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2435A - 표시 장치, 그 구동 방법 및 표시 장치용 구동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그 구동 방법 및 표시 장치용 구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2435A
KR20060072435A KR1020040111073A KR20040111073A KR20060072435A KR 20060072435 A KR20060072435 A KR 20060072435A KR 1020040111073 A KR1020040111073 A KR 1020040111073A KR 20040111073 A KR20040111073 A KR 20040111073A KR 20060072435 A KR20060072435 A KR 200600724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arallel
serial
unit
sensing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1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0828B1 (ko
Inventor
이주형
어기한
최영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11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0828B1/ko
Priority to US11/315,088 priority patent/US7973777B2/en
Priority to TW094145843A priority patent/TWI401641B/zh
Priority to CN2009101502292A priority patent/CN101587701B/zh
Priority to CN2008101755408A priority patent/CN101398730B/zh
Priority to CNA2005101351097A priority patent/CN1794336A/zh
Priority to CN2008101755465A priority patent/CN101398731B/zh
Priority to JP2005373509A priority patent/JP4908844B2/ja
Publication of KR20060072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24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0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08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lowering clock frequenc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15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87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switching off individual functional units in the computer syst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6Multi-sensing digitiser, i.e. digitiser using at least two different sensing technologies simultaneously or alternatively, e.g. for detecting pen and finger, for saving power or for improving position det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5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ine communication networks, e.g. low power modes or reduced link 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 장치, 그 구동 방법 및 표시 장치용 구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 구동 장치는 광감지부로부터의 광감지 신호 및 접촉 감지부로부터의 접촉 감지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 증폭부로부터의 증폭된 광감지 신호 및 증폭된 접촉 감지 신호를 직렬 감지 신호로 변환하는 병렬-직렬 변환기, 그리고 직렬 감지 신호를 디지털 감지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를 포함한다. 이때 증폭부, 병렬-직렬 변환기 및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는 접촉 감지 신호에 따라 정상 모드와 절전 모드로 나누어 동작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접촉이 없으면 절전 모드로 동작하여 신호 판독부의 일부에 전원을 공급하지 않음으로써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고, 낮은 주파수를 가지는 클록 신호에 동기하여 동작하므로 더욱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다.
표시 장치, 액정 표시 장치, 신호 판독부, 절전 모드, 증폭부, 병렬-직렬 변환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Description

표시 장치, 그 구동 방법 및 표시 장치용 구동 장치 {DISPLAY DEVICE, DRIVING METHOD THEREOF, AND DRIVING APPARATUS FOR DISPLAY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광감지부를 포함하는 화소에 대한 등가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접촉 감지부를 포함하는 화소에 대한 등가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신호 판독부가 구현되어 있는 IC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신호 판독부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신호 판독부가 구현되어 있는 복합 IC의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표시 장치, 그 구동 방법 및 표시 장치용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는 화소 전극 및 공통 전극이 구비된 두 표시판과 그 사이에 들어 있는 유전율 이방성(dielectric anisotropy)을 갖는 액정층을 포함한다. 화소 전극은 행렬의 형태로 배열되어 있고 박막 트랜지스터(TFT) 등 스위칭 소자에 연결되어 한 행씩 차례로 데이터 전압을 인가 받는다. 공통 전극은 표시판의 전면에 걸쳐 형성되어 있으며 공통 전압을 인가 받는다. 화소 전극과 공통 전극 및 그 사이의 액정층은 회로적으로 볼 때 액정 축전기를 이루며, 액정 축전기는 이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와 함께 화소를 이루는 기본 단위가 된다.
이러한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두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액정층에 전계를 생성하고, 이 전계의 세기를 조절하여 액정층을 통과하는 빛의 투과율을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화상을 얻는다. 이때, 액정층에 한 방향의 전계가 오랫동안 인가됨으로써 발생하는 열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프레임별로, 행별로, 또는 화소별로 공통 전압에 대한 데이터 전압의 극성을 반전시킨다.
최근 이러한 액정 표시 장치에 센서를 구비한 제품이 개발되어 왔다. 센서는 사용자의 손 또는 터치 펜(touch pen) 등이 액정 표시 장치의 화면에 접촉하면 이에 따른 센서의 출력 변화를 감지하여 액정 표시 장치에 제공한다. 액정 표시 장치는 이로부터 접촉 여부 및 접촉 위치 등의 접촉 정보를 판단하여 외부 장치로 전송하며, 외부 장치는 접촉 정보에 기초한 영상 신호를 액정 표시 장치에 전송한 다. 이러한 센서는 액정 표시 장치에 별도의 터치 패널을 부착하여 형성할 수도 있으나 이러한 액정 표시 장치는 두께 및 무게가 증가되며, 정밀한 문자나 그림을 표현하기 어렵다. 따라서 박막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 센서를 화소 내부에 형성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왔다.
한편 휴대폰이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과 같은 중소형 액정 표시 장치는 휴대용이므로 소비 전력을 줄이는 것이 장시간의 휴대 및 이동성을 용이하게 한다. 그런데 센서의 출력 신호를 읽어 들이는 신호 판독부는 액정 표시 장치가 켜져 있는 상태에서는 항상 센서의 출력 신호를 읽는 상태를 유지한다. 이 경우 신호 판독부가 지속적으로 전력을 소모하므로 액정 표시 장치의 전력 소모가 커진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력 소비를 절감할 수 있는 표시 장치, 그 구동 방법 및 표시 장치용 구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광감지부 및 접촉 감지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구동하는 장치는, 상기 광감지부로부터의 광감지 신호 및 상기 접촉 감지부로부터의 접촉 감지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 상기 증폭부로부터의 상기 증폭된 광감지 신호 및 상기 증폭된 접촉 감지 신호를 직렬 감지 신호로 변환하는 병렬-직렬 변환기, 그리고 상기 직렬 감지 신호를 디지털 감지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를 포함하며, 상기 증폭부, 상기 병 렬-직렬 변환기 및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는 상기 접촉 감지 신호에 따라 정상 모드와 절전 모드로 나누어 동작한다.
상기 증폭부는 상기 광감지 신호를 증폭하는 제1 증폭부 및 상기 접촉 감지 신호를 증폭하는 제2 증폭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증폭부는 상기 절전 모드에서 전원 공급이 차단될 수 있다.
상기 제1 증폭부와 상기 병렬-직렬 변환기 사이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증폭부로부터의 상기 증폭된 광감지 신호에 대하여 표본을 추출하고 유지하는 제1 표본 유지부, 그리고 상기 제2 증폭부와 상기 병렬-직렬 변환기 사이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증폭부로부터의 상기 증폭된 접촉 감지 신호에 대하여 표본을 추출하고 유지하는 제2 표본 유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표본 유지부는 상기 절전 모드에서 전원 공급이 차단될 수 있다.
상기 병렬-직렬 변환기는 상기 정상 모드에서 동작하는 제1 병렬-직렬 변환기와 상기 절전 모드에서 동작하는 제2 병렬-직렬 변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병렬-직렬 변환기는 제1 클록 신호에 동기하여 상기 증폭된 광감지 신호 및 상기 증폭된 접촉 감지 신호를 제1 직렬 감지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제2 병렬-직렬 변환기는 상기 제1 클록 신호의 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를 가지는 제2 클록 신호에 동기하여 상기 증폭된 접촉 감지 신호를 제2 직렬 감지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정상 모드에서 상기 제1 병렬-직렬 변환기를 선택하고 상기 절전 모드에서 상기 제2 병렬-직렬 변환기를 선택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병렬-직렬 변환기는 상기 절전 모드에서 전원 공급이 차단되고, 상기 제2 병렬-직렬 변환기는 상기 정상 모드에서 전원 공급이 차단될 수 있다.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는 상기 정상 모드에서 제1 클록 신호에 동기하여 동작하며, 상기 절전 모드에서 상기 제1 클록 신호의 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를 가지는 제2 클록 신호에 동기하여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접촉 감지 신호에 따라 접촉이 된 것으로 판단되면 정상 모드로 동작하고, 소정 시간 동안 접촉이 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절전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감지부 및 접촉 감지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구동하는 장치는, 상기 광감지부로부터의 광감지 신호 및 상기 접촉 감지부로부터의 접촉 감지 신호를 각각 증폭하는 제1 및 제2 증폭부, 상기 제1 및 제2 증폭부로부터의 상기 증폭된 광감지 신호 및 상기 증폭된 접촉 감지 신호를 직렬 감지 신호로 변환하는 병렬-직렬 변환기, 그리고 상기 직렬 감지 신호를 디지털 감지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를 포함하며, 상기 접촉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증폭부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상기 제1 증폭부와 상기 병렬-직렬 변환기 사이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증폭부로부터의 상기 증폭된 광감지 신호에 대하여 표본을 추출하고 유지하는 제1 표본 유지부, 그리고 상기 제2 증폭부와 상기 병렬-직렬 변환기 사이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증폭부로부터의 상기 증폭된 접촉 감지 신호에 대하여 표본을 추출하고 유지하는 제2 표본 유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접촉 감지 신호에 따라 상 기 제1 표본 유지부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병렬-직렬 변환기 및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는 상기 접촉 감지 신호에 따라 제1 클록 신호 및 상기 제1 클록 신호의 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를 가지는 제2 클록 신호 중 어느 하나에 동기하여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감지부 및 접촉 감지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구동하는 장치는, 상기 광감지부로부터의 광감지 신호 및 상기 접촉 감지부로부터의 접촉 감지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 상기 증폭부로부터의 증폭된 상기 광감지 신호 및 상기 접촉 감지 신호를 직렬 감지 신호로 변환하는 병렬-직렬 변환기, 그리고 상기 직렬 감지 신호를 디지털 감지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를 포함하며, 상기 병렬-직렬 변환기 및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는 상기 접촉 감지 신호에 따라 제1 클록 신호 및 상기 제1 클록 신호의 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를 가지는 제2 클록 신호 중 어느 하나에 동기하여 동작한다.
