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1843B1 - 차량용 탈착식 시트의 록킹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탈착식 시트의 록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1843B1
KR100551843B1 KR1020030078837A KR20030078837A KR100551843B1 KR 100551843 B1 KR100551843 B1 KR 100551843B1 KR 1020030078837 A KR1020030078837 A KR 1020030078837A KR 20030078837 A KR20030078837 A KR 20030078837A KR 100551843 B1 KR100551843 B1 KR 1005518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striker
lock plate
main bracket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8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4940A (ko
Inventor
김종호
정찬호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8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1843B1/ko
Priority to US10/982,141 priority patent/US7213881B2/en
Priority to DE102004053811A priority patent/DE102004053811B4/de
Priority to CNA2004100907227A priority patent/CN1613684A/zh
Priority to JP2004323468A priority patent/JP2005138836A/ja
Publication of KR20050044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49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1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18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 B60N2/3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into a loading plat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5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e.g. dismountable auxiliary seats
    • B60N2/015Attaching seats directly to vehicle chassis
    • B60N2/01508Attaching seats directly to vehicle chassis using quick release attachments
    • B60N2/01516Attaching seats directly to vehicle chassis using quick release attachments with locking mechanisms
    • B60N2/01583Attaching seats directly to vehicle chassis using quick release attachments with locking mechanisms locking on transversal elements on the vehicle floor or rail, e.g. transversal r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919Positioning and locking mechanisms
    • B60N2002/952Positioning and loc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locking system
    • B60N2002/957Positioning and loc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locking system the locking system prevents an abnormal or wrong mounting situation, i.e. deployment or functioning of a seat part being prevented if the seat or seat part is not properly mounted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탈착식 시트의 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간편하게 시트의 탈/장착을 수행할 수 있고, 특히 시트의 완전 탈거는 물론 더블폴딩까지 가능해지며, 후단 록킹부에 록킹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별도의 메커니즘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록킹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차량용 탈착식 시트의 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록킹장치는, 시트 하부의 레그 프레임 전단 및 후단에 설치되어 각각 스트라이커와 결합된 상태에서 레그 프레임을 지지하게 되는 메인 브라켓을 가지며, 록플레이트에 의해 스트라이커 커버 안쪽으로 고정 설치된 스트라이커에 선택적으로 록킹/해제되는 전단 및 후단 록킹부와; 상기 전단 록킹부가 스트라이커에 록킹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후단 록킹부의 록킹해제시 상기 레그 프레임이 상기 전단 록킹부를 중심으로 더블폴딩상태로 회전될 수 있게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차량, 탈착식 시트, 록킹장치, 메인 브라켓, 록플레이트, 지시 브라켓, 레그 커버, 지시홀, 록킹 여부 표시

Description

차량용 탈착식 시트의 록킹장치{Locking device of removable vehicle seat}
도 1은 종래의 록킹장치가 적용된 탈착식 시트의 장착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의 록킹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a와 도 3b는 종래의 록킹장치에서 후단 록킹부의 록킹 전 상태와 록킹 후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4a ~ 4d는 본 발명에 따른 록킹장치가 적용된 탈착식 시트의 장착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록킹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록킹장치에서 전단 록킹부를 바깥쪽에서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록킹장치에서 전단 록킹부를 안쪽에서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7a는 도 6a의 전단 록킹부에서 레버조작에 의해 제1록플레이트가 록킹해제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7b는 도 6b의 전단 록킹부에서 레버조작에 의해 제2록플레이트가 록킹해제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a와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록킹장치가 적용된 탈착식 시트에서 록킹 여부가 표시된 레그 커버의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록킹장치에서 후단 록킹부를 위쪽에서 바라본 록킹상태의 사시도,
도 10a와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록킹장치에서 후단 록킹부를 바깥쪽에서 본 측면도,
도 11a는 본 발명에 따른 록킹장치에서 후단 록킹부를 안쪽에서 본 록킹상태의 사시도,
도 11b는 본 발명에 따른 록킹장치에서 후단 록킹부를 안쪽에서 본 록킹해제상태의 사시도,
도 12는 더블폴딩상태에서 후방 메인 브라켓의 전방 젖힘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레그 프레임 12, 13, 15 : 스트라이커
14 : 스트라이커 커버 100 : 전단 록킹부
110 : 메인 브라켓 112 : 제1록플레이트
114 : 제2록플레이트 200 : 후단 록킹부
210 : 메인 브라켓 212 : 록플레이트
본 발명은 차량용 탈착식 시트의 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간편하게 시트의 탈/장착을 수행할 수 있고, 특히 시트의 완전 탈거는 물론 더블폴딩까지 가능해지며, 후단 록킹부에 록킹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별도의 메커니즘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록킹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차량용 탈착식 시트의 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사람들의 문화 수준이 높아지고 문명이 발달하면서 예전의 복잡하던 것들이 단순화 되고 여러 기능들이 하나로 합쳐진 다기능 물건들이 많이 생산되고 있다.
이는 불필요한 작업과 힘의 낭비, 경제적 손실 등을 절약하여 좀 더 편하고 간단하게 여러 가지 일을 하고자 하는 인간의 욕망에서 비롯된 것으로, 우리의 생활과 깊은 관계를 이루고 있는 자동차에서도 그런 현상은 나타나고 있다.
예를 들어, 업무적인 이유로 실을 물건이 많을 때 그 물건을 실을 수 있고, 한편으로는 여행이나 야유회 등을 갈 때 가족들과 함께 많은 짐들을 실을 수 있는 다목적 차량의 요구가 바로 그것이다.
이러한 다목적 차량은 승용차에 상용차의 기능이 추가된 것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특히 탈착 가능한 시트가 적용되어 필요에 따라 화물적재공간과 탑승공간의 전환이 용이하도록 되어 있다.
이 탈착식 시트는 차량의 내부에 보다 큰 적재 공간이 요구되거나 필요에 따 라 차량 내부의 공간을 확장하고자 할 경우에 차체 플로어 패널로부터 시트를 쉽게 분리하거나 장착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이 탈착식 시트의 하측으로는 고정 및 해제를 위한 록킹장치가 별도로 설치 구성된다.
이러한 탈착식 시트는 사용자 누구나가 간편하게 시트를 탈거하거나 재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함은 물론이며, 무엇보다도 시트가 장착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안전을 위해 차량의 급제동이나 충돌사고시 록킹장치의 해제 위험성이 없어야 한다.
이하, 종래의 차량용 탈착식 시트의 록킹장치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1은 종래의 록킹장치가 적용된 탈착식 시트의 장착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종래의 록킹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a와 도 3b는 종래의 록킹장치에서 후단 록킹부의 록킹 전 상태와 록킹 후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 하부의 레그 프레임(1)에는 전방 및 후방으로 각각 메인 브라켓(2,3)이 고정 설치되고, 각 메인 브라켓(2,3)에는 운반을 위한 로울러(4a,4b)가 장착되며, 차체 플로어 패널에는 전방 및 후방으로 시트 고정을 위한 스트라이커(9a,9b)가 고정 설치된다.
또한, 전방 및 후방의 각 메인 브라켓(2,3)에는 스트라이커(9a,9b)가 넣어질 수 있는 요입홈(2a,3a)이 형성되어 있으며, 특히 후방 메인 브라켓(3)에는 차체 플로어 패널에 고정 설치된 스트라이커(9b)와의 록킹을 위하여 록플레이트(5) 및 캠(6) 등으로 구성된 록킹부가 설치된다.
각 도면에서 도면부호 5는 후방 메인 브라켓(3)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스트라이커(9b)를 록킹하게 되는 록플레이트를 나타내며, 도면부호 6은 상기 록플레이트(5)를 록킹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캠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종래의 록킹장치가 적용된 탈착식 시트의 장착과정을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방 로울러(4a)를 차체 플로어에 고정 설치된 스트라이커 커버(9c)의 경사면(9d)을 따라 이동시키면서 시트 전체를 앞쪽으로 밀어 넣게 된다.
