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9872A - 승강반송장치 - Google Patents

승강반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9872A
KR20060049872A KR1020050060582A KR20050060582A KR20060049872A KR 20060049872 A KR20060049872 A KR 20060049872A KR 1020050060582 A KR1020050060582 A KR 1020050060582A KR 20050060582 A KR20050060582 A KR 20050060582A KR 20060049872 A KR20060049872 A KR 200600498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haft
arm
crank arm
rail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0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8353B1 (ko
Inventor
히사시 교타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ublication of KR20060049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98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8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83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2Stationary loaders or unloaders, e.g. for s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2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spended from ropes, cables, or chains or screws and movable along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60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to or from conveyors of the suspended, e.g. trolley, type
    • B65G47/61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to or from conveyors of the suspended, e.g. trolley, type fo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길다란 형상의 부재가 없어도 충분한 승강 스트로크를 확보한다.
수평방향의 제 1 지지축(12)과, 제 1 지지축(12)에 평행하게 배치된 제 2 지지축(15)과, 제 2 지지축(15)을 제 1 지지축(12)에 접근 및 떨어뜨리는 이동이 자유롭게 하는 가동축받이부재(13) 및 가이드레일(14)과, 제 2 지지축(15)에 지지된 크랭크아암(2)과, 제 1 지지축(12)에 지지되어 앞끝단부가 크랭크아암(2)의 중간위치에 연결축(16)을 통하여 연결된 요동아암(3)과, 크랭크아암(2)의 노는끝단부에 노는끝단지지축(17)을 통하여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차체(M)를 반송대차(7)를 통하여 유지 가능한 가동반송 레일장치(5)와, 크랭크아암(2)을 제 2 지지축(15)을 중심으로 회동시키는 아암구동장치(21)와, 가동반송 레일장치(5)를 노는끝단지지축(17)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수평자세를 유지 가능한 자세조정장치(51)를 구비하였다.

Description

승강반송장치{RAISING/LOWERING CONVEYANCE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승강반송장치의 실시형태 1을 나타내는 전체정면도이다.
도 2는 상기 승강반송장치의 전체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II-II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내는 I-I 단면도이다.
도 5는 상기 승강반송장치의 전체측면도이다.
도 6은 상기 승강반송장치의 승강지원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7은 상기 승강반송장치의 반송대차를 나타내고, (a)는 측면도, (b)는 평면도이다
도 8은 (a)∼(c)는 각각 상기 승강반송장치의 승강동작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관한 승강반송장치의 실시형태 2를 나타내는 전체정면도이다.
도 10은 상기 승강반송장치의 전체평면도이다.
도 11은 상기 승강반송장치의 전체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관한 승강반송장치의 실시형태 3을 나타내는 전체정면도 이다.
도 13은 상기 승강반송장치의 전체평면도이다.
도 14는 상기 승강반송장치의 전체측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관한 승강반송장치의 실시형태 4를 나타내는 전체측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관한 승강반송장치의 실시형태 5를 나타내는 전체측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관한 승강반송장치의 실시형태 6을 나타내는 전체측면도이다.
도 18은 상기 승강반송장치의 사용상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전체측면도이다.
도 19는 상기 각 승강반송장치에 있어서의 승강지원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정면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관한 승강반송장치의 실시형태 7을 나타내는 자세조정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정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관한 승강반송장치의 실시형태 8을 나타내는 자세조정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L1, L4 : 하위반송라인 L2, L3 : 상위반송라인
R1 : 하위반송레일 R2: 상위반송레일
P1 : 하위처리 작업위치 P2 : 상위처리 작업위치
1 : 가대 2 : 크랭크아암
3 : 요동아암 4 : 승강반송장치
5 : 가동반송 레일장치 6 : 승강레일
7 : 반송대차 11 : 고정축받이부재
12 : 제 1 지지축 13 : 가이드레일
14 : 가동축받이부재 15 : 제 2 지지축
16 : 연결축 17 : 노는끝단지지축
21 : 아암구동장치 22 : 제 1 수동레버
23 : 제 1 직선구동장치 24 : 승강지원장치
51 : 자세조정장치 52 : 제 2 수동레버
53 : 제 2 직선구동장치 54 : 전동장치
81 : 매달음식 반송기 82 : 가동반송 레일장치
83 : 승강레일 87 : 지지아암
91A, 91B : 반송기 93 : 포크장치
100 : 승강지원장치 102 : 밸런스 웨이트
111 : 자세조정장치 121 : 자세조정장치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평성 5-162985호 공보(도1)
본 발명은, 높이위치가 다른 반송라인 사이나 반송라인과 처리작업부와의 사이에서, 피반송체를 직접, 혹은 반송기를 통하여 승강 이송하는 승강반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높이위치가 다른 반송라인 사이를 접속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나타나는 승강반송장치가 있다. 이 승강반송장치는, 기판과 상부 프레임의 사이에 복수의 지지기둥을 세워 설치하고, 상기 지지기둥 사이를 따라서 승강이 자유로운 캐리지와 카운터 웨이트를 배치함과 동시에, 캐리지의 승강구동장치를 배치설치하고, 상기 캐리지에, 상하위치의 반송용 가이드레일에 각각 접속이 가능한 가이드레일을 설치한 것이다.
