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6503A - 다공성 필름의 제조 방법 및 다공성 필름 - Google Patents
다공성 필름의 제조 방법 및 다공성 필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50086503A KR20050086503A KR1020057008352A KR20057008352A KR20050086503A KR 20050086503 A KR20050086503 A KR 20050086503A KR 1020057008352 A KR1020057008352 A KR 1020057008352A KR 20057008352 A KR20057008352 A KR 20057008352A KR 20050086503 A KR20050086503 A KR 2005008650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lm
- porous film
- average
- substrate
- polyme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5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3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8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29920003169 water-soluble poly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1112 coagul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2798 polar solv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12298 atmospher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1747 exhibit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1
- SECXISVLQFMRJM-UHFFFAOYSA-N N-Methylpyrrolidone Chemical compound CN1CCCC1=O SECXISVLQFMR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9
- IJGRMHOSHXDMSA-UHFFFAOYSA-N Atomic nitrogen Chemical compound N#N IJGRMHOSHXDMS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239000004695 Polyether sulf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29920006362 Teflon® Polymers 0.000 description 7
- 239000011259 mixed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29920006393 polyether sulfone Polymers 0.000 description 7
- -1 For examp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0614 phase inversion technique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4962 Polyamide-i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2312 polyamide-i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809 Tefl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635 electron micrograph Methods 0.000 description 4
- 150000003949 im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57 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191 phase sepa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0036 polyvinylpyrrolidon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1267 polyvinylpyrrolid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3855 polyvinylpyrrolido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550 stock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YCKRFDGAMUMZLT-UHFFFAOYSA-N Fluorine atom Chemical compound [F] YCKRFDGAMUMZL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OKKJLVBELUTLKV-UHFFFAOYSA-N Methanol Chemical compound OC OKKJLVBELUTLK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ZMXDDKWLCZADIW-UHFFFAOYSA-N N,N-Dimethylformamide Chemical compound CN(C)C=O ZMXDDKWLCZADI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31 flu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737 fluo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8204 material by fun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471 micro-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IAZDPXIOMUYVGZ-UHFFFAOYSA-N Dimethylsulphoxide Chemical compound CS(C)=O IAZDPXIOMUYVG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PEDCQBHIVMGVHV-UHFFFAOYSA-N Glycerine Chemical compound OCC(O)CO PEDCQBHIVMGVH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FXHOOIRPVKKKFG-UHFFFAOYSA-N N,N-Dimethylacetamide Chemical compound CN(C)C(C)=O FXHOOIRPVKKKF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02 Polyethylene glyc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PPBRXRYQALVLMV-UHFFFAOYSA-N Styrene Chemical compound C=CC1=CC=CC=C1 PPBRXRYQALVLM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50000001298 alcoh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466 perme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058 polyacry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223 polyethylene glycol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343 polytetrafluoro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810 polytetrafluoro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3457 sulfo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77 Nyl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33 PVDF bin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171 Poly (ethylene ox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42 Polyi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72 Polyvinyl alcoh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125 Sokala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BZHJMEDXRYGGRV-UHFFFAOYSA-N Vinyl 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C BZHJMEDXRYGGR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336 alke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408 am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78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913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301 cellulose acet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89 chemical engine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45 coag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271 coag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676 glyca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187 glycer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778 nyl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JRZJOMJEPLMPRA-UHFFFAOYSA-N olefin Natural products CCCCCCCC=C JRZJOMJEPLMPR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85 plastic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492 poly(sulfo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84 polyacryl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17 polycarbo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15 polycarbon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721 polyi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959 polymer blend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306 polymethylpent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16 polymethylpent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098 polyolef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672 polyolefin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462 polypropylene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82 polysaccha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17 polysaccha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451 polyvinyl alcohol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20 polyvinyl fluo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981 polyvinylidene fluo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HNJBEVLQSNELDL-UHFFFAOYSA-N pyrrolidin-2-one Chemical compound O=C1CCCN1 HNJBEVLQSNELD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04 solid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5846 sugar alcohols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108 ultra-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00 void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13 weake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1/00—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 B29C41/02—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1/12—Spreading-out the material on a substrate, e.g. on the surface of a liqui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02—Organic membrane manufacture
- B01D67/0009—Organic membrane manufacture by phase separation, sol-gel transition, evaporation or solvent quenching
- B01D67/0016—Coagul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02—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propert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1/00—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 B29C41/24—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7/00—Producing 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D7/01—Films or sheet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28—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by elimination of a liquid phase from a macromolecular composition or article, e.g. drying of coagulu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02—Details relating to pores or porosity of the membranes
- B01D2325/0283—Pore siz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04—Characteristic thicknes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20—Specific permeability or cut-off rang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79/00—Use of polymers hav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in the main chain,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9K2061/00 - B29K2077/00, as moulding material
- B29K2079/08—PI, i.e. polyimides or derivatives thereof
- B29K2079/085—Thermoplastic polyimides, e.g. polyesterimides, PEI, i.e. polyetherimides, or polyamideimides; Derivatives thereof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4—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ellular or porou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37—Other properties
- B29K2995/0068—Permeability to liquids; Adsorp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55—Membranes, diaphragm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53—Composite having voids in a component [e.g., porous, cellular, etc.]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53—Composite having voids in a component [e.g., porous, cellular, etc.]
- Y10T428/249955—Void-containing component partially impregnated with adjacent component
- Y10T428/249958—Void-containing component is synthetic resin or natural rubbe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53—Composite having voids in a component [e.g., porous, cellular, etc.]
- Y10T428/249961—With gradual property change within a component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53—Composite having voids in a component [e.g., porous, cellular, etc.]
- Y10T428/249978—Voids specified as micro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53—Composite having voids in a component [e.g., porous, cellular, etc.]
- Y10T428/249978—Voids specified as micro
- Y10T428/249979—Specified thickness of void-containing component [absolute or relative] or numerical cell dimens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공성 필름의 제조 방법은 고분자 용액을 기판상에 필름형으로 캐스팅하고, 상 전환법에 의해 다공성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이며, 상기 다공성 필름을 구성하는 고분자의 표면 장력 Sa [mN/m]와 기판의 표면 장력 Sb [mN/m]의 차(Sa-Sb)가 -10 이상이 되는 고분자 및 기판을 사용한다. 이 방법에 의하면, 필름 표면의 개공율이 높으며, 필름의 표면으로부터 내부에 걸쳐 균질한 미소 구멍을 갖는 다공성 필름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공성 필름은 연통성을 갖는 미소 구멍이 다수개 존재하는 다공성 필름이며, 이 필름의 두께가 5 내지 200 ㎛이고, 필름의 양 표면에 대해서 표면의 평균 공경이 0.01 내지 10 ㎛, 표면의 평균 공경 A와 내부의 평균 공경 B의 비율 A/B가 0.3 내지 3, 또한 표면의 평균 개공율 C와 내부의 평균 개공율 D의 비율 C/D가 0.7 내지 1.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표면에 실질적으로 스킨층(치밀층)을 갖지 않고, 연속 미소 구멍이 다수개 형성된 다공성 필름에 관한 것이다. 이 다공성 필름은 정밀 여과, 분리 농축 등의 막 분리 기술이나, 그의 공공(空孔) 특성을 그대로 이용하거나 또는 공공을 기능성 재료로 충전함으로써, 전지용 격리판, 전해 콘덴서, 회로용 기판 등 광범위한 기판 재료로서의 이용이 가능하다.
