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5462A -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 Google Patents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5462A
KR20200055462A KR1020180139134A KR20180139134A KR20200055462A KR 20200055462 A KR20200055462 A KR 20200055462A KR 1020180139134 A KR1020180139134 A KR 1020180139134A KR 20180139134 A KR20180139134 A KR 20180139134A KR 20200055462 A KR20200055462 A KR 202000554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oor handle
link
pin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9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3985B1 (ko
Inventor
한정호
곽경택
남진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39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3985B1/ko
Publication of KR20200055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5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3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39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07Pop-out handles, e.g. sliding outwardly before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5Outer pane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02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for accident situations
    • E05B77/04Preventing unwanted lock actuation, e.g. unlatching, at the moment of collision
    • E05B77/06Preventing unwanted lock actuation, e.g. unlatching, at the moment of collision by means of inertial for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02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for accident situations
    • E05B77/12Automatic locking or unlocking at the moment of colli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03Handles creating a completely closed wing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가 개시된다. 차량의 도어를 구성하는 도어 아우터 패널보다 차량의 폭 방향 외측으로 돌출 혹은 상기 도어 아우터 패널에 형성된 개구부에 수납 가능한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상기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의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른 전방 부위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프런트 링크; 일단이 상기 프런트 링크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커넥팅 링크; 일단이 상기 커넥팅 링크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리어 링크; 및 상기 커넥팅 링크의 운동을 저지하거나 허용하는 관성체를 포함하여; 상하 짧은 4절 링크의 레이 아웃으로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의 스트로크를 보다 길게 만들 수 있고, 아웃사이드 핸들이 직선으로 전개 및 수납되어 디자인의 자유도가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Retractable outside door handle assembly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측면 충돌시에 도어의 개방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고, 측면 충돌 후에는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의 조작으로 도어를 개방할 수 있는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운전자나 그 동반 탑승자가 탑승할 수 있는 소정 크기의 차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차실을 개폐하기 위해 차실 개폐 도어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차실 개폐 도어는 탑승자가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도어의 차실 내측을 향한 내측면에는 인사이드 도어 핸들이 장착되고, 차실 외측을 향한 외측면에는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각 도어 핸들에는 도어를 차체에 고정시키는 도어 래치와 연동되게 연결되어, 각 도어 핸들의 조작에 따라 도어 래치가 해방되면서 도어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은 통상적으로 도어의 아웃터 패널에 피봇 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데, 탑승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도어 아웃터 패널에 차량의 폭 방향을 따른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이 차량의 폭 방향을 따른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면, 탑승자의 조작 편의성은 향상되지만, 돌출된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로 인해 차량의 외관미가 저하될 수 있고, 또한 차량의 주행 중에 주행 소음을 유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행 저항으로 인한 주행 성능도 저하시킬 수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경우에 따라 액츄에이터(모터)의 구동으로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이 도어 아웃터 패널로부터 차량의 폭 방향을 따른 외측으로 돌출하거나 혹은 도어 아웃터 패널에 형성된 수용홀의 내측으로 수용되어 도어 아웃터 패널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하는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이 개발되고 있다.
