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5927A - 덮개개폐기구 - Google Patents

덮개개폐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5927A
KR20060045927A KR1020050038002A KR20050038002A KR20060045927A KR 20060045927 A KR20060045927 A KR 20060045927A KR 1020050038002 A KR1020050038002 A KR 1020050038002A KR 20050038002 A KR20050038002 A KR 20050038002A KR 20060045927 A KR20060045927 A KR 200600459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gear
button
open position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8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6966B1 (ko
Inventor
다카히데 이치마루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4141616A external-priority patent/JP4619037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060045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59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6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69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05F17/004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for wings which abut when clos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6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or below dashbo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42Means for damping the movement of lock parts, e.g. slowing down the return movement of a hand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28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 E05B83/30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for glove compart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02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for accident situations
    • E05B77/04Preventing unwanted lock actuation, e.g. unlatching, at the moment of collision
    • E05B77/06Preventing unwanted lock actuation, e.g. unlatching, at the moment of collision by means of inertial for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2Automatic catches, i.e. released by pull or pressure on the wing
    • E05C19/022Released by pushing in the closing dir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7/00Faste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wo wings
    • E05C7/04Faste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wo wings for wings which abut when clos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54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52Type of friction
    • E05Y2201/254Fluid or viscous fri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62Type of motion, e.g. braking
    • E05Y2201/266Type of motion, e.g. braking rotar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2/00Closure fasteners
    • Y10S292/04Automatic release latch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2/00Closure fasteners
    • Y10S292/37Push button oper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1043Swin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과제) 외관특성이나 전환 조작성을 향상함과 아울러, 덮개체가 추돌사고 등에 기인한 충격하중에 의해 부주의하게 개방위치로 전환될 염려를 확실하게 해소한다.
(해결수단) 덮개체(2)를 본체(1)의 대응면에 대해 상기 대응면을 덮는 폐쇄위치와 개방하는 개방위치로 전환하는 덮개개폐기구이다. 본 발명의 덮개개폐기구는, 덮개체(2)를 폐쇄위치로부터 개방위치 및 개방위치로부터 폐쇄위치로 전환할 때 사용되는 단일의 조작용 버튼(4)과, 덮개체(2)를 적어도 폐쇄위치 부근에서 폐쇄위치의 방향으로 탄지하는 탄지수단(3)과, 상기 조작용 버튼(4)의 누름조작에 의해서 덮개체(2)의 개방위치에서의 유지를 해방하여 상기 덮개체를 폐쇄위치의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하는 전환수단(5)을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덮개개폐기구{LID OPENING/CLOSING MECHANISM}
도 1은 제 1 실시예의 덮개개폐기구를 본체의 전후 일측에서 본 모식 작동도
도 2는 도 1의 덮개개폐기구를 본체의 전후 타측에서 본 모식 작동도
도 3은 상기 덮개개폐기구를 적용한 장치요부를 나타낸 개략 외관도
도 4는 상기 장치의 전후 일측의 배면도
도 5는 상기 장치에 적용된 덮개개폐기구를 분해해서 나타낸 모식 구성도
도 6은 상기 덮개개폐기구를 구성하고 있는 전환수단을 나타낸 요부 구성도
도 7은 상기 제 1 실시예의 덮개개폐기구를 단일 구성의 덮개체에 적용한 변형예를 도 1에 대응시켜서 나타낸 모식 작동도
도 8은 도 7의 변형예를 도 2에 대응해서 나타낸 모식 작동도
도 9는 제 1 실시예의 걸림수단 등을 변경한 변형예를 도 3(a)에 대응해서 나타낸 개략 외관도
도 10은 도 9의 주부재의 배치관계를 나타낸 모식도
도 11은 도 9의 전환수단 및 걸림수단을 일부 파단해서 나타낸 개략 외관도
도 12는 도 9의 전환수단 및 걸림수단을 일부 파단해서 나타낸 모식도
도 13은 도 9의 걸림수단의 작동을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14는 도 13과 마찬가지로 걸림수단의 작동을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15는 제 2 실시예의 덮개개폐기구를 도 9에 대응해서 나타낸 개략 외관도
도 16은 도 15의 덮개개폐기구를 브래킷을 뺀 상태로 나타낸 구성도
도 17은 도 16을 간략화한 모식 구성도
도 18은 도 15의 덮개개폐기구의 요부를 나타낸 외관도
도 19는 도 18과 마찬가지로 덮개개폐기구의 요부를 나타낸 외관도
도 20은 제 2 실시예의 덮개개폐기구를 본체의 전후 일측에서 본 모식 작동도
도 21은 도 20의 덮개개폐기구를 본체의 전후 타측에서 본 모식 작동도
도 22는 도 20의 덮개개폐기구의 요부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 작동도
도 23은 도 22와 마찬가지로 요부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 작동도
도 24는 덮개개폐기구의 종래예를 나타낸 설명도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본체{11 : 전벽(前壁), 12 : 후벽(後壁)}
2,2A,2B - 덮개체(20∼23 : 암부, 25,26 : 기어부)
3,3A - 코일 스프링(탄지수단) 4,4A - 조작용 버튼
4c - 래크 5,5A - 전환수단
6 - 래치(걸림수단)
7 - 동력전달수단(7A,7B : 아이들 기어) 8 - 댐퍼수단
9,9A,9B - 브래킷 10 - 가장자리부재
30 - 가동체 35 - 캠
40 - 기어기구 45 - 증속기어
49 - 걸림돌조(걸림수단) 50 - 축
51 - 암 53,78 - 트레이스 핀(걸림수단)
55 - 슬라이딩체 56,66 - 캠홈(걸림수단)
57 - 틀부재 58a,58b - 코일 스프링
59 - 로크부재(걸림수단) 60 - 이동체
65 - 고정판 70 - 지지판
80 - 기어 83 - 푸시
본 발명은 덮개체를 본체의 대응면(예를 들면, 개구나 스위치 등의 조작면)에 대해서 개방위치와 폐쇄위치로 전환하는 덮개개폐기구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콘솔 등에 채용되는 덮개개폐기구는, 통상, 일본국 특개2003-129742호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덮개체를 탄지수단에 의해 개방위치의 방향으로 탄지해 두고, 덮개체를 상기 탄지수단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개방위치에서 폐쇄위치로 전환하고, 상기 폐쇄위치에서 본체측의 래치에 덮개체측의 걸림돌조를 유지해서 덮개를 폐쇄상태에 유지한다. 이 경우, 덮개체가 2분할되어 있는 형태에서는, 각 덮개체를 동기(同期)하여 개방위치와 폐쇄위치로 전환함에 있어서 덮개체끼리의 사이에 아이들 기어 등이 개재된다. 또한 래치는, 조작용 버튼의 압압에 의해서 상기 걸림돌조에 대한 유지를 해제하고, 덮개체를 폐쇄위치에서 개방위치로 전환가능하게 한다. 이하, 이러한 타입을 전자의 기구라 한다.
또, 도 24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덮개개폐기구를 나타내고 있다. 이 덮개개폐기구는, 2분할된 덮개체(도어체)(114,116)를 동기하여 개방위치와 폐쇄위치로 전환하는 것으로서, 개방버튼(118) 및 폐쇄버튼(120)과, Z형상 암(158,164)과, 대(大)기어인 회전체(132)와, 일단부(150A)가 회전체(132)의 걸어맞춤 홈(144)에 걸어맞춤하고, 타단부(150B)가 본체측에 축(152)을 통해서 지지된 반전식 스프링(150) 등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개방버튼(118)은 축(154)을 통해서 암(158)의 일단부(158A)에 연결되고, 폐쇄버튼(120)은 축(160)을 통해서 암(164)의 일단부(164A)에 연결되어 있다. 부호(130)은 덮개체(116)측의 소(小)기어이고, 회전체(132)에 맞물려 있다. 부호(138)은 덮개체(114) 중 암(158)을 배치하고 있는 측과 대향하는 측면에 설치된 소기어이다. 상기 소기어(138)는 아이들 기어를 통해서 덮개체(116)의 대응측의 소기어와 맞물려 있다. 이 기구에서는, 덮개체(114,116)가 동(a)의 폐쇄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개방버튼(118)을 압입하면, 암(158)이 구멍(168)에 끼워맞춰져 있는 축(166)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암(158)의 하단 선단부(158C)가 스프링(150)의 연결부(150A)를 압압하고, 회전체(132)의 걸어맞춤 홈(144)을 따라서, 좌측단부(144A)(안정점)에서 우측단부(144B)방향으로 이동됨과 아울러, 스프링 (150)의 연결부(150A)가 중립점을 넘어 걸어맞춤 홈(144)의 우측 단부(144B)로 이동한다. 그러면, 회전체(132)에는, 스프링(150)의 분력으로서, 회전체(132)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힘이 작용한다. 이 때문에, 개방버튼(118)에서 손을 떼어 놓아도 스프링(150)의 탄지력에 의해 회전체(132)가 덮개체(114,116)를 개방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한편, 덮개체(114,116)가 동(b)의 개방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폐쇄버튼(120)을 압입하면, 암(164)이 축(166)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암(164)의 하단 선단부(164C)가 스프링(150)의 연결부(150A)를 걸어맞춤 홈(144)을 따라서, 우측단부(144B)(안정점)에서 좌측단부(144A)방향으로 이동시킴과 아울러, 스프링(150)의 연결부(150A)가 중립점을 넘어 걸어맞춤 홈(144)의 단부(144A)로 이동하면, 회전체(132)에는, 스프링(150)의 분력으로서, 회전체(132)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힘이 작용한다. 이 때문에, 폐쇄버튼(120)에서 손을 떼어 놓아도 스프링(150)의 탄지력에 의해 회전체(132)가 덮개체(114,116)를 폐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2002-362237호 공보
상기 전자의 기구에서는, 덮개체가 버튼 등의 누름조작에 의해서 래치에 대한 걸림돌조의 유지가 해제되고, 탄지수단의 탄지력에 의해 폐쇄위치에서 개방위치로 자동적으로 전환된다. 그러나, 이 기구에서는, 덮개체를 개방위치에서 폐쇄위치로 전환하는 경우, 덮개체를 손이나 손가락 등에 의해 탄지수단의 탄지력에 저항하 여 누르면서 폐쇄위치의 방향으로 이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고급감이 결여된다. 또한 자동차 등에서는, 래치가 충돌시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서 걸림돌조에 대한 유지가 해제되어, 덮개체가 부주의하게 개방위치로 전환되어지는 오동작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것이 요구되고 있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해진다.