종래, 다공성 필름을 구성하는 소재로서, 아미드이미드계 중합체나 이미드계 중합체, 술폰계 중합체, 불소계 중합체, 올레핀계 중합체 등의 고분자 화합물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소재를 포함하는 다공성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예를 들면 상기 고분자 화합물을 포함하는 혼합액을 필름형으로 캐스팅(流延)한 후에 응고액에 유도하는 방법(상 전환법)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 고분자 화합물을 소재로 하여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한 필름 표면에는 스킨층(치밀층)이 존재하고, 실질적인 개공부가 존재하지 않거나, 존재하더라도 그 개공율이 낮았다. 예를 들면, 이미드계 중합체를 소재로 한 다공성 필름으로서, 폴리이미드를 포함하는 다공막이나 그의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지만(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2001-67643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2001-145826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2000-319442호 공보 참조), 이들은 표면에 구멍을 열기 위해 용매 치환 속도 조정 재료를 통해 제조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그의 제조 공정이 복잡할뿐만 아니라 충분한 개공율과 투과성을 갖는 것은 아니라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필름 표면의 개공율이 높으며, 필름의 표면으로부터 내부에 걸쳐 균질한 미소 구멍을 갖는 다공성 필름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다공성 필름을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고분자의 표면 장력과 기판의 표면 장력의 차이가 특정값 이상인 고분자 및 기판을 사용하고, 상기 고분자를 포함하는 혼합 용액을 상기 기판상에 필름형으로 캐스팅하여 상 전환시킴으로써, 기판에 접촉하고 있던 측의 필름 표면에도 높은 개공율과 균질한 미소 구멍을 갖는 다공성 필름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은 고분자 용액을 기판상에 필름형으로 캐스팅하여, 상 전환법에 의해 다공성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이며, 이 다공성 필름을 구성하는 고분자의 표면 장력 Sa[mN/m(=dyn/cm)]와 기판의 표면 장력 Sb[mN/m(=dyn/cm)]의 차(Sa-Sb)가 -10 이상이 되는 고분자 및 기판을 사용하는 다공성 필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예를 들면, 다공성 필름을 구성하는 소재가 되는 고분자 성분 8 내지 25 중량%, 수용성 중합체 10 내지 50 중량%, 물 0 내지 10 중량%, 수용성 극성 용매 30 내지 82 중량%를 포함하는 혼합 용액을 고분자 용액으로서 기판상에 필름형으로 캐스팅한 후 응고액으로 유도하고 상 전환시켜 다공성 필름을 얻는 방법일 수도 있으며, 필름형으로 캐스팅할 때 상기 필름을 상대 습도 70 내지 100 %, 온도 15 내지 90 ℃를 포함하는 분위기하에 0.2 내지 15 분간 유지한 후, 고분자 성분의 비용제를 포함하는 응고액으로 유도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통성을 갖는 미소 구멍이 다수개 존재하는 다공성 필름이며, 상기 필름의 두께가 5 내지 200 ㎛이고, 필름의 양 표면에 대해서 표면의 평균 공경이 0.01 내지 10 ㎛, 표면의 평균 공경 A와 내부의 평균 공경 B의 비율 A/B가 0.3 내지 3, 또한 표면의 평균 개공율 C와 내부의 평균 개공율 D의 비율 C/D가 0.7 내지 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필름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연통성을 갖는 미소 구멍이 다수개 존재하는 다공성 필름이며, 상기 필름의 두께가 5 내지 200 ㎛, 필름 양면의 평균 공경 A1, A2가 모두 0.01 내지 10 ㎛, 필름 양면의 평균 개공율 C1, C2가 모두 48 % 이상이며, 또한 한쪽 표면의 평균 공경 A1과 다른쪽 표면의 평균 공경 A2의 비율 A1/A2가 0.3 내지 3, 한쪽 표면의 평균 개공율 C1과 다른쪽 표면의 평균 개공율 C2의 비율 C1/C2가 0.7 내지 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고분자 성분을 포함하는 혼합 용액이 기판상에서 양호한 상 분리 구조를 이루기 때문에, 기판측 표면의 개공율이 향상되고 균질한 미소 구멍이 형성된 다공성 필름을 간편하게 얻을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다공성 필름은 정밀 여과, 분리 농축 등의 막 분리 기술에 이용할 수 있는 것 이외에, 그 공공을 기능성 재료로 충전함으로써 전지용 격리판, 전해 콘덴서, 회로용 기판 등 광범위한 기판 재료로서의 이용이 가능하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서는 다공성 필름을 구성하는 소재가 되는 고분자 성분을 포함하는 고분자 용액을 기판상에 필름형으로 캐스팅하고, 상 전환법에 의해 다공성 필름을 제조한다.
고분자 성분으로는, 예를 들면 아미드이미드계 중합체, 이미드계 중합체, 아미드계 중합체, 술폰계 중합체, 셀룰로오스계 중합체, 아크릴계 중합체, 불소계 중합체, 올레핀계 중합체 등의 중합체를 들 수 있지만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수용성의 극성 용매에 용해성을 갖고 상 전환법에 의해 필름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아미드이미드계 중합체, 이미드계 중합체,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술폰, 아크릴계 중합체,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등이 바람직하다. 이들 고분자 성분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기판으로는, 예를 들면 유리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메틸펜텐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나일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르보네이트, 스티렌계 수지, PTFE(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PVDF(폴리불화비닐리덴) 등의 불소계 수지, 염화비닐 수지, 그 밖의 수지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시트; 스테인레스판, 알루미늄판 등의 금속판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표면 소재와 내부 소재를 다른 것으로 조합한 복합판이어도 좋다.
본 발명의 주요한 특징은 다공성 필름을 구성하는 고분자의 표면 장력 Sa[mN/m(=dyn/cm)]과 기판의 표면 장력 Sb[mN/m(=dyn/cm)]의 차(Sa-Sb)가 -10 이상이 되는 고분자와 기판을 사용하여 다공성 필름을 제조한다는 점에 있다. 또한, 기판이 표면 소재와 내부 소재가 다른 복합판인 경우는, 상기 고분자와의 접촉면을 형성하는 소재의 표면 장력이 상기 관계를 충족하고 있으면 좋다. 상기 (Sa-Sb)가 -10 미만인 경우에는 고분자와 기판의 계면에 고분자가 응집하여 치밀상이 형성되기 때문에, 표면 개공율이 낮고 실용적으로 견디지 못하는 필름이 된다.
