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3660A - 금속 구조물을 가진 운송수단 내부 덮개부 - Google Patents

금속 구조물을 가진 운송수단 내부 덮개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3660A
KR20060043660A KR1020050021546A KR20050021546A KR20060043660A KR 20060043660 A KR20060043660 A KR 20060043660A KR 1020050021546 A KR1020050021546 A KR 1020050021546A KR 20050021546 A KR20050021546 A KR 20050021546A KR 20060043660 A KR20060043660 A KR 200600436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structure
barrier layer
layer
metal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1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3657B1 (ko
Inventor
마이컬 윌펄트
라이너 픽
울프램 웨이스콥프
Original Assignee
노벰 카 인테리어 디자인 메탈테크니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483375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60043660(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노벰 카 인테리어 디자인 메탈테크니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노벰 카 인테리어 디자인 메탈테크니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60043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36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3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36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8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 B01L3/5027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by integrated microfluidic structures, i.e. dimensions of channels and chambers are such that surface tension forces are important, e.g. lab-on-a-chip
    • B01L3/502715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by integrated microfluidic structures, i.e. dimensions of channels and chambers are such that surface tension forces are important, e.g. lab-on-a-chip characterised by interfacing components, e.g. fluidic, electrical, optical or mechanical inte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65G69/16Preventing pulverisation, deformation, breakage, or other mechanical damage to the goods or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8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in which radiation controls flow of current through the device, e.g. photoresistors
    • H01L31/1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in which radiation controls flow of current through the device, e.g. photoresistors characterised by potential barriers, e.g. phototransistors
    • H01L31/115Devices sensitive to very short wavelength, e.g. X-rays, gamma-rays or corpuscular radiation
    • H01L31/119Devices sensitive to very short wavelength, e.g. X-rays, gamma-rays or corpuscular radiation characterised by field-effect operation, e.g. MIS type det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송수단을 위한 내부 덮개부의 제조 방법 및 내부 덮개부 그 자체 관한 것이다. 이 점에 있어, 유체를 위한 삼투성을 갖는 2차원 금속 구조물(9)은 상기 금속 구조물을 통하여 부가의 층의 침투를 제한하기 위한 장벽층(8)과 함께 이용되고 처리된다.
금형 도구, 사출성형, 주조, 덮개부, 운송수단, 금속 구조물, 장벽층

Description

금속 구조물을 가진 운송수단 내부 덮개부{VEHICLE INNER COVERING PART HAVING A METAL STRUCTURE}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내부 덮개부의 제작에 사용된 금형 도구(mould tool)를 통하여 본 개략적인 단면도;
도 4 내지 도 9는 부가의 실시형태들을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운송수단 내부 덮개부의 제조 방법 및 그 부품 자체에 관한 것이다.
운송수단에 다양한 장식 표면을 갖는 내부 덮개부가 이용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한 내부 덮개부에서, 내광성, 어떤 물질에 대한 저항성, 세척가능성 등과 같은 보다 기능적인 측면 이외에, 특별한 심미적인 요건을 만족시킬 수 있는 재료 표면이 이용된다. 알루미늄 표면 및 목재 표면 또는 목재 모조표면을 갖는 내부 덮개부가 매우 일반적으로 이용된다.
서로 연결된 다수층의 형태로 그러한 내부 덮개부를 제작하는 것이 더 잘 알려져 있다. 보통, 부가적인 층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합성수지)의 캐리어 구조물 위로 침적되고, 캐리어 구조물은 장착된 상태에서 운송수단의 내부공간에 대향하는 면에 배열되고 그리고 특별히 장착용으로 적합한 구조물 요소를 갖는다. 즉 나무나 알루미늄층이 접착제로 인해 침적될 수 있다. 예컨대 도료(래커, lacquer)층과 같은 부가의 보호층으로 코팅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운송수단 내부 덮개부의 설계의 자유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양태는 유체가 가로질러 삼투되는 2차원 금속 구조물이 장벽층에 연결되고 그리고 부가의 층들에 연결되며, 이때 장벽층은 금속 구조물을 통한 부가의 층의 침투를 제한하는 운송수단 내부 덮개부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고, 반면 다른 양태는 대응하여 제조된 내부 덮개부 그 자체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이 종속청구항에 정의되어 있다. 종속청구항 및 다음 설명에서, 내부 덮개부의 방법 특징 및 제품 특징은 명쾌하게 구별하지 않는다. 그러나 발명의 상세는 양쪽의 카테고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 덮개부의 미적 효과가 금속 표면을 구성함에 의해 실질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는 착상에 바탕을 둔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내부 덮개부 및 방법에서, 금속 구조물들은 단순히 평평한 금속 시트(sheet)보다 더 복잡한 방식으로 형성된 금속 구조물들이 이용된다. 즉, 본 발명은 어떤 의미에서는 최소한 그 연장부로 가로질러 삼투 가능한, 즉 유체에 대해 삼투 가능한 금속 구조물에 관한 것 이다. 특히 철망인 철 구조물 또는 특히 짜여진 직물인 천 구조물이며, 예컨대 펀칭(punching) 또는 다른 기술에 의한 확장된 금속 구조물 및 천공된 금속 구조물이 그 실시예들이다.
