 제어단계에 의한 송신전력 제어가 개시된 후에, 상기 완만 특성 송신전력 제어단계에 의한 송신전력의 제어를 정지시키기 위한 소정의 조건이 만족되었는지를 판정하는 완만 특성 송신전력 제어정지 판정단계; 및
    상기 완만 특성 송신전력 제어정지 판정단계에 의해 상기 소정의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상기 완만 특성 송신전력 제어단계에 의한 송신전력의 제어로부터,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송신전력 제어를 기초로 한 송신전력의 제어로, 절환하는 제어 절환단계를 포함하는 송신전력 제어방법.
  9.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과 이동국간의 정보 데이터의 전송이 개시되기 전, 기지국에서 이동국의 송신전력 제어에 필요한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송신함과 동시에, 기지국과 이동국간에 신호를 송수신하여 동기화를 위한 처리가 수행될 때 이동국에서의 송신전력을 제어하는, 송신전력 제어장치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에 대한 이동국에서의 동기가 확립된 후에, 기지국으로부터의 송신전력 제어정보와 관계없이, 송신전력을 초기값에서 소정 특성에 따라 상승시키도록 제어하는 자율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송신전력 제어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자율 제어수단은, 상기 기지국의 송신전력 제어정보에 기초한 송신전력 제어에 의한 송신전력의 변화보다 완만하게 변화하는 특성에 따라서 송신전력을 상승시키도록 제어하는 송신전력 제어장치.
  11.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자율제어수단에 의한 송신전력의 제어가 개시된 후에, 상기 자율제어수단에 의한 송신전력의 제어를 정지시키기 위한 소정의 조건이 만족되었는지를 판정하는 자율제어 정지조건 판정수단; 및
    상기 자율제어 정지조건 판정수단에 의해 상기 소정의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정될 경우, 상기 자율 제어수단에 의한 송신전력의 제어로부터,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송신전력 제어정보에 기초한 송신전력의 제어로, 절환하는 제어 절환수단;을 포함하는 송신전력 제어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자율제어 정지조건 판정수단은,
    상기 자율 제어수단에 의한 송신전력의 제어가 개시된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였는지를 판정하도록 하고, 상기 자율 제어수단에 의한 송신전력의 제어가 개시된 후 상기 소정의 시간이 경과된 것으로 판정한 것을 상기 소정의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정하는 송신전력 제어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해당 기지국에서의 동기가 확립되기 전에는 소정의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이동국으로부터의 신호를 기초로 해당 기지국에서의 동기가 확립된 후에는 이동국에서 송신되는 신호의 수신품질에 따라서 결정되는 폐쇄 루프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송신하도록 하며,
    상기 자율제어 정지조건 판정수단은, 상기 기지국에서 수신되는 송신전력 제어정보가 상기 소정의 송신전력 제어정보에서 폐쇄루프 송신전력 제어정보로 절환되었는지를 판정하는 제어정보 절환 판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정보 절환 판정수단에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송신전력 제어정보가 상기 소정의 송신전력 제어정보에서 폐쇄 루프 송신전력 제어정보로 절환된 것으로 판정하는 것을, 상기 소정의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정하는 송신전력 제어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자율 제어 정지조건 판정수단은, 상기 자율 제어수단에 의한 송신전력제어가 개시된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였는지를 판정하는 개시 타이밍 판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개시 타이밍 판정수단에서 상기 자율 제어수단에 의한 송신전력 제어가 개시된 후 상기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상기 제어정보 절환 판정수단에 의한 판정을 개시하는 송신전력 제어장치.
