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2148A - 금속 코일용 이송 카트 - Google Patents

금속 코일용 이송 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2148A
KR20050072148A KR1020057009605A KR20057009605A KR20050072148A KR 20050072148 A KR20050072148 A KR 20050072148A KR 1020057009605 A KR1020057009605 A KR 1020057009605A KR 20057009605 A KR20057009605 A KR 20057009605A KR 20050072148 A KR20050072148 A KR 200500721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cart
chassis
lifting
base frame
metal coi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9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4246B1 (ko
Inventor
요세프 주크
코크 페터 데
Original Assignee
에스엠에스 데마그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엠에스 데마그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에스엠에스 데마그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50072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21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42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42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24Transferring coils to or from winding apparatus or to or from operative position therein; Preventing uncoiling during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9/00Changing the web roll
    • B65H19/10Changing the web roll in unwinding mechanisms or in connection with unwinding operations
    • B65H19/12Lifting, transporting, or inserting the web roll; Removing empty co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 Handcart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 Superconductor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동 장치에 의해 운반로(1)를 따라 이동될 수 있는 차대(2)를 구비하고, 그 차대(2)는 선형 수직 가이드(5)를 따라 탑재 새들(4)을 승강시키는 수단을 베이스 프레임(3) 상에 포함하는, 금속 코일용 운반 설비의 이송 카트에 관한 것이다. 가위 타입 리프팅 기어(6)가 선형 수직 가이드(5)의 용도로 그 위에 배치된 예컨대 강 슬래브가 판형 베이스 프레임(3)으로서 사용되되, 탑재 새들(4)의 승강을 위해 서로 간격을 두고서 탑재 새들(4)에 작용하는 2개의 리프팅 실린더(7)가 구동 장치로서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코일 이송 카트의 구성이 개선되게 된다.

Description

금속 코일용 이송 카트{TRANSPORT CAR FOR METAL COILS}
본 발명은 구동 장치에 의해 운반로를 따라 이동될 수 있는 차대를 구비하고, 그 차대가 선형 수직 가이드를 따라 탑재 새들을 승강시키는 수단을 베이스 프레임 상에 포함하는, 금속 코일용 운반 설비의 이송 카트에 관한 것이다.
금속 코일을 반입 및 반출하기 위해, 예컨대 스트립 처리 설비에는 소위 코일 이송 카트(transport cart)가 사용된다. 공지의 구성은 예컨대 탑재 새들(carrying saddle)의 중앙 가이드 및 리프팅 기어(lifting gear)를 작동시키는 2개의 유압 실린더를 구비한다.
권양 기어의 가이드는 원형 가이드뿐만 아니라 장방형 가이드로서 형성될 수 있고, 통상적으로 베이스에 그를 위해 마련된 가이드 슬릿에서 주행한다. 그것은 경우에 따라서는 매우 깊어야 하고, 사고를 피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코일 이송 카트에 실린 커버 요소에 의해 확실하게 차폐될 것을 필요로 한다.
또 다른 공지의 구성은 탑재 새들을 안내하고 권양 기어를 작동시키는데 소위 가위 타입 리프팅 테이블(scissors-type lifting table)을 사용한다. 그러한 시스템에서는 리프팅에 필요한 리프팅 실린더가 가위 시스템에 작용한다. 그러한 코일 카트는 상대적으로 낮게 구성되고, 베이스에 필요로 하는 개구부가 적절히 작아지기는 하지만, 가위 시스템에 대한 유압 실린더의 열악한 힘의 작용 및 비선형 리프팅 이동이 단점인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한 코일 이송 카트의 또 다른 공지의 변형 구성은 실적재물의 옆에 편심적으로 배치되는 리프팅 시스템을 구비한다. 그러한 시스템의 장점은 매우 낮은 구조 형식 및 베이스 공동이 생략된다는데 있기는 하지만, 열악한 힘의 작용 및 실적재물에의 제약된 접근성이 불리하게 작용한다.
문헌 EP 0 569 719 A1은 직선 주행 및 곡선 주행용 공기 쿠션 차량을 구비한 코일 이송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는데, 그러한 코일 이송 시스템에서는 공기 쿠션 차량이 횡단 이동을 위해 그 유도 가이드에 배속되어 기계적으로 번갈아 우측 또는 좌측으로 작동될 수 있는 측방 가이드를 그 종 방향 측면에 구비한다.
