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0656A - 전동 스테이플러 - Google Patents

전동 스테이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0656A
KR20060040656A KR1020067000296A KR20067000296A KR20060040656A KR 20060040656 A KR20060040656 A KR 20060040656A KR 1020067000296 A KR1020067000296 A KR 1020067000296A KR 20067000296 A KR20067000296 A KR 20067000296A KR 20060040656 A KR20060040656 A KR 200600406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azine
staple
staples
support frame
electric stap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0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7838B1 (ko
Inventor
노부아끼 야기
Original Assignee
막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막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막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0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06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7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78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FDOVETAILED WORK; TENONS; SLOTTING MACHINE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 B27F7/00Nailing or stapling; Nailed or stapled work
    • B27F7/17Stapl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FDOVETAILED WORK; TENONS; SLOTTING MACHINE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 B27F7/00Nailing or stapling; Nailed or stapled work
    • B27F7/17Stapling machines
    • B27F7/30Driving means
    • B27F7/36Driving means operated by electric po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5/00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Hand-held power-operated stapling tools; Staple feeding devices therefor
    • B25C5/10Driving means
    • B25C5/15Driving means operated by electric po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FDOVETAILED WORK; TENONS; SLOTTING MACHINE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 B27F7/00Nailing or stapling; Nailed or stapled work
    • B27F7/17Stapling machines
    • B27F7/19Stapling machines with provision for bending the ends of the staples on to the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Dovetailed Work, And Nailing Machines And Stapling Machines For Wood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Abstract

연결 스테이플이 장전된 카트리지(6)를 장착한 매거진(5)이 클린처부(3)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 프레임(4)의 내측에 지지된다. 매거진(5)의 측면에 캠 종동기(17)가 돌출 형성된다. 이 캠 종동기(15)를 지지 프레임(4)에 배치되어 있는 스테이플 구동 기구(8)를 구동시키는 구동 회전 부재(9)에 형성된 캠 홈(21)과 결합시킴으로써, 매거진(5)을 구동 회전 부재(9)에 의해 클린터부(3)의 방향으로 직접 구동시킨다.
캠 종동기, 스테이플러, 카트리지, 매거진, 클린처부, 구동 회전 부재

Description

전동 스테이플러{ELECTRICALLY DRIVEN STAPLER}
본 발명은, 연결 스테이플을 장전한 카트리지를 전동 스테이플러의 매거진에 장착하는 동시에, 연결 스테이플을 카트리지의 전단부에 형성된 타출부(打出部)에 차례로 공급하고, 상기 타출부에 공급된 스테이플을 철하는 용지를 향해 타출하여, 철하는 용지를 관통한 스테이플의 다리부를 철하는 용지의 이면을 따라 절곡함으로써 철하는 용지를 철하도록 한 전동 스테이플러에 관한 것이다.
곧은 형상의 스테이플재를 다수 차례로 접착하여 시트 형상으로 형성된 연결 스테이플을 카트리지에 장전하는 동시에, 상기 카트리지를 전동 스테이플러의 매거진에 장착하여, 카트리지 내의 연결 스테이플을 차례로 매거진의 선단부에 형성된 타출부를 향해 공급하고, 이 연결 스테이플의 선두 스테이플을 타출부에서 성형 플레이트에 의해 역ㄷ자형으로 성형하는 동시에 타출부에 형성되어 있는 타출 통로로 공급하고, 타출 통로 내에서 미끄럼 이동하는 드라이버 플레이트에 의해 타출 통로로부터 타출하여 스테이플 다리를 상기 매거진의 타출부의 하방에 배치된 철하는 용지를 관통시켜, 철하는 용지를 관통한 스테이플의 다리를 매거진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는 클린처(clincher) 기구에 의해 철하는 용지의 이면을 따라 절곡함으로써 스테이플 철하기를 행하도록 한 전동 스테이플러가 알려져 있다.