  15.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과 이동국간의 정보 데이터 전송이 개시되기 전에, 기지국이 이동국의 송신전력 제어에 필요한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송신함과 동시에, 기지국과 이동국간에 신호를 송수신하여 동기화를 위한 처리가 수행될 때에 이동국에서의 송신전력을 제어하는, 송신전력 제어장치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에 대한 이동국에서의 동기가 확립된 후에, 각 기지국으로부터의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기초로 제어되는 송신전력의 변화특성보다 완만하게 변화하는 특성으로 송신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완만 특성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기초로 한 송신전력을 제어하는 완만 특성 송신전력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송신전력 제어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완만 특성 송신전력 제어수단에 의한 송신전력 제어가 개시된 후에, 상기 완만 특성 송신전력 제어수단에 의한 송신전력의 제어를 정지시키기 위한 소정의 조건이 만족되었는지를 판정하는 완만 특성 송신전력 제어정지 판정수단; 및
    상기 완만 특성 송신전력 제어정지 판정수단에 의해 상기 소정의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정된 경우, 상기 완만 특성 송신전력 제어수단에 의한 송신전력의 제어로부터,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송신전력 제어를 기초로 한 송신전력에 제어로, 절환하는 제어절환수단;을 포함하는 송신전력 제어장치.
  17. 송신전력 제어에 필요한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송신하는 기지국에 대해 정보 데이터의 전송이 이루어지기 전에,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신호를 송신하여 동기화하 기 위한 처리가 이루어질 때에, 송신전력을 제어하는 송신전력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이동국에 있어서,
    상기 송신전력 제어장치는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에 대한 상기 이동국에서의 동기가 확립된 후에, 기지국으로부터의 송신전력 제어정보와 관계없이 송신전력을 초기값으로부터 소정의 특성에 따라서 상승시키도록 제어하는 자율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이동국.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전력 제어장치는,
    상기 자율 제어수단에 의한 송신전력의 제어가 개시된 후, 상기 자율 제어수단에 의한 송신전력의 제어를 정지시키기 위한 소정의 조건이 만족되었는지를 판정하는 자율제어 정지조건 판정수단; 및
    상기 자율제어 정지조건 판정수단에 의해 상기 소정의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정될 때에, 상기 자율 제어수단에 의한 송신전력의 제어로부터,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기초로 한 송신전력의 제어로, 절환하는 제어 절환수단;을 포함하는 이동국.
  19. 송신전력 제어에 필요한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송신하는 기지국에 대해 정보 데이터의 전송이 이루어지기 전에,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신호를 송신하여 동기화하기 위한 처리가 이루어질 때에, 송신전력을 제어하는 송신전력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이동국에 있어서,
    상기 송신전력 제어장치는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에 대한 이동국에서의 동기가 확립된 후에,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기초로 제어되는 송신전력의 변화특성보다 완만하게 변화하는 특성으로 송신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완만 특성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기초로 한 송신전력을 제어하는 완만 특성 송신전력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이동국.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전력 제어장치는,
    상기 완만 특성 송신전력 제어수단에 의한 송신전력 제어가 개시된 후에, 상기 완만 특성 송신전력 제어수단에 의한 송신전력의 제어를 정지시키기 위한 소정의 조건이 만족되었는지를 판정하는 완만 특성 송신전력 제어정지 판정수단; 및
    상기 완만 특성 송신전력 제어정지 판정수단에 의해 상기 소정의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정될 때에, 상기 완만 특성 송신전력 제어수단에 의한 송신전력의 제어로부터, 상기 기지국의 송신전력제어에 따른 송신전력의 제어로, 절환하는 제어절환수단;을 포함하는 이동국.