종래의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는,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을 액츄에이터를 통해 링크 기구를 매개로 도어 아우터 패널로부터 돌출시키거나 혹은 도어 아우터 패널의 수용홀 내부로 수납시키게 되어 있고, 도어를 차체에 록킹 혹은 해방시키기 위해 조작할 수 있는 키이 실린더를 포함하는 도어 록 기구와, 도어를 차체에 직접 록킹 혹은 해방시키는 도어 래치 기구와 연결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의 구조에 있어서, 차량의 충돌 사고 발생시 플러시 도어 핸들이 원치않게 돌출하여 차량의 도어가 개방되지 않아야 하고, 충돌 사고 발생 후에는 원래의 위치로 원활하게 복귀하여 정상 작동될 필요가 있는 바, 이에 대한 장치 혹은 구조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차량의 충돌 사고 발생시에 플러시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이 원치 않게 돌출하여 도어가 개방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충돌 후에는 조작자에 의한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의 간단한 조작으로 도어를 원활하게 개방할 수 있는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는 차량의 도어를 구성하는 도어 아우터 패널보다 차량의 폭 방향 외측으로 돌출 혹은 상기 도어 아우터 패널에 형성된 개구부에 수납 가능한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상기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의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른 전방 부위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프런트 링크; 일단이 상기 프런트 링크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커넥팅 링크; 일단이 상기 커넥팅 링크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리어 링크; 및 상기 커넥팅 링크의 운동을 저지하거나 허용하는 관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단이 상기 리어 링크의 소정 부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도어 아우터 패널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지지 링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크들이 수용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커넥팅 링크의 이동을 안내하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넥팅 링크의 일단과 타단들은 핀으로 각각 상기 프런트 링크 및 상기 리어 링크와 체결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가이드 홀들에 상기 핀이 삽입되어 안내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가이드 홀들은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로 배치된 프런트 가이드 홀과 리어 가이드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팅 링크의 타단과 상기 리어 링크의 일단이 체결되는 상기 핀이 삽입되어 안내 이동되는 상기 리어 가이드 홀에는 상기 핀이 삽입되어 이동될 수 있는 비상홀이 연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비상홀의 폭은 상기 가이드 홀의 폭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넥팅 링크를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후방으로 밀어주는 액츄에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츄에이터는 외부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드라이브 기어; 상기 드라이브 기어에 치합되어 회전하는 드리븐 기어; 및 상기 드리븐 기어와 치합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커넥팅 링크를 밀어주는 섹터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팅 링크와 상기 리어 링크는 핀으로 체결되고; 상기 섹터 기어에는 상기 핀을 밀어주는 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은 탑승자가 손을 집어 넣어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파지홀이 형성된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바디; 및 상기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바디에 결합되고, 상기 프런트 링크와 상기 리어 링크가 체결되는 아웃사이드 핸들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바디는 차량의 높이 방향을 따른 상측면 및 차량의 폭 방향을 따른 외측면 만을 포함하고, 차량의 높이 방향을 따른 하측면 및 차량의 폭 방향을 따른 내측면은 구비하지 않은 개방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넥팅 링크에 의해 회전되어 도어 래치를 해방시키는 도어 래치 레버가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래치 레버는 상기 커넥팅 링크의 핀에 의해 회전되도록 상기 리어 가이드 홀의 경로와 오버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래치 레버는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핀; 상기 회전핀과 일체로 형성되고 도어 래치와 케이블 혹은 로드로 연결되도록 연결홀이 형성된 레버 바디; 및 상기 레버 바디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리어 가이드 홀의 경로와 오버랩되게 배치된 아암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에는 돌출하는 보스가 형성되고; 상기 보스에는 상기 회전핀의 소정 각도 이상의 회전 운동을 규제하는 스톱퍼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핀에도 상기 스톱퍼 돌기와 접촉하여 상기 회전핀의 회전 운동이 저지되도록 하는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스에는 리턴 규제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아암이 리턴되는 과정에, 상기 리턴 규제 돌기에 상기 아암이 접촉되어서 원래의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상기 커넥팅 링크의 타단과 상기 리어 링크의 일단을 체결하는 상기 핀이 삽입되어 통과하는 가이드 홀이 상기 관성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성체의 가이드 홀은 상기 핀의 이동 방향을 따라 직선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 홀의 일부는 상기 핀의 이동 방향으로부터 절곡되게 형성되어, 상기 핀이 상기 가이드 홀에 삽입되어 가이드 홀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 상기 핀이 상기 가이드 홀의 측벽에 닿아서 상기 관성체를 소정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관성체가 축방향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커넥팅 링크의 이동 방향으로 상기 관성체에 푸시력을 부여하고, 또한 상기 관성체에 일방향으로 회전 복원력을 부여하는 스프링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관성체의 일측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보스에도 원주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관성체의 서로 인접한 돌기 사이에는 상기 보스의 돌기가 이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보스의 서로 인접한 돌기 사이에도 상기 관성체의 돌기가 이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고정홈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에 의하면, 차량의 충돌 사고 발생시에 관성체의 회전으로 플러시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이 원치 않게 돌출하여 도어가 개방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충돌 후에는 조작자가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을 차량의 폭 방향 외측으로 당기는 것 만으로 관성체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여, 도어를 원활하게 개방시킬 수 있다.
