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7093A - 카메라 모듈 및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및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50067093A KR20050067093A KR1020040112534A KR20040112534A KR20050067093A KR 20050067093 A KR20050067093 A KR 20050067093A KR 1020040112534 A KR1020040112534 A KR 1020040112534A KR 20040112534 A KR20040112534 A KR 20040112534A KR 20050067093 A KR20050067093 A KR 2005006709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using
- lens
- camera module
- opening
- cylindrical cam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8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 H04N1/0030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mobile telephone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ens Barrel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카메라 모듈 본체의 제 1 하우징은 피사체측 고정 렌즈 부착 개구부가 형성되는 베이스부와 해당 베이스부의 2개의 코너부로부터 연장되는 제 1, 제 2 두께의 측벽을 가지며, 이들 측벽 사이는 큰 노치 개구부가 된다. 제 1 하우징에 이동 기구 등이 조립된 후에, 구동 모터가 부착된 제 2 하우징이 조립된다. 제 2 하우징의 일 개구부에 광학 센서를 탑재한 기판이 장착되고, 해당 센서는 원통 캠의 회전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기판은 상기 개구부의 차폐판을 겸한다. 큰 노치 개구부에 의해 렌즈 이동 기구 등의 조립후의 조정을 실행할 수 있다. 조정후에 절결 개구부는 얇은 두께의 차광판으로 덮어진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 및 이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 전화기 등의 휴대 단말기에 사용되는 오토 포커스(auto focus : AF) 기능 및/또는 줌 기능을 내장한 카메라 모듈은 소형화 등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오토 포커스(AF) 기능 및/또는 줌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을 소형화할 경우, 줌 렌즈 등도 소형으로 구성하는 동시에 부품 개수를 줄일 필요가 있다. 광학계의 초점 거리를 변화시키기 위해서 줌 렌즈는 일정 거리만큼 이동될 필요가 있고, 작은 공간으로 할 뿐만 아니라 긴 이동 거리를 확보하고, 또한, 렌즈 이동용의 구동원이나 렌즈의 이동 기구도 소형으로 형성할 필요가 있고, 조립이나 조정의 용이화를 도모하면서 소형화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연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소형 카메라 모듈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제 1995-63970 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에 1개의 모터로 광학계 측면에 배치된 원통 캠을 구동하고, 줌 렌즈 프레임과 포커스용 렌즈 프레임을 구동하도록 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제 2003-258971 호(이하, 특허문헌 2라 함)에는 휴대 전화기에 내장하는 줌 부착 카메라 모듈이 개시되어 있으며, 광학계의 측면에 배치되어 휴대 전화기 측면에 노출된 원통 캠을 조작자가 수동으로 조작하면, 줌 렌즈 프레임과 포커스용 렌즈 프레임이 구동되어, 피사체측 렌즈가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제 1994-214194 호(이하, 특허문헌 3이라 함)에는 렌즈 경통의 내측 곡면에 곡면의 차광판을 탄성 변형시켜서 배치하도록 된 렌즈 경통이 개시되어 있으며, 또한, 일본 실용신안 공개 제 1992-65305 호(이하, 특허문헌 4라 함)에는 렌즈 경통의 내측 곡면에 차광판을 배치한 렌즈 유지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제 1998-62852 호(이하, 특허문헌 5라 함)에는 카메라 모듈의 AF 구동 및 필름 급송시의 정역(正逆) 구동을 단일의 구동 모터에 의한 간단한 구성으로 하여 저비용으로 실행하기 위해서, 필름 급송 및 오토 포커스 구동 겸용 모터와 줌 구동용 모터를 구비하고, 유성 기어식 클러치에 의해 필름 급송 및 오토 포커스 구동 겸용 모터의 구동력을 필름 감기 또는 감기 송출 상태와 필름 되감기 상태로 전환하고, 이 유성 기어식 클러치의 유성 기어와 맞물림 가능한 위치에 오토 포커스 구동 기어를 배치하고, 제한 부재에 의한 줌 구동용 모터에 의해 구동되어서 유성 기어의 위치를 오토 포커스 구동 기어와 맞물린 상태로 유지하고, 오토 포커스 구동 가능 상태에서의 구동계를 유지하기 위해서 줌 구동계의 줌 아웃 및 줌 인 동작에 의해 제한 부재를 작동시켜서 유지하도록 한 카메라의 구동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제 1998-39401 호(이하, 특허문헌 6이라 함) 및 일본 실용신안 공개 제 1995-1438 호(이하, 특허문헌 7이라 함)에는 모터의 정숙성이나 방진을 목적으로 한 것이기는 하지만, 한쌍의 리브로 모터를 협지해서 고정하고, 모터 측면에 실리콘계 접착제의 탄성체를 설치해서 진동을 흡수하도록 한 것이나, 방진 부재를 거쳐서 나사 고정하는 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부와 모터 장착벽을 대략 L자 형상으로 결합하고, 형성된 모터 홀더의 모터 장착벽의 내주면에 양면 접착 테이프를 이용하여 모터의 외주면을 접착 고정하고, 모터 홀더의 베이스부를 장치 본체의 장착면에 나사 고정하여, 구동용 모터를 장치 본체의 장착면에 부착하도록 한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로서는, 케이스의 한 변에 오토 포커스용 리드 스크류와 줌용 리드 스크류를 배치하고, 또한, 렌즈를 경통의 한 방향에서부터 조립 가능하도록 하여 소형화를 도모한 것(이하, 종래 기술 1이라 함), 또는 팬포커스의 렌즈에 있어서의 망원과 매크로(macro)의 2점 전환을 렌즈 프레임에 인접한 원통 캠에 의해 실행하도록 한 것(이하, 종래 기술 2라 함), 피사체측 렌즈를 유지하는 하우징에 렌즈 프레임의 가이드 지지부가 있고, 2개의 리드 스크류에 의해 줌과 포커스용 렌즈 프레임을 구동하도록 하여 렌즈 경통의 공간 효율을 좋게 한 것(이하, 종래 기술 3이라 함) 등이 있다.
또한, 렌즈 경통을 소형으로 구성하기 위해서, 광축 주위의 제 1 상한(象限)에 줌용 리드 스크류, 제 2 상한에 포커스용 리드 스크류, 제 3 상한에 렌즈 프레임의 가이드 축을 배치한 것(이하, 종래 기술 4라 함), 상부 하우징에서 피사체측 렌즈를 유지하는 동시에 줌과 포커스용의 렌즈 프레임을 각각 리드 스크류에 의해 구동하고, 그의 2개의 리드 스크류의 베어링과, 2개의 렌즈 프레임 가이드 축의 베어링을 상부 하우징에 설치하고, 하부 하우징에 CCD를 부착한 것(이하, 종래 기술 5라 함), 렌즈 프레임 이동을 실행하는 리드 스크류기 기구 부분을 차광하는 덮개를 설치한 것(이하, 종래 기술 6이라 함) 등이 있다.
또한, 전술한 것과 같은 휴대 단말기 등에 있어서의 카메라 모듈의 소형화에 따라, 구동용 모터 자체도 소형으로 되어 설치의 곤란을 해소하는 기술이므로, 경통내에 원통형 스텝 모터를 효율적으로 배치하고, 경통의 박형화를 도모하는 동시에 렌즈를 고정밀도로 또한 고속도로 구동하도록 한 것 등이 있다(이하, 종래 기술 7이라 함). 이 종래 기술 7에서는, 경통내의 조임 위치의 전방에 소경의 전군(前群) 렌즈를 고정적으로 배치하는 동시에, 후방에 대경의 후군(後群) 렌즈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하고, 후군 렌즈는 하부가 절제된 형상을 갖고, 이 절제된 부분에 간섭하지 않는 범위에서 개폐 구동되는 2개 블레이드의 조임 겸용 셔터를 배치하고, 후군 렌즈의 아래쪽의 공간과 전군 렌즈의 아래쪽의 공간에 조임 위치에 걸쳐서 원통형 스텝 모터를 배치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카메라 모듈을 박형으로 하고, 또한 이미지의 정확한 집속과 렌즈의 위치를 가동시켜서 이미지 줌을 실현하기 위해서, 촬상 소자에 이미지를 집속시키기 위한 렌즈가 흔들리지 않도록 제 1 및 제 2 통체에 고정하고, 또한 이들 제 1 및 제 2 통체를 하우징에 고정하고, 이 하우징의 일 측에 가이드 홈을 형성해서 이 가이드 홈에 제 1 및 제 2 통체의 연장부를 협지하고, 제 1 및 제 2 통체를 초점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해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하도록 한 것이 있으며(이하, 종래 기술 8이라 함), 이 종래 기술 8에서는,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된 모터 기어의 회전운동을 연직 및 수평 운동으로 변환하고, 제 1 통체 및 제 2 통체 사이의 격리 거리를 조정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장치는 비디오 카메라에 있어서의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으로 비교적 대형의 것이며, 전술한 바와 같은 휴대 단말기에 조립되는 카메라 모듈과 같은 소형화에 대한 배려는 이루어 질 수 없는 동시에, 모터도 광학계와는 이격된 위치에 충분한 공간을 갖고서 부착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개시된 장치는 휴대 전화기 등에 내장하는 소형 카메라 모듈은 있지만 조작자가 수동으로 조작하는 것이며, 줌이나 포커스를 모터로 실행하도록 한 카메라 모듈에는 적용할 수 없다.
또한 특허문헌 3, 4에 개시된 장치는 단지 렌즈 경통 내면에 차광판을 설치하기 위한 구조가 개시되고 있는 것뿐이며, 카메라 모듈을 소형화하기 위한 기구로서는 참고가 안된다.
특허문헌 5에 기재된 장치는 오토 포커스 구동 겸용 모터와 줌 구동용 모터라고 하는 2개의 구동용 모터를 구비할 필요가 있고, 휴대 단말기 등에 구비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로서는 대형화되어, 휴대 단말기에 장착할 수 없다고 하는 사태가 발생한다.
또한 특허문헌 6, 특허문헌 7에 개시된 모터의 설치 구조는 정숙성이나 방진을 목적으로 한 것으로 비교적 대형의 모터에 관한 것이며, 소형 모터를 양호한 정밀도로 장착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또한, 모터 홀더에 모터를 접착제로 고정하고, 모터 홀더를 나사 고정하는 방법은 그만큼 모터 주위의 부품이 커진는 동시에 부품 개수도 증가하여, 비용이 상승한다.
또한 종래 기술 1, 4에서는 카메라 모듈의 소형화를 도모하고 있지만, 오토 포커스용과 줌용 리드 스크류가 별개로 설치되어 그만큼 대형화하고, 종래 기술 2의 카메라 모듈은 팬포커스에 관한 것이고, 오토 포커스까지 조립하는 경우는 참고가 안된다.