KR1020067015443A 2001-07-24 2002-07-23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송신전력 제어장치와 방법,이동국 및 통신장치 KR1006192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223652 2001-07-24
JPJP-P-2001-00223652 2001-07-24
JPJP-P-2001-00233872 2001-08-01
JP2001233872 2001-08-01
JPJP-P-2001-00245100 2001-08-10
JP2001245100 2001-08-10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0195A Division KR100749900B1 (ko) 2001-07-24 2002-07-23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송신전력 제어장치와 방법,이동국 및 통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0737A true KR20060090737A (ko) 2006-08-14
KR100619223B1 KR100619223B1 (ko) 2006-09-07

Family

ID=27347220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5443A KR100619223B1 (ko) 2001-07-24 2002-07-23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송신전력 제어장치와 방법,이동국 및 통신장치
KR1020067000195A KR100749900B1 (ko) 2001-07-24 2002-07-23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송신전력 제어장치와 방법,이동국 및 통신장치
KR1020037005656A KR100737775B1 (ko) 2001-07-24 2002-07-23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송신전력 제어장치, 방법 및 이동국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0195A KR100749900B1 (ko) 2001-07-24 2002-07-23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송신전력 제어장치와 방법,이동국 및 통신장치
KR1020037005656A KR100737775B1 (ko) 2001-07-24 2002-07-23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송신전력 제어장치, 방법 및 이동국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7277721B2 (ko)
EP (3) EP1411650B1 (ko)
JP (1) JP4113840B2 (ko)
KR (3) KR100619223B1 (ko)
CN (5) CN1225094C (ko)
AU (1) AU2002320680B9 (ko)
CA (1) CA2423261C (ko)
WO (1) WO20030109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21431B1 (en) * 1998-12-21 2010-02-24 Hitachi, Ltd.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t power in a communication system
US7330446B2 (en) * 2001-09-21 2008-02-12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losed-loop power control method for a code-division multiple-access cellular system
US20070169073A1 (en) * 2002-04-12 2007-07-19 O'neill Patrick Update package generation and distribution network
JP2004064142A (ja) * 2002-07-24 2004-02-26 Ntt Docomo Inc 送信電力制御方法、これに用いて好適な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基地局及び移動局
CN100568769C (zh) * 2003-06-16 2009-12-09 株式会社Ntt都科摩 控制装置及无线控制方法
JP2005012429A (ja) * 2003-06-18 2005-01-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移動通信端末及びハンドオーバ制御方法
JP2007520908A (ja) * 2003-06-28 2007-07-26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無線通信システム
US8000284B2 (en) * 2003-07-15 2011-08-16 Qualcomm Incorporated Cooperative autonomous and scheduled resource allocation for a distributed communication system
US7483709B2 (en) * 2003-07-18 2009-01-27 Nec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ith improved trackability of transmission power control
WO2005013123A1 (en) * 2003-07-29 2005-02-10 Bitfone Corporation Mobile handset with update agent implemented in hardware
JP4304292B2 (ja) * 2003-07-30 2009-07-29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移動通信端末及びそれに用いるパワーコントロール方法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
GB0319361D0 (en) * 2003-08-18 2003-09-17 Nokia Corp A method of and system for wireless communication
WO2005041427A1 (ja) * 2003-10-24 2005-05-0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電力測定装置、電力制御装置、無線通信装置及び電力測定方法
JP2005159685A (ja) * 2003-11-26 2005-06-16 Nec Corp 送信電力制御システムおよび制御方法
CN100586044C (zh) * 2004-03-01 2010-01-27 日本电气株式会社 无线电基站设备和传输功率控制方法
US7583975B2 (en) * 2004-03-08 2009-09-01 Intel Corporation Adaptive transmit power control in wireless devices
US7904895B1 (en) * 2004-04-21 2011-03-08 Hewlett-Packard Develpment Company, L.P. Firmware update in electronic devices employing update agent in a flash memory card
US7437175B2 (en) * 2004-05-06 2008-10-1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Synchronization detection methods and apparatus
US7657275B2 (en) * 2004-05-07 2010-02-02 Qualcomm Incorporated Mitigation of transmit power spikes for a power-controlled data transmiss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489909B2 (en) * 2004-06-18 2009-02-10 Mediatek In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TX power amplifier