상기 전동 스테이플러의 매거진에는, 스테이플을 철하는 용지를 향해 타출 안내하는 타출 통로를 형성하고 있는 타출부가 선단부에 형성되는 동시에, 카트리지에 장전된 스테이플을 상기 타출부를 향해 공급하는 스테이플 공급 기구 및, 타출부로 공급된 스테이플을 역ㄷ자형으로 성형하는 동시에 타출 통로로부터 철하는 용지를 향해 타출하는 성형ㆍ타출 기구가 형성되어 있고, 전동 스테이플러가 비작동시에 상기 매거진이 스테이플 다리를 절곡하는 클린처 기구와 철하는 용지의 배치 공간을 사이를 두고 격리되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공간 내에 배치된 철하는 용지를 철하기 위해 전동 스테이플러가 작동될 때, 상기 매거진을 클린처 기구의 방향으로 작동시켜 클린처 기구와의 사이에서 철하는 용지를 클램프시켜, 그 후 매거진부의 성형ㆍ타출 기구를 작동시켜 스테이플을 철하는 용지를 향해 타출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전동 스테이플러의 매거진에는 성형ㆍ타출 기구로서, 타출부로 공급된 연결 스테이플의 곧은 형상의 스테이플재를 역ㄷ자형으로 성형하기 위한 성형 플레이트와, 역ㄷ자형으로 성형된 스테이플을 철하는 용지를 향해 타출하기 위한 드라이버 플레이트가 타출부의 타출 통로에 대향시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설치되어 있다. 이들 성형ㆍ타출 기구를 전동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 부재와 이 회전 부재에 형성된 캠 홈과 결합된 링크 부재를 거쳐서 클린처 기구부의 방향으로 슬라이드 구동시킴으로써, 스테이플재는 역ㄷ자형으로 성형되는 동시에 타출 통로로부터 타출된다. 그리고 매거진에 보유 지지되어 있는 성형ㆍ타출 기구가 클린처 기구의 방향으로 구동될 때, 성형ㆍ타출 기구와 매거진간의 미끄럼 이동 저항에 의 해 매거진을 클린처 기구의 방향으로 성형ㆍ타출 기구에 추종시켜 작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종래의 전동 스테이플러에 있어서는 매거진의 후단부측이 지지 프레임의 내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회전 지지축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상기한 바와 같이 매거진 내의 스테이플을 타출하기 위해 구동되는 성형 플레이트나 드라이버 플레이트의 미끄럼 이동 저항에 의해 매거진부를 구동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로 인해, 사용중의 마모나 변형 등에 수반하여 매거진의 회전 저항이 커지면, 매거진이 회전하기 어려워져 매거진의 하면이 철하는 용지에 밀착되기 전에 드라이버 플레이트에 의해 스테이플이 매거진부로부터 철하는 용지를 향해 타출되어 버리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철하는 용지면과 타출 통로간에 스테이플 다리를 유도하는 가이드가 형성되지 않으므로, 스테이플 다리의 좌굴이 발생하여 철하는 데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일본 실용신안 공고 평06-007896과 같이, 드라이버 플레이트를 구동시키는 링크와 매거진 사이에 개재 장착한 압축 스프링의 탄력에 의해 매거진을 작동시키도록 하면, 다소 매거진의 작동 저항이 커졌다 해도 드라이버 플레이트에 의해 스테이플이 타출되기 이전에 매거진을 작동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철하는 용지의 두께의 변동에 대응시키기 위해 매거진을 철하는 용지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작동시키도록 전동 스테이플러에서는, 매거진을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는 지지 프레임과 매거진간의 미끄럼 이동 저항이 커진다. 이로 인해, 압축 스프링에 의해 매거진을 확실하게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압축 스프링의 탄력을 크게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고, 이 큰 하중의 스프링력을 거쳐서 성형 플레이트와 드라이버 플레이트를 작동시키게 되어 구동 모터의 부하가 커져 버린다. 