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2163A - 절전모드 기능을 가지는 장치 및 그의 절전모드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절전모드 기능을 가지는 장치 및 그의 절전모드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2163A
KR20060022163A KR1020040070965A KR20040070965A KR20060022163A KR 20060022163 A KR20060022163 A KR 20060022163A KR 1020040070965 A KR1020040070965 A KR 1020040070965A KR 20040070965 A KR20040070965 A KR 20040070965A KR 20060022163 A KR20060022163 A KR 200600221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b
saving mode
power saving
mode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0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13608B1 (ko
Inventor
원재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0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3608B1/ko
Priority to CNA2005100896674A priority patent/CN1746818A/zh
Priority to US11/200,167 priority patent/US7620829B2/en
Publication of KR20060022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21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3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36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66Arrangements to supply power to external peripherals either directly from the computer or under computer control, e.g. supply of power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 computer controlled power-stri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15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84Power saving in prin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5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ine communication networks, e.g. low power modes or reduced link 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절전모드 기능을 가지는 장치 및 그의 절전모드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USB 커넥터는 USB 케이블에 의해 USB 외부기기와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USB 제어부는 USB 커넥터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의 값을 기초로 USB 외부기기로부터 전압이 공급되었는지를 판단하며, 메인 제어부는 USB 제어부의 판단결과를 기초로 절전모드 및 작업대기모드 중 어느 하나로 전환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컴퓨터의 전원이 오프되면 소정 시간이 경과하기 이전에 절전모드로 전환함으로써 전력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컴퓨터, 프린터, USB, 전압, 절전모드

Description

절전모드 기능을 가지는 장치 및 그의 절전모드 제어방법{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function of power-saving mode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saving mode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절전모드 기능을 가지는 장치 및 그와 연결된 USB 외부기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USB 모듈을 보다 자세히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3은 도 1에 의한 절전모드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00 : 화상형성장치 170 : USB 모듈
172 : USB 커넥터 174 : USB 제어부
180 : 메인 제어부 200 : USB 외부기기
300 : USB 케이블
본 발명은 절전모드 기능을 가지는 장치 및 그의 절전모드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USB 인터페이스에 의하여 절전모드로 전환할 수 있는 절전모드 기능을 가지는 장치 및 그의 절전모드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인쇄용지와 같은 기록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를 말한다. 화상형성장치의 예로는 프린터, 복사기, 팩시밀리, 또는 프린터와 복사기 팩시밀리의 기능을 하나의 기기내에서 구현하는 복합기 등이 있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는 컴퓨터와 연결되어 컴퓨터로부터 전송된 인쇄데이터를 인쇄하는 인쇄작업, 스캐닝하는 스캐닝작업 등 다양한 작업을 수행한다.
통상적으로 화상형성장치는 일정 시간동안 인쇄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대기모드에서 절전모드로 전환하는 기능을 갖는다. 대기모드는 사용자로부터 인쇄작업이 요청되면, 바로 인쇄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정착롤러와 같은 장치에 일정량의 전원을 공급하는 모드이다. 또한, 절전모드는 화상형성장치를 소정 시간동안 사용하지 않는 경우, 불필요하게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모드이다.
그러나, 종래의 화상형성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소정 시간동안 동작하지 않는 경우, 대기모드 상태에서 절전모드로 전환한다. 따라서,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와 연결된 컴퓨터의 전원이 오프되어 화상형성장치를 구동할 경우가 발생하지 않아도, 설정된 소정 시간이 경과하기 전까지는 절전모드로 전환하지 못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로써, 종래의 화상형성장치는 컴퓨터의 전원이 오프되어도 절전모드로 전환할 때까지 불필요한 전력을 낭비하게 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컴퓨터의 전원이 오프되면 소정 시간이 경과하기 이전에 절전모드로 전환할 수 있는 절전모드 기능을 가지는 장치 및 그의 절전모드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절전모드 기능을 가지는 장치는, USB 케이블에 의해 USB 외부기기와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USB 커넥터; 상기 USB 커넥터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의 값을 기초로 상기 USB 외부기기로부터 상기 전압이 공급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상기 USB 제어부; 및 상기 USB 제어부의 판단결과를 기초로 절전모드 및 작업대기모드 중 어느 하나로 전환하는 메인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USB 제어부에서 상기 전압이 상기 USB 커넥터로 미공급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메인 제어부는 현재 상태모드를 상기 절전모드로 전환한다.