상기 조건을 충족하는 고분자와 기판을 사용함으로써, 캐스팅시에는 상기 고분자를 포함하는 혼합 용액이 상기 기판상에서 바다-섬 구조를 갖는 상 분리가 발생하고, 이것이 필름의 미소 구멍의 발생원이 된다. 이 때문에, 특히 필름의 기판과 접촉하고 있는 측의 표면("필름의 기판측 표면"이라 칭하는 경우가 있음)의 개공율이 높은 다공성 필름을 얻을 수 있다. 특히, 상기 (Sa-Sb)가 0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 전환법에 의해 응집한 고분자가 기판의 표면을 적시지 못하고 튕겨지기 때문에 보다 효과적으로 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7 이상이고, 13 이상이 가장 바람직하다. (Sa-Sb)값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100 정도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캐스팅에 따른 고분자 용액으로는, 예를 들면 다공성 필름을 구성하는 소재가 되는 고분자 성분 8 내지 25 중량%, 수용성 중합체 10 내지 50 중량%, 물 0 내지 10 중량%, 수용성 극성 용매 30 내지 82 중량%를 포함하는 혼합 용액 등이 바람직하다. 이 때, 고분자 성분의 농도가 지나치게 낮으면 필름의 강도가 약해지며, 지나치게 높으면 공공율이 작아진다. 수용성 중합체는, 필름 내부를 균질한 스폰지상의 다공 구조로 만들기 위해 첨가하지만, 이 때 농도가 지나치게 낮으면 필름 내부에 10 ㎛를 초과하는 것과 같은 거대 공극이 발생하여 균질성이 저하한다. 또한 수용성 중합체의 농도가 지나치게 높으면 용해성이 나쁘게 되는 것 외에, 5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필름 강도가 약해지는 등의 결점이 발생하기 쉽다.
수용성 극성 용매로는, 예를 들면 디메틸술폭시드,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DMAc), N-메틸-2-피롤리돈(NMP), 2-피롤리돈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고, 상기 고분자 성분으로서 사용하는 중합체의 화학 골격에 따라 용해성을 갖는 것(고분자 성분의 양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용매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막 구조를 스폰지상으로 다공화하기 위해서는, 수용성 중합체나 물을 첨가하며 캐스팅시의 상 분리 구조를 제어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수용성 중합체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에틸렌옥시드,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아크릴산, 다당류 등이나 그의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수용성 중합체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필름에 존재하는 미소 구멍의 연통성의 관점에서 폴리비닐피롤리돈이 특히 바람직하다. 다공화를 위해서는, 수용성 중합체의 분자량은 1000 이상이 좋고, 바람직하게는 500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만 이상(예를 들면, 1만 내지 20만 정도)이다. 물의 첨가량은 공극 직경의 조정에 사용할 수 있고, 첨가량을 늘림으로써 직경을 크게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은 조성을 갖는 혼합 용액을 고분자 용액으로서 사용하고, 이것을 기판상에 필름형으로 캐스팅한 후 응고액에 유도하여 상 전환시킴으로써 미소 구멍을 균질히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고분자 용액을 필름형으로 캐스팅할 때에 상기 필름을 상대 습도 70 내지 100 %, 온도 15 내지 90 ℃를 포함하는 분위기하에 0.2 내지 15 분간 유지한 후, 고분자 성분의 비용제를 포함하는 응고액으로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한 조건으로는, 상대 습도 90 내지 100 %, 온도 30 내지 80 ℃, 특히 바람직한 조건은 상대 습도 약 100 %(예를 들면, 95 내지 100 %), 온도 40 내지 70 ℃ 이다. 공기 중의 수분량이 이것보다도 적은 경우는, 필름의 개공율이 충분해지지 않게 되는 결점이 있다.
캐스팅 후의 필름을 상기 조건에 둠으로써, 특히 상기 필름의 기판측 표면의 반대 표면("필름의 공기측 표면"이라 칭하는 경우가 있음)의 개공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개공율이 향상하는 이유로는, 가습하에 둠으로써 수분이 필름 표면으로부터 내부로 침입하고, 혼합 용액의 상 분리를 효율적으로 촉진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상 전환법에 사용하는 응고액으로는, 고분자 성분을 응고시키는 용제이면 좋고, 고분자 성분으로서 사용하는 중합체의 종류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되지만, 예를 들면 물; 메탄올, 에탄올 등의 1가 알코올, 글리세린 등의 다가 알코올 등의 알코올;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의 수용성 고분자; 이들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개공율이 높으며, 균질한 미소 구멍이 형성된 다공질 필름을 얻을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다공성 필름에 대해서 설명한다.
다공성 막의 두께는, 예를 들면 5 내지 200 ㎛,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 ㎛,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 ㎛이다. 두께가 지나치게 얇아지면 필름의 기계 강도가 충분하지 않게 되고, 한편 지나치게 두꺼운 경우에는 공경 분포를 균일하게 제어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다공성 필름에 존재하는 미소 구멍의 평균 공경(=필름 표면의 평균 공경)은 그 용도에 따라 바람직한 크기가 다르지만, 통상 0.01 내지 10 ㎛이고,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5 ㎛이다. 크기가 지나치게 작은 경우에는 투과 성능이 떨어지고, 지나치게 큰 경우는 분리 농축의 효율이 떨어지는 등의 결점이 있다. 또한 다공부에 기능성 재료를 충전하는 경우에는 서브 미크론 내지 미크론 단위의 분해능으로 충전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상술한 평균 공경이 바람직하고, 지나치게 작으면 기능성 재료를 충전할 수 없는 등의 결점이 발생하거나, 한편 지나치게 크면 서브 미크론 내지 미크론 단위의 제어가 곤란해진다. 또한, 필름 표면의 최대 공경은 15 ㎛ 이하가 바람직하다.
다공성 필름 내부의 평균 개공율(공공율)은 예를 들면 30 내지 80 %이고,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80 %, 더욱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80 %이다. 공공율이 지나치게 낮으면 투과 성능이 충분하지 않거나, 기능성 재료를 충전하여도 기능을 발휘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한편, 공공율이 너무 높으면 기능적 강도가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 또한, 필름 표면의 평균 개공율(표면 개공율)은 예를 들면 48 % 이상(예를 들면 48 내지 80 %)이고,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80 % 정도이다. 표면 개공율이 지나치게 낮으면 투과 성능이 충분하지 않거나, 기능성 재료를 충전하여도 그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한편, 표면 개공율이 너무 높으면 기계적 강도가 저하하기 쉬워진다.
또한, 필름에 존재하는 미소 구멍의 연통성은 예를 들면 투기도(透氣度)를 나타내는 걸리(Gurley)값, 및 순수 투과 속도 등을 지표로 할 수 있다. 다공성 필름의 걸리값은 예를 들면 0.2 내지 29 초/100 cc,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5 초/100 cc, 특히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8 초/100 cc이다. 이것보다도 수치가 크면 실용상 투과 성능이 충분하지 않거나, 기능성 재료를 충분히 충전할 수 없기 때문에 그 기능을 발휘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한편, 수치가 이것보다도 작으면 기계적 강도가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 또한, 순수 투과 속도는 예를 들면 1.3×10-9 내지 1.1×10-7 m·sec-1·Pa-1[=8 내지 700 ℓ/(㎡·분·atm)], 바람직하게는 3.3×10-9 내지 1.1×10-7 m·sec-1·Pa-1[=20 내지 700 ℓ/(㎡·분·atm)]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4.9×10-9 내지 8.2×10-8 m·sec-1·Pa-1[=30 내지 500 ℓ/(㎡·분·atm)]이다. 이것보다도 순수 투과 속도가 낮으면 실용상 투과 성능이 충분하지 않거나, 기능성 재료를 충분히 충전할 수 없기 때문에 그 기능을 발휘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한편, 수치가 이것보다도 크면 기계적 강도가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
바람직한 다공성 필름은 연통성을 갖는 미소 구멍이 다수개 존재하는 다공성 필름이며, 이 필름의 두께가 5 내지 200 ㎛이고, 필름의 양 표면에 대해서 표면의 평균 공경이 0.01 내지 10 ㎛, 표면의 평균 공경 A와 내부의 평균 공경 B의 비율 A/B가 0.3 내지 3, 또한 표면의 평균 개공율 C와 내부의 평균 개공율 D의 비율 C/D가 0.7 내지 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필름이다.
