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6767A - 순시전압저하 검출장치 - Google Patents

순시전압저하 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6767A
KR20050046767A KR1020057004224A KR20057004224A KR20050046767A KR 20050046767 A KR20050046767 A KR 20050046767A KR 1020057004224 A KR1020057004224 A KR 1020057004224A KR 20057004224 A KR20057004224 A KR 20057004224A KR 20050046767 A KR20050046767 A KR 200500467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waveform
power supply
waveform
abnormal
supply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4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68878B1 (ko
Inventor
야스후미 시모에
요시히로 하타케야마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46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67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8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88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2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monitor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33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 G01R19/16538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 G01R19/16547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voltage or current in AC suppl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ement Of Current Or Voltage (AREA)

Abstract

본 방치는 전원전압파형(11)을 90°각도 이상하는 올패스필터(2), π/4~3π/4, 5π/4∼7π/4에 있어서 전원전압파형(11)이 그 역치(12)보다도 작을 때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기(7), 0∼π/4, 3π/4∼5π/4, 7π/4∼2π에 있어서 위상전압파형(13)이 그 역치(14)보다도 작을 때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기(8), 비교기(7)(8)에서의 신호가 입력되는 OR회로(9), OR회로(9)에서의 출력에 따라 전압저하 검출신호를 발생하는 수단(10)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순시전압저하 검출장치{INSTANTANEOUS VOLTAGE LOWERING DETECTION DEVICE}
본 발명은, 벼락 등이 원인으로 발생하는 배전망의 순시전압저하를 검출하는 순시전압저하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2000-55947호 공보 및 일본국 특허공개2002-171690호 공보에 각각 도시한 장치와 같이 종래의 순시전압저하 검출장치에서는 전원전압에 동기하는 기준정현파 및 기준여현파의 절대치파형과, 전원정현파 및 전원여현파의 절대치파형과의 감산 결과를 각자 적분하여 어떠한 적분결과가 기준치를 넘었을 경우에 전압저하가 발생한 것으로 간주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식에서는 전압저하 검출에 적분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검출판정에 교류 파형의 1/4사이클 정도의 시간이 걸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와같은 순시전압저하 검출장치를 이용하여 순시전압저하 보상장치를 구성하면 전압저하 시작부터 전압저하 보상동작으로 바뀔때 까지 1/4사이클 이상 정전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관한 순시전압저하 검출장치를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2는 도1의 순시전압저하 검출장치에 있어서의 정상시의 각 신호파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3은 도1의 순시전압저하 검출장치에 있어서의 전압저하 발생시의 각 신호파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2에 관한 순시전압저하 검출장치의 블럭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3에 관한 순시전압저하 검출장치의 블럭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5에 관한 순시전압저하 검출장치의 이상수단의 상세를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5에 있어서, 올패스필터를 이용했을 때 5%180°위상반전한 고조파 중첩시의 이상전압파형을 도시하는 도면.
도8은 도7과의 비교예로서, 미분회로를 이용했을 때 5%180°위상반전한 고조파중첩시의 이상전압파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실시예5에 관한 순시전압저하 검출장치에 의한 이상수단의 순시전압저하 발생시의 과도 파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실시예10에 관한 순시전압저하 검출장치의 블럭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실시예11에 관한 순시전압저하 검출장치의 블럭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행해진 것으로 전압저하를 고속으로 검출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관한 순시전압저하 검출장치는, 전원전압파형을 소정의 각도만큼 이상하여 이상(移相)전압파형을 생성하는 이상수단과,