또한, 상기 USB 제어부에서 상기 전압이 상기 USB 커넥터로 공급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메인 제어부는 현재 상태모드를 상기 작업대기모드로 전환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작업대기모드로 전환한 후, 설정된 소정 시간이 경과하는 동안 소정 작업에 대한 요청을 미수신하면, 상기 작업대기모드에서 상기 절전모드로 재전환한다.
또한, 상기 USB 외부기기가 상기 USB 케이블을 통해 상기 USB 커넥터로 인쇄대상데이터를 전송하는 호스트 컴퓨터인 경우, 상기 USB 외부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인쇄대상데이터를 인쇄하는 인쇄 엔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전송되는 인쇄대상데이터를 인쇄하도록 상기 인쇄 엔진부를 제어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USB 커넥터가 마련된 장치의 절전모드 제어방법은, USB 외부기기로부터 USB 케이블을 통해 상기 USB 커넥터로 전압이 공급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결과를 기초로 절전모드 및 작업대기모드 중 어느 하나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전압이 상기 USB 커넥터로 미공급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전환하는 단계는 현재 상태모드를 상기 절전모드로 전환한다.
또한, 상기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전압이 상기 USB 커넥터로 공급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전환하는 단계는 현재 상태모드를 상기 작업대기모드로 전환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작업대기모드로 전환한 후, 설정된 소정 시간이 경과하는 동안 소정 작업이 미수행디면, 상기 절전모드로 재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절전모드 기능을 가지는 장치 및 그와 연결된 USB(Universal Serial Bus) 외부기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절전모드 기능을 가지 는 장치(100)는 USB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기기로서, 화상형성장치를 예로 든다. 또한, USB 외부기기(200)는 USB 케이블(300)에 의해 절전모드 기능을 가지는 장치(100)와 연결되는 기기로서, 호스트 컴퓨터를 예로 든다.
USB 외부기기(200)로써 호스트 컴퓨터를 예로 드는 경우, USB 외부기기(200)는 인쇄작업, 스캐닝작업, 팩스작업 등 화상형성과 관련된 작업의 실행을 장치(100)에게 요청할 수 있다. 또한, USB 외부기기(200)는 USB 케이블(300)의 전원선을 통해 절전모드 기능을 가지는 장치(100)로 USB 모듈(170)을 구동하기 위한 전압을 공급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절전모드 기능을 가지는 장치(이하, '화상형성장치'라 한다)(100)는 동작 패널부(Operating Panel)(110), 센서(120), 스캐너(130), 모뎀(140), NCU(Network Control Unit)(145), 인쇄 엔진부(150), 저장부(160), USB 모듈(170) 및 메인 제어부(180)를 포함한다.
동작 패널부(110)는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지원하는 기능을 선택, 설정하기 위한 각종 기능키 및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창을 구비한다.
센서(12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커버의 개폐, 카세트의 유무, 카세트 용지의 유무, 수동 급지 여부 등 사용자가 용지를 세팅할 경우 변할 수 있는 모든 동작을 감지한다.
스캐너(130)는 센서(120)에 의해 원고의 삽입이 감지되면, 삽입된 원고를 스캐닝하여 화상데이터를 독취한다.
모뎀(140)은 외부 팩시밀리(미도시)로 전송할 데이터를 변조하며, 외부 팩시밀리(미도시)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복조한다. NCU(145)는 전화회선망(PSTN)과 모뎀(140)을 연결하여 외부 팩시밀리(미도시)와의 접속을 제어하며, 외부 팩시밀리(미도시)의 다이얼 신호의 송출 및 착신을 검출한다.