또한 종래 기술 3은 렌즈 경통의 공간 효율은 좋아지지만, 카메라 모듈로서 보았을 경우는 단지 하우징에 피사체측 렌즈를 유지시켜, 렌즈 프레임의 가이드 지지부를 설치한 것 뿐으로, 모터 등의 구동원이 일체화되지 않아, 이것도 참고로 하는 것은 어렵다. 그리고 종래 기술 5의 것도 구동 기구와 CCD가 다른 하우징에 장착되어 조립이 복잡한 공정을 필요로 하고, 종래 기술 6의 것도 렌즈 프레임 이동을 실행하는 리드 스크류의 차광판에 관한 것으로서, 카메라 모듈을 소형화하기 위한 기구로서는 참고가 안된다.
또한 종래 기술 7은 구조가 복잡하게 되어 카메라 모듈의 조립이 어렵게 된다. 또한, 휴대 단말기에 이용할 수 있는 소형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는, 각 부품이 매우 치수가 작은 것을 고려하면, 후군 렌즈의 아래쪽의 공간과 전군 렌즈의 아래쪽의 공간에, 조임 위치에 걸쳐서 원통형 스텝 모터를 배치했을 경우, 원통형 스텝 모터의 장착이 매우 번거로워서, 원통형 스텝 모터를 카메라 모듈 하우징에 고정할 때의 작업이 번잡하게 되어버린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종래 기술 8에서는, 카메라 모듈을 조립할 때의 순서에 대해서 기재되어 있지 않고, 특히, 휴대 단말기에 이용할 수 있는 소형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는, 각 부품이 치수가 매우 작은 것을 고려하면, 모터와 하우징 및 제 1 및 제 2 통체와의 위치 관계에 따라서는, 카메라 모듈 조립의 때의 작업이 매우 번잡하게 되어버린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오토 포커스(AF) 기능 및/또는 줌 기능을 조립해도 소형이고 경량으로 구성할 수 있고, 렌즈 이동 기구의 조립이나 조정을 용이하고 양호한 정밀도 실시할 수 있고, 또한 이들을 조립하는 본체가 충분한 강도를 유지하면서 염가로 제작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 및 이 카메라 모듈을 이용한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카메라 모듈은 광학 렌즈군과, 해당 광학 렌즈군에 있어서의 복수의 렌즈를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초점 거리 및/또는 촬영 배율을 변경하는 렌즈 이동 기구를 본체에 수용한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 상기 본체를 구성하는 1개의 하우징에 상기 광학 렌즈군을 탑재하고, 상기 1개의 하우징에 있어서의 상기 광학 렌즈군을 탑재하는 측의 측벽의 일부를 두꺼운 부분으로 하는 동시에, 상기 렌즈군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축을 상기 1개의 하우징 외측 가장자리에 근접시켜서 설치하고, 상기 1개의 하우징에 있어서의 상기 가이드 축 측의 측벽에 형성된 개구부를 차폐판으로 덮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를 구성하는 1개의 하우징에 상기 광학 렌즈군을 탑재하고, 상기 1개의 하우징에 있어서의 상기 광학 렌즈군을 탑재하는 쪽의 측벽의 일부를 두꺼운 부분으로 하는 동시에, 상기 이동 기구를 구성하는 원통 캠을 상기 1개의 하우징내의 외측 가장자리에 근접해서 설치하고, 상기 1개의 하우징에 있어서의 상기 원통 캠측 측벽에 형성된 개구부를 차폐판으로 덮는다.
또는, 광학 렌즈군과, 해당 광학 렌즈군에 있어서의 이동 렌즈를 소정의 방향에 이동시켜서 초점 조절 및/또는 촬영 배율을 변경하는 렌즈 이동 기구와, 상기 이동 렌즈를 유지하는 렌즈 홀더와, 상기 광학 렌즈군의 적어도 일부의 렌즈를 위치 결정 유지하는 동시에, 상기 렌즈 이동 기구와 상기 렌즈 홀더를 탑재하는 본체를 구성하는 1개의 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일부의 렌즈를 유지하는 측에 직립 설치된 적어도 일부를 두꺼운 부분으로 하는 제 1 측벽 및 제 2 측벽을 갖는 제 1 하우징과, 상기 렌즈 이동 기구를 구동하는 구동원을 부착한 제 2 하우징과, 상기 제 1 및/또는 제 2 하우징에 형성되는 제 1 및 제 2 개구부와, 상기 제 1 하우징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측벽의 외측 가장자리에 배치된 상기 렌즈 홀더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축과, 상기 제 1 하우징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개구부측의 외측 가장자리에서 또한 상기 렌즈 홀더의 외주에 근접해서 배치된 상기 렌즈 홀더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원통 캠과, 상기 제 1 및 제 2 개구부를 덮는 차폐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축을 부착하는 가이드 축 부착부와 상기 원통 캠의 일단측을 지지하는 베어링부를 상기 제 1 하우징에 일체 형성으로 형성하고, 상기 제 2 하우징에 상기 원통 캠의 타단측을 수용하는 축체(軸體)가 일체 형성된다.
상기 렌즈 홀더를 가이드하는 상기 가이드 축은 상기 제 1 및 제 2 개구부에 있어서의 두꺼운 부분으로 한 측벽에 근접해서 배치되고, 상기 렌즈 홀더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캠 면을 갖는 원통 캠은 상기 제 2 개구에 있어서의 두꺼운 부분으로 한 측벽에 근접해서 배치한 가이드 축에 근접해서 배치된다.
상기 제 2 하우징에는 그의 일 측벽의 내측에 상기 구동원을 접촉시켜서 위치 결정을 실행하는 구동원 위치 결정부가 규정되는 개구부와, 상기 제 2 하우징의 다른 측벽에 설치된 상기 렌즈 이동 기구를 구성하는 원통 캠의 회전 위치 또는 회전 각도, 또는 회동량을 검출하는 센서 부착용 개구가 설치된다.
상기 제 2 하우징의 상기 구동원 위치 결정부는 해당 구동원의 외면이 상기 개구부에 있어서의 측벽의 외면보다도 돌출하지 않고 대략 동일면이 되게 배치되도록, 상기 구동원이 접촉되는 상기 개구부 부근의 벽 두께가 얇게 형성되고, 상기 구동원의 외주면이 상기 측벽의 내면에 접착제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제 2 하우징에는 상기 구동원 위치 결정부가 규정되는 노치 개구부와 상기 센서 부착용 개구에 가해지고 또한 상기 구동원 위치 결정부가 규정되는 노치 개구부에 대향하는 측벽 노치 개구부가 설치된다.
상기 원통 캠은 상기 렌즈 홀더에 근접해서 배치되고, 상기 센서가 상기 센서 부착용 개구에 상기 원통 캠에 근접해서 배치된다. 상기 센서를 탑재한 기판은 상기 센서의 부착용 개구의 차폐판을 겸용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하우징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부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오목부가 설치되고, 해당 오목부에 상기 차폐판이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3 기재의 카메라 모듈.
상기 구동원으로부터의 구동력을 상기 원통 캠에 전달하는 기어 군이 상기 구동원과 상기 원통 캠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광학 렌즈군의 광축과 상기 원통 캠의 중심축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 2 하우징의 상기 구동원 위치 결정부가 규정되는 개구부는 그의 양측이 얇게 형성되고, 해당 개구부는 차폐판으로 덮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 2 하우징의 상기 구동원 위치 결정부가 규정되는 개구부의 개구폭은 상기 구동원의 외형폭보다도 작고, 상기 개구부의 형상이 상기 구동원의 외주면과 대략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구동원의 외주면이 상기 개구부에 접촉해서 접착된다. 여기서, 개구부의 형상은 개구 형상 이외에 개구된 단면 형상도 포함하는 것으로 하고, 또한, 대략 동일한 형상은 개구부의 적어도 2변의 형상이나, 개구된 단면 중 적어도 일부의 단면의 형상이 대응하는 구동원의 외주면의 형상과 대략 동일한 것을 의미한다.
상기 제 2 하우징의 상기 구동원 위치 결정부가 규정되는 개구부의 바닥부에는 상기 구동원의 일면과 접촉해서 해당 구동원의 광축 방향 위치 결정을 실행하는 지지면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광학 렌즈군의 광축에 직각인 면에 있어서의 깊이의 길이가 상기 원통 캠의 지름과 상기 구동원의 폭 치수를 더한 길이와 대략 동일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광학 렌즈군과, 해당 광학 렌즈군에 있어서의 이동 렌즈를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초점 조절 및/또는 촬영 배율을 변경하는 렌즈 이동 기구와, 상기 이동 렌즈를 유지하는 렌즈 홀더와, 상기 광학 렌즈군의 적어도 일부의 렌즈를 위치 결정 유지하는 동시에, 상기 렌즈 이동 기구와 상기 렌즈 홀더를 탑재하는 본체를 구성하는 1개의 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일부의 렌즈를 유지하는 측에 직립 설치된 적어도 일부를 두꺼운 부분으로 하는 제 1 및 제 2 측벽을 갖는 제 1 하우징과, 상기 렌즈 이동 기구를 구동하는 구동원을 부착한 제 2 하우징과, 상기 제 1 및/또는 제 2 하우징에 형성되는 제 1 및 제 2 개구부와, 상기 제 1 하우징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노치 개구부측 외측 가장자리부에 배치된 상기 렌즈 홀더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축과, 상기 제 1 하우징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노치 개구부측 외측 가장자리부에 또한 상기 렌즈 홀더 외주에 근접해서 배치된 상기 렌즈 홀더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원통 캠과, 상기 제 1 및 제 2 개구부를 덮는 차폐판을 갖는 카메라 모듈과, 상기 카메라 모듈이 장착된 케이스체와, 상기 케이스체에 설치되어 상기 카메라 모듈의 상기 렌즈 이동 기구를 조작하는 조작부를 갖는 구성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실시형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지, 이 실시예에 기재되어 있는 구성부품의 치수, 재질, 형상, 그 상대적 배치 등은 특별히 특정적인 기재가 없는 한은 본 발명의 범위를 그에 한정하는 취지가 아니라, 단순한 설명예에 불과하다.
