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7068A - 정보 공급 단말기 - Google Patents

정보 공급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7068A
KR20050067068A KR1020040112095A KR20040112095A KR20050067068A KR 20050067068 A KR20050067068 A KR 20050067068A KR 1020040112095 A KR1020040112095 A KR 1020040112095A KR 20040112095 A KR20040112095 A KR 20040112095A KR 20050067068 A KR20050067068 A KR 200500670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erminal
content
supply termin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2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21887B1 (ko
Inventor
시모다노리유끼
나까니시와따루
기하라다꾸
가따기리다이찌
오사끼마꼬또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세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세가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세가
Publication of KR20050067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70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1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18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사전의 이용자 정보 등록에 기초하는 액세스 인증을 필요로 하지 않고, 정보 단말기에 유료 콘텐츠 등을 제공할 수 없었다. 이용자가 정보 단말기를 이용하여, 콘텐츠가 저장된 정보 공급 단말기에 액세스할 때, 사전의 이용자 정보 등록에 기초하는 인터넷 접속 인증을 필요로 하지 않고, 정보 단말기에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정보 공급 단말기에 있어서, 정보 공급 단말기에 구비된 입력부를 통해, 선택된 정보 단말기를 이용자의 정보 단말기 고유의 단말기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하여, 콘텐츠를 무선 통신에 의해 송신하는 정보 공급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Description

정보 공급 단말기{INFORMATION SUPPLY TERMINAL}
본 발명은, 불특정 다수의 이용자가 모이는 장소에 설치되고, 정보 단말기로 콘텐츠를 제공하는 정보 공급 단말기 및 정보 공급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네트워크를 통해 다양한 정보(콘텐츠)가 PC(Personal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 휴대 전화, 게임기 등의 정보 단말기로 배신되고 있다. 그 형태는 네트워크에 접속된 서버(PC, PDA 등으로 실현됨)로 배신할 콘텐츠를 미리 저장해 두고, 이용자가 정보 단말기를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에 액세스하여, 콘텐츠를 다운로드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콘텐츠의 일례로서의 소프트웨어(프로그램)가 인터넷에 접속된 서버를 통해 제공되고 있다. 또한, 무선 LAN(Local Area Network)의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하여 정보 단말기가 서버에 액세스하는 방법이 이미 실시되고 있다.
정보 단말기를 이용하여 콘텐츠가 저장된 서버에 액세스하는 경우, 먼저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접속 인증이 행해진다. 예를 들면, ISP(Internet Service Provider)에 다이얼 업 접속할 때의 사용자 인증이나 무선 LAN의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할 때의 사용자 인증 등이다. 이러한 네트워크 접속 인증(사용자 인증)은 사전에 등록된 이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이용자의 액세스를 허용할 것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이며, 이용자가 액세스 시에 입력한 로그인명과 패스워드가 사전 등록된 것이 일치하는지에 의해 판정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유료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버에 액세스하는 경우에는, 또한 과금 인증이 행해진다. 과금 인증은 신용카드 번호를 정보 단말기를 통해 입력시키는 방법이나, 선불카드 번호를 입력시키는 방법이나, 패스워드를 입력시키는 방법(이 경우, 예를 들면, 휴대 전화의 통화료에 가산되어 나중에 정산됨)이 알려져 있다. 과금 인증에 관한 선행 기술로서, 특허문헌1에는 무선 LAN의 액세스 포인트에 있어서의 접속료에 대한 과금을 행하는 와이어리스 인터넷 액세스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1) 특허공개2002-315058호 공고
그러나 종래예에 있어서 유료 콘텐츠를 정보 단말기에 설치하는(다운로드 하는) 경우, 네트워크 접속 인증 및 과금 인증을 함께 필요로 했다. 이 때문에, 네트워크 접속 인증에 있어서, 사전 등록을 하지 않은 이용자는 콘텐츠를 다운로드 할 수 없다. 등록 신청 절차는 이용자에게 있어서 번잡하고, 또한 등록 신청으로부터 실제 서비스의 이용 개시까지는 타임래그가 있어, 신청해도 곧바로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또한, 유료 콘텐츠 중에는 소액(수백엔 정도)인 것도 있다. 그와 같은 콘텐츠의 대상자 중에는 신용카드를 이용할 수 없는 미성년자를 포함하는 경우도 많으며, 과금 인증에 신용카드가 사용되면, 유료 콘텐츠를 다운로드 할 수 없는 이용자도 나오게 된다. 선불카드라 하더라도 모든 이용자가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상황에 있다고는 말하기 어렵다.
이렇게 해서, 네트워크 접속 인증과 과금 인증에 의한 종래의 콘텐츠 제공 서비스에는 대상자를 사전 등록자로 한정하고 있는 점, 또한 소액의 결제가 필요한 경우라 하더라도 미성년자와 같은 신용카드, 선불카드 등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없는 이용자가 유료 콘텐츠를 정보 단말기에 다운로드 할 수 없는 점이 개선의 여지로서 남아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목적은 사전의 이용자 정보 등록에 기초하는 네트워크 접속 인증을 필요로 하지 않고, 정보 단말기에 유료 콘텐츠 등을 다운로드 하여 제공하는 방법 등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제1측면에 의하면,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송수신부를 통해 복수의 콘텐츠를 공급하는 공급 수단과, 상기 복수의 콘텐츠와 상기 복수의 콘텐츠의 대가 정보를 저장하는 기억부와, 과금 인증을 행하는 결제부와, 이용자에 대해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이용자가 지시를 입력하는 입력부를 구비한 정보 공급 단말기와, 고유의 단말기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기억부와,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송수신부를 구비한 정보 단말기가 서로 무선 통신 가능한 권내에 있을 때 정보 통신을 행하는 정보 공급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정보 공급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보 단말기는 상기 정보 공급 단말기와 무선 통신 가능한 권내에 있는 것을 계기로, 상기 정보 공급 단말기로 상기 정보 단말기의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단말기 식별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정보 공급 단말기는 상기 정보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상기 단말기 식별 정보를 정보 공급 단말기의 기억부에 저장하고, 이용 개시 지시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것을 계기로, 상기 정보 공급 단말기의 기억부에 저장된 상기 단말기 식별 정보로서, 해당 정보 공급 단말기와 통신 가능한 상기 정보 단말기의 상기 단말기 식별 정보를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고, 표시된 상기 단말기 식별 정보 중 어느 하나의 단말기 식별 정보가 선택되면, 해당 선택된 단말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정보 단말기를 특정하고, 상기 복수의 콘텐츠와 각 콘텐츠의 대가 정보를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콘텐츠 중 어느 하나의 콘텐츠가 선택되면, 해당 선택된 콘텐츠에 대응하는 대가의 지불에 대한 과금 인증을 상기 결제부를 통해 행하고, 상기 과금 인증에 의해 입금이 확인되면, 상기 선택된 단말기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된 정보 단말기로 상기 선택된 콘텐츠를 상기 정보 공급 단말기의 송수신부를 통해 송신하여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공급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제2측면에 따르면, 제1측면에서, 상기 복수의 콘텐츠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마다 제공되고, 상기 정보 단말기의 기억부는, 또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특정하는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정보 단말기는 상기 정보 공급 단말기와 무선 통신 가능한 권내에 있는 것을 계기로,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상기 정보 단말기의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정보 공급 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정보 공급 단말기는 상기 정보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상기 단말기 식별 정보와 대응시켜 정보 공급 단말기의 기억부에 저장하고, 표시된 상기 단말기 식별 정보 중 어느 하나의 단말기 식별 정보가 선택되고, 해당 선택된 단말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정보 단말기를 특정하고, 상기 선택된 단말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의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특정하고, 상기 특정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복수의 콘텐츠와 각 콘텐츠의 대가 정보를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공급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제3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1 또는 제2측면에서, 상기 정보 공급 단말기는 해당 정보 공급 단말기와 무선 통신 가능한 권내에 있는 상기 정보 단말기의 대수에 따라 표시하는 상기 콘텐츠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공급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제4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1 또는 제2측면에서, 상기 정보 단말기의 기억부는, 또한 그룹을 식별하는 그룹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정보 단말기는 상기 정보 공급 단말기와 무선 통신 가능한 권내에 있는 것을 계기로, 또한 상기 그룹 정보를 상기 정보 단말기의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정보 공급 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정보 공급 단말기는 상기 정보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상기 그룹 정보를 상기 단말기 식별 정보와 대응시켜 정보 공급 단말기의 기억부에 저장하고, 그룹 이용 개시 지시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것을 계기로, 상기 정보 공급 단말기의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한 상기 정보 공급 단말기의 기억부에 저장된 상기 그룹 정보로서, 해당 정보 공급 단말기와 통신 가능한 상기 정보 단말기가 속하는 그룹에 대응하는 상기 그룹 정보를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고, 표시된 상기 그룹 정보 중 어느 하나의 그룹 정보가 선택되면, 해당 선택된 그룹 정보에 대응하는 그룹에 속하는 상기 정보 단말기를 특정하고, 상기 복수의 콘텐츠와 각 콘텐츠의 대가 정보를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콘텐츠 중 어느 하나의 콘텐츠가 선택되면, 해당 선택된 콘텐츠에 대응하는 대가의 지불에 대한 과금 인증을 상기 결제부를 통해 행하고, 상기 과금 인증에 의해 입금이 확인되면, 상기 선택된 그룹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된 정보 단말기로 상기 선택된 콘텐츠를 상기 정보 공급 단말기의 송수신부를 통해 송신하여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공급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제5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1 또는 제2측면에서, 상기 정보 단말기는, 또한 상기 정보 공급 단말기와 무선 통신 가능한 권내에 들어간 것을 이용자에게 통지하는 통지부를 가지며, 상기 정보 공급 단말기는 상기 정보 단말기가 무선 통신 가능한 권내에 들어갔을 때, 해당 정보 단말기로 상기 통지부를 기동하기 위한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공급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제6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콘텐츠와 상기 복수의 콘텐츠의 대가 정보가 저장된 서버와 통신 가능하도록 접속되고,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송수신부와, 정보를 저장하는 기억부와, 과금 인증을 행하는 결제부와, 이용자에 대해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이용자가 지시를 입력하는 입력부를 구비한 정보 공급 단말기와, 고유의 단말기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기억부와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송수신부를 구비한 정보 단말기가 서로 무선 통신 가능한 권내에 있을 때 정보 통신을 행하는 정보 공급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정보 공급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보 단말기는 상기 정보 공급 단말기와 무선 통신 가능한 권내에 있는 것을 계기로, 상기 정보 공급 단말기로 상기 정보 단말기의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단말기 식별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정보 공급 단말기는 상기 정보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상기 단말기 식별 정보를 정보 공급 단말기의 기억부에 저장하고, 이용 개시 지시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것을 계기로, 상기 정보 공급 단말기의 기억부에 저장된 상기 단말기 식별 정보로서, 해당 정보 공급 단말기와 통신 가능한 상기 정보 단말기의 상기 단말기 식별 정보를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고, 표시된 상기 단말기 식별 정보 중 어느 하나의 단말기 식별 정보가 선택되면, 해당 선택된 단말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정보 단말기를 특정하고, 상기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서버에 저장된 상기 복수의 콘텐츠와 상기 각 콘텐츠의 대가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상기 복수의 콘텐츠와 상기 각 콘텐츠의 대가 정보를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콘텐츠 중 어느 하나의 콘텐츠가 선택되면, 해당 선택된 콘텐츠에 대응하는 대가의 지불에 대한 과금 인증을 상기 결제부를 통해 행하고, 상기 과금 인증에 의해 입금이 확인되면, 상기 선택된 단말기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된 정보 단말기로 상기 선택된 콘텐츠를 상기 정보 공급 단말기의 송수신부를 통해 송신하여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공급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제7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콘텐츠와 상기 복수의 콘텐츠의 대가 정보가 저장된 기억부와, 이용자에 대해 콘텐츠와 콘텐츠의 대가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이용자가 지시를 입력하는 입력부와, 과금 인증을 행하는 결제부와, 상기 콘텐츠를 정보 단말기에 무선에 의해 송신하는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송수신부와, 상기 정보 단말기와 정보 통신을 행하기 위한 제어를 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상기 콘텐츠 중에서 특정된 콘텐츠에 대응하는 대가의 지불에 대한 과금 인증을 상기 결제부를 통해 행하고, 상기 과금 인증에 의해 입금이 확인되면, 상기 특정된 콘텐츠를 이용자의 정보 단말기로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송신하는 정보 공급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무선 통신 가능한 권내에 있는 상기 정보 단말기가 송신하는 단말기 식별 정보를 상기 기억부에 저장시키고,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상기 콘텐츠 중에서 콘텐츠가 특정되면, 상기 기억부에 저장된 상기 단말기 식별 정보로서, 해당 정보 공급 단말기와 통신 가능한 상기 정보 단말기의 상기 단말기 식별 정보를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시키고, 표시된 상기 단말기 식별 정보로부터 선택된 단말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 단말기를 상기 이용자의 정보 단말기로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공급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제8측면에 따르면, 제7측면에서, 상기 제어부는, 또한 무선 통신 가능한 권내에 있는 상기 정보 단말기의 대수에 따라 표시하는 상기 콘텐츠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공급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제9측면에 따르면, 제7측면에서, 상기 제어부는, 또한 무선 통신 가능한 권내에 있는 상기 정보 단말기가 송신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특정하는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상기 단말기 식별 정보에 대응시켜 상기 기억부에 저장시키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따라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상기 콘텐츠 정보를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공급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제10측면에 따르면, 제7측면에서, 상기 제어부는, 또한 무선 통신 가능한 권내에 있는 상기 정보 단말기가 송신하는 그룹을 특정하는 그룹 정보를 상기 단말기 식별 정보에 대응시켜 상기 기억부에 저장시켜고, 상기 그룹 정보에 따라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상기 콘텐츠 정보를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공급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러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물에까지 이른다.