상기 병렬-직렬 변환기는 상기 제1 클록 신호에 동기하여 동작하는 제1 병렬-직렬 변환기와 상기 제2 클록 신호에 동기하여 동작하는 제2 병렬-직렬 변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병렬-직렬 변환기는 상기 증폭된 광감지 신호 및 상기 증폭된 접촉 감지 신호를 제1 직렬 감지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제2 병렬-직렬 변환기는 상기 증폭된 접촉 감지 신호를 제2 직렬 감지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접촉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병렬-직렬 변환기와 상기 제2 병렬-직렬 변환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복수의 화소, 복수의 광감지부, 복수의 접촉 감지부, 상기 광감지부 및 상기 접촉 감지부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감지 신호선, 영상 신호를 데이터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화소에 인가하는 데이터 구동부, 상기 광감지부로부터의 광감지 신호 및 상기 접촉 감지부로부터의 접촉 감지 신호를 받아 소정 신호 처리를 행하며, 상기 접촉 감지 신호에 따라 정상 모드와 절전 모드로 나누어 동작하는 신호 판독부, 그리고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영상 신호를 받고 상기 데이터 구동부 및 상기 신호 판독부를 제어하는 신호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신호 판독부는, 상기 광감지 신호 및 상기 접촉 감지 신호를 각각 증폭하는 제1 및 제2 증폭부, 상기 제1 증폭부로부터의 상기 증폭된 광감지 신호 및 상기 제2 증폭부로부터의 상기 증폭된 접촉 감지 신호를 제1 직렬 감지 신호로 변환하는 제1 병렬-직렬 변환기, 상기 제2 증폭부로부터의 상기 증폭된 접촉 감지 신호를 제2 직렬 감지 신호로 변환하는 제2 병렬-직렬 변환기,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직렬 감지 신호를 디지털 감지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 상기 신호 판독부 및 상기 신호 제어부는 하나의 IC 칩 안에 집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감지부 및 접촉 감지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상기 접촉 감지부로부터의 접촉 감지 신호를 판독하는 제1 판독 단계, 상기 제1 판독 단계에서의 상기 접촉 감지 신호에 따라 접촉 여부를 판단하 는 제1 판단 단계, 상기 광감지부로부터의 광감지 신호와 함께 상기 접촉 감지부로부터의 접촉 감지 신호를 판독하는 제2 판독 단계, 그리고 상기 제2 판독 단계에서의 상기 접촉 감지 신호에 따라 접촉 여부를 판단하는 제2 판단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판단 단계에서 접촉이 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제2 판독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제2 판단 단계에서 소정 시간 동안 접촉이 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제1 판독 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제1 판단 단계에서 접촉이 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제1 판독 단계를 유지하고, 상기 제2 판단 단계에서 접촉이 된 후 상기 소정 시간 이내라고 판단하면 상기 제2 판독 단계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광감지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판독 단계는 상기 증폭부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광감지 신호 및 상기 접촉 감지 신호를 직렬 신호로 변환하는 병렬-직렬 변환기 및 상기 직렬 신호를 디지털 감지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판독 단계는 상기 병렬-직렬 변환기 및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를 제1 클록 신호에 동기시켜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판독 단계는 상기 병렬-직렬 변환기 및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를 상기 제1 클록 신호의 주파수보다 높은 주파수를 가지는 제2 클록 신호에 동기시켜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광감지 신호와 함께 상기 접촉 감지 신호를 직렬 신호로 변환하는 제1 병렬-직렬 변환기 및 상기 접촉 감지 신호를 직렬 신호로 변환 하는 제2 병렬-직렬 변환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판독 단계는 상기 제1 병렬-직렬 변환기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판독 단계는 상기 제2 병렬-직렬 변환기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그 구동 방법 및 표시 장치용 구동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광감지부를 포함하는 화소에 대한 등가 회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접촉 감지부를 포함하는 화소에 대한 등가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신호 판독부가 구현되어 있는 IC의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신호 판독부의 개략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신호 판독부가 구현되어 있는 복합 IC의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판 조립체(liquid crystal panel assembly)(300) 및 이에 연결된 영상 주사부(400), 데이터 구동부(500), 감지 주사부(700), 신호 판독부(800), 데이터 구동부(500)에 연결된 계조 전압 생성부(550), 그리고 이들을 제어하는 신호 제어부(600)를 포함한다.
액정 표시판 조립체(300)는 등가 회로로 볼 때 복수의 신호선(G1-Gn, D1-D m, S1-SN, P1-PM, PSG, PSD)과 이에 연결되어 있으며 대략 행렬의 형태로 배열된 복수의 화소(pixel)를 포함한다.
신호선(G1-Gn, D1-Dm)은 영상 주사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영상 주사선(G1-Gn)과 영상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데이터선(D1-Dm)을 포함한다. 영상 주사선(G1-Gn)은 대략 행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서로가 거의 평행하고 데이터선(D1-Dm)은 대략 열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서로가 거의 평행하다.
신호선(S1-SN, P1-PM)은 감지 주사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감지 주사선(S1-SN)과 감지 신호를 전달하는 감지 신호선(P1-PM)을 포함한다. 감지 주사선(S 1-SN)은 대략 행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서로가 거의 평행하고 감지 신호선(P1-PM)은 대략 열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서로가 거의 평행하다.
신호선(PSG, PSD)은 제어 전압(VSG)을 전달하는 제어 전압선(PSG )과 입력 전압(VSD)을 전달하는 입력 전압선(PSD)을 포함하며, 행 또는 열 방향으로 뻗어 있다.
각 화소는 신호선(G1-Gn, D1-Dm)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QS1 )와 이에 연결된 액정 축전기(liquid crystal capacitor)(CLC) 및 유지 축전기(storage capacitor)(CST)를 포함한다. 유지 축전기(CST)는 필요에 따라 생략할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 등 스위칭 소자(QS1)는 삼단자 소자로서 그 제어 단자 및 입력 단자는 각각 영상 주사선(G1-Gn) 및 데이터선(D1-Dm)에 연결되어 있으며, 출력 단자는 액정 축전기(CLC) 및 유지 축전기(CST)에 연결되어 있다.
액정 축전기(CLC)는 액정 표시판 조립체(300)의 하부 표시판의 화소 전극(도시하지 않음)과 상부 표시판의 공통 전극(도시하지 않음)을 두 단자로 하며 두 전극 사이의 액정층은 유전체로서 기능한다. 화소 전극은 스위칭 소자(Qs1)에 연결되며 공통 전극은 상부 표시판의 전면에 형성되어 있고 공통 전압(Vcom)을 인가받는다. 공통 전극이 하부 표시판에 구비되는 경우도 있으며 이때에는 두 전극 중 적어도 하나가 선형 또는 막대형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액정 축전기(CLC)의 보조적인 역할을 하는 유지 축전기(CST)는 하부 표시판에 구비된 별개의 신호선(도시하지 않음)과 화소 전극이 절연체를 사이에 두고 중첩되 어 이루어지며 이 별개의 신호선에는 공통 전압(Vcom) 따위의 정해진 전압이 인가된다. 그러나 유지 축전기(CST)는 화소 전극이 절연체를 매개로 바로 위의 전단 게이트선과 중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색 표시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각 화소가 삼원색 중 하나를 고유하게 표시하거나(공간 분할) 각 화소가 시간에 따라 번갈아 삼원색을 표시하게(시간 분할) 하여 이들 삼원색의 공간적, 시간적 합으로 원하는 색상이 인식되도록 한다. 공간 분할의 한 예로서 각 화소가 화소 전극에 대응하는 영역에 적색, 녹색, 또는 청색의 색필터(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소는 광감지부를 포함하는데, 이는 신호선(PSG, PSD)에 연결된 감지 소자(QP), 신호선(S1-SN, P1-P M) 중 일부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QS2)와 이들에 연결된 감지 신호 축전기(CP)를 포함한다. 그러나 모든 화소가 이러한 광감지부를 포함할 필요는 없고 광감지부의 해상도는 필요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즉, 복수의 화소 중 하나의 화소가 광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액정 표시판 조립체(300)에서 소정 간격마다 광감지부를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정 표시 장치의 해상도가 QVGA(quarter video graphics array, 240*320 도트)인 경우, 광감지부의 해상도가 QVGA이면 3개의 화소 당 하나의 광감지부가 배치되며, 광감지부의 해상도가 QQVGA(quarter QVGA, 120*160 도트)이면 12개의 화소 당 하나의 광감지부가 배치된다. 여기서 1 도트는 3개의 화소가 모여 하나의 영상을 표시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감지 소자(QP)는 삼단자 소자로서 그 제어 단자 및 입력 단자는 각각 제어 전압선(PSG)과 입력 전압선(PSD)에 연결되어 있으며, 출력 단자는 감지 신호 축전기(CP) 및 스위칭 소자(QS2)에 연결되어 있다. 감지 소자(QP)는 그 채널부 반도체에 빛이 조사되면 비정질 규소 또는 다결정 규소로 이루어진 채널부 반도체가 광전류를 형성하고, 입력 전압선(PSD)에 인가된 입력 전압(VSD)에 의해 광전류가 감지 신호 축전기(CP) 및 스위칭 소자(QS2) 방향으로 흐른다.