상기 종래 구성에 의하면, 통상, 원활한 승강, 설치할 때의 레벨맞춤의 노력, 유지관리 등을 고려하여, 일체의 지지기둥이 사용된다. 그러나, 승강 스트로크가 큰 경우, 지지기둥이 길다란 형상이 되어, 제조공장으로부터 설치현장(공장)으로의 수송(트럭수송)이 곤란해지거나, 수송비용이 커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여, 길다란 형상의 지지기둥을 사용하지 않아도 승강 스트로크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승강반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높이위치가 다른 반송경로와 반송경로의 사이, 또는 높이위치가 다른 반송경로와 처리작업위치의 사이를 접속하는 승강부에 배치되어 피반송체를 직접 또는 반송기를 통하여 승강반송하는 승강반송장치로서, 수평방향의 제 1 지지축과, 상기 제 1 지지축에 평행하게 배치된 제 2 지지축과, 상기 제 1 지지축과 제 2 지지축의 적어도 한 쪽을 다른 쪽에 대해서 접근 및 떨어짐 이동을 자유롭게 하는 가이드 수단과, 상기 제 2 지지축에 지지된 크랭크아암과, 상기 제 1 지지축에 지지되어 앞끝단부가 상기 크랭크아암의 중간위치에 연결축을 통하여 연결된 요동아암과, 상기 크랭크아암의 노는끝단부(遊端部)에 노는끝단지지축을 통하여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피반송체를 직접 또는 반송기를 통하여 유지 가능한 반송체 지지수단과, 상기 크랭크아암을 제 2 지지축을 중심으로 회동시키는 아암구동장치와, 상기 반송체 지지수단을 노는끝단지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수평자세를 유지 가능한 자세조정장치를 구비한 것이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아암구동장치는, 제 1 지지축을 회동하고 요동아암을 통하여 크랭크아암을 회동하는 장치, 또는 제 2 지지축을 회전구동하여 크랭크아암을 회동하는 장치, 혹은 제 1 지지축 및 제 2 지지축의 적어도 한 쪽을 다른 쪽에 접근 및 떨어뜨려 요동아암을 통하여 크랭크아암을 회동하는 장치의 적어도 1개로부터 선택되는 것이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아암구동장치는, 제 1 지지축에 고정된 제 1 수동레버와, 상기 제 1 수동레버의 노는끝단부를 밀고 당겨 구동하는 직선구동장치를 구비한 것이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자세조정장치는, 제 2 지지축에 고정된 제 2 수동레버와, 상기 제 2 수동레버를 밀고 당겨 구동하는 직선구동장치와, 제 2 지지축과 노는끝단지지축을 연결하여 연동하는 전동장치를 구비한 것이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반송체 지지수단은, 반송경로의 반송레일에 접속이 가능한 승강레일을 갖는 레일장치와, 피반송체를 유지하여 상기 반송레일 및 승강레일을 주행하는 반송기에 의해 구성된 것이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반송체 지지수단은, 반송경로에 이동이 자유롭게 배치된 반송기에 대해서 피반송체를 주고받음이 가능한 옮겨싣는장치에 의해 구성된 것이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우선, 높이위치가 다른 반송경로와 반송경로의 사이에서, 피반송체(M)를 승강 이송하는 승강반송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본 발명에 관한 승강반송장치의 실시형태 1을 도 1∼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면 1층 플로어의 하위면(F1)에 하위 반송라인(반송경로)(L1)을 따라서 부설된 하위반송레일(R1)과, 천정부나 2, 3층 플로어 등의 상위면(F2)에 상위반송라인(반송경로)(L2)을 따라서 부설된 상위반송레일(R2)을 접속하는 승강부(Lm)에 설치되는 것이다.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위 마루면(F1)에 설치된 가대(1)상에는, 크랭크아암(2)과 요동아암(3)을 갖는 크랭크식의 승강반송장치(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승강반송장치(4)의 크랭크아암(2)의 노는끝단부에, 하위반송레일(R1) 및 상위반송레일(R2)에 각각 접속이 가능한 승강레일(6)을 갖는 가동반송 레일장치(반송체 지지수단)(5)가 한쪽이 지지되는 형상으로 지지되어, 상기 반송레일(R1, R2) 및 승강레일(6)을 주행이 자유로운 반송대차(반송기)(7)을 통하여 피반송체(M)가 유지되어 승강 반송된다.
상기 승강반송장치(4)는, 가대(1)의 반송방향의 일끝단측에 좌우 한 쌍의 고정축받이부재(11)가 세워 설치되어, 상기 고정축받이부재(11)에 반송라인 방향에 직교하는 수평방향의 제 1 지지축(12)이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가대(1)의 다른 끝단측으로부터 일단측에, 반송라인(L1, L2)에 평행하게 복수 가이드레일(가이드 수단)(13)이 부설되어, 상기 가이드레일(13)에 각각 스러스트(thrust) 베어링을 통하여 안내되는 가동축받이부재(가이드수단)(14)가 이동이 자유롭게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동축받이부재(14)에 반송라인(L1, L2)에 직교하는 수평방향의 제 2 지지축(15)이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상기 제 1 지지축(12)과 제 2 지지축(15)은 동일 수평면 상에 위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지지축(12)의 앞끝단측(반송레일 R1, R2측)에는, 요동아암(3)의 고정끝단부가 고정되어 있고, 또 제 2 지지축(15)의 앞끝단측에는, 크랭크아암(2)의 고정끝단부가 축받이(2a)를 통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크랭크아암(2)의 중간부에 연결축(16)을 통하여 요동아암(3)의 노는끝 단부가 회동이 자유롭게 연결되고, 또 크랭크아암(2)의 노는끝단부에 노는끝단지지축(17)을 통하여 가동반송 레일장치(5)가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제 2 지지축(15)으로부터 연결축(16)까지의 크랭크아암(2)의 길이 : S1과, 연결축(16)으로부터 노는끝단지지축(17)까지의 크랭크아암(2)의 길이 : S2와, 제 1 지지축(12)으로부터 연결축(16)까지의 요동아암(3)의 길이 : S3으로 하면, S1 : S2 : S3 = 1 : 1 : 1이 최적인 설정이다. 왜냐하면,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지지축(12)을 회전구동하여 요동아암(3)을, 최대각 θ(도면에서는 예를 들어 160˚)의 범위에서 회동시켜 연결축(16)을 제 1 원호궤적(H)상에서 A⇔B 사이 이동시키면, 가동축받이부재(14)를 통하여 제 2 지지축(15)이 반송라인 방향의 직선궤적(I)상을 왕복이동되면서 크랭크아암(2)을 C, D의 사이에서 회동하여 노는끝단지지축(17)을 승강반송라인(J)을 따라서 C⇔D 사이에서 연직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여기서 S1 : S2 : S3 ≒ 1 : 1 : 1에서도 대략 연직방향의 궤적을 형성할 수 있어, 소정의 허용범위 내이면 문제가 없다.
또한, 이 크랭크식의 승강반송장치(4)를 구동하는 아암구동장치로서(1) 제 1 지지축(12)을 회동하는 회전구동장치, (2) 제 2 지지축(15)을 회동하는 회전구동장치, (3) 고정축받이부재(11) 또는 가동축받이부재(14)의 한 쪽 또는 양쪽 모두를 반송라인 방향으로 이동시켜 제 1 지지축(12)과 제 2 지지축(15)을 서로 접근 및 떨어뜨리게 만드는 직선이동장치가 있지만, 여기에서는 (1)의 제 1 지지축(12)을 회동하는 회전구동장치를 아암구동장치(21)에 채용하고 있다.