전원전압파형의 제로 전압을 검출하는 위상동기수단과,
상기 위상동기수단에 동기하여 상기 전원전압파형에 대한 전압저하 판정기준인 전원전압파형 역치를 발생하는 전원전압파형 역치 발생수단과,
상기 이상전압파형에 대한 전압저하 판정기준인 이상전압파형 역치를 발생하는 이상전압파형 역치 발생수단과,
상기 전원전압파형 역치 및 이상전압파형 역치의 절대치가 소정치보다 큰 곳의 일부 또는 전부를 비교판정 유효영역으로 하는 판정영역 설정수단과,
상기 판정영역 설정수단이 전원전압파형의 비교판정 유효영역이라고 판단한 경우에, 상기 전원전압파형과 전원전압파형 역치와의 비교를 기초로 전압저하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전원전압파형 비교수단과,
상기 판정영역 설정수단이 이상전압파형의 비교판정 유효영역이라고 판단한 경우에, 이상전압파형과 이상전압파형 역치와의 비교를 기초로 전압저하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이상전압파형 비교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전원전압파형의 제로 전압을 검출하는 위상동기수단과,
상기 위상동기수단에 동기하여 상기 전원전압파형에 대한 전압저하 판정기준인 전원전압파형 역치를 발생하는 전원전압파형 역치 발생수단과,
위상동기수단에 동기하여 전원전압파형을 차례로 기록하는 파형기록수단과,
상기 기록파형을 기초로 소정의 연산에 의해 하한역치 또는 상한역치를 발생하는 기록파형 역치 발생수단과,
위상동기수단에 동기하여 비교판정 유효영역을 설정하는 판정영역 설정수단과,
상기 판정영역 설정수단이 전원전압파형의 비교판정 유효영역이라고 판단한 경우에, 상기 전원전압파형과 전원전압파형 역치와의 비교를 기초로 전압저하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전원전압파형 비교수단과,
상기 판정영역 설정수단이 기록파형의 비교판정 유효영역이라고 판단한 경우에, 상기 전원전압파형과 기록파형 역치와의 비교를 기초로 전압저하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기록파형 비교수단과,
상기 전원전압파형 비교수단이 소정시간 연속하여 전압저하 검출신호를 출력 하는 것을 판정하는 연속성 판정수단과,
전원전압파형 비교수단의 출력과 기록파형 비교수단의 출력의 논리곱(AND)수단과,
상기 논리곱 수단의 출력과 연속성 판정수단의 출력과의 논리합(OR)에 의해 전압저하 검출출력을 출력하는 전압저하 검출출력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압저하 검출에 적분을 사용하지 않는 순시비교에 의한 검출방식을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전압저하를 고속으로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전압저하 검출에 장시간(1/4사이클이상)의 적분을 사용하지 않는 검출방식을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전압저하를 고속으로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검출 위상을 바꾸는 것으로 항상 레벨이 높은 신호에서 판정처리가 가능하여 안정된 검출을 할 수 있다. 또한 레벨이 낮은 신호영역(제로 전압부근)에서 단시간의 적산처리를 행하는 것으로 안정된 검출이 가능하다. 또한 고조파가 중첩한 상태라도 고조파의 레벨에 맞춘 역치의 완화, 기록해 둔 파형과 비교 판단하는 것으로 안정된 검출이 가능하다.
(실시예1)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관한 순시전압저하 검출장치를 도시하는 블럭도, 도2는 도1의 순시전압저하 검출장치에 있어서의 정상시의 각 신호파형을 도시하는 도면, 도3은 도1의 순시전압저하 검출장치에 있어서의 전압저하 발생시의 각 신호파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실시예1을 도1∼도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1에 도시하는 순시전압저하 검출장치는, 전원전압(1)의 신호파형인 전원전압파형(11)(도2참조)의 위상을 소정 각도 (예를 들면 20°∼ 160°, 바람직하게는90°) 이상(移相)시키는 이상수단(2) 및 전원전압파형(11)의 제로 전압(제로 크로스 점)을 검출하는 위상동기수단(3)을 가진다. 이 위상동기수단(3)의 출력에 동기하여 전원전압 파형 역치 발생 수단(4)은 전원전압파형(11)에 대한 전압저하 판정기준인 전원전압파형 역치(12)(도2참조)를 발생한다. 한편 이상전압파형 역치 발생수단(5)은 위상동기수단(3)에 의해 검출된 전원전압파형(11)의 제로 전압위상으로부터 약90°이상한 이상전압파형(13)(도2참조)에 대한 전압저하 판정기준인 이상전압파형 역치(14)(도2참조)를 발생한다. 여기서 전원전압파형 역치 발생수단(4) 및 이상전압파형 역치 발생수단(5)은, 미리 메모리에 기억된 정현파(삼각함수)의 위상과 진폭의 값을 한 쌍으로 한 테이블 형식의 데이터에, 사용자 또는 제조업자에 의해 설정된 설정치를 곱하고, 역치(12), 역치(14)을 작성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면 실효치 200V의 전원전압에서 구동되는 제조 장치에 있어서, 입력 전압으로서 160V이하가 되었을 때, 순시전압저하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설정치는 0 .8(=160/200)이 된다. 즉, 위상 0π일 때 진폭 0(=200×√2×SIN(0π)×0.8), 위상 π/6일 때 진폭80√2(=200×√2×SIN(π/6) ×0 .8), 위상 π/4일 때 160(=200×√2×SIN(π/4)×0.8), 위상 π/2일 때 160√2(=200×√2×SIN(π/2)×0.8), ·‥ 가 되도록 역치(12), 역치(14)를 작성하여 출력한다.