TWI244257B (en) * 2004-06-18 2005-11-21 Mediatek Inc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of transmission power amplifier
US8897828B2 (en) 2004-08-12 2014-11-25 Intellectual Ventures Holding 81 Llc Power contro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526940B1 (en) 2004-08-17 2013-09-03 Palm, Inc. Centralized rules repository for smart phone customer care
JP2006074322A (ja) * 2004-09-01 2006-03-16 Nec Corp 基地局、移動局およびその送信電力制御方法
JP4305341B2 (ja) * 2004-09-09 2009-07-29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無線基地局、無線基地局制御装置、送信電力制御方法
JP2006081126A (ja) * 2004-09-13 2006-03-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移動局装置および上り回線伝送レート制御方法
JP4418334B2 (ja) * 2004-09-13 2010-02-1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移動局装置および上り回線送信電力制御方法
CN100428837C (zh) * 2004-09-29 2008-10-2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无线链路拆链策略优化方法
EP1830481B1 (en) * 2004-12-02 2016-02-17 ZTE Corporation An adjustment method for control threshold of terminal forward transmission power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2006186757A (ja) * 2004-12-28 2006-07-13 Nec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送信電力制御方法およびその装置。
US7916681B2 (en) * 2005-05-20 2011-03-2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channel error rate estimation
EP1734666A1 (en) * 2005-06-17 2006-12-20 Fujitsu Limited Resource management in multi-hop communication system
US8023955B2 (en) * 2005-08-22 2011-09-20 Sony Corporation Uplink resource allocation to control intercell interferen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4050295B2 (ja) * 2005-11-10 2008-02-20 株式会社東芝 通信システム、移動通信端末装置及び制御局
US20070149132A1 (en) 2005-12-22 2007-06-28 Junyl Li Methods and apparatus related to selecting control channel reporting formats
JP4684888B2 (ja) 2005-12-28 2011-05-18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電力制御方法
JP2007195076A (ja) 2006-01-20 2007-08-02 Nec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とその送信電力制御方法および装置
JP4684124B2 (ja) 2006-02-16 2011-05-18 富士通株式会社 移動局装置及び同装置における送信電力制御方法
US20070207800A1 (en) * 2006-02-17 2007-09-06 Daley Robert C Diagnostics And Monitoring Services In A Mobile Network For A Mobile Device
JP2007243505A (ja) * 2006-03-08 2007-09-20 Nec Corp 移動体通信システム、無線基地局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送信電力制御方法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
WO2007105402A1 (ja) * 2006-03-10 2007-09-20 Nec Corporation 移動体通信システム、無線基地局装置、および送信電力制御方法
WO2007119752A1 (ja) * 2006-04-11 2007-10-25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移動機の送信電力制御装置および送信電力制御方法
JP5036212B2 (ja) 2006-04-21 2012-09-26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その送信電力制御方法
EP2025095A2 (en) 2006-06-08 2009-02-1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evice management in a network
JP2008011285A (ja) * 2006-06-30 2008-01-17 Fujitsu Ltd 送信電力制御装置及び送信電力制御方法
EP2047420A4 (en) 2006-07-27 2009-11-18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 USER EXPERIENCE AND DEPENDENCE MANAGEMENT IN A MOBILE DEVICE
KR100761536B1 (ko) 2006-09-26 2007-09-2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씨디엠에이(cdma) 이동통신망에서의 역방향 전력제어파라미터 값의 선택 방법
US8050701B2 (en) * 2006-10-13 2011-11-01 Qualcomm Incorporated Reverse link power control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8160633B2 (en) * 2006-10-27 2012-04-17 Nec Corporation Transmitted power control method and mobile terminal device
JP4634362B2 (ja) 2006-12-11 2011-02-1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体通信システム、移動体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移動端末、そ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移動体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同期確立判定方法
US7917164B2 (en) * 2007-01-09 2011-03-29 Alcatel-Lucent Usa Inc. Reverse link power control
EP1944896A1 (en) 2007-01-09 2008-07-1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nfiguration of control channel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1162972B1 (ko) 2007-01-09 2012-07-09 알카텔-루센트 유에스에이 인코포레이티드 역방향 링크 전력 제어
DE102007003495A1 (de) * 2007-01-24 2008-07-31 Siemens Ag Verfahren zur Abstandscharakterisierung bei induktiv gekoppleten Zugangssystemen
