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4529B1 - 차량용 암레스트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차량용 암레스트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4529B1
KR101534529B1 KR1020130159794A KR20130159794A KR101534529B1 KR 101534529 B1 KR101534529 B1 KR 101534529B1 KR 1020130159794 A KR1020130159794 A KR 1020130159794A KR 20130159794 A KR20130159794 A KR 20130159794A KR 101534529 B1 KR101534529 B1 KR 1015345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pin
locker
armrest
hinge shaft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9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2547A (ko
Inventor
지평재
Original Assignee
한일이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일이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일이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9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4529B1/ko
Publication of KR20150072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25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4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45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63Arm-rests adjustable
    • B60N2/767Angle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53Arm-rests movable to an inoperative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919Positioning and locking mechanisms
    • B60N2002/952Positioning and loc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locking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4Frontal colli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용 암레스트 어셈블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 1 힌지축 및 가이드핀을 구비하는 암레스트; 상기 암레스트가 상기 제 1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제 1 가이드핀이 체결되는 가이드홀을 구비하되, 상기 가이드홀은 상기 제 1 힌지축을 중심으로 한 상기 제 1 가이드핀의 이동궤적을 따라 원호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장착프레임; 및 상기 장착프레임에 제 2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핀에 걸림 결합되는 걸림고리를 구비하되, 상기 제 2 힌지축으로부터 편심된 무게중심을 가지고, 전방 추돌시 관성력에 의해 상기 제 2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상기 가이드핀을 구속하는, 락커;를 포함하는 차량용 암레스트 어셈블리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암레스트 어셈블리 {ARM REST ASSEMBLY FOR VEC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암레스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시트의 측부 등에 마련되어 승객의 팔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암레스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시트에는 승객이 팔 등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암레스트(arm rest)가 구비되고 있다. 이와 같은 암레스트는 불사용시 후방으로 젖힘 가능하도록 통상 회동 가능한 구조로 시트 등에 장착되게 되는데, 회동 가능한 구조로 인해 사용상 불편함이나 추돌시 안전사고를 일으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차량용 암레스트의 문제점을 보여주는 개략도로서, 이를 참고하면, 암레스트(A)는 회동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기 때문에 전방 추돌시 의도치 않게 전방으로 회동 및 돌출되어 승객에게 상해를 입힐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문제는 대부분 암레스트(A)를 후방으로 젖혀둔 상태로 사용하게 되는 후방 시트나 2열 시트의 경우에 더욱 빈번하게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전방 충돌시 관성력에 의한 암레스트의 전방 회동이나 돌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암레스트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 1 힌지축 및 가이드핀을 구비하는 암레스트; 상기 암레스트가 상기 제 1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제 1 가이드핀이 체결되는 가이드홀을 구비하되, 상기 가이드홀은 상기 제 1 힌지축을 중심으로 한 상기 제 1 가이드핀의 이동궤적을 따라 원호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장착프레임; 및 상기 장착프레임에 제 2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핀에 걸림 결합되는 걸림고리를 구비하되, 상기 제 2 힌지축으로부터 편심된 무게중심을 가지고, 전방 추돌시 관성력에 의해 상기 제 2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상기 가이드핀을 구속하는, 락커;를 포함하는 차량용 암레스트 어셈블리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암레스트 어셈블리는, 전방 추돌시 후방에 젖혀져 있던 암레스트가 급작스레 전방으로 회동되거나 돌출되어 승객 등에게 상해를 입히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암레스트 어셈블리는, 락커의 추가 등 일부 구성의 추가 및 보완을 통해 기존의 차량용 시트나 암레스트 등에도 쉽게 적용이 가능하며, 협소한 장착 공간 내에서도 충분히 구현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차량용 암레스트의 문제점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암레스트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차량용 암레스트 어셈블리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 및 3에 도시된 차량용 암레스트 어셈블리의 작동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알려둔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 불필요하게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기술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암레스트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차량용 암레스트 어셈블리의 측면도이다.
도 2 및 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따른 차량용 암레스트 어셈블리(이하, '암레스트 어셈블리(100)'로 지칭함)는, 승객의 팔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차량 시트의 측부 등에 배치되는 암레스트(arm rest, 110)와, 암레스트(110)를 장착 지지하기 위한 장착프레임(1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암레스트(110)는 승객이 팔 등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소정 넓이를 가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암레스트(110)의 형상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종래 공지된 암레스트 등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암레스트(110)는 하단에 제 1 힌지축(111)을 구비할 수 있다. 제 1 힌지축(111)은 후술할 장착프레임(120)에 체결되어 암레스트(110)의 회동 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즉, 암레스트(110)는 제 1 힌지축(11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프레임(120)에 체결될 수 있다. 암레스트(110)는 기본적으로 제 1 힌지축(111)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으며, 제 1 힌지축(111)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동되어 승객의 팔 등을 거치할 수 있게 하거나, 불사용시 후방으로 젖혀진 상태(즉, 도 2에 도시된 상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암레스트(110)는 제 1 힌지축(111)과 소정간격 이격 배치된 가이드핀(112)을 구비할 수 있다. 가이드핀(112)은 암레스트(110)의 회동 동작을 가이드하는 한편, 후술할 락커(130)와의 걸림 결합을 통해 의도치 않은 암레스트(110)의 회동을 방지하게 된다. 이에 대하여는 락커(130)와 관련하여 부연키로 한다.