위상동기수단(3)에 동기하여 전원전압파형 역치(12) 및 이상전압파형 역치(14)가 소정치, 예를 들면 각 역치의 진폭이 피크치의 약70%라인(100)(SIN(nπ/4) =0 .707…, n=1, 3, 5, 7…)보다 큰 곳을 비교판정 유효영역으로 하는 판정영역설정수단(6)이 설정된다. 또한, 전원전압파형 비교수단(7)과 이상전압파형 비교수단(8)이 설정된다. 전원전압파형 비교수단(7)은 판정영역 설정수단(6)이 전원전압파형의 비교판정영역(70)(예를 들면 도2에 있어서, π/4∼3π/4, 5π/4∼7π/4)이라고 판단한 경우에 전원전압파형(11)과 전원전압파형 역치(12)와의 대소비교를 행하여 전압저하 검출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이상전압파형 비교수단(8)은 판정영역 설정수단(6)이 이상전압파형의 비교판정영역(80) (예를 들면 도2에 있어서, 0∼ π/4, 3π/4∼5π/4, 7π/4∼2π)이라고 판단한 경우에 이상전압파형(13)과 이상전압파형 역치(14)와의 대소비교를 행하여 전압저하 검출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전원전압파형 비교수단(7)의 출력과 이상전압파형 비교수단(8)의 출력의 논리합을 출력하는 논리합 수단(9)과, 논리합 수단(9)의 출력을 받아 전원전압파형 비교수단(7) 혹은 이상전압파형 비교수단(8)에 의해 전압저하가 검출된 경우에 전압저하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전압저하 신호출력수단(10)이 설정된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실시예1에 관한 순시전압저하 검출장치의 동작을 도1∼도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전원전압에 이상이 없고 전압저하가 발생하지 않는 정상시에는 전원전압파형 비교수단(7)은 판정영역 설정수단(6)이 정하는 전원전압파형 역치(12)가 소정치 이상의 영역, 예를 들면 역치의 진폭이, 피크치의 70%이상의 영역(70)인 도2중의 위상 π/4∼3π/4 및 5π/4∼7π/4(이후 반복)에서, 위상동기회로(3)에 의해 동기가 취해진 전원전압(1)의 전원전압파형(11)과 전원전압파형 역치(12)와의 대소비교를 행하고 있다.
또한 이상전압파형 비교수단(8)은 판정영역 설정수단(6)이 정하는 이상전압파형 역치(14)가 소정치 이상의 영역(80), 예를 들면 역치의 진폭이 피크치의 70%이상의 영역인 도2중의 위상 0∼π/4, 3π/4∼5π/4 및 7π/4∼2π(이후 반복)에서 동기가 취해진 이상전압파형(13)과 이상전압파형 역치(14)와의 대소비교를 행하고 있다.
도3과 같이 위상 π/에서 전원전압(1)에 순시전압저하(110)가 발생한 경우, 전원전압파형(11)과 전원전압파형 역치(12)의 절대치의 대소를 비교하고 있는 전원전압파형 비교수단(7)은, 전원전압파형(11)이 전원전압파형 역치(12)보다도 작아지므로 순시전압저하 신호를 출력한다. 이와같이 순시전압저하가 발생했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위상 정(+)측이므로, 전원전압파형(11)이 전원전압 역치(12)를 밑돈 경우)는, 논리합 수단(9)으로부터 신호가 출력되어, 전압저하 검출신호 출력수단(10)으로부터 전압저하 검출신호가 출력된다.
이상과 같이 전원전압파형 비교수단(7)은 연속적으로 순시치로 순시전압저하를 판정하고 있으므로, 순시전압저하를 고속으로 예를 들면 일 파장의 10분의 1이하의 사이클로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전압저하를 검출하는 전압파형 레벨이 큰 영역만을 사용하여 전압저하를 판정 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정된 검출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이 순시전압저하 검출장치와 전압을 보상하는 기기를 조합하여 전압보상장치를 구성하면 매우 짧은 시간에 순시전압저하를 보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원전압파형을 약 90°이상한 이상전압파형도 순시전압저하의 검출에 이용하고 있으므로 전원전압파형, 이상전압파형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전압파형 레벨이 큰 영역을 검출에 사용할 수 있으며 시간적으로 연속된 판정영역을 얻을 수 있다.
또 실시예1에서는 이상전압파형이 하나인 예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상전압파형은 2개 이상이라도 좋다. 예를 들면 이상전압파형을 2개로 한 경우에는 60°씩 위상이 어긋나게 되지만 회로구성이 복잡해지게 되므로 이상전압파형은 하나가 바람직하다.
실시예2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2에 관한 순시전압저하 검출장치를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본 실시예2에서는 이상전압파형(13)의 제로 전압(제로 크로스 점)을 검출하는 제 2위상동기수단(15)을 구비하고 있다. 이상전압파형 역치 발생수단(5)은 제 2위상동기수단(15)에 동기하여 이상전압파형(13)에 대한 전압저하 판정기준인 이상전압파형 역치(14)를 발생한다. 그 밖의 구성은 도1과 동일하므로 동일요소에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예2에 의하면 이상수단(2)에 이상량의 불균일이 있어도, 이상수단(2)의 출력 전압파형의 제로 전압을 기준으로 하여 이상전압파형 역치 발생수단(5)에 의해 역치를 발생시키므로 이상수단(2)의 이상량의 불균일을 보정 할 수 있어 안정된 검출이 가능해 진다.
실시예3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3에 관한 순시전압저하 검출장치를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본 실시예3에서는 위상차 검출수단(16)을 구비하고, 이에 따라 이상전압파형(13)의 제로 전압위상을 검출하며, 위상동기수단(3)로부터 얻어지는 전원전압파형(11)의 제로 전압(제로 크로스 점) 위상과의 위상차를 구한다. 이상전압파형 역치 발생수단(5)은 위상차 검출수단(16)에 동기하여 이상전압파형(13)에 대한 전압저하 판정기준인 이상전압파형 역치(14)를 발생한다. 그 밖의 구성은 도1과 동일하므로 동일요소에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3에 의하면, 이상수단(2)의 이상량에 불균일이 있더라도 위상동기수단(3)과의 위상차를 위상차 검출수단(16)으로 검출하여, 그 출력으로 이상전압파형 역치 발생수단(5)이 생성하는 역치의 위상을 제어하고 있으므로, 이상수단(2)의 이상량에 불균일이 있어도 그것을 보정 할 수 있어 안정된 검출이 가능하게 된다.
