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6421Y1 - 전두부 제조기 - Google Patents

전두부 제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6421Y1
KR200196421Y1 KR2020000006468U KR20000006468U KR200196421Y1 KR 200196421 Y1 KR200196421 Y1 KR 200196421Y1 KR 2020000006468 U KR2020000006468 U KR 2020000006468U KR 20000006468 U KR20000006468 U KR 20000006468U KR 200196421 Y1 KR200196421 Y1 KR 2001964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tofu
steamer
steaming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64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규
Original Assignee
김명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규 filed Critical 김명규
Priority to KR20200000064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642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64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642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eans For Foods Or Fodder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생콩을 미분쇄하여(전지활성 생대두 미분말) 전두부를 제조하기 위한 전두부 제조기에 있어 적정량의 물과 콩가루가 혼합된 콩가루물을 증숙하여 두부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두유의 배출과 두부를 제조하기 위한 혼합 교반과정의 개량 및 두유의 증숙이 고르고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증기 스팀 분사 방식을 개선하고 증숙중 열손실 방지를 위하여 증숙통을 이중구조로 개량하여 두부제조를 합리적으로 개선한 전두부 제조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두부제조를 합리화하기 위한 1차와 2차의 교반기를 설치하고 각 부분의 콩가루물 또는 두유의 이송을 배관을 통하여 이송하고 증숙통 내부의 증기스팀 분사 방식을 증숙통 바닥면에 직접 분사하도록 하여 두유의 제조공정 중 증숙통내의 교반이 완벽하도록 하고 증숙통의 외면을 이중구조로 개선하여 두유의 냉각을 방지하도록 한 전두부 제조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전두부 제조기{A manufacturing machine of powdeved bean cuid}
본 고안은 생콩을 미분쇄하여(전지활성 생대두 미분말) 전두부를 제조하기 위한 전두부 제조기에 있어 적정량의 물과 콩가루가 혼합된 콩가루물을 증숙하여 두부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두유의 배출과 두부를 제조하기 위한 혼합 교반과정의 개량 및 두유의 증숙이 고르고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증기 스팀 분사 방식을 개선하고 증숙중 열손실 방지를 위하여 증숙통을 이중구조로 개량하여 두부제조를 합리적으로 개선한 전두부 제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1차 교반기에서 생콩을 미분쇄한 콩가루와 물을 적정한 비율로 혼합하여 콩가루물을 얻고 상기 콩가루물을 증숙통에 투입한 다음 증숙통의 윗쪽에서 아랬쪽으로 또는 아랫쪽에서 윗쪽으로 분사되는 고온 고압의 증기스팀에 의해 약 100℃까지 증숙되도록 하여 두유를 얻은 다음 별도로 마련된 통에 두유를 받아서 그 통에 응고액을 넣어 막대기 등으로 섞은 다음 형틀에 부어 두부를 제조하는 일반적인 방법은 두유의 제조공정 후 부터는 인력과 느낌으로 두부를 제조하므로 합리적이지 못하고 인력에 의존해야 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증숙통의 