한편, 장착프레임(120)은 시트백 프레임 등에 고정 설치되어 암레스트(110)가 차량 시트의 일측에 장착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장착프레임(120)은 암레스트(110)에 마련된 제 1 힌지축(111)과 체결되어 암레스트(110)를 장착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암레스트(110)는 제 1 힌지축(11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프레임(120)에 체결되게 된다.
또한, 장착프레임(120)은 가이드홀(121)을 구비할 수 있다. 가이드홀(121)은 암레스트(110)가 체결된 제 1 힌지축(111)을 중심으로 원호 형태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는, 가이드홀(121)은 암레스트(110)가 제 1 힌지축(111)을 중심으로 회동시 가이드핀(112)이 이동되는 이동궤적을 따라 소정정도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이드홀(121)은 암레스트(110)에 마련된 가이드핀(112)과 체결될 수 있으며, 가이드핀(112)은 가이드홀(121)을 관통하여 일부가 가이드홀(121) 외측(즉, 장착프레임(120)의 측부)로 노출되게 된다. 따라서 가이드홀(121)은 제 1 힌지축(111)을 중심으로 한 가이드핀(112)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한편, 일부 노출된 가이드핀(112)이 후술할 락커(130)와 걸림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암레스트 어셈블리(100)는, 장착프레임(120)에 제 2 힌지축(13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락커(13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 2 힌지축(131)을 암레스트(110)가 회동되는 제 1 힌지축(111)과 구분되며, 제 1 힌지축(111)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 2 힌지축(131)은 제 1 힌지축(111)을 중심으로 원호 형태로 형성된 가이드홀(121)의 하단 인근에 형성될 수 있다. 락커(130)는 힌지홀(131a)을 구비하고 힌지핀(131b)에 의해 장착프레임(120)에 체결되어 이와 같은 제 2 힌지축(13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락커(130)는 상단에 걸림고리(132)를 구비할 수 있다. 걸림고리(132)는 걸림홈(132a)을 구비한 후크나 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가이드홀(121) 외측으로 노출된 가이드핀(112) 단부에 걸림 결합될 수 있다. 즉, 락커(130)가 제 2 힌지축(131)을 중심으로 회동되면, 걸림고리(132)은 가이드핀(112) 단부에 걸림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락커(130)는 제 2 힌지축(131)에서 편심된 무게중심(133)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락커(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힌지축(131)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무게중심(133)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편심된 무게중심(133)은 전방 추돌시 락커(130)가 제 2 힌지축(131)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하면, 도 4와 같은 상태에서 전방 추돌이 일어나게 되면, 락커(130)는 편심된 무게중심(133)으로 인해 제 2 힌지축(131)을 중심으로 시계방향 회동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락커(130)의 시계방향 회전은 락커(130) 상단에 마련된 걸림고리(132)과 가이드핀(112)의 걸림 결합을 유발하게 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도 3의 시계 방향을 '제 1 방향'으로, 반시계 방향을 '제 2 방향'으로 지칭하기로 한다. 상기의 제 1 방향은 걸림고리(132)이 가이드핀(112)과 걸림 결합되는 방향을 의미하며, 제 2 방향은 그 반대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락커(130)는 전방 추돌시 관성력 및 편심된 무게중심(133)에 의해 제 1 방향으로 회동되어 가이드핀(112)과 걸림 결합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암레스트 어셈블리(100)는 스토퍼(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140)는 락커(130)의 일측에 접촉되어 락커(130)의 제 2 방향으로의 회동을 제한하게 된다. 이와 같은 스토퍼(140)는 락커(130)의 걸림고리(132)이 가이드핀(112)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하여, 걸림 결합을 위한 락커(130)의 회동 거리를 최소화하는 의미가 있다. 즉,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일반적인 상태에서 걸림고리(132)은 스토퍼(140)로 인해 항상 가이드핀(112)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전방 추돌 등의 경우 짧은 회동 거리를 가지고 신속하게 가이드핀(112)과 결합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스토퍼(140)는 락커(130)를 제 2 방향으로 회동 제한하게 되는바, 락커(130)의 무게중심(133)을 제 2 힌지축(131)의 전방(즉, 도 3의 좌측)에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락커(130)의 무게중심(133)을 제 2 힌지축(131)의 하부측 전방에 형성하게 되면, 락커(130)는 무게중심(133)에 의해 제 2 방향으로 회동되려는 힘을 받게 되는데, 이를 스토퍼(140)를 통해 제한함으로써, 무게중심(133)을 제 2 힌지축(131)의 하부측 전방에 둘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제 2 힌지축(131)의 하부 측 전방에 배치된 무게중심(133)은 전방 추돌시 락커(130)에 작용되는 관성력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신속한 락커(130)의 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도 4는 도 2 및 3에 도시된 차량용 암레스트 어셈블리의 작동도이다.