실시예4
본 실시예는 도1, 도4, 도5의 구성에 있어서, 전원전압파형 비교수단(7) 및 이상전압파형 비교수단(8)은 도시하지 않은 카운터 기능을 가지며, 이 카운터 기능에 설정한 소정시간동안 계속하여 전압저하가 발생한다고 판정한 경우만 전압저하 검출신호를 발생하도록 한 것이다. 이는 노이즈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카운터 기능은 논리합 수단(9)에 갖게 해도 좋다.
실시예5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5에 관한 순시전압저하 검출장치에 있어서 채용되는 이상수단의 상세를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이상수단(2)은 저항기(17)(18)(19), 콘덴서(20), 증폭기(21)로 구성된 올패스필터이다. 이상동작은 저항기(18)(정수R)와 콘덴서(20)(정수C)의 값(시정수CR)에 의해 결정된다. 이상각을 20°∼160°사이로 하기 위해 회로정수치1/ (2πCR)을 8∼340으로 한다. 각 저항기, 콘덴서는, 예를 들면 전원전압주기가 55Hz인 전원전압파형(11)을 약90°이상시키는 값으로 설정한다.
일반적으로 파형을 90°이상시키는 방법으로서 미분회로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 미분회로를 사용했을 경우, 전원전압파형에 포함되는 높은 주파수성분의 게인을 크게 하므로 전압저하 검출에 적합하지 않은 흐트러짐이 큰 파형을 출력한다(예를 들면 도8의 고조파 중첩시 이상전압파형(13b)참조). 이 파형의 흐트러짐을 억제하기 위해 로패스필터 회로를 조합하는 경우가 있지만, 그 경우 로패스필터회로에 의해 전압저하시에 발생하는 파형의 가파르고 험준한 변화는 사라져 검출에 시간이 걸린다는 문제가 있다.
본 실시예5에 의하면 이상수단으로서, 저항, 콘덴서, 증폭기로 구성되는 올패스필터를 이용하고, 전원전압파형(11)과 약90°이상 후의 이상전압파형(13)의 게인을 거의 등배로 할 수 있어, 미분회로를 사용할 경우와 같은 높은 주파수성분을 제거하는 로패스필터회로를 조합해서 게인을 하강시킬 필요가 없어지므로 간단한 회로구성으로 이상파형을 생성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6
본 실시예는 도6의 올패스필터에 의한 이상수단(2)을 이용한 도5의 회로구성에 대한 예이다. 도7은 실시예5에 도시한 것과 같이 이상수단으로서의 올패스필터를 이용한 경우에 있어서 제3차 고조파(180°위상반전)가 전원전압에 5% 중첩했을 때의 고조파중첩시 이상전압파형(13a)를 나타내고 있다. 도8은 비교예로서, 이상수단으로서 미분회로를 이용한 경우에 있어서, 제3차 고조파(180°위상반전)가 전원전압에 5% 중첩했을 때의 고조파중첩시 이상전압파형(13b)을 나타내고 있으며, 편의상, 역치(12a), 역치(14a)는 도7과 동일한 것을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5의 위상차 검출수단(16)은, 기록기능과 고조파 레벨 판정 기능을 가지고 있다. 도7에 있어서, 전원전압에 고조파가 중첩하지 않는 정상시의 이상전압파형(13)의 제로 전압위상을 기록하고 있는 상기 기록기능에 의한 위상치와, 고조파가 중첩한 이상전압파형(13a)의 제로 전압위상과의 차이(위상 어긋남)를 검출하는 것으로 고조파의 레벨을 판정하는 상기 고조파 레벨 판정기능의 지령에 의해, 이상전압파형 역치 발생수단(5)은 정상시에 비해 예를 들면 2%완화된 역치(14a)를 발생한다. 예를 들면 고조파 제로시의 역치가 160√2이면, 고조파가 5%중첩했을 때의 역치(14a)는 157√2(=160×0.98√2)을 발생한다.
