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1217U - 자동차 시트의 충격흡수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 시트의 충격흡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1217U
KR19990021217U KR2019970034714U KR19970034714U KR19990021217U KR 19990021217 U KR19990021217 U KR 19990021217U KR 2019970034714 U KR2019970034714 U KR 2019970034714U KR 19970034714 U KR19970034714 U KR 19970034714U KR 19990021217 U KR19990021217 U KR 1999002121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ase frame
fixed
cushion
c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47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지년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347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1217U/ko
Publication of KR1999002121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1217U/ko

Links

Landscapes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노면으로부터 전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여 탑승자에게 보다 안락한 승차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자동차 시트의 저면에 설치 구성된 자동차 시트의 충격흡수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시트의 충격흡수구조는 플로어(10)에 고정되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12)을 따라 베이스 프레임(14)이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설치되고, 이 베이스 프레임(14)의 상부에 시트쿠션(2)이 배치되는 자동차 시트에 있어서, 베이스 프레임(14)과 시트쿠션(2) 사이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설치되며, 상단은 시트쿠션(2)의 측면에 회동가능하도록 힌지(20a)에 의해 결합되고, 하단은 베이스 프레임(14)에 회전가능하도록 힌지(20b)에 의해 결합된 레버(20)들과; 레버(20)에 일단이 고정되며, 타단은 베이스 프레임(14)에 고정되어 레버(20)가 초기 위치로 복귀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코일스프링(3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시트의 충격흡수구조는 시트쿠션과 베이스 프레임의 사이에 코일스프링을 구비한 레버들을 설치하여, 자동차가 도로상태가 좋지 못한 지역을 빠르게 지나갈 때 자동차의 바퀴에 장착되는 현가장치에서 충분히 흡수하지 못한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탑승자에게 보다 안락한 승차감을 제동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시트의 충격흡수구조
본 고안은 자동차 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노면으로부터 전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여 탑승자에게 보다 안락한 승차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자동차 시트의 저면에 설치 구성된 자동차 시트의 충격흡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탑승자에게 안락한 승차감을 제공하기 위해 자동차 시트가 제공되며, 이와 같은 자동차 시트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탑승자가 앉는 부위인 시트쿠션(2)과, 탑승자의 등을 받쳐주는 부위인 시트백(4)과, 탑승자의 머리를 받쳐주는 부위인 헤드레스트(6)로 구성된다. 또한, 시트백의 측면에는 리클라이닝장치(8)가 장착되어 탑승자의 체형에 맞게 시트백(4)의 경사를 조절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도 2는 종래의 자동차 시트의 설치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자동차의 플로어(10)상에는 가이드 레일(12)이 설치되어 있으며, 가이드 레일(12)의 상면에는 베이스 프레임(14)이 설치되어 가이드 레일(12)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한다. 그리고, 이 가이드 레일(12)의 상면에 시트쿠션(2)이 얹혀져 고정되어 있으며, 베이스 프레임(14)과 함께 이동한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는 앉지만, 베이스 프레임(14)은 별도의 록킹수단에 의해 가이드 레일(12)상의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자동차 시트는 탑승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전후로 이동시킨 후, 원하는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이 가능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자동차 시트는 시트쿠션(2)이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하더라도 시트쿠션(2)이 베이스 프레임(14)의 상면에 면접촉되도록 직접 얹혀져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노면의 상태가 좋지 않은 지역, 예를 들면, 요철지역이나 과속방지턱이 있는 지역을 빠르게 주행할 때에는 자동차의 바퀴에 장착되는 현가장치에서 충분히 흡수하지 못한 진동 및 충격이 자동차의 플로어(10)에 직접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12)과 베이스 프레임(14)을 통해 탑승자에게 전달되며, 이에 따라, 승차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노면으로부터 전해지는 진동 및 충격을 충분히 흡수하여 탑승자에게 보다 안락한 승차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자동차 시트의 저면에 설치되는 자동차 시트의 충격흡수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 시트의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자동차 시트의 설치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시트의 충격흡수구조가 채용된 자동차 시트의 설치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시트쿠션 10: 플로어
12: 가이드 레일 14: 베이스 프레임
20: 레버 20a,20b: 힌지
22: 걸림편 30: 코일스프링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플로어에 고정되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베이스 프레임이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설치되고, 이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 시트쿠션이 배치되는 자동차 시트에 있어서, 베이스 프레임과 시트쿠션 사이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설치되며, 상단은 시트쿠션의 측면에 회동가능하도록 힌지에 의해 결합되고, 하단은 베이스 프레임에 회전가능하도록 힌지에 의해 결합된 레버들과; 레버에 일단이 고정되며, 타단은 베이스 프레임에 고정되어 레버가 초기 위치로 복귀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자동차 시트의 충격흡수구조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시트의 충격흡수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시트의 충격흡수구조가 채용된 자동차 시트의 설치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자동차의 플로어(10)상에 가이드 레일(12)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가이드 레일(12)은 측방향에서 도시되어 하나만 나타나 있지만 반대편에 설치되어 있는 것까지 서로 대응되도록 한 쌍을 이루고 있다.
가이드 레일(12)의 상면에는 가이드 레일(12)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베이스 프레임(14)이 설치되어 있으며, 베이스 프레임(14)의 상면에 각각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14)은 서로 동일한 방향 및 거리만큼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베이스 프레임(14)의 상부에는 시트쿠션(2)이 배치되며, 베이스 프레임(14)과 시트쿠션(2)사이의 전방과 후방에는 코일스프링(30)을 구비하는 다수의 레버(20)들이 설치되어 노면으로부터 전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여 탑승자에게 전달되지 못하도록 한다.
레버(20)의 상단은 시트쿠션(2)의 측면에 회동가능하도록 힌지(20a)에 의해 결합되어 있으며, 하단은 베이스 프레임(14)의 측면에 회동가능하도록 힌지(20b)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레버(20)의 대략 중간부분에는 걸림편(22)이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이 걸림편(22)의 중간에는 걸림구멍(22a)이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구멍(22a)에는 코일스프링(30)의 일단부가 걸려 고정되어 있으며, 코일스프링(30)의 타단부는 베이스 프레임(14)상에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시트의 충격흡수구조의 작용을 설명하면, 자동차가 노면이 좋지 않은 지역을 빠르게 주행하는 경우에 진동 및 충격이 플로어(10)와 가이드 레일(12)을 통해 베이스 프레임(14)으로 전해지게 되면, 도 3에 가상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레버(20)들이 힌지(20a,20b)를 중심으로 회전할 때 코일스프링(30)이 인장되면서 충격을 흡수하기 때문에 시트에 않아 있는 탑승자에게 전달되는 진동 및 충격은 최소로 감소되고, 따라서 탑승자는 보다 안락한 승차감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시트의 충격흡수구조는 시트쿠션과 베이스 프레임의 사이에 코일스프링을 구비한 레버들을 설치하여, 자동차가 도로상태가 좋지 못한 지역을 빠르게 지나갈 때 자동차의 바퀴에 장착되는 현가장치에서 충분히 흡수하지 못한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탑승자에게 보다 안락한 승차감을 제동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