즉, 상기 아암구동장치(21)는, 제 1 지지축(12)으로부터 돌출설치된 승강용 의 제 1 수동레버(22)와, 가대(1)에 배치설치되어 제 1 수동레버(22)를 회동시키는 나사식의 제 1 직선구동장치(직선구동장치)(23)와, 아암구동장치(21)를 지원하는 축압식의 승강지원장치(24)로 구성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 직선구동장치(23)는, 승강용 회전구동장치(31)에 회전구동되는 제 1 볼나사축(32)에 암나사부재(33)를 통하여 제 1 수동레버(22)의 노는끝단부가 연결하여 연동된 것으로, 상세하게는, 가대(1)의 뒷부분 측에서 반송라인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가대(1)에 설치된 축받이부재(34, 34) 사이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 수평방향의 제 1 볼나사축(32)과, 가대(1)의 가이드레일(35)에 이동이 자유롭게 안내되어 상기 제 1 볼나사축(32)에 나사결합된 암나사부재(33)를 갖는 제 1 가동체(36)와, 제 1 수동레버(22)의 노는끝단부와 상기 제 1 가동체(36)의 사이에 수평핀을 통하여 회동이 자유롭게 연결된 제 1 중간링크바(37)와, 상기 제 1 볼나사축(33)의 일끝단부에 연결되어 제 1 볼나사축(33)을 회전구동하는 승강용 회전구동장치(31)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승강용 회전구동장치(31)에 의해 제 1 볼나사축(32)이 회전되면, 암나사부재(33)를 통하여 제 1 가동체(36)가 반송라인 방향으로 스트로크(K1)의 범위에서 왕복이동되어, 제 1 가동체(36)에 제 1 중간링크바(37)를 통하여 제 1 수동레버(22)가 실선과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범위 Q1 (= θ도)에서 왕복회동된다. 그리고 요동아암(3)을 A-B 사이에서 θ도 회동시켜, 제 1 지지축(12)을 직선궤적(I)을 따라서 이동시킴과 동시에, 제 1 지지축(12)을 통하여 크랭크아암(2)을 회동시켜, 노는끝단지지축(17)을 승강반송라인(J)을 따라서 C-D 사이에서 승강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가동반송 레일장치(5)를 승강스트로크(SA)분 승강이동시켜 승강레일(6)을 하위반송레일(R1)의 접속위치와 상위반송레일(R2)의 접속위치의 사이에서 변위시킬 수 있다.
상기 아암구동장치(21)에 있어서, 제 1 직선구동장치(21)의 부하를 경감하는 승강지원장치(24)는, 중간부재{제 1 가동체(36), 제 1 중간링크바(37), 제 1 수동레버(22)}를 통하여 제 1 지지축(12)을 구동방향으로 회동에 힘을 가하는 에어식의 부세용 실린더(41)와, 상기 부세용 실린더(41)에 소정압력의 에어를 공급하는 축압탱크{축압기(蓄壓器)}(42)를 구비하고 있다. 즉, 제 1 가동체(36)에 피스톤로드(41a)가 연결된 에어식의 부세용 실린더(41)와, 부세용 실린더(41)에 소정압력의 에어를 공급하는 축압탱크(축압기)(42)를 가지고 있고,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세용 실린더(41)의 수축실(41a)에, 축압탱크(42)로부터의 에어공급관(43)이 접속되어, 진전실(進展室)(41b)은 소음기를 통하여 대기측으로 개방되어 있다. 또한, 축압탱크(42)에는 포트(44a)로부터 역지밸브를 통하여 에어를 보급하는 축압보충관(44)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축압보충관(44)에 접속된 배기관(45)에는, 축압탱크(42)의 에어압력을 검출하는 압력계(46)와, 축압탱크(42)의 에어압력을 소정값으로 유지하는 안전밸브(47)와, 방출구에 설치된 소음기가 설치되어 있어, 축압탱크(42)의 에어압력이 소정압력 이하가 되면, 에어공급유니트(도시하지 않음)로부터 포트(44a)를 통하여 축압탱크(42)에 에어가 보충된다. 따라서, 축압탱크(42)의 에어압력에 의해, 부세용 실린더(41), 제 1 가동체(36)가 요동되어, 제 2 지지축(15)을 가동반송 레일장치(5)를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회동에 힘이 가해지게 된다.
노는끝단지지축(17)을 통하여 가동반송 레일장치(5)를 수평자세로 유지하는 자세조정장치(51)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지지축(15)에 돌출 설치된 제 2 수동레버(52)와, 제 2 수동레버(52)를 회동시키는 제 2 직선구동장치(53)와, 크랭크아암(2)에 장비된 자세조정용의 전동장치(54)로 구성된다.
상기 제 2 직선구동장치(53)는, 자세조정구동장치(55)에 회전구동되는 제 2 볼나사축(56)에 제 2 암나사부재(57)를 통하여 제 2 수동레버(52)의 노는끝단부가 연결된 것으로, 상세하게는, 가동축받이부재(14)의 베이스부에 설치된 축받이부재(58, 58) 사이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반송라인 방향을 따르는 제 2 볼나사축(56)과, 가동축받이부재(14)의 베이스부에 부설된 가이드레일(59)에 이동이 자유롭게 안내되어 상기 제 2 볼나사축(93)에 나사결합된 암나사부재(57)를 갖는 제 2 가동체(61)와, 상기 제 2 수동레버 (52)의 노는끝단부와 상기 제 2 가동체(61)의 사이에 수평핀을 통하여 회동이 자유롭게 연결된 제 2 중간링크바(62)와, 상기 제 2 볼나사축(93)의 뒤끝단부에 연결된 자세조정구동장치(55)로 구성되어 있다. 자세조정용의 전동장치(54)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지지축(15)이 설치된 스프로켓(54a)과 노는끝단지지축(17)에 설치된 스프로켓(54b)이 체인(54c)을 통하여 연결되어, 제 2 지지축(15)과 노는끝단지지축(17)이 연결되어 연동되고 있다.
따라서, 자세조정구동장치(55)에 의해 제 2 볼나사축(56)이 회전되면, 암나사부재(60)를 통하여 제 2 가동체(61)가 전후방향에 실선과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S2의 범위가 이동되어, 제 2 가동체(61)에 제 1 중간링크바(62)를 통하여 제 2 수동레버(52)가 Q2의 범위에서 요동되어 제 2 지지축(15)이 회동된다. 그리고, 자세 조정용의 전동장치(54)를 통하여 노는끝단지지축(17)이 회동되어, 가동반송 레일장치(5)가 수평자세로 유지된다.