또한, 상하 짧은 레이아웃으로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의 스트로크를 보다 길게 만들 수 있으므로 도어 래치와의 연결성이 향상될 수 있고,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이 직선 방향으로 전개 및 수납될 수 있으므로, 디자인 자유도가 향상될 수 있으며, 아웃사이드 핸들의 작동 신뢰성이 향상되고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도어 래치 등의 다른 부품과의 연결성이 향상되어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중량 및 원가 절감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가 도어 아우터 패널에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링크 기구와 아웃사이드 동 핸들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링크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의 작동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의 다른 절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의 비상 상황에서 작동 설명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액츄에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츄에이터의 다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 래치 레버의 장착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 래치 레버의 다른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의 저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관성체의 장착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관성체의 장착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링크 기구와 관성체의 상호 작동 관계 설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관성체의 차량 충돌에 의한 작동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관성체의 차량 충돌 이후의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의 조작에 따른 작동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는, 도어 아우터 패널(10)에 형성된 개구부(12)를 통해 도어 아우터 패널(10) 보다 차량의 폭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거나 혹은 도어 아우터 패널(10)의 외측 표면과 거의 동일한 평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개구부에 수용되는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 아우터 패널(10)의 차량의 폭 방향 내측으로 배치되어 도어 아우터 패널(10)의 내측면에 고정되게 장착되는 하우징(30)의 내부에는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이 수용되어, 차량의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는, 일측이 상기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에 체결되고 타측이 하우징(30)에 지지되어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이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는 링크 기구(40), 상기 링크 기구(40)에 작동력을 부여하여 링크 기구(40)를 통해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이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는 액츄에이터(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은 탑승자가 손을 집어 넣어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파지홀(21)이 형성된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바디(22); 및 상기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바디(22)에 결합되고, 상기 링크 기구(40)가 체결되는 아웃사이드 핸들 베이스(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바디(22)의 외측면에는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커버(24)가 결합될 수 있다.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이 도어 아우터 패널(10)에 장착되는 과정에,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커버(24)가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바디(22)의 외측면에 먼저 결합되어,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의 스크래치를 방지하고, 도어 아우터 패널(10)의 개구부(12)에 대해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이 일정한 갭을 가지도록 조립되게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의 장착이 완료되면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로부터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커버(24)가 탈거되게 된다.
상기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바디(22)는 차량의 높이 방향을 따른 상측면(27) 및 차량의 폭 방향을 따른 외측면(28)만을 포함하고, 차량의 높이 방향을 따른 하측면 및 차량의 폭 방향을 따른 내측면은 구비하지 않은 개방된 형태로 구성되어,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바디(22)를 도장할 때에, 예를 들면 스프레이 도장할 때에, 도장 작업이 용이해지고, 도장막이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바디(22)에 전체적으로 골고루 균일하게 입혀져서,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의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하우징(30)과 상기 도어 아우터 패널(10) 사이에는 씰링 커버(60)가 개재되어, 도어 아우터 패널(10)의 개구부(12)를 통한 이물질의 침입을 저지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베이스(23)의 차량의 폭 방향을 따른 내측면에는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방에 위치하는 프런트 보스(25)와 후방에 위치하는 리어 보스(26)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프런트 