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9677B1 - 프린터의 전원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프린터의 전원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9677B1
KR100249677B1 KR1019980003682A KR19980003682A KR100249677B1 KR 100249677 B1 KR100249677 B1 KR 100249677B1 KR 1019980003682 A KR1019980003682 A KR 1019980003682A KR 19980003682 A KR19980003682 A KR 19980003682A KR 100249677 B1 KR100249677 B1 KR 1002496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host
printer
mode
predetermined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3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9425A (ko
Inventor
박의순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80003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9677B1/ko
Publication of KR19990069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94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9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96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41J29/393Devices for controlling or analysing the entire machine ; Controlling or analysing mechanical parameters involving printing of test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015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 B41J2/04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generating single droplets or particles on demand
    • B41J2/045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generating single droplets or particles on demand by pressure, e.g.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 B41J2/04501Control methods or devices therefor, e.g. driver circuits, control circuits
    • B41J2/0457Power supply level being detected or vari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1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3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 B41J2/3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providing current or voltage to the thermal head
    • B41J2/355Control circuits for heating-element selection
    • B41J2/3558Voltage control or determi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66Arrangements to supply power to external peripherals either directly from the computer or under computer control, e.g. supply of power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 computer controlled power-str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호스트 및 퍼스널 컴퓨터의 동작조건에 따라 프린터의 전원상태를 자동으로 변화시켜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하는 프린터의 전원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프린터의 전원 제어 장치는, 호스트에서 발생되는 데이터 동기를 위한 제1 소정 정보를 래치하는 래치수단; 사용자 인터페이스수단에서 얻어진 파워세이브/파워오프 모드에 따라 상기 프린터의 모드 변화를 위한 제1 내지 제3 제어펄스를 발생하는 메인 콘트롤러; 메인 콘트롤러의 제1, 제2 제어펄스 및 상기 래치수단의 제1 소정의 정보에 따라 외부메모리 및 외부엔진장치의 전원을 단속하여 상기 호스트에서 전송되는 데이터의 수신여부를 결정하는 모드전원 단속수단; 메인 콘트롤러의 제3 제어펄스와 상기 호스트의 동작을 위한 제2 소정 정보를 논리화하여 전원 온/오프를 위한 스위칭신호를 발생하는 논리수단; 스위칭신호에 따라 외부전원을 차단 및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를 포함하며, 이에 따라 호스트의 동작조건에 따라 프린터의 전원상태를 자동으로 변화시켜 인쇄데이터를 수신하므로 온라인 키이의 반복 조작에 따른 불편함이 해소되고 또한 프린터의 소비전력이 최소화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프린터의 전원 제어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프린터의 전원(POWER)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프린터와 접속된 호스트 또는 퍼스널 컴퓨터의 동작조건에 따라 파워 세이브 모드에 있는 프린터의 전원상태를 자동으로 변화시켜서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여 인쇄하도록 하는 프린터의 전원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스트 또는 퍼스널 컴퓨터 및 노트북 컴퓨터 등의 주변장치로 사용하는 프린터(printer)와 같은 제품은 사용자의 조작, 예컨대 조작패널의 온라인 키이(On-Line Key)를 누르면 파워 온(ON) 상태가 되어 상기 호스트 또는 퍼스널 컴퓨터 및 노트북 컴퓨터로부터의 인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대기(Stand by)상태를 수행하고 다시 온라인 키이를 누르면 파워 오프 모드로 되어 외부메모리 또는 인쇄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외부엔진장치의 파워를 오프(OFF)시키는 파워 세이브 모드(Power Save Mode)를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일반적인 프린터는, 사용자의 온라인 키이 조작에 따라 대기상태 및 파워 세이브 모드를 수행하면서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여 인쇄하거나 또는 외부메모리 및 외부엔진장치의 파워를 차단하여 전력의 소모를 최소화하는 기능 등을 수행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호스트 또는 퍼스널 컴퓨터와 접속되어 대기 상태 및 파워 세이브 모드를 수행하면서 인쇄 데이터를 수신·인쇄하는 장치로서는 도 1과 같은 장치가 있다.
도 1에 제시된 장치를 종래의 호스트에 접속된 프린터의 전원 제어장치의 예로서 설명한다.