표면의 평균 공경 A와 내부의 평균 공경 B의 비율 A/B, 및 표면의 평균 개공율 C와 내부의 평균 개공율 D의 비율 C/D는 바람직하게는 A/B가 0.5 내지 2이며 C/D가 0.75 내지 1.4, 보다 바람직하게는 A/B가 0.6 내지 1.5이며 C/D가 0.8 내지 1.3이다. 이들의 비율이 지나치게 작은 경우는 투과 성능이 떨어지거나, 기능성 재료를 충분히 충전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또한, 지나치게 큰 경우에는 분리 특성이 떨어지거나, 기능성 재료의 충전이 불균일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바람직한 다공성 필름의 다른 형태는, 연통성을 갖는 미소 구멍이 다수개 존재하는 다공성 필름이며, 이 필름의 두께가 5 내지 200 ㎛, 필름 양면의 평균 공경 A1, A2 모두 0.01 내지 10 ㎛, 필름 양면의 평균 개공율 C1, C2 모두 48 % 이상이고, 한쪽 표면(예를 들면 기판측 표면)의 평균 공경 A1과 다른쪽 표면(예를 들면 공기측 표면)의 평균 공경 A2의 비율 A1/A2가 0.3 내지 3, 한쪽 표면의 평균 개공율 C1과 다른쪽 표면의 평균 개공율 C2의 비율 C1/C2가 0.7 내지 1.5이다.
한쪽 표면의 평균 공경 A1과 다른쪽 표면의 평균 공경 A2의 비율 A1/A2, 및 한쪽 표면의 평균 개공율 C1과 다른쪽 표면의 평균 개공율 C2와의 비율 C1/C2은 바람직하게는 A1/A2가 0.5 내지 2이며 C1/C2가 0.75 내지 1.4, 보다 바람직하게는 A1/A2가 0.6 내지 1.5이며 C1/C2가 0.8 내지 1.3이다. 이들의 비율이 지나치게 작은 경우는 투과 성능이 떨어지거나, 기능성 재료를 충분히 충전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또한, 지나치게 큰 경우에는 분리 특성이 떨어지거나, 기능성 재료의 충전이 불균일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다공성 필름의 미소 구멍의 직경, 공공율, 투기도, 개공율은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하는 기판, 수용성 중합체의 종류나 양, 물의 사용량, 캐스팅시의 습도, 온도 및 시간 등을 적절하게 선택함으로써 원하는 값으로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특히 평균 공경 및 평균 개공율에 대해서, 표면과 내부의 비율이나 기판측 표면과 공기측 표면의 비율이 상기 범위내인 특성을 갖는 다공성 필름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이하에 실시예를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표면 장력의 측정, 및 얻어진 필름의 평가는 다음과 같이 행하였다. 이들의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표 1 중, "Sa-Sb"는 필름을 구성하는 고분자의 표면 장력 Sa와 기판의 표면 장력 Sb의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은 미소 구멍이 부정형이기 때문에 산출 불능이었던 것을 나타내고 있다.
[표면 장력]
POLYMER HANDBOOK (THIRD EDITION, JOHN WILEY&SONS), 화학 공학 편람(개정 5판, 마루젠 가부시끼가이샤)에 게재되어 있는 값을 사용하였다. 이 책에 기재되어 있지 않은 물질에 대해서는, 중합체 단체(또는 중합체 블렌드)의 균일 필름을 제조하고, JIS K6768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실시예 중, 후자의 방법에 의해 측정한 표면 장력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 측정값"이라 부기하였다.
[투기도]
YOSHIMITSU사제의 Gurley's Densometer를 사용하고, JIS P8117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단, 측정 면적이 표준의 1/10 장치를 사용했기 때문에, JIS P8117의 부속서 1에 준하여 표준 걸리값으로 환산하여 구하였다.
[순수 투과 속도]
Amicon사제의 STIRRED ULTRAFILTRATION CELLS MODELS 820O의 평막용 여과기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투과 면적은 28.7 ㎠였다. 또한, 평가할 때 투과측에는 여과지를 스페이서 대신에 배치하고, 투과측의 저항을 될 수 있는 한 배제하였다. 압력은 0.5 kg/㎠로 측정하여 환산하였다. 측정 온도는 25 ℃이다.
[표면의 평균 공경 A]
전자 현미경 사진으로부터 필름 표면의 임의의 30점 이상의 구멍에 대해서 그 면적을 측정하고, 먼저 그의 평균값을 평균 구멍 면적 Savc라 하였다. 이어서, 다음 수학식 1로부터 그 구멍이 실제 원이라고 가정했을 때의 공경으로 환산하고, 그 값을 평균 공경이라 하였다. 여기서 π는 원주율을 나타낸다.
[내부의 평균 공경 B]
우선 필름을 액체 질소 온도에서 파단하여 필름 단면을 노출시켰다. 이 방법에 의해 필름을 파단할 수 없는 경우에는, 미리 필름을 물에 의해 습윤하게 한 상태에서 액체 질소 온도에서 파단시켜 필름 단면을 노출시켰다. 얻어진 필름 단면을 전자 현미경용 샘플로 하고, 상술한 표면의 평균 공경을 구하는 방법과 마찬가지의 방법을 사용하여 평균 공경을 구하였다.
[표면의 최대 공경]
필름 표면의 전자 현미경 사진으로부터, 임의의 20×20 ㎛의 면적을 5개소 선택하고, 그 중에 존재하는 구멍을 실제 원이라고 가정했을 때의 공경으로 환산하고, 그 중에서 가장 큰 것을 최대 공경이라 하였다. 또한, 환산에는 다음 수학식 2를 사용하였다. 여기서 Smax는 관찰된 구멍 중에서 최대 면적을 갖는 것의 값이다. π는 원주율을 나타낸다.
[내부의 최대 공경]
우선 필름을 액체 질소 온도에서 파단하여 필름 단면을 노출시켰다. 이 방법에 의해 필름을 파단할 수 없는 경우에는, 미리 필름을 물에 의해 습윤하게 한 상태에서 액체 질소 온도에서 파단시켜 필름 단면을 노출시켰다. 얻어진 필름 단면을 전자 현미경용 샘플로 하고, 상술한 표면의 최대 공경을 구하는 방법과 마찬가지의 방법을 사용하여 최대 공경을 구하였다.
[표면의 평균 개공율 C]
표면의 평균 개공율은 필름 표면의 전자 현미경 사진으로부터 임의의 20×20 ㎛의 면적을 선택하고, 그 중에 존재하는 구멍의 합계 면적이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산출하였다. 이 조작을 임의의 5개소에 대해서 실시하여 평균값을 구하였다.