인쇄 엔진부(150)는 USB 외부기기(200)로부터 작성된 문서데이터, 스캐닝된 데이터, NCU(145)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 등을 인쇄한다. 인쇄 엔진부(150)는 화상이 형성된 인쇄 용지를 소정 온도로 가열 및 가압함으로써 인쇄 용지에 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기(미도시)를 구비한다.
저장부(16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 수행을 위한 각종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비휘발성 메모리 및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수행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휘발성 메모리로 이루어진다.
USB 모듈(170)은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USB 외부기기(이하, '호스트 컴퓨터'라 한다)(200)와의 데이터 통신을 지원한다. USB 모듈(170)과 호스트 컴퓨터(200)는 USB 케이블(300)에 의해 연결되어 전원, 데이터 등을 전송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USB 모듈을 보다 자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USB 모듈(170)은 USB 커넥터(172) 및 USB 제어부(174)를 포함한다.
먼저, USB 케이블(300)은 2개의 전원선(VBUS, GND)과 2개의 신호선(D+, D-)을 가지고 있다. 2개의 전원선(VBUS, GND) 중 VBUS는 호스트 컴퓨터(200)로부터 USB 모 듈(170)을 구동하기 위하여 공급되는 전원의 이동경로를 제공한다. 또한, 2개의 신호선(D+, D-)은 화상형성장치(100)와 호스트 컴퓨터(200)간의 데이터 전송 경로를 제공한다.
USB 커넥터(172)는 2개의 전원핀(VBUS, GND)과 2개의 신호핀(D+, D-)을 가지고 있다. 2개의 전원핀(VBUS, GND)은 각각 USB 케이블(300)에 구비된 2개의 전원선(VBUS, GND)과 연결되며, 2개의 신호핀(D+, D-)은 각각 USB 케이블(300)에 구비된 2개의 신호선(D+, D-)과 연결된다.
따라서, 호스트 컴퓨터(200)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예를 들어, 5V)은 USB 케이블(300)의 전원선(VBUS)을 거쳐 USB 커넥터의 전원핀(VBUS)으로 입력된다. 이 때, 호스트 컴퓨터(200)의 전원이 오프되거나 USB 케이블(300)이 USB 커넥터(172) 또는 호스트 컴퓨터(200)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USB 커넥터의 전원핀(VBUS)으로는 0V의 전압이 입력된다.
USB 제어부(174)는 USB 커넥터의 전원핀(VBUS)으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의 값을 기초로 호스트 컴퓨터(200)로부터 전압이 공급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자세히 설명하면, USB 제어부(174)는 USB 커넥터(172)의 전원핀(VBUS)으로 0V가 아닌 전압(예를 들어, 5V)이 입력되면, 호스트 컴퓨터(200)로부터 전압이 공급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VBUS의 레지스터리 값을 '1'로 설정한다.
또한, USB 제어부(174)는 USB 커넥터(172)의 전원핀(VBUS)으로 0V의 전압이 입력되면, 호스트 컴퓨터(200)로부터 전압이 공급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고, VBUS의 레지스터리 값을 '0'으로 설정한다.
여기서, USB 제어부(174)로 5V의 전압이 입력된다는 것은 호스트 컴퓨터(200)의 전원이 온 상태임을 의미하며, 0V의 전압이 입력된다는 것은 호스트 컴퓨터(200)의 전원이 오프 상태임을 의미한다. 또한, OV의 전압이 입력된다는 것은 USB 케이블(300)이 USB 커넥터(172) 또는 호스트 컴퓨터(200)로부터 분리되었음을 의미하기도 한다.
메인 제어부(180)는 저장부(160)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화상형성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메인 제어부(180)는 현재 상태모드가 작업대기모드인 경우, 설정된 소정 시간동안 화상형성장치(100)가 동작하지 않으면 절전모드로 전환하도록 한다. 설정된 소정 시간은 화상형성장치(100)가 작업대기모드에서 절전모드로 전환하는 데 필요한 시간으로써, 설정된 시간 동안 화상형성장치(100)는 아무런 동작을 수행하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메인 제어부(180)는 USB 제어부(174)의 판단결과를 기초로 화상형성장치(100)를 절전모드 및 작업대기모드 중 어느 하나로 전환/유지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작업대기모드는 인쇄작업, 팩스작업, 스캐닝작업, 복사작업과 같이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수행할 수 있는 작업을 대기하는 모드이다.
