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9281A - 건설기계의 선회 프레임구조 - Google Patents

건설기계의 선회 프레임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9281A
KR20060029281A KR1020067000342A KR20067000342A KR20060029281A KR 20060029281 A KR20060029281 A KR 20060029281A KR 1020067000342 A KR1020067000342 A KR 1020067000342A KR 20067000342 A KR20067000342 A KR 20067000342A KR 20060029281 A KR20060029281 A KR 200600292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plate
construction machine
frame
hole
side pl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0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2544B1 (ko
Inventor
노조무 다나카
야스오 고이데
히로유키 이소베
Original Assignee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3271468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5030089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271484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5030092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271472A external-priority patent/JP431695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271478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5030091A/ja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29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92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2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25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08Improving mounting or assembling, e.g. frame elements, disposition of all the components on the superstructures
    • E02F9/0816Welded frame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8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welds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10T29/49895Associating parts by use of aligning means [e.g., use of a drift pin or a "fix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978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including means to relatively position plural work par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46Rod end to transverse side of member
    • Y10T403/4602Corner joi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회체(21)에 구비되어 측판(6, 7)과 격벽(8)을 서로 접합시킨 센터 프레임(1)을 가지는 유압셔블의 선회 프레임구조에 있어서, 측판(6, 7)과 격벽(8)을 서로 걸어맞추게 하는 걸어맞춤부를 구비하고, 상기 걸어맞춤부는 끼워 넣음 구조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끼워 넣음 구조부가, 측판(6, 7)의 각각에 형성한 구멍(6a, 7a)과, 격벽(8)의 양쪽 가장자리부에 설치되어 측판(6, 7)의 구멍(6a, 7a)에 끼워 넣어지는 돌출부(8a, 8b)로 이루어져, 측판과 바닥판을 서로 고정 유지하는 유지 지그를 필요로 하지 않고 센터 프레임을 제작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설기계의 선회 프레임구조{REVOLING-FRAME STRUCTURE OF CONSTRUCTION MACHINERY}
본 발명은 유압셔블 등의 건설기계의 선회체에 구비되는 건설기계의 선회 프레임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2는 건설기계의 일례로서 든 유압셔블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 유압셔블은 주행체(20)상에 선회체(21)가 배치되어 있고, 이 선회체(21)에 본 발명이 대상으로 하고 있는 선회 프레임(22)이 구비되어 있다.
이 선회 프레임(22)의 종래구조로서 예를 들면 도 13, 도 14에 나타내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도 13은 평면도, 도 14는 측면도이다. 이들 도 13, 도 14에 나타내는 종래의 선회 프레임구조는, 앞쪽 위치에 센터 프레임(23)을 구비하고, 뒤쪽 위치에 테일 프레임(24)을 구비하고 있다. 센터 프레임(23)은 바닥판(25)과, 이 바닥판(25)위에 세워 설치되고, 용접 접합되는 한 쌍의 웨브, 즉 측판(26, 27)과, 이들 측판(26, 27) 사이에 용접 접합되는 판부재, 즉 격벽(28)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센터 프레임(23)이 구성되는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센터 프레임(23)의 제작에 있어서 한 쌍의 측판(26, 27) 사이에 격벽(28)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이들 측판(26, 27)과 격벽(28)을 고정 유지하는 유지 지그 외에, 한 쌍의 측판(26, 27)과 바닥판(25)을 고정 유지하는 별도의 큰 유지 지그가 필요하게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측판(26, 27)과 격벽(28)을 유지 지그로 유지시킨 상태에 있어서는 한 쌍의 측판(26, 27)은 움직이기 쉽고, 이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이들 측판(26, 27)과 바닥판(25)을 서로 위치 결정하여 고정 유지하는 별도의 유지 지그가 필요하게 된다. 그리고 각 유지 지그로 측판(26, 27), 격벽(28), 바닥판(25)을 고정 유지하여 위치 결정한 상태에서 용접에 의하여 임시로 부착하고, 그후 최종적인 위치 조정이 이루어져 서로 본용접에 의하여 이들 측판(26, 27), 격벽(28), 바닥판(25)이 일체화되어 센터 프레임(23)이 완성된다.
또, 테일 프레임(24)에는 한쌍의 프레임부재(29, 30)가 설치되고, 이들 프레임부재(29, 30) 사이에 가로 빔(31, 32)이 배치되고, 이들 프레임부재(29, 30)에 접합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부재(29, 30)의 각각은 가로 빔(31, 32)이 접합되는 측판(29a, 30a)과, 이들 측판(29a, 30a)상에 위치하는 상플랜지(29b, 30b)를 구비하고 있다. 가로 빔(31, 32)상에는 엔진을 고정하는 별체의 브래킷이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도 15는 도 13에 나타내는 선회 프레임구조에 구비되는 테일 프레임을 구성하는 I 빔, 즉 프레임부재의 상플랜지와, 센터 프레임을 구성하는 측판과의 접속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15(a)는 주요부 평면도, 도 15(b)는 주요부 측면도이다. 종래 일반적으로 예를 들면 테일 프레임(24)을 구성하는 프레임부재(30)의 상플랜지(30b)의 전단면과, 센터 프레임(23)을 구성하는 측판(27)은 도 15(a), 도 1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접부(33)에 의하여 접합되어 있다. 이 용접부(33)는 도 1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플랜지(30b)의 전단부와 측판(27)과의 맞댐부와, 도 1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플랜지(30b)의 전단부와 측판(27)의 측면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도시 생략한 상플랜지(29b)와 센터 프레임(23)을 구성하는 측판(26)과의 접합부분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또한 도 15(a)에 나타내는 L1은 프레임부재(30)와 센터 프레임(23)의 측판(27)과의 접합강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설정되는 비드 신장치수이다. 특히 센터 프레임(23)의 측판(26, 27)의 측면에 형성되는 용접부(33)는 통상 수작업으로 몇번이나 덧살용접된 후, 상플랜지(29b, 30b)의 형상에 따라 끝이 가는 형상으로 그라인더 마무리가 실시된다. 이와 같이 상플랜지(29b, 30b)의 형상을 따른 끝이 가는 형상으로 그라인더 마무리하는 것은, 이 용접부(33), 즉 용접 접합부분에 있어서의 응력 집중을 완화시키기 위함이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 특허제2719469호공보 - 참조).
또 다른 종래기술로서 상기한 가로 빔(31, 32)의 각각에 엔진을 고정하는 브래킷을 일체적으로 형성하여 프레임측 브래킷, 즉 엔진 브래킷으로 한 것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엔진 브래킷의 각각은 한 쌍의 프레임부재 사이, 즉 I 빔 사이에 배치되고, 이들 프레임부재에 용접에 의하여 접합되도록 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 일본국 특개2000-64353공보 - 참조).
