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7621A - 장척물 포장법 및 포장기 - Google Patents

장척물 포장법 및 포장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7621A
KR20050107621A KR1020057017170A KR20057017170A KR20050107621A KR 20050107621 A KR20050107621 A KR 20050107621A KR 1020057017170 A KR1020057017170 A KR 1020057017170A KR 20057017170 A KR20057017170 A KR 20057017170A KR 20050107621 A KR20050107621 A KR 200501076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pper
bag
packaging
operation lev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7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6112B1 (ko
Inventor
고헤이 야마모토
마사카즈 야마모토
유키히로 우치다
Original Assignee
후쿠오카 마루모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쿠오카 마루모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쿠오카 마루모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107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76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6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61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06Packaging groups of articles, the groups being treated as single articles
    • B65B5/067Packaging groups of articles, the groups being treated as single articles in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02Packag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ts
    • B65B25/04Packaging fruit or vege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9/00Packaging rod-shaped or tubular articles susceptible to damage by abrasion or pressure, e.g. cigarettes, cigars, macaroni, spaghetti, drinking straws or welding 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9/00Packaging rod-shaped or tubular articles susceptible to damage by abrasion or pressure, e.g. cigarettes, cigars, macaroni, spaghetti, drinking straws or welding electrodes
    • B65B19/34Packaging other rod-shaped articles, e.g. sausages, macaroni, spaghetti, drinking straws, welding 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26Opening or distending bags; Opening, erecting, or setting-up boxes, cartons, or carton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7/00Apparatus or devices facilitating manual packaging operations; Sack holders
    • B65B67/02Packaging of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iners
    • B65B67/04Devices facilitating the insertion of articles or materials into bags, e.g. guides or chu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 Auxiliary Apparatuses For Manual Packaging Operations (AREA)
  • Packaging Of Special Articles (AREA)
  • Supply Of Fluid Materials To The Packaging Location (AREA)
  • Container Filling Or Packaging Operations (AREA)

Abstract

피포장물의 투입시에 봉지 입구에 일단이 삽입되며 피포장물을 포장 봉지에 유도하는 호퍼(23)를 갖는 호퍼 도입 기구(2O)와, 이 호퍼(23)를 상하 이동시키는 조작 레버(36)를 갖는 조작 기구(3O)와, 이 조작 레버(36)의 조작에 연동하여 지지체(4O)에 장착된 포장 봉지의 봉지 입구를 개구시키는 봉지 입구 개구 기구(6O)를 구비하며, 상기 조작 레버(36)를 한 방향으로 움직이게 함으로써 상기 호퍼(23)를 상승시키고, 이것에 연동하여 상기 봉지 입구 개구 기구(6O)에 의해 상기 포장 봉지의 봉지 입구를 개구시킨 후, 상기 조작 레버(36)를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게 하여, 상기 호퍼(23)를 하강시키고 그 선단부를 봉지 입구 안으로 삽입시켜서, 상기 호퍼(23)의 타단으로부터 피포장물이 투입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로 간단한 조작에 의해, 유연한 봉지 입구를 극히 간단하게 개구할 수 있고, 피포장물을 유연한 포장 봉지 내에 확실히 삽입할 수 있는 장척물 포장법 및 포장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장척물 포장법 및 포장기{METHOD AND APPARATUS FOR WRAPPING ELONGATED OBJECT}
본 발명은 장척물(長尺物: 기다란 물체)의 포장 방법 및 포장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특히 포장하기 힘든 장척의(기다란) 야채, 예를 들면 아스파라거스, 대파, 우엉 혹은 참마 등을 유연한 포장 봉지, 예를 들면 플라스틱제 포장 봉지 안에 간단한 조작에 의해 확실히 투입할 수 있는 장척물 포장법 및 포장기에 관한 것이다.
슈퍼마켓 등에서 판매되고 있는 야채류, 예를 들면 가지, 오이, 아스파라거스, 대파, 우엉, 참마 등은 투명한 플라스틱 필름제의 포장 봉지에 넣어져서 상품 선반 등에 진열되어 있다. 이들 야채류의 포장 작업은, 생산자로부터 집하하여 슈퍼마켓 등에 납입되기까지의 과정에서 이루어지며, 거의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들 포장 작업 중 특히 장척의 야채, 예를 들면 아스파라거스, 대파, 우엉 혹은 참마 등의 포장은, 포장 봉지에 플라스틱제의 유연하고 투명하며 장척인 것이 사용되기 때문에, 포장 봉지의 봉지 입구의 개구가 어렵고, 또 이 봉지 입구로부터 장척의 야채를 투입해도 장척의 야채가 봉지 중간에서 걸리고 말아 바닥부까지 원활하게 투입할 수 없는 경우가 많아서, 이들 장척 야채의 포장 작업에는 많은 노력과 시간이 소비되었었다.
이와 같은 포장의 번거로운 작업을 경감하기 위해 지금까지 많은 포장기 및 포장 봉지가 제안되어 있다.
포장기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특허 특개평1l-189216호 공보(2쪽, 도 2 참조)와 같이 경사시켜서 배치한 대략 통 형상의 지지틀체 내에 물품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 봉지를 여러 장 겹쳐서 배치하고, 그 수납 봉지의 삽입구를 차례로 개방하는 개방 조작 기구를 지지틀체 내에 설치하며 이 개방 조작 기구를 수납 봉지의 삽입구(揷入口) 내에 진입시켜서 삽입구를 개방하는 회동 가능한 개방 플레이트와, 그 개방 플레이트를 회동시키는 회동 조작 레버로 구성한 포장기가 알려져 있다.
또, 일본 실용신안 실공평2-34166호 공보(실용신안 등록 청구의 범위, 도 1 참조)와 같이, 포장 봉지의 개구부에 피포장물의 도입을 안내하는 안내통(案內筒)을 설치하고, 피포장물 투입시에 안내통의 선단을 오므려서 포장 봉지의 개구부에 삽입하고 삽입한 후에 안내통의 선단을 확대 개방시키도록 한 포장기나, 또한 특개2000-177711 호 공보(3쪽 좌측란, 도 5 참조)와 같이 통 형상으로 형성된 가요성의 호퍼를 승강이 자유롭게 구비하고, 이 호퍼를 편평한 형상 내지 개구 형상으로 변형이 자유롭게 한 포장기도 알려져 있다.
또한, 일본특허 특개평5-85551호 공보(2쪽 우측란, 도 2 참조)와 같이 우엉 등의 장척의 물체를 수납하는 포장 봉지로서는, 예를 들면 피포장품을 넣는 개구부를 갖는 포장 봉지의 개구부 위쪽 위치에 포장 봉지를 외부 장치에 지지시키기 위한 피지지부를 형성하고 포장 봉지를 잡아당김으로써 포장 봉지를 지지체로부터 떼어놓을 수 있는 떼어냄 부가 형성된 포장 봉지가 알려져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포장기의 제1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포장기의 각도를 바꿔서 본 외관 사시도,
도 3은 도 1, 2의 포장기의 동작 설명도,
도 4는 도 1의 포장기의 부분 동작 설명도,
도 5는 수속 기구의 일 실시예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유지구의 일 실시예. 동 도면의 (A)는 유지구의 사시도, 동 도면의 (B)는 포장 봉지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유지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포장기의 제2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
도 9는 도 8의 포장기의 동작 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의 포장기의 제3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나타내는 제3의 실시 형태의 포장기의 측면도,
도 12는 도 10의 포장기의 동작 설명도,
도 13은 호퍼 가이드를 수속 기구와 함께 나타낸 확대 사시도,
도 14는 다른 수속 기구를 나타내며, 호퍼가 삽입된 상태의 사시도,
도 15는 호퍼의 상하 이동에 맞추어서 환상체가 스프링체로 회동하는 상태를 설명하는 동작 설명도,
도 16은 또 다른 수속 기구를 나타내며, 호퍼가 삽입된 상태의 사시도,
도 17은 호퍼의 상하 이동에 맞추어서 비환상체가 회동하는 상태를 설명하는 동작 설명도,
도 18은 본 발명의 포장기의 기초대에 슈터를 설치한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1∼제3의 실시 형태의 포장기의 어느 하나의 지주의 높이 조절 기구를 나타내는 주요부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수속 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며, 일부를 단면도로 한 개략 설명도,
도 21은 본 발명의 봉지 입구 개구 기구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주요부 사시도이다.
그러나, 상기 특개평11-189216호 공보에 기재된 포장기는 특수 구조의 개방 조작 기구를 필요로 하고, 이 개방 조작 기구에 의해 지지틀체 내에 수용 배치한 수납 봉지의 삽입구를 차례로 개방하며, 그 개방된 삽입구로부터 수납 봉지 내에 물품을 투입하는 것으로, 개방 플레이트를 개봉할 때마다 수납 봉지 안으로 삽입하지 않으면 안 되기 때문에, 개방 플레이트가 수납 봉지의 내벽에 충돌하여 수납 봉지를 파손될 우려가 있고, 또 물품을 삽입구로부터 수납 봉지 안으로 밀어 넣지 않으면 안 되어 포장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하는 것이 어려웠다.
또 상기 실공평2-34166호 공보 및 특개2000-177711호 공보에 기재된 호퍼를 사용한 포장기는, 어떠한 호퍼도 그 하단부를 끝을 가늘게 하여 수납 봉지의 삽입구에 삽입하며, 삽입한 후에 이 하단부를 확대 개방하는 것으로, 그 때문에 호퍼의 하단부를 특수 구조로 함과 동시에 기계적인 확대 개방 기구를 필요로 하여 호퍼의 구조가 복잡화되고 있었다.
또한 상기 특개평5-85551호 공보에 기재된 포장 봉지는 봉지체(袋體)를 손으로 드는 일 없이 한쪽 손으로 개구부를 넓게 개방한 상태로 다른 한쪽 손으로 피포장품을 쉽게 봉지에 넣는 것이지만, 한 손으로 개구부를 연 상태로 유지하지 않으면 안 되므로 개구부의 개구 작업이 번거로웠다.