즉, 도6에 도시하는 올패스필터를 이용할 경우, 그 회로구성상, 고조파가 중첩하면 이상 후의 전압파형(13a)의 절대치는 정상시 이상전압파형(13)의 절대치와 거의 동일하지만, 이상 어긋남 90이 생기는 것을 이용하여 고조파의 레벨을 검출하는 것이다. 한편 도8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미분회로를 이용할 경우, 그 회로구성상, 고조파가 중첩하면, 이상 어긋남은 거의 발생하지 않지만, 위상 후의 전압파형(13b)의 절대치는 정상 시 이상전압파형(13)의 절대치에 비교하여 그 파형의 무너짐이 커지므로, 순시전압저하 검출의 정밀도가 도7에 비하여 상당히 나빠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6에 의하면, 전원전압에 고조파가 중첩한 경우라도 고조파의 레벨을 검출하여 역치를 완화하는 것으로 안정된 전압저하 검출이 행해진다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7
본 실시예는 상기 도1, 도4, 도5의 회로구성에 있어서의 순시전압저하 검출장치를 대상으로 한 것이다. 본 실시예7에서는 전원전압파형 역치 발생수단(4) 및 이상전압파형 역치 발생수단(5)은 파형기록기능을 갖고 있다. 이 파형기록기능은 도4에 있어서, 전원전압파형(11) 내지 이상전압파형(13)을 위상동기수단(3) 내지 도2의 위상동기수단(15)에 동기하여 차례로 기록하고 있으며, 기록된 전원전압파형(11) 내지 이상전압파형(13)의 기록파형치보다 소정치, 예를 들면 20%만 가감산하여 상한역치 및 하한역치로 한다. 예를 들면 전회의 파형에 대해 이번의 파형이 ±20% 벗어난 값을 상한역치, 하한역치로 한다.
전원전압파형 비교수단(7) 및 이상전압파형 비교수단(8)은, 전원전압파형(11) 내지 이상전압파형(13)이 상기 상한역치 및 하한역치를 넘어서 변화되었을 경우에 순시전압저하가 발생했다고 판단한다.
이것에 의하면 고조파의 혼입 레벨이 높고, 역치판정이 곤란한 상태라도 안정된 전압저하검출을 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는 소정치로서 일률로 20%로 했지만, 위상에 의해 비율을 바꾸어도 좋다.
실시예8
본 실시예는 도5에 도시하는 회로구성의 순시전압저하 검출장치를 대상으로 하는 것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실시예5에 의한 이상수단(2)의 순시전압저하 발생시의 과도파형을 나타내는 것이다. 실시예5(도6참조)에 의한 이상수단(2)에서는 소정의 위상, 예를 들면 3π/4∼π에서 급격한 순시전압저하가 발생했을 경우, 이상전압파형 역치(14)와는 반대방향(전압상승 방향, 여기에서는 정방향)으로 이상전압파형(13)이 흔들리는 이상전압파형의 과도현상(120)이 발생한다.
이 소정의 위상에 있어서는 이상전압파형 역치 발생수단(5)은, 전압저하의 판정 역치에 가해져 전압상승의 판정 역치도 생성하고, 이상전압파형 비교수단(8)은 상기 양 역치에 의해 전압저하를 판정한다. 전압이 급격하게 변화된 경우는 전압상승 역치로, 천천히 변화된 경우에는 전압저하 역치로 판정한다.
이 실시예8에 의하면, 넓은 위상범위에 있어서 순시전압저하를 고속으로 검출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9
본 실시예는 도5에 도시하는 회로구성의 순시전압저하 검출장치를 대상으로 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9에 있어서는, 이상전압파형 역치 발생수단(5)이 파형기록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 파형기록기능은 이상전압파형(13)을 위상차 검출수단(16)에 동기하여 차례로 기록하고 있다. 이상전압파형 역치 발생수단(5)은, 전압저하의 판정 역치 및, 소정의 위상 예를 들면 3π/4∼π에 있어서는, 기록된 이상전압파형(13)의 기록파형치보다 소정치, 예를 들면 20%을 가감산하여 전압상승 판정 역치로 한다. 이상전압파형 비교수단(8)은, 상기 양 역치에 의해 전압저하를 판정한다. 전압이 급격하게 변화된 경우에는 전압상승 역치로, 천천히 변화된 경우에는 전압저하 역치로 판정한다. 상기에서는 소정치로서 일률로 20%로 했지만, 위상에 의해 비율을 바꾸어도 좋다.
본 발명의 실시예9에 의하면, 넓은 위상범위에 있어서 순시전압저하를 고속으로 검출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10
도10은 본 발명의 실시예10에 관한 순시전압저하 검출장치를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본 실시예10에서는 전원전압(1)의 신호파형인 전원전압파형(11)의 제로 전압(제로 크로스 점)을 검출하는 위상동기수단(3)을 갖는다. 이 위상동기수단(3)의 출력에 동기하여 전원전압파형 역치 발생수단(4)은 전원전압파형(11)에 대한 전압저하 판정기준인 전원전압파형 역치(12)를 발생한다.
전원전압파형 비교수단(7)은, 판정영역 설정수단(6)이 비교판정 유효영역이라고 판단한 영역 (예를 들면 π/10∼9π/10, 11π/10∼19π/10)에서, 전원전압파형(11)이 전원전압파형 역치를 밑돈(전압제로 방향으로 역치를 넘은)경우에 순시전압저하가 발생했다고 판단한다.
파형기록수단(22)은 전원전압파형(11)을 위상동기수단(3)에 동기하여 차례로 기록하고 있으며, 기록파형 역치 발생수단(23)은 기록된 전원전압파형(11)의 기록파형치보다 소정치, 예를 들면 20%만 가감산하여 상한역치 및 하한역치를 설정한다. 예를 들면 전회의 파형에 대하여 ±20%어긋난 값을 상한역치, 하한역치로 한다. 여기에서는 소정치로서 전 위상영역에서 동일한 값을 취하고 있지만, 위상에 의해 다른 값을 설정해도 좋다.