상기 프린터의 전원 제어장치는, 호스트 장치 또는 퍼스널 컴퓨터(이하, "호스트" 라 단일 약칭함)(100)에서 입력되는 데이터를 수신·저장하고 그 저장된 데이터를 인쇄하는 프린터(200)에 있어서, 상기 프린터(200)는, 호스트(100)와 데이터 버스 및 전원라인을 통해 접속되어 데이터 및 전원을 인터페이스 하는 호스트/프린터 인터페이스부(201)와,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조작패널로부터의 사용자 키이 데이터를 입력받아 인터페이스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2)와, 호스트/프린터 인터페이스부(201)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2)에서 입력되는 인쇄 데이터 및 사용자 키이 데이터에 따라 프린터(200)의 전체 동작을 관리하는 메인 콘트롤러(203)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2)를 통한 온-라인 키이 데이터에 따른 메인 콘트롤러(203)의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전압의 공급 유무를 결정하는 파워 세이브 콘트롤러(204)와, 메인 콘트롤러(203)의 프로그램 수행 및 파워 세이브 콘트롤러(204)에서 공급되는 동작전압에 따라 상기 수신되는 인쇄 데이터를 저장하여 출력하는 외부메모리(205)와, 메인 콘트롤러(203)의 프로그램 수행 및 파워 세이브 콘트롤러(204)에서 공급되는 동작전압에 따라 외부메모리(205)에 저장된 데이터를 인쇄하는 외부엔진장치(206)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프린터의 전원 제어 장치는, 먼저 사용자가 프린터(200)의 조작패널을 통해 온-라인 키이를 누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2)는 입력된 온-라인 키이 데이터를 메인 콘트롤러(203)에 제공하게 된다.
메인 콘트롤러(203)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2)로부터 온-라인 키이데이터가 입력되면 파워 세이브 콘트롤러(204)를 파워 온(on)모드로 제어하여 외부메모리(205) 및 외부엔진장치(206)에 동작전원을 공급하고 인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대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호스트(100)를 조작하여 인쇄 데이터를 데이터 버스를 통해 프린터(200) 측으로 전송을 하면 호스트/프린터 인터페이스부(201)는 호스트(100)에서 전송한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여 메인 콘트롤러(203)에 제공하게 된다.
메인 콘트롤러(203)는 수신된 인쇄 데이터를 부호화 과정을 통해 외부메모리(205)에 순차적으로 저장하고, 아울러 또한 외부메모리(205)에 저장된 인쇄 데이터를 복호화과정을 통해 원래의 데이터로 복호화한 후에 외부엔진장치(206)를 통해 인쇄하기 시작한다.
이후, 호스트(100)로부터의 인쇄 데이터 전송을 마치는 명령이 수신되면 프린터(200)의 메인 콘트롤러(203)는 대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프린터(200)가 대기상태에서 다시 사용자가 조작패널의 온-라인 키이를 눌러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2)를 통해 온-라인 키이데이터를 입력하면 메인 콘트롤러(203)는 파워 세이브 콘트롤러(204)를 파워 오프(OFF)모드로 제어하여 외부메모리(205) 및 외부엔진장치(206)에 공급되는 동작전원을 차단하는 파워 세이브 모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 프린터의 전원 제어 장치는, 사용자가 조작패널의 온-라인 키이를 누르면 프린터는 파워 온(on)상태가 되어 인쇄 데이터를 받을 수 있는 대기상태를 유지하고, 다시 온-라인 키이를 누르면 프린터는 파워 오프(off)모드로 되어 외부메모리, 외부엔진장치로의 전원을 오프시키는 파워 세이브 모드를 유지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분명한 것은, 프린터의 대기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작패널의 온-라인 키이를 눌러 파워 세이브 모드가 되면 외부메모리 및 외부엔진장치의 전원이 차단되어 전력의 소모가 최소화될 수는 있으나 호스트로부터 데이터를 받고자 할 때에는 사용자가 다시 조작패널의 온-라인 키이를 눌러 프린터를 대기상태로 바꾸어 주어야만 하는 키이(Key)의 반복 조작에 따른 불편함이 있으며, 또한 파워 세이브 모드에서는 호스트의 동작조건에 관계없이 호스트로부터의 인쇄 데이터를 전혀 수신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내재하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프린터의 파워 세이브 모드에서 호스트로부터의 인쇄 데이터의 수신불가능 또는 인쇄 데이터의 수신을 위한 온-라인 키이의 반복 조작을 방지하고 프린터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면서도 종래의 것과 동등 이상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프린터의 전원 제어 장치가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기술에서, 프린터의 파워 세이브 모드에서 인쇄 데이터의 수신 불가 상태를 배제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한 견지로서, 호스트의 동작조건에 따라 프린터의 전원상태를 변화시켜 호스트의 데이터를 수신·인쇄하도록 하는 프린터의 전원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로서, 사용자의 조건에 따라 파워 세이브 모드와 전원 온/오프 상태를 자동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견지로서, 프린터의 인쇄 동작 이외의 상태에서 프린터의 전력소모를 최소화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프린터와 호스트의 접속 상태에서 프린터의 전원 제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린터의 전원 제어장치의 설명에 제공되는 실시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에 따른 프린터의 전원 세이브 모드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신호흐름도로서,