보스(25)와 리어 보스(26)에는 각각 관통하는 체결홀이 형성되며, 각 체결홀에 상기 링크 기구(40)의 일측이 핀(41)으로 체결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링크 기구(40)는 일단이 상기 프런트 보스(25)에 핀(41)으로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는 프런트 링크(42)와, 상기 프런트 링크(42)의 타단에 일단이 핀(43)으로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는 커넥팅 링크(44), 상기 커넥팅 링크(44)의 타단에 일단이 핀(43)으로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고 타단은 상기 리어 보스(26)에 핀(43)으로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는 리어 링크(45) 및, 일단이 상기 리어 링크(45)의 길이 발향을 따른 소정 부위에 핀(43)으로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30)에 핀(43)으로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는 지지 링크(46)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과 상기 프런트 링크(42), 상기 커넥팅 링크(44) 및 상기 리어 링크(45)는 4절 링크를 형성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액츄에이터(50)의 작동으로 상기 링크 기구(40)의 커넥팅 링크(44)가 차량의 길이 방향으로 따른 후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프런트 링크(42)와 리어 링크(45)는 차량의 폭 방향 외측으로 전개되면서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을 차량의 폭 방향 외측으로 돌출시키게 되어,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이 도어 아우터 패널(10)보다 차량의 폭 방향 외측으로 더 돌출함으로써, 탑승자가 손을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의 파지홀(21)에 삽입되어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을 당겨줌으로써, 도어 래치를 해방되어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게 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커넥팅 링크(44)가 상기 액츄에이터(50)에 의해 이동될 때에, 상기 커넥팅 링크(44)의 직선 운동을 가이드 하기 위한 2개의 프런트 가이드 홀(31)과 리어 가이드 홀(32)이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로 이격되게 배치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30)의 일측면을 관통해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2개의 가이드 홀(31, 32)들은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형성되고, 상기 2개의 가이드 홀(31, 32)에는 커넥팅 링크(44)의 양단에 체결된 2개의 핀(43)이 각각 삽입되어, 2개의 핀(43)들이 상기 가이드 홀(31, 32)들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커넥팅 링크(44)가 액츄에이터(50)에 의해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로 안내 이동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리어 가이드 홀(32)의 일단에는 리어 가이드 홀(32)의 폭에 비해 차량의 폭 방향 외측으로 더 넓게 파여진 비상홀(3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비상홀(33)은 상기 리어 가이드 홀(32)과 연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액츄에이터(50)가 고장 혹은 배터리 전원 공급 중단 등의 이유로 작동되지 않을 경우에, 탑승자가 수동으로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을 조작할 필요가 있는 바,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이 도어 아우터 패널(10)의 개구부(12) 내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도 9에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자가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의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른 전방 부위를 가압하면, 커넥팅 링크(44)의 타단에 체결된 핀(43)이 상기 비상홀(33)의 내부로 수용되면서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의 후방 부위가 도어 아우터 패널(10)보다 차량의 폭 방향 외측으로 더 돌출되는 시이소 운동을 하게 되어, 탑승자가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의 돌출된 후방 부위를 손으로 잡고서 차량의 폭 방향 외측으로 당겨 주면,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이 도어 아우터 패널(10)로부터 돌출되면서 록킹된 도어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액츄에이터(50)의 작동 불능인 비상 상황시에 탑승자가 별도의 공구 없이도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을 누르는 동작만으로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을 돌출(팝업)시켜 도어를 개방할 수 있게 되므로, 차량의 상품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자세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지지 링크(46)는 스프링(미도시)과 연결되어, 상기 스프링이 상기 지지 링크(46)를 시계 방향(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이 도어 아우터 패널(10)의 개구부 내부로 수용되는 방향)으로 당겨주는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함으로써,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이 팝 업되면서 상기 지지 링크(46)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이후에,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을 해방시키면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상기 지지 링크(46)가 다시 시계 방향으로 원래의 위치로 회전됨과 더불어 상기 지지 링크(46)의 시계 방향 회전 운동에 의해 리어 링크(45), 커넥팅 링크(44) 및 프런트 링크(42)가 연동되어, 팝 업된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이 다시 도어 아우터 패널(10)의 개구부(12) 내부로 수용되게 할 수 있다.
