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3630A - 차량용 시트의 더블폴딩 고정을 위한 록킹기구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의 더블폴딩 고정을 위한 록킹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3630A
KR20050103630A KR1020040028884A KR20040028884A KR20050103630A KR 20050103630 A KR20050103630 A KR 20050103630A KR 1020040028884 A KR1020040028884 A KR 1020040028884A KR 20040028884 A KR20040028884 A KR 20040028884A KR 20050103630 A KR20050103630 A KR 200501036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stopper
locking
double folding
le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8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69945B1 (ko
Inventor
정찬호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8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9945B1/ko
Priority to JP2004324794A priority patent/JP4707171B2/ja
Priority to US11/010,799 priority patent/US7156460B2/en
Priority to DE102004060565A priority patent/DE102004060565B4/de
Priority to CNB2004101041861A priority patent/CN100400334C/zh
Publication of KR20050103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36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9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99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38Cushion movements
    • B60N2/304Cushion movements by rotation only
    • B60N2/3045Cushion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 B60N2/305Cushion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the cushion being hinged on the vehicle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5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e.g. dismountable auxiliary seats
    • B60N2/015Attaching seats directly to vehicle chassis
    • B60N2/01508Attaching seats directly to vehicle chassis using quick release attachments
    • B60N2/01516Attaching seats directly to vehicle chassis using quick release attachments with locking mechanisms
    • B60N2/01583Attaching seats directly to vehicle chassis using quick release attachments with locking mechanisms locking on transversal elements on the vehicle floor or rail, e.g. transversal r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5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e.g. dismountable auxiliary seats
    • B60N2/015Attaching seats directly to vehicle chassis
    • B60N2/01508Attaching seats directly to vehicle chassis using quick release attachments
    • B60N2/01591Attaching seats directly to vehicle chassis using quick release attachments with wheels coupled to th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02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 B60N2/3004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 B60N2/3009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 B60N2/3011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the back-rest being hinged on the cushion, e.g. "portefeuille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919Positioning and locking mechanisms
    • B60N2002/952Positioning and loc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locking system
    • B60N2002/967Positioning and loc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locking system the locking system prevents tilt of whole seat by retaining and locking the seat in a vertical storage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의 더블폴딩 고정을 위한 록킹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시트 하측 전단 록킹부의 메인 브라켓과 레그 프레임 사이에서 시트를 더블폴딩상태로 록킹 지지하는 스토퍼와, 이 스토퍼의 록킹해제 조작을 위한 스트랩을 설치하여, 전단 록킹부의 록킹상태에서 시트의 더블폴딩 후 스토퍼의 끼움부가 레그 프레임의 지지브라켓 내에 끼워지도록 록킹하게 되면 상기 스토퍼가 지지브라켓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더블폴딩된 시트를 견고히 지지하게 되고, 시트를 전방으로 살짝 젖힌 뒤 스트랩을 당겨주게 되면 상기 스토퍼의 끼움부가 지지브라켓으로부터 빠지면서 스토퍼가 후방 회전하여 시트의 더블폴딩 고정을 해제하도록 구성된 차량용 시트의 더블폴딩 고정을 위한 록킹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스토퍼가 시트 좌우측에서 레그 프레임을 견고히 지지하므로 지지 강도의 향상 효과 및 주행 중 시트 유동이 효과적으로 방지되는 효과가 있게 되고, 스트랩을 시트 위쪽으로 감아 전방 시트의 헤드레스트 프레임에 걸어주던 종래 구조에 비해 조작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시트 하측에서 상기 스토퍼의 동작이 이루어지므로 외관미 향상의 효과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시트의 더블폴딩 고정을 위한 록킹기구{Locking mechanism for double folding of vehicle seat}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의 더블폴딩 고정을 위한 록킹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시트 하측 전단 록킹부의 메인 브라켓과 레그 프레임 사이에서 시트를 더블폴딩상태로 록킹 지지하는 스토퍼와, 이 스토퍼의 록킹해제 조작을 위한 스트랩을 설치하여, 전단 록킹부의 록킹상태에서 시트의 더블폴딩 후 스토퍼의 끼움부가 레그 프레임의 지지브라켓 내에 끼워지도록 록킹하게 되면 상기 스토퍼가 지지브라켓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더블폴딩된 시트를 견고히 지지하게 되고, 시트를 전방으로 살짝 젖힌 뒤 스트랩을 당겨주게 되면 상기 스토퍼의 끼움부가 지지브라켓으로부터 빠지면서 스토퍼가 후방 회전하여 시트의 더블폴딩 고정을 해제하도록 구성된 차량용 시트의 더블폴딩 고정을 위한 록킹기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사람들의 문화수준이 높아지고 문명이 발달하면서 예전의 복잡하던 것들이 단순화 되고 여러 기능들이 하나로 합쳐진 다기능 물건들이 많이 생산되고 있다.
