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2626A - 연결 확보 형상체를 갖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연결 확보 형상체를 갖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2626A
KR20050062626A KR1020057006676A KR20057006676A KR20050062626A KR 20050062626 A KR20050062626 A KR 20050062626A KR 1020057006676 A KR1020057006676 A KR 1020057006676A KR 20057006676 A KR20057006676 A KR 20057006676A KR 20050062626 A KR20050062626 A KR 200500626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lever member
housings
blocking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6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3183B1 (ko
Inventor
게런 멘로우 마틴
존 레이몬드 쉬유이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50062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26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3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31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44Pivoting lever comprising gear tee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55Pivoting lever comprising supplementary/additional locking means

Abstract

전기 콘택트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정합가능한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가 제공된다.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는 대응하는 전기 콘택트를 결합시키도록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을 연결시키기 위하여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을 결합시키는 캠 아암을 갖는 레버 부재를 포함한다. 제2하우징은 레버 부재가 삽입 위치에 있지 않으면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이 초기 정합 위치로 배치되는 동안 레버 부재에 결합하는 차단 부재를 단부벽에 갖는다.

Description

연결 확보 형상체를 갖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CONNECTION ASSURANCE FEATURES}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는 저항 부품들을 정합시키기 위한 연결 확보 형상체를 사용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는 정합 보조 어셈블리에서 레버 부재에 결합하는 연결 확보 형상체를 갖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특정 응용분야에 있어서, 전자 부품은 전기 콘택트를 포함하는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을 접속시키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를 요구한다. 하나의 하우징은 수형(male) 전기 콘택트를 포함하는 반면에, 다른 하우징은 암형(female) 전기 콘택트를 포함한다. 제1하우징은 제2하우징 내에 수용되도록 형성되어 수형 전기 콘택트와 암형 전기 콘택트는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하우징 내에서 유지되는 전기 콘택트는 후방벽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1하우징으로부터 전자 부품 측의 외향으로 연장하는 와이어(wire)에 연결된다. 와이어 차폐부는 상기 와이어를 커버하기 위해 상기 후방벽 주위에 상기 제1하우징에 부착된다. 상기 와이어 차폐부는 상기 후방벽 주위에 와이어 차폐부를 지지하기 위해 후방벽으로부터 연장하는 탭(tab)을 수용하는 가요성 부재를 따라 슬롯을 갖는다.
제2하우징 내에서 유지되는 전기 콘택트는 후방벽을 통해 후방벽에 수직으로 위치된 템플릿(template)을 하방으로 관통해서 연장되므로 전기 콘택트의 중간부는 커버되지 않는다. 전기 콘택트의 테일 단부(tail end)는 인쇄회로기판으로 억지끼워지도록 템플릿을 통해 연장한다. 도구는 전기 콘택트가 인쇄회로기판에 억지끼움되는 때 커버되지 않는 전기 콘택트의 중간부를 지지하도록 사용된다.
전형적인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에 있어서, 제1하우징은 제2하우징과 수작업으로 연결된다.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이 전기적으로 결합된 전기 콘택트와 적절하게 연결되는 것을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에는 보다 일반적으로는 위치 확보 형상체(position assurance feature)라 불리는 래치(latch)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래치 어셈블리는 제1하우징의 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 및 현수된 갈퀴(suspended prong)와 제2하우징의 램프(ramp)를 포함한다. 베이스 플레이트는 갈퀴에 나란하게 미끄러질 수 있도록 유지된다. 제1하우징이 제2하우징에 삽입되는 때, 갈퀴는 램프 위에 스냅(snap)하고 베이스 플레이트는 램프와 갈퀴 위에서 결합 위치로 미끄러진다. 베이스 플레이트가 결합 위치에 있는 때, 운전자는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이 완전히 결합되는 것을 확신하게 된다.
그러나, 정합되려는 전기 콘택트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정합하는 전기 콘택트 사이의 마찰로 인하여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을 완전히 결합시키는 것이 어렵게 된다. 따라서, 정합 보조 어셈블리는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을 연결하는데 필요한 힘을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전형적인 정합 보조 어셈블리는 캠 아암(cam arm)을 갖고 하나의 하우징에 연결된 레버 부재이고 상기 캠 아암은 상기 레버 부재가 이동 범위에 걸쳐 회전하게 되는 때 다른 하우징의 래크(rack)에 결합한다. 캠 아암과 래크의 상호작용은 전기 콘택트 사이에 마찰력을 극복하여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을 용이하게 연결시키는 힘을 제공한다. 전형적으로, 레버 부재와 래치 어셈블리는 종래 디자인에서 서로 간섭하기 때문에 레버 부재를 갖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는 래치 어셈블리를 포함하지 않는다.
정합 보조 어셈블리를 갖는 전형적인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는 다수의 결점을 갖는다. 먼저, 레버 부재는 제1하우징이 제2하우징에 연결되는 때 레버 부재의 캠 아암이 래크와 부적절하게 정렬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그러므로, 레버 부재는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이 래크에 결합하지 않고 완전히 결합되는 것을 나타내는 위치로 회전하게 될 수 있어서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을 연결한다. 따라서,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이 완전히 연결되어도, 제1하우징은 제2하우징에 단지 느슨하게 유지되므로 전기 콘택트는 연결되지 않는다.
또한, 와이어 차폐부를 제1하우징으로부터 분리하고 이에 부착하는 것이 어렵다. 와이어 차폐부는 탭으로부터 가요성 부재의 슬롯을 분리하기 위하여 가요성 부재를 후방벽으로부터 멀어지는 외측으로 떼어내는 도구를 사용함으로써 제1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된다. 마찬가지로, 와이어 차폐부는 슬롯이 탭을 수용하도록 가요성 부재를 외측으로 떼어냄으로써 제1하우징에 부착된다. 그러므로, 언제든지 운전자는 제1하우징의 와이어 또는 후방벽에 접근하는 것을 원하는 경우에, 운전자는 특별한 공구를 가져야 하고 각각의 탭을 대응하는 슬롯에서 뽑는 시간을 들여야 한다.
또한, 테일 단부가 인쇄회로기판에 억지끼워지는 때 제2하우징으로부터 연장하는 전기 콘택트를 지지하기 위한 도구의 사용은 시간소모적이고 어렵다. 운전자가 전기 콘택트를 인쇄회로기판에 연결하고자 하는 때, 운전자는 상호 연결하는 동안 특수한 공구를 사용해야 하고 각 그룹의 전기 콘택트를 개별적으로 지지해야 하고, 이것은 시간 소모적이다. 또한, 도구는 밀집하여 정렬된 전기 콘택트에서 사용되기에는 너무 크고, 따라서 전기 콘택트의 특정 정렬이 제2하우징에는 사용될 수 없다.
그러므로, 상기 문제점을 극복하고 종래 기술 분야에서 경험된 다른 관심사항을 제공하는 커넥터 어셈블리에 대한 요구가 존재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합 보조 어셈블리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헤더 커넥터의 정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하니스(harness) 커넥터 및 레버 부재의 상부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초기 정합 위치의 하니스 커넥터 및 외피(shroud)의 측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최종 정합 위치의 하니스 커넥터 및 외피의 측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6는 초기 정합 위치의 하니스 커넥터 및 외피의 절취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7은 조립이전 단계(pre-assembly stage)의 하니스 커넥터 및 외피의 정면 절취도를 나타낸다.
