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9858A - 전두부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전두부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9858A
KR20020089858A KR1020010028807A KR20010028807A KR20020089858A KR 20020089858 A KR20020089858 A KR 20020089858A KR 1020010028807 A KR1020010028807 A KR 1020010028807A KR 20010028807 A KR20010028807 A KR 20010028807A KR 20020089858 A KR20020089858 A KR 200200898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tank
steam
steaming
soymil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8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명
Original Assignee
박 창 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 창 복 filed Critical 박 창 복
Priority to KR1020010028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89858A/ko
Publication of KR20020089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985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eans For Foods Or Fodd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두부를 제조하는 전두부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증숙조는 내관과 단열재를 구비하는 외관으로 되는 이중관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부측으로 스팀보일러로부터 상기 공간부로 스팀이 유입되기 위한 스팀유입관이 외관 일측에 연관되고, 외관 타측에 스팀이 방출되는 스팀유출관을 형성하여, 스팀보일러로부터 압출되는 스팀이 내/외관의 공간부를 충진 유동하며 스팀이 순환 가열되도록 하는 것과, 상기 냉각조는 내관과 단열재를 구비하는 외관으로 되는 이중관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부측으로 별도의 냉각수저장탱크로부터 공간부로 냉각수가 유입되기 위한 냉각수유입관이 외관 일측에 연관되고, 상기 외관 타측에 냉각수가 유출되기 위한 냉각수유출관이 형성되어 냉각수저장탱크로부터 냉각수이송펌프에 의해 냉각수가 공간부를 충진 유동하며 순환 냉각되도록 하는 것을 구성상 특징으로 하여,
장시간의 과다한 증숙, 냉각으로부터 발생되는 전두부의 열변성 및 갈색화 반응을 사전에 완벽하게 억제할 수 있어, 상질의 전두부를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증숙조와 냉각조 사이에 저장탱크와 필터기를 구비하여 전두유에 함유되는 이물질등을 완벽하게 걸러낸 상태에서 상질의 전두부를 얻을 수 있도록 하고,
기존의 증숙조에 필수적 구비요건이었던 증기 가열관의 설치를 제거할 수 있어, 증기 가열관과 두유간의 온도차이에 의한 응축수의 발생을 완전하게 차단하여 두유내 불순물 함유를 방지하게 되고, 스팀보일러등으로부터 발생되는 스케일등이 두유내에 함유되는 과정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전두부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두부 제조장치{The bean curd manufactur construction}
본 발명은 전두부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두부의 냉장보관 및 상온에서의 장기보관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전두부 제조장치를 제공하되 혼합조에서 일차 전지활성 생대두 미세분말과 연수와의 적정비율에 의해 혼합되도록 한 후 다음 증숙조에서 증숙시킬 때 증숙조의 구성을 내관 및 외관으로되는 이중관을 구성하여 별도의 증기보일러로부터 제공되는 스팀에 의해 전체적 가열면적이 확대되도록 하여 증숙시간의 단축 및 그 효율을 증가시키고, 냉각조에서의 두유냉각시 전체적인 냉각조의 냉각면적이 제공될 수 있도록 내관과 외관으로 되는 이중관을 형성하고 그 공간에 냉각수를 투입, 순환되도록 하여 냉각시간의 단축 및 냉각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서, 냉장보관 및 상온에서의 장기보관이 가능한 전두부를 제조하기 위한 전두부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두는 40%의 단백질을 함유하고 있어 식물성 식품 중에서 우수한 영양가, 저렴한 가격, 높은 소화 흡수율등을 나타내는 식물성 식품 단백질의 가장 우수한 단백질 공급원이며, 이와같은 대두 가공식품 중 두부의 경우 97%, 삶은 대두의 경우 92%의 높은 체내 흡수율을 나타내고 있음은 주지된 바와 같다.
이와같은 대두을 원료로 하는 두부는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일본, 중국 등에서 널리 소비되고 있는 유용한 비발효 대두 제품중의 하나로, 대두를 갈아서 수용성 성분을 뜨거운 물로 추출하여 여과한 액에 염을 가하여 응고시키거나, 또는 산에 의해 등전점에서 침전되는 성질을 이용하여 제조된 가공식품을 말하는 것으로, 이와같은 두부를 제조할 때 재래법에 의하면, 단백질의 추출 효율을 높이기 위해 물을 가하면서 조직을 파쇄, 분말화 시키기 위해 대두량의 약 10배정도에 달하는 물을 첨가하여 팽윤된 상태에서 맷돌등의 수단으로 대두를 갈아 미세하게 분말화 한 다음, 이를 증숙하여 비지를 걸러내고 응고제의 일종인 간수를 첨가하여 두유를 응고시키고 일정 형상으로 성형화 시켜 두부를 제조하였다.