도 1은 본 발명의 정보 공급 방법이 적용되는 정보 공급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정보 공급 단말기(1)는, 예를 들면 불특정 다수의 사람이 모이는 장소(편의점이나 백화점, 쇼핑몰 등)에 설치되어, 이용자에 의해 정보 공급 단말기(1)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메뉴(콘텐츠 정보)에 따라 조작되고, 콘텐츠가 선택되면, 내부에 저장된 콘텐츠를 무선 통신에 의해 배신한다. 정보 제공 단말기로서, 일반적인 PC 등의 단말기를 배치할 수도 있지만, 콘텐츠 배신용 전용 단말기를 사용해도 된다. 정보 공급 단말기의 구체적인 예는 후술한다. 도 1에서는 정보 공급 단말기는 1대뿐이지만, 여러 대 존재해도 된다.
정보 단말기(2)는 정보 공급 단말기(1)와의 무선 통신의 상대편 단말기이며, 정보 공급 단말기(1)로부터 배신되는 콘텐츠를 다운로드하여 설치한다. 정보 단말기(2)로서는 이용자가 휴대하는 휴대 단말기(PDA, 휴대 전화, 휴대형 게임기 등)가 바람직하다.
정보 공급 단말기(1)에 저장되는 콘텐츠 관리는, 각 정보 공급 단말기마다 개별적으로 행해지는 경우(개별 관리)와, 정보 공급 단말기(1)와 네트워크(4)를 통해 접속된 콘텐츠 서버(3)를 이용하여 행해지는 경우(일괄 관리)가 있다. 네트워크(4)는, 예를 들면 인터넷, LAN(Local Area Network) 등의 통신망이다.
개별 관리의 경우, 관리자가 복수의 정보 공급 단말기를 주회(周回)하고, 각 정보 공급 단말기에 구비된 입력부(키보드, 마우스, 광 디스크의 판독 장치 등)를 사용하여 콘텐츠의 추가, 삭제를 행함으로써 콘텐츠가 관리된다. 일괄 관리의 경우, 관리자가 콘텐츠 서버(3)에서 콘텐츠의 추가, 삭제를 행함으로써 콘텐츠 관리가 행해진다. 각 정보 공급 단말기(1)는 이용자로부터 콘텐츠 취득 요구가 있었을 때, 최신의 콘텐츠를 콘텐츠 서버(3)로부터 네트워크(4)를 통해 취득하고, 이용자에게 제시한다. 이 경우, 정보 공급 단말기(1)에는 개별적으로 콘텐츠를 보관해 둘 필요가 없게 되어, 이용자로부터의 요구가 있었던 콘텐츠를 그 때마다 콘텐츠 서버(3)로부터 취득하기 때문에, 정보 공급 단말기(1)의 설비는 쉽게 끝나며, 비용이 절감된다. 또한, 콘텐츠 관리도 콘텐츠 서버(3)의 관리에 집약되어, 인적 비용도 절감된다. 또한, 각 정보 공급 단말기(1)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준비하여, 콘텐츠 서버(3)에 식별 정보마다 다른 콘텐츠를 저장함으로써 정보 공급 단말기마다 제공하는 콘텐츠를 바꾸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이외에, 정보 공급 단말기(1)로서 사용하는 장치의 자원에 여유가 있으면(예를 들면, CPU의 처리 능력이 충분히 높고, 충분한 메모리를 탑재하고 있으며, 충분한 기억 용량을 구비하는 등의 경우), 정보 공급 단말기(1)가 정기적으로 콘텐츠 서버(3)에 액세스하여 콘텐츠의 갱신 상황을 확인하고, 갱신된 콘텐츠가 있으면, 그것을 네트워크(4)를 통해 취득함으로써, 정보 공급 단말기(1)에 항상 최신의 콘텐츠가 저장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계속해서, 정보 공급 시스템에 포함되는 정보 공급 단말기(1), 정보 단말기(2)를 설명한다. 콘텐츠 서버(3)에 대해서는, 콘텐츠 서버가 사용되는 경우(일괄 관리의 경우)의 설명에서 후술한다.
먼저, 정보 공급 단말기(1)를 설명한다. 또, 이하 본 실시 형태에서는 콘텐츠의 일례로서 비디오 게임에 관한 콘텐츠를 다루는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의 정보 공급 단말기(1)의 외관도(정면도)이다. 정보 공급 단말기(1)는 비디오 모니터(표시부)(22)와, 키보드 등을 갖는 컨트롤 패널(입력부)(23)을 구비한다. 비디오 모니터(22)에 표시되는 메뉴를 이용자가 컨트롤 패널(23)을 조작하여 선택하면, 그 메뉴에 대응하는 다양한 콘텐츠가 정보 단말기(2)로 배신된다.
정보 공급 단말기(1)는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며, 안테나(21)를 통해, 예를 들면 최신의 비디오 게임 공략 정보(텍스트 정보), 새로운 기능이 추가된 확장 프로그램(바이너리 정보) 등의 콘텐츠를 정보 단말기(2)로 송신한다. 또한, 정보 공급 단말기(1)에서 제공되는 콘텐츠 중에는 유료인 것이 포함된다. 유료 콘텐츠를 취득하는 경우, 이용자는 정보 공급 단말기(1)에 구비된 결제부를 통해 대가를 지불한다. 도 2에서는, 일례로서 현금 투입구(24)에 현금을 투입하여, 콘텐츠에 대한 대가를 지불한다. 잔돈 배출구(25)로부터는 잔돈이 배출된다. 결제부로서는, 그 외에 선불카드의 판독 및 기입 장치, 금융 기관과 네트워크로 접속된 직불카드의 판독 및 기입 장치, IC카드에 기억된 전자화폐의 판독 및 기입 장치(IC 카드 리더 라이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트레이딩 카드를 그 트레이딩 카드의 구입시에 지불한 금액만큼의 콘텐츠를 구입할 수 있는 선불카드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트레이딩 카드란, 트럼프와 같은 카드 게임으로서 단체(單體)로 놀 수도 있지만, 트레이딩 카드에 인자(印字)된 바코드 등을 이용하여 비디오 게임이나 트레이딩 카드용 장치와 연동하는 놀이법이 가능한, 소액으로 구입할 수 있는 카드이다. 트레이딩 카드를 선불카드처럼 이용함으로써(부모가 사준 트레이딩 카드를 아이가 소지하여) 아이는 현금을 가지고 다니지 않고, 본 발명의 정보 공급 단말기(1)에서 유료 콘텐츠를 취득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캐릭터 피규어(예를 들면, 플라스틱제의 캡슐에 봉인되어 판매됨)에 기록된 금액 정보와 그 판독 장치를 결제부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의 정보 공급 단말기(1)의 구성 블록도이다. 정보 공급 단말기(1)는 제어부(31), 송수신부(33), 결제부(34), 기억부(32), 입력부(38), 표시부(39)를 갖는다. 각 기능 블록은 프로그램으로 실현되며, 정보 공급 단말기(1)에 구비된 도시 생략된 CPU(Central Processing Unit)에서 그 프로그램이 실행되지만, 하드웨어로 구성할 수도 있다.
제어부(31)는 정보 공급 단말기(1)를 제어하고, 입력부(38)에 메뉴 등을 출력하며, 입력부(38)로부터 입력되는 지시에 따라 처리를 하고, 송수신부(33)로부터 입력되는 명함 데이터를 기억부(32)의 참가 단말기 데이터베이스(참가 단말기 DB)(322)에 저장하고, 결제부(34)를 통해 행해지는 과금 인증의 결과에 기초하여 콘텐츠를 배신할지 결정하고, 콘텐츠를 배신하는 경우 기억부(32)에 저장된 콘텐츠를 송수신부(33)로 출력하는 등의 처리를 한다. 또한, 상세한 내용은 (도 11에서)후술하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 제어부(31)는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서버로서 기능한다.
명함 데이터란, 정보 단말기(2)가 정보 공급 단말기(1)의 통신권내에 들어가면 송신되는 데이터로서 정보 단말기(2)를 식별하기 위한 단말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세한 내용은 후술(도 4)한다. 또한, 정보 공급 단말기(1)가 제공하는 콘텐츠가 복수 종류의 콘텐츠(여기서는, 일례로서 비디오 게임에 관한 콘텐츠로 함)에 이르는 경우에는, 콘텐츠의 타이틀(예를 들면, 비디오 게임의 타이틀)과 콘텐츠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어플리케이션 식별 정보)가 대응된 데이터베이스(어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어플리케이션 DB)(323)가 미리 기억부(32)에 저장된다.
또한, 제어부(31)는 그때까지 권외에 있던 정보 단말기가, 정보 공급 단말기의 무선 통신권내에 들어온 것을 통지하기 위한 정보를, 송수신부(33)를 통해 송신한다. 여기서, "정보 단말기가 정보 공급 단말기의 무선 통신권내에 들어온 것을 통지하기 위한 정보"란 구체적으로는, 정보 단말기(2)에 구비된 통지부(도 8에서 후술)를 기동하기 위한 통지부 기동 지시이며, 통지부 기동 지시를 수신한 정보 단말기(2)는 통지부를 기동한다. 또한, 통지부 기동 지시와 함께, 정보 단말기(2)에서 실제로 이용자에게 환기를 촉구하는 데 사용되는 정보(예를 들면, 정보 단말기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메시지나, 정보 단말기의 스피커로부터 음성 출력되는 음성 메시지 등)가 송신되어도 된다.
송수신부(33)는 정보 단말기(2)와 무선 통신을 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송수신부(33)는 정보 단말기(2)로부터 송신되는 명함 데이터를 제어부(31)로 출력한다. 또한, 송수신부(33)는 콘텐츠 등을 수신처의 정보 단말기(2)로 송신한다. 결제부(34)는 사용되는 입금 방법(현금, 선불카드, 직불카드 등)에 따른 판독 및 기입 장치를 가지며, 과금 인증의 결과를 제어부(31)에 통지한다. 또한 그 외에, 잔돈의 배출, 선불카드의 자기정보의 갱신, 금융 기관으로의 감액 통지 등의 필요한 처리를 한다.
기억부(32)는 제어 프로그램(321), 참가 단말기 데이터베이스(참가 단말기 DB)(322), 어플리케이션 DB(323), 콘텐츠(324) 등을 포함한다. 기억부(32)는, 예를 들면 하드디스크, 불휘발성 메모리 등의 기억 수단이다. 참가 단말기 DB(322)는 정보 공급 단말기(1)에 송신된 명함 데이터를 저장한다. 콘텐츠(324)는 콘텐츠의 저장 장소로서 사용된다.