도 8은 조립이전 단계의 하니스 커넥터 및 외피의 측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9는 최종 정합 위치에 있는 도 8의 하니스 커넥터 및 외피의 측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0은 래치 어셈블리가 레버 부재와 결합 단계에 있는 상태에서 최종 정합 위치의 하니스 커넥터 및 외피의 도 1의 선 11-11을 따라 취한 측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베이스 단편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하니스 커넥터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외피 주위에 위치된 하니스 커넥터의 절취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14은 도 2의 헤더 커넥터의 배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5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템플릿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플러그 콘택트의 바닥부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정합 보조 어셈블리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레버 부재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9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초기 정합 위치의 정합 보조 어셈블리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정합 보조 어셈블리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정합 보조 어셈블리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특정 실시예들은 전기 콘택트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단부를 갖는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은 대응하는 전기 콘택트와 연결하기 위하여 서로 정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은 초기 정합 위치와 최종 정합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는 제1하우징에 의해 수용되는 캠 아암을 갖는 레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캠 아암은 레버 부재가 삽입 위치에서 최종 결합 위치까지의 이동 범위를 통해 회전하게 됨에 따라서 제2하우징에 결합한다. 레버 부재가 최종 결합 위치로 회전하게 되는 때 레버 부재는 최종 정합 위치에서 대응하는 전기 콘택트와 결합하도록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을 연결한다. 제2하우징은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이 초기 정합 위치로 배치되는 때 레버 부재가 삽입 위치에 있지 않으면 레버 부재와 결합하는 차단 부재를 단부벽에 갖는다.
특정 실시예는 전기 콘택트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단부를 갖는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은 대응하는 전기 콘택트를 결합시키도록 서로 정합가능하게 형성된다.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은 초기 정합 위치와 최종 정합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는 제1하우징에 의해 수용된 캠 아암을 갖는 레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캠 아암은 상기 레버 부재가 삽입 위치에서 최종 결합 위치까지의 이동 범위를 통해 회전하게 되는 동안 제2하우징에 결합한다. 레버 부재가 최종 결합 위치로 회전하게 되는 때 레버 부재는 최종 정합 위치에서 대응하는 전기 콘택트와 결합하도록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을 연결한다. 제2하우징은 레버 부재가 삽입 위치를 지나서 이동 범위를 따라 중간 지점으로 회전하게 되는 때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이 초기 정합 위치로 배치됨에 따라서 캠 아암에 결합하는 캠 차단 부재를 단부벽에 갖는다.
특정 실시예는 전기 콘택트를 수용하기 위하여 형성된 단부를 갖는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은 대응하는 전기 콘택트를 결합시키기 위하여 서로 정합가능하게 형성된다.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은 초기 정합 위치와 최종 정합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는 제1하우징에 의해 수용되는 캠 아암을 갖는 레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캠 아암은 상기 레버 부재가 삽입 위치에서 최종 결합 위치까지 이동 범위를 통해 회전하게 됨에 따라서 제2하우징에 결합한다. 레버 부재가 최종 결합 위치로 회전하게 되는 때 레버 부재는 최종 정합 위치에서 대응하는 전기 콘택트를 결합시키기 위하여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을 연결한다. 제2하우징은 단부벽에 차단 부재를 갖고 레버 부재는 이로부터 연장하는 아치형 저항 빔(arced resistance beam)을 갖는다. 저항 빔은 레버 부재가 삽입 위치를 지나 이동 범위를 따라 중간 지점으로 회전하게 되는 때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이 초기 정합 위치로 배치됨에 따라서 차단 부재에 결합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의 하기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전술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읽을 때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하여, 특정 실시예가 도면에 나타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나타난 장치와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8)의 사시도이다.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8)는 일군의 리셉터클 콘택트(receptacle contact; 미도시)를 수반하는 하니스 커넥터(10)를 포함한다. 헤더 커넥터(54)는 하니스 커넥터(10)의 리셉터클 콘택트와 정합하도록 형성된 플러그 콘택트(74; 도 2)를 보유한다. 하니스 커넥터(10)는 최종 정합 위치까지 헤더 커넥터(54)에서 완전히 삽입된다. 레버 부재(22)는 하니스 커넥터(10)의 외부에 유지되고 헤더 커넥터(54)에 결합한다. 레버 부재(22)는 최종 결합 위치에 있다. 레버 부재(22)는 전기 콘택트를 결합해제하도록 하니스 커넥터(10)를 최종 정합 위치로부터 이동시키기 위하여 회전축(38) 주위를 화살표(A) 방향으로 회전가능하다.
도 2는 세로축(118)을 따라 형성된 헤더 커넥터(54)의 정면 사시도이다. 헤더 커넥터(54)는 후방벽(78)으로부터 연장하는 플러그 콘택트(74)를 둘러싸는 두개의 장방형 외피(70)를 포함한다. 플러그 콘택트(74)는 후방벽(78)을 통해 연장하고, 와이어 또는 회로기판과 같은 전자 부품(미도시)에 연결된다. 플러그 콘택트(74)는 하니스 커넥터(10)가 헤더 커넥터(54)에 결합하는 때 하니스 커넥터(10; 도 1) 내에서 리셉터클 콘택트에 의해 수용된다. 외피(70)는 측벽(90)과 함께 형성된 대면하는 상부벽(82) 및 하부벽(86)에 의해 한정된다. 상부벽(82), 하부벽(86), 및 측벽(90)은 하니스 커넥터(10) 내에서 대응하는 정렬 갭(126; alignment gap)에 의해 수용되는 정렬 형상체(94; alignment feature)를 내부 벽면 및 외부 벽면을 따라 포함한다. 정렬 형상체(94)는 하니스 커넥터(10)가 적절한 배향으로 외피(70)에 미끄럼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을 보장한다. 하니스 커넥터(10)가 외피(70)에 삽입되는 때 측벽(90)은 레버 부재(22; 도 1)와 결합하는 릴리스 부재(release member; 138)를 포함한다.
래크(98)는 각각의 측벽(90)으로부터 외향으로 연장하도록 제공되고 측벽(90)이 하부벽(86)과 만나는 외피 림(shroud rim; 102)을 형성하는 후방 테두리에 인접해서 위치된다. 각각의 래크(98)는 캐치 갭(114; catch gap)에 의해 분리되는 제1치형(first teeth; 106) 및 제2치형(110)을 포함한다. 장방형 차단부재(120)는 래크(98)에 인접한 외피 림(102)에 나란하게 측벽(90)으로부터 외향으로 연장한다. 차단 부재(120)는 래크(98)보다 짧은 거리로 측벽(90)으로부터 외향으로 연장한다. 래크(98)는 레버 부재(22)의 캠 아암(30; 도 3)과 결합하고, 레버 부재(22)는 하니스 커넥터(10)를 헤더 커넥터(54) 주위에서 최종 정합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회전하게 된다. 차단 부재(120)는 레버 부재(22)가 삽입 위치로 배향되지 않으면 하니스 커넥터(10)가 초기 정합 위치까지 헤더 커넥터(54)에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캠 아암(30)과 결합한다.
