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3500B1 - 시트쿠션 폴딩장치 - Google Patents

시트쿠션 폴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3500B1
KR101393500B1 KR1020120136420A KR20120136420A KR101393500B1 KR 101393500 B1 KR101393500 B1 KR 101393500B1 KR 1020120136420 A KR1020120136420 A KR 1020120136420A KR 20120136420 A KR20120136420 A KR 20120136420A KR 101393500 B1 KR101393500 B1 KR 101393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cushion
hinge bracket
fixed
support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6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훈
Original Assignee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다이모스(주) filed Critical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to KR1020120136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35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3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35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5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e.g. dismountable auxiliary seats
    • B60N2/015Attaching seats directly to vehicle chas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 플로어에 고정된 제1힌지브라켓; 차량 쿠션의 후단부 하단에 고정된 제2힌지브라켓; 전단이 제1힌지브라켓에 연결되고 후단이 제2힌지브라켓에 연결된 와이어프레임; 쿠션의 전단부 하단에 고정되며 전방으로 돌출된 스토퍼가 형성된 쿠션고정부; 및 하단이 플로어에 고정되고 상단이 연장되어 스토퍼의 전단을 지지함으로써 차량의 충돌시 스토퍼의 이탈을 저지하는 스토퍼지지부;를 포함하는 시트쿠션 폴딩장치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시트쿠션 폴딩장치 {APPARATUS FOR FOLDING SEAT CUSHION}
본 발명은 시트쿠션을 전방으로 폴딩하여 후방의 탑재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시트쿠션 폴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차량용 시트는 시트백이 전방으로 폴딩되어 후방의 수납공간을 확대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시트백을 폴딩할 경우 하단부가 시트쿠션과 간섭되기 때문에 수평으로 충분히 폴딩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시트의 쿠션도 함께 폴딩하여 수납공간을 더욱 늘리려는 시도가 있다. 종래기술 KR10-1997-0036583 A "차량용 폴딩 시트의 로킹장치"의 경우 "시트쿠션(1) 밑면에 로커(22)가 구비되고; 플로어패널(2)에 상기 로커(22)에 걸려지는 훅(27)이 구비된 구성"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르면 훅과 로크의 로킹이 해제되면 바로 쿠션이 회전될 수 있는 구조로서 안전에 매우 취약하고, 차량의 충돌시 관성에 의해 훅과 로크의 로킹이 쉽게 해제되는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쿠션의 폴딩을 두 단계로 나누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전후방의 충돌에 모두 로킹이 유지되고, 더욱이 전방 충돌시 관성에 의한 쿠션 들림을 방지하여 충돌시 안전하게 쿠션이 제자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시트쿠션 폴딩장치가 필요하였던 것이다.
KR 10-1997-0036583 A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쿠션의 폴딩을 두 단계로 나누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전후방의 충돌에 모두 로킹이 유지되고, 더욱이 전방 충돌시 관성에 의한 쿠션 들림을 방지하여 충돌시 안전하게 쿠션이 제자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시트쿠션 폴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시트쿠션 폴딩장치는, 차량 플로어에 고정된 제1힌지브라켓; 차량 쿠션의 후단부 하단에 고정된 제2힌지브라켓; 전단이 제1힌지브라켓에 연결되고 후단이 제2힌지브라켓에 연결된 와이어프레임; 쿠션의 전단부 하단에 고정되며 전방으로 돌출된 스토퍼가 형성된 쿠션고정부; 및 하단이 플로어에 고정되고 상단이 연장되어 스토퍼의 전단을 지지함으로써 차량의 충돌시 스토퍼의 이탈을 저지하는 스토퍼지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쿠션은 제2힌지브라켓을 기준으로 후방으로 틸팅되고 제1힌지브라켓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폴딩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지지부는 하단이 제1힌지브라켓에 고정되고 