근래에는 이러한 방법 이외에 다량의 영양소가 함유되어 있는 비지가 대다수 버려지는 폐단을 극복하고, 물의 양을 최소화 하여 폐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두부제조 방법 및 장치등이 다수 대한민국 특허청에 기출원되거나 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주로 전두부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두부라 함은 상기한 바와 같이 두부에 첨가되는 물의 양을 억제하고 두부제조시 불필요한 비지의 생성을 억제하여, 대두를 미세하게 분말화 하여 물에 혼합하여 가열 및 냉각한후 응고제를 가하여 그대로 응고시키는 두부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두부를 말하는 것으로 전두부 제조시 특히 중요한 조건 중의 하나가 증숙조의 증숙시간 및 온도와, 냉각조의 냉각시간 및 온도인바, 이와같은 증숙조와 냉각조의 구조 및 설계등에 의해 최적의 조건에 해당되는 증숙조와 냉각조의 구성 제공에 의해 양질의 전두부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이와같은 전두부를 만드는 제조장치는 대한민국 특허청에 기출원되어 공개된 실용신안 등록 공개 제2000-8789호가 개시되어 있는바, 상기 실용신안은 도 5 a,b에서 보는바와 같이 교반조(4)와 증숙조(6), 두유저장조(20) 그리고 포장기(58)가 부설된 콘베어벨트(50)를 제어용 컴퓨터(62)가 제어토록 하여 전두부를 제조하는 통상의 장치에 두유저장조(20) 일측 상부에는 응고제저장조(28)를 부설하고 그 내부에는 교반기(18)와 외부의 압축기(34) 및 응축기(36)와 연결된 코일형 냉각파이프 (32)와 교반기(18)를 설치하여서 되는 전두부 제조장치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전두부 제조장치의 경우, 전지활성 생대두 미세분말과 연수의 혼합 교반을 위한 교반조에서 혼합 교반 된 후, 그 하방의 증숙조로 투여되는데, 상기 증숙조 내부로 배관되는 관로 단부측에 증기보일러로부터 스팀이 분사될 수 있도록 분사관을 형성하여 두유에 스팀을 직접 분사하고 있어, 본 출원인의 실시결과 증기보일러의 뜨거운 스팀이 증숙조의 상대적으로 차가운 두유와 당접되어질 때 증숙조내 관로상에 응축수가 발생되는 문제는 물론, 보일러에 발생되는 스케일이 관로를 따라 증숙조내로 투여되는 경우가 발생되어 위생상 청결치 못하게 되어 두부제품의 질이 저하되고 불순물이 함유되는 등의 제품상 치명적인 문제점이지적되었다.
또한 두유저장조에서 두유의 냉각을 위해 두유저장조 내외관 사이에 외부의 압축기 및 응축기와 연결되어 코일상으로 권취되는 냉각파이프를 설치하고 있어 냉매순환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나, 이와 같은 경우 냉각파이프와 두유저장조의 내벽면이 당접되는 면적이 접점 부위에만 한정 되어져 있어, 국부적 냉각 효과에 의해 두유저장조를 골고루 냉각시키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은 물론이거니와, 두유저장조를 빠른시간내에 냉각시키지 못하게 되므로, 적정한 냉각온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며 빠른 시간내의 냉각이 불가능하므로 상질의 전두부를 제조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냉각 시간이 지연됨에 따른 두부에 잔존하는 미열에 의해 두부내의 단백질의 열변성 및 갈색화 반응이 촉진되는 등의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한편 이와는 달리 대한민국 특허청에 기출원되어 선등록된 실용신안 등록 제196421호의 전두부 제조기가 도 6에서 보는바와 같이 개시되어 있는바, 증숙 중 열손실 방지를 위하여 증숙통(4)을 이중구조로 개량하여 두부제조를 개선한 전두부 제조기에 관한 것으로, 증숙통(4) 내로 스팀보일러로부터 증기관(9)이 매입되도록 하고 증숙통(4)을 이중구조로 형성하여 그 내부에 보온재(5)나 또는 열매체유를 충진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 증숙과정시 보온재(5) 또는 열매체유에 의해 열손실이 없도록 하는 구성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구조의 경우에도 상기한 바와 같이 스팀보일러로부터 공급되는 스팀이 증숙조 내부의 증기관으로 유입되는 구조이므로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두유와의 당접시 증기관로에 응축수가 발생되는 문제는 물론이거니와, 스팀보일러로부터 발생되는 스케일등이 증숙조내로 유입되어 불순물이 함유되는 두부가 생산되므로 상질의 전두부를 제조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존재한다.
또한 상기한 종래의 구조에 의한 증숙 수행시 증기관등으로 스팀이 분사되므로, 증기관을 중심으로 증숙과정이 형성되어 균일하며 빠른 증숙과정을 얻을 수 없고 증숙의 장기화에 따른 두유내 단백질과 탄수화물의 결합을 더욱 촉진시켜 전두부의 갈색화 반응을 일으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과다증숙은 단백질의 열변성을 일으키게 되어 전두부 제조시 경도가 저하되거나 제대로 전두부 제조가 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전두부 제조시 가장 중요한 단계인 증숙과정과 냉각과정 수행시 증숙 시간을 최대한 빠르게 단축시킴과 동시에 균일하게 증숙되도록 하여 과다한 시간의 증숙으로 인한 두유내의 단백질과 탄수화물의 결합 촉진에 의한 갈색화 반응을 억제함은 물론, 냉각공정 수행시에도 단시간내에 냉각과정이 완료되도록 하여 고온상태의 미열을 제거함으로써, 이로인한 두부내의 단백질 열변성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고, 갈색화 반응을 억제하도록 하여 상질의 전두부를 제조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략적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증숙조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냉각조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구성에 저장탱크조와 필터를 구성한 상태의 개략적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종래의 전두부 제조장치의 개략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종래의 냉각조의 단면도이다.