도 1은 실시형태인 카메라 모듈의 일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실시형태 인 카메라 모듈에서 사용되는 하우징의 제 1 하우징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하는 제 1 하우징의 평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하는 제 1 하우징에 축을 장착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하는 축에 기어를 장착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도 4에 도시하는 축에 기어를 장착한 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도 2에 도시하는 제 1 하우징에 조립되는 광학 렌즈계 및 원통 캠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하는 광학 렌즈계 및 원통 캠을 제 1 하우징에 조립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9a는 렌즈 홀더의 평면도, 도 9b는 렌즈 홀더의 저면도, 도 10은 제 1 하우징에 렌즈 홀더를 조립했을 때의 사시도, 도 11은 구동용 모터가 부착되는 제 2 하우징을 플렉시블 기판과 함께 도시하는 사시도, 도 12는 구동용 모터를 제 2 하우징에 형성된 노치부의 외연부에 고정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3은 구동용 모터를 제 2 하우징에 형성된 노치부의 외연부에 고정한 상태를 플렉시블 기판과 함께 도시하는 사시도, 도 14는 CCD의 부착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5는 실시형태에 따른 카메라 모듈이 조립된 휴대 전화기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중 동일 요소에는 동일 부호가 부여되어 있고, 도 1에 있어서 참조부호(11)는, 예컨대 불소 함유 폴리카보네이트로 성형되어 있는 카메라 하우징(이하, 단지 하우징이라 칭함)이고 제 1 하우징(21)(도 2 참조)과 제 2 하우징(41)(도 11, 도 12 참조)으로 이루어진다. 참조부호(12)는 광학 렌즈계, 참조부호(13)는 렌즈 구동 장치, 참조부호(11a)는 하우징(11)에 형성된 노치부(개구부), 참조부호(14)로 나타낸 사선부는 노치부(개구부)(11a)를 덮는 커버판(차광 부재), 참조부호(15)는 CCD에서 하우징(11)의 저면측에 배치되어, 광학 렌즈계(12)를 거쳐서 수광한 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참조부호(16)는 하우징(11)의 측면에 부착되는 기판상에 설치된 광학 센서(발광 소자 및 수광 소자)이고, 이 광학 센서(16)는 후술하는 원통 캠(30)에 설치된 예컨대 원통부(30a)의 외주면과 그 색이 다른 기준선을 검출하고, 원통 캠의 회동 위치 또는 회동 각도, 또는 회동량 등을 검출하여, 광학 렌즈계(12)의 기준 위치 및 기준 위치로부터의 이동량을 산출한다. 이 광학 센서(16)를 탑재한 기판은 제 2 하우징(41)에 있어서의 일측벽(41c)에 설치된 개구(41f) (도 12 참조)를 차폐하는 차폐판을 겸용한다.
도 2, 도 3, 도 10에 있어서, 참조부호(21)는 하우징(11)을 구성하는 제 1 하우징이고, 이 제 1 하우징(21)은 그 상면에 연속하여 두껍게 한 제 1 측벽부(21a) 및 제 2 측벽부(21b)를 갖고 있어, 그 두꺼운 부분(21a, 21b)에 있어서의 각각의 양측은 노치 개구부(11a, 11b)로 되어 있다. 참조부호(22)는 제 1 하우징(21)의 베이스부(도 2에 있어서 상면)에 수납되는 광학 렌즈계(도 2에는 도시하지 않음)의 피사체측 고정 렌즈의 유지부로서의 개구부, 참조부호(22a)는 이 개구부(22)의 내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환상체부, 참조부호(22b)는 이 환상체부(22a)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하여 소정의 각도 간격으로 복수 형성되어 있는(도시의 예에서는 3개소에 형성되어 있음) 돌출부의 상면의 기준면부, 참조부호(22c)는 피사체측 고정 렌즈를 중심 위치에 위치 결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 볼록부, 참조부호(22d)는 렌즈 홀더(34)(도 7 참조)를 상기 환상체부(22a)에 진입시키기 위한 노치부, 참조부호(23)는 제 1 하우징(21) 베이스부의 외측면으로 돌출하여 복수 형성된 조립시의 기준면부로서, 도시의 예에서는 3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도 4에는 도 2에 있어서의 제 1 하우징(21)이 도립(倒立)한 상태로 도시되어 있지만, 도 4에 있어서, 참조부호(24)는 전술한 개구부(22)에 근접하여 형성되어, 제 1 하우징(21)의 베이스부에 탑재되는 렌즈 구동 장치(도 4에는 도시하지 않음)의 탑재부이고, 이 탑재부(24)에는 후술하는 원통 캠이 부착되는 캠 탑재부(27), 및 캠 탑재부(27)에 근접하여 상방으로 돌출하는 축체(28)가 형성되어 있다. 참조부호(25a, 25b)는 개구부(22)의 외연부측의 베이스부에 약 180°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 제 1 및 제 2 축(가이드 축)의 부착 구멍, 참조부호(25c, 25d)는 탑재부(24)에 형성된 제 3 및 제 4 축의 부착 구멍, 참조부호(26a, 26b, 26c, 26d)는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제의 제 1, 제 2, 제 3, 제 4 축으로, 이 중 축(26a, 26b)은 광학 렌즈계의 이동 렌즈군(도 4에는 도시하지 않음)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축으로서 제 1 부착 구멍(25a) 및 제 2 부착 구멍(25b)에 삽입되고, 축(26c, 26d)은 제 3 부착 구멍(25c) 및 제 4 부착 구멍(25d)에 삽입된다. 참조부호(46)는 제 1 하우징(21)과 제 2 하우징(41)(도 11, 도 12 참조)을 나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체결하기 위한 볼트 구멍이다.
도 5에 있어서 참조부호(29a 내지 29d)는 제 3, 제 4 축(26c, 26d), 및 축체(28)에 파선 화살표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삽입되는 기어로서, 제 3 축(26c)에는 제 1 기어(29a)가 삽입되고, 그 제 1 기어(29a)상에 겹쳐서 제 2 기어(29b)가 삽입된다. 또한, 제 4 축(26d)에는 제 3 기어(29c)가 삽입되고, 축체(28)에는 제 4 기어(29d)가 삽입된다. 그리고 제 2 기어(29b)와 제 3 기어(29c)가 맞물리고, 제 3 기어(29c)와 제 1 기어(29a)가 맞물리고, 제 1 기어(29a)와 제 4 기어(29d)가 맞물린다(도 6 참조). 그리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구동 모터의 기어가 제 2 기어(29b)에 맞물려, 회전 구동력이 기어(29b, 29c, 29a, 29d)를 거쳐서 원통 캠에 전달된다[도 8 참조, 또한 도 6, 도 8에서는 기어(29b)는 축(26c)에 삽입 도중의 상태로 도시되어 있지만, 기어(29b)는 기어(29c)에 맞물려서 삽입된다). 참조부호(45)는 제 1 하우징(21)에 있어서의 제 1 측벽부(21a)가 후술하는 제 2 하우징(41)의 벽부(44)와 접하는 단면부, 참조부호(47)는 제 1 하우징(21)과 제 2 하우징(41)을 접착하기 위해서, 제 1 하우징(21)에 있어서의 상기 볼트 부착부(46)와 대략 대각으로 설치된 접착 고정부, 참조부호(58)는 제 1 하우징(21)과 제 2 하우징(41)을 조합시켜 고정했을 때,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목부를 형성하여 CCD(15)를 탑재한 기판을 접착할 때의 접착제 고임부이다.
도 7, 도 8, 도 9는 이동 렌즈군이 부착된 렌즈 조립체와 원통 캠, 그들이 제 1 하우징에 조립된 상태, 및 이동 렌즈 홀더의 상하면을 도시하지만, 이들은 도 1, 도 2에 있어서의 하우징을 도립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의 도면에 있어서, 참조부호(30)는 제 1 하우징(21)에 조립되는 렌즈 구동 장치(13)를 구성하는 원통 캠으로, 이 원통 캠(캠 부재)(30)은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원통부(30a)와 이 원통부(30a)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선형상부(30b)를 갖고 있고, 이 나선형상부(30b)에는, 도면중 상측으로 위치하는 면(30c)과 하측으로 위치하는 면(30d)이 규정되어서, 면(30c)은 줌·포커스면으로서, 면(30d)은 줌면으로서 이용되고, 또한 하단부에는, 제 1 하우징(21)의 캠 탑재부(27)에 설치된 베어링 구멍에 삽입하는 삽입 단부(30e)를 구비하고 있다. 원통 캠(30)의 상단부에는 제 2 하우징에 설치된 축체부에 끼워맞춰서 원통 캠의 상단측이 축지지되도록 베어링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원통 캠(30)의 원통부(30a)에는 도면중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서 예를 들어 원통부(30a)의 외주면과 그 색이 다른 기준선이 형성되어 있다.
참조부호(31, 32)는 광학 렌즈계(12)의 이동 렌즈군을 부착한 제 1 및 제 2 렌즈 조립체, 참조부호(33, 34)는 이 제 1 및 제 2 렌즈 조립체(31, 32)의 렌즈 홀더(렌즈 유지부), 참조부호(33a, 33b)는 렌즈 홀더(33)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되어서 형성되어 있는 지지 아암부, 참조부호(33c)는 동일한 방사상으로 연장되어서 원통 캠(30)의 캠면(30c)에 접촉하는 캠 접촉체, 참조부호(34b)는 렌즈 홀더(34)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되어서 형성되어 있는 지지 아암부, 참조부호(34c)는 원통 캠(30)에 동일한 방사상으로 연장되어서 원통 캠의 캠면(30d)에 접촉하는 캠 접촉체이다. 참조부호(34d)는 렌즈 홀더(34)의 외주 하단부에 형성된 노치부[상기 노치부(34d)는 도 9에서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음)으로서, 상기 노치부에 의해 렌즈 홀더(34)는 도 2에 있어서의 환상체부(22a)의 돌출부에 가로막히는 일없이 피사체측 고정 렌즈 바로 근처까지 이동할 수 있다. 참조부호(35, 36)는 렌즈 홀더(33, 34)에 의해 유지되어 있는 이동 렌즈(렌즈군), 참조부호(37)는 렌즈 홀더(33, 34)를 연결하여서 양자를 서로 끌어당기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 부재이다.
