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20817A - 자동차 시트용 댐퍼 및 이 댐퍼를 구비한 자동차 시트기구 - Google Patents

자동차 시트용 댐퍼 및 이 댐퍼를 구비한 자동차 시트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20817A
KR20050120817A KR1020057021145A KR20057021145A KR20050120817A KR 20050120817 A KR20050120817 A KR 20050120817A KR 1020057021145 A KR1020057021145 A KR 1020057021145A KR 20057021145 A KR20057021145 A KR 20057021145A KR 20050120817 A KR20050120817 A KR 200501208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rical
seat
damper
rotating body
unvulcanized rub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1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9966B1 (ko
Inventor
마사미츠 고지마
요시히로 하라다
요시테루 이가라시
Original Assignee
오일레스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3133689A external-priority patent/JP4352756B2/ja
Application filed by 오일레스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일레스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120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208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9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99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with solid or semi-solid material, e.g. pasty masses, as damping med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02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 B60N2/3004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 B60N2/3009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 B60N2/3011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the back-rest being hinged on the cushion, e.g. "portefeuille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38Cushion movements
    • B60N2/304Cushion movements by rotation only
    • B60N2/3043Cushion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longitudin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38Cushion movements
    • B60N2/304Cushion movements by rotation only
    • B60N2/3045Cushion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 B60N2/305Cushion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the cushion being hinged on the vehicle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72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on a lower level of a multi-level vehicle floor
    • B60N2/3075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on a lower level of a multi-level vehicle floor stowed in re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1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liquid only; using a fluid of which the nature is immaterial
    • F16F9/12Devices with one or more rotary vanes turning in the fluid any throttling effect being immaterial, i.e. damping by viscous shear effect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24/00Materials; Material properties
    • F16F2224/02Materials; Material properties solids
    • F16F2224/025Elastom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2/00Nature of movement
    • F16F2232/06Translation-to-rotary conver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댐퍼(2)는 고정부재(12)와, 고정부재(1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고정부재(12)와의 사이에 간극(13)을 형성하는 회전체(11)와, 간극(13)에 배치된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15)와, 리어시트(3)의 하강 방향의 횡방향(R) 회동시에는 그 하강 방향의 횡방향(Rl)의 회동을 회전체(11)로 전달하여 회전체(11)에 축심(X) 둘레로의 회전을 발생시키는 한편, 자동차 리어시트(3)의 상승 방향의 횡방향(Rl)의 회동시에는 그 상승 방향의 횡방향(Rl)의 회동의 회전체(11)로의 전달을 금지하도록 되어 있는 일방향 클러치 수단(16)을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시트용 댐퍼 및 이 댐퍼를 구비한 자동차 시트기구{Damper for car seat and car seat mechanism having the damper}
본 발명은 자동차 시트, 예컨대 횡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된 리어시트에 있어서, 횡방향으로 위로 올려진 리어시트의 복원의 회동 에너지를 흡수하고, 리어시트의 급격한 복원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 시트용 댐퍼 및 이 댐퍼를 구비한 자동차 시트기구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서는 차내 공간을 넓히기 위해 리어시트를 횡방향으로 위로 올리도록 하는 것이 제안 되고 있는데, 이러한 리어시트를 횡방향으로 위로 올릴 경우(들어 올리는 방향이 횡방향인 회동의 경우)에는, 약간의 큰 힘을 가해도 리어시트의 자중이 작용하여 스토퍼 등에의 급격한 충돌 문제가 별로 발생하지 않지만, 본래 상태로 복원시킬 경우(하강 방향이 횡방향인 회동의 경우)에는 리어시트의 자중 영향에 의해 급격하게 횡방향으로 내려져 스토퍼 등에 급격히 충돌하여 불쾌한 큰 소리가 생기게 된다. 이 리어시트의 하강 방향의 횡방향 회동을 완만하게 행하게 하기 위해 횡방향 회동 에너지를 흡수하는 댐퍼를 사용하면 좋은데, 이러한 댐퍼로서는 유체를 이용한 것이 알려져 있고, 이 유체를 이용한 댐퍼로서는 큰 감쇠력을 얻기 위해서는 대형이 될 수밖에 없으며, 유체의 누출을 저지하기 위한 대형의 씰(seal)을 필요로 하게 한다. 특히, 큰 차내 거주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리어시트에 대해 후방으로 등받이를 회동시켜 놓아 리어시트에 대해 등받이를 펴고, 그 후 리어시트를 횡방향으로 위로 올리도록 한 자동차 시트기구에 대한 댐퍼에서는 등받이 및 리어시트의 합계 하중에 기초한 큰 회동 에너지를 감쇠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단순히 유체를 이용한 소형의 댐퍼로서는 목적으로 하는 큰 감쇠를 얻는 것이 어렵다.
도 1은 본 발명의 자동차 시트용 댐퍼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례의 단면 설명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예의 II- II선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예의 좌측면도.
도 4는 도 1에 나타낸 예를 사용한 자동차 시트기구의 일례의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나타낸 예에 있어서 일부를 절단한 사시도.
도 6은 도 4에 나타낸 예의 동작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다른 예의 단면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또 다른 예의 설명도.
도 9는 도 8의 예의 동작 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또 다른 예의 설명도.
도 11은 도 10의 예의 일부 확대 단면 설명도.
도 12는 도 10의 예의 일부 확대 단면 설명도.
도 13은 도 10의 예의 동작 설명도.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또 다른 예의 설명도.
도 15는 도 14의 예에 사용한 원통체의 설명도.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또 다른 예의 설명도.
도 17은 도 14의 예에 사용한 코일 스프링의 설명도.
본 발명은 상기 여러 관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큰 감쇠력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형으로 할 수 있고, 특히 등받이를 펴거나 등받이를 접고, 그 후 시트를 횡방향으로 위로 올리도록 하거나 시트를 후방으로 회동하도록 한 자동차 시트에 바람직한 댐퍼 및 이 댐퍼를 구비한 자동차 시트기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자동차 시트용 댐퍼는 자동차 시트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샤시에 대해 고정되도록 되어 있는 고정부재와, 이 고정부재에 대해 회전 가능하고 고정부재와의 사이에서 간극을 형성하는 회전체와, 간극에 배치된 실리콘계 미가황(未加黃) 고무와, 자동차 시트의 일방향의 회동시에는 그 일방향의 회동을 회전체에 전달하여 회전체에 회전을 일으키게 하는 한편, 자동차 시트의 타방향의 회동시에는 그 타방향으로의 회동의 회전체로의 전달을 금지하도록 되어 있는 일방향 클러치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제1 양태의 댐퍼에 의하면, 고정부재에 대한 회전체의 회전으로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에 전단 변형을 일으키게 하고, 이 전단 변형에 의해 감쇠 기능을 얻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마모의 우려도 없을 뿐만 아니라 누출 방지를 위한 씰을 생략할 수 있으며, 경량이고 소형이어도 큰 감쇠력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고, 또한 일방향 클러치 수단으로서 자동차 시트의 일방향의 회동, 예컨대 시트의 상승 횡방향 회동 또는 시트의 전방 복원 회동시에는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에 의한 감쇠 기능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고, 자동차 시트의 타방향의 회동, 예컨대 시트의 복원 하강 횡방향 회동 또는 시트의 뒤로 젖혀 내림 회동시에는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에 의한 감쇠 기능을 발생시키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자동차 시트의 상승 또는 전방 복원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트의 횡 방향의 하방 복원 또는 후방 젖혀 내림 회동시에, 스토퍼 등에의 급격한 충돌에 의한 불쾌한 큰 소리가 생기는 일이 없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자동차 시트용 댐퍼에 있어서는, 상기 제1 양태의 댐퍼에 있어서, 고정부재는 자동차 시트가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샤시에 대해 고정되게 되어 있고, 일방향 클러치 수단은 자동차 시트의 하강 방향의 횡방향 회동시에는 그 하강 방향의 횡방향 회동을 회전체에 전달하여 회전체에 회전을 생기게 하는 한편, 자동차 시트의 올리는 방향의 횡방향 회동시에는 그 올리는 방향의 횡방향 회동의 회전체로의 전달을 금지하도록 되어 있고, 본 발명의 제3 양태의 자동차 시트용 댐퍼에 있어서는 상기 제1 양태의 댐퍼에 있어서, 고정부재는 자동차 시트가 전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샤시에 대해 고정되도록 되어 있고, 일방향 클러치 수단은 자동차 시트의 후방의 회동시에는 그 후방의 회동을 회전체에 전달하여 회전체에 회전을 발생시키는 한편, 자동차 시트의 전방의 회동시에는 그 전방의 회동의 회전체로의 전달을 금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댐퍼들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제4 양태의 자동차 시트용 댐퍼와 같이, 회전체는 중앙 축부와, 이 중앙 축부에 동일중심으로 배치된 복수의 원통부를 구비하고 있고, 고정부재는 중앙 축부에 동일중심으로 배치된 복수의 원통부를 구비하고 있는 동시에, 그 복수의 원통부 중 최내주측의 원통부에서 중앙 축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져 회전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으며, 회전체의 복수의 원통부와 고정부재의 복수의 원통부는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가 배치된 간극을 가지고 서로 직경방향으로 중합되어 있으면 좋고,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제5 양태의 자동차 시트용 댐퍼와 같이, 회전체는 그 복수의 원통부의 축 방향의 한쪽 단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폐쇄부와, 이 폐쇄부의 축 방향의 단면에 설치된 오목부 또는 돌기를 구비하고 있고, 고정부재는 그 원통부 축 방향의 한쪽 단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폐쇄부와, 폐쇄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샤시에 대해 고정하기 위한 장착부를 구비하고 있다.