본 발명은 이들 종래 기술이 안고 있는 과제를 해소하는 것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즉 본 발명의 제1의 목적은 봉지의 개구, 이 개구에의 호퍼의 삽입을 연동시킴으로써 장척 피포장물을 유연한 포장 봉지에 간단히 넣는 장척물 포장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2의 목적은 봉지의 개구, 이 개구에의 호퍼의 삽입을 연동시킴으로써 장척 피포장물을 유연한 포장 봉지에 간단하게 봉지에 넣는 장척물 포장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3의 목적은 제2의 목적에 더하여, 포장 봉지에의 호퍼의 삽입 길이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여 장척 피포장물의 길이에 따라 포장 봉지를 선정할 수 있도록 한 장척물 포장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은 이하의 수단에 의해 달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장척물 포장법은 포장 봉지에 점착(粘着)하여 봉지를 개구하는 봉지 입구 개구 기구와, 상기 봉지 입구 개구 기구에 의해 개구된 봉지 입구에 삽입되는 호퍼를 갖는 호퍼 도입 기구와, 상기 봉지 입구 개구 기구 및 호퍼 도입 기구에 연동하여 상기 호퍼를 상하 이동시키는 조작 레버를 갖는 조작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 레버를 한 방향으로 움직이게 함으로써 상기 호퍼를 상승시키고, 이 호퍼의 상승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개구 기구에 의해 포장 봉지의 봉지 입구를 개구시키며, 그 후 상기 조작 레버를 반대 방향으로 움직여서 상기 호퍼를 하강시켜 그 선단부를 봉지 입구 안으로 삽입시켜서 상기 호퍼의 타단 개구로부터 피포장물을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포장 봉지의 봉지 입구의 개구에 연동하여 개구된 봉지 입구에 호퍼 선단부를 삽입하고, 호퍼의 타단 개구로 피포장물을 투입할 수 있으므로, 장척의 피포장물이라도 적확하면서 또한 원활하게 장척의 포장 봉지에 넣는 것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장척물 포장법은, 상기 호퍼는 피포장물을 투입할 수 있는 크기의 지름 및 소정의 길이를 갖는 통 형상체와, 상기 통 형상체로부터 아래쪽으로 뻗은 복수 개의 띠 형상의 가는 조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봉지 입구에의 삽입시에 상기 복수 개의 띠 형상의 가는 조각의 선단부가 끝이 가늘게 수속(收束)되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봉지 입구에의 삽입시에 호퍼의 선단부가 끝이 가늘게 오므려져 있으므로 봉지 입구에의 삽입이 적확하고 용이하게 된다. 또 호퍼의 선단부가 통 형상체로부터 뻗은 복수 개의 장척의 띠 형상의 가는 조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피포장물의 투입시에 포장 봉지내의 공기가 상기 띠 형상의 가는 조각 사이로부터 밖으로 빠져나가서 피포장물의 투입이 용이해진다.
또, 본 발명의 장척물 포장법은, 상기 봉지 입구 개구 기구는 상기 포장 봉지의 겉면에 일시적으로 점착하여 봉지 입구를 개구시키고, 상기 겉면을 당김으로써 상기 점착이 떼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플라스틱 등의 유연성이 있는 재료로 제작된 포장 봉지를 사용해도 봉지 재료를 손상시키는 일 없이 봉지 입구를 간단히 개구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장척물 포장법은 상기 포장 봉지는 상기 지지체에 착탈이 자유로운 유지구에 의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포장 봉지를 소비한 경우 다른 유지구에 미리 포장 봉지를 매달아 두고, 이 유지구와 교환함으로써 포장 봉지의 보급이 용이해지고, 봉지에 넣는 작업의 효율이 향상된다.
또, 본 발명의 장척물 포장법은 상기 포장 봉지는 유연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포장 봉지가 유연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호퍼로부터 피포장물의 투입이 용이해지고, 또 피포장물을 손상시키는 일이 없다.
본 발명의 장척물 포장기는, 포장 봉지에 점착하여 봉지 입구를 개구하는 봉지 입구 개구 기구와, 상기 봉지 입구 개구 기구에 의해 개구된 봉지 입구에 삽입되는 호퍼를 갖는 호퍼 도입 기구와, 상기 봉지 입구 개구 기구 및 호퍼 도입 기구에 연동하여 상기 호퍼를 상하 이동시키는 조작 레버를 갖는 조작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 레버를 한 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상기 호퍼를 상승시키며, 이 호퍼의 상승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개구 기구에 의해 포장 봉지의 봉지 입구를 개구시키며, 그 후 상기 조작 레버를 반대 방향으로 움직여서 상기 호퍼를 하강시키고, 그 선단부를 봉지 입구 안으로 삽입시켜서 상기 호퍼의 타단 개구로부터 피포장물이 투입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작 레버를 한 방향, 예를 들면 아래쪽으로 밀어 내림으로써 호퍼를 상승시키고, 이에 연동시켜서 개구 기구에 의해 포장 봉지의 봉지 입구를 개구시킨 후, 조작 레버를 반대 방향, 예를 들면 위쪽으로 들어올림으로써 호퍼를 하강시켜서 그 선단부를 봉지 입구 내에 삽입시켜 호퍼의 타단으로부터 피포장물을 투입할 수 있다. 따라서, 포장 봉지의 봉지 입구에는 호퍼의 선단부가 삽입된 상태로 호퍼의 타단으로부터 피포장물이 투입되므로, 장척의 피포장물을 적확하고 게다가 원활하게 장척의 포장 봉지에 넣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발명의 장척물 포장기는, 상기 봉지 입구 개구 기구와, 상기 호퍼 도입 기구와, 상기 조작 기구는 지주(支柱)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지주는 기초대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또한 상기 지주는 상기 기초대에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각 기구가 지주에 지지되어 있고, 그 지주를 기초대에 의해 지지하며, 또한 상기 지주와 상기 기초대가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장착됨으로써 작업을 행하는 상황에 따라 높이를 조절하고, 작업을 행하기 가장 쉬운 높이에서 포장 작업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 편의성이 더욱 향상된다.
또, 본 발명의 장척물 포장기는, 상기 호퍼 도입 기구가 피포장물을 투입할 수 있는 크기의 지름 및 소정의 길이를 갖는 통 형상체와, 상기 통 형상체로부터 아래쪽으로 뻗은 복수 개의 띠 형상의 가는 조각으로 이루어지는 호퍼와, 상기 봉지 입구에의 삽입시에 상기 호퍼 선단부를 수속하는 수속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봉지 입구에의 삽입시 호퍼의 선단부가 끝이 가늘게 오므려져 있으므로 봉지 입구에의 삽입을 적확하며 또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호퍼의 선단부가 통 형상체로부터 뻗은 복수 개의 장척의 띠 형상의 가는 조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피포장물의 투입시에 포장 봉지 내의 공기가 상기 띠 형상의 가는 조각 사이로부터 밖으로 빠져나가서 피포장물의 투입이 용이해진다.
또, 본 발명의 장척물 포장기는, 상기 수속 기구가 상기 호퍼의 외주에 끼워지고, 상기 호퍼의 상하 이동에 따라 지름이 변화하는 루프 고리와, 상기 루프 고리의 크기를 조절하는 조절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호퍼의 하강시에 상기 조절 부재에 의해 상기 루프 고리의 지름을 축소시켜서 상기 띠 형상의 가는 조각의 선단부를 수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부품으로 수속 기구를 형성할 수 있으며, 띠 형상의 가는 조각의 선단부의 수속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장척물 포장기는, 상기 수속 기구가 상기 호퍼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여 복수 개의 띠 형상의 가는 조각을 수속하는 환상체(環狀體)와, 상기 환상체의 지지 각도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호퍼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하 제어 수단에 의해 상기 환상체의 지지 각도를 변경하여 상기 띠 형상의 가는 조각의 선단부를 끝이 가늘게 수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환상체를 견고한 재료, 예를 들면 플라스틱 혹은 금속으로 만들 수 있으므로 내구력이 증대되어 사용 빈도에 따른 교환이 필요 없게 된다. 또, 환상체는 소정의 높이를 가지고 있으므로 호퍼의 가이드를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장척물 포장기는, 상기 수속 기구가 상기 호퍼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여 복수 개의 띠 형상의 가는 조각을 수속하는 비환상체(非環狀體)와, 상기 비환상체의 지지 각도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호퍼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제어 수단에 의해 상기 비환상체의 지지 각도를 변경하여 상기 띠 형상의 가는 조각의 선단부를 끝이 가늘게 수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비환상체를 견고한 재료, 예를 들면 플라스틱 혹은 금속으로 만들 수 있으므로 내구력이 증대되어 사용 빈도에 따른 교체가 불필요해진다. 또 비환상체는 틀체에 장착되고, 틀체가 조작 레버의 상하 이동에 의해 요동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틀체로 호퍼의 상하 이동에 따르면서 호퍼의 선단부를 효율적으로 수속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장척물 포장기는, 상기 비환상체가 거의 V자 형상의 수속 조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호퍼 도입 기구는 상기 호퍼와 거의 평행으로 안내 부재가 부설되고, 상기 조작 레버의 상하 이동 조작에 의해 상기 호퍼가 상기 안내 부재에 가이드되어 상하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이드 부재에 의해, 호퍼 지지 암이 흔들리는 일 없이 호퍼의 상하 이동이 안정되며, 포장 봉지에의 삽입이 적확하게 된다.
또 본 발명의 장척물 포장기는, 상기 호퍼가, 하강시에 상기 호퍼의 하단이 매달려진 포장 봉지에 접근하도록 경사져서 호퍼 지지 암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호퍼는 매단 포장 봉지에 접근하여 봉지 입구에의 삽입이 용이해진다.
또 본 발명 장척물 포장기는, 상기 안내 부재에는 상기 호퍼의 상하 이동의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절 수단에 의해 포장 봉지에의 호퍼의 삽입 길이의 조절 및 피포장물에 맞춘 포장 봉지의 선택이 가능해진다.
또 본 발명의 장척물 포장기는, 상기 봉지 입구 개구 기구가, 포장 봉지의 가로 폭과 대략 같은 길이를 갖는 롤(roll)체와, 상기 롤체 위에 장착된 점착재(粘着材)를 구비하며, 상기 롤체는 상기 조작 레버의 조작에 연동하여 작동하는 작동 레버의 선단부에 회동이 자유롭게 고정되며, 상기 호퍼의 상승시에 상기 점착재가 상기 지지체에 매달려진 포장 봉지의 겉면에 첩부(貼付)되어 봉지 입구를 개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포장 봉지에 유연성이 있는 것을 사용해도 봉지체를 손상시키는 일 없이 간단히 개구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장척물 포장기는, 상기 롤체가 작동 레버에 착탈이 자유롭게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롤체는 작동 레버에 착탈이 자유롭게 고정되어 있으므로, 점착제의 점착력이 저하되었을 때에 간단히 새로운 것으로 변경할 수 있거나 혹은 사이즈가 다른 롤체로의 교환도 용이해진다.
또 본 발명의 장척물 포장기는, 상기 점착제가 재사용 가능한 접착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재사용 가능한 접착제, 예를 들면 PVA(폴리비닐알코올)을 사용함으로써 점착력이 저하되었을 때에 점착면을 물로 씻는 것으로 점착력을 회복시켜서 재사용을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장척물 포장기는, 상기 포장 봉지가 상기 지지체에 착탈이 자유로운 유지구에 의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포장 봉지를 소비한 경우, 다른 유지구에 미리 포장 봉지를 매달아 두고, 이 유지구와 교환함으로써 포장 봉지의 보급이 용이해지고 봉지에 넣는 작업의 효율이 향상된다.
또 본 발명의 장척물 포장기는, 상기 포장 봉지가 유연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포장 봉지가 유연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호퍼로부터 피포장물의 투입이 용이해지고, 또 피포장물을 손상시키는 일이 없다.
이하에 본 발명의 매우 적합한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면에 기재된 형태에 한정되는 일 없이,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고, 이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됨은 말할 필요도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장척물 포장기의 제1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포장기의 각도를 바꿔서 본 사시도, 도 3은 도 1, 도 2의 포장기의 동작 설명도, 도 4는 부분 동작 설명도이다.