상기 가동반송 레일장치(5)는,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쪽 중앙부에 노는끝단지지축(17)이 연결된 승강플레이트(71)에, 하위반송레일(R1) 및 상위반송레일(R2)에 연속 가능한 승강레일(6)이 지지부재를 통하여 배치 설치되어 있다. 이 승강레일(6)은, 좌우 한 쌍으로 개구면이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채널형 단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반송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2기 배치된 가압롤러(72a)와, 이 가압롤러(72a)를 회전구동하는 주행구동모터(72b)로 이루어지는 가압롤러식의 주행구동장치(72)와, 가대(1)와 승강플레이트(71)의 사이에 접속되어 회전구동모터(72b)로의 전원이나 검출신호를 보내고 받기 위한 케이블 베어(74)가 배치 설치되어 있다. 또 하위반송레일(R1) 및 상위반송레일(R2)의 접속끝단에는, 각각 승강레일(6)을 위치결정 및 고정하기 위한 연결장치(73A, 73B)가 배치 설치되어 있어, 이 연결장치 (73A, 73B)는, 고정측에 위치결정핀(73a)과, 이것을 출퇴(出退)하는 핀출퇴 실린더(73b)가 설치되어, 승강플레이트(71)에 위치결정핀(73a)이 끼워 맞춤 및 이탈이 자유로운 핀받이부재(73c)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반송대차(7)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행차바퀴(76)를 갖는 복수의 차바퀴지지체(75a)와, 차바퀴 지지체(75a)를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구부러짐이 자유롭게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링크(75b)로 이루어지는 대차본체(75)에, 승강레일(6)의 개구부에 주행이 자유롭게 끼워 맞춤되는 좌우 한 쌍으로 복수조의 주행차바퀴(76)가 설치되어 있고, 대차본체(75)가 주행 차바퀴(76)를 통하여 승강레일(6) 사이에 이동이 자유롭게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주행구동장치(72)의 가압롤러(72a)가 차바퀴 지지체(75a) 및 연결링크(75b)의 일측면에 접촉되어 반송대차(7)가 주행 구동된다. 또한 중간 위치의 2개의 차바퀴 지지체(75a)에는 피반송체(M)를 지지하는 좌우 한 쌍의 짐받이대(77)가 각각 설치되어, 전후의 짐받이대(77)가 연결부재(78)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피반송체(M)를 탑재한 반송대차(7)가 하위반송레일(R1)에 안내되어 하위반송라인(L1)을 따라서 이동되고, 승강레일(6)에 이동되어 정지되면, 연결장치(73A)가 해제된 후, 제 1 직선구동장치(23)가 구동되어 제 1 수동레버(22)를 통하여 제 1 지지축(12)을 회전시키고, 요동아암(3) 및 크랭크아암(2)을 회동시켜 가동반송 레일장치(5)를, 도 8(a)∼(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위반송레일(R1)의 접속위치로부터 상위반송레일(R2)의 접속위치로 상승시킨다. 이어서, 연결장치(73B)를 작동하여 승강레일(6)과 상위가동레일(R2)을 연결하고, 반송대차(7)를 승강레일(6)로부터 발진시켜 상위반송라인(L2)을 따라서 주행시킨다. 물론, 피반송체(M)를 탑재한 반송대차(7)를, 반대의 순서로 상위반송라인(L2)으로부터 하위반송라인(L1)으로 이송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크랭크아암(2)을 제 2 지지축(15)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 가동반송 레일장치(5)의 승강 스트로크(SA)를 크랭크아암(2)의 길이의 최대 약 2배 가까이까지 길게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승강반송장치의 길다란 형상의 부재인 크랭크아암(2)을 그 승강 스트로크(SA)와 비교하여 충분히 짧게 할 수 있어, 부품의 취급과 제조공장으로부터 설치현장(공장) 으로의 트럭수송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어, 수송비용을 대폭으로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제 2 지지축(15)으로부터 연결축(16)까지의 크랭크아암(2)의 길이 : S1, 연결축(16)으로부터 노는끝단지지축(17)까지의 크랭크아암(2)의 길이 : S2, 제 1 지지축(12)으로부터 연결축(16)까지의 요동아암(3)이 길이 : S3으로 하면, S1 : S2 : S3 = 1 : 1 : 1 또는 S1 : S2 : S3 ≒ 1 : 1 : 1로 함으로써, 노는끝단지지축(17)을 통하여 가동반송 레일장치(5)를 연직궤적(I) 또는 대략 연직방향의 궤적을 따라서 승강이동시킬 수 있어, 설치공간의 삭감이나 반송시간의 단축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아암구동장치(21)는, 제 1 직선구동장치(23)에 의해 제 1 수동레버(22)의 노는끝단부를 밀고 당겨 제 1 지지축(12)을 회동하고, 요동아암(3)을 통하여 크랭크아암(2)을 회동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제 1 지지축(12) 또는/ 및 제 2 지지축(15)을 서로 접근 및 떨어뜨려 이동시켰을 경우, 전위점(轉位点)의 전후에서 되돌아와 이동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하한으로부터 상한까지의 원활한 승강 반송이 가능해진다.
더욱 또한, 축압탱크(42)와 부세용 실린더(41)를 갖는 승강지원장치(24)에 의해, 제 1 직선구동장치(23)의 구동력을 보조하기 때문에, 승강용 회전구동장치(31)의 부하를 저감할 수 있어, 카운터 웨이트 등에 비교하여 조정이 용이하고 전체를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크랭크아암(2)의 회동에 수반하여 회전위치가 변화하는 노는끝단지지 축(17)에 대해서, 자세조정장치(51)의 제 2 직선구동장치(53)에 의해 제 2 수동레버(52), 제 2 지지축(15) 및 전동장치(54)를 통하여 각도위치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 가동반송 레일장치(5)의 자세를 임의로 조정, 유지할 수 있어, 안정된 승강반송이 가능해진다.
