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7388B1 - 차량용 배리어 네트의 결합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배리어 네트의 결합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27388B1 KR101827388B1 KR1020160115728A KR20160115728A KR101827388B1 KR 101827388 B1 KR101827388 B1 KR 101827388B1 KR 1020160115728 A KR1020160115728 A KR 1020160115728A KR 20160115728 A KR20160115728 A KR 20160115728A KR 101827388 B1 KR101827388 B1 KR 10182738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ok
- bracket
- support
- vehicle
- ho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6—Safety nets, transparent sheets, curtains, or the like, e.g. between occupants and glas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60R5/04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 B60R5/045—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collapsible or transformab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28—Ceiling, e.g. roof rai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배리어 네트 결합 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단에 걸림부가 돌출 형성되는 후크와, 실내 천정에 고정되는 결합브래킷과, 결합브래킷의 측면에 고정되는 지지브래킷과, 결합브래킷의 밑면과 후크의 외주면에 각각 구비되어 차량의 충격 발생시 충격을 저감시키기 위한 충격 저감부를 포함하되, 충격 저감부는, 충격 저감부는, 걸림홀의 가장자리에서 아래쪽으로 돌출 형성되되, 후크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지지돌기로 구성됨으로써, 차량의 전방 충돌이나 급정시 러기지룸 내 수화물이 승객석으로 쏠림이 발생할 때, 배리어 네트는 실내 천정에 결합하는 후크도 화물에 의해 회전작용이 발생하려는 것을 충격저감부에 의해 저지됨으로써, 결합브래킷에 결합된 후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수화물 및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배리어 네트의 결합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적재공간의 화물이 승객실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배리어 네트의 지지부재를 접을 수 있도록 하여 편의성을 추구할 수 있는 차량용 배리어 네트의 결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화물칸과 승객실이 개방되어 있는 밴형 차량이나 RV 차량은 화물칸의 용적이 크고 필요에 따라 그 용적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레저용으로 많이 구입하고 있는데, 이러한 밴형 차량에 대하여 국가들마다 안전법규상을 정하여 일정 기준이상의 설치를 갖추도록 함으로써, 화물칸에 적재된 화물로 인하여 승객의 피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자동차가 일정속도로 주행하다 급정거나 충돌시 화물칸의 화물이 관성에 의하여 승객실로 넘어오지 않도록 화물의 이동을 차단하기 위한 배리어 네트가 제안되었다.
이러한 종래의 배리어 네트는 그물망으로 이루어지는 네트와, 네트의 상하부에 마련되는 상부 및 하부 홀딩바와, 상부 홀딩바를 차량의 실내 천정의 트림에 고정시키는 고정브래킷과, 하부 홀딩바에 결합되어 배리어 네트를 자동차의 실내 바닥에 고정시키는 연결밸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배리어 네트는 상부 홀딩바가 고정브래킷에 의해 실내 천정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고정브래킷은 천정에 결합되면서 천정과 그 사이에 설치공간을 형성하는 메인브래킷과, 메인 브래킷의 측면에서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며 상부 홀딩바의 상단을 지지하기 위한 보조 브래킷으로 구성된다.
메인 브래킷은 윗면과 차량 실내 천정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사방 가장자리가 상측을 향해 절곡된 형상으로 사방 가장자리가 천정에 밀착되어 결합된다. 메인 브래킷은 상부 홀딩바의 상단의 걸림부가 관통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고, 이 관통홀에 연결되어 상부 홀딩바가 이동되어 상부 홀딩부의 걸림부가 걸림되는 걸림홀이 형성된다. 즉, 상부홀딩바의 걸림부가 관통홀을 통해 끼워진 후에 걸림홀로 이동되어 걸리도록 걸림홀이 관통홀보다 작게 형성된다.