이 장척물 포장기(이하, 포장기라 한다)(10)는, 피포장물의 투입시에 봉지 입구에 일단(一端)이 삽입되어 피포장물을 포장 봉지로 유도하는 호퍼(23)를 갖는 호퍼 도입 기구(20)와, 이 호퍼(23)를 상하 이동시키는 조작 레버(36)를 갖는 조작 기구(30)와, 이 조작 레버(36)의 조작에 연동하여 지지체에 장착된 포장 봉지의 봉지 입구를 개구시키는 봉지 입구 개구 기구(60)로 구성된다.
상기 조작 기구(30)는 호퍼(23)를 상하 이동시키는 동시에, 이 호퍼(23)의 상승 이동에 연동하여 봉지 입구 개구 기구(60)를 작동시켜서 포장 봉지의 봉지 입구를 개구시키는 것으로, 봉지에 넣는 작업장의 바닥면이나 작업대 등의 위에 재치 가능한 기초대(31)와, 이 기초대(31) 위에 설치된 승강 기구(33)와, 기초대(31)로부터 세워 설치된 한 쌍의 지주(32a, 32b) 등으로 이루어진다.
기초대(31)는 봉지에 넣는 작업장의 바닥면이나 작업대 등의 위에 안정된 상태로 재치되도록 소정 크기의 반(盤) 형상체로 이루어지며, 이 기초대(31) 위에 승강기구(33)가 설치되고, 또 기초대(31)의 양 측벽으로부터 각각 지주(32a, 32b)가 대략 90°의 각도로 위쪽으로 세워 설치되어 있다.
승강기구(33)는 기초대(31) 위에 일단이 추지(樞支)된 작동부재(34)와, 이 작동부재(34)의 타단에 고정된 연결 레버(35)를 통하여 결합된 조작 레버(36)로 이루어지며, 이 조작 레버(36)의 대략 중앙부가 한쪽의 지주(32a)의 정상부(32'a)에 회동이 자유롭게 추지되어 있다. 조작 레버(36)를 지주의 정상부(32'a)에 추지함으로써, 이 추지점(樞支點)을 중심으로 하여 조작 레버(36)가 지레의 원리를 이용하기 때문에 작은 힘으로 호퍼를 간단히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작동 부재(34)는 조작 레버(36)의 조작에 연동하여 호퍼(23)를 상하 이동시키는 동시에 포장 봉지의 봉지 입구를 개구시키는 것으로, 소정의 크기를 갖는 판 형상체로 이루어지며, 그 일단(34a)이 추지구(樞支具)(37)에 의해 기초대(31)에 고정되고, 타단(34b)이 연결 레버(35)에 결합되어 있다. 추지구(37)에는 예를 들면 경첩이 사용된다.
또 이 작동 부재(34)에는, 봉지 입구 개구 기구(60)를 작동시켜서 포장 봉지의 봉지 입구를 개구하도록 일단(34a)에 캠 기구(38)와, 타단(34b)에 회동체(39)가 설치된다. 회동체(39)는 예를 들면 롤러가 사용된다.
기초대(31)의 양 측벽으로부터 세워 설치된 지주(32a, 32b)의 사이에는, 포장 봉지를 매다는 지지체(40)가 설치된다.
이 지지체(40)는 장척의 포장 봉지를 매달 수 있는 길이를 갖는 판 형상체로 이루어지며, 그 표면(41)에는 포장 봉지를 매다는 유지구(50)가 착탈이 자유롭게 고정되고, 또 이면(42)에는 승강 레버(21)가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틀체(42a, 42b)가 고정된다. 유지구(50)는 지지체(40)의 위쪽에 설치된다.
유지구(50)를 착탈이 자유롭게 고정함으로써 매단 포장 봉지를 소비했을 때에, 미리 다른 유지구에 포장 봉지를 매달아 두고 이 유지구와 교환함으로써 간단히 포장 봉지의 보급이 가능하게 된다. 유지구(50)에는 예를 들면 훅(hook)이나 지지 핀 등이 사용된다.
도 6은 이 유지구(50)의 일례이며 동 도면의 (A)는 유지구의 사시도, 동 도면의 (B)는 이 유지구에 매달리는 포장 봉지의 사시도이다.
이 유지구(50)는 한 쌍의 훅(52a, 52b)과, 이 훅이 고정되는 판체(板體)(51)로 이루어지며, 한 쌍의 훅(52a, 52b)은 포장 봉지(53)의 설치 구멍(57a, 57b)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을 두고 판체(51)에 고정되어 있다. 또 판체(51)에는 지지체(40)의 장착 금구(金具)에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할 수 있도록 양측단에 개구(53a, 53b)가 설치되어 있다.
미리 이와 같은 유지구(50)에 복수 개의 포장 봉지(53)를 매달아서 필요한 개수를 준비해 둠으로써, 하나의 유지구의 포장 봉지가 소비되었을 때에 다음의 유지구와 교환하여 간단한 작업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포장 봉지(53)는, 장척물을 채울 수 있도록, 소정의 가로 폭과, 이 가로 폭에 비해 세로 치수가 긴 가늘고 긴 봉투 형상의 봉지체로 이루어지며, 위쪽부에는 봉지 입구(56)와, 한 쌍의 설치 구멍(57a, 57b)이 형성된다. 또 봉지체의 위쪽부에는 한 쌍의 설치 구멍(57a, 57b)에 도달하는 미싱 땀(57'a, 57'b)이 설치된다.
이 포장 봉지(53)는 가늘고 긴 표면재(表面材)(54)와, 이 표면재(54)의 이면측에 배치되며 동 표면재와 동일 폭으로 약간 긴 이면재(裏面材)(55)로 형성된다. 표면재(54), 이면재(55)는 동일 소재이거나 혹은 다른 소재라도 무방하며, 또 투명, 반투명 내지 불투명 재료로도 되며, 또한 이 소재는 합성 수지 필름에 한정되는 일 없이 종이류를 사용해도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유지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6의 (A)에 기재된 유지구(50) 대신에 사용할 수 있는 유지구(50')이다.
도 7에 기재된 유지구(50')는, 도 6에 기재된 유지구(50)의 단변(短邊: 짧은 변)에 대응하는 부분이 장변(長邊: 긴 변)에 대응하는 부분보다 길게 형성된 판체(51')와, 판체(51')의 위쪽에 훅 고정구(54')로 고정된 훅(52')으로 이루어지며, 판체(51')의 아래쪽에는 ㄷ자 형상의 틀체(55')가 설치되며, 판체(51')의 상단은 이 판체를 매달아 유지하도록 낚시 바늘 형상 혹은 역V자 형상으로 굴곡된 굴곡부(53')가 형성되고, 포장 장치의 지지체(40)의 아래쪽에 설치된 틈새(40')(도 10 참조)에 걸어서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이 유지구(50')를 사용함으로써, 접착 부재(62)가 포장 봉지(53)의 상부에 접착할 때에 접착 부재(62)와 판체(51')에 의해 포장 봉지(53)가 끼워지도록 되기 때문에, 포장 봉지의 접착이 보다 확실히 행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판체(51')의 아래쪽에 틀체(55')를 가짐으로써, 훅에 매달려진 포장 봉지(53)가 좌우로 흔들려 설치 구멍(57a, 57b)이 미싱 땀(57'a, 57'b)으로부터 찢어져서 떨어지지 않게 하고 있다.
도 6, 7에 기재된 유지구는 사용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호퍼 도입 기구(20)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체(40)에 고정된 승강 레버(21)와, 이 승강 레버(21)의 일단에 고정된 호퍼(23)와, 승강 레버(21)의 타단에 연결된 작동 레버(21a)로 이루어진다.
승강 레버(21)는, 지지체(40)의 이면에 설치된 L자 형상의 틀체(42a, 42b)로 형성된 슬라이딩 홈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된다. 또 승강 레버(21)의 하부에는, 이 승강 레버(21)가 작동 부재(34)가 들어 올려졌을 때에 회전체(39)와 맞닿아 접하여 상하 이동하도록 약간 비스듬하게 각도를 가지고 설치한 대략 L자형의 작동 레버(21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승강 레버(21)는 그 상부에 작동 레버(21a)와는 반대 방향으로 직각으로 돌출한 암(21b)이 설치되며, 이 암(21b)에 호퍼(23)가 설치된다.
호퍼(23)는 긴 물체의 피포장물을 투입할 수 있는 지름을 가진 장척의 통 형상을 이루며, 원통 형상의 통체(24)와, 이 통체(24)의 일단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복수 개의 슬릿으로 분할된 복수 개의 단책(短冊: 조붓한 종이) 형상의 가는 조각(251∼2510)으로 이루어지는 통 형상체(25)로 형성된다. 단책 형상의 가는 조각(251∼2510)의 길이는, 피포장물이 수납되는 포장 봉지의 길이에 의해 적절한 길이로 설정되지만, 피포장물의 투입시에 봉지 입구로부터 적어도 3분의 1 정도의 곳까지 닿는 길이가 바람직하다. 또 이 가는 조각은 통체(24)와 일체 혹은 별체로 형성되어도 된다. 그러나 단책 형상의 가는 조각은 가요성이 있는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요성 재료에는 예를 들면 플라스틱재가 사용된다. 또한 단책 형상의 가는 조각의 재료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호퍼(23)를 복수 개의 슬릿으로 분할된 복수 개의 단책 형상의 가는 조각(251∼2510)으로 구성함으로써, 피포장물이 이 호퍼(23)를 통과하여 포장 봉지 내에 투입되었을 때, 통상적으로는 포장 봉지 내의 공기가 빠져나갈 곳을 잃어버려 피포장물 투입의 장해로 되지만, 복수의 슬릿을 형성함으로써 머물러 있던 공기는 슬릿을 통과하여 밖으로 나갈 수 있으므로 투입이 쉬워진다.
복수의 띠 형상의 가는 조각으로 이루어지는 통 형상체(25)는, 복수의 띠 형상의 가는 조각(251∼2510)이 슬릿에 의해 분리되어 있으므로, 그 선단부(25a)를 포장 봉지의 봉지 입구에 삽입시킬 때에는 통 형상체(25)의 선단부(25a)를 묶는 수속 기구가 필요하게 된다.
이 수속 기구는, 복수의 띠 형상의 가는 조각으로 이루어지는 통 형상체(25)가 위쪽으로 들어 올려져 있는 상태, 즉 그 선단부(25a)가 봉지 입구(56)에 삽입되기 전의 상태에서는 뿔뿔이 흩어져 있는 복수의 띠 형상의 가는 조각(251∼2510)을 비교적 강하게 묶어서 끝을 가늘게 하여 봉지 입구(56)에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고, 통 형상체의 선단부(25a)가 포장 봉지의 내부에 삽입됨에 따라 이 묶는 힘을 약하게 하여 피포장물의 투입을 쉽게 하는 기구가 바람직하다.