자세히 설명하면, 첫째, 화상형성장치(100)의 현재 상태모드가 작업대기모드 인 경우, 메인 제어부(180)는 USB 제어부(174)에 설정된 VBUS의 레지스터리 값이 '1'인 것으로 확인되면, 작업대기모드를 유지하도록 처리한다.
둘째, 화상형성장치(100)의 현재 상태모드가 절전모드인 경우, 메인 제어부(180)는 USB 제어부(174)에 설정된 VBUS의 레지스터리 값이 '1'인 것으로 확인되면, 절전모드를 오프시키고 워밍업모드로 전환하도록 처리한다.
셋째, 화상형성장치(100)의 현재 상태모드가 작업대기모드인 경우, 메인 제어부(180)는 USB 제어부(174)에 설정된 VBUS의 레지스터리 값이 '0'인 것으로 확인되면, 절전모드로 전환하도록 처리한다.
넷째, 화상형성장치(100)의 현재 상태모드가 절전모드인 경우, 메인 제어부(180)는 USB 제어부(174)에 설정된 VBUS의 레지스터리 값이 '0'인 것으로 확인되면, 절전모드를 유지하도록 처리한다.
또한, 메인 제어부(180)는 USB 커넥터(172)의 전원핀(VBUS)으로 전압이 공급되어 절전모드가 해제된 후, 설정된 소정 시간동안 화상형성장치(100)가 동작하지 않으면 절전모드로 재전환하도록 처리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메인 제어부(180)는 주기적으로 USB 제어부(174)에 접속하여 호스트 컴퓨터(200)로부터의 전압 공급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메인 제어부는 USB 제어부(174)의 레지스터리 값을 주기적으로 확인하여 적응적으로 절전모드와 작업대기모드 중 하나로 전환하는 것이 바람 직하다.
도 3은 도 1에 의한 절전모드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메인 제어부(180)는 정착기(미도시) 온도를 일정 온도까지 상승시키는 워밍업을 수행하도록 인쇄 엔진부(150)를 제어한다(S300).
S300단계가 수행되면, 메인 제어부(180)는 정착기(미도시)의 온도를 일정 시간동안 유지시키는 작업대기모드로 전환한다(S310).
S310단계가 수행된 후, 설정된 소정 시간이 경과하지 않으면, USB 제어부(174)는 USB 커넥터(172)의 전원핀(VBUS)을 통해 전압이 공급되었는지 판단한다(S320, S330).
S330단계에서, USB 커넥터(172)의 전원핀(VBUS)으로 전압이 공급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USB 제어부(174)는 VBUS의 레지스터리 값을 '1'로 설정한다(S340). 그리고, 메인 제어부(180)는 VBUS의 레지스터리 값이 '1'로 확인되므로 S310단계의 작업대기모드를 유지한다.
반면, S330단계에서 USB 커넥터(172)의 전원핀(VBUS)으로 전압이 공급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USB 제어부(174)는 VBUS의 레지스터리 값을 '0'으로 설정한다(S350).
S350단계가 수행된 후, 메인 제어부(180)는 USB 제어부(174)의 VBUS의 레지스터리 값이 '0'인 것으로 확인되면, 절전모드로 전환한다(S360). 이는, VBUS의 레지 스터리 값이 '0'으로 설정된 것은 호스트 컴퓨터(200)로부터 전압이 공급되고 있지 않음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S360단계가 수행된 후, USB 커넥터(172)의 전원핀(VBUS)으로 전압이 공급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USB 제어부(174)는 VBUS의 레지스터리 값을 '1'로 설정한다(S370, S380). 여기서, S370단계의 전압은 USB 케이블(300)이 USB 커넥터(172) 및 호스트 컴퓨터(200)와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된 경우, 또는 전원이 오프상태이던 호스트 컴퓨터(200)의 전원이 온되는 경우 공급된다.