이때, 전방 로울러(4a)가 스트라이커 커버(9c)의 경사면(9d)을 완전히 지난 후 수평면 상에 놓이면서 전방 메인 브라켓(2)의 요입홈(2a)에 전방 스트라이커(9a)가 끼워지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시트 앞쪽은 스트라이커(9a)에 걸려진 상태가 되므로 상측으로 들어올려지지 않게 된다.
이후, 시트 뒷쪽을 들어올린 상태에서 아래로 누르게 되면, 후방 스트라이커(9b)가 후방 메인 브라켓(3)의 요입홈(3a) 내에 넣어지면서 록플레이트(5)를 록킹홈(5b) 내에서 상측으로 밀게 되는 바, 이에 록플레이트(5)가 그 회전중심(5a)을 중심으로 도 3a 및 도 3b의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결국, 후방 스트라이커(9b)는 회전된 록플레이트(5)의 록킹홈(5b) 내에 넣어진 상태에서 록플레이트(5)에 의해 완전히 록킹되어지며, 이후 시트는 앞쪽은 물론 뒷쪽까지 스트라이커(9a,9b)에 의해 걸려진 상태에서 차체 플로어에 완전히 고정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스트라이커(9a,9b)가 캐칭(catching)될 수 있도록 록플레이트(5)가 완전 회전된 상태에서는 리턴 스프링(록플레이트와 캠 사이에 설 치됨, 7)에 의해 캠(6)이 당겨지면서, 캠(6)이 그 회전중심(5a)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록플레이트(5)의 걸림턱(5c)에 물려지는 바, 이때부터는 캠(6)을 임으로 역회전시키지 않는 한 록플레이트(5)의 회전은 완전 구속되게 되며, 결국 록플레이트(5)가 스트라이커(9b)를 캐칭한 상태에서 시트 앞쪽 및 뒷쪽의 록킹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반대로 시트를 탈거하기 위해서는 먼저 레버(8)를 조작하여야 하며, 레버(8) 조작시 캠(6)이 록킹시와 반대로 회전되어지는 바, 이때 캠(6)이 록플레이트(5)의 걸림턱(5c)으로부터 빠지면서 록플레이트(5)의 회전구속이 해제되고, 결국 캠(6)이 회전된 상태에서 록플레이트(5)가 리턴 스프링(7)에 의해 당겨져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스트라이커(9b)의 캐칭상태가 해제되어진다.
이와 같이 캐칭상태가 해제된 상태에서 시트 뒷쪽을 들어 올려주면 스트라이커(9b)가 록플레이트(5)의 록킹홈(5b) 및 후방 메인 브라켓(3)의 요입홈(3a)으로부터 빠지면서 시트 뒷쪽이 차체 플로어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어지고, 이후 시트 전체를 뒤로 이동시키면 로울러(4a,4b)가 다시 스트라이커 커버(9c)를 따라 후방 이동되면서 전방 메인 브라켓(2)이 전방 스트라이커(9a)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어 시트의 탈거가 가능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록킹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먼저, 시트 뒷쪽에서 후방 스트라이커(9b)가 록플레이트(5)에 의해 완전히 캐칭된 상태와는 달리, 시트 앞쪽에서는 전방 스트라이커(9a)가 전방 메인 브라켓(2)의 요입홈(2a) 내에 단순히 넣어진 상태로 시트의 걸려진 상태가 유지되 는 바, 시트 앞쪽에서 완전한 록킹이 이루어졌다 할 수 없고, 시트 앞쪽의 록킹력이 시트 뒷쪽의 록킹력에 비해 크게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록킹장치에서는 시트의 더블폴딩이 되지 않으며, 이로 인해 시트를 차체로부터 완전히 분리해 따로 세워 놓거나 차량 외부에 보관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록킹장치에서는 시트 장착 후 시트 하측으로 구성되어 있는 록킹부의 록킹이 완전히 이루어졌는지를 확인하기가 어려웠는 바, 사용자가 시트의 완전 록킹상태로 잘못 판단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었고, 이로 인해 급제동시나 충돌시에 사용자가 큰 상해를 입을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간편하게 시트의 탈/장착을 수행할 수 있고, 특히 시트의 완전 탈거는 물론 더블폴딩까지 가능해지며, 후단 록킹부에 록킹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별도의 메커니즘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록킹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차량용 탈착식 시트의 록킹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 차량용 탈착식 시트의 록킹장치에 있어서,
시트 하부의 레그 프레임 전단 및 후단에 설치되어 각각 스트라이커와 결합된 상태에서 레그 프레임을 지지하게 되는 메인 브라켓을 가지며, 록플레이트에 의해 스트라이커 커버 안쪽으로 고정 설치된 스트라이커에 선택적으로 록킹/해제되는 전단 및 후단 록킹부와; 상기 전단 록킹부가 스트라이커에 록킹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후단 록킹부의 록킹해제시 상기 레그 프레임이 상기 전단 록킹부를 중심으로 더블폴딩상태로 회전될 수 있게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전단 록킹부는, 상기 레그 프레임의 전단에 전방 접힘이 가능하도록 전/후로 회전될 수 있게 설치되고, 스트라이커가 넣어질 수 있게 요입홈이 형성되어 있으면서 스트라이커 커버 저면을 이동하는 로울러를 가지는 메인 브라켓과; 이 메인 브라켓의 요입홈에 스트라이커가 넣어지면서 상기 메인 브라켓에서 탄력 회전하여 스트라이커에 선택적으로 록킹/해제되는 록플레이트와; 상기 록플레이트를 상시 캐칭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부재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록플레이트를 해제방향으로 강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해제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후단 록킹부는, 상기 레그 프레임의 후단에 전방 접힘이 가능하도록 전/후로 회전될 수 있게 설치되고, 스트라이커가 넣어질 수 있게 요입홈이 형성된 메인 브라켓과; 상기 메인 브라켓의 요입홈에 스트라이커가 넣어지면서 이 스트라이커가 일측의 록킹홈 내에 삽입됨과 동시에 미는 힘에 의해 메인 브라켓에서 회전하여 스트라이커와의 록킹이 이루어지는 록플레이트와; 상기 메인 브라켓에 회 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록플레이트의 걸림턱에 걸리어 록플레이트를 록킹상태에서 회전구속하게 되는 캠과; 상기 록플레이트와 캠 사이에 설치되어 캠 선단부를 록플레이트의 걸림턱 상에서 유지시키기 위한 당김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부재와; 일단이 상기 캠의 회전중심에 고정 설치되어서 록플레이트의 록킹해제시 회전조작에 의해 선단부가 걸림턱으로부터 빠져나오도록 캠을 회전시키게 되는 해제레버와; 상기 록플레이트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레그 프레임 바깥쪽으로 설치되는 레그 커버의 지시홀을 통해 록킹 또는 해제상태를 표시하도록 구비되는 상태 지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4a ~ 도 4d는 본 발명의 록킹장치가 적용된 탈착식 시트의 장착과정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면부호 10은 시트 하부의 레그 프레임을 나타내며, 이 레그 프레임(10) 상측으로는 시트쿠션이 설치되나, 첨부한 각 도면에서는 시트쿠션 및 시트백을 모두 도시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명확한 구분을 위하여 시트 앞쪽 록킹을 위한 장치(100)를 전단 록킹부, 시트 뒷쪽 록킹을 위한 장치(200)를 후단 록킹부라 칭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록킹장치는 크게 전단 록킹부(100)와 후단 록킹부(200)로 구성되는데, 전단 록킹부(100) 및 후단 록킹부(200)가 모두 스트라이커를 캐칭하게 되는 록플레이트를 가지며, 특히 후단 록킹부(200)를 록킹해제할 경우 시트의 더블폴딩상태가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게 구성된다.
도 4a는 시트가 고정되기 전 상태를, 도 4b는 전단 록킹부(100)의 제1록플레이트(112)가 스트라이크(12)를 캐칭한 상태를, 도 4c는 전단 록킹부(100)의 제1 및 제2록플레이트(112,114) 모두가 스트라이크(12,13)를 캐칭한 상태를, 도 4d는 시트의 완전 고정상태, 즉 전단 록킹부(100) 및 후단 록킹부(200)의 록킹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록킹장치에서는, 도 4c와 도 4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단 록킹부(100)의 록킹이 상기 제1 및 제2록플레이트(112,114)가 스트라이크(12,13)를 모두 캐칭한 상태에서 완료된다.