그러한 금속 구조물들은 실질적인 심미적 매력을 가질 수 있고, 반면 본 발명은 또한 금속 구조물 그 자체의 금속 표면이 예컨대 도료가 칠해지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불투명하게 코팅되기 때문에 더 이상 보이지 않는 경우들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삼투성의 금속 구조물들에서, 본 발명은 적어도 일정한 제조 단계에서 (반-유체 또는 점성을 포함하는 팽창 중에) 흐를 수 있는 다른 층들의 물질에 제조 중에 제어되지 않는 방식으로 금속 구조물을 통하여 침투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장벽(밀봉)층을 이용하는 것을 제안한다. 이 점에 있어, 실시형태에 따르면, 장벽층은 금속 구조물 안으로 스며들기 위한(또는 맞물리기 위한) 재료를 허용할 수 있다. 이 양태는 아래에서 더욱 상세하게 논의될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금속 구조물은 적어도 투명한 방식으로 도료가 칠해지고, 덮여지고, 이식되는 것처럼 보여질 수 있다.
그러므로 금속 광택의 심미적인 매력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금속 구조물은 즉 아래층이 보이는 다소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낮은 목재 층이나 금속층일 수 있다. 특히, 장벽층은 목재나 알루미늄 같은 장식층 및 금속층 사이의 접합제 역할을 할 수 있다. 장벽층은 재료 두께나 낮은 채도 또는 무색성 때문에 시각적으로 거의 나타나지 않도록 설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목재 나 금속층이 장벽층 그 자체의 기능을 할 수 있다는 점이 아래에서 더욱 상세히 논의될 것이다.
또한, 내부 덮개부의 캐리어 구조물은 장벽층 및 임의의 부가의 층이 금속 구조물의 혼합체 위에 주조되거나 사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열가소성의 경우에서, 주조 또는 사출 성형 중에 흐를 수 있는 캐리어 구조물 재료가 금속 구조물 안으로 침투하는 것을 장벽층들이 억제하는 경우가 특히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이 경우에서 장벽층은 캐리어 구조물과 같은 금속 구조물의 동일 측면에 배열된다.
장벽층은 단지 그에 부착되는 금속 구조물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적어도 부분적으로 부드럽게 함으로써 장벽층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금속 구조물 안으로 눌려지고 따라서 특히 강한 방식으로 금속 구조물에 연결되는 실시형태가 바람직하다. 장벽층을 위한 바람직한 재료는 폴리아미드 포일(polyamide foil)이다. 선천적으로, 금속 구조물은 우수한 부착을 위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선처리될 수 있다. 도료, 채색, 전환처리 등이 예상된다.
장벽층 및 그 아래의 층 특히 캐리어 구조물 사이의 결합은 특히 건식 접착 또는 가접착 포일(tacking foil)의 방법을 통하여 간단한 접착 결합이 될 수 있다. 그러나, 2개 성분 PU 접착 재료 또는 다른 접착 기술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금속 구조물은 장벽층과 캐리어 구조물 그리고 하나의 필수적인 공정 단계에서 특히 가열된 금형에서 장벽층과 캐리어 구조물 사이의 선택적인 부가층에 연결된다. 거기서도, 금형은 마감(closing)동안 절삭 공구로 사용할 수 있 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적어도 금형에서 개개의 층들을 중앙에 두기 위해 중앙 형상으로 이를 실시하고, 그리고 도입 중에 이미 금형 안으로 맞추어지도록 최종 형태에 가깝게 층들(의 잔여부)을 절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캐리어 구조물은 장벽층에 대향하는 금속 구조물의 면에 사출 성형되거나 주조된다. 이 경우에, 장벽층이 정상적으로 금속 구조물을 통하여 완전히 스며들지 않을 것이므로, 캐리어 구조물 재료는 금속 구조물 안으로 비교적 많이 침투하거나 또는 금속 구조물을 통하여 거의 스며들 것이다. 장벽층은 금속 구조물이 캐리어 구조물 재료 위에 완전히 보여주거나 또는 단지 캐리어 구조물 재료보다 돌출된 부품의 형태로 보여주도록 한 후 공정단계에서 제거할 수 있다.