그리고, 메인 제어부(180)는 VBUS의 레지스터리 값이 '1'로 확인되므로 S360단계에서 설정된 절전모드를 해제한다(S390).
반면, S360단계가 수행된 후 USB 커넥터(172)의 전원핀(VBUS)으로 전압이 공급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메인 제어부(180)는 S360단계에서 설정된 절전모드를 유지한다.
한편, S390단계가 수행된 후, 전원 오프 명령이 동작 패널부(110)로부터 수신되면, 메인 제어부(18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전원을 오프시킨다(S395, S400).
또한, S390단계가 수행된 후, 전원 오프 명령이 수신되지 않으면, 메인 제어부(180)는 S310단계 ~ S395단계를 수행한다. 즉, S390단계가 수행된 후, 전원 오프 명령이 수신되지 않으면, 메인 제어부(180)는 현재 상태모드를 작업대기모드로 전환한 후, 설정된 소정 시간이 경과하는 동안 화상형성장치(100)가 소정 작업을 수행하지 않으면 절전모드로 재전환한다.
또한, S310단계가 수행된 후, 설정된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메인 제어부(180)는 S360단계를 수행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화상형성장치(100)는 USB 커넥터(172)로 입력되는 VBUS의 값을 확인하여 컴퓨터의 전원의 온/오프를 판단한다. 그리고, 화상형성장치(100)는 판단된 결과를 기초로 화상형성장치(100)를 절전모드 및 작업대기모드 중 하나로 전환/유지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절전모드 기능을 가지는 장치 및 그의 절전모드 제어방법에 의하면, USB 인터페이스에 의해 연결된 컴퓨터의 전원이 오프되거나 USB 케이블이 USB 모듈로부터 분리되면,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기 이전에 절전모드로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로써, 작업대기모드에서 절전모드로 전환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며, 결과적으로 불필요한 전력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9)

  1. USB 케이블에 의해 USB 외부기기와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USB 커넥터;
    상기 USB 커넥터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의 값을 기초로 상기 USB 외부기기로부터 상기 전압이 공급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상기 USB 제어부; 및
    상기 USB 제어부의 판단결과를 기초로 절전모드 및 작업대기모드 중 어느 하나로 전환하는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는 절전모드 기능을 가지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USB 제어부에서 상기 전압이 상기 USB 커넥터로 미공급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메인 제어부는 현재 상태모드를 상기 절전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모드 기능을 가지는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USB 제어부에서 상기 전압이 상기 USB 커넥터로 공급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메인 제어부는 현재 상태모드를 상기 작업대기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모드 기능을 가지는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작업대기모드로 전환한 후, 설정된 소정 시간이 경과하는 동안 소정 작업에 대한 요청을 미수신하면, 상기 작업대기모드에서 상기 절전모드로 재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모드 기능을 가지는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USB 외부기기가 상기 USB 케이블을 통해 상기 USB 커넥터로 인쇄대상데이터를 전송하는 호스트 컴퓨터인 경우,
    상기 USB 외부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인쇄대상데이터를 인쇄하는 인쇄 엔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전송되는 인쇄대상데이터를 인쇄하도록 상기 인쇄 엔진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모드 기능을 가지는 장치.
  6. USB 커넥터가 마련된 장치의 절전모드 제어방법에 있어서,
    USB 외부기기로부터 USB 케이블을 통해 상기 USB 커넥터로 전압이 공급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결과를 기초로 절전모드 및 작업대기모드 중 어느 하나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절전모드 제어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전압이 상기 USB 커넥터로 미공급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전환하는 단계는 현재 상태모드를 상기 절전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모드 제어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전압이 상기 USB 커넥터로 공급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전환하는 단계는 현재 상태모드를 상기 작업대기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모드 제어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기모드로 전환한 후, 설정된 소정 시간이 경과하는 동안 소정 작업이 미수행디면, 상기 절전모드로 재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모드 제어방법.
