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7601B1 - 리클라이너의 리턴 스프링 충격 저감 구조 - Google Patents

리클라이너의 리턴 스프링 충격 저감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7601B1
KR102457601B1 KR1020150167145A KR20150167145A KR102457601B1 KR 102457601 B1 KR102457601 B1 KR 102457601B1 KR 1020150167145 A KR1020150167145 A KR 1020150167145A KR 20150167145 A KR20150167145 A KR 20150167145A KR 102457601 B1 KR102457601 B1 KR 1024576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urn spring
hook
base
seatback
recl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7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1938A (ko
Inventor
이동만
오용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스
Priority to KR1020150167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7601B1/ko
Publication of KR20170061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19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7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76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cycloidal or planetary mechanisms
    • B60N2/225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cycloidal or planetary mechanisms provided with braking systems
    • B60N2/225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cycloidal or planetary mechanisms provided with braking systems with coiled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암플레이트를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해 탄력 지지하는 리턴 스프링이 구비되되, 리턴 스프링의 내측단부는 암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지지플레이트에 걸림되고, 외측단부는 시트백의 폴딩전에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베이스측 걸림후크의 걸림홈에 걸림되고, 시트백의 폴딩후에는 암플레이트의 암측 걸림후크의 걸림홈에 걸림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베이스측 걸림후크의 걸림홈과 암측 걸림후크의 걸림홈에는 시트백의 폴딩시나 원상 복귀시 리턴 스프링의 외측단부가 암측 걸림후크나 베이스측 걸림후크에 걸릴 때 걸림홈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충격 저감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암플레이트에 형성된 암측 걸림후크의 걸림홈의 양측부와 베이스 플레이트에 형성된 베이스용 걸림홈의 양측부 중 어느 일측부을 경사면으로 형성함으로써, 시트백의 폴딩시나 원상복귀시 리턴스프링의 외측단부가 걸림후크에 부딪힐 때 발생하는 충격을 저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리클라이너의 리턴 스프링 충격 저감 구조 {Structure For Decrease shock in Recliner Return Spring}
본 발명은 리클라이너의 리턴 스프링 충격 저감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트백의 폴딩시와 복귀시 시트백을 탄력 지지하는 리턴 스프링의 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 후크와 리클라이너 암에 형성되는 슬로프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리클라이너의 리턴 스프링 충격 저감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시트는 이동레일과 고정레일로 이루어진 시트레일을 매개로 플로어에 장착되어 있어 탑승자의 신체 조건에 맞추어 전후 방향으로 위치 조절하면서, 시트쿠션에 시트백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경사를 조절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즉, 차량용 시트는 시트백 프레임에 시트쿠션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며, 측면에 구비되는 리클라이너에 의해 경사가 조절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리클라이너는 운전석, 조수석이 있는 1열시트에 구비되는 것이 통상적이나 SUV 차량의 경우에는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2열시트를 접을 수 있도록 시트의 측부에 구비된다.
이와 같은 2열시트에 구비되는 리클라이너는 시트하측인 시트쿠션의 측부에 결합되는 베이스 브래킷과 시트백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리클라이너 암 사이에 구비되어 베이스 브래킷에 대해 리클라이너 암이 회전시키고 회전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리클라이너 암에는 시트백의 폴딩시 탄성력을 발생한 후에 시트백의 복귀시 탄성력이 작용되면서 시트백의 복원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시트백에 결합된 리클리아너 암을 베이스 브래킷에 대해 탄력 지지하는 리턴 스프링이 구비된다.
여기서, 리턴 스프링은 스파이럴 형태로 형성되며, 그 내측단부가 리클라이너 암에 결합되는 지지브래킷에 지지되고, 외측단부가 리클라이너 암의 측부에 돌출 형성되는 암측 걸림후크에 걸림되어 지지된다.