그 중에서, 장벽층은 그에 따라 금속 구조물에 연결되어야 한다. 많은 경우에, 사전 성형이 사출 성형 또는 주조 이전에 필요할 것이다. 위에 언급한 금형에 비교하여, 장벽층을 금속 구조물에 연결하고 그리고 가열된 도구로 하나의 통합 공정 단계에 사전 성형하는 단계들을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택적으로 이와 같은 장벽층은 금속 구조물 위에 말려 있을 수 있으며, 또한 금속 구조물 내 장벽층은 개개의 보드 재료로써 연결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의 한 양태에서, 금속 구조물 및 장벽층의 혼합체에는 그 위에 사출 성형되거나 또는 양 측면 위로 주조된 개개의 층이 제공될 수 있고, 한 측면은 투명하고 그리고 다른 측면은 캐리어로 기능하거나 또는 캐리어에 장착된다. 우선, 사출 성형이나 주조는 장벽층에 대향하는 금속 구조물의 면에 이행하며, 장 벽층은 그 후에 제거되고, 그에 따라 노출된 면에는 부가의 층을 구비하게 된다. 특히, 투명층은 주조된 층이 될 수 있으며 부가의 층은 사출 성형된 캐리어 구조물이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사출 성형은 맨 처음에 실시되며 주조는 장벽층이 제거된 후에 실시된다.
부가의 양태는 부분적으로 투명한 금속 구조물 위에 장벽층으로써 목재층, 알루미늄층, 또는 다른 장식층이 구비되며 그리고 그 후에 대향되는 측면에 사출 성형이나 주조된 투명층이 구비된다. 거기서, 장식층까지 금속 구조물을 침투하는 투명층은 장식층과 금속 구조물 사이에 접합체로 이용될 수 있다. 그 점에서, 장벽층은 금속 구조물을 통하여 흐름 가능한 층 재료의 비-제어 침투를 억제하는 역할을 하고, 그러나 투명층은 금속 구조물에 거의 완전히 박힌다.
장식층은 캐리어 구조물 그 자체가 되거나 또는 이나 캐리어 구조물과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바는 다양한 층들, 특히 금속 구조물 및 장벽층을 언급하며, 이때 이들 항목들은 이들 층들이 내부 덮개부 전체 영역에 걸쳐 연장된다는 것을 반드시 의미하지는 않는다. 만일, 예컨대 금속 구조물이 영역의 일부분이거나 장벽층이 영역의 부분이며 그리고 금속 구조물이 잔여부에서 다른 층 재료에 의해 침투되는 경우에 재미있는 장식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방법으로, 금속 구조물이 부분적으로 보일 수 있다.
다음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을 상세하게 그리고 실시예로써 설명했다. 각각의 특징은 다른 결합에서 발명이 관련될 수 있다. 또한 다음의 기술 은 발명의 방법특징과 함께 제품특징을 언급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내부 덮개부를 제작하기 위한 가열 가능한 금형 도구(mould tool)를 나타낸다. 금형 도구는 각각 금형면(mould faces)을 갖는 상부 부분(1; 매트릭스) 및 하부 부분(2; 다이)을 포함하며, 상부 부분(1)은 하부 부분(2) 위에 수직으로 하강할 수 있다. 리딩 볼트(leading bolt) 즉,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볼트(3)는 상부 부분(1)에 설치된다. 도 1은 리딩 볼트(3)가 스프링(4; spring)으로 인해 수직으로 미리 하중이 가해지는 것을 나타낸다. 실제로 스프링(4)은 예컨대, 원하는 것처럼 동력 전개의 비선형 특성 곡선(non-linear characteristic curves of power development)으로 실시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유압 실린더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더구나, 위쪽 방향으로 리딩 볼트(3)의 경로를 제한하는 멈춤장치(5)가 제공된다. 도 3은 리딩 볼트(3)의 하부면이 상부 부분(1)의 금형면과 동일 높이가 되는 방식으로 실시된다는 점을 더욱 상세하게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서, 절곡된 시트 금속부(6)는 캐리어(carrier) 구조물로써 하부 부분(2) 위에 놓여진다. 이 실시형태에서 시트 금속부(6)는 사전-절곡되어 있으며, 이는 층들(7,8,9)과 함께 단일 통합 형성 단계에서 제조될 수 없는 특정한 체결 요소가 제공되기 때문이며, 시트 금속부(6)가 이들 층들과 함께 절곡되는 것을 방지한다.