문헌 EP 0 061 557 A2는 구동 장치에 의해 운반로를 따라 이동될 수 있는 코일 카트를 구비한 시트 코일(sheet coil)용 운반 설비를 개시하고 있다. 운반로 상에서의 코일 카트의 정확한 위치 탐지를 보장하기 위해, 코일 카트 구동 장치는 운반로를 따라 부설되어 코일 카트의 구동 가능한 기어와 맞물리는 랙(rack)으로 이뤄지는데, 그 경우에 랙은 증분 자(incremental ruler)를 주사하는 주사 유닛 및 그 주사 유닛의 주사 임펄스를 세는 하나 이상의 계수기를 포함하는 길이 측정 장치에 대한 증분 자로서의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명세, 특징, 및 장점은 첨부 도면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실시예에 관한 이후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하게 파악될 수 있을 것이다. 첨부 도면 중에서,
도 1은 견인 케이블 체인이 부속된 운반 설비에 있는 금속 코일용 이송 카트의 측면도이고;
도 2는 탑재 새들이 상승한 위치를 점선으로 나타낸 이송 카트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베이스 프레임 공동의 상부에 있는 주행 트랙 상의 그 수평 가이드 쪽으로 바라본 이송 카트의 측면도이고;
도 4는 코일 이송 카트와, 코일 적치장, 롤 스테이션, 및 크래들 스테이션이 딸린 운반로를 구비하는 전체의 운반 설비의 측면도이며;
도 4a는 도 4에 따른 운반 설비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매우 큰 리프팅 높이에 대한 이중 실린더 장치의 원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도 5에 따른 실린더 장치의 확대 측면도이고;
도 7은 적치 스테이션의 횡단면도이며;
도 8은 적치 스테이션의 평면도이고;
도 9는 바닥 롤 스테이션의 횡단면도이며;
도 10은 바닥 롤 스테이션의 평면도이고;
도 11은 차대의 단면도이며;
도 12는 도 11에 따른 차대의 평면도이고;
도 13은 크래들 스테이션의 단면도이며;
도 14는 크래들 스테이션의 평면도이다.
전술된 선행 기술로부터 비롯된 본 발명의 목적은 운반로를 따라 이동될 수 있는 차대를 구비한 청구항 1의 전제부에 언급된 유형의 시트 코일용 운반 설비의 이송 카트로서, 한편으로 전술된 시스템들의 장점을 결합시키고, 그러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전술된 단점을 피할 뿐더러 한층 더 저렴하게 제조되는 개선된 구성의 이송 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한 목적은 본 발명에 의해 가위 타입 리프팅 기어가 선형 수직 가이드의 용도로 그 위에 배치된 예컨대 강 슬래브가 판형 베이스 프레임으로서 사용되되, 탑재 새들의 승강을 위해 서로 간격을 두고서 탑재 새들에 작용하는 2개의 리프팅 실린더가 구동 장치로서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달성되게 된다. 강 슬래브 대신에, 용접된 형강 프레임이 베이스 프레임으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그러한 구성 방식에서는 탑재 새들의 양 측면에 힘이 양호하게 작용하는 것이 유리한 영향을 미친다. 또한, 그 장치는 베이스 프레임에 슬릿 가이드를 필요로 하지 않고, 아울러 실적재물에의 제약이 없는 접근성을 보장한다.
가위 타입 리프팅 기어의 상부는 실적재물용 탑재 새들로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위 타입 리프팅 기어의 이동 부분은 예컨대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선형 가이드에서 안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압연기에 알맞게 되어 있는 저렴하고도 견고한 탑재 새들의 가이드를 입수하게 된다. 전체의 시스템은 단지 4개의 주요부, 즉 리프팅 기어, 수직 가이드, 차대, 및 유압 장치로만 이뤄지면 된다. 또한, 리프팅 이동은 가위 타입 리프팅 기어의 실제 위치와는 상관이 없이 선형적으로 이뤄지게 된다.
즉, 가위 타입 시스템은 동기화와 탑재 새들을 안내하는 임무만을 맡으면 되고, 가이드를 리프팅하기 위한 힘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 약간의 개조를 한다면, 완제품으로 판매되는 시스템이 차대로서 사용될 수 있다. 특수한 하우징과 표준 부품 내장품을 구비한 개조물도 가능하다.