상기한 특허문헌 2에 나타내는 종래기술은 특허문헌 1에 나타내는 종래기술에 비하여 부재 점수가 적어지는 이점이 있으나, 테일 프레임(24)의 제작에 있어서 한 쌍의 I 빔 사이에 엔진 브래킷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이들 I 빔과 엔진 브래킷의 각각을 고정하는 유지 지그가 필요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유지 지그로 l빔과 엔진 브래킷을 고정 유지하여 위치 결정한 상태에서 I 빔의 측판과 엔진 브래킷의 각각을 용접에 의하여 임시로 부착하고, 그후 서로 본용접에 의하여 이들 I 빔과 엔진 브래킷이 일체화되어 테일 프레임이 완성된다.
특허문헌 1에 나타낸 종래기술은 한쌍의 측판(26, 27)과 격벽(28)을 유지 지그로 고정 유지시킨 상태이더라도 측판(26, 27)과 격벽(28)이 단지 면접촉을 거쳐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서로 움직이기 쉽고, 따라서 유지 지그로 유지된 측판(26, 27)과 격벽(28)을 바닥판(25)상에 배치하여 위치 결정할 때에 상기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측판(26, 27)과 바닥판(25)을 고정 유지하는 별도의 큰 유지 지그가 필요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종래기술은 유지 지그의 수가 많아져 이 유지 지그의 제작비가 비싸지는 문제가 있다. 또 상기한 측판(26, 27)과 바닥판(25)을 유지하는 유지 지그는 형상치수가 크기 때문에 그 유지 지그의 취급이 번잡해지고, 보관장소로서 큰 배치 스페이스가 필요하게 됨과 동시에, 이 유지 지그의 유지 관리비가 증가하기 쉬운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있어서의 실상으로부터 이루어진 것으로, 그 제 1 목적은 측판과 바닥판을 서로 고정 유지하는 유지 지그를 필요로 하지 않고 센터 프레임을 제작할 수 있는 건설기계의 선회 프레임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 특허문헌 1에 나타낸 종래기술은 테일 프레임(24)을 구성하는 프레임부재(29, 30)의 상플랜지(29b, 30b)와, 센터 프레임(23)을 구성하는 측판(26, 27)을 용접접합시킬 때에 상기한 바와 같이 수작업으로 덧살용접한 후에, 이 덧살용접한 부분의 일부를 제거하는 그라인더 마무리를 필요로 하고 있고, 이 때문에 작업공정수가 증가하여 제작비가 비싸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있어서의 실상으로부터 이루어진 것으로, 제2 목적은 테일 프레임을 구성하는 프레임부재의 상플랜지와, 센터 프레임을 구성하는 측판과의 용접접합에 있어서, 그라인더 마무리를 필요로 하지 않고 접합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건설기계의 선회 프레임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 나타낸 종래기술은 한 쌍의 I 빔의 측판과, 엔진 브래킷의 각각을 고정 유지하는 유지 지그가 필요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특허문헌 1에 나타내는 종래기술에 비하여 부재점수를 적게 할 수 있는 이점은 있으나, 특별한 유지 지그를 필요로 함으로써, 이 유지 지그의 제작에 비용이 소요되어 테일 프레임(24)의 제작비가 비싸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 유지 지그는 형상치수가 크기 때문에 그 취급이 번잡해지고, 보관장소로서 큰 배치 공간이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있어서의 실상으로부터 이루어진 것으로 제 3 목적은 엔진 브래킷과 프레임부재를 서로 고정 유지하는 유지 지그를 필요로 하지 않고 테일 프레임을 제작할 수 있는 건설기계의 선회 프레임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제 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 1 수단은 건설기계의 선회체에 구비되어 측판과 격벽을 서로 접합시킨 센터 프레임을 가지는 건설기계의 선회 프레임구조에 있어서, 상기 측판과 상기 격벽을 서로 걸어맞추게 하여 위치 결정시키는 걸어맞춤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센터 프레임의 제작에 있어서 걸어맞춤부를 거쳐 측판과 격벽을 걸어맞추게 하여 위치 결정한 상태에서 이들 측판과 격벽을 소정의 유지 지그에 의하여 서로 고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걸어맞춤부 및 유지 지그를 거쳐 격벽과 측판을 강고한 일체물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강고한 일체물로 한 측판 및 격벽을 바닥판상에 배치하면, 이들 측판, 격벽을 포함하는 일체물을 바닥판상에 안정되게 배치하여 위치 결정할 수 있다. 그 결과, 센터 프레임의 제작에 있어서의 용접 개시전에 종래와 같이 측판과 바닥판을 유지하는 큰 유지 지그를 필요로 하지 않아 종래에 비하여 유지 지그에 소요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음과 동시에, 측판과 바닥판을 유지하는 유지 지그의 취급이라든가, 보관장소에 대하여 고려하지 않아도 되어 센터 프레임의 제작 전체에 필요로 하는 유지 지그의 유지 관리비를 종래에 비하여 저감할 수 있다.
그때 상기 걸어맞춤부는 예를 들면 끼워 넣음 구조부로 구성한다. 이것에 의하여 센터 프레임의 제작에 있어서 끼워 넣음 구조부를 거쳐 측판과 격벽을 일체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끼워 넣음 구조부를, 상기 측판에 형성한 구멍과, 상기 격벽에 형성되어 상기 구멍에 끼워 넣어지는 돌출부로 구성하면 좋다. 이에 의하여 센터 프레임의 제작에 있어서, 측판에 형성된 구멍에 대하여 격벽에 형성된 돌출부를 끼워 넣음으로써 측판의 면부와 격벽의 옆 가장자리부를 밀착시킬 수 있어, 강고한 일체물로 형성할 수 있다.