따라서, 구동 모터의 대형화, 구동 전류의 증대 등의 필요가 생겨, 전력 절약화에 방해된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를 해결하여, 스테이플 구동 기구에 의한 매거진 내의 스테이플의 타출이 행해지기 전에, 매거진과 클린처 기구 사이에서 철하는 용지를 확실하게 클램프할 수 있도록 매거진을 클린처 기구 방향으로 작동시키는 전동 스테이플러의 구동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전동 스테이플러 기구는, 연결 스테이플이 장전된 카트리지를 장착한 매거진을 지지 프레임에 의해 클린처부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시켜, 상기 매거진의 측면에 캠 종동기를 돌출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스테이플 구동 기구를 구동시키는 구동 회전 부재에 상기 캠 종동기와 결합하는 캠 홈을 형성하고, 캠 종동기를 캠 홈과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매거진을 구동 회전 부재에 의해 클린처의 방향으로 직접 작동시키도록 한 것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매거진을 지지 프레임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시키는 동시에, 매거진의 측면에 캠 종동기를 돌출 형성하고, 이 캠 종동기를 지지 프레임의 외측 측면에 배치한 스테이플 구동 기구를 구동시키는 구동 회전 부재에 형성한 캠과 결합시킴으로써 매거진을 구동 회전 부재에 의해 직접 작동시키도록 하고 있으므로, 매거진을 지지하고 있는 지지 프레임과의 미끄럼 이동 저항이 커졌다고 해도, 매거진 내의 스테이플의 타출이 행해지기 이전에 매거진과 클린처 기구 사이에서 철하는 용지가 클램프되도록 매거진이 작동되므로, 철하는 용지가 클램프되기 이전에 스테이플이 타출되어 좌굴이 발생하는 등의 스테이플 철하는 데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스테이플의 타출 작동에 앞서 매거진을 클린처 기구부의 방향으로 작동시켜 철하는 용지를 확실하게 클램프시키는 목적은, 매거진에 형성한 캠 종동기를 스테이플 구동 기구를 구동시키는 구동 회전 부재에 형성한 캠 홈과 결합시킴으로써 실현된다.
도1은, 본 발명이 실시예에 관한 전동 스테이플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2는, 도1과 같은 전동 스테이플러의 박아 넣음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3은, 매거진과 매거진의 작동 기구를 구성하고 있는 부품의 분해 사시도.
도4는, 비작동 상태의 스테이플 구동 기구와 매거진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5는, 스테이플 철하기 작동을 개시한 직후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4와 같은 모식도.
도6은, 스테이플 철하기 작동이 완료된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4와 같은 모식도.
도7은, 비작동 상태의 스테이플 공급 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8은, 공급 동작한 후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4와 같은 사시도.
또, 도면 중 부호, 1은 전동 스테이플러, 4는 지지 프레임, 5는 매거진, 7은 타출부, 8은 스테이플 구동 기구, 9는 구동 회전 부재, 17은 캠 종동기, 21은 캠 홈, 24는 스테이플 공급 기구를 나타낸다.
도1은 본 발명의 스테이플 공급 기구를 실시한 전동 스테이플러의 전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전동 스테이플러(1)는 복사기나 인쇄기 등의 내부 용지의 반송로에 배치되어, 복사나 인쇄 처리된 복수의 철하는 용지를 철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전동 스테이플러(1)는, 다수의 곧은 형상의 스테이플재를 병렬시켜 인접한 스테이플재끼리를 접착제 등에 의해 연결하여 시트 형상으로 형성된 연결 스테이플을, 성형용 앤빌과 스테이플을 타출 안내하는 타출 통로가 형성된 타출부에 공급하여, 연결 스테이플의 선두 부분의 곧은 형상의 스테이플재를 역ㄷ자형의 스테이플로 성형하는 동시에, 역ㄷ자형으로 성형된 스테이플을 철하는 용지를 향해 타출하도록 한 스테이플 구동부(2)와, 용지를 관통한 스테이플 다리를 철하는 용지의 이면을 따라 절곡하는 클린처부(3)에 의해 구성된다. 복사기나 인쇄기 등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철하는 용지의 반송로를 사이에 두어 한쪽 측에 상기 스테이플 구동부(2)가 배치되고 반송로의 반대측에 상기 클린처부(3)가 배치되어 있다.