이는 불필요한 작업과 힘의 낭비, 경제적 손실 등을 절약하고 좀 더 편하면서 간단하게 여러 가지 일을 하고자 하는 인간의 욕망에서 비롯된 것으로, 우리의 생활과 깊은 관계를 이루고 있는 자동차에서도 그런 현상은 나타나고 있다.
예를 들어, 업무적인 이유로 실을 물건이 많을 때 그 물건을 실을 수 있고 여행이나 야유회 등을 갈 때 가족들과 함께 많은 짐들을 실을 수 있는 다목적 차량의 요구가 바로 그것이다.
이러한 다목적 차량은 승용차에 상용차의 기능이 추가된 것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일반 승용차와는 달리 실내공간을 필요에 따라 여러 용도로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게 설계되는 것이 특징이라 할 수 있다.
한 예로서, 다목적 차량의 2열이나 3열 시트 등 후석의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쉽게 탈거가 가능한 시트가 적용되어 화물적재공간과 탑승공간의 전환이 용이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탈착식 시트는 보다 큰 화물적재공간이 요구되어 실내공간을 확장하고자 할 경우에 차체 플로어 패널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게 설치되는 시트로서, 시트 하측으로는 차체 플로어에 대해 시트를 고정 또는 해제하기 위한 록킹장치가 설치 구성된다.
이러한 탈착식 시트는 사용자 누구나가 간편하게 시트를 탈거하거나 재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함은 물론이며, 무엇보다도 사용자 안전이 고려되어야 한다.
그러나, 지금까지 알려진 통상의 탈착식 시트는, 시트 뒷쪽에서는 록킹장치에 의해 차체 고정된 후방 스트라이커가 완전히 캐칭된 상태이나, 시트 앞쪽에서는 차체 고정된 전방 스트라이커가 록킹장치의 메인 브라켓 요입홈 내에 단순히 넣어진 형태로 시트의 걸려진 상태를 유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는 바, 시트 앞쪽에서 완전한 록킹이 이루어졌다 할 수 없고, 시트 앞쪽의 록킹력이 시트 뒷쪽의 록킹력에 비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통상의 탈착식 시트에서는 더블폴딩이 되지 않아 시트를 차체로부터 완전히 분리해 따로 세워 놓거나 차량 외부에 보관해야 하는 단점이 있고, 시트 장착 후 록킹이 완전히 이루어졌는지를 확인하기가 어려워 사용자가 시트의 완전 록킹상태로 잘못 판단하는 경우 급제동시나 충돌시 사용자가 큰 상해를 입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발명자 및 출원인은 탈착식 시트의 더블폴딩 기능은 물론 사용자가 록킹 여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시킨 차량용 탈착식 시트의 록킹장치를 특허 출원한 바 있다[한국특허출원 제2003-78837호(2003.11.8)].
상기의 록킹장치는, 첨부한 도 5a ~ 도 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 하부의 레그 프레임(10) 전단 및 후단에 설치되어 각각 스트라이커(12,13,15)와 결합된 상태에서 레그 프레임(10)을 지지하게 되는 메인 브라켓(110,210)을 가지면서 록플레이트(112,114,212)에 의해 상기 스트라이커에 록킹/해제되는 전단 및 후단 록킹부(100,200)와, 상기 전단 록킹부(100)가 스트라이커(12,13)에 록킹 고정된 상태에서 후단 록킹부(200)의 록킹해제시에 상기 레그 프레임(10)이 전단 록킹부(100)를 중심으로 더블폴딩상태로 회전될 수 있게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부재(122)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록킹장치에서는 전단 록킹부(100)의 록킹과정이 제1록플레이트(112)의 록킹과 제2록플레이트(114)의 록킹으로 완성되는 2단계 록킹과정으로 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시트 뒷쪽을 아래로 회전시킨 뒤 후단 록킹부(200)의 메인 브라켓 요입홈(212d)에 스트라이커(15)가 넣어지도록 순간 누르게 되면 후단 록킹부(200)의 록킹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록킹장치는 시트 뒷쪽의 록킹은 물론 시트 앞쪽에서도 두 개의 록플레이트(112,114)가 차체 고정된 스트라이커(12,13)를 완전 캐칭하여 견고한 록킹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전단 및 후단 록킹부(100,200)의 모든 록킹과정이 사용자가 차체 플로어에 고정된 스트라이커 커버(14) 안쪽으로 로울러(128)를 대고 시트를 앞쪽으로 민 후 시트 뒷쪽을 세우는 조작과, 이후 시트 뒷쪽을 아래로 회전시킨 뒤 누르는 조작만으로 가능하여 시트 장착이 매우 간편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록킹장치에 따르면, 전단 록킹부(100)의 록킹과정 후 시트 뒷쪽을 세운 상태, 혹은 후단 록킹부(200)의 록킹을 해제한 후 상기 스프링부재(122)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시트 뒷쪽이 자동으로 들어올려진 상태에서, 시트의 더블폴딩상태가 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시트 장착시 최종 록킹이 이루어지는 후단 록킹부(200)에는 록플레이트(212)의 회전에 연동하여 레그 프레임(10) 바깥쪽으로 설치된 레그 커버(16)의 지시홀을 통해 록킹 또는 해제상태를 표시해주는 상태 지시부가 구비되며, 이는 지시 브라켓(220)을 통해 록킹장치의 완전 록킹 여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해준다.