또 도 24의 기구에서는, 먼저, 개방버튼 및 폐쇄버튼이 병설되어 있는 관계로, 운전자나 승무원이 목적의 버튼을 잘못 압입할 염려가 있다. 이와 같이, 버튼을 잘못 누르면, 덮개체가 탄지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개방위치로 전환될 염려도 있기 때문에 안전성을 손상시킨다. 또한, 조작용 버튼으로서는, 2개보다 단일 구성으로 하는 편이 설치성이나 의장성 등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과 같은 과제를 비교적 간이하게 해소하고, 고급감을 향상할 수 있는 것에 더하여, 덮개체가 추돌사고 등에 기인한 충격하중에 의해 부주의하게 개방위치로 전환되는 염려를 확실히 없애고, 품질향상 및 용도확대를 도모하기 쉽게 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1의 발명은, 도 1∼도 6의 제 1 실시예, 도 7∼도 14의 변형예, 도 15∼도 23의 제 2 실시예에 공통적인 구성을 특정한 것으로서, 덮개체를 본체의 대응면에 대해 상기 대응면을 덮는 폐쇄위치와 개방하는 개방위치로 회동전환하는 덮개개폐기구에 있어서, 상기 덮개체를 폐쇄위치에서 개방위치 및 개방위치에서 폐쇄위치로 전환할 때 사용되는 단일의 조작용 버튼 과, 상기 덮개체를 폐쇄할 때 적어도 폐쇄위치 부근에서 폐쇄위치의 방향으로 탄지하는 탄지수단과, 상기 버튼의 누름조작에 의해서 상기 덮개체의 개방위치에서의 유지를 해방하여 상기 덮개체를 폐쇄위치의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하는 전환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은, 조작용 버튼이 단일하기 때문에 특허문헌 1과 같이 개방버튼 및 폐쇄버튼을 설치하는 구조에 비해 버튼을 잘못 누른다는 염려가 없어진다. 또한, 버튼용의 설치공간을 반감하거나, 외관 의장성을 개선하기 쉬워진다. 또, 덮개체는, 적어도 폐쇄위치 부근(폐쇄와 개방의 대략 도중위치의 의미)에서 폐쇄위치의 방향으로 탄지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래치의 오작동에 의해 폐쇄위치에서 개방위치로 부주의하게 전환되어 안전성을 손상시킨다는 염려가 없어진다.
이상의 본 발명은 제 2의 발명∼제 10의 발명과 같이 구체화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제 2의 발명과 제 3의 발명은 제 1 실시예와 그 변형예 1로부터 특정한 것이다. 이 중, 제 2의 발명은, 제 1의 발명의 전환수단이 상기 버튼의 누름조작에 의해서 회동되는 캠 및 상기 캠과 작동연결되고 상기 덮개체에 설치된 기어부와 맞물려 있는 기어를 가지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덮개체를 개방위치에 유지하고 또한 상기 버튼의 누름조작에 의해서 상기 유지를 해방하는 걸림수단용의 구성부재를 가지고 있는 구성이다. 제 3의 발명은, 상기 전환수단이 상기 캠과 상기 기어의 사이에 개재된 힘증폭용의 기어기구를 가지고 있는 구성이다. 또 제 4의 발명은, 제 2의 발명의 걸림수단이 제 1 실시예와 같이 상기 기어에 형성된 걸림돌조와,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서 상기 걸림돌조를 걸거나 벗김하는 래치를 가 지고 있는 구성이다. 제 5의 발명은, 제 2의 발명의 걸림수단이 변형예 2와 같이 상기 버튼과 상기 캠의 사이에 개재되고 캠홈이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딩체와, 상기 캠홈을 트레이스하는 트레이스 핀과, 상기 슬라이딩체와 작동연결되고 상기 슬라이딩체와 거의 교차하는 방향으로 진·퇴출(進·退出)하는 로크부재를 가지고 있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제 6의 발명∼제 8의 발명은 제 2 실시예로부터 특정한 것이다. 이 중, 제 6의 발명은, 제 1의 발명의 덮개개폐기구에 있어서, 상기 탄지수단은 상기 덮개체가 폐쇄위치에서 개방위치 및 개방위치에서 폐쇄위치로 각각 전환되는 도중에 탄지방향을 반전하는 구성이다. 제 7의 발명은, 제 1의 발명의 덮개개폐기구에 있어서, 상기 전환수단이, 상기 버튼의 누름조작에 연동해서 상기 버튼의 이동방향과 거의 교차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이동체와, 상기 이동체에 요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푸시와, 상기 푸시에 작동연결되고 상기 덮개체에 형성된 기어부와 맞물림되어 있는 기어를 가지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덮개체를 개방위치에 유지하고 또한 상기 버튼의 누름조작에 의해서 상기 유지를 해방하는 걸림수단용의 구성부재를 가지고 있는 구성이다. 제 8의 발명은, 상기 걸림수단이, 상기 본체에 위치고정되어 있는 고정판에 형성된 캠홈과, 상기 푸시에 형성되고 상기 캠홈을 트레이스하는 트레이스 핀을 가지고 있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제 9의 발명과 제 10의 발명은 제 1 실시예, 변형예, 제 2 실시예로부터 특정한 것이다. 이 중, 제 9의 발명은, 제 1 발명 내지 제 8 발명 중 어느 하나의 발명의 덮개개폐기구에 있어서, 상기 덮개체가 2분할됨과 아울러, 상기 전 환수단에 작동연결되어 있는 일측의 덮개체에 대해 타측의 덮개체를 연동해서 개방위치와 폐쇄위치로 전환하게 하는 동력전달수단을 가지고 있는 구성이다. 제 10의 발명은, 제 1 발명 내지 제 9 발명 중 어느 하나의 발명의 덮개개폐기구에 있어서, 상기 덮개체의 개폐속도를 제동하는 댐퍼수단을 가지고 있는 구성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본 발명의 최량의 형태를 도면의 실시예 및 변형예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면 중, 도 1∼도 8은 제 1 실시예(발명의 기본형태 및 그 변형예 1)를 나타내고, 도 9∼도 14는 제 1 실시예의 걸림수단 등을 변경한 변형예 2를 나타내고, 도 15∼도 23은 제 2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제 1 실시예에서는, 도 1∼도 6은 덮개체를 2분할한 구성을 나타내고, 도 7과 도 8은 단일의 덮개체 구조로 전개한 모식 작동도이다. 도면에서는 작도상의 제약 때문에 부재의 일부를 생략하거나 모식화하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각 실시예의 개요를 기술한 후, 제 1 실시예, 변형예, 제 2 실시예의 순서대로 상술한다. 단, 각 설명에서는, 작동적으로 동일한 부재 및 부위에 동일한 부호를 첨부하고, 중복되는 기재를 최대한 생략하기로 한다.
(개요) 본 발명의 덮개개폐기구는, 덮개체(2) 또는 덮개체(2A,2B)를 단일의 조작용 버튼(4)이나 (4A)의 누름조작에 의해 본체(1)의 대응부(개구나 스위치 등의 조작면)에 대해 상기 대응부를 덮는 폐쇄위치와 개방하는 개방위치로 회동전환하는 것이고, 도 1∼도 6과 도 9∼도 23과 같이 덮개체(2A,2B)가 분할되어 있는 구성(이하, 덮개분할형태라 함), 도 7 및 도 8과 같이 덮개체(2)가 단일로 이루어지는 구 성(이하, 덮개단일형태라 함), 어느 것이라도 적용가능하다. 여기서, 덮개체는 도어나 커버 등과 동일한 의미로서 사용되고 있다. 본체는 기기나 장치의 하우징이나 케이스 등과 동일한 의미로서 사용되고 있다. 또, 덮개분할형태의 경우에는, 덮개단일형태에 비해 일측의 덮개체(2A)에 타측의 덮개체(2B)를 연동해서 전환가능하게 하는 동력전달수단(7)이 추가된다.
[실시예]
(제 1 실시예) 도 1∼ 도 6에 나타낸 제 1 실시예의 덮개개폐기구는, 특허문헌 1과 마찬가지로 차량용 콘솔박스가 직사각형 상자형상의 수납부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수납부에 수용배치되는 본체(1)의 상부 개구를 개폐하는 기구로서 고안된 것이다. 장치 내지는 기구특징은, 탄지수단인 코일 스프링(3)과 조작용 버튼(4)과 전환수단(5)과 래치(6)와 동력전달수단(7)과 댐퍼수단(8)을 구비하고 있다. 또 전환수단(5)은, 버튼(4)의 누름조작에 의해 가동체(30)를 통해서 요동 또는 회동되는 캠(35)과, 캠(35)에 힘증폭용의 기어기구(40)를 개재해서 제휴되어 있는 증속기어(45)와, 증속기어(45)의 일부에 형성된 걸림돌조(49)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본체(1)는, 전·후벽(前·後壁)(11,12)과, 저벽(13)과, 저벽(13)의 양측에 형성되며 보강편이나 돌출벽(14) 등에 의해 구획형성되고, 전체가 수납부의 오목형상 내에 수용되는 상태로 조립된다. 또, 본체(1)는, 전벽(11)에 돌출형성된 부착부(15), 후벽(12)에 돌출형성된 브래킷용 부착부(16,17), 후벽(12)에 형성된 도시생략의 축용 관통구멍 등을 가지고 있다. 부호(10)은, 수납부의 오목형상 상부 주위에 장착되는 가장자리부재이다. 상기 가장자리부재(10)에는, 버튼(4)을 상하이 동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는 오목형상부(10a)가 본체(1)의 후벽(12)에 대응되는 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또, 후벽(12)에는, 후술하는 오목형상부(10a)에 배치되는 버튼(4)에 대응해서 브래킷(9)이 부착되고, 상기 브래킷(9)을 이용해서 가동체(30) 및 전환수단(5)이 조립되어 있다.