KR1020040070965A 2004-09-06 2004-09-06 절전모드 기능을 가지는 장치 및 그의 절전모드 제어방법 KR1006136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0965A KR100613608B1 (ko) 2004-09-06 2004-09-06 절전모드 기능을 가지는 장치 및 그의 절전모드 제어방법
CNA2005100896674A CN1746818A (zh) 2004-09-06 2005-08-08 具有功率节省模式功能的装置和控制功率节省模式的方法
US11/200,167 US7620829B2 (en) 2004-09-06 2005-08-10 Apparatus having power saving mode func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saving mod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0965A KR100613608B1 (ko) 2004-09-06 2004-09-06 절전모드 기능을 가지는 장치 및 그의 절전모드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2163A true KR20060022163A (ko) 2006-03-09
KR100613608B1 KR100613608B1 (ko) 2006-08-21

Family

ID=36166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0965A KR100613608B1 (ko) 2004-09-06 2004-09-06 절전모드 기능을 가지는 장치 및 그의 절전모드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620829B2 (ko)
KR (1) KR100613608B1 (ko)
CN (1) CN174681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26348B2 (en) 2006-02-06 2012-02-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inting apparatus to reduce power consump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956141B1 (ko) * 2018-06-04 2019-03-11 주식회사 현대아이티 소비 전력을 줄인 전자 칠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36273A1 (en) * 2006-04-05 2007-10-11 Hawthorne Michael R Setting a reference voltage for a bus agent
KR101331223B1 (ko) * 2006-09-06 2013-11-18 삼성전자주식회사 컴퓨터, 원격관리 시스템, 컴퓨터의 제어방법 및 원격관리방법, 컴퓨터 네트워크
US7426404B2 (en) * 2006-09-18 2008-09-16 Motorola, Inc. Method and system for consolidating power saving classes
CN101573676B (zh) * 2006-11-30 2012-10-03 诺基亚公司 串行总线外围设备的功率控制
US7962680B2 (en) * 2006-12-05 2011-06-14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nection notifying method
US8689026B2 (en) * 2008-05-20 2014-04-01 Intel Corporation Enhancing power efficiency in a wireless internet card
US8005998B2 (en) * 2009-03-22 2011-08-23 Silicon Motion Inc.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consumption of a USB mass storage, associated personal computer, and storage medium storing an associated USB mass storage driver
JP5131243B2 (ja) * 2009-05-11 2013-01-30 富士通株式会社 伝送装置及び伝送装置の休止方法
US20110187574A1 (en) * 2009-08-05 2011-08-04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Remote controlled power consuming device and module
CN102033451A (zh) * 2009-10-06 2011-04-27 株式会社东芝 图像形成装置以及图像形成装置的控制的方法
CN102184152B (zh) * 2009-10-31 2013-06-19 佛山市顺德区汉达精密电子科技有限公司 总线连接装置
TW201128377A (en) * 2010-02-02 2011-08-16 Kerio Technologies Inc Voltage converter with automatic wake-up energy-saving effect in a standby mode
JP2011170709A (ja) * 2010-02-19 2011-09-01 Ricoh Co Ltd ネットワーク制御装置、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省エネ制御方法、及び省エネ制御プログラム
CN102298439A (zh) * 2010-06-25 2011-12-28 宏碁股份有限公司 电子设备以及节省电子设备的耗能的方法
JP5661349B2 (ja) * 2010-06-29 2015-01-2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20120071114A (ko) * 2010-12-22 2012-07-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원 컨트롤러, 외장 디바이스 및 그의 운용 방법
MY169838A (en) * 2011-12-28 2019-05-16 Intel Corp Power management for data ports
JP5975662B2 (ja) * 2012-02-06 2016-08-2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
CN103513735B (zh) * 2012-06-18 2016-04-20 国基电子(上海)有限公司 电子装置及调整电子装置工作模式的方法
JP2014115687A (ja) * 2012-12-06 2014-06-26 Canon Inc データ処理装置、データ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388364B2 (ja) * 2014-03-17 2018-09-1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6397234B2 (ja) * 2014-06-19 2018-09-2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307645B2 (en) * 2018-02-01 2022-04-1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nstruction updates via side channels
KR20200026534A (ko) * 2018-09-03 2020-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력 정보에 기반하여 외부 전자 장치를 식별하는 방법,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저장 매체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0183B1 (ko) * 1993-10-23 1996-07-26 김광호 에너지절감 화상기록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H0842248A (ja) 1994-08-01 1996-02-13 Nabco Ltd 重量扉の開閉方法およびその開閉装置