감지 신호 축전기(CP)는 감지 소자(QP)와 제어 전압선(PSG) 사이에 연결되어 있고, 감지 소자(QP)로부터의 광전류에 따른 전하를 축적하여 소정 전압을 유지한다. 감지 신호 축전기(CP)는 필요에 따라 생략할 수 있다.
스위칭 소자(QS2) 역시 삼단자 소자로서 그 제어 단자, 출력 단자 및 입력 단자는 각각 감지 주사선(S1-SN), 감지 신호선(P1-PM) 및 감지 소자(QP)에 연결되어 있다. 스위칭 소자(QS2)는 감지 주사선(S1-SN)에 스위칭 소자(QS2 )를 턴 온시키는 전압이 인가되면 감지 신호 축전기(CP)에 저장되어 있는 전압 또는 감지 소자(QP)로부터의 광전류를 광감지 신호(VP)로서 해당 감지 신호선(P1-PM)으로 출력한다.
한편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부의 화소는 접촉 감지부를 포함한다. 접 촉 감지부는 공통 전압(Vcom)에 연결되어 있는 스위치(SWT), 스위치(SWT)와 신호선(PSG)에 연결된 감지 소자(QT) 및 신호선(S1-SN, P1-P M) 중 일부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QS3)를 포함한다.
접촉 감지부는 신호선(S1-SN, P1-PM)이 교차하는 화소 중 광감지부가 없는 화소에 포함되어 있으며, 접촉 감지부의 해상도는 필요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스위치(SWT)는 사용자의 접촉에 따라 공통 전압(Vcom)을 감지 소자(QT)에 전달한다.
감지 소자(QT)는 삼단자 소자로서 그 제어 단자 및 입력 단자는 각각 제어 전압선(PSG)과 스위치(SWT)에 연결되어 있으며, 출력 단자는 스위칭 소자(QS3)에 연결되어 있다. 감지 소자(QT)는 스위치(SWT)로부터 전달된 공통 전압(Vcom)에 따른 누설 전류를 출력한다.
스위칭 소자(QS3) 역시 삼단자 소자로서 그 제어 단자, 출력 단자 및 입력 단자는 각각 감지 주사선(S1-SN), 감지 신호선(P1-PM) 및 감지 소자(QT)에 연결되어 있다. 스위칭 소자(QS3)는 감지 주사선(S1-SN)에 스위칭 소자(QS3 )를 턴 온시키는 전압이 인가되면 감지 소자(QT)로부터의 누설 전류를 접촉 감지 신호(VT)로서 해당 감지 신호선(P1-PM)으로 출력한다.
하나의 감지 신호선(P1-PM)에 광감지부 및 접촉 감지부가 함께 연결될 수도 있으나, 광감지부 및 접촉 감지부 중 어느 하나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스위칭 소자(QS1, QS2, QS3) 및 감지 소자(QP, QT )는 비정질 규소(amorphous silicon) 또는 다결정 규소(poly crystalline silicon) 박막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광감지부는 사용자가 접촉한 부분에만 그림자가 드리워져 접촉된 위치를 감지할 수 있으나, 접촉 감지부는 사용자의 접촉(압력)에 의하여 유리 등으로 이루어진 액정 표시판 조립체(300)가 넓은 면적에 걸쳐 눌리므로 복수의 스위치(SWT)가 접촉하게 되어 접촉된 위치를 감지하기 어렵고 단지 접촉 여부만을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의 해상도가 낮으면 감지 신호를 처리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으므로 가능한 한 접촉 감지부의 해상도를 낮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접촉 감지부의 해상도가 광감지부의 해상도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며 그렇더라도 접촉 여부를 판단하는 데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한편 광감지부 및 접촉 감지부가 화소 내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광감지부 및 접촉 감지부는 화소 사이 또는 화소 밖의 별도의 영역에 배치될 수도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계조 전압 생성부(550)는 화소의 투과율과 관련된 두 벌의 복수 계조 전압을 생성한다. 두 벌 중 한 벌은 공통 전압(Vcom)에 대하여 양 의 값을 가지고 다른 한 벌은 음의 값을 가진다.
영상 주사부(400)는 액정 표시판 조립체(300)의 영상 주사선(G1-Gn)에 연결되어 게이트 온 전압(Von)과 게이트 오프 전압(Voff)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영상 주사 신호를 영상 주사선(G1-Gn)에 인가한다.
데이터 구동부(500)는 액정 표시판 조립체(300)의 데이터선(D1-Dm)에 연결되어 계조 전압 생성부(550)로부터의 계조 전압을 선택하여 데이터 신호로서 화소에 인가한다.
감지 주사부(700)는 액정 표시판 조립체(300)의 감지 주사선(S1-SN)에 연결되어 게이트 온 전압(Von)과 게이트 오프 전압(Voff)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감지 주사 신호를 감지 주사선(S1-SN)에 인가한다.
신호 판독부(800)는 액정 표시판 조립체(300)의 감지 신호선(P1-PM)에 연결되어 감지 신호선(P1-PM)을 통하여 출력되는 광감지 신호(VP) 및 접촉 감지 신호(VT)를 입력받아 증폭, 필터링 등의 신호 처리를 행한 후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을 하여 디지털 감지 신호(DSN)를 내보낸다.
신호 제어부(600)는 영상 주사부(400), 데이터 구동부(500), 감지 주사부(700), 그리고 신호 판독부(800) 등의 동작을 제어한다.
영상 주사부(400), 데이터 구동부(500), 감지 주사부(700) 또는 신호 판독부 (800)는 복수의 구동 집적 회로 칩의 형태로 액정 표시판 조립체(300) 위에 직접 장착되거나, 가요성 인쇄 회로막(flexible printed circuit film)(도시하지 않음) 위에 장착되어 TCP(tape carrier package)의 형태로 액정 표시판 조립체(300)에 부착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영상 주사부(400), 데이터 구동부(500), 감지 주사부(700) 또는 신호 판독부(800)가 액정 표시판 조립체(300)에 집적될 수도 있다.
한편 액정 표시 장치는 신호 판독부(800)로부터 디지털 감지 신호(DSN)를 받아 접촉 여부 및 접촉 위치를 판단하는 접촉 판단부(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접촉 판단부는 신호 제어부(600)에 포함될 수도 있고, 별도의 집적 회로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집적 회로 칩(IC)으로 구현되어 있는 신호 판독부(800)는 차례로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증폭부(810), 표본 유지부(sample & hold unit)(820), 병렬-직렬 변환기(830) 및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840)와 전원부(850)를 포함한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증폭부(810)는 x개의 증폭부(811)와 y개의 증폭부(812)를 포함한다. 증폭부(811, 812)는 각각 감지 신호선(P1-PM) 중 광감지부 및 접촉 감지부에 연결되어 있는 감지 신호선에 연결되어 있으며, 감지 신호선(P1-PM)을 통하여 전달되는 광감지 신호(VP) 및 접촉 감지 신호(VT )를 각각 입력받아 증폭하고 필터링한다. 여기서 x는 광감지부의 가로 해상도에 해당하며, y(=M-x)는 접촉 감지부의 가로 해상도에 해당한다.
표본 유지부(820)는 제1 및 제2 표본 유지부(821, 822)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표본 유지부(821, 822)는 각각 증폭부(811, 812)에 연결되어 있으며, 증폭된 감지 신호(VP, VT)에 대하여 각각 표본을 추출하고 유지한다.
병렬-직렬 변환기(830)는 복수의 스위칭 트랜지스터(TR1, TR2), 복수의 스위치(SW1, SW2), 시프트 레지스터(831, 832)를 포함한다. 병렬-직렬 변환기(830)는 표본 유지부(820)로부터의 처리된 감지 신호(VP, VT)를 직렬 신호로 변환한다.