스테이플 구동부(2)는, 철하는 용지의 반송로의 한쪽 측에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지지 프레임(4)과, 이 한 쌍의 지지 프레임(4) 사이에서 반송로에 배치된 용지를 향해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매거진(5)과, 상기 매거진(5)의 내 부에 장착되는 시트 형상의 연결 스테이플이 장전된 카트리지(6)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카트리지(6)의 전방 부분에는 시트 형상의 연결 스테이플의 선두 부분의 곧은 형상의 스테이플재를 역ㄷ자형으로 성형하기 위한 앤빌과, 역ㄷ자형으로 성형된 스테이플을 철하는 용지를 향해 타출 안내하는 타출 통로를 형성하고 있는 타출부(7)가 형성되어 있다. 매거진(5)에는 카트리지(6)에 장전되어 있는 연결 스테이플을 상기 타출부(7)를 향해 공급하는 스테이플 공급 기구와, 곧은 형상의 스테이플재를 역ㄷ자형으로 성형하는 동시에 역ㄷ자형으로 성형된 스테이플을 타출하는 스테이플 구동 기구(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양 지지 프레임(4)의 외측 측면에는 외주면에 치형부가 형성된 구동 회전 부재(9)가 지지축(1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지지 프레임(4)과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구동 모터(11)에 의해 구동 회전 부재(9)가 회전됨으로써, 상기 매거진(5)과 스테이플 구동 기구(8)는 구동된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회전 부재(9)는 양 지지 프레임(4)의 외측 측면에 지지축(1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 구동 회전 부재(9) 각각의 외측면에는 성형 링크(12)가 배치되어 있고, 이 성형 링크(12)에 의해 상기 타출부(7)의 앤빌과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는 성형 플레이트(13)가 구동된다. 또한, 구동 회전 부재(9) 각각의 내측면에 배치되어 있는 드라이버 링크(14)에 의해, 상기 타출부(7)의 타출 통로와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는 드라이버 플레이트(15)가 구동된다. 또한, 매거진(5)의 외측면에는 구동 회전 부재(9)를 향해 돌출 형성된 캠 종동기(17)가 형성되어 있다. 이 캠 종동기(17)가 구동 회전 부재(9)에 형성된 캠 홈과 결합함으로써,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매거진(5)이 지지 프레임(4)에 대해 하방으로 작동된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매거진(5)은, 매거진(5)의 외측면에 형성된 가이드 홈(18)이 지지 프레임(4)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 돌기(19)와 결합함으로써, 지지 프레임(4)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매거진(5)의 외측면에 돌출 형성된 캠 종동기(17)는, 지지 프레임(4)에 형성된 절결부(20)로부터 지지 프레임(4)의 외측면까지 돌출되어, 구동 회전 부재(9)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캠 홈(21)과 결합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구동 회전 부재(9)가 회전됨으로써, 매거진(5)이 지지 프레임(4)에 대해 하부 방향으로 구동되어, 매거진부(5)와 클린처부(3) 사이에서 철하는 용지가 협지된다.
도2 및 도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4)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구동 회전 부재(9)의 외측면에는 성형 캠(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성형 플레이트(13)에 일단부가 연결된 성형 링크(12)의 중앙부가 이 성형 캠(22)에 결합됨으로써, 성형 플레이트(13)가 구동 회전 부재(9)에 의해 구동된다. 또한,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회전 부재(9)의 내측면에는 드라이버 캠(23)이 형성되어 있다. 드라이버 플레이트(15)를 구동시키는 드라이버 링크(14)의 중앙부가 이 드라이버 캠(23)과 결합됨으로써, 구동 회전 부재(9)에 의해 드라이버 플레이트(15)가 구동된다.
이하 도4 내지 도6에 의해 매거진(5)과 스테이플 구동 기구(8)를 구성하고 있는 드라이버 플레이트(15)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동 스테이플러(1)가 비작동의 상태에서는, 매거진(5)에 형성된 캠 종동기(17)와 구동 회전 부재(7)에 형성된 캠 홈(21)에 의해 매거진(5)은, 매거진(5)과 클린처부(3) 사이에 철하는 용지를 삽입할 수 있는 간극이 형성되도록 지지 프레임(4)에 대해 상방 위치에 보유 지지되어 있다. 또한, 드라이버 링크(14)의 선단부에 연결된 드라이버 플레이트(15)도 드라이버 링크(14)의 중앙부가 드라이버 캠(23)과 결합되어 상방 위치에 대기되어 있다.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동 스테이플러(1)가 작동되면, 구동 회전 부재(9)가 회전 구동함으로써 매거진(5)의 캠 종동기(17)가 구동 회전 부재(9)의 캠 홈(21)과 결합되어 매거진(5)이 클린처부(3)를 향해 하부 방향으로 작동되고, 매거진부(5)와 클린처부(3) 사이에서 철하는 용지를 클램프시킨다. 이 때 드라이버 플레이트(15)도 드라이버 링크(14)를 거쳐서 드라이버 캠(23)에 의해 하부 방향으로 작동되지만, 매거진(5)의 작동과 드라이버 플레이트(15)의 작동이 동기하여 작동하도록 캠 홈(21)과 드라이버 캠(23)의 형상을 형성함으로써, 매거진(5)과 드라이버 플레이트(15) 사이에는 상대적인 작동이 없다. 이로 인해, 매거진(5)으로부터 드라이버 플레이트(15)에 의해 스테이플이 타출되어 버리는 일이 없다.