목재 적층의 층 배열(7)이 평평한 방식으로 시트 금속 캐리어 구조물(6) 위 에 놓여지고, 이 배열(7)이 장벽층(8) 즉 그 위의 폴리아미드 라이닝 포일(foil)을 지지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금속 구조물로써 (직조) 철망(9)이 장벽층(8) 위에 놓인다.
더욱이, 층들(7, 8, 9)은 쉽게 끊어지고, 그러므로 금형 안에 적합하며 내부 덮개부의 원하는 기하학적 배열에 적합하다. 또한 전술된 중심 돌출부(tongues)는 압착 단부에 의해 압착 또는 절단될 수 있다.
상부 부분(1)의 금형면은 가장자리 지역에 낮은 형상부(10) 및 상기 압착 단부를 가진다. 낮은 형상부는 10번으로 표시되고 압착 단부는 11번으로 표시된다.
도 2 및 3은 금형 도구의 유사한 개략 도면을 보여주고, 도 2의 상부 부분(1)은 리딩 볼트(3)가 스프링(4)의 또는 그를 대신하여 유압 실린더의 하중을 통하여 그 위치까지 금속 구조물(9)에 대하여 인접하고 고정되도록 하강된다. 또한, 금속 구조물(9)에 접촉되는 리딩 볼트(3)의 하부면은 장식적 기능에 영향을 주는 금속 구조물 위에 자국이 남지 않는 한 다소 거칠 수 있다.
도 1에서 도 2까지의 단계에서, 층들(7, 8, 9)은 층들(7,8,9)의 대응하는 중심 돌출부(tongues)에 맞물리는 금형 도구의 알려진 중심핀에 의해 고정된다(여기엔 도시하지 않았다).
도 3은 상부 부분(1)이 하부 부분(2) 위로 하강하여 층들(7,8,9)이 캐리어 구조물(6)이나 하부 부분(2) 형상의 위로 압력을 받으며 그리고 대략 160 ℃의 성형 온도 및 압력에서 압력-적층되는 부가의 단계를 나타내고 있다. 건조 가접착 포일(7a; dry tacking foil)은 장벽층(8)과 목재 적층 배열(7) 사이에 구비된다. 건조 가접착 포일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목재 적층 배열(7)과 캐리어 구조물(6) 사이에 더 구비된다. 목재 적층 배열(7)은 부착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선처리 될 수 있다. 장벽층(8)과 건조 가접착 포일(7a)은 눈에 거의 나타나지 않으며 배열(7)의 목재장식의 장식 효과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선택한다.
압착 단부(11)의 측면과 함께 하부 형상(10)은 이 지역(상세히 도시하지 않았다) 배열의 유난히 센 압력과 장벽층(8) 안으로 금속 구조물(9)을 누르는 역할을 한다. 한편 기하학적인 측면에서 금형으로부터 제거하기 위하여 3°의 경사가 제공되는 것이 중요하다. 압착 단부(11)는 또한 완성된 내부 덮개부가 금형 상부 부분(1)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내부에 약간의 경사를 가진다. 강한 압력에 영향 받는 내부 덮개부의 가장자리 지역은 운송수단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보여지지 않는다.
성형 가공은 금속 구조물(9)에 망 끌어당김을 피하고 동질의 상태에서 망 틈새를 유지하기 위하여 주로 절곡에 의해 수행된다.
금형 도구를 열고 나서 충분한 시간 뒤에, 완성된 내부 덮개부를 꺼낼 수 있다. 이 부분은 심미적으로 나타낸 금속 구조물 표면(9), 그를 통하여 그리고 대체로 투명한 라이팅 포일 장벽층(8) 및 건조 가접착 포일을 통하여 눈에 보이는 목재 적층 배열(7)의 목재 장식을 보여준다. 수정예들은 개방되거나 또는 비-투명 버전의 스테인레스 스틸 또는 알루미늄 철망 또는 확장된 금속 구조물의 스테인레스 스틸 또는 알루미늄이 될 수 있고, 이들 표면들은 산화피막, 채색 또는 도료가 입혀질 수 있다.