입력부(38)는 이용자가 지시를 입력하거나, 콘텐츠가 입력될 때 사용되는 입력 수단이며, 예를 들면 도 2의 컨트롤 패널(23)이 해당된다. 그 외에, 키보드, 마우스, CD-ROM 등의 광 디스크용의 드라이브를 구비해도 된다. 표시부(39)는 이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수단이며, CRT나 액정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예를 들면, 도 2의 비디오 모니터(22)가 해당된다.
또, 입력부는 물리적인 접촉에 의한 입력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표시부는 시각적인 정보를 표시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대신에 표시부로서 스피커가 사용되고, 음성에 의해 메뉴가 낭독되며, 입력부로서 마이크가 사용되고, 이용자가 발한 음성에 따라 메뉴가 선택 입력되어도 된다.
이렇게 해서, 정보 공급 단말기(1)의 제어부(3l), 송수신부(33), 기억부(32)가 정보 단말기(2)에 대해 콘텐츠의 공급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다음으로, 정보 공급 단말기(1)의 기억부(32)에 각각 저장되는 참가 단말기 DB(322), 어플리케이션 DB(323), 콘텐츠(324)의 데이터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참가 단말기 DB(322)에 관련되는 데이터로서, 명함 데이터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정보 공급 단말기(1)에 정보 단말기(2)가 송신하는 명함 데이터의 데이터 구성예를 도시한 것이다. 명함 데이터는 단말기 고유의 식별 정보인 단말기 식별자(단말기 ID)를 포함하며, 또한 단말기 ID에 어플리케이션 식별자(어플리케이션 ID)가 대응되어 있다. 단말기 ID는 정보 단말기(2)를 특정하기 위한 식별자이며, 예를 들면 통신 기기에 고유의 MAC(Media Access Control) 어드레스, 휴대 전화 번호, 고정 IP 어드레스 등이 사용된다. 또한, 일시적으로 할당되는 식별자(예를 들면, DHCP 서버에 의해 할당되는 IP 어드레스 등)를 사용할 수도 있다.
어플리케이션 ID는, 본 발명에서는 정보 단말기(2)에서 실행중인 비디오 게임을 특정하기 위한 식별자이다. 어플리케이션 ID에 의해, 정보 단말기(2)에서 실행중인 비디오 게임이 특정됨으로써, 정보 공급 단말기(1)에 그 비디오 게임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표시시킬 수 있다. 또한, 배신한 콘텐츠가 배신처의 정보 단말기(2)에서 실행 가능한지를 판정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해서, 놀 수 없는 콘텐츠가 잘못된 정보 단말기로 배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어플리케이션 ID의 데이터 구성예이다. 어플리케이션 ID는 정보 단말기(2)에서 실행되는 비디오 게임을 특정하는 정보이며, 도 5에서는 게임 벤더마다 부여되는 벤더 코드와, 게임 벤더 내에서 게임 타이틀을 일의(一意)에 식별하는 타이틀 코드를 조합한 것으로 되어 있다. 도 5의 예 이외에 정보 단말기(2)에서 실행중인 게임에 관한 정보(예를 들면, 벤더명이나, 게임 타이틀)를 텍스트로 저장한 것을 어플리케이션 ID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도 6은 도 3의 참가 단말기 DB(322)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데이터 구성예이다. 도 6의 참가 단말기 DB(322)에는 "단말기 ID", "IP 어드레스", "어플리케이션 ID", "그룹명"이 데이터 항목으로서 저장된다.
"단말기 ID", "어플리케이션 ID"는 도 4의 명함 데이터에 포함되는 것과 동일하다. 정보 공급 단말기(1)는 명함 데이터를 정보 단말기(2)로부터 수신하면, 동일한 단말기 ID가 참가 단말기 DB(322)에 저장 완료되었는지를 확인하고, 아직 저장되지 않은 경우에 새로운 엔트리로서 대응하는 항목을 참가 단말기 DB(322)에 추가한다.
"IP 어드레스"는 단말기 ID에 대응된 IP(Internet Protocol) 어드레스이며,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례로서 제어부(31)를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서버로서 기능시켜, DHCP 서버에 의해 할당된 IP 어드레스를 도 6의 "IP 어드레스"에 저장한다. 이에 따라, 정보 공급 단말기(1)에서 콘텐츠가 이용자에 의해 선택된 후, 이용자의 정보 단말기로 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송신할 수 있다.
"그룹명"은 추가적인 데이터 항목으로서, 복수의 이용자가 모여 그룹이 만들어진 경우, 각 그룹을 식별하기 위한 이름이 저장된다. 그룹 설정은 정보 공급 단말기(1)에서 행해진다. 그룹을 설정시키는 동기 부여로서, 예를 들면 그룹간에 대전(對戰)을 하고, 승리 그룹에게는 통상의 비디오 게임의 유희로는 얻을 수 없는 특수 아이템을 입수하게 하거나, 소정의 인원수 이상이 안 되면 놀 수 없는 미니 게임을 준비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도 7은 기억부(32)에 저장되는 어플리케이션 DB(323)의 데이터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게임에 붙여진 게임 타이틀(게임명)과, 그것을 식별하는 어플리케이션 식별 정보(어플리케이션 ID)가 대응되어 있다. 어플리케이션 ID는 게임 타이틀이 다르면 각각 다르며, 중복되는 일은 없다. 즉, 도 7에서 "A의 모험"의 어플리케이션 ID(AID1)와 "B의 레이싱"의 어플리케이션 ID(AID2)는 다른 식별자이다.
도 8은 기억부(32)에 저장되는 콘텐츠(324)의 데이터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데이터 항목으로서, "게임 타이틀", "메뉴", "콘텐츠"가 저장된다. "게임 타이틀"은 정보 공급 단말기(1)에서 제공중인 게임 타이틀이 저장된다. "메뉴"는 각 게임 타이틀에 대해 제공되는 메뉴이다. 각각의 "메뉴"에는 일 내지 복수의 콘텐츠가 대응되며, 이용자는 메뉴를 선택함으로써, 각 메뉴에 대응된 일 내지 복수의 콘텐츠를 취득할 수 있다.
데이터 항목 "콘텐츠"에는 콘텐츠 타이틀, 대가, 데이터 저장 장소가 세트로 한개 내지 복수개 저장된다. 콘텐츠 타이틀은 이용자의 콘텐츠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이름이고, 대가는 그 콘텐츠의 취득에 필요한 금액이며, 데이터 저장 장소는 콘텐츠 데이터가 저장된 파일로의 패스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8에서 게임 타이틀 "A의 모험"에 대해, 적어도, "무료 콘텐츠", "공략 정보", "확장 정보", "그룹 메뉴"가 메뉴로서 제공되고, 그 중 "공략 정보"에 관해서는, 오피셜 정보(100엔), 언오피셜 정보(100엔), 양쪽(200엔)이라는 콘텐츠가 준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용자가 "공략 정보"에서 "오피셜"을 선택하고, 100엔을 지불하면, 데이터 저장 장소에 나타나는 official.txt라는 텍스트 파일이 이용자의 정보 단말기(2)로 송신된다. 또한, "그룹" 메뉴에서 "다른 그룹과 대전"이 선택되어 인원수만큼의 지불이 완료되면, 정보 공급 단말기(1)에서 fight.exe라는 프로그램이 실행되어, 대전에 필요한 데이터 및 프로그램이 참가자의 정보 단말기(2)로 송신된다.
계속해서, 본 실시 형태의 정보 공급 시스템에 포함되는 정보 단말기(2)를 설명한다. 도 1의 정보 공급 시스템에 포함되는 정보 단말기(2)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게임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휴대형 게임 단말기이다. 각 정보 단말기(2)는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고, 무선 통신 안테나(14)를 통해 다른 정보 단말기(2)나 정보 공급 단말기(1)와 통신 가능하다. 정보 단말기(2)는 이용자가 지시를 입력하는 입력부로서, 십자 키(11)나 버튼(12)이 구비되며, 이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로서, 액정 화면(13)이 구비되어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의 정보 단말기(2)의 구성 블록도이다. 정보 단말기(2)는 제어부(91), 송수신부(92), 기억부(93), 통지부(94), 입력부(95), 표시부(96)를 갖는다. 각 기능 블록은 프로그램으로 실현되고, 정보 단말기(2)에 구비된 도시 생략된 CPU(Central Processing Unit)(도시 생략)에서 그 프로그램이 실행되지만, 하드웨어로 구성할 수도 있다.
제어부(91)는 정보 단말기(2)를 제어하고, 표시부(96)에 게임의 진행을 출력하며, 입력부(95)로부터 입력되는 지시에 따라 처리하고, 송수신부(92)로부터 입력되는 콘텐츠를 기억부(93)에 저장하며, 정보 공급 단말기(1)의 통신권내에 들어가면 명함 데이터를 송수신부(92)로 출력하고, 새로운 정보 공급 단말기의 무선 통신권내에 들어간 것을 통지하는 정보를 수신하면, 통지부(94)를 기동하여 이용자에게 환기를 촉구한다. 또, 상세한 내용은 후술하겠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 제어부(91)는 DHCP 클라이언트로서 기능한다.
송수신부(92)는 정보 공급 단말기(1)와 무선 통신을 행한다. 송수신부(92)는 정보 공급 단말기(1)로부터 송신되는 콘텐츠를 제어부(91)로 출력하고, 제어부(91)로부터 입력되는 명함 데이터(도 4 참조)를 정보 공급 단말기(1)로 송신한다. 기억부(93)는 게임 프로그램(931), 명함 데이터(932), 콘텐츠(933) 등을 포함한다. 기억부(93)는, 예를 들면 하드디스크, 불휘발성 메모리 등의 기억 수단이다.
통지부(94)는 정보 공급 단말기(1)로부터 송신되는 통지부 기동 지시에 기초하여, 새로 정보 공급 단말기의 무선 통신권내에 들어간 것을 이용자에게 통지한다. 예를 들면, 표시부(96)에 표시시켜 이용자가 알아차리게 하기 위한 메시지를 작성하고, 혹은 도시하지 않은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에 의해 이용자가 알아차리게 하기 위한 음성 메시지를 작성하고, 혹은 도시하지 않은 편심추를 모터로 회전시켜 정보 단말기를 진동시킨다. 또한, 이들의 조합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메시지나 음성 메시지를 전술한 통지부 기동 지시와 함께 수신하는 경우, 통지부(94)가 새로 작성하지 않고 이들을 이용해도 상관없다.
입력부(95)는 이용자가 지시를 입력하거나, 콘텐츠가 입력될 때 사용되는 입력 수단이며, 예를 들면, 도 1의 십자 키(11)나 버튼(12)이 해당된다. 그 외에, 키보드, 마우스, CD-ROM 등의 광 디스크용의 드라이브를 구비해도 된다. 표시부(96)는 이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수단이며, 예를 들면 도 1의 액정 화면(13)이 해당된다. 또, 입력부는 물리적인 접촉에 의한 입력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표시부는 시각적으로 정보를 표시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대신에 표시부로서 스피커가 사용되고, 음성에 의해 표시 내용이 낭독되고, 입력부로서 마이크가 사용되며, 이용자가 발한 음성에 따라 지시가 입력되어도 된다.
다음으로, 이상으로 설명한 정보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정보 공급 단말기(1)에 저장된 콘텐츠가 정보 단말기(2)에 설치되는(다운로드 되는) 동작을 설명한다. 여기서는, 콘텐츠의 관리 형태로서 콘텐츠 서버를 통하지 않고, 정보 공급 단말기마다 콘텐츠가 관리되는 "개별 관리"와, 콘텐츠 서버를 통한 "일괄 관리"를 생각할 수 있다. 먼저, "개별 관리"의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개별 관리, 한 종류의 콘텐츠]
또한, 설명을 간략화 하기 위해, 정보 공급 단말기(1)가 한 종류의 비디오 게임에 관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경우에 대해, 그 동작 및 그 동작에 관련되는 데이터의 데이터 구성을 설명한다. 콘텐츠는 도 3의 입력부(38)를 통해 정보 공급 단말기(1)에 입력이 완료되는 것으로 한다.