한편, 상기 록킹장치의 적용으로 더블폴딩이 가능하게 된 탈착식 시트를 포함하여 기존의 모든 차량용 더블폴딩 시트에서는 시트를 더블폴딩시킨 후 고정할 필요가 있다.
즉, 더블폴딩상태로 시트를 고정하기 위한 기구가 필요하며, 이와 같이 시트를 더블폴딩상태로 구속(또는 록킹)하지 않을 경우 주행 중 시트 유동이 심하게 발생할 수 있고, 소음 발생 및 충격에 의한 시트 구성품의 파손 등이 초래될 수 있다.
통상의 더블폴딩 시트에서는 시트 유동을 방지하고 더블폴딩상태로 시트(1)를 고정하기 위하여, 첨부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 쿠션 하단에 스트랩(strap;2)을 장착한 후 이를 전방 시트(3)의 헤드레스트 프레임(4)에 걸어 고정하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전방 시트(3)의 헤드레스트 프레임(4)에 스트랩(2)을 걸어 고정하는 종래의 구조에서는 스트랩(2)이 더블폴딩 시트(1) 위로 감겨져 외관상 보기에 좋지 못하고, 또한 시트의 더블폴딩상태를 고정하거나 해제하는 과정에서 스트랩(2)을 전방 시트(3)에 걸거나 푸는 조작에 불편함이 있었는 바,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시트 하측 전단 록킹부의 메인 브라켓과 레그 프레임 사이에서 시트를 더블폴딩상태로 록킹 지지하는 스토퍼와, 이 스토퍼의 록킹해제 조작을 위한 스트랩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록킹구조를 시트 하단에 설치하여, 주행 중 시트 유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스트랩을 시트 위쪽으로 감아 전방 시트의 헤드레스트 프레임에 걸어주던 종래 구조에 비해 조작편의성이 될 수 있음은 물론 시트 하단에서 동작하여 외관미 향상의 효과도 얻을 수 있는 차량용 시트의 더블폴딩 고정을 위한 록킹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더블폴딩 고정을 위한 록킹기구는,
차량용 탈착식 시트 하단에 설치 구성된 록킹장치의 각 전단 록킹부에 전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메인 브라켓에 힌지 결합된 하단 체결부를 중심으로 시트 하단 레그 프레임 안쪽에서 탄력적으로 전방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메인 브라켓과 레그 프레임 사이에서 시트를 더블폴딩상태로 록킹 지지하게 되는 로드형태의 스토퍼와;
이 스토퍼의 레그 프레임측 록킹을 위하여 상기 레그 프레임 내면에 설치되어 시트의 더블폴딩상태에서 탄력 전방 회전된 스토퍼 상단의 끼움부가 끼워져 고정 가능하게 된 지지브라켓과;
후방으로의 당김 조작시에 상기 지지브라켓으로부터 분리된 록킹해제상태의 스토퍼를 후방으로 당겨주기 위한 해제용 스트랩;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좌우측 전단 록킹부의 두 스토퍼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로드가 설치되고, 이 연결로드에 상기 해제용 스트랩이 연결되어, 상기 해제용 스트랩을 후방으로 당겨주게 되면 상기 연결로드를 통해 좌우측 전단 록킹부의 두 스토퍼가 동시에 후방으로 당겨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시트의 더블폴딩을 위해 상기 레그 프레임의 뒷쪽이 들어올려지면서 상기 스토퍼의 탄력적인 전방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스토퍼의 전방 회전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이 설정된 리턴 스프링이 상기 스토퍼의 체결부와 이 체결부에 결합된 메인 브라켓 힌지핀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토퍼의 끼움부가 스토퍼의 탄력 전방 회전 후 상기 지지브라켓에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끼워질 수 있게 스토퍼 상단에서 후방으로 