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8982A - 전성분 두유 및 두부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성분 두유 및 두부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8982A
KR20060068982A KR1020040107953A KR20040107953A KR20060068982A KR 20060068982 A KR20060068982 A KR 20060068982A KR 1020040107953 A KR1020040107953 A KR 1020040107953A KR 20040107953 A KR20040107953 A KR 20040107953A KR 20060068982 A KR20060068982 A KR 200600689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ymilk
soybean
whole
tofu
mil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7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22165B1 (ko
Inventor
조상균
Original Assignee
한미전두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미전두유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미전두유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7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2165B1/ko
Publication of KR20060068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89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2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21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60Drinks from legumes, e.g. lupine drinks
    • A23L11/65Soy drink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05Mashed or comminuted pulses or legumes; Products made therefrom
    • A23L11/07Soya beans, e.g. oil-extracted soya bean flak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40Pulse curds
    • A23L11/45Soy bean curds, e.g. tofu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16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heating loose unpack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6Homogen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Beans For Foods Or Fodd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두를 침지하는 단계, 침지된 대두를 기계적으로 분쇄하는 단계, 분쇄된 대두를 2 단계 이상의 다단계 초고압 공정으로 미세균질화하는 단계 및 얻어진 두유액을 순간멸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성분 두유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체 공정에서 순간멸균 공정을 제외하고는 95℃ 이상의 고온을 부가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성분 두유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통상의 두유 또는 두부 제조방법과 달리 95℃ 이상의 고온이 부가되지 않으므로 대두의 영양성분을 그대로 포함하면서도 단백질의 변성 등 영양성분의 파괴가 일어나지 않아 품질이 우수한 전성분 두유 및 두부를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성분 두유 및 두부의 제조방법 {METHOD FOR PREPARING WHOLE SOYBEAN MILK AND CURD}
도 1은 본 발명의 전성분 두유의 제조 방법의 공정도이다.
본 발명은 전성분 두유 및 두부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저온 공정을 통해 대두 단백질 등 영양성분의 변성 및 비지의 폐기 없이 대두 전체 성분을 그대로 함유하고 있는 전성분 두유(whole soybean milk) 및 두부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재래식 두유의 제조방법은 대두를 선별 세척하여 130℃ 이상의 고온에서 5분이상 가열하거나, 열수나 상온수에서 수침하여 불린 생대두 또는 대두분말을 가열 분쇄하여 압착 착즙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통상의 두유 및 두부의 제조에 있어서는 원료 대두 중량비 대비 약 3분의 1 정도가 부산물인 비지로 폐기되는데, 이때 대두에 포함되어 있는 섬유질, 무기질 등의 영양성분이 비지의 형태로 유실되어 왔다. 이러한 영양성분의 유실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효소를 이용하여 비지의 고형분을 재회수하는 방법(한국 특허 공고 제1994-002528호), 초음파 및 열처리를 병행하는 방법(한국 등록 특허 제41494호, 한국 등록 특허 제59907호), 고온고압 처리를 통해 비지 생성량을 감소시키는 방법(한국 특허 등록 제86038호) 등이 제시되어 왔다.