[내부의 평균 개공율 D(=공공율)]
필름 내부의 평균 개공율은 다음 수학식 3으로부터 구하였다. 여기서 V는 필름의 부피, W는 필름의 중량, ρ은 필름 소재의 밀도이고, 폴리아미드이미드의 밀도는 1.45(g/㎤), 폴리에테르술폰의 밀도는 1.37(g/㎤), 하기의 실시예 6에 사용한 폴리아미드이미드와 폴리에테르술폰과의 블렌드 제품의 밀도는 1.43(g/㎤)였다.
또한, 상기 평가 방법에서의 평균 공경, 최대 공경 및 평균 개공율은 전자 현미경 사진의 가장 앞에 보이는 미소 구멍만을 대상으로 하여 구하고 있고, 사진속에 보이는 미소 구멍은 대상외로 하였다.
<실시예 1>
도요 보세끼사제의 상품명 "바이러맥스 HR11NN"(아미드이미드계 중합체, 중합체 단체의 표면 장력 42 mN/m(=dyn/cm): 측정값, 고형분 농도 15 중량%, 용제 NMP, 용액 점도 20 dPa·s/25 ℃)를 사용하고, 이 용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수용성 중합체로서 폴리비닐피롤리돈(분자량 5만)을 30 중량부 첨가하여 막 제조용 원액으로 하였다. 이 원액을 25 ℃로 하고, 필름 어플리케이터를 사용하여 테플론(등록상표)제의 기판상(표면 장력 24 mN/m(=dyn/cm))에 캐스팅하였다. 캐스팅은 30 ℃, 80 % RH 분위기에서 실시하고, 캐스팅 후 빠르게 습도 약 100 %, 온도 45 ℃의 용기 중에 4 분간 유지하였다. 그 후, 물 중에 침지하여 응고시키고, 계속해서 건조함으로써 다공성 필름을 얻었다. 이 조작에서는 캐스팅시 필름 어플리케이터와 테플론(등록상표) 기판과의 간격은 127 ㎛으로 하였고, 얻어진 필름의 두께는 약 50 ㎛가 되었다.
얻어진 필름의 막 구조를 관찰하였더니 캐스팅시에 기판과 접촉하고 있던 필름 표면(필름의 기판측 표면)에 존재하는 구멍의 평균 공경 A1은 약 0.9 ㎛, 최대 공경은 2.5 ㎛이고 평균 개공율 C1은 약 65 %, 캐스팅시에 기판과 접촉하지 않았던 필름 표면(필름의 공기측 표면)에 존재하는 구멍의 평균 공경 A2는 약 1.1 ㎛, 최대 공경은 2.7 ㎛이고 평균 개공율 C2는 약 70 %, 필름 내부는 거의 균질하고, 전체 영역에 걸쳐 평균 공경 B는 약 1.0 ㎛이며 최대 공경 1.8 ㎛의 연통성을 갖는 미소 구멍이 존재하고 있었다. 또한, 필름 내부의 평균 개공율 D는 70 %였다. 투과 성능을 측정하였더니 걸리 투기도에서 9.5 초, 순수 투과 속도에서 9.8×10-9 m·sec-1·Pa-1[=60 ℓ/(㎡·분·atm (25 ℃에서))]라는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캐스팅용 기판으로서 테플론(등록상표)제 기판 대신에 폴리프로필렌제 기판(표면 장력 29 mN/m(=dyn/cm))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조작을 행하여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막 구조를 관찰하였더니 필름의 기판측 표면에 존재하는 구멍의 평균 공경 A1은 약 0.7 ㎛, 최대 공경은 1.8 ㎛이고 평균 개공율 C1은 약 50 %, 필름의 공기측 표면에 존재하는 구멍의 평균 공경 A2는 약 1.0 ㎛, 최대 공경은 2.5 ㎛이고 평균 개공율 C2는 약 70 %, 필름 내부는 거의 균질하고, 전체 영역에 걸쳐 평균 공경 B는 약 1.0 ㎛이며 최대 공경 2.0 ㎛의 연통성을 갖는 미소 구멍이 존재하고 있었다. 또한, 필름 내부의 평균 개공율 D는 약 70 %였다. 투과 성능을 측정하였더니 걸리 투기도에서 10.0 초, 순수 투과 속도에서 9.0×10-9 m·sec-1·Pa-1[=55 ℓ/(㎡·분·atm (25 ℃에서))]라는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캐스팅용 기판으로서 테플론(등록상표)제 기판 대신에 데이진듀퐁사제 PET 시트(S형, 표면 장력 39 mN/m(=dyn/cm): 측정값)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조작을 행하여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막 구조를 관찰하였더니 필름의 기판측 표면에 존재하는 구멍의 평균 공경 A1은 약 0.9 ㎛, 최대 공경은 2.5 ㎛이고 평균 개공율 C1은 약 70 %, 필름의 공기측 표면에 존재하는 구멍의 평균 공경 A2는 약 1.0 ㎛, 최대 공경은 2.7 ㎛이고 평균 개공율 C2는 약 70 %, 필름 내부는 거의 균질하고 전체 영역에 걸쳐 평균 공경 B는 약 1.0 ㎛이며, 최대 공경 2.0 ㎛의 연통성을 갖는 미소 구멍이 존재하고 있었다. 또한, 필름 내부의 평균 개공율 D는 약 70 %였다. 투과 성능을 측정하였더니 걸리 투기도에서 10.0 초, 순수 투과 속도에서 9.0×10-9 m·sec-1·Pa-1[=55 ℓ/(㎡·분·atm (25 ℃에서))]라는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4>
실시예 2에서, 막 제조용 원액으로서 폴리에테르술폰(스미토모 가가꾸사제, 상품명 "5200 P"; 표면 장력 46 mN/m(=dyn/cm): 측정값) 15 중량부에 폴리비닐피롤리돈(분자량 36만) 10 중량부, 및 NMP 75 중량부를 첨가한 것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의 조작을 행하여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막 구조를 관찰하였더니 필름의 기판측 표면에 존재하는 구멍의 평균 공경 A1은 약 1.3 ㎛, 최대 공경은 2.5 ㎛이고 평균 개공율 C1은 약 65 %, 필름의 공기측 표면에 존재하는 구멍의 평균 공경 A2는 약 0.8 ㎛이고, 최대 공경 1.7 ㎛에서 평균 개공율 C2는 약 50 %, 필름 내부는 거의 균질하고 전체 영역에 걸쳐 평균 공경 B는 약 2.0 ㎛이며 최대 공경 3.0 ㎛의 연통성을 갖는 미소 구멍이 존재하고 있었다. 또한, 필름 내부의 평균 개공율 D는 약 70 %였다. 투과 성능을 측정하였더니 걸리 투기도에서 29 초, 순수 투과 속도에서 3.3×10-9 m·sec-1·Pa-1[=20 ℓ/(㎡·분·atm (25 ℃에서))]라는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5>
실시예 4에서, 캐스팅용 기판으로서 폴리프로필렌제 기판 대신에 데이진 듀퐁사제 PET 시트(S 유형, 표면 장력 39 mN/m(=dyn/cm): 측정값)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와 마찬가지의 조작을 행하여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막 구조를 관찰하였더니 필름의 기판측 표면에 존재하는 구멍의 평균 공경 A1은 약 2.3 ㎛, 최대 공경은 3.6 ㎛이고 평균 개공율 C1은 약 65 %, 필름의 공기측 표면에 존재하는 구멍의 평균 공경 A2는 약 0.8 ㎛, 최대 공경 1.7 ㎛이고 평균 개공율 C2는 약 50 %, 필름 내부는 거의 균질하고 전체 영역에 걸쳐 평균 공경 B는 약 2.0 ㎛이며, 최대 공경 5.1 ㎛의 연통성을 갖는 미소 구멍이 존재하고 있었다. 또한, 필름 내부의 평균 개공율 D는 약 70 %였다. 투과 성능을 측정하였더니 걸리 투기도에서 27초, 순수 투과 성능에서 3.9×10-9 m·sec-1·Pa-1[=24 ℓ/(㎡·분·atm at (25 ℃에서))]라는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6>
폴리아미드이미드(도요 보세끼사제, 상품명 "바이러맥스 HR11NN", 표면 장력 42 mN/m(=dyn/cm): 측정값, 고형분 농도 15 중량%, 용제 NMP, 용액 점도 20 dPa·s/25 ℃) 100 중량부에 폴리비닐피롤리돈(분자량 5만) 25 중량부를 첨가한 것을 A액이라 하였다. 폴리에테르술폰(스미토모 가가꾸사제, 상품명 "5200 P"; 표면 장력 46 mN/m(=dyn/cm): 측정값) 15 중량부에 NMP 85 중량부를 첨가하여 얻어진 혼합액 100 중량부에 폴리비닐피롤리돈(분자량 5만) 25 중량부를 첨가한 것을 B액이라 하였다.
