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8034A - 아이언온 심지를 제조하는 방법과 그것에 의하여 얻어지는아이언온 심지 - Google Patents
아이언온 심지를 제조하는 방법과 그것에 의하여 얻어지는아이언온 심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048034A KR20060048034A KR1020050042303A KR20050042303A KR20060048034A KR 20060048034 A KR20060048034 A KR 20060048034A KR 1020050042303 A KR1020050042303 A KR 1020050042303A KR 20050042303 A KR20050042303 A KR 20050042303A KR 20060048034 A KR20060048034 A KR 2006004803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lymer
- hot
- wick
- outer layer
- iron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7/00—Producing multi-layer textile fabrics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applying, incorporating or activating chemical or thermoplastic bonding agents, e.g. adhesive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0/00—Physical 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e.g. ultrasonic, corona discharge, irradiation,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Physical treatment combined with treatment with chemical compounds or elements
- D06M10/008—Treatment with radioactive elements or with neutrons, alpha, beta or gamma ray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7/00—Producing multi-layer textile fabrics
- D06M17/04—Producing multi-layer textile fabrics by applying synthetic resins as adhesives
- D06M17/08—Polyamides polyimide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Q—DECORATING TEXTILES
- D06Q1/00—Decorating textiles
- D06Q1/12—Decorating textiles by transferring a chemical agent or a metallic or non-metallic material in particulate or other form, from a solid temporary carrier to the texti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hesive Tape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Synthetic Leather, Interior Materials Or Flexible Sheet Materials (AREA)
- Manufacture Or Reproduction Of Printing Formes (AREA)
Abstract
아이언온 심지(iron-on interlining)를 제조하는 방법은 직물 또는 부직물(woven or non-woven fabric, 2)의 표면에 직접 점들(spots)을 침적시키기 위한 실크스크린 인쇄(silkscreen printing)에 존재하며, 상기 얼룩들은 하층(underlayer, 3a)에 상기 핫-스틱 중합체(hot-stick polymer)의 외층(outer layer, 3b)을 침적시킬 때 그리고 상기 핫-스틱 중합체를 상기 보호용 하층(protective underlayer, 3a)위에 녹이기 위해 상기 직물(2)을 열처리(heat treatment) 할 때, 보호용 하층을 형성하는 중합체이다. 상기 하층(3a)을 형성하는 중합체는 경화될 수 없는, 그러나 전자 충격(electron bombardment)을 가함으로써 경화될 수 있든 중합체이고, 또한 그것은 상기 외층(3b)의 핫-스틱 중합체의 구조와 양립될 수 있는 중합체 구조(polymeric structure)이다. 열처리 이후에, 상기 심지(2)는 상기 하층(3a)의 중합체를 경화시키기 위해 복사(irradiation), 특히 전자 충격의 작용을 받게 된다. 상기 하층(3a)의 중합체 및 상기 외층(3b)의 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코폴리아미드(copolyamide) 또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으로 만들어진 상기와 동일한 중합체 구조를 갖는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점들(spots)의 형태로 직물의 한 면에 적용된 핫-스틱 중합체(hot-stick polymer)를 가지는 직물 또는 부직물(woven or non-woven fabric)을 형성하는 아이언온 심지(iron-on interlining) 분야에 관한 것이며, 상기 중합체는 종종 어떤 양의 열 및 압력을 가함으로써 강화될 필요가 있는 의복(garment)에 부착하는데 적당하다.