KR0135453B1 (ko) * 1995-05-18 1998-05-15 김광호 전자사진 현상 방식 화상형성 장치의 전원 절약 방법
KR100218003B1 (ko) * 1997-04-22 1999-09-01 윤종용 Usb 허브 전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100249677B1 (ko) * 1998-02-09 2000-04-01 구자홍 프린터의 전원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0338735B1 (ko) * 1998-07-31 2002-07-18 윤종용 인쇄기및그전력제어방법
KR100338734B1 (ko) * 1998-07-31 2002-07-18 윤종용 인쇄기및그전력제어방법
JP3726560B2 (ja) 1999-06-04 2005-12-14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0353032A (ja) * 1999-06-10 2000-12-19 Seiko Epson Corp 節電機能付き周辺機器
JP3664926B2 (ja) * 1999-11-17 2005-06-29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処理装置
JP2001353929A (ja) 2000-06-12 2001-12-25 Ricoh Co Ltd 印刷装置
JP2002007003A (ja) 2000-06-27 2002-01-11 Melco Inc 外部処理装置および該装置の制御方法
JP2002036668A (ja) 2000-07-24 2002-02-06 Brother Ind Ltd 印刷装置
JP2002178610A (ja) 2000-12-14 2002-06-26 Funai Electric Co Ltd 印字装置の制御装置
JP4298224B2 (ja) * 2001-06-07 2009-07-15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及び該装置の制御方法
JP3620489B2 (ja) 2001-09-27 2005-02-1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装置、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3882559B2 (ja) 2001-09-28 2007-02-2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入出力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3718768B2 (ja) 2001-10-17 2005-11-24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コンピュータ
US7209805B2 (en) * 2002-09-17 2007-04-24 Ricoh Company Ltd. Approach for managing power consumption of network devices
KR100470593B1 (ko) * 2002-09-18 2005-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키오프기능을 갖는 전자기기의 전원 제어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26348B2 (en) 2006-02-06 2012-02-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inting apparatus to reduce power consump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956141B1 (ko) * 2018-06-04 2019-03-11 주식회사 현대아이티 소비 전력을 줄인 전자 칠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13608B1 (ko) 2006-08-21
US7620829B2 (en) 2009-11-17
CN1746818A (zh) 2006-03-15
US20060053318A1 (en) 2006-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3608B1 (ko) 절전모드 기능을 가지는 장치 및 그의 절전모드 제어방법
US7428391B2 (en) Image forming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image forming device
JP2007028179A (ja) 画像形成装置及びデータ処理プログラム
KR101767963B1 (ko)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전원제어방법
US853926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ower management method thereof
EP2293147A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Low Power Thereof
US20120236353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energy-conservation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energy conservation control
US8842304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circuit, and method of controlling image processing apparatus
JP6131536B2 (ja) 画像処理装置、省電力制御方法及び省電力制御プログラム
US20090201529A1 (en) Image forming system, apparatus, method and control program
US8305598B2 (en) Image-forming apparatus
JP2007086230A (ja) 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JP2005156624A (ja) 複合機、複合機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CN107181884B (zh) 处理装置、主机装置、usb设备的节电方法及计算机程序
JP5211836B2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定着加熱制御方法
JP3882559B2 (ja) 入出力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440153B2 (ja) 画像処理装置
JP2010087670A (ja) 画像形成装置
JP4883779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
JP2008278106A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
KR20040045581A (ko) 스캐너의 광원램프 예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2225394A (ja) 画像形成装置
JP4301390B2 (ja) 省電力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20112721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9141509A (ja) 画像形成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制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