폴리아미드 라이닝 포일은 금속 구조물 안으로 건조 가접착 포일의 침투를 억제하기 위한 장벽층의 역할을 하지 않는다. 또한 폴리아미드 라이닝 포일은 한편으로 좋은 접착 성질로 인한 접착제 효과와 좋은 부착력 및 다른 한편 금속 구조물의 압력 접착 후에 기계적으로 맞물려 구비된다.
완성된 디자인 요소는 원한다면 그 후에 도료를 칠할 수 있고, 그리고 투명한 상태에서 상부 측면에 주입되거나 이식될 수 있다. 또한 운송수단 내에 장착되고 운반되는 동안 손상을 피하기 위하여 보호 포일을 구비하여 완성된 장식 표면을 보호하는 것이 합당하다. 이러한 보호 포일은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난 금형 도구 안으로 미리 삽입할 수 있다.
각 경우에서 장벽층(8)은 디자인 요소로써 보여질 수 있다. 압력 침투의 깊이는 금속 구조물(9)의 기하적 상세 이외에 폴리아미드 포일(8)의 포일 두께, 압력 및 온도 뿐만 아니라 상부 부분(1)과 하부 부분(2) 사이의 거리에 의해 결정된다.
후처리는 가장자리의 연마, 예컨대, 접착 펠트(청각의 보호를 위한) 및 접착의 실링비드(sealing bead)의 제공에 의한 코팅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장자리는 단부 성형되고 그리고 후방 덮개가 장착될 수 있어, 그에 따라 연마를 피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8은 추가의 실시형태들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4에 따르면, 여기선 철망으로 보이는 금속 구조물(12)은 즉 폴리아미드 라이닝 포일(13)로 코팅된다. 이것은 펴져 있거나 판 재료의 형성을 따뜻한 기운을 주면 회전할 수 있다. 이 점에 있어, 폴리아미드 장벽층(13)은 도 5에 나타낸 것처럼 금속 구조물(12) 안 으로 다소 스며든다. 대응하는 혼합체가 도 6에 나타난 것처럼 원했던 것처럼 형성된다. 이것은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난 유사한 금형 도구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성형 단계와 함께 층들(12 및 13)의 연결은 단일 통합 단계에서 이행될 수 있다.
장벽층과의 연결은 다음 진행 단계 동안 혼합체를 안정화시키며, 또한 도 1 내지 도 3의 유사한 금형 도구에서 흡수로 인한 고정을 허용한다.
그 후에, 14번으로 표시된 열가소성 캐리어 구조물은 잘 알고 있는 방법으로 철망 금속 구조물(12)의 노출면 위에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열가소성 물질은 노출된 영역에서 철망(12) 안으로 침투한다. 도 7에서 나타낸 핀은 내부 덮개부가 운송수단에 고정할 수 있는 구성요소의 형태를 상징할 것이다. 대응하는 구성요소 형태는 도 1 내지 도 3에 따라 제작된 내부 덮개부의 부분일 수 있다.
도 8은 도 7의 구조물에서 폴리아미드 장벽층(13)이 제거된 도면을 나타낸다. 철망들이 너무 강하게 맞물리지 않는다면, 꺼내는 것은 간단할 수 있다.
그러므로 완성된 내부 덮개부는 특히 간단한 방법으로 생산할 수 있으며 그리고 통상적으로 추가로 처리되거나 또는 장착된다.
그러나, 예를 들어 철망(12)을 이식하기 위한 투명층은 도 8에 나타난 구조물 위에 침적될 수 있으며 위에 설명한 것처럼 특히 이식 또는 주입에 이해 제작할 수 있다. 그러나 구조물은 도 8에서 나타나지 않았지만, 철망(12)이 투명 방법에 들어간 것과는 본질적으로 다르다.
도 9는 여기에 15로 표시된 금속 구조물이 내부 덮개부(16)의 전 지역에 반 드시 퍼지는 것이 필요하지 않다는 것을 상징적으로 나타낸다. 장식 세공이 될 수 있다. 또한, 도 4 내지 도 8의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장벽층(13)은 그 영역에서 금속 구조물(15)과 같은 크기일 것이다. 또한, 예를 들어 장벽층이 금속 구조물보다 작은 경우에 금속 구조물의 일 부분만이 노출되는 가능성이 있다(여기에 나타나지는 않았다). 게다가, 원칙적으로 금속 구조물 안으로 장벽층의 다른 침투 깊이는 즉 같은 내부 덮개부의 다른 곳에 사용될 수 있으며, 원했던 장식 효과는 그것에 의해 이룰 수 있다. 특히 다른 열가소성의 장벽층은 다른 침투깊이를 구비할 수 있고 금속 구조물의 지역에 다르게 드러난다.