아이언온 심지 분야에서 만나게 되는 문제들 중에서, 가장 해결하기 어려운 것들 중 하나는 상기 아이언온 심지가 강화될 필요가 있는 의복을 향하여 뜨겁게 압축되는 동안, 상기 심지를 통하여 점착성 블리딩(adhesive bleeding)의 위험이 있다는 것이다. 아이언온 응용(iron-on application)을 위해 선택된 온도는 상기 용융된 중합체가 펼쳐지고, 표면의 섬유(fibers) 또는 상기 의복의 미세섬유(filaments)와 결합되도록 상기 핫-스틱 중합체를 용융되게 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상기 중합체가 상기 섬유 또는 미세섬유를 통해 흐르고, 상기 심지의 다른 면에 나타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심지가 명백하다면, 즉 상기 의복의 후면에 형성된다면, 이것은 외관을 망칠 수 있다. 또한, 무엇보다도 그와 같은 블리드(bleed-through)는 상기 심지 및 상기 의복의 뻣뻣함을 부분적으로 증가시키는 효과를 가지며, 그것은 원하는 효과와 반대가 되는 효과이다. 그것은 또한 옷의 안감(lining) 및 접어진 부분(folded-back portions)과 같은 라이닝 클로스(lining cloth) 상의 접착을 유도하여, 상기 옷의 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에 대한 하나의 해결책은, FR 2 177 038 문서에서 특별히 기술된 것처럼, 상기 속지 상에 점을 위치시키는 것에 있으며, 상기 점들은 서로 다른 위치의 핫-스틱 중합체에 의해 형성되는 2개 이상의 중첩된 층에 의해 구성되고, 그러므로 상기 심지에 직접 적용되는 하층은 상기 의복에 아이언온 심지를 적용하기 위한 표준의 온도 및 압력 하에서, 상기 외층보다 열가소적으로(thermoplastically) 더 작은 범위만큼 흐른다. 흐름 성질에서의 이와 같은 차이는 더 큰 용융 점성(melting viscosity) 및/또는 용융이 상기 외층의 중합체보다 더 높은 온도에서 시작되는 온도 범위를 가지는 중합체를 상기 하층에 대하여 사용함으로써 특별히 얻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아이언온 심지를 상기 의복에 적용할 때, 상기 하층을 형성하는 중합체는 상기 점착성의 점이 상기 속지의 뒷면을 통해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 장벽(protective barrier)과 같은 종류를 생성한다.
상기 외층은 중합체의 입자를 뿌리고, 그 다음에 최초에 점착성 상태로 침적된, 상기 하층에 부착되지 않은 그와 같은 입자들을 빨아냄으로써 특별히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하층 및 상기 외층에 구성되는 상기 중합체 점들이 침적된 후에, 상기 심지는 상기 외층의 핫-스틱 중합체 입자를 용융시키기 위해 열 엔클로저(heating enclosure) 속에 넣어질 수 있다. 상기 아이언온 심지는 상기 외층을 구성하는 핫-스틱 중합체 입자를 상실하는 어떠한 위험도 없이 굴려지고, 다루어질 수 있는 것이 적당하다. 그러므로 그와 같은 열 온도(heat temperature)의 목적은 상기 하층의 중합체와 상기 외층의 중합체 사이에 결합을 생성함으로써 상기 점착성 점들을 통합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가열 동작은 아직-반죽같은(still-pasty) 하층으로부터 용매를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와 같은 기술은 상기 하층 및 상기 외층 사이에서 핫-스틱 중합체 점들이 얇은 층으로 갈라지는 위험이 존재하는 한계를 나타낸다. 비록 상기 외층을 구성하는 입자들이 용융되기 때문에, 상기 하층 및 상기 외층이 서로 결합될 지라도, 이와 같은 결합은 일반적으로 상기 아이언온 심지 및 상기 의복 사이에 견인력이 작용될 때, 약한 영역(zone of weakness)을 형성하는 상기 하층 및 상기 외층 사의의 결합 영역에서 발생하는 상기 아이언온 심지 및 상기 의복 사이의 분리 위험이 없다는 것을 보증하기에 충분하지 않음이 밝혀졌다.
EP 0 855 146 및 EP 1 314 366 문서는 이미 하층 및 외층으로 만들어지지 않는, 그러나 상기 점을 구성하는 중합체를 부분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상기 보호 장벽 효과가 생성되는 한 조각(one-piece)의 중합체 점들에 해당되는 중합체 점들을 구현하는 기술로 되돌아감으로써 그와 같은 결점을 완화시키도록 시도하였다.
EP 0 855 146 문서에서, 상기 핫-용융(hot-melt) 중합체 점들은 라디칼 활성화제(radical activator agent)를 포함하고, 상기 심지의 한 표면은 전자 충격을 받게 되며, 상기 전자 충격은 용융 온도 및 점성으로부터 선택되는 상기 핫-용융 중합체의 물리화학적 성질을 수정하기 위하여 상기 핫-용융 중합체 점들에서 전자 투과 깊이(penetration depth)가 상기 중합체 점들의 평균 두께에 비교하여 제한되는 깊이 이상이 되도록 조정된다.