그리고, 베이스 브래킷에는 시트백의 폴딩시 리클라이너 암의 암측 걸림후크에 걸림되어 있던 리턴스프링의 외측단부를 걸림 지지하여 리턴스프링에서 탄성력이 작용되도록 하는 베이스측 걸림후크가 구비된다.
종래의 리클라이너에서 리턴 스프링은 시트백의 폴딩 전 그 외측단부가 베이스 브래킷의 베이스측 걸림후크에 걸려 있던 상태에서 시트백이 폴딩될 때 그 내측단부는 리클라이너 암과 함께 회전되지만 그 외측단부는 베이스측 걸림후크에 걸려 있는 상태에 있다가 시트백이 거의 완전히 폴딩되면 암측 걸림후크에 걸리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리클라이너를 갖는 시트백을 폴딩하거나 원복시킬 때 리턴 스프링의 외측단부가 암측 걸림후크와 베이스측 걸림후크에 부딪히는 충돌음을 발생하게 된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2011-0012897(2011.02.09)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리턴 스프링의 외측단부를 걸림 지지하는 베이스측 걸림후크와 암측 걸림후크에 충격 저감부를 형성함으로써, 시트백의 폴딩시와 시트백의 원복시 리턴 스프링이 걸림후크에 부딪히는 충격이 발생되는 것을 저감시키도록 한 리클라이너의 리턴 스프링 충격 저감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쿠션 프레임에 결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시트백에 결합되는 암플레이트 사이에 리클라이너가 결합되고, 암플레이트를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해 탄력 지지하는 리턴 스프링이 구비되되, 상기 리턴 스프링의 내측단부는 암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지지플레이트에 걸림되고, 외측단부는 시트백의 폴딩전에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베이스측 걸림후크의 걸림홈에 걸림되고, 시트백의 폴딩후에는 암플레이트의 암측 걸림후크의 걸림홈에 걸림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베이스측 걸림후크의 걸림홈과 암측 걸림후크의 걸림홈에는 시트백의 폴딩시나 원상 복귀시 리턴 스프링의 외측단부가 암측 걸림후크나 베이스측 걸림후크에 걸릴 때 걸림홈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충격 저감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충격 저감부는, 암측 걸림후크의 걸림홈의 양측부 중 일측부와, 상기 베이스측 걸림후크의 걸림홈의 일측부가 각각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측 걸림후크의 걸림홈에 형성되는 경사면은, 상기 암측 걸림후크의 걸림홈에 형성되는 경사면과 서로 반대쪽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경사면은,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경사면에 부딪히는 리턴 스프링의 외측단부가 천천히 미끄러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암플레이트에 형성된 암측 걸림후크의 걸림홈의 양측부와 베이스 플레이트에 형성된 베이스용 걸림홈의 양측부 중 어느 일측부을 경사면으로 형성함으로써, 시트백의 폴딩시나 원상복귀시 리턴스프링의 외측단부가 걸림후크에 부딪힐 때 발생하는 충격을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클라이너의 리턴 스프링 충격 저감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 정면도.
도 3은 도 1의 리턴 스프링 충격 저감 구조의 폴딩상태에서 원복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1의 리턴 스프링 충격 저감 구조의 시트백을 폴딩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클라이너의 리턴 스프링 충격 저감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리턴 스프링 충격 저감 구조의 폴딩상태에서 원복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리턴 스프링 충격 저감 구조의 시트백을 폴딩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먼저, 차량용 시트는 탑승자가 착석하는 시트쿠션과, 시트쿠션에 결합되어 탑승자의 등을 지지하는 시트백을 포함하되, 시트백의 경사를 조절하거나 시트백을 접을 수 있도록 시트쿠션에 대해 시트백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리클라이너(101)를 더 구비한다.
상기 리클라이너(101)는 시트쿠션에 시트백을 결합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리클라이너 암(110)과 베이스 플레이트(120) 사이에 구비된다. 그리고, 리클라이너 암(110)에는 시트백을 시트의 전방 쪽으로 폴딩할 때 시트백을 탄력 지지하여 시트백의 복원시 시트백의 하중을 경감시키기 위한 리턴 스프링(130)이 구비된다.