꺾인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꺾인 각도는 스토퍼의 록킹해제를 위해 더블폴딩상태의 시트를 전방으로 젖히는 동작에 의해 상기 리턴 스프링의 탄성복원력으로 스토퍼가 전방 회전되면서 상기 끼움부가 상기 지지브라켓으로부터 전방으로 자동 빠져 나올 수 있게 각도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시트의 더블폴딩 후 전방 시트의 헤드레스트에 스트랩을 걸어 고정하던 종래 구조를 개선하기 위해 시트 하단에 록킹구조를 설정하여 더블폴딩시의 외관 및 조작편의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시트의 더블폴딩 고정을 위한 록킹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록킹기구는 본 발명의 발명자 및 출원인에 의해 기 출원된 바 있는 한국특허출원 제2003-78837호의 록킹장치에 적용될 수 있도록 발명한 것으로, 그 구성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의 록킹기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특히 전단 록킹부(100)의 록킹 후 시트 뒷쪽이 들어올려진 더블폴딩상태에서 본 발명의 록킹기구에 의해 더블폴딩 고정이 이루어진 상태를 보여주고 있으며, 레그 프레임 안쪽에서 본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더블폴딩 고정을 위한 록킹기구는 차량용 탈착식 시트 하단에 좌우측 대칭되게 설치 구성되는 록킹장치에서 더블폴딩동안 스트라이커(12,13)와의 록킹상태를 유지하는 좌우측 각 전단 록킹부(100)쪽에 설치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의 록킹기구는 상기 각 전단 록킹부(100)의 메인 브라켓(110)과 시트 하단 좌우측 각 레그 프레임(10) 사이에서 시트를 더블폴딩상태로 록킹지지하는 스토퍼(310)를 포함하며, 이 스토퍼(310)는 로드형태로 구비되어 각 메인 브라켓(110) 상단에 힌지 결합된 하단 체결부(312)를 중심으로 레그 프레임(10) 안쪽에서 전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스토퍼(310)는 도시한 바와 같이 길게 형성되어 그 일단에는 'ㄷ'자 구조로 형성된 체결부(312)를 가지며, 이 체결부(312)에 메인 브라켓(110)의 상단 체결부위가 안쪽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바, 메인 브라켓(110)의 상단 체결부위에 안쪽과 바깥쪽으로 돌출 형성시킨 힌지핀(110d)이 상기 체결부(312)의 체결공(도 2a에서 도면부호 312a임)에 삽입되어 결합된 구조로 되어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스토퍼(310)가 상기 힌지핀(110d)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전후 회전 가능한 구조가 된다.
또한, 상기 스토퍼(310)의 체결부(312)와 메인 브라켓(110)의 힌지핀(110d) 사이에는 리턴 스프링(316)이 설치되는데, 이 리턴 스프링(316)의 탄성복원력은, 시트의 더블폴딩을 위해 상기 레그 프레임(10)의 뒷쪽이 들어올려지면서 상기 스토퍼(310)의 탄력적인 전방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스토퍼(310)가 전방(시트 전후방향을 기준으로 한 것임, 도면상의 시계방향) 회전되는 방향으로 작용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미도시된 시트 반대쪽 록킹장치의 전단 록킹부를 구성하는 메인 브라켓에도 동일한 구조의 스토퍼가 좌우 대칭되게 설치되는 바, 이와 같은 시트 좌우측의 두 스토퍼(310) 사이에는 연결로드(320)가 설치되며,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로드(320)의 끝단이 스토퍼(310)의 중간쯤에 고정되고, 이 연결로드(320)의 중간쯤에는 해제용 스트랩(330)의 일단이 설치된다.