도3a는 전원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신호흐름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파워 세이브 및 파워 오프 모드의 설정과정을 보인 신호흐름도이고,
도 3c는 도 3b에서 선택한 파워 세이브 모드 검색과정을 보인 신호흐름도이고,
도 3d는 도 3b에서 선택한 파워 오프 모드 검색과정을 보인 신호흐름도이고,
도 4는 도 3의 파워 세이브 모드에서의 도 2의 각부 출력 타이밍도이고,
도 5는 도 3의 파워 오프 모드에서의 도 2의 각부 출력 타이밍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호스트 200 : 프린터
201 : 호스트/프린터 인터페이스부 202 :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203 : 메인 콘트롤러 300 : 래치부
300a : 반전소자 300b : 다이오드
300c : 충방전부 301 : 모드전원 단속부
301a : 플립플롭 301b : 스위칭소자
303 : 논리합 반전소자 304 : 전원입력단자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프린터의 전원 제어 방법은, 호스트와 접속된 프린터가 온-라인 대기상태에서 상기 프린터의 조작패널로부터의 파워 세이브 모드 및 전원오프 모드의 선택 여부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조작패널로부터의 상기 어느 하나의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모드를 실행하면서 상기 호스트로부터 발생되는 데이터 동기를 위한 제1 소정의 정보와 상기 호스트의 동작을 위한 제2 소정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호스트의 동작조건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호스트의 동작조건에 따라 상기 선택된 모드를 계속 실행하거나 상기 선택된 모드를 변환시켜 데이터를 수신·인쇄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선택된 모드가 파워 세이브 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제1 소정의 정보가 변화 없이 일정레벨로 발생되면 파워 세이브 모드를 유지하고 상기 제1 소정 정보가 연속적으로 변화되어 발생되면 파워 세이브 모드를 해제하여 상기 호스트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선택된 모드가 파워 오프 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제2 소정의 정보가 논리적인 로우레벨이면 파워 세이브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제2 소정의 정보가 논리적인 하이레벨이면 대기상태로 모드를 변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소정의 정보는 상기 호스트의 데이터에 동기하는 호스트 클럭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소정의 정보는 상기 호스트의 온/오프 시에 발생되는 논리적인 동작전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소정의 정보에 의해 파워 세이브 모드에서 해제되어 데이터를 수신 중에 상기 호스트로부터의 데이터 전송이 일시 중지되더라도 상기 제1 소정의 정보 변화에 관계없이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들은, 인쇄할 데이터를 데이터 버스를 통해 전송하는 호스트; 및 상기 호스트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인쇄하는 프린터에 있어서,
상기 프린터는,
(1) 상기 호스트에서 발생되는 데이터 동기를 위한 제1 소정의 정보를 래치하는 래치수단;
(2) 사용자 인터페이스수단에서 얻어진 파워세이브/파워오프 모드에 따라 상기 프린터의 모드 변화를 위한 제1 내지 제3 제어펄스를 발생하는 메인 콘트롤러;
(3) 상기 메인 콘트롤러의 제1, 제2 제어펄스 및 상기 래치수단의 제1 소정의 정보에 따라 외부메모리 및 외부엔진장치의 전원을 단속하여 상기 호스트에서 전송되는 데이터의 수신여부를 결정하는 모드전원 단속수단;
(4) 상기 메인 콘트롤러의 제3 제어펄스와 상기 호스트의 동작을 위한 제2 소정의 정보를 논리화하여 전원 온/오프를 위한 스위칭신호를 발생하는 논리수단; 및
(5) 상기 논리수단에서 얻어진 스위칭신호에 따라 외부전원을 차단 및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프린터의 전원 제어 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래치수단은 상기 호스트의 제1 소정의 정보를 반전시키는 반전소자; 상기 반전소자를 통한 제1 소정의 정보를 클램핑시키는 다이오드; 및 상기 다이오드에서 클램핑된 제1 소정의 정보를 충방전시켜 상기 모드전원단속수단에 제공하는 충방전수단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모드전원 단속수단은 상기 메인 콘트롤러의 제1, 제2 제어펄스에 의해 클리어 및 프리세트되어 상기 래치수단에서 발생된 제1 소정의 정보를 상태 변환시켜 스위칭신호로 발생하는 플립플롭; 및 상기 플립플롭에서 얻어진 스위칭신호에 의해 상기 외부메모리 및 상기 외부엔진장치로의 동작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는 스위칭소자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전원공급수단은 상기 논리수단에서 얻어진 스위칭신호에 따라 외부전원을 단속하는 릴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릴레이를 통한 외부전원을 정전압화하여 상기 메인 콘트롤러에 동작전압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논리수단은 상기 제3 제어펄스와 제2 소정의 정보를 논리합 반전하여 출력하는 논리합 반전소자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하면, 호스트 또는 퍼스널 컴퓨터의 주변장치로 사용하는 프린터가 대기상태에서 자동으로 파워 세이브 모드로 들어갔다가 호스트 또는 퍼스널 컴퓨터로부터 데이터가 들어오면 자동으로 파워 세이브 모드를 해제하여 데이터를 수신·인쇄하고 또한, 호스트의 전원이 오프되면 전원을 자동으로 오프시켜 주게됨을 알 수가 있다.