도 3은 하니스 커넥터(10) 및 레버 부재(22)의 상부 사시도이다. 하니스 커넥터(10)는 콘택트 블록(112)을 둘러싸기 위해 대면하는 단부벽(18)과 함께 형성된 대면하는 측벽(14, 16)을 포함한다. 외피갭(184)은 콘택트 블록(122)과 측벽(14, 16) 및 단부벽(18) 사이의 하니스 커넥터(10) 내에서 연장한다. 콘택트 블록(122)은 리셉터클 콘택트를 수반하는 리셉터클 캐비티(50)와 외피(70)의 정렬 형상체(94; 도 2)를 수용하는 정렬갭(126)을 포함한다. 리셉터클 콘택트는 수용 단부(58)에서 와이어(미도시)에 연결되고, 와이어는 전자 부품(미도시)으로 연장한다. 박스-형상의 와이어 차폐부(46)는 외부 요소로부터 와이어를 보호하기 위해 수용 단부(58)로부터 연장하고, 수용 단부(58)를 커버한다. 작동 시, 하니스 커넥터(10)는 외피갭(184) 내에 외피(70)를 수용한다. 하니스 커넥터(10)가 외피(70)를 수용하는 동안, 리셉터클 콘택트는 헤더 커넥터(54; 도 2)내에 위치된 플러그 커넥터(74; 도 2)를 수신하고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레버 부재(22)는 레버 암(26)에 의해 단부벽(18)에 연결된다. 각각의 레버 암(26)은 캠 아암(30)과 릴리스 아암(130)을 포함한다. 레버 부재(22)가 이동 범위를 통해 회전되는 동안, 캠 아암(30)은 하니스 커넥터(10)의 단부벽(18)의 개구(34)에 수용되고, 외피(70)의 래크(98; 도 2)와 결합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 부재(22)는 삽입 위치에 있다. 레버 부재(22)가 삽입 위치에 있을 때, 하니스 커넥터(10)는 차단 부재(120; 도 2)가 캠 아암(30)과 저지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없이 외피(70)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측벽(14)은 베이스 단편(188), 래치 커버(66) 및 보호 립(rib; 196)을 갖는 래치 어셈블리(60)를 포함한다. 보호 립(196)은 래치 커버(66) 하에서 베이스 단편(188)을 미끄러질 수 있도록 유지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베이스 단편(188)의 사시도이다. 베이스 단편(188)은 래치 스트립(208; latch strip)과 일체로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204)와 일체로 형성된 캐치 스트립(200)을 포함한다. 견부 갭(204; shoulder gap)은 베이스 플레이트(204)와 캐치 스트립(200)의 단부 핑거(end finger; 212) 사이에서 연장한다. 베이스 플레이트(204)는 또한 단부 핑거(212)의 마주하는 측면으로부터 연장하는 견부훅(216; shoulder hook)을 포함한다. 래치 스트립(208)은 견부 훅(216) 사이에서 베이스 플레이트(204)로부터 연장하고, 제1래치(62) 및 제2 래치(192)를 갖는다.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베이스 단편(188)은 보호 립(196)과 래치 커버(66) 사이에서 측벽(14) 상에 위치된다. 베이스 단편(188)은 세로축(220)을 따라 보호 립(196) 사이로 미끄러진다. 래치 어셈블리(60)가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결합이전 상태일 때, 보호 립(196)은 견부훅(216; 도 11)과 결합한다. 하니스 커넥터(10)가 외피(70; 도 2) 주위에 삽입되고 레버 부재(22)가 최종 결합 위치에 있을 때, 베이스 단편(188)은 보호 립(196)이 베이스 플레이트(204; 도 11)와 단부 핑거(212; 도 11) 사이의 견부 갭(214; 도 11)에 유지될 때까지 화살표(D) 방향으로 미끄러진다. 또한, 레버 부재(22)의 베이스 표면(150)은 결합 단계에서 제1래치(62)와 래치 커버(66) 사이에 위치하고, 따라서 하니스 커넥터(10)와 외피(70)의 적절한 연결을 확보한다.
도 4는 초기 정합 위치에서 하니스 커넥터(10)과 외피(70)의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의 하니스 커넥터(10)는 외피(70) 주위에 위치된다. 레버 부재(22)는 삽입 위치에 있고, 따라서 캠 아암(30)은 간섭 없이 차단 부재(120)를 지나 미끄러진다. 캠 아암(30)은 제1래크 치형(154), 제2래크 치형(158) 및, 제3래크 치형(162)를 포함하고, 제1래크 치형(154)과 제2래크 치형(158)은 제1노치(notch; 166)에 의해 분리되고, 제2래크 치형(158)과 제3래크 치형(162)은 제2노치(170)에 의해 분리된다. 제3래크 치형(162)는 외피(70)의 래크(98)의 제1치형(106)과 결합한다. 레버 부재(22)는 하니스 커넥터(10)을 외피(70)와 함께 화살표(D) 방향으로 최종 정합 위치까지 당기기 위하여 회전축(38) 주위를 화살표(B)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고, 따라서 리셉터클 콘택트와 플러그 콘택트(74; 도 2)을 연결할 수 있다.
도 5는 최종 정합 위치에 있는 하니스 커넥터(10)와 외피(70)의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레버 부재(22)가 회전축(38) 주위를 화살표(B)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동안, 제2노치(170)는 래크(98)의 제1치형(106) 주위를 선회(pivot)하여 제2래크 치형(158)은 제1치형(106)과 제2치형(110) 사이의 캐치 갭(114)에 위치되고, 제3래크 치형(162)은 차단 부재(120) 상부에 위치된다. 부가적으로, 제2치형(110)은 제1래크 치형(154)과 제2래크 치형(158) 사이의 캠 아암(30)의 제1노치(166)에 유지된다. 따라서, 캠 아암(30)과 래크(98)는 상호 체결되어 하니스 커넥터(10)는 외피(70)에 고정된다. 선택적으로, 하니스 커넥터(10)와 외피(70)는 캠 아암(30)을 래크(98)로부터 결합해제하기 위하여 레버 부재(22)을 화살표(A) 방향으로 회전축(38)에서 회전시킴으로써 초기 정합 위치로 복귀한다.
도 6은 초기 정합 위치의 하니스 커넥터(10)과 외피(70)의 절취 측면도를 도시한다. 레버 부재(22)는 삽입 위치에 있지 않고, 따라서 제1래크 치형(154)은 차단 부재(120)과 결합하도록 정렬하게 된다. 따라서, 레버 부재(22)와 하니스 커넥터(10)가 외피(70)의 래크(98)과 결합하기 위하여 화살표(D) 방향으로 더 진행하는 것이 방지된다.
도 7은 조립이전 단계의 하니스 커넥터(10)와 외피(70)의 정면 절취도를 도시한다. 제1래크 치형(154)은 캠 아암(30)의 나머지 부분보다 세로축(178)을 따르는 내부로 더 연장하는 차단 레지(blocking ledge; 174)를 갖는다. 차단 레지(174)는 외피(70)의 차단 부재(120)에 의해 저지되어 캠 아암(30)이 외피(70)의 래크(98)과 결합하는 것이 방지된다. 차단 부재(120)과 차단 레지(174)는 레버 부재(22)가 삽입 위치에 있지 않을 때 하니스 커넥터(10)가 외피(70)에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호작용한다. 하니스 커넥터(10)와 외피(70)가 초기 정합 위치에 있을 때 레버 부재(22)가 삽입위치에 있지 않으면, 캠 아암(30)과 래크(98)는 레버 부재(98)가 최종 결합 위치(도 1)로 회전하게 되는 동안 적절하게 결합할 수 없다.