상기 리턴 스프링(130)은 스파이럴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내측단부(131)가 리클라이너 암(110)에 고정된 지지브래킷(111)에 걸림 지지되고, 그 외측단부(132)가 리클라이너 암(110)의 암측 걸림후크(112)나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베이스측 걸림후크(121)에 걸림 지지된다.
즉, 리턴 스프링(130)의 내측단부(131)는 그 중심을 향해 절곡되어 지지브래킷(111)에 걸려서 지지되도록 구성되고, 외측단부(132)는 베이스측 걸림후크(121)에 걸리도록 외측으로 절곡 형성된다.
여기서, 리클라이너 암(110)에 형성되는 암측 걸림후크(112)는 리클라이너 암(110)의 가장자리가 절곡 형성되는 절곡부에 형성되되, 절곡부에서 시트백의 측부를 향해 돌출 형성된다.
암측 걸림후크(112)는 그 상부에 리턴 스프링(130)의 외측단부(132)가 걸림되는 걸림홈(113)이 형성되고, 그 끝에는 걸림홈(113)에 걸린 리턴 스프링(130)의 외측단부(132)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턱부가 돌출 형성된다.
베이스측 걸림후크(121)는 쿠션 프레임에 결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20)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의 브래킷이 베이스 플레이트(120)에 고정되어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측 걸림후크(121)는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내측(시트백 쪽)에 결합되는 리클라이너 암(110)의 외측에 구비되되, 리클라이너 암(110)에 구비되는 암측 걸림후크(112)보다 외측에 구비된다.
베이스측 걸림후크(121)는 상부에 리턴 스프링(130)의 외측단부(132)가 걸림되는 걸림홈(122)이 형성되고, 그 끝에는 걸림홈(122)에 걸린 리턴 스프링(130)의 외측단부(132)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턱부가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암측 걸림후크(112)는 시트백이 폴딩 전의 상태 즉, 시트백이 수직 상태로 되어 있어 탑승자가 시트에 착석할 수 있는 상태일 때에는 베이스측 걸림후크(121) 보다 하측에 위치한다.
따라서, 시트백이 수직 상태에 있을 때 리턴 스프링(130)의 외측단부는 리턴 스프링(130)이 압축된 상태로 탄성력이 작용되어 베이스측 걸림후크(121)에 걸려 있다가 시트백의 폴딩시 리클라이너 암(110)가 베이스 플레이트(120)에 대해 회전되면 즉, 도 1에서 리클라이너 암(11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때, 리클라이너 암(110)의 암측 걸림후크(112)에 걸리게 된다.
한편, 상기 베이스측 걸림후크(121)의 걸림홈(122)과 상기 암측 걸림후크(112)의 걸림홈(113)에는 시트백의 폴딩될 때나 시트백이 원복될 때 리턴 스프링(130)의 외측단부(132)가 암측 걸림후크(112)나 베이스측 걸림후크(121)에 걸릴 때 걸림홈(113)(122)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키기 위한 충격 저감부(140)가 구비된다.
여기서, 충격 저감부(140)는 암측 걸림후크(112)의 걸림홈(113)의 양측 모서리 중 일측부와 베이스측 걸림후크(121)의 걸림홈(122)의 양측모서리 중 일측부가 각각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암측 걸림후크(112)의 걸림홈(113)에 형성된 경사면이 걸림홈(113)의 양측부 중 시트백을 향하는 쪽(턱부가 형성됨)에 형성되면, 상기 베이스측 걸림후크(121)의 걸림홈(122)에 형성된 경사면은 걸림홈(122)의 양측부 중 시트백의 반대쪽(외측을 향하는 쪽)에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에 접촉되는 리턴 스프링(130)의 외측단부(132)가 천천히 미끄러지도록 상기 경사면은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된다.