매거진(5)이 클린처부(3)와의 사이에서 철하는 용지를 클램프한 위치까지 작동한 상태에서, 구동 회전 부재(9)의 캠 홈(21)에 의해 매거진(5)은 상기 클램프 위치에 보유 지지된다. 이 상태에서,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라이버 링크(14)와 드라이버 캠(23)에 의해 드라이버 플레이트(15)가 더욱 하부 방향으로 작동되어, 매거진(5) 내의 스테이플을 매거진(5)의 선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타출부(7)로 부터 철하는 용지를 향해 타출한다. 그리고, 철하는 용지를 관통한 스테이플의 다리가 클린처부(3)에 의해 철하는 용지의 이면을 따라 절곡되어 스테이플 철하기가 완료된다. 스테이플 철하기가 완료되면 구동 회전 부재(9)의 회전에 의해 각각의 캠면(21, 23)에 의해 매거진(5)과 드라이버 플레이트(15)가 상방으로 복귀되어, 소정의 스테이플 철하기 행정이 완료된다.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매거진(5)에는 카트리지(6)에 적층하여 장전된 연결 스테이플을 타출부(7)를 향해 차례로 공급하는 스테이플 공급 기구(2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매거진(5)의 슬라이드 작동에 관련하여 이 스테이플 공급 기구(24)가 작동된다. 스테이플 공급 기구(24)는, 카트리지(6)의 스테이플 수용부로부터 타출부(7)를 향해 형성되어 있는 스테이플 가이드(25)의 하면을 따라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공급 부재(26)와, 상기 공급 부재(26)를 미끄럼 이동 작동시키도록 슬라이드 가능하게 형성된 작동 부재(27)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공급 부재(26)에는 선단부가 칼날 형상으로 형성된 이송 갈고리(28)를 보유 지지하고 있는 갈고리 홀더(29)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공급 부재(26)의 슬라이드 이동에 수반하여 갈고리 홀더(29)가 회전하여, 이송 갈고리(28)의 선단부가 스테이플 가이드(25)에 형성된 개구부(25a)로부터 스테이플 가이드(25)의 상면측으로 돌출되어 연결 스테이플과 결합하여, 연결 스테이플은 타출부(7)를 향해 공급된다.
매거진(5)측에 형성되어 있는 작동 부재(27)는, 상기 공급 부재(26)와 대향하도록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스프링(30)에 의해 연결 스테이플을 타출부(7)를 향해 공급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압박되어 있다. 스프링(30)의 탄발력 에 의해 작동 부재(27)가 스테이플 공급 방향으로 작동함으로써, 공급 부재(26)를 스테이플 공급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연결 스테이플을 공급한다. 상기 작동 부재(27)에는 양단부가 매거진(5)의 양 측면까지 연장된 작동축(31)이 관통되어 있다. 이 작동축(31)의 양단부에 매거진(5)의 양 측면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미끄럼 이동 부재(32)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매거진(5)의 양측면에는 지지 프레임(4)에 형성된 볼록부(33)와 결합하는 결합부(34)와, 상기 미끄럼 이동 부재(32)와 결합하는 결합부(35)가 형성된 회전 링크(36)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전동 스테이플러(1)가 비작동의 상태에서는,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매거진(5)이 상방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회전 링크(36)도 상방에 배치되어, 회전 링크(36)의 결합부(34)가 지지 프레임(4)의 볼록부(33)와 결합됨으로써 회전 링크(36)의 시침 방향의 회전이 저지된다. 이로 인해, 회전 링크(36)의 다른 쪽 결합부(35)가 미끄럼 이동 부재(32)와 결합하여 미끄럼 이동 부재(32)의 전방으로의 이동이 저지되고, 미끄럼 이동 부재(32)를 후방단부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상기 미끄럼 이동 부재(32)와 작동축(31)을 거쳐서 연결되어 있는 작동 부재(27)가 스프링(30)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후방단부 위치에 배치되고, 공급 부재(26)와 이에 보유 지지되어 있는 갈고리 홀더(29)도 작동 부재(27)에 의해 후방 위치에 배치되어, 이송 갈고리(28)의 선단부가 스테이플 가이드(25)의 하면측으로 퇴피되어 있다.