도 10은 정보 공급 단말기(1)가 한 종류의 비디오 게임에 관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경우의 처리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정보 단말기(2)는 정보 공급 단말기(1)의 통신권내에 들어가면, 정보 단말기(2)를 식별하는 단말기 식별 정도를 포함하는 명함 데이터를 송신하고, 이용자에게 무선 통신권내에 정보 공급 단말기가 존재한다는 것을 통지한다(S1). 명함 데이터는 정보 단말기(1)의 기억부(93)에 미리, 예를 들면 도 4의 데이터 구성으로서 저장되어 있다. 계속해서, 정보 공급 단말기(1)는 수신한 명함 데이터를 참가 단말기 DB(322)로 추가 갱신한다(S2). 단계 S1, 단계 S2의 처리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DHCP의 기능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행해진다.
도 11은 DHCP을 이용하여 단계 S1, 단계 S2를 행하는 경우의 처리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처리에 있어서 송수신되는 패킷의 데이터 구성이다. 예로서, IP 패킷을 나타낸다. 도 11의 설명에 있어서 적절히 도 12를 참조한다. 여기서는, 예로서 DHCP 서버로서 기능하는 정보 공급 단말기(1)의 MAC 어드레스를 11:11:11:11:11:11, DCHP 클라이언트로서 기능하는 정보 단말기(2)의 MAC 어드레스를 00:00:00:00:00:00으로 하여 설명한다.
먼저, DHCP 클라이언트(정보 단말기(2))는 DHCP DISCOVER 패킷을 네트워크로 브로드캐스트 한다(S21). 단계 S21은 DHCP 클라이언트로서 기능하는 정보 단말기(2)의 제어부(91)가 DHCP DISC0VER 패킷을 생성하며, 송수신부(92)를 통해 DHCP DISCOVER 패킷을 송신한다. 도 11에 있어서, 수신처 MAC 어드레스(도 12의 Ethernet 헤더 참조)가 FF:FF:FF:FF:FF:FF로 되며, 이 패킷은 브로드캐스트된다.
브로드캐스트된 네트워크에 있어서 DHCP 서버가 존재하면, 그 DHCP 서버는 DHCP OFFER 패킷을 응답한다(S22). 단계 S22는 먼저 정보 공급 단말기(1)의 송수신부(33)가 수신한 DHCP DISC0VER 패킷을 제어부(31)로 출력하고, DHCP 서버로서 기능하는 제어부(31)가 DHCP 0FFER 패킷을 생성하며, 송수신부(33)를 통해 DHCP OFFER 패킷을 송신한다. DHCP OFFER 패킷의 IP 데이터(도 12 참조)에는 DHCP 서버(정보 공급 단말기(1))에 축적된 빈 IP 어드레스의 리스트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IP 어드레스가 포함되고, DHCP 클라이언트(정보 단말기(2))에 대하여, 그 IP 어드레스의 사용이 제안된다.
DHCP 클라이언트(정보 단말기(2))는 제안된 IP 어드레스의 사용에 동의함을 선언하기 위해 DHCP REQUEST 패킷을 다시 브로드캐스트 한다(S23). 단계 S23은 정보 단말기(2)의 송수신부(92)가 수신한 DHCP OFFER 패킷을 제어부(91)로 출력하고, 제어부(91)가 DHCP REQUEST 패킷을 생성하며, 송수신부(92)를 통해 DHCP REQUEST 패킷을 송신한다.
DHCP REQUEST 패킷를 수신한 DHCP 서버(정보 공급 단말기(1))는 사용이 선언된 IP 어드레스를 빈 IP 어드레스의 리스트로부터 삭제하여, 사용이 선언된 IP 어드레스와 DHCP 클라이언트(정보 단말기(2))의 MAC 어드레스를 대응시켜 기억부(32)의 참가 단말기 DB(322)에 저장하는 것과 함께, DHCP 클라이언트(정보 단말기(2))에 DHCP ACK 패킷을 송신한다(S24). 단계 S24는 먼저 정보 공급 단말기(1)의 송수신부(33)가 수신한 DHCP REQUEST 패킷을 제어부(31)로 출력하고, 제어부(31)가 DHCP ACK 패킷을 생성하며, 송수신부(33)를 통해 DHCP ACK 패킷을 송신한다. 그 후, DHCP 클라이언트(정보 단말기(2))는 단계 S23에서 사용을 선언한 IP 어드레스를 사용하여 통신을 행한다.
단계 S24의 DHCP ACK는 통지부 기동 지시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계 S21의 DHCP DISCOVER 패킷의 브로드캐스트가 정보 단말기의 전원 투입시나 전원 투입 후 소정의 간격으로 실행되고, 단계 S24의 DHCP ACK를 수신한 송수신부(92)가 제어부(91)에 정보 공급 단말기(1)와 통신 가능한 상태에 있음을 통지함으로써, 제어부(91)는 통지부를 기동한다. 그리고 정보 공급 단말기의 무선 통신권내에 있음을 알리는 화상이나 텍스트 정보를, 정보 단말기(2)의 표시부(96)로 출력하거나, 도시 생략된 스피커로부터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고, 혹은 도시 생략된 바이브레이터를 진동시키고,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통지부(94)는 이용자에게 정보 공급 단말기(1)와 통신 가능한 상태에 있음을 통지하는 통지 기능을 실현한다.
또, DHCP 서버에 의해 할당된 IP 어드레스에는 사용 기간이 설정되며, 사용 기간이 지나기 전에 DHCP 클라이언트(정보 단말기(2))에 의해 연장 요구(DHCP REQUEST)가 안 된 경우, 그 IP 어드레스는 해방된다. 해방되면, DHCP 서버의 빈 IP 어드레스 리스트에 해방된 IP 어드레스가 부활되는 것과 함께 해방된 IP 어드레스의 엔트리가 참가 단말기 DB(322)로부터 삭제된다. 이와 같이 하면, 정보 단말기(2)가 정보 공급 단말기(1)의 통신권내에 들어감으로써, IP 어드레스가 할당되는 것과 함께 참가 단말기 DB(322)에 정보 단말기(2)의 명함 데이터가 추가되고, 정보 단말기(2)가 정보 공급 단말기(1)의 통신권내로부터 제외됨으로써, IP 어드레스가 해방하는 것과 함께 참가 단말기 DB(322)로부터 명함 데이터가 삭제되어, 참가 단말기 DB(322)는 정보 단말기(2)의 이동에 맞추어 갱신된다.
이상의 처리에 있어서, 정보 단말기(2)가 정보 공급 단말기(1)의 통신권내에 들어가지 않으면, 브로드캐스트된 DHCP DISCOVER 패킷에 DHCP 서버(정보 공급 단말기(1))가 응답하지 않는다.
따라서 도 10에서 정보 단말기(2)가 정보 공급 단말기(1)의 통신권내에 들어가면, 명함 데이터(도 4 참조)가 송신되고(S1), 명함 데이터를 수신한 정보 공급 단말기(1)에서 MAC 어드레스와 대응된 IP 어드레스가 참가 단말기 DB(322)에 저장되며, 참가 단말기 DB(도 6 참조)가 갱신된다(S2). 이렇게 해서, IP 어드레스와 명함 데이터에 포함되는 단말기 ID, 어플리케이션 ID가 참가 단말기 DB(322)에 저장된다. 이 때, 그룹명은 공 데이터("Null") 등으로 초기화된다. 또, 단말기 식별 정보(단말기 ID)로서는 본 실시 형태에서 사용한 MAC 어드레스 이외에도, IP 데이터(도 12 참조)에 저장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음으로써, 휴대 전화 번호, DHCP 서버로부터 할당된 IP 어드레스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0으로 되돌아 설명을 계속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정보 공급 단말기(1)의 표시부(비디오 모니터)(39)에 있어서의 화면예인 도 13을 적절히 참조하여 설명한다.
정보 공급 단말기(1)에서는 제공중인 콘텐츠에 관한 메뉴 화면이 표시부를 통해 표시된다(S3, 도 13의 화면 132). 화면 132에서 "무료 콘텐츠" 메뉴를 선택하면, 무료로 입수 가능한 콘텐츠를 정보 단말기(2)에 설치할 수 있으며, "확장 정보" 메뉴를 선택하면, 아이템이나 기능이 추가된 게임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할 수 있다. "공략 정보" 메뉴를 선택하면, 비디오 게임의 공략 힌트나, 다른 플레이어가 제공하는 정보 등을 입수할 수 있으며, "그룹 메뉴"를 선택하면, 복수의 정보 단말기(2)를 하나의 그룹으로 한 경우의 그룹용 콘텐츠를 입수할 수 있다.
화면 132상에서의 메뉴(콘텐츠 정보)의 선택은 입력부(컨트롤 패널)(38)를 통해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콘트롤 패널(23)의 키를 조작하여, 커서를 자신이 선택하는 메뉴로 이동시켜, 결정 버튼을 누름으로써 선택이 행해진다. 혹은, 비디오 모니터(22) 자체가 터치 패널로 되어 입력부(38)로서 기능하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여기서는, "공략 정보"가 선택된 것으로 한다. 이 선택에 수반하여, 입력부(38)를 통해 이용 개시 지시가 제어부에 입력된다(S4).
제어부(31)는 단계 S4를 받아, 기억부(32)에 저장된 참가 단말기 DB(322)에 액세스하고, 그 시점에서 참가 단말기 DB(322)에 저장된 단말기 ID를 표시부(39)로 출력한다(S5).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단말기 ID인 MAC 어드레스가 표시된다(도 13의 화면 133). 또, 표시되는 것은 MAC 어드레스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 외에도, 단말기 ID로서 사용 가능한 휴대 전화 번호, DHCP 서버로부터 할당된 IP 어드레스 등과 더불어 명함 데이터에 포함되는 정보나, 정보 단말기에서 설정되는 호스트명, 프리 텍스트 정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IP 데이터(도 12 참조)로서 정보 단말기(2)로부터 정보 공급 단말기(1)로 주고받을 수 있다.
화면 133에서 표시된 MAC 어드레스의 가로의 "선택" 버튼을 누름으로써, 이용자가 사용할 정보 단말기를 특정할 수 있다. 화면 133상에서의 정보 단말기의 선택은 화면 132에서 행해지는 선택과 마찬가지로 행해진다. 따라서 "선택" 버튼이 눌러지는 것에 의해, 입력부(38)를 통해 단말기 ID를 포함하는 단말기 특정 지시(제1 지시)가 제어부(31)에 입력된다(S6). 또, 단계 S5 및 S6은 참가 단말기 DB에 저장된 단말기 ID가 하나밖에 없는 경우, 콘텐츠 송신처의 정보 단말기는 그 단말기 ID에 의해 즉시 특정되기 때문에 생략되고, 단계 S4 이후의 단계 S7이 실행된다.
제어부(31)는 단계 S6를 받아, "공략 정보" 메뉴에 대응하는 콘텐츠와 그 대가를 표시부(39)로 출력한다(S7). 단계 S7에서의 콘텐츠와 그 대가는 기억부(32)의 콘텐츠(324)에 포함되어 있다.(이렇게 해서, 제어부(31), 기억부(32)가 송수신부(33)를 통해 정보 단말기(2)에 대해 콘텐츠를 공급하는 공급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게임 제조회사가 공식 정보로서 공표하는 오피셜 정보(100엔)인가, 다른 플레이어의 감상, 경험담이 텍스트 정보로서 제공되는 언오피셜 정보(100엔)인가, 그 양쪽을 취득하는가의 3가지 선택이 허용된다(도 13의 화면 134). 또, 단계 S7에서 표시되는 콘텐츠는 정보 단말기(2)의 대수에 따라 변화시켜도 된다. 참가 단말기 DB(322)에 저장된 단말기 ID를 세어보면, 정보 공급 단말기(1)와 통신 가능한 정보 단말기(2)의 대수는 파악할 수 있다. 정보 공급 단말기(1)에 모이는 인원수가 증가하면 증가할수록 입수하기 어려운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정보 공급 단말기(1)의 집객력이 높아지게 된다. 대수에 따라 콘텐츠를 바꾸는 경우, 기억부(32)에 미리 대수 구분에 따른 복수의 콘텐츠를 저장해 두면 된다.
화면 134에서 표시된 번호를 선택함으로써, 이용자는 희망하는 콘텐츠를 정보 단말기(2)에 설치한다. 화면 134에 표시된 번호의 선택은 화면 132 및 화면 133에서 행해지는 선택과 마찬가지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화면 134에 표시된 번호가 선택됨으로써, 입력부(38)를 통해 콘텐츠 특정 지시(제2 지시)가 제어부(31)에 입력된다(S8).