기록파형 비교수단(24)은 판정영역 설정수단(6)이 비교판정 유효영역이라고 판단한 영역에서, 전원전압파형(11)이 상기 상한역치 및 하한역치를 넘어 변화되었을 경우에 순시전압저하가 발생했다고 판단한다. 여기에서는 상한역치와 하한역치의 양쪽을 이용했지만 하한역치만을 이용해도 좋다.
연속성 판정수단(25)은 전원전압파형 비교수단(7)이 소정 기간(예를 들면 1/4사이클의 사이) 연속하여 순시전압저하 발생이라고 판단했을 경우에, 완만하게 전압이 저하하는 전압저하가 발생했다고 판정한다.
논리곱 수단(26)은 기록파형 비교수단(24)과 전원전압파형 비교수단(7)이 양쪽 모두 순시전압저하가 발생했다고 판단했을 경우에, 순시전압저하있음이라고 판정한다. 이에 따라 고조파의 혼입 레벨이 높고, 전압파형 비교에서는 순시전압저하있음이라고 오판단한 경우라도 기록파형 비교수단(24)이 정확하게 순시전압저하를 판단하므로 안정된 전압저하검출을 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완만하게 전압이 저하했을 때는, 1사이클전의 파형과 이번 파형의 차이가 작을 경우가 있어, 기록파형 비교수단(24)이 전압저하를 판정할 수 없는 경우가 있지만, 연속성 판정수단(25)은 전압저하를 검출할 수 있다.
논리합 수단(27)은 상기 논리곱 수단(26)과 상기 연속성 판정수단(25)의 어느것이 순시전압저하있음이라고 판단했을 때, 순시전압저하있음으로 판정한다.
이에 따라 고조파의 혼입 레벨이 크고, 완만한 전압저하가 발생해도 안정된 검출을 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11
도11은 본 발명의 실시예11에 관한 순시전압저하 검출장치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11에서는 전원전압(1)의 신호파형인 전원전압파형(11)의 제로 전압(제로 크로스 점)을 검출하는 위상동기수단(3)을 갖는다. 이 위상동기수단(3)의 출력에 동기하여 전원전압파형 역치 발생수단(4)은 전원전압파형(11)에 대한 전압저하 판정기준인 전원전압파형 역치(12)를 발생한다.
전원전압파형 비교수단(7)은, 판정영역 설정수단(6)이 비교판정 유효영역(15 )이라고 판단한 영역 (예를 들면 π/10∼9π/10, 11π/10∼9π/10)에서, 전원전압파형(11)이 전원전압파형 역치를 밑돈(전압 제로의 방향으로 역치를 넘은) 경우에 순시전압저하가 발생했다고 판단한다.
파형기록수단(22)은 전원전압파형(11)을 위상동기수단(3)에 동기하여 차례로 기록하고 있으며, 기록파형 역치 발생수단(23)은 기록된 전원전압파형(11)의 기록파형치보다 소정치, 예를 들면 20%만 가감산하여 상한역치 및 하한역치를 설정한다. 예를 들면 전회의 파형에 대하여 ±20% 어긋난 값을 상한역치, 하한역치로 한다. 여기서는 소정치로서, 전 위상영역에서 동일한 값을 취하고 있지만 위상에 의해 다른 값을 설정해도 좋다.
기록파형 비교수단(24)은 판정영역 설정수단(6)이 비교판정 유효영역이라고 판단한 영역에서, 전원전압파형(11)이 상기 상한역치 및 하한역치를 넘어서 변화되었을 경우에 순시전압저하가 발생했다고 판단한다. 여기에서는 상한역치와 하한역치의 양쪽을 이용했지만, 하한역치만을 이용해도 좋다.
연속성 판정수단(25)은 전원전압파형 비교수단(7)이 소정 기간(예를 들면 1/4사이클의 사이)연속하여 순시전압저하 발생이라고 판단했을 경우에, 완만하게 전압이 저하하는 전압저하가 발생했다고 판정한다.
파형 적산수단(28)은 위상동기수단(3)에 동기하여 예를 들면 제로 전압 부근인 위상 0∼π/10, 9π/10∼ π, 19π/10∼2π의 기간, 전원전압파형(11)의 소정 연산치(예를 들면 절대치)를 적산하여 출력한다.
적산 역치 발생수단(29)은 전압저하 판정기준인 적산 파형 역치로서, 순시전압저하로서 검출하는 전압치의 정현파 파형의 상기 기간 (여기에서는 0∼π/10, 9π/10∼π, 19π/10∼2π)에서의 적산치를 발생한다. 적산 파형 역치는, 제로 크로스 부근에서는 상대적으로 노이즈 성분이 크므로 노이즈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기록파형 역치에 비교하여 노이즈 검출 감도가 낮아지도록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이상파형의 적산치 혹은 전회 파형 적산치에 대해 50%의 값으로 한다.