제5 양태의 댐퍼와 같이, 회전체가 오목부 또는 돌기를 구비하고, 고정부재가 장착부를 구비하고 있으면, 오목부 또는 돌기와 장착부에 의해 댐퍼를 양쪽 지지할 수 있는 결과, 댐퍼를 샤시에 대해 확실히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3 양태 중 어느 하나의 양태의 댐퍼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제6 양태의 자동차 시트용 댐퍼와 같이, 고정부재는 두 개의 부재로 이루어져 있고, 한쪽 부재는 중앙 축부와, 이 중앙 축부의 축 방향의 일단부 쪽에 동일중심으로 배치된 복수의 원통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타측의 부재는 중앙 축부의 축 방향의 타단부 쪽에 동일중심으로 배치된 복수의 다른 원통부를 구비하고 있고, 복수의 다른 원통부 중 최내주측의 원통부는 중앙 축부의 축 방향 타단부에 끼워맞추어져 고착되어 있고, 회전체는 중앙 축부에 동일중심으로 배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축 방향으로 나열된 2세트의 복수의 원통부와, 이 2세트의 복수의 원통부 사이에 배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그 2세트의 복수의 원통부 각각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폐쇄부를 구비하고 있음과 동시에, 고정부재의 두 개의 부재 사이에서 중앙 축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고정부재의 양 복수의 원통부와 회전체의 2세트 복수의 원통부는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가 배치된 간극을 가지고 서로 직경방향으로 중합되어 있어도 되고, 이 경우에는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제7 양태의 자동차 시트용 댐퍼와 같이, 고정부재의 한쪽 부재는 중앙 축부의 축 방향의 일단부 및 복수의 원통부 축 방향의 한쪽 단부 각각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폐쇄부와, 이 폐쇄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샤시에 대해 고정하기 위한 장착부를 가지고 있으며, 고정부재의 타측 부재는 그 복수의 다른 원통부 축 방향의 한쪽 단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다른 폐쇄부와, 이 폐쇄부의 축 방향의 단면에 설치된 오목부 또는 돌기를 구비하고 있다.
제7 양태의 댐퍼와 같이, 고정부재가 장착부와 오목부 또는 돌기를 구비하고 있으면, 장착부와 오목부 또는 돌기에 의해 댐퍼를 양쪽 지지할 수 있는 결과, 제5 양태의 댐퍼와 같이, 댐퍼를 샤시에 대해 확실히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일방향 클러치 수단은 그 제8 양태의 자동차 시트용 댐퍼와 같이, 일단부가 자유단이 되어 회전체의 원통 형상의 외주면에 권회되어 있음과 동시에, 타단부가 자동차 시트에 설치되도록 되어 있는 코일 스프링을 구비하고 있으면 좋다.
제8 양태의 댐퍼에 의하면, 일방향 클러치 수단이 회전체의 외주면에 권회된 코일 스프링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코일 스프링의 직경 확장과 직경 감축에 의한 일방향 클러치 작용으로 자동차 시트의 일방향의 회동시에는,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에 의한 감쇠 기능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고, 자동차 시트의 타방향의 회동시에는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에 의한 감쇠 기능을 발생시킬 수 있는 결과, 매우 간단한 기구에 의해, 예컨대 자동차 시트의 위로 올리기 또는 전방 복원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트의 횡 방향의 하방 복원 또는 후방 젖혀 내림 회동시 스토퍼 등에의 급격한 충돌에 의한 불쾌한 큰 소리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양태 중 어느 하나의 양태의 댐퍼에 있어서는, 또한 본 발명의 제9 양태의 자동차 시트용 댐퍼와 같이, 고정부재는 하우징부재와, 이 하우징부재에 나사 고정 또는 끼움고정된 커버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하우징부재는 외측 원통부와, 이 외측 원통부의 내측에 있어서 외측 원통부와 동일중심으로 배치된 내측 원통부와, 외측 원통부 및 내측 원통부 축 방향의 일단부를 폐쇄하도록 외측 원통부 및 내측 원통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폐쇄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커버부재는 외측 원통부의 축 방향의 타단부에 나사 고정 또는 끼워 맞추어져 고착되어 있고, 회전체는 외측 원통부의 내측이며 내측 원통부의 외측에 있어서 외측 원통부와 동일중심으로 배치되어 있는 외주측 원통부와, 이 외주측 원통부에 연결되어 있음과 동시에 내측 원통부의 내측에 있어서 외주측 원통부와 동일중심으로 배치되어 있는 내주측 원통부를 구비하고 있고, 외측 원통부 및 내측 원통부 중 적어도 한쪽과 외주측 원통부는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가 배치된 간극을 가지고 서로 직경방향으로 중합되어 있어도 되며, 이러한 제9 양태의 자동차 시트용 댐퍼에서는 본 발명의 제10 양태의 자동차 시트용 댐퍼와 같이, 회전체는 외주측 원통부와 내주측 원통부 사이이며 내측 원통부의 내측에 배치된 중간 원통부를 더 구비하고 있고, 중간 원통부와 내측 원통부는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가 배치된 간극을 가지고 서로 직경방향으로 중합되어 있어도 된다.
제9 또는 제10 양태의 자동차 시트용 댐퍼에서는, 일방향 클러치 수단은 본 발명의 제11 양태의 자동차 시트용 댐퍼와 같이, 축 방향에 있어서 내주측 원통부와 나란히 배치된 원통체와, 일단부가 자유단이 되어 내주측 원통부 및 원통체 각각의 외주면에 권회되어 있는 코일 스프링을 구비하고 있으면 좋고, 이 경우 원통체는 본 발명의 제12 양태의 자동차 시트용 댐퍼와 같이, 그 내부에 삽입되는 축부재와 걸어맞춤되어 축부재와 함께 회전되도록 그 내주면에 서로 대향하는 평탄면을 가지고 있어도 좋고, 본 발명의 제13 양태의 자동차 시트용 댐퍼와 같이, 그 내부에 삽입되는 축부재를 조여붙여 축부재와 함께 회전되도록 축 방향에 대해 그 환상의 한쪽 단면에서 그 환상의 타측의 단면까지 연장된 슬릿을 가지고 직경 감축이 자유롭게 되어도 된다.
제11 내지 제13의 양태 중 어느 하나의 양태의 자동차 시트용 댐퍼에 있어서, 코일 스프링은 그 타단부에서 원통체로 연결되어 있어도 되지만, 본 발명의 제14 양태의 자동차 시트용 댐퍼와 같이, 원통체를 조여붙일 정도의 내경을 가지고 있고, 그 타단부에서도 자유단이 되고 있어도 되고, 또한 제11 양태의 자동차 시트용 댐퍼에 있어서는 코일 스프링은 본 발명의 제15 양태의 자동차 시트용 댐퍼와 같이, 그 타단부에서 회전체에 연결되어 있음과 동시에, 그 내부에 삽입되는 축부재를 조여붙여 축부재와 함께 그 자유단인 일단부가 회전될 수 있는 내경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는 그 제16 양태의 자동차 시트용 댐퍼와 같이, 30 내지 420의 가소도를 가지고 있으면 좋은데,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제17 양태의 자동차 시트용 댐퍼와 같이, 60 내지 320의 가소도를 가지고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제18 양태의 자동차 시트용 댐퍼와 같이, 160 내지 320의 가소도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서의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의 가소도는 ASTM 등에 의해 규격화된 윌리엄 가소도계로 측정한 값으로, 구체적으로는 상하 2개의 평행판에 직경 약1.43cm, 높이 1.27cm의 원주 형상으로 용적 2cc의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를 끼고, 70℃∼100℃에서 5kg의 하중에 의해 압축하여, 3분간 가압 후의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의 높이(mm/100)에 의해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는 상술한 바와 같이, 30 내지 420의 가소도를 가지고 있으면 좋은데, 30보다 적은 가소도라면 유동하기 쉬워져 간극에 배치된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에 대해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대형의 씰을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큰 감쇠력을 기대할 수 없게 되며, 420보다 큰 가소도라면 간극을 형성하는 회전체 및 고정부재 각각의 면과의 친화가 거의 없어지고, 회전체 및 고정부재의 상호 상대적인 회전시에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에 대해 회전체 및 고정부재 중 한쪽이 미끄러져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의 변형에 의한 실질적인 감쇠력을 얻기 어려워지며, 또한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이러한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에 접하는 회전체 및 고정부재의 면을 요철(凹凸)면으로 하여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를 잡도록 해도 420보다 큰 가소도의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는 매우 취약하기 때문에, 회전체 및 고정부재의 상호 상대적인 회전시에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가 쉽게 전단(분단)되고, 이에 의해도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의 변형에 기초한 감쇠력을 얻을 수 없게 된다.