그러나, 상기 방법들은 대부분 최종 두유 입자의 크기가 커서 두유가 거칠게 산출되거나 비지를 재처리함으로써 생기는 좋지 않은 맛이나 향을 극복하지 못해 산업화하기 어려운 결점이 있다. 특히 효소분해를 이용한 방법의 경우에는 분해능이 뛰어난 고활성의 효소를 투입하는 경우에도 대중 식품으로 저가에 공급되고 있는 대두식품의 경제성에 비해 고가의 효소가 투입되므로 비경제적이라는 단점을 극복하지 못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여, 비지의 발생이 없으면서도 효소처리 등의 외부 부가 공정이 없는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두유 및 두부의 제조 방법으로서, 대두를 마쇄하는 단계 및 마쇄한 대두를 2단계 이상의 다단계 초고압 미세화 공정으로 미세균질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두의 초고압 균질화를 통한 전성분 두유 및 두부의 제조방법을 특허출원한 바 있다(한국 특허출원 제 2003-61188 호). 그러나, 이러한 제조방법은 제조공정상 두유 또는 두부가 고온에 노출되기 쉬워 영양분의 파괴가 우려되며, 전성분 두유가 산출되기까지 복잡한 공정을 거쳐야 하므로 품질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전성분 두유 및 두부를 제조함에 있어서 영양성분의 파 괴를 최대한 방지하면서 식감 및 풍미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해 연구를 계속한 결과, 공지의 두유 또는 두부 제조방법에서 피할 수 없는 것으로 여겨져 왔던 고온 환경에서 일정시간 이상 끓이는 공정(증자공정)을 사용하지 않고도 기계적 분쇄와 고압 균질기를 통한 균질미세화를 이용하여 저온공정 하에서 대두 단백질의 변성 없이 두유와 두부의 풍미를 그대로 살릴 수 있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개발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비지의 분리 배출 공정 또는 효소 처리 등의 부가 공정을 채용하지 않고 영양분의 손실이 방지되는 저온에서 일련의 공정으로 고품질의 전성분 두유 및 두부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고품질의 전성분 두유 및 두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대두를 침지하는 단계, 침지된 대두를 기계적으로 분쇄하는 단계, 분쇄된 대두를 2 단계 이상의 다단계 초고압 공정으로 미세균질화하는 단계 및 얻어진 두유액을 순간멸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성분 두유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체 공정에서 순간멸균 공정을 제외하고는 95℃ 이상의 고온을 부가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성분 두유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 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전성분 두유를 이용한 전성분 두부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대두를 120℃ 이상의 고온에서 10분 이상 가열하는 증자 공정을 포함하는 통상적인 두유 제조공정과는 달리 단시간에 이루어지는 불활성화 및 멸균공정을 제외하고는 두유가 전혀 고온에 노출되지 않으므로 열에 의한 단백질의 변성이 일어나지 않아 대두 영양분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은 분쇄단계 및 미세균질화 단계에서 단백질 분해효소 등의 투입공정이 없으며, 침지단계로부터 최종 전두유의 산출 단계까지 일련의 처리 공정으로 이루어져 제조공정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킨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전성분 두유 및 두부의 제조 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전성분 두유" 및 "전성분 두부"란 통대두 또는 탈피 대두로부터 기존의 일반적인 두유 또는 두부 제조시 비지 등으로 폐기되던 유용 성분을 제거하지 않고 대두의 영양 성분 전체를 그대로 함유하도록 제조된 두유 및 이로부터 제조된 두부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전성분 두유 제조 방법은 더욱 구체적으로 통대두 또는 탈피 대두를 일정 시간 침지시키는 침지 공정; 침지된 대두를 분쇄기(크러셔)를 통해 1차 분 쇄한 후, 선택적으로 대두의 껍질 및 미량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정제기(리파이너)를 거쳐 미분쇄기(울트라마이저)를 통해 2차 분쇄시키는 분쇄 공정; 분쇄액 내의 효소를 불활성화시켜 전성분 두유액을 얻은 후, 선택적으로 두유액과 비지를 분리하고, 고형분 비지에 대해서 정제수를 혼입한 후 순환 밀링기를 이용하여 순환 밀링함으로써 비지유를 얻는 공정; 및 상기에서 얻은 전성분 두유액, 또는 분리된 두유액과 비지유를 혼합한 혼합액을 2 단계 이상의 다단계 초고압 공정으로 미세균질화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극미세 균질화된 전성분 두유로부터 후처리 공정을 거쳐 고품질의 전성분 두유 제품을 생산하거나, 전성분 두유를 원료로 이용하여 고형화 과정을 거쳐 전성분 두부를 생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분리된 비지를 배출하여 보관하는 공정 없이 전체 공정이 일련의 공정으로 연결되어 있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전성분 두유는 입자가 양호하게 미세화될 뿐만 아니라 고온에 장시간 노출됨으로써 영양분이 파괴되는 기존 제법으로 생산된 두유와는 달리 대두 본연의 신선한 맛과 풍미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구체적으로 하기와 같은 각 공정을 거쳐 실시할 수 있으며, 이의 제조공정도는 도 1에 나타나 있다.