특히, 도 4c는 제1 및 제2록플레이트(112,114)가 전방의 두 스트라이커(12,13)에 각각 록킹 완료된 상태(전단 록킹부의 록킹 완료상태임)에서 레그 프레임(10)이 자동으로 전방 젖혀진 상태, 즉 시트의 자동 더블폴딩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이와 같은 시트의 자동 더블폴딩상태는 후단 록킹부(200)의 해제시 후술하는 스파이어럴 스프링(spiral spring; 122)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 4a ~ 도 4d는 시트의 장착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낸 것이며, 후단 록킹부(200)만을 록킹해제하여 스파이어럴 스프링(122)에 의해 시트가 자동 더블폴딩되는 과정은 도 4d에서 도 4c로 전환되는 과정이 된다.
다음으로, 첨부한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록킹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록킹장치에서 전단 록킹부를 바깥쪽에서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록킹장치에서 전단 록킹부를 안쪽에서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a와 도 6b는 전단 록킹부(100)의 록킹 완료상태, 즉 제1 및 제2록플레이트(112,114)가 모두 해당 스트라이커(12,13)에 록킹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으며, 레그 프레임(10)이 전방 폴딩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는 바, 두 도면은 도 4c의 상태에서 전단 록킹부(100)를 도시한 것이다.
이를 참조하여 전단 록킹부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간상의 전후 구분은 시트를 기준으로 한 것이며, 시트 좌측과 우측의 록킹장치가 동일한 부품으로 상호 대칭되게 구성되는 바, 그 한쪽만을 설명한 것임을 밝혀둔다.
먼저, 차체 플로어 패널 상에 두 개의 스트라이커(12,13)가 별도 브라켓(11)에 의해 고정 설치되며, 이 두 스트라이커(12,13)는 역시 브라켓(11)에 의해 고정 설치된 스트라이커 커버(14)의 안쪽 수평면 상에 전후로 배치되어 고정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명확한 설명을 위하여 후방에 설치되는 스트라이커(12)를 제1스트라이커로, 전방에 설치되는 스트라이커(13)를 제2스트라이커로 칭하기로 한다.
한편, 시트쪽에서 시트 하부의 레그 프레임(10)에는 그 하측으로 스트라이커(12,13) 상에서 레그 프레임(10)을 지지하게 되는 메인 브라켓(110)이 일정 정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 메인 브라켓(110)에는 록킹시 해당 스트라이커(12,13)가 넣어질 수 있게 된 전후 두 개의 요입홈(110a,110b)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메인 브라켓(110)은 그 회전중심(회전봉이됨, 124)을 중심으로 최대 전방 회전된 상태, 즉 최대 전방 회전위치에서 레그 프레임(10)의 전단부쪽에 형성한 도 6b의 걸림턱(10a)에 걸려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메인 브라켓(110)의 바깥쪽면 상에는 제1스트라이커(12)를 캐칭하게 되는 제1록플레이트(112)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메인 브라켓(110)의 안쪽면 상에는 제2스트라이커(13)를 캐칭하게 되는 제2록플레이트(114)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두 록플레이트(112,114)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해당 스트라이커(12,13)를 캐칭하도록 되어 있는 바, 제1록플레이트(112)는 제1스트라이커(12)를 전방에서 후방쪽으로 걸어주도록 되어 있으며, 제2록플레이트(114)는 제2스트라이커(13)를 후방에서 전방쪽으로 걸어주도록 되어 있다.
도 6a에서 도면부호 112a는 상단에 위치된 제1록플레이트(112)의 회전중심을, 도 6b에서 도면부호 114a는 상단에 위치된 제2록플레이트(114)의 회전중심을 각각 나타낸다.
한편, 제2록플레이트(114)에는 회전중심(114a) 상측으로 메인 브라켓(110)과의 사이에 제2리턴 스프링(115)이 설치되며, 이 제2리턴 스프링(115)은 메인 브라켓(110)의 바깥쪽으로 설치되는 바, 메인 브라켓(110)의 바깥쪽면에 돌출 설치된 스프링 고정핀(111)과, 메인 브라켓(110)의 아래쪽 핀 홈(110c) 안쪽으로 넣어져 메인 브라켓(110) 바깥쪽으로 돌출되어진 제2록플레이트(114)의 스프링 고정핀(114d) 사이에 설치된다.
특히, 상기 메인 브라켓(110)의 스프링 고정핀(111)이 제2록플레이트(114)의 회전중심(114a)을 기준으로 그 전방에 위치되고, 상기 제2록플레이트(114)의 스프링 고정핀(114d)이 회전중심(114a)을 기준으로 그 후방에 위치되며, 두 고정핀(111,114d) 사이에 설치된 제2리턴 스프링(115)이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그 상측에 위치되는 바, 결국 제2리턴 스프링(115)의 탄성복원력은 제2록플레이트(114)가 도 6b의 반시계방향, 즉 스트라이커(13)를 걸어주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작용된다.
도 6b에서 도면부호 111은 메인 브라켓(110)의 스프링 고정핀이 설치된 위치를, 도면부호 114d는 제2록플레이트(114)의 스프링 고정핀이 설치된 위치를 나타내며, 특히 제2록플레이트(114)의 스프링 고정핀(114d)에는 후술하는 해제레버(116)의 단부가 함께 고정되는 바, 상기 제2리턴 스프링(115)의 탄성복원력은 이 해제레버(116)의 단부를 당겨주는 힘으로 작용된다.
또한, 제2록플레이트(114)의 회전중심(114a) 및 안쪽면에는 해제레버(116)의 일측 단부가 고정되는 바, 이 해제레버(116)의 타측 단부는 시트 반대쪽의 또 다른 전단 록킹부에 구성 설치되는 제2록플레이트에 동일하게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2록플레이트(114)의 상단부에는 메인 브라켓(110)의 안쪽에서 제1록플레이트(112)와 함께 회전되는 캠(118)의 선단부가 걸려지도록 된 걸림턱(114e)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캠(118)은 메인 브라켓(110)의 안쪽면에 설치된 상측의 제1리턴 스프링(120)에 의해 하측으로 눌려져, 캠(118)의 선단부가 제2록플레이트(114)의 걸림턱(114e)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특히, 메인 브라켓(110)의 안쪽에 위치된 상기 캠(118)은 메인 브라켓(110) 의 바깥쪽에 위치된 제1록플레이트(112)의 회전중심(112a)에 고정되어 있는 바, 제1록플레이트(112)와 함께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리턴 스프링(120)의 일단이 메인 브라켓(110)의 안쪽면에 형성시킨 스프링 고정핀(121)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제1리턴 스프링(120)의 타단부가 캠(118)을 하측으로 누르는 힘은 제1록플레이트(112)를 록킹상태로 유지시키는 힘이 된다.
즉, 스프링력에 의해 상기 캠(118)은 도 6b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 하고, 상기 제1록플레이트(도6b에는 미도시됨; 112)) 또한 도 6b의 시계방향(도 6a에서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 하는 바, 록킹상태에서는 캠(118)의 회전력이 제2록플레이트(114)의 걸림턱(114)에 밀착되는 힘으로 작용하게 되고, 제1록플레이트(112)의 회전력은 제1스트라이커(12)와의 록킹력으로 작용하게 된다.