  1. 플로어(10)에 고정되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12)을 따라 베이스 프레임(14)이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설치되고, 이 베이스 프레임(14)의 상부에 시트쿠션(2)이 배치되는 자동차 시트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14)과 상기 시트쿠션(2) 사이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설치되며, 상단은 상기 시트쿠션(2)의 측면에 회동가능하도록 힌지(20a)에 의해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14)에 회전가능하도록 힌지(20b)에 의해 결합된 레버(20)들과;
    상기 레버(20)에 일단이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14)에 고정되어 상기 레버(20)가 초기 위치로 복귀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코일스프링(3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충격흡수구조.
KR2019970034714U 1997-11-29 1997-11-29 자동차 시트의 충격흡수구조 KR1999002121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4714U KR19990021217U (ko) 1997-11-29 1997-11-29 자동차 시트의 충격흡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4714U KR19990021217U (ko) 1997-11-29 1997-11-29 자동차 시트의 충격흡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1217U true KR19990021217U (ko) 1999-06-25

Family

ID=69692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4714U KR19990021217U (ko) 1997-11-29 1997-11-29 자동차 시트의 충격흡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1217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1948B1 (ko) * 2007-11-21 2013-03-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트
KR20170061938A (ko) * 2015-11-27 2017-06-07 주식회사다스 리클라이너의 리턴 스프링 충격 저감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1948B1 (ko) * 2007-11-21 2013-03-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트
KR20170061938A (ko) * 2015-11-27 2017-06-07 주식회사다스 리클라이너의 리턴 스프링 충격 저감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57213A (en) Seat for work machine or vehicle
KR19990021217U (ko) 자동차 시트의 충격흡수구조
KR19990021216U (ko) 자동차 시트의 충격흡수구조
KR100204776B1 (ko) 차량용 시트의 현가장치
JP2002144926A (ja) 車両のリヤシート支持構造
KR200160634Y1 (ko) 자동차용 시트의 취부구조
KR19990021215U (ko) 자동차 시트의 충격 흡수구조
JP3359084B2 (ja) 車両のシート装置
KR100439910B1 (ko) 자동차용 헤드 레스트
KR100223250B1 (ko) 자동차용 시트의 위치조절장치
KR100357399B1 (ko) 자동차용 회전시트의 유격방지구조
KR19980052222A (ko) 자동차 시트의 현가장치
JPH072009A (ja) 自動車シートの振動吸収装置
JP3753958B2 (ja) 乗り物用シート
KR100483267B1 (ko) 서브마린 방지 시트
KR19990027133A (ko) 자동차 프론트 시트의 현가장치
JPH0231712A (ja) シートクッション
KR19980041351U (ko) 시트의 기울어짐 보상장치
JP3756788B2 (ja) 乗り物用シート
KR20030092950A (ko) 서브마린 방지 시트
KR820002614Y1 (ko) 승용이동차에 있어서의 좌석 부착장치
KR19980046664U (ko) 자동차용 시트
KR200162225Y1 (ko) 충격흡수용 시트 설치구조
KR19980037900U (ko) 차량의 충격 흡수용 시트 받침대
KR20080029166A (ko) 스프링 피로 저감형 로어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C193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