도 4의 (a)는 암레스트(110)가 후방으로 젖혀진 통상적인 사용 상태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암레스트 어셈블리(100)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를 '노멀 상태'로 지칭하기로 한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멀 상태에서 가이드핀(112)은 가이드홀(121)의 하단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락커(130)의 걸림고리(132)는 가이드핀(112)과 인접하게 배치되되 가이드핀(112)과 결합 해제된 상태에 있게 된다. 락커(130)의 무게중심(133)이 제 2 힌지축(131) 하부 측 전방에 배치된 경우, 락커(130)의 제 2 방향으로의 회동은 스토퍼(140)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즉, 락커(130)는 스토퍼(140)에 의해 접촉 지지되어 가이드핀(112)과 인접한 위치에 대기 상태로 배치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노멀 상태에서, 암레스트(110)는 필요에 따라 제 1 힌지축(111)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암레스트(110)를 전방으로 회동시켜 팔 등을 거치하는데 사용할 수 있으며, 락커(130) 등은 통상적인 암레스트(110)의 사용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암레스트(110)를 전방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암레스트(110)에 마련된 가이드핀(112)이 가이드홀(121)을 따라 이동되어 가이드홀(121) 상단 위치로 이동될 수 있으며, 락커(130)는 가이드핀(112)과 결합 해제된 상태에 있으므로, 이와 같은 가이드핀(112)의 이동을 제한하지 않게 된다.
한편, 도 4의 (b)는 상기와 같은 노멀 상태(즉, 도 4의 (a)와 같은 상태)에서 전방 추돌이 발생된 경우 암레스트 어셈블리(100)의 작동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암레스트(110)가 후방으로 젖혀진 상태에서 전방 추돌이 발생되면, 락커(130)는 추돌시 발생되는 관성력에 의해 제 2 힌지축(131)을 중심으로 제 1 방향 회동되게 된다. 이와 같은 락커(130)의 회동은 락커(130)의 하부 측 또는 하부 측 전방에 배치되어 제 2 힌지축(131)으로부터 편심된 무게중심(133)에 의해 이뤄질 수 있다.
락커(130)가 제 1 방향으로 회동되면, 락커(130) 상단에 마련된 걸림고리(132)는 암레스트(110)의 가이드핀(112)과 걸림 결합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걸림고리(132)와 가이드핀(112) 간의 결합에 의해 관성력에 의한 가이드핀(112)의 이동 또는 암레스트(110)의 회동이 구속되게 된다. 즉, 전방 추돌시 관성력은 암레스트(110)에도 작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암레스트(110)는 제 1 힌지축(111)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동되려는 관성력을 받게 된다. 이때, 암레스트(110)의 회동에 앞서 락커(130)의 걸림고리(132)가 가이드핀(112)에 걸림 결합되게 되면, 가이드핀(112)의 이동이나 암레스트(110)의 회동이 락커(130)에 의해 구속 제한되게 되며, 이로 인해, 의도치 않은 암레스트(110)의 회동이나 전방 돌출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암레스트 어셈블리(100)는 전방 추돌시 후방에 젖혀져 있던 암레스트(110)가 급작스레 전방으로 회동되거나 돌출되어 승객 등에게 상해를 입히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 따른 암레스트 어셈블리(100)는 락커(130)의 추가 등 일부 구성의 추가 및 보완을 통해 기존의 차량용 시트나 암레스트 등에도 쉽게 적용이 가능하며, 협소한 장착 공간 내에서도 충분히 구현 가능한 이점이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차량용 암레스트 어셈블리 110: 암레스트
111: 제 1 힌지축 112: 가이드핀
120: 장착프레임 121: 가이드홀
130: 락커 131: 제 2 힌지축
132: 걸림고리 133: 무게중심
140: 스토퍼

Claims (5)

  1. 제 1 힌지축(111) 및 가이드핀(112)을 구비하는 암레스트(110);
    상기 암레스트(110)가 상기 제 1 힌지축(11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핀(112)이 체결되는 가이드홀(121)을 구비하되, 상기 가이드홀(121)은 상기 제 1 힌지축(111)을 중심으로 한 상기 가이드핀(112)의 이동궤적을 따라 원호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장착프레임(120); 및
    상기 장착프레임(120)에 제 2 힌지축(13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핀(112)에 걸림 결합되는 걸림고리(132)를 구비하되, 상기 제 2 힌지축(131)으로부터 편심된 무게중심(133)을 가지고, 전방 추돌시 관성력에 의해 상기 제 2 힌지축(131)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상기 가이드핀(112)을 구속하는, 락커(130);를 포함하는 차량용 암레스트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락커(130)는,
    상기 제 2 힌지축(131)으로부터 하부 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상기 무게중심(133)이 형성되는, 차량용 암레스트 어셈블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락커(130)는,
    상기 관성력이 작용되지 않는 노멀 상태에서, 상기 걸림고리(132)가 상기 가이드핀(112)과 결합 해제된 상태로 배치되며,