도 8은 조립이전 단계의 하니스 커넥터(10)와 외피(70)의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레버 부재(22)는 삽입 위치에 있고, 래치 어셈블리(60)는 결합이전 단계에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단편(188)은 래치 커버(66) 하부의 보호 립(196) 내에 위치하는 반면에, 제2래치(192)는 레지 커버(66)으로부터 연장하는 레지(224)와 결합한다. 하니스 커넥터(10)는 화살표(D) 방향으로 외피(70)에 삽입되어 외피(70)는 외피갭(184) 내에서 수용되고 플러그 커넥터(74)는 리셉터클 캐비티(50)에 수용된다.
도 9는 최종 정합 위치에 있는 하니스 커넥터(10)와 외피(70)의 측단면도를 나타낸다. 하니스 커넥터(10)와 외피(70)가 초기 정합 위치에 있는 후, 레버 부재(22)는 회전축(38; 도 1) 주위를 화살표(B)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하니스 커넥터(10)를 최종 정합 위치로 이동시킨다. 레버 부재(22)가 래치 어셈블리(60)를 지나 최종 결합 위치로 상향 회전하게 되는 때, 베이스 표면(150)은 제1래치(62)에 결합하여 제1래치(62)와 전체 래치 스트립(208)을 화살표(F) 방향의 하방으로 수동적으로 누르고, 따라서 제2래치(192)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지(224)로부터 결합해제하게 된다. 이 후에, 베이스 단편(188)은 제2래치(192)가 래치 커버(66)의 경사면(218)을 따라 미끌어지는 상태에서 화살표(D) 방향으로 미끌어지고 보호 립(196; 도 3)은 견부갭(214; 도 11)에 수용된다. 제2래치(192)가 화살표(D) 방향으로 경사면(218)을 따라 미끌어지는 동안, 레버 부재(22)의 베이스 표면(150)은 제1래치(62)와 래치 커버(66) 사이를 미끌어진다.
도 10은 래치 어셈블리(60)가 레버 부재(22)와 결합 단계에 있는 상태에서 최종 정합 위치에 있는 하니스 커넥터(10)와 외피(70)의 도 1의 선 11-11을 따라 취한 측단면도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 부재(22)의 베이스 표면(150)은 제1래치(62)와 래치 커버(66) 사이에 위치되고 베이스 단편(188)의 캐치 스트립(200)은 보호 립(196)에 완전히 결합한다. 래치 어셈블리(60)가 결합 단계에 있는 때, 레버 부재(22)는 최종 결합 위치로 회전하게 되어 하니스 커넥터(10)와 외피(70)를 완전히 연결한다. 따라서, 결합 단계에 있는 래치 어셈블리(60)는 플러그 콘택트(74; 도 2)가 리셉터클 콘택트와 완전히 결합하도록 하니스 커넥터(10)가 외피(70)와 완전히 연결되는 것을 운전자에게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하니스 커넥터(10)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하니스 커넥터(10)는 가요성 재료로 제작되고 상부벽(246) 및 후방벽(238)과 함께 형성된 마주하는 측벽(226)들에 의해서 한정된 와이어 차폐부(46)를 포함한다. 와이어 차폐부(46)는 하니스 커넥터(10) 내의 리셉터클 콘택트에 연결되는 와이어를 수용하는 전방단부(222)를 갖는다. 측벽(226)은 피트(230)와 빔(234)을 갖고, 후방벽(238)은 탭(242)를 갖는다. 피트(230), 빔(234) 및 탭(242)은 하니스 커넥터(10) 내에 수용되어 하니스 커넥터(10)의 수용단부(58) 주위에 와이어 차폐부(46)를 고정시킨다.
하니스 커넥터(10)는 측벽(14, 16)을 따라서 수용단부(58)에 형성된 슬롯(250; slot)을 갖는다. 하니스 커넥터(10)의 일단부에 있는 슬롯(250)은 와이어 차폐부(46)의 피트(230; feet)를 수용하는 개구(258)를 갖는 반면에 반대 단부에 있는 슬롯(250)은 폐쇄되어 와이어 차폐부(46)의 빔(234; beam)을 수용한다. 와이어 차폐부(46)의 후방벽(238)에 인접하는 단부벽(18)은 와이어 차폐부(46)의 탭(242; 도 7)(tab)을 수용하는 캐치(254; catch)를 갖는다.
도 7은 캐치(254)와 탭(242)의 상호작용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캐치(254)는 L자형이고 탭(242) 위로 연장하여 피트(230)와 빔(234)이 슬롯(250)에 있는 때(도 12), 와이어 차폐부(46)를 하니스 커넥터(10)에 견고하게 지지한다. 피트(230)가 슬롯(250) 내에 포획되고 개구(258)를 통해 연장하도록 와이어 차폐부(46)의 전방단부(222)를 화살표(J)의 방향으로 개구(258) 내의 슬롯(250)을 향해 미끄럼시킴으로써, 와이어 차폐부(46)는 하니스 커넥터(10)에 부착된다. 이 후에, 빔(234)이 슬롯(250)으로 진입하고 탭(242)이 캐치(254)에 결합할 때까지 피트(230)가 개구(258) 내에서 선회하는 상태에서, 와이어 차폐부(46)는 화살표(K) 방향에서 아치형으로 낮추어진다. 그리고, 탭(242)이 캐치(254)를 지나 아래로 미끄러지도록 후방벽(238)은 화살표(M) 방향으로 편향되고 와이어 차폐부(46)는 하니스 커넥터(10)에 고정된다. 탭(242)이 더 이상 캐치(254)에 결합하지 않을 때까지 후방벽(238)을 화살표(M) 방향으로 다시 편향시키고 피트(230) 주위에서 화살표 방향(N)의 상방으로 와이어 차폐부(46)를 회전시킴으로써 와이어 차폐부(46)는 하니스 커넥터(10)로부터 분리된다. 이 후에, 피트(230)는 슬롯(250)으로부터 분리되고, 와이어 차폐부(46)는 하니스 커넥터(10)로부터 분리된다. 따라서, 와이어 차폐부(46)는 어떠한 공구의 사용없이 하니스 커넥터(10)에 쉽게 연결되고 이로부터 분리된다.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레버 부재(22)는 하니스 커넥터(10) 주위에서 삽입위치에 있다. 하니스 커넥터(10)는 단부벽(18)의 상단부를 따라서 배치된 캐치(262)와 리세스 벽(274)을 갖는 록킹부재(locking member)를 포함한다. 릴리스 아암(130; release arm)은 갭(282)에 의해서 분리된 보스(266; boss)와 L자형 릴리스 푸트(270; release foot)를 갖는다. 캐치(262)가 보스(266)를 수용하여 릴리스 푸트(270)는 갭(282)으로 연장하는 리세스 벽(274)과 함께 단부벽(18)의 전방에 배치된다. 캐치(262) 내의 보스(266)가 릴리스 푸트(270)에 대면하는 리세스 벽(274)에 결합하는 상태에서, 레버 부재(22)는 회전축(38)의 주위를 화살표(B)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는다. 따라서, 캐치(262)는 보스(266)를 지지하여 레버 부재(22)가 삽입 위치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3은 외피(70) 주위에 위치된 하니스 커넥터(10)의 절취 평면도를 나타낸다. 릴리스 아암(130)으로부터 연장하는 보스(266)는 캐치(262) 내에 지지되고 릴리스 피트(270)는 외피(70)의 측멱(90) 상의 경사형 릴리스 부재(138; sloped release member)에 인접한다. 하니스 커넥터(10)가 외피(70) 측으로 화살표(D) 방향으로 더욱 위치됨에 따라, 릴리스 피트(270)는 릴리스 부재(138)에 결합하여, 릴리스 피트(130), 그리고 릴리스 아암(130)은 서로로부터 멀어지는 외측으로 눌러지고 보스(266)는 캐치(262)로부터 융기된다. 리세스 벽(274)이 릴리스 피트(27)와 보스(266)에 더 이상 결합하지 않은 상태에서, 레버 부재(22)는 회전축(38) 주위를 회전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캐치(262)는 하니스 커넥터(10)가 외피(70) 상에서 초기 정합 위치로 삽입되는 때까지 보스(266)를 지지하여 레버 부재(22)를 삽입위치에 유지한다. 따라서, 레버 부재(22)는 외피(70) 상에서 랙(98; 도 2)과 적절하게 정렬되어 하니스 커넥터(10)는 최종 정합 위치로 회전하게 되는 때 최종 정합 위치로 이동한다.