내부에서 증기 스팀이 상부에서 아랫쪽으로 분사되는 방식은 두유의 교반 불충분으로 콩기름 성분이 증숙통의 바닥에 눌어 붙게되는 단점이 있었으며 아랫쪽에서 윗쪽으로 분사되는 방식은 외주부분에 증기스팀이 미치지 못하여 교반이 불충분하고 또한 증숙통의 보온수단이 불충분하여 효율을 감소시키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제반 단점을 시정하고 장치를 개선하여 두부제조를 합리화 한 것으로서 1차와 2차의 교반기를 설치하고 각 부분의 콩가루물 또는 두유의 이송을 배관을 통하여 이송하고 증숙통 내부의 증기스팀 분사 방식을 증숙통 바닥면에 직접 분사하도록 하여 두유의 제조공정 중 증숙통내의 교반이 완벽하도록 하고 증숙통의 외면을 이중구조로 개선하여 두유의 냉각을 방지하도록 한 데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내부 정면도
도 2 는 본 고안의 내부 측면도
도 3 은 증숙통의 단면도
도 4 는 도 3 의 증기분사관의 저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레임 2 : 투시창 3 : 1차 교반기
4 : 증숙통 5 : 보온재 6 : 배출관
7 : 이송관 8 : 2차 교반기 9 : 증기관
10 : 분사공 11 : 증기분사관
이하 본 고안을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도면에 의거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내부 정면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의 내부 측면도로서 프레임(1) 전방 상단에 투시창(2)이 형성된 1차 교반기(3)와 2차 교반기(8)를 횡으로 설치하고 이의 하부에 증숙통(4)을 설치하되 증숙통(4)은 보온재(5)로 감싸거나 열매체유를 충진한 2중 구조로 형성하며, 1차 교반기(3)의 하단 중앙에 연결시킨 배출관(6)을 증숙통(4)에 연결시켜 1차 교반된 콩가루물이 증숙통(4)으로 바로 배출될 수 있게 하고 당해 증숙통(4)은 이송관(7)으로 상부의 2차 교반기(8)와 연결되어 증숙된 두유가 증숙통(4)과 2차 교반기(8)의 압력차에 의한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3은 증숙통(4)의 내부 단면도로서 이의 내부에는 증기관(9)이 하부까지 유입 설치되고 이의 하단에 분사공(10)이 무수히 뚫린 증기분사관(11)이 십자형상으로 연결 설치되어 고온 고압의 증기가 바로 증숙통(4)의 내부 바닥으로 분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2는 1차 교반기(3) 및 2차 교반기(8)의 내부에 설치된 교반익이고 13은 개폐밸브이며 14는 2차 교반기(8)의 하부 중앙에 연결된 두유의 최종 배출구이고 15는 두부형틀이다.
이와같이 된 본 고안은 정수장치를 거친 물이 1차 교반기(3)의 내부로 공급되어 정량 담수되었음이 투시창(2)을 통해 확인되면 생콩을 미분쇄한 콩가루를 투입하고 1차 교반기(3)를 온시켜 교반익(12)을 회전시키므로서 물과 콩가루가 충분히 혼합된 콩가루물을 얻는다.
이어서 1차 교반기(3)의 하방에 설치된 개폐밸브(13)를 열어 상기와 같이 혼합된 콩가물을 배출구(14)를 통해 자연낙하식으로 증숙통(4)으로 이송시키고 이송이 완료 후 증숙통(4)의 하부까지 위치시킨 증기관(9)의 하단에 연설된 십자형상의 증기분사관(11)에 무수히 뚫린 분사공(10)으로 고온 고압의 증기를 공급하게 되면 고압의 증기는 증숙통(4)의 저부에 접촉됨과 동시에 와류를 일으켜 콩가루물이 충분히 교반되면서 증숙되어 두유가 된다.
여기서 증숙통(4)내의 고온의 증기분사 방식이 종래와 같이 증숙통(4)의 바닥에 설치된 분사구를 통해 상부에서 하부로 분사하는 상부 분사식이 아니고 십자형상의 증기분사관(11)에 뚫린 무수한 분사공(10)에서 내부 바닥으로 직접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되므로서 이로 인해 발생되는 와류현상과 분사압력에 의해 바닥에 정체하는 두유가 없이 완전한 교반작업이 이루어져 혼합상태가 양호해짐에 따라 맛이 고른 두유가 만들어 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증숙통(4)은 단열재 또는 열매체유로 감싼 이중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보온 단열이 우수하여 별도의 히터장치가 없이도 열손실이 거의 없어 증숙효과가 배가된다.