또 상기 격벽의 양쪽 가장자리부에 상기 측판을 각각 대향시켜 한 쌍 구비함 과 동시에, 이들 측판의 각각에 상기 구멍을 형성하여 이들 구멍에 끼워 넣어지는 돌출부를 상기 격벽의 상기 양쪽 가장자리부의 각각에 형성하면 좋다. 이에 의하여 센터 프레임의 제작에 있어서 한 쌍의 측판의 각각에 형성된 구멍에, 격벽의 양쪽 가장자리부의 각각의 돌출부가 대응하는 것을 끼워 넣음으로써, 한 쌍의 측판과, 이들 측판 사이에 배치되는 격벽을 서로 밀착시킬 수 있어 강고한 일체물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판에 이 건설기계의 매달아 올림을 가능하게 하는 매달음 구멍과, 부움 후트핀 구멍과, 부움 실린더 핀 구멍을 설치하고, 상기 측판의 상기 구멍을, 상기 부움 후트핀 구멍의 중심과 상기 매달음 구멍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보다도 아래 쪽 위치로서, 상기 부움 실린더 핀 구멍의 중심과 상기 매달음 구멍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보다도 윗쪽 위치에 형성하면 좋다. 이와 같이 측판의 구멍을, 부움 후트핀 구멍의 중심과 매달음 구멍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보다도 아래 쪽의 영역으로서, 부움 실린더 핀 구멍의 중심과 매달음 구멍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보다도 윗쪽의 영역에 위치시키면 측판의 강도저하를 억제하면서 측판과 격벽을 포함하는 강고한 일체물로 할 수 있다. 이 결과, 센터 프레임이 안정된 구조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제 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 2 수단은, 건설기계의 선회체에 구비되고, 측판과 바닥판을 서로 접합시킨 센터 프레임을 가지는 건설기계의 선회 프레임구조에 있어서, 상기 측판과 상기 바닥판을 서로 걸어맞추게 하여 위치 결정시키는 걸어맞춤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센터 프레임의 제작에 있어서 걸어맞춤부를 거쳐 센터 프레임의 측판이 바닥판상에 위치 결정된다. 이에 의하여 측판과 바닥판을 서로 고정하는 유지 지그를 필요로 하지 않고 이들 측판과 바닥판을 용접할 수 있다. 그 결과, 유지 지그에 소요되는 비용을 종래에 비하여 줄일 수 있고, 이 유지 지그의 취급이라든가 보관장소에 대하여 고려하지 않아도 되어 센터 프레임제작 전체에 필요로 하는 유지 지그의 유지 관리비를 종래에 비하여 저감할 수 있다.
그때, 상기 걸어맞춤부는 예를 들면 끼워 넣음 구조부로 구성한다. 이에 의하여 센터 프레임의 제작에 있어서, 끼워 넣음 구조부를 거쳐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또 상기 끼워 넣음 구조부는, 선회륜 설치면보다도 바깥쪽에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여 끼워 넣음 구조부를 거친 선회륜 안쪽의 그리스 버스로의 빗물 등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정된 건설기계의 구조의 실현에 공헌한다. 또한 상기 끼워 넣음 구조부를, 상기 바닥판에 형성한 구멍과, 상기 측판에 형성되어 상기 구멍에 끼워 넣어지는 돌출부로 구성하면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센터 프레임의 제작에 있어서 바닥판에 형성된 구멍에, 측판에 형성된 돌출부를 끼워 넣음으로써 바닥판의 상면에 측판의 하단면을 밀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측판을 상기 바닥판에 대향시켜 한 쌍 설치하여 이들 측판의 각각에 상기 돌출부를 형성하고, 이들 돌출부가 끼워 넣어지는 상기 구멍을 상기 바닥판에 각각 형성하면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센터 프레임의 제작에 있어서 바닥판의 각각에 형성된 구멍에, 측판의 각각에 형성된 돌출부의 대응하는 것을 끼워 넣음으로써 바닥판과 한 쌍의 측판을 서로 밀착시킬 수 있다.
상기 제 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 3 수단은, 건설기계의 선회체에 구비되고, 테일 프레임에 포함되는 프레임부재의 상플랜지와, 센터 프레임에 포함되는 측판을 용접 접합시킨 건설기계의 선회 프레임구조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재의 상기 상플랜지의 전단부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이 개구부에 상기 측판을 끼워 넣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테일 프레임에 포함되는 프레임부재의 상플랜지와, 센터 프레임에 포함되는 측판과의 용접 접합에 있어서는 프레임부재의 상플랜지의 전단부에 형성된 개구부에, 센터 프레임의 측판이 끼워 넣어지고, 이 상태에 있어서 상플랜지의 전단부와 센터 프레임의 측판을 용접할 수 있다. 따라서 개구부를 거쳐 프레임부재의 상플랜지와 센터 프레임의 측판 상호간의 움직임이 규제되고, 이 상태에 있어서 용접함으로써 그라인더 마무리를 필요로 하지 않고 원하는 접합강도를 확보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종래에 비하여 작업공정수를 줄일 수 있고, 이 선회 프레임의 제작비를 종래보다도 억제할 수 있다. 또 상플랜지의 전단부와 센터 프레임의 측판과의 용접에 있어서는 덧살용접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자동용접이 가능해지고, 따라서 이 자동용접에 의하여 상플랜지와 측판을 용접하게 하면, 작업공정수를 더욱 저감할 수 있다.
또 상기 상플랜지의 상기 개구부에 대향하는 상기 측판의 부분에 단차부를 설치하고, 이 단차부를 형성하는 상단면과 하단면과의 높이치수를 상기 상플랜지의 두께치수보다도 크게 설정하면 좋다. 이에 의하여 상플랜지의 전단부에 형성된 개구부에 센터 프레임의 측판이 끼워 넣어질 때에, 센터 프레임의 측판에 형성된 단차부의 상단면을 상플랜지의 상면보다도 돌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그 돌출한 부분을 이용하여 상플랜지와 센터 프레임의 측판을 용접할 수 있다.
또, 상기 측판의 상기 단차부와 상기 상플랜지의 상기 개구부의 벽면과의 사이, 상기 상플랜지의 상면과 상기 측판의 측면과의 사이, 상기 상플랜지의 전단면과 상기 측판의 측면과의 사이, 상기 상플랜지의 하면과 상기 측판의 측면과의 사이의 각각에 용접부를 형성하면 좋다. 이에 의하여 상플랜지의 전단부의 개구부에 센터 프레임의 측판을 끼워 넣은 상태에 있어서, 예를 들면 측판의 단차부와 개구부의 벽면과의 사이의 용접작업, 상플랜지의 상면과 측판의 측면과의 사이의 용접작업, 상플랜지의 전단면과 측판의 측면과의 사이의 용접작업, 상플랜지의 하면과 측판의 측면과의 사이의 용접작업을, 각각 연속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짐과 동시에, 이들 용접작업의 실시에 의하여 강고한 접합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 상기 개구부의 형상을 평면으로 보아 ㄷ자 형상으로 형성하면 좋다. 이것에 의하여 상플랜지의 전단부의 개구부에 센터 프레임의 측판을 끼워 넣을 때에, 개구부의 내벽에 측판을 밀착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상플랜지와 센터 프레임의 측판과의 위치 결정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플랜지의 상기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전단부의 형상을 평면으로 보아 끝이 가는 형상으로 형성하면 좋다. 이와 같이 상플랜지의 전단부를 평면으로 보아 끝이 가는 형상으로 형성하면, 상플랜지의 전단부와 센터 프레임의 측판 사이의 용접 접합부에 있어서의 응력집중을 완화시킬 수 있다.