그 결과, 프린터의 파워 세이브 모드 시에도 호스트의 동작조건에 따라 전원상태를 변화시켜 호스트의 데이터를 수신·인쇄할 수 있으며, 그리고 또한, 인쇄 동작 이외의 상태에서는 프린터의 전력소모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로는 다수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프린터의 전원 제어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은 프린터 외에 호스트 또는 퍼스널 컴퓨터의 주변장치로 사용하는 여러 가지의 제품에 적용할 수가 있다.
그래서, 설명에 사용되는 도 2는 특정한 프린터의 전원 제어 장치가 아니고, 호스트의 주변장치로서 상기 호스트에서 편집한 데이터를 인쇄할 수 있는 여러 가지의 제품에 착안한 도면이다.
또한, 설명에 사용되는 각 도면에 있어서, 같은 구성성분에 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여 표시하고 그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는 것도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전원 제어장치로서, 호스트와 접속된 프린터에 사용한 예를 고려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린터의 전원 제어장치의 설명에 제공되는 실시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편집된 데이터를 데이터 버스를 통해 전송하며, 상기 데이터 전송 시에 상기 데이터 동기를 위한 호스트 클럭(HCK)과 장비의 동작을 위한 호스트 로직 하이신호(Host Logic High : HLH)를 클럭라인 및 전원라인을 통해 발생하는 호스트(100)와, 호스트(100)의 클럭라인과 전원라인 및 데이터 버스에 접속되어 상기 전송되는 호스트 클럭(HCK) 및 호스트 로직 하이신호(HLH)에 따라 데이터를 수신하여 인쇄하는 프린터(200)에 있어서, 상기 프린터(200)는, 호스트(100)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인터페이스 하는 호스트/프린터 인터페이스부(201)와,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조작패널로부터의 사용자 키이 데이터를 입력받아 인터페이스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2)와, 호스트(100)의 클럭라인에 접속되어 호스트(100)에서 전송 입력되는 호스트 클럭(HCK)을 래치하여 출력하는 래치부(300)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2)에서 선택되어진 파워 세이브 모드 및 파워 오프 모드에 따라 프린터(200)의 전원 상태변화를 위한 제1 내지 제3 제어펄스를 발생하고 호스트/프린터 인터페이스부(201)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입력받아 프린터(200)의 전체 동작을 관리 제어하는 메인 콘트롤러(203)와, 메인 콘트롤러(203)에서 발생되는 제1, 제2 제어펄스 및 래치부(300)에 래치된 호스트 클럭(HCK)에 따라 전원단자(Vcc)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단속하여 출력단자(305)를 통해 외부메모리 및 외부엔진장치에 제공하는 모드전원 단속부(301)와, 메인 콘트롤러(203)의 제3 제어펄스와 호스트(100)의 전원라인을 통해 입력되는 호스트 로직 하이신호(HLH)를 논리합 반전시켜 전원 온/오프를 위한 스위칭신호를 발생하는 논리합 반전소자(303)와, 논리합 반전소자(303)에서 입력되는 스위칭신호에 따라 전원입력단자(304)로부터 입력되는 외부전원을 단속하여 메인 콘트롤러(203)로 공급 및 차단하는 전원공급장치(302)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래치부(300)는, 호스트(100)의 클럭라인을 통해 입력되는 호스트 클럭(HCK)을 반전시키는 반전소자(300a)와, 상기 반전된 호스트 클럭(HCK)을 클램핑시키는 다이오드(300b)와, 상기 클램핑된 호스트 클럭(HCK)을 저항(R1),(R2)과 콘덴서(C1)로 충방전시켜 모드전원 단속부(301)에 공급하는 충방전부(300c)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모드전원 단속부(301)는 메인 콘트롤러(203)의 제1, 제2 제어펄스를 각각 클리어단자(CLR) 및 프리세트단자(PR)로 입력받아 리세트 및 세트되고 래치부(300)에서 입력되는 호스트 클럭(HCK)을 클럭단자(CK)로 입력받아 상태 변환시키는 플립플롭(301a)과, 플립플롭(301a)에서 출력되는 호스트 클럭(HCK)에 의해 스위칭되어 출력단자(305)를 통해 상기 외부메모리 및 외부엔진장치로 공급되는 전원단자(Vcc)의 동작전압을 단속하는 스위칭소자(301b)로 구성된다.
도 3a 내지 도 3d는 전원 세이브 모드에서 호스트(100)의 동작조건에 따라 모드 상태를 자동으로 변화시켜 호스트(100)의 데이터를 수신·인쇄하기 위한 신호흐름도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프린터의 전원 제어 장치는, 대기상태에서 자동으로 파워 세이브 모드에 들어갔다가 호스트(100)로부터의 데이터가 전송되면 자동으로 파워 세이브 모드를 해제하여 데이터를 수신·인쇄하는 것으로, 이하에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프린터(200)의 조작패널을 통해 파워를 켜면 이후에 설명될 프린터(200)의 메인 콘트롤러(203)는 전원을 제어하여(단계; S100) 초기화를 수행하게 된다(단계; S200).