실시예 2에서, 막 제조용 원액으로서 폴리아미드이미드와 폴리에테르술폰(A액:B액=3:1(중량비); 폴리아미드이미드:폴리에테르술폰=3:1(중량비))의 혼합액(블렌드 중합체의 표면 장력 45 mN/m(=dyn/cm): 측정값)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의 조작을 행하여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막 구조를 관찰하였더니 필름의 기판측 표면에 존재하는 구멍의 평균 공경 A1은 약 0.9 ㎛, 최대 공경은 1.8 ㎛이고 평균 개공율 C1은 약 70 %, 필름의 공기측 표면에 존재하는 구멍의 평균 공경 A2는 약 2.0 ㎛이고, 최대 공경은 4.4 ㎛이고 평균 개공율 C2는 약 70 %, 필름 내부는 거의 균질하고 전체 영역에 걸쳐 평균 공경 B 약 2.0 ㎛이며 최대 공경 3.0 ㎛의 연통성을 갖는 미소 구멍이 존재하고 있었다. 또한, 필름 내부의 평균 개공율 D는 약 70 %였다. 투과 성능을 측정하였더니 걸리 투기도에서 9.3 초, 순수 투과 속도에서 1.1×10-8 m·sec-1·Pa-1[=65 ℓ/(㎡·분·atm (25 ℃에서)]라는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 캐스팅용 기판으로서 테플론(등록상표)제 기판 대신에 유리제 기판(표면 장력 100 mN/m(=dyn/cm))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조작을 행하여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막 구조를 관찰하였더니 필름의 기판측 표면에 존재하는 구멍의 평균 공경 A1은 약 0.3 ㎛, 최대 공경은 0.6 ㎛이고 평균 개공율 C1은 약 40 %, 필름의 공기측 표면에 존재하는 구멍의 평균 공경 A2는 약 1.0 ㎛, 최대 공경은 2.5 ㎛이고 평균 개공율 C2는 약 70 %, 필름 내부는 거의 균질하고 전체 영역에 걸쳐 평균 공경 B는 약 1.0 ㎛이며 최대 공경 2.0 ㎛의 연통성을 갖는 미소 구멍이 존재하고 있었다. 또한, 필름 내부의 평균 개공율 D는 약 70 %였다. 이상으로부터 필름의 기판측 표면에 존재하는 미소 구멍은 필름의 공기측 표면 및 내부에 존재하는 미소 구멍과 비교하여 작으며, 개공율이 낮고, 필름 전체로서의 균질성이 부족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에서, 캐스팅용 기판으로서 테플론(등록상표)제 기판 대신에 알루미늄제 기판(표면 장력 914 mN/m(=dyn/cm))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조작을 행하여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막 구조를 관찰하였더니 필름의 기판측 표면에 존재하는 구멍은 평균 공경 A1을 산출하는 것이 곤란할수록 부정형이었다. 또한, 그 평균 개공율 C1은 10 % 이하로 추정되었다. 필름의 공기측 표면에 존재하는 구멍의 평균 공경 A2는 약 1.3 ㎛, 최대 공경은 2.7 ㎛이고 평균 개공율 C2는 약 70 %, 필름 내부는 거의 균질하고 전체 영역에 걸쳐 평균 공경 B는 약 1.2 ㎛이며 최대 공경 2.2 ㎛의 연통성을 갖는 미소 구멍이 존재하고 있었다. 또한, 필름 내부의 평균 개공율 D는 약 70 %였다. 이상으로부터 필름의 공기측 표면 및 내부와 비교하여 필름의 기판측 표면은 개공율이 낮으며, 특이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고, 필름 전체로서의 균질성이 부족하였다.
<비교예 3>
실시예 4에서, 캐스팅용 기판으로서 유리제 기판(표면 장력 100 mN/m(=dyn/cm))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와 마찬가지의 조작을 행하여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막 구조를 관찰하였더니 필름의 기판측 표면에 존재하는 구멍의 평균 공경 A1은 약 1.2 ㎛, 최대 공경은 2.0 ㎛이고 평균 개공율 C1은 10 % 이하, 필름의 공기측 표면에 존재하는 구멍의 평균 공경 A2는 약 0.8 ㎛, 최대 공경은 1.9 ㎛이고 평균 개공율 C2는 약 50 %, 필름 내부는 전체 영역에 걸쳐 평균 공경 B는 약 2.0 ㎛, 최대 공경 3.5 ㎛의 연통성을 갖는 미소 구멍이 존재하고 있었다. 또한, 필름 내부의 평균 개공율 D는 약 70 %였다. 이상으로부터 필름의 기판측 표면은 개공율이 낮고, 필름 전체로서의 균질성이 부족하였다.
<비교예 4>
실시예 4에서, 캐스팅용 기판으로서 테플론(등록상표)제 기판 대신에 알루미늄제 기판(표면 장력 914 mN/m(=dyn/cm))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와 마찬가지의 조작을 행하여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막 구조를 관찰하였더니 필름의 기판측 표면에 존재하는 구멍은 평균 공경 A1을 산출하는 것이 곤란할수록 부정형였다. 또한, 그 평균 개공율 C1은 10 % 이하로 추정되었다. 필름의 공기측 표면에 존재하는 구멍의 평균 공경 A2는 약 0.9 ㎛, 최대 공경 2.1 ㎛이고 평균 개공율 C2는 약 50 %, 필름 내부는 전체 영역에 걸쳐 평균 공경 B는 약 2.2 ㎛, 최대 공경 3.6 ㎛의 연통성을 갖는 미소 구멍이 존재하고 있었다. 또한, 필름 내부의 평균 개공율 D는 약 70 %였다. 이상으로부터 필름의 공기측 표면 및 내부와 비교하여 필름의 기판측 표면은 개공율이 낮으며, 특이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고, 필름 전체로서의 균질성이 부족하였다.