상기 핫-용융 중합체의 물리화학적 성질을 수정하는 것은 상기 중합체 점의 상단 부분(top portion)과 상기 중합체 점의 하단 부분(bottom portion)간의 구별을 생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데, 여기서 상기 상단 부분은 상기 핫-스틱 중합체로서 작용하고, 상기 하단 부분은 상기 아이언온 심지가 강화되는 의복을 향하여 뜨겁게 압착되는 동안 상기 점의 상단 부분이 상기 심지의 뒤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 장벽으로서 작용한다.
EP 1 314 366 문서에서, 각각의 점을 구성하는 중합체 내의 라디칼제(radical agent)의 존재는 상기 중합체를 기능화함으로써(functionalizing) 교체된다.
그와 같은 해결방법은 얇은 층으로 갈라짐(delamination) 현상을 피할 수 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결점들이 존재한다.
우선 그것은 상기 중합체 점들 내부에서 전자 투과 깊이의 세밀한 조정을 요구하고, 그와 같은 조정은 전자 충격을 받는 것이 상기 심지의 뒷면이기 때문에 더욱 복잡하게 이루어지며, 그래서 상기 속지의 존재 때문에 일어날 수 있는 어떠한 효과들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상기 중합체의 각각의 점에서 상기 라디칼 활성제의 완벽하게 균일한 혼합을 달성하거나 또는 각각의 점을 구성하는 상기 중합체의 기능화(functionalization)에서 균일함을 완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게다가 그와 같은 기술은 기술적으로 입증되지 않은 소모품에 의하여 추가비용을 유발할 수 있다. 라디칼 제를 포함하는 것은 각각의 점의 총 부피이고, 반면에 상기 중합체는 두께 에 해당하는, 부피의 작은 부분을 통하여만 기능화 되며, 그리고 상기 라디칼 제 또는 상기 기능화가 요구되는 것은 이와 같은 작은 부피만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EP 0 855 146 및 EP 1 314 366 두개의 문서에 의하여 제기된 문제점들을 회피하면서, FR 2 177 038 문서에 의해 설명된 기술(technique)에서 얇은 층으로 갈라지는 2개의 중첩된 층의 결정을 완화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은 다음과 같은 단계들로 구성되는 아이언온 심지를 제조하는 방법에 의해 완전히 달성될 수 있다.
a) 직물 또는 부직물의 표면에 직접 중합체 점들을 침적하기 위하여 실크스크린 인쇄(silkscreen printing)를 이용하는 단계로서, 상기 점들은 보호 하층을 형성하고, 상기 중합체는 전자 충격을 가함으로써 경화될 수 있으나 경화되지 않은(non-cured) 상태에 있는 핫-용융 중합체에 해당하는 상기 실크스크린 인쇄를 이용하는 단계;
b) 상기 하층에 핫-스틱 중합체의 외층을 침적하는 단계로서, 상기 외층은 전자 충격을 가함으로써 경화될 수 없고, 상기 하층의 중합체의 구조와 양립될 수 있는 중합체 구조가 되는 상기 외층을 침적하는 단계;
c) 상기 보호 하층에 상기 핫-스틱 중합체를 용융하기 위해 상기 직물을 열처리하는 단계; 및
d) 열처리 이후에, 상기 하층의 중합체를 경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심지가 전자 충격의 작용을 받도록 하는 단계.
그러므로 상기 열처리 동안, 용융된 상태에 있는 상기 핫-스틱 중합체는 각각의 중합체 구조의 양립성 때문에 상기 하층 중합체의 중합체 구조를 충분히 침투한다.
선호적으로는 상기 하층의 중합체 및 상기 외층의 중합체는 주로 코폴리아미드(copolyamide) 또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또는 가능한 한 코폴리에스터(copolyester) 또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으로 구성되는 상기와 같은 중합체 구조를 갖는다.
결과적으로 상기 열처리는 상기 외층 용융의 핫-스틱 중합체뿐만 아니라, 상기 하층 용융의 경화될 수 있는 중합체를 유도하고, 그러므로 각각의 중합체 점의 구조가 상기 심지의 표면에서 균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보증한다.
상기 하층의 중합체 및 상기 외층의 중합체에 대한 상기와 같은 중합체 구조는 상기와 완전하게 같으나, 상기 하층에 부가된 라디칼 제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이용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등급(grades)을 가져 용융점을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한 중합체를 이용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전자 충격은 상기 중합체 점들이 냉각된 후에 선호적으로 적용된다.