유압 실린더 또는 유압 실린더의 부품이 고압 구조 계열의 종래의 실린더로 되도록 함으로써 또 다른 장점이 주어진다. 그 경우, 구조 공간 및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고압의 유압(280 bar)으로 작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 또는 코일 이송 카트의 부가의 구성들은 종속 청구항들과 상응하는 조치로 이뤄진다.
도 1은 구동 장치에 의해 운반로(1)를 따라 이동될 수 있는 차대(2)를 구비하고, 그 차대(2)가 선형 수직 가이드(5)를 따라 탑재 새들(4)을 승강시키는 수단을 베이스 프레임(3) 상에 포함하는, 운반 설비의 금속 코일(도시를 생략함)용 이송 카트를 나타내 것이다. 또한, 운반 설비는 도 4 및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치 스테이션(17), 바닥 롤 스테이션(18), 차대(19), 및 크래들 스테이션(20)으로 이뤄진다.
여기서, 코일 이송 카트에서는 가위 타입 리프팅 기어(6)가 선형 수직 가이드(5)의 용도로 그 위에 배치된 강 슬래브가 판형 베이스 프레임(3)으로서 사용되는데, 탑재 새들(4)의 승강을 위해 서로 간격을 두고서 탑재 새들(4)에 작용하는 2개의 리프팅 실린더(7)가 구동 장치로서 배치된다.
가위 타입 리프팅 기어(6)의 상부는 실적재물용, 예컨대 금속 코일용 탑재 새들(4)로서 형성된다. 가위 타입 리프팅 기어(6)의 이동 부분은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선형 가이드에서 슬라이딩 슈(sliding shoe)(8)에 의해 안내된다. 즉, 압연기에 알맞게 되어 있는 저렴하고도 견고한 탑재 새들(4)의 가이드를 입수하게 된다. 그 경우, 전체의 시스템은 단지 4개의 주요부로만 이뤄지게 된다.
리프팅 기어(6)의 작동을 위해, 2개의 유압 실린더(7)는 탑재 새들(4)에 직접 작용한다. 즉, 리프팅 이동이 탑재 새들(4)의 실제 위치와는 상관이 없이 선형적으로 이뤄지게 된다. 그 경우, 가위 타입 시스템(6)은 단지 동기화와 탑재 새들(4)을 안내하는 임무만을 맡으면 되고, 리프팅하기 위한 힘을 전달할 필요가 없다.
그러한 코일 이송 카트는 동반 이동될 수 있는 유압 스테이션(9)을 구비하고, 그 유압 스테이션(9)은 동력 공급을 위해 견인 케이블 체인(10)에 연결된다.
또한, 베이스 프레임(3)의 하부에는 구동 수단을 구비한 차대(11)가 배치된다. 그 경우,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시스템이 차대로서 사용될 수 있는 것이 유리하다.
도 3은 차대(11)를 구비한 코일 이송 카트가 양쪽 주행 레일(15) 상에 있는 것을 주행 방향으로 바라본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그로부터, 리프팅 실린더(7)가 중앙에 배치된다는 것과 그것이 각각의 탑재 새들(4)에 어떻게 조립되는지를 알아볼 수 있다. 그 도면은 베이스 프레임의 중앙 측에 단지 납작한 주행 샤프트만을 필요로 하면서도 그 기능 요소에의 접근성이 최적화되는 이송 카트의 상대적으로 낮은 구조 형식을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주행로(19)와 그 좌측 단부에 코일 이송 카트를 구비하는 운반 설비의 전체적인 배치를 코일 이송 카트의 가위 타입 리프팅 기어(19) 및 차대(11)와 함께 측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그러한 운반 설비는 적치 스테이션(17), 바닥 롤 스테이션(18), 견인 케이블 체인(10)을 구비한 차대(19), 및 단부 측 크래들 스테이션(20)을 포함한다.
도 4a는 전체의 설비를 평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코일 이송 카트는 그에 고정적으로 배치되어 동반 주행할 수 있는 유압 스테이션(9)을 구비한다. 그러한 유압의 스테이션(9)은 동력 공급을 위해 견인 케이블 체인(10)에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된다.