도 10 과 도 11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액츄에이터(50)는 액츄에이터 하우징(51)에 수용된 다수개의 기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수개의 기어들은, 도시되지 않은 구동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드라이브 기어(52)와, 드라이브 기어에 치합되어 회전하는 드리븐 기어(53), 드리븐 기어(53)에 치합되어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상기 커넥팅 링크(44)의 일단에 체결된 핀(43)을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방 혹은 후방으로 밀어주는 섹터 기어(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섹터 기어(54)의 일측면에는 상기 커넥팅 링크(44)의 핀(43)과 접촉되어 상기 핀(43)을 밀어주는 돌기(55)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구동 모터가 제어기의 제어 신호를 인가받아 작동하면, 상기 드라이브 기어(52)와, 드리븐 기어(53) 및 섹터 기어(54)가 순차적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커넥팅 링크(44)를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른 후방으로 밀어줌으로써,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이 도어 아우터 패널(20)로부터 팝 업되어, 탑승자가 팝 업된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을 조작해서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한편, 팝 업된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은 구동 모터의 역방향 작동 및 액츄에이터(50)와 링크 기구(40)의 상기 서술한 동작과 반대의 동작에 의해 도어 아우터 패널의 개구부(12) 내로 수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링크 기구(40)의 작동에 따라 회전하면서 도어 래치를 개방하기 위한 도어 래치 레버(70)는, 도 3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0)의 저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도어 래치 레버(70)는, 하우징(30)에 형성된 보스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핀(71)과, 상기 회전핀(71)과 일체로 형성되고 도어 래치와 케이블 혹은 로드로 연결되도록 연결홀(74)이 형성된 레버 바디(72) 및, 레버 바디(72)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리어 가이드 홀(32)의 경로와 오버랩되게 배치된 아암(7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커넥팅 링크(44)의 핀(43)이 리어 가이드 홀(32)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 상기 도어 래치 레버(70)의 아암(73)을 밀어주게 되고, 도어 래치 아암(73)은 그 핀(71)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도어 래치와 연결된 케이블 혹은 로드를 밀거나 당겨서 도어 래치를 해방할 수 있게 된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30)에 보스(34)가 돌출해서 형성되고, 상기 보스(34)에 상기 회전핀(71)이 삽입되어 지지되는 조립홀이 형성되며, 상기 보스(34)의 하면에는 상기 회전핀(71)의 소정 각도 이상의 회전 운동을 규제하는 스톱퍼 돌기(35)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핀(71)에도 상기 스톱퍼 돌기(35)와 접촉하여 회전핀(71)의 회전 운동이 저지되도록 하는 돌기(75)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의 조작에 의해 도어 래치 레버(70)가 회전 운동을 할 때에, 스톱퍼 돌기(35)와 돌기(75)의 상호 접촉에 의해 도어 래치 레버(70)는 소정 각도까지만 회전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보스(34)의 상면에도 리턴 규제 돌기(36)가 형성되어, 상기 아암(73)이 리턴되는 과정에, 아암(73)이 상기 리턴 규제 돌기(36)에 접촉되어서 원래의 위치로 정확하게 리턴될 수 있다.
한편,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의 타측면(37)에도 프런트 가이드 홀(31)과 리어 가이드 홀(32)이 관통해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넥팅 링크(44)의 양단에 체결된 핀(43)들은 상기 일측면의 가이드 홀(31, 32)을 통해 삽입된 다음에 타측면(37)의 가이드 홀(31, 32)에 삽입되어 타측면보다 더 돌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면(37)에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성체(8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관성체(80)의 소정 부위에는 관성체(80)의 중량을 증가시키는 중량체(81)가 결합될 수 있지만, 별도의 중량체(81)를 관성체(80)에 결합시키는 대신에 관성체(80) 만으로 적절한 중량을 가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관성체(80)를 관통하여 핀축(82)이 관성체(80)와 일체로 회전되게 결합될 수 있고, 핀축(82)의 일단은 타측면(37)에 형성된 실린더 형상의 보스(38)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또한 핀축(82)의 타단은 타측면(37)에 형성된 지지 플랜지(39)를 관통해서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핀축(82)은 압축 스프링(83)을 관통해서 삽입되고, 상기의 압축 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관성체(80)에 걸리는 형태로 연결되는 반면에 타단은 상기 지지 플랜지(39)에 걸리는 형태로 연결되어, 관성체(80)가 핀축(82)의 축방향으로 압축 스프링(83)에 의해 탄성력을 받고, 또한 관성체(80)가 외력을 받아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이후에 다시 반시계 방향으로 압축 스프링(83)의 복원력을 받게 된다.