다양한 구현에서, 상기 열처리 및 상기 전자 충격은 독립적이고, 분리된 장치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이다.
상기 중합체 점들이 상기 열 온도(heat temperature)에 노출되고, 냉각된 후에 상기 심지를 감는 것(roll up)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상기 중합체 점들을 침전하고, 그들에게 열처리를 적용하며, 그들을 냉각하기 위한 통상적인 장치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리고 특히 속도와 같은 서로 다른 동작 조건 하에서, 복사(radiation)를 적용하기 위한 또 다른 특정한 장치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은 본 발명의 방법을 이용하여 아이언온 심지를 제조하는 비용을 최적화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서 도식적으로 도시된 장치 상에서 얻어지는 아이언온 심지의 실시예에 대한 다음의 설명에 의해 더 잘 이해될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방식으로 제조되는 아이언온 심지(iron-on interlining, 1)는 먼저 편물(knitted), 직물(woven fabric) 또는 부직물(non-woven fabric)에 해당하는 심지를 포함하고, 다음으로 상기 심지의 표면(faces, 2a) 중 하나에 배열된 중합체의 점들(polymer spots, 3)을 포함한다.
각각의 중합체 점(3)은 상기 심지(interlining, 2) 상에서 연속으로 침적된 2개의 층, 즉 하층(underlayer, 3a) 및 외층(outer layer, 3b)으로 구성된다.
상기 외층(3b)은 핫-스틱 중합체(hot-stick polymer)로 만들어진다.
상기 하층(3a)은 상기 외층(3b)의 중합체 구조(polymeric structure)와 양립될 수 있고 중합체 구조를 가지는 경화된 중합체(cured polymer)와, 선호적으로는 상기 외층(3b)의 중합체와 같은 중합체 구조를 가지는 경화된 중합체로 만들어진다.
상기 하층(3a)이 상기 심지(2)에 침적되는 동안, 경화될 수 있는 중합체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것처럼 상기 아이언온 심지(1)를 제조하는 과정 중에 일어나는 경화과정에 있으나, 아직 경화되지 않은 상태로 존재한다.
중합체 점(3) 각각의 하층(3a)은 먼저 내부 스크래이퍼(inner scraper, 4a)와 함께 동작하고, 다음으로 뒤붙임 실린더(backing cylinder, 5)와 함께 동작하는 실크스크린 인쇄 실린더(silkscreen print cylinder, 4)를 이용함으로써 침적된다.
상기 하층(3a)은 페이스트(paste) 또는 용매 내에서 분산, 특히 수성 분산(aqueous dispersion)의 형태로 있고, 그것은 상기 실크스크린 인쇄 실린더(4)와 상기 뒤붙임 실린더(5) 사이의 접선(tangential line)을 통과할 때 상기 심지(2) 상에 직접 침적된다.
외층(3b)이 그 다음에 각각의 하층(3a) 상에 침적된다.
상기 도시된 실시예에서, 이와 같은 침적은 그것이 하층(3a)의 점들 내에서 코팅된 이후에, 상기 심지(2) 상에 입자의 형태로 상기 핫-스틱 중합체를 뿌리기 위한 스프레이 장치(spray device, 6)를 이용함으로써 수행된다.
상기 하층 점들(3a)이 패이스트, 또는 분산 형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상기 하층 점들과 접촉하게 되는 핫-스틱 중합체의 입자들은 하층 점들에 붙착 된다.
상기 하층 점들(3a)과 접촉하지 않고 상기 심지(2) 상에 떨어지는 입자들은 상기 심지(2)에 부착되지 않고, 그러므로 쉽게 제거된다.
상기 하층 점들(3a)에 부착하지 않는 초과 입자들의 이와 같은 제거는 제거 장치(remover device, 7), 특별히 석션(suction, 8)에 의해 수행된다.
그러므로 상기 제거 장치(7)로부터의 출구에서, 상기 심지(2)의 코팅된 표면(2a)은 핫-스틱 중합체(9)의 입자가 놓여있는 하층 점들(3a)의 배열을 갖는다.