도 5는 이 수속 기구의 일례이다. 이 수속 기구(81)는 복수 개의 단책 형상의 가는 조각(251∼2510)을 묶는 루프 고리(82a)와, 이 수속 기구(81)의 수속력을 조절하는 조절 부재(83)로 이루어진다. 루프 고리(82a)는 소정 길이를 갖는 1개의 실(絲) 형상체(82)를 사용하여 지지체(40)의 구멍(40a)에 삽통하고, 그 중앙부를 고리 형상으로 하여 루프 고리(82a)를 만들어 실 형상체(82)의 타단(82b)을 지지체(40)의 이면으로부터 당기거나 혹은 느슨하게 함으로써, 루프 고리(82a)의 지름이 축소 혹은 확대되도록 한다. 이러한 당김 혹은 이완의 조절 부재(83)에는 중추(重 錘)를 사용하고, 이 중량을 변경함으로써 루프 고리(82a)의 지름이 소정의 수속력으로 축소 혹은 확대된다. 실 형상체(82)에는 와이어, 나일론 코드 등이 사용된다. 즉 이 수속 기구(81)에서는, 지지체(40)의 유지구(50) 부근에 설치하고, 루프 고리(82a)를 통하여 조정 부재(83)를 수하(垂下)시키며, 루프 고리(82a)는 호퍼(23)의 상하 이동에 따라 조정 부재(83)에 당겨져서 지름 축소 혹은 확대된다.
또한 수속 기구(81)의 조정 부재(83)는 도 1∼3과 같이 지지체(40)의 표면에 설치해도 된다.
상기 봉지 개구 기구(60)는, 대략 L자형의 작동 레버(61)와, 이 작동 레버(61)의 선단에 고정된 접착 부재(62)와, 작동 레버(61)의 하단에 고정된 회전체(63)로 이루어지며, L자형 작동 레버(61)의 모서리부가 지점(支點)(61c)에 있어서 한쪽의 지주(32a)에 축지(軸支)된다. L자형의 작동 레버(61)는 장변 레버(61a)와 단변 레버(61b)로 이루어지며, 장변 레버(61a)의 선단에 접착 부재(62)가 지지체(40)와 평행하게 되도록 지축(支軸)(62a)에서 회전이 자유롭게 고정된다. 또 단변 레버(61b)의 선단에는 회전체(63)가 설치된다. 회전체(63)에는 고리 형상의 롤이 사용된다.
이 접착 부재(62)는 포장 봉지의 가로 폭과 대략 같은 길이를 갖는 롤과, 이 롤 위에 장착된 점착재(62b)로 이루어지며, 포장 봉지와 평행하게 되는 지축(65)에 의해 장변 레버(61a)의 선단에 추지된다. 점착재(62b)에는 포장 봉지의 표면재에 첩부되어 간단히 박리할 수 있고 게다가 재사용 가능한 접착제, 예를 들면 PVA(폴리비닐 알코올)가 사용된다. 이러한 접착제를 사용함으로써, 점착력이 저하되었을 때 점착면을 물로 씻음으로써 점착력을 회복시켜 재이용을 도모할 수 있다.
접착 부재(62)를 장변 레버(61a)의 선단에 회전이 자유롭게 추지하면, 얇고 또한 유연한 포장 봉지에 탈착이 자유롭게 폭 넓게 첩부되므로, 봉지 입구의 개구가 간단해진다. 또 롤이 회동함으로써 점착재가 첩부되는 장소가 이동하여, 점착재를 오래 쓸 수 있게 된다. 또 포장 봉지를 잡아당기면 접착 부재(62)가 회전하므로 봉지 입구(56)의 개구가 용이해진다.
접착 부재(62)는 봉지 입구(56)를 개구하여 피포장물을 투입할 때까지 이 개구 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이 상태를 유지하는데 장변 레버(61a)의 요동 범위를 규제하는 조정 부재(64)가 지주(32a)에 설치된다. 이 조정 부재(64)에는 예를 들면 조정 홈을 갖는 전체가 L자형의 금구가 사용된다.
도 4는 작동 부재(34)의 캠 기구(38)와 이를 맞물려지는 봉지 입구 기구(60)의 단변 레버(61b)에 설치한 회전체(63)의 동작 설명도이다.
정지 위치에 있던 캠 기구(38)(도 4의 (A))가 작동 부재(34)의 위쪽으로의 회동에 따라 회전체(63)와 맞물리며, 작동 부재(34)의 회동을 더욱 진행시키면 캠 기구(38)가 회전체(63)를 밀고, 레버(61)는 지점(61c)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동하기 시작한다(도 4의 (B)). 캠(38)의 형상은 S자 형상, E자 형상 또는 日자 형상이며, 그 중간부가 지지된 형상이기 때문에 왕로(往路: 가는 길)는 상단이 회전체(63)에 맞물려도 그 하단이 캠(38)의 지지체에 맞물려서 회전할 수 없으므로 레버(61)를 연동시킨다(도 4의 (c)). 호퍼(23)가 위쪽으로 이동하여 소정의 위치에 이르러 회동체(63)가 캠(38)을 타고 넘으면 회전체(63)의 맞물림이 급격하게 해제되어서, 포장 봉지(53)에 접착 부재(62)를 첩부한 레버(61)는 자신의 무게로부터 조정 부재(64)에 지지되는 원래의 위치까지 후퇴하여 봉지 입구(56)를 개구한다. 캠(38)은 복로(復路: 돌아오는 길)에는 캠(38)의 지지체와의 맞물림이 없고, 즉 캠(38)은 도면에 있어서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힘을 가해도 회전 운동을 행할 뿐이므로, 회전체(63)는 캠(38)을 장해로 하는 일 없이 원활히 원래 위치로 복귀한다. (도 4의 (D)). 작동 부재(34)는 또한 소정 위치까지 호퍼(23) 및 통 형상체(25)가 도달할 때까지 승강 레버(21)를 밀어 올린다. (도 4의 (E)).
다음에, 이 포장기에의 피포장물의 봉지 넣기 작업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3은 도 1, 2의 포장기의 측면도를 이용하여 설명하는 동작도로서 이하의 설명에서 도 3에 부여되어 있지 않은 부호는 다른 도 1, 2 등의 것을 사용하고 있다.
먼저, 조작 레버(36)를 화살표와 같이 아래쪽으로 밀어 내린다. 조작 레버(36)가 아래쪽으로 밀려 내려지면 작동 부재(34)의 일단(34b)이 들려져서, 회동체(39)가 작동 레버(21a)의 하면을 따라 구름 운동하여 승강 레버(21)를 밀어 올린다(도 3의 (A), (B)).
조작 레버(36)를 더욱 밀어 내리면 승강 레버(21)와 함께 호퍼(23)가 위쪽으로 이동하여 그 선단부(25a)가 포장 봉지(53)의 정면부보다 위쪽으로 상승함과 동시에, 선단부(25a)가 수속 기구의 루프 고리(82a)에 의해 끝이 가늘게 묶여진다. 이와 거의 동시에 작동 부재(34)도 더욱 들어 올려져서, 작동 부재(34)의 캠(38)에 맞물려진 회전체(63)를 통해 지점(61c)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한 봉지 입구 개구 기구(60)의 레버(61)가, 그 자유단에 설치한 접착 부재(62)가 포장 봉지(53)의 봉지 입구(56) 근방에 첩부되며, 그 후 회전체(63)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레버(61)가 후퇴하여 봉지 입구(56)를 개구한다(도 3의 (C)).
따라서, 조작 레버(36)를 아래쪽으로 밀어 내림으로써 호퍼(23)의 선단부(25a)가 봉지 입구(56)보다 위쪽으로 상승되고, 포장 봉지(53)의 봉지 입구(56)가 개구된 상태로 된다. 레버(61)는 조정 부재(64)에 의해 소정의 위치에 정지하며, 봉지 입구(56)는 개구한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이어서, 조작 레버(36)를 화살표와 같이 위쪽으로 들어올린다. 이 들어올림에 의해 작동 부재(34)는 서서히 하강하기 시작하며, 이 하강에 따라 호퍼(23)의 선단부(25a)가 봉지(56)에 삽입된다. 이 때 상술한 것처럼 호퍼의 선단부(25a)는 묶여져서 끝이 가늘게 되어 있으므로 봉지 입구(56)로의 삽입이 원활하게 행해진다. (도 3의 (D)).
또한 조작 레버(36)를 들어올리면, 호퍼(23)의 선단부(25a)는 포장 봉지 내에 들어가는 동시에 선단부의 가는 끝이 서서히 확대 개구된다.
이 상태에서 호퍼(23)의 통체(24)로부터 장척의 피포장물을 투입한다. 그러면, 피포장물은 자중(自重)에 의해 호퍼(23)의 내주면을 따라 낙하하여 호퍼(23)의 선단부(25a)를 확대 개구시켜서 포장 봉지(53) 내에 수납된다. (도 3의 (E)).
그 후 피포장물을 넣은 포장 봉지(53)를 유지구(50)로부터 잡아 당겨서 이탈시킨다. (도 3의 (F)). 이 이탈에 의해 포장 봉지(53)는 위쪽 가장자리부가 접착 부재(62)로부터 박리됨과 동시에 미싱 땀(57'a, 57'b)(도 6 참조)으로부터 파단되어 유지구(50)로부터 분리된다.
이 포장기는 조작 레버의 밀어 내리기에 의해 호퍼를 상승시키고, 이에 연동시켜서 봉지 입구 개구 기구에 의해 봉지 입구를 개구시킨 후 호퍼의 선단부를 봉지 입구에 삽입하고, 이 상태로 호퍼의 타단으로부터 피포장물을 투입할 수 있으므로 포장 봉지에 피포장물을 원활하게 채울 수 있다. 피포장물은 장척 야채라도 비교적 짧은 것, 예를 들면 아스파라거스 등으로부터, 이보다 장척의 것, 예를 들면 파, 우엉, 혹은 참마 등, 종래 장척 야채가 쓰러져 투입하는 것이 어렵고, 또 호퍼의 선단이 포장 봉지 내에 들어가는 길이가 짧기 때문에 원활하게 봉지 안에 유도하기 어려웠던 장척 야채를 봉지에 채우는 일이 간단해진다.
도 8, 9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 형태의 포장기를 나타내며, 도 8은 포장기의 외관 사시도, 도 9는 도 8의 포장기의 동작 설명도이다.
이 포장기(10A)는, 피포장물의 투입시에 봉지 입구에 일단이 삽입되어 피포장물을 포장 봉지에 유도하는 호퍼를 갖는 호퍼 도입 기구(20A)와, 이 호퍼를 상하 이동시키는 조작 레버를 갖는 조작 기구(30A)와, 이 조작 레버의 조작에 연동하여 지지체에 장착된 포장 봉지의 봉지 입구를 개구시키는 봉지 입구 개구 기구(60A)로 구성된다. 또한 이 포장기(10A)는 상기의 포장기(10)와 거의 같은 구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공통 부분은 포장기(10)와 동일 번호를 사용하며 중복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조작 기구(30A)는 기초대(31)의 타단(31b)으로부터 세워 설치된 판 형상 부재(93)와, 이 판 형상 부재(93)의 상단부(92)에 고정된 작동 레버(91)로 이루어진다.