이를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시트에 탑승자가 탑승할 수 있는 상태 즉, 시트백이 폴딩되기 전의 상태인 도 1 및 도 4와 같은 상태에서 리턴 스프링(130)의 외측단부(132)가 베이스측 걸림후크(121)의 걸림홈(122)에 걸린 상태에서 있다가 시트백의 폴딩작동을 수행한다.
이때, 리턴 스프링(130)의 압축되어 탄성력이 작용된 상태에서 탄성력이 발생하여 리클라이너 암(110)가 회전하게 되어 폴딩이 완전히 이루어질 때, 베이스측 걸림후크(121)의 아래쪽에 있던 암측 걸림후크(112)가 베이스측 걸림후크(121)의 위쪽으로 올라오면서 리턴 스프링(130)의 외측단부(132)가 암측 걸림후크(112)의 걸림홈(113)의 경사면에 접촉되어 미끄러지면서 충격이 저감되는 것이다.
또한, 시트백이 폴딩된 도 3과 같은 상태인 리턴 스프링(130)의 외측단부(132)가 암측 걸림후크(112)의 걸림홈(113)에 걸린 상태에서 있다가 시트백을 원상 복귀시키게 된다.
그러면, 시트백에 결합되는 리클라이너 암(110)의 회전시 암측 걸림후크(112)의 걸림홈(113)에 걸려 있던 리턴 스프링(130)의 외측단부(132)가 암측 걸림후크(112)가 베이스측 걸림후크(121)보다 아래로 이동될 때, 베이스측 걸림후크(121)의 걸림홈(122)의 경사면에 접촉되어 미끄러지면서 리턴 스프링(130)의 외측단부(132)가 베이스측 걸림후크(121)에 접촉될 때 발생되는 충격이 완화되는 것이다.
여기서, 도 2와 같이, 리턴 스프링(130)의 외측단부(132)가 암측 걸림후크(112)의 걸림홈(113)의 경사면에 접촉되는 부분에서 걸림홈(113)의 바닥면까지의 수직 거리를 D라 하고, 지면에 대한 수직하중이 경사면에 작용되는 하중을 P라 하며, 경사면에 대해 수직으로 작용하는 하중을 Pn 이고, 경사면이 β라 할 때, 경사면에 대한 노멀한 하중 즉, 경사면에 대한 하중 감소는 Pn = cosβ x P 만큼 일어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턴 스프링의 충격 저감 구조에 의하면, 리클라이너 암(110)에 형성된 암측 걸림후크(112)의 걸림홈(113)의 양측부와 베이스 플레이트(120)에 형성된 베이스측 걸림후크(121)의 걸림홈(122)의 양측부 중 어느 일측부를 경사면으로 형성함으로써, 리턴스프링(130)의 외측단부(132)가 암측 및 베이스측 걸림후크(112)(121)에 부딪힐 때 발생하는 충격을 저감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1 : 리클라이너
110 : 리클라이너 암
111 : 지지브래킷 112 : 암측 걸림후크
113 : 걸림홈
120 : 베이스 플레이트
121 : 베이스측 걸림후크 122 : 걸림홈
130 : 리턴 스프링
131 : 내측단부 132 : 외측단부
140 : 충격저감부

Claims (4)

  1. 쿠션 프레임에 결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시트백에 결합되는 암플레이트 사이에 리클라이너가 결합되고, 암플레이트를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해 탄력 지지하는 리턴 스프링이 구비되되,
    상기 리턴 스프링의 내측단부는 암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지지플레이트에 걸림되고, 외측단부는 시트백의 폴딩전에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베이스측 걸림후크의 걸림홈에 걸림되고, 시트백의 폴딩후에는 암플레이트의 암측 걸림후크의 걸림홈에 걸림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베이스측 걸림후크의 걸림홈과 암측 걸림후크의 걸림홈에는 시트백의 폴딩시나 원상 복귀시 리턴 스프링의 외측단부가 암측 걸림후크나 베이스측 걸림후크에 걸릴 때 걸림홈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충격 저감부가 구비되고,
    상기 충격 저감부는 암측 걸림후크의 걸림홈의 일측부와, 상기 베이스측 걸림후크의 걸림홈의 일측부가 각각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너의 리턴 스프링 충격 저감 구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측 걸림후크의 걸림홈에 형성되는 경사면은,
    상기 암측 걸림후크의 걸림홈에 형성되는 경사면과 서로 반대쪽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리클라이너의 리턴 스프링 충격 저감 구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경사면에 부딪히는 리턴 스프링의 외측단부가 천천히 미끄러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너의 리턴 스프링 충격 저감 구조.