본 발명의 다공성 필름은 정밀 여과, 분리 농축 등의 막 분리 기술에 이용 할 수 있는 것 외에, 그 공공을 기능성 재료로 충전함으로써 전지용 격리판, 전해 콘덴서, 회로용 기판 등 광범위한 기판 재료로서 이용할 수 있다.
Claims (5)
- 다공성 필름을 구성하는 고분자의 표면 장력 Sa [mN/m]와 기판의 표면 장력 Sb [mN/m]의 차 (Sa-Sb)가 -10 이상인 고분자 및 기판을 사용하는 것으로, 고분자 용액을 기판상에 필름형으로 캐스팅하여 상 전환법에 의해 다공성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다공성 필름을 구성하는 소재가 되는 고분자 성분 8 내지 25 중량%, 수용성 중합체 10 내지 50 중량%, 물 0 내지 10 중량%, 및 수용성 극성 용매 30 내지 82 중량%를 포함하는 혼합 용액을 고분자 용액으로서 기판상에 필름형으로 캐스팅한 후 응고액으로 유도하고 상 전환시켜 다공성 필름을 얻는 다공성 필름의 제조 방법.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고분자 용액을 필름형으로 캐스팅할 때 상기 필름을 상대 습도 70 내지 100 % 및 온도 15 내지 90 ℃를 포함하는 분위기하에 0.2 내지 15 분간 유지한 후, 고분자 성분의 비용제를 포함하는 응고액으로 유도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다공성 필름의 제조 방법.
- 필름의 두께가 5 내지 200 ㎛이고 필름의 양 표면에 대해서 표면의 평균 공경이 0.01 내지 10 ㎛이며 표면의 평균 공경 A와 내부의 평균 공경 B의 비율 A/B가 0.3 내지 3이고, 또한 표면의 평균 개공율 C와 내부의 평균 개공율 D의 비율 C/D가 0.7 내지 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통성을 갖는 미소 구멍이 다수개 존재하는 다공성 필름.
- 필름의 두께가 5 내지 200 ㎛이고 필름 양면의 평균 공경 A1, A2가 모두 0.01 내지 10 ㎛이며 필름 양면의 평균 개공율 C1, C2가 모두 48 % 이상이고, 또한 한쪽 표면의 평균 공경 A1과 다른쪽 표면의 평균 공경 A2의 비율 A1/A2가 0.3 내지 3이고 한쪽 표면의 평균 개공율 C1과 다른쪽 표면의 평균 개공율 C2의 비율 C1/C2가 0.7 내지 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통성을 갖는 미소 구멍이 다수개 존재하는 다공성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2-00328586 | 2002-11-12 | ||
JP2002328586 | 2002-11-12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86503A true KR20050086503A (ko) | 2005-08-30 |
KR100937077B1 KR100937077B1 (ko) | 2010-01-15 |
Family
ID=32310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7008352A KR100937077B1 (ko) | 2002-11-12 | 2003-08-19 | 다공성 필름의 제조 방법 및 다공성 필름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7820281B2 (ko) |
EP (1) | EP1561561B1 (ko) |
KR (1) | KR100937077B1 (ko) |
CN (1) | CN1694791B (ko) |
TW (1) | TW200407190A (ko) |
WO (1) | WO2004043666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010674A1 (ko) * | 2015-07-16 | 2017-01-19 | 한국과학기술원 | 자발 확산 효과를 이용한 초고속 유/무기 박막 제조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60141238A1 (en) * | 2002-09-12 | 2006-06-29 | Takeshi Sasaki | Porous membrane of poly(metaphenylene isophthalamide)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
KR20090003249A (ko) * | 2006-02-20 | 2009-01-09 | 다이셀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 다공성 필름 및 다공성 필름을 이용한 적층체 |
JP5430249B2 (ja) * | 2009-06-23 | 2014-02-26 | キヤノン株式会社 | 多孔質高分子膜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方法で製造した多孔質高分子膜 |
CN102666096A (zh) * | 2009-12-14 | 2012-09-12 | 株式会社大赛璐 | 具有多孔层的层叠体以及使用其的功能性层叠体 |
WO2011108235A1 (ja) | 2010-03-04 | 2011-09-09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電池用セパレータ、それを用いた電池および電池の製造方法 |
KR101752981B1 (ko) * | 2010-04-05 | 2017-07-03 | 미쯔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 다공질막의 제조 방법 |
CN102153771B (zh) * | 2010-11-12 | 2012-10-31 | 深圳市星源材质科技股份有限公司 | 聚烯烃微孔膜制备方法及其应用 |
EP2695907B1 (en) * | 2011-04-05 | 2016-11-30 | W-Scope Corporation | Method for manufacturing a porous membrane |
CN102931372A (zh) * | 2012-11-20 | 2013-02-13 | 南京大学 | 一种均匀可调多孔膜及其制备方法 |
CN103846012B (zh) * | 2012-12-04 | 2016-06-15 | 中国科学院大连化学物理研究所 | 一种多孔分离膜的制备方法 |
CN103756003B (zh) * | 2013-12-25 | 2014-10-22 | 长沙理工大学 | 一种用完全蒸发法制备聚合物对称多孔膜的方法 |
EP3169424B1 (en) * | 2014-07-18 | 2020-10-28 | Sartorius Stedim Biotech GmbH | Membrane with performance enhancing multi-level macroscopic cavities |
CN105666902B (zh) * | 2016-01-14 | 2017-12-22 | 南京大学 | 一种孔径可调均匀多孔膜的制备方法 |
KR102525347B1 (ko) * | 2016-01-29 | 2023-04-25 |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 분리막 |
CN105776128B (zh) * | 2016-04-25 | 2017-07-21 | 杭州电子科技大学 | 硅基微结构温热处理成形多样性控制方法 |
CN106025149A (zh) * | 2016-06-30 | 2016-10-12 | 深圳中兴创新材料技术有限公司 | 一种耐高温复合锂电池隔膜及其制备方法 |
CN106207048B (zh) * | 2016-07-29 | 2020-02-21 | 上海交通大学 | 锂空气电池多孔隔膜材料的制备方法 |
CN109045355A (zh) * | 2018-07-18 | 2018-12-21 | 昆明理工大学 | 一种复合多孔骨修复材料及其制备方法 |
JP7177016B2 (ja) * | 2019-07-24 | 2022-11-22 |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 多孔質膜およびフィルターカートリッジ |
CN114843708B (zh) * | 2022-07-04 | 2022-10-11 | 中材锂膜(宁乡)有限公司 | 一种多孔隔膜、其制备方法及电化学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2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2257697C3 (de) * | 1972-11-21 | 1978-09-28 | Asahi Kasei Kogyo K.K., Osaka (Japan) | Poröser Celluloseacetatsymmetrie-Membranfilter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
US3929971A (en) * | 1973-03-30 | 1975-12-30 | Research Corp | Porous biomaterials and method of making same |
JPS62115043A (ja) * | 1985-11-14 | 1987-05-26 | Terumo Corp | 多孔質膜の製造方法 |
JPS6482909A (en) | 1987-09-26 | 1989-03-28 | Nitto Denko Corp | Manufacture of polyimide molded body |
JPH0243911A (ja) * | 1988-08-02 | 1990-02-14 | Mitsubishi Rayon Co Ltd | ガスフイルター |
US4970034A (en) * | 1988-09-23 | 1990-11-13 | W. R. Grace & Co.-Conn. | Process for preparing isotropic microporous polysulfone membranes |