덮개체(2A,2B)는, 본체(1)의 상부 개구{이 상부 개구는 가장자리부재(10)의 틀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를 좌우로 나누어서 개폐하는 형상이고, 지지용 암부(20,21) 또는 (22,23)를 길이방향의 전후부에 각각 가지고 있다. 그리고, 덮개체(2A,2B)는, 전후의 암부(20,21) 또는 (22,23)가 본체(1)의 대응하는 전·후벽(11,12)에 대해 핀 등의 축(24)을 통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축(24)을 지점으로 해서 폐쇄위치와 개방위치로 회동전환된다. 또, 덮개체(2A)의 전후의 각 암부(20,21)와, 덮개체(2B)의 전측(前側)의 암부(22)에는, 축(24)을 중심으로 한 원호상 주위부에 연속하는 톱니형상, 즉 기어부(25) 또는 (26)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덮개체(2B)의 후측(後側)의 암부(23)에는 그와 같은 기어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이상의 각 덮개체(2A,2B)는, 본체(1)에 축(24)을 통해서 각각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후, 본체(1)의 전벽(11)측에 있어서 코일 스프링(3)이나 동력전달수단(7) 및 댐퍼수단(8)과 제휴됨과 아울러, 본체(1)의 후벽(12)측에 있어서 조작용 버튼(4)이나 전환수단(5) 및 래치(6)와 제휴된다.
이 중, 동력전달수단(7)은, 도 2와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1)의 전벽(11)에 위치하고, 덮개체(2A)의 전측 암부(20)와, 덮개체(2B)의 전측 암부(22) 의 사이에 축(27) 등을 통해서 각각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서로 맞물려 있는 2개의 아이들 기어(7A,7B)로 이루어진다. 아이들 기어(7A,7B)는 상기 대응하는 기어부(26)와 맞물림하는 기어형상이다. 이 예에서는, 덮개체(2A)의 전측 암부(20)의 기어부(26)와 아이들 기어(7A)가 맞물려 있고, 덮개체(2B)의 전측 암부(22)의 기어부(26)와 아이들 기어(7B)가 맞물려 있다. 이 때문에, 이 동력전달수단(7)에서는, 덮개체(2A)가 축(24)을 지점으로 해서 개방위치방향으로 회동되면, 상기한 각 맞물림에 의해서 덮개체(2B)가 축(24)을 지점으로 해서 덮개체(2A)와 동기하여 개방위치방향으로 회동된다.
코일 스프링(3)은, 덮개체(2A)를 항상 폐쇄위치방향으로 탄지하는 것으로서, 일단부측이 덮개체(2A)의 암부(20)에 나사(29) 등을 통해서 걸림되고, 타단부측이 덮개체(2B)측과 맞물려 있는 아이들 기어(7B)에 나사(29) 등을 통해서 걸림되어 있다. 또한, 코일 스프링(3)은, 도 8의 덮개단일형태에 있어서, 일단부측이 덮개체(2)의 암부(20)에 나사(29) 등을 통해서 걸림되고, 타단부측이 본체(1)의 대응부에 나사(29) 등을 통해서 걸림된다. 덮개분할형태에서는, 도 2(a),(b)와 도 8(a),(b)의 비교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동일한 탄지력의 코일 스프링이라 하더라도, 타단부측이 아이들 기어(7B)에 의해 위치변경되기 때문에, 스프링압 내지는 탄지력을 다면적으로 조정가능하게 된다.
댐퍼수단(8)은 회전식의 오일 댐퍼 등으로 이루어지고, 본체(8a)에 충전된 오일 등의 작동유체의 저항을 받고 있는 출력축 및 상기 출력축에 장착된 회전 기어(8b)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댐퍼수단(8)은, 본체(8a)를 본체(1)의 전벽(11)에 장착한 상태로, 회전 기어(8b)를 아이들 기어(7A)에 맞물림하게 하여, 덮개체(2A)의 회동속도를 제동하거나 덮개체(2A)의 급속한 회동을 방지한다. 이 경우, 덮개체(2B)는, 아이들 기어(7A)와 맞물려 있는 아이들 기어(7B)를 통해서 제동된다. 또한, 댐퍼수단(8)은, 도 8의 덮개단일형태에 있어서, 회전 기어(8b)가 덮개체(2)의 암부(20)의 기어부(26)에 맞물림하게 된다.
이것에 대해, 조작용 버튼(4)은 가장자리부재(10)의 오목형상부(10a)에 배치되고, 전환수단(5)과 래치(6)는 본체(1)의 후벽(12)에 설치되는 브래킷(9)을 이용해서 배치되어 있다. 이 중, 버튼(4)은, 도 5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직사각형 판상을 이루고, 하면에 돌출형성된 통형상부(4a)를 가지며, 상기 통형상부(4a)를 통해서 가동체(30)에 슬라이딩 자유롭게 연결된다. 가동체(30)는, 개략 L형으로 이루어지고, 수직부(31)의 상면에 돌출형성된 축(31a)과, 수평부(32)의 선단부에 핀(33a)을 통해서 회전자유롭게 부착된 롤러(33)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가동체(30)는, 버튼(4)에 대해 통형상부(4a) 내에 축(31a)을 삽입한 상태로 연결된다. 이 경우, 버튼(4)은, 통형상부(4a) 주위에 배치되는 스프링부재(34)에 의해 가동체(30)에 대해서 항상 상측의 일정 높이까지 탄지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스프링부재(34)는, 상단부가 통형상부(4a)측에 걸림되고, 하단부가 축(31a) 또는 수직부(31)측에 걸림되어 있고, 버튼(4)을 손가락으로 눌러 내린 후, 손가락을 떼어 놓았을 때 버튼(4)을 탄지력에 의해 본래의 높이위치에 복귀시키는 것이다.
상기 브래킷(9)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에 형성되며 조작용 버튼(4)을 배치하는 오목형상부(10a)와 겹쳐지는 오목형의 받침부(9a)와, 받침부(9a)의 오목형 하측에 형성되며 내부에 삽입되는 상기 가동체(30)의 수직부(31)를 슬라이딩 자유롭게 안내하는 틀부(9b)와, 하측에 형성되어 있는 래치용 유지부(9c)와, 중앙부에 형성된 통지지용의 구멍부(9d)와, 받침부(9a)의 전면(前面) 및 양측에 돌출형성된 편부(9e,9f)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브래킷(9)은, 본체(1)의 부착부(16)에 편부(9e)를 걸어맞춤함과 아울러, 본체(1)의 부착부(17)에 대응하는 편부(9f)를 나사(18) 등에 의해서 고정함으로써 본체(1)의 후벽(12)에 장착된다.
그 장착시에는, 틀부(9b)에 대해 가동체(30)의 수직부(31)를 삽입한 상태로 배치되고, 유지부(9c)에 대해 래치(6)가 부착되어서 유지된다. 그 후, 축(50)이 본체(1) 내에서 후벽(12)의 관통구멍을 통해서 밖으로 돌출된다. 축(50)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환수단(5)을 구성하고 있는 증속기어(45), 기어기구(40), 캠(35)을 순서대로 축(50)에 꼬치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선단부(도시생략하였으나, 이 선단부는 수나사로 형성되어 있다)를 후술하는 캠(35)의 통형상부(38)에 삽입하고, 상기 통형상부(38) 내에서 그 선단부를 너트(39)에 걸어맞춤하여 빠짐방지된다. 부호(50a)는 축기단부의 단턱부 또는 두부이다.
여기서, 전환수단(5)은,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캠(35)이 버튼(4)의 압압력에 의해 가동체(30)를 통해서 화살표방향으로 회동되고, 증속기어(45)가 그 캠(35)의 회동에 제휴해서 화살표방향으로 회동되는 구성이면 된다. 이 예에서는, 버튼(4)의 압압력이 과대하게 되지 않도록, 캠(35)과 증속기어(45)의 사이에 기어기구(40)를 개재하고 있다.
캠(35)은, 축관통용 축구멍을 형성하고 있는 본체(36)와, 본체(36)의 일측에 돌출된 비교적 긴 암부(37)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본체(36)의 내면(36a)에는, 도시생략한 연결부가 형성되고, 홀더(41)가 그 연결부를 이용해서 직결된다. 외면(36b)에는 너트(39)를 여유있게 삽입할 수 있는 통형상부(38)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이 통형상부(38)는 브래킷(9)의 구멍부(9d)에 삽입된 상태로 지지된다. 암부(37)는, 선단부(37a)가 상향으로 절곡되어 있고, 상기 선단부(37a) 앞에서부터 본체(36)로 연장되어 있는 상면이 가동체(30)의 롤러(33)와 맞닿음하게 되는 압압면(37b)으로 설정되어 있다.
증속기어(45)는, 축구멍을 형성하고 있는 본체(46)와, 본체(46)의 일부에 형성된 기어부(47)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본체(46)의 외면측에 있어서 상기 축구멍과 동축에 고착된 평기어(48)를 가지고 있다. 기어부(47)는 덮개체(2A)나 덮개체(2)의 기어부(25)와 맞물림하는 톱니형상이다. 또, 기어부(47)는, 본체(46)에서 소정 치수 돌출된 돌편형상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증속기어(45)는, 본체(46)가 축(5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됨과 아울러 캠(35) 등을 통해서 회동될 때, 기어부(25)에 대한 기어부(47)의 회동속도를 축구멍이나 축(50)에서 떨어진 것만큼 증속한다.
기어기구(40)는, 복수의 소기어(피니언)(42)를 동심원상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는 홀더(41)와, 홀더(41)를 내경에 삽입하고 각 소기어(42)와 맞물림하는 내측 톱니(44)를 형성하고 있는 내측 기어(43)와, 증속기어(45)측에 형성된 상기 평기어(48)로 구성되어 있다. 홀더(41)는, 개략 도너츠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복수의 소기어(42)가 둘레를 등분하는 개소에 조립되어 있다. 각 소기어(42)는, 그 조립상태에 있어서 홀더(41)의 외경 및 내경으로부터 약간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홀더(41)는, 캠(35)의 내면(36a)에 연결된 상태에서, 내측 기어(43)의 내경에 배치되면, 각 소기어(42)가 내측 기어(43)의 내측 톱니(44)와 맞물림된다. 또, 홀더(41)에는, 증속기어(45)에 고착된 평기어(48)가 내측 기어(43)의 내경에서 삽입되면, 각 소기어(42)가 평기어(48)와 맞물림된다.