또한, 가동반송 레일장치(5)를 통하여 반송대차(7)마다 피반송체(M)를 승강반송함으로써, 반송대차(7)를 높이위치가 다른 반송경로 사이에서 연속 이동시킬 수 있어, 피반송체(M)의 반송을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본 발명에 관한 승강반송장치의 실시형태 2를 도 9∼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실시형태 1과 동일부재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형태 1에서는, 레일(R1, R2, 6)상을 주행이 자유로운 반송대차(7)로 하였지만, 실시형태 2에서는, 레일(R1, R2), 승강레일(83)에 안내되어 이동이 자유로운 매달음식 반송기(81)로 한 것이다.
즉, 승강반송장치(4)의 크랭크아암(2)의 노는끝단부에는, 승강레일(83)을 갖는 가동반송 레일장치(8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동반송 레일장치(82)는, 노는끝단지지축(17)에 고정된 지지플레이트(84)에 매달음부재를 통하여 I형 단면의 승강레일(83)이 지지되어 있다. 또한 지지플레이트(84)의 반송라인 방향의 전후 끝단부와 하위반송레일(R1) 및 상위반송레일(R2)의 끝단부에는, 하한위치 및 상한위치에서 승강레일(83)을 위치결정하여 고정하기 위한 가이드장치(85A, 85B)와 연결장치(73A, 73B)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장치(85A, 85B)는, 지지플레이트(84)의 전후 끝단부에 설치된 위치결정 롤러(85a)와, 하위반송레일(R1) 및 상위반송레일(R2)의 끝단부에 설치되어 위치결정롤러(85a)가 각각 끼워맞춤 및 이탈이 자유로운 가이드부(85b)로 구성되어 있다.
매달음식 반송기(81)는, 승강레일(83)에 복수의 주행차바퀴(88)를 통하여 이동이 자유롭게 매달아 지지된 주행체(86)와, 이 주행체(86)로부터 양측으로 넓게 열려서 피반송체(M)를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하는 좌우 한 쌍으로 전후 2조의 행거암(88)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실시형태 1과 같은 작용효과를 이룰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본 발명에 관한 승강반송장치의 실시형태 3을 도 12∼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1, 2에서는 반송체 지지수단으로서 가동반송 레일장치(5)를 설치하였지만, 실시형태 3에서는, 반송체 지지수단으로서 피반송체(M)를 하위반송라인(L1) 및 상위반송라인(L2)에 각각 이동이 자유롭게 배치된 반송기(91A, 91B)에 이송 가능한 옮겨싣는 장치에 의해 구성된 것이다.
즉, 이 옮겨싣는 장치는, 노는끝단지지축(17)에 고정된 지지플레이트(92)에, 좌우 한 쌍으로 전후 3단에 출퇴(出退)가 자유로운 출퇴부재(93a)를 갖는 텔레스코픽타입의 포크장치(9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포크장치(93)의 출퇴구동기구는, 랙·피니언이나 와이어걸이 등의 기구가 채용된다.
반송기(91A, 91B)는 상세하게는 도시하지 않지만, 출퇴부재(93a)가 피반송체 (M)의 아래쪽에 꽂아 넣기 가능한 공간을 갖고, 출퇴부재(93a)의 원점위치(후퇴위치)에서 하한위치와 상한위치의 앞쪽에 하위반송라인(L1) 및 상위반송라인(L2)의 정지위치가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피반송체(M)를 탑재한 반송기(91A)가 하위반송라인(L1)을 따라서 이동되어 정지위치에 정지되면, 승강반송장치(4)의 포크장치(93)가 구동되어 출퇴부재(93a)가 돌출되고, 반송기(91A)의 피반송체(M) 하부에 꽂아 넣어진다. 그리고 아암구동장치(21)에 의해 포크장치(93)가 소정거리 상승되어 출퇴부재(93a)상에 피반송체(M)가 수취되면, 포크장치(93)에 의해 출퇴부재(93a)가 후퇴되어 하위주고받음위치(e)로부터 하위원점위치(f)로 복귀된다. 이어서, 아암구동장치(21)에 의해 포크장치(93)가 상한위치까지 상승되어 상위원점위치(g)에 정지된 후, 포크장치(93)가 구동되어 출퇴부재(93a)가 허공의 반송기(91B)를 향해 상위주고받음위치(h)까지 돌출된다. 그리고 아암구동장치(21)에 의해 포크장치(93)가 소정거리 하강됨으로써, 피반송체(M)가 상위반송라인(L2)의 반송기(91B)로 주고받게 된다. 출퇴부재(93a)가 원점위치로 후퇴된 후, 반송기(91B)가 상위반송라인(L2)을 따라서 이동된다. 또한 텔레스코픽타입의 포크장치(93)의 경우, 상위후퇴위치(i)의 반송기(91C)로도 피반송체(M)를 주고받을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먼저의 실시형태와 같은 효과를 이룸과 동시에, 포크장치(93)에 의해, 높이가 다른 반송라인(L1, L2)을 이동하는 반송기(91A, 91B)의 사이에서 피반송체(M)를 직접 옮겨 실을 수 있다.
다음에, 높이위치가 다른 반송경로와 처리작업위치의 사이에서, 피반송체(M) 를 승강이송하는 승강반송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형태 4]
본 발명에 관한 승강반송장치의 실시형태 4를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먼저의 실시형태와 동일부재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상위반송라인(반송경로)(L3)을 따라서 배치 설치된 반송레일(R3)에 안내되는 매달음식 반송기(110)와, 상위반송라인(L3)의 아래쪽에 배치된 하위처리 작업위치(P1)가 구비되어 있다. 상위반송라인(L3)과 처리작업위치(P1) 사이의 승강공간(Lm)에는, 가대(1)상에 먼저의 실시형태와 같은 승강반송장치(4)가 배치 설치되어 있고, 승강반송장치(4)의 크랭크아암(2)의 노는끝단부에는, 자세조정장치(51)에 의해 노는끝단지지축(17)을 통하여 자세조정이 가능한 짐받이부재(반송체 지지장치)(111)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매달음식 반송기(110)에 의해 반입된 피반송체(M)를, 상승 위치의 짐받이부재(111)상에 받아, 승강반송장치(4)를 구동하여 피반송체(M)를 승강반송라인(J)을 따라서 하위처리 작업위치(P1)까지 하강시킨다. 이 하위처리 작업위치(P1)에서는, 작업원에 의한 수동동작이나 전용기계, 또는 작업로봇 등에 의해, 피반송체(M)에 대해서 필요한 부재, 부품의 조립이나 제거, 청소처리 등이 행해진다. 이 때, 자세조정장치(51)에 의해, 피반송체(M)를 짐받이부재(111)를 통하여 임의의 작업ㅇ처리자세로 조정할 수 있다. 처리작업 후의 피반송체(M)는, 승강반송장치(4)를 구동하여 피반송체(M)를 하위처리 작업위치(P1)로부터 승강반송라인(J)을 따라서 상위반송라인(L3)까지 상승되어, 짐받이부재(111)상으로부터 매달음식 반송기 (110)로 주고받게 된 후, 매달음식 반송기(110)가 구동되어 상위반송라인(L3)을 따라서 반출된다.