그 다음에 2개의 층에 이와 같은 방식으로 코팅된 상기 심지는 상기 입자(9)를 용융시키고, 또한 상기 용매가 상기 하층(3a)으로부터 증발되도록 하는 온도 조건 및 처리 기간(treatment duration) 하에서, 가열 엔클로저(heating enclosure, 10)를 통과한다.
이와 같은 용융동안, 상기 핫-스틱 중합체는 상기 하층(3a)을 형성하는 중합체 구조 속으로 충분히 침투하고, 상기 침투는 상기 중합체 점들(3)을 균일하게 만드는데 기여하며, 그러므로 상기 하층(3a)과 상기 외층(3b) 사이에서 얇은 층으로 갈라지는 위험을 줄인다.
상기 하층(3a)을 위해 이용되는 상기 충합체가 상기 외층(3b)의 핫-스틱 중합체와 같은 중합체 구조를 가지는 중합체이고, 상기 열처리 동안 유사하게 용융될 때, 이와 같은 얇은 층으로 갈라지는 위험은 더욱 감소된다.
상기 가열 엔클로저(10)를 통과하고, 차가운 공기를 불게 하는 노즐 또는 스트립(strips)의 도움으로 냉각된 이후에, 하층(3a) 및 외층(3b)의 점들을 코팅한 상기 심지(2)는 롤(roll, 11)을 형성하기 위해 감겨진다. 또 다른 장치에서, 서로 다른 전제에서, 상기 롤(11)은 상기 하층(3a)의 중합체를 경화시키기 위하여 전자 충격을 받게 되고, 그것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방법과 일치하도록 만들어진 중합체 점들(3)을 얻게 된다.
이와 같은 전자 충격은 산업용 전자 총(industrial electron gun)을 이용하여 달성된다.
EP 0 855 146 및 EP 1 134 366 문서에서의 설비(provisions)와는 달리, 본 발명에는 상기 전자 빔(electron beam)의 투과를 매우 정확하게 조정할 어떠한 필요가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 상기 하층의 중합체가 상기 하층의 중합체를 경화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이와 같은 투과가 상기 하층(3a) 속으로 충분히 깊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충분하다.
만약 상기 전자 빔이 또한 상기 외층(3b) 속으로 투과된다면, 상기 외층(3b)을 구성하는 상기 핫-스틱 중합체가 전자 충격에 의해 스스로 경화될 수 없기 때문에 그것은 중요하지 않다.
상기 하층(3a)의 중합체를 경화하는 것은 상기 중합체의 물리화학적 성질, 특히 중합체의 용융 온도 및/또는 상기에서 인용된 문서에서 기술되는 방식에서와 같은 중합체의 점성(viscosity)을 수정하고, 상기 하층(3a)은 요구되는 보호 장벽을 형성한다.
선호적으로는 상기 보호 하층을 형성하는 상기 핫-용융 중합체 점들은 라디칼 활성제, 즉 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trimetylolpropane trimethacrylate) 및 트리메트롤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trimetylolpropane triacrylate) 로부터 선택된 아클릴레이트 유형 단위체(acrylate type monomer)를 포함한다.
비-소모적인 방식으로 주어진 특정한 구현에서, 상기 외층(3b)은 코폴리아미드의 입자(9)들로 만들어지고, 상기 하층(3a)은 상기 폴리아미드에 상대적인 라디칼 활성제의 무게가 10% 농도에 해당하는 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로 구성되는 라디칼 활성제와 혼합되는 코폴리아미드 분말의 분산에 의해 만들어진다.
비교 테스트가 이와 같은 아이언온 심지(A)와 통상적인 심지(B) 사이에서 행해졌으며, 여기서 각각의 중합체 점은 상기와 같은 폴리아미드 핫-스틱 중합체의 외층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보호 하층은 높은 밀도의 폴리에틸렌으로 만들어졌다.
그와 같은 테스트로부터, 본 발명의 아이언온 심지(A)는 상기 심지를 상기 의복에 부착하기 위한 일반적인 온도에서, 사용되는 온도에 따라 상기 통상적인 심지(B)를 사용할 때 얻어지는 것보다 20%에서 50% 이상 더 큰 부착력(adhesive force)을 나타낸다.