프린터(200)가 파워 온 초기화(Power On Initial) 동작을 마치고 도4의 (a)와 같이 온라인 대기상태, 즉 다시 말해서, 초기 대기상태가 되면 다시 사용자는 상기 조작패널의 키이를 이용 파워 세이브 모드 또는 파워 온/오프 모드를 설정하게 된다(단계; S300).
상기 조작패널로부터 선택된 사용자 키이 데이터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2)를 통해 메인 콘트롤러(203)에 제공된다.
메인 콘트롤러(203)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2)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키이 데이터를 검색하여 그 입력된 키이데이터에 따라 파워 세이브 모드 또는 파워 온/오프 모드를 세팅하게 된다.
즉 다시 말해, 상기 파워 세이브 모드 또는 파워 온/오프 모드 설정단계(S300)는 도 3b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조작패널의 키이를 조작하여(단계; S301)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2)를 통해 메인 콘트롤러(203)에 제공하면 메인 콘트롤러(203)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2)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키이 데이터를 가지고 파워 세이브 모드 또는 파워 오프 모드인가를 판단하게 된다(단계; S302, S304).
단계(S302)에서 파워 세이브 모드가 설정되었다 하면 메인 콘트롤러(203)는 도 4의 (c)와 같은 제1 제어펄스를 모드전원 단속부(301)에 구성되는 플립플롭(301a)의 클리어단자(CLR)에 제공하고 아울러 도 4의 (d)와 같은 제2 제어펄스를 플립플롭(301a)의 프리세트단자(PR)에 제공하게 된다.
이때 호스트(100)의 클럭라인으로부터는 논리적인 로우인 호스트 클럭(CLK)이 출력된다.
상기 호스트 클럭(CLK)은 래치부(300)의 반전소자(300a)를 통해 도 4의 (a)와 같이 하이레벨로 변환되어 래치부(300)의 다이오드(300b)에 역바이스로 걸리게 된다.
따라서, 전원단자(Vcc)의 전압이 충방전부(300c)의 저항(R1),(R2)과 콘덴서(C1)의 시정수 동안 충전된 후에 다이오드(300b)를 통해 바이패스 되지 못하고 도4의 (b)와 같이 논리적인 하이레벨로 플립플롭(301a)의 클럭단자(CK)에 제공되는데, 이때 모드전원 단속부(301)의 플립플롭(301a)은 호스트(100)로부터 상태 변환된 호스트 클럭(CLK)이 입력될 때까지 메인 콘트롤러(203)에서 발생되는 제1 제어펄스의 로우신호에 의해 클리어되어 그의 출력단자(Q)로 도4의 (e)와 같이 논리적인 로우신호인 스위칭신호를 발생하여 스위칭소자(301b)를 오프시키게 된다.
스위칭소자(301b)가 오프되면 출력단자(305)와 접속된 외부메모리 및 외부엔진장치에 전원단자(Vcc)의 전압이 공급되지 못하여 도 4에서와 같이 일정기간(T1) 동안, 즉 스위칭소자(301b)가 오프된 동안 프린터(200)가 파워 세이브 모드를 세팅하게 된다(단계; S303).
이와 같이 프린터(200)가 파워 세이브 모드로 세팅된 상태에서 호스트(100)로부터 데이터가 호스트/프린터 인터페이스부(201)를 통해 입력되면, 즉 호스트(100)의 클럭라인으로부터 호스트 클럭(HCK)이 입력되면 메인 콘트롤러(203)는 도 3c와 같이, 파워 세이브 체크 모드를 실행하여(단계; S30) 상기 입력된 호스트 클럭(HCK)을 체크하게 된다(단계; S31).
상기 단계(S31)를 통해 검색한 결과 호스트(100)로부터 입력되는 호스트 클럭(HCK)이 계속 로우신호이면 메인 콘트롤러(203)는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플립플롭(301a)의 클리어단자(CLR)와 프리세트단자(PR)를 제어하여 계속 파워 세이브 모드를 실행하면서(단계; S32) 리턴하게 된다(단계; S34).
그리고, 단계(S31)에서 검색한 결과 호스트(100)의 클럭라인으로부터 하이신호인 호스트 클럭(HCK)이 출력되면 이 신호는 래치부(300)의 반전소자(300a)를 통해 도 4의 (a)와 같이, 반전된 후에 다이오드(300b) 및 저항(R1),(R2)과 콘덴서(C1)로 이루어진 충방전부(300c)에 의해 첫 번째 클럭만이 래치되어 모드전원 단속부(301)에 포함되는 플립플롭(301a)의 클럭단자(CK)에 제공된다.
즉 다시 말해, 파워 세이브 모드 세팅 기간(T1) 이후에 호스트(100)의 클럭단자로부터 호스트 클럭(HCK)이 하이로 입력되면 그 입력된 호스트 클럭(HCK)은 래치부(300)의 반전소자(300a)를 통해 도 4의 (a)와 같이 논리적인 로우레벨로 반전된다.