렌즈 홀더(33)는 그 외주부로부터 방사상으로 실질적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 아암부(33a, 33b)를 갖고, 지지 아암(33b)은 렌즈 홀더의 중심축(광축)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2개를 한쌍으로 설치하고, 렌즈 홀더(34)도 그 외주부로부터 방사상으로 실질적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 아암부(34a, 34b)를 갖고, 지지 아암(34b)은 렌즈 홀더의 중심축(광축)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2개를 한쌍으로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렌즈 홀더(33, 34)에는, 또한 이들 2개 한쌍의 지지 아암부(33b, 34b)에 근접하여 이들 지지 아암부(33b, 34b)와 일정 각도(θ)(도 9b 참조)를 이루어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캠 접촉체(33c, 34c)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캠 접촉체(33c, 34c)는 각각 적어도 일 부분이 광축 방향에 있어서 지지 아암부(33b, 34b)와 겹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11, 도 12, 도 13에 있어서, 참조부호(38)는 렌즈 구동 장치(13)를 구성하는 구동용 모터(예컨대, 스테핑 모터), 참조부호(38a)는 구동용 모터(38)의 모터 축에 부착된 기어로서, 구동용 모터(38)는 도 11에 있어서 기어(38a)측을 하향으로 하여 상기 기어(38a)가 도 8에 도시하는 제 2 기어(29b)와 맞물리도록 제 3 기어(29c)의 상방에 배치된다. 참조부호(39)는 구동용 모터(38)의 측면에 배치되는 플렉시블 기판(40)이 분기한 1개의 부착면을 부착하는 부착부로서, 이 플렉시블 기판(40)중 한쪽의 부착면에는 전술한 광학 센서(16)가 부착되고, 상기 광학 센서(16)는 상기 원통 캠(30)과 대면한다. 상기 플렉시블 기판(40)은 구동용 모터(38)를 부착하는 모터 베이스부로서 사용되는 제 2 하우징(41)의 외측에 광축과 직각 방향으로 굴곡되어서 연장되고 있다.
참조부호(41a)는 구동용 모터(38)의 바닥부(축 기어측의 면)가 탑재되어서 위치 결정을 실행하는 지지면부, 참조부호(41b)는 지지면부(41a)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로서, 제 3 기어(29c)와 맞물리는 구동용 모터(38)의 축 기어가 삽입된다. 참조부호(41c)는 제 2 하우징(41)의 일측벽으로서, 상기 벽의 하나의 상측 코너부에는 돌출부가 설치되고, 상기 돌출부로부터 축체가 하방으로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고, 참조부호(41d)는 상기 축체의 인발 구멍을 도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원통 캠(30) 상단측의 베어링 구멍이 상기 축체에 삽입되어서 원통 캠의 상측이 축지지된다. 참조부호(41f)는 원통 캠(30)에 설치된 기준선을 검출하는 광학 센서(16)를 장치하는 개구부, 참조부호(42)는 제 2 하우징(41)의 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측이 개방되어 있는 노치 개구부(도 12, 도 13, 도 14 참조)로서, 이 노치 개구부(42) 부근에서는 제 2 하우징(41)의 측벽은 두께가 얇은 상태로 되어 있고, 또한 노치 개구부(42)의 폭은 구동용 모터(38)의 직경보다도 작게 하고 있다. 더욱이, 제 2 하우징(41)에는 개구부(41f), 노치 개구부(42) 이외에, 제 1 하우징(21)에 조합되었을 때에 도 2에 도시하는 노치 개구부(11a, 11b)가 형성되도록 노치부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렌즈 홀더(33, 34)의 중심축(광축)에 수직한 면에 있어서의 제 2 하우징(41)의 깊이방향 길이는 원통 캠(30)의 직경과 구동용 모터(38)의 직경을 합한 길이와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사선으로 나타낸 참조부호(43)(도 13 참조)는 커버판으로서, 플렉시블 기판(40)의 인출 부분을 폐색한다. 참조부호(44)는 전술한 제 1 하우징(21)에 있어서의 제 1 측벽부(21a)의 단면부(45)와 접하는 제 2 하우징(41)에 있어서의 단면부, 참조부호(59)는 제 1 하우징(21)을 제 2 하우징에 고정하는 볼트용 나사 구멍(46)에 대응하는 암나사 구멍의 보스(boss)이다.
도 14에는, 제 1 하우징에 제 2 하우징이 부착되어, 이동 렌즈 조립체나 구동용 모터(38)가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지만, 이 도면에 있어서, 참조부호(42a)로 도시한 사선부는 절결 개구부(42)를 차폐하여 차광하는 커버판, 참조부호(41e)로 도시한 사선부는 절결 개구부(11b)를 차폐하여 차광하기 위한 커버판, 참조부호(48)는 도 1에 도시한 CCD(15)를 고정할 때의 측정 기준점, 참조부호(60a, 60b)는 CCD(15)를 탑재한 기판을 접착하는 촬상 소자 부착부이다. 도 15에 있어서 참조부호(50)는 휴대 단말기의 일례인 휴대 전화기, 참조부호(51)는 조작부, 참조부호(52)는 액정 등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참조부호(53)는 조작부(51)가 탑재된 제 1 케이스부, 참조부호(54)는 디스플레이(52)가 탑재된 제 2 케이스부, 참조부호(55)는 힌지 기구, 참조부호(56)는 카메라 모듈이다.
본 실시형태의 카메라 모듈의 하우징(11)을 구성하는 제 1 하우징(21)의 방방형 형상의 베이스부에는 피사체측 고정 렌즈가 부착되는 기본적으로 원형의 개구부가 장방형의 긴 변의 일 단부측 근처에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상기 개구부 근처의 집합의 하나의 코너부로부터 두꺼운 제 1 측벽부(21a)가 연장되는 동시에 상기 하나의 코너부와 긴 변 방향에 대향하는 다른 코너부로부터 두꺼운 제 2 측벽부(21b)가 연장되고, 양쪽 측벽 사이에는 큰 제 1 노치 개구부(11a)(도 1 참조)와 제 2 노치 개구부(11b)(도 2, 도 4 참조)가 형성된다. 제 2 하우징을 상기 베이스부의 내측면에 맞춰서 조립하면 상기 제 2 하우징의 측벽에 의해 상기 노치 개구부의 윤곽이 정해진다. 상기 베이스부에는 렌즈 홀더(33, 34)의 광축 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축(26a)이 상기 제 1 측벽부와 짧은 변 방향으로 대향하는 코너부에 직립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축(26a)의 중심과 상기 개구부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상에 가이드 축(26b)이 직립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 축(26b)에 긴 변 방향으로 근접하여 상기 렌즈 홀더(33, 34)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원통 캠(30)(도 8 참조)이 배치되고, 상기 원통 캠에 짧은 변 방향으로 근접하여 구동 모터가 제 2 하우징의 측벽에 고착된다. 그리고, 노치 개구부(11a, 11b)는 커버판(14, 41e)에 의해 폐쇄된다. 따라서, 하우징(21)의 강도를 갖게 하기 위해 모든 측벽을 두껍게 했을 경우에 비하여, 가이드 축(26a, 26b)이나 원통 캠(30)을 외연부에 배치할 수 있는 점, 절결된 측벽 대신에 얇은 차폐판(14, 41e)을 이용할 수 있다는 점 등에 의해 카메라 모듈을 소형으로 구성할 수 있고, 또한 측벽이 절결되어 있으므로 렌즈 등의 조정도 측부에서 실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오토 포커스(AF; autofocus) 기능이나 줌 기능을 내장하여도 소형이고 경량으로 구성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실시형태인 카메라 모듈은 카메라 하우징(11)(이하, 단지 하우징으로 칭함)을 예를 들어 불소 함유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수지로 성형하여 내구성과 미끄럼 운동성을 높이고, 줌이나 오토 포커스용 구동 장치(13)를 내장한 도 2에 도시한 제 1 하우징(21)과, 도 12에 도시한 모터(38)를 유지하는 제 2 하우징(41)을 조합하고, 촬상용 CCD(15)을 조립한 기판, 발광 소자와 수광 소자로 이루어지는 광학 센서(16), 커버판(차광 부재)(14, 41e) 등을 부착하여 구성되고,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의 일례인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은 휴대 전화기(50)용의 촬상 장치로서 사용하기 위해서, 매우 작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도 15에 도시한 조작부(51)의 조작에 의해, 카메라 모듈의 촬영 조작이나 배율(줌) 조작 등을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이 도 15는 휴대 전화기(50)의 조작부(51) 및 디스플레이(52)가 보이는 상태(개방 상태)로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시한 휴대 전화기(50)는 조작부(51)가 탑재된 제 1 케이스부(53)와, 디스플레이(52)가 탑재된 제 2 케이스부(54)가 힌지 기구(55)에 의해 연결되고, 제 1 및 제 2 케이스부(53, 54)는 힌지 기구(55)의 주위에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제 2 케이스부(54)에는, 도면중 파선의 이중 원으로 도시한 위치에 광학 렌즈계(12)가 오도록 전술한 카메라 모듈이 조립되고, 조작부(51)의 소정의 버튼을 조작하면,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상이 행해져서 화상이 디스플레이(52)상에 표시된다. 그 때문에 카메라 모듈은 전술한 바와 같이 매우 소형으로 구성되는 것이 요구된다. 또한, 조작부(51)에 있어서의 다른 소정의 버튼(단추)을 조작함으로써, 카메라 모듈의 배율(줌) 조작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제 1 하우징(21)의 베이스부(도 2에 있어서 상측)에 형성된 피사체측 고정 렌즈(도 2에는 도시하지 않음)가 부착되는 개구부(22)의 내주면에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환상체(22a)가 형성되고, 상기 환상체(22a)의 내주면은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돌출부[상기 돌출 상면에 기준면부(22b)가 설정되어 있음]와 복수의 노치부(22d)가 교대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렌즈 홀더(34)에는, 상기 렌즈 홀더가 상기 돌출부에 가로막히는 일없이 상기 환상체부에 진입하여 상기 피사체측 고정 렌즈에 접근할 수 있도록 노치부(22d)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개구부(22)의 내주면에는, 피사체측 고정 렌즈의 중심 위치 결정을 위한 위치 결정 볼록부(22c)가 상기 환상체부의 기준면(22b)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기준면부(22b)에 의해 피사체측 고정 렌즈 광축 방향 위치가, 또한 상기 위치 결정 볼록부(22c)에 의해 중심 위치가, 각각 정밀도 양호하게 위치 결정된다.