적산치 비교수단(30)은, 판정영역 설정수단(6)이 파형 적산의 비교판정 유효영역이라고 판단한 영역(여기에서는 0∼ π /10, 9π/10∼π, 19π/10∼2π)에서, 파형 적산수단(28)의 출력이 적산 파형 역치를 밑돈(전압 제로 방향으로 역치를 넘은) 경우, 순시전압저하가 발생했다고 판단한다.
논리합 수단(31)은 전원전압파형 비교수단(7)과 적산치 비교수단(30)중 어느 것이 순시전압저하가 발생했다고 판단했을 경우에, 순시전압저하있음으로 판정한다.
논리곱 수단(26)은 기록파형 비교수단(24)과 논리합 수단(31)이 양쪽 모두 순시전압저하가 발생했다고 판단했을 경우에, 순시전압저하있음으로 판정한다.
제로 전압부근에서는 적산하는 것으로 노이즈의 영향을 저감할 수 있어 안정된 전압저하검출을 행할 수 있다. 또한 고조파의 혼입 레벨이 높고, 적산치 비교 및 전압파형 비교에서는, 순시전압저하있음으로 오판단한 경우라도 기록파형 비교수단(24)이 정확하게 순시전압저하를 판단하므로 안정된 전압저하 검출이 행해진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완만하게 전압이 저하했을 때는 1사이클전의 파형과 이번의 파형 차이가 작을 경우가 있어, 기록파형 비교수단(24)이 전압저하를 판정할 수 없는 경우가 있지만, 연속성 판정수단(25)은 전압저하를 검출할 수 있다.
논리합 수단(27)은, 논리곱 수단(26)과 연속성 판정수단(25) 중 어느 것이 순시전압저하있음이라고 판단했을 때, 순시전압저하있음으로 판정한다
이에 따라 고조파의 혼입 레벨이 크고 완만한 전압저하가 발생해도 안정된 검출을 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전압저하를 고속으로 검출할 수 있기 때문에 벼락등이 원인으로 발생하는 배전망의 순시전압저하검출에 유효하다.

Claims (12)

  1. 전원전압파형을 소정의 각도만큼 이상(移相)하여 이상전압파형을 생성하는 이상수단(2)과,
    전원전압파형의 제로 전압을 검출하는 위상동기수단(3)과,
    상기 위상동기수단(3)에 동기하여 상기 전원전압파형에 대한 전압저하 판정기준인 전원전압파형 역치를 발생하는 전원전압파형 역치 발생수단(4)과,
    상기 이상전압파형에 대한 전압저하 판정기준인 이상전압파형 역치를 발생하는 이상전압파형 역치 발생수단(5)과,
    상기 전원전압파형 역치 및 이상전압파형 역치의 절대치가 소정치보다 큰 곳의 일부 또는 전부를 비교판정 유효영역으로 하는 판정영역 설정수단(6)과,
    상기 판정영역 설정수단(6)이 전원전압파형의 비교판정 유효영역이라고 판단했을 경우에, 상기 전원전압파형과 전원전압파형 역치와의 비교를 기초로 전압저하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전원전압파형 비교수단(7)과,
    상기 판정영역 설정수단(6)이 이상전압파형의 비교판정 유효영역이라고 판단했을 경우에, 상기 이상전압파형과 이상전압파형 역치와의 비교를 기초로 전압저하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이상전압파형 비교수단(8)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시전압저하 검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전압파형은 전원전압파형의 제로 전압위상으로부터 90°이상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시전압저하 검출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전압파형의 제로 전압을 검출하는 제 2위상동기수단(15)을 구비하고, 상기 이상전압파형 역치 발생수단(5)은, 상기 제 2위상동기수단(15)에 동기하여 이상전압파형에 대한 전압저하 판정기준인 이상전압파형 역치를 발생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시전압저하 검출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전압파형의 제로 전압을 검출하고, 상기 위상동기수단(3)으로부터 얻어지는 전원전압파형의 제로 전압과의 위상차를 구하는 위상차 검출수단(16)을 구비하며, 상기 이상전압파형 역치 발생수단(5)은, 상기 위상차 검출수단(16)의 출력에 동기하여 이상전압파형에 대한 전압저하 판정기준인 이상전압파형 역치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시전압저하 검출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전압파형 비교수단(7) 및 이상전압파형 비교수단(8)은 카운터 기능을 갖고, 이 카운터 기능을 이용하여 전원전압저하(10)가 소정 시간 계속하여 발생하고 있다고 판정한 경우만 전압저하 검출신호를 발생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시전압저하 검출장치.