물론, 상기 제1리턴 스프링(120)에 의해 캠(118)의 선단부가 제2록플레이트(114)를 누르고 있으므로 이 제1리턴 스프링(120)의 힘이 제2록플레이트(114)의 록킹력에 작용하기는 하나, 제2록플레이트(114)의 주 록킹력은 상기 제2리턴 스프링(115)의 당김력에 의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1록플레이트(112)와 제2록플레이트(114)는 각 스프링력에 의해 스트라이커(12,13)가 각 플레이트(112,114)의 록킹홈(112b,114b)으로부터 빠진 상태, 즉 완전 분리된 상태에서도 상시 캐칭상태(스트라이커를 다시 물어줄 수 있는 본래의 위치로 스프링에 의하여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도면부호 122는 제1 및 제2록플레이트(112,114)의 록킹 후 레그 프레임(10)이 더블폴딩, 즉 시트 전방으로 젖혀지도록 하는 스파이어럴 스프링이며, 이 스파이어럴 스프링은 안쪽의 중심단이 시트 좌측 및 우측의 전단 록킹부 메인 브라켓(110) 사이에 연결 설치된 회전봉(124)의 끝단에, 바깥쪽의 타단이 레그 프레임(10)의 전단부 하단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스파이어럴 스프링(122)은 전단 록킹부(100)의 록킹상태(제1 및 제2록플레이트의 록킹상태)에서 후단 록킹부(200)의 록킹이 해제될 경우 레그 프레임(10)을 더블폴딩시키는 것은 물론 레그 프레임(10)의 더플폴딩상태를 유지시키는 바, 본 발명의 록킹장치에서는 전단 록킹부(100)와 함께 이 스파이어럴 스프링(122)에 의해 종래 록킹장치에서 불가능하였던 시트의 더플폴딩이 가능해진다.
상기 회전봉(124)은 양 단부가 좌측 및 우측 전단 록킹부(100)의 각 메인 브라켓(110)을 관통하여 이 메인 브라켓(110)과는 완전 고정되어 있으며, 양 단부 끝이 좌측 및 우측의 레그 프레임(10)을 관통하여 바깥쪽으로 돌출된 상태로 되어 있다.
상기 회전봉(124)은 메인 브라켓(110)과 함께 레그 프레임(10)에서 함께 회전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에 회전봉(124)이 메인 브라켓(110)의 회전중심이 되는 동시에 레그 프레임(10)의 힌지중심이 된다.
다음으로, 상기 메인 브라켓(110)은 연결바(126)를 통해 후단 록킹부(200)의 메인 브라켓(210)과 연결되어 있는 바, 후단 록킹부(200)의 메인 브라켓(210)은 이 연결바(126)를 통해 전단 록킹부(100)의 메인 브라켓(110)과 연동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연결바(126)는 일단이 전단 록킹부(100)의 메인 브라켓(110) 바깥쪽면에 돌출되게 설치한 힌지핀(111')에 힌지 결합되어 메인 브라켓(110)에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고, 그 타단은 후방 메인 브라켓(210)의 바깥쪽면에 돌출되게 설치한 가이드 핀(211)에 결합되어 있다(도 10a 및 도 10b, 도 12 참조).
특히, 상기 연결바(126)는 시트의 더블폴딩시나 탈거시에 후방 메인 브라켓(210)을 당겨 전방으로 접혀지게 하는 것으로, 이러한 역할 및 작동상태는 이후 후단 록킹부를 설명하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도면부호 128은 전방 로울러를 나타내며, 이는 메인 브라켓(110)의 후부 일측에 설치된다.
상기 로울러(128)는 후단 록킹부(200)의 로울러(224)와 함께 시트 조립 및 탈거 후 이동 편의성을 좋게 하며, 스트라이커 커버(14)의 저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스트라이커 커버(14)는 록킹부(100,200) 주변으로 위치되는 경사면(14b)을 가지며, 외관 향상 및 탈착 시트의 로울러(128,224)가 이동할 수 있게 가이드 역할을 하게 되는데, 이는 종래 록킹장치에서와 동일하다.
첨부한 도 7a와 7b는 전단 록킹부의 록킹해제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7a는 도 6a의 전단 록킹부에서 제1록플레이트가 록킹해제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7b는 도 6b의 전단 록킹부에서 제2록플레이트가 록킹해제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특히, 도 7a와 도 7b의 작동상태는 해제레버 조작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이 조작상태는 이후 본 발명의 전체적인 작동상태를 설명하면서 상술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록킹장치에서 후단 록킹부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록킹장치의 후단 록킹부(200)는 록킹상태 또는 록킹해제상태를 외부에서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록킹 여부를 표시해주는 기능을 가진다.
물론, 기본적으로는 후방 스트라이커(15)와의 록킹을 수행하는 기능을 가지는 바, 스트라이커(15) 상에서 레그 프레임(10)을 지지하게 되는 메인 브라켓(210)과, 스트라이커(15)를 캐칭하여 록킹하게 되는 록플레이트(212), 이 록플레이트(212)의 회전을 구속하는 캠(214)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첨부한 도 8a와 도 8b는 본 발명의 록킹장치가 적용된 탈착식 시트의 레그 커버 측면도로서, 특히 레그 프레임 바깥쪽으로 장착된 레그 커버(16)의 지시홀(16a)을 통해 록킹 여부가 색깔로 표시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도 8a는 후단 록킹부(200)의 록킹상태를, 도 8b는 후단 록킹부(200)의 록킹해제상태를 나타내며, 록킹상태에서는 도 8a처럼 지시홀(16a)에 녹색이, 록킹해제상태에서는 도 8b처럼 지시홀(16a)에 적색이 표시되며, 사용자는 색깔을 보고 록킹 여부를 확인하게 되는 바, 지시홀(16a)에 적색이 표시될 경우 록킹이 되지 않았음을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첨부한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록킹장치에서 후단 록킹부를 위쪽에서 바라본 록킹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10a와 도 10b는 후단 록킹부를 바깥쪽에서 본 측면도이며, 도 11a는 후단 록킹부를 안쪽에서 본 록킹상태의 사시도, 도 11b는 후단 록킹 부를 안쪽에서 본 록킹해제상태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12는 더블폴딩상태에서 후단 록킹부의 전방 젖힘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여기서, 도 10a는 록킹상태를, 도 10b는 록킹해제상태를 나타낸다.
먼저, 후단 록킹부(200)에 대해 설명하면, 메인 브라켓(210)은 상단 일측이 레그 프레임(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바, 이 결합된 부분이 메인 브라켓(210)의 회전중심이 된다.
또한, 상기 메인 브라켓(210)의 바깥쪽면 상에는 가이드 핀(211)이 외부로 돌출 설치되어 있는 바, 이 가이드 핀(211)은 전단 록킹부(100)로부터 연결된 연결바(126)와의 결합을 위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연결바(126)의 후단부에 형성시킨 길이상의 장공(126a)에 끼워진 상태로 되어 있으며, 특히 연결바(126)가 전후방 위치 이동함에 따라 상기 가이드 핀(211)은 연결바(126)의 장공(126a) 안에서 안내되어진다.
상기 연결바(126)는 전단 록킹부(100)의 메인 브라켓(전방 메인 브라켓이라 칭함; 110)의 회전동작에 상기 후단 록킹부(200)의 메인 브라켓(후방 메인 브라켓이라 칭함; 210)이 함께 회전 연동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전체적으로는 상기 연결바(126)가 전단 록킹부(100)의 회전동작에 의해 후단 록킹부(200)가 함께 회전 연동될 수 있게 한다.
즉, 후방 메인 브라켓(210)이 회전중심을 중심으로 레그 프레임(10)에서 전방으로 젖혀질 수 있게 되어 있는 바, 후방 메인 브라켓(210)의 전방 젖힘동작은 전방 메인 브라켓(110)의 회전과 동시에 연결바(126)가 가이드 핀(211)을 통해 후방 메인 브라켓(210)을 전방으로 당겨주는 동작에 의해 이루어진다(시트의 더블폴딩시, 즉 도 4d →도 4c의 상태 전환, 이때 전방 메인 브라켓은 레그 프레임에 대하여 최대 전방 회전위치까지 시계방향으로 상대 회전함).
이와 같이 연결바(126)에 의해 후단 록킹부(200)가 전방으로 젖혀진 상태는 도 12에 잘 도시되어 있다.