JPH05148383A (ja) | 1991-10-03 | 1993-06-15 | Mitsubishi Rayon Co Ltd | ポリスルホン系多孔質膜及びその製造方法 |
TW381105B (en) * | 1995-07-18 | 2000-02-01 | Sumitomo Chemical Co | Para-oriented aromatic polyamide porous film |
JP3279189B2 (ja) | 1995-07-18 | 2002-04-30 | 住友化学工業株式会社 | パラ配向芳香族ポリアミド多孔質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用途 |
JPH09169867A (ja) | 1995-10-17 | 1997-06-30 | Asahi Chem Ind Co Ltd | 微多孔膜及びその製造方法 |
EP0940427A1 (en) * | 1998-03-06 | 1999-09-08 | Imation Corp. | Method of preparing a microporous film, and image accepting member |
JP2000260413A (ja) | 1999-03-10 | 2000-09-22 | Nitto Denko Corp | 電池用セパレータおよびこのセパレータを用いた電池 |
JP4110669B2 (ja) | 1999-05-13 | 2008-07-02 | 宇部興産株式会社 | 多孔質絶縁材料およびその積層体 |
JP2001067643A (ja) | 1999-08-24 | 2001-03-16 | Ube Ind Ltd | 磁気カ−ドおよび磁気カ−ド用ポリイミド多孔フィルム |
TWI287556B (en) | 1999-09-13 | 2007-10-01 | Teijin Ltd | Polymetaphenyleneisophthalamide-based polymer porous film, process for preparing same and separator for battery |
JP3589125B2 (ja) | 1999-11-19 | 2004-11-17 | 宇部興産株式会社 | 多孔質膜の製造方法および多孔質膜 |
JP2002037905A (ja) | 2000-07-21 | 2002-02-06 | Nitto Denko Corp | プリプレグ用多孔質フィルム及び配線基板プリプレグ |
JP4221888B2 (ja) | 2000-09-20 | 2009-02-12 | 宇部興産株式会社 | 多孔質膜の連続製造方法および連続製造装置 |
JP3676218B2 (ja) | 2000-10-16 | 2005-07-27 | 帝人株式会社 | 湿式製膜フィルムの製造法 |
EP1220586A3 (en) * | 2000-12-28 | 2004-05-12 | Nitto Denko Corporation | Wiring board prepre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JP2002208781A (ja) | 2001-01-10 | 2002-07-26 | Nitto Denko Corp | 配線基板プリプレグ及びその製造方法 |
JP2002260413A (ja) * | 2001-02-28 | 2002-09-13 | Ichikoh Ind Ltd | 車両用前照灯 |
JP2003026849A (ja) | 2001-07-23 | 2003-01-29 | Ube Ind Ltd | ポリイミド多孔質膜 |
JP3963765B2 (ja) * | 2002-04-22 | 2007-08-22 |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 多孔性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
-
2003
- 2003-08-19 EP EP20030811060 patent/EP1561561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3-08-19 WO PCT/JP2003/010426 patent/WO2004043666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3-08-19 KR KR1020057008352A patent/KR10093707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3-08-19 CN CN038250969A patent/CN1694791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3-08-19 US US10/534,411 patent/US7820281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3-08-22 TW TW92123117A patent/TW200407190A/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010674A1 (ko) * | 2015-07-16 | 2017-01-19 | 한국과학기술원 | 자발 확산 효과를 이용한 초고속 유/무기 박막 제조방법 |
US10580983B2 (en) | 2015-07-16 | 2020-03-03 |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 Ultra-fast method for formation of organic/inorganic thin film by using spontaneous spreading effec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694791B (zh) | 2010-08-18 |
US20060121267A1 (en) | 2006-06-08 |
EP1561561A4 (en) | 2010-04-28 |
TWI332417B (ko) | 2010-11-01 |
CN1694791A (zh) | 2005-11-09 |
TW200407190A (en) | 2004-05-16 |
WO2004043666A1 (ja) | 2004-05-27 |
US7820281B2 (en) | 2010-10-26 |
EP1561561B1 (en) | 2011-10-12 |
EP1561561A1 (en) | 2005-08-10 |
KR100937077B1 (ko) | 2010-01-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37077B1 (ko) | 다공성 필름의 제조 방법 및 다공성 필름 | |
US20240207794A1 (en) | Asymmetric polyether sulfone (pes) filter membrane for removing virus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 |
JP4530630B2 (ja) | 多孔性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多孔性フィルム | |
KR101453404B1 (ko) | 불소 수지 복합체의 제조 방법 | |
EP2025390B1 (en) | Gas separation membrane on microporous polyolefin support | |
US8460591B2 (en) | Porous membran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 |
KR101423103B1 (ko) | 전지용 세퍼레이터 및 그 제조 방법 | |
US20070100012A1 (en) | Production of high porosity open-cell membranes | |
JP2006289657A (ja) | 多層多孔膜 | |
CN102179188A (zh) | 一种聚偏氟乙烯疏水膜的超疏水化改性方法 | |
WO2018168871A1 (ja) | ポリオレフィン微多孔膜 | |
EP4302865A1 (en) | Double-continuous high-pass polymer ultrafiltration membrane,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application thereof | |
US10549243B2 (en) | Polystyrene-b-polyethylene oxide block copolymer membranes, methods of making, and methods of use | |
CN116837413A (zh) | 碱性电解水复合隔膜、制备方法及装置 | |
JP3963765B2 (ja) | 多孔性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 |
EP1447816A1 (en) | Polymer electrolyte solution for manufacturing electrode for fuel cell | |
CN116960565A (zh) | 无纺布复合膜及其制备方法、锂电池隔膜及锂电池、液体分离膜 | |
WO2017014130A1 (ja) | 多孔質膜、水処理膜及び多孔質膜の製造方法 | |
JP6729366B2 (ja) | ポリオレフィン微多孔膜およびポリオレフィン微多孔膜を用いてなるコーティング用基材 | |
JP2004164854A (ja) | 燃料電池用電極作製用高分子電解質溶液 | |
JP4969192B2 (ja) | 多孔性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 |
JP4530652B2 (ja) | 耐薬品性に優れたポリアミドイミド系多孔性フィルムとその製造方法 | |
JP2007246876A (ja) | 多孔性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 |
CN115253726A (zh) | 一种聚偏氟乙烯/聚乙烯滤芯及其制备方法 | |
WO2020008820A1 (ja) | 親水性複合膜、親水性多孔膜及び親水性樹脂組成物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