상기 제 3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 4 수단은, 건설기계의 선회체에 구비되고, 엔진 브래킷과 프레임부재의 측판을 서로 접합시킨 테일 프레임을 가지는 건설기계의 선회 프레임구조에 있어서, 상기 엔진 브래킷과 상기 프레임부재의 상기 측판을 서로 걸어맞추게 하여 위치 결정시키는 걸어맞춤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테일 프레임의 제작에 있어서, 걸어맞춤부를 거쳐 엔진 브래킷과 프레임부재의 측판을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위치 결정한 엔진 브래킷및 프레임부재를, 이 테일 프레임을 형성하는 바닥판상에 배치하면 이들 엔진 브래킷, 프레임부재를 포함하는 일체물을 바닥판상에 안정되게 배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엔진 브래킷과 프레임부재를 유지하는 특별한 유지 지그가 불필요하게 된다. 이 결과, 유지 지그에 소요되는 비용을 종래에 비하여 줄일 수 있고, 테일 프레임의 제작비를 저감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은 유지 지그의 취급이라든가 보관장소에 대하여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그때 상기 걸어맞춤부는 예를 들면 끼워 넣음 구조부로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테일 프레임의 제작에 있어서 끼워 넣음 구조부를 거쳐 엔진 브래킷과 프레임부재를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끼워 넣음 구조부는 상기 프레임부재의 상기 측판에 형성한 구멍과, 상기 엔진 브래킷에 형성되어 상기 구멍에 끼워 넣어지는 돌출부로 구성하면 좋다. 이것에 의하여 테일 프레임의 제작에 있어서 프레임부재의 측판에 형성된 구멍에, 엔진 브래킷에 형성된 돌출부를 끼워 넣음으로써, 프레임부재의 측판의 면부와 엔진 브래킷의 끝부를 밀착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엔진 브래킷의 양쪽 끝부에 상기 프레임부재를 각각 대향시켜 한 쌍구비함과 동시에, 이들 프레임부재의 상기 측판의 각각에 상기 구멍을 형성하고, 이들 구멍에 끼워 넣어지는 돌출부를 상기 엔진 브래킷의 상기 양쪽 끝부의 각각에 형성하면 좋다. 이것에 의하여 테일 프레임의 제작에 있어서, 한 쌍의 프레임부재의 측판의 각각에 형성된 구멍에, 엔진 브래킷의 양쪽 끝부의 각각에 형성된 돌출부의 대응하는 것을 끼워 넣음으로써, 한 쌍의 프레임부재의 측판과, 이들 측판 사이에 배치되는 엔진 브래킷을 서로 밀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재를 I 빔으로 구성하고, 또는 상기 구멍을 상기 프레임부재의 상기 측판의 중립축상에 위치시키면, 프레임부재의 측판의 강도저하를 억제하면서 엔진 브래킷과 프레임부재의 측판을 포함하는 강고한 일체물로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건설기계의 선회 프레임구조의 일 실시형태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본 실시형태에 구비되는 센터 프레임을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센터 프레임의 평면도,
도 4는 도 2에 나타내는 센터 프레임의 주요부를 파단한 측면도,
도 5는 도 4의 A-A 단면 확대도,
도 6은 도 4의 C부 확대도,
도 7은 도 1에 나타내는 본 실시형태에 구비되는 테일 프레임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나타내는 테일 프레임의 확대 측면도,
도 9는 도 8의 B-B 단면 확대도,
도 10은 도 7에 나타내는 테일 프레임을 구성하는 I 빔의 상플랜지와, 센터 프레임을 구성하는 측판과의 접합구조를 나타내는 도,
도 11은 도 10에 나타내는 I 빔의 상플랜지와 측판과의 조립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12는 건설기계의 일례로서 든 유압셔블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은 종래의 선회 프레임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4는 도 13에 나타내는 선회 프레임구조의 측면도,
도 15는 도 13에 나타내는 선회 프레임구조에 구비되는 테일 프레임을 구성하는 I 빔, 즉 프레임부재의 상플랜지와, 센터 프레임을 구성하는 측판과의 접합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건설기계의 선회 프레임구조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는 건설기계, 예를 들면 유압셔블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앞쪽 위치에 센터 프레임(1)을 구비하고, 뒤쪽 위치에 테일 프레임(2)을 구비하고, 양쪽 위치의 각각에 사이드 프레임(3, 4)을 구비하고 있다.
[센터 프레임의 측판과 격벽과의 접합구조]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본 실시형태에 구비되는 센터 프레임을 나타내는 확대사시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센터 프레임의 평면도, 도 4는 도 2에 나타내는 센터 프레임의 주요부를 파단한 측면도, 도 5는 도 4의 A-A 단면 확대도, 도 6은 도 4의 E부 확대도이다.
본 실시형태는 센터 프레임(1)에 포함되는 한 쌍의 측판(6, 7)과, 이들 측판(6, 7) 사이에 배치되는 격벽(8)을 서로 걸어맞추게 하여 위치 결정시키는 걸어맞춤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 걸어맞춤부는 예를 들면 끼워 넣음 구조부로 이루어져 있다.
걸어맞춤부를 구성하는 이 끼워 넣음 구조부는, 예를 들면 도 3, 도 4,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측판(6, 7)의 각각에 형성한 구멍(6a, 7a)과, 격벽(8)의 양쪽 가장자리부에 형성되어 구멍(6a, 7a)에 끼워 넣어지는 돌출부(8a, 8b)로 이루어져 있다.
측판(6, 7)의 각각에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유압셔블의 매달아 올림을 가능하게 하는 매달음 구멍(9)과, 도시 생략한 부움의 밑동부분을 연결하는 핀이 삽입되는 부움 후트핀 구멍(9a)과, 부움을 구동하는 도시 생략한 부움 실린더를 연결하는 핀이 삽입되는 부움 실린더 핀 구멍(9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측판(6, 7)의 각각에 형성되는 구멍(6a, 7a)은 도 4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부움 후트핀 구멍(9a)의 중심과 매달음 구멍(9)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보다도 아래쪽 위치로서, 부움 실린더 핀 구멍(9b)의 중심과 매달음 구멍(9)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보다도 윗쪽 위치에 형성하고 있다.