또한,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는 회전체 및 고정부재 사이의 간극에 충전되는 것이지만, 그 가소도가 420보다 크면 간극에 공동(미충전 부분)이 없이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를 충전하는 것이 매우 어려워지게 되고,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를 충전한 후에 회전체 및 고정부재와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 사이에 공동이 생겨 있으면 원하는 감쇠를 얻을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씰의 불필요성 및 얻어지는 감쇠력의 크기, 친화성, 취성, 충전 용이성 및 내구성 등의 관점에서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의 가소도는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바와 같이, 60 내지 320, 더욱 바람직하게는 160 내지 320이다. 가소도가 60 이상이면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의 유동성이 거의 없어져 간단한 씰 기구로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고, 가소도가 160 이상이면, 씰 기구를 거의 생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교적 큰 감쇠력을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는 그 가소도가 420보다 크면,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체 및 고정부재의 접촉면과의 친화성이 없어지는 데다가 취약해져 쉽게 전단되게 되지만, 가소도가 320 이하인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는 회전체 및 고정부재 각각의 면과의 친화성이 향상되어 회전체 및 고정부재의 상호 상대적인 회전시에 회전체 및 고정부재 각각의 면에 대해 별로 미끄러지는 일 없이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에 변형이 생겨 목적으로 하는 감쇠가 얻어지기 쉬워지는 데다가 취약성이 없어져 회전체 및 고정부재의 상호 상대적인 회전에 따라 바람직하게 가소 변형하고,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를 잡는 요철면을 형성한 회전체 및 고정부재를 사용해도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가 조각조각 전단되는 등의 사태를 피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는 상기한 바와 같은 가소도를 가진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러한 가소도 대신에 그 제19 양태의 자동차 시트용 댐퍼와 같이, 10 내지 150ML 1+4 (10O℃)의 무니 점도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데,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제20 양태의 자동차 시트용 댐퍼와 같이, 36 내지 72ML 1+4 (100℃)의 무니 점도를 가지고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제21 양태의 자동차 시트용 댐퍼와 같이, 66 내지 72ML 1+4 (100℃)의 무니 점도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상기 가소도를 가지는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와 마찬가지로 10ML 1+4 (100℃)보다 작은 무니 점도를 가지는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라면, 유동하기 쉬워져 간극에 배치된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에 대해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대형의 씰을 필요로 하는 데다가 큰 감쇠력을 기대할 수 없게 되며, 150ML 1+4 (10O℃)를 넘는 무니 점도를 가지는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는 간극을 형성하는 회전체 및 고정부재 각각의 면과의 친화성이 거의 없어지고, 회전체 및 고정부재의 상호 상대적인 회전시에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에 대해 회전체 및 고정부재가 미끄러져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의 변형에 의한 실질적인 감쇠력을 얻기 어려워지며, 또한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이러한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에 접하는 회전체 및 고정부재의 면을 요철면으로 하여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를 잡도록 해도 150ML 1+4 (100℃)보다 큰 무니 점도의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는 매우 취약하기 때문에, 회전체 및 고정부재의 상호 상대적인 회전시에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가 쉽게 전단(분단)되고, 이에 의해도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의 변형에 기초한 감쇠력을 얻을 수 없게 되며, 이러한 씰의 불필요성 및 얻어지는 감쇠력의 크기, 친화성, 취성, 충전 용이성 및 내구성 등의 관점에서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는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바와 같이 36 내지 72ML 1+4 (100℃)의 무니 점도를 가지고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66 내지 72ML 1+4 (l00℃)의 무니 점도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는 바람직하게는 그 제22 양태의 자동차 시트용 댐퍼와 같이, 실리콘 변성 에틸렌프로필렌 고무로 이루어진다.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가 실리콘 변성 에틸렌프로필렌 고무로 이루어져 있으면, 내구성, 내후성이 우수하여 바람직한 자동차 시트용 댐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회전체 및 고정부재는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에 접하는 요철면을 가지고 있으면 좋고, 이 요철면은 회전체 및 고정부재의 상대적인 회전시에 그 요철면의 근방의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의 요철면에 대한 미끄러짐을 저지하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요철면은 이산적으로 흩어져 배치된 돌기 또는 오목홈, 또는 연속한 돌기 또는 오목홈으로 구체화해도 되지만, 반점 형상 또는 주름 형상의 요철면으로 구체화해도 된다.
이러한 요철면은 요철면 근방의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를 잡도록 기능하고, 이에 의해 회전체 및 고정부재 사이의 상대적인 회전시에 그 회전체 및 고정부재와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 간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고,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에 원하는 소성 변형을 발생시켜서,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에 목적으로 하는 에너지를 흡수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와 이에 접하는 회전체 및 고정부재의 면이 잘 친화되고, 회전체 및 고정부재와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 사이에 미끄러짐이 생기지 않는 경우 또는 그 미끄러짐을 허용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요철면으로 하지 않고 평활면으로 해도 좋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자동차 시트기구는 상술한 댐퍼와, 자동차의 샤시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시트와, 이 시트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등받이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제1 양태의 자동차 시트기구에 의하면,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에 의해 감쇠 기능을 얻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댐퍼에 의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시트, 예컨대 리어시트의 급격한 복원 또는 급격한 젖혀짐을 없앨 수 있다. 상기 양태의 댐퍼 및 자동차 시트기구도 프런트 시트 및 리어시트 등의 모든 자동차 시트에 적용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리어시트에 적용한다.
제1 양태의 자동차 시트기구에 있어서, 등받이는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자동차 시트기구와 같이, 시트에 대해 후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도 좋고, 본 발명의 제3 양태의 자동차 시트기구와 같이, 시트에 대해 앞쪽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제1 내지 제3의 양태 중 어느 하나의 양태의 자동차 시트기구에 있어서, 시트는 본 발명의 제4 양태의 자동차 시트기구와 같이, 댐퍼를 관통하여 배치된 축부재를 통해 자동차의 샤시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이 경우 축부재는 시트의 회동과 함께 회전되게 되어 있다. 이러한 제4 양태의 자동차 시트기구에 의하면, 축부재의 둘레에 콤팩트하게 댐퍼를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큰 감쇠력을 얻을 수 있는 데다가 소형으로 가능하고, 특히 등받이를 펴거나 또는 등받이를 접고, 그 후 시트를 횡방향으로 위로 올리도록 하거나 또는 시트를 후방으로 회동하도록 한 자동차 시트에 바람직한 댐퍼 및 이 댐퍼를 구비한 자동차 시트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 및 사실예를 도면에 나타낸 바람직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은 이들 예로만 전혀 한정되지 않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5에 있어서, 본 실시예의 자동차 시트기구(1)는 자동차 시트용 댐퍼(2)와, 자동차의 샤시에 대해 축심(X)을 중심으로 함과 동시에, 상하 방향의 횡 방향의 회동, 즉 횡방향(R1)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시트, 본 예에서는 리어시트(3)와, 리어시트(3)에 대해 후방(R2)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등받이(4)와, 리어시트(3)에 대해 횡 방향(R3)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다리부(5)를 구비하고 있다.
댐퍼(2)는 자동차의 리어시트(3)가 횡방향(R1)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샤시에 대해 고정되도록 되어 있는 고정부재(12)와, 고정부재(12)에 횡방향(R1)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고정부재(12)와의 사이에서 간극(13)을 형성하고, 일방향 클러치 수단(16)을 통해 자동차 리어시트(3)의 횡방향(R1)의 회동이 전달되게 되어 있는 회전체(11)와, 간극(13)에 배치된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15)와, 자동차 리어시트(3)의 하강 방향의 횡방향(Rl)의 회동(리어시트(3)를 도 4및 도 5에 나타낸 본래의 위치에 되돌리는 하강 회동)에 있어서는, 그 하강 방향의 횡방향(R1)의 회동을 회전체(11)에 전달하여 회전체(11)에 축심(X) 둘레로의 회전을 발생시키는 한편, 자동차 리어시트(3)의 상승 방향의 횡방향(Rl)의 회동(리어시트(3)를 도 6에 나타낸 위치로 이동시키는 상승 회동)에 있어서는 그 상승 방향의 횡방향(R1)의 회동의 회전체(11)로의 전달을 금지하도록 되어 있는 일방향 클러치 수단(16)을 구비하고 있다.
회전체(11)는 원주 형상의 중앙 축부(21)와, 중앙 축부(21)에 동일중심으로 배치된 복수의 원통부(22 및 23)와, 복수의 원통부(22 및 23) 및 중앙 축부(21)의 축 방향의 한쪽 단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원판 형상의 폐쇄부(25)와, 폐쇄부(25)의 축 방향의 단면에 마련된 원형의 오목부(26)와, 중앙 축부(21)의 축 방향의 타측의 단부에 끼움고정된 환상의 빠짐 방지부재(27)를 구비하고 있다.
고정부재(12)는 중앙 축부(21)에 동일중심으로 배치된 복수의 원통부(41 및 42)와, 원통부(41 및 42)의 축 방향의 한쪽 단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폐쇄부(43)와, 폐쇄부(43)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고정용 볼트(44)의 삽입용 관통공(45)을 가진 판상의 장착부(46)와, 폐쇄부(43)에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빠짐 방지부재(27)가 배치되어 있는 오목부(47)를 구비하고 있음과 동시에, 복수의 원통부(41 및 42) 중 최내주측의 원통부(41)에서 중앙 축부(2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져 회전체(11)를 축심(X)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회전체(11)의 복수의 원통부(22 및 23)와 고정부재(12)의 복수의 원통부(41 및 42)는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15)가 조밀하게 배치된 간극(13)을 가지고 서로 직경방향으로 중합되어 있다.