    상기 관성력에 의해 상기 제 2 힌지축(131)을 중심으로 제 1 방향 회동되어 상기 걸림고리(132)와 상기 가이드핀(112)이 걸림 결합되는, 차량용 암레스트 어셈블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락커(130)의 제 2 방향으로의 회동을 제한하는 스토퍼(14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 2 방향은 상기 제 1 방향의 반대방향을 지칭하며,
    상기 스토퍼(140)는, 상기 노멀 상태에서 상기 걸림고리(132)가 상기 가이드핀(112)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락커(130)의 상기 제 2 방향으로의 회동을 제한하는, 차량용 암레스트 어셈블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락커(130)는,
    상기 제 2 힌지축(131)으로부터 하부 측 전방으로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상기 무게중심(133)이 형성되며,
    상기 노멀 상태에서, 상기 스토퍼(140)에 의해 상기 제 2 방향으로의 회동이 접촉 지지되는, 차량용 암레스트 어셈블리.
KR1020130159794A 2013-12-20 2013-12-20 차량용 암레스트 어셈블리 KR1015345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9794A KR101534529B1 (ko) 2013-12-20 2013-12-20 차량용 암레스트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9794A KR101534529B1 (ko) 2013-12-20 2013-12-20 차량용 암레스트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2547A KR20150072547A (ko) 2015-06-30
KR101534529B1 true KR101534529B1 (ko) 2015-07-09

Family

ID=53518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9794A KR101534529B1 (ko) 2013-12-20 2013-12-20 차량용 암레스트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45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91904B2 (en) * 2016-09-08 2019-08-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ertia latch for a vehicle armrest using a spring loaded cam
KR102409216B1 (ko) * 2016-10-26 2022-06-16 주식회사 다스 각도 유지 및 조절형 암레스트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1278A (ja) * 1993-10-01 1995-04-18 Tachi S Co Ltd 車両用シート
JP2005287724A (ja) * 2004-03-31 2005-10-20 T S Tec Kk 車両用シートのアームレスト
JP2006271643A (ja) * 2005-03-29 2006-10-12 T S Tec Kk 車両用シートのアームレスト
KR20100069739A (ko) * 2008-12-17 2010-06-2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수납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1278A (ja) * 1993-10-01 1995-04-18 Tachi S Co Ltd 車両用シート
JP2005287724A (ja) * 2004-03-31 2005-10-20 T S Tec Kk 車両用シートのアームレスト
JP2006271643A (ja) * 2005-03-29 2006-10-12 T S Tec Kk 車両用シートのアームレスト
KR20100069739A (ko) * 2008-12-17 2010-06-2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수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2547A (ko) 2015-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60530B2 (ja) 車両用シート
US20120261964A1 (en) Vehicle seat
JP2012176166A (ja) 車両用ランバーサポート付きシートバックの構造
JP5707817B2 (ja) 車両用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2017087930A (ja) シートロック装置
US9469225B1 (en) Center armrest inertial lock
KR101534529B1 (ko) 차량용 암레스트 어셈블리
JP3936166B2 (ja) 車両用シート構造
US6786552B2 (en) Catch hook for a backrest adjustment armature in the seats of motor vehicles
JP6096603B2 (ja)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JP2011105239A (ja) 車両用シート
JP4451549B2 (ja) 座席用テーブル
JP5598675B2 (ja) 車両用シート
JP6430216B2 (ja) 車両用シート
JP2008528076A5 (ko)
JP2018149819A (ja) 乗物用シート
JP6096602B2 (ja)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JP6012561B2 (ja) シートベルトバックル装置およびシートベルト装置
KR102361529B1 (ko) 관성 액티브 헤드레스트
JP4688212B2 (ja) 車両用シートのシートバック構造
JP2015065990A (ja) 操作レバー構造及び車両用シート
KR20180024800A (ko) 자동차의 암레스트 장치
JP5387112B2 (ja) アクティブヘッドレスト
JP5071074B2 (ja) 車両用シートのヘッドレスト
JPH0424129A (ja) 自動車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