제어부(31)는 단계 S8을 받아, 선택된 콘텐츠에 대응하는 대가의 지불이 결제부(34)를 통해 행해지는 것을 기다린다(S9). 예를 들면, 화면 134에서 번호 "1”(오피셜)이 선택되면, 도 13의 화면 135와 같은 화면이 표시된다.
그리고 현금, 선불카드 등을 통해 지불 금액이 대가에 달했음이 결제부(34)에 의해 통지되면, 제어부(31)는 송수신부(33)를 통해 단계 S8에서 특정된 콘텐츠를, 단계 S6에서 특정된 정보 단말기(2)로 송신한다(S10, 도 13의 화면 136). 단계 S10에서는, 제어부(31)는 단계 S6에서 입력된 단말기 특정 지시에 포함되는 단말기 ID에서 참가 단말기 DB(322)를 검색하고, 히트한 단말기 ID에 대응하는 IP 어드레스를 수신처 IP 어드레스로 하는 패킷을 생성하며, 송수신부를 통해 그 패킷을 송신한다. 단계 S10에서 송신된 패킷은 정보 단말기(2)의 송수신부(92)(도 9 참조)에서 수신되고, 제어부(91)에 입력되며, 기억부(93)에 저장된다(S11). 이렇게 해서, 콘텐츠의 다운로드가 완료된다.
또, 도 10에 도시한 흐름도, 도 13에 도시한 화면예는 일례에 지나지 않으며, 특히 메뉴 화면 표시 후의 처리 형태는 다양하다. 예를 들면, 참가 단말기와 콘텐츠 및 대가가 동일한 화면에 표시되고, 단계 S5∼S8까지의 처리가 한번에 행해져도 된다. 또한, 결제(S9)가 콘텐츠 송신(S10) 후에 행해져도 된다.
단, 결제를 콘텐츠 송신 후에 하는 경우, 대가를 지불하지 않고 콘텐츠만을 취득하는 이용자가 있을지도 모르기 때문에, 결제를 하고나서 비로소 콘텐츠가 유효화 되도록 예방조치를 취할 필요가 있다. 그와 같은 예방조치로서는, 예를 들면 비트 1이 유효를 의미하고, 비트 0이 무효를 의미하는 데이터 유효 플래그를 콘텐츠에 설정하고, 결제 전에 송신되는 콘텐츠의 데이터 유효 플래그를 0으로 해 두고, 결제 후의 데이터 유효 플래그를 1로 하는 데이터를, 정보 공급 단말기로부터 정보 단말기로 송신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정보 단말기를 특정하는 방법은, 표시된 참가 단말기로부터 자기 단말기(own terminal)를 선택하는 단계 S6의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단계 S4에서 이용 개시 지시가 입력된 후, 정보 공급 단말기의 표시부에 특정의 커맨드를 입력하는 메시지를 표시한다. 이용자는 정보 단말기에서 그 커맨드를 입력하고, 정보 공급 단말기로 송신하며, 정보 공급 단말기에서 표시한 커맨드와, 정보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커맨드가 일치하는지를 판정하여, 일치한 경우, 콘텐츠 송신처의 정보 단말기가 특정되는 방법을 취할 수도 있다. 양자의 통신에는 도 12에 도시되는 패킷이 사용되며, 콘텐츠 송신처의 IP 어드레스 등을 정보 공급 단말기에서 취득할 수 있다.
특정의 커맨드는 정보 단말기에 구비된 십자 키, 버튼을 누르는 순서를 배열한 것(예를 들면, 십자 키의 상, 하, 상, 하, 버튼 A, 버튼 B와 같이 지정됨)이나, 비밀 번호와 같은 숫자의 배열이나, 패스워드와 같은 문자, 숫자, 기호의 배열 등 정보 단말기에 구비된 입력 수단에서 입력 가능한 커맨드가 사용된다. 정보 공급 단말기와 통신 가능한 정보 단말기가 복수 존재하여도 표시된 커맨드를 본 후, 커맨드를 입력 가능한 정보 단말기는 한정된다. 또한, 커맨드를 훔쳐 본 사람이 정당한 이용자보다 먼저 커맨드를 입력하여, 콘텐츠 송신처의 정보 단말기가 정당한 이용자 이외의 정보 단말기로 되는 사태(콘텐츠 탈취)를 방지하기 위해, 정당한 이용자의 정보 단말기에 진행 상태를 표시시켜, 이용자가 콘텐츠 탈취의 가능성을 느낀 경우, 정보 공급 단말기에서 중지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정보 단말기를 특정하는 방법으로서, 정보 단말기와 정보 공급 단말기 사이에서 콘텐츠를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무선 통신과는 다른 경로(유선 통신, 적외선 통신 등)에서의 접속을 확립하고, 그 다른 경로에서 정보 단말기를 특정하는 정보를 송수신함으로써 정보 단말기를 특정해도 된다.
[개별 관리, 복수 종류의 콘텐츠]
다음으로, 정보 공급 단말기(1)가 복수의 비디오 게임에 관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다. 복수의 비디오 게임에 관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경우, 정보 공급 단말기(1)는 어느 비디오 게임에 관한 콘텐츠를 제공해야 하는지를 판정하기 위해, 게임 타이틀과 그 게임 타이틀을 식별하는 어플리케이션 식별 정보가 대응된 어플리케이션 DB(도 7 참조)를 미리 기억부(32)에 저장해 둔다.
도 14는 정보 공급 단말기(1)가 복수의 비디오 게임에 관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경우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또, 도 14에서 한 종류의 비디오 게임에 관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경우의 흐름도(도 10)와 동일한 단계에 관해서는 동일한 단계 번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한다.
정보 단말기(2)는 정보 공급 단말기(1)의 통신권내에 들어가면, 정보 단말기(2)를 식별하는 단말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명함 데이터를 송신한다(S1). 계속해서, 정보 공급 단말기(1)는 수신한 명함 데이터를 참가 단말기 DB로 추가 갱신한다(S2). 단계 S1, S2의 처리는 한 종류의 비디오 게임에 관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경우(도 10)와 마찬가지로 DHCP를 이용해서 하면 된다.
이후의 단계에 관해서, 다시 화면예인 도 13을 적절히 참조한다. 먼저, 정보 공급 단말기(1)에서는 표시부(39)를 통해 콘텐츠를 제공중인 복수의 비디오 게임이 표시된다(S141, 도 13의 화면 131). 이 점이 한 종류의 비디오 게임에 관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경우와 다르다. 화면 131에서는 4종류의 비디오 게임의 타이틀이 표시되고, 그 4종류의 비디오 게임에 관한 콘텐츠가 제공중이다.
화면 131에서 표시된 번호를 선택함으로써, 이용자는 게임 타이틀을 선택한다. 화면 131상에서의 표시된 번호의 선택은, 도 10의 단계 S4(도 13의 화면 132)나 도 10의 단계 S6(도 13의 화면 133), 도 10의 단계 S8(도 13의 화면 134)에서 행해지는 선택과 마찬가지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화면 131상에서의 표시된 번호가 선택됨으로써, 입력부(38)를 통해 타이틀 특정 지시가 제어부(31)에 입력된다(S142). 여기에서는, 게임 타이틀로서 "A의 모험”을 특정하는 정보가 입력된다.
그리고 단계 S142에서 선택된 게임 타이틀에 관해 제공중인 콘텐츠의 메뉴 화면이 표시부(39)를 통해 표시된다(S3, 도 13의 화면 132). 이용자가 메뉴(콘텐츠 정보)를 선택함으로써, 입력부(38)를 통해 이용 개시 지시가 제어부(31)에 입력된다(S4). 제어부(31)는 기억부(32)에 저장된 참가 단말기 DB(322)에 액세스하고, 그 시점에서 참가 단말기 DB(322)에 저장된 단말기 ID를 표시부(39)로 출력한다(S5). 이용자에 의해 정보 단말기가 선택되면, 입력부(38)를 통해 단말기 ID를 포함하는 단말기 특정 지시(제1 지시)가 제어부(31)에 입력된다(S6). 또, 단계 S5 및 S6은 참가 단말기 DB에 저장된 단말기 ID가 하나밖에 없는 경우, 콘텐츠 송신처의 정보 단말기는 그 단말기 ID에 의해 즉시 특정되기 때문에 생략되고, 단계 S4 이후의 단계 S143이 실행된다. 단계 S3∼S6까지의 처리는 도 10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단계 S6에 의해 제1 지시가 입력된 제어부(31)는 정보 단말기(2)가 실행하는 게임 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콘텐츠를 정보 공급 단말기(1)가 제공중인지를 판정한다(S143). 제어부(31)는 단계 S6에서 취득한 제1 지시에 포함되는 단말기 ID를 기초로 참가 단말기 DB(322)를 검색하고, 그 단말기 ID에 일치하는 정보 단말기(2)의 어플리케이션 ID를 취득한다.
다음으로, 단계 S142에서 입력된 타이틀 특정 지시에 의해 특정되는 게임 타이틀을 기초로 어플리케이션 DB(323)(도 7)를 검색하고, 그 게임 타이틀에 일치하는 게임 타이틀의 어플리케이션 ID를 취득하여, 앞서 취득한 어플리케이션 ID와 비교한다. 양자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S143에서 No), 정보 공급 단말기(1)에서 선택된 게임 타이틀과, 정보 단말기(2)에서 실행중인 게임 타이틀이 상위하다는 취지를 이용자에게 통지하는 에러 메시지를 표시부(39)로 출력한다(S144).
양자가 일치하는 경우(S143에서 Yes), 단계 S4에서 선택된 메뉴(콘텐츠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와 대가가 표시된다(S7). 단계 S7에서의 콘텐츠와 그 대가는 기억부(32)의 콘텐츠(324)에 포함되어 있다(이렇게 해서, 콘텐츠 서버를 이용하는 경우, 제어부(31), 기억부(32)가 송수신부(33)를 통해 정보 단말기(2)에 대해 콘텐츠를 공급하는 공급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또, 단계 S7에서 표시되는 콘텐츠는 정보 단말기의 대수에 따라 변화시켜도 된다. 참가 단말기 DB에 저장된 단말기 ID를 세어보면, 정보 공급 단말기와 통신 가능한 정보 단말기의 대수는 파악할 수 있다. 정보 공급 단말기에 모이는 인원수가 증가하면 증가 할수록 입수하기 어려운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정보 공급 단말기의 집객력이 높아지게 된다. 대수에 따라 콘텐츠를 바꾸는 경우, 기억부에 미리 대수 구분에 따른 복수의 콘텐츠를 저장해 두면 된다.
그리고 입력부(38)를 통해 콘텐츠 특정 지시(제2 지시)가 입력되고(S8), 대가의 지불 완료 통지가 결제부(34)를 통해 입력되면(S9), 제어부(31)는 송수신부(33)를 통해 단계 S8에서 특정된 콘텐츠를, 단계 S6에서 특정된 정보 단말기(2)로 송신한다(S10). 단계 S10에서 송신된 콘텐츠는 정보 단말기(2)의 송수신부(92)에서 수신되고, 제어부(91)에 입력되며, 기억부(93)에 저장된다(S11). 단계 S7∼S11까지의 처리는 도 10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또, 도 14에 도시한 흐름도, 도 13에 도시한 화면예는 일례에 지나지 않으며, 특히 메뉴 화면 표시 후의 처리 형태는 다양하다. 예를 들면, 참가 단말기와 콘텐츠 및 대가가 동일한 화면에 표시되고, 단계 S5∼S8까지의 처리가 한번에 행해져도 된다. 또한, 결제(S9)가 콘텐츠 송신(S10) 후에 행해져도 된다. 도 1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결제하고나서 비로소 콘텐츠가 유효화 되도록 예방조치를 도입해도 된다. 또는, 정보 단말기의 기억부(93)에 충분한 빈 용량이 확보되는지를 판정한 후에, 콘텐츠가 송신되도록 처리가 행해져도 된다.
도 14는 콘텐츠가 한 대의 정보 단말기(2)로 송신되는 경우였지만, 복수의 정보 단말기(2)를 한 그룹으로 하고, 정보 공급 단말기(1)를 핵으로 하여 그룹끼리 혹은 그룹 내에서 사용되는 콘텐츠를, 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정보 단말기(2)로 송신하는 경우에 대해 이하에서 설명한다.