DE102007012051B4 (de) * 2007-03-13 2011-09-22 Gigaset Communications Gmbh Verfahren zum Einstellen einer Sendeleistung
US8744510B2 (en) * 2007-03-13 2014-06-03 Pranav Dayal Power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communications
US7966011B2 (en) * 2007-03-26 2011-06-21 Qualcomm Incorporated Determining per sector received power level
WO2008136651A2 (en) * 2007-05-08 2008-11-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 power control management in hspa
US7817752B2 (en) * 2007-05-17 2010-10-19 Research In Motion Limited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detecting values of a space-time block code using selective decision-feedback detection
EP2171883B1 (en) * 2007-06-28 2016-04-1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arrangements in a cellular telecommunication system
EP2187539B1 (en) * 2007-08-06 2013-12-11 Fujitsu Limited Base station apparatus and uplink sinr measuring method
US8200270B2 (en) * 2007-08-20 2012-06-12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ethod for adusting power at a node
JP4383480B2 (ja) * 2007-11-15 2009-12-1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端末及び移動通信端末における送信電力制御方法
JP4954096B2 (ja) * 2008-01-10 2012-06-13 株式会社リコー 通信装置、通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5125645B2 (ja) * 2008-03-18 2013-01-23 富士通株式会社 通信方法および通信装置
WO2009115541A2 (en) * 2008-03-19 2009-09-24 Nokia Siemens Networks Oy Transmission power reduction in interference limited nodes
WO2009128456A1 (ja) * 2008-04-18 2009-10-22 京セラ株式会社 移動局装置および送信電力制御方法
JP2010081543A (ja) * 2008-09-29 2010-04-08 Kyocera Corp 無線通信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US8520630B2 (en) * 2008-11-17 2013-08-27 Wichoru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edicting handover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8185146B2 (en) * 2009-07-24 2012-05-22 Clearwire Ip Holdings Llc Quality of service based downlink power allocation
JP5609252B2 (ja) * 2009-07-31 2014-10-22 ソニー株式会社 送信電力割当て方法、通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531767B2 (ja) * 2009-07-31 2014-06-25 ソニー株式会社 送信電力制御方法、通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8688132B2 (en) * 2009-09-07 2014-04-0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Sensing wireless transmissions from a licensed user of a licensed spectral resource
US9294925B2 (en) 2010-03-29 2016-03-22 Kyocera Corporation Low power base station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US8406773B1 (en) * 2010-05-18 2013-03-26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Adaptive power control based on radio frequency conditions
US8340679B1 (en) * 2010-05-18 2012-12-25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Adaptive power control with an overall power control command
CN102378344B (zh) * 2010-08-05 2014-06-04 财团法人资讯工业策进会 功率分配装置及功率分配方法
CN102404836B (zh) * 2010-09-16 2015-05-2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Tpc命令获取方法及装置
JP5089754B2 (ja) * 2010-10-29 2012-12-05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基地局及び送信電力制御方法
GB2479076C (en) * 2011-05-03 2014-08-13 Broadcom Corp Uplink transmission power control mechanism
EP2749093B1 (en) * 2011-10-06 2017-06-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Power controller, method, computer progra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JP5357949B2 (ja) * 2011-10-25 2013-12-04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ベンチャーズ ホールディング 81 エルエルシー 無線通信システムでの複合型開ループ/閉ループ電力制御
EP2773075B1 (en) * 2011-10-27 2017-09-13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through uplink
CN103139889B (zh) * 2011-11-28 2015-09-09 华为技术有限公司 D2d的功率控制方法、用户设备、基站和通讯系统
JP5947878B2 (ja) * 2012-02-29 2016-07-06 京セラ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移動通信方法、無線基地局及び無線端末
CN104380811B (zh) * 2012-06-15 2018-09-14 Lg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增强多输入多输出mimo信号的设备及其方法
US9215017B2 (en) * 2013-06-18 2015-12-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puting system with decoding sequence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JP6817562B2 (ja) * 2016-10-18 2021-01-2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端末及び通信方法