또한, 후방 메인 브라켓(210)의 후방 젖힘동작(원복되는 동작, 바깥쪽에서 볼 때 레그 프레임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은 전방 메인 브라켓(110)의 회전과 동시에 연결바(126)가 가이드 핀(211)을 통해 후방 메인 브라켓(210)을 후방으로 밀어주는 동작에 의해 이루어진다(도 4c →도 4d의 상태 전환, 이때 전방 메인 브라켓은 레그 프레임에 대하여 반시계방향으로 상대 회전함).
이와 같이 연결바(126)에 의해 후방 메인 브라켓(210)이 후방으로 복원된 상태는 도 10b에 잘 도시되어 있다.
도 12와 도 10b를 비교하여 보면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연결바(126)가 두 브라켓(110,210)간에 설치됨으로써, 전방 메인 브라켓(110)의 전후방 회전상태에 따라 후방 메인 브라켓(210)이 전방으로 접혔다 반대로 펴졌다를 반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후방 메인 브라켓(210)의 회전중심(210a)에는 레그 프레임(10) 안쪽으로 메인 브라켓(210)과의 사이에 별도의 리턴 스프링(도 5b에서 도면부호 216, 도 10a에서는 은선으로 표시함)이 설치되는 바, 이 리턴 스프링(216)은 일단 이 레그 프레임(10) 안쪽면에, 타단이 메인 브라켓(210)에 고정되며, 이 리턴 스프링(216)의 탄성복원력은 후방 메인 브라켓(210)의 도 10a의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작용하도록 되어 있다.
즉, 연결바(126)가 후방 메인 브라켓(210)을 후방으로 밀어주는 힘과 함께 상기 리턴 스프링(216)의 탄성복원력은 전방으로 젖혀진 상태의 후방 메인 브라켓(210)을 후방으로 복원시키는 힘으로 작용하게 된다.
상기 후방 메인 브라켓(210)은 후방 복원된 상태에서 스트라이커(15)와 결합될 수 있게 되어 있는 바, 후방 메인 브라켓(210)의 하단부에는 복원된 회전위치에서 스트라이커(15)가 삽입될 수 있게 된 요입홈(210d)이 형성되어 있으며, 스트라이커(15)가 요입홈(210d)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메인 브라켓(210)은 레그 프레임(10)을 스트라이커(15)로부터 지지하게 된다.
한편, 후단 록킹부(200)의 록플레이트(212)는, 도 11a와 도 11b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메인 브라켓(210)의 안쪽면 상에 회전중심(212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단에 스트라이커(15)가 삽입 록킹되는 록킹홈(212b)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 일측에는 후술하는 캠(214)이 걸릴 수 있도록 된 걸림턱(212c)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록플레이트(212)의 근접된 위치에는 록킹상태의 록플레이트 회전을 구속하게 되는 캠(214)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 이 캠(214)은 메인 브라켓(210)의 안쪽면 상에 회전중심(214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캠(214)의 회전중심(214a)에는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게 된 해제 레버(226)의 일단이 고정되어 있으며, 이 해제레버(226)를 상방으로 당겨 도 11a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캠(214) 또한 같은 방향으로 함께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캠(214)의 선단부에는 메인 브라켓(210)의 제1가이드 홀(210b)에 삽입되어 메인 브라켓(210) 외부로 돌출되게 되는 스프링 고정핀(215)이 설치되며, 상기 록플레이트(212)의 일측에는 메인 브라켓(210)의 제2가이드 홀(210c)에 삽입되어 역시 메인 브라켓(210) 외부로 돌출되게 되는 록플레이트 핀(213)이 설치된다.
상기 스프링 고정핀(215)은 캠(214)의 회전에 따라 제1가이드 홀(210b)을 따라 안내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록플레이트 핀(213) 또한 록플레이트(212)의 회전에 따라 제2가이드 홀(210c)을 따라 안내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 고정핀(215)과 록플레이트 핀(213) 사이에는 리턴 스프링(218)이 연결 설치되는 바, 이 리턴 스프링(218)의 탄성복원력은 스트라이커(15)가 록플레이트(212)의 록킹홈(212b)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록플레이트(212)를 캐칭전 상태로 회전시키는 힘으로 작용하게 된다.
도 11a와 도 11b에서 도면부호 215는 스프링 고정핀의 설치위치를, 도면부호 213은 록플레이트 핀의 설치위치를 각각 나타낸다.
또한, 상기 록플레이트 핀(213)의 선단부는 록플레이트(212)가 스트라이커(15)를 캐칭하는 상태, 즉 록킹상태로 회전할 때 후술하는 지시 브라켓(220)의 하단 핀(222)을 밀어주도록 되어 있다.
상기 지시 브라켓(220)은 레그 커버(16) 안쪽면에서도 지시홀(16a) 주변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레그 커버(16) 안쪽면과 마주보게 되는 지시 브라켓(220)의 바깥면에는 적색 및 녹색의 원형 표시부(221a,221b)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지시 브라켓(220)의 회전중심에는 지시 브라켓(220)과 레그 커버(16) 사이에 리턴 스프링(223)이 설치되어 있는 바, 이 리턴 스프링(223)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지시 브라켓(220)은 어떠한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 도 10b의 회전위치를 유지하게 되며, 이때 적색의 원형 표시부(221a)가 레그 커버(16)의 지시홀(16a)을 통해 바깥쪽에서 보일 수 있도록 레그 커버(16)의 지시홀(16a) 위치가 설정되어 있다.
한편, 도면부호 224는 후방 로울러를 나타내며, 이는 메인 브라켓(210) 일측에 장착된다.
이하, 첨부한 도 4a ~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a의 상태는 시트가 장착되기 전 상태를 나타내며, 시트를 장착하기 위하여 전단 록킹부(100)의 메인 브라켓(110)에 설치된 로울러(128)를 제1스트라이커(12) 후방쪽의 스트라이커 커버 경사면(14b)에 위치시킨 상태이다.
이때, 전방 메인 브라켓(110)은 레그 프레임(10)을 기준으로 하여 스파이어럴 스프링(122)에 의해 최대 전방 회전위치로 유지된다.
이 스파이어럴 스프링(122)은 도 5a, 도 6a 및 도 7a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최대 전방 회전위치에서는,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 메인 브라 켓(110)이 레그 프레임(10) 전단부의 걸림턱(10a)에 걸려진 상태로 그 이상의 전방 회전이 구속된 상태가 된다.
물론, 도 6b는 레그 프레임(10)이 들어 올려진 상태, 즉 도 4c의 더블폴딩시 상태를 나타낸 것이나, 도 4a의 상태에서 전방 메인 브라켓(110)이 최대로 전방 회전된 상태가 도 4b 및 도 4c의 상태와 동일하므로 참고가 가능하다.
한편, 도 4a의 상태에서, 후단 록킹부(200)은 연결바(126)에 의해 전방으로 당겨져 전방 접힘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때 전단 록킹부(100)의 제1록플레이트(112)와 제2록플레이트(114)는 스트라이커(12,13)와 록킹되기 전까지 상시 캐칭상태로 되어 있다.
즉, 제1록플레이트(112)는 도 6b와 같이 캠(118)을 누르고 있는 제1리턴 스프링(120)의 힘에 의해 도 6a와 같은 캐칭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제2록플레이트(114)는 메인 브라켓(110)과의 사이에 설치된 도 6a의 제2리턴 스프링(115)이 당기는 힘에 의해 도 6b와 같은 캐칭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물론, 도 6a와 도 6b는 록플레이트(112,114)가 스트라이커(12,13)를 직접 캐칭하고 있는 상태를 보여주고 있으나, 도 4a는 록킹전 상태, 아직은 전단 록킹부(100)가 스트라이커(12,13)와 분리된 상태이므로, 각 록플레이트(112,114)의 상시 캐칭상태는 도 6a와 도 6b에서 스트라이커가 없다고 생각하면 참고가 가능하다.
또한, 도 4a의 상태에서, 후단 록킹부(200) 또한 록킹 전 상태이므로 레그 커버(16)의 지시홀(16a)에는 도 8b와 같이 적색이 표시되며, 이러한 적색 표시는 도 4d의 상태 전까지는 계속 표시된다.