또한, 여기에서는, 매달음식 반송기(110)로부터 피반송체(M)를 짐받이부재(111)로 받아 승강 반송하였지만, 제 2 실시형태와 같이, 매달음식 반송기(110)와 승강레일을 갖는 가동반송 레일장치를 모두 승강시키도록 구성하더라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위반송라인(L3)의 아래쪽에 설치된 하위처리 작업위치(P1)의 승강부(Lm)에, 본 발명에 관한 승강반송장치를 설치함으로써, 피반송체(M)를 상위반송라인(L3)으로부터 용이하게 꺼내어 작업이나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평행링크를 다단으로 사용한 팬터그래프식 리프터와 비교하여, 1) 동일한 승강 스트로크를 갖는 경우, 링크나 암의 수가 적음과 동시에, 그 회동중심이 되는 회전축부도 적기 때문에, 조립이나 정밀도 조정이 용이하고, 마모도 적고, 유지관리성이 높다. 2) 마루부에 큰 구동부의 수납공간이 불필요하고, 또 짐받이부재(111)의 하부공간도 그 통과할 때를 제외하고 개방되기 때문에, 설비배치의 자유도가 높다. 3) 피반송체의 자세를 임의로 조정할 수 있어, 하위처리 작업위치(P1)에 있어서의 작업성ㅇ처리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형태 5J
본 발명에 관한 승강반송장치의 실시형태 5를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먼저의 실시형태와 동일부재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하위반송라인(L4)과, 하위반송라인(L4)의 위쪽 위치에 설치된 상위처리 작업 위치(P2) 사이의 승강부(Lm)에, 승강반송장치(4)를 설치한 것으로, 이 실시형태 5에서는, 크랭크아암(2)의 노는끝단부에, 매달음부재(121)를 통하여 승강레일(6)을 갖는 가동반송 레일장치(반송체 지지수단)(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실시형태 5에 의하면, 실시형태 4와 같은 작용효과를 이룰 수 있다.
[실시형태 6]
본 발명에 관한 승강반송장치의 실시형태 5를 도 17, 1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먼저의 실시형태와 동일부재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형태 6은, 반송체 지지수단으로서 실시형태 3과 같은 다단식의 포크장치(93)를 설치한 것이다. 즉, 도 18에는, 상위반송라인(L3)에 이동이 자유롭게 배치된 매달음식 반송장치(81)에 의해 반송되는 피반송체(M)를, 승강반송장치(4)의 포크장치(93)로 받아, 하위처리 작업위치(P1)에 승강 반송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9에는, 하위반송라인(L4)에 이동이 자유롭게 배치된 반송대차(7)에 의해 반송되는 피반송체(M)를, 승강반송장치(4)의 포크장치(93)로 받아, 상위처리 작업위치(P2)에 승강 반송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실시형태 6에 의하면, 매달음식 반송장치(81)나 반송대차(7)상의 피반송물(M)을 주고받음이 자유로운 포크장치(93)를, 크랭크아암(2)의 노는끝단부에 설치한 것에 의해, 높이가 다른 반송라인(L3, L4)과 처리작업위치(P1, P2)의 사이에서 피반송체(M)를 원활하게 승강반송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 5와 같은 작용효과를 이룰 수 있다.
[실시형태 7]
상기 실시형태 1∼6에 있어서의 자세제어장치(51)는, 자세조정구동장치(55)에 의해 가동반송 레일장치(5, 82)나 포크장치(93)를 경사 이동하여 피반송체(M)의 자세를 임의로 조정이 가능하게 구성한 것이지만, 이 실시형태 7의 자세조정장치(111)는,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반송 레일장치(5, 82) 또는 포크장치(93)를 평행이동시키는 평행링크기구로 한 것이다.
즉, 자세조정장치(111)는, 제 2 지지축(15)의 앞끝단부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가동축받이부재(14)에 고정된 고정아암(112)과, 노는끝단지지축(17)에 고정된 가동아암(113)과, 상기 고정아암(112)과 가동아암(113)을 회동이 자유롭게 연결하는 링크아암(114)으로 구성된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평행링크기구로 이루어지는 자세조정장치 (111)에 의해, 가동반송 레일장치(5, 82)나 포크장치(93)를 항상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자세의 제어도 불필요하고, 간단한 구성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 7에 있어서, 고정아암(112)을 대신하여, 링크아암(114)을 가동축받이부재(14)에 직접, 또는 연결부재를 통하여 회동이 자유롭게 연결하더라도 좋다. 또 가동아암(113)을 대신하여, 링크아암(114)을 가동레일장치(5){또는 가동레일장치(82)나 포크장치(93)}에 직접, 또는 연결부재를 통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하더라도 좋다.
[실시형태 8]
이 실시형태 8의 자세조정장치(121)는,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반 송 레일장치(5, 82) 또는 포크장치(93)를 평행이동시키는 체인식 연동기구로 한 것이다
즉 자세조정장치(121)는, 제 2 지지축(15)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연결 고정된 가동축받이부재(14)에 연결 고정된 고정스프로켓(122)과, 노는끝단지지축(17)에 고정된 가동스프로켓(123)과, 고정스프로켓(122)과 가동스프로켓(123)에 팽팽히 감겨진 체인(124)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실시형태 8에 의하면, 실시형태 7과 같은 작용효과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 1∼8에 있어서 설치된 승강지원장치(24)를 대신하여,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지지축(12)에 고정된 레버(101)와, 이 레버(101)의 노는끝단부에 설치되어 제 1 지지축(12)을 상승방향으로 회동에 힘을 가하는 밸런스 웨이트(102)를 갖는 승강지원장치(100)로 하더라도, 같은 효과를 이룰 수 있다.