- 도면 중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00; 스팀보일러 200; 혼합조 210; 교반익
300; 증숙조 301; 내관 302; 외관
303; 단열재 304; 공간부 310; 스팀유입관
320; 스팀유출관 330; 두유유입구 340; 두유배출구
400; 냉각조 401; 내관 402; 외관
403; 단열재 404; 공간부 410; 응축수단
411; 응축관 420; 냉각수저장탱크
421; 냉각수이송펌프 430; 냉각수유입관 440; 냉각수유출관
450; 교반익 460; 두유유입구 470; 두유유출구
500; 포장기 510; 호퍼 520; 컨베어벨트
530; 용기수납구 600; 세척조 700; 살균처리기
800; 저장탱크 810; 필터기 811; 이송펌프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스팀을 발생시키기 위한 스팀보일러(100)와, 연수 및 전지활성 생대두 미세분말을 적정 혼합비로 혼합하여 교반하기 위한 혼합조(200) 및 상기 혼합조(200)에서 적정하게 혼합 교반된 두유를 증숙하기 위한 증숙조(300), 상기 증숙조(300)로부터 증숙된 두유를 냉각시킴과 동시에 응고제를 투입하여 교반하기 위한 냉각조 (400)와, 상기 냉각조(400)에서 냉각되며 응고제가 첨가된 두유를 호퍼(510)상으로 투입한 후 적정 규격의 용기에 투입하고 포장하여 세척하는 포장기(500)가 각각 배관에 의해 연결되어 컨트롤유니트(미도시)에 의해 제어가능하도록 하고, 별도의 살균처리기(700)에 의해 적정온도와 압력으로 살균 또는 멸균 처리하여 전두부를 제조하는 전두부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증숙조(300)는 내관(301)과 단열재(303)를 구비하는 외관(302)으로 되는 이중관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부(304) 측으로 스팀보일러(100)로부터 상기 공간부(304)로 스팀이 유입되기 위한 스팀유입관(310)이 외관(302) 일측에 관통 연관되고, 외관(302) 타측에 스팀이 방출되는 스팀유출관(320)을 형성하여, 스팀보일러 (100)로부터 압출되는 스팀이 내/외관(301,302)의 공간부(304)를 충진 유동하며 스팀이 순환 되도록 하는 것과,
상기 냉각조(400)는 내관(401)과 단열재(403)를 구비하는 외관(402)으로 되는 이중관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부(404) 측으로 별도의 응축수단(410)에 의해 냉각수가 냉각되는 냉각수저장탱크(420)로부터 공간부(404)로 상기 냉각수가 유입되기 위한 냉각수유입관(430)이 외관(402) 일측에 연관되고, 상기 외관(402) 타측에 냉각수가 유출되기 위한 냉각수유출관(440)이 형성되어 냉각수저장탱크(420)로부터 냉각수이송펌프(421)의 구동에 의해 냉각수가 공간부(404)를 충진 유동하며 순환 되도록 하는 것을 구성상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략적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증숙조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냉각조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구성에 저장탱크조와 필터를 구성한 상태의 개략적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전두부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전두부제조의 가장 중요한 조건을 제공하는 증숙조(300)와 냉각조(400)의 구성을 달리하여 두유의 증숙 및 냉각시 증숙시간과 냉각시간을 단축하여 상질의 전두부를 제조하고자 하는데 있는바, 첨부한 도면에서 보는바와 같이 스팀보일러(100)와, 혼합조(200), 증숙조(300) 및 냉각조(400)와 포장기(500), 세척조(600) 및 살균처리기(700)가 스팀보일러(100)와 연관되며 순차적으로 배열 배치되는 구성을 갖으며, 도시하지 않은 컨트롤유니트에 의해 전자제어되는 구성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혼합조(200)는 통상적 구조를 갖추고 있는바, 생대두로부터 얻은 전지활성 생대두 미세분말과 연수를 적정 혼합비에 의해 혼합되도록 교반익(210)에 의해 교반시켜서 얻게 되는 교질액의 두유를 다음 공정에 의해 처리되는 증숙조(300)로 자연낙하 방식에 의해 보내지게 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증숙조(300)는 상기 혼합조(200)에 의해 교반된 교질액의 두유를 자연낙하에 의해 적정량 저장되면 미도시된 컨트롤유니트의 제어에 의해 증숙조(300)와 연관되는 모든 밸브를 차단하고 스팀보일러(100)로부터 스팀이 공급되어 전체적으로 증숙조 (300)를 스팀순환방식에 의해 가열되도록 하여 단시간내에 증숙조(300)에 충진되어 있는 두유를 적정온도에서 적정시간으로 증숙되도록 하므로서, 대두내에 포함되는 비린내의 제거 및 전두유의 당도(Brix %)의 농도 조절 및 열변성 해결과 생리불활성 물질의 파괴를 용이하게 하도록 한다.
