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1114A - 전원 컨트롤러, 외장 디바이스 및 그의 운용 방법 - Google Patents

전원 컨트롤러, 외장 디바이스 및 그의 운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1114A
KR20120071114A KR20100132718A KR20100132718A KR20120071114A KR 20120071114 A KR20120071114 A KR 20120071114A KR 20100132718 A KR20100132718 A KR 20100132718A KR 20100132718 A KR20100132718 A KR 20100132718A KR 20120071114 A KR20120071114 A KR 201200711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operation mode
external device
power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132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지성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20100132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71114A/ko
Priority to US13/292,763 priority patent/US20120161546A1/en
Publication of KR20120071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11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0Current supply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09Monitoring remote activity, e.g. over telephone lines or networ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5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ine communication networks, e.g. low power modes or reduced link 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통신 장치, 전원 공급 장치, 및 전원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외장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통신 장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호스트 시스템과 통신한다. 전원 공급 장치는 통신 장치에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 컨트롤러는 전원 공급 장치의 동작 모드를 인터페이스에 신호가 존재하는지에 따라 전상 동작 모드, 절전 모드, 전원 차단 모드로 결정한다.

Description

전원 컨트롤러, 외장 디바이스 및 그의 운용 방법{POWER CONTROLLER, EXTERNAL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원 컨트롤러, 외장 디바이스 및 외장 디바이스의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호스트 시스템의 전원이 차단된 경우에 외장 디바이스의 전원을 관리하는 전원 컨트롤러, 외장 디바이스 및 외장 디바이스의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대부분의 호스트 시스템에는 외장 디바이스 사용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설치되어있다. 대표적인 예로 USB, IEEE 1394와 같은 인터페이스가 있다.
이들 인터페이스에 연결되는 외장 디바이스 중 낮은 전원 공급을 요하는 디바이스들은 호스트 시스템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원을 공급 받아 동작할 수 있다. 하지만, 높은 전원의 공급이 필요한 디바이스들은 별도의 AC 전원을 통한 전원 공급을 받아야 동작을 한다.
호스트 시스템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디바이스들은 호스트 시스템의 메인 전원이 OFF되는 경우나 연결된 인터페이스가 분리되는 경우 동작을 멈춘다. 하지만 별도의 AC 전원을 통해 동작하는 외장 디바이스들은 호스트 시스템의 전원이 OFF되거나 연결된 인터페이스가 분리되어도 계속적으로 전원이 인가되어 전력의 낭비가 초래된다. 또한 계속적인 디바이스의 구동으로 상태가 빨리 노후화되는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호스트 시스템의 전원이 차단된 경우에 외장 디바이스의 전원을 관리하여 전력 낭비를 막고 외장 디바이스의 노후화를 늦추는 전원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외장 디바이스의 운용 방법은 호스트 시스템과의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신호를 확인하는 단계와, 정상 동작 모드에서 제1 시간 구간 동안 상기 인터페이스 신호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 외장 디바이스의 동작 모드를 절전 모드로 천이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인터페이스 신호는 상기 호스트 시스템이 상기 외장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신호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운용 방법은 상기 절전 모드에서 제2 시간 구간 동안 상기 인터페이스 신호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 외장 디바이스의 동작 모드를 전원 차단 모드로 천이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용 방법은 상기 절전 모드에서 제3 시간 구간 동안 상기 인터페이스 신호가 확인되는 경우 외장 디바이스의 동작 모드를 정상 동작 모드로 천이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용 방법은 상기 정상 동작 모드에서 제4 시간 구간 동안 상기 인터페이스 신호가 확인되는 경우 외장 디바이스의 동작 모드를 정상 동작 모드로 유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시간 구간, 상기 제2 시간 구간, 상기 제3 시간 구간, 및 상기 제4 시간 구간은 모두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1 시간 구간 및 상기 제2 시간 구간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장 디바이스를 위한 전원 컨트롤러는 호스트 시스템과의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신호를 확인하는 신호 체크부; 및 정상 동작 모드에서 일정한 시간 동안 상기 인터페이스 신호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 외장 디바이스의 동작 모드를 절전 모드로 천이시키는 모드 결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인터페이스 신호는 상기 호스트 시스템이 상기 외장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신호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모드 결정부는 상기 절전 모드에서 일정한 시간 동안 상기 인터페이스 신호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 외장 디바이스의 동작 모드를 전원 차단 모드로 천이시킬 수 있다.