[센터 프레임의 측판과 바닥판과의 접합구조]
또 본 실시형태는 센터 프레임(1)에 포함되는 한 쌍의 측판(6, 7)과, 바닥판(5)을 서로 걸어맞추게 하여 위치 결정시키는 걸어맞춤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 걸어맞춤부도 예를 들면 끼워 넣음 구조부로 이루어져 있다.
이 걸어맞춤부를 구성하는 끼워 넣음 구조부는, 예를 들면 도 4, 도 6 등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측판(7)에 대응시켜 바닥판(5)에 한 쌍 형성한 구멍(5a, 5b), 측판(6)에 대응시켜 바닥판(5)에 한 쌍 형성한 구멍, 즉 모두 4개의 구멍과, 바닥판(5)의 구멍(5a, 5b)의 각각에 대응하는 것에 끼워 넣어지는 측판(7)의 돌출부(7c, 7d)와, 바닥판(5)의 다른 구멍의 각각에 대응하는 것에 끼워 넣어지는 측판(6)의 2개의 돌출부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한 측판(7, 6)에 형성되는 돌출부(7c, 7d) 등은 도 4의 E부, F부로 예시하는 바와 같이 서로 동등한 형상치수로 설정하고 있다. 이것에 따라 바닥판(5)에 형성되는 구멍(5a, 5b) 등의 모두 4개의 구멍도, 서로 동등한 형상치수로 설정하고 있다.
또, 상기한 끼워 넣음 구조부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회륜 설치면(5c)의 바깥쪽에 위치시키고 있다.
[엔진 브래킷과 프레임부재의 측판과의 접합구조]
도 7은 도 1에 나타내는 본 실시형태에 구비되는 테일 프레임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나타내는 테일 프레임의 확대 측면도, 도 9는 도 8의 B-B 단면도이다.
또 본 실시형태는 테일 프레임(2)에 포함되는 엔진 브래킷(13, 14)과, 한 쌍의 프레임부재, 즉 I 빔(11, 12)의 측판(11b, 12b)을 서로 걸어맞추게 하여 위치 결정시키는 걸어맞춤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 걸어맞춤부도 예를 들면 끼워 넣음 구조부로 이루어져 있다.
이 걸어맞춤부를 구성하는 끼워 넣음 구조부는, 예를 들면 도 8, 도 9 등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I 빔(12)의 측판(12b)의 앞쪽 부분(12b1)에 형성한 구멍(12b3), 뒤쪽 부분(12b2)에 형성한 구멍(12b4), I 빔(11)의 측판(11b)의 앞쪽 부분에 형성한 구멍, 뒤쪽 부분에 형성한 구멍, 즉 모두 4개의 구멍과, 엔진 브래킷(13)의 양쪽 끝부에 형성되어 측판(12b)의 구멍(12b3)에 끼워 넣어지는 돌출부(13a), 측판(11b)의 앞쪽 부분에 형성한 구멍에 끼워 넣어지는 돌출부, 엔진 브래킷(14)의 양쪽 끝부에 형성되어 측판(12b)의 구멍(12b4)에 끼워 넣어지는 돌출부(14a), 측판(11b)의 뒤쪽 부분에 형성한 구멍에 끼워 넣어지는 돌출부, 즉 모두 4개의 돌출부로 이루어져 있다.
I 빔(12)의 측판(12b)에 형성되는 구멍(12b3)은 측판(12b)의 앞쪽 부분(12b1)의 중립축(15)상에 위치시키고 있고, 측판(12b)에 형성되는 구멍(12b4)은 측판(12b)의 뒤쪽 부분(12b2)의 중립축(16)상에 위치시키고 있다. 마찬가지로 I 빔(11)의 측판(11b)의 앞쪽 부분에 형성되는 구멍은, 측판(11b)의 앞쪽 부분의 중립축상에 위치시키고 있고, 측판(11b)의 뒤쪽 부분에 형성되는 구멍은, 측판(11b)의 뒤쪽 부분의 중립축상에 위치시키고 있다.
또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I 빔(11)은 측판(11b)의 하부에 하플랜지 (11a)를, 상부에 상플랜지(11c)를, 각각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I 빔(12)도 측판(12b)의 하부에 하플랜지(12a)를, 상부에 상플랜지(12c)를, 각각 일체로구비하고 있다.
[I 빔의 상플랜지와 센터 프레임의 측판과의 접합구조]
도 10은 도 7에 나타내는 테일 프레임을 구성하는 I 빔의 상플랜지와, 센터 프레임을 구성하는 측판과의 접합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10(a)는 주요부 평면도, 도 10(b)는 주요부 측면도, 도 11은 도 10에 나타내는 I 빔의 상플랜지와 측판과의 조립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a)는 주요부 평면도, 도 11(b)는 주요부 측면도이다.
도 1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I 빔(12)의 상플랜지(12c)의 전단부에 형상이 평면으로 보아 ㄷ자 형상의 개구부(12c1)를 형성하고, 이 개구부(12c1)에 센터 프레임(1)의 측판(7)을 끼워 넣게 하는 구조로 하고 있다. 도 1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센터 프레임(1)의 측판(7)에 단차부(7b)를 형성하고 있고, 이 단차부(7b)를 형성하는 상단면과 하단면의 높이 치수를, I 빔(12)의 상플랜지(12c)의 두께 치수보다도 L3만큼 큰 치수로 설정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I 빔(11)의 상플랜지(11c)의 전단부에 형상이 평면으로 보아 ㄷ자 형상의 개구부(11c1)를 형성하고, 이 개구부(11c1)에 센터 프레임(1)의 측판(6)을 끼워 넣게 하는 구조로 하고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센터 프레임(1)의 측판(6)에 단차부(6b)를 형성하고 있고, 이 단차부(6b)를 형성하는 상단면과 하단면의 높이 치수를, I 빔(11)의 상플랜지(11c)의 두 께치수보다도 도 11(b)에 나타내는 L3만큼 큰 치수로 설정하고 있다.
또, 도 1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I 빔(12)의 상플랜지(12c)의 개구부(12c1)가 형성되어 있는 전단부의 평상을 평면으로 보아 끝이 가는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개구부(12c1)의 치수를 L이라 하면, 예를 들면 상플랜지(12)의 전단부로부터 치수(L2)의 범위는 동일한 폭치수로 설정하고 있고, 이 치수(L2)에 계속되는 치수(L1)의 범위는 전단부로부터 떨어짐에 따라 서서히 폭치수가 커지도록 설정하고 있다. I 빔(11)의 상플랜지(11c)측도 동일하게 설정하고 있다.