작동 레버(91)는 파이프재를 사용하여 거의 U자형으로 굴곡되고, U자형의 바닥부(91a)는 승강 레버(21)의 작동 레버(21a) 아래에 설치되며, U자 형상의 개방 단부는 판 형상 부재(93)의 상단부(92)에 추지구(樞支具)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고정된다. 또 작동 레버(91)의 대략 중앙부(91b)는 조작 레버(36)에 일단이 결합된 연결봉(35)의 타단에 연결된다.
작동 레버(91)를 상기의 구성으로 함으로써, 상기 제1의 실시 형태의 작동 부재(34)와 같이 조작 레버(36)가 아래쪽으로 밀어 내려지면, 상단부점(92)을 축지점(軸支點)으로 하여 U자 형상의 바닥부가 승강 레버(21)를 위쪽으로 밀어 올려서 호퍼(23)를 상승시키지만, 작동 부재(34)와 비교해서 캠 기구 등이 불필요하게 되어 작동 부재의 기구가 간단해진다. 또 승강 레버(21)의 구조가 간단해진다.
또 조작 레버(36)는 그 선단부 부근의 하부에 회전체(70)가 연결체(71)를 통해 설치된다. 이 회전체(70)는 조작 레버(36)가 아래쪽으로 밀어 내려졌을 때, 이 회전체(70)가 봉지 입구 개구 기구(60A)의 설편(舌片)(72)과 맞닿아 접하여 봉지 입구를 개구시키는 기능을 완수한다.
상기 호퍼 도입 기구(20A)는, 호퍼(23)의 구조는 제1의 실시 형태의 것과 동일하지만, 수속 기구(8l)의 루프 고리(82a)의 설치 장소가 다르다. 즉, 제1의 실시 형태에서는 루프 고리(82a)가 호퍼(23)의 단책 형상의 가는 조각으로 이루어지는 통 형상체(25)의 위치에 있으나, 이 제2의 실시 형태에서는 통체(24)의 외주에 위치시킨다. 이 위치 변경에 맞춰서, 실 형상체(82)를 지지체(40)에 설치하는 위치를 위쪽에 설정한다.
이 설치 개소를 변경함으로써, 호퍼(23)의 상하 이동이 원활히 됨과 동시에 복수의 띠 형상의 가는 조각의 선단부(25a)의 수속이 원활하게 된다.
또 지지체(40)에는 유지구(50)에 매달려진 포장 봉지(53)의 봉지 입구(56)의 개구를 확실히 하기 위해, 접착 부재(62)에 접착된 포장 봉지(53)의 표면재(54)가 점착되고, 이면재(55)가 이동하는 것을 억제하여 봉지 입구의 개구를 용이하게 하는 스토퍼(80)가 설치된다.
또 봉지 입구 개구 기구(60A)는 장변 레버(61)의 선단부, 즉 접착 부재(62)가 장착된 개소의 부근에 비스듬히 아래쪽을 향한 설편(72)이 장변 레버(61)의 선단 부근에 추지구를 사용하여 설치된다. 이 추지구에는 경첩 등이 사용된다.
이 설편(72)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조작 레버(36)가 아래쪽으로 밀어 내려졌을 때에 그 회전체(70)가 설편(72)의 상부면을 구름 이동하면서 아래쪽으로 밀어 내리고, 이에 따라 장변 레버(61)를 통하여 접착 부재(62)를 포장 봉지(도시 생략)의 표면재 방향으로 이동시켜 점착시킨다.
회전체(7)가 설편(72)의 선단부(72a)를 통과하면 회전체(70)는 설편(72)의 하부면으로 이동하고, 그 후 조작 레버(36)를 위쪽으로 들어올리면 회전체(70)는 설편(72)의 단부(72a)를 들어올린다. 이 들어올림에 의해 설편(72)은, 장변 레버(61)의 선단부에 추지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체(70)에 의해 설편(72)의 단부(72a)가 소정의 위치까지 들어 올려지고, 소정의 위치를 지난 곳에서 설편(72)의 단부(72a)의 선단이 회전체(70)로부터 미끄러져 떨어진다. 그 후, 회전체(70)가 설편(72)을 들어올림으로써 장변 레버(61)를 지지하고 있으며, 접착 부재가 포장 봉지의 표면재에 첩부되고, 첩부된 채 봉지 입구를 확대하는 방향으로 천천히 기울여서 소정의 시간을 들여 봉지 입구를 개구한다. 이 개구 동작에 의해 봉지 입구가 천천히 열려지므로, 첩부된 후 접착 부재가 바로 떨어지는 것에 비해 개구시에 있어서의 봉지체의 파단 등을 없앨 수 있다.
다음에, 이 포장기에의 피포장물의 봉지 넣기 작업을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9는 도 8의 포장기의 측면도(도 9(A))를 이용하여 설명하는 것으로, 이하의 설명에서 도 9에 부여되지 않은 부호는 도 8의 것을 이용하고 있다. 또 제1의 실시 형태에서 기술한 것과 공통되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조작 레버(36)를 화살표 방향으로 밀어 내린다. 조작 레버(36)가 아래쪽으로 밀려 내려지면, 상단부(92)를 축지점으로 하여 U자 형상의 바닥부(91a)가 작동 레버(21a)와 맞물려서 승강 레버(21)를 위쪽으로 밀어 올려서 호퍼(23)를 상승시키며, 이에 따라 호퍼(23)의 선단부(25a)가 통체(24) 위에 있던 수속 기구의 루프 고리(82a)에 의해 끝이 가늘게 묶여진다. 이와 거의 동시에 조작 레버(36)의 선단부에 연결체(71)를 통한 회전체(70)가 설편(72)의 표면을 구름 이동하면서 하부로 밀려 내려지고, 이에 따라 장변 레버(61)를 통하여 접착 부재(62)를 포장 봉지(54)의 표면재 방향으로 이동시켜 점착시킨다. (도 9의 (B), (C)).
접착 부재(62)가 포장 봉지(53)에 점착된 후, 더욱 조작 레버(36)를 밀어 내리면 회전체(70)가 설편(72)의 선단부(72a)를 통과한다. (도 9의 (D)). 이 때 회전체(70)는 설편(72)의 하부면으로 이동하며, 그 후 조작 레버(36)를 위쪽으로 들어올리면 회전체(70)는 설편(72)의 선단부(72a)를 들어올린다. (도 9의 (E)). 이 들어올림에 의해, 설편(72)은 장변 레버(61)의 선단부에 추지되어 있으므로 회전체(70)에 의해 설편(72)의 선단부(72a)가 소정의 위치까지 들어 올려지며, 소정의 위치를 지난 곳에서 설편(72)의 선단부(72a)의 선단이 회전체(70)로부터 미끄러져 떨어진다. (도 9의 (F)).
이 때, 회전체(70)가 설편(72)을 들어올리며, 이로써 장변 레버(61)를 지지하고 있고, 접착 부재가 포장 봉지의 표면재에 첩부되며, 첩부된 채로 봉지 입구를 확대하는 방향으로 천천히 기울여서 소정의 시간을 들여 봉지 입구를 개구한다. 또 조작 레버(36)를 들어올리면 호퍼 도입 기구(20A)의 호퍼(23)도 내려가며, 접착 부재(62)와 스토퍼(80)로 눌려져서 넓게 열린 봉지 입구(56)에 수속 기구의 루프 고리(82a)에 의해 끝이 가늘게 묶여진 단책 형상의 조각의 선단부(25a)가 삽입된다. 이후에는 제1의 실시 형태에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호퍼(23)의 통체(24)로부터 장척의 피포장물을 투입하면 피포장물은 자중에 의해 호퍼(23)의 내주면을 따라 낙하하여, 호퍼(23)의 선단부(25a)를 확대 개구시켜서 포장 봉지(54) 내에 수납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의 실시 형태에 의하면, 승강기구에 캠을 필요로 하거나 하부 작동 암에 경사를 주거나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보다 용이한 구조로 되며, 또 호퍼 도입 기구로 수속 기구를 상부로 이동하고 조정 부재를 지지체의 내측으로 이동하여, 유지구에 포장 봉지의 이면재에의 스토퍼를 설치한 것으로부터, 보다 확실한 호퍼 단부의 삽입 및 피포장물의 유도가 가능해지며, 그리고 봉지 개구 기구에서는 레버의 상하 운동의 응력부에 설편을 채용함으로써 포장물에 접착 부재가 점착된 후 개구하는 동작에 관해서도, 조작 레버의 조작에 연동하도록 된 것으로 천천히 개구를 행하고 봉지체의 파단을 없앨 수 있다.
도 10∼도 12는 본 발명의 제3의 실시 형태의 포장기를 나타내고, 도 10은 제3의 실시 형태의 포장기의 외관 사시도, 도 11은 제3의 실시 형태의 포장기의 측면도, 도 12는 도 10의 포장기의 동작 설명도이다. 이 포장기(10B)는 상기 포장기(10, 10A)와 같이, 봉지 입구 개구 기구(60B)와, 이 봉지 입구 개구 기구에 의해 개구된 봉지 입구에 삽입되는 호퍼(23)를 갖는 호퍼 도입 기구(20B)와, 봉지 입구 개구 기구(60B) 및 호퍼 도입 기구(20B)에 연동하여 호퍼(23)를 상하 이동시키는 조작 레버(36)를 갖는 조작 기구(30B)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각 수단의 기본적인 동작은 상기 각 포장기와 거의 동일하나, 상기 각 포장기는 호퍼(23)의 상하 이동을 원활히 하기 위한 가이드 부재(26) 및 이 가이드 부재(26)에 포장 봉지의 길이에 맞추어 포장 봉지 내에 삽입되는 호퍼의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 수단(28)이 부설되어 있다고 하는 점의 구성이 다르다. 여기서, 동일 부분의 설명은 중복을 피해 생략하고, 다른 구성 및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조작 기구(30B)에는 도 10,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호퍼(23)를 원활히 상하 움직이게 하기 위한 가이드 부재(26), 이 가이드 부재(26)를 지지하는 지지 수단(29)이 부설된다. 이 가이드 부재(26)는 대략 T자형의 봉 형상체로 이루어지며, 이 T자형의 위쪽 부분이 호퍼 지지 암(27c)에 고정된다. 호퍼 지지 암(27c)은 가이드 부재(26)의 가로 봉을 통하여 연결 레버(35)에 연결된다.
가이드 부재(26)를 호퍼 지지 암(27c) 및 연결 레버(35)에 설치할 때에, 가이드 부재(26)의 아래쪽으로 수하한 세로 봉 부분(이하, 가이드 레버라 한다), 즉 가이드 레버(27a)는 호퍼(23)와 소정 거리 떨어져서 거의 평행하게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지지 수단(29)에 의해 유지된다. 이러한 유지에 의해, 가이드 부재(26)는 조작 레버(36)의 상하 이동에 연동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고, 가이드 레버(27a) 및 호퍼(23)도 동기(同期)하여 상하 이동하며, 이 때 가이드 부재(26)는 호퍼(23)의 상하 이동을 지원 서포트 및 가이드하게 된다.