(작동) 다음에, 이상의 덮개개폐기구의 작동을 도 1과 도 2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의 각 (a)는 덮개체의 폐쇄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이 폐쇄위치에서는, 덮개체(2A,2B)가 덮개체(2A)의 암부(20)와 덮개체(2B)의 기어부(26)와 맞물려 있는 아이들 기어(7B)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코일 스프링(3)의 스프링압에 따른 강도에 의해 유지되어 있고, 또 버튼(4)이 스프링부재(34)의 탄지력에 의해서 상방의 초기위치, 가동체(30)의 롤러(33)가 캠(35)의 압압면(37b)에 가볍게 접촉한 상태로 되어 있다. 덮개체(2A,2B)를 개방위치로 전환하는 경우에는 버튼(4)을 손가락 등에 의해서 도 1(a)의 화살표방향으로 압압조작한다. 그러면, 가동체(30)는 버튼(4)의 누름방향으로 이동된다. 캠(35)은, 상기 가동체(30)의 이동에 의해서 롤러(33)를 통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된다. 캠(35)이 회동되면, 증속기어(45)가 기어기구(40)를 통해서 캠(35)과 같은 방향으로 회동된다. 덮개체(2A)는, 그 증속기어(45)의 회동에 의해서, 기어부(47)와 기어부(25)의 맞물림을 통하여 도 1 및 도 2의 각 (b)에 나타낸 개방위치까지 회동된다. 이 회동과정에서는 코일 스프링(3)의 탄지력이 증대, 즉 스프링 차지(탄지력을 축적한다는 의미)된다. 또 덮개체(2A)의 회동력은, 동력전달수단(7)에 의해서 타측의 덮개체(2B)에 전달되고, 덮개체(2B)를 동기하여 개방위치까지 회동가능하게 한다. 동시에, 걸림돌조(49)는, 증속기어(45)의 회동에 수반하여 래치(6)에 걸림(로크)된다. 이것에 의해, 덮개체(2A,2B)는 코일 스프링(3)의 탄지에 저항하여 개방위치에 유지된다.
또 덮개체(2A,2B)를 폐쇄위치로 하는 경우에는, 버튼(4)을 도 1(b)의 화살표방향, 즉 개방위치로 할 때와 동일한 방향으로 누르고 상기 압입력을 해방한다. 그러면, 덮개체(2A,2B)는, 상기 압입력에 의해 가동체(30), 캠(35), 기어기구(40), 증속기어(45)를 통해서 동도면의 실선위치에서 상상선위치로 이동하고, 또 걸림돌조(49)가 래치(6)의 하우징 내에 일단 깊게 들어간 상태로 상기 걸림상태로부터 해제된다. 그 후(압입력을 해방한 후)에는, 덮개체(2A,2B)가 상기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3)의 탄지력에 의해서 다시 폐쇄위치로 회동전환되게 된다.
(변형예 1)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변형예는, 상기한 덮개개폐기구를 이용해서, 1개의 덮개체(2)를 폐쇄위치와 개방위치로 회동전환하는 것이다. 이 구조에서는, 구성부재로서, 본체(1)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덮개체(2)를 항상 폐쇄위치의 방향으로 탄지하고 있는 탄지수단으로서의 코일 스프링(3)과, 본체(1) 또는 본체용의 가장자리부재(10) 등에 형성되어 있는 단일의 누름조작용 버튼(4)과, 버튼(4)에 대향배치된 캠(35) 및 상기 캠(35)에 제휴됨과 아울러 덮개체(2)에 형성된 기어부(25)에 맞물려 있는 증속기어(45) 및 증속기어(45)에 형성된 걸림돌조(49)를 가지며, 또 버튼(4)의 누름조작에 의해서 캠(35) 및 증속기어(45)를 통하여 덮개체(2)를 코일 스프링(3)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폐쇄위치에서 개방위치로 전환하는 전환수단(5)과, 덮개체(2)의 개방위치에서 걸림돌조(49)를 걸림하고, 또한 상기 걸림을 버튼(4)의 누름조작에 의해서 해제가능한 래치(6)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덮개체(2)는, 도 7 및 도 8의 각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3)의 스프링압에 따른 강도에 의해 폐쇄위치(또는 폐쇄상태)에 탄지유지되어 있다. 덮개체(2)를 개방위치(또는 개방상태)로 전환하는 경우에는, 버튼(4)을 누름조작하면, 덮개체(2)가 전환수단(5)에 의해서 코일 스프링(3)의 탄지에 저항하여 동도면의 각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1)의 개구를 거의 모두 개방한 개방위치까지 회동된다. 동시에, 상기 걸림돌조(49)는, 증속기어(45)의 움직임에 수반하여 본체(1)측에 부착된 래치(6)에 유지(로크)된다. 이것에 의해서, 덮개체(2)는 코일 스프링(3)의 탄지에 저항하여 개방위치에 유지된다. 또, 상기 유지는, 버튼(4)을 동방향으로 누르고 상기 압입력을 해방하면 해제된다. 이 해제에 의해서, 덮개체(2)는 코일 스프링(3)의 탄지력에 의하여 다시 폐쇄위치로 회동전환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덮개단일형태는, 다음에 기술하는 변형예 2 및 제 2 실시예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유추 적용된다.
이상의 제 1 실시예 및 변형예 1에 있어서, 전환수단(5)으로서는 캠(35) 및 증속기어(45)만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 캠(35)과 증속기어(45)의 사이에 기어기구(40)를 개재함으로써, 예를 들면, 버튼(4)의 누름조작에 의하여 덮개체를 폐쇄위치에서 개방위치로 전환할 때, 버튼(4)에 가하는 누름하중을 작게 하여 조작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변형예 2) 도 9∼도 14에 나타낸 변형예는, 상기한 걸림돌조(49)를 걸거나 벗김하는 래치(6)가 푸시·푸시 걸림기구일 경우, 도 1(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 이, 덮개체가 개방위치에 있어서 버튼(4)의 누름조작에 의해 걸림돌조(49)의 유지를 해방할 때에 개방방향으로 미동하게 되는데, 그와 같은 덮개체의 미동을 없앤 것이다. 구조적으로는, 먼저, 브래킷(9A){상기의 브래킷(9)에 대응되고 있다}이 암(51) 및 상기 암(51)의 자유단부에 돌출형성된 트레이스 핀(53)을 가지고 있다. 또 가동체(30)의 수직부(31) 내에는, 캠홈(56)이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딩체(55)와, 슬라이딩체(55)를 수용한 상태로 수직부(31) 내에 조립되는 틀부재(57)와, 틀부재(57)의 내측 하부에 조립되어 있는 로크부재(59)와, 틀부재(57)를 상측으로 탄지하고 있는 코일 스프링(58a)과, 로크부재(59)를 틀부재(57)에서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지하고 있는 코일 스프링(58b)이 조립되어 있다. 이러한 점에서 제 1 실시예의 것과 상이하다.
또한, 세부적으로는 댐퍼수단(8)의 배치가 변경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본체(8a)가 본체(1)의 후벽(12)에 부착되어 있고, 회전기어(8b)가 증속기어(45)의 기어부(47)와 맞물려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댐퍼수단(8)은 여러 가지 개소에 배치가능하다. 또 이 변형예에서는, 증속기어(45)가 걸림돌조(49)를 가지고 있지 않은 점, 캠(35)과 기어기구(40)의 홀더(41)가 일체품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점, 캠(35)이 상향의 선단부(37a)를 가지고 있지 않은 점, 암부(37)의 전측에 부착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제 1 실시예의 것과 상이하지만, 작동적으로는 동일하다.
여기서, 먼저, 브래킷(9A)은, 측벽의 대략 중앙부가 오목형상부(9g)로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오목형상부(9g)의 상부에 관통구멍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오목형상부(9g)에는, 암(51)이 하측의 끼워맞춤부(부재끼리의 요철 끼워맞 춤)(52)를 통해서 요동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상기 암(51)은, 끼워맞춤부(52)를 지점으로 해서 오목형상부(9g) 내에 있어서 좌우방향으로 요동된다. 암(51)의 자유단부에는, 트레이스 핀(53)이 장착부재(54)를 통해서 내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또, 오목형상부(9g)를 형성하고 있는 벽의 내면에는, 도 12와 같이 하향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돌출된 돌출부(9j)와, 상기 돌출부(9j)의 하측에 형성된 오목부(9h)가 형성되어 있다.
가동체(30)는, 수직부(31) 및 수평부(32)로 이루어지는 점에서 제 1 실시예의 것과 동일하게 하고 있지만, 수직부(31)가 길게 또한 내부공동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이 수직부(31)는, 도 10 등과 같이 전후면의 일부와 좌우면의 일부가 결여되어 있다. 이 중, 도 10에 있어서, 부호(31a)는 전측의 비교적 큰 개구이고, 부호(31b)는 좌우에 대향되어 있는 비교적 작은 개구이다.
틀부재(57)는, 상개구되어 있음과 아울러, 개구(31a)와 대응되는 면이 2단으로 개구 즉 도 12와 같이 상측의 대(大)구멍(57a) 및 그 하측의 소(小)구멍(57b)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 저면에서 아래로 돌출된 가이드축(57c) 및 양측면에 형성된 탄성돌조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틀부재(57)에는, 로크부재(59)가 코일 스프링(58b)과 함께 소구멍(57b)으로부터 삽입배치된다. 상기 로크부재(59)는, 도 14와 같이 앞면이 돌조부, 돌조부의 후측이 상하로 관통된 구멍(59a), 후측이 후방으로 돌출되어 코일 스프링(58b)을 지지하는 축부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로크부재(59)는, 소구멍(57b)으로부터 틀부재(57) 내에 배치되면, 선단 돌조부 및 구멍(59a)이 틀부재(57)의 밖에 위치하는 통상상태가 되고, 앞쪽으로부터 후방향의 응 력을 받으면, 코일 스프링(58b)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구멍(59a)이 틀부재(57) 내에 들어 갈 때까지 수평이동된다. 또 이상의 틀부재(57)는, 가이드축(57c)에 지지된 코일 스프링(58a)과 함께, 수직부(31)의 내부에 압입되면, 상기 탄성돌조가 대응되는 개구(31b)와 걸어맞춤한다. 이 때문에, 틀부재(57)는, 통상상태에서 코일 스프링(58a)의 탄지력에 의해 최대까지 상이동되지만, 상기 탄성돌조에 의해 수직부(31)에서 빠지지 않는다.