또한, 후단 록킹부(200)의 상태는 도 4c와 도 12에 도시한 더블폴딩시의 상태와 동일하다.
한편, 도 4a의 상태에서 시트를 전방으로 밀게 되면 제1록플레이트(112)가 제1스트라이커(12)에 자동 록킹되어 결국 도 4b의 상태가 된다.
도 4b는 제1록플레이트(112)가 스트라이커(12)를 캐칭한 상태, 즉 제1록플레이트(112)의 록킹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4b의 상태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시트를 전방으로 밀게 되면 전방 로울러(128)가 스트라이커 커버(14)의 경사면(14b)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로울러(128)의 경사면 이동 중 제1스트라이커(12)가 제1록플레이트(112)의 하단 경사면(112c)에 접촉되면서 제1록플레이트(112)가 시계방향으로 순간 회전됨과 동시에 제1스트라이커(12)는 제1록플레이트(112)의 록킹홈(112b)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제1스트라이커(12)가 제1록플레이트(112)의 록킹홈(112b)에 삽입된 후에는 제1록플레이트(112)가 캠(118)을 누르고 있는 제1리턴 스프링(120)의 힘에 의해 다시 캐칭상태로 순간 원복되는 바, 결국 제1록플레이트(112)는 스트라이커(12)를 캐칭한 상태로 유지된다.
이러한 전환과정에서 사용자가 시트를 전방으로 미는 힘에 의해 제1스트라이커(12)가 제1록플레이트(112)의 하단 경사면(112c)을 밀면서 록킹홈(112b) 내로 들어가게 되며, 이때 제1록플레이트(112)는 캠(118)을 누르고 있는 스프링(118)의 힘을 극복하면서 순간 회전된 후 원복되어 제1스트라이커(12)를 물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4c는 제2록플레이트(114)가 스트라이커(13)를 캐칭한 상태, 즉 제2록플레이트(114)의 록킹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다.
특히, 도 4c의 상태는 제1 및 제2록플레이트(112,114)가 모두 스트라이커(12,13)를 물고 있는 상태로서, 시트의 더블폴딩시 상태이며, 전단 록킹부(100)의 록킹이 모두 완료된 상태이다.
이러한 도 4b에서 도 4c로 전환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제1록플레이트(112)가 제1스트라이커(12)를 물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시트 뒷쪽을 들어올린 후 전단 록킹부(100)의 제2록플레이트(114)쪽을 순간 누르게 되면, 제2록플레이트(114)가 제2스트라이커(13)를 물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제2록플레이트(114)쪽을 눌렀을 때, 제2스트라이커(13)가 제2록플레이트(114)의 하단 경사면(114c)에 접촉되면서 제2록플레이트(114)가 반시계방향으로 순간 회전됨과 동시에 제2스트라이커(13)는 제2록플레이트(114)의 록킹홈(114b)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제2스트라이커(13)가 제2록플레이트(114)의 록킹홈(114b)에 삽입된 후에는 제2록플레이트(114)가 제2리턴 스프링(도 6a의 도면부호 115)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다시 캐칭상태로 순간 원복되는 바, 결국 제2록플레이트(114)는 스트라이커(13)를 캐칭한 상태로 유지된다.
이러한 전환과정에서 사용자가 누르는 힘에 의해 제2스트라이커(13)가 제2록플레이트(114)의 하단 경사면(114c)을 밀면서 록킹홈 내로 들어가게 되며, 이때 제2록플레이트(114)는 제2리턴 스프링(115)을 인장시키면서 순간 회전된 후 제2리 턴 스프링(115)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다시 원복되어 제2스트라이커(13)를 물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전단 록킹부(100)의 록킹과정은 도 4b의 제1록플레이트(112) 록킹과 도 4c의 제2록플레이트(114) 록킹으로 완성되는 2단계 록킹과정으로 되어 있으며, 전단 록킹부(100)의 모든 록킹과정이 사용자가 시트를 밀고 세우는 조작에 의해 자동으로 수행된다.
여기서, 제1 및 제2록플레이트(112,114)의 하단 경사면(112c,114c) 각도는, 록킹과정이 시트를 밀고 세우는 조작에 의해 자동 수행될 수 있도록, 해당 스트라이커(12,13)의 전후 위치 및 높이, 스트라이커 커버(14)의 경사면(14b) 구조를 고려하여 적절히 설정되어야 함은 당연할 것이다.
한편, 도 4d는 후단 록킹부(200)의 록킹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시트 전체가 전방 및 후단 록킹부(100,200)에 의해 차체에 완전 고정되어 시트 장착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4d의 상태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시트 뒷쪽을 아래로 회전시킨 후 후단 록킹부(200)의 메인 브라켓 요입홈(210d)에 스트라이커(15)가 넣어지도록 순간 누르게 되면, 스트라이커(15)가 후단 록킹부(200)의 록플레이트(210)를 밀면서 그 록킹홈(212b) 내로 들어가는 바, 록플레이트(212)는 리턴 스프링(도 10b의 도면부호 218)을 당기면서 도 11b의 반시계방향(도 10b의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결국 리턴 스프링(218)이 캠(214)의 선단부를 당겨주어 캠(214)의 선단부가 록플레이트(212)의 걸림턱(212c)에 걸림과 동시에, 록플레이트(212)가 도 10a 및 도 11a 와 같이 스트라이커(15)를 물게 된다.
이때, 상기 캠(214)은 록플레이트(212)의 걸림턱(212c)에 걸리어 록플레이트(212)의 회전을 구속하는 바, 록킹상태가 계속해서 유지되게 된다.
또한, 록플레이트(212)가 도 10b의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록플레이트 핀(213)은 지시 브라켓(220)의 핀(222)을 하측으로 밀어주는 바, 이에 지시 브라켓(220)이 그 회전중심을 중심으로 도 10b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결국 레그 커버(16)의 지시홀(16a)에는 바깥쪽으로 녹색의 원형 표시부(221b)가 보이게 된다(도 8a).
한편, 시트의 탈거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후단 록킹부(200)의 록킹을 먼저 해제한다.
즉, 도 10a 및 도 11a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후단 록킹부(200)의 해제레버(226)를 상방향으로 들어올리게 되면, 캠(214)이 도 11a 및 도 11b의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록플레이트(212)의 걸림턱(212c)에서 빠지게 된다.
이때, 캠(214)은 리턴 스프링(도 10a와 도 10b에서 도면부호 218)을 통해 록플레이트 핀(213)을 당겨주는 바, 결국 록플레이트(212)가 회전하여 스트라이커(15)와의 록킹이 해제된다.
이때, 록플레이트 핀(213)이 지시 브라켓(220)의 핀(222)을 누르는 힘이 해제되면서 지시 브라켓(220)은 그 회전중심에 설치된 리턴 스프링(223)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도 10b의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결국 레그 커버(16)의 지시홀(16a)에는 바깥쪽으로 적색의 원형 표시부(221a)가 보이게 된다(도 8b).
상기와 같이 후단 록킹부(200)의 록킹이 해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시트를 놓게 되면, 레그 프레임(10)의 전단부에 설치된 스파이어럴 스프링(122)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시트 뒷쪽이 들어올려지면서 레그 프레임(10)이 전방으로 자동 젖혀지는 바, 앞서 설명한 도 4c의 더블폴딩상태가 된다.
여기서, 스파이어럴 스프링(122)은 후단 록킹부(200)의 록킹해제시 레그 프레임(10)이 항상 상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시트가 더블폴딩상태로 전환되면서 후단 록킹부(200)는 연결바(126)에 의해 다시 전방으로 젖혀지게 된다.
결국, 본 발명의 록킹장치에 의하면, 후단 록킹부(200)의 록킹을 해제하기만 하면 시트가 종래 록킹장치의 적용시에 불가능하였던 더블폴딩상태가 자동으로 수행되며, 이와 같은 더블폴딩상태에서 시트를 보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시트를 완전히 탈거하기 위해서는 도 4c의 더블폴딩상태에서 전단 록킹부의 록킹을 해제하면 되는 바,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a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단 록킹부(100)의 해제레버(116)를 상방으로 당겨 들어올리게 되면, 제2록플레이트(114)가 해제레버(116)와 함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스트라이커(13)와의 록킹이 해제된다.