상단이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지지부의 상단은 스토퍼의 전단과 상단의 대각선 지점에서 스토퍼에 맞닿아 스토퍼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지지부 또는 스토퍼는 탄성이 구비됨으로써 스토퍼가 억지끼움방식으로 스토퍼지지부를 타고 넘어가 이탈 또는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중공이 형성된 반구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쿠션고정부는 일단이 쿠션의 전단부 하단에 고정되고 타단이 하방으로 연장된 설치부 및 설치부의 전면에 형성된 스토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설치부는 하단부가 후방으로 치우치도록 절곡되어 형성됨으로써 스토퍼의 전단과 상단의 대각선 지점이 스토퍼지지부에 맞닿아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1힌지브라켓, 제2힌지브라켓 및 와이어프레임은 시트의 양측으로 각각 배치된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와이어프레임은 중단 및 후단에서 쿠션 하방을 가로지르는 보조프레임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시트쿠션 폴딩장치에 따르면, 쿠션의 폴딩을 두 단계로 나누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전후방의 충돌에 모두 로킹이 유지되고, 더욱이 전방 충돌시 관성에 의한 쿠션 들림을 방지하여 충돌시 안전하게 쿠션이 제자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쿠션 폴딩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쿠션 폴딩장치의 측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시트쿠션 폴딩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쿠션 폴딩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쿠션 폴딩장치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시트쿠션 폴딩장치는, 차량 플로어에 고정된 제1힌지브라켓(100); 차량 쿠션의 후단부 하단에 고정된 제2힌지브라켓(200); 전단이 제1힌지브라켓(100)에 연결되고 후단이 제2힌지브라켓(200)에 연결된 와이어프레임(300); 쿠션의 전단부 하단에 고정되며 전방으로 돌출된 스토퍼(460)가 형성된 쿠션고정부(400); 및 하단이 플로어에 고정되고 상단이 연장되어 스토퍼(460)의 전단을 지지함으로써 차량의 충돌시 스토퍼(460)의 이탈을 저지하는 스토퍼지지부(5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시트쿠션 폴딩장치는 차량의 플로어에 제1힌지브라켓(100)이 고정된다. 제1힌지브라켓(100)은 차량 플로어 중 시트의 전방에 위치한 지점에 마련된다. 그리고 제1힌지브라켓(100)에는 와이어프레임(300)의 전단이 힌지(120)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와이어프레임(300)은 전단의 힌지(120)를 기준으로 회전하며 쿠션을 전방으로 폴딩하도록 한다.
또한, 쿠션의 하단에는 제2힌지브라켓(200)과 쿠션고정부(400)가 설치된다. 쿠션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도 2에 도시된 쿠션프레임(800)의 상부에 설치된다. 그러한 쿠션프레임(800)의 하부에는 전방부에 쿠션고정부(400)가 설치되고 후방부에 제2힌지브라켓(200)이 설치된다. 그리고 제2힌지브라켓(200)은 와이어프레임(300)의 후단에 힌지로 연결됨으로써 쿠션의 전단부를 들어올릴 경우 후방으로 쿠션이 틸팅되는 회전의 중심을 제공하도록 한다. 그리고 플로어에는 스토퍼지지부(500)가 마련되어 쿠션고정부(400)의 스토퍼(460)를 잡아주도록 한다.
즉, 쿠션고정부(400)는 쿠션의 전단부 하단에 고정되며 전방으로 돌출된 스토퍼(460)가 형성된다. 그리고 스토퍼지지부(500)는 하단이 플로어에 고정되고 상단이 연장되어 스토퍼(460)의 전단을 지지함으로써 차량의 후방충돌시 스토퍼(460)의 이탈을 저지한다. 또한, 스토퍼지지부(500)는 평상시 스토퍼(460)가 상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막아주는 역할도 하고 있어 쿠션이 틸팅되는 것을 저지하고 동시에 쿠션이 전방으로 폴딩되는 것도 저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쿠션은 평상시 틸팅도 되지 않고 폴딩도 되지 않는 것이다. 그러나 사용자가 쿠션의 전단부를 힘을 가하여 들어올릴 경우 스토퍼(460)가 스토퍼지지부(500)에서 이탈되며 쿠션은 후방의 제2힌지브라켓(200)을 중심으로 후방으로 다소 회전되며 틸팅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스토퍼(460)의 이탈 후에는 사용자가 쿠션을 계속 들어올려 전방의 제1힌지브라켓(100)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전방으로의 폴딩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2중 힌지 구조를 통하여 틸팅과 폴딩을 구현하는 것이고, 스토퍼구조를 통하여 평상시에는 틸팅과 폴딩이 모두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스토퍼 구조는 시트의 전방부에 형성됨으로써, 전방충돌시 또는 후방충돌시 모두 시트가 관성에 의해 전후방으로 가압되더라도 스토퍼가 이탈되지 않음으로써 충돌시 승객을 안전하게 구속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특히 전방충돌시에는 쿠션이 관성에 의해 전방으로 가압되는데, 이 경우는 