전동 스테이플러(1)가 작동되면,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회전 부재(9) 에 형성된 캠 홈(21)에 의해 매거진(5)이 지지 프레임(4)에 대해 하부 방향으로 작동되어, 매거진(5)에 지지되어 있는 회전 링크(36)도 지지 프레임(4)에 대해 하부 방향으로 이동한다. 회전 링크(36)가 하부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회전 링크(36)의 결합부(34)가 지지 프레임(4)의 볼록부(33)로부터 이격되므로 회전 링크(36)가 시침 방향으로 회전 가능해지고, 회전 링크(36)의 다른 쪽 결합부(35)와 결합하여 후방단부 위치에 보유 지지되어 있던 미끄럼 이동 부재(32)가 전방으로 이동 가능해진다. 미끄럼 이동 부재(32)가 이동 가능해지면 작동 부재(27)가 스프링(30)의 압박력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여 공급 부재(26)와 갈고리 홀더(29)를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갈고리 홀더(29)가 전방으로 이동하면 갈고리 홀더(29)가 회전하여 갈고리 홀더(29)에 보유 지지된 이송 갈고리(28)의 선단부가 스테이플 가이드(25)의 개구부(25a)로부터 상면측으로 돌출되고, 스테이플 가이드(25)의 상면을 따라 배치되어 있는 연결 스테이플과 결합하여 연결 스테이플이 타출부(7)로 공급된다.
스테이플 철하기가 종료되어 매거진(5)이 지지 프레임(4)에 대해 상방의 초기 위치로 복귀될 때에는, 매거진(5)의 상방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회전 링크(36)가 상방으로 이동하여, 회전 링크(36)의 결합부(34)가 지지 프레임(4)의 볼록부(33)와 결합하여 회전 링크(36)를 시침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회전 링크(36)의 다른 쪽 결합부(35)가 미끄럼 이동 부재(32)와 결합하여 미끄럼 이동 부재(32)를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미끄럼 이동 부재(32)가 후방으로 이동되면 작동축(31)을 거쳐서 작동 부재(27)가 스프링(30)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후방으로 이동되고, 또한 작동 부재(27)에 의해 공급 부재(26)와 갈고리 홀더(29)가 후방으로 이동되어 초기 의 비작동 위치로 복귀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드라이버 플레이트(15) 등의 스테이플 구동 기구(8)를 구동시키는 구동 회전 부재(9)에 의해 매거진(5)을 작동시키도록 하는 동시에, 이 매거진(5)의 작동에 관련하여 스테이플 공급 기구(24)를 작동시키도록 함으로써, 스테이플 공급 기구(24)의 이송 갈고리(28)의 작동 스트로크를 크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로 인해, 매거진(5)에 신품의 카트리지(6)를 장착하였을 때나, 타출부(7)의 타출 통로 내에서 막혀 버린 스테이플을 제거하는 작업을 행한 후에, 카트리지(6) 내의 연결 스테이플을 타출부(7)까지 공급시키므로 스테이플 공급 기구(24)를 작동시키는 회수를 적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동 스테이플러는, 전술한 실시예에 기재한 복사기나 팩스 내의 용지의 반송로를 따라 배치하여 반송로를 따라 반송되는 용지를 철하도록 한 전동 스테이플러 외에, 복사기나 팩스 등의 기기로부터 배출되는 용지를 분류하는 후처리 장치에 내장되어 이들 기기에 의해 분류된 용지를 철하도록 한 전동 스테이플러나, 이들 기기에 내장되지 않고 탁상에서 사용하는 타입의 전동 스테이플러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 기재한 바와 같이 시트 형상으로 형성된 연결 스테이플을 사용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긴 연결 스테이플을 소용돌이 형상으로 권취한 연결 스테이플로 형성하여 이를 매거진 내에 장전하도록 한 전동 스테이플러, 또는, 미리 역ㄷ자형으로 성형된 스테이플을 다수 병렬시켜 연결한 연결 스테이플을 매거진에 장전하도록 한 전동 스테이플러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5)

  1. 스테이플 타출부와,
    스테이플을 상기 스테이플 타출부로 공급하는 스테이플 공급 기구를 갖고, 지지 프레임에 지지된 매거진과,
    상기 매거진에 배치되고, 상기 스테이플 타출부에 공급된 스테이플을 상기 타출부로부터 타출하는 스테이플 타출 기구와,
    상기 스테이플 타출부와 대향하여 배치되고, 철하는 용지를 관통한 스테이플의 다리를 철하는 용지의 이면을 따라 절곡하는 클린처 기구와,
    회전 구동 부재와,
    상기 매거진의 측면에 돌출 형성된 캠 종동기와,