10 내지 150ML 1+4 (100℃)의 무니 점도, 바람직하게는 36 내지 72ML 1+4 (100℃)의 무니 점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66 내지 72ML 1+4 (100℃)의 무니 점도, 또한 더 구체적으로는 실질적으로 70ML 1+4 (100℃)의 무니 점도를 가짐과 동시에 실리콘 변성 에틸렌프로필렌 고무로 이루어지는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15)는 회전체(11) 및 고정부재(12)에 조밀하게 접하여 간극(13)에 충전되어 있다.
자동차 리어시트(3)의 하강 방향의 횡방향(R1)의 회동시에는, 리어시트(3)의 하강 방향의 횡방향(R1)의 회동을 회전체(11)에 전달하여 회전체(11)를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하는 한편, 자동차 리어시트(3)의 상승 방향의 횡방향(R1)의 회동시에는 리어시트(3)의 하강 방향 횡방향(R1)의 회동의 회전체(11)로의 전달을 금지하는 본 실시예의 일방향 클러치 수단(16)은 일단부(72)가 자유단이 되어 회전체(11) 원통 형상의 외주면(73), 구체적으로는 원통부(23)의 외주면(73)에 권회되어 있음과 동시에, 루프 형상으로 구부려진 타단부(71)가 힌지 기구(82)를 통해 자동차 리어시트(3)에 장착되도록 되어 있는 코일 스프링(74)을 구비하고 있다.
코일 스프링(74)은 자동차 리어시트(3)의 상승 방향의 횡방향(R1)의 회동에 의해 힌지 기구(82)를 통해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려고 하면, 외주면(73)에 접촉하여 권회된 부위에서 직경 확장되는 권회 방향으로 권회되어 있는 결과, 이러한 리어시트(3)의 상승 방향의 횡방향(R1)의 회동의 회전체(11)로의 전달을 금지하고, 회전체(11)와 고정부재(12) 사이에 축심(X) 둘레로의 횡방향(R1)의 상대적인 회전을 방생시키지 않도록 하고, 그로 인하여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15)의 전단 변형에 의한 자동차 리어시트(3)의 상승 방향의 횡방향(R1)의 회동에 대한 저항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는 한편, 자동차 리어시트(3)의 하강 방향의 횡방향(R1)의 회동에 의해 힌지 기구(82)를 통해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려고 하면, 외주면(73)에 접촉하여 권회된 부위에서 직경 감축되는 권회 방향으로 권회되어 있는 결과, 리어시트(3)의 하강 방향의 횡방향(R1)의 회동을 회전체(11)에 전달하고, 회전체(11)와 고정부재(12) 사이에 축심(X) 둘레로의 횡방향(R1)의 상대적인 회전을 발생시키며, 그로 인하여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15)의 전단 변형에 의한 자동차의 리어시트(3)의 하강 방향의 횡방향(R1)의 회동에 대한 저항을 발생시키고, 그 리어시트(3)의 하강 방향의 횡방향(R1)의 회동의 에너지를 부분적으로 실리콘계 가황 고무(15)에 의해 흡수시키도록 되어 있다.
리어시트(3)는 자동차의 샤시에 고착된 베이스(81)에 댐퍼(2) 및 힌지 기구(82)를 통해 횡방향(R1)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그로 인하여 리어시트(3)는 베이스(81)를 통해 자동차의 샤시에 대해 횡방향(R1)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힌지 기구(82)는 베이스(81)에 고착된 브래킷(83)과, 일단부(84)에서는 브래킷(83)의 한쪽 베어링부(85)에 축부재(86)를 통해 횡방향(R1)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타단부(87)에서는 리어시트(3)에 고착된 한쪽 아암부재(88)와, 일단부(89)에서는 댐퍼(2) 회전체(11)의 오목부(26)에 횡방향(R1)으로 회동 가능하게 삽입 장착된 축부재(24)를 지지하고 있으며, 타단부(90)에서는 리어시트(3)에 고착된 타측 아암부재(91)를 가지고 있다.
댐퍼(2)의 고정부재(12)의 장착부(46)는 베어링부(85 및 92)를 연락하는 브래킷(83)의 장착부(93)에 고정용 볼트(44)를 통해 고착되어 있다.
루프 형상으로 구부려진 코일 스프링(74)의 타단부(71)는 장착핀 등을 통해 아암부재(91)의 타단부(90)에 고착되어 있고, 이와 같이 하여, 타단부(71)는 힌지 기구(82)를 통해 자동차 리어시트(3)에 장착되어 있고, 코일 스프링(74)은 리어시트(3)가 횡방향(R1)으로 회동되면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게 되어 있다.
등받이(4)는 리어시트(3)에 공지된 힌지 기구(95)(도 6 참조)를 통해 리어시트(3)에 대해 후방(R2)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다리부(5)도 또한 공지된 힌지 기구(96)를 통해 리어시트(3)에 대해 횡방향(R3)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힌지 기구(95 및 96)의 록킹 기구 등은 공지된 것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댐퍼(2)를 구비한 이상의 자동차 시트기구(1)에 의하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등받이(4)를 후방(R2)으로 회동 후, 리어시트(3)를 횡방향(R1)에 있어서 상승 방향으로 회동시키고, 또한 다리부(5)를 리어시트(3)에 대해 횡방향(R3)으로 회동시킴으로써 큰 차내 거주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자동차 시트기구(1)에 의하면, 리어시트(3)의 상승 방향의 횡방향(R1)의 회동시에는 아암부재(91)를 통해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는 코일 스프링(74)은 외주면(73)에 접촉하여 권회된 부위에서 직경 확장되게 되어 있는 결과, 외주면(73)에 대해 공회전하여 리어시트(3)의 상승 방향의 횡방향(R1)의 회동을 회전체(11)에 전달하지 않고 회전체(11)와 고정부재(12) 사이에 축심(X) 둘레로의 횡방향(R1)의 상대적인 회전을 발생시키지 않고, 그로 인하여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15)에 의한 감쇠 기능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리어시트(3) 횡방향의 상승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한편 리어시트(3)의 하강 방향의 횡방향(R1)의 회동시에는 아암부재(91)를 통해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는 코일 스프링(74)은 외주면(73)에 접촉하여 권회된 부위에서 직경 감축되게 되어 있는 결과, 외주면(73)에 꽉 감아 붙여져서 리어시트(3)의 하강 방향의 횡방향(R1)의 회전을 회전체(11)에 전달하고, 회전체(11)와 고정부재(12) 사이에 축심(X) 둘레로의 횡방향(R1)의 상대적인 회전을 발생시키고, 그로 인하여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15)에 전단 변형을 발생시키며, 리어시트(3)의 회동 에너지를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15)의 전단 변형에 의해 흡수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리어시트(3)의 급격한 하방 복원 방향의 횡방향(R1)의 회동을 피할 수 있어, 리어시트(3)의 급격한 복원을 없앨 수 있으며, 스토퍼 등에의 급격한 충돌에 의한 불쾌한 큰 소리의 발생을 없앨 수 있다.
그리고 댐퍼(2)에 의하면,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15)의 전단 변형을 가지고 감쇠 기능을 얻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마모에 대한 우려도 없을 뿐만 아니라 누출 방지를 위한 씰을 생략할 수 있고, 또한 경량 및 소형이어도 큰 감쇠력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으며, 또한 회전체(11)가 오목부(26)에서 축부재(24)를 통해 아암부재(91)에 지지되어 있는 한편, 고정부재(12)가 장착부(46)에서 장착부(93)에 지지되어 댐퍼(2)가 양쪽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댐퍼(2)는 샤시에 대해 확실히 고정되게 된다.
상기 댐퍼(2)에서는 고정부재(12)를 일체물로 구성했지만, 이 대신에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부재(12)를 두 개의 부재(151 및 152)로 구성해도 된다. 즉, 도 7에 나타낸 댐퍼(2)에 있어서, 고정부재(12)가 한쪽 부재(151)는 중앙 축부(153)와, 중앙 축부(153)의 축 방향의 일단부(154) 쪽에 동일중심으로 배치된 복수의 원통부(155 및 156)와, 중앙 축부(153) 축 방향의 일단부(154) 및 복수의 원통부(155 및 156)의 축 방향의 한쪽 단부 각각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폐쇄부(157)와, 폐쇄부(157)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샤시에 대해 고정하기 위한 장착부(46)를 구비하고 있고, 고정부재(12)의 타측의 부재(152)는 중앙 축부(153) 축 방향의 타단부(160) 쪽에 동일중심으로 배치된 복수의 원통부(161 및 162)와, 복수의 원통부(161 및 162) 축 방향의 한쪽 단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다른 폐쇄부(163)와, 폐쇄부(163) 축 방향의 단면에 설치된 오목부(26)를 구비하고 있으며, 복수의 원통부(161 및 162) 중 최내주측의 원통부(161)는 중앙 축부(153)의 축 방향의 타단부(160)에 세레이션(요철) 결합에 의해 끼워 맞추어져 고착되어 있다.