또 직선구동장치를 나사축식 잭구조로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랙·피니언 기구나 스프로켓과 체인을 갖는 감아 거는 전동기구, 실린더장치 등을 채용하여 직선구동이 가능한 것이면 좋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크랭크아암을 제 2 지지축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 승강반송장치의 부재로서 길다란 형상이 되는 크랭크아암의 길이에 대해서 반송체 지지수단의 승강 스트로크를 최대 약 2배 가까이까지 크게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승강반송장치에서 길다란 형상이 되는 부재, 크랭크아암을 승강 스트로크와 비교하여 충분히 짧게 할 수 있어, 부품취급이나 제조공장으로부터 설치현장(공장)으로의 트럭수송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어, 수송비용을 대폭으로 저감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이 승강반송장치의 아암구동장치를, 제 1 지지축을 회동하는 장치, 또는 제 2 지지축을 회동하는 장치, 혹은 제 1 지지축 및 제 2 지지축의 적어도 한 쪽을 다른 쪽에 접근 및 떨어뜨리는 장치로부터 임의로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설치상태나 사용목적에 따라, 임의의 형식에서 단수 또는 복수의 아암구동장치를 선택하여 장비할 수 있어, 설계의 자유도가 높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직선구동장치에 의해 제 1 수동레버의 노는끝단부를 밀고 당겨 제 1 지지축을 회전구동하는 것에 의해, 크랭크아암을 상하방향으로 회동하여 반송체 지지수단을 하한으로부터 상한까지 원활하게 승강 반송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크랭크아암의 회동에 수반하여 회전자세가 변화하는 노는끝단지지축에 대해서, 자세조정장치의 직선구동장치에 의해 제 2 수동레버, 제 2 지지축 및 전동장치를 통하여 각도위치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 반송체 지지수단의 자세를 조정하여 피반송체를 유지할 수 있어, 안정된 승강반송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레일장치와 함께 반송기마다 피반송체를 승강반송하는 것에 의해, 반송기를 높이위치가 다른 반송경로간 또는 높이위치가 다른 반송경로와 처리작업위치의 사이에서 이송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옮겨싣는 장치에 의해, 반송경로를 이동하는 반송기에 대해서 피반송체를 주고받는 것에 의해, 높이위치가 다른 반송경로 사이 또는 높이위치가 다른 반송경로와 처리작업위치의 사이에서 피반송체의 반송이 가능해진다.

Claims (6)

  1. 높이위치가 다른 반송경로와 반송경로의 사이, 또는 높이위치가 다른 반송경로와 처리작업위치 사이를 접속하는 승강부에 배치되어 피반송체를 직접 또는 반송기를 통하여 승강반송하는 승강반송장치로서,
    수평방향의 제 1 지지축과, 상기 제 1 지지축에 평행하게 배치된 제 2 지지축과, 상기 제 1 지지축과 제 2 지지축의 적어도 한 쪽을 다른 쪽에 대해서 접근 및 떨어뜨림 이동이 자유롭게 하는 가이드 수단과 , 상기 제 2 지지축에 지지된 크랭크아암과, 상기 제 1 지지축에 지지되어 앞끝단부가 상기 크랭크아암의 중간위치에 연결축을 통하여 연결된 요동아암과, 상기 크랭크아암의 노는끝단부에 노는끝단지지축을 통하여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피반송체를 직접 또는 반송기를 통하여 유지 가능한 반송체 지지수단과, 상기 크랭크아암을 제 2 지지축을 중심으로 회동시키는 아암구동장치와, 상기 반송체 지지수단을 노는끝단지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수평자세를 유지 가능한 자세조정장치를 구비한 승강반송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아암구동장치는, 제 1 지지축을 회동하여 요동아암을 통하여 크랭크아암을 회동하는 장치, 또는 제 2 지지축을 회전구동하여 크랭크아암을 회동하는 장치, 혹은 제 1 지지축 및 제 2 지지축의 적어도 한 쪽을 다른 쪽에 접근 및 떨어뜨려 요동아암을 통하여 크랭크아암을 회동하는 장치의 적어도 1개로부터 선택되는 승강반송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아암구동장치는, 제 1 지지축에 고정된 제 1 수동레버와, 상기 제 1 수동레버의 노는끝단부를 밀고 당겨 구동하는 직선구동장치를 구비한 승강반송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자세조정장치는, 제 2 지지축에 고정된 제 2 수동레버와, 상기 제 2 수동레버를 밀고 당겨 구동하는 직선구동장치와, 제 2 지지축과 노는끝단지지축을 연결하여 연동하는 전동장치를 구비한 승강반송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반송체 지지수단은, 반송경로의 반송레일에 접속이 가능한 승강레일을 갖는 레일장치와, 피반송체를 유지하여 상기 반송레일 및 승강레일을 주행하는 반송기에 의해 구성된 승강반송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반송체 지지수단은, 반송경로에 이동이 자유롭게 배치된 반송기에 대해서 피반송체를 주고받음이 가능한 옮겨싣는 장치에 의해 구성된 승강반송장치.