1) 침지 공정
통대두 또는 탈피 대두를 선별 및 세척하여 6시간 이상, 바람직하게는 8 시 간 내지 15 시간 동안 침지하여 대두 성분의 분리 및 분쇄를 용이하도록 하는 공정이다. 침지를 위한 정제수는 건조 대두 중량의 2.5 내지 3.5배, 바람직하게는 3배의 양으로 첨가한다. 이때 침지수의 온도는 상온(14 ∼ 18℃)이 바람직하며, 계절별 침지 속도를 감안하여 침지시간을 2시간 내외로 가감하여 조절할 수 있다.
2) 분쇄공정
침지된 대두를 통상 분쇄기(크러셔)를 통해 1차 분쇄하며, 이때 대두 중량의 7 ∼ 9배 중량의 정제수를 가하면서 분쇄한다. 분쇄 후, 분쇄액에 포함되어 있는 대두 외피나 불순물을 정제기(리파이너)에 의해 제거하는 정제 공정을 1회 이상,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회 선택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미분쇄기(울트라마이저)를 통해 2차 분쇄를 실시한다. 이때 1차 분쇄한 후 대두 입자의 입경은 약 4 mm 이하로까지 감소하며, 이어서 2차 미분쇄 과정을 거치면 입경 약 1 ∼ 2 mm 이하로까지 감소하게 된다.
3) 효소 불활성화 및 선택적 유액분리 공정
2)에서 얻어진 두유 분쇄액을 85 ∼ 90℃에서 1 ∼ 2분간 유지하여 분쇄액 내의 효소를 불활성화하여 전성분 두유액을 얻는다. 상기 전성분 두유액을 이용하여 바로 하기 4) 단계의 초고압 균질화 공정을 실시하거나, 유액분리기를 통해 두유액과 비지를 분리한다. 이때 분리된 비지를 정제수와 혼합하여 순환밀링기에서 50 ∼ 60℃로 30 ∼ 50분간 재순환하여 비지유액으로 연화시킨다. 순환밀링기는 하 부에 콜로이드밀 등의 기계적 마쇄장치와 재순환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비지를 비지유액으로 연화시킴으로써 이후 균질화 공정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4) 초고압 균질화 공정
상기 3)에서 얻은 전성분 두유액, 또는 유액분리기에서 분리된 두유액과 순환밀링기를 거쳐 연화된 비지유액을 혼합한 혼합액을 고압균질기로 이송하고 400 ∼ 700 바의 압력을 2 ∼ 5회, 바람직하게는 2 ∼ 3회 가하여 혼합액 중 고형입자를 미세균질화함으로써 최종 전성분 두유를 산출한다. 초고압 균질화 공정 중 고압부가에 의한 열 발생으로 두유가 변성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각 회의 고압 균질 후 선택적으로 냉각공정을 부가하여 두유액의 온도를 저온, 예를 들어 4 내지 5℃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균질압은 산출물인 전성분 두유 또는 전성분 두부의 희망하는 품질에 따라 적절히 조절할 수 있으며, 이때 균질압에 따라 입자의 평균입자도나 균질도의 변화가 발생한다. 예를 들어, 500 바의 압력으로 2 회 처리하는 경우, 두유 입자는 70 내지 80 ㎛ 범위의 평균 입경을 나타내며, 균일한 입자 분포를 나타낸다.
5) 전성분 두유 제품의 제조 공정
균질 미세화된 전성분 두유는 전두유 생산을 위한 후처리 공정을 거쳐 포장된 제품으로 생산된다.
두유 제품 제조시 전성분 두유에 향미 성분을 첨가함으로써 최종 두유 제품 의 향이나 맛을 증진시킬 수 있으며, 사용 가능한 향미 성분으로는 과일, 과일 퓨레, 쥬스, 농축액, 분말 및 이들의 혼합물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건강 증진을 목적으로 상기 전성분 두유에 우유 칼슘 또는 다양한 천연 식품, 예를 들어, 참깨, 검은 깨, 당근, 시금치, 녹차, 홍차, 뽕잎, 칡, 허브, 인삼, 홍삼, 도라지 등의 추출물 또는 분말 등을 적당량 첨가할 수도 있다.