스위칭 트랜지스터(TR1)는 삼단자 소자로서, 입력 단자, 출력 단자 및 제어 단자는 각각 제1 및 제2 표본 유지부(821, 822), 신호선(L1) 및 시프트 레지스터(831)에 연결되어 있으며, 처리된 감지 신호(VP, VT)를 시프트 레지스터(831)로부터의 클록 펄스에 따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840)로 내보낸다.
스위칭 트랜지스터(TR2)는 삼단자 소자로서, 입력 단자, 출력 단자 및 제어 단자는 각각 제2 표본 유지부(822), 신호선(L2) 및 시프트 레지스터(832)에 연결되어 있으며, 처리된 접촉 감지 신호(VT)를 시프트 레지스터(832)로부터의 클록 펄스에 따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840)로 내보낸다.
시프트 레지스터(831)는 선택 신호(SDB)에 따라 동작하며 클록 신호(CLK1)에 동기하여 클록 펄스를 스위칭 트랜지스터(TR1)에 차례로 내보낸다. 차례로 턴 온된 스위칭 트랜지스터(TR1)를 통하여 처리된 감지 신호(VP, VT)는 직렬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840)에 입력된다.
시프트 레지스터(832)는 선택 신호(SD)의 전압 레벨이 반전된 신호[이하, 반전 신호(SDB)라 함]에 따라 동작하며 클록 신호(CLK2)에 동기하여 클록 펄스를 스위칭 트랜지스터(TR2)에 차례로 내보낸다. 차례로 턴 온된 스위칭 트랜지스터(TR2)를 통하여 처리된 접촉 감지 신호(VT)는 직렬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840)에 입력된다.
여기서 클록 신호(CLK2)의 주파수(f2)는 클록 신호(CLK1)의 주파수(f1)보다 작은데, 예를 들어 x=2*y라면, f1=3*f2 이다.
한편, 스위치(SW1)는 제2 표본 유지부(822)와 스위칭 트랜지스터(TR1) 사이에 연결되어 있으며, 선택 신호(SD)에 따라 접촉 감지 신호(VT)를 스위칭 트랜지스터(TR1)에 전달한다.
또한 스위치(SW2)는 제2 표본 유지부(822)와 스위칭 트랜지스터(TR2) 사이에 연결되어 있으며, 반전 신호(SDB)에 따라 접촉 감지 신호(VT)를 스위칭 트랜지스터(TR2)에 전달한다.
시프트 레지스터(832)와 스위치(SW2)가 인버터(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여 반전 신호(SDB) 대신 선택 신호(SD)에 따라 동작할 수도 있다.
스위치(SW1)와 스위치(SW2)는 하나의 스위치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 스위치는 선택 신호(SD)에 따라 접촉 감지 신호(VT)를 스위칭 트랜지스터(TR1)와 스위칭 트랜지스터(TR2) 중 어느 하나에 전달한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840)는 선택 신호(SD)에 따라 신호선(L1) 및 신호선 (L2) 중 어느 하나로부터 신호를 입력받는다. 또한 선택 신호(SD)에 따라 클록 신호(CLK1) 및 클록 신호(CLK2)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선택된 클록 신호에 동기하여 동작한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840)는 신호선(L1)을 통하여 입력된 감지 신호(VP, VT)를 클록 신호(CLK1)에 따라 디지털 감지 신호(DSN)로 변환하여 내보내거나, 신호선(L2)을 통하여 입력된 접촉 감지 신호(VT)를 클록 신호(CLK2)에 따라 디지털 감지 신호(DSN)로 변환하여 내보낸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840)는 클록 신호(CLK1, CLK2) 중 어느 하나와 신호선(L1, L2)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하여 먹스(multiplexer, 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전원부(850)는 외부로부터 전원(PW)을 인가받아 각 구동 블록(810-840)에 공급하며 선택 신호(SD)에 따라 증폭부(811), 제1 표본 유지부(821) 및 시프트 레지스터(831)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거나, 시프트 레지스터(832)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한편,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호 판독부(800)는 데이터 구동부(500) 및 신호 제어부(600) 등과 함께 원 칩(one-chip)이라고도 하는 하나의 복합 IC(1000) 안에 집적될 수 있다.
복합 IC(1000)는 계조 전압 생성부(550), 데이터 구동부(500), 복수의 출력 버퍼(510), 인터페이스부(610), 신호 제어부(600), 신호 판독부(800), 그리고 전원부(900)를 포함하며, 신호 판독부(800)는 복수의 증폭부(810), 표본 유지부(820), 병렬-직렬 변환기(830), 그리고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840)를 포함한다.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접촉 판단부도 복합 IC(1000)에 포함될 수 있다.
계조 전압 생성부(550), 데이터 구동부(500), 신호 제어부(600) 및 신호 판독부(800)는 앞서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출력 버퍼(510)는 데이터선(D1-Dm)에 연결되어 있으며 데이터 구동부(500)로부터의 데이터 전압을 데이터선(D1-Dm)에 내보낸다.
출력 버퍼(510) 및 증폭부(810)의 수효는 데이터선(D1-Dm) 및 감지 신호선(P1-PM)의 수효에 따라 각각 결정되며, 앞에서 예를 든 것처럼, 액정 표시 장치와 감지부의 해상도가 모두 QVGA이면, 출력 버퍼(510)의 수효는 증폭부(810)의 수효의 세 배가 된다. 이때 출력 버퍼(510)에 연결된 복합 IC(1000)의 출력 단자와 증폭부(810)에 연결된 복합 IC(1000)의 입력 단자는 번갈아 배치되는데, 출력 단자 3개 당 입력 단자 1개가 배치된다. 액정 표시 장치의 해상도가 QVGA이고, 감지부의 해상도가 QQVGA인 경우 출력 단자 6개 당 입력 단자 1개가 배치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합 IC(1000)의 출력 버퍼(510) 및 증폭부(810)에 관련된 입출력 단자의 배치는 광감지부 및 접촉 감지부의 배치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610)는 외부로부터의 영상 신호(R, G, B) 및 입력 제어 신호(CNT)를 받아들여 신호 제어부(600) 등이 처리할 수 있는 신호로 변환한다.
전원부(900)는 외부로부터 전원(PW)을 인가받아 복합 IC(1000) 내부의 각 구동 블록에 공급하며, 증폭부(811), 제1 표본 유지부(821) 및 시프트 레지스터(831)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거나, 시프트 레지스터(832)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 다.
이와 같이 액정 표시 장치를 구동하는 처리 유닛들(500, 600, 800, 900)을 복합 IC(1000) 안에 집적함으로써 액정 표시판 조립체(300)의 크기를 줄일 수 있으며, 소비 전력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유닛들(500, 600, 800, 900)을 복수의 칩으로 구현하는 것에 비하여 원가도 절감된다.
필요에 따라, 각 처리 유닛 또는 각 처리 유닛에서 사용되는 회로 소자를 복합 IC(1000) 외부에 둘 수도 있으며, 영상 주사부(400) 및/또는 감지 주사부(700)를 복합 IC(1000) 내부에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복합 IC(1000)는 표시 동작 및 감지 동작을 위하여 래치(latch), 레지스터(register), 메모리(memory)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이러한 액정 표시 장치의 표시 동작 및 감지 동작에 대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신호 제어부(600)는 외부의 그래픽 제어기(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입력 영상 신호(R, G, B) 및 이의 표시를 제어하는 입력 제어 신호(CNT), 예를 들면 수직 동기 신호(Vsync)와 수평 동기 신호(Hsync), 메인 클록(MCLK),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 등을 인터페이스부(610)를 통하여 제공받는다. 신호 제어부(600)는 입력 영상 신호(R, G, B)와 입력 제어 신호(CNT)를 기초로 영상 신호(R, G, B)를 액정 표시판 조립체(300)의 동작 조건에 맞게 적절히 처리하고 영상 주사 제어 신호(CONT1) 및 데이터 제어 신호(CONT2) 등을 생성한 후, 영상 주사 제어 신호(CONT1) 를 영상 주사부(400)로 내보내고 데이터 제어 신호(CONT2)와 처리한 영상 신호(DAT)는 데이터 구동부(500)로 내보낸다. 또한 신호 제어부(600)는 입력 제어 신호(CNT)를 기초로 감지 주사 제어 신호(CONT3) 및 판독 제어 신호(CONT4)를 생성한 후, 감지 주사 제어 신호(CONT3)를 감지 주사부(700)에 내보내고 판독 제어 신호(CONT4)를 신호 판독부(800)에 내보낸다.
영상 주사 제어 신호(CONT1)는 게이트 온 전압(Von)의 주사 시작을 지시하는 주사 시작 신호(STV)와 게이트 온 전압(Von)의 출력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클록 신호 등을 포함한다.