이와같은 증숙조(300)는 도 2에서 보는바와 같이, 내관(301)과 단열재에 의해 단열되는 외관(302)으로 구성되어 그 사이에 공간부(304)가 형성되도록 하고, 내관(301)측으로 관통 연관되어 상기한 혼합조(200)의 두유가 증숙조(300) 내부로 충진 유입될 수 있도록 두유유입구(330)가 형성되고, 내관(301) 타측 또는 내관(301) 직하방으로 일정 시간, 온도로 증숙된 두유를 다음 공정의 냉각조(400)로 보내기 위한 두유배출구(340)를 형성한다.
한편 상기 외관(302) 일측방으로 연통되어 공간부(304)측으로 스팀보일러 (100)로부터 스팀을 유입하기 위한 스팀유입관(310)을 구비하고, 타측방으로 스팀유출관(320)을 구비하여 스팀이 공간부(304)를 대류 유동하며 증숙조(300)의 내관 (301) 외주면을 가열한 후 순환되도록 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해 스팀보일러(100)에서 공급되는 스팀이 공간부(304)로 충진 투입되며 재차 스팀보일러(100)측으로 재유입되어 순환됨과 동시에 내관(301)의 외주면 전체 면적을 스팀에 의해 가열되도록 하여 가열면적을 최대화 시킬 수 있고, 이와 동시에 밀폐된 증숙조(300)내의 두유가 가열되며, 자체 내압이 발생되도록 한다. 이와같은 자체내압에 의해 후술하는 냉각조(400)로 자체 압력에 의해 증숙된 두유가 유동 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발생되는 증숙조(300)내의 자체 내압을 본 발명에서는 약 1.5 ~ 2kg/㎠ 으로 되도록 적정온도에서 적정시간 동안 증숙되도록 하였고, 이와같은 조건에 의해 두유내의 비린내의 제거는 물론이거니와, 트립슨인히비터(Trypshin Inhibitor)등의 소화성을 저하시키는 물질과, 리폭시게내이즈(Lipoxygenase), 옥시나아제(Oxidase)등의 지방을 산화시키는 물질등 생리불활성 물질의 파괴를 용이하게 하여 본 증숙조(300)에서 상기 생리불활성 물질의 파괴공정을 별도로 요하지 않은 상태에서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높은 온도에서 짧은 시간동안의 증숙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상기의 증숙 온도 및 시간은 각각의 두부종류에 따라 상이한바, 몇가지의 예시에 의해 설명하면, 연한 전두부의 경우 전지활성 생대두 미세분말과 연수와의 혼합비율에 따라 그 증숙온도와 시간을 달리한다.
즉, 연한 전두부에서 연수의 혼합비율을 1:8~9로 하였을 경우 85~105℃에서 3~5분간 증숙하고, 이와는 달리 연수의 혼합비율을 1:10~11로 하였을 경우에는 95~105℃에서 3~10분간 증숙하는 과정을 거친다.
한편 일반 전두부에서 연수의 혼합비율을 1:4.5~7로 하였을 경우에는 95~105℃에서 5~10분간 증숙하여야 한다.
상기 냉각조(400)는 상기한 증숙조(300)에 의해서 증숙되는 과정에 고온 상태의 두유의 미열을 제거하여 지속적인 열변성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냉각하는 곳으로, 일반적으로 냉각시에는 상온 이하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고, 보통 5℃를 기준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통상적인바, 이와같은 냉각조(400)내에서의 두유 냉각공정이 되도록 빠르게 진행되는 것이 중요하며, 이러한 냉각시간의 단축 여하에 따라 전두유에 잔존하는 미열에 의한 두유내에 포함되어 있는 단백질의 열변성과 갈색화 반응을 최대한 억제할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같은 조건을 위해 5℃/min의 속도로 30분 내지 약 1시간 이내로 빠르게 냉각하여 전체 전두유의 온도가 약 5~10℃ 이내를 유지할 수 있도록 냉각시키기 위한 구조를 제공하였다.
이와같은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한 냉각조(400)는 도 3에서 보는바와 같이 내관(401)과 단열재(403)가 구비되는 외관(402)으로 구성하여 공간부(404)가 형성되도록 이중관으로 구비하고, 상기 증숙조(300)에서 자체 압력에 의해 냉각조(400)의 내관(401)측으로 증숙된 두유가 투입될 수 있도록 두유유입구(460)를 일측에 형성하고, 내관(401) 타측으로 냉각된 두유가 다음 공정을 위한 포장기(500)의 호퍼(510)상으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두유유출구(470)를 연관되도록 형성한다.
한편, 냉각조(400)로 냉각수를 유입 순환시키기 위해 냉각수를 저장하는 냉각수저장탱크(420)를 별도 구비하고, 저장된 냉각수를 냉각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응축수단(410)로부터 연설되는 응축관(411)을 냉각수저장탱크(420)내로 유입 배관한다.