전성분 두유를 액상으로 상온 유통이 가능하도록 150℃에서 3초간 순간멸균시키고, 미량의 식품첨가제(예: 향료)를 혼합한 후 종이팩에 충진하여 포장한다.
6) 전성분 두부 제품의 제조 공정
4)에서 산출된 전성분 두유에 간수 등의 화학적 응고제나 단백질결합 효소 등의 생물학적 응고제를 가하여 응고시킴으로써 두부를 생산한다. 이때 응고화 정도 및 압착여부를 조절하여 순두부, 연두부, 경두부 등 다양한 형태의 전성분 두부의 생산이 가능하다. 후처리 과정으로 80 ∼ 90℃에서 단시간, 예를 들어, 30 내지 40 초 동안 살균처리한 후 냉각하여 포장한다. 경도가 낮은 순두부나 연두부의 경우에는 포장후 살균처리하는 공정이 바람직하다.
이하,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전성분 두유의 제조방법
통대두 330 kg을 정선, 세척, 건조, 연마하여 탈피한 후, 상온에서 6시간 침지하였다. 침지액을 배출한 후, 침지 대두를 분쇄기(크러셔, 입수처: 일본 세이켄샤)로 이송하고, 정제수 2,500 ℓ를 혼합하여 분쇄 및 교반한 후, 다시 미분쇄기(울트라마이저, 입수처: 일본 세이켄샤)를 통해 연속적으로 분쇄하였다. 분쇄 과정에서는 침지 대두를 6,000 ℓ/시간의 속도로 처리하였으며, 대두 입자는 최초 분쇄에 의해 입경 약 4 mm 이하로 분쇄되었고, 미분쇄 과정을 거치면서 입경 약 1.2 mm 이하로 미분쇄되었다.
분쇄액을 85℃에서 약 2분간 유지하여 분쇄액 내의 효소를 불활성화시킨 후, 6,000 rpm으로 6,000 ℓ/시간의 속도로 연속 원심분리하여 두유액 1,988 ℓ와 비지유액 982 ℓ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비지유액에 정제수 1,230 ℓ를 혼합한 후, 순환밀링기(한성분체(주) 제조)에서 60℃로 50분간 연화시켰다.
연화된 비지유액과 두유액을 혼합한 후 여과망(40 메쉬)으로 여과하고, 고압 균질화기(호모게나이저, 입수처:중국 동아균질)에서 400 바(bar)의 압력으로 균질화하였으며, 연속 2회 균질화한 후, 약 4℃까지 냉각시켰다. 다시 3차로 500 바의 압력으로 균질화한 후, 120℃에서 3초간 멸균하여 총 2,980 ℓ의 전성분 두유액을 얻었다.
얻어진 두유액을 25℃로 냉각한 후, 용기에 충진하여 포장하였다.
실시예 2: 전성분 두유의 제조방법
통대두 300 kg을 정선, 세척, 건조, 연마하여 탈피한 후, 상온에서 6시간 침지하였다. 침지액을 배출한 후, 침지 대두를 분쇄기(크러셔)로 이송하고, 정제수 2,100 ℓ를 혼합하고 분쇄 및 교반하였다. 그 후, 분쇄액에 포함되어 있는 대두 외피나 불순물을 정제기(리파이너, 입수처: 이태리 베르투치사)에 의해 제거하는 정제 공정을 3회 실시하고, 분쇄액을 미분쇄기를 통해 연속적으로 분쇄하였다.
분쇄액을 90℃에서 약 2분간 유지하여 분쇄액 내의 효소를 불활성화시킨 후, 6,000 rpm으로 6,000 ℓ/시간의 속도로 연속 원심분리하여 두유액 1,795 ℓ와 비지유액 895 ℓ를 분리하였다. 분리한 비지유액을 순환밀링기에서 55℃로 45분간 연화시켰다.