메인 브래킷의 측면부에는 보조 브래킷이 고정되되, 보조 브래킷이 바닥면 사이에 공간를 갖도록 바닥면에서 이격되어 구성된다. 즉, 보조 브래킷은 판부재로서 메인브래킷의 바닥면에 대해 같은 수평으로 설치되어 상부 홀딩바의 걸림부가 메인브래킷의 바닥면과 보조브래킷의 밑면 사이에서 걸리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배리어 네트 결합 구조에 의하면, 차량의 충돌이나 급제동으로 인하여 차량에 충격이 발생시 상부 홀딩바의 하부가 차량의 전방 쪽으로 회전되었다가 후방 쪽으로 반동되는 작용에 의해 후크가 관통홀을 통해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천정에 고정되는 고정브래킷과 배리어 네트에 결합된 상부 홀딩바에 차량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구조를 구성함으로써, 차량의 급제동이나 충돌로 인한 충격 발생시 배리어 네트가 분리되어 탑승석으로 화물이 침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배리어 네트의 결합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배리어 네트의 상측에 연결된 상부 홀딩바에 연결되고, 상단에 걸림부가 링 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후크와, 차량 실내 천정과의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하면서 실내 천정에 고정되는 결합브래킷와, 결합브래킷의 측면에 고정되되, 결합브래킷의 바닥면과의 사이에 공간이 구비되는 지지브래킷과, 결합브래킷의 밑면과 후크의 외주면에 각각 구비되어 차량의 충격 발생시 충격을 저감시키기 위한 충격 저감부를 포함하되, 충격 저감부는, 걸림홀의 가장자리에서 아래쪽으로 돌출 형성되되, 후크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지지돌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지지돌기는, 상단에서 하단까지 후크의 외주면에 완전히 밀착되도록 후크와 동일한 경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돌기는, 후크를 향하는 면이 후크의 외주면에 완전히 밀착되도록 봉 형상으로 형성되는 후크의 외주면과 동일한 곡률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충격저감부는, 후크의 설치 경사보다 작은 경사로 형성될 때, 지지돌기의 하단이 걸쳐지도록 지지하기 위하여 후크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지지홈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홈은, 지지돌기의 하단을 지지하면서 지지돌기의 측면이 후크에 밀착되도록 지지홈의 측면부가 지지돌기와 같은 경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전방 충돌이나 급정시 러기지룸 내 수화물이 승객석으로 쏠림이 발생할 때, 배리어 네트는 실내 천정에 결합하는 후크도 화물에 의해 회전작용이 발생하려는 것을 충격저감부에 의해 저지됨으로써, 결합브래킷에 결합된 후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수화물 및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통상적인 배리어 네트가 설치된 차량의 실내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리어 네트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배리어 네트 결합 구조에서 충격저감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2의 배리어 네트 결합 구조에서 충격저감부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2의 배리어 네트 결합 구조에서 결합브래킷의 배면을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리어 네트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배리어 네트 결합 구조에서 충격저감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2의 배리어 네트 결합 구조에서 충격저감부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2의 배리어 네트 결합 구조에서 결합브래킷의 배면을 도시한 평면도.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통상적인 배리어 네트가 설치된 차량의 실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리어 네트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배리어 네트 결합 구조에서 충격저감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배리어 네트 결합 구조에서 충격저감부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2의 배리어 네트 결합 구조에서 결합브래킷의 배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먼저, 통상의 배리어 네트(1)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그물망으로 이루어지는 네트(10)와, 네트(10)의 상하부에 마련되는 상부 및 하부 홀딩바(20)(30)와, 상부 홀딩바(20)를 차량의 실내 천정의 트림에 고정시키는 고정브래킷(110)과, 하부 홀딩바(30)에 결합되어 배리어 네트(1)를 자동차의 실내 바닥에 고정시키는 연결밸트(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부 홀딩바(20)의 양측 단부에는 배리어 네트(1)를 차량의 실내 천정에 고정된 고정브래킷(11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후크(21)가 결합되어 있다.