리프팅 거리가 상대적으로 큰 경우에는 리프팅 실린더의 길이가 전체의 시스템의 구조 높이를 결정한다. 그로 인해 생기는 리프팅 실린더의 높은 높이를 피하기 위해, 도 5에 순전히 원리적으로 도시된 이중 실린더 장치(12)에 의한 리프팅 시스템의 배치 및 구성이 제공된다. 그럴 경우, 탑재 새들의 가이드와 함께 가위 타입 리프팅 기어(6)에 비교적 낮은 구조 높이가 주어지게 된다.
종래의 실린더의 배치에서는 리프팅에 필요한 거리가 모두다 실린더에 제공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실린더의 구조 길이가 카트의 구조 높이를 넘는 한에는 리프팅 높이가 코일 이송 카트의 전체적인 높이를 결정하게 된다.
도 5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한 이중 유압 실린더(12) 또는 신축 자재 실린더(14)의 배치에 의해, 2개 이상의 실린더의 개별 행정이 서로 얽혀져서 도 5의 원리 도면에 따른 총 행정이 복잡하지 않은 수단에 의해 주어지게 된다.
탑재 새들의 상승 리프팅이 행해질 경우, 우선 실린더 열(12)이 빠져나온다. 이어서, 상부 장치(13)에서 제2 열(14)이 추가로 총 행정까지 빠져나오게 된다.
즉, 도 5의 개요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리프팅 실린더의 콤팩트한 배치가 제공된다.
그와 관련하여, 도 6은 이중 실린더 장치(12)가 상부 장치(13)로부터 빠져나올 때에 이중 실린더 장치(12)의 신축 자재 실린더(14)의 배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시트 코일(16)의 형태의 적재물이 탑재 새들(4) 상에 놓여 있는 적치 스테이션(17)을 나타낸 것이다. 그 적치 스테이션(17)은 실선 화살표(4)에 의해 하강 위치에, 그리고 점선 화살표(4)에 의해 그 상승 위치에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도 8은 이송 카트의 중심 평면에 리프팅 실린더(7)가 배치된 적치 스테이션(17)을 평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9 및 도 10에는 바닥 롤 스테이션(18)의 구성이 단면도와 평면도로 각각 도시되어 있다.
끝으로, 운반 설비는 도 11 및 도 12의 단면도와 평면도에 따른 바와 같이 주행로(19)의 단부에 크래들 스테이션(20)을 구비한다. 그러한 크래들 스테이션(20)은 도 13 및 도 14에 단면도와 평면도로 각각 도시되어 있다.

Claims (6)

  1. 구동 장치에 의해 운반로(1)를 따라 이동될 수 있는 차대(2)를 구비하고, 그 차대(2)는 선형 수직 가이드(5)를 따라 탑재 새들(4)을 승강시키는 수단을 베이스 프레임(3) 상에 포함하는, 금속 코일용 운반 설비의 이송 카트에 있어서,
    가위 타입 리프팅 기어(6)가 선형 수직 가이드(5)의 용도로 그 위에 배치된 예컨대 강 슬래브가 판형 베이스 프레임(3)으로서 사용되되, 탑재 새들(4)의 승강을 위해 서로 간격을 두고서 탑재 새들(4)에 작용하는 2개의 리프팅 실린더(7)가 구동 장치로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코일용 이송 카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예컨대 1300 ㎜의 높은 리프팅 높이에 대해, 신축 자재 이중 실린더 장치(12)가 우선 절반의 행정 높이를 제공하고, 그 이중 실린더 장치(12)에 의해 받쳐진 그에 연이은 상부 장치(13)가 상부 신축 자재 실린더(14)에 의해 주어진 총 행정에 도달될 때까지의 행정 높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코일용 이송 카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가위 타입 리프팅 기어(6)의 상부는 실적재물용 탑재 새들(4)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코일용 이송 카트.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베이스 프레임(3) 사에서 수평으로 안내되는 가위 타입 리프팅 기어(6)의 슬라이딩 슈(8)는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선형 가이드에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코일용 이송 카트.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베이스 프레임(3)의 하측에 구동 수단을 구비한 차대(11)가 배치되고, 그 차대(11)로서 사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시스템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코일용 이송 카트.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압 리프팅 기구로서 예컨대 280 bar의 작동 압력을 위한 통상의 고압 구조 계열의 표준 실린더(7)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코일용 이송 카트.