KR1020050060582A 2004-07-07 2005-07-06 승강반송장치 KR1009183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99951 2004-07-07
JP2004199951A JP2006021858A (ja) 2004-07-07 2004-07-07 昇降搬送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9872A true KR20060049872A (ko) 2006-05-19
KR100918353B1 KR100918353B1 (ko) 2009-09-22

Family

ID=35589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0582A KR100918353B1 (ko) 2004-07-07 2005-07-06 승강반송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461722B2 (ko)
JP (1) JP2006021858A (ko)
KR (1) KR100918353B1 (ko)
CN (1) CN100497131C (ko)
CA (1) CA2509998A1 (ko)
MX (1) MXPA0500681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34582B4 (de) * 2005-07-25 2007-11-08 Eisenmann Anlagenbau Gmbh & Co. Kg Fördersystem und Verfahren zum gleichzeitigen Transport von Werkstücken und Monteuren in einer Fertigungslinie
US7896134B2 (en) * 2006-10-30 2011-03-01 Lift-U, Division Of Hogan Mfg., Inc. Low-rise vertical platform lift assembly with low-profile lifting mechanism
IT1391564B1 (it) * 2008-09-03 2012-01-11 Cemb S P A Dispositivo sollevatore, particolarmente per il sollevamento di ruote di veicoli e simili, per macchine equilibratrici e smontagomme
US8662477B2 (en) * 2009-12-16 2014-03-04 Herkules Equipment Corporation Belt-driven transportation system
US8714524B2 (en) * 2009-12-16 2014-05-06 Herkules Equipment Corporation Belt-driven transportation system
US8733508B2 (en) 2010-04-02 2014-05-27 Herkules Equipment Corporation Scissor lift assembly
KR101487803B1 (ko) 2010-07-09 2015-01-29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대차식 반송 장치
CN101913445B (zh) * 2010-08-03 2011-12-07 浙江华人数码印刷有限公司 纸罐底盖标贴压平机
US9422142B2 (en) 2013-08-01 2016-08-23 Herkules Equipment Corporation Scissor-type lift assembly
CN103487222B (zh) * 2013-09-11 2015-09-02 津伦(天津)精密机械股份有限公司 具有随动下导向功能的举升式自动测漏机
CN104016275B (zh) * 2014-06-10 2016-02-10 厦门理工学院 可柔性升降的垃圾输送装置及具有该装置的沙滩清洁车
CN105836353B (zh) * 2015-01-16 2018-01-23 致茂电子(苏州)有限公司 搬运装置
CN105035694A (zh) * 2015-06-29 2015-11-11 广州大学 Agv用防越位简易四杆装卸装置
CN105173669B (zh) * 2015-09-15 2017-07-07 苏州市盛百威包装设备有限公司 一种用于输送线体的分流机构
CN105600710A (zh) * 2015-11-23 2016-05-25 上海卫星装备研究所 一种新型卫星侧板装星架车
CN106744484B (zh) * 2017-02-17 2018-12-11 陕西必康制药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物料升降装置及物料传送装置
CN107243622B (zh) * 2017-08-10 2018-06-19 安徽理工大学 混联式可移动重载铸造机器人
CN107419934A (zh) * 2017-09-08 2017-12-01 大洋泊车股份有限公司 一种立体停车设备
CN108442756B (zh) * 2018-04-17 2024-04-05 广州大学 夹取推拉装置及自行车自动存取方法
CN108557615A (zh) * 2018-07-05 2018-09-21 泉州迈得好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代步器位置调节系统
CN110642192B (zh) * 2019-09-18 2024-04-26 广东威德力机械实业股份有限公司 双向伸缩升降rgv货叉
CN112093735B (zh) * 2020-09-07 2022-05-24 安徽云龙粮机有限公司 曲臂升降平台
CN112960592A (zh) * 2021-01-26 2021-06-15 杨金根 一种建筑用可调式顶升模板及其实施方法
CN113503045B (zh) * 2021-08-25 2022-07-01 浙江鸿翔建设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施工中升降机装配式进出料平台
CN113911720B (zh) * 2021-10-14 2023-04-07 Jot自动化技术(北京)有限公司 一种物料搬运机构
CN115385208B (zh) * 2022-10-27 2023-03-24 江苏嘉烁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仓储货物进出口用的提升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71901A (en) * 1945-04-25 1949-05-31 Weaver Mfg Co Load-lifting appliance
JPH0647410B2 (ja) 1984-03-14 1994-06-22 大福工営株式会社 垂直搬送を含む搬送設備
BE1000012A6 (nl) * 1987-02-03 1987-11-10 Elskamp Hendrika Johanna Echtg Inrichting voor het sturen van een laadplatform voor transportvoertuigen.
JPH0450310Y2 (ko) * 1987-07-10 1992-11-26
DE3936340A1 (de) * 1989-11-02 1991-05-08 Maier Peter Vorrichtung zum bewegen einer ladebordwand
US5209628A (en) * 1991-09-09 1993-05-11 Hassell Curtis C Self-loading dolly mount apparatus
JP2712983B2 (ja) 1991-12-12 1998-02-16 株式会社ダイフク 昇降搬送装置のカウンターウエイト装置
JPH0656254A (ja) * 1992-02-28 1994-03-01 Suzuyo Kogyo Kk 移載装置
JP3690884B2 (ja) * 1996-08-29 2005-08-3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搬送装置及び搬送方法
US5979606A (en) * 1997-12-23 1999-11-09 Sony Corporation Conveyor elevator
DE19839835A1 (de) * 1998-09-02 2000-03-16 Gerhard Finkbeiner Hebevorrichtung
KR100401605B1 (ko) * 2000-09-14 2003-10-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정밀 제어용 자유 링크장치
JP3605356B2 (ja) * 2000-12-14 2004-12-22 弘高 春田 舞台下格納式昇降台車
JP2003081581A (ja) * 2001-09-12 2003-03-19 Sugiyasu Industries Co Ltd 車輌整備用リフトのスイングアーム
DE20209407U1 (de) * 2002-06-17 2003-07-31 Remech Systemtechnik Gmbh & Co Hubvorrichtung, bevorzugt für Skid-Förderanlag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PA05006810A (es) 2006-01-12
CN100497131C (zh) 2009-06-10
CA2509998A1 (en) 2006-01-07
US20060175141A1 (en) 2006-08-10
US7461722B2 (en) 2008-12-09
JP2006021858A (ja) 2006-01-26
CN1718530A (zh) 2006-01-11
KR100918353B1 (ko) 2009-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8353B1 (ko) 승강반송장치
JP4925615B2 (ja) 搬送設備
KR101013115B1 (ko) 처리공정용 반송설비
JP5643804B2 (ja) 板材保管棚
CN113247559A (zh) 一种重力积放链系统
KR101479941B1 (ko) 반송대차
JP4984052B2 (ja) 搬送設備
KR102282065B1 (ko) 수직반송 시스템
CN217837342U (zh) 一种自动化物料升降梯对接机
JP4696963B2 (ja) ワーク搬送装置
TW200403178A (en) Carrying apparatus
JP4895203B2 (ja) 吊下げ搬送設備
KR100774392B1 (ko) 자동차 구조 작업장의 시설 구성 시스템
JP4882754B2 (ja) 板状体搬送設備
KR20050006445A (ko) 평판디스플레이 제조라인의 카세트 이송장치
US20060124434A1 (en) Aerial conveyor with pendular arms driven along a closed loop circuit
JP5759166B2 (ja) 自動倉庫用移動装置
JP5092486B2 (ja) 移載装置
JP2003002410A (ja) 自動倉庫
JP4062590B2 (ja) 被搬送物吊下搬送用ハンガー
JP4450200B2 (ja) 昇降機能付き搬送台車
JP3786346B2 (ja) スリーウェイスタッカクレーンを備えた自動倉庫
JP4978250B2 (ja) 搬送装置
JP4716403B2 (ja) 移載装置
JPH0714260Y2 (ja) 搬送装置間の移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