그와 같은 테스트는 또한 EP 0 855 146 문서에서 세팅된 조건 하에서 테스트될 때, 블리드(bleed-through)가 본 발명의 아이언온 심지(A) 및 통상적인 심지(B)에 대하여 비교할만한 값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구현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하층(3a)의 경화될 수 있는 중합체는 자연적으로 EP 1 314 366 문서에서 기술되는 것처럼 기능화된(functionalized) 중합체가 될 수 있다.
그와 같은 환경에서, 기능적인 중합체 상에 놓여진 보호 하층을 형성하는 핫-용융 중합체의 점들은 전자 충격의 작용 하에서 자유 라디칼(free radical)을 발생하는 기능 그룹(functional group)과, 그것에 의하여 형성되는 자유 라디칼과의 반응에 적당한 기능 그룹을 갖는다.
상기 외층 점들(3b)은 또한 상기 하층 점들(3a)을 침적하기 위해 이용되는 것과 동일한 실크스크린 인쇄 실린더를 이용하고, 상기 외층 점들(3b)이 상기 하층 점들(3a) 상에 침적되도록 그것과 함께 정확하고 동시에 동작함으로서 침적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아이언온 심지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식적인 측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 점들을 얻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시적인 측면도.
Claims (7)
- 아이언온 심지(iron-on interlining)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a) 직물 또는 부직물의(woven or non-woven fabric, 2) 표면에 직접 중합체 점(polymer spots)들을 침적하기 위하여 실크스크린 인쇄(silkscreen printing)를 이용하는 단계로서, 상기 점들은 보호 하층(protective underlayer, 3a)을 형성하고, 상기 중합체는 전자 충격(electron bombardment)을 가함으로써 경화될 수 있으나, 경화되지 않은(non-cured) 상태에 있는 핫-용융(hot-melt) 중합체에 해당되는 상기 실크스크린 인쇄를 이용하는 단계;b) 상기 하층(underlayer, 3a)에 핫-스틱(hot-stick) 중합체의 외층(outer layer, 3b)을 침적하는 단계로서, 상기 외층은 전자 충격을 가함으로써 경화될 수 없고, 상기 하층의 중합체의 구조와 양립될 수 있는 중합체 구조가 되는 상기 외층을 침적하는 단계;c) 상기 보호 하층에 상기 핫-스틱 중합체를 용융하기 위해 상기 직물(2)을 열처리(heat treatment)하는 단계; 및d) 열처리 이후에, 상기 하층의 중합체를 경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심지가 전자 충격의 작용을 받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언온 심지를 제조하는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층(3a)의 중합체와 상기 외층(3b)의 중합체는 코폴리아미드(copolyamide) 또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으로 구성되는 상기와 같은 중합체 구조(polymeric structure)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언온 심지를 제조하는 방법.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충격은 상기 중합체 점들이 냉각된 후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언온 심지를 제조하는 방법.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 및 상기 복사(radiation) 적용은 분리된 장치(installations)에서 수행되고, 독립적인 동작(operation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언온 심지를 제조하는 방법.
- 제 1 항 또는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하층을 형성하는 핫-용융 중합체의 점들은 라디칼 활성제(radical activator), 즉 즉 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trimetylolpropane trimethacrylate) 및 트리메트롤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trimetylolpropane triacrylate) 로부터 선택된 아클릴레이트 유형 단위체(monomer of acrylate typ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언온 심지를 제조하는 방법.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층은 코폴리아미드의 입자로 만들어지고, 상기 하층은 라디칼 활성제(radical activator)와 혼합된 코폴리아미드 분말, 즉 폴리아미드에 상대적인 라디칼 활성제의 무게가 10% 농도에 해당하는 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로 분산으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언온 심지를 제조하는 방법.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하층을 형성하는 핫-용융 중합체의 점들이 전자 충격의 작용 하에서 자유 라디칼을 발생하기 위한 기능 그룹(functional groups) 및 상기 전자 충격에 의하여 형성된 상기 자유 라디칼과 반응하는데 적당한 기능 그룹을 가지는 기능 중합체(functional polymer)를 기반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언온 심지를 제조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FR0405586 | 2004-05-24 | ||