슬라이딩체(55)는, 틀부재(57) 내에 수납되는 소(小)블럭형이고, 한쪽면에 캠홈(56)이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면에 돌출형성되어서 버튼(4)의 통형상부(4a) 내에 삽입되는 축부(55a)와, 하면의 앞쪽 가장자리부분에 돌출된 돌기(55b)를 일체로 가지고 있다. 캠홈(56)은, 도 13과 도 14의 각 도면 좌측의 원내에 모식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개략 하트 볼록형의 섬형상을 가지며, 상기 섬형상의 주위를 따라서 걸어맞춤용 유도 캠홈(56a)과, 걸어맞춤 홈(56b)과, 해제용 유도 캠홈(56c) 등이 형성되고, 또, 걸어맞춤용 유도 캠홈(56a)의 최상방에 위치한 걸어맞춤용 스토퍼 캠면(56d)과, 상기 스토퍼 캠면(56d)에서 비스듬히 상향으로 기울어져 있는 유도 캠면 등이 형성되어 있다.
(작동) 다음에, 이상의 변형예(2)의 주된 작동을 도 13과 도 1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3(a)는 덮개체(2A,2B)의 폐쇄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로크부재(59)가 브래킷(9A)측의 돌출부(9j)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또 트레이스 핀(53)이 캠홈(56) 중 걸어맞춤용 유도 캠홈(56a)에 위치하고 있다.
도 13(b)는 덮개체(2A,2B)를 개방위치로 전환하기 위해 버튼(4)을 하향으로 압압조작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버튼(4)이 압압되면, 슬라이딩체(55)가 돌기(55b)를 통해서 로크부재(59)에 맞닿음한 후, 틀부재(57)가 코일 스프링(58a)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하이동된다. 상기 하이동은, 트레이스 핀(53)이 걸어맞춤용 스토퍼 캠면(56d)에 맞닿음함으로써 저지된다. 또, 이 과정에서는, 로크부재(59)가 돌출부(9j)의 경사면에 닿고, 상기 경사면에서 받는 반력에 의해 코일 스프링(58b)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퇴피하면서 돌출부(9j)를 타고 넘는다. 로크부재(59)는, 돌출부(9j)를 타고 넘음과 동시에, 코일 스프링(58b)의 탄지력에 의해 본래의 돌출위치로 복귀되어서 오목부(9h)에 걸어맞춰진다. 이와 같이, 이 구조에서는 로크부재(59)가 오목부(9h)와 걸어맞춰지면, 트레이스 핀(53)과 캠홈(56)으로 구성되는 걸림수단과 관계없이, 수직부(31){가동체(30)}의 상하이동이 저지됨과 아울러 캠(35)도 회동불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이 구조에서는, 버튼(4)에서 손가락 등을 떼어 놓아 로크부재(59)에 대한 압압력을 해방하면, 슬라이딩체(55)가 수직부(31){가동체(30)}와 무관하게 받침부(9a) 내의 코일 스프링(34)(도 12 참조)의 탄지력에 의해 상방으로 슬라이딩되고, 동시에, 트레이스 핀(53)이 스토퍼 캠면(56d)으로부터 걸어맞춤 홈(56b)까지 움직여서 걸어맞춤한다.
도 14(a)는 덮개체(2A,2B)를 개방위치에서 폐쇄위치로 전환하기 위하여 버튼(4)을 하향으로 압압조작한 초기단계를 나타내고, 도 14(b)는 최종단계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먼저, 버튼(4)이 압압되면, 슬라이딩체(55)는 하방으로 슬라이딩되고, 돌기(55b)를 통해서 로크부재(59)에 맞닿음한 후, 로크부재(59)가 오목부(9h)를 구획하고 있는 하측의 경사면에서 받는 반력에 의해 코일 스프링(58b)의 탄지력 에 저항하여 소정량만큼 퇴피되고, 최종단계에서 돌기(55b)가 로크부재(59)의 구멍(59a)에 걸어맞춤한다. 이 과정에서는, 트레이스 핀(53)이 걸어맞춤 홈(56b)으로부터 해제용 유도 캠홈(56c)에 들어가게 되고, 상기 유도 캠홈(56c)의 상방으로 슬라이딩된다. 그리고, 버튼(4)에서 손가락 등을 떼어 놓아서 로크부재(59)에 대한 압압력을 해방하면, 트레이스 핀(53)이 유도 캠홈(56c)의 상방에서 도 13(a)의 본래의 위치로 복귀되고, 또 수직부(31){가동체(30)}가 로크부재(59) 및 틀부재(57) 등과 함께 상이동하여 캠(35) 등을 통해서 덮개체(2A,2B)를 폐쇄위치로 회동전환한다. 따라서, 이상의 변형예 2에서는, 슬라이딩체(55)의 캠홈(56)과 트레이스 핀(53)으로 푸시·푸시 걸림기구를 구성하고 있는데, 로크부재(59) 등의 존재에 의해서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은 덮개체(2A,2B)를 개방위치에서 폐쇄위치로 전환할 때 해당 덮개체가 개방방향으로 미동한다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고, 그것에 의하여 위화감을 없앨 수 있어 사용성의 편리함이나 상품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 2 실시예) 도 15∼도 23에 나타낸 제 2 실시예는, 상기한 제 1 실시예나 각 변형예에 대해서, 덮개체(2A,2B)를 본체(1)의 폐쇄위치에서 개방위치, 개방위치에서 폐쇄위치로 전환하는 전환수단(5A){상기 전환수단(5)에 대응되어 있다}과 래치 내지는 걸림수단(푸시·푸시 걸림기구)을 변경함과 아울러, 버튼(4A){상기 버튼(4)에 대응되어 있다}의 조작성을 향상하기 위하여, 버튼(4A)을 도중까지 누르는 것만으로 덮개체(2A,2B)가 폐쇄위치에서 개방위치 또는 개방위치에서 폐쇄위치로 각각 회동전환되도록 한 것이다. 구조적으로는, 탄지수단인 코일 스프링(3A)과 조작용 버튼(4A)과 전환수단(5A)과 걸림수단을 구성하고 있는 트레이스 핀(78) 및 캠 홈(66)과 동력전달수단(7)과 도시생략한 상기 댐퍼수단(8)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댐퍼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본체(1)는,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전·후벽(11,12)과, 저벽(13)과, 저벽(13)의 양측에 형성된 보강편이나 돌출벽(14) 등에 의해 구획형성되고, 전체가 수납부의 오목형상 내에 수용되는 상태로 조립된다. 또, 본체(1)는, 도 17과 도 21과 같이 전벽(11)에 돌출형성된 축(24) 및 부착부(15), 후벽(12)에 돌출형성된 브래킷용 부착부(16,16a)와 부착부 겸용의 축(24) 및 축(24a) 등을 가지고 있다. 또 후벽(12)에는 브래킷(9B)이 부착부(16,16a) 등에 나사(18) 등을 통해서 부착된다. 그리고, 상기 브래킷(9B)에 대해서 버튼(4A)을 지지하거나, 캠홈(66)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판(65)을 고정 지지하고 있다. 이것에 대해, 덮개체(2A,2B)는,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고, 전후의 암부(20,21) 또는 (22,23)가 본체(1)의 대응하는 전·후벽(11,12)에 대해 축(24)을 통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축(24)을 지점으로 해서 폐쇄위치와 개방위치로 회동전환된다. 또 덮개체(2A)의 전측의 암부(20)와, 덮개체(2B)의 전후의 암부(22,23)에는, 축(24)을 중심으로 한 원호상 주위부에 연속하는 톱니형상, 즉 기어부(25) 또는 (26)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덮개체(2A)의 후측의 암부(21)에는 그와 같은 기어부를 가지고 있지 않다. 단, 후측의 암부(21)에 댐퍼수단과 맞물림하는 기어부를 형성하기도 한다.
이상의 각 덮개체(2A,2B)는, 본체(1)에 축(24)을 통하여 각각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후, 본체(1)의 전벽(11)측에 있어서 동력전달수단(7)과 제휴됨과 아울러, 본체(1)의 후벽(12)측에 있어서 조작용 버튼(4A)이나 전환수단(5A) 및 걸림수단{트 레이스 핀(78) 및 캠홈(66)}과 제휴된다. 전환수단(5A)은, 버튼(4A)의 누름조작에 연동해서 상기 버튼(4A)의 이동방향과 대략 교차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이동체(60)와, 이동체(60)에 요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푸시(83)와, 푸시(83)에 작동연결되어 있는 기어(80)를 가지며, 또 걸림수단용의 구성부재로서 푸시(83)에 부설된 트레이스 핀(78)을 가지고 있다.
이 중, 동력전달수단(7)은,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1)의 전벽(11)에 위치하고, 덮개체(2A)의 전측 암부(20)와 덮개체(2B)의 전측 암부(22) 사이에 축(27) 등을 통해 각각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서 서로 맞물려 있는 2개의 아이들 기어(7A,7B)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 동력전달수단(7)은, 예를 들면, 덮개체(2B)가 축(24)을 지점으로 해서 개방위치방향으로 회동되면, 각 맞물림에 의해 덮개체(2A)가 축(24)을 지점으로 해서 덮개체(2B)와 동기하여 개방위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한다.
코일 스프링(3A)은, 각 단부가 아이들 기어(7A,7B)의 대응부에 나사(29) 등을 통해서 걸림되어 있다. 이 경우, 코일 스프링(3A)은, 덮개체(2A,2B)가 폐쇄방향에서 개방위치 및 개방위치에서 폐쇄위치로 각각 전환되는 도중에 탄지방향을 반전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코일 스프링(3A)은, 예를 들면, 덮개체(2A,2B)가 폐쇄위치에서 개방위치방향으로 회동전환되는 도중위치까지는 스프링 차지(탄지력을 축적한다는 의미)되고, 개방위치에 도달하기 조금 앞에서 탄지방향을 반전하여 당해 탄지력에 의해 도중위치에서 개방위치로 자동적으로 회동전환한다. 이와 같은 반전식 스프링은, 코일 스프링(3A)의 배치를 연구해서 탄지방향을 전환하는 구성에 한 정하지 않고, 양단부간의 중간 권취부를 반전하는 토션 스프링이라도 된다.