이러한 고정부재(12)를 구비한 도 7에 나타낸 댐퍼(2)에 있어서, 일체물로 이루어지는 회전체(11)는 중앙 축부(153)에 동일중심으로 배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축 방향으로 나열된 2세트 복수의 원통부(171, 172 및 173; 174, 175 및 176)와, 2세트 복수의 원통부(171, 172 및 173; 174, 175 및 176) 사이에 배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그 2세트 복수의 원통부(171, 172 및 173; 174, 175 및 176) 각각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원환(圓環) 형상의 폐쇄부(177)를 구비하고 있음과 동시에, 고정부재(12)의 두 개의 부재(151 및 152) 사이에서 중앙 축부(15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고정부재(12)의 양 복수의 원통부(155 및 156; 161 및 162)와 회전체(11)의 2세트의 복수 원통부(171, 172 및 173; 174, 175 및 176)는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15)가 조밀하게 배치된 간극(13)을 가지고 서로 직경방향으로 중합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낸 댐퍼(2)에 있어서 일방향 클러치 수단(16)의 코일 스프링(74)은 일단부(72)가 자유단이 되어 회전체(11)의 원통 형상의 외주면(178), 구체적으로는 원통부(173 및 176) 및 폐쇄부(177)의 외주면(178)에 권회되어 있음과 동시에, 루프 형상으로 구부려진 타단부(71)가 힌지 기구(82)의 아암부재(91)를 통해 자동차의 리어시트(3)에 장착되게 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낸 댐퍼(2)는 도 1에 나타낸 댐퍼(2)와 같이 그 장착부(46)에서 브래킷(83)의 장착부(93)에 고정용 볼트(44)를 통해 고착됨과 동시에, 오목부(26)에서 그 오목부(26)에 끼움고정된 축부재(24)를 통해 아암부재(91)에 지지된다.
도 7에 나타낸 댐퍼(2)를 구비한 자동차 시트기구(1)에 있어서도, 리어시트(3)의 상승 방향의 횡방향(R1)의 회동시에는 아암부재(91)를 통해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는 코일 스프링(74)은 외주면(178)에 접촉하여 권회된 부위에서 직경 확장되도록 되어 있는 결과, 외주면(178)에 대해 공회전하여 리어시트(3)의 상승 방향의 횡방향(R1)의 회동을 회전체(11)에 전달하지 않고, 회전체(11)와 고정부재(12) 사이에 축심(X) 둘레로의 횡방향(Rl)의 상대적인 회전을 발생시키지 않으며, 그로 인하여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15)에 의한 감쇠 기능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리어시트(3) 횡방향의 상승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한편 리어시트(3)의 하강 방향의 횡방향(R1)의 회동시에는 아암부재(91)를 통해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는 코일 스프링(74)은 외주면(178)에 접촉하여 권회된 부위에서 직경 감축되게 되어 있는 결과, 외주면(178)에 꽉 감아 붙여져 리어시트(3)의 하강 방향의 횡방향(R1)의 회동을 회전체(11)에 전달하고, 회전체(11)와 고정부재(12) 사이에 축심(X) 둘레로의 횡방향(R1)의 상대적인 회전을 발생시키고, 그로 인하여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15)에 전단 변형을 발생시키며, 리어시트(3)의 회동 에너지를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15)의 전단 변형에 의해 흡수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리어시트(3)의 급격한 하방 복원 방향의 횡방향(R1)의 회동을 피할 수 있어, 리어시트(3)의 급격한 복원을 없앨 수 있으며, 스토퍼 등에의 급격한 충돌에 의한 불쾌한 큰 소리의 발생을 없앨 수 있고, 또한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15)의 전단 변형을 가지고 감쇠 기능이 얻어지기 때문에, 마모에 대한 우려도 없을 뿐만 아니라 누출 방지를 위한 씰을 생략하고, 또한 경량 및 소형이어도 큰 감쇠력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회전체(11)가 오목부(26)에서 축부재(24)를 통해 아암부재(91)에 지지되어 있는 한편, 고정부재(12)가 장착부(46)에서 장착부(93)에 지지되어 댐퍼(2)가 양쪽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댐퍼(2)는 샤시에 대해 확실히 고정되게 된다.
그런데, 상기에서는 리어시트(3)가 횡방향(R1)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자동차 시트기구(1)의 예지만, 이 대신에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어시트(3)가 전후 방향(R4)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자동차 시트기구(1)에 댐퍼(2)를 사용해도 된다.
도 8에 나타낸 자동차 시트기구(1)에서는, 댐퍼(2)는 사이드 프레임(101) 내에 수용되어 있고, 댐퍼(2)의 고정부재(12)는 그 장착부(46)가 자동차의 사이드 프레임(101) 또는 바닥판(102)에 고착되어 자동차의 샤시에 대해 고정되어 있고, 오목부(26)에 배치됨과 동시에, 사이드 프레임(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축부재(24)는 리어시트(3)에 일단(104)에서 고착된 시트 브래킷(105)의 타단(106)의 구멍에 삽입 장착되며, 시트 브래킷(105)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고, 루프 형상으로 구부려진 코일 스프링(74)의 타단부(71)는, 시트 브래킷(105)의 타단(106)에 심어져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사이드 프레임(101)의 원호 형상의 장공을 통해 사이드 프레임(101) 내로 신장된 핀(미도시)에 장착되어 있으며, 리어시트(3)의 전후 방향(R4)의 회동은 시트 브래킷(105)을 통해 코일 스프링(74)의 타단부(71)에 전달되도록 되어 있고, 등받이는 리어시트(3)에 대해 앞쪽 방향(R5)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리어시트(3)에 일단(115)에서 고착된 타측의 시트 브래킷(116)은 그 타단(117)에서 축 등을 통해 자동차의 타측 사이드 프레임(미도시)에 전후 방향(R4)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도 8에 나타낸 자동차 시트기구(1)에서는, 등받이(4)를 앞쪽 방향(R5)으로 회동시켜 리어시트(3)에 중합시킨 후(접은 후), 리어시트(3)를 전후 방향(R4)에 있어서 뒤쪽으로 회동시킨 후에 다시 하강 방향으로 회동시켜서, 자동차의 바닥판(102)에 형성된 오목부(121)에 수용함으로써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넓은 차내 거주 공간을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도 9에 나타낸 상태에서 리어시트(3)를 오목부(121)에서 꺼내도록 상승 방향으로 회동시킨 후에 전후 방향(R4)에 있어서 앞쪽으로 회동시키고 사이드 프레임(101)에 장착된 스토퍼(122)에 접촉시키며, 그 후 등받이(4)를 회동시킴으로써 원 상태로 복원시킬 수 있다.
도 8에 나타낸 자동차 시트기구(1)에서는, 코일 스프링(74)은 리어시트(3)의 전후 방향(R4)에서의 하강 방향을 포함하는 후방 회동시에는 직경 감축되고, 리어시트(3)의 전후 방향(R4)에서의 상승 방향을 포함하는 전방의 회동시에는 직경 확장되도록 되어 있고, 그로 인하여 본 예에서는 일방향 클러치 수단(16)은 리어시트(3)의 전후 방향(R4)에서의 후방 회동시에는 그 후방 회동을 회전체(11)에 전달하여 회전체(11)에 회전을 발생시키고, 회전체(11)와 고정부재(12) 사이에 전후 방향(R4)에서의 하강 방향을 포함하는 후방 회동에 기초한 상대적인 회전을 발생시키는 한편, 리어시트(3)의 전후 방향(R4)에서의 상승 방향을 포함하는 전방 회동시에는 그 앞쪽 방향의 회동의 회전체(11)로의 전달을 금지하고, 회전체(11)와 고정부재(12) 사이의 전후 방향(R4)에서의 상승 방향을 포함하는 전방 회동에 기초한 상대적인 회전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환언하면 리어시트(3)의 전후 방향(R4)에서의 하강 방향을 포함하는 후방 회동시에는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15)를 전단 변형시키는 한편, 리어시트(3)의 전후 방향(R4)에서의 상승 방향을 포함하는 전방 회동시에는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15)를 전단 변형시키지 않도록 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낸 자동차 시트기구(1)에서는, 댐퍼(2)를 사이드 프레임(101) 내에 수용했지만, 이 대신에 사이드 프레임(101) 외측에 설치해도 되고, 또한 타측 시트 브래킷(116) 쪽에도 댐퍼(2)를 설치해도 된다.
또한, 상기 모든 댐퍼(2)는 폐쇄부(25 및 163)에 오목부(26)를 설치하여 오목부(26)에 축부재(24)를 장착했지만, 이러한 오목부(26) 대신에 폐쇄부(25 및 163)에 돌기를 설치하여 이 돌기를 축부재(24)로서 사용해도 된다.
또한, 자동차 시트기구(1) 및 댐퍼(2)로서는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구성해도 된다.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한 댐퍼(2)는 고정부재(212)와, 고정부재(212)에 대해 전후 방향(R4)으로 회전 가능하며 고정부재(212)와의 사이에서 간극(213)을 형성하는 회전체(211)와, 간극(213)에 배치된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215)와, 리어시트(3)의 전후 방향(R4)에서의 후방으로의 회동시에는 그 후방 회동을 회전체(211)에 전달하여 회전체(211)에 회전을 발생시키는 한편, 리어시트(3)의 전후 방향(R4)에서의 전방으로의 회동시에는 그 전방 회동의 회전체(211)로의 전달을 금지하도록 되어 있는 일방향 클러치 수단(216)을 구비하고 있다.