또한, 제 1 하우징(21)은 두껍게 한 제 1 측벽부(21a)와 동일한 두께로 한 제 2 측벽부(21b)를 갖고, 이들 두꺼운 부분(21a, 21b)의 양측은 노치 개구부(11a, 11b)로 되어 있어서, 도 2에 있어서의 상측의 베이스부 상면에는, 도면중 상방으로 돌출하는 복수(도시한 예에서는 3개소)의 기준면부(23)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기준면(23)은 도 4와 같이 카메라 모듈을 제 1 하우징(21)의 베이스부를 하측으로 하여 자동 조립하기 위한 조립 지그의 기준면(도시하지 않음)에 접촉시키는, 렌즈나 구동 기구의 조립이나 조정에 있어서의 정밀도 도출을 위한 기준면으로서 사용할 수 있어, 조립 작업을 용이하게 하여 자동 조립 바로 그것을 매우 간단하게 실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 1 하우징(21)의 베이스부에는, 렌즈 구동 기구(도 4에는 도시하지 않음)가 탑재되는 탑재부(24)가 전술한 개구부(22)에 근접하게 형성되어 있고, 또한 개구부(22)의 외연부측에 있어서 베이스부에는, 렌즈 홀더를 광축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축(26a) 및 가이드 축(26b)(제 1 및 제 2 축)을 장착하기 위한 부착 구멍(25a, 25b)이 약 180°의 간격을 두고 노치 개구부(11b) 및 노치 개구부(11a)의 상기 측벽(21a)의 측단부면에 근접하게 설치되고, 상기 탑재부(24)에는 기어를 끼워맞추는 축(26c, 26d)(제 3 및 제 4 축)을 부착하는 부착 구멍(25c, 25d)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제 1 내지 제 4 구멍(25a∼25d)에는,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제의 제 1 내지 제 4 축(26a∼26d)의 일단이 도 4에 있어서 파선 화살표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하우징(21)의 상측에서 삽입된다. 또한, 베이스부의 탑재부(24)의 근방에 후술하는 원통 캠(30)을 부착할 수 있는 캠 탑재부(27)(캠 베어링)가, 베이스부의 탑재부(24)에는 제 1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어 윗쪽으로 돌출하는 축체(28)가 설치된다. 도 5는 제 1 내지 제 4 축이 부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도 5에 파선 화살표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3 축(26c)에는 제 1 기어(29a)와 제 2 기어(29b)가 중첩되어 삽입된다. 또한, 제 4 축(26d)에는 제 3 기어(29c)가 삽입되고, 이 제 3 기어(29c)는 제 1 기어(29a)와 맞물린다. 또한, 축체(28)에는, 원통 캠(30)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최종단의 제 4 기어(29d)가 삽입되고, 이 제 4 기어(29d)는 제 1 기어(29a)와 맞물린다. 도 6은 이렇게 하여 제 1 내지 제 4 기어(29a∼29d)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다. 따라서, 제 1 하우징에 있어서의 베어링 습동면은 상기 캠 탑재부(27)에 있어서의 캠 베어링 구멍이 보인다.
또한 이와 같이, 최종단의 기어(29d)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어(29a∼29c)를 삽입하는 축(26c, 26d)을 금속제로 함으로써, 금속제 축(26c, 26d)은 그들에 삽입 통과되는 톱니바퀴의 회전 속도는 높지만 부하가 작기 때문에, 소경의 축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소경의 기어를 이용할 수 있고,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한편, 기계적인 노이즈도 작게 억누를 수 있다. 최종단의 기어(29d)는 비교적 회전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소음의 발생도 적고, 또한, 해당 최종단 기어(29d)를 삽입하는 축체(28)는 제 1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된 수지제이기 때문에,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 굵게 해도 경량으로 되는 이점이 있다. 여하튼, 최종단의 기어(29d)의 축만 수지제로 했는지, 최종단에 다른 기어 축을 수지제로서도 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이 수지제의 축을 하우징과 일체로 성형함으로써, 부품 개수의 삭감, 축 조립 공정수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한편, 광학 렌즈계(12)의 이동 렌즈군(35, 36)을 유지하는 렌즈 홀더(33, 34)는 도 7, 도 8,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렌즈 홀더(33)는 그의 외주로부터 방사상으로 실질적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 아암부(33a, 33b)를 갖고, 지지 아암(33b)은 렌즈 홀더의 중심축(광축)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2개를 1대로서 설치하고, 렌즈 홀더(34)도 그 외주로부터 방사상으로 실질적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 아암부(34a, 34b)를 갖고, 지지 아암(34b)은 렌즈 홀더의 중심축(광축)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2개를 1대로서 설치된다. 그리고 렌즈 홀더(33, 34)에는 또한 이들 2개 1대의 지지 아암부(33b, 34b)에 근접해서 이들 지지 아암부(33b, 34b)와 일정 각도(θ)(도 9b 참조)로 해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캠 접촉체(33c, 34c)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렌즈 홀더(33, 34)의 지지 아암부(33a, 34a)에는 도 4에 있어서의 제 1 축(26a)(가이드 축)에 감합되는 감합홈이 설치되고, 2개 1대의 지지 아암부(33b, 34b)에는 도 4에 있어서의 제 2 축(26b)(가이드 축)에 감합되는 감합 구멍이 설치된다. 그리고, 2개 1대의 지지 아암부(33b, 34b)는 각각의 쌍중 1개의 지지 아암부가 광축 방향에 있어서 서로 교착하도록, 즉 렌즈 홀더(33)의 아래쪽의 지지 아암부가 렌즈 홀더(34)의 상하의 지지 아암부의 사이에 오도록 축(26b)에 삽입 통과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각각의 쌍중 지지 아암부(33b, 34b)의 양자는 큰 간격을 두고서 설치할 수 있으므로, 렌즈 홀더(33, 34)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원통 캠(30)의 캠 면(30c, 30d)으로부터 캠 접촉체(33c, 34c)를 거쳐서 렌즈 홀더(33, 34)에 광축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힘이 가해졌을 때에, 가이드 축과 가이드 축이 삽입 통과하는 지지 아암부의 삽입 통과 구멍의 감합 간극에 의한 기울어짐이 작게 되고, 렌즈 홀더(33, 34)를 원활하게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원통 캠(30)은 금속, 수지, 불소를 포함하는 수지 등으로 형성한 대략 원통형상이고, 원통부(30a)와 이 원통부(30a)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선 형상부(30b)를 갖고 있어, 이 나선 형상부(30b)에는, 도면중 위쪽에 위치하는 줌·포커스면(30c)과, 아래쪽에 위치하는 줌면(30d)이 규정되어 있다. 원통 캠(30)을 수지로 형성하면, 금속 등의 경우와 비교해서 가볍게 작성할 수 있고, 또한 불소를 포함시킨 수지로 형성하면, 경량과 강도, 내구성을 더불어 갖게 할 수 있고, 또한, 베어링에 접하는 삽입단(30e)의 접동성도 얻을 수 있다.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카메라 모듈의 광학계는 일례로서 2초점의 광학계이며, 줌면(30d)은 원통 캠(30)의 회전에 의해 초점 이동용의 제 2 렌즈 조립체(32)를 소정 간격 이동시킨 후, 원통 캠(30)의 회전에 의해서는 이동하지 않게 되어 있다. 그리고 줌·포커스면(30c)은 제 1 렌즈 조립체(31)를 초점 이동으로 이동시킨 후, 원통 캠(30)의 회전에 의해 포커스용의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원통 캠(30) 및 제 1, 제 2 렌즈 조립체를 제 1 하우징(21)에 조립했을 때는, 포커스면(30c)에 캠 접촉체(33c)의 하면측이 접촉하고, 줌면(30d)에 캠 접촉체(34c)의 상면측이 접촉하게 된다. 또한, 렌즈 홀더(33, 34)는 스프링 부재(37)에 의해 연결되어서 서로 끌어 당기는 방향으로 부세하고, 또한, 도시는 하지 않고 있지만, 원통 캠(30)의 원통부(30a)에 도면중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준선이 설치되고 있고, 이 기준선은 예컨대 원통부(30a)의 외주면과 그 색이 다르도록 되어 있어서, 상기 도 1에 도시한 광학 센서(16)에 의해 검출되어 이 원통 캠(30)의 원점 위치를 검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 조립체(31, 32) 및 원통 캠(30)을 제 1 하우징(21)에 조립했을 때는, 우선, 제 1 하우징(21)의 위쪽으로부터 제 2 렌즈 조립체(32)와 제 1 렌즈 조립체(31)의 지지 아암부(34a, 33a)를 제 1 축(26a)에, 지지 아암부(34b, 33b)를 제 2 축(26b)에 지지 아암(34b)중 위쪽의 지지 아암이 상하의 지지 아암(33b)의 사이에 있도록 삽입 통과되면서 조립되고, 다음에 마찬가지로 제 1 하우징(21)의 위쪽으로부터, 제 1 하우징(21)의 외측 가장자리측에 설치된 캠 탑재부(27)(도 4)에 원통 캠(30)의 삽입단(30e)을 삽입해서 캠 탑재부(27)에 원통 캠(30)을 탑재하고, 원통캠(30)의 줌면(30d)에 캠 접촉체(34c)가 접촉하고, 캠 접촉체(33c)가 원통 캠(30)의 줌·포커스면(30c)에 접촉하도록 한다. 최후에 스프링 부재(37)를 제 1 렌즈 조립체(31), 제 2 렌즈 조립체(32)의 스프링부에 걸쳐서 서로 끌어당기는 방향으로 부세시킨다. 이렇게 함으로써, 제 1 렌즈 조립체(31)의 캠 접촉체(33c) 아래쪽의 접촉부는 원통 캠(30)의 나선 형상부(30b)의 줌·포커스면(30c)에 접촉하고, 제 2 렌즈 조립체(32)의 캠 접촉체는(34c)의 위쪽의 캠 접촉부는 원통 캠(30)의 나선 형상부(30b)의 줌면(30d)에 접촉한다. 그리고, 원통 캠(30)의 회전에 따른, 캠 접촉체(33c, 34c)의 줌·포커스면(30c), 줌면(30d)에의 접촉 위치가 나선 형상으로 형성된 것에 줌·포커스면(30c), 줌면(30d)에 따라 이동하고, 제 1 및 제 2 렌즈 조립체(31, 32)는 제 1 및 제 2 축(26a, 26b)에 안내되어서 광축 방향으로 매끄러운 모양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렌즈 홀더(34)는 도 9,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하우징(21)에 설치된 도 3에 도시하는 개구부(22)에 있어서의 내주면에서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환상체부(22a)의, 또한 직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된 돌출부[해당 돌출부의 상면에 기준면부(22b)가 설치됨)을 피해서 환상체부(22a)에 진입 할 수 있도록 노치부(34d)가 설치되기 때문에, 이 개구부(22)에 유지되는 렌즈에 근접시킬 수 있고, 주밍(zooming)에 따라 이동하는 렌즈 홀더(34)의 이동 거리를 확보해서 충분한 줌비를 갖게 한 카메라 모듈을 제공 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1)에는 노치 개구부(11a)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해당 개구부를 차광 부재로 된 덮개판(14)으로 차폐하기 전에는 원통 캠(30), 렌즈 홀더(33, 34) 등의 렌즈 구동 장치(13)는 노출되어 있고, 카메라 모듈의 조립시에 이 개구부(11a)를 이용해서 광학계의 외관검사나 각종 조정 정밀도 확인을 할 수 있다.