스토퍼(460)도 쿠션프레임(800)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함께 전방으로 밀리는 것이고, 그에 따라 스토퍼(460)는 스토퍼지지부(500)와 더욱 강하게 밀착되어 쿠션의 틸팅이나 폴딩이 원천적으로 저지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시트쿠션 폴딩장치는 이러한 차량의 전후방 충돌시 매우 안전하게 쿠션을 구속할 수 있는 구조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쿠션은 제2힌지브라켓(200)을 기준으로 후방으로 틸팅되고 제1힌지브라켓(100)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폴딩됨은 앞서 살핀 바와 같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지지부(500)는 하단이 제1힌지브라켓(100)에 고정되고 상단이 상방으로 연장된 형상을 취함으로써 제1힌지브라켓(100)을 와이어프레임(300)과 공유하여 부품수를 줄이고 공정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쿠션이 폴딩되는 중심인 제1힌지브라켓(100)과 가까운 측에서 쿠션의 스토퍼(460)를 잡아주기 때문에 회전중심에서 고정하는 구조로써 쿠션의 회전을 가장 회전중심과 가까운 부분에서 안정적으로 금지시키는 것이다. 즉, 스토퍼(460)가 이탈되지 않는 한 절대 쿠션이 폴딩될 수 없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토퍼지지부(500)의 상단은 스토퍼(460)의 전단과 상단의 대각선 지점에서 스토퍼(460)에 맞닿아 스토퍼(460)를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전방충돌과 후방충돌시 모두 안정적으로 스토퍼의 이탈을 방지한다. 즉, 스토퍼(460)는 그 상단과 전단의 사이 지점에서 가압되어 저지되는 것인바, 제2힌지브라켓(200)을 중심으로 하는 틸팅 궤적에 수직한 방향으로 가압됨으로써 이탈이 원천적으로 봉쇄되는 것이다.
다만, 상기 스토퍼지지부(500) 또는 스토퍼(460)는 탄성이 구비됨으로써 스토퍼(460)가 억지끼움방식으로 스토퍼지지부(500)를 타고 넘어가 이탈 또는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승객의 가압에 의한 수작동으로 틸팅과 폴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스토퍼(460)는 중공이 형성된 반구 형상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쿠션고정부(400)는 일단(422)이 쿠션의 전단부 하단에 고정되고 타단(424)이 하방으로 연장된 설치부(420) 및 설치부(420)의 전면에 형성된 스토퍼(460)로 구성되고, 상기 설치부(420)는 타단(424)이 후방으로 치우치도록 절곡되어 형성됨으로써 스토퍼(460)의 전단과 상단의 대각선 지점이 스토퍼지지부(500)에 맞닿아 지지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설치부의 타단을 후방으로 치우쳐지도록 절곡함으로써 설치부의 일단과 타단은 상호 예각을 이루게 되고 그에 따라 스토퍼는 자연스럽게 전단과 상단의 대각선 지점이 스토퍼지지부(500)에 맞닿아 지지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힌지브라켓(100), 제2힌지브라켓(200) 및 와이어프레임(300)은 시트의 양측으로 각각 배치된 한 쌍으로 구성되되, 한 쌍의 와이어프레임(300)은 중단 및 후단에서 쿠션 하방을 가로지르는 보조프레임(600,700)에 의해 상호 연결됨으로써 뒤틀림이나 변형을 방지하여 쿠션의 안전한 지지력을 확보하고 폴팅기능의 고장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시트쿠션 폴딩장치에 따르면, 쿠션의 폴딩을 두 단계로 나누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전후방의 충돌에 모두 로킹이 유지되고, 더욱이 전방 충돌시 관성에 의한 쿠션 들림을 방지하여 충돌시 안전하게 쿠션이 제자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제1힌지브라켓 200 : 제2힌지브라켓
300 : 와이어프레임 400 : 쿠션고정부
460 : 스토퍼 500 : 스토퍼지지부

Claims (10)

  1. 차량 플로어에 고정된 제1힌지브라켓(100);
    차량 쿠션의 후단부 하단에 고정된 제2힌지브라켓(200);
    전단이 제1힌지브라켓(100)에 연결되고 후단이 제2힌지브라켓(200)에 연결된 와이어프레임(300);
    쿠션의 전단부 하단에 고정되며 전방으로 돌출된 스토퍼(460)가 형성된 쿠션고정부(400); 및
    하단이 플로어에 고정되고 상단이 연장되어 스토퍼(460)의 전단을 지지함으로써 차량의 충돌시 스토퍼(460)의 이탈을 저지하는 스토퍼지지부(500)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지지부(500) 또는 스토퍼(460)는 탄성이 구비됨으로써 스토퍼(460)가 억지끼움방식으로 스토퍼지지부(500)를 타고 넘어가 이탈 또는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쿠션 폴딩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쿠션은 제2힌지브라켓(200)을 기준으로 후방으로 틸팅되고 제1힌지브라켓(100)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쿠션 폴딩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지지부(500)는 하단이 제1힌지브라켓(100)에 고정되고 상단이 상방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쿠션 폴딩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지지부(500)의 상단은 스토퍼(460)의 전단과 상단의 대각선 지점에서 스토퍼(460)에 맞닿아 스토퍼(460)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쿠션 폴딩장치.