조작용 버튼(4A)은, 도 16∼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직사각형 판형상을 이루고, 하면에 판부(4b)를 일체로 하여 돌출되어 있다. 판부(4b)는, 일측면을 따라서 형성된 래크(4c)와, 내면의 돌출부에 형성된 돌기(4d)와, 외면에 상하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소(小)리브(4e) 등을 가지고 있다. 또한, 길이는 도 20∼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체치수를 길게 해도 된다. 그리고, 이 버튼(4A)은, 본체(1)의 후벽(12)의 외측에 있어서, 양측의 축(24) 등을 이용해서 조립된 지지판(70)과, 부착부(16,16a) 등을 이용해서 조립된 브래킷(9B)과의 사이에 상하 슬라이딩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여기서, 지지판(70)은, 도 17과 같이 대략 T형상으로 형성되고 후벽(12)에 부착되어 있다. T형의 수평부(71)에는, 좌우의 축(24)이 관통되는 릴리프 홀(73)과, 축(24,24) 사이에 있어서 좌측에 위치한 축(74)이 형성되어 있다. T형의 수직부(72)에는 가이드 홈(72a)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홈(72a)은, 돌기(4d)와 끼워맞춤한 상태로 버튼(4A)을 소정 치수만큼 상하이동 자유롭게 가이드한다. 또한, 축(74)은 본체(1)의 후벽(12)에 형성하고, 지지판(70)의 구멍으로부터 돌출되게 하기도 한다.
상기 브래킷(9B)은,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용 버튼(4A)을 배치하는 오목형의 받침부(9a)와, 받침부(9a)의 내측에 형성되고 버튼(4A)의 소리브(4e)와 슬라이딩 자유롭게 끼워맞춤하는 도시생략의 가이드부와, 받침부(9a)의 전면 및 양측에 돌출형성된 편부(9e,9f)와, 중앙부에 형성된 부착구멍(9k) 등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브래킷(9B)은, 본체(1)에 대해, 부착부(16,16a)에 편부(9e)나 대응부를 걸어맞춤하거나, 본체(1)의 축(24)에 대응하는 편부(9f)를 나사(18) 등에 의해 고정함으로써 본체(1)의 후벽(12)에 장착된다. 그 장착시에는, 브래킷(9B)의 내면 대응부와 지지판(70)의 사이에 버튼(4A)의 판부(4b)를 슬라이딩 자유롭게 지지하고, 지지판(70)의 축(74)에 기어부재(75)를 지지하고, 이동체(60)에 푸시(83)를 축핀(85)을 통해서 요동가능하게 부착하고, 상기 이동체(60)를 고정판(65)을 통해서 브래킷(9B)에 지지하고, 후벽(12)의 축(24a)에 기어(80)를 지지하게 된다.
이 중, 고정판(65)은,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체(60)의 내측에 끼워맞춰져 있는 판부(65A) 및 판부(65A)의 중간부에 돌출형성되어 있는 판부(65B)로 이루어지고, 브래킷(9B)에 대해 나사(19)가 상기 브래킷측의 부착구멍(9k)에서 고정판(65)의 중간에 형성되어 있는 부착구멍(65c)에 나사식 끼움됨으로써 장착된다(도 15 참조). 판부(65A)에는 캠홈(6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캠홈(66)은, 도 22나 도 23에 모식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개략 하트 볼록형의 섬형상을 가지며, 상기 섬형상의 주위를 따라서 걸어맞춤용 유도 캠홈(66a)과, 걸어맞춤 홈(66b)과, 해제용 유도 캠홈(66c) 등이 형성되고, 또 걸어맞춤용 유도 캠홈(66a)을 지난 개소에서 좌측으로 연장된 걸어맞춤용 스토퍼 캠면(66d), 걸어맞춤 홈(66b)에서 비스듬히 상측에 위치하고 또한 스토퍼 캠면(66d)의 우측에서 비스듬히 상향으로 경사져 있는 유도 캠면 등이 형성되어 있다.
기어부재(75)는, 직경이 큰 기어(76) 및 상기 기어(76)의 외측 단부면에 있어서 동축선상에 형성되어 있는 피니언(77)을 가지며, 축(74)에 대해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된다. 피니언(77)은, 래크(4c)에 맞물려 있고, 버튼(4A)의 누름조작에 의 해서 회동된다.
이동체(60)는, 단면이 개략 ㄷ형상을 이루고, 상기 ㄷ형의 상하편부(60a,60a) 내에 고정판(65)을 끼워맞춤한 상태로 상기 고정판(65)에 대해서 횡방향으로 슬라이딩 자유롭게 지지된다. 상기 이동체(60)에는,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편부(60a,60a)를 접속하고 있는 중간판부에 캠홈(66)을 노출시키는 창부(62)가 개구됨과 아울러, 기어부재(75)의 기어(76)와 맞물림하는 래크(61)가 상편부(60a)를 따라서 좌우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부호(60b,60c)는, 이동체 배면측에 형성되어서 푸시(83)를 슬라이딩 자유롭게 받쳐주는 리브이다. 즉, 푸시(83)는, 자유단부측의 단부면(84)이 원호로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장착부재(79)를 통해서 돌출형성된 트레이스 핀(78)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푸시(83)는, 기단부측이 축핀(85)을 통해서 이동체(60)에 요동가능하게 부착된 상태로, 트레이스 핀(78)이 창부(62)를 통해서 캠홈(66)에 슬라이딩가능하게 끼워맞춰진다. 부호(60d)는 하편부(60a)의 외면에 돌출형성된 스프링용 걸림부이다. 상기 걸림부(60d)와 본체(1)의 후벽(12)의 대응부에 돌출형성된 도시생략의 걸림부에는 코일 스프링(68)의 대응단부가 각각 걸림된다(도 18 참조). 이 코일 스프링(68)은, 이동체(60)가 래크(4c)와 피니언(77)의 맞물림, 기어(76)와 래크(61)의 맞물림을 통해서 좌측으로 이동될 때에 스프링 차지된다. 그리고, 덮개체(2A,2B)는, 트레이스 핀(78)과 캠홈(66)의 걸어맞춤력에 의해 개방위치에 유지된다. 다음의 버튼(4A)의 누름조작에 의해서 트레이스 핀(78)과 캠홈(66)의 걸어맞춤이 해방되면, 덮개체(2A,2B)가 동력전달수단(7) 및 코일 스프링(3A)을 통해 개방위 치에서 폐쇄위치로 회동전환된다. 코일 스프링(68)은 그 작동과 연동하여, 이동체(60) 및 푸시(83)를 본래의 위치에 자동 복귀 가능하게 한다.
기어(80)는, 외주의 톱니가 덮개체(2B)를 구성하고 있는 후측 암부(23)의 기어부(25)와 맞물림함과 아울러, 외측 단부면에 돌출형성된 2개의 핀(81,82)을 가지고 있다. 핀(81)은 덮개체(2A,2B)의 폐쇄위치에서 푸시(83)의 단부면(84)과 맞닿음하고, 핀(82)은 덮개체(2A,2B)의 개방위치에서 푸시(83)의 단부면(84)과 맞닿도록 설정되어 있다.
(작동) 다음에, 이상의 덮개개폐기구의 주된 작동을 도 20∼도 23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20(a) 및 도 21(a)의 실선은 덮개체의 폐쇄위치를 나타내고, 도 20(b) 및 도 21(b)는 덮개체의 개방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도 22는 덮개체가 폐쇄위치에서 개방위치로 회동전환될 때의 주부재의 움직임을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도 23은 덮개체가 개방위치에서 폐쇄위치로 회동전환될 때의 주부재의 움직임을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20과 도 23에서는 코일 스프링(68)을 생략하고, 또, 도 22와 도 23에서는 캠홈(66)과 트레이스 핀(78){푸시(83)}의 움직임을 알기 쉽도록 모식화되어 있다.
덮개체(2A,2B)의 폐쇄위치에서는, 덮개체(2A,2B)가 덮개체(2A)의 암부(20)와 덮개체(2B)의 암부(22)의 각 기어부(26)와 맞물려 있는 양 아이들 기어(7A,7B)에 걸림되어 있는 코일 스프링(3A)의 스프링압에 따른 강도에 의해 유지되고, 또, 푸시(83)가 도 22(a)와 같이 이동체(60)와 함께 좌측으로 슬라이딩된 상태로 선단부면(84)이 기어(80)의 핀(81)과 맞닿음되어 있다. 이 때는 트레이스 핀(78)이 캠홈 (66) 중 걸어맞춤용 유도 캠홈(66a)에 위치하고 있다.
도 22(b)는 덮개체(2A,2B)를 개방위치로 전환하기 위해 버튼(4A)을 하향으로 누름조작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버튼(4A)이 손가락 등에 의해 눌려져서 하강되면, 상기한 기어부재(75)는 피니언(77)과 래크(4c)의 맞물림을 통해서 시계방향으로 회동된다. 동시에, 이동체(60)는 기어(76)와 래크(61)의 맞물림을 통해서 좌측으로 슬라이딩된다. 그러면, 기어(80)는, 이동체(60)의 슬라이딩에 의해 푸시(83)도 동방향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핀(81)이 푸시(83)의 선단부면(84)에 의해 압압되고, 상기 압압력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동된다. 덮개체(2B)는, 상기 기어(80)의 회동에 의해서, 기어부(25)와의 맞물림을 통하여 도 22(b)에 나타낸 폐쇄위치와 개방위치 사이의 도중위치까지 회동된다. 이 과정에서는, 코일 스프링(3A)이 도 21(a)의 실선으로 나타낸 상태에서 상상선으로 나타낸 최대까지 스프링 차지되는 상태가 되고, 또, 트레이스 핀(78)이 걸어맞춤용 유도 캠홈(66a)에서 걸어맞춤용 스토퍼 캠면(66d)에 이른다. 그리고, 이 구조에서는, 코일 스프링(3A)이 최대까지 스프링 차지된 후, 탄지방향을 반전해서 도 2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지력을 방출, 즉, 아이들 기어(7A,7B)를 탄지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회동시키는 결과, 덮개체(2A,2B)가 아이들 기어(7A,7B)와 기어부(26)의 맞물림에 의해서 개방위치까지 자동적으로 회동전환된다. 또한, 이와 같이 해서, 덮개체(2A,2B)가 개방위치로 전환되면, 기어(80)는 기어부(25)와의 맞물림을 통해서 시계방향으로 회동되고, 푸시(83)의 선단부면(84)에 대해 핀(81)이 떨어지고, 핀(82)이 맞닿게 된다. 동시에, 푸시(83)는 이동체(60)와 함께 코일 스프링(68)의 탄지력에 의해 약간 우측으로 움 직여지는 결과, 트레이스 핀(78)이 스토퍼 캠면(66d)에서 걸어맞춤 홈(66b)까지 움직여서 걸어맞춤된다. 이것에 의해서, 덮개체(2A,2B)는 코일 스프링(3A)의 탄지에 저항하여 개방위치에 유지된다.