여기서, 이 해제용 스트랩(330)은 사용자가 그 반대쪽 타단을 잡고 후방으로 당김 조작할 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지지브라켓(340)으로부터 분리된 록킹해제상태의 스토퍼(310)를 후방으로 당겨주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좌우측 두 스토퍼(310)의 레그 프레임(10)측 록킹을 위하여, 각 레그 프레임(10)의 내면에는 일단이 메인 브라켓(110)에 힌지 결합된 스토퍼(310)의 반대쪽 타단이 더블폴딩시에 끼워지도록 된 지지브라켓(340)이 용접 설치되는 바, 이 또한 시트 좌우측 두 레그 프레임(10)에 동일한 구조로 대칭되게 설치되며, 이는 해당 스토퍼(310)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스토퍼(310)의 반대쪽 타단, 즉 상단은 스토퍼의 탄력 전방 회전 후 시트의 더블폴딩상태에서 상기 지지브라켓(340) 안쪽에 끼워질 수 있도록 소정 각도만큼 후방으로 꺾인 끼움부(314)로 되어 있는 바, 이 끼움부(314)가 지지브라켓(34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끼워질 수 있게 되어 있고, 이 끼움부(314)의 꺾인 각도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더블폴딩의 록킹해제시 시트를 전방으로 살짝 젖히는 동작에 의해, 리턴 스프링(316)의 스프링력이 작용하여 스토퍼(310)가 전방 회전하면서, 상기 끼움부(314)가 지지브라켓(340) 내부에서 전방으로 자동 빠져 나올 수 있는 각도로 설정된다.
이하,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록킹기구가 설치된 탈착식 시트에서 더블폴딩이 이루어지는 동안의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고, 앞서 설명한 도 1(또는 도 3)은 도 2a 및 도 2b의 과정을 거쳐 시트의 더블폴딩이 이루어진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물론, 도 1에서 스토퍼(310)는 전단 록킹부(100)의 메인 브라켓(110)과 레그 프레임(10) 사이에서 시트를 더블폴딩상태로 록킹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과 반대방향, 즉 레그 프레임(10) 바깥쪽에서 본 구조를 도시한 것이며, 도시한 각 상태는 제1록플레이트(112)가 차체 고정된 스트라이커 커버(14)의 제1스트라이커(12)를, 제2록플레이트(114)가 제2스트라이커(13)를 완전 캐칭한 상태로서, 전단 록킹부(100)의 2단계 록킹이 이미 이루어진 상태이다.
이 전단 로킹부(100)의 록킹상태에서 스프링부재, 즉 스파이어럴 스프링(122)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시트 뒷쪽이 자동으로 들어올려지면서 더블폴딩상태가 되며, 이와 같이 시트가 더블폴딩된 상태에서는 화물적재공간의 확장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본 발명의 록킹기구에 의해 시트의 더블폴딩 고정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살펴보면, 시트 뒷쪽이 들어올려지면서 더블폴딩이 되는 과정에서 상기 스토퍼(310)는 리턴 스프링(316)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전방 회전, 즉 도 2a 및 도 2b의 반시계방향으로 자동 회전되어 나중에는 그 끼움부(314)가 레그 프레임(10) 내면의 지지브라켓(340)을 지나게 된다.
이때, 스토퍼(310)는 레그 프레임(10)이 들어올려지는 동시에 끼움부(314)가 레그 프레임(10)의 상부 내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리턴 스프링(316)에 의해 조금씩 반시계방향 회전을 하게 되고, 시트가 완전히 세워진 상태에서는 끼움부(314)가 지지브라켓(340)을 통과한 위치에 있게 된다(이후 설명되는 도 3b의 상태와 같음).
이후, 레그 프레임(10)을 반대방향, 즉 시계방향으로 살짝 회전시켜주게 되면, 스토퍼(310)의 끼움부(314)가 레그 프레임(10)의 지지브라켓(340) 내에 끼워지면서 시트는 도 1의 더블폴딩상태로 완전히 고정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록킹기구는 스토퍼(310)의 끼움부(314)가 레그 프레임(10)의 지지브라켓(340) 내에 끼워진 상태에서 록킹이 이루어지며, 이와 같이 록킹이 이루어진 상태에서는, 종래와 같은 스트랩이 아닌, 좌우측의 상기 스토퍼(310)가 지지브라켓(340)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더블폴딩된 시트의 좌우측 레그 프레임(10)을 견고히 지지하게 되는 바, 이에 의해 주행 중 시트 유동이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고, 지지 강도 또한 향상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한편, 첨부한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록킹기구가 해제되는 동안의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로서, 레그 프레임(10) 바깥쪽에서 본 측면상의 구조를 도시하였으며, 도 3a와 같이 록킹이 이루진 상태에서 도 3b 및 도 3c와 같이 시트를 전방으로 대략 5°정도 회전시키게 되면, 스토퍼(310)가 리턴 스프링(316)의 스프링력에 의해 전방으로 살짝 회전되는 동시에 이 스토퍼(310)의 끼움부(314)가 레그 프레임(10)의 지지브라켓(340) 내에서 빠지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해제용 스트랩(330)을 잡고 도 3d와 같이 후방으로 당겨주게 되면 스토퍼(310)는 지지브라켓(340)에서 완전히 해제되고, 이후 사용자가 시트 뒷쪽을 아래로 회전시킨 뒤 후단 록킹부(200)의 메인 브라켓 요입홈(212d)에 스트라이커(15)가 넣어지도록 순간 누르게 되면 후단 록킹부의 록킹이 이루어진다.