리어시트(3)가 전후 방향(R4)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샤시에 대해 고정되도록 되어 있는 고정부재(212)는 하우징부재(221)와, 하우징부재(221)에 나사 고정 또는 끼움고정, 본 예에서는 나사부(222)를 통해 나사 고정된 환상의 커버부재(223)를 구비하고 있고, 하우징부재(221)는 외측 원통부(224)와, 외측 원통부(224) 내측에 외측 원통부(224)와 동일중심으로 배치된 내측 원통부(225)와, 외측 원통부(224) 및 내측 원통부(225) 축 방향의 일단부를 폐쇄하도록 외측 원통부(224) 및 내측 원통부(225)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원환 판상의 폐쇄부(226)를 구비하고 있으며, 커버부재(223)는 외측 원통부(224)의 축심(X) 방향의 타단부의 내주면에 나사부(222)를 통해 나사 고정되어 있고, 회전체(211)는 바깥 원통부(224)의 내측이며 내측 원통부(225) 외측에 있어서 외측 원통부(224)와 동일중심으로 배치되어 있는 외주측 원통부(227)와, 외주측 원통부(227)에 연결되어 있음과 동시에 내측 원통부(225)의 내측에 있어서 외주측 원통부(227)와 동일중심으로 배치되어 있는 내주측 원통부(228)와, 외주측 원통부(227)와 동일중심으로 배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외주측 원통부(227)와 내주측 원통부(228) 사이이며 내측 원통부(225) 내측에 배치된 중간 원통부(229)를 일체적으로 구비하고 있고, 외측 원통부(224) 및 내측 원통부(225)와 외주측 원통부(227)는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215)가 배치된 간극(213)을 가지고 서로 직경방향으로 중합되어 있으며, 중간 원통부(229)와 내측 원통부(225)는 서로 직경방향으로 중합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중간 원통부(229)와 내측 원통부(225)를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215)가 배치된 간극을 가지고 서로 직경방향으로 중합시켜도 된다.
일방향 클러치 수단(216)은 축심(X) 방향에 있어서 내주측 원통부(228)와 나란히 배치된 턱붙이 원통체(231)와, 일단부(232)가 자유단이 되어 내주측 원통부(228) 및 원통부(231) 각각의 원통부 외주면(233 및 234)에 권회되어 있는 코일 스프링(235)을 구비하고 있으며, 원통체(231)는 그 내부에 삽입되는 축부재(236)의 일단부(251)에 형성된 평탄면(237)과 걸어맞춤하여 축부재(236)와 함께 회전되도록 그 내주면에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평탄면(238)을 갖고 있다.
코일 스프링(235)은 원통체(231)의 외주면(234)을 조여붙일 정도의 내경을 갖고 있고, 본 예에서는 그 타단부(241)에서도 자유단이 되어 있지만, 이 대신에 타단부(241)에서 원통체(231)에 고착되어 연결되어 있어도 된다.
고정부재(212)는 외측 원통부(224)에 있어서 볼트, 용접 등에 의해 장착 부재(245)의 베이스부(246)에 고착되어 있고, 장착 부재(245)는 베이스부(246)에 더하여 베이스부(246)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한 쌍의 축 지지부(247)를 갖고 있고, 베이스부(246)의 볼트 공(248)에 삽입된 볼트 등을 통해 자동차의 샤시에 고착되어 있으며, 이러한 장착 부재(245)를 통해 고정부재(212)는 리어시트(3)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샤시에 대해 고정되게 되도록 되어 있다.
축부재(236)는, 평탄면(237)을 가진 그 일단부(251)에서 댐퍼(2) 및 한 쌍의 축 지지부(247)를 관통함과 동시에, 턱붙이 부시(252 및 253)를 통해 한 쌍의 축 지지부(247)에 전후 방향(R4)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일단부(251)가 댐퍼(2) 및 축 지지부(247)에서 빠지지 않도록 그 일단부(251)에는 와셔(254)를 통해 너트(255)가 고착되어 있다. 축부재(236)의 타단부(256)도 일단부(251)와 마찬가지로 다른 장착 부재(257)를 통해 전후 방향(R4)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장착 부재(257)는 장착 부재(245)와 마찬가지로 볼트 등을 통해 자동차의 샤시에 고착되어 있다.
축부재(236)는 그 일단부(251) 쪽에서, 리어시트(3)에 일단이 고착된 시트 브래킷(261)의 타단의 구멍을 관통하고 또한 시트 브래킷(261)의 타단에 용접 등에 의해 고착되어 있는 한편, 그 타단부(256) 쪽에서, 리어시트(3)에 일단이 고착된 다른 시트 브래킷(262)의 타단의 구멍을 관통하고 또한 시트 브래킷(262)의 타단에 용접 등에 의해 고착되어 있으며, 그로 인하여 리어시트(3)는 댐퍼(2)를 관통하여 배치된 축부재(236) 및 시트 브래킷(261 및 267)을 통해 자동차의 샤시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축부재(236)는 리어시트(3)의 전후 방향(R4)의 회동과 함께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축부재(236)에는, 일단이 시트 브래킷(261)에, 타단이 축부재(236)에 각각 고착된 코일 스프링(265)과, 일단이 시트 브래킷(262)에 타단이 축부재(236)에 각각 고착된 코일 스프링(266)이 동일중심으로 축부재(236)를 둘러감아서 배치되어 있고, 코일 스프링(265)은 리어시트(3)의 전후 방향(R4)에서의 후방으로의 회동을 그 탄성력에 의해 보조하며, 코일 스프링(266)은 리어시트(3)의 전후 방향(R4)에서의 전방으로의 회동을 그 탄성력에 의해 보조하도록 되어 있다.
도 10 내지 도 12에 나타낸 자동차 시트기구(1)에 있어서,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목부(121)에 리어시트(3) 및 등받이(4)를 수용하기 위해 리어시트(3)의 전후 방향(R4)에서의 후방 회동이 코일 스프링(265)의 탄성력에 의한 보조와 함께 행해지면, 축부재(236)의 같은 방향의 회전과 함께 원통체(231)도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며, 원통체(231)의 이 회전으로 원통체(231)의 외주면(233)을 조여붙이도록 코일 스프링(235)은 직경 감축되는 결과, 내주측 원통부(228)의 외주면(233)도 또한 코일 스프링(235)에 의해 조여붙여지고, 이에 의해 내주측 원통부(228)는 축부재(236)의 전후 방향(R4)에서의 후방의 회동과 함께 회전되는 결과, 회전체(211)와 고정부재(212) 사이에 전후 방향(R4)에서의 후방 회동에 기초한 상대적인 회전이 생겨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215)에 전단 변형이 생기며, 리어시트(3)의 회동 에너지가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215)의 전단 변형에 의해 흡수되도록 되어 있고, 이에 대해 리어시트(3)의 전후 방향(R4)에서의 전방 회동이 행해지면, 축부재(236)의 같은 방향의 회전과 함께 원통체(231)도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어 원통체(231)의 이 회전으로 원통체(231)의 외주면(233)을 조여붙이도록 배치된 코일 스프링(235)은 직경 확장되는 결과, 내주측 원통부(228)의 외주면(233)의 코일 스프링(235)도 또한 직경 확장되고 이에 의해 원통체(231)는 코일 스프링(235) 및 내주측 원통부(228)에 대해 공회전하며 회전체(211)와 고정부재(212) 사이에 상대적인 회전이 생기지 않고, 그로 인하여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15)에 의한 감쇠 기능이 생기지 않으며 리어시트(3)의 전후 방향(R4)에서의 전방 회동은 코일 스프링(266)의 탄성력에 의한 보조를 받아 원활하게 행해진다.
이처럼 일방향 클러치 수단(216)에 의해서도 리어시트(3)의 전후 방향(R4)에서의 후방 회동시에는, 그 후방 회동을 회전체(211)로 전달하여 회전체(211)에 회전을 발생시켜 회전체(211)와 고정부재(212) 사이에 전후 방향(R4)에서의 후방의 회동에 기초한 상대적인 회전을 발생시키는 한편, 리어시트(3)의 전후 방향(R4)에서의 전방 회동시에는, 그 앞쪽 방향 회동의 회전체(211)로의 전달을 금지하고, 회전체(211)와 고정부재(212) 사이의 전후 방향(R4)에서의 전방 회동에 기초한 상대적인 회전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즉 리어시트(3)의 전후 방향(R4)에서의 후방 회동시에는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215)를 전단 변형시키는 한편, 리어시트(3)의 전후 방향(R4)에서의 전방 회동시에는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215)를 전단 변형시키지 않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한 자동차 시트기구(1)에 의하면, 댐퍼(2)를 관통하여 배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리어시트(3)의 회동과 함께 회전되도록 되어 있는 축부재(236)를 통해 리어시트(3)가 자동차의 샤시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축부재(236) 둘레에 콤팩트하게 댐퍼(2)를 배치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에 나타낸 자동차 시트기구(1)에 있어서는 축부재(236)의 일단부(251) 쪽에만 댐퍼(2)를 설치하는 대신에, 축부재(236)의 타단부(256) 쪽에도 마찬가지로 댐퍼(2)를 설치해도 된다.