이와같이 되는 냉각수저장탱크(420)로부터 냉각수를 상기의 냉각조(400) 내관(401)과 외관(402) 사이의 공간부(404)로 유입 순환시키기 위해 상기 외관(402)을 관통 연관하는 냉각수유입관(430)과 냉각수유출관(440)을 형설하여 냉각수저장탱크(420)와 배관 연결하여 냉각수이송펌프(421)의 구동에 의해 차가운 상태의 냉각수가 상기 공간부(404)내로 유입되어 유동된 후 재차 냉각수저장탱크(420)측으로 배출되는 과정을 반복 수행하여 냉각조(400)내의 두유를 냉각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냉각조(400) 상단부로 혼합응고제를 적정량 투여하여 냉각과정의 두유와 혼합교반되도록 하고, 냉각조(400)의 내관(401) 내부로 유설되는 미설명된 모터에 의해 내관(401) 내부에서 응고제와 혼합된 상태의 증숙된 두유를 교반하기 위한 교반익(450)을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냉각조(400)내로 상기한 증숙조(300)에서 증숙된 두유가 자체 압력에 의해 냉각조(400)내로 투입되면 미도시된 컨트롤유니트의 제어에 의해 냉각수저장탱크(420)의 동작에 따라 외관(402)과 내관(401) 사이의 상기 공간부(404)측으로 냉각수가 투입 유동되어지고, 내관(401)의 전체 면적과 유동되는 냉각수가 지속적으로 당접되며 열교환되어 균일하며 빠르게 내관(401) 및 내부의 두유를 냉각시키고, 이와같이 냉각된 상태의 전두유에 적정량 투입된 혼합응고제와 냉각된 두유를 교반익(450)에 의해 교반 혼합되어진다.
한편 냉각조(400)의 공간부(404)로 투입되어 전두유를 냉각시키는 냉각수는 다시 냉각수저장탱크(420)측으로 유입되어 응축수단(410)에 의해 재차 냉각되는 과정을 반복 순환하게 된다.
이와같은 구조를 갖는 냉각조(400)내에서 전두유가 냉각되는 시간은 상술한 바와 같이 5℃/min의 속도로 30분 내지 1시간 이내에서 빠르게 냉각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포장기(500)는 냉각조(400)에서 냉각된 상태의 전두유에 혼합응고제의 일정량 혼합 교반에 의해 겔형상으로 되는 교질액의 전두유를 적정 크기에 의해 포장하기 위한 것으로, 상단부에 상기의 냉각조(400)로부터 유입되기 위한 호퍼(510)를 구비하고 그 하단부에 유한궤도로 순환되는 용기수납구(530)를 갖는 콘베이어벨트(520)를 구비하고, 상기 호퍼(510)에서 적정량 용기수납구(530)로 투입된 상태의 용기(미도시)의 상부를 필름등으로 밀폐 포장하는 필름포장기(미도시)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와같은 구성은 통상의 구조와 유사하다.
이때 상기 필름 및 포장용기의 종류등에 따라 전두부의 보관 시간을 더욱 길게 할 수 있는바, 본원 출원인에 의해 대한민국 특허청에 기출원된 특허등록출원 제98-48514호와 같이 산소차단성을 갖는 PP필름으로 하여 밀폐포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포장된 전두부는 아직 완전한 두부가 아니며, 전두유에 가까우며 포장기(500)의 전단부측에 포장이 완료된 포장용기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조(600)를 구비한다.
상기 살균처리기(700)는 상기 세척조(600)에서 세척된 상태의 포장된 전두유를 적정 온도와 압력 및 시간으로 살균 또는 멸균 처리하여 전두부가 상온 또는 냉장 상태에서 장기보관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이에 따른 살균 조건 즉 살균온도와 살균시간 및 압력등의 조건은 본 발명의 대상이 아니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본 출원인이 동일자로 제출되는 전두부 제조방법과 기출원된 대한민국 특허등록출원 제98-48514호 및 제99-49772호의 조건에 의한다.
미설명부호 T는 세척조에서 세척된 상태의 포장된 전두유를 적재하여 살균처리기로 운반하기 위한 적재트레이 및 상기 살균처리기에서 완전하게 살균, 멸균된 완성된 전두부를 적재하기 위한 적재트레이이다.
한편 본 발명의 구성에 도 4에서 보는바와 같이, 증숙조(300)와 냉각조(400) 사이에 증숙조(400)로부터 증숙된 두유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탱크(800)를 구비하고, 저장탱크(800)로부터 자연낙하에 의해 낙하되는 두유내에 포함되는 불순물이나 이물질등을 걸러내기 위한 필터기(810)를 구비하고, 필터기(810)에 의해 필터링된 두유를 이송펌프(811)에 의해 상기 냉각조(400)의 내관(401) 내부로 유입되도록 구성하여 생두의 미세분말과정 및 혼합조(200)내에서 연수와의 혼합과정 또는 증숙조 (300)내의 증숙과정 등을 통하면서 발생되는 불순물이나 찌꺼기, 이물질등을 완벽하게 걸러내어 상질의 전두부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증숙조(300)에서 저장탱크(800)로 증숙조(300)내의 자체압력에 의해 두유가 상승 유동되도록 하여야 하는바, 그 이유는 저장탱크(800)에 연결되는 필터기(810)로까지 강하게 두유가 유동되면, 필터기(810)에서 미세한 두유내 포함된 이물질을 걸를 수 없게 되므로, 저장탱크(800)측까지는 증숙조(300)의 자체압력에 의해 상승 유동되도록 하고, 저장탱크(800)에서 필터기(810)까지 자연낙하에 의해 유동되도록 하여 두유내 잔존하는 이물질이 완벽하게 걸러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을 이용하여 전두부를 만드는 공정을 간략히 설명한다. 후술하는 공정의 상세한 설명은 본 출원인이 동일자로 출원하는 전두부제조방법에 상세하게 설명되므로 간략한 공정순에 의한 본 발명의 장치의 작동상태등을 중심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 전지활성 생대두 미세분말과 연수와의 혼합공정 -
대두를 미세하게 분체공법에 의해 분말화하여 약 325메쉬 정도의 입자로 되는 전지활성 생대두 미세분말과 연수를 적정 비율로 혼합하여 혼합조(200)내의 교반익(210)에 의해 교반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전지활성 생대두 미세분말과 연수와의 혼합비에 따라 일반전두부 또는 연한전두부등의 전두부 종류가 결정되므로, 일반전두부의 제조시에는 전지활성 생대두 미세분말과 연수와의 혼합비를 1:4.5~7 비율로 혼합하고, 연한전두부의 제조시에는 전지활성 생대두 미세분말과 연수와의 혼합비를 1:8~9 또는 1:10~11의 비율로 하여 혼합 교반한다.