게다가, 첫 번째 실시예에 관계된 설명은 특히 최종 형상에 가까운 절삭을 고려하여 적용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부가의 실시형태를 보여준다. 여기서 목재층(17)은 장벽층으로써 철망(12) 위에 접착된다. 캐리어 구조물(18)은 그 후에 또는 공정의 마지막에 목재층(17) 위에 사출 성형할 수 있다. 목재층(12)에 대향하는 철망(12)의 면에 목재층(17) 위에 침투하며 매몰된 철망(12)을 갖는 투명층(19)이 주조된다. 그러므로, 목재층(17)은 여기서 장벽층으로 기능하며 그리고 철망을 통한 투명층(19)의 침투를 제한한다. 캐리어 구조물(18)은 투명층(19)의 침적 후에 사출 성형을 할 수 있다.
실시형태들의 다른 변형은 위에 특정하게 기술된 것과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는 점이 진술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하다. 실시예는 단지 예일 뿐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로 한정될 것이다.
본 발명의 금속 구조물을 가진 운송수단 내부 덮개부에 따르면, 장벽층에 대향하는 금속 구조물 면에 사출 성형이 이행한다. 장벽층은 투명층에 매몰된 금속 구조물로 유동할 수 있는 재료의 침투를 제한하는 역할을 하며, 여기서 장벽층은 폴리아미드 포일을 사용한다. 금속 구조물이 장벽층의 전 지역에 있지 않아도 되며, 금속 구조물의 일부분이나 장벽층의 일부분, 다른 층으로 인하여 장식 효과를 가진다. 이렇게 설계된 운송수단 내부 덮개부 설계의 자유도가 증가되며 장식 효과도 가질 수 있다.

Claims (18)

  1. 유체가 가로질러 삼투되는 2차원 금속 구조물이
    장벽층에 연결되고; 그리고
    부가의 층들에 연결되며;
    상기 장벽층은 상기 금속 구조물을 통한 부가의 층의 침투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 내부 덮개부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구조물은 철 구조물, 특히 철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구조물은 확장된 금속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구조물은 상기 내부 덮개부의 제작 후에 장식 요소로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보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덮개부의 제작 후에 상기 금속 구조물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하며 그리고 상기 금속 구조물 하부에 배열된 층은 상기 금속 구조물을 통하여 보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작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덮개부의 캐리어 구조물은 그 위에 사출 성형되거나 그 위에 주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장벽층은 상기 금속 구조물을 통하여 캐리어 구조물 재료의 침투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구조물 및 상기 장벽층 사이의 연결은 상기 장벽층을 부드럽게 하고 그리고 상기 장벽층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금속 구조물 안으로 누름으로써 실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장벽층은 폴리아미드 포일(polyamid foil)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벽층은 바람직하게는 건조 가접착 포일(dry tacking foil)로 부가의 층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벽층을 구비한 금속 구조물 및 상기 내부 덮개부의 캐리어 구조물의 연결은 금형에 열을 가함으로써 단일 통합 공정에 의해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에서 소개된 층은 임의의 중심 돌출부(tongues)를 제외하고는 상기 금형 안에 최종 형상 크기에 가까운 컷투사이즈(cut-to-size)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벽층은 상기 금속 구조물에 연결되며 상기 부가의 층은 상기 장벽층의 반대되는 상기 금속 구조물 표면 위로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구조물에 대한 상기 장벽층의 상기 연결 및 이 혼합체의 사전 성형은 가열된 금형 내 단일 통합 공정에서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장벽층은 캐리어 구조물의 적용 후에 제거되며 그리고 부가의 층은 금속 구조물의 동일 측면 위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장식층은 상기 장벽층으로써 상기 금속 구조물에 연결되며 그리고 투명층은 상기 장식층에 반대되는 상기 금속 구조물의 측면 위에 사출 성형되거나 또는 주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구조물은 상기 내부 덮개부의 평평한 연장부의 일부에 걸쳐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벽층은 상기 내부 덮개부의 평평한 연장부의 일부에 걸쳐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KR1020050021546A 2004-03-15 2005-03-15 금속 구조물을 가진 운송수단 내부 덮개부의 제조 방법 KR1007336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4101058.8 2004-03-15
EP04101058.8A EP1577165B2 (de) 2004-03-15 2004-03-15 Kraftfahrzeug-Innenverkleidungsteil mit Metallstruktu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3660A true KR20060043660A (ko) 2006-05-15
KR100733657B1 KR100733657B1 (ko) 2007-06-28

Family