도 14는 도 2의 헤더 커넥터(54)의 배면도를 나타낸다. 플러그 콘택트(74)는 헤더 커넥터(54)의 후방벽(78)으로부터 삼각형 템플릿 지지체(290; template support)에 의해서 후방벽(78)에 연결된 템플릿(286)까지 연장한다. 각각의 플러그 콘택트(74)는 후방벽(78)으로부터 연장하는 수평 상부(294)를 갖고, 경사형 중간부(298)가 형성되고 순차적으로 상부(294)에 수직인 수직형 바닥부(302)가 형성된다. 바닥부(302)는 인쇄회로기판(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도록 템플릿(286)을 통해 연장하는 테일 단부(306; 도 16)(tail end)를 갖는다. 대안으로, 바닥부(302)는 와이어에 연결될 수 있다. 바닥부(302)는 또한 지지 형상체(322; retention feature)를 갖는다. 작동시, 템플릿(286)은 바닥부(302)의 지지 형상체(322)를 덮는 에폭시(미도시)로 충진되고 건조처리된다. 지지 형상체(322)는 고형 에폭시와 결합하여 플러그 콘택트(74)는 템플릿(286) 내에 견고하게 안정화되고 지지된다. 바닥부(322)는 템플릿(286) 내에서 안정화되므로, 테일 단부(306)는 굽힘 또는 비틀림없이 인쇄회로기판 내의 개구에 끼워진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템플릿(286)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템플릿(286)은 개방단부(370)에 마주하고 양단부벽(358)과 함께 형성된 측벽(350)을 갖는다. 측벽(350)과 단부벽(358)은 베이스(354)로부터 연장하고 개방 챔버(374)를 한정한다. 템플릿(286)은 플러그 콘택트(74)의 바닥부(302; 도 14)를 수용하는 포켓(362; pocket)을 포함한다. 포켓(362)은 베이스(354)을 관통하여 연장하는 개구(366)를 둘러싼다. 템플릿(286)은 헤더 커넥터(54)의 후방벽(78; 도 14)에 연결되어 테일 단부(306; 도 16)가 개구(366)를 관통하여 연장하는 상태에서 포켓(362)에 플러그 콘택트(74)를 수용한다. 단부벽(358)은 템플릿 지지체(290; 도 14)들 사이에 위치되고 베이스(354)는 개방단부(370)에서 후방벽(78)과 결합하여 후방벽(78)은 에폭시를 수용하도록 챔버(374)를 둘러싼다.
도 16은 플러그 콘택트(74)의 바닥부(302)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바닥부(302)는 테일 단부(306)보다 광폭이고 중공형 코어(314)를 둘러싸는 측벽(378)을 포함하는 아이(310; eye)까지 연장하는 테일 단부(306)를 포함한다. 템플릿 캐치(318; template catch)는 아이(310)와 지지 형상체(322) 사이의 바닥부(302)에서 서로 마주하여 연장한다. 지지 형상체(322)는 서로 마주하여 정렬되고 바닥부(302)의 교번하는 측면에서 각각의 쌍과 쌍을 이루는 리세스(326)를 포함한다. 각각의 리세스(326)는 평면에 대한 소정 각도로 바닥부(302)의 각 측면의 평면을 넘어서 리세스(326)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는 바브(330; barb)를 포함한다. 바브(330)는 리세스(326)의 상부벽(338)로부터 리세스(326)의 바닥벽(342)까지 내측으로 연장한다.
작동시, 바닥부(302)가 템플릿(286; 도 15)에 수용되는 때, 테일 단부(306)와 아이(310)는 개구(366; 도 15)를 통해서 연장하고 템플릿 캐치(318)는 포켓(362; 도 15)에 내구성있게 결합하여 바닥부(302)가 개구(366)를 통해서 계속 삽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지지 형상체(322)는 템플릿(286)의 챔버(374; 도 15) 내에 위치되고 에폭시에 의해서 덮혀진다. 에폭시는 지지 형상체(322)의 리세스(326)에 진입하고 리세스(326) 내에서 그리고 경사진 바브(330) 주위에서 고화한다. 고화된 에폭시는 따라서 바브(330)와 마찰식으로 결합하여 바닥부(302)를 챔버(374) 내에 견고하게 안정화되도록 지지한다. 이 후에, 테일 단부(306)와 아이(310)는 인쇄회로기판의 개구에 삽입된다.