연화된 비지유액과 두유액을 혼합한 후 여과망(40 메쉬)으로 여과하고, 고압 균질화기에서 각 500 바의 압력으로 연속 2회 균질화한 후, 약 4℃까지 냉각시켰다. 다시 3차로 500 바의 압력으로 균질화한 후, 150℃에서 3초간 멸균하여 총 2,674 ℓ의 전성분 두유액을 얻었다.
얻어진 전성분 두유액을 20℃로 냉각한 후, 용기에 충진하여 포장하였다.
실시예 3: 전성분 두부의 제조방법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전성분 두유액을 두부 제조라인으로 즉시 이송하고 응고통에 82℃로 충진한 후, 염화 마그네슘을 적량(총중량 대비 0.3%)을 투입하고 서서히 자동교반하였다. 5분 후 응고상태를 확인한 다음, 압착, 냉각, 절단, 포장하여 고형분 함량 21 %의 경두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전성분 두부의 제조방법
탈피대두 300 kg을 상온에서 5.5 시간 침지한 후, 침지액을 배출하였다. 침지대두를 분쇄기로 이송하여 상온의 정제수 1,500 ℓ를 혼입하고 분쇄 교반한 후, 분쇄액에 포함되어 있는 대두 외피나 불순물을 정제기에 의해 제거하는 정제 공정을 2회 실시하였다. 분쇄액을 미분쇄기를 통해 재차 미세화한 후, 85℃에서 약 3∼4분간 유지하여 분쇄액 내의 효소를 불활성화하였다.
분쇄액을 6,000 rpm으로 6,000 ℓ/시간의 속도로 연속 원심분리하여 두유액 1,286 ℓ와 비지유액 972 ℓ를 분리한 후, 분리한 비지에 순환밀링기에서 60℃의 정제수 120 ℓ를 혼입한 후 50 ∼ 57℃에서 50분간 순환 연화시켰다.
연화된 비지유액과 두유액을 혼합한 후, 여과한 후 고압 균질화기에서 각 500바의 압력으로 연속 2회 균질화하였다. 균질화된 전성분 두유액을 두부 제조라인으로 즉시 이송하고 응고통에 82℃로 충진한 후, 염화 마그네슘을 적량(총중량 대비 0.3 %)으로 투입하고 서서히 자동교반하였다. 5분 후 응고상태를 확인한 다음, 압착, 냉각, 절단, 포장하여 고형분 함량 25 %의 경두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전성분 두부의 제조방법
탈피대두 270 kg을 상온에서 5시간 침지한 후, 침지액을 배출하였다. 침지대두를 분쇄기로 이송하여 상온의 정제수 1,400 ℓ를 혼입하고 분쇄 교반한 후, 분쇄액에 포함되어 있는 대두 외피나 불순물을 정제기에 의해 제거하는 정제 공정을 2 회 실시하였다. 분쇄액을 미분쇄기를 통해 재차 미세화한 후, 얻어진 분쇄액을 85℃에서 약 3∼4분간 유지하여 분쇄액 내의 효소를 불활성화하였다.