ID=34833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1546A KR100733657B1 (ko) 2004-03-15 2005-03-15 금속 구조물을 가진 운송수단 내부 덮개부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050202574A1 (ko)
EP (1) EP1577165B2 (ko)
JP (1) JP4124774B2 (ko)
KR (1) KR100733657B1 (ko)
CN (1) CN100337855C (ko)
AT (1) ATE362438T1 (ko)
CA (1) CA2499660C (ko)
DE (1) DE502004003830D1 (ko)
ES (1) ES2287642T3 (ko)
MX (1) MXPA0500280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027982B1 (de) * 2006-08-08 2010-10-27 Novem Car Interior Design GmbH Verkleben und Beschichten von Rohstofflagen
DE202008001483U1 (de) 2008-02-02 2008-04-30 Kieslich Industries Administration Gmbh Artikel mit IMD dekorierten Edelstahlgewebematten zur mechanischen Verstärkung und optischen Aufwertung
DE102011012789A1 (de) 2011-03-02 2012-09-06 Audi Ag Innenverkleidungsteil für ein Kraftfahrzeug
FR2987009B1 (fr) * 2012-02-20 2014-03-07 Cera Ecran de protection acoustique et thermique pour vehicule automobile
US11787161B2 (en) 2020-01-13 2023-10-17 Joysonquin Automotive Systems Gmbh Trim element
DE102021105891A1 (de) 2021-03-11 2022-09-15 HELLA GmbH & Co. KGaA Anbauteil für ein Kraftfahrzeug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589260A (en) * 1945-03-21 1947-06-16 Standard Pressed Steel Co An improved method of bonding together wood and metal
AT228994B (de) 1959-06-12 1963-08-12 Stahl & Walzwerke Rasselstein Plattenförmiges, aus einem mit Durchbrechungen versehenen Blech und Kunststoff bestehendes Bauelement, insbesondere für Dachdeckungen und Verkleidungen
DE1271972B (de) 1960-06-07 1968-07-04 Stahl Und Walzwerke Rasselstei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plattenfoermigen, aus Streckmetall und Kunststoff bestehenden Bauelements
SE383999B (sv) 1972-12-07 1976-04-12 Dynamit Nobel Ag Invendig beklednad for motorfordon, behallare o.d.
US4128683A (en) * 1978-04-11 1978-12-05 Toyota Jidosha Kogyo Kabushiki Kaisha Auto ceiling panel and its manufacturing process
DE3114390A1 (de) * 1981-04-09 1982-11-04 Bayer Ag, 5090 Leverkusen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yamidfolien
JPH0717174B2 (ja) * 1985-08-20 1995-03-01 金井重要工業株式会社 成型用自動車内装天井材
DE4132413A1 (de) 1991-09-28 1993-04-01 Happich Gmbh Gebr Formteil, insbesondere fuer den innenraumbereich von fahrzeugen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desselben
JPH0596680A (ja) * 1991-10-08 1993-04-20 Honda Motor Co Ltd 内張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H06144123A (ja) * 1992-11-10 1994-05-24 Kasai Kogyo Co Ltd 自動車用内装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9321214U1 (de) 1992-12-17 1996-09-12 Minnesota Mining & Mfg Verzierungselement
JPH06278162A (ja) 1993-03-26 1994-10-04 Sakae Riken Kogyo Kk 装飾用長尺部材およびその製法
DE4441986C2 (de) 1994-11-25 1996-12-05 Reiss Int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aschierten Formteils
DE19522480C2 (de) 1994-12-22 2002-02-21 Lear Corp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flächigen Auskleidungsteiles für Kraftfahrzeuge und danach hergestelltes Auskleidungsteil
DE19546551C1 (de) 1995-12-13 1997-01-16 Daimler Benz Ag Beschichtetes Dekorteil
CN2265320Y (zh) * 1996-06-21 1997-10-22 常熟市纺织装饰材料厂 汽车内装饰用纺织骨架结构材料
JPH10128921A (ja) 1996-10-30 1998-05-19 Dainippon Printing Co Ltd 装飾シート、装飾樹脂成形品、及び装飾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DE19713949A1 (de) 1996-10-31 1998-05-07 Siemens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Gehäuseteils mit Schirmwirkung für Funkgeräte