[개별 관리, 그룹용 콘텐츠〕
도 15는 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정보 단말기(2)로 콘텐츠를 송신하는 경우의 정보 공급 단말기(1)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 경우, 정보 공급 단말기(1)는 한 종류의 비디오 게임에 관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경우와, 복수의 비디오 게임에 관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경우, 어느 쪽이든 상관없지만, 설명을 위해 여기서는 한 종류의 비디오 게임에 관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경우로 한다. 또, 한 종류의 비디오 게임에 관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경우와 동일한 흐름도(도 10)와, 동일한 단계에 관해서는 동일한 단계 번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한다.
정보 단말기(2)는 정보 공급 단말기(1)의 통신권내에 들어가면, 정보 단말기(2)를 식별하는 단말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명함 데이터를 송신한다(S1). 계속해서, 정보 공급 단말기(1)는 수신한 명함 데이터를 참가 단말기 DB(322)로 추가 갱신한다(S2). 또, 단계 S1, S2의 처리는 한 종류의 비디오 게임에 관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경우(도 10)와 마찬가지로 DHCP를 이용해서 해도 된다.
이하의 설명은 적절히 도 16, 도 17의 화면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정보 공급 단말기(1)에서는 제공중인 콘텐츠에 관한 메뉴 화면이 표시부(39)를 통해 표시된다(S3, 도 16의 화면 132). 도 16의 화면 132는 도 13의 화면 132와 동일하다. 또, 도 15의 단계 S3은 도 10의 단계 S3과 동일하다.
화면 132에서 "그룹 메뉴"가 선택되면, 서브 메뉴로서 그룹을 구성하는 멤버(정보 단말기(2))나 그룹명을 등록하는 "그룹 등록"과 그룹에 대해 제공되는 콘텐츠를 표시하는 "그룹 콘텐츠 표시"가 표시된다(도 16의 화면 161). 화면 161에서 "그룹 등록"을 선택하면, 그룹 등록 지시가 입력부(38)를 통해 제어부(31)에 입력되고, "그룹 콘텐츠 표시"를 선택하면, 그룹 이용 개시 지시가 입력부(38)를 통해 제어부(31)에 입력된다.
그룹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그룹용 콘텐츠가 송신되지 않기 때문에, 우선은 "그룹 등록”이 선택되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화면 161에서 번호 "1”이 선택되고, 이 선택에 수반하여, 입력부(38)를 통해 그룹 등록 지시가 제어부(31)에 입력된다(S151).
제어부(31)는 단계 S151를 받아, 기억부(32)에 저장된 참가 단말기 DB(322)에 액세스하고, 그 시점에서 참가 단말기 DB(322)에 저장된 단말기 ID를 표시부(39)로 출력한다(도 16의 화면 162). 이용자는 표시된 단말기 ID로부터 동일 그룹에 소속시키는 정보 단말기의 단말기 ID를 복수 선택한다. 선택된 단말기 ID는 입력부(38)를 통해 제어부(31)에 입력된다.
그러면, 계속해서 그룹명을 입력하는 화면이 표시되고(도 16의 화면 163), 정보 공급 단말기(1)에 구비된 입력부(38)를 통해 그룹명이 제어부(31)에 입력된다. 그리고 제어부(31)는 참가 단말기 DB(322)(도 6 참조)를 검색하고, 선택된 단말기 ID에 대응하는 그룹명 란에 화면 163에서 입력된 그룹명을 저장하며, 참가 단말기 DB(322)를 갱신한다(S152, 도 16의 화면 164).
다음으로, 화면 161에서 "그룹 콘텐츠 표시”가 선택된 것으로 한다. 따라서 화면 161에서 번호 "2”가 선택되고, 이 선택에 수반하여, 입력부(38)를 통해 그룹 이용 개시 지시가 제어부(31)에 입력된다(S154). 제어부(31)는 단계 S154를 받아, 그룹용 콘텐츠와 그 대가를 표시부(39)로 출력한다(S7). 단계 S7에서의 콘텐츠와 그 대가는 기억부(32)의 콘텐츠(324)에 포함되어 있다(이렇게 해서, 콘텐츠 서버를 이용하는 경우, 제어부(31), 기억부(32)가 송수신부(33)를 통해 정보 단말기(2)에 대해 콘텐츠를 공급하는 공급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다른 그룹과의 대전을 행하기 위한 콘텐츠("다른 그룹과 대전")인지, 그룹에 속하는 정보 단말기(2)에서 대전을 행하기 위한 콘텐츠("그룹내 대전")인지, 그룹에 속하는 정보 단말기(2)에 공통의 과제가 제공되고 협력하여 플레이함으로써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콘텐츠("협력 공략")인지를 선택할 수 있다(도 17의 화면 171). 이러한 콘텐츠에는 다른 그룹과 대전하는 경우의 승리 그룹, 그룹 내에서 대전하는 경우의 승리자, 과제 해결시의 그룹에 대해 특수한 아이템이 주어지도록 정보가 포함되고, 정보 공급 단말기(1)를 적극적으로 그룹으로 사용하는 것을 촉구할 수도 있다.
그 외에, 그룹용 콘텐츠로서, 그룹마다 디자인된 마크(문장(紋章), 와펜)를 그룹에 속하는 정보 단말기에 다운로드시켜도 된다. 마크는 정보 단말기의 표시부에 표시되며, 외관의 멋진 모습을 그룹간에 겨루게 해도 된다. 그러면, 현실 세계에서의 커뮤니케이션을 촉진시키는 것에 본 정보 공급 단말기(1)를 사용할 수 있다.
또, 단계 S7에서 표시되는 콘텐츠는 정보 단말기의 대수에 따라 변화시켜도 된다. 참가 단말기 DB에 저장된 단말기 ID를 세어보면, 정보 공급 단말기와 통신 가능한 정보 단말기의 대수는 파악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그룹의 인원수를 보다 늘리려고 함으로써, 정보 공급 단말기의 집객력이 높아지게 된다. 대수에 따라 콘텐츠를 바꾸는 경우, 기억부(32)에 미리 대수 구분에 따른 복수의 콘텐츠를 저장해 두면 된다.
그리고 화면 171에서 콘텐츠가 선택됨으로써, 입력부(38)를 통해 콘텐츠 특정 지시(제2 지시)가 제어부(31)에 입력된다(S8). 단계 S7, S8은 도 10의 단계 S7, S8과 동일하다. 단계 S8을 받아, 제어부(31)는 기억부(32)에 저장된 참가 단말기 DB(322)에 액세스하여, 그룹명을 표시한다(S155, 도 17의 화면 172). 화면 172에서 이용자는 선택된 콘텐츠에 따라 그룹을 선택한다. 예를 들면, 화면 171에서 "다른 그룹과 대전" 콘텐츠를 선택하면, 자기 그룹 이외에 대전 상대의 그룹을 선택하고, 그 외의 경우에는 자기 그룹만 선택한다.
화면 172에서 그룹이 선택됨으로써, 입력부(38)를 통해 그룹 특정 지시(제4 지시)가 제어부(31)에 입력된다(S156). 제어부(31)는 단계 S156을 받아, 선택된 콘텐츠에 대응하는 대가의 지불 완료가 결제부(34)에 의해 통지되는 것을 기다린다(S9, 도 17의 화면 173).
지불 완료가 통지되면, 제어부(31)는 참가 단말기 DB(322)에 액세스하고, 단계 S156에서 특정된 그룹에 속하는 정보 단말기(2)를 특정하여, 그 정보 단말기(2)로 단계 S8에서 특정된 콘텐츠를 송신한다(S10, 도 17의 화면 136). 참가 단말기 DB(322)에는 특정된 그룹에 속하는 정보 단말기(2)의 IP 어드레스가 저장되어 있으며, 콘텐츠를 송신할 수 있다. 단계 S10에서 송신된 콘텐츠는 정보 단말기(2)의 송수신부(92)에서 수신되고, 제어부(91)에 입력되며, 기억부(93)에 저장된다(S11). 이렇게 해서 콘텐츠의 다운로드가 완료된다.
또, 도 15에 도시한 흐름도, 도 16 및 17에 도시한 화면예는 일례에 지나지 않으며, 특히 메뉴 화면 표시 후의 처리 형태는 다양하다. 예를 들면, 콘텐츠 및 대가와 그룹 표시가 동일한 화면에 표시되고, 단계 S7∼S156까지의 처리가 한번에 행해져도 된다. 또한, 결제(S9)가 콘텐츠 송신(S10) 후에 행해져도 된다. 도 1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결제를 하고나서 비로소 콘텐츠가 유효화되도록 예방조치를 도입해도 된다.
이상으로 서술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의 정보 공급 단말기를 사용한 정보 제공을 하면, 이용자는 사전의 액세스 등록없이 간편하게 유료 콘텐츠를 구입하여, 정보 단말기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결제 방법으로서 현금 이외에 선불카드(트레이딩 카드 등을 포함함), 직불카드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연령에 관계없이 유료 콘텐츠를 구입할 수 있다. 또한, 정보 공급 단말기를 설치함으로써, 일정한 집객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것은 정보 공급 단말기를 핵으로 하여 다수인에 의한 대전이 실시되기 때문이며, 또한 정보 공급 단말기를 통해서만 얻을 수 있는 정보(콘텐츠)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상으로 서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콘텐츠를 저장하는 기능과, 이용자와의 인터페이스가 되는 기능을 정보 공급 단말기(1)가 지니도록 하였기 때문에, 콘텐츠가 정보 공급 단말기(1)에 저장되어 있지만, 콘텐츠를 저장하는 기능을 독립시켜, 복수의 콘텐츠를 집약해서 저장하는 콘텐츠 서버를 준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정보 공급 단말기(1)의 기억부(32)는 정보 단말기(2)로 송신되는 콘텐츠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해서만 사용된다. 다음으로, 콘텐츠 서버를 통한 "일괄 관리"의 경우를 설명한다.
[일괄 관리, 한 종류의 콘텐츠]
설명을 간략화하기 위해, 일괄 관리의 경우이고, 또한 정보 공급 단말기(1)가 한 종류인 비디오 게임에 관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경우에 대해, 그 동작 및 그 동작에 관련되는 데이터의 데이터 구성을 설명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의 콘텐츠 서버(3)의 구성 블록도이다. 콘텐츠 서버(3)는 제어부(181), 송수신부(182), 기억부(183), 입력부(184), 표시부(185)를 갖는다. 각 기능 블록은 프로그램으로 실현되며, 콘텐츠 서버(3)에 구비된 CPU(Central Processing Unit)(도시 생략)에서 그 프로그램이 실행되지만, 하드웨어로 구성할 수도 있다.
제어부(181)는 콘텐츠 서버(3)를 제어하고, 표시부(185)에 콘텐츠 서버(3)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며, 입력부(184)로부터 입력되는 지시에 따라 처리를 하여, 정보 공급 단말기(1)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기억부(183)에 저장된 콘텐츠 등을 송수신부(182)로 출력한다. 송수신부(182)는 정보 공급 단말기(1)와 무선 통신을 행한다.
기억부(183)는 제어 프로그램(201), 콘텐츠(202)를 포함한다. 기억부(183)는, 예를 들면 하드디스크, 불휘발성 메모리 등의 기억 수단이다. 기억부(183)의 콘텐츠(202)에는 콘텐츠 및 대가 정보(도 3의 기억부(32)의 콘텐츠(324)에 기록되는 내용에 상당)가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는, 간략화를 위해 제공되는 비디오 게임의 종류를 한 종류로 했지만, 복수 종류의 비디오 게임에 관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경우, 기억부(183)에는 비디오 게임의 종류마다 콘텐츠가 저장되어 있어도 된다.
입력부(184)는 이용자가 지시를 입력하거나, 콘텐츠가 입력될 때 사용되는 입력 수단이며, 예를 들면 키보드, 마우스, CD-ROM 등의 광 디스크용의 드라이브 등이 해당된다. 표시부(185)는 이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수단이며, 예를 들면 액정 화면, CRT 디스플레이 등이다.