첨부한 도 4는 후단 록킹부의 록킹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본 발명의 록킹기구를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레그 프레임(10) 안쪽에서 본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의 상태는 시트가 전단 록킹부(100)의 록킹상태에서 더블폴딩이 해제된 이후 후단 록킹부(200)의 록킹이 완료되어 차량 플로어와는 전후단에서 완전 록킹이 이루어진 상태이며, 이는 곧 시트 장착이 완료된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리턴 스프링(316)의 스프링력이 스토퍼(310)에 작용되더라도 스토퍼는 레그 프레임(10)의 상부 내면에 걸리어 후방으로의 회전(도면상의 시계방향 회전)은 구속된 상태가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더블폴딩 고정을 위한 록킹기구에 의하면, 전단 록킹부의 록킹상태에서 시트를 전방으로 젖힌 후 스토퍼의 끼움부가 레그 프레임의 지지브라켓 내에 끼워지도록 록킹하고 나면 상기 스토퍼가 지지브라켓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더블폴딩된 시트를 견고히 지지하게 되는 바, 이에 의해 시트의 더블폴딩 고정이 이루어져 주행 중 시트 유동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고, 스토퍼가 시트 좌우측에서 레그 프레임을 견고히 지지하므로 지지 강도의 향상 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시트를 전방으로 살짝 젖혀준 뒤 연결로드를 통해 상기 스토퍼에 연결된 스트랩을 당겨주게 되면 상기 끼움부가 지지브라켓에서 빠진 후 스토퍼가 리턴 스프링의 스프링력을 극복하고 후방 회전되면서 시트의 더블폴딩 고정이 해제되는 바, 전체적으로 종래에 비해 보다 간편한 조작으로 시트의 더블폴딩 고정 및 해제가 가능하고, 결국 스트랩을 시트 위쪽으로 감아 전방 시트의 헤드레스트 프레임에 걸어주던 종래 구조에 비해 조작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시트 하측에서 스토퍼의 동작이 이루어지므로 외관미 향상의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록킹기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록킹기구가 설치된 탈착식 시트에서 더블폴딩이 이루어지는 동안의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록킹기구가 해제되는 동안의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4는 후단 록킹부의 록킹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본 발명의 록킹기구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a 내지 도 5b는 시트의 더블폴딩이 가능한 록킹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5c는 도 5a의 록킹장치에서 후단 록킹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통상의 더블폴딩 시트에서 스트랩을 이용해 시트를 더블폴딩 고정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레그 프레임 100 : 전단 록킹부
110 : 메인 브라켓 310 : 스토퍼
312 : 체결부 314 : 끼움부
316 : 리턴 스프링 320 : 연결로드
330 : 스트랩 340 : 지지브라켓

Claims (4)

  1. 차량용 탈착식 시트 하단에 설치 구성된 록킹장치의 각 전단 록킹부에 전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메인 브라켓에 힌지 결합된 하단 체결부를 중심으로 시트 하단 레그 프레임 안쪽에서 탄력적으로 전방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메인 브라켓과 레그 프레임 사이에서 시트를 더블폴딩상태로 록킹 지지하게 되는 로드형태의 스토퍼와;
    이 스토퍼의 레그 프레임측 록킹을 위하여 상기 레그 프레임 내면에 설치되어 시트의 더블폴딩상태에서 탄력 전방 회전된 스토퍼 상단의 끼움부가 끼워져 고정 가능하게 된 지지브라켓과;
    후방으로의 당김 조작시에 상기 지지브라켓으로부터 분리된 록킹해제상태의 스토퍼를 후방으로 당겨주기 위한 해제용 스트랩;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더블폴딩 고정을 위한 록킹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전단 록킹부의 두 스토퍼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로드가 설치되고, 이 연결로드에 상기 해제용 스트랩이 연결되어, 상기 해제용 스트랩을 후방으로 당겨주게 되면 상기 연결로드를 통해 좌우측 전단 록킹부의 두 스토퍼가 동시에 후방으로 당겨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더블폴딩 고정을 위한 록킹기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시트의 더블폴딩을 위해 상기 레그 프레임의 뒷쪽이 들어올려지면서 상기 스토퍼의 탄력적인 전방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스토퍼의 전방 회전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이 설정된 리턴 스프링이 상기 스토퍼의 체결부와 이 체결부에 결합된 메인 브라켓 힌지핀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더블폴딩 고정을 위한 록킹기구.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의 끼움부가 스토퍼의 탄력 전방 회전 후 상기 지지브라켓에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끼워질 수 있게 스토퍼 상단에서 후방으로 꺾인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꺾인 각도는 스토퍼의 록킹해제를 위해 더블폴딩상태의 시트를 전방으로 젖히는 동작에 의해 상기 리턴 스프링의 탄성복원력으로 스토퍼가 전방 회전되면서 상기 끼움부가 상기 지지브라켓으로부터 전방으로 자동 빠져 나올 수 있게 각도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더블폴딩 고정을 위한 록킹기구.