    상기 회전 구동 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캠 종동기와 결합함으로써 상기 매거진을 상기 클린처 기구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캠 홈을 구비하는 전동 스테이플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플 타출부는, 연결 스테이플을 장전하는 카트리지에 형성되고, 스테이플을 타출 안내하는 타출 통로를 갖고,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매거진에 장착되는 전동 스테이플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회전 부재는, 상기 지지 프레임의 외측에 지지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전동 스테이플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플 타출 기구, 상기 스테이플 타출부와 대향하여 배치된 성형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성형 플레이트는 상기 구동 회전 부재의 회전에 의해 구동되는 전동 스테이플러.
  5. 제1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매거진의 외측면에 형성된 가이드 홈과,
    상기 지지 프레임의 내측면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매거진은 상기 지지 프레임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전동 스테이플러.
KR1020067000296A 2003-07-07 2004-07-06 전동 스테이플러 KR1010878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271627 2003-07-07
JP2003271627A JP4239732B2 (ja) 2003-07-07 2003-07-07 電動ステープラーの駆動機構
PCT/JP2004/009900 WO2005002799A1 (ja) 2003-07-07 2004-07-06 電動ステープラ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0656A true KR20060040656A (ko) 2006-05-10
KR101087838B1 KR101087838B1 (ko) 2011-11-30

Family

ID=33562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0296A KR101087838B1 (ko) 2003-07-07 2004-07-06 전동 스테이플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165709B2 (ko)
EP (1) EP1652627B1 (ko)
JP (1) JP4239732B2 (ko)
KR (1) KR101087838B1 (ko)
CN (1) CN100396444C (ko)
DE (1) DE602004025818D1 (ko)
TW (1) TW200510139A (ko)
WO (1) WO20050027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0500911L (sv) * 2005-04-25 2006-02-21 Isaberg Rapid Ab Häftapparat
CA2624798A1 (en) * 2005-10-04 2007-04-12 Max Co., Ltd. Electric stapler
JP5428515B2 (ja) * 2009-05-15 2014-02-26 マックス株式会社 電動ステープラおよび電動ステープラのモータ駆動方法
JP4985727B2 (ja) * 2009-08-24 2012-07-25 マックス株式会社 電動ステープラにおける用紙クランプ機構
JP5333083B2 (ja) * 2009-09-08 2013-11-06 マックス株式会社 電動ステープラ
JP5954028B2 (ja) 2011-10-13 2016-07-20 マックス株式会社 ステープル用リフィル
JP2023020678A (ja) * 2021-07-30 2023-02-09 マックス株式会社 装置
CN113752720A (zh) * 2021-09-23 2021-12-07 上海电机学院 一种自动订书机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70805A (en) * 1955-02-25 1956-11-20 Elzer Philip Stapling machines
JPS4836313Y1 (ko) * 1969-08-15 1973-10-31
JPS5953171A (ja) * 1982-09-16 1984-03-27 明邦商事株式会社 電動ステ−プラ
US5413266A (en) * 1991-09-17 1995-05-09 Acco Usa, Inc. Compact gear arm powered stapler with movable anvil