이에 따라 상기 파워 세이브 모드 세팅 기간(T1) 동안 충방전부(300c)의 콘덴서(C1)에 충전되어 있던 전원단자(Vcc)의 전압이 호스트 클럭(HCK)의 첫 번째 클럭 동안 다이오드(300b) 및 반전소자(300a)를 통해 도 4의 (b)와 같이 순간적으로 방전됨으로, 결과적으로 플립플롭(301a)의 클럭단자(CK)에는 로우전위가 입력되고, 그 플립플롭(301a)의 출력단자(Q)에서는 도 4의 (e)와 같이 하이신호가 출력되어 스위칭소자(301b)를 도통시키게 된다.
즉 다시 말해, 프린터(200)가 파워 세이브 모드를 실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호스트(100)의 클럭라인으로부터 하이 레벨인 호스트 클럭(HCK)이 입력되는 순간 모드전원 단속부(301)에 구성된 플립플롭(301a)의 출력단자(Q)에서는 도 4의 (e)와 같이 논리적으로 하이신호인 스위칭신호를 발생하여 스위칭소자(301b)를 도통시키게 된다.
스위칭소자(301b)가 도통되면 전원단자(Vcc)의 전압이 출력단자(305)를 통해 외부메모리 및 외부엔진장치로 공급되므로 프린터(200)의 메인 콘트롤러(203)는 파워 세이브 모드를 해제하고 호스트(100)로부터 전송된 인쇄 데이터를 호스트/프린터 인터페이스부(201)를 통해 도 4와 같이 일정기간(T2)동안 수신하여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외부메모리에 저장하게 된다(단계; S33).
이와 같이 일정기간(T2)동안 호스트(100)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도중에 데이터의 전송이 중간에 멈출 경우, 이때에는 래치부(300)의 충방전부(300c)와 모드전원 단속부(301)의 플립플롭(301a) 만으로는 데이터 수신이 불가능하므로 메인 콘트롤러(203)는 충방전부(300c)와 플립플롭(301a)에 의해서 일정기간(T2)동안 데이터의 전송이 검출된 후에 데이터 전송이 일시 중단되면 소프트웨어에 의해 도 4의 (d)와 같은 제2 제어펄스를 일정기간(T3) 동안 로우신호로 하여 플립플롭(301a)의 프리세트 단자(PR)에 제공하게 된다.
이에 따라 플립플롭(301a)은 호스트(100)에서 출력되는 호스트 클럭(HCK)에 관계없이, 즉 클럭단자(CK)의 변화에 관계없이 그의 출력단자(Q)로 도 4의 (e)와 같은 하이신호인 스위칭신호를 발생하여 스위칭소자(301b)를 도통시키게 된다.
스위칭소자(301b)가 도통되면 전원단자(Vcc)의 전압이 출력단자(305)를 통해 외부메모리 및 외부엔진장치에 공급된다.
따라서, 외부메모리로는 호스트(100)로부터 전송되어 메인 콘트롤러(203)를 통해 입력되는 인쇄 데이터를 저장하고, 외부엔진장치는 상기 저장된 인쇄 데이터를 기록용지에 인쇄하기 시작한다.
결과적으로, 도4에서와 같이, 전체의 데이터 입력구간(TD)에서 일정기간(T2) 동안에는 하드웨어에 의해 호스트(100)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검출하고 일정기간(T3) 동안에는 소프트웨어로 호스트(100)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검출한다.
이후, 메인 콘트롤러(203)가 호스트(100)로부터 데이터의 전송을 마치는 명령을 받으면 모드전원 단속부(301)에 구비된 플립플롭(301a)의 클리어단자(CLR)에 도 4의 (c)와 같은 제1 제어펄스를 로우신호로 하여 제공하고 프리세트단자(PR)에는 도 4의 (d)와 같은 제2 제어펄스를 하이신호로 하여 다시 파워 세이브 모드로 들어간다.
한편, 도 3b의 단계(S304)에서 파워 오프 모드가 설정되었다 하면 메인 콘트롤러(203)는 도 5의 (b)와 같은 제3 제어펄스를 로우신호로 하여 도 5에서와 같이 일정기간(T10) 동안 파워 오프 모드를 세팅하게 된다(단계; ST305).
이와 같이 프린터(200)가 파워 오프 모드로 세팅된 상태에서 메인 콘트롤러(203)는 호스트/프린터 인터페이스부(201)를 통해 도 3d와 같이 호스트(100)의 호스트 로직 하이(HLH) 신호를 검출하게 된다(단계; S36).
단계(S36)에서, 호스트 로직 하이(HLH) 신호가 도 5의 (a)와 같이 논리적으로 로우신호로 변환되면, 즉 다시 말해, 호스트(100)의 전원이 일정기간(T11) 동안 오프되면 논리합 반전소자(303)는 메인 콘트롤러(203)에서 입력되는 제3 제어펄스의 로우신호와 호스트(100)의 전원라인에서 입력되는 로우신호를 논리합 반전하여 도 5의 (c)와 같이 논리적으로 하이(high)인 스위칭신호를 일정기간(T11) 동안 발생하게 된다.