계속해서, 콘텐츠 서버(3)에 저장된 콘텐츠가 정보 단말기(2)에 설치되는(다운로드 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19는 콘텐츠 서버(3)를 이용한 경우의 처리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콘텐츠 서버(3)와 정보 공급 단말기(1)는 네트워크(4)에 의해 접속되고, 정보 단말기(2)를 통해 요구되는 콘텐츠가 콘텐츠 서버(3)로부터 필요에 따라 정보 공급 단말기(1)로 송신되며, 정보 공급 단말기(1)를 통해 정보 단말기(2)에 콘텐츠가 다운로드 된다. 콘텐츠의 갱신, 관리는 콘텐츠 서버(3)에서 행해진다. 또, 도 19에서 한 종류의 비디오 게임에 관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경우의 흐름도(도 10)와 동일한 단계에 관해서는 동일한 단계 번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콘텐츠 서버(3)에서 미리 배신할 콘텐츠가 저장된다(S0). 콘텐츠 서버(3)로의 콘텐츠의 입력은 콘텐츠 서버(3)에 구비된 입력부(184)를 통해 행해진다. 예를 들면, 서버관리자가, 콘텐츠가 기록된 CD-ROM 등의 기억 매체를 드라이브에 세트하여 콘텐츠 서버(3)에 복사하거나, 키보드 등으로부터 직접 입력하여, 콘텐츠의 입력이 행해진다.
다음으로, 정보 단말기(2)는 정보 공급 단말기(1)의 통신권내에 들어가면, 정보 단말기(2)를 식별하는 단말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명함 데이터를 송신한다(S1). 계속해서, 정보 공급 단말기(1)는 수신한 명함 데이터를 참가 단말기 DB로 추가 갱신한다(S2). 단계 S1, S2의 처리는 한 종류의 비디오 게임에 관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경우(도 10)와 마찬가지로 DHCP를 이용해서 해도 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다시 도 13의 화면예를 적절히 참조하여 설명한다. 정보 공급 단말기(1)에서는 제공중인 콘텐츠에 관한 메뉴 화면이 표시부를 통해 표시된다(S3, 도 13의 화면 132). 화면 132상에서의 메뉴(콘텐츠 정보)로부터 이용자가 희망하는 메뉴가 정보 공급 단말기(1)의 입력부(컨트롤 패널 등)(38)를 통해 선택됨으로써, 이용 개시 지시가 제어부(31)에 입력된다(S4).
제어부(31)는 기억부(32)에 저장된 참가 단말기 DB(322)에 액세스하고, 그 시점에서 참가 단말기 DB(322)에 저장된 단말기 ID를 표시부(39)로 출력한다(S5). 이용자에 의해 정보 단말기가 선택되면, 입력부(38)를 통해 단말기 ID를 포함하는 단말기 특정 지시(제1 지시)가 제어부(31)에 입력된다(S6). 단계 S3∼S6까지의 처리는 도 10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계속해서, 정보 공급 단말기(1)는 단계 S4에서 선택된 메뉴에 대해 현재 제공중인 콘텐츠에 관하는 정보를 취득하기 위해, 단계 S4에서 선택된 메뉴를 포함하는 콘텐츠 서버(3)에 제공 콘텐츠 개시 요구를 송신한다(S191). 콘텐츠 서버(3)는 제공 콘텐츠 개시 요구를 수신하면, 정보 공급 단말기(1)에 대해 제공중인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송신한다(S192). 구체적으로는 콘텐츠 서버(3)의 제어부(181)는 콘텐츠 서버(3)의 기억부(183)에 저장된 콘텐츠로부터 단계 S4에서 선택된 메뉴에 대응하는 콘텐츠의 타이틀과 그 대가 정보를 취득하고, 송수신부(182)를 통해 정보 공급 단말기(1)로 송신한다.
정보 공급 단말기(1)의 제어부(31)는 단계 S192에 의해 콘텐츠 서버(3)로부터 제공중인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면, 현재 제공중인 콘텐츠와 그 대가를 표시부(39)로 출력한다(S7). 콘텐츠 서버로부터 취득한 콘텐츠에 관한 정보는 일시적으로 정보 공급 단말기(1)의 기억부(32)에 저장된다. 그리고 입력부(38)를 통해 콘텐츠 특정 지시(제2 지시)가 입력되고(S8), 대가의 지불 완료 통지가 결제부(34)를 통해 입력되면(S9), 정보 공급 단말기(1)의 제어부(31)는 송수신부(33)를 통해 단계 S8에서 특정된 콘텐츠를 콘텐츠 서버(3)에 통지하고(S193), 콘텐츠 서버(3)는 통지된 콘텐츠를 정보 공급 단말기(1)로 응답한다(S194).
그리고 정보 공급 단말기(1)는 콘텐츠 서버(3)로부터 송신된 콘텐츠를 정보 단말기로 전송한다(S10). 전송시, 콘텐츠 서버로부터 취득한 콘텐츠는 일시적으로 정보 공급 단말기(1)의 기억부(32)에 저장된다(이렇게 해서, 콘텐츠 서버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제어부(31), 기억부(32)가 송수신부(33)를 통해 정보 단말기(2)에 대해 콘텐츠를 공급하는 공급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도 19의 단계 S7, S8, S9, S10에 관해서는 도 10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단계 S10에서 송신된 콘텐츠는 정보 단말기(2)의 송수신부(92)에서 수신되고, 제어부(91)에 입력되며, 기억부(93)에 저장된다(S11).
콘텐츠 서버(3)를 도입하면, 복수의 정보 공급 단말기(1)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각 정보 공급 단말기(1)의 콘텐츠 관리가 일원화되고, 관리 작업이 경감된다. 또한, 정보 공급 단말기(1)에 콘텐츠를 필요 이상으로 저장하지 않음으로써, 콘텐츠 데이터의 반출, 도난, 파괴 등을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명세서에서는 비디오 게임에 관한 콘텐츠를 정보 단말기(2)로 배신하는 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그 외에도, 영화, 음악, 사회 정세(뉴스) 등, 대상은 비디오 게임에 관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콘텐츠로서 뉴스를 취득하는 경우, 명함 데이터에 포함되는 어플리케이션 ID(도 4 참조)에는 미리 이용자의 관심 있는 대상 분야가 저장되어 있으며, 그 대상 분야에 일치하는 뉴스가 정보 공급 단말기로부터 송신된다. 이렇게 해서, 정보 공급 단말기(1)로부터 정보 단말기(2)로 콘텐츠를 다운로드함으로써 이용자는 사전 등록없이 소액 결제를 하여 콘텐츠를 취득하고, 정보 단말기(2)의 사용을 즐길 수 있다. 예를 들면, 정보 단말기(2)에서 비디오 게임을 실행한다면, 새로운 지도, 아이템, 기능, 기법, 이벤트 등의 게임 데이터가 추가되어, 비디오 게임을 보다 재미있게 즐길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을 사용하면, 청량음료수 자동판매기에서 이용자가 좋아하는 청량음료수를 선택하고, 선택된 청량음료수에 필요한 금액을 투입하여, 청량음료수를 구입하는 요령으로 이용자가 좋아하는 콘텐츠를 선택하고, 선택된 콘텐츠의 대가에 대한 결제를 하여, 그 콘텐츠를 정보 단말기에 설치할(다운로드할) 수 있다. 결제는 현금이나 트레이딩 카드 등을 이용하여 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이용자의 사전 등록에 의한 네트워크 접속 인증을 하지 않으며, 또한 신용카드를 필요로 하지 않고, 콘텐츠마다 과금되는 유료 콘텐츠를 정보 단말기에 직접 다운로드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정보 공급 방법이 적용되는 정보 공급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정보 공급 단말기의 외관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정보 공급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
도 4는 정보 공급 단말기에 정보 단말기가 송신하는 명함 데이터의 데이터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어플리케이션 식별자(어플리케이션 ID)의 데이터 구성예.
도 6은 참가 단말기 DB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데이터 구성예.
도 7은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어플리케이션 DB)의 데이터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콘텐츠의 데이터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정보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
도 10은 정보 공급 단말기가 한 종류의 비디오 게임에 관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경우의 처리를 도시한 흐름도.
도 11은 도 10의 단계 S1, S2를 DHCP를 이용해서 행하는 경우의 처리를 도시한 흐름도.
도 12는 송수신되는 패킷의 데이터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정보 공급 단말기의 표시부에 있어서의 화면예.
도 14는 복수의 비디오 게임에 관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경우의 정보 공급 단말기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도 15는 그룹용 콘텐츠를 제공하는 경우의 정보 공급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16은 그룹 등록을 행하는 경우의 정보 공급 단말기의 표시부에 있어서의 화면예.
도 17은 그룹용 콘텐츠를 송신하는 경우의 정보 공급 단말기의 표시부에 있어서의 화면예.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콘텐츠 서버의 구성 블록도.
도 19는 콘텐츠 서버를 이용한 경우의 처리를 도시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정보 공급 단말기
2 : 정보 단말기
11 : 십자 키(입력부)
12 : 버튼(입력부)
13 : 화면(표시부)
14 : 안테나
21 : 안테나
22 : 비디오 모니터(표시부)
23 : 컨트롤 패널(입력부)
24 : 현금 투입구
25 : 잔돈 배출구
31 : 제어부(정보 공급 단말기)
32 : 기억부(정보 공급 단말기)
33 : 송수신부(정보 공급 단말기)
34 : 결제부(정보 공급 단말기)
38 : 입력부(정보 공급 단말기)
39 : 표시부(정보 공급 단말기)
91 : 제어부(정보 단말기)
92 : 송수신부(정보 단말기)
93 : 기억부(정보 단말기)
94 : 통지부
95 : 입력부(정보 단말기)
96 : 표시부(정보 단말기)
181 : 제어부(콘텐츠 서버)
182 : 송수신부(콘텐츠 서버)
183 : 기억부(콘텐츠 서버)
184 : 입력부(콘텐츠 서버)
185 : 표시부(콘텐츠 서버)

Claims (10)

  1.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송수신부를 통해 복수의 콘텐츠를 공급하는 공급 수단과, 상기 복수의 콘텐츠와 상기 복수의 콘텐츠의 대가 정보를 저장하는 기억부와, 과금 인증을 행하는 결제부와, 이용자에 대해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이용자가 지시를 입력하는 입력부를 포함하는 정보 공급 단말기와,
    고유의 단말기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기억부와,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송수신부를 포함한 정보 단말기가, 서로 무선 통신 가능한 권내에 있을 때 정보 통신을 행하는 정보 공급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정보 공급 방법으로서,
    상기 정보 단말기는 상기 정보 공급 단말기와 무선 통신 가능한 권내에 있는 것을 계기로, 상기 정보 공급 단말기로 상기 정보 단말기의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단말기 식별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정보 공급 단말기는,
    상기 정보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상기 단말기 식별 정보를 정보 공급 단말기의 기억부에 저장하고,
    이용 개시 지시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것을 계기로, 상기 정보 공급 단말기의 기억부에 저장된 상기 단말기 식별 정보로서, 해당 정보 공급 단말기와 통신 가능한 상기 정보 단말기의 상기 단말기 식별 정보를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고,
    표시된 상기 단말기 식별 정보 중 어느 하나의 단말기 식별 정보가 선택되면, 해당 선택된 단말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정보 단말기를 특정하고,
    상기 복수의 콘텐츠와 각 콘텐츠의 대가 정보를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콘텐츠 중 어느 하나의 콘텐츠가 선택되면, 해당 선택된 콘텐츠에 대응하는 대가의 지불에 대한 과금 인증을 상기 결제부를 통해 행하고,
    상기 과금 인증에 의해 입금이 확인되면, 상기 선택된 단말기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된 정보 단말기로, 상기 선택된 콘텐츠를 상기 정보 공급 단말기의 송수신부를 통해 송신하여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공급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콘텐츠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마다 제공되고,
    상기 정보 단말기의 기억부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특정하는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더 저장하고,
    상기 정보 단말기는 상기 정보 공급 단말기와 무선 통신 가능한 권내에 있는 것을 계기로,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상기 정보 단말기의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정보 공급 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정보 공급 단말기는,
    상기 정보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상기 단말기 식별 정보와 대응시켜 정보 공급 단말기의 기억부에 저장하고,
    표시된 상기 단말기 식별 정보 중 어느 하나의 단말기 식별 정보가 선택되고, 해당 선택된 단말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정보 단말기를 특정하고, 상기 선택된 단말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의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특정하고, 상기 특정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복수의 콘텐츠와 각 콘텐츠의 대가 정보를,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공급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공급 단말기는, 해당 정보 공급 단말기와 무선 통신 가능한 권내에 있는 상기 정보 단말기의 대수에 따라 표시하는 상기 콘텐츠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공급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단말기의 기억부는, 그룹을 식별하는 그룹 정보를 더 저장하고,
    상기 정보 단말기는 상기 정보 공급 단말기와 무선 통신 가능한 권내에 있는 것을 계기로, 또한 상기 그룹 정보를 상기 정보 단말기의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정보 공급 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정보 공급 단말기는,
    상기 정보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상기 그룹 정보를 상기 단말기 식별 정보와 대응시켜 정보 공급 단말기의 기억부에 저장하고,
    그룹 이용 개시 지시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것을 계기로, 상기 정보 공급 단말기의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한, 상기 정보 공급 단말기의 기억부에 저장된 상기 그룹 정보로서, 해당 정보 공급 단말기와 통신 가능한 상기 정보 단말기가 속하는 그룹에 대응하는 상기 그룹 정보를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고,
    표시된 상기 그룹 정보 중 어느 하나의 그룹 정보가 선택되면, 해당 선택된 그룹 정보에 대응하는 그룹에 속하는 상기 정보 단말기를 특정하고,
    상기 복수의 콘텐츠와 각 콘텐츠의 대가 정보를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콘텐츠 중 어느 하나의 콘텐츠가 선택되면, 해당 선택된 콘텐츠에 대응하는 대가의 지불에 대한 과금 인증을 상기 결제부를 통해 행하고,
    상기 과금 인증에 의해 입금이 확인되면, 상기 선택된 그룹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된 정보 단말기로 상기 선택된 콘텐츠를 상기 정보 공급 단말기의 송수신부를 통해 송신하여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공급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단말기는, 상기 정보 공급 단말기와 무선 통신 가능한 권내에 들어간 것을 이용자에게 통지하는 통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정보 공급 단말기는 상기 정보 단말기가 무선 통신 가능한 권내에 들어갔을 때, 해당 정보 단말기로 상기 통지부를 기동하기 위한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공급 방법.