데이터 제어 신호(CONT2)는 한 화소행의 데이터 전송을 알리는 수평 동기 시작 신호(STH)와 데이터선(D1-Dm)에 해당 데이터 전압을 인가하라는 로드 신호(LOAD), 공통 전압(Vcom)에 대한 데이터 전압의 극성(이하 "공통 전압에 대한 데이터 전압의 극성"을 줄여 "데이터 전압의 극성"이라 함)을 반전시키는 반전 신호(RVS) 및 데이터 클록 신호(HCLK) 등을 포함한다.
데이터 구동부(500)는 신호 제어부(600)로부터의 데이터 제어 신호(CONT2)에 따라 한 행의 화소에 대한 영상 데이터(DAT)를 입력받아 해당 데이터 전압으로 변환한 후 이를 해당 데이터선(D1-Dm)에 인가한다.
영상 주사부(400)는 신호 제어부(600)로부터의 영상 주사 제어 신호(CONT1)에 따라 게이트 온 전압(Von)을 영상 주사선(G1-Gn)에 인가하여 이 영상 주사선(G1- Gn)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QS1)를 턴 온시키며, 이에 따라 데이터선(D1-D m)에 인가된 데이터 전압이 턴 온된 스위칭 소자(QS1)를 통하여 해당 화소에 인가된다.
화소에 인가된 데이터 전압과 공통 전압(Vcom)의 차이는 액정 축전기(CLC)의 충전 전압, 즉 화소 전압으로서 나타난다. 액정 분자들은 화소 전압의 크기에 따라 그 배열을 달리하며, 이에 따라 액정층을 통과하는 빛의 편광이 변화한다. 이러한 편광의 변화는 표시판에 부착된 편광자(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빛의 투과율 변화로 나타난다.
1 수평 주기(또는 "1H")[수평 동기 신호(Hsync),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의 한 주기]가 지나면 데이터 구동부(500)와 영상 주사부(400)는 다음 행의 화소에 대하여 동일한 동작을 반복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한 프레임(frame) 동안 모든 영상 주사선(G1-Gn)에 대하여 차례로 게이트 온 전압(Von)을 인가하여 모든 화소에 데이터 전압을 인가한다. 한 프레임이 끝나면 다음 프레임이 시작되고 각 화소에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의 극성이 이전 프레임에서의 극성과 반대가 되도록 데이터 구동부(500)에 인가되는 반전 신호(RVS)의 상태가 제어된다("프레임 반전"). 이때, 한 프레임 내에서도 반전 신호(RVS)의 특성에 따라 한 데이터선을 통하여 흐르는 데이터 전압의 극성이 바뀌거나(보기: 행반전, 점반전), 한 화소행에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의 극성도 서로 다를 수 있다(보기: 열반전, 점반전).
감지 주사 제어 신호(CONT3)는 게이트 온 전압(Von)의 주사 시작을 지시하는 감지 주사 시작 신호(STVP)와 게이트 온 전압(Von)의 출력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클록 신호 등을 포함한다.
판독 제어 신호(CONT4)는 선택 신호(SD)와 반전 신호(SDB) 및 클록 신호(CLK1, CLK2) 등을 포함한다.
감지 주사부(700)는 신호 제어부(600)로부터의 감지 주사 제어 신호(CONT3)에 따라 게이트 온 전압(Von)을 감지 주사선(S1-SN)에 인가하여 이 감지 주사선(S1-SN)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QS2, QS3)를 턴 온시키며, 이에 따라 광감지부로부터의 광감지 신호(VP) 및/또는 접촉 감지부로부터의 접촉 감지 신호(VT)가 턴 온된 스위칭 소자(QS2, QS3)를 통하여 해당 감지 신호선(P1-PM)에 인가된다.
감지 신호선(P1-PM)에 인가된 감지 신호(VP, VT)는 증폭부(810)를 통하여 적절한 신호 레벨로 증폭 및 필터링되며, 표본 유지부(820)에 의하여 표본이 추출되고 유지된 후 병렬-직렬 변환기(830)를 통하여 직렬 신호로 변환된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840)는 이러한 직렬 신호를 디지털 감지 신호(DSN)로 변환하여 접촉 판단부로 내보낸다. 접촉 판단부는 이 디지털 감지 신호(DSN)에 대하여 적절한 연산 처리를 행하여 접촉 여부 및 접촉 위치를 알아내고 외부 장치로 내보낸다. 외부 장치는 이에 기초한 영상 신호를 액정 표시 장치에 전송한다.
감지 동작은 앞서 설명한 표시 동작과 별도로 수행되며, 서로 영향을 받지 않는다. 한 화소행에 대한 감지 동작은 광감지부 및 접촉 감지부의 형성 밀도에 따라 1 수평 주기 또는 복수의 수평 주기마다 이루어진다. 또한 한 화소에 대한 감지 동작은 매 프레임마다 반드시 이루어질 필요는 없으며 필요에 따라 복수의 프레임마다 한번씩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전력 소비를 저감할 수 있는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 대하여 도 7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정상 모드(normal mode, NM)와 절전 모드(power saving mode, PS)로 나누어 감지 동작을 수행한다. 정상 모드(NM) 및 절전 모드(PS)는 선택 신호(SD) 및/또는 반전 신호(SDB)에 따라 결정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 표시 장치는 초기화되면 절전 모드(PS)로 동작을 시작한다(S10).
절전 모드(PS)에서는, 스위치(SW1)는 차단되고 스위치(SW2)는 도통되며, 시프트 레지스터(831)는 디스에이블되고 시프트 레지스터(832)는 인에이블된다. 또한 시프트 레지스터(831), 복수의 증폭부(811) 및 제1 표본 유지부(821)에는 전원 공급이 차단되고 시프트 레지스터(832)에는 전원이 공급된다. 시프트 레지스터(832) 및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840)는 클록 신호(CLK2)에 따라 동작한다. 이 모드(PS)에서는 접촉 감지 신호(VT)에 대하여만 디지털 감지 신호(DSN)를 생성하여 접촉 여부를 판단한다.
이와 같이 절전 모드(PS)로 동작 중에는 증폭부(811), 제1 표본 유지부(821), 시프트 레지스터(831)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므로 전력 소비가 줄고, 또한 시프트 레지스터(832) 및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840)가 낮은 주파수를 가지는 클록 신호(CLK2)에 동기하여 동작하므로 더욱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다.
프레임 카운터(FC)는 0으로 초기화된다(S20). 프레임 카운터(FC)는 프레임의 수효를 계수하기 위한 변수로서 정상 모드(NM)에서 절전 모드(PS)로 변환하는 조건에 사용된다.
절전 모드(PS)로 동작 중 접촉 여부를 판단한다(S30).
단계(S30)에서 판단 결과 접촉이 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절전 모드(PS)를 유지하여(S10) 접촉 여부를 계속 판단하고, 접촉이 되었다고 판단되면 동작 모드를 정상 모드(NM)로 변환한다(S40).
정상 모드(NM)에서는, 스위치(SW1)는 도통되고 스위치(SW2)는 차단되며, 시프트 레지스터(831)는 인에이블되고 시프트 레지스터(832)는 디스에이블된다. 또한 시프트 레지스터(831)에는 전원이 공급되고 시프트 레지스터(832)에는 전원 공급이 차단된다. 시프트 레지스터(831) 및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840)는 클록 신호(CLK1)에 따라 동작한다. 이 모드(NM)에서는 감지 신호(VP, VT) 전체에 대하여 디지털 감지 신호(DSN)를 생성하여 접촉 여부 및 접촉 위치를 판단한다.
정상 모드(NM)로 동작 중 접촉 여부를 판단한다(S50).
단계(S50)에서 판단 결과, 접촉이 되었다고 판단되면 프레임 카운터(FC)를 0 으로 초기화한(S60) 후 정상 모드(NM)를 유지하여(S40) 접촉 여부 및 접촉 위치를 계속 판단한다.
단계(S50)에서 판단 결과, 접촉이 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프레임 카운터(FC)의 값을 1 증가시킨다(S70). 그러고 프레임 카운터(FC)의 값과 설정값(N)을 비교하여(S80) 프레임 카운터(FC)의 값이 설정값(N)과 다르면 정상 모드(NM)를 유지하고(S40), 같으면 절전 모드(PS)로 변환한다(S10). 여기서 설정값(N)은 임의의 자연수이다.
즉, 절전 모드(PS)로 동작 중에 접촉이 감지되면 정상 모드(NM)로 변환하고, 정상 모드(NM)로 동작 중 접촉이 소정 시간 감지되지 않으면 다시 절전 모드(PS)로 변환한다. 이와 같이 접촉이 없는 때에는 절전 모드(PS)로 동작함으로써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다.