KR1020040028884A 2004-04-27 2004-04-27 차량용 시트의 더블폴딩 고정을 위한 록킹기구 KR1005699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8884A KR100569945B1 (ko) 2004-04-27 2004-04-27 차량용 시트의 더블폴딩 고정을 위한 록킹기구
JP2004324794A JP4707171B2 (ja) 2004-04-27 2004-11-09 車両用シートのダブルフォールディング固定のためのロック機構
US11/010,799 US7156460B2 (en) 2004-04-27 2004-12-13 Locking device for double folding of a vehicle seat
DE102004060565A DE102004060565B4 (de) 2004-04-27 2004-12-16 Verriegelungsvorrichtung zum doppelten Falten eines Fahrzeugsitzes
CNB2004101041861A CN100400334C (zh) 2004-04-27 2004-12-30 用于车辆座椅双折叠的锁定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8884A KR100569945B1 (ko) 2004-04-27 2004-04-27 차량용 시트의 더블폴딩 고정을 위한 록킹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3630A true KR20050103630A (ko) 2005-11-01
KR100569945B1 KR100569945B1 (ko) 2006-04-10

Family

ID=35135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8884A KR100569945B1 (ko) 2004-04-27 2004-04-27 차량용 시트의 더블폴딩 고정을 위한 록킹기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156460B2 (ko)
JP (1) JP4707171B2 (ko)
KR (1) KR100569945B1 (ko)
CN (1) CN100400334C (ko)
DE (1) DE102004060565B4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52033B2 (en) 2006-12-06 2008-11-18 Hyundai Motor Company Structure for movement of rear catch of double folding seat for vehicle
KR101393500B1 (ko) * 2012-11-28 2014-05-12 현대다이모스(주) 시트쿠션 폴딩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89191A1 (en) * 2005-02-18 2006-08-24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Vehicle seating system
FR2906507B1 (fr) * 2006-09-29 2009-05-29 Renault Sas Systeme de maintien en position portefeuille d'un siege arriere de vehicule automobile et vehicule correspondant.
JP5193555B2 (ja) * 2007-10-09 2013-05-08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車両用格納シート
IN2012DN03308A (ko) * 2009-10-05 2015-10-23 Johnson Controls Tech Co
KR101181290B1 (ko) 2010-07-15 2012-09-11 현대로템 주식회사 오작동 및 소음방지 기능을 갖는 철도차량용 잠금장치
DE102012020269B4 (de) 2012-07-31 2021-01-07 Adient Luxembourg Holding S.À R.L. Verriegelungsvorrichtung für einen Fahrzeugsitz und Fahrzeugsitz
DE102014208142A1 (de) * 2014-04-30 2015-11-05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Sitzbefestigung für einen Fahrzeugsitz
KR101575499B1 (ko) * 2014-06-27 2015-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트의 폴딩 풀림 방지 장치
EP3259156B1 (en) * 2015-02-20 2021-06-02 The Braun Corporation Seat base assembly of a vehicle
US9919620B2 (en) 2016-03-08 2018-03-20 Honda Motor Co., Ltd. Removable seat for a motor vehicle
US11338704B2 (en) * 2020-07-29 2022-05-24 Faurecia Automotive Seating, Llc Easy entry latch for vehicle seat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37090B2 (ja) * 1989-06-28 1998-04-08 スズキ株式会社 格納式リアシートの支持構造
JPH07266950A (ja) * 1994-03-30 1995-10-17 Aichi Mach Ind Co Ltd 前倒れシート
DE29522335U1 (de) * 1995-12-01 2002-04-11 Brose Fahrzeugteile Vorrichtung zur lösbaren Verbindung eines Fahrzeugsitzes mit dem Fahrzeugboden
JP3651136B2 (ja) * 1996-08-15 2005-05-25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装置