KR1020057009605A 2002-11-30 2003-10-30 금속 코일용 이송 카트 KR1010242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56011.0 2002-11-30
DE10256011A DE10256011A1 (de) 2002-11-30 2002-11-30 Transportwagen für Metallbund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2148A true KR20050072148A (ko) 2005-07-08
KR101024246B1 KR101024246B1 (ko) 2011-03-29

Family

ID=32308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9605A KR101024246B1 (ko) 2002-11-30 2003-10-30 금속 코일용 이송 카트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7762377B2 (ko)
EP (1) EP1565281B1 (ko)
JP (1) JP4729308B2 (ko)
KR (1) KR101024246B1 (ko)
CN (1) CN100374222C (ko)
AT (1) ATE337865T1 (ko)
AU (1) AU2003276205B2 (ko)
BR (1) BR0316632B1 (ko)
CA (1) CA2507654C (ko)
DE (2) DE10256011A1 (ko)
ES (1) ES2270174T3 (ko)
MX (1) MXPA05005723A (ko)
PL (1) PL205603B1 (ko)
RU (1) RU2317165C2 (ko)
TW (1) TWI294315B (ko)
WO (1) WO20040502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34083B2 (en) * 2005-09-02 2009-05-19 Andre Trudeau Trailer operable in lowered and raised transport positions
KR100797988B1 (ko) * 2006-09-15 2008-01-28 주식회사 포스코 스크랩 코일 이송 장치
CN102249103A (zh) * 2011-01-11 2011-11-23 无锡美誉金属复合新材料有限公司 放料台车
JP5912660B2 (ja) * 2012-02-28 2016-04-27 新日鉄住金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コイル搬送システム
US9744577B2 (en) 2013-01-18 2017-08-29 Sms Logistiksysteme Gmbh Asymmetric coil support
CN108657713B (zh) * 2018-06-25 2024-03-08 江苏斯德雷特光纤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光纤预制棒生产的智能周转系统及其操作方法
CN113581766B (zh) * 2021-07-08 2023-04-28 中冶南方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工序间转运的钢卷地面运输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70727A (en) * 1965-11-12 1968-02-27 American Sugar Laterally adjustable conveyor
US3341042A (en) * 1966-12-16 1967-09-12 American Sugar Elevator control system
US3534664A (en) * 1967-09-06 1970-10-20 Eaton Yale & Towne Lift truck mast and ram assembly
US3619007A (en) * 1969-06-04 1971-11-09 Leco Inc Stationary or mobile, relatively movable, load-carrying, powered members
US3730366A (en) * 1971-01-04 1973-05-01 Holland Hitch Co Container lift
DE2200212C3 (de) * 1972-01-04 1980-08-14 7560 Gaggenau Lastkraftfahrzeug zum Transport von Baukörpern
US3880259A (en) * 1973-02-12 1975-04-29 Autoquip Corp Power apparatus for truck loading elevator
US4175644A (en) * 1973-10-15 1979-11-27 Robert Staines Scissors lift
IT1037812B (it) * 1975-05-02 1979-11-20 Innocenti Santeustacchio Spa Apparecchiatura per alimentare rotoli successivi di lamiera ad una stazione di svolgimento
GB1553107A (en) * 1975-05-17 1979-09-19 Nisso Sangyo Kk Working base elevating apparatus
JPS52147546A (en) * 1976-06-03 1977-12-08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il car
DE2918848A1 (de) * 1979-02-14 1980-08-21 Wyhlen Ag Eisenbau Hubwagen zum verfahren und senkrechten heben und senken von lasten
AT359458B (de) * 1979-03-22 1980-11-10 Voest Alpine Ag Bundwagen zum foerdern von blechbunden
US4312619A (en) * 1979-07-19 1982-01-26 Fmc Corporation Aircraft cargo loading method and apparatus
US4363380A (en) * 1980-04-18 1982-12-14 Rued Glen A Elevator and method of lifting
AT368410B (de) * 1981-03-23 1982-10-11 Voest Alpine Ag Foerderanlage fuer blechbunde
US4971508A (en) * 1987-06-29 1990-11-20 Tsubakimoto Chain Co. Storage and conveyance of heavy articles
US5072588A (en) * 1989-08-17 1991-12-17 Eagle-Picher Industries, Inc. Motion multiplier for use with extendable boom fork lift vehicle
DE4215430A1 (de) 1992-05-11 1993-11-18 Schloemann Siemag Ag Bundtransportsystem
EP0660799A4 (en) * 1992-08-31 1997-06-25 Captine Pty Ltd MULTI-PISTON ARRANGEMENT AND RECUPERATIVE DRIVE SYSTEM FOR HYDRAULIC ELEVATOR.