지금까지 표시 장치로서 액정 표시 장치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및 플라스마 표시 장치(plasma display panel, PDP) 등의 평판 표시 장치(plat panel display)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접촉이 없으면 절전 모드로 동작하여 신호 판독부의 일부에 전원을 공급하지 않음으로써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고, 또한 시프트 레지스터 및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가 낮은 주파수를 가지는 클록 신호에 동기하여 동작하므로 더욱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29)

  1. 광감지부 및 접촉 감지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구동하는 장치로서,
    상기 광감지부로부터의 광감지 신호 및 상기 접촉 감지부로부터의 접촉 감지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
    상기 증폭부로부터의 상기 증폭된 광감지 신호 및 상기 증폭된 접촉 감지 신호를 직렬 감지 신호로 변환하는 병렬-직렬 변환기, 그리고
    상기 직렬 감지 신호를 디지털 감지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를 포함하며,
    상기 증폭부, 상기 병렬-직렬 변환기 및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는 상기 접촉 감지 신호에 따라 정상 모드와 절전 모드로 나누어 동작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증폭부는 상기 광감지 신호를 증폭하는 제1 증폭부 및 상기 접촉 감지 신호를 증폭하는 제2 증폭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증폭부는 상기 절전 모드에서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제1 증폭부와 상기 병렬-직렬 변환기 사이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증폭부로부터의 상기 증폭된 광감지 신호에 대하여 표본을 추출하고 유지하는 제1 표본 유지부, 그리고
    상기 제2 증폭부와 상기 병렬-직렬 변환기 사이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증폭부로부터의 상기 증폭된 접촉 감지 신호에 대하여 표본을 추출하고 유지하는 제2 표본 유지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표본 유지부는 상기 절전 모드에서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병렬-직렬 변환기는 상기 정상 모드에서 동작하는 제1 병렬-직렬 변환기와 상기 절전 모드에서 동작하는 제2 병렬-직렬 변환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제1 병렬-직렬 변환기는 제1 클록 신호에 동기하여 상기 증폭된 광감지 신호 및 상기 증폭된 접촉 감지 신호를 제1 직렬 감지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제2 병렬-직렬 변환기는 상기 제1 클록 신호의 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 를 가지는 제2 클록 신호에 동기하여 상기 증폭된 접촉 감지 신호를 제2 직렬 감지 신호로 변환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정상 모드에서 상기 제1 병렬-직렬 변환기를 선택하고 상기 절전 모드에서 상기 제2 병렬-직렬 변환기를 선택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
  7. 제4항에서,
    상기 제1 병렬-직렬 변환기는 상기 절전 모드에서 전원 공급이 차단되고, 상기 제2 병렬-직렬 변환기는 상기 정상 모드에서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
  8. 제1항에서,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는 상기 정상 모드에서 제1 클록 신호에 동기하여 동작하며, 상기 절전 모드에서 상기 제1 클록 신호의 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를 가지는 제2 클록 신호에 동기하여 동작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
  9. 제1항에서,
    상기 접촉 감지 신호에 따라 접촉이 된 것으로 판단되면 정상 모드로 동작하고, 소정 시간 동안 접촉이 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절전 모드로 동작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
  10. 광감지부 및 접촉 감지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구동하는 장치로서,
    상기 광감지부로부터의 광감지 신호 및 상기 접촉 감지부로부터의 접촉 감지 신호를 각각 증폭하는 제1 및 제2 증폭부,
    상기 제1 및 제2 증폭부로부터의 상기 증폭된 광감지 신호 및 상기 증폭된 접촉 감지 신호를 직렬 감지 신호로 변환하는 병렬-직렬 변환기, 그리고
    상기 직렬 감지 신호를 디지털 감지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를 포함하며,
    상기 접촉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증폭부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
  11. 제10항에서,
    상기 제1 증폭부와 상기 병렬-직렬 변환기 사이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증폭부로부터의 상기 증폭된 광감지 신호에 대하여 표본을 추출하고 유지하는 제1 표본 유지부, 그리고
    상기 제2 증폭부와 상기 병렬-직렬 변환기 사이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증폭부로부터의 상기 증폭된 접촉 감지 신호에 대하여 표본을 추출하고 유지하는 제2 표본 유지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접촉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표본 유지부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
  12. 제10항에서,
    상기 병렬-직렬 변환기 및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는 상기 접촉 감지 신호에 따라 제1 클록 신호 및 상기 제1 클록 신호의 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를 가지는 제2 클록 신호 중 어느 하나에 동기하여 동작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
  13. 광감지부 및 접촉 감지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구동하는 장치로서,
    상기 광감지부로부터의 광감지 신호 및 상기 접촉 감지부로부터의 접촉 감지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
    상기 증폭부로부터의 증폭된 상기 광감지 신호 및 상기 접촉 감지 신호를 직렬 감지 신호로 변환하는 병렬-직렬 변환기, 그리고
    상기 직렬 감지 신호를 디지털 감지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를 포함하며,
    상기 병렬-직렬 변환기 및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는 상기 접촉 감지 신호에 따라 제1 클록 신호 및 상기 제1 클록 신호의 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를 가지는 제2 클록 신호 중 어느 하나에 동기하여 동작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
  14. 제13항에서,
    상기 병렬-직렬 변환기는 상기 제1 클록 신호에 동기하여 동작하는 제1 병렬-직렬 변환기와 상기 제2 클록 신호에 동기하여 동작하는 제2 병렬-직렬 변환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
  15. 제14항에서,
    상기 제1 병렬-직렬 변환기는 상기 증폭된 광감지 신호 및 상기 증폭된 접촉 감지 신호를 제1 직렬 감지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제2 병렬-직렬 변환기는 상기 증폭된 접촉 감지 신호를 제2 직렬 감지 신호로 변환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
  16. 제14항에서,
    상기 접촉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병렬-직렬 변환기와 상기 제2 병렬-직렬 변환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
  17. 복수의 화소,
    복수의 광감지부,
    복수의 접촉 감지부,
    상기 광감지부 및 상기 접촉 감지부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감지 신호선,
    영상 신호를 데이터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화소에 인가하는 데이터 구동부,
    상기 광감지부로부터의 광감지 신호 및 상기 접촉 감지부로부터의 접촉 감지 신호를 받아 소정 신호 처리를 행하며, 상기 접촉 감지 신호에 따라 정상 모드와 절전 모드로 나누어 동작하는 신호 판독부, 그리고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영상 신호를 받고 상기 데이터 구동부 및 상기 신호 판독부를 제어하는 신호 제어부
    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8. 제17항에서,
    상기 신호 판독부는,
    상기 광감지 신호 및 상기 접촉 감지 신호를 각각 증폭하는 제1 및 제2 증폭부,
    상기 제1 증폭부로부터의 상기 증폭된 광감지 신호 및 상기 제2 증폭부로부터의 상기 증폭된 접촉 감지 신호를 제1 직렬 감지 신호로 변환하는 제1 병렬-직렬 변환기,
    상기 제2 증폭부로부터의 상기 증폭된 접촉 감지 신호를 제2 직렬 감지 신호 로 변환하는 제2 병렬-직렬 변환기,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직렬 감지 신호를 디지털 감지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9. 제18항에서,
    상기 제1 증폭부는 상기 절전 모드에서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표시 장치.
  20. 제18항에서,
    상기 제1 병렬-직렬 변환기는 상기 정상 모드에서 동작하며, 상기 제2 병렬-직렬 변환기는 상기 절전 모드에서 동작하는 표시 장치.
  21. 제20항에서,
    상기 제1 병렬-직렬 변환기는 제1 클록 신호에 동기하여 동작하며, 상기 제2 병렬-직렬 변환기는 상기 제1 클록 신호의 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를 가지는 제2 클록 신호에 동기하여 동작하는 표시 장치.
  22. 제20항에서,
    상기 제1 병렬-직렬 변환기는 상기 절전 모드에서 전원 공급이 차단되고, 상기 제2 병렬-직렬 변환기는 상기 정상 모드에서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표시 장치.
  23. 제18항에서,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는 상기 정상 모드에서 제1 클록 신호에 동기하여 동작하며, 상기 절전 모드에서 상기 제1 클록 신호의 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를 가지는 제2 클록 신호에 동기하여 동작하는 표시 장치.
  24. 제17항에서,
    상기 데이터 구동부, 상기 신호 판독부 및 상기 신호 제어부는 하나의 IC 칩 안에 집적되어 있는 표시 장치.