CA2329321C (en) * 1998-05-15 2007-06-26 Magna Interior Systems Inc. Fold and tumble seat support assembly
DE69919359T2 (de) * 1998-07-14 2005-09-08 Magna Interior Systems Inc., Aurora Klappbare und umlegbare fahrzeugssitzanordnung
US6227619B1 (en) * 1999-03-16 2001-05-08 Daimlerchrysler Corporation Seat riser fold and tumble mechanism with rollers and skid plate
US6196610B1 (en) * 1999-03-17 2001-03-06 Daimlerchrysler Corporation Seat riser fold and tumble mechanism with roller
JP3628904B2 (ja) * 1999-03-31 2005-03-16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シートの収納姿勢保持装置
DE10045474C5 (de) * 2000-09-14 2005-12-22 Keiper Gmbh & Co.Kg Fahrzeugsitz mit Packagestellung
JP2002211283A (ja) * 2001-01-19 2002-07-31 Johnson Controls Automotive Systems Corp 車両用シート
CN2488752Y (zh) * 2001-07-10 2002-05-01 全兴工业股份有限公司 汽车座椅快速折叠及倒立装置
DE10139538C1 (de) * 2001-08-10 2003-03-20 Faurecia Autositze Gmbh & Co Fondsitz für Kraftfahrzeuge
JP3638549B2 (ja) 2001-10-16 2005-04-1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FR2838391B1 (fr) * 2002-04-11 2004-10-29 Faurecia Sieges Automobile Dispositif de fixation d'un siege sur un plancher de vehicule et siege equipe d'un tel dispositif de fixation
KR100551843B1 (ko) * 2003-11-08 2006-02-1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탈착식 시트의 록킹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52033B2 (en) 2006-12-06 2008-11-18 Hyundai Motor Company Structure for movement of rear catch of double folding seat for vehicle
KR101393500B1 (ko) * 2012-11-28 2014-05-12 현대다이모스(주) 시트쿠션 폴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9945B1 (ko) 2006-04-10
DE102004060565A1 (de) 2005-11-24
JP4707171B2 (ja) 2011-06-22
CN100400334C (zh) 2008-07-09
CN1689864A (zh) 2005-11-02
JP2005313866A (ja) 2005-11-10
US20050236883A1 (en) 2005-10-27
DE102004060565B4 (de) 2007-01-18
US7156460B2 (en) 2007-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93056B2 (en) Vehicle seat release assembly
US7552972B2 (en) Power assist fold and tumble vehicle seat
US6883854B2 (en) Stowable rear seat for vehicle passenger compartments
JP3990364B2 (ja) 折り畳みシートおよびこのようなシートを含む乗物
US8602495B2 (en) Fold-and dive structure for vehicle seat
CN104129326B (zh) 有双锁定就坐位置的车辆座椅组件和调整车辆座椅的方法
KR100569945B1 (ko) 차량용 시트의 더블폴딩 고정을 위한 록킹기구
GB2487011A (en) Folding table
EP0151426B1 (en) Improved vehicle provided with seats, the back rest of which can be folded down to the level of the load-carrying platform
CN113147538A (zh) 一种汽车及其多连杆折叠座椅
JP2005343322A (ja) 車両用シート装置
JP4002197B2 (ja) リア・シート・フート・レスト
JP2003118451A (ja) 車両用シート
KR100366580B1 (ko) 자동차용 더블 폴딩 시트의 리어 마운팅 구조
JPH0348888Y2 (ko)
KR200369656Y1 (ko) 자동차 리어시트 쿠션 틸팅장치
KR20100062607A (ko) 초저상 버스용 접이식시트의 록킹장치
JP2001030814A (ja) 折り畳みリアシート
JP3982006B2 (ja) フルフラット可能な折畳式シート
JPH09188167A (ja) 車両用折り畳み式シートのロッキング装置
JP2022069794A (ja) 車両用スライドデッキ
JPH0727934U (ja) リヤーシートスライドロック構造
KR100520770B1 (ko) 차량의 탈착식 더블폴딩 시트
JPH11115582A (ja) 車両用折り畳みシート
KR100825252B1 (ko) 자동차용 접이식 좌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