그런데, 도 10 내지 도 12에 나타낸 자동차 시트기구(1)에서는 축부재(236)의 회전과 함께 원통체(231)를 회전시키기 위해 서로 걸어맞춤하는 평탄면(237) 및 평탄면(238)을 축부재(236)와 원통체(231) 각각에 마련하였지만, 이 대신에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삽입되는 축부재(236)의 일단부(251)를 조여붙여 축부재(236)와 함께 전후 방향(R4)으로 회전되도록 축심(X) 방향에 대해 환상의 한쪽 단면(271)으로부터 환상의 타측 단면(272)까지 연장된 슬릿(273)을 갖고 직경 감축 가능한 원통체(274)를 사용해도 되고, 원통체(274)는 턱붙이 원통체(231) 대신에 축심(X) 방향에 있어서 내주측 원통부(228)와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한 자동차 시트기구(1)에서는 축부재(236)의 회전으로 축부재(236)를 조여붙인 원통체(274)도 회전하고, 원통체(274)를 조여붙여 감긴 코일 스프링(235)이 원통체(274)의 회전에 의해 직경 감축 또는 직경 확장되어 상기와 같은 동작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도 14에 도시한 댐퍼(2)는 커버부재(223)가 너트(255) 쪽에 배치되어 축부재(236)의 일단부(251)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한 자동차 시트기구(1)와 같이, 원통체(274)를 생략하여 코일 스프링(235)을 직접적으로 축부재(236)의 일단부(251)에 접촉하도록 하는 한편, 코일 스프링(235)을 그 타단부(241)로 회전체(211)의 내주측 원통부(228)로 연결해도 되며, 이 경우 코일 스프링(235)은 그 내부에 삽입되는 축부재(236)의 일단부(251)를 조여붙여 축부재(236)와 함께 그 자유단인 일단부(232)가 회전될 수 있는 내경을 갖고 있으며, 하우징부재(221)는 외측 원통부(224) 및 내측 원통부(225)에 더하여 내측 원통부(225) 및 중간 원통부(229)의 내주측이며 이들과 동일중심으로 또한 코일 스프링(235)을 둘러감아서 폐쇄부(226)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또 하나의 원통부(281)를 갖고 있다.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한 코일 스프링(235)을 갖고 있는 일방향 클러치 수단(216)에서는 리어시트(3)의 전후 방향(R4)에서의 후방 회동에 의한 축부재(236)의 같은 방향의 회전에 의해 코일 스프링(235)은 직경 감축되어 축부재(236)의 일단부(251)에 꽉 감아붙여져 축부재(236)의 회전과 함께 회전되게 되고, 이에 따라 회전체(211)를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는 한편, 리어시트(3)의 전후 방향(R4)에서의 전방 회동에 의한 축부재(236)의 같은 방향의 회전으로 코일 스프링(235)은 직경 확장되어 축부재(236)의 일단부(251)에 느슨하게 감긴 결과, 축부재(236)를 코일 스프링(235)에 대해 공회전시키고, 이에 의해 회전체(211)로의 리어시트(3)의 전후 방향(R4)에서의 전방 회동을 전달시키지 않게 된다.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한 댐퍼(2)와 같이, 중간 원통부(229)와 내측 원통부(225)는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215)가 배치된 간극(213)을 갖고 서로 직경방향으로 중합되어 있어도 된다.
도 16및 도 17에 나타낸 일방향 클러치 수단(216)을 가진 댐퍼(2) 및 이러한 댐퍼(2)를 구비한 자동차 시트기구(1)에서도 상기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통체(231 또는 274)를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비용 저하를 더욱 용이하게 꾀할 수 있다.

Claims (26)

  1. 자동차 시트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샤시에 대해 고정되도록 되어 있는 고정부재와, 이 고정부재에 대해 회전 가능하고 고정부재와의 사이에서 간극을 형성하는 회전체와, 간극에 배치된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와, 자동차 시트의 일방향의 회동시에는 그 일방향의 회동을 회전체에 전달하여 회전체에 회전을 발생시키는 한편, 자동차 시트의 타측 방향의 회동시에는 그 타측 방향의 회동의 회전체로의 전달을 금지하도록 되어 있는 일방향 클러치 수단을 구비한 자동차 시트용 댐퍼.
  2. 제1항에 있어서,
    고정부재는 자동차 시트가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샤시에 대해 고정되도록 되어 있고, 일방향 클러치 수단은 자동차 시트의 하강 방향의 횡방향 회동시에는 그 하강 방향의 횡방향 회동을 회전체에 전달하여 회전체에 회전을 발생시키는 한편, 자동차 시트의 상승 방향의 횡방향 회동시에는 그 상승 방향의 횡방향 회동의 회전체로의 전달을 금지하도록 되어 있는 자동차 시트용 댐퍼.
  3. 제1항에 있어서,
    고정부재는 자동차 시트가 전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샤시에 대해 고정되도록 되어 있고, 일방향 클러치 수단은 자동차 시트의 후방의 회동시에는 그 후방의 회동을 회전체로 전달하여 회전체에 회전을 발생시키는 한편, 자동차 시트의 앞쪽 방향의 회동시에는 그 앞쪽 방향의 회동의 회전체로의 전달을 금지하도록 되어 있는 자동차 시트용 댐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회전체는 중앙 축부와, 이 중앙 축부에 동일중심으로 배치된 복수의 원통부를 구비하고 있고, 고정부재는 중앙 축부에 동일중심으로 배치된 복수의 원통부를 구비하고 있음과 동시에, 그 복수의 원통부 중 최내주측의 원통부에서 중앙 축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져 회전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으며, 회전체의 복수의 원통부와 고정부재의 복수의 원통부는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가 배치된 간극을 가지고 서로 직경방향으로 중합되어 있는 자동차 시트용 댐퍼.
  5. 제4항에 있어서,
    회전체는 그 복수의 원통부의 축 방향의 한쪽 단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폐쇄부와, 이 폐쇄부의 축 방향의 단면에 마련된 오목부 또는 돌기를 구비하고 있고, 고정부재는 그 원통부의 축 방향의 한쪽 단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폐쇄부와, 폐쇄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샤시에 대해 고정하기 위한 장착부를 구비하고 있는 자동차 시트용 댐퍼.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정부재는 두 개의 부재로 이루어져 있고, 한쪽 부재는 중앙 축부와, 이 중앙 축부의 축 방향의 일단부 쪽에 동일중심으로 배치된 복수의 원통부를 갖고 있으며, 다른 부재는 중앙 축부의 축 방향의 타단부 쪽에 동일중심으로 배치된 복수의 다른 원통부를 갖고 있고, 복수의 다른 원통부 중 최내주측 원통부는 중앙 축부의 축 방향의 타단부에 끼워 맞추어져 고착되어 있으며, 회전체는 중앙 축부에 동일중심으로 배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축 방향으로 나열된 2세트의 복수의 원통부와, 이 2세트의 복수의 원통부 사이에 배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그 2세트의 복수의 원통부 각각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폐쇄부를 구비하고 있음과 동시에, 고정부재의 두 개의 부재 사이에서 중앙 축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고정부재의 양 복수의 원통부와 회전체 2세트의 복수의 원통부는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가 배치된 간극을 갖고 서로 직경방향으로 중합되어 있는 자동차 시트용 댐퍼.
  7. 제6항에 있어서,
    고정부재의 한쪽 부재는 중앙 축부의 축 방향의 일단부 및 복수의 원통부의 축 방향의 한쪽 단부 각각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폐쇄부와, 이 폐쇄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샤시에 대해 고정하기 위한 장착부를 가지고 있고, 고정부재의 타측 부재는 그 복수의 다른 원통부 축 방향의 한쪽 단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다른 폐쇄부와, 이 폐쇄부 축 방향의 단면에 마련된 오목부 또는 돌기를 구비하고 있는 자동차 시트용 댐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일방향 클러치 수단은 일단부가 자유단이 되어 회전체의 원통 형상의 외주면에 권회되어 있음과 동시에, 타단부가 자동차의 시트에 부착되도록 되어 있는 코일 스프링을 구비하고 있는 자동차 시트용 댐퍼.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정부재는 하우징부재와, 이 하우징부재에 나사 고정 또는 끼움고정된 커버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하우징부재는 외측 원통부와, 이 외측 원통부의 내측에 있어서 외측 원통부와 동일중심으로 배치된 내측 원통부와, 외측 원통부 및 내측 원통부의 축 방향의 일단부를 폐쇄하도록 외측 원통부 및 내측 원통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폐쇄부를 구비하고 있고, 커버부재는 외측 원통부의 축 방향의 타단부에 나사 고정 또는 끼움고정되어 있으며, 회전체는 외측 원통부의 내측이며 내측 원통부의 외측에 있어서 외측 원통부와 동일중심으로 배치되어 있는 외주측 원통부와, 이 외주측 원통부에 연결되어 있음과 동시에 내측 원통부의 내측에 있어서 외주측 원통부와 동일중심으로 배치되어 있는 내주측 원통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외측 원통부 및 내측 원통부 중 적어도 한쪽과 외주측 원통부는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가 배치된 간극을 가지고 서로 직경방향으로 중합되어 있는 자동차 시트용 댐퍼.
  10. 제9항에 있어서,
    회전체는 외주측 원통부와 내주측 원통부 사이이며 내측 원통부의 내측에 배치된 중간 원통부를 더 구비하고 있고, 중간 원통부와 내측 원통부는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가 배치된 간극을 가지고 서로 직경방향으로 중합되어 있는 자동차 시트용 댐퍼.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일방향 클러치 수단은 축 방향에 있어서 내주측 원통부와 나란히 배치된 원통체와, 일단부가 자유단이 되어 내주측 원통부 및 원통체 각각의 외주면에 권회되어 있는 코일 스프링을 구비하고 있는 자동차 시트용 댐퍼.