상기 관성체(80)의 일측면에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면의 한쪽 가장자리로부터 타측 가장자리까지 연장된 가이드 홈(84)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홈(84)은 커넥팅 링크(44)의 타단에 체결된 핀(43)의 직경보다 큰 폭을 갖도록 형성되어, 핀(43)이 가이드 홈(84)에 삽입되어서 가이드 홈(84)을 따라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이 차량의 폭 방향 외측으로 전개 과정에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로 직선 운동을 하는 커넥팅 링크(44)의 핀(43)이 관성체(80)의 가이드 홈(84)을 따라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 홈(84)은 직선 경로를 형성하되, 그 일부분은 직선 경로부터 소정 각도로 절곡되어 고착 방지홈(85)을 형성하여, 링크 기구(40)의 핀(43)이 가이드 홈(84)에 삽입되어 가이드 홈(84)을 따라 이동할 때에 상기 고착 방지홈(85)의 홈벽에 닿아서 관성체를 약간 회전시켜 주므로, 아웃 사이드 도어 핸들(20)이 팝업 될 때마다 관성체(80)가 회동 및 복귀 동작을 반복해서 관성체(80)가 고착될 일이 없게 된다.
다시 도 15를 참조하면, 관성체(80)의 일측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돌기(86)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보스(38)에도 원주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돌기(38a)가 형성될 수 있다.
관성체(80)의 서로 인접한 돌기(86) 사이에는 고정홈(87)이 형성되고, 보스(38)의 돌기(38a) 사이에도 고정홈(38b)이 구비된다.
차량이 측면 충돌을 받지 않은 정상적인 상황에서는, 관성체(80)는 압축 스프링(83)의 탄성력을 받아서 보스(38) 쪽으로 밀려지고 있고, 또한 관성체(80)의 돌기(86)들은 보스(38)의 돌기(38a)과 밀착하게 된다.
그런데, 측면 충돌이 발생하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성체(80)가 그 편심된 무게 중심으로 인해 차량의 폭 방향 외측으로 회전 운동을 하게 되고, 이러한 회전 운동 과정에 관성체(80)는 압축 스프링(83)의 축방향 푸시력도 받고 있는 바, 서로 밀착하고 있던 보스(38)의 돌기(38a)와 관성체(80)의 돌기(86)들이 관성체(80)의 회전으로 서로 어긋나면서 관성체(80)가 압축 스프링(83)의 푸시력에 의해 보스 쪽으로 이동하여, 보스(38)의 고정홈(38b)에 관성체(80)의 돌기(86)가 삽입되어 결합됨과 동시에 관성체(80)의 고정홈(87)에 보스(38)의 돌기(38b)가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관성체(80)의 회전 운동은 더 이상 진행되지 못하고, 차량의 폭 방향 외측으로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관성체(80)가 차량의 폭 방향 외측으로 회전된 상태로 유지되면, 도어의 개방을 위해 커넥팅 링크(44)의 핀(43)이 직선 운동하는 과정에 관성체(80)의 비틀어진(회전된) 가이드 홈(84)에 삽입되지 못하고, 관성체(80)와 충돌하게 되어, 아웃 사이드 도어 핸들(20)이 차량의 폭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지 못함으로써, 차량의 도어 개방이 확실하게 방지되게 된다.