렌즈 구동 장치(13)를 구성하는 구동용 모터(예컨대, 스텝 모터)(38)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 축에 기어(38a)가 장착되고, 해당 기어측을 하향으로 해서 제 2 하우징(41)에 있어서의 개구부(41b)에 기어(38a)가 삽입되고, 지지면부(41a)에 의해 지지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기어(38a)는 도 8에 도시하는 제 3 기어(29c)의 윗쪽에 배치되어서 제 2 기어(29b)와 맞물리게 되어 있다. 또한, 이 구동용 모터(38)의 측면에는 설치부(39)에 플렉시블 기판(40)이 분기한 한편의 부착면이 장착되고, 해당 기판은 제 2 하우징(41)의 외측으로 인출된다.
또한, 이 제 2 하우징(41)의 도 12에 도시한 일 측벽(41c)에는, 원통 캠(30)에 설치된 기준선을 검출하는 광학 센서(16)를 부착하는 개구(41f)가 설치되고, 해당 개구부(41f)에 상기 광학 센서(16)가 부착된 상기 플렉시블 기판(40)이 분기한 한쪽의 부착면을 붙일 수 있다. 그리고, 해당 광학 센서(16)가 원통 캠(30)의 원통부(30a)에 첨부된 기준선을 검출하고, 원통 캠(30)의 원점, 및 회동 위치 또는 회동 각도, 혹은 회동량 등을 검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이 광학 센서(16)를 얹어 놓은 기판은 개구부(41f)를 차폐하는 차폐판을 겸용하고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제 2 하우징의 강도를 손상하지 않고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해서 한쪽의 개구부(42)에서 모터의 부착이, 다른쪽의 개구부(41f)에서 광학 센서(16)의 부착이 가능해지고, 오토 포커스(AF) 기능이나 줌 기능을 조립하여도, 소형으로 경량, 또한, 강고하게 구성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 및 이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를 구성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카메라 모듈은 상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체(28)에 원통 캠(30)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최종단의 기어(29d)를 삽입하고, 이 최종단의 기어(29d)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어(29a∼29c)를 삽입하는 축(26c, 26d)은 금속제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금속제 축(26c, 26d)은 그들에 삽입 통과되는 톱니바퀴의 회전 속도는 높지만 부하가 작기 때문에, 소경의 축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소경의 키어를 사용할 수 있고,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한편, 기계적인 노이즈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수지제라고 한 최종단의 기어(29d)를 삽입하는 축(28)은 기어(29d)의 회전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회전에 따르는 소리가 발생하는 일이 없고, 또한, 수지제이기 때문에,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 굵게 해도 경량으로 된다는 이점이 있다. 여하튼, 최종단의 기어(29d)의 축만 수지제로 했지만, 부하가 걸리는 최종단에 가까운 개소의 복수의 기어 축을 수지제로서도 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이 수지제의 축을 하우징과 일체로 성형한 것에 의해, 이 경우에는, 부품 개수의 삭감, 축 조립 공정수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구동용 모터(38)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 베이스부로서 이용할 수 있는 하우징(11)을 구성하는 제 2 하우징(모터 유지 부재)(41)에 부착할 수 있다. 이 제 2 하우징(41)의 측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노치부(개구부)(42)가 형성되어 있고, 이 노치부(42)의 상단은 개방되어 있다. 또한, 제 2 하우징(41)의 측면에 형성된 노치부(42) 부근의 측벽은 얇은 상태로 되어 있고, 이 노치부(42)의 폭은 구동용 모터(38)의 직경보다도 작아진다. 그리고, 렌즈 홀더(33, 34)의 광축과 수직한 면에 있어서의 제 2 하우징(41)의 깊이 방향 길이는 원통 캠(30)의 지름과 구동용 모터(38)의 지름을 더한 길이와 대략 같다. 그 때문에, 구동용 모터(38)는 원통 캠(30)에 인접해서 설치되게 된다.
또한, 도 12 및 도 13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노치 개구부(42) 양측의 내면측은 원주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구동용 모터(38)가 지지 면부(41a)에 재치되면, 이 원주 형상면에 구동용 모터(38)의 외주면이 접촉한다. 그 때문에, 이 도 12에 있어서 사선부로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주 형상면에 미리 접착제를 도포하고, 상기한 바와 같이 구동용 모터(38)를 조립하면, 접착제에 의해 구동용 모터(38)가 제 2 하우징(41)에 확실히 접착 고정된다. 한편,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렉시블 기판(40)은 제 2 하우징(41)의 상측 부분에서부터 외측으로 인출되어, 도 13에 사선부(43)로 도시하는 덮개판에 의해 플렉시블 기판(40)의 인출 부분이 폐색되고, 또한, 노치 개구부(42)는 차광 덮개(42a) (도 14 참조)에 의해 폐색된다.
이렇게 하여 구동용 모터(38)를 고정함으로써, 구동용 모터(38)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노치 개구부(42)의 양측의 내면측에 형성된 원주면에 접촉해서 정밀도 좋게 접착되기 때문에, 종래 장치와 같이 나사 고정하거나, 권판을 권취하여 본체에 고정해서 부착한다라고 하는 부품과 비용을 필요로 하는 방법을 취할 필요가 없고, 간단하고, 저렴한 방법으로 정밀도 좋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4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모터(38)와 원통 캠(30)은 광학 렌즈계(12)의 이동 렌즈 홀더(33, 34)에 근접해서 배치됨과 동시에 서로 인접해서 배치되고, 광학 렌즈계(12)의 광축과 원통 캠(30)의 축심은 서로 평행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광학 렌즈계(12), 모터(38), 및 캠(30)의 조립이 용이하고, 또한, 제 2 하우징(41)의 광학 렌즈계(12)의 광축과 수직한 면에 있어서의 깊이 방향 길이를 원통 캠(30)의 지름과 구동용 모터(38)의 지름을 더한 길이와 대략 동일하기 때문에, 카메라 모듈 자체를 소형화할 수 있다.
그리고, 렌즈계, 구동 장치가 조립된 제 1 하우징(21)과 구동용 모터가 고정된 제 2 하우징(41)은 제 1 하우징(21)의 두꺼운 부분으로 한 코너부에 설치된 나사 구멍(46)을 갖은 볼트 부착부와, 제 2 하우징(41)에 있어서의 나사 구멍 보스부(59)를 합치고, 또한, 제 2 하우징(41)에 있어서의 1측벽(41c)(도 11)의 하단면이 제 1 하우징(21)에 있어서의 일 측벽부(21b)(도 5, 도 6, 도 8)의 상단면에 재치되도록 하고, 제 2 하우징(41)에 있어서의 벽 단면(44)(도 11)과 제 1 하우징(21)에 있어서의 벽 단면(45)(도 5, 도 6, 도8)을 합쳐서 합체된다. 즉, 제 1 하우징(21)에 있어서의 접착부(47)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도 4에 참조부호(46)로 도시한 나사 구멍에 볼트(도시하지 않음)를 통과시키고, 구동용 모터(38)가 고정된 제 2 하우징(41)에 있어서의 벽 단면(44)(도 11)과 제 1 하우징(21)에 있어서의 벽 단면(45)(도 5, 도 6, 도 8)을 합쳐서 볼트 고정부(46)를 축으로 하는 회동적인 하우징의 장착 어긋남을 방지하면서 볼트와 접착제에 의해 제 1 하우징에 제 2 하우징을 고정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제 1 하우징(21) 및 제 2 하우징(41)이 합체해서 고정되면, 다음에 있어서 도 1에 참조부호(15)로 표시한 CCD를 탑재한 기판이 제 1 하우징측의 촬상 소자 부착부(60a) 및 제 2 하우징측의 부착부(60b)에 걸쳐서 접착된다. 이 CCD(15)를 탑재한 기판의 접착은 예를 들면 도 14에 참보부호(48)로 표시하는 3점을 측정 기준점으로서 CCD(15)를 탑재한 기판을 5축으로 움직이면서 광학 렌즈계(12)를 통과시켜서 보내져오는 상을 촬상해, CCD(15)의 광축과 광학 렌즈계(12)의 광축이 일치하는 동시에 최적의 포커스 위치가 되는 위치를 찾아서 유지하고,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형성된 오목부(58)의 접착제 굄에 접착제를 유입시킴으로써 행하여지고, 해당 접착제에 의해 CCD(15)를 탑재한 기판이 본체(11)에 접착, 고정된다.
그리고 합체된 제 1 하우징(21) 및 제 2 하우징(41)에 걸쳐서 CCD(15)이 고정되면, 도 1에 참조부호(14)로 표시한 덮개판(차광 부재)이 제 1 하우징(21)과 제 2 하우징(41)으로 형성되어 있는 노치 개구부에 접착제에 의해 장착되고, 또한, 구동 모터(38)의 설치부에 있어서의 참조부호(42)로 표시한 노치 개구부, 및 다른 노치 개구부가 동종의 덮개판(차광 부재)로 폐색되어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실시 형태의 카메라 모듈을 얻을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카메라 모듈의 하우징(11)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도 2에 도시하는 노치 개구부(11a, 11b), 도 12에 도시하는 개구(41f), 노치 개구부(42)가 설치되지만,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각각의 개구부는 덮개판(14)[참조부호(11a2)에 대응], 광학 센서(16)를 탑재한 기판(41f에 대응), 덮개판(41e)(11b에 대응), 참조부호(42a)(42에 대응)으로 폐색되고, 또한 덮개판(14)은 제 1 하우징(21)에 있어서의 두꺼운 부분이라고 하는 제 1 측벽부(21a), 제 2 측벽부(21b) 사이를, 덮개판(41e)은 제 2 하우징(41)의 코너 부분을 직각으로 절곡한 상태로 덮고, 개구부(42)는 그의 폭이 좁은 위에 모터(38)가 장착되어 덮개판(42a)으로 덮이고, 개구(41f)는 작은 상측에 기판이 덮이기 때문에, 이들 덮개의 존재에 의해 본체(11)는 충분한 강도를 갖게 된다. 또한 원통 캠(30), 렌즈 홀더(33, 34) 등의 렌즈 구동 장치는 개구부(11a)에 덮개판(14)을 부착하기 이전에는 해당 개구부로부터 접근할 수 있으므로, 카메라 모듈 조립 시에 광학계의 외관검사나 각종 조정 정밀도 확인을 할 수 있다. 또한, 개구부(11b)는 렌즈 홀더(33, 34)의 접동 상황의 확인에, 개구부(42)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동용 모터(38)의 장착에 각각 이용된다. 이렇게, 이들 노치 개구부는 유효하게 이용됨과 동시에 카메라 모듈의 경량화에 기여하고 있다.