도 23(b)는 덮개체(2A,2B)를 개방위치에서 폐쇄위치로 전환하기 위하여 버튼(4A)을 코일 스프링(3A)의 탄지력에 저항해서 누름조작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버튼(4A)이 다시 눌려져서 하강되면, 도 20의 기어부재(75)는 피니언(77)과 래크(4c)의 맞물림을 통해서 시계방향으로 회동된다. 동시에, 이동체(60)는 기어(76)와 래크(61)의 맞물림을 통해서 좌측으로 슬라이딩된다. 그러면, 기어(80)는, 이동체(60)의 슬라이딩에 의해 푸시(83)도 동방향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핀(82)을 푸시(83)의 선단부면(84)에 의해 압압하고, 상기 압압력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된다. 덮개체(2B)는, 상기 기어(80)의 회동에 의해서, 기어부(25)와의 맞물림을 통하여 도 23(b)에 나타낸 폐쇄위치와 개방위치 사이의 도중위치까지 회동된다. 이 과정에서는, 코일 스프링(3A)이 도 21(b)의 상태에서 도 21(a)의 상상선으로 나타낸 최대까지 스프링 차지되는 상태가 되고, 또, 트레이스 핀(78)이 걸어맞춤 홈(66b)에서 해제용 유도 캠홈(66c)에 들어가고, 상기 유도 캠홈(66c)의 좌측으로 슬라이딩한다. 그리고, 이 구조에서는, 코일 스프링(3A)이 최대까지 스프링 차지된 후, 탄지방향을 반전해서 도 21(a)의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탄지력을 방출, 즉 아이들 기어(7A,7B)를 탄지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회동시키는 결과, 덮개체(2A,2B)가 아이들 기어(7A,7B)와 기어부(26)의 맞물림에 의해서 폐쇄위치까지 자동적으로 회동전환된다. 또한, 이와 같이 해서, 덮개체(2A,2B)가 폐쇄위치로 전환 되면, 기어(80)는 기어부(25)와의 맞물림을 통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고, 푸시(83)의 선단부면(84)에 대해 핀(82)이 떨어지고, 핀(81)이 맞닿게 된다. 동시에, 푸시(83)는 이동체(60)와 함께 코일 스프링(68)의 탄지력에 의해 우측으로 움직여지는 결과, 트레이스 핀(78)이 해제용 유도 캠홈(66c)에서 도 22(a)의 본래의 위치, 즉 걸어맞춤용 유도 캠홈(66a)에 복귀된다.
따라서, 이상의 제 2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코일 스프링(3A)이 덮개체(2A,2B)의 회동도중에 탄지방향을 반전함으로써, 사용자가 버튼(4A)의 누름조작에 의해 덮개체(2A,2B)를 폐쇄위치에서 개방위치 또는 개방위치에서 폐쇄위치로 전환할 때, 버튼(4A)을 손가락 등으로 조금 눌러서 떼어놓는 것만으로도, 회동도중에 코일 스프링(3A)의 탄지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전환된다. 이 때문에, 이 구조에서는, 전환 조작성을 보다 양호하게 할 수 있고, 장치 신뢰성 및 품질을 대폭으로 향상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덮개개폐기구는, 과제에 들었던 바와 같은 문제를 일소하여 덮개체가 추돌사고 등에 기인한 충격하중에 의해 부주의하게 개방위치로 전환될 염려를 확실하게 없애고, 개폐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배치공간이나 외관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상기한 각 실시예 및 변형예에 하등 제약되는 것은 아니고, 각 수단의 세부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로 변경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의 덮개개폐기구는 다음과 같은 이점을 구비할 수 있다.
제 1의 발명에서는, 개방버튼 및 폐쇄버튼을 설치한 종래 구조에 비해서 조작용 버튼이 단일하기 때문에 버튼을 잘못 누른다는 염려가 없고, 버튼용의 설치공간을 반감하거나, 외관이나 의장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동시에, 덮개체가 적어도 도중위치에서 폐쇄위치의 방향으로 탄지되어 있기 때문에 걸림수단의 오작동에 의해서도 폐쇄위치에서 개방위치로 부주의하게 전환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이 구조에서는 종래의 래치 등의 걸림수단에 요구되고 있는 충돌하중에 의한 오작동의 발생을 없앤다는 성가신 과제가 완화되고, 나아가서는 걸림수단의 간소화 및 코스트저감을 실현할 수 있다.
제 2의 발명에서는, 덮개체가 전환수단인 버튼의 누름조작에 의해 회동되는 캠 및 상기 캠에 작동연결되어 있는 기어를 통해서 양호하게 개폐되고, 또, 전환수단이 걸림수단의 구성부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설치공간 등을 작게 할 수 있다.
제 3의 발명에서는, 캠과 기어의 사이에 기어기구를 개재함으로써, 조작용 버튼의 압압력으로서 필요이상으로 과대하게 되지 않도록 하거나, 버튼의 압압량을 억제하여 버튼 조작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버튼의 압압력이 캠, 기어, 덮개체, 또는, 제 9의 발명의 경우에는 버튼의 압압력이 캠, 기어, 일측의 덮개체, 동력전달수단, 타측의 덮개체에 전달되지만, 기어기구를 개재함으로써 버튼의 압압력을 경감할 수 있도록 한다.
제 4의 발명에서는, 걸림수단이 걸림돌조와 상기 걸림돌조를 걸거나 벗김하 는 래치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 1 실시예의 래치와 같이 조작성이 우수한 푸시·푸시걸림기구를 채용하여 그 이점을 구비할 수 있도록 한다.
제 5의 발명에서는, 슬라이딩체의 캠홈과 캠홈용의 트레이스 핀에 의해 푸시·푸시걸림기구를 구성한다. 부가하여, 변형예와 같은 로크부재에 의해, 통상의 푸시·푸시걸림기구라 하면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은 걸림돌조의 유지를 해방할 때에 덮개체가 개방방향으로 미동하게 되지만, 상기 덮개체의 미동을 없애어 사용성의 편리함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한다.
제 6의 발명에서는, 탄지수단이 덮개체의 회동도중에서 탄지방향을 반전함으로써, 사용자가 버튼의 누름조작에 의해 덮개체를 폐쇄위치에서 개방위치, 또는 개방위치에서 폐쇄위치로 전환할 때, 버튼을 약간 누른 후에는 탄지수단의 탄지력에 의해서 전환된다. 이 때문에, 전환 조작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음과 아울러, 덮개체를 개방위치에 유지하는 걸림수단도 간략화할 수 있다.
제 7의 발명에서는, 덮개체가 전환수단인 버튼의 누름조작에 의해 슬라이딩되는 이동체 및 이동체에 요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푸시 및 상기 푸시에 작동연결되어 있는 기어를 통해서 양호하게 개폐되고, 또 전환수단이 걸림수단의 구성부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설치공간 등을 작게 할 수 있다.
제 8의 발명에서는, 푸시에 형성되어 있는 트레이스 핀과 본체(위치고정된)측의 캠홈에 의해 푸시·푸시걸림기구를 구성하고, 제 2 실시예와 같은 움직임에 의해서, 통상의 푸시·푸시걸림기구라 하면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은 걸림돌조의 유지를 해방할 때 덮개체가 개방방향으로 미동하게 되지만, 상기 덮개체의 미동 을 없애어 사용성의 편리함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한다.
제 9의 발명에서는, 덮개체가 2분할되어 있는 경우에도 동력전달수단에 의해서 각 덮개체를 연동하여 개폐할 수 있다.
제 10의 발명에서는, 덮개체의 개폐속도를 댐퍼수단에 의해 제동함으로써 덮개체의 급격한 움직임을 없애어 양호한 작동특성을 구비할 수 있도록 한다.

Claims (11)

  1. 덮개체를 본체의 대응면에 대해 상기 대응면을 덮는 폐쇄위치와 개방하는 개방위치로 회동전환하는 덮개개폐기구에 있어서,
    상기 덮개체를 폐쇄위치에서 개방위치 및 개방위치에서 폐쇄위치로 전환할 때 사용되는 단일의 조작용 버튼과,
    상기 덮개체를 폐쇄할 때 적어도 폐쇄위치 부근에서 폐쇄위치의 방향으로 탄지하는 탄지수단과,
    상기 버튼의 누름조작에 의해서 상기 덮개체의 개방위치에서의 유지를 해방하여 상기 덮개체를 폐쇄위치의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하는 전환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개폐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환수단은, 상기 버튼의 누름조작에 의해서 회동되는 캠 및 상기 캠과 작동연결되고 상기 덮개체에 설치된 기어부와 맞물려 있는 기어를 가지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덮개체를 개방위치에 유지하고 또한 상기 버튼의 누름조작에 의해서 상기 유지를 해방하는 걸림수단용의 구성부재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개폐기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환수단이, 상기 캠과 상기 기어의 사이에 개재된 힘증폭용의 기어기구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개폐기구.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은, 상기 기어에 형성된 걸림돌조와,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서 상기 걸림돌조를 걸거나 벗김하는 래치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개폐기구.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은, 상기 버튼과 상기 캠의 사이에 개재되고 캠홈이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딩체와, 상기 캠홈을 트레이스하는 트레이스 핀과, 상기 슬라이딩체와 작동연결되고 상기 슬라이딩체와 거의 교차하는 방향으로 진·퇴출(進·退出)하는 로크부재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개폐기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지수단은, 상기 덮개체가 폐쇄위치에서 개방위치 및 개방위치에서 폐쇄위치로 각각 전환되는 도중에 탄지방향을 반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개폐기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환수단은, 상기 버튼의 누름조작에 연동해서 상기 버튼의 이동방향과 거의 교차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이동체와, 상기 이동체에 요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푸시와, 상기 푸시에 작동연결되고 상기 덮개체에 형성된 기어부와 맞물림되어 있는 기어를 가지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덮개체를 개방위치에 유지하고 또한 상기 버튼의 누름조작에 의해서 상기 유지를 해방하는 걸림수단용의 구성부재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개폐기구.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은, 상기 본체에 위치고정되어 있는 고정판에 형성된 캠홈과, 상기 푸시에 형성되고 상기 캠홈을 트레이스하는 트레이스 핀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개폐기구.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체가 2분할됨과 아울러, 상기 전환수단에 작동연결되어 있는 일측의 덮개체에 대해 타측의 덮개체를 연동해서 개방위치와 폐쇄위치로 전환하게 하는 동력전달수단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개폐기구.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체의 개폐속도를 제동하는 댐퍼수단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개폐기구.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덮개체의 개폐속도를 제동하는 댐퍼수단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개폐기구.