개구들은 일반적으로 테일 단부(306)를 수용하도록 치수화된다. 아이(310)는 테일 단부(306)보다 크므로, 각각의 아이(310)는 하나의 개구에 견고하게 삽입되어 측벽(378)들은 코어(314) 측으로 서로 향하는 내측으로 편향된다. 일단 아이(310)가 인쇄회로기판의 개구 내에 유지되면, 측벽(378)은 인쇄회로기판의 개구벽에 대항해서 서로로부터 멀어지는 외측으로 눌러진다. 에폭시는 아이(310)가 개구에 끼워지는 경우에 바닥부(302)를 안정화시키도록 바브(330)를 지지한다. 따라서, 플러그 콘택트(74)는 인쇄회로기판에 연결되는 때에 비틀어지거나 또는 변위되지 않는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제작된 정합 보조 어셈블리(400)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헤더 커넥터(404)는 각각의 단부벽(412)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는 사각형 차단 부재(408; bocking member)를 갖는다. 레버 부재(416)는 저항 빔(420)과 지지 빔(424)을 포함한다. 저항 빔(420)은 아크형이고 레버 아암(428)으로부터 지지 빔(424)까지 연장한다. 지지 빔(424)은 캠 아암(432)으로부터 예각으로 연장하여 저항 빔(420)과 만난다. 레버 부재(416)는 삽입 위치에 있는 것으로 도 17에 도시된다. 레버 부재(416)가 삽입 위치에 있지 않는 경우에, 저항 빔(420)은 화살표(B) 방향의 전방으로 저항 빔(420)이 차단 부재(408)에 저지가능하게 결합하는 위치까지 회전하게 되어 헤더 커넥터(404)와 하니스 커넥터(436)가 초기 정합 위치에서 만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제작된 레버 부재(416)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저항 빔(420; resistance beam)은 서로 멀어지는 외측으로 연장하여 지지 빔(424; support beam)과 교차하는 내부 반경면(426; radial surface)과 편평 접촉면(422; contact surface)을 갖는다. 따라서, 지지 빔(424)은 저항 빔(420)보다 회전축(452)을 따라서 서로로부터 더욱 분리된다. 그러므로, 지지 빔(424)의 내부면(444)은 레버 부재(416)가 회전축(452) 주위를 화살표(B)의 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에 따라 하니스 커넥터(436; 도 19)의 단부 벽(456; 도 19)을 따라서 차단 부재(408; 도 17) 위를 미끄러진다. 그러나, 저함 빔(430)은 지지 빔(424)보다 회전축(452)을 따라 서로 더 근접하므로, 저항 빔(420)의 접촉면(422)은 레버 부재(416)가 삽입 위치로부터 화살표(B) 방향에 있는 때 헤더 커넥터(404)에서 차단 부재(408)과 결합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제작된 초기 정합 위치에 있는 정합 보조 조립체(400)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레버 부재(416)가 삽입 위치에 있기 때문에, 하니스 커넥터(436)는 화살표(D) 방향으로위치되어 차단 부재(408; 도 17)는 저항 빔(420)의 접촉면(422)과 결합하지 않고 지지 빔(424)의 내부면(444; 도 18)을 따라서 미끄러진다. 저항 빔(420)의 내부 반경면(426)은 아크형이므로, 레버 부재(416)가 회전축(452)의 주위를 화살표(B)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경우에, 지지 빔(424)의 내부면(444; 도 18)에 나란하게 초기에 위치된 차단 부재(408) 주변을 회전하고 결합하지 않는다. 레버 부재(416)가 회전축(452) 주위를 화살표(B) 방향으로 계속 회전하게 됨에 따라서, 하니스 커넥터(436)는 헤더 커넥터(404)와 함께 최종 정합 위치를 향해서 화살표(D) 방향으로 미끌어지고 차단 부재(408)는 하니스 커넥터(436)의 단부벽(456)을 향해서 지지 빔(424)의 내부면(444)을 지나 완전히 미끌어진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제작된 정합 보조 어셈블리(400)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0의 레버 부재(416)는 삽입 위치에서 최종 결합 위치까지 회전축(452) 주위를 화살표(B)의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안 중간 위치에 위치된다. 레버 부재(416)가 화살표(B) 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에 따라서, 하니스 커넥터(436)는 화살표(D) 방향으로 이동하여 차단 부재(408)는 지지 빔(424)의 내부면(444; 도 18)을 완전히 넘어 미끌어져서 하니스 커넥터(436)의 단부벽(456) 내에 수용된다. 따라서, 레버 부재(416)는 최종 결합 위치까지 완전히 회전하게 되어 하니스 커넥터와 헤더 커넥터(436, 404)는 최종 정합 위치에서 결합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제작된 정합 보조 어셈블리(400)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헤더 커넥터와 하니스 커넥터(404, 436)가 초기 정합 위치에서 결합되기 전에 레버 부재(416)는 삽입 위치로부터 회전축(452) 주위를 화살표(B) 방향으로 약간 회전하게 된다. 그러므로, 하니스 커넥터(436)가 헤더 커넥터(404) 쪽의 화살표(D) 방향으로 눌려지는 때, 차단 부재(408)는 저항 빔(420)의 접촉면(422)과 견고하게 결합한다. 그러므로, 헤더 커넥터와 하니스 커넥터(404, 436)는 초기 정합 위치에서 결합하는 것이 방지되어 최종 정합 위치에 완전하게 연결될 수 없다. 그러므로, 저항 빔(420)과 지지 빔(424)은 레버 부재(416)가 헤더 커넥터와 하니스 커넥터(404, 436)를 결합시키도록 적절하게 배향되지 않으면 헤더 커넥터와 하니스 커넥터(404, 436)가 결합하는 것을 방지한다.
다른 실시예의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는 다양한 잇점을 제공한다. 먼저, 하니스 커넥터와 레버 부재의 캐치 및 보스는 서로 결합하여 하니스 커넥터가 헤더 커넥터로부터 분리되는 때 레버 부재를 삽입 위치에 유지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하니스 커넥터가 초기 정합 위치에서 외피 상에 위치되는 때마다 레버 부재가 삽입 위치에서 적절하게 정렬되는 것을 확보할 수 있다.
둘째, 헤더 커넥터는 하니스 커넥터가 삽입 위치로부터 레버 부재와 함께 외피 주위에서 초기 정합 위치로 삽입되는 때 캠 아암 또는 대안으로 레버 부재의 저항 빔에 결합하는 차단 부재를 포함한다. 레버 부재는 하니스 커넥터와 외피가 초기 정합 위치에 있는 때 캠 아암이 랙과 적절하게 결합하기 위해 초기 위치에 있을 필요가 있으므로, 차단 부재는 레버 부재가 최종 결합 위치로 회전하게 됨에 따라 캠 아암이 랙과 완전히 결합하는 것을 확신하도록 한다.
세째, 래치 어셈블리는 레버 부재가 최종 결합 위치에 있는 때 레버 부재와 결합하여 레버 부재가 하니스 커넥터와 외피를 연결시키기 위하여 완전히 회전하게 되는 것을 확신하는 결합 위치로 베이스 단편이 미끌어지도록 한다.
네째, 와이어 차폐는 피트와 탭이 하니스 커넥터의 슬롯 내부에 미끄럼가능하게 수용되고 탭이 하니스 커넥터의 캐치에 해제가능하게 결합하기 때문에 특별 공구의 사용없이 하니스 커넥터에 용이하게 연결되고 이로부터 분리된다.
마지막으로, 헤더 커넥터로부터 연장하는 전기 콘택트는 에폭시에 견고하게 유지되는 지지 형상체를 구비하여 전기 커넥터의 테일 단부와 아이는 비틀림없이 회로기판에 삽입된다. 따라서, 특별 공구는 전기 콘택트를 인쇄회로기판에 연결하는 데 필요없고 전기 콘택트는 에폭시 내에서 긴밀하게 정렬된다.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는 반면에,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요지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경을 행할 수 있고 등가물이 대체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부가적으로 많은 수정은 본 발명의 요지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의 교훈에 특정 상황 또는 재료를 적용하도록 만들어 질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개시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도록 의도되지만,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의 요지에 일치하는 모든 실시예를 포함할 것이다.