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460)는 중공이 형성된 반구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쿠션 폴딩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쿠션고정부(400)는 일단(422)이 쿠션의 전단부 하단에 고정되고 타단(424)이 하방으로 연장된 설치부(420) 및 설치부(420)의 전면에 형성된 스토퍼(46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쿠션 폴딩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420)는 타단(424)이 후방으로 치우치도록 절곡되어 형성됨으로써 스토퍼(460)의 전단과 상단의 대각선 지점이 스토퍼지지부(500)에 맞닿아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쿠션 폴딩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힌지브라켓(100), 제2힌지브라켓(200) 및 와이어프레임(300)은 시트의 양측으로 각각 배치된 한 쌍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쿠션 폴딩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와이어프레임(300)은 중단 및 후단에서 쿠션 하방을 가로지르는 보조프레임(600,700)에 의해 상호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쿠션 폴딩장치.
KR1020120136420A 2012-11-28 2012-11-28 시트쿠션 폴딩장치 KR1013935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6420A KR101393500B1 (ko) 2012-11-28 2012-11-28 시트쿠션 폴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6420A KR101393500B1 (ko) 2012-11-28 2012-11-28 시트쿠션 폴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3500B1 true KR101393500B1 (ko) 2014-05-12

Family

ID=50893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6420A KR101393500B1 (ko) 2012-11-28 2012-11-28 시트쿠션 폴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350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6106A (ko) * 2000-08-24 2002-03-04 이계안 자동차용 리어시트쿠션의 전방 이동 락킹장치
JP2004098777A (ja) * 2002-09-06 2004-04-02 T S Tec Kk 自動車用折畳み式シート
KR20050103630A (ko) * 2004-04-27 2005-11-0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트의 더블폴딩 고정을 위한 록킹기구
US7086696B2 (en) 2004-12-29 2006-08-08 Ts Tech Co., Ltd. Vehicle sea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6106A (ko) * 2000-08-24 2002-03-04 이계안 자동차용 리어시트쿠션의 전방 이동 락킹장치
JP2004098777A (ja) * 2002-09-06 2004-04-02 T S Tec Kk 自動車用折畳み式シート
KR20050103630A (ko) * 2004-04-27 2005-11-0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트의 더블폴딩 고정을 위한 록킹기구
US7086696B2 (en) 2004-12-29 2006-08-08 Ts Tech Co., Ltd. Vehicle sea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61079B1 (en) Active headrest apparatus for vehicle seat
JP2008143498A (ja) アクティブヘッドレストの高さ保持装置
JP6660587B2 (ja) 車両の下部構造
KR100568980B1 (ko) 차량의 시트 폴딩 장치
JP2013226860A (ja) 車両のシート装置
KR101393500B1 (ko) 시트쿠션 폴딩장치
JP2007030583A (ja) シート
JP2000201767A (ja) 車両用ヒンジ付きシ―トのシ―トバック構造
JP4969855B2 (ja) ヒンジ機構
JP5004009B2 (ja) 車両の荷室構造
JP5920982B2 (ja) 車両用シート
JP2000316663A (ja) 車両用シート
JP2013154772A (ja) シート装置
JP5228514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KR101534529B1 (ko) 차량용 암레스트 어셈블리
KR102457601B1 (ko) 리클라이너의 리턴 스프링 충격 저감 구조
JP6620982B2 (ja) シートの回転規制構造
JP2730288B2 (ja) リヤシートのヘッドレスト取付構造
JP7190801B2 (ja) シート構造
JP6207323B2 (ja) 車両用シート
JP7393629B2 (ja) 乗物用シート
JP2012192803A (ja) 車両用シート
KR101827388B1 (ko) 차량용 배리어 네트의 결합 구조
JP6646889B2 (ja) 車両の下部構造
JP6111471B2 (ja) 乗物用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