분쇄액을 여과망으로 여과하고, 고압 균질화기에서 각 500바의 압력으로 연속 3회 균질화하였다. 얻어진 전성분 두유액을 두부 제조라인으로 곧바로 이송하고 응고통에 82℃로 충진한 후 염화 마그네슘을 적량 투입하고 서서히 자동교반하였다. 5분 후 응고상태를 확인한 다음, 압착, 냉각, 절단, 포장하여 고형분 함량 26 %의 경두부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관능검사
실시예 3에서 제조된 전성분 두부 및 시판 두부(풀무원 단단한 두부, (주)풀무원 제조)를 이용하여 비교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32세 ∼ 48세의 주부 20명을 대상으로 두부 종류를 알리지 않고 시식한 후, 6단계(0: 전혀 없음(나쁨, 엷음); 1: 거의 없음(나쁨, 엷음); 2: 약간 있음(나쁨, 엷음); 3: 보통; 4: 약간 있음(좋음, 진함); 5: 아주 많음(좋음, 진함))로 설문조사하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4059686800-PAT00001

상기 표 1의 관능시험 결과에 의하면, 실시예 3에 의한 두부는 맛에 있어서 단맛 및 복합적인 맛을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약간의 콩비린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직성 비교 결과 균질성이나 씹힘성에서는 두 가지 두부에서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으나 견고성, 탄력성 면에서 실시예 3, 4, 5의 두부가 시판두부에 못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3의 두부는 또한 조직성에서 시판두부에 못미치나 외관상으로 미백색을 띠며 전반적으로 다양한 풍미로 인해 기호도가 월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두부는 제조 공정에서 대두 단백질의 변성 등 영양성분의 파괴가 일어나지 않아 단순한 풍미의 시판두부에 비해 다양한 풍미를 가지므로, 소비자의 식감을 자극하여 월등한 기호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통상의 두유 또는 두부 제조방법과 달리 전체 공정에서 순간 멸균 공정을 제외하고는 95℃ 이상의 고온이 부가되지 않으므로 대두의 영양성분을 그대로 포함하면서도 단백질의 변성 등으로 인한 영양성분의 파괴가 일어나지 않아 품질이 우수한 전성분 두유 및 두부를 제조할 수 있다.

Claims (10)

  1. 대두를 침지하는 단계, 침지된 대두를 기계적으로 분쇄하는 단계, 얻어진 대두 분쇄액을 2 단계 이상의 다단계 초고압 공정으로 미세균질화하는 단계 및 얻어진 두유액을 순간멸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성분 두유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체 공정에서 순간멸균 공정을 제외하고는 95℃ 이상의 고온을 부가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성분 두유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전체 공정에서 순간멸균 공정을 제외하고는 91℃ 이상의 고온을 부가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초고압 미세화 공정을 400 내지 700 바의 압력을 가하여 2 내지 5 단계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침지 대두의 기계적 분쇄 후, 분쇄액을 두유액과 비지로 분리하고, 비지에 정제수를 가하고 미분쇄하여 비지유액을 얻은 후, 두유액과 비지유액을 혼합하는 공정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침지 대두의 분쇄 후, 대두 외피 및 불순물을 제거하는 정제 공정을 1 내지 3회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대두의 침지는 대두를 상온수에 8 내지 13 시간 침지하는 것이고, 침지대두의 분쇄는 상온에서 이루어지며, 분쇄된 대두의 초고압 균질화는 분쇄액을 90℃를 초과하지 않도록 냉각하면서 2 내지 5 단계로 초고압 균질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침지 대두의 기계적 분쇄 후, 분쇄액을 두유액과 비지로 분리하고, 비지에 정제수를 가하고 미분쇄하여 비지유액을 얻은 후, 두유액과 비지유액을 혼합하는 공정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전성분 두유에 응고제를 투입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성분 두부의 제조 방법.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두유에 식품학적으로 허용되는 첨가제를 배합한 후, 살균, 충진 및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성분 두유 제품의 제조 방법.
  10.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두유에 응고제 및 식품학적으로 허용되는 첨가제를 배합하여 응고시킨 후, 압착, 절단, 및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성분 두부 제품의 제조 방법.