이와같이 전지활성 생대두 미세분말과 연수와의 혼합시, 칼슘등을 적정량 첨가하거나, 또는 비타민C, 토코페롤, DHA등의 첨가물을 적정량 혼합하여 단백질 이외의 영양가를 갖춘 전두부를 제조할 수 있으며, 전두부의 종류에 따라 선택적으로 혼합 교반할 수 있다.
- 증숙 공정 -
상기의 혼합조(200)에서 전지활성 생대두 미세분말과 연수와의 적정 혼합비에 의해 혼합 교반되어 교질액으로 되는 두유를 미도시한 컨트롤유니트의 제어에 의해 밸브가 개방되고, 동시에 자연낙하에 의해 증숙조(300)의 내관(301)으로 연관되는 두유유입구(460)를 통해 내부로 유입시켜 적정량 유입되면 밸브가 차단되어 증숙조(300)는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와같이 증숙조(300)가 밀폐되면, 콘트롤유니트의 제어에 의해 스팀보일러 (100)로부터 스팀이 증숙조(300)내의 공간부(304)측으로 공급되어 증숙조(300)의 내관(301) 전체 면적과 당접, 가열시키게 되면서, 재차 스팀보일러(100)측으로 재유입되는 과정을 반복 수행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내관(301)내에 충진되어 있는 두유는 내관(301)의 전체 면적의 가열에 의해 빠르게 증숙되는 과정을 거치게 되고, 밀폐된 상태에서 증숙되는 과정에서 두유자체의 상당한 압력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스팀의 공급에 의한 증숙조(300)의 스팀 가열온도는 일반 전두부와 연한 전두부의 경우 그 조건을 달리하여야 하는데, 예컨데 일반 전두부의 경우에는 대략 95~105℃ 정도를 유지하는 상태에서 5~10분간 증숙하는 과정을 거치도록 하고, 연한 전두부의 경우 8~9배의 연수를 첨가 혼합할때에는 85~105℃ 에서 3~5분간 증숙하고, 10~11배의 연수를 첨가 혼합 할 경우에는 95~105℃에서 3~10분간 증숙한다.
이와같은 조건은 상술한 바와 같이 두유의 열변성을 억제하고 트립슨인히비터등의 소화성을 저하시키는 물질과 리폭시게내이즈, 옥시나아제등의 지방을 산화시키는 물질등 생리불활성 물질의 파괴가 용이한 조건이다.
이와같이 일정조건에 의해 증숙조내에서 두유의 증숙과정이 완료되면, 증숙조(300)의 내관(301)내에는 상당한 자체압력이 발생된 상태이고, 컨트롤유니트의 신호에 의해 냉각조(400)로 연관되는 냉각조(400)의 두유유입구(460)측 밸브를 개방하여, 자체압력에 의해 증숙된 전두유가 냉각조(400)의 내관(401) 내부로 유입되도록 한다.
- 냉각공정 -
상기와 같이 증숙이 완료되어, 자체압력에 의해 증숙된 두유가 냉각조(400)의 내관(401) 내부로 유입되어 일정량 충진되면, 컨트롤유니트의 제어에 의해 모든 밸브가 차단된 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별도로 구비되는 냉각수저장탱크(420)에서 냉각수를 냉각조(400)의 내관(401)과 외관(402)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404)로 유입 시키게 된다.
이와같이 유입되는 냉각수는 상기 공간부(404)를 유동하며, 냉각조(400)의 내관(401) 전체면적을 균일하게 냉각시키게 되고, 외관(402) 타측으로 연관되며 냉각수저장탱크(420)으로 연결되는 냉각수유출관(440)측으로 유출되는 과정을 순환하게 된다.
상기의 냉각과정은 되도록 빠르게 진행될수록 두유에 잔존하는 미열에 의한 단백질의 열변성 및 갈색화 반응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5℃/min의 조건으로 약 30분내지 1시간이내에서 빠르게 냉각하여 전체 두유의 온도가 약 5~10℃ 이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냉각조(400)내에서 두유가 냉각수의 충진 유동에 의해 냉각되어지면, 적정량의 혼합응고제를 냉각조(400)의 내관(401)내부로 투입하여, 교반익(450)에 의해 냉각된 두유와 혼합응고제를 혼합 교반하게 된다.