도 11(a), (b)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I 빔(12)의 상플랜지(12c)의 개구부(12c1)에 센터 프레임(1)의 측판(7)을 끼워 넣은 후에는 도 10(a),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플랜지(12c)와 측판(7)이 용접 접합된다. 즉, 측판(7)의 단차부(7b)와 상플랜지(12c)의 개구부(12c1)의 벽면과의 사이, 상플랜지(12c)의 상면과 측판(7)의 측면과의 사이, 상플랜지(12c)의 전단면과 측판(7)의 측면과의 사이, 상플랜지(12c)의 하면과 측판(7)의 측면과의 사이의 각각에 용접부(17)가 형성된다. 이 용접부(17)는 예를 들면 자동용접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도 7에 나타내는 I 빔(11)과 도 2에 나타내는 센터 프레임(1)의 측판(6)과의 용접 접합도 상기와 동일하게 하여 행하여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한 각 접합구조의 작용효과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센터 프레임의 측판과 격벽과의 접합구조의 작용효과]
본 실시형태는 센터 프레임(1)의 제작에 있어서, 한 쌍의 측판(6, 7)에 형성 된 구멍(6a, 7a)의 각각에, 격벽(8)에 형성된 돌출부(8a, 8b)의 각각 대응하는 것을 끼워 넣음으로써, 한 쌍의 측판(6, 7)과, 이들 측판(6, 7) 사이에 배치되는 격벽(8)을 서로 밀착시켜 위치 결정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이 상태에서 측판(6, 7)과 격벽(8)을 소정의 유지 지그로 유지시킴으로써, 강고한 일체물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강고한 일체물로 한 측판(6, 7) 및 격벽(8)을 바닥판(5)상에 배치하면 이들 측판(6, 7), 격벽(8)을 포함하는 일체물을 바닥판(5)상에 안정되게 배치하여 위치 결정할 수 있다.
즉, 센터 프레임(1)의 제작에 있어서의 용접 개시전에 측판(6, 7)과 바닥판(5)을 유지하는 큰 유지 지그를 필요로 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이 유지 지그에 소요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 측판(6, 7)과 바닥판(5)을 유지하는 유지 지그의 취급이라든가, 보관장소에 대하여 고려하지 않아도 되고, 센터 프레임(1)의 제작 전체에 필요로 하는 유지 지그의 유지 관리비를 저감할 수 있다.
또, 걸어맞춤부를 구성하는 측판(7)의 구멍(7a)을, 부움 후트핀 구멍(9a)의 중심과 매달음 구멍(9)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보다도 아래쪽의 영역으로서, 부움 실린더 핀 구멍(9b)의 중심과 매달음 구멍(9)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보다도 윗쪽의 영역에 위치시켰기 때문에, 측판(7)의 강도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측판(6)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강도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이들에 의하여 센터 프레임(1)의 안정된 구조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측판(6, 7)과 격벽(8)이 소정의 유지 지그로 유지된 상태에서 바닥판(5)상에 위치 결정된 후에는 측판(6, 7)과 격벽(8)이, 또 측 판(6, 7)과 바닥판(5)이, 각각 가부착 용접된다. 그후 측판(6, 7), 격벽(8), 바닥판(5) 사이의 최종적인 위치결정 조절 등이 실시되고, 본 용접이 이루어져 센터 프레임이 완성된다.
[센터 프레임의 측판과 바닥판과의 접합구조의 작용효과]
본 실시형태는 센터 프레임(1)의 제작에 있어서 측판(7)에 대응시켜 바닥판(5)에 일체로 형성한 구멍(5a, 5b), 측판(6)에 대응시켜 바닥판(5)에 일체로 형성한 구멍의 각각에, 측판(7, 6)에 형성한 돌출부(7c, 7d) 등의 대응하는 것을 끼워 넣음으로써 한 쌍의 측판(6, 7)과 바닥판(5)을 서로 밀착시킬 수 있고, 위치 결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측판(6, 7)과 바닥판(5)을 서로 고정하는 유지 지그를 필요로 하지 않고 이들 측판(6, 7)과 바닥판(5)을 용접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이 유지 지그에 소요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고, 측판(6, 7)과 바닥판(5)을 유지하는 유지 지그의 취급이라든가 보관장소에 대하여 고려하지 않아도 되어 센터 프레임(1)의 제작 전체에 필요로 하는 유지 지그의 유지 관리비를 저감할 수 있다.
또, 측판(6, 7)과 바닥판(5)과의 끼워 넣음 구조부를 선회륜 설치면(5c)의 바깥쪽에 위치시켰기 때문에, 이 끼워 넣음 구조부를 거친 선회륜 안쪽의 그리스 버스로의 빗물 등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정된 유압셔블의 구조의 실현에 공헌한다.
[엔진 브래킷과 프레임부재의 측판과의 접합구조의 작용효과]
본 실시형태는 테일 프레임(2)의 제작에 있어서 프레임부재, 즉 I 빔(12, 11)의 측판(12b, 11b)의 각각에 형성한 구멍(12b3, 12b4) 등에, 엔진 브래킷(13, 14)에 형성된 돌출부(13a, 14a) 등의 각각에 대응하는 것을 끼워 넣음으로써, 엔진 브래킷(13, 14)과 I 빔(11, 12)을 서로 밀착시켜 위치 결정하고, 테일 프레임(2)의 바닥판(10)상에 움직이지 않게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엔진 브래킷(13, 14)과 I 빔(11, 12)을 유지하는 유지 지그를 필요로 하지 않고 이 유지 지그에 관한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엔진 브래킷(13, 14)과 I 빔(11, 12)을 위치결정 유지하는 유지 지그의 취급이라든가, 보관장소에 대하여 고려하지 않아도 되어 테일 프레임(2)의 제작비를 저감할 수 있다.
[I 빔의 상플랜지와 센터 프레임의 측판과의 접합구조의 작용효과]
테일 프레임(2)에 포함되는 I 빔(11, 12)의 상플랜지(11c, 12c)와, 센터 프레임(2)에 포함되는 측판(6, 7)과의 용접접합에 있어서는, 상플랜지(11c, 12c)의 각각의 전단부에 형성된 개구부(11c1, 12c1)에 측판(6, 7)의 각각에 그것이 끼워 넣어진 상태에 있어서 상플랜지(11c, 12c)의 전단부와 측판(6, 7)이 용접된다. 따라서 개구부(11c1, 12c1)를 거쳐 상플랜지(11c, 12c)와 측판(6, 7) 상호간의 움직임이 규제되고, 이 상태에 있어서 용접함으로써 덧살용접을 필요로 하지 않고, 또 그라인더 마무리를 필요로 하지 않고 소정의 접합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작업공정수를 저감할 수 있고, 이 선회 프레임의 제작비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상기한 바와 같이 상플랜지(11c, 12c)와 측판(6, 7)과의 용접에 있어서 덧살용접을 필요로 하지 않아, 용접후의 그라인더 마무리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연속적인 자동용접이 가능해진다. 이 자동용접을 실시하면 작업공정수를 더욱 저감할 수 있다.