SE9201231L (sv) * 1992-04-16 1993-05-17 Isaberg Ab Haeftapparat foer indrivning av haeftklamrar
JP3064104B2 (ja) 1992-06-24 2000-07-1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双ドラム式連続鋳造設備の鋳片先導装置
SE9301873L (sv) * 1993-06-02 1994-05-24 Isaberg Ab Häftapparat för indrivning av häftklamrar
EP0779134B1 (en) * 1995-12-11 2000-04-12 Max Co., Ltd. Electric stapler
DE19607296A1 (de) * 1996-02-27 1997-08-28 Kodak Ag Heftvorrichtung zum Zusammenheften von Blättern
US6050471A (en) * 1996-10-23 2000-04-18 Max Co., Ltd. Electric stapler
JP3508496B2 (ja) * 1996-11-13 2004-03-22 マックス株式会社 電動ホッチキス
JP2000167782A (ja) * 1998-12-02 2000-06-20 Nisca Corp ステープラ用針パッケージ及びステープラ装置
JP3620351B2 (ja) * 1999-07-06 2005-02-16 マックス株式会社 電動ステープラー
JP4135289B2 (ja) * 2000-02-28 2008-08-20 マックス株式会社 上下分離タイプのステープルシート後処理装置
JP4524868B2 (ja) * 2000-06-21 2010-08-18 マックス株式会社 電動ホッチキス
JP2002355803A (ja) * 2001-05-31 2002-12-10 Nisca Corp ステープル装置
US6896167B2 (en) * 2001-08-09 2005-05-24 Max Co., Ltd. Driver unit and electric stapler
JP4784020B2 (ja) * 2001-08-23 2011-09-28 マックス株式会社 電動ホッチキスにおけるステープルの検出機構
JP3914967B2 (ja) * 2002-05-13 2007-05-16 株式会社ケーティーエフ 電動ステープラ
JP3955251B2 (ja) * 2002-09-30 2007-08-0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ステープ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165709B2 (en) 2007-01-23
TWI326241B (ko) 2010-06-21
DE602004025818D1 (de) 2010-04-15
CN100396444C (zh) 2008-06-25
EP1652627B1 (en) 2010-03-03
WO2005002799A1 (ja) 2005-01-13
EP1652627A4 (en) 2008-09-24
KR101087838B1 (ko) 2011-11-30
EP1652627A1 (en) 2006-05-03
JP2005028786A (ja) 2005-02-03
CN1816423A (zh) 2006-08-09
TW200510139A (en) 2005-03-16
JP4239732B2 (ja) 2009-03-18
US20060157530A1 (en) 200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7838B1 (ko) 전동 스테이플러
US5150826A (en) Apparatus for forming and driving staples
US20090308905A1 (en) Staple-forming apparatus
JP5211830B2 (ja) ホッチキスにおけるステープル送り機構
JP7003824B2 (ja) カートリッジ
EP1733856B1 (en) Self-propelled stapler
JPH11216687A (ja) ステープル装置
EP1535709B1 (en) Electric stapler and method for binding sheets and forming a fold line
WO2005115698A1 (ja) ステープラーのクリンチャ装置
KR100789520B1 (ko) 스테이플러
JP2004001450A (ja) ステープル成形装置
US10695942B2 (en) Stapler
JP4103710B2 (ja) 電動ステープラーのステープル供給機構
KR101154719B1 (ko) 스테이플러
JPH06206179A (ja) ステープルの成形打ち込み装置及び使用カートリッジ
JP2005014416A (ja) 電動ステープラーのステープル供給機構
JPH08188328A (ja) シート材後処理装置及び、シート材綴じ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096552B2 (ja) ステープルカートリッジ
JPH08295451A (ja) 用紙綴じ装置
JPH0776453A (ja) シート材後処理装置
JP2000190250A (ja) 自動ステ―プ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