Claims (22)

  1. 전기 콘택트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단부를 갖는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은 대응하는 전기 콘택트를 결합시키도록 서로 정합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은 초기 정합 위치와 최종 정합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함-과;
    레버 부재-상기 레버 부재는 상기 레버 부재가 삽입 위치에서 최종 결합 위치까지의 이동 범위에 걸쳐서 회전하게 되는 때 상기 제1하우징에 의해서 수용되고 상기 제2하우징에 결합하는 캠 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레버 부재는 상기 레버 부재가 상기 최종 결합 위치로 회전하게 되는 때 상기 최종 정합 위치에서 대응하는 전기 콘택트를 결합시키도록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을 연결시킴-를 포함하고,
    상기 제2하우징은 상기 레버 부재가 상기 삽입 위치를 넘어서 상기 이동 범위를 따라 중간 지점으로 회전하게 되는 때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이 상기 초기 정합 위치로 배치됨에 따라서 상기 캠 아암에 결합하는 캠 차단 부재를 단부벽에 갖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 아암은 차단 레지를 갖는 제1치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 레지는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이 상기 초기 정합 위치로 배치됨에 따라 상기 캠 차단 부재에 결합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벽은 종방향 축을 따라서 상기 캠 차단 부재보다 더 연장하는 랙을 포함하고, 상기 캠 차단 부재는 블록으로 형상화되고 상기 캠 아암에 결합하는 상기 제2하우징의 림의 평면을 따라서 측벽을 갖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 아암은 상기 캠 아암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제1하우징을 향하는 내측으로 수직 연장하는 차단 레지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 레지는 상기 레버 부재가 상기 삽입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이 상기 초기 정합 위치에 있는 때 상기 캠 차단 부재에 나란히 지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은 상기 레버 부재가 상기 최종 결합 위치에 있는 때 상기 레버 부재에 결합하는 래치 어셈블리를 갖고, 상기 래치 어셈블리는 베이스 단편과 래치 커버를 갖고, 상기 베이스 단편은 제1래치 및 제2래치를 갖고, 상기 제2래치는 상기 래치 어셈블리가 예비-결합 단계에 있는 때 상기 래치 커버에 결합하고, 상기 레버 부재는 상기 최종 결합 위치로 회전하게 되는 때 상기 제1래치에 결합하여 상기 래치 커버로부터 멀어지게 상기 제2래치를 편향시키고 이에 의해서 상기 베이스 단편이 상기 래치 커버에 대해서 결합 단계로 미끌어지도록 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부재는 릴리스 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제1하우징은 록킹 부재를 갖는 단부벽을 구비하며, 상기 록킹 부재는 상기 레버 부재를 상기 제1하우징에 대해 상기 삽입 위치에 유지하도록 상기 릴리스 아암을 지지하고, 상기 제2하우징은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이 상기 초기 정합 시스템에 있는 때 상기 레버 부재의 회전을 해제시키고 허용하도록 상기 릴리스 아암에 결합하는 릴리스 부재를 구비한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으로부터 연장하고 수용 단부를 덮는 와이어 차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차폐는 측벽으로부터 연장하는 피트와 후방벽으로부터 연장하는 탭을 갖고, 상기 제1하우징은 상기 피트를 수용하는 슬롯과 상기 탭을 해제가능하게 지지하는 캐치를 갖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은 상기 전기 콘택트를 수반하고, 상기 전기 콘택트는 상부, 중간부 및 바닥부를 갖고, 상기 바닥부는 지지 형상체를 갖고, 상기 제2하우징은 상기 상부를 지지하는 후방벽과 상기 바닥부를 수용하는 챔버를 갖는 템플릿를 구비하고, 상기 제2하우징과 상기 템플릿는 상기 지지 형상체 주위에서 상기 바닥부를 둘러싸는 상기 챔버에 봉합 재료를 수용하기 위하여 서로 장착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9. 전기 콘택트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단부를 갖는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은 대응하는 전기 콘택트를 결합시키도록 서로 정합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은 초기 정합 위치와 최종 정합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함-과;
    레버 부재-상기 레버 부재는 상기 레버 부재가 삽입 위치에서 최종 결합 위치까지의 이동 범위에 걸쳐서 회전하게 되는 때 상기 제1하우징에 의해서 수용되고 상기 제2하우징에 결합하는 캠 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레버 부재는 상기 레버 부재가 상기 최종 결합 위치로 회전하게 되는 때 상기 최종 정합 위치에서 대응하는 전기 콘택트를 결합시키도록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을 연결시킴-를 포함하고,
    상기 제2하우징은 상기 레버 부재가 상기 삽입 위치를 넘어서 상기 이동 범위를 따라 중간 지점으로 회전하게 되는 때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이 상기 초기 정합 위치로 배치됨에 따라서 상기 레버 부재에 결합하는 차단 부재를 단부벽에 갖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부재는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이 상기 초기 정합 위치로 배치됨에 따라서 상기 캠 아암에 결합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캠 아암은 차단 레지를 갖는 제1치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 레지는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이 상기 초기 정합 위치로 배치됨에 따라 상기 차단 부재에 결합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벽은 종방향 축을 따라서 상기 차단 부재보다 더 연장하는 랙을 포함하고, 상기 차단 부재는 블록으로 형상화되고 상기 캠 아암에 결합하는 상기 제2하우징의 림의 평면을 따라서 측벽을 갖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캠 아암은 상기 캠 아암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제1하우징을 향하는 내측으로 수직 연장하는 차단 레지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 레지는 상기 레버 부재가 상기 삽입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이 상기 초기 정합 위치에 있는 때 상기 캠 차단 부재에 나란히 지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부재는 이로부터 연장하는 아치형 저항 빔을 포함하고, 상기 차단 부재는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이 상기 초기 정합 위치로 배치됨에 따라서 상기 저항 빔에 결합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부재는 서로 교차하여 접촉면을 형성하는 아치형 저항 빔과 지지 빔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면은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이 상기 초기 정합 위치로 배치됨에 따라서 상기 차단 부재에 결합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부재는 접촉면을 형성하기 위하여 서로 교차하는 아치형 저항 빔과 내부면을 갖는 지지 빔을 포함하고, 상기 차단 부재는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이 상기 초기 정합 위치에서 결합됨에 따라서 상기 레버 부재가 상기 삽입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접촉면과 결합하지 않고 상기 접촉면을 지나서 상기 내부면을 따라 미끌어지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부재는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이 상기 초기 정합 위치에서 결합됨에 따라서 상기 레버 부재가 상기 삽입 위치에 있는 때 상기 차단 부재와 결합하지 않고 상기 차단 부재에 나란히 회전하는 내부 반경면을 갖는 아치형 저항 빔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18. 전기 콘택트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단부를 갖는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은 대응하는 전기 콘택트를 결합시키도록 서로 정합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은 초기 정합 위치와 최종 정합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함-과;
    레버 부재-상기 레버 부재는 상기 레버 부재가 삽입 위치에서 최종 결합 위치까지의 이동 범위에 걸쳐서 회전하게 되는 때 상기 제1하우징에 의해서 수용되고 상기 제2하우징에 결합하는 캠 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레버 부재는 상기 레버 부재가 상기 최종 결합 위치로 회전하게 되는 때 상기 최종 정합 위치에서 대응하는 전기 콘택트를 결합시키도록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을 연결시킴-를 포함하고,
    상기 제2하우징은 단부벽에 차단 부재를 갖고, 상기 레버 부재는 그로부터 연장하는 아치형 저항 빔을 갖고, 상기 저항 빔은 상기 레버 부재가 상기 삽입 위치를 넘어서 상기 이동 범위를 따라서 중간 지점으로 회전하게 되는 때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이 상기 초기 정합 위치로 배치됨에 따라서 상기 차단 부재에 결합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부재는 접촉면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저항 빔에 교차하는 지지 빔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면은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이 상기 초기 정합 위치로 배치됨에 따라서 상기 차단 부재에 결합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부재는 접촉면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저항 빔에 교차하는 내부면을 갖는 지지 빔을 포함하고, 상기 차단 부재는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이 상기 초기 정합 위치에서 결합하게 됨에 따라서 상기 레버 부재가 상기 삽입 위치에 있는 때 상기 접촉면과 결합하지 않고 상기 접촉면을 지나서 상기 내부면을 따라 미끌어지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 빔은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이 상기 초기 정합 위치에서 결합하게 됨에 따라서 상기 레버 부재가 상기 삽입 위치에 있는 때 상기 차단 부재에 결합하지 않고 상기 차단 부재에 나란히 회전하는 내부 반경면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부재는 지지 빔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빔은 상기 저항 빔에 연결되고 회전축을 따라서 상기 저항 빔보다 더 큰 거리만큼 상기 단부벽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지지 빔은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이 상기 초기 정합 위치에서 결합하게 됨에 따라서 상기 레버 부재가 상기 삽입 위치에 있는 때 상기 차단 부재를 넘어서 회전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KR1020057006676A 2002-10-18 2003-10-14 연결 확보 형상체를 갖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KR1009831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273,655 2002-10-18