지지 수단(29)은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27a)를 지지하여 원활하게 슬라이드시키기 위한 것으로, 복수 개의 가이드 롤러(291∼294)와, 이들 가이드 롤러(291∼294)를 설치하는 틀체(290)로 이루어진다.
복수 개의 가이드 롤러(291∼294)는, 사이에 가이드 레버(27a)를 끼우고서 대향하여 틀체(290)에 고정된다. 틀체(290)는 지지판을 통하여 지주(32a, 32b)에 고정된다.
따라서 가이드 부재(26)를 지지 수단(29)에 의해 지주(32a, 32b)에 고정함으로써, 가이드 부재(26)의 설치가 견고하게 되는 동시에, 가이드 부재(26)의 상하 이동이 안정된다. 그 결과 호퍼 지지 암(27c)이 흔들리는 일 없이, 호퍼(23)의 상하 이동을 안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 부재(26)를 부설함으로써, 호퍼의 상하 이동이 안정되지만, 더욱 안정화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이 가이드 부재와는 별도로 호퍼에 접촉시켜서 가이드하는 부재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3은 호퍼 가이드를 수속 기구와 함께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이 호퍼 가이드(90)는, 단면이 대략 반원 형상을 이루며 소정의 길이를 갖는 홈통(91)으로 이루어지며, 그 직경은 호퍼의 직경보다 약간 길고, 홈통(91) 내를 호퍼(23)가 원활히 상하 이동할 수 있는 길이로 이루어져 있다. 홈통(91)의 배면은 지지체(40)에 고정된다. 홈통(91)의 하단부는 봉지 입구에 가깝게 되어 있기 때문에, 봉지 입구에의 호퍼의 삽입이 방해가 되지 않도록 측벽(911, 912)을 깎아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호퍼 가이드(90)를 부설함으로써 호퍼의 상하 이동이 보다 원활하게 된다. 이 호퍼 가이드(90)는 포장기(10B)뿐만이 아니라 다른 포장기(10, 10A)에 부설해도 된다.
또, 호퍼 지지 암(27c)은 선단의 호퍼 설치 부분이 연결 레버(35)의 추지점(351)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앞쪽이 내려가도록 연결 레버(35)에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호퍼 지지 암(27c)을 경사시킴으로써, 지지 암(27c)의 선단에 장착되는 호퍼(23) 및 가이드 부재(26)는 경사져서 수하되게 된다. 이 때 가이드 부재(26)의 경사는 지지 수단(29)의 가이드 롤러(291∼294)의 크기 등을 변경하여, 예를 들면 가이드 롤러(291, 294)의 크기를 작게 한다. 혹은 설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대처한다.
이와 같이 호퍼 지지 암(27c)을 앞쪽이 내려가게 경사시키고, 그 지지 암(27c)의 선단에 호퍼(23)를 설치함으로써, 호퍼(23)는 하강시에 그 선단부가 지주(32a)에 접근하기 때문에 매달려진 포장 봉지의 봉지 입구에의 삽입이 용이해진다.
가이드 레버(27a)의 하단부에는, 복수 개의 핀 설치 구멍(271∼273)이 형성된다. 이들 핀 설치 구멍(271∼273)에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정지 핀(270)이 끼워 넣어지도록 되어 있다. 이 핀(270)은, 가이드 레버(27a)가 들어 올려졌을 때 틀체(290)로부터 빠져나가지 않도록 스토퍼로서, 및 호퍼(23)의 이동 거리를 조절하는 조절 기구로서 기능한다. 즉, 정지 핀(270)을 도 10의 최하의 위치(273)로부터 위쪽, 예를 들면 핀 설치 구멍(271)으로 이동시키면 호퍼(23)의 이동 거리는 정지 핀을 이동시킨 거리만큼 작아진다.
따라서 정지 핀(270)의 설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포장 봉지에의 호퍼(23)의 삽입 길이의 조절 및 피포장물에 맞춘 포장 봉지의 선택이 가능하게 된다.
또 정지 핀(270)의 설치 위치의 변경에 의해 호퍼(23)의 이동거리도 변경되므로, 봉지 입구 개구 기구(60B)의 조절도 필요하게 된다. 이 조절은 작동 레버(61)에의 캠(72a)의 위치를 이동시킴으로써 행한다. 즉, 정지 핀(270)을 설치 구멍(271)의 위치로부터 아래쪽으로 이동시키는데 따라, 캠(72a)의 설치 위치도 아래쪽으로 이동시킨다.
이 캠(72a)의 부착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조작 기구(30B)의 회전 캠(70)이 캠(72a)에 정확하게 맞닿아 접하여 원활한 조작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이 포장기에의 피포장물의 봉지 넣기 작업을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도 10, 11에 나타낸 포장기의 측면도에 의한 작동 설명도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 12에 부여되지 않은 부호는 도 10, 11의 것을 사용하고 있다.
먼저, 조작 레버(36)를 화살표와 같이 아래쪽으로 밀어 내린다. 조작 레버(36)가 위쪽으로 밀어 내려지면, 지점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여 조작 레버(36)의 타단이 들어올려지고, 타단에 일단이 연결된 연결 레버(35)가 밀어 올려지며, 그 연결 레버(35)의 타단이 연결되어 있는 가이드 부재(26) 및 호퍼 지지 암(27c)이 밀어 올려져서 호퍼(23)가 상승한다. (도 12의 (a), (b)참조).
조작 레버(36)를 더욱 밀어 내리면, 가이드 레버(27a)와 함께 호퍼(23)가 더욱 위쪽으로 상승하고, 호퍼(23)의 하단부가 지지판에 설치된 포장 봉지(53)의 봉지 입구보다 위쪽으로 상승하는 동시에, 호퍼 선단부의 가는 조각(251∼2510)으로부터 수속 기구(81)의 루프 고리(82a)에 의해 끝이 가늘게 묶여진다. 이와 거의 동시에 밀려 내려진 조작 레버(36)의 바로 옆에 있는 회전 캠(70)이 작동 레버(61)의 캠(72a)과 맞물려서 봉지 입구 개구 기구(60B)의 작동 레버(61)의 자유단을 지주(32a)방향으로 이동시키고, 그 자유단에 설치한 점착 부재(62)를 포장 봉지(53)의 봉지 입구에 눌러 붙인다. (도 12의 (c)). 캠(72a)은, 예를 들면 경첩형의 캠으로 조작 레버(36)를 밀어 내릴 때에는 회전 캠(70)과 맞물려도 변형되지 않고 굴곡된 채로 있으며, 복귀시에는 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전개되고, 회전 캠(70)의 복귀를 방해하는 일 없이 회전 캠(70)과의 맞물림이 해제되면 원형(原形)으로 돌아온다.
조작 레버(36)를 더욱 밀어 내리면 호퍼(23)가 더욱 들어 올려지며, 작동 레버(61)의 경첩 캠(72a)에 맞물린 회전 캠(70)이 경첩 캠(72a)을 벗어나면, 작동 레버(61)가 축지점(61c)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여 원위치로 복귀한다. 작동 레버(61)의 자유단에 설치한 점착 부재(62)가 눌러 붙여진 포장 봉지는 작동 레버(61)의 복귀와 함께 봉지 입구를 개구한다. (도 12의 (d)). 스토퍼 겸 조절 부재(70a)는 경첩 캠(72a)의 동작을 규제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조작 레버(36)를 아래쪽으로 밀어 내림으로써 호퍼(23)의 선단부가 봉지 입구보다 위쪽으로 상승되고, 포장 봉지의 봉지 입구가 개구된 상태로 된다. 작동 레버(61)는 조절 부재(70a)에 의해 소정 위치에 정지하여 봉지 입구를 개구한 상태로 유지된다.
이어서, 조작 레버(36)를 화살표와 같이 이번에는 위쪽으로 들어올린다. 이 들어올림에 의해 가이드 레버(27a)는 하강하기 시작하고, 이 하강에 따라 호퍼(23)의 선단부(복수의 띠 형상의 가는 조각(251∼2510))가 봉지 입구에 삽입된다. 이 때 상술한 바와 같이, 호퍼의 선단부는 실 형상체(82)로 묶여져서 끝이 가늘게 되어 있으므로, 봉지 입구에의 삽입이 원활하게 행해진다. (도 12의 (e)).
또한, 조작 레버(36)를 들어올리면, 호퍼(23)의 선단부는 포장 봉지 내로 들어가는 동시에, 좁혀진 선단부의 복수의 띠 형상의 가는 조각(251∼2510)이 서서히 확대 개구된다.
이 상태로, 호퍼(23)의 통체(24)로부터 장척의 피포장물을 투입한다. 그러면 피포장물은 자중에 의해 호퍼(23)의 내부를 낙하하여, 호퍼(23)의 선단부를 확대 개구시켜서 포장 봉지 내에 수납된다. (도 12의 (e)).
그래서 피포장물을 넣은 포장 봉지를, 예를 들면 아래쪽으로 잡아 당겨서 유지구로부터 이탈시키면(도 12의 (f)), 포장 봉지(53)는 위쪽 가장자리부가 점착 부재(62)로부터 박리되는 동시에, 미싱 땀 부분으로부터 파단되어 유지구로부터 떼어진다.
포장기(10B)에서는, 수속 기구(81)로서 도 5에 나타내는 기구를 사용하고 있으나, 다른 수속 기구를 사용해도 된다.
도 14, 15는 다른 수속 기구를 나타내며, 도 14는 다른 수속 기구를 나타내는, 호퍼가 삽입된 상태의 사시도, 도 15는 포장기(1OB)에 적용했을 때의 동작 설명도이다. 또한 이 수속 기구는 다른 포장기(10, 10A)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 수속 기구(81A)는 호퍼(23)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며, 복수 개의 띠 형상의 가는 조각(251∼2510)을 묶는 환상체(93)와, 이 환상체의 이동을 조절하는 스프링체(96)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14에 나타낸 기구에는 호퍼 가이드(90)가 부설되어 있지 않으나, 수속기구(81A)와 동일하게 호퍼 가이드(90)를 설치해도 된다. 호퍼 가이드를 부설함으로써, 호퍼의 상하 이동이 보다 원활해진다.
환상체(93)는, 호퍼(23)의 통 형상체의 직경보다 약간 큰 직경을 가지며, 소정의 높이를 갖는 통 형상체로 이루어지고, 이 통 형상체를 호퍼(23)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환상체(93)의 외주벽과 지주에 연결된 지주(32a)가 경첩(95)으로 고정된다. 또한, 경첩 대신에 축지(軸支) 부재, 예를 들면 굴곡 가능한 고무체 등을 사용해도 된다. 또, 환상체(93)는 지주(32a)에 직접 고정하지 않고, 별도 부재의 기재(基材)에 회동 수단(예를 들면, 경첩(95) 등)을 통하여 설치하고, 이 기재를 지주 등에 착탈이 자유롭게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이러한 착탈이 자유로운 설치에 의해, 다른 수속 기구와의 교환이 가능해진다.