상기 스위칭신호는 전원공급장치(302)내에 구비된 릴레이와 같은 단속수단을 오프시켜 전원을 차단하는 파워 세이브 모드를 실행하면서(단계; S37) 리턴하게 된다(단계; S38).
이후 다시 호스트(100)로부터의 호스트 로직 하이(HLH) 신호가 하이레벨로 입력되면, 즉 호스트(100)의 전원이 켜지면 논리합 소자(303)는 메인 콘트롤러(203)에서 입력되는 제3 제어펄스에 관계없이 도 5의 (c)와 같이 로우인 스위칭신호를 발생하여 전원공급장치(302)의 릴레이와 같은 단속수단을 온(ON)시켜 줌으로서, 전원공급장치(302)가 전원입력단자(304)에서 입력되는 외부전원을 메인 콘트롤러(203) 및 외부메모리, 외부엔진장치로 전원을 공급하여 프린터(200)를 초기 대기상태로 복귀시키게 된다.
한편, 비교 예로서 종래의 기술, 즉 다시 말해서 프린터의 파워 세이브 모드에서 호스트로부터의 인쇄 데이터의 수신불가능 또는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온-라인 키이를 반복 조작하여야 하는 것과는 달리, 본 발명은 프린터가 파워 세이브 모드에 있는 상태에서도 호스트 또는 퍼스널 컴퓨터의 동작조건에 따라 프린터의 모드를 변화시켜 인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결과에서, 본 발명에 의하면 호스트의 주변장치로 사용하는 프린터와 같은 제품 사용 시에 조작의 편리성을 제공하면서 종래의 것과 동등 이상의 전력 소비 최소화를 가져올 뿐 아니라 자동 모드 변환에 따른 데이터의 수신 안정화를 이룰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실시 예에서는 호스트 또는 퍼스널 컴퓨터의 동작조건에 따라 프린터의 전원상태를 자동으로 변화시켜 줌으로서 종래의 온라인 키이의 반복 조작에 따른 불편함이 없어지고, 데이터 수신의 불안정이 발생되지 않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분명한 것은, 본 발명의 프린터의 전원 제어 장치에 의하면, 호스트 또는 퍼스널 컴퓨터의 주변장치로 사용하는 프린터와 같은 제품에서 호스트의 동작조건에 따라 프린터의 전원상태를 자동으로 변화시켜 인쇄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므로 온라인 키이의 반복 조작이 배제되고, 또한 호스트의 요구조건을 만족시키면서 프린터의 소비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는 것이다.

Claims (16)

  1. 호스트와 접속된 프린터가 온-라인 대기상태에서 상기 프린터의 조작패널로부터의 파워 세이브 모드 및 전원오프 모드의 선택 여부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조작패널로부터의 상기 어느 하나의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모드를 실행하면서 상기 호스트로부터 발생되는 데이터 동기를 위한 제1 소정의 정보와 상기 호스트의 동작을 위한 제2 소정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호스트의 동작조건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호스트의 동작조건에 따라 상기 선택된 모드를 계속 실행하거나 상기 선택된 모드를 변환시켜 데이터를 수신·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전원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모드가 파워 세이브 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제1 소정 정보가 변화 없이 일정레벨로 발생되면 파워 세이브 모드를 유지하고 상기 제1 소정 정보가 연속적으로 변화되어 발생되면 파워 세이브 모드를 해제하여 상기 호스트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전원 제어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소정의 정보는 상기 호스트의 데이터에 동기 하는 호스트 클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전원 제어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모드가 상기 파워 오프 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제2 소정의 정보가 논리적인 로우레벨이면 파워 세이브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제2 소정의 정보가 논리적인 하이레벨이면 대기상태로 모드를 변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전원 제어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소정 정보는 상기 호스트의 전원 온/오프 시에 발생되는 논리적인 동작전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전원 제어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소정 정보에 의해 파워 세이브 모드에서 해제되어 데이터를 수신 중에 상기 호스트로부터의 데이터 전송이 일시 중지되더라도 상기 제1 소정 정보의 변화에 관계없이 소정시간 동안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전원 제어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시간은, 상기 호스트로부터의 데이터 전송 완료 신호가 검출될 때까지의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전원 제어 방법.