상기 모드 결정부는 상기 절전 모드에서 일정한 시간 동안 상기 인터페이스 신호가 확인되는 경우 외장 디바이스의 동작 모드를 정상 동작 모드로 천이시킬 수 있다.
상기 모드 결정부는 상기 정상 동작 모드에서 일정한 시간 동안 상기 인터페이스 신호가 확인되는 경우 외장 디바이스의 동작 모드를 정상 동작 모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장 디바이스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호스트 시스템과 통신하는 통신 장치; 상기 통신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장치; 및 정상 동작 모드에서 일정한 시간 동안 상기 인터페이스에 신호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전원 공급 장치가 절전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상기 전원 공급 장치를 제어하는 전원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전원 컨트롤러는 상기 절전 모드에서 일정한 시간 동안 상기 인터페이스에 신호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전원 공급 장치가 전원 차단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상기 전원 공급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모드 결정부는, 상기 절전 모드에서 일정한 시간 동안 상기 인터페이스에 신호가 확인되는 경우 상기 전원 공급 장치가 정상 동작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상기 전원 공급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모드 결정부는 상기 정상 동작 모드에서 일정한 시간 동안 상기 인터페이스에 신호가 확인되는 경우 상기 전원 공급 장치의 동작 모드를 정상 동작 모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호스트 시스템의 외부 인터페이스에 연결되는 디바이스 중 AC 전원을 사용하는 디바이스 내부에 전원 컨트롤러를 추가하여 호스트 시스템과의 신호가 단절이 되면 디바이스의 AC 전원이 제어될 수 있다. 외장 디바이스의 사용이 없을 때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전력 낭비를 막을 수 있고, 계속적인 구동으로 인한 디바이스 노후화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장 디바이스 및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 모드 천이도를 나타낸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장 디바이스 및 이의 운용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장 디바이스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장 디바이스 및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 디바이스(100)는 호스트 시스템(10)과 인터페이스 라인(20)을 통해 연결되어 있고, AC 전원(30)과 전원 라인(40)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외장 디바이스(100)는 통신 장치(110), 전원 컨트롤러(130), 전원 공급부(150)를 포함한다. 전원 컨트롤러(130)는 신호 체크부(131), 모드 제어부(133)를 포함한다.
통신 장치(110)는 전원 공급부(15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인터페이스 라인(20)을 통해 호스트 시스템(10)과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 장치(110)는 외장 하드디스크, 외장 메모리, 외장 무선랜 장치일 수 있다.
신호 체크부(131)는 인터페이스 라인(20)의 신호를 체크하여 신호의 존재에 따라 체크 신호를 생성하여 모드 결정부(133)에 제공한다. 신호 체크부(131)는 호스트 시스템(10)이 통신 장치(110)에 전송하는 신호의 존재를 체크하여 체크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모드 결정부(133)는 신호 체크부(131)가 제공하는 체크 신호를 이용하여 외장 디바이스(100)의 동작 모드를 결정한다.
전원 공급부(150)는 AC 전원 라인(40)을 통해 AC 전원을 공급받아 DC 전원과 같은 안정적인 전원을 생성하여 통신 장치(110)에 제공한다.
다음은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드 결정부(133)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 모드 천이도를 나타낸다.
도 2를 설명하기 위하여, 먼저 외장 디바이스(100)는 정상 동작 모드(M1)로 동작한다고 가정한다.
정상 동작 모드(M1)에서 모드 결정부(133)는 제1 시간 구간 동안 체크 신호를 확인하여 인터페이스 라인(20)에 신호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한다. 정상 동작 모드(M1)에서 일정 시간 이내에 인터페이스 라인(20)에 신호가 존재한 것을 확인한 경우, 모드 결정부(133)는 외장 디바이스(100)의 동작 모드를 정상 동작 모드(M1)로 유지한다(S101).
그러나, 정상 동작 모드(M1)에서 제2 시간 구간 동안 인터페이스 라인(20)에 신호가 존재하는 것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 모드 결정부(133)는 외장 디바이스(100)의 동작 모드를 절전 모드(M2)로 천이시키고, 모드 제어 신호를 전원 공급부(150)에 제공하여, 전원 공급부(150)가 절전 모드(M2)에서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S103).
절전 모드(M2)에서 제3 시간 구간 동안 인터페이스 라인(20)에 신호가 존재한 것을 확인한 경우, 모드 결정부(133)는 외장 디바이스(100)의 동작 모드를 정상 동작 모드(M1)로 천이시키고, 모드 제어 신호를 전원 공급부(150)에 제공하여, 전원 공급부(150)가 정상 동작 모드(M1)에서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S105).
한편, 절전 모드(M2)에서 제4 시간 구간 동안 인터페이스 라인(20)에 신호가 존재하는 것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 모드 결정부(133)는 외장 디바이스(100)의 동작 모드를 전원 차단 모드(M3)로 천이시키고, 모드 제어 신호를 전원 공급부(150)에 제공하여, 전원 공급부(150)가 전원 차단 모드(M3)에서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S107). 전원 차단 모드(M3)에서 전원 공급부(150)는 통신 장치(110)에 전원을 공급하지 않는다.
이상에서 제1 시간 구간 내지 제4 시간 구간은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를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호스트 시스템(10), 인터페이스 라인(20),
AC 전원(30), 전원 라인(40),
외장 디바이스(100), 통신 장치(110), 전원 컨트롤러(130),
신호 체크부(131), 모드 제어부(133), 전원 공급부(150),
정상 동작 모드(M1), 절전 모드(M2), 전원 차단 모드(M3)