WO1999012672A1 (de) * 1997-09-10 1999-03-18 Evg Entwicklungs- U. Verwertungs-Gesellschaft Mbh Verfahren und anlage zum kontinuierlichen zuführen von drahtförmigem material zu einem verbraucher
JPH11125214A (ja) * 1997-10-23 1999-05-11 Copros 2連油空圧シリンダ
US6223885B1 (en) * 1997-11-25 2001-05-01 Captial Engineering, Inc. Shuttle car conveyor for conveyable material
JP4416924B2 (ja) * 2000-07-04 2010-02-17 ヤマト科学株式会社 エージング用台車
JP3811613B2 (ja) * 2000-11-20 2006-08-23 株式会社をくだ屋技研 運搬台車
CN2451559Y (zh) * 2000-11-23 2001-10-03 吴南汉 轮式剪刀架千斤顶
CN2468985Y (zh) * 2001-03-08 2002-01-02 萧山市同昌机械物资有限公司 一种平台升降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045697A1 (en) 2006-03-02
ES2270174T3 (es) 2007-04-01
EP1565281A1 (de) 2005-08-24
TW200500156A (en) 2005-01-01
BR0316632A (pt) 2005-10-11
CN1717287A (zh) 2006-01-04
US7762377B2 (en) 2010-07-27
JP2006507945A (ja) 2006-03-09
AU2003276205B2 (en) 2008-07-31
RU2005120656A (ru) 2006-01-20
DE10256011A1 (de) 2004-06-09
KR101024246B1 (ko) 2011-03-29
EP1565281B1 (de) 2006-08-30
AU2003276205A1 (en) 2004-06-23
JP4729308B2 (ja) 2011-07-20
CA2507654A1 (en) 2004-06-17
RU2317165C2 (ru) 2008-02-20
PL375500A1 (en) 2005-11-28
WO2004050272A1 (de) 2004-06-17
CA2507654C (en) 2010-08-17
BR0316632B1 (pt) 2011-06-28
MXPA05005723A (es) 2005-08-16
DE50304893D1 (de) 2006-10-12
TWI294315B (en) 2008-03-11
PL205603B1 (pl) 2010-05-31
ATE337865T1 (de) 2006-09-15
CN100374222C (zh) 2008-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1317532A (en) Loading apparatus
ES2010003A6 (es) Un aparato elevador movil.
KR101024246B1 (ko) 금속 코일용 이송 카트
CN110872056A (zh) 高精度重载搬运作业设备
EP2261168B1 (en) A telescopic fork
CN100458088C (zh) 多列联动垂直升降式停车设备
FI87552C (fi) Foervaringssystem
JP2006507945A5 (ko)
EP1443003A1 (en) Drive device
JP5046040B2 (ja) スタッカークレーンと物品収納設備
CN211496620U (zh) 高精度重载搬运作业设备
CN220300325U (zh) 地牛
CN218908558U (zh) 剪叉车架缓存运输系统
EP0274837B1 (en) Load handling vehicle
JP3108902B2 (ja) 重量物移動装置
CN117088291A (zh) 一种带有复合滚轮的提升装置
CN112496777A (zh) 上拖链装置以及切割机
CN117799994A (zh) 用于钢板库巷道专用起重机
SU1196478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обслуживания наружной поверхности сферического сооружения
JP3010842U (ja) ボックスカルバートの搬送装置
CN115008075A (zh) 一种多车型共用的位置精度调整系统
US20040168499A1 (en) Contour roll former in particular for extruded metal profiles
JPH01203107A (ja) 台車による搬送装置
JPH06221026A (ja) 立体ラック式倉庫の搬出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