환상체(93)는 경첩(95)을 통하여 지주(32a)의 표면으로부터 대략 수직 방향으로 세워 설치하도록 스프링체(96)로 잡아 당겨져 있다. 즉, 환상체(93)에의 경첩 설치 부분과 지주(32a)의 사이에, 경첩(95)이 거의 접혀진 상태로 되도록 스프링체(96)의 스프링력이 조절되어 설치된다.
따라서, 환상체(93)에 호퍼(23)가 삽입되기 전에는 환상체(93)는 지주(32a)로부터 세워 설치되고, 호퍼(23)가 환상체(93)에 삽입되면 스프링체(96)가 신장되며 환상체(93)는 대략 수평 방향으로 유지된다. 이 때, 환상체(93)는 스프링체(96)에 의해 강하게 잡아 당겨진 상태로 되어 있다. 또 호퍼(23)가 상승하면, 환상체(93)는 스프링체(96)의 인장력에 의해 원래의 상태, 즉 세워 설치된 상태로 되돌아가려고 한다.
이하, 이 관계를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호퍼의 상하 이동에 맞추어 환상체가 스프링체에 의해 회동하는 상태를 설명하는 동작 설명도이다.
포장기(10B)는 미사용시, 도 15의 (a)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호퍼(23)가 환상체(93) 내에 삽입되어 있고, 환상체(93)는 대략 수평 상태로 유지되며, 스프링체(96)가 신장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로부터, 호퍼(23)가 들어 올려져서 호퍼의 복수의 띠 형상의 가는 조각(251∼2510)이 환상체(93) 내에 도달하면, 도 15의 (b),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환상체(93)는 스프링체(96)로 잡아 당겨져서, 복수의 띠 형상의 가는 조각(251∼2510)을 수속시키고, 봉지 입구의 개구의 크기보다 작아지도록 복수의 띠 형상의 가는 조각(251∼2510)의 선단을 수속시킨다. (도 15의 (c) 참조).
그 후, 호퍼(23)가 하강되며, 호퍼의 선단이 포장 봉지의 봉지 입구에 삽입되면, 환상체(93)는 호퍼의 외주면에 맞닿아 접하면서, 또한 스프링체(96)로 잡아 당겨지면서 다시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온다. (도 15의 (d), (e)참조).
환상체(93)에는 스프링체(96)의 설치 부분과 대향하는 개소에, 호퍼(23)의 복수의 띠 형상의 가는 조각(251∼2510)을 더욱 수속하기 위해, 가이드 통(94)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가이드 통(94)은 위쪽의 개구(94a)의 직경이 크고 아래쪽의 개구(94b)가 작아서 래퍼 형상으로 되어 있고, 환상체(93)의 측벽의 일부에 접하여 뻗어 나와 형성되며, 환상체(93)의 측벽의 개구로부터 호퍼의 복수의 띠 형상의 가는 조각(251∼2510)이 수속되면서 들어가도록 한다.
이 수속 기구(81A)에 의하면, 환상체를 견고한 재료, 예를 들면 플라스틱, 혹은 금속으로 만들 수 있으므로, 수속기구(80)의 띠 형상체에 비해 내구력이 증대되어 사용 빈도에 따른 교환이 불필요해진다. 또 끈 형상체에 비해, 환상체는 소정 높이를 가지고 있으므로, 호퍼의 가이드를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6은 또 다른 수속 기구를 나타내며, 호퍼가 삽입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이 수속기구(81B)는 상기 수속 기구(81A)의 환상체를 대신하여 비환상체를 사용한 것이다.
이 비환상체(101)는 수속부가 대략 V자 형상의 수속 조각으로 이루어지며,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틀체(100)의 일단에 설치되어 있다.
틀체(100)는 2개의 장편(長片) 틀(1021, 1022)이 평행으로 병설되며, 타단이 단편(短片) 틀(103)로 연결되어 있다. V자 형상의 비환상체(수속편: 收束片)(101)는 2개의 장편 틀(1021,1022)의 각 단부로부터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뻗어서 형성되며, V자 바닥부의 각도는 호퍼의 복수의 띠 형상의 가는 조각을 서서히 수속하여 봉지 입구의 개구보다 작아질 때까지 수속시키는 정도로 되어 있다. 틀체(100)의 폭은 호퍼(23)의 직경보다 어느 정도 넓게 하여, 각 장편 틀의 사이에서 호퍼가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2개의 짧은 지주(1041, 1042)에 회동이 자유롭게 추지되어 있다. V자 형상 비환상체(수속편)(101) 및 각 장·단편 틀(1021, 1022, 103)은 수지 등으로 일체로 형성된다.
가이드 부재(26)에는 작동 바(107)가 가이드 부재(26)의 단변(短邊)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작동 바(107)의 대략 중심 위치(108)에서 부설된다. 작동 바(107)의 길이는 각 장편 틀(1021, 1022) 사이의 폭 보다 길게 하여, 호퍼(23)가 상승했을 때 이 작동 바(107)가 각 장편 틀(1021, 1022)에 맞닿아 접하여 밀어 올리고, V자 형상의 수속편 단부(비환상체부(101))를 아래쪽으로 밀어 내린다.
또한, 비환상체의 형상은 V자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상, 예를 들면 만곡한 형상으로 해도 된다. 또, 이 비환상체는 상술한 틀체의 장변(長邊) 틀(1021)과 단변 틀(103)을 제외한 장변 틀(1022)에 갈고리 형상의 수속편을 설치한 것이라도 된다.
이하, 이 관계를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7은 호퍼의 상하 이동에 맞추어 비환상체가 회동하는 상태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포장기(10B)는 미사용시, 도 17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호퍼(23)는 틀체(100)의 각 장편 틀(1021, 1022)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이 상태로부터 호퍼(23)가 상승하면, 호퍼 지지 암에 의해 작동 바(107)를 통하여 각 장편 틀(1021, 1022)이 밀려 올려져서, V자 형상의 수속편(101)이 아래쪽으로 밀어 내려진다. 이 V자 형상의 수속편(101)이 밀려 내려감으로써, 호퍼의 복수의 띠 형상의 가는 조각(251∼2510)이 V자 형상의 수속편의 사이에 수속되어 봉지 입구 개구의 크기보다 작아지도록 복수의 띠 형상의 가는 조각(251∼2510)의 선단이 수속된다. (도 17의 (b), (c) 참조).
그 후, 호퍼(23)가 하강되고, 호퍼(23)의 선단이 포장 봉지의 봉지 입구에 삽입된다. (도 17의 (d), (e) 참조).
이 수속 기구(81B)에 의하면, 비환상체를 견고한 재료, 예를 들면 플라스틱 혹은 금속으로 만들 수 있으므로, 내구력이 증대되고 실 형상체와 같은 사용 빈도에 따른 교체가 불필요하게 된다. 또 비환상체는 틀체에 설치되고 조작 레버의 상하 이동에 의해 요동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틀체에 의해 호퍼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면서 호퍼의 선단부를 효율 좋게 수속할 수 있다.
도 18은 본 포장기에 부설한 슈터를 나타낸다. 도 10에 나타낸 포장기와 같이 기초대(31)가 틀체인 경우에는, 본 포장기를 소정의 높이로 유지하고, 기초대(31)에 미끄럼대와 같은 슈터(12)를 설치하면, 상부의 포장기에서 봉지 채우기를 한 피포장물의 봉지를 유지구로부터 이탈시켜서 그대로 떨어뜨리면 슈터(12)에 의해 회수할 수 있어서 작업 효율을 향상시킨다. 덧붙여서 이 슈터(120)는 상기 도 10의 제3의 실시 형태의 포장기에만 설치 가능한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제1, 제2의 실시 형태의 포장기에 있어서도 기초대의 형상을 틀체로 함으로써 동일하게 이 슈터(120)의 설치가 가능해진다.
또, 상기 제1∼제3의 실시 형태의 포장기는 모두 지주(32)가 기초대(31)에 고정되어 있으나, 작업 장소에 따라서는 높이의 조정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도 19는 지주의 높이의 조절 기구를 나타내는 주요부 사시도이다. 이 조절 기구는 상기 제1∼제3의 실시 형태의 포장기에 부설할 수 있는 것이다. 이 조절 기구는 각 지주(32a, 32b)의 기초대(31)에의 고정부에 각각 보조 지주(130a1∼130b2)를 연결하여 기초대(31)에 고정된 구성을 갖는다. 각 보조 지주(130a1∼130b2)의 기초대(31)에의 고정은 나사 결합에 의해 행해진다. 또 지주(32a, 32b)에 접하는 측면에는 각각의 보조 지주(130a1 ∼130b1)를 관통하도록 복수의 핀 설치 구멍(1321∼1326)이 형성된다. 높이 조정은 어느 하나의 핀 설치 구멍(1321∼1326)에 고정 핀(131a, 131b)을 삽입하여 지주(32a, 32b)를 고정한다. 이로써, 예를 들면 앉아서 작업을 행하는 경우는 지주를 짧게 하거나, 서서 작업을 행할 경우에는 지주를 길게 하거나 함으로써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3개의 실시 형태에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도 5에 기재된 수속 기구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수속 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며, 일부를 단면도로 한 개략 설명도이고, 여기서는 제3의 실시예의 포장기에 설치한 경우에 대해 나타내고 있다. 단, 동일한 구성을 본 발명의 제1, 제2의 실시 형태에도 설치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 자명할 것이다.
도 20에 기재된 수속 기구는 도 5에 기재된 수속 기구에 더하여, 제2의 루프 고리(82b)를 설치한 점이 다르다. 제2의 루프 고리(82b)는 일단이 가이드 레버(27a)의 하단부에 설치한 고정구(82c)에 고정되며, 소정 높이에 지주(32a , 32b)를 연결하도록 설치된 원기둥 형상의 연결봉(84)을 1회전한 후, 타단이 추(83)에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설치된 제2의 루프 고리(82b)는 호퍼(23)가 소정 높이 이하일 때에 추(83)를 제1의 루프 고리(82a) 대신에 지지하는 것과 같은 길이로 설정되어 있고, 호퍼(23)가 소정 높이 이상 들어 올려지면 그 지지가 해제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2의 루프 고리(82b)를 설치함으로써, 호퍼(23)가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 제1의 루프 고리(82a)에 의한 수속 작용이 호퍼(23)의 가동을 방해하거나, 피포장물 투입시에도 제1의 루프 고리(82a)가 호퍼(23)의 가는 조각(251∼2510)을 수속함으로써 호퍼(23) 내부에서 피포장물이 막히거나 할 가능성이 없어서, 보다 양호한 물품의 포장을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제3의 실시 형태의 어느 쪽에도 적응 가능한 실시 형태로서, 봉지 입구 개구 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봉지 입구 개구 기구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주요부 사시도이다. 도 21에 기재된 봉지 입구 수속 기구에는 작동 레버(61)의 상단 부근에 지축(65)을 삽입하여 고정 가능한 설치 구멍(661∼664)이 복수 개 설치되어 있다. 이는 개구부의 위치가 일반의 것보다도 낮은 위치에 설치된 포장 봉지나, 봉지체의 개구부에 봉하기 위한 씰(seal)부가 설치된 포장 봉지 등, 포장 봉지에 의해 접착 부재(62)가 접착하는 개소가 다르기 때문에, 사용하는 포장 봉지에 의해 점착 부재(62)의 위치를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설치 구멍(661∼663)이 복수 개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포장 봉지의 개구부의 높이에 맞춰서 지축(65)의 설치 구멍(661∼663)을 변경할 수 있고, 이로써 점착 부재(62)의 위치를 적절하게 변경시킬 수 있게 되어, 보다 많은 종류의 포장 봉지에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장척물의 포장 방법 및 포장기, 특히 포장하기 힘든 기다란 야채, 예를 들면 아스파라거스, 대파, 우엉 혹은 참마 등을 유연한 포장 봉지, 예를 들면 플라스틱제 포장 봉지 안에 간단한 조작에 의해 확실히 투입할 수 있는 장척물 포장법 및 포장기에 이용할 수 있다.