후크(21)의 상단에는 후크(21)를 차량 천정에 고정된 고정브래킷(110)에 걸어 고정하기 위한 걸림부(21a)가 형성된다. 이 걸림부(21a)는 상부 홀딩바(20)의 상단에 고정되며 상단 가장자리에서 돌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리어 네트 결합 구조는, 배리어 네트(1)의 상단부에 결합된 상부 홀딩바(20)의 후크(21)를 차량의 실내에 결합하기 위해 실내 천정에 고정되는 고정브래킷(110)과, 고정브래킷(110)에 결합되는 상부 홀딩바(20)의 외주면과 고정브래킷(110)에 구비되어 차량의 충격발생시 충격을 흡수하여 저감시키기 위한 충격 저감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고정브래킷(110)은 상부가 개구되는 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상단부 가장자리가 외측으로 절곡된 후에, 절곡된 부분이 실내 천정에 밀착되어 고정되며 천정과의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하는 결합브래킷(120)과, 결합브래킷(120)의 측면에서 수평으로 고정되어 결합브래킷(120)의 바닥면과의 사이에 지지공간을 형성하는 지지브래킷(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결합브래킷(120)의 바닥면에는 후크(21)의 걸림부(21a)까지 관통되는 관통홀(121)이 형성되고, 이 관통홀(121)에서 이격되어 형성되고 후크(21)의 걸림부(21a)가 걸리는 걸림홀(122)이 형성된다. 즉, 걸림홀(122)은 관통홀(121)보다 그 직경이 작게 형성되며, 관통홀(121)에 연결되며 관통홀(121)에 끼워지는 후크(21)가 걸림홀(122)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관통홀(121)과 걸림홀(122) 사이에는 후크의 외경보다 크고, 걸림부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연결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걸림홀(122)과 연결부 사이에는 걸림홀(122)에 끼워진 후크가 차량의 후방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걸림돌부가 형성된다. 즉, 연결부와 걸림홀(122)이 꺾인 형태 예로서, 'L'자 형태로 형성되어 관통홀(121)을 통해 끼워진 후크(21)가 연결부를 따라 걸림홀(122)로 이동된 후에 걸림돌부에 걸려서 걸림홀(122)에서 관통홀(121) 쪽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지지브래킷(130)은 결합브래킷(120)의 측면에 고정되되, 결합브래킷(120)의 바닥면에서 위쪽으로 이격되어 구비되어 결합브래킷(120)의 걸림홀(122)에 끼워져 있는 후크(21)의 상단을 지지하게 된다.
지지브래킷(130)은 그 밑면에 돌출 형성되어 후크(21)를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하는 지지돌출부(131)를 더 구비한다. 지지돌출부(131)는 후크(20)가 일정경사로 기울어진 상태로 지지할 수 있도록 밑면이 경사진 상태로 형성된다. 즉, 지지돌출부(131)는 차량의 전방쪽으로 하측으로 더 돌출되어 형성된다.
충격 저감부(140)는 차량의 충돌이나 급제동으로 인하여 차량에 충격이 발생하여 차량이 전방으로 쏠릴 때 후크(21)가 결합브래킷(120)의 결합된 상단부를 힌지로 하여 전방으로 회전하려는 것을 방지하기 것으로, 후크(21)가 끼워진 걸림홀(122)의 가장자리 중 차량의 전방 쪽에서 아래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돌기(141)로 구성된다.
지지돌기(141)는 결합브래킷(120)에서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되, 결합브래킷(120)의 걸림홀(122)의 가장자리에서 아래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즉, 지지돌기(141)는 결합브래킷(120)의 걸림홀(122)을 형성할 때, 걸림홀(122)의 가장자리에 일체로 형성한 후에 하측으로 절곡시킨 것이다.
지지돌기(141)는 후크(21)의 외주면에 완전히 밀착된 상태가 되도록 후크(21)와 동일한 경사로 형성된다. 지지돌기(141)는 후크에 밀착되는 면이 원형의 봉으로 형성되는 후크(21)의 외주면과 동일한 곡률로 형성된다.