또한, 제2록플레이트(114)는 회전시 캠(118)을 상방으로 들어올리는 역할을 하는 바, 캠(118)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제1록플레이트(112)는 제2록플레이트(114)와는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스트라이커(12)와의 록킹이 해제된다.
한편, 사용자가 전단 록킹부(100)를 스트라이커(12,13)와 완전히 분리시킨 후 해제레버(116)를 놓게 되면, 제2록플레이트(114)는 제2리턴 스프링(115)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다시 반대 회전하여 캐칭상태가 되며, 제1록플레이트(112) 역시 캠(118)을 누르고 있는 제1리턴 스프링(120)의 힘에 의해 다시 반대 회전하여 캐칭상태가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탈착식 시트의 록킹장치에 의하면, 간편하게 시트의 탈/장착을 수행할 수 있고, 특히 시트의 완전 탈거는 물론 더블폴딩까지 가능해지며, 후단 록킹부에 록킹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별도의 메커니즘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록킹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특히, 본 발명이 적용된 시트에서는 더블폴딩이 가능하므로 종래와 같이 시트를 차체로부터 완전 분리해 따로 세워 놓거나 차량 외부에 보관해야 하는 불편함이 없어지고, 승객의 승하차가 편리해진다.
또한, 사용자가 시트의 완전 록킹상태로 잘못 판단하는 경우가 없어지며, 이에 시트 안전성이 보다 향상되어지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18)

  1. 차량용 탈착식 시트의 록킹장치에 있어서,
    시트 하부의 레그 프레임 전단 및 후단에 각각 설치되어 스트라이커와 결합된 상태에서 레그 프레임을 지지하게 되는 메인 브라켓을 가지며, 록플레이트에 의해 스트라이커 커버 안쪽으로 고정 설치된 스트라이커에 선택적으로 록킹/해제되는 전단 및 후단 록킹부와;
    상기 전단 록킹부가 스트라이커에 록킹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후단 록킹부의 록킹해제시 상기 레그 프레임이 상기 전단 록킹부를 중심으로 더블폴딩상태로 회전될 수 있게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부재;
    상기 전단 록킹부와 후단 록킹부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전단 록킹부와 후단 록킹부의 전/후 회전을 상호 연동시키는 연결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탈착식 시트의 록킹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단 록킹부는,
    상기 레그 프레임의 전단에 전방 접힘이 가능하도록 전/후로 회전될 수 있게 설치되고, 스트라이커가 넣어질 수 있게 요입홈이 형성되어 있으면서 스트라이커 커버 저면을 이동하는 로울러를 가지는 메인 브라켓과;
    이 메인 브라켓의 요입홈에 스트라이커가 넣어지면서 상기 메인 브라켓에서 탄력 회전하여 스트라이커에 선택적으로 록킹/해제되는 록플레이트와;
    상기 록플레이트를 상시 캐칭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부재와;
    상기 록플레이트를 해제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설치되는 해제레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탈착식 시트의 록킹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단 록킹부의 2단계 록킹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록플레이트가 후방의 제1스트라이커와 전방의 제2스트라이커에 각각 록킹/해제되어지는 두 개의 록플레이트로 구성되고,
    상기 두 개의 록플레이트 중 전방의 제2스트라이커에 록킹/해제되는 제2록플레이트는 메인 브라켓과의 사이에 설치되어 당김력을 제공하는 제2리턴 스프링에 의해 상시 캐칭상태를 유지하고, 후방의 제1스트라이커에 록킹/해제되는 제1록플레이트는 그 회전중심에 고정된 캠 및 이 캠의 선단부가 상기 제2록플레이트의 걸림턱에서 걸림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제1리턴 스프링에 의해 상시 캐칭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탈착식 시트의 록킹장치.
  4. 삭제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리턴 스프링은, 그 일단이 상기 메인 브라켓의 스프링 고정핀에 고정된 상태에서 그 타단이 상기 캠의 선단부를 상측에서 하측으로 탄성 지지하여, 캠 선단부가 제2록플레이트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탈착식 시트의 록킹장치.
  6. 삭제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해제레버는 일측 단부가 상기 제2록플레이트의 회전중심 및 안쪽면에 고정되어, 해제레버 회전 조작시 제2록플레이트가 함께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탈착식 시트의 록킹장치.
  8. 삭제
  9. 삭제
  10.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단 록킹부의 메인 브라켓이 그 회전중심에 시트 좌측과 우측으로 연결 설치된 회전봉의 양 단부가 고정되어 레그 프레임 상에서 회전봉과 함께 회전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부재는 안쪽의 중심단이 상기 회전봉의 끝단에, 바깥쪽의 타단이 상기 레그 프레임에 고정되어 설치된 스파이어럴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탈착식 시트의 록킹장치.
  11.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단 록킹부의 메인 브라켓은 그 회전중심을 중심으로 최대 전방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레그 프레임의 전단부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리는 동시에 상기 스프링부재의 탄성력을 받으면서 그 회전하려는 힘이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랴용 탈착식 시트의 록킹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단 록킹부는,
    상기 레그 프레임의 후단에 전방 접힘이 가능하도록 전/후로 회전될 수 있게 설치되고, 스트라이커가 넣어질 수 있게 요입홈이 형성된 메인 브라켓과;
    상기 메인 브라켓의 요입홈에 스트라이커가 넣어지면서 이 스트라이커가 일측의 록킹홈 내에 삽입됨과 동시에 미는 힘에 의해 메인 브라켓에서 회전하여 스트라이커와의 록킹이 이루어지는 록플레이트와;
    상기 메인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록플레이트의 걸림턱에 걸리어 록플레이트를 록킹상태에서 회전구속하게 되는 캠과;
    상기 록플레이트와 캠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캠의 선단부를 록플레이트의 걸림턱 상에 유지시키기 위한 당김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부재와;
    일단이 상기 캠의 회전중심에 고정 설치되어 록플레이트의 록킹해제시 회전조작에 의해 선단부가 걸림턱으로부터 빠져나오도록 캠을 회전시키게 되는 해제레버와;
    상기 록플레이트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레그 프레임 바깥쪽으로 설치되는 레그 커버의 지시홀을 통해 록킹 또는 해제상태를 표시하도록 구비되는 상태 지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탈착식 시트의 록킹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재는,
    상기 캠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 브라켓의 제1가이드 홀에서 삽입 안내되는 스프링 고정핀과, 상기 록플레이트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 브라켓의 제2가이드 홀에서 삽입 안내되는 록플레이트 핀 사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탈착식 시트의 록킹장치.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메인 브라켓의 회전중심에는 상기 레그 프레임과의 사이에서 전방으로 접혀진 메인 브라켓을 다시 후방 회전시키기 위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리턴 스 프링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탈착식 시트의 록킹 장치.
  15. 청구항 12 내지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상태 지시부는,
    상기 레그 커버의 안쪽면에 지시홀 주변으로 상기 록플레이트의 회전에 연동하는 지시 브라켓을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지시 브라켓의 양측단에는 레그 커버의 지시홀을 통하여 선택적으로 노출되어 외부에서 식별할 수 있도록 색깔 구분된 두 개의 원형 표시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탈착식 시트의 록킹장치.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지시 브라켓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그 타단에는 록플레이트가 록킹상태로 회전될 때 지시 브라켓 전체가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록플레이트 핀이 밀게 되는 브라켓 핀이 돌출 설치되고, 상기 회전중심에는 상기 록플레이트 핀의 미는 힘이 해제될 때 상기 지시 브라켓을 반대로 회전시키기 위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리턴 스프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탈착식 시트의 록킹장치.
  17. 삭제
  1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바는, 일단이 상기 전단 록킹부의 메인 브라켓에 설치된 힌지핀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이 그 길이상으로 형성시킨 장공에 상기 후단 록킹부의 메인 브라켓에 설치된 가이드 핀이 끼워져서 설치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탈착식 시트의 록킹장치.