FR0405586A FR2870433B1 (fr) | 2004-05-24 | 2004-05-24 | Procede de fabrication d'un entoilage thermocollant et entoilage thermocollant obtenu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48034A true KR20060048034A (ko) | 2006-05-18 |
KR101261632B1 KR101261632B1 (ko) | 2013-05-08 |
Family
ID=34942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42303A KR101261632B1 (ko) | 2004-05-24 | 2005-05-20 | 가접착 심지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
Country Status (26)
Country | Link |
---|---|
US (1) | US20050260353A1 (ko) |
EP (1) | EP1600552B1 (ko) |
JP (1) | JP4785419B2 (ko) |
KR (1) | KR101261632B1 (ko) |
CN (1) | CN100544837C (ko) |
AR (1) | AR049505A1 (ko) |
AT (1) | ATE418642T1 (ko) |
AU (1) | AU2005202169A1 (ko) |
BR (1) | BRPI0503841B1 (ko) |
CA (1) | CA2508067C (ko) |
DE (1) | DE602005011888D1 (ko) |
DK (1) | DK1600552T3 (ko) |
ES (1) | ES2320014T3 (ko) |
FR (1) | FR2870433B1 (ko) |
HK (1) | HK1093762A1 (ko) |
HR (1) | HRP20090173T1 (ko) |
MX (1) | MXPA05005467A (ko) |
MY (1) | MY142933A (ko) |
NO (1) | NO325573B1 (ko) |
PL (1) | PL1600552T3 (ko) |
PT (1) | PT1600552E (ko) |
RS (1) | RS50965B (ko) |
RU (1) | RU2380010C2 (ko) |
SI (1) | SI1600552T1 (ko) |
UA (1) | UA86006C2 (ko) |
ZA (1) | ZA200504157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383301B (zh) * | 2011-08-15 | 2013-03-13 | 江苏三泰轻工科技有限公司 | 涤棉衬衫衬的生产工艺 |
CN102943401B (zh) * | 2012-11-14 | 2014-06-18 | 余永生 | 一种经编衬纬热熔粘合粉点衬的生产工艺 |
CN104621822A (zh) * | 2013-11-11 | 2015-05-20 | 上海威捷制衣机械有限公司 | 粘合机 |
CN108215368B (zh) * | 2018-01-13 | 2019-11-05 | 江苏业勤服饰有限公司 | 一种具有抗菌吸附功能的服装衬布及其生产方法 |
CN108950870A (zh) * | 2018-05-30 | 2018-12-07 | 广东知识城运营服务有限公司 | 一种小型简易的热合无纺布设备 |
KR102087190B1 (ko) * | 2018-12-26 | 2020-03-10 | 안형진 | 접착심지 제조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144066A (en) * | 1977-11-30 | 1979-03-13 | Ppg Industries, Inc. | Electron bombardment method for making stained glass photomasks |
US4748044A (en) * | 1980-12-24 | 1988-05-31 | Rma Carl Freudenberg | Method for the simultaneous, continuous binding and coating of a nonwoven fabric |
US4987160A (en) * | 1989-01-31 | 1991-01-22 | Union Camp Corporation | Radiation-curable aminoamide acrylate polymer |
JP2842626B2 (ja) * | 1989-07-29 | 1999-01-06 | ダイニック株式会社 | 接着芯地およびその製法 |
FR2672313B1 (fr) * | 1991-02-05 | 1993-04-30 | Picardie Lainiere | Procede de fabrication d'entoilages thermocollants, entoilage thermocollant. |
EP0675183B1 (de) * | 1994-03-30 | 1997-08-27 | KUFNER TEXTILWERKE GmbH | Verfahren zum rasterförmigen Beschichten von Flächengebilden mit Schmelzklebern |
WO1996005359A1 (fr) * | 1994-08-09 | 1996-02-22 | Asahi Kasei Kogyo Kabushiki Kaisha | Tissu adhesif de rembourrage, son procede de fabrication et colle pour tissus adhesifs |
FR2745595B1 (fr) * | 1996-02-29 | 1998-05-22 | Picardie Lainiere | Entoilage thermocollant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
FR2746264B1 (fr) | 1996-03-25 | 1998-05-22 | Picardie Lainiere | Procede de fabrication d'un entoilage thermocollant et entoilage thermocollant ainsi obtenu |
FR2758443B1 (fr) | 1997-01-20 | 1999-04-09 | Picardie Lainiere | Procede de fabrication d'un entoilage thermocollant et entoilage thermocollant obtenu |
DE10050231A1 (de) | 2000-10-11 | 2002-04-25 | Degussa | Vernetzende Basisschicht für Fixiereinlagen nach dem Doppelpunkt- und Pastenverfahren |