- 포장 및 살균 공정 -
이와같이 냉각된 후 혼합응고제의 첨가에 의해 일정농도를 갖는 단백질겔의 교질액을 얻게 되면, 전두유 이송펌프 구동 및 포장기(500)의 호퍼(510)상으로 연결되는 밸브를 개방하여, 상기 호퍼(510)상으로 교질액상의 전두유가 투입되게 되고, 호퍼(510)에서 적정량의 전두유를 컨베이어벨트(520)에 형설되는 용기수납구 (530)에 안착된 적정 크기의 용기(미도시)로 투입하게 된다.
이와같이 전두유가 투입되어 충진된 상태의 용기를 포장기(500)내에 권취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등을 이용하여 밀폐포장하게 되고, 포장된 용기는 최전단에 구비되는 세척조 (600)로 낙하 적재되어 세척된 후, 작업자에 의해 적재트레이(T)상으로 세척된 전두부 용기를 적재한 상태에서, 별도의 살균처리기(700)에 수납 적재한 후, 적정온도와 적정압력 및 적정시간으로 살균, 멸균 처리하여 완전한 전두부를 얻게 된다.
상기의 공정에 의해 얻게 되는 전두부는 상온에서 장기간 보관 가능하거나 또는 냉장보관에 의해 장기간 보관할 수 있는 전두부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두부 제조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로 되는 증숙조와 냉각조를 내관과 외관으로 구성하여 공간부를 형성한 후, 스팀보일러와 별도의 냉각수저장탱크에 의해 적정 조건으로 스팀과 냉각수가 충진 투입되며, 증숙조를 가열하거나, 냉각조가 냉각되도록 하되, 내관 전체 면적에 균일하게 가열, 냉각되도록 하여 빠른 시간내에 증숙 및 냉각이 이루어질 수 있어, 종래와 같이 장시간의 과다한 증숙, 냉각으로부터 발생되는 전두부의 열변성 및 갈색화 반응을 사전에 완벽하게 억제할 수 있어, 상질의 전두부를 얻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증숙조와 냉각조 사이에 저장탱크와 필터기를 구비하여 전두유에 함유되는 이물질등을 완벽하게 걸러낸 상태에서 상질의 전두부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증숙조에 필수적 구비요건이었던 증기관의 설치를 제거할 수 있어, 증기관과 두유간의 온도차이에 의한 응축수의 발생을 완전하게 차단하여 두유내 불순물 함유를 방지하게 되고, 스팀보일러등으로부터 발생되는 스케일등이 두유내에 함유되는 과정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5)

  1. 스팀을 발생시키기 위한 스팀보일러와, 연수 및 전지활성 생대두 미세분말을 적정 혼합비로 혼합하여 교반하기 위한 혼합조 및 상기 혼합조에서 적정하게 혼합 교반된 두유를 증숙하기 위한 증숙조, 상기 증숙조로부터 증숙된 두유를 냉각시킴과 동시에 응고제를 투입하여 교반하기 위한 냉각조와, 상기 냉각조에서 냉각되며 응고제가 첨가된 두유를 호퍼상으로 투입한 후 적정 규격의 용기에 투입하고 포장하여 세척하는 포장기가 각각 배관 및 밸브에 의해 연결되어 컨트롤유니트에 의해 제어가능하도록 하고, 별도의 살균처리기에 의해 적정온도와 압력으로 살균 또는 멸균 처리하여 전두부를 제조하는 전두부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증숙조는 내관과 단열재를 구비하는 외관으로 되는 이중관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부측으로 스팀보일러로부터 상기 공간부로 스팀이 유입되기 위한 스팀유입관이 외관 일측에 연관되고, 외관 타측에 스팀이 방출되는 스팀유출관을 형성하여, 스팀보일러로부터 압출되는 스팀이 내/외관의 공간부를 충진 유동하며 스팀이 순환 가열되도록 하는 것과,
    상기 냉각조는 내관과 단열재를 구비하는 외관으로 되는 이중관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부측으로 별도의 냉각수저장탱크로부터 공간부로 냉각수가 유입되기 위한 냉각수유입관이 외관 일측에 연관되고, 상기 외관 타측에 냉각수가 유출되기 위한 냉각수유출관이 형성되어 냉각수저장탱크로부터 냉각수이송펌프에 의해 냉각수가 공간부를 충진 유동하며 순환 냉각되도록 하는 것을 구성상 특징으로 하는 전두부제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숙조와 냉각조 사이에 증숙조로부터 증숙된 두유가 저장되기 위한 저장탱크를 구비하고, 저장탱크로부터 자연낙하에 의해 두유내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필터기가 구비되는 것을 포함하는 전두부 제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전지활성 생대두 미세분말과 연수와의 혼합비를 1:4.5~7 비율로 하는 일반 전두부를 상기 증숙조에서 95~105℃의 온도로 5~10분간 증숙되도록 하고,
    전지활성 생대두 미세분말과 연수와의 혼합비를 1:8~9 비율로 하는 연한 전두부를 상기 증숙조에서 85~105℃의 온도로 3~5분간 증숙되도록 하고,
    전지활성 생대두 미세분말과 연수와의 혼합비를 1:10~11의 비율로 하는 연한 전두부를 상기 증숙조에서 95~105℃의 온도로 3~10분간 증숙되도록 각각 조건을 달리하는 혼합비에 따라 그조건을 컨트롤유니트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포함하는 전두부 제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조에서 두유는 5℃/min에서 30분~1시간 이내에서 냉각되도록 컨트롤유니트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포함하는 전두부 제조장치.