또, 상플랜지(11c, 12c)의 개구부(11c1, 12c1)에, 측판(6, 7)이 끼워 넣어질 때에 측판(6, 7)에 형성된 단차부(6b, 7b)의 상단면을 상플랜지(11c, 12c)의 상면보다도 돌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그 돌출한 부분을 이용하여 상플랜지(11c, 12c)와 측판(6, 7)을 용접시킬 수 있어 안정된 용접구조를 확보할 수 있다.
또, 측판(6, 7)의 단차부(6b, 7b)와 상플랜지(11c, 12c)의 개구부(11c1, 12c1)의 각각의 벽면과의 사이의 용접작업, 상플랜지(11c, 12c)의 상면과 측판(6, 7)과의 사이의 용접작업, 상플랜지(11c, 12c)의 전단면과 측판(6, 7)의 측면과의 사이의 용접작업, 상플랜지(11c, 12c)의 하면과 측판(6, 7)의 측면과의 사이의 용접작업을 연속적으로 실시 가능함과 동시에, 이들 용접작업을 실시함으로써 강고한 접합강도를 확보할 수 있어, 안정된 선회 프레임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상플랜지(11c, 12c)의 전단부의 개구부(11c1, 12c1)에 측판(6, 7)의 각각을 끼워 넣을 때에, 개구부(11c1, 12c1)는 평면으로 보아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때문에 개구부(11c1, 12c1)의 벽면에 측판(6, 7)을 각각 밀착시킬 수 있고, 상플랜지(11c, 12c)와 측판(6, 7)과의 위치결정 정밀도를 높일 수 있어, 제작 정밀도가 높은 선회 프레임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상플랜지(11c, 12c)의 전단부를 평면으로 보아 끝이 가는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상플랜지(11c, 12c)의 전단부와 측판(6, 7) 사이의 용접부(17) 등에 있어서의 응력집중을 완화시킬 수 있어 안정된 용접구조로 할 수 있다.

Claims (21)

  1. 건설기계의 선회체에 구비되어 측판과 격벽을 서로 접합시킨 센터 프레임을 가지는 건설기계의 선회 프레임구조에 있어서,
    상기 측판과 상기 격벽을 서로 걸어맞추게 하여 위치 결정시키는 걸어맞춤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선회 프레임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부는, 끼워 넣음 구조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선회 프레임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끼워 넣음 구조부는, 상기 측판에 형성한 구멍과, 상기 격벽에 형성되어 상기 구멍에 끼워 넣어지는 돌출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선회 프레임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을, 상기 격벽의 양쪽 가장자리부에 각각 대향시켜 한 쌍 구비함과 동시에, 이들 측판의 각각에 상기 구멍을 형성하고, 이들 구멍에 끼워 넣어지는 돌출부를 상기 격벽의 상기 양쪽 가장자리부의 각각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 설기계의 선회 프레임구조.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이, 상기 건설기계의 매달아 올림을 가능하게 하는 매달음 구멍과, 부움 후트핀 구멍과, 부움 실린더 핀 구멍을 가짐과 동시에,
    상기 측판의 상기 구멍을, 상기 부움 후트핀 구멍의 중심과 상기 매달음 구멍 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보다도 아래쪽 위치로서, 상기 부움 실린더 핀 구멍의 중심과 상기 매달음 구멍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보다도 윗쪽 위치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선회 프레임구조.
  6. 건설기계의 선회체에 구비되고, 측판과 바닥판을 서로 접합시킨 센터 프레임을 가지는 건설기계의 선회 프레임구조에 있어서,
    상기 측판과 상기 바닥판을 서로 걸어맞추게 하여 위치 결정시키는 걸어맞춤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선회 프레임구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부는, 끼워 넣음 구조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선회 프레임구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끼워 넣음 구조부는, 선회륜 설치면보다도 바깥쪽에 위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선회 프레임구조.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끼워 넣음 구조부는, 상기 바닥판에 형성한 구멍과, 상기 측판에 형성되고, 상기 구멍에 끼워 넣어지는 돌출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선회 프레임구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을, 상기 바닥판에 대향시켜 한 쌍 구비함과 동시에, 이들 측판의 각각에 상기 돌출부를 형성하여 이들 돌출부가 끼워 넣어지는 상기 구멍을 상기 바닥판에 각각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선회 프레임구조.
  11. 건설기계의 선회체에 구비되고, 엔진 브래킷과 프레임부재의 측판을 서로 접합시킨 테일 프레임을 가지는 건설기계의 선회 프레임구조에 있어서,
    상기 엔진 브래킷과 상기 프레임부재의 상기 측판을 서로 걸어맞추게 하여 위치 결정시키는 걸어맞춤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선회 프레임구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부는, 끼워 넣음 구조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선회 프레임구조.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끼워 넣음 구조부는, 상기 프레임부재의 상기 측판에 형성한 구멍과, 상기 엔진 브래킷에 형성되어, 상기 구멍에 끼워 넣어지는 돌출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선회 프레임구조.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재를, 상기 엔진 브래킷의 양쪽 끝부에 각각 대향시켜 한 쌍 구비함과 동시에, 이들 프레임부재의 상기 측판의 각각에 상기 구멍을 형성하고, 이들의 구멍에 끼워 넣어지는 돌출부를 상기 엔진 브래킷의 상기 양쪽 끝부의 각각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선회 프레임구조.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재가 I 빔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선회 프레임구조.
  16. 제 13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을 상기 프레임부재의 상기 측판의 중립축상에 위치시킨 것을 특징 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선회 프레임구조.
  17. 건설기계의 선회체에 구비되고, 테일 프레임에 포함되는 프레임부재의 상플랜지와, 센터 프레임에 포함되는 측판을 용접 접합시킨 건설기계의 선회 프레임구조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재의 상기 상플랜지의 전단부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에 상기 측판을 끼워 넣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선회 프레임구조.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상플랜지의 상기 개구부에 대향하는 상기 측판의 부분에 단차부를 구비하고, 상기 단차부를 형성하는 상단면과 하단면과의 높이치수를 상기 상플랜지의 두께치수보다도 크게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선회 프레임구조.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의 상기 단차부와 상기 상플랜지의 상기 개구부의 벽면과의 사이, 상기 상플랜지의 상면과 상기 측판의 측면과의 사이, 상기 상플랜지의 전단면과 상기측판의 측면과의 사이, 상기 상플랜지의 하면과 상기 측판의 측면과의 사이의 각각에 용접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선회 프레임구조.