KR1020150167145A 2015-11-27 2015-11-27 리클라이너의 리턴 스프링 충격 저감 구조 KR1024576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7145A KR102457601B1 (ko) 2015-11-27 2015-11-27 리클라이너의 리턴 스프링 충격 저감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7145A KR102457601B1 (ko) 2015-11-27 2015-11-27 리클라이너의 리턴 스프링 충격 저감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1938A KR20170061938A (ko) 2017-06-07
KR102457601B1 true KR102457601B1 (ko) 2022-10-24

Family

ID=59223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7145A KR102457601B1 (ko) 2015-11-27 2015-11-27 리클라이너의 리턴 스프링 충격 저감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76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10696A (zh) * 2019-03-22 2019-06-21 上海元通座椅系统有限公司 一种座椅靠背角度可调可翻折的卷簧悬挂结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94661A (ja) 2009-10-28 2011-05-12 Nhk Spring Co Ltd 衝撃低減装置およびチャイルドシート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7315Y1 (ko) * 1996-12-28 2001-10-25 이계안 충격저감장치를갖는자동차용시트
KR19990021217U (ko) * 1997-11-29 1999-06-25 양재신 자동차 시트의 충격흡수구조
KR101585248B1 (ko) 2009-07-31 2016-01-13 주식회사다스 다중 고정 타입 리클라이너 레버 장치
KR101265172B1 (ko) * 2011-02-08 2013-05-24 (주)디에스시 자동차용 충격완화 시트백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94661A (ja) 2009-10-28 2011-05-12 Nhk Spring Co Ltd 衝撃低減装置およびチャイルドシート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1938A (ko) 2017-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87779B1 (en) Vehicle seat
JP4850476B2 (ja) 車両用シート
JP2021120273A (ja) チャイルドシート及びそのサイドプロテクション幅の調整機構
JP2008143498A (ja) アクティブヘッドレストの高さ保持装置
US20170253147A1 (en) Vehicle seat
US10604036B2 (en) Vehicle seat
US9511689B2 (en) Seating apparatus for vehicle
KR101586947B1 (ko) 시트백 폴딩 장치
US20230339373A1 (en) Child safety seat
KR102457601B1 (ko) 리클라이너의 리턴 스프링 충격 저감 구조
US11964599B2 (en) Device for preventing submarine phenomenon in fold and dive seat for vehicle
JP4019744B2 (ja) シート
JP2017100503A (ja) 車両用シート構造
KR101875430B1 (ko) 안티 서브마린 기능을 갖는 다이브 시트
CN105083079B (zh) 用于车辆座椅的头枕
JP2007161049A (ja) 車両用シートの衝撃吸収構造
JP6620982B2 (ja) シートの回転規制構造
JP7495591B2 (ja) 乗物用シート
JP5151467B2 (ja) 車両用シート
JP6272152B2 (ja) 乗物用シート
KR20120126867A (ko) 차량용 시트백프레임 마운팅 브라켓 및 시트프레임 유닛
JP5359497B2 (ja) 可動側部材の組み付け構造
JP2015182559A (ja) シート格納構造
JP2021046179A (ja) 車両の車室構造
JP2016215991A (ja) 乗物用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