  5. 제 1 항 및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증숙조에서 냉각조로, 또는 저장탱크로 증숙조내의 자연압력에 의해 증숙된 두유를 상승 유동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전두부 제조장치.
KR1020010028807A 2001-05-25 2001-05-25 전두부 제조장치 KR200200898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8807A KR20020089858A (ko) 2001-05-25 2001-05-25 전두부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8807A KR20020089858A (ko) 2001-05-25 2001-05-25 전두부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9858A true KR20020089858A (ko) 2002-11-30

Family

ID=27706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8807A KR20020089858A (ko) 2001-05-25 2001-05-25 전두부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89858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2165B1 (ko) * 2004-12-17 2008-04-16 한미에프티 주식회사 전성분 두유 및 두부의 제조방법
KR100859703B1 (ko) * 2008-01-09 2008-09-23 박병은 전두부 제조장치
KR100906793B1 (ko) * 2007-06-13 2009-07-09 박병은 간접가열 방식의 두부 제조장치
KR101036073B1 (ko) * 2009-01-19 2011-05-19 이주열 전두부 제조기
CN110207455A (zh) * 2019-05-10 2019-09-06 天津市宽达水产食品有限公司 一种高温水煮槽用冷却循环系统
KR102286799B1 (ko) * 2021-06-22 2021-08-05 어너르체첵 네르귀 쌀 세척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0733Y1 (ko) * 1997-09-26 1999-11-15 이진우 에너지 절약형 전두부 제조기
KR200196421Y1 (ko) * 2000-03-08 2000-09-15 김명규 전두부 제조기
KR200210410Y1 (ko) * 1998-10-26 2001-03-02 이익형 전두부 제조장치
KR200235738Y1 (ko) * 2001-04-10 2001-10-11 태량에스피(주) 전두부 자동제조기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0733Y1 (ko) * 1997-09-26 1999-11-15 이진우 에너지 절약형 전두부 제조기
KR200210410Y1 (ko) * 1998-10-26 2001-03-02 이익형 전두부 제조장치
KR200196421Y1 (ko) * 2000-03-08 2000-09-15 김명규 전두부 제조기
KR200235738Y1 (ko) * 2001-04-10 2001-10-11 태량에스피(주) 전두부 자동제조기계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2165B1 (ko) * 2004-12-17 2008-04-16 한미에프티 주식회사 전성분 두유 및 두부의 제조방법
KR100906793B1 (ko) * 2007-06-13 2009-07-09 박병은 간접가열 방식의 두부 제조장치
KR100859703B1 (ko) * 2008-01-09 2008-09-23 박병은 전두부 제조장치
KR101036073B1 (ko) * 2009-01-19 2011-05-19 이주열 전두부 제조기
CN110207455A (zh) * 2019-05-10 2019-09-06 天津市宽达水产食品有限公司 一种高温水煮槽用冷却循环系统
KR102286799B1 (ko) * 2021-06-22 2021-08-05 어너르체첵 네르귀 쌀 세척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9079936A1 (fr) Nouille à base de poisson et son procédé de préparation
KR101864529B1 (ko) 갈비탕용 갈비의 제조방법
CN209314786U (zh) 一种环保型全自动豆腐生产线
CN103988915A (zh) 一种自立袋豆奶自动化加工工艺
KR20020089858A (ko) 전두부 제조장치
KR102244831B1 (ko) 식혜 제조장치
US5327818A (en) Apparatus for preparing and distributing fermented diary products
JP2007222158A (ja) 大豆の磨砕加熱処理方法及び装置
JP2007325522A (ja) 油の殺菌方法及び装置
KR20020052160A (ko) 전두부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934970A (zh) 酒凝香奶酪及其制作方法
CN109090265A (zh) 一种环保型全自动豆腐生产线及其生产方法
CN108669515A (zh) 一种火锅底料及其制备方法
JP2009000081A (ja) 油の滅菌方法及び装置
WO2007148948A1 (en) Ingredients making soup for bean noodles and cooking method
KR100789410B1 (ko) 두부의 제조 방법
CN109770269B (zh) 一种鱼豆腐工业化生产线
CN1150834C (zh) 一种内酯冻豆腐的制作方法
KR20080100675A (ko) 항온 수조를 이용한 순두부 제조 방법
KR20110101448A (ko) 전두부의 제조장치
KR200287659Y1 (ko) 전두부 제조장치
JP3436927B2 (ja) 豆乳のインライン凝固装置
KR100456007B1 (ko) 비지 발생이 없는 자판식 두부 자동제조 시스템
KR20100028142A (ko) 천연물 엑기스 분말을 이용한 콩활성미립자에 의한포장위생 맛 전두부의 제조방법.
KR101252233B1 (ko) 치즈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즈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