Claims (20)

  1. 포장 봉지에 점착하여 봉지 입구를 개구하는 봉지 입구 개구 기구와, 상기 봉지 입구 개구 기구에 의해 개구된 봉지 입구에 삽입되는 호퍼를 갖는 호퍼 도입 기구와, 상기 봉지 입구 개구 기구 및 호퍼 도입 기구에 연동하여 상기 호퍼를 상하 이동시키는 조작 레버를 갖는 조작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 레버를 한 방향으로 움직이게 함으로써 상기 호퍼를 상승시키고, 이 호퍼의 상승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개구 기구에 의해 포장 봉지의 봉지 입구를 개구시키며, 그 후 상기 조작 레버를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게 하여, 상기 호퍼를 하강시키고 그 선단부를 봉지 입구 안으로 삽입시켜서 상기 호퍼의 타단 개구로부터 피포장물을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척물(長尺物) 포장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는, 피포장물을 투입할 수 있는 크기의 지름 및 소정의 길이를 갖는 통 형상체와, 상기 통 형상체로부터 아래쪽으로 뻗은 복수 개의 띠 형상의 가는 조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봉지 입구에의 삽입시에, 상기 복수 개의 띠 형상의 가는 조각의 선단부가 끝이 가늘게 수속(收束)되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척물 포장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 입구 개구 기구는, 상기 포장 봉지의 표면재(表面材)에 일시적으로 점착하여 봉지 입구를 개구시키고, 상기 표면재를 잡아당김으로써 상기 점착이 떼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척물 포장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봉지는, 상기 지지체에 착탈이 자유로운 유지구(維持具)에 의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척물 포장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봉지는 유연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척물 포장법.
  6. 포장 봉지에 점착하여 봉지 입구를 개구하는 봉지 입구 개구 기구와, 상기 봉지 입구 개구 기구 의해 개구된 봉지 입구에 삽입되는 호퍼를 갖는 호퍼 도입 기구와, 상기 봉지 입구 개구 기구 및 호퍼 도입 기구에 연동하여 상기 호퍼를 상하 이동시키는 조작 레버를 갖는 조작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 레버를 한 방향으로 움직이게 함으로써 상기 호퍼를 상승시키고, 이 호퍼의 상승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개구 기구에 의해 포장 봉지의 봉지 입구를 개구시키며, 그 후 상기 조작 레버를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게 하여, 상기 호퍼를 하강시키고 그 선단부를 봉지 입구 안으로 삽입시켜서, 상기 호퍼의 타단 개구로부터 피포장물이 투입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척물 포장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 입구 개구 기구와, 상기 호퍼 도입 기구와, 상기 조작 기구는 지주(支柱)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지주는 기초대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지주는 상기 기초대에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척물 포장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 도입 기구는, 피포장물을 투입할 수 있는 크기의 지름 및 소정의 길이를 갖는 통 형상체와 상기 통 형상체로부터 아래쪽으로 뻗은 복수 개의 띠 형상의 가는 조각으로 이루어지는 호퍼와, 상기 봉지 입구에의 삽입시에 상기 호퍼 선단부를 수속하는 수속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척물 포장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속 기구는, 상기 호퍼의 외주에 끼워지며 상기 호퍼의 상하 이동에 따라 지름이 변화하는 루프 고리와, 상기 루프 고리의 크기를 조절하는 조절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호퍼의 하강시에 상기 조절 부재에 의해 상기 루프 고리의 지름을 축소시켜서 상기 띠 형상의 가는 조각의 선단부를 수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척물 포장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속 기구는, 상기 호퍼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고 복수 개의 띠 형상의 가는 조각을 수속하는 환상체(環狀體)와, 상기 환상체의 지지 각도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호퍼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제어 수단에 의해 상기 환상체의 지지 각도를 변경하여, 상기 띠 형상의 가는 조각의 선단부를 끝이 가늘게 수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척물 포장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속 기구는, 상기 호퍼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고 복수 개의 띠 형상의 가는 조각을 수속하는 비환상체(非環狀體)와, 상기 비환상체의 지지 각도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호퍼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제어 수단에 의해 상기 비환상체의 지지 각도를 변경하여, 상기 띠 형상의 가는 조각의 선단부를 끝이 가늘게 수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척물 포장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비환상체는 대략 V자 형상의 수속편(收束片)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척물 포장기.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 도입 기구는, 상기 호퍼와 대략 평행하게 안내 부재가 부설되며, 상기 조작 레버의 상하 이동 조작에 의해 상기 호퍼가 상기 안내 부재에 가이드되어 상하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척물 포장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는, 하강시에 상기 호퍼의 하단(下端)이 매달린 포장 봉지에 접근하도록 경사져서 호퍼 지지 암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척물 포장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부재에는, 상기 호퍼의 상하 이동의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척물 포장기.
  16.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 입구 개구 기구는, 포장 봉지의 가로 폭과 대략 같은 길이를 갖는 롤체와, 상기 롤체의 위에 장착된 점착재를 구비하고, 상기 롤체는 상기 조작 레버의 조작에 연동하여 작동하는 작동 레버의 선단부에 회동이 자유롭게 고정되며, 상기 호퍼의 상승시에, 상기 점착재가 상기 지지체에 매달린 포장 봉지의 표면재에 첩부(貼付)되어 봉지 입구를 개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척물 포장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롤체는 작동 레버에 착탈이 자유롭게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척물 포장기.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재는 재사용 가능한 접착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척물 포장기.
  19. 제6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봉지는, 상기 지지체에 착탈이 자유로운 유지구에 의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척물 포장기.
  20. 제6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봉지는 유연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척물 포장기.
KR1020057017170A 2003-03-13 2004-02-03 장척물 포장기 KR1010861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68659 2003-03-13
JP2003068659 2003-03-13
JP2003119770 2003-04-24
JPJP-P-2003-00119770 2003-04-24
PCT/JP2004/001056 WO2004080811A1 (ja) 2003-03-13 2004-02-03 長尺物包装法及び包装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7621A true KR20050107621A (ko) 2005-11-14
KR101086112B1 KR101086112B1 (ko) 2011-11-25

Family

ID=32992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7170A KR101086112B1 (ko) 2003-03-13 2004-02-03 장척물 포장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551325B2 (ko)
KR (1) KR101086112B1 (ko)
TW (1) TWI352048B (ko)
WO (1) WO20040808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46321B2 (ja) * 2005-05-02 2010-09-15 福岡丸本株式会社 包装用補助具
JP2013082487A (ja) * 2011-10-12 2013-05-09 General Packer Co Ltd ビン等の容器の包装方法
CN106144000A (zh) * 2015-04-20 2016-11-23 佛山市大川赛德机械有限公司 一种新型蔬果包装机
CN106742270B (zh) * 2017-03-10 2018-10-26 河北工业大学 一种食品包装机
CN110745274B (zh) * 2019-11-12 2020-10-30 嘉兴市大众丝绸印花有限责任公司 一种面条包装用辅助装置及相应的系统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69446Y2 (ja) * 1992-02-18 1998-04-22 北芝電機株式会社 自動充填装置
JPH061316A (ja) * 1992-06-18 1994-01-11 Okabe Co Ltd 葉菜類の袋詰め方法および袋詰め装置
JP3536379B2 (ja) * 1994-10-27 2004-06-07 井関農機株式会社 葉野菜類の袋詰め装置
JPH08151013A (ja) * 1994-11-29 1996-06-11 Atex Co Ltd 葉菜類の袋詰め装置
JPH08230822A (ja) * 1995-03-01 1996-09-10 Ogiwara Seiki Kk 包装機
JPH09267808A (ja) * 1996-04-02 1997-10-14 Takigawa Kinzoku Kogyo Kk 包装装置
JPH10194225A (ja) 1997-01-08 1998-07-28 Shin Etsu Polymer Co Ltd 果菜類の袋詰め機とこれによる袋詰め方法
JP3965596B2 (ja) * 2001-12-25 2007-08-29 株式会社 太陽 野菜類の袋詰め機
JP3949002B2 (ja) * 2002-05-10 2007-07-25 福岡丸本株式会社 包装用補助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551325B2 (ja) 2010-09-29
WO2004080811A1 (ja) 2004-09-23
TW200508095A (en) 2005-03-01
KR101086112B1 (ko) 2011-11-25
TWI352048B (en) 2011-11-11
JPWO2004080811A1 (ja) 2006-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50115B2 (ja) 連続包装装置
US9010072B2 (en) Multiple station automated bagger systems, associated devices and related methods
US7003931B2 (en) Bag filling and sealing machine and method for handling bags
KR101086112B1 (ko) 장척물 포장기
JP4464295B2 (ja) 包装機
JP2017507864A (ja) 改善された結束装置
US20050082208A1 (en) Gasket singulation and insertion apparata and methods
NZ553930A (en) A packing apparatus for packing boxes with fruit
JP2000072109A (ja) 果物の自動包装装置
JP4546321B2 (ja) 包装用補助具
US4619104A (en) Net bag forming method and machine
EP0743251B1 (en) A process for obtaining packets full of products by means of a continuous tube of net
CN100467349C (zh) 长条物品包装机
US3903678A (en) Spreader mandrel for automatic produce-bagging machine that uses factory-roll polyethylene net tubing
JP2538098B2 (ja) 野菜包装装置
JP2006290418A (ja) 長尺の野菜、特に長葱を長尺の合成樹脂製袋に袋詰めする作業に使用する装置
US5123232A (en) Apparatus for filling bags with unwieldy goods
JP2007106476A (ja) 包装機
KR20010025632A (ko) 과일포장기의 비닐봉지 벌림장치
JPH0692309A (ja) 連続包装方法とその装置
JP2003231508A (ja) 農作物の包装機
JP2002308213A (ja) 葉野菜類の袋詰め装置
JP2007331815A (ja) 包装補助具およびこの包装補助具を用いた包装機
JP2010143629A (ja) 被包装物充填装置
ITAT990007A1 (it) Macchina per annodare automaticamente il cordoncino del fiocco di carta decorativa di confezionamento di uova pasqual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