KR1020050038002A 2004-05-11 2005-05-06 덮개개폐기구 KR1006369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41616 2004-05-11
JP2004141616A JP4619037B2 (ja) 2004-02-20 2004-05-11 蓋開閉機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5927A true KR20060045927A (ko) 2006-05-17
KR100636966B1 KR100636966B1 (ko) 2006-10-19

Family

ID=34698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8002A KR100636966B1 (ko) 2004-05-11 2005-05-06 덮개개폐기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407200B2 (ko)
KR (1) KR100636966B1 (ko)
CN (1) CN100374321C (ko)
DE (1) DE102005021406A1 (ko)
GB (1) GB2413994B (ko)
TW (1) TWI26224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26416A1 (de) * 2003-06-12 2004-12-30 Hella Kgaa Hueck & Co. Verriegelungsverfahren und Verriegelungsvorrichtung für ein bewegliches Element, insbesondere eine Klappe
US7565849B2 (en) * 2004-10-27 2009-07-28 Capro Ltd Actuator and actuation method
JP4661507B2 (ja) * 2005-09-30 2011-03-3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DE102006003351B3 (de) * 2006-01-24 2007-03-01 Lisa Dräxlmaier GmbH Scharnieranordnung für ein Abdeckelement im Innenraum eines Kraftfahrzeuges
JP4785574B2 (ja) * 2006-03-15 2011-10-0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開閉機構
JP4131740B2 (ja) * 2006-05-15 2008-08-13 小島プレス工業株式会社 開閉装置
TWI301338B (en) * 2006-08-30 2008-09-21 Asustek Comp Inc Electrionic apparatus with rotatable cover
JP4889113B2 (ja) * 2007-02-28 2012-03-07 株式会社ニフコ ラッチ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開閉装置
JP4820316B2 (ja) 2007-03-13 2011-11-24 株式会社ニフコ 回動体の回動制御装置
JP5108358B2 (ja) * 2007-04-06 2012-12-26 株式会社ニフコ 蓋開閉装置
JP4906706B2 (ja) * 2007-12-26 2012-03-28 株式会社ニフコ 安全装置及び開閉機構
DE102008006102B4 (de) * 2008-01-25 2018-11-08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Behälter zum Einbau in den Innenraum eines Kraftfahrzeuges
US8079446B2 (en) * 2008-09-30 2011-12-20 Nifco Inc. Operational mechanism for movable body
JP5262689B2 (ja) * 2008-12-24 2013-08-14 豊田合成株式会社 扉開閉構造及び扉開閉装置
TWI355576B (en) * 2009-02-20 2012-01-01 Quanta Comp Inc Electronic device
KR101629668B1 (ko) * 2009-11-09 2016-06-21 삼성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US8541708B2 (en) * 2011-03-03 2013-09-24 General International Mfg (Co) Ltd. Button switch
TWI448394B (zh) * 2011-08-10 2014-08-11 Cal Comp Electronics & Comm Co 事務機
TWI465884B (zh) * 2012-02-10 2014-12-21 Acer Inc 電子裝置
US8740265B2 (en) * 2012-08-30 2014-06-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ual pawl latch mechanism for a dual door assembly
JP5236832B1 (ja) 2012-10-17 2013-07-17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操作装置
DE202013001917U1 (de) * 2013-02-27 2013-03-1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 d. Staates Delaware) Verriegelungsanordnung für eine Kraftfahrzeugklappe
US9125318B2 (en) * 2013-11-26 2015-09-01 Lenovo Enterprise Solutions (Singapore) Pte. Ltd. Handle lockout mechanism for scaling blade-style servers
CN104118359A (zh) * 2013-12-07 2014-10-29 东风柳州汽车有限公司 汽车扶手箱锁扣
US9410348B1 (en) * 2014-01-04 2016-08-09 Carlson Pet Products, Inc. Latch apparatus
JP6180992B2 (ja) * 2014-04-25 2017-08-16 株式会社ニフコ リッド装置
KR101655801B1 (ko) * 2014-09-05 2016-09-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도어 개폐장치
JP6413923B2 (ja) * 2015-05-19 2018-10-31 豊田合成株式会社 蓋付き収納装置
JP6511646B2 (ja) * 2016-02-04 2019-05-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テープフィーダ
US10077592B1 (en) 2017-05-11 2018-09-18 Toyoda Gosei Co., Ltd. Console box
US10486568B2 (en) * 2017-06-14 2019-11-26 Gulfstream Aerospace Corporation Seat assemblies including an armrest with an armrest lid and a hinge arrangement
CN107485337A (zh) * 2017-08-21 2017-12-19 深圳市软晶科技有限公司 翻盖开合模式切换结构及盒状设备
JP2019142336A (ja) * 2018-02-20 2019-08-29 小島プレス工業株式会社 コンソールボックス
EP3840990A4 (en) * 2018-08-21 2022-04-20 Shanghai Yanfeng Jinqiao Automotive Trim Systems Co. Ltd VEHICLE INTERIOR COMPONENT
CN110422121B (zh) * 2019-08-30 2024-04-30 上海华特企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对开式双扶手锁止机构
CN113250554B (zh) * 2021-05-31 2022-10-21 湖北三环汽车电器有限公司 一种按压式解锁车门内把手及车门和车辆
WO2023015543A1 (en) * 2021-08-13 2023-02-16 Itt Cannon Electronics (Shenzhen) Co. Ltd. Self-openning cover system, battery container and electric vehicle
CN113692162B (zh) * 2021-08-30 2022-09-09 江苏斯菲尔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双层联动翻盖的仪表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46307A (ja) * 1988-11-26 1990-06-05 Mitsubishi Electric Corp 係止装置
US5121521A (en) * 1990-04-03 1992-06-16 Casio Computer Co., Ltd. Mechanism for opening and closing an openable apparatus
JP2521395Y2 (ja) * 1991-02-25 1996-12-25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蓋の開閉装置
US5901885A (en) * 1997-04-22 1999-05-11 Japan I.P. Co., Ltd. Cap for shaker
KR100247727B1 (ko) * 1997-09-08 2000-04-01 전주범 냉장고의 도어개방장치
JPH11278514A (ja) 1998-03-31 1999-10-12 Nifco Inc 蓋部材の開閉構造
US6870145B2 (en) * 2000-03-10 2005-03-22 Jeffrey T. Watkins Apparatus and methods of making a microwavable container for food products
JP4218225B2 (ja) 2001-06-01 2009-02-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収納部蓋体の開閉装置
JP4030735B2 (ja) * 2001-08-02 2008-01-09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
DE60227751D1 (de) * 2001-09-04 2008-09-04 Lear Corp Bedientafel für ein Fahrzeug
JP3833925B2 (ja) * 2001-10-29 2006-10-18 株式会社ニフコ 扉体の開閉機構及びそれを用いた開閉装置
KR100482442B1 (ko) * 2002-05-07 2005-04-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힌지 구조
CN100339549C (zh) * 2004-02-20 2007-09-26 株式会社利富高 盖开关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407200B2 (en) 2008-08-05
CN100374321C (zh) 2008-03-12
TW200537001A (en) 2005-11-16
US20050252759A1 (en) 2005-11-17
GB2413994B (en) 2007-09-05
TWI262242B (en) 2006-09-21
DE102005021406A1 (de) 2006-03-09
KR100636966B1 (ko) 2006-10-19
GB0509560D0 (en) 2005-06-15
GB2413994A (en) 2005-11-16
CN1695983A (zh) 2005-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6966B1 (ko) 덮개개폐기구
US7064285B2 (en) Cover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JP4648965B2 (ja) 収納ボックスの開閉機構
KR100896891B1 (ko) 덮개 개폐장치
JP4381831B2 (ja) 扉用ロック機構及び扉用ロックユニット
KR101601501B1 (ko) 로크장치
WO2013099599A1 (ja) 車両用内装装置
US20020101091A1 (en) Panel driving device
KR20030035858A (ko) 도어체의 개폐기구 및 이것을 이용한 개폐장치
KR20120063707A (ko) 차량용 글로브박스 개폐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글로브박스 조립체
US20220290472A1 (en)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glove boxes
JP4619037B2 (ja) 蓋開閉機構
KR100737148B1 (ko) 작동방향 반전기구 및 그것을 적용한 덮개개폐장치
ITTO940780A1 (it) Serratura ad azionamento elettrico per una portiera di un autoveicolo.
KR101230047B1 (ko) 차량용 글로브 박스의 개폐장치
KR20100008895A (ko) 글로브 박스용 잠금장치
JP2002213138A (ja) 扉体の開閉装置
WO2010103981A1 (ja) 容器ホルダ装置
CN216659697U (zh) 扶手翻盖杯托
US20230111658A1 (en) Button assembly for a release system comprising a rack gear and a pinion gear
JP4738991B2 (ja) 扉開閉装置
JP2006327232A (ja) 車両用収納装置
JPH0530517Y2 (ko)
JP2794395B2 (ja) 収納装置
KR20200055462A (ko)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