또한, 충격저감부(1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브래킷(120)의 걸림홀(122)의 가장자리 중 차량의 전방 쪽에서 아래쪽으로 절곡 형성되되, 걸림홀(122)에 끼워진 후크(21)보다 완만한 경사로 형성되는 지지돌기(141)와, 지지돌기(141)와 마주보는 후크(21)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지지돌기(141)의 하단을 걸쳐서 지지하는 지지홈(14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지지돌기(141)는 도 2에 도시된 지지돌기(141)와 같이 결합브래킷(120)의 걸림홀(122) 가장자리에 일체로 형성되되 걸림홀(122)의 형성시 결합브래킷(120)의 일부를 아래쪽으로 절곡시켜 형성하여 구성한다. 이 지지돌기(141)는 도 2에 도시된 지지돌기(141)와는 다르게 후크(21)의 외주면에 밀착되지 않도록 작은 각도의 경사로 형성된다.
지지홈(142)은 차량의 충돌시 지지돌기(141)가 후크(21)의 외주면을 따라 하측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효율을 상승시키기 위하여 지지돌기(141)의 하단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측단면이 대략 삼각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지지홈(142)은 지지돌기(141)의 하단이 지지홈(142)의 바닥면에 지지되도록 형성되고, 측면이 지지돌기(141)와 같은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지지돌기(141)의 측면이 지지홈(142)의 측면에 완전히 밀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리어 네트의 결합 구조에 대한 작용을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결합브래킷(120)의 측면에 지지브래킷(130)을 고정하되, 결합브래킷(120)의 바닥에 대해 상측으로 이격시켜 결합브래킷(120)의 바닥과 지지브래킷(13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렇게 결합브래킷(120)에 지지브래킷(130)이 고정되면, 이 결합브래킷(120)을 개구된 상부를 위쪽을 향하도록 한 후에 결합브래킷(120)을 차량의 실내 천정에 밀착시켜 고정한다.
이후에, 배리어 네트의 상단부에 구비된 상부 홀딩바의 양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후크(21)의 상단을 결합브래킷(120)의 관통홀(121)에 관통시킨 후에 후크(21)를 차량의 전방 쪽으로 밀어서 걸림홀(122)까지 이동시킨다.
그러면, 후크(21)의 상단에 돌출 형성된 걸림부(21a)가 걸림홀(122)의 가장자리 위쪽에 걸리면서 후크(21)의 상단 윗면이 지지브래킷(130)의 지지돌출부(131)에 지지된다.
이때, 후크(121)는 일정경사로 결합브래킷(120)에 결합된 후에, 결합브래킷(120)에 형성되는 충격저감부(140)인 지지돌기(141)에 의해 의해 지지되는 것이다. 또한, 이 지지돌기(141)는 그 하단이 후크(121)의 지지돌기(141)와 마주보는 측면에 형성된 지지홈(142)에 끼워져 지지됨으로써, 후크(121)의 결합을 완료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배리어 네트
10 : 네트
20 : 상부 홀딩바 21 : 후크
21a : 걸림부
30 : 하부 홀딩바
50 : 연결밸트
110 : 고정브래킷
120 : 결합브래킷 121 : 관통홀
122 : 걸림홀
130 : 지지브래킷 131 : 지지돌출부
140 : 충격저감부
141 : 지지돌기 142 : 지지홈
10 : 네트
20 : 상부 홀딩바 21 : 후크
21a : 걸림부
30 : 하부 홀딩바
50 : 연결밸트
110 : 고정브래킷
120 : 결합브래킷 121 : 관통홀
122 : 걸림홀
130 : 지지브래킷 131 : 지지돌출부
140 : 충격저감부
141 : 지지돌기 142 : 지지홈
Claims (5)
- 배리어 네트의 상측에 연결되는 상부 홀딩바의 양단부에 연결되고, 상단에 걸림부가 링 형태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후크;
바닥면에 걸림부가 관통되어 끼워지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관통홀에 연결되며 관통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걸림부가 걸리는 걸림홀이 형성되며 차량 실내 천정과의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하면서 실내 천정에 고정되는 결합브래킷;
결합브래킷의 측면에 고정되되, 결합브래킷의 바닥면과의 사이에 공간이 구비되는 지지브래킷;
결합브래킷의 밑면과 후크의 외주면에 각각 구비되어 차량의 충격 발생시 충격을 저감시키기 위한 충격 저감부;를 포함하되,
충격 저감부는,
걸림홀의 성형시 걸림홀의 가장자리에 일체로 형성되되, 하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차량의 전방 쪽의 후크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지지돌기와,