  8. 인쇄할 데이터를 데이터 버스를 통해 전송하는 호스트; 및 상기 호스트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인쇄하는 프린터에 있어서,
    상기 프린터는,
    (1) 상기 호스트에서 발생되는 데이터 동기를 위한 제1 소정의 정보를 래치하는 래치수단;
    (2) 사용자 인터페이스수단에서 얻어진 파워세이브/파워오프 모드에 따라 상기 프린터의 모드 변화를 위한 제1 내지 제3 제어펄스를 발생하는 메인 콘트롤러;
    (3) 상기 메인 콘트롤러의 제1, 제2 제어펄스 및 상기 래치수단의 제1 소정의 정보에 따라 외부메모리 및 외부엔진장치의 전원을 단속하여 상기 호스트에서 전송되는 데이터의 수신여부를 결정하는 모드전원 단속수단;
    (4) 상기 메인 콘트롤러의 제3 제어펄스와 상기 호스트의 동작을 위한 제2 소정 정보를 논리화하여 전원 온/오프를 위한 스위칭신호를 발생하는 논리수단; 및
    (5) 상기 논리수단에서 얻어진 상기 스위칭신호에 따라 외부전원을 차단 및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 프린터의 전원 제어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수단은, 상기 호스트의 제1 소정의 정보를 반전시키는 반전소자;
    상기 반전소자를 통한 제1 소정 정보를 클램핑시키는 다이오드; 및
    상기 다이오드에서 클램핑된 제1 소정 정보를 충방전시켜 상기 모드전원 단속수단에 제공하는 충방전수단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 프린터의 전원 제어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전원 단속수단은, 상기 메인 콘트롤러의 제1, 제2 제어펄스에 의해 클리어 및 프리세트되어 상기 래치수단에서 발생된 제1 소정의 정보를 상태 변환시켜 스위칭신호로 발생하는 플립플롭; 및
    상기 플립플롭에서 얻어진 스위칭신호에 의해 상기 외부메모리 및 상기 외부엔진장치로의 동작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는 스위칭소자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 프린터의 전원 제어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수단은, 상기 논리수단에서 얻어진 스위칭신호에 따라 외부전원을 단속하는 릴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릴레이를 통한 외부전원을 정전압화하여 상기 메인콘트롤러에 동작전압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프린터의 전원 제어 장치.
  12. 제 8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논리수단은, 상기 제3 제어펄스와 상기 제2 소정의 정보를 논리합 반전하여 출력하는 논리합 반전소자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 프린터의 전원 제어 장치.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소정의 정보는 상기 호스트의 데이터에 동기 하는 호스트 클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전원 제어 장치.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소정 정보는 상기 호스트의 전원 온/오프 시에 발생되는 논리적인 동작전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전원 제어 장치.
  15.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소정 정보에 의해 파워 세이브 모드에서 해제되어 데이터를 수신 중에 상기 호스트로부터의 데이터 전송이 일시 중지되더라도 상기 제1 소정 정보의 변화에 관계없이 소정시간 동안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전원 제어 장치.
  16. 제 8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수단은, 상기 호스트에서 발생되는 제1 소정 정보의 첫 번째 클럭을 래치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프린터의 전원 제어 장치.
KR1019980003682A 1998-02-09 1998-02-09 프린터의 전원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02496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3682A KR100249677B1 (ko) 1998-02-09 1998-02-09 프린터의 전원 제어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3682A KR100249677B1 (ko) 1998-02-09 1998-02-09 프린터의 전원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9425A KR19990069425A (ko) 1999-09-06
KR100249677B1 true KR100249677B1 (ko) 2000-04-01

Family

ID=19532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3682A KR100249677B1 (ko) 1998-02-09 1998-02-09 프린터의 전원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96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8304B1 (ko) * 2002-02-07 2003-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린터 전원 공급 제어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3608B1 (ko) * 2004-09-06 2006-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절전모드 기능을 가지는 장치 및 그의 절전모드 제어방법
US8126348B2 (en) 2006-02-06 2012-02-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inting apparatus to reduce power consump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8304B1 (ko) * 2002-02-07 2003-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린터 전원 공급 제어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9425A (ko) 1999-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57134B1 (en) Portable computer with differentiated time-out feature
US6600575B1 (en) Clock supply circuit
US6163851A (en) Data processor
KR0171857B1 (ko) 전원 공급 제어 회로 및 방법
US5751925A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US6253259B1 (en) System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an external storage utilizing reduced number of status signals for determining ready or busy state based on status signal level
KR100249677B1 (ko) 프린터의 전원 제어 방법 및 장치
US6687830B2 (en) Energy-saving control interface and method for power-on identification
JP2000347761A (ja) 制御回路
US554409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an integrated circuit
US6140714A (en) Power control apparatus for a battery-powered communication system
US5787293A (en) Computer incorporating a power supply control system therein
JP4794943B2 (ja) クロック切替装置
JP2002287858A (ja) 電源装置
US5587675A (en) Multiclock controller
KR200203132Y1 (ko) 피시와 모니터의 전원 공급 제어 회로
KR100270621B1 (ko) 컴퓨터용 온/오프 제어장치
US5140539A (en) Electronic apparatus having key input means and key activated interruption signals
KR100193833B1 (ko)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US1178967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control method of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having transition event occurring during switching process of power state
KR0134250Y1 (ko) 데이타 유실 방지회로
JPH08272478A (ja) クロック制御装置
KR0184471B1 (ko) 프린터 전원 온/오프 회로
JP2000029560A (ja) 電子装置
JPH03228109A (ja) 電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