FR2832595B1 (fr) * | 2001-11-26 | 2004-03-19 | Lainiere De Picardie Bc | Procede de fabrication d'un entoilage thermocollant avec points de polymere thermofusible et polymere thermofusible specialement concu pour la mise en oeuvre dudit procede |
JP4157853B2 (ja) * | 2003-08-13 | 2008-10-01 | ローム アンド ハース カンパニー | 硬化性組成物およびバインダーとしての使用 |
-
2004
- 2004-05-24 FR FR0405586A patent/FR2870433B1/fr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5
- 2005-04-29 ES ES05370008T patent/ES2320014T3/es active Active
- 2005-04-29 PL PL05370008T patent/PL1600552T3/pl unknown
- 2005-04-29 DE DE602005011888T patent/DE602005011888D1/de active Active
- 2005-04-29 AT AT05370008T patent/ATE418642T1/de active
- 2005-04-29 SI SI200530614T patent/SI1600552T1/sl unknown
- 2005-04-29 RS RSP-2009/0109A patent/RS50965B/sr unknown
- 2005-04-29 EP EP05370008A patent/EP1600552B1/fr active Active
- 2005-04-29 PT PT05370008T patent/PT1600552E/pt unknown
- 2005-04-29 DK DK05370008T patent/DK1600552T3/da active
- 2005-05-12 CN CNB2005101098436A patent/CN100544837C/zh active Active
- 2005-05-19 AU AU2005202169A patent/AU2005202169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5-05-19 US US11/132,323 patent/US20050260353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5-05-20 MY MYPI20052307A patent/MY142933A/en unknown
- 2005-05-20 KR KR1020050042303A patent/KR10126163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05-05-20 CA CA2508067A patent/CA2508067C/en active Active
- 2005-05-23 NO NO20052464A patent/NO325573B1/n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5-05-23 RU RU2005115633/12A patent/RU2380010C2/ru active
- 2005-05-23 JP JP2005149081A patent/JP4785419B2/ja active Active
- 2005-05-23 AR ARP050102106A patent/AR049505A1/es active IP Right Grant
- 2005-05-23 ZA ZA200504157A patent/ZA200504157B/en unknown
- 2005-05-23 MX MXPA05005467A patent/MXPA05005467A/es active IP Right Grant
- 2005-05-24 UA UAA200504934A patent/UA86006C2/ru unknown
- 2005-05-24 BR BRPI0503841-3A patent/BRPI0503841B1/pt active IP Right Grant
-
2006
- 2006-10-12 HK HK06111259.7A patent/HK1093762A1/xx unknown
-
2009
- 2009-03-24 HR HR20090173T patent/HRP20090173T1/xx unknown
Also Published A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540979B2 (ja) | 固定可能な芯材の製造方法 | |
US5569348A (en) | Method for the raster-pattern coating of fabrics with hot melt adhesive | |
EP0792591A1 (fr) | Entoilage thermocollant et son procédé de fabrication | |
KR20060048034A (ko) | 아이언온 심지를 제조하는 방법과 그것에 의하여 얻어지는아이언온 심지 | |
US20220193865A1 (en) | Method for Treating an Abrasive Article, and Abrasive Article | |
KR870002106B1 (ko) | 짜지 않은 직물의 동시, 계속적인 결합 및 피복방법 | |
US10266966B2 (en) | Adhering nanofibers to polymeric media using a high temperature singe | |
US6190482B1 (en) | Method for laminating textiles | |
JP4271744B2 (ja) | 熱結合芯地の製造方法および熱結合芯地 | |
JP3607307B2 (ja) | 接着芯地 | |
WO2019156052A1 (ja) | 通気性製品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 |
JP2671073B2 (ja) | 接着芯地の製造方法 | |
JP2842626B2 (ja) | 接着芯地およびその製法 | |
JPH02133678A (ja) | 架橋可能な可融性心地 | |
KR910009454B1 (ko) | 강력접착 가능한 라미네이트용 적층필름의 제조방법 | |
EP3336231A1 (en) | Adhering nanofibers to polymeric media using a high temperature singe | |
JPH08267691A (ja) | 接着積層品の製造方法 | |
MXPA98000563A (en) | Procedure for the manufacture of a thermo-heading lining and the thermo-heading liner asi obtai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21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