KR1020040107953A 2004-12-17 2004-12-17 전성분 두유 및 두부의 제조방법 KR1008221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7953A KR100822165B1 (ko) 2004-12-17 2004-12-17 전성분 두유 및 두부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7953A KR100822165B1 (ko) 2004-12-17 2004-12-17 전성분 두유 및 두부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8982A true KR20060068982A (ko) 2006-06-21
KR100822165B1 KR100822165B1 (ko) 2008-04-16

Family

ID=37163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7953A KR100822165B1 (ko) 2004-12-17 2004-12-17 전성분 두유 및 두부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216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57990A3 (ko) * 2011-05-19 2013-03-21 씨제이제일제당(주) 신규한 두유 추출 방법
CN103230052A (zh) * 2013-03-22 2013-08-07 叶波 一种冷鲜果浆的制备方法
KR20190049116A (ko) * 2017-11-01 2019-05-09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우리두 전두유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19222484A1 (en) * 2018-05-17 2019-11-21 Schenkel Ian Healthy food products and method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5164B1 (ko) 2009-09-09 2012-05-11 한상효 전두유 제조 방법과 시스템
KR20160066136A (ko) 2014-12-02 2016-06-10 주식회사 이롬 비탈피의 대두를 사용한 전두유의 제조방법
CN104920622B (zh) * 2015-05-28 2018-12-04 宁夏伊宁和清真豆制品有限公司 一种大豆脱腥工艺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8533A (ja) 1997-12-24 1999-07-06 Hinoshoku Kogyo Kk 具材入り豆腐の製造方法
KR20000059786A (ko) * 1999-03-09 2000-10-05 박종명 원적외선을 이용한 충전 전두부의 성형제조방법
KR20020089858A (ko) * 2001-05-25 2002-11-30 박 창 복 전두부 제조장치
JP2003052326A (ja) 2001-08-10 2003-02-25 Yoshikatsu Tanaka 冷凍豆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836755B1 (ko) * 2003-09-02 2008-06-10 한미에프티 주식회사 대두의 다단계 초고압 균질화를 통한 전성분 두유 및두부의 제조방법
KR101160149B1 (ko) * 2003-10-08 2012-06-27 한미메디케어(주) 대두의 초고압 미세화를 통한 전성분 두유 및 두부의 제조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57990A3 (ko) * 2011-05-19 2013-03-21 씨제이제일제당(주) 신규한 두유 추출 방법
KR101306771B1 (ko) * 2011-05-19 2013-09-10 씨제이제일제당 (주) 신규한 두유 추출 방법
CN103533847A (zh) * 2011-05-19 2014-01-22 Cj第一制糖株式会社 新的豆浆制作方法
CN103230052A (zh) * 2013-03-22 2013-08-07 叶波 一种冷鲜果浆的制备方法
KR20190049116A (ko) * 2017-11-01 2019-05-09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우리두 전두유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19222484A1 (en) * 2018-05-17 2019-11-21 Schenkel Ian Healthy food products an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2165B1 (ko) 2008-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6755B1 (ko) 대두의 다단계 초고압 균질화를 통한 전성분 두유 및두부의 제조방법
US20080268098A1 (en) High-Fiber Soybean Products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N105638911B (zh) 一种浓香全营养豆乳粉的制备方法及应用
US10045548B2 (en) Method of producing whole soybean milk having improved storage stability
KR100822165B1 (ko) 전성분 두유 및 두부의 제조방법
KR100433458B1 (ko) 두유제품 제조방법
CN107927183B (zh) 一种豆奶饮品的加工工艺
KR101267959B1 (ko) 구아바 두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60149B1 (ko) 대두의 초고압 미세화를 통한 전성분 두유 및 두부의 제조 방법
JPS6211068A (ja) 豆乳,豆腐その他豆乳利用食品の製造法
KR20130010793A (ko) 모시두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70019265A (ko) 대두피 및 비지성분을 함유하는 고섬유질 대두식품 및 이의제조방법
KR101185530B1 (ko) 전성분 두유 제조 장치
KR20040064008A (ko) 콩가루를 원료로 하는 가루두부 및 가루두유의 제조방법과그 가루두부
KR20120044546A (ko) 쌀 함유 두부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쌀 함유 두부
CN109258819A (zh) 红枣豆渣乳饮料的制备方法
KR102557441B1 (ko) 알로에 타마린드 응고제 조성물을 이용한 모두부의 제조방법
JPS6050426B2 (ja) 大豆デザ−ト食品の製造法
KR100911615B1 (ko) 우혈 선지를 이용한 순두부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우혈 선지 순두부
JPS6132941B2 (ko)
KR101347861B1 (ko) 대두분말을 이용한 전두부 제조방법
KR101841548B1 (ko) 전두부를 이용한 검은깨 전두부 쉐이크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검은께 전두부 쉐이크
JP2003023990A (ja) 大豆粉を原料とする粉豆腐の製造方法及び粉豆腐
KR20220064015A (ko) 무첨가 생토마토주스 제조방법 및 그 토마토주스
KR20230108989A (ko) 전두부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