즉, 차량의 충돌 상황에서는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이 충격력을 받아도, 관성체(80)의 링크 기구(40)에 대해 간섭 작용으로 도어 아우터 패널(10)로부터 돌출되지 못하여, 도어 래치의 작동이 불가하게 되므로, 도어가 개방되지 않아서 탑승객을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충돌 상황이 종료된 이후에, 운전자가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을 폭 방향 외측으로 당겨주면,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 기구(40)의 핀(43)이 관성체(80)의 일측면에 닿은 상태에서, 운전자의 아웃사이드 동 핸들(20)의 조작력이 핀(43)을 통해 관성체(80)에 전달되어, 관성체(80)가 축방향을 따라 밀리게 된다.
이 때에 관성체(80)에는 압축 스프링(83)의 비틀림 복원력이 작용하여, 관성체(80)가 다시 폭 방향 내측으로 회전해서, 도 15에 도시된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됨으로써, 링크 기구(40)의 운동 과정에 관성체(80)가 간섭을 일으키지 않으므로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의 조작으로 도어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즉, 운전자 혹은 탑승자의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의 간단한 조작만으로, 충돌 과정에 개방 방지된 도어를 충돌 이후에 다시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을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0: 도어 아우터 패널
20: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30: 하우징
40: 링크 기구
42: 프런트 링크
44: 커넥팅 링크
45: 리어 링크
50: 액츄에이터
52: 드라이브 기어
53: 드리븐 기어
54: 섹터 기어
60: 씰링 커버
70: 도어 래치 레버
80: 관성체
81: 중량체
82: 핀축
83: 압축 스프링
84: 가이드 홈
85: 고착 방지홈
86: 돌기
87: 고정홈

Claims (20)

  1. 차량의 도어를 구성하는 도어 아우터 패널보다 차량의 폭 방향 외측으로 돌출 혹은 상기 도어 아우터 패널에 형성된 개구부에 수납 가능한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상기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의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른 전방 부위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프런트 링크;
    일단이 상기 프런트 링크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커넥팅 링크;
    일단이 상기 커넥팅 링크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리어 링크; 및
    상기 커넥팅 링크의 운동을 저지하거나 허용하는 관성체;
    를 포함하는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리어 링크의 소정 부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도어 아우터 패널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지지 링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들이 수용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커넥팅 링크의 이동을 안내하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링크의 일단과 타단들은 핀으로 각각 상기 프런트 링크 및 상기 리어 링크와 체결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가이드 홀들에 상기 핀이 삽입되어 안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가이드 홀들은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로 배치된 프런트 가이드 홀과 리어 가이드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링크의 타단과 상기 리어 링크의 일단이 체결되는 상기 핀이 삽입되어 안내 이동되는 상기 리어 가이드 홀에는 상기 핀이 삽입되어 이동될 수 있는 비상홀이 연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비상홀의 폭은 상기 가이드 홀의 폭보다 넓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링크를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후방으로 밀어주는 액츄에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외부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드라이브 기어;
    상기 드라이브 기어에 치합되어 회전하는 드리븐 기어; 및
    상기 드리븐 기어와 치합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커넥팅 링크를 밀어주는 섹터 기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링크와 상기 리어 링크는 핀으로 체결되고;
    상기 섹터 기어에는 상기 핀을 밀어주는 돌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은
    탑승자가 손을 집어 넣어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파지홀이 형성된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바디; 및
    상기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바디에 결합되고, 상기 프런트 링크와 상기 리어 링크가 체결되는 아웃사이드 핸들 베이스;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바디는 차량의 높이 방향을 따른 상측면 및 차량의 폭 방향을 따른 외측면 만을 포함하고, 차량의 높이 방향을 따른 하측면 및 차량의 폭 방향을 따른 내측면은 구비하지 않은 개방된 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링크에 의해 회전되어 도어 래치를 해방시키는 도어 래치 레버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래치 레버는 상기 커넥팅 링크의 핀에 의해 회전되도록 상기 리어 가이드 홀의 경로와 오버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래치 레버는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핀;
    상기 회전핀과 일체로 형성되고 도어 래치와 케이블 혹은 로드로 연결되도록 연결홀이 형성된 레버 바디; 및
    상기 레버 바디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리어 가이드 홀의 경로와 오버랩되게 배치된 아암;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돌출하는 보스가 형성되고;