  6. 복수의 콘텐츠와 상기 복수의 콘텐츠의 대가 정보가 저장된 서버와 통신 가능하도록 접속되고,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송수신부와, 정보를 저장하는 기억부와, 과금 인증을 행하는 결제부와, 이용자에 대해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이용자가 지시를 입력하는 입력부를 포함하는 정보 공급 단말기와,
    고유의 단말기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기억부와,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송수신부를 포함한 정보 단말기가 서로 무선 통신 가능한 권내에 있을 때에 정보 통신을 행하는 정보 공급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정보 공급 방법으로서,
    상기 정보 단말기는 상기 정보 공급 단말기와 무선 통신 가능한 권내에 있는 것을 계기로, 상기 정보 공급 단말기로 상기 정보 단말기의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단말기 식별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정보 공급 단말기는,
    상기 정보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상기 단말기 식별 정보를 정보 공급 단말기의 기억부에 저장하고,
    이용 개시 지시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것을 계기로, 상기 정보 공급 단말기의 기억부에 저장된 상기 단말기 식별 정보로서, 해당 정보 공급 단말기와 통신 가능한 상기 정보 단말기의 상기 단말기 식별 정보를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고,
    표시된 상기 단말기 식별 정보 중 어느 하나의 단말기 식별 정보가 선택되면, 해당 선택된 단말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정보 단말기를 특정하고,
    상기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서버에 저장된 상기 복수의 콘텐츠와 상기 각 콘텐츠의 대가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상기 복수의 콘텐츠와 상기 각 콘텐츠의 대가 정보를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콘텐츠 중 어느 하나의 콘텐츠가 선택되면, 해당 선택된 콘텐츠에 대응하는 대가의 지불에 대한 과금 인증을 상기 결제부를 통해 행하고,
    상기 과금 인증에 의해 입금이 확인되면, 상기 선택된 단말기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된 정보 단말기로 상기 선택된 콘텐츠를 상기 정보 공급 단말기의 송수신부를 통해 송신하여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공급 방법.
  7. 복수의 콘텐츠와 상기 복수의 콘텐츠의 대가 정보가 저장된 기억부와, 이용자에 대해 콘텐츠와 콘텐츠의 대가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이용자가 지시를 입력하는 입력부와, 과금 인증을 행하는 결제부와, 상기 콘텐츠를 정보 단말기에 무선에 의해 송신하는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송수신부와, 상기 정보 단말기와 정보 통신을 행하기 위한 제어를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상기 콘텐츠 중에서 특정된 콘텐츠에 대응하는 대가의 지불에 대한 과금 인증을 상기 결제부를 통해 행하고, 상기 과금 인증에 의해 입금이 확인되면, 상기 특정된 콘텐츠를 이용자의 정보 단말기로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송신하는 정보 공급 단말기로서,
    상기 제어부는,
    무선 통신 가능한 권내에 있는 상기 정보 단말기가 송신하는 단말기 식별 정보를 상기 기억부에 저장시키고,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상기 콘텐츠 중에서 콘텐츠가 특정되면, 상기 기억부에 저장된 상기 단말기 식별 정보로서, 해당 정보 공급 단말기와 통신 가능한 상기 정보 단말기의 상기 단말기 식별 정보를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시키고,
    표시된 상기 단말기 식별 정보로부터 선택된 단말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 단말기를 상기 이용자의 정보 단말기로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공급 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또한 무선 통신 가능한 권내에 있는 상기 정보 단말기의 대수에 따라 표시하는 상기 콘텐츠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공급 단말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또한 무선 통신 가능한 권내에 있는 상기 정보 단말기가 송신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특정하는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상기 단말기 식별 정보에 대응시켜 상기 기억부에 저장시키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따라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상기 콘텐츠 정보를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공급 단말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또한
    무선 통신 가능한 권내에 있는 상기 정보 단말기가 송신하는, 그룹을 특정하는 그룹 정보를 상기 단말기 식별 정보에 대응시켜 상기 기억부에 저장시켜고,
    상기 그룹 정보에 따라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상기 콘텐츠 정보를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공급 단말기.
KR1020040112095A 2003-12-26 2004-12-24 정보 공급 단말기 KR1007218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433544A JP4457665B2 (ja) 2003-12-26 2003-12-26 情報供給端末
JPJP-P-2003-00433544 2003-12-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7068A true KR20050067068A (ko) 2005-06-30
KR100721887B1 KR100721887B1 (ko) 2007-05-25

Family

ID=34567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2095A KR100721887B1 (ko) 2003-12-26 2004-12-24 정보 공급 단말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50144032A1 (ko)
EP (1) EP1550972A3 (ko)
JP (1) JP4457665B2 (ko)
KR (1) KR1007218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650B1 (ko) * 2006-11-22 2009-06-09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유료 컨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45982B2 (ja) * 2006-06-26 2012-10-10 克秀 浅沼 グループ分けシステム、グループ分け管理サーバ及びグループ分けプログラム
US11238329B2 (en) 2007-12-24 2022-02-01 Dynamics Inc. Payment cards and devices with gift card, global integration, and magnetic stripe reader communication functionality
CN103235779B (zh) * 2008-08-07 2016-08-10 兄弟工业株式会社 通信装置
JP4702439B2 (ja) * 2008-11-27 2011-06-1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コンテンツ表示システム
JP5041020B2 (ja) * 2010-03-25 2012-10-0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装置
EP2598218A4 (en) * 2010-07-29 2014-08-20 Dynamics Inc PAYMENT CARDS,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PERMITTING GAME ACTIONS THROUGH PAYMENT DATA, SOCIAL NETWORKING MECHANISMS, AND INFORMATION EXCHANGE MECHANISMS
JP6022215B2 (ja) * 2012-05-31 2016-11-09 任天堂株式会社 投稿情報共有システム、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ラットフォーム
JP6159511B2 (ja) 2012-06-01 2017-07-05 任天堂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6062722B2 (ja) 2012-11-16 2017-01-18 任天堂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10200342B2 (en) * 2015-07-31 2019-02-05 Nicira, Inc. Dynamic configurations based on the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JP7152765B2 (ja) * 2016-06-29 2022-10-13 株式会社プロスパークリエイティブ 通信システム、それに用いる通信装置、管理装置及び情報端末
JP6979803B2 (ja) * 2017-06-19 2021-12-15 任天堂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6508379B2 (ja) * 2018-03-16 2019-05-08 船井電機株式会社 情報端末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5538196A (en) * 1995-04-13 1996-10-30 Helfgott & Karas, P.C. Sales promotion data processor system and interactive change able display particularly useful therein
FI982490A0 (fi) * 1998-11-18 1998-11-18 Nokia Corp Menetelmä ja järjestelmä viestintää varten
US7403510B1 (en) * 1999-11-10 2008-07-22 Fujifilm Corporation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and connected destination selection method in wireless LAN
US20020161476A1 (en) * 2001-04-05 2002-10-31 David Panofsky System for vending and dispensing digital files
EP1400135A1 (en) * 2001-06-25 2004-03-24 Ram Jethanand Balani Method and device for effecting venue specific wireless communication
US7302465B2 (en) * 2001-10-22 2007-11-27 Comverse, Inc. Distributed multimedia transfer
JPWO2003048926A1 (ja) * 2001-12-07 2005-04-14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端末、アプリケーションソフト起動装置、アプリケーションソフト起動システム、アプリケーションソフト起動方法、及びアプリケーションソフト起動プログラム
KR20030068603A (ko) * 2002-02-15 2003-08-25 나루시스템 주식회사 휴대폰을 이용한 대금 결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469083B1 (ko) * 2002-02-19 2005-02-02 주식회사 코베콤 시알엠을 적용한 무선네트워크 환경에서의 서비스제공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방법
US20030163341A1 (en) * 2002-02-26 2003-08-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dynamically updating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DHCP) options
US6959285B2 (en) * 2002-02-28 2005-10-25 Palmsource, Inc. Method and a system for computer software distribution using networked software dispensing vending machines
US7343329B1 (en) * 2002-02-28 2008-03-11 Palmsource, Inc. Networked software and service dispensing vending machi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650B1 (ko) * 2006-11-22 2009-06-09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유료 컨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190363A (ja) 2005-07-14
EP1550972A2 (en) 2005-07-06
EP1550972A3 (en) 2005-10-19
US20050144032A1 (en) 2005-06-30
JP4457665B2 (ja) 2010-04-28
KR100721887B1 (ko) 2007-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34295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рекламы, сервер управления рекламой и моби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US20060063590A1 (en) Mechanism to control game usage on user devices
US8007363B2 (en) Game system, game server device therefor, and method of controlling game server device, and game device therefor and method of controlling game device
KR100721887B1 (ko) 정보 공급 단말기
JP2009511200A (ja) プレーヤのための望ましいマルチプレーヤ・ゲームを見つけ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3901466B2 (ja) サーバ装置、コンテンツ配信方法及びゲームプログラム
WO2005111815A1 (ja) 情報伝達の過程で内容が変化する情報伝達方法および情報伝達システム
JP5580363B2 (ja) ゲームシステム、それに用いられる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5073711A (ja) Rfid識別技術を利用したゲーム提供システムおよび該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ゲーム装置。
JP5161344B2 (ja) コミュニケーション機能を備えたアミューズメントシステム
JP2013154086A (ja) ゲームシステム
WO2002005229A2 (en) Communication of data in a game system
JP3531676B1 (ja) データ配信システム
JP4728595B2 (ja) 情報処理方法
KR20030073855A (ko) 유무선 연동 아이템 판매 및 전송 방법
JP6687638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サーバ、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7214791B2 (ja) 課金管理サーバ、課金管理プログラム、課金管理方法
KR101196614B1 (ko) 온라인 게임의 아이템 거래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58067B1 (ko) 개인고유번호를 이용한 모바일 게임 제공 방법
KR100451644B1 (ko) 게임의 유료 전환 방법
JP2001300124A (ja) ネットワークによるゲーム管理システム及び方法並びに記録媒体
JP2022024152A (ja) サーバ装置の制御方法、サーバ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0865267B1 (ko) 개인고유번호를 이용한 모바일 게임 제공 시스템
JP5323923B2 (ja) ゲーム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