US10/273,655 US6854992B2 (en) 2002-10-18 2002-10-18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connection assurance featur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2626A true KR20050062626A (ko) 2005-06-23
KR100983183B1 KR100983183B1 (ko) 2010-09-20

Family

ID=32092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6676A KR100983183B1 (ko) 2002-10-18 2003-10-14 연결 확보 형상체를 갖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854992B2 (ko)
EP (1) EP1552583B1 (ko)
JP (1) JP4836225B2 (ko)
KR (1) KR100983183B1 (ko)
CN (1) CN100435426C (ko)
AU (1) AU2003279966A1 (ko)
CA (1) CA2502309C (ko)
WO (1) WO20040388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250B1 (ko) * 2005-10-21 2009-11-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조립식 보호회로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US7267564B2 (en) 2005-12-01 2007-09-11 Molex Incorporated Lever type electrical connector
US7396242B2 (en) * 2006-06-08 2008-07-08 Molex Incorporated Lever type electrical connector
JP4247920B2 (ja) * 2006-10-19 2009-04-02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レバーコネクタ
JP4791328B2 (ja) * 2006-10-27 2011-10-12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4282088B2 (ja) * 2007-02-19 2009-06-1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
SG146466A1 (en) * 2007-03-15 2008-10-30 J S T Mfg Co Ltd Electric connector
US7726988B2 (en) * 2008-03-26 2010-06-01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disconnection assist
US8011938B2 (en) * 2008-05-21 2011-09-06 Tyco Electronic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linear actuator
JP4515516B2 (ja) * 2008-09-09 2010-08-04 株式会社アイペックス コネクタ装置
EP2180558A1 (en) 2008-10-23 2010-04-28 Tyco Electronics AMP GmbH Connector with self holding locking device
US7789682B1 (en) * 2009-04-21 2010-09-07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lever and camming slide
JP5407959B2 (ja) * 2010-03-17 2014-02-05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EP2506369A1 (de) * 2011-04-01 2012-10-03 Eaton Industries GmbH Anordnung zum Herstellung und Trennen einer Verbindung eines Steckers mit einem Gegenstecker
JP6096323B2 (ja) 2013-01-16 2017-03-15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双方向掛け止め
WO2014115349A1 (ja) * 2013-01-25 2014-07-31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14165028A (ja) * 2013-02-26 2014-09-08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DE102014001517B4 (de) * 2013-02-26 2017-02-16 Sumitomo Wiring Systems, Ltd. Verbinder und damit versehene Verbinderanordnung
US9520669B2 (en) * 2014-05-19 2016-12-13 Yazaki North America, Inc. Connector assembly with male terminal protector
JP6817440B2 (ja) * 2016-12-06 2021-01-20 レイセオン カンパニー コネクタ取外しツール
DE102017121868B3 (de) * 2017-09-21 2019-01-31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Verriegelungsbügel mit Sperre sowie einem Verfahren zur Verriegelung und Entriegelung einer Steckverbindung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34532B2 (ja) * 1992-04-06 1997-07-30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の誤作動防止機構
DE69326696T2 (de) * 1993-11-26 2000-06-08 Molex Inc Elektrischer Verbinder mit Deckel und Endlagesicherungsvorrichtung
DE9411509U1 (de) * 1994-07-15 1994-09-22 Siemens Ag Steckverbindergehäuse
JPH08167448A (ja) * 1994-12-14 1996-06-25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US5709560A (en) * 1994-12-14 1998-01-20 Sumitomo Wiring Systems, Ltd. Connector having a pivotable connection-assistance member
DE19528074A1 (de) 1995-07-31 1997-02-06 Amp Gmbh Elektrische Steckeranordnung
DE29513172U1 (de) 1995-08-16 1995-10-12 Siemens Ag Steckverbindergehäuse
NO314527B1 (no) 1995-09-29 2003-03-31 Krone Gmbh Koblingslist for höye overföringshastigheter
US6270372B1 (en) 1996-09-26 2001-08-07 Panduit Corp. Patch cord connector
JP3266011B2 (ja) * 1996-11-05 2002-03-18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US6346005B1 (en) 1998-01-19 2002-02-12 The Siemon Company Reduced cross-talk high frequency wiring connection system
US6368144B2 (en) 1998-03-23 2002-04-09 The Siemon Company Enhanced performance modular outlet
US6126476A (en) 1998-03-23 2000-10-03 The Siemon Company Enhanced performance connector
US6099330A (en) * 1998-07-30 2000-08-08 Gundermann; James E. Connector with lever
DE19938930C1 (de) 1999-08-17 2001-04-12 Framatome Connectors Int Elektrischer Steckverbinder
JP2001257039A (ja) 2000-02-21 2001-09-21 Tyco Electronics Amp Espanola Sa 電気コネクタ
US6217354B1 (en) * 2000-03-20 2001-04-17 Molek Incorporated Lever type electrical connector
US6296510B1 (en) 2000-09-11 2001-10-02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with lever type latch means
JP3492309B2 (ja) * 2000-11-02 2004-02-03 エフシーアイジャパン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2184522A (ja) * 2000-12-12 2002-06-28 Jst Mfg Co Ltd ロック機構付コネクタ・アセンブリー
ITTO20010290A1 (it) 2001-03-27 2002-09-27 Framatome Connectors Italia Connetore elettrico.
US6447307B1 (en) * 2001-07-11 2002-09-10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having spac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3279966A1 (en) 2004-05-13
CN100435426C (zh) 2008-11-19
JP4836225B2 (ja) 2011-12-14
CA2502309A1 (en) 2004-05-06
US20040077196A1 (en) 2004-04-22
EP1552583A1 (en) 2005-07-13
KR100983183B1 (ko) 2010-09-20
US6854992B2 (en) 2005-02-15
CN1717847A (zh) 2006-01-04
WO2004038867A1 (en) 2004-05-06
JP2006503417A (ja) 2006-01-26
EP1552583B1 (en) 2011-12-07
CA2502309C (en) 2008-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3183B1 (ko) 연결 확보 형상체를 갖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EP1672747B1 (en) A connector
EP0415489B1 (en) Mountable connector for cable assembly
US7090518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 locking mechanism
US7128588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locking/unlocking means
US6364683B1 (en) Electrical connector
CA2494457C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connection assurance features
US8251761B2 (en) Connector
JP3301329B2 (ja) コネクタ
JP2003243093A (ja) Usbコネクタ
US8215970B2 (en) Connector
JP2004039618A (ja) コネクタ位置保証装置及びラッチ
EP0959532A1 (en) A lever type connector
US6280252B1 (en) Electrical connector firmly retaining an insulative housing
JP3561959B2 (ja) コネクタ
US6682359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connection assurance features
US6623286B2 (en) Lever-type connector
JP2002222672A (ja) コネクタ
JP2004095346A (ja) コネクタ組立体及びそれに使用するコネクタ
GB2177266A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ntegral latch means
EP1193805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and male connector used in the same
US5681185A (en) Connector mating structure
JP3341820B2 (ja) 合体式コネクタ
JP3322141B2 (ja) 電線カバー付きコネクタ
JPH11176517A (ja) 組み合わせコネクタ及び組み合わせコネクタとケーシングとの結合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