DE19732425C2 (de) 1997-07-28 2001-01-04 Adler Kunststofftechnik Inh Wi Verbundwerkstoff aus faserverstärktem Polyurethan und einem Thermoplasten sowie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JPH1159285A (ja) * 1997-08-28 1999-03-02 Trinity Ind Corp 自動車用内装部品
DE19801985C2 (de) 1998-01-20 2003-07-03 Mcgavigan John Ltd Dreidimensional verformbarer, mehrlagiger Schichtstoff und Verarbeitung zu einem Schirmgehäuse
DE19914092C2 (de) 1998-04-23 2001-10-04 Daimler Chrysler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Verkleidungs- und Zierteils und danach hergestelltes Verkleidungs- und Zierteil
US6670028B2 (en) * 1999-05-26 2003-12-30 University Of Massachusetts Molded article and process for preparing same
DE19948664B4 (de) 1999-10-08 2011-10-13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Umspritzen einer Fasermatte mit Kunststoff
CN1301649A (zh) * 1999-12-24 2001-07-04 潮州德意集团有限公司 一种汽车内饰顶棚及其制造方法
US6475576B1 (en) * 1999-12-30 2002-11-05 Delphi Technologies, Inc. Reinforced interior trim panel assembly and method
CN2427383Y (zh) * 2000-03-15 2001-04-25 孙正明 汽车驾驶室内顶装饰件
CN2436362Y (zh) * 2000-07-14 2001-06-27 冯锡惠 汽车内顶棚装饰板
EP1219401A3 (en) 2000-12-29 2004-02-04 Nokia Corporation Resin injection molded article with reinforcing or decorative core
DE10126703B4 (de) 2001-05-31 2005-07-28 Carl Freudenberg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Innenraumverkleidungsteilen
DE20306670U1 (de) 2003-04-30 2003-06-26 Haver & Boecker Drahtgeweb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77165B2 (de) 2017-08-09
EP1577165A1 (de) 2005-09-21
KR100733657B1 (ko) 2007-06-28
ES2287642T3 (es) 2007-12-16
MXPA05002806A (es) 2005-09-30
US20050202574A1 (en) 2005-09-15
CA2499660A1 (en) 2005-09-15
JP4124774B2 (ja) 2008-07-23
DE502004003830D1 (de) 2007-06-28
CN100337855C (zh) 2007-09-19
CN1680143A (zh) 2005-10-12
CA2499660C (en) 2008-05-06
JP2005263210A (ja) 2005-09-29
ATE362438T1 (de) 2007-06-15
EP1577165B1 (de) 2007-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3657B1 (ko) 금속 구조물을 가진 운송수단 내부 덮개부의 제조 방법
US5462786A (en) Decorative panels for automobile interiors
JP3354945B2 (ja) 成形部分とその製法
EP2473325B1 (fr) Procédé de fabrication d'un habillage, notamment pour véhicule automobile, comprenant un revêtement possédant au moins une couche ligneuse et une couche de renfort d'envers
EP2749390B1 (fr) Elément de garnissage comprenant un élément de décor entouré au moins en partie par un film en matériau plastique et son procédé de réalisation
CN101874139B (zh) 用于形成车辆装饰板的方法和装置
KR20160138566A (ko) 샌드위치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와, 샌드위치 부품
JP2008528829A (ja) 複合成形可能な化粧積層板ドアパネル
CN103358547A (zh) 用于具有装饰性附饰件的内饰板的模内压纹表皮层压
US10011060B2 (en) Method for producing a shaped part, and such a shaped part
JP2015223751A (ja) 木質意匠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5553984B2 (ja) 木質化粧板の製造方法及び木質化粧板
US9511518B2 (en) Formed ligneous body,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US8205592B2 (en) Noise abatement engine cover
KR200436575Y1 (ko) 양음각 장식무늬를 갖는 장식판재
JP5130199B2 (ja) 木質化粧板の製造方法
CN112140683A (zh) 用于制造修饰元件的方法
CN115515780B (zh) 车辆部件单元和制造车辆部件单元的方法
JP2005082015A (ja) 自動車用内装部品
JP3142085U (ja) 木目模様付きfrp製浴槽
KR101417440B1 (ko) 자동차 내장부품용 가니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95390B1 (ko) 겹침 구조를 갖는 차량용 frp 중공형 구조물 및 그제조방법
JP3358309B2 (ja) 積層体の製造装置
KR20170027452A (ko) Tom 공법을 응용한 원단 감싸기 공법
JP6870209B2 (ja) 化粧板及び化粧板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