  25. 광감지부 및 접촉 감지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으로서,
    상기 접촉 감지부로부터의 접촉 감지 신호를 판독하는 제1 판독 단계,
    상기 제1 판독 단계에서의 상기 접촉 감지 신호에 따라 접촉 여부를 판단하는 제1 판단 단계,
    상기 광감지부로부터의 광감지 신호와 함께 상기 접촉 감지부로부터의 접촉 감지 신호를 판독하는 제2 판독 단계, 그리고
    상기 제2 판독 단계에서의 상기 접촉 감지 신호에 따라 접촉 여부를 판단하는 제2 판단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판단 단계에서 접촉이 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제2 판독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제2 판단 단계에서 소정 시간 동안 접촉이 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제1 판독 단계를 수행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26. 제25항에서,
    상기 제1 판단 단계에서 접촉이 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제1 판독 단계를 유지하고,
    상기 제2 판단 단계에서 접촉이 된 후 상기 소정 시간 이내라고 판단하면 상기 제2 판독 단계를 유지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27. 제26항에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광감지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판독 단계는 상기 증폭부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28. 제26항에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광감지 신호 및 상기 접촉 감지 신호를 직렬 신호로 변환하는 병렬-직렬 변환기 및 상기 직렬 신호를 디지털 감지 신호로 변환하는 아 날로그-디지털 변환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판독 단계는 상기 병렬-직렬 변환기 및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를 제1 클록 신호에 동기시켜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판독 단계는 상기 병렬-직렬 변환기 및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를 상기 제1 클록 신호의 주파수보다 높은 주파수를 가지는 제2 클록 신호에 동기시켜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29. 제26항에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광감지 신호와 함께 상기 접촉 감지 신호를 직렬 신호로 변환하는 제1 병렬-직렬 변환기 및 상기 접촉 감지 신호를 직렬 신호로 변환하는 제2 병렬-직렬 변환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판독 단계는 상기 제1 병렬-직렬 변환기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판독 단계는 상기 제2 병렬-직렬 변환기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1020040111073A 2004-12-23 2004-12-23 표시 장치, 그 구동 방법 및 표시 장치용 구동 장치 KR1011608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1073A KR101160828B1 (ko) 2004-12-23 2004-12-23 표시 장치, 그 구동 방법 및 표시 장치용 구동 장치
US11/315,088 US7973777B2 (en) 2004-12-23 2005-12-21 Display device and driving apparatus including a photo sensing circuit and a pressure sensing circuit and method thereof
TW094145843A TWI401641B (zh) 2004-12-23 2005-12-22 顯示器裝置、其驅動方法、及用於該顯示器裝置之驅動裝置
CN2009101502292A CN101587701B (zh) 2004-12-23 2005-12-23 显示装置及其驱动设备
CN2008101755408A CN101398730B (zh) 2004-12-23 2005-12-23 显示装置及其驱动设备
CNA2005101351097A CN1794336A (zh) 2004-12-23 2005-12-23 显示装置及其驱动设备
CN2008101755465A CN101398731B (zh) 2004-12-23 2005-12-23 显示装置及其驱动设备
JP2005373509A JP4908844B2 (ja) 2004-12-23 2005-12-26 表示装置、その駆動方法及び表示装置用駆動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1073A KR101160828B1 (ko) 2004-12-23 2004-12-23 표시 장치, 그 구동 방법 및 표시 장치용 구동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2435A true KR20060072435A (ko) 2006-06-28
KR101160828B1 KR101160828B1 (ko) 2012-06-29

Family

ID=36610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1073A KR101160828B1 (ko) 2004-12-23 2004-12-23 표시 장치, 그 구동 방법 및 표시 장치용 구동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973777B2 (ko)
JP (1) JP4908844B2 (ko)
KR (1) KR101160828B1 (ko)
CN (4) CN101398730B (ko)
TW (1) TWI401641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2888A (ko) * 2011-09-23 2014-06-13 애플 인크. 터치 제어기에 대한 힘 센서 인터페이스
KR20160077668A (ko) * 2014-12-24 2016-07-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60082878A (ko) * 2014-12-29 2016-07-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를 갖는 표시장치와 이의 구동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64772B2 (en) * 2005-10-07 2015-06-23 Integrated Digital Technologies, Inc. Touch screen system having dual touch sensing function
EP2085810A4 (en) * 2006-10-19 2011-01-19 Sharp Kk DISPLAY APPARATUS
KR101365776B1 (ko) * 2008-04-08 2014-02-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멀티 터치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CN101561601B (zh) * 2008-04-14 2012-05-30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液晶显示器的驱动方法及驱动装置
JP5399799B2 (ja) * 2008-07-17 2014-01-29 三星ディスプレイ株式會社 ディスプレイ装置
JP5252427B2 (ja) * 2008-10-01 2013-07-31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ウェスト 入力装置および表示装置
JP4650553B2 (ja) * 2008-10-20 2011-03-16 ソニー株式会社 液晶表示パネル
KR101337042B1 (ko) * 2008-10-21 2013-12-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패널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JP2010151920A (ja) * 2008-12-24 2010-07-08 Seiko Epson Corp 画像処理装置、投影型表示装置および画像処理装置の消費電力低減方法
JP5424676B2 (ja) * 2009-03-13 2014-02-2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KR101578075B1 (ko) * 2009-04-20 2015-12-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검출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터치 검출 장치
JP4723660B2 (ja) * 2009-04-24 2011-07-13 京セラ株式会社 入力装置
KR101059079B1 (ko) * 2009-06-12 2011-08-24 주식회사 켐트로닉스 터치 감지의 장치의 소비 전력 감소 방법 및 그 장치
US8576183B2 (en) 2009-09-23 2013-11-05 Infineon Technologies Ag Device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both LED and touch sense elements via a single IC package pin
EP2315102B1 (en) 2009-10-02 2018-01-31 BlackBerry Limited A low power wakeup detection circuit and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 low power wakeup detection circuit
EP2315101B1 (en) * 2009-10-02 2014-01-29 BlackBerry Limited A method of waking up and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onfigured to perform the same
US8780055B2 (en) * 2009-10-02 2014-07-15 Blackberry Limited Low power wakeup detection circuit and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 low power wakeup detection circuit
US8970507B2 (en) * 2009-10-02 2015-03-03 Blackberry Limited Method of waking up and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onfigured to perform the same
TWI397736B (zh) * 2009-10-13 2013-06-01 Au Optronics Corp 主動元件陣列基板以及顯示裝置
KR101608254B1 (ko) * 2009-11-16 2016-04-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US9235291B2 (en) 2009-12-25 2016-01-12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including optical sensors
EP2523077A4 (en) * 2010-01-08 2016-10-12 Sharp Kk OPTICAL SENSOR DISPLAY DEVICE
TWI500313B (zh) * 2010-06-04 2015-09-11 Au Optronics Corp 影像掃描系統及其控制方法
KR101351418B1 (ko) * 2010-10-26 2014-01-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적외선 센서 모듈을 이용한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US9262002B2 (en) 2010-11-03 2016-02-16 Qualcomm Incorporated Force sensing touch screen
CN101996684B (zh) * 2010-11-10 2013-07-24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移位寄存器及触控装置
CN103430619B (zh) * 2010-12-13 2017-07-18 爱立信(中国)通信有限公司 基站子系统、rbs部分和tma部分及其用于同步rbs部分与tma部分的方法
US9417754B2 (en) 2011-08-05 2016-08-16 P4tents1, LLC User interface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20130100044A1 (en) * 2011-10-24 2013-04-25 Motorola Mobility, Inc. Method for Detecting Wake Conditions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9246486B2 (en) * 2011-12-16 2016-01-26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noise-cancelling force sensor
CN103296947A (zh) * 2012-02-28 2013-09-11 快捷半导体(苏州)有限公司 马达驱动电路、方法及其应用设备
FR2987929B1 (fr) * 2012-03-09 2014-04-11 Digital Art Internat Dispositif pour la diffusion en surface d'images lumineuses a l'echelle du corps humain
WO2013149331A1 (en) * 2012-04-07 2013-10-10 Cambridge Touch Technologies, Ltd. Pressure sensing display device
CN102722290B (zh) * 2012-05-30 2016-06-22 深圳Tcl新技术有限公司 触摸屏防干扰处理方法、装置及触摸屏终端
CN103218076B (zh) * 2013-03-29 2017-02-08 合肥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内嵌式触摸屏及显示装置
JP6446055B2 (ja) 2014-02-18 2018-12-26 ケンブリッジ タッチ テクノロジーズ リミテッドCambridge Touch Technologies Limited 力タッチを用いるタッチスクリーンのためのパワーモードの動的切り替え
CN104200784B (zh) 2014-07-24 2017-07-2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像素驱动电路及其驱动方法、阵列基板、透反式显示装置
GB2533667B (en) 2014-12-23 2017-07-19 Cambridge Touch Tech Ltd Pressure-sensitive touch panel