US10892800B1 (en) 2020-01-06 2021-01-12 Nucurrent, Inc.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power transfer including pulse width encoded data communications
US11303164B2 (en) 2020-07-24 2022-04-12 Nucurrent, Inc. Low cost communications demodulation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US11303165B2 (en) 2020-07-24 2022-04-12 Nucurrent, Inc. Low cost communications demodulation for wireless power receiver system
EP4186166A1 (en) * 2020-07-24 2023-05-31 NuCurrent, Inc. Low cost communications demodulation for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US11431205B2 (en) 2021-02-01 2022-08-30 Nucurrent,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ceiver beaconing in wireless power systems
US11431204B2 (en) 2021-02-01 2022-08-30 Nucurrent, Inc. Automatic gain control for communications demodulation in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s
US11277035B1 (en) 2021-02-01 2022-03-15 Nucurrent, Inc. Automatic gain control for communications demodulation in wireless power transmitters
US11277031B1 (en) 2021-02-01 2022-03-15 Nucurrent, Inc. Automatic gain control for communications demodulation in wireless power transmitters
US11811244B2 (en) 2021-02-01 2023-11-07 Nucurrent, Inc. Automatic gain control for communications demodulation in wireless power transmitters
US11569694B2 (en) 2021-02-01 2023-01-31 Nucurrent, Inc. Automatic gain control for communications demodulation in wireless power receivers
US11277034B1 (en) 2021-02-01 2022-03-15 Nucurrent,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ceiver beaconing in wireless power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56109A (en) * 1989-11-07 1991-10-08 Qualcom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in a cdma cellular mobile telephone system
JP2974274B2 (ja) 1994-05-12 1999-11-10 エヌ・ティ・ティ移動通信網株式会社 送信電力制御方法および送信電力制御装置
DE29508522U1 (de) * 1995-05-23 1995-09-21 Heck Wolfgang Eine Uhr, insbesondere eine Armband-, Taschen- oder Tischuhr
JP3212019B2 (ja) * 1996-05-20 2001-09-25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Cdma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送信電力制御方法およびcdma移動通信システム
FI103082B (fi) * 1996-05-27 1999-04-15 Nokia Telecommunications Oy Yhteydenmuodostusmenetelmä ja radiojärjestelmä
ES2386279T3 (es) * 1996-06-27 2012-08-16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Unidad de abonado y método para controlar la potencia de transmisión durante el establecimiento de un canal en un sistema de comunicación de AMDC
JP2839014B2 (ja) * 1996-07-05 1998-12-16 日本電気株式会社 符号分割多重方式セルラシステムの送信電力制御方法
CA2247357C (en) 1996-12-26 2003-06-10 Ntt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Inc. Method for handover
EP1571857A3 (en) 1997-06-04 2007-09-05 NTT DoCoMo, Inc. Mobile radio communiction system, mobile sta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versity hand-over branch
JP3202658B2 (ja) * 1997-06-20 2001-08-27 日本電気株式会社 可変レートcdma送信電力制御方式
CA2239201C (en) * 1997-08-12 2003-08-05 Nec Corporation Mobile station and a method of reducing interference among radio channels in the mobile station
JP3011236B2 (ja) 1997-08-12 2000-02-21 日本電気株式会社 符号分割多重セルラー移動無線通信システムの送信電力制御方法及び方式
US5960347A (en) * 1997-10-09 1999-09-28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Seamless handoff system and method
KR100503614B1 (ko) 1998-01-16 2005-07-25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송신전력 제어방법, 이동국, 기지국 및 기록매체
JP3310209B2 (ja) * 1998-01-28 2002-08-05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通信チャネル選択方法および基地局装置
JP3913879B2 (ja) 1998-02-03 2007-05-09 富士通株式会社 移動速度に基づく通信制御装置および方法
AU736168B2 (en) * 1998-04-25 2001-07-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wer level arbitration between base station and mobile st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3204310B2 (ja) 1998-08-12 2001-09-04 日本電気株式会社 Cdma移動通信システムおよびその下り送信電力制御方法
JP3780397B2 (ja) 1998-09-07 2006-05-3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圧電素子の分極装置
JP3358565B2 (ja) * 1998-11-02 2002-12-24 日本電気株式会社 送信電力制御方法、送信電力制御装置、移動局、基地局及び制御局