    상기 보스에는 상기 회전핀의 소정 각도 이상의 회전 운동을 규제하는 스톱퍼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핀에도 상기 스톱퍼 돌기와 접촉하여 상기 회전핀의 회전 운동이 저지되도록 하는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보스에는 리턴 규제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아암이 리턴되는 과정에, 상기 리턴 규제 돌기에 상기 아암이 접촉되어서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1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링크의 타단과 상기 리어 링크의 일단을 체결하는 상기 핀이 삽입되어 통과하는 가이드 홀이 상기 관성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관성체의 가이드 홀은 상기 핀의 이동 방향을 따라 직선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 홀의 일부는 상기 핀의 이동 방향으로부터 절곡되게 형성되어, 상기 핀이 상기 가이드 홀에 삽입되어 가이드 홀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 상기 핀이 상기 가이드 홀의 측벽에 닿아서 상기 관성체를 소정 각도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1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관성체가 축방향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커넥팅 링크의 이동 방향으로 상기 관성체에 푸시력을 부여하고, 또한 상기 관성체에 일방향으로 회전 복원력을 부여하는 스프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2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성체의 일측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보스에도 원주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관성체의 서로 인접한 돌기 사이에는 상기 보스의 돌기가 이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보스의 서로 인접한 돌기 사이에도 상기 관성체의 돌기가 이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고정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KR1020180139134A 2018-11-13 2018-11-13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KR1026639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9134A KR102663985B1 (ko) 2018-11-13 2018-11-13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9134A KR102663985B1 (ko) 2018-11-13 2018-11-13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5462A true KR20200055462A (ko) 2020-05-21
KR102663985B1 KR102663985B1 (ko) 2024-05-07

Family

ID=70910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9134A KR102663985B1 (ko) 2018-11-13 2018-11-13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398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7820B1 (ko) * 2015-03-24 2016-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리트랙터블 핸들 장치
WO2018010939A1 (de) * 2016-07-11 2018-01-18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Griffvorrichtung mit einem flächenbündigen griff
KR20180071313A (ko) * 2015-10-21 2018-06-27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차량용 도어 손잡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7820B1 (ko) * 2015-03-24 2016-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리트랙터블 핸들 장치
KR20180071313A (ko) * 2015-10-21 2018-06-27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차량용 도어 손잡이
WO2018010939A1 (de) * 2016-07-11 2018-01-18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Griffvorrichtung mit einem flächenbündigen grif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3985B1 (ko) 2024-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24881B2 (ja) 車両用出没型アウトサイドドアハンドル組立体
KR101875658B1 (ko)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KR20140090212A (ko) 다중-부품 포올을 갖는 록킹 장치
US20220194188A1 (en) Handle device for vehicle
CN110607961B (zh) 用于车辆的可伸缩外侧门把手组件
JP4881717B2 (ja) 自動車用ドアハンドル装置
KR101946915B1 (ko) 차량용 플러시 도어 핸들 어셈블리
KR20210046908A (ko) 슬라이딩 도어의 홀드 오픈 락 장치
KR100747227B1 (ko) 자동차의 도어아웃사이드 핸들
JP4598668B2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EP3575522A1 (en) Vehicular door latch device
JP6837507B2 (ja) 自動車用ドアラッチ装置
KR20200055462A (ko)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WO2020115939A1 (ja) 自動車用ドアラッチ装置
JP6933202B2 (ja) 自動車用ドアラッチ装置
KR20220031439A (ko)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KR101906724B1 (ko) 자동차 트레이용 지센서
US20200115935A1 (en) Retractable Outside Door Handle Assembly for Vehicle
JP2007245937A (ja) フード持ち上げ構造を有する自動車
JP2023103912A (ja) ドア開閉操作装置
KR0140681Y1 (ko) 자동차의 후드록 래치 구조
KR20200025511A (ko) 관성 링크기구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KR20220031419A (ko) 차량 충돌시 문열림 방지 구조
JPH07257183A (ja) 自動車用ドアの干渉防止装置
JPH024744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