한편 상기에서 얻어진 두유를 이송관(7)을 통하여 우측 상부에 설치된 2차 교반기(8)에 증숙통(4)의 내부 압력과 2차 교반기(8)의 압력차로서 이송시켜 2차 교반기(8)에 두유가 충전되면 응고액을 넣고 2차 교반기(8)의 교반익(12)에 의거 두유를 재혼합시킨 다음 2차 교반기(8)의 하부 중앙에 설치된 최종 배출구(14)를 통해 하방에 배치한 두부형틀(15)에 배출하여 통상과 같이 두부를 제조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두유의 배출과 혼합 교반과정이 개량되고 또 증기의 분사방식의 개선으로 두유의 증숙이 고르고 신속히 진행되며 증숙통(4)의 열손실이 방지되어 두부 제조를 보다 합리적으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프레임(1)의 전방 상단에 투시창(2)이 형성된 1차 교반기(3)와 2차 교반기 (8)를 횡으로 설치하고 이의 하부에 증기관(9)을 하부까지 위치시킨 증숙통(4)을 설치하며, 1차 교반기(3)의 하단 중앙에 연결시킨 배출관(6)을 증숙통(4)에 연결시켜 1차 교반된 콩가루물이 증숙통(4)으로 바로 배출될 수 있게 하고 당해 증숙통 (4)은 이송관(7)으로 상부의 2차 교반기(8)와 연결되어 증숙된 두유가 증숙통(4)과 2차 교반기(8)의 압력차에 의한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 전두부 제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증기관(9)에는 하단에 분사공(10)이 무수히 뚫린 십자형상의 증기분사관(11)을 연결 설치하여서 되는 전두부 제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증숙통(4)을 이중구조로 형성하여 이의 내부에 보온재(5) 또는 열매체유를 충진하여서 되는 전두부 제조기.
KR2020000006468U 2000-03-08 2000-03-08 전두부 제조기 KR2001964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6468U KR200196421Y1 (ko) 2000-03-08 2000-03-08 전두부 제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6468U KR200196421Y1 (ko) 2000-03-08 2000-03-08 전두부 제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6421Y1 true KR200196421Y1 (ko) 2000-09-15

Family

ID=19645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6468U KR200196421Y1 (ko) 2000-03-08 2000-03-08 전두부 제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642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9858A (ko) * 2001-05-25 2002-11-30 박 창 복 전두부 제조장치
KR100834253B1 (ko) 2006-06-23 2008-05-30 브라스판타 인두스트리아 에 코메르시오 엘리떼데아. 콩 처리 장치 및 그 이용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9858A (ko) * 2001-05-25 2002-11-30 박 창 복 전두부 제조장치
KR100834253B1 (ko) 2006-06-23 2008-05-30 브라스판타 인두스트리아 에 코메르시오 엘리떼데아. 콩 처리 장치 및 그 이용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850667U (zh) 一种加热式咸鸭蛋黄泥浆料搅拌设备
US20070089611A1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preparation and distribution of a chocolate drink
KR102626547B1 (ko) 조제해수염화마그네슘과 해양심층수 원수를 응고제로 사용하는 두부 제조방법
CN102986891A (zh) 一种商用豆浆机的制浆方法
KR200196421Y1 (ko) 전두부 제조기
CN110037578A (zh) 豆浆机以及豆浆机的制浆方法
CN106923302B (zh) 一种复合香菇酱
JP3784160B2 (ja) 食品調理釜および調理方法
KR200141033Y1 (ko) 사이펀식 차추출기
KR101606869B1 (ko) 걸름망 케이스가 설치된 기능성 두부제조기
KR200160733Y1 (ko) 에너지 절약형 전두부 제조기
WO2023087541A1 (zh) 一种料理机的快速制浆方法
KR20020020380A (ko) 녹두 두부의 제조방법
KR100474264B1 (ko) 약탕기 겸용 증류주기
CN215127347U (zh) 一种内循环蒸茶烧水装置
CN103120543A (zh) 泡茶工艺及其专用泡茶装置
KR200205582Y1 (ko) 밀키마그네슘 전두부의 제조장치
KR200160852Y1 (ko) 생대두 분말을 이용하여 신속한 두부제조가 가능토록 하는 두부 제조장치
KR20020025570A (ko) 콩물의 농축방법 및 농축장치 그리고 농축콩물로 두부를제조하는 방법
JP3004981B1 (ja) 煮 釜
KR200199252Y1 (ko) 두부제조기
JPH07298985A (ja) 二重茹麺槽及びそれを使用する茹麺機
KR200235738Y1 (ko) 전두부 자동제조기계
KR100903550B1 (ko) 발아두부 제조 방법
CN209032022U (zh) 豆浆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