JP2000151500A (ja) * 1998-11-05 2000-05-30 Nec Saitama Ltd Cdma送信電力制御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US6269239B1 (en) * 1998-12-11 2001-07-31 Nortel Network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to combine power control commands during soft handoff in DS/CDMA cellular systems
EP1821431B1 (en) 1998-12-21 2010-02-24 Hitachi, Ltd.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t power in a communication system
JP4108858B2 (ja) 1998-12-21 2008-06-25 株式会社日立コミュニケーションテクノロジー 符号分割多元接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送信電力制御方法
JP3750390B2 (ja) 1999-01-08 2006-03-01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体通信における呼制御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US6463296B1 (en) * 1999-02-16 2002-10-08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Power control in a CDMA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JP3968190B2 (ja) 1999-03-06 2007-08-2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送受信装置
DE60045498D1 (de) 1999-04-02 2011-02-17 Ntt Docomo Inc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Fadingfrequenzentscheidung
JP3670526B2 (ja) 1999-08-05 2005-07-13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ダイバーシティハンドオーバ制御方法、移動局および移動通信システム
JP2001177470A (ja) * 1999-12-21 2001-06-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移動局装置、基地局装置および送信電力制御方法
JP3398700B2 (ja) * 1999-12-21 2003-04-21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送信電力制御方式
JP3414357B2 (ja) * 2000-04-25 2003-06-09 日本電気株式会社 Cdma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送信電力制御方式
US6587697B2 (en) * 2001-05-14 2003-07-01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Common control channel uplink power control for 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techniqu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84387A (zh) 2005-10-19
EP2134130A3 (en) 2012-10-03
CN1684385A (zh) 2005-10-19
AU2002320680B2 (en) 2005-03-17
US20040005906A1 (en) 2004-01-08
CN1225094C (zh) 2005-10-26
KR20030042475A (ko) 2003-05-28
EP1411650B1 (en) 2014-11-26
KR100619223B1 (ko) 2006-09-07
EP2136595B1 (en) 2018-07-04
US7277721B2 (en) 2007-10-02
KR100737775B1 (ko) 2007-07-11
CA2423261A1 (en) 2003-03-20
US20070129096A1 (en) 2007-06-07
AU2002320680B9 (en) 2005-08-04
EP2136595A2 (en) 2009-12-23
CN1465147A (zh) 2003-12-31
CN1684386A (zh) 2005-10-19
KR100749900B1 (ko) 2007-08-21
EP2136595A3 (en) 2012-10-03
US7643845B2 (en) 2010-01-05
CN100468986C (zh) 2009-03-11
CN100571058C (zh) 2009-12-16
JPWO2003010903A1 (ja) 2004-11-18
EP1411650A4 (en) 2008-08-20
CA2423261C (en) 2009-10-06
EP1411650A1 (en) 2004-04-21
EP2134130B1 (en) 2017-02-22
CN100481751C (zh) 2009-04-22
WO2003010903A1 (fr) 2003-02-06
KR20060007461A (ko) 2006-01-24
CN100435494C (zh) 2008-11-19
EP2134130A2 (en) 2009-12-16
JP4113840B2 (ja) 2008-07-09
CN1684388A (zh) 2005-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9223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송신전력 제어장치와 방법,이동국 및 통신장치
KR100289568B1 (ko) 사이트 다이버시티를 이용한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다운링크 송신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EP1265449B1 (en) Scheduling,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selection in a CDMA system
US7069039B2 (en) Transmission power control method and transmission power control device
US6272354B1 (en) Method for adjusting transmit power during call set-up, and a cellular radio system
EP1133079B1 (en) Communication system, transmitter and receiver, and communication method
KR100559805B1 (ko) 폐루프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기준값의 갱신을 송수신기지국에서 실현하는 cdma 이동 통신 시스템
US20060019610A1 (en) Radio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ransmission rate
JPH10173593A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の送信電力制御装置
US20050277415A1 (en) Control of interfrequency handovers
US20070218934A1 (en) Communication Terminal and Transmission Power Control Method
JP4343917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送信電力制御装置及び方法並びに移動局及び通信装置
JP2002084578A (ja) 基地局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JP4186212B2 (ja) 高速送信レート時の可変レート通信方法および装置
JP3857597B2 (ja) 無線通信装置および送信電力制御方法
JP2005277610A (ja) 送信電力制御システム、基地局及びそれらに用いる送信電力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