KR102615384B1 (ko) 2014-12-23 2023-12-19 케임브리지 터치 테크놀로지스 리미티드 압력감지 방식 터치 패널
CN104679355B (zh) * 2015-03-19 2017-10-10 合肥鑫晟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光学触摸屏及显示装置
CN107924243B (zh) * 2015-07-09 2021-04-02 深圳纽迪瑞科技开发有限公司 压力感应触摸系统及具有压力感应触摸系统的计算装置
GB2544307B (en) 2015-11-12 2018-02-07 Cambridge Touch Tech Ltd Processing signals from a touchscreen panel
US20170168615A1 (en) * 2015-12-15 2017-06-15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Display device and control device thereof
US10282046B2 (en) 2015-12-23 2019-05-07 Cambridge Touch Technologies Ltd. Pressure-sensitive touch panel
GB2544353B (en) 2015-12-23 2018-02-21 Cambridge Touch Tech Ltd Pressure-sensitive touch panel
GB2547031B (en) 2016-02-05 2019-09-25 Cambridge Touch Tech Ltd Touchscreen panel signal processing
CN106406496A (zh) * 2016-09-05 2017-02-15 芯海科技(深圳)股份有限公司 一种压感式按键识别装置的低功耗控制方法
CN107102779B (zh) * 2017-06-06 2020-02-07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控制方法、显示装置
CN107219957B (zh) * 2017-06-20 2020-08-18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阵列基板和显示面板
US11093088B2 (en) 2017-08-08 2021-08-17 Cambridge Touch Technologies Ltd. Device for processing signals from a pressure-sensing touch panel
GB2565305A (en) 2017-08-08 2019-02-13 Cambridge Touch Tech Ltd Device for processing signals from a pressure-sensing touch panel
KR102644034B1 (ko) * 2018-12-17 2024-03-07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병-직렬 변환 회로
KR20200129471A (ko) * 2019-05-08 2020-11-18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드라이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
CN113632160B (zh) 2019-07-01 2023-06-20 斯纳普公司 用于显示器的低功率共同电极电压生成的系统和方法
EP4141856A4 (en) * 2020-04-24 2024-05-01 Kyocera Corp DOT MATRIX DISPLAY DEVICE AND SYNCHRONIZING APPARATUS
TWI736332B (zh) * 2020-06-23 2021-08-1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用於觸控感測與光感測的畫素電路

Family Cites Families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59323A (en) 1987-02-19 1992-10-2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JPS63276085A (ja) * 1987-05-08 1988-11-14 株式会社東芝 複合表示及び入力装置
EP0375328B1 (en) 1988-12-19 1997-03-19 Sharp Kabushiki Kaisha Tablet integrated with display
JPH0320817A (ja) * 1989-06-19 1991-01-2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入力表示一体型ディスプレイ装置
DE4002431A1 (de) * 1990-01-27 1991-08-01 Philips Patentverwaltung Sensormatrix
GB9027481D0 (en) * 1990-12-19 1991-02-06 Philips Electronic Associated Matrix display device with write-in facility
JPH0573201A (ja) 1991-09-11 1993-03-26 Toshiba Corp 座標検出装置
JPH05328039A (ja) * 1992-05-25 1993-12-10 Ricoh Co Ltd 画像読取装置
JP3133834B2 (ja) 1992-08-19 2001-02-13 キヤノン株式会社 座標入力装置及びその方法
GB9220104D0 (en) * 1992-09-07 1992-11-04 Philips Electronics Uk Ltd Matrix display device with light sensing function
JPH0767152B2 (ja) * 1993-03-25 1995-07-19 日本電気株式会社 イメージセンサとその駆動方法
JPH07302168A (ja) 1994-05-10 1995-11-14 Casio Comput Co Ltd タッチパネル入力装置
JPH08249121A (ja) 1995-03-15 1996-09-27 Toshiba Corp 座標入力装置
KR0163869B1 (ko) 1995-07-03 1998-12-01 김광호 고주파를 균일하게 조사하기 위한 예열기의 로울러
US5847690A (en) * 1995-10-24 1998-12-08 Lucent Technologies Inc. Integrated liquid crystal display and digitizer having a black matrix layer adapted for sensing screen touch location
JP3379873B2 (ja) * 1996-04-05 2003-02-24 株式会社デジタル マトリックス型タッチパネル入力装置
JPH1039987A (ja) 1996-07-22 1998-02-13 Tokyo Cosmos Electric Co Ltd タッチパネル
CN1179554A (zh) 1996-09-24 1998-04-22 三星电管株式会社 液晶显示装置
JP2993466B2 (ja) * 1997-06-09 1999-12-20 日本電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JP3667058B2 (ja) * 1997-11-19 2005-07-06 キヤノン株式会社 光電変換装置
DE69935285T2 (de) * 1998-02-09 2007-11-08 Seiko Epson Corp. Elektrooptisch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 ihrer steuerung, flüssigkristallvorrichtung und verfahren zu ihrer steuerung, treiberschaltung für elektrooptische vorrichtung und elektronisches gerät
US6445383B1 (en) * 1998-02-09 2002-09-0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ystem to detect a power management system resume event from a stylus and touch screen
JP2000075966A (ja) 1998-09-03 2000-03-14 Canon Inc 情報処理装置
JP3157796B2 (ja) 1998-12-28 2001-04-16 日本電気移動通信株式会社 携帯電話機
US7126569B2 (en) * 1999-03-23 2006-10-24 Minolta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6317840B1 (en) * 1999-03-24 2001-11-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ntrol of multiple equivalent functional units for power reduction
JP2000284897A (ja) * 1999-03-31 2000-10-13 Fujitsu General Ltd 光走査型タッチパネルの起動装置
JP4939682B2 (ja) * 1999-04-27 2012-05-30 エーユー オプトロニクス コーポレイション 表示装置
US6504530B1 (en) * 1999-09-07 2003-01-07 Elo Touchsystems, Inc. Touch confirming touchscreen utilizing plural touch sensors
JP2001306255A (ja) 2000-04-27 2001-11-02 Mitsumi Electric Co Ltd タッチパネルセンサ
JP2001325072A (ja) * 2000-05-15 2001-11-22 Tokai Rika Co Ltd タッチ操作入力装置
JP2001325071A (ja) * 2000-05-17 2001-11-22 Tokai Rika Co Ltd タッチ操作入力装置
JP4454802B2 (ja) 2000-06-20 2010-04-21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TW527553B (en) * 2000-08-22 2003-04-11 Ind Tech Res Inst Touch panel LCD with piezoelectric transducer
JP3988476B2 (ja) * 2001-03-23 2007-10-1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座標入力装置及び表示装置
KR100347440B1 (ko) 2001-08-10 2002-08-03 주식회사 에이터치 터치 스크린 시스템에서 좌표 데이터 전송방법
US6661410B2 (en) * 2001-09-07 2003-12-09 Microsoft Corporation Capacitive sensing and data input device power management
JP2003167677A (ja) 2001-12-03 2003-06-13 Sharp Corp タッチパネル式入力装置およびタッチパネル一体型表示装置
KR100847813B1 (ko) 2001-12-27 2008-07-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패널 구동장치 및 방법
CN1441295A (zh) * 2002-02-28 2003-09-10 碧悠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触控面板型液晶显示器装置
GB2398916A (en) * 2003-02-28 2004-09-01 Sharp Kk Display and sensor apparatus
JP4257221B2 (ja) * 2003-03-31 2009-04-22 東芝松下ディスプレイ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情報端末装置
JP2005295399A (ja) * 2004-04-02 2005-10-20 Smk Corp タッチパネル入力装置
KR20060056634A (ko) * 2004-11-22 2006-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광센서를 내장하는 표시 장치 및 감지 신호 처리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2888A (ko) * 2011-09-23 2014-06-13 애플 인크. 터치 제어기에 대한 힘 센서 인터페이스
KR20160077668A (ko) * 2014-12-24 2016-07-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60082878A (ko) * 2014-12-29 2016-07-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를 갖는 표시장치와 이의 구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398730A (zh) 2009-04-01
TWI401641B (zh) 2013-07-11
US7973777B2 (en) 2011-07-05
KR101160828B1 (ko) 2012-06-29
JP4908844B2 (ja) 2012-04-04
CN101398731B (zh) 2012-05-09
CN1794336A (zh) 2006-06-28
CN101398731A (zh) 2009-04-01
CN101587701A (zh) 2009-11-25
US20060138983A1 (en) 2006-06-29
CN101587701B (zh) 2011-08-03
CN101398730B (zh) 2011-08-24
TW200629213A (en) 2006-08-16
JP2006201763A (ja) 2006-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0828B1 (ko) 표시 장치, 그 구동 방법 및 표시 장치용 구동 장치
TWI391889B (zh) 顯示裝置及其驅動裝置
KR101171185B1 (ko) 접촉 감지 기능이 있는 표시 장치, 그 구동 장치 및 방법
KR101122233B1 (ko) 감지 소자를 내장한 표시 장치
JP5288308B2 (ja) 読み取り回路、表示パネル、及びその電子システム
KR101160826B1 (ko) 감지 소자를 내장한 액정 표시 장치
KR101251999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060108932A (ko) 감지부를 내장하는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060062164A (ko) 광센서를 내장하는 표시 장치
KR20070078522A (ko) 표시 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
KR20070033532A (ko) 접촉 감지 기능이 있는 표시 장치, 그 구동 장치 및 감지신호 처리 방법
KR20090008950A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090029642A (ko) 전기 광학 장치, 전자 기기 및 지시 물체의 검출 방법
KR20060065333A (ko) 감지 소자를 내장한 표시판 및 표시 장치
US20020113762A1 (en) Data driving circuit of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080009446A (ko)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JP4008777B2 (ja) 表示装置
KR20070062691A (ko) 표시 장치
KR20070044122A (ko) 액정 표시 장치
KR20080104638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