  12. 제11항에 있어서,
    원통체는 그 내부에 삽입되는 축부재와 걸어맞춤되어 축부재와 함께 회전되도록 그 내주면에 서로 대향하는 평탄면을 가지고 있는 자동차 시트용 댐퍼.
  13. 제11항에 있어서,
    원통체는 그 내부에 삽입되는 축부재를 조여붙여 축부재와 함께 회전되도록 축 방향에 대해 그 환상의 한쪽 단면에서 그 환상의 타측 단면까지 연장된 슬릿을 갖고 직경 감축 가능한 자동차 시트용 댐퍼.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코일 스프링은 원통체를 조여붙일 정도의 내경을 가지고 있고, 그 타단부에서도 자유단이 되어 있는 자동차 시트용 댐퍼.
  15. 제11항에 있어서,
    코일 스프링은 그 타단부에서 회전체에 연결되어 있음과 동시에, 그 내부에 삽입되는 축부재를 조여붙여 축부재와 함께 그 자유단인 일단부가 회전되게 되는 내경을 가지고 있는 자동차 시트용 댐퍼.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는 30 내지 420의 가소도는 갖고 있는 자동차 시트용 댐퍼.
  17.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는 60 내지 320의 가소도를 가지고 있는 자동차 시트용 댐퍼.
  18.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는 160 내지 320의 가소도를 갖고 있는 자동차용 시트 댐퍼.
  19.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는 10 내지 150ML 1+4 (1O0℃)의 무니 점도를 가지고 있는 자동차 시트용 댐퍼.
  20.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는 36 내지 72ML 1+4 (100℃)의 무니 점도를 가지고 있는 자동차 시트용 댐퍼.
  21.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는 66 내지 72ML 1+4 (100℃)의 무니 점도를 가지고 있는 자동차 시트용 댐퍼.
  22.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는 실리콘 변성 에틸렌프로필렌 고무로 이루어지는 자동차 시트용 댐퍼.
  23.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자동차 시트용 댐퍼와, 자동차의 샤시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시트와, 이 시트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등받이를 구비하고 있는 자동차 시트기구.
  24. 제23항에 있어서,
    등받이는 시트에 대해 후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자동차 시트기구.
  25. 제23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등받이는 시트에 대해 앞쪽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자동차 시트기구.
  26. 제23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시트는 댐퍼를 관통하여 배치된 축부재를 통해 자동차의 샤시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축부재는 시트의 회동과 함께 회전되도록 되어 있는 자동차 시트기구.
KR1020057021145A 2003-05-12 2004-02-04 자동차 시트용 댐퍼 및 이 댐퍼를 구비한 자동차 시트기구 KR1010599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33689A JP4352756B2 (ja) 2002-07-18 2003-05-12 自動車シート用のダンパ及びこのダンパを具備した自動車シート機構
JPJP-P-2003-00133689 2003-05-12
PCT/JP2004/001149 WO2004098944A1 (ja) 2003-05-12 2004-02-04 自動車シート用のダンパ及びこのダンパを具備した自動車シート機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0817A true KR20050120817A (ko) 2005-12-23
KR101059966B1 KR101059966B1 (ko) 2011-08-26

Family

ID=33432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1145A KR101059966B1 (ko) 2003-05-12 2004-02-04 자동차 시트용 댐퍼 및 이 댐퍼를 구비한 자동차 시트기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597389B2 (ko)
EP (1) EP1623869B1 (ko)
KR (1) KR101059966B1 (ko)
CN (4) CN101503067B (ko)
DE (1) DE602004017301D1 (ko)
WO (1) WO20040989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34885A4 (en) * 2008-09-15 2014-02-26 Sca Hygiene Prod Ab HINGE CONFIGURATION
DE102009060167B4 (de) 2009-12-23 2022-10-13 Sitech Sitztechnik Gmbh Anordnung eines Fahrzeugsitzes innerhalb eines Fahrzeuges
JP5751083B2 (ja) 2011-08-11 2015-07-22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JP6576378B2 (ja) * 2017-02-27 2019-09-18 日本発條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US9844272B1 (en) * 2017-04-25 2017-12-19 Seachrome Corporation Lift assist systems and methods for adjustable seats
WO2020002545A1 (de) * 2018-06-27 2020-01-02 Basf Polyurethanes Gmbh Reibdämpfer zur dämpfung einer schwenkbewegung zwischen zwei bauteilen eines fahrzeugs, insbesondere einem sitzteil und einer rückenlehne eines fahrzeugs, sowie sitz und fahrzeug mit selbigem
US11148556B2 (en) * 2019-08-09 2021-10-19 Mahindra N.A. Tech Center Vehicle seat hinge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8703B2 (ja) * 1989-05-02 1994-10-05 スガツネ工業株式会社 粘性流体を用いたフラップ扉用ダンパー
US5211269A (en) * 1989-05-02 1993-05-18 Sugatsune Industrial Co., Ltd. Damper for a flapdoor using viscous fluid
JPH05229411A (ja) * 1991-10-29 1993-09-07 Oiles Ind Co Ltd 一方向ダンパ及びこれを用いた自動車用足踏みパーキングブレーキ
KR100251977B1 (ko) * 1991-10-29 2000-04-15 구로이시 이쿠오 자동차용 발놀림 파킹 브레이크 및 이것에 사용되는 일방향 댐퍼
ES2089405T3 (es) * 1992-07-08 1996-10-01 Sugatsune Kogyo Dispositivo amortiguador para butaca abatible automatica.
JP3196000B2 (ja) * 1994-11-22 2001-08-06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スライド機構付スペースアップシート
JP2844531B2 (ja) * 1997-01-24 1999-01-06 光洋ファスナー株式会社 回転制御ダンパー
DE29721962U1 (de) * 1997-12-12 1998-02-05 Utescheny-Endos GmbH, 75059 Zaisenhausen Dämpfungsvorrichtung für ein um eine Drehachse bewegbares Bauteil
US6405410B1 (en) * 1999-06-17 2002-06-18 Nishikawa Kasei Co., Ltd. Retractable assist grip and mounting method thereof
JP4524771B2 (ja) * 2001-01-26 2010-08-18 株式会社ニフコ 回転ダンパおよびアシストグリップ装置
JP4352629B2 (ja) * 2001-04-26 2009-10-28 オイレス工業株式会社 自動車シート用のダンパ及びこのダンパを具備した自動車シート
EP1233206B1 (en) * 2001-02-14 2008-07-30 Oiles Corporation Damper and automobile seat having the damper
US6843526B2 (en) * 2002-03-26 2005-01-18 Hiroyuki Honda Removable jump seat for a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9966B1 (ko) 2011-08-26
CN101503067B (zh) 2011-04-06
CN101503069B (zh) 2011-04-06
US20070001357A1 (en) 2007-01-04
DE602004017301D1 (de) 2008-12-04
CN101503067A (zh) 2009-08-12
CN101503068B (zh) 2011-04-06
CN1787930A (zh) 2006-06-14
EP1623869B1 (en) 2008-10-22
WO2004098944A1 (ja) 2004-11-18
EP1623869A4 (en) 2007-05-23
CN1787930B (zh) 2010-05-12
CN101503068A (zh) 2009-08-12
CN101503069A (zh) 2009-08-12
US7597389B2 (en) 2009-10-06
EP1623869A1 (en) 2006-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0278B1 (ko) 댐퍼 및 이 댐퍼를 구비한 자동차 시트
JP3770458B2 (ja) 油圧緩衝器のダストカバー取付構造
JP3770435B2 (ja) カバー付き筒型緩衝器
KR101059966B1 (ko) 자동차 시트용 댐퍼 및 이 댐퍼를 구비한 자동차 시트기구
JP5181525B2 (ja) ダンパ及びこのダンパを具備した車両用シート
BRPI0911916B1 (pt) amortecedor e assento de veículo equipado com amortecedor
JP3858144B2 (ja) 防振装置
JP4352756B2 (ja) 自動車シート用のダンパ及びこのダンパを具備した自動車シート機構
US6416416B1 (en) Torsional vibration damper with drag element
JP4352629B2 (ja) 自動車シート用のダンパ及びこのダンパを具備した自動車シート
JP4196566B2 (ja) 自動車シート用のダンパ及びこのダンパを具備した自動車シート機構
JP4261670B2 (ja) ストラットダンパのダストカバー取付構造
JP5467844B2 (ja) 防振装置
JP4628616B2 (ja) アームレスト
FR3055843A1 (fr) Dispositif de suspension pour assise de siege automobile
KR101242226B1 (ko) 엔진 마운트용 인슐레이터
JP3301205B2 (ja) トーションバースプリングの取付構造
JP2585099Y2 (ja) 自動変速機の動力伝達装置
WO2019115803A1 (fr) Amortisseur de torsion avec dispositif de roue libre
JP2005329810A (ja) アシストグリップ
JP2006029557A (ja) トルクロッド
JPH0285019A (ja) パワーユニットダンパー
KR20120090495A (ko) 소음 저감 구조를 갖는 펌핑 디바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