이렇게 구성한 실시 형태의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 도 11에 도시한 구동 모터(38)가 회전하면, 기어(38a)로부터 도 8의 기어(29a∼29d)를 거쳐서 회전이 원통 캠(30)에 전해지고, 원통 캠(30)에 있어서의 나선 형상부(30b)의 회전에 의해, 제 1 렌즈 조립체(31)와 제 2 렌즈 조립체(32)의 캠 접촉체(33c, 34c)가 광축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한 바와 같이 줌과 포커스가 행하여진다. 그리고 원통 캠(30)은 원통부(30a)에 첨부된 기준선을 광학 센서(16)에 의해 검출해서 원점을 검출할 수 있게 되고 펄스 모터 등의 구동용 모터(38)로 부여하는 펄스수를 계수 함으로써, 초점 거리와 포커스 위치를 알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상, 여러가지 언급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 하우징(21)을 그 피사체측 고정 렌즈를 붙일 수 있는 베이스부의 2모서리로부터 연장되는 제 1 측벽부(21a)와 제 2 측벽부(21b)를 두꺼운 부분으로서 강도가 확보되고, 이들 제 1, 제 2 측벽 사이는 큰 노치 개구부(11a, 11b)가 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대향측은 전면 개구한 형상으로 형성하고, 제 1 하우징(21)의 베이스부의 내측면에 합쳐서 부착할 수 있는 제 2 하우징(41)의 측벽에 의해 상기 노치 개구부(11a, 11b)의 윤곽이 결정되고, 이들의 노치 개구부(11a, 11b)는 얇은 차광판(14, 41e)으로 덮고, 상기 베이스부의 대향측의 개구부에 촬상 소자를 탑재한 기판으로 덮어서 직방체 형상의 외곽이 형성되므로, 두께운 부분과 얇은 부분의 조합에 의해 경량의 소요의 강도를 갖는 하우징을 구성 할 수 있다. 상기 제 1 하우징(21)의 베이스부는 충분한 두께를 갖고서 이동 렌즈 홀더의 광축 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축을 강고하게 직립 설치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노치 개구부로부터 렌즈 이동 기구 등의 조정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조정후에 개구부를 차폐하기 때문에, 오토 포커스(AF) 기능이나 줌 기능을 조립하여도 소형의 경량으로 구성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구동용 모터는 제 2 하우징의 측벽 내측에 설치한 모터 외주와 동일 반경의 원호면과 모터 축 방향의 위치 결정을 위한 지지면(41a)에서 위치 결정되어서 제 2 하우징에 나사 등을 사용하지 않고 접착제로 고정되므로, 간단하고, 저렴한 구성으로 정밀도 양호하게 소형 모터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모터 외주가 밀착하는 측벽 부분은 모터 외경보다도 작은 폭의 노치(42)를 설치한 것이므로, 제 2 하우징을 성형할 때에 모터 부착 부분의 벽 두께가 극단적으로 얇아지는 부분이 생기는 일 없이 모터를 측벽 외면측에 붙여 부착할 수 있도록 상기 모터 밀착 원호면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개구부는 얇은 차광판으로 덮는 것에 의해, 카메라 모듈의 짧은 변폭 치수를 절감할 수 있다. 또, 하우징의 짧은 변 방향의 안측 치수는 직경과 원통 캠의 직경의 합계 치수에 대략 같아지도록 형성되므로, 카메라 모듈의 짧은 변폭 치수를 작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 2 하우징의 측벽에, 블랑켓[플렉시블 기판(40)]에 부착된 원통 캠(30)의 회동 위치 또는 회동 각도를 검출하는 광학 센서(16)를 들여다 보이게 하는 개구(41f)를 설치했으므로, 외측 개구에 있어서의 상기 측벽의 두께를 상기 광학 센서가 차지하는 공간으로서 이용하는 것으로 되고, 그 만큼 원통 캠을 하우징 측벽 내면에 근접해서 배치할 수 있어, 카메라 모듈의 긴 변폭 치수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의 하우징(11)을 불소를 함유하는 수지로 했기 때문에, 내구성과 접동성을 높일 수 있어, 축이나 베어링 등을 형성해도, 기어가 양호하게 회전할 수 있고, 더군다나 내구성이 좋아진다. 또한, 단순한 수지가 아니라, 불소를 함유한 것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광체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결과적으로 하우징의 두께의 박형화가 도모되고, 카메라 모듈의 소형화, 경량화가 실현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오토 포커스(AF) 기능 및/또는 줌 기능을 짜 넣어도 소형으로 경량인 카메라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용의 카메라 모듈 뿐만아니라 디지털 카메라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두께운 부분과 얇은 부분의 조합에 의해 경량의 소요의 강도를 갖는 하우징을 구성 할 수 있으며, 오토 포커스(AF) 기능이나 줌 기능을 조립하여도 소형의 경량으로 구성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할 수 있으며, 외측 개구에 있어서의 상기 측벽의 두께를 상기 광학 센서가 차지하는 공간으로서 이용하는 것으로 되고, 그 만큼 원통 캠을 하우징 측벽 내면에 근접해서 배치할 수 있어, 카메라 모듈의 긴 변폭 치수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로 되는 카메라 모듈의 일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실시 형태로 되는 카메라 모듈로 이용할 수 있는 본체의 제 1 하우징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하는 제 1 하우징의 평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하는 제 1 하우징에 축을 장착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하는 축에 기어를 장착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도 4에 도시하는 축에 기어를 장착한 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도 2에 도시하는 제 1 하우징에 조립되는 광학 렌즈계 및 원통 캠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하는 광학 렌즈계 및 원통 캠을 제 1 하우징에 조립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9는 렌즈 홀더의 평면도(A)과 하면도(B),
도 10은 제 1 하우징에 렌즈 홀더를 조립했을 때의 사시도,
도 11은 구동용 모터를 부착할 수 있는 제 2 하우징을 플렉시블(flexible) 기판과 함께 도시하는 사시도,
도 12는 구동용 모터를 제 2 하우징에 형성된 노치 개구부를 향하여 해당 하우징에 고정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3은 구동용 모터를 제 2 하우징에 형성된 노치 개구부를 향하여 해당 하우징에 고정한 상태를 플렉시블 기판과 함께 도시하는 사시도,
도 14는 CCD의 부착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5는 실시 형태에 의해 카메라 모듈이 조립된 휴대 전화기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a : 노치부(개구부) 12 : 광학 렌즈계,
13 : 렌즈 구동 장치 14 : 사선부
16 : 광학 센서 21 : 제 1 하우징
26b : 가이드 축 59 : 나사 구멍 보스부
Claims (15)
- 렌즈군과, 해당 광학 렌즈군에 있어서의 복수의 렌즈를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초점 거리 및/또는 촬영 배율을 변경하는 렌즈 이동 기구를 하우징에 수용한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상기 본체를 구성하는 하나의 하우징에 상기 광학 렌즈군을 탑재하고, 상기 하나의 하우징에 있어서의 상기 광학 렌즈군을 탑재하는 쪽의 측벽의 일부를 두께로 하는 동시에, 상기 렌즈군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축을 상기 하나의 하우징 외측 가장자리에 근접시켜서 설치하고, 상기 하나의 하우징에 있어서의 상기 가이드 축측의 측벽에 형성한 개구부를 차폐판으로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카메라 모듈.
- 광학 렌즈군과, 해당 광학 렌즈군에 있어서의 복수의 렌즈를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초점 거리 및/또는 촬영 배율을 변경하는 렌즈 이동 기구를 본체에 수용한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상기 하우징을 구성하는 하나의 하우징에 상기 광학 렌즈군을 탑재하고, 상기 하나의 하우징에 있어서의 상기 광학 렌즈군을 탑재하는 쪽의 측벽의 일부를 두께로 하는 동시에, 상기 이동 기구를 구성하는 원통 캠을 상기 하나의 하우징내의 외측 가장자리에 근접해서 설치하고, 상기 하나의 하우징에 있어서의 상기 원통 캠측 측벽에 형성한 개구부를 차폐판으로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카메라 모듈.
- 광학 렌즈군과, 해당 광학 렌즈군에 있어서의 이동 렌즈를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초점 조절 및/또는 촬영 배율을 변경하는 렌즈 이동 기구와,상기 이동 렌즈를 유지하는 렌즈 홀더와,상기 광학 렌즈군의 적어도 일부의 렌즈를 위치 결정 유지하는 동시에, 상기 렌즈 이동 기구와 상기 렌즈 홀더를 탑재하는 본체를 구성하는 하나의 하우징으로, 상기 일부의 렌즈를 유지하는 측에 세워 설치한 적어도 일부를 두께로 한 제 1 측벽 및 제 2 측벽을 갖는 제 1 하우징과,상기 렌즈 이동 기구를 구동하는 구동원을 부착한 제 2 하우징과,상기 제 1 및/또는 제 2 하우징에 형성되는 제 1 및 제 2 개구부와,상기 제 1 하우징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측벽의 외측 가장자리에 배치된 상기 렌즈 홀더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축과,상기 제 1 하우징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개구부측의 외측 가장자리에서 또한 상기 렌즈 홀더 외주에 근접해서 배치된 상기 렌즈 홀더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원통 캠과,상기 제 1 및 제 2 개구부를 덮는 차폐 판을 갖는카메라 모듈.
-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가이드 축을 붙이는 가이드 축 부착부와 상기 원통 캠의 일단측을 축 지지하는 베어링부를 상기 제 1 하우징에 일체 성형에서 형성하는 동시에,상기 제 2 하우징에 상기 원통 캠의 타단측을 받는 축체가 일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카메라 모듈.
- 제 3 항에 있어서,렌즈 홀더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캠 면을 갖는 원통 캠을 상기 제 2 노치 개구부외 가장자리부에 배치한 가이드 축에 근접해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카메라 모듈.
-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제 2 하우징는, 그 일 측벽의 내측에 상기 구동원을 접촉시켜서 위치 결정을 실행하는 구동원 위치 결정부가 규정되는 개구부와, 상기 제 2 하우징의 다른 측벽에 설정된 상기 렌즈 이동 기구를 구성하는 원통 캠의 회전 위치 또는 회전 각도, 혹은 회동량을 검출하는 센서의 부착용 개구를 갖는카메라 모듈.
- 제 6 항에 있어서,상기 제 2 하우징의 상기 구동원 위치 결정부는, 해당 구동원의 외면이 상기 개구부에 있어서의 측벽의 외면보다도 돌출하지 않고 대략 동일면이 되게 배치되도록, 상기 구동원이 접촉되는 상기 개구부 부근의 벽두께는 얇은 두께로 형성되어, 상기 구동원의 외주면이 상기 측벽의 내면에 접착제에 의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카메라 모듈.
- 제 6 항에 있어서,상기 센서를 탑재한 기판이 상기 센서의 부착용 개구의 차폐판을 겸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카메라 모듈.