KR1020030078837A 2003-11-08 2003-11-08 차량용 탈착식 시트의 록킹장치 KR1005518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8837A KR100551843B1 (ko) 2003-11-08 2003-11-08 차량용 탈착식 시트의 록킹장치
US10/982,141 US7213881B2 (en) 2003-11-08 2004-11-05 Locking device for a detachable vehicle seat
DE102004053811A DE102004053811B4 (de) 2003-11-08 2004-11-08 Verriegelungsvorrichtung für einen abnehmbaren Fahrzeugsitz
CNA2004100907227A CN1613684A (zh) 2003-11-08 2004-11-08 可拆卸车座的锁紧装置
JP2004323468A JP2005138836A (ja) 2003-11-08 2004-11-08 車両用脱着式シートのロック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8837A KR100551843B1 (ko) 2003-11-08 2003-11-08 차량용 탈착식 시트의 록킹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4940A KR20050044940A (ko) 2005-05-16
KR100551843B1 true KR100551843B1 (ko) 2006-02-13

Family

ID=34309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8837A KR100551843B1 (ko) 2003-11-08 2003-11-08 차량용 탈착식 시트의 록킹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213881B2 (ko)
JP (1) JP2005138836A (ko)
KR (1) KR100551843B1 (ko)
CN (1) CN1613684A (ko)
DE (1) DE102004053811B4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11447A1 (ko) * 2018-11-26 2020-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청정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503310C (zh) * 2003-06-05 2009-06-24 英提尔汽车公司 自动翻转和滑移的车座组件
KR100569945B1 (ko) * 2004-04-27 2006-04-1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트의 더블폴딩 고정을 위한 록킹기구
JP5002160B2 (ja) * 2006-01-26 2012-08-15 中央発條株式会社 渦巻ばねアセンブリおよび外内端荷重の制御方法
DE102006020409B4 (de) * 2006-05-03 2021-03-25 Volkswagen Ag Ver- und Entriegelungsvorrichtung zum lösbaren Verbinden eines entnehmbaren Fahrzeugsitzes (Three step out seat)
KR100837911B1 (ko) 2006-12-06 2008-06-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더블폴딩 시트의 리어캐치 이동구조
DE202007018096U1 (de) * 2007-12-21 2008-03-13 Kintec-Solution Gmbh Möbel
US7775599B2 (en) * 2008-03-14 2010-08-17 Lear Corporation Vehicle seat assembly with fore-AFT adjustable back portion
KR100895956B1 (ko) * 2008-11-18 2009-05-08 주식회사 오스템 차량용 시트조절장치
US8246088B2 (en) * 2009-06-17 2012-08-21 Honda Motor Co., Ltd. Cover for fully concealed striker
US8182015B2 (en) * 2009-08-05 2012-05-22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Rear vehicle seat release and carrying handle
CN101886648B (zh) * 2010-05-26 2012-02-08 中国农业大学 弹簧式平行杆连接器
DE102010051820A1 (de) * 2010-11-18 2012-05-2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Kraftfahrzeug mit schwenkbarem Rücksitzmodul
US8720997B2 (en) * 2012-02-28 2014-05-13 Nissan North America, Inc. Seat latch indicator
DE102012013208B4 (de) 2012-05-07 2019-07-25 Adient Luxembourg Holding S.À R.L. Sitzteil eines Fahrzeugsitzes
CN104284799B (zh) 2012-05-07 2017-03-22 约翰逊控制技术公司 用于垂直调节车辆座椅的座椅调节装置
DE102012020269B4 (de) * 2012-07-31 2021-01-07 Adient Luxembourg Holding S.À R.L. Verriegelungsvorrichtung für einen Fahrzeugsitz und Fahrzeugsitz
US11304528B2 (en) 2012-09-20 2022-04-19 Steelcase Inc. Chair assembly with upholstery covering
US8998339B2 (en) 2012-09-20 2015-04-07 Steelcase Inc. Chair assembly with upholstery covering
US11229294B2 (en) 2012-09-20 2022-01-25 Steelcase Inc. Chair assembly with upholstery covering
JP5982687B2 (ja) * 2012-10-31 2016-08-31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シートロック装置
DE102013221540A1 (de) 2013-10-23 2015-04-23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riegelungsanzeige für einen Fahrzeugsitz, Fahrzeugsitz, Kraftfahrzeug und Verfahren zum Verriegeln eines Fahrzeugsitzes
US9919620B2 (en) 2016-03-08 2018-03-20 Honda Motor Co., Ltd. Removable seat for a motor vehicle
KR101816681B1 (ko) * 2016-07-18 2018-02-22 현대다이모스(주) 폴딩형 구조물 록킹장치
EP3626520B1 (de) * 2018-09-19 2021-03-31 Grammer Ag Abdeckungsvorrichtung für fahrzeugsitze
CN115322861B (zh) * 2022-09-20 2023-10-20 江西瑞昌山药御酒养生有限公司 一种山药酒加工用澄清除臭设备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98051A (en) * 1994-03-07 1996-03-12 Hoover Universal, Inc. Tumble forward seat
DE29522335U1 (de) * 1995-12-01 2002-04-11 Brose Fahrzeugteile Vorrichtung zur lösbaren Verbindung eines Fahrzeugsitzes mit dem Fahrzeugboden
JPH1081161A (ja) * 1996-09-10 1998-03-31 Kanto Auto Works Ltd 格納シートのロック状態表示機構
JP3609217B2 (ja) * 1996-09-30 2005-01-12 株式会社大井製作所 ロック装置
JPH10147168A (ja) 1996-11-18 1998-06-02 Toyota Auto Body Co Ltd 車両用シート
DE19846031C2 (de) * 1997-10-08 2002-01-17 Mitsubishi Motors Corp Lösbarer Klappsitz
JP3303742B2 (ja) * 1997-10-09 2002-07-22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シート装置
US6361098B1 (en) * 1999-03-17 2002-03-26 Daimlerchrysler Corporation Seat riser fold and tumble mechanism
US7073862B2 (en) * 2003-07-31 2006-07-11 Intier Automotive Inc. Tumble seat assembly having locking stru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11447A1 (ko) * 2018-11-26 2020-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청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4053811B4 (de) 2007-01-11
DE102004053811A1 (de) 2005-06-23
JP2005138836A (ja) 2005-06-02
US20050062326A1 (en) 2005-03-24
US7213881B2 (en) 2007-05-08
KR20050044940A (ko) 2005-05-16
CN1613684A (zh) 2005-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1843B1 (ko) 차량용 탈착식 시트의 록킹장치
US7393056B2 (en) Vehicle seat release assembly
EP1582397B1 (en) Seat device for a vehicle and vehicle provided therewith
KR100590963B1 (ko) 차량용 탈착식 시트를 위한 롱 슬라이드형 레일
US5911465A (en) Rear seat attachment apparatus for vehicle
JP4147564B2 (ja) 車両用シート支持装置
AU2007345867B2 (en) Structure for storing vehicular seat
ES2305733T3 (es) Dispositivo de reclinacion de respaldo de asiento para vehiculos.
KR100569945B1 (ko) 차량용 시트의 더블폴딩 고정을 위한 록킹기구
EP1997674B1 (en) Tip-up type automotive seat
CA2407882A1 (en) Dismountable seat for an automobile capable of being automatically tumbled and mounted in a face-to-face manner
JP4437977B2 (ja) シート装置
JP2004330991A (ja) 車両用シート装置
KR100340762B1 (ko) 자동차용 탈착식 시트
JP3639537B2 (ja) 車両のスライドシート
CN214057302U (zh) 一种易进出座椅的翻起保持机构
JP2570900Y2 (ja) 車両用シ−ト構造
JP3664329B2 (ja) 車両用乗降装置
JPH0532348Y2 (ko)
JP3165059B2 (ja) 自動車リヤシートのスライド装置
JP4485349B2 (ja) 車両用シート
JP3455117B2 (ja) 自動車のシート装置
JP2004129757A (ja) 車両用シート
JP2005014803A (ja) 車両用シートのスライド構造
JP4027156B2 (ja) 座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