Claims (15)

  1. 호스트 시스템과의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신호를 확인하는 단계;
    정상 동작 모드에서 제1 시간 구간 동안 상기 인터페이스 신호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 외장 디바이스의 동작 모드를 절전 모드로 천이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외장 디바이스의 운용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신호는 상기 호스트 시스템이 상기 외장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신호에 해당하는 외장 디바이스의 운용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전 모드에서 제2 시간 구간 동안 상기 인터페이스 신호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 외장 디바이스의 동작 모드를 전원 차단 모드로 천이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외장 디바이스의 운용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전 모드에서 제3 시간 구간 동안 상기 인터페이스 신호가 확인되는 경우 외장 디바이스의 동작 모드를 정상 동작 모드로 천이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외장 디바이스의 운용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정상 동작 모드에서 제4 시간 구간 동안 상기 인터페이스 신호가 확인되는 경우 외장 디바이스의 동작 모드를 정상 동작 모드로 유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외장 디바이스의 운용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 구간, 상기 제2 시간 구간, 상기 제3 시간 구간, 및 상기 제4 시간 구간은 모두 동일한 외장 디바이스의 운용 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 구간 및 상기 제2 시간 구간은 서로 다른 외장 디바이스의 운용 방법.
  8. 호스트 시스템과의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신호를 확인하는 신호 체크부; 및
    정상 동작 모드에서 일정한 시간 동안 상기 인터페이스 신호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 외장 디바이스의 동작 모드를 절전 모드로 천이시키는 모드 결정부를 포함하는 외장 디바이스를 위한 전원 컨트롤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신호는 상기 호스트 시스템이 상기 외장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신호에 해당하는 전원 컨트롤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결정부는 상기 절전 모드에서 일정한 시간 동안 상기 인터페이스 신호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 외장 디바이스의 동작 모드를 전원 차단 모드로 천이시키는 전원 컨트롤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결정부는 상기 절전 모드에서 일정한 시간 동안 상기 인터페이스 신호가 확인되는 경우 외장 디바이스의 동작 모드를 정상 동작 모드로 천이시키고,
    상기 모드 결정부는 상기 정상 동작 모드에서 일정한 시간 동안 상기 인터페이스 신호가 확인되는 경우 외장 디바이스의 동작 모드를 정상 동작 모드로 유지시키는 전원 컨트롤러.
  12. 인터페이스를 통해 호스트 시스템과 통신하는 통신 장치;
    상기 통신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장치; 및
    정상 동작 모드에서 일정한 시간 동안 상기 인터페이스에 신호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전원 공급 장치가 절전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상기 전원 공급 장치를 제어하는 전원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외장 디바이스.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컨트롤러는 상기 절전 모드에서 일정한 시간 동안 상기 인터페이스에 신호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전원 공급 장치가 전원 차단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상기 전원 공급 장치를 제어하는 외장 디바이스.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결정부는,
    상기 절전 모드에서 일정한 시간 동안 상기 인터페이스에 신호가 확인되는 경우 상기 전원 공급 장치가 정상 동작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상기 전원 공급 장치를 제어하는 외장 디바이스.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결정부는,
    상기 정상 동작 모드에서 일정한 시간 동안 상기 인터페이스에 신호가 확인되는 경우 상기 전원 공급 장치의 동작 모드를 정상 동작 모드로 유지시키는 외장 디바이스.
KR20100132718A 2010-12-22 2010-12-22 전원 컨트롤러, 외장 디바이스 및 그의 운용 방법 KR2012007111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32718A KR20120071114A (ko) 2010-12-22 2010-12-22 전원 컨트롤러, 외장 디바이스 및 그의 운용 방법
US13/292,763 US20120161546A1 (en) 2010-12-22 2011-11-09 Power controller, external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32718A KR20120071114A (ko) 2010-12-22 2010-12-22 전원 컨트롤러, 외장 디바이스 및 그의 운용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1114A true KR20120071114A (ko) 2012-07-02