  20.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형상을 평면으로 보아 ㄷ자 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선회 프레임구조.
  21.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상플랜지의 상기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전단부의 형상을 평면으로 보아 끝이 가는 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선회 프레임구조.
KR1020067000342A 2003-07-07 2004-07-06 건설기계의 선회 프레임구조 KR1011025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271468A JP2005030089A (ja) 2003-07-07 2003-07-07 建設機械の旋回フレーム構造
JPJP-P-2003-00271472 2003-07-07
JPJP-P-2003-00271468 2003-07-07
JPJP-P-2003-00271484 2003-07-07
JP2003271484A JP2005030092A (ja) 2003-07-07 2003-07-07 建設機械の旋回フレーム構造
JP2003271472A JP4316950B2 (ja) 2003-07-07 2003-07-07 建設機械の旋回フレーム構造
JP2003271478A JP2005030091A (ja) 2003-07-07 2003-07-07 建設機械の旋回フレーム構造
JPJP-P-2003-00271478 2003-07-07
PCT/JP2004/009890 WO2005003467A1 (ja) 2003-07-07 2004-07-06 建設機械の旋回フレーム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9281A true KR20060029281A (ko) 2006-04-05
KR101102544B1 KR101102544B1 (ko) 2012-01-04

Family

ID=33568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0342A KR101102544B1 (ko) 2003-07-07 2004-07-06 건설기계의 선회 프레임구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556469B2 (ko)
EP (1) EP1653011B1 (ko)
KR (1) KR101102544B1 (ko)
WO (1) WO20050034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9429B1 (ko) * 2008-02-27 2010-09-02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건설기계의 상부프레임
US8987629B2 (en) * 2009-07-29 2015-03-24 General Electric Company Process of closing an opening in a component
CN103274341A (zh) * 2013-06-03 2013-09-04 陈相源 一种自行式高空作业发动机托架
JP6694677B2 (ja) * 2015-08-10 2020-05-20 株式会社神戸製鋼所 旋回フレーム、およびそれを備えた作業機械
FR3047912B1 (fr) * 2016-02-20 2018-08-03 Sas Tourrette Procede de fabrication d'une piece metallique ayant au moins un angle droit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19469B2 (ja) * 1991-10-11 1998-02-25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旋回体主フレーム構造
JP2547181Y2 (ja) * 1991-10-28 1997-09-10 油谷重工株式会社 旋回フレームの構造
JP2002513451A (ja) * 1996-07-12 2002-05-08 キャタピラ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建設機械用フレームアセンブリ
FR2759662B1 (fr) * 1997-02-20 1999-04-23 Fdi Sambron Chassis de chariot elevateur, chariot elevateur comportant un tel chassis et procede de fabrication d'un tel chariot
JPH10292428A (ja) * 1997-04-11 1998-11-04 Komatsu Ltd 建設機械の上部旋回体
US6860706B2 (en) * 1998-01-30 2005-03-01 Caterpillar Inc. Method of verifying coupling of an implement to a work machine
JP2000045333A (ja) * 1998-07-24 2000-02-15 Yutani Heavy Ind Ltd 油圧ショベルの機体吊り上げ構造
JP2000064353A (ja) * 1998-08-25 2000-02-29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
JP3585379B2 (ja) * 1998-09-30 2004-11-04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旋回フレー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0240102A (ja) * 1999-02-19 2000-09-05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旋回体フレーム構造
DE19907926C1 (de) * 1999-02-24 2000-12-07 Voegele Ag J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geschweißten dreidimensionalen Straßenfertigerchassis und Straßenfertigerchassis
US6241144B1 (en) * 1999-09-30 2001-06-05 Caterpillar Inc. Friction fit tab and slot shape
JP3634723B2 (ja) * 2000-05-31 2005-03-30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旋回フレーム
US6691392B2 (en) * 2001-05-16 2004-02-17 Utica Enterpris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ssembling exterior automotive vehicle body components onto an automotive vehicle body
JP2003082705A (ja) * 2001-09-10 2003-03-19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旋回フレー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3129521A (ja) * 2001-10-23 2003-05-08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旋回フレーム
JP4248945B2 (ja) * 2003-06-11 2009-04-02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旋回フレー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2544B1 (ko) 2012-01-04
EP1653011A1 (en) 2006-05-03
US7556469B2 (en) 2009-07-07
EP1653011A4 (en) 2009-11-11
WO2005003467A1 (ja) 2005-01-13
US20060285963A1 (en) 2006-12-21
EP1653011B1 (en) 2012-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47250B2 (en) Counter weight
KR101851957B1 (ko) 모듈식 뼈대 복공체 및 이를 이용한 가설물의 제작 방법
JP4394503B2 (ja) 建設機械
EP2065293B1 (en) Track frame for work machine
KR101102544B1 (ko) 건설기계의 선회 프레임구조
JP4191752B2 (ja) 溶接変形防止構造物が設けられた建設機械の補強形キャブ支持上部フレーム及び該製作方法
JP3652924B2 (ja) 走行装置のトラックフレーム並びにその組立方法
JP4316950B2 (ja) 建設機械の旋回フレーム構造
JP4966280B2 (ja) 建設機械の燃料タンク
JP4220807B2 (ja) 建設機械のクローラフレーム
JP4823004B2 (ja) トラックフレーム
JP2005030089A (ja) 建設機械の旋回フレーム構造
JP4124879B2 (ja) シャーシフレームのクロスメンバ
JP2005030091A (ja) 建設機械の旋回フレーム構造
JPH1134911A (ja) 車両用メンバの補強構造
JP2005030092A (ja) 建設機械の旋回フレーム構造
JP3056716B2 (ja) 建設機械のメインフレーム
JP2007186926A (ja) 建設機械
JP4823005B2 (ja) トラックフレーム
JP6694677B2 (ja) 旋回フレーム、およびそれを備えた作業機械
JPH09188274A (ja) 車両のピラー構造
KR100692152B1 (ko) 버스용 프론트 바디 조립구조
JP3462424B2 (ja) 建設機械のトラックフレーム
US20160332511A1 (en) Mounting assembly
JP4883725B2 (ja) 建設機械におけるキャ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