지지돌기의 하단이 걸쳐져서 지지되도록 후크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지지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리어 네트의 결합 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지지돌기는,
상단에서 하단까지 후크의 외주면에 완전히 밀착되도록 후크와 동일한 경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리어 네트의 결합 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지지돌기는,
후크를 향하는 면이 후크의 외주면에 완전히 밀착되도록 봉 형상으로 형성되는 후크의 외주면과 동일한 곡률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리어 네트의 결합 구조.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지지홈은,
지지돌기의 하단을 지지하면서 지지돌기의 측면이 후크에 밀착되도록 지지홈의 측면부가 지지돌기와 같은 경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리어 네트의 결합 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15728A KR101827388B1 (ko) | 2016-09-08 | 2016-09-08 | 차량용 배리어 네트의 결합 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15728A KR101827388B1 (ko) | 2016-09-08 | 2016-09-08 | 차량용 배리어 네트의 결합 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27388B1 true KR101827388B1 (ko) | 2018-03-22 |
Family
ID=61901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15728A KR101827388B1 (ko) | 2016-09-08 | 2016-09-08 | 차량용 배리어 네트의 결합 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27388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026047A (ja) * | 2002-06-26 | 2004-01-29 | Kasai Kogyo Co Ltd | セパレーションネットの張設構造 |
-
2016
- 2016-09-08 KR KR1020160115728A patent/KR10182738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026047A (ja) * | 2002-06-26 | 2004-01-29 | Kasai Kogyo Co Ltd | セパレーションネットの張設構造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471899B2 (en) | Device for suspending objects from a motor vehicle seat | |
US7866702B2 (en) | Energy absorbing seat anchor restraint system for child safety seats | |
US10160418B2 (en) | Front vehicle-body structure | |
JP5392283B2 (ja) | 車両用シート | |
GB2213780A (en) | Load-restraining safety screen for vehicle interior | |
AU2009230744B2 (en) | Vehicle Barrier Multi-Positional Assembly | |
JP6077466B2 (ja) | 車両にシートベルト用支持体を取り付けるための取付構造 | |
KR101827388B1 (ko) | 차량용 배리어 네트의 결합 구조 | |
JP2018039402A (ja) | 車両の車室内構造 | |
KR101827377B1 (ko) | 차량용 배리어 네트의 결합 구조 | |
JP2014505632A5 (ko) | ||
US6425628B1 (en) | Luggage restraining structure | |
JP4876828B2 (ja) | 自動車の側部車体構造 | |
US20130221697A1 (en) | Multi-functional cargo retention net | |
JP6270116B2 (ja) | 車両用の荷室フック構造 | |
JP6606207B2 (ja) | 自動車の車室用の安全デバイスおよび自動車の車室での安全デバイスの配置構造 | |
JP2010000913A (ja) | 車両のシートベルト取付構造 | |
KR101609517B1 (ko) | 자동차용 시트벨트 설치 구조 | |
WO2022202673A1 (ja) | 車両の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取付構造 | |
JP3231766U (ja) | 自動車乗員保護具 | |
JP2018184030A (ja) | カーテンエアバッグ用ジャンプ台 | |
JP3894402B2 (ja) | 車両用折り畳みシートの取付構造 | |
JP2006224865A (ja) | 自動車用シートの取付け構造 | |
US20070069555A1 (en) | Multi purpose seat back protecting panel | |
KR101393500B1 (ko) | 시트쿠션 폴딩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