- 제 6 항에 있어서,상기 구동원으로부터의 구동력을 상기 원통 캠에 전달하는 기어 군을 상기 구동원과 상기 원통 캠의 사이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카메라 모듈.
-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광학 렌즈군의 광축과 상기 원통 캠의 중심축과는 서로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카메라 모듈.
- 제 6 항에 있어서,상기 제 2 하우징의 상기 구동원 위치 결정부가 규정되는 개구부는 그 양측이 얇게 형성되어, 해당 개구부는 차폐판으로 차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카메라 모듈.
- 제 6 항에 있어서,상기 제 2 하우징의 상기 구동원 위치 결정부가 규정되는 개구부의 개구폭은 상기 구동원의 외형 폭 보다도 작고, 상기 개구부의 형상이 상기 구동원의 외주면과 대략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구동원의 외주면이 상기 개구부에 접촉하도록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카메라 모듈.
- 제 6 항에 있어서,상기 제 2 하우징의 상기 구동원 위치 결정부가 규정되는 개구부의 바닥부에는 상기 구동원의 일면과 접촉해서 해당 구동원의 광축방향 위치 결정을 실행하는 지지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카메라 모듈.
-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본체의 상기 광학 렌즈군의 광축에 직각인 면에 있어서의 깊이의 길이는 상기 원통 캠의 직경과 상기 구동원의 폭치수를 합한 길이와 대략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카메라 모듈.
- 광학 렌즈군과,해당 광학 렌즈군에 있어서의 이동 렌즈를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초점조절 및/또는 촬영 배율을 변경하는 렌즈 이동 기구와,상기 이동 렌즈를 유지하는 렌즈 홀더와,상기 광학 렌즈군의 적어도 일부의 렌즈를 위치 결정 유지하는 동시에, 상기 렌즈 이동 기구와 상기 렌즈 홀더를 탑재하는 하우징을 구성하는 제 1의 하우징으로서, 상기 일부의 렌즈를 유지하는 측에 세워 설치한 적어도 일부를 두께로 하는 제 1 및 제 2 측벽을 갖는 제 1 하우징과,상기 렌즈 이동 기구를 구동하는 구동원을 부착한 제 2 하우징과,상기 제 1 및/또는 제 2 하우징에 형성되는 제 1 및 제 2 개구부와,상기 제 1 하우징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노치 개구부측외 가장자리에 배치된 상기 렌즈 홀더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축과,상기 제 1 하우징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노치 개구부측 외측 가장자리에서 또한 상기 렌즈 홀더외주에 근접해서 배치된 상기 렌즈 홀더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원통 캠과,상기 제 1 및 제 2 개구부를 덮는 차폐 판을 갖는 카메라 모듈과,상기 카메라 모듈이 장착된 케이스체와,상기 케이스체에 설정되어 상기 카메라 모듈의 상기 렌즈 이동 기구를 조작하는 조작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휴대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3-00435743 | 2003-12-26 | ||
JP2003435743A JP3841420B2 (ja) | 2003-12-26 | 2003-12-26 |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このカメラモジュールを備えた携帯端末 |
JPJP-P-2003-00435745 | 2003-12-26 | ||
JP2003435745A JP3841421B2 (ja) | 2003-12-26 | 2003-12-26 |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このカメラモジュールを備えた携帯端末 |
JP2004024632A JP3841423B2 (ja) | 2004-01-30 | 2004-01-30 |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このカメラモジュールを備えた携帯端末 |
JPJP-P-2004-00024568 | 2004-01-30 | ||
JP2004024568A JP3846799B2 (ja) | 2004-01-30 | 2004-01-30 | カメラモジュール |
JPJP-P-2004-00024632 | 2004-01-30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67093A true KR20050067093A (ko) | 2005-06-30 |
KR101076492B1 KR101076492B1 (ko) | 2011-10-24 |
Family
ID=34865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112534A KR101076492B1 (ko) | 2003-12-26 | 2004-12-24 | 카메라 모듈 및 휴대 단말기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7321726B2 (ko) |
KR (1) | KR101076492B1 (ko) |
CN (1) | CN100565324C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99750B1 (ko) * | 2006-02-24 | 2007-03-28 | 재영솔루텍 주식회사 | 이동통신단말기용 카메라의 구동 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108523A (ja) * | 2005-10-14 | 2007-04-26 | Sharp Corp | 光学部品モジュールおよびカメラモジュール |
JP4237790B2 (ja) * | 2006-08-24 | 2009-03-11 | シャープ株式会社 | レンズユニットおよび撮像装置 |
US9832528B2 (en) | 2010-10-21 | 2017-11-28 | Sony Corporation | System and method for merging network-based content with broadcasted programming content |
KR101504005B1 (ko) * | 2013-06-05 | 2015-03-18 | 삼성전기주식회사 | 렌즈 모듈 |
KR102166232B1 (ko) * | 2013-07-04 | 2020-10-15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카메라 모듈의 틸트 보정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
US10491795B2 (en) * | 2016-08-04 | 2019-11-26 | Soochow University | Auxiliary portable photographing device for use in a mobile phone and image data collection method |
CN113315892B (zh) * | 2021-05-14 | 2022-09-30 | 杭州海康威视数字技术股份有限公司 | 摄像机 |
Family Cites Families (2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17909Y1 (ko) * | 1990-06-04 | 1998-05-15 | 마쓰모도 도오루 | 줌 뷰 파인더 |
JPH0465305A (ja) | 1990-07-02 | 1992-03-02 | Sumitomo Heavy Ind Ltd | 高温超電導酸化物の薄膜形成方法 |
JP3186155B2 (ja) | 1992-01-13 | 2001-07-11 | 富士写真光機株式会社 | ズームレンズの調整機構 |
JP2973412B2 (ja) | 1992-03-16 | 1999-11-08 | 富士写真光機株式会社 | ズームレンズ装置 |
JPH06214194A (ja) | 1993-01-20 | 1994-08-05 | Nec Corp | 光アイソレータ |
JPH0796220B2 (ja) | 1993-06-14 | 1995-10-18 | 成幸工業株式会社 | 鋼繊維と固結用液状物との混合物及び鋼繊維と固結用液状物との混合物の製造方法及び鋼繊維と固結用液状物との混合物を用いた地盤への鋼繊維入り造成物の造成方法 |
JPH0763970A (ja) | 1993-08-23 | 1995-03-10 | Fuji Photo Optical Co Ltd | ズームレンズ装置 |
JPH1039401A (ja) | 1996-07-22 | 1998-02-13 | Fuji Photo Film Co Ltd | インスタントカメラ |
JPH1062852A (ja) | 1996-08-23 | 1998-03-06 | Kyocera Corp | カメラの駆動機構 |
JPH1075545A (ja) | 1996-08-30 | 1998-03-17 | Minolta Co Ltd | 小型モータの取り付け構造 |
JP3641333B2 (ja) * | 1996-11-29 | 2005-04-20 |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 ズームレンズ及びズームレンズを有するカメラ |
JPH11305104A (ja) | 1998-04-24 | 1999-11-05 | Fuji Photo Film Co Ltd | レンズ鏡胴 |
JP2001154239A (ja) | 1999-11-24 | 2001-06-08 | Fuji Photo Optical Co Ltd | 変倍ファインダ装置 |
JP4724294B2 (ja) | 2000-12-05 | 2011-07-13 | キヤノン株式会社 | レンズ鏡筒及びレンズ鏡筒の組立方法 |
JP2002182273A (ja) | 2000-12-11 | 2002-06-26 | Fuji Photo Optical Co Ltd | ズームファインダ装置 |
JP4773621B2 (ja) | 2001-01-19 | 2011-09-14 | キヤノン株式会社 | 光学装置 |
JP3807236B2 (ja) | 2001-02-28 | 2006-08-09 |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 レンズ鏡筒 |
JP2003084184A (ja) | 2001-09-14 | 2003-03-19 | Casio Comput Co Ltd | レンズユニット |
JP3995444B2 (ja) | 2001-10-29 | 2007-10-24 |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 レンズ駆動装置 |
JP3965309B2 (ja) | 2002-03-01 | 2007-08-29 |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 携帯情報端末機 |
JP3885617B2 (ja) | 2002-03-08 | 2007-02-21 | ソニー株式会社 | 結像レンズ装置及び撮像装置 |
-
2004
- 2004-12-23 US US11/021,488 patent/US7321726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4-12-24 KR KR1020040112534A patent/KR10107649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4-12-27 CN CNB2004101036948A patent/CN100565324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99750B1 (ko) * | 2006-02-24 | 2007-03-28 | 재영솔루텍 주식회사 | 이동통신단말기용 카메라의 구동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76492B1 (ko) | 2011-10-24 |
CN100565324C (zh) | 2009-12-02 |
US20060013577A1 (en) | 2006-01-19 |
US7321726B2 (en) | 2008-01-22 |
CN1637580A (zh) | 2005-07-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197240B2 (en) | Camera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the camera module | |
KR101076492B1 (ko) | 카메라 모듈 및 휴대 단말기 | |
JP3841424B2 (ja) |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このカメラモジュールを備えた携帯端末 | |
US20050140818A1 (en) | Camera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the camera module | |
JP3841422B2 (ja) | カメラモジュール | |
JP3987872B2 (ja) | カメラモジュール | |
JP3841423B2 (ja) |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このカメラモジュールを備えた携帯端末 | |
JP3731670B2 (ja) | カメラモジュール | |
JP3841419B2 (ja) | カメラモジュール | |
JP3846799B2 (ja) | カメラモジュール | |
JP3838576B2 (ja) | カメラモジュール | |
JP4016056B1 (ja) | 撮像装置 | |
JP3841421B2 (ja) |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このカメラモジュールを備えた携帯端末 | |
JP3841418B2 (ja) |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このカメラを備えた携帯端末 | |
JP3841420B2 (ja) |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このカメラモジュールを備えた携帯端末 | |
JP3731671B2 (ja) |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このカメラモジュールを備えた携帯端末 | |
JP4797047B2 (ja) | レンズ鏡胴 | |
JP2007028287A (ja) |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このカメラモジュールを備えた携帯端末 | |
JP2006121262A (ja) | フレキシブルケーブル取付構造と該取付構造を備えた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このカメラモジュールを備えた携帯端末 | |
JP2007025482A (ja) |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このカメラモジュールを備えた携帯端末 | |
JP2023179154A (ja) | レンズ鏡筒及び光学機器 | |
JP2009145691A (ja) | 撮像装置及びその組立方法 | |
JP2007004015A (ja) |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このカメラモジュールを備えた携帯端末 | |
JP4679083B2 (ja) | レンズ駆動装置 | |
JP2006145927A (ja) | カメラモジュール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