Family

ID=46315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132718A KR20120071114A (ko) 2010-12-22 2010-12-22 전원 컨트롤러, 외장 디바이스 및 그의 운용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20161546A1 (ko)
KR (1) KR2012007111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197736A1 (en) * 2015-01-02 2016-07-07 Cisco Technology, Inc. Wake-On-Link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3608B1 (ko) * 2004-09-06 2006-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절전모드 기능을 가지는 장치 및 그의 절전모드 제어방법
TWI342487B (en) * 2007-02-27 2011-05-21 Issc Technologies Corp Dual direction wireless peripheral device and power saving method thereof
US8339626B2 (en) * 2009-09-08 2012-12-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161546A1 (en) 2012-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6936B1 (ko) 컴퓨터 및 컴퓨터 주변기기의 대기전력 차단 장치
JP3706508B2 (ja)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の電源制御方法及びその装置
US8996892B1 (en) Power smart peripheral devices with external power supplies
CN102778943A (zh) 状态控制方法、装置及便携终端
US7523328B2 (en) Computer power control
US20100274943A1 (en) Line-card disabling for power management
JP2008098774A (ja) 半導体集積回路装置
KR101640584B1 (ko) Pic를 활용한 대기전력 제어 방법
JP2012112544A (ja) 空気調和機の制御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9266017A (ja) 記憶装置および当該記憶装置の起動方法
KR20120071114A (ko) 전원 컨트롤러, 외장 디바이스 및 그의 운용 방법
KR20030059373A (ko) 전원 관리 장치 및 방법
CN103713913A (zh) 一种控制笔记本电脑工作状态的方法及装置
JP2012027655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省電力メモリ管理方法
ES2933101T3 (es) Método de ahorro de energía del ordenador y método de reactivación del ordenador
JP5083290B2 (ja) 記憶システム
TW200500839A (en)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mode of a computer system
US20160179154A1 (en) Controlling the operating state of a system based on the operating state of a connected peripheral or system
US9189058B2 (en) Power consumption control on an identified unused storage unit
KR101911273B1 (ko) 대기 전력 기능을 가지는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AU2016393930A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1215681B1 (ko) 이더넷 기반의 네트워크 통신 장치 및 그의 저전력 동작 방법
CN105487630A (zh) 一种信息处理方法和电子设备
KR20030044125A (ko) 홈 게이트웨이의 전원 공급 장치 및 방법
TW201308060A (zh) 多系統電子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