  6. 전원전압파형을 소정의 각도만큼 이상하여 이상전압파형을 생성하는 이상수단(2)과,
    전원전압파형의 제로 전압을 검출하는 위상동기수단(3)과,
    상기 위상동기수단(3)에 동기하여 상기 전원전압파형에 대한 전압저하 판정기준인 전원전압파형 역치를 발생하는 전원전압파형 역치 발생수단(4)과,
    상기 이상전압파형에 대한 전압저하 판정기준인 이상전압파형 역치를 발생하는 이상전압파형 역치 발생수단(5)과,
    상기 전원전압파형 역치 및 이상전압파형 역치의 절대치가 소정치보다 큰 곳의 일부 또는 전부를 비교판정 유효영역으로 하는 판정영역 설정수단(6)과,
    상기 판정영역 설정수단(6)이 전원전압파형의 비교판정 유효영역이라고 판단했을 경우에, 상기 전원전압파형과 전원전압파형 역치와의 비교를 기초로 전압저하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전원전압파형 비교수단(7)과,
    상기 판정영역 설정수단(6)이 이상전압파형의 비교판정 유효영역이라고 판단했을 경우에, 상기 이상전압파형과 이상전압파형 역치와의 비교를 기초로 전압저하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이상전압파형 비교수단(8)을 구비하고,
    상기 이상수단(2)은, 저항, 콘덴서, 증폭기에 의해 형성되는 올패스필터이며, 이상동작을 행하는 회로정수치 1/ (2πCR)를 8∼340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시전압저하 검출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전압파형의 제로 전압을 검출하고, 상기 위상동기수단(3)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전원전압파형의 제로 전압과의 위상차를 구하는 위상차 검출수단(16)을 구비하며, 상기 위상차 검출수단(16)은, 전원전압에 고조파가 중첩하지 않는 정상 시의 이상전압파형의 제로 전압위상을 미리 기록하고 있는 기록기능과, 고조파가 중첩한 이상전압파형의 제로 전압위상과 상기 기록기능에 의해 기록된 정상시의 이상전압파형의 제로 전압위상과의 차이인 이상어긋남의 양를 기초로 고조파의 레벨을 판정하는 고조파 레벨 판정 기능을 갖고, 상기 이상전압파형 역치 발생수단(5)은, 상기 고조파 레벨 판정기능의 지령에 의해 고조파의 레벨에 따른 역치를 발생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시전압저하 검출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전압파형 역치 발생수단(4) 및 이상전압파형 역치 발생수단(5)은 파형기록기능을 갖고, 상기 전원전압파형 내지 이상전압파형을 차례로 기록하여 이 기록파형을 기초로 소정의 연산에 의해 하한역치 또는 상한역치를 구하고, 상기 전원전압파형 비교수단(7)은 소정의 위상에 있어서, 상기 전원전압파형과 전원전압파형 역치와의 대소비교를 행하여 위상정(+)측에서는 하한역치보다 작을 때, 위상부(-)측에서는 하한역치보다 클 때 전압저하 검출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이상전압비교수단(8)은, 소정의 위상에 있어서 상기 이상전압파형과 이상전압파형 역치와의 대소비교를 행하여 위상정(+)측에서는 하한역치보다 작을 때 또는 상한역치보다 클 때에, 위상부(-)측에서는 하한역치보다 클 때 또는 상한역치보다 작을 때 전압저하 검출신호를 출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시전압저하 검출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전압파형 역치 발생수단(5)은, 소정의 위상에 있어서는, 이상전압파형에 대한 전압상승 판정기준치도 역치로 하고, 상기 이상전원전압파형 비교수단(5)은, 상기 판정영역 설정수단(6)이 이상전원전압의 비교판정 유효영역이라고 판단했을 경우에, 상기 이상전압파형과 이상전압파형의 전압저하 판정기준 역치와 대소비교를 행하여 위상정(+)측에서는 작을 때, 위상부(-)측에서는 클 때 전압저하 검출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소정의 위상에 있어서는, 상기 이상전압파형과 이상전압파형의 전압상승 판정기준역치와 대소비교를 행하여, 위상정(+)측에서는 클 때, 위상부(-)측에서는 작을 때 전압저하 검출신호를 출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시전압저하 검출장치.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전압파형 역치 발생수단(5)은 파형기록기능을 갖고, 이상전압파형을 차례로 기록하여 상기 이상전압파형에 대한 전압저하 판정기준치와, 소정의 위상에 있어서는 이상전압파형의 순시치의 기록파형에 소정치를 가산한 값인 전압상승 판정기준치를 역치로 하며, 상기 이상전원전압파형 비교수단(5)은, 상기 판정영역 설정수단(6)이 비교판정 유효영역이라고 판단했을 경우에, 상기 이상전압파형과 이상전압파형의 전압저하 판정기준역치와 대소비교를 행하여 위상정(+)측에서는 작을 때, 위상부측에서는 클 때 전압저하 검출신호를 출력하고, 소정의 위상에 있어서는, 상기 이상전압파형과 이상전압파형의 전압상승 판정기준 역치와 대소비교를 행하여 위상정(+)측에서는 클 때, 위상부(-)측에서는 작을 때 전압저하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시전압저하 검출장치.
  11. 전원전압파형의 제로 전압을 검출하는 위상동기수단(3)과,
    상기 위상동기수단(3)에 동기하여 상기 전원전압파형에 대한 전압저하 판정기준인 전원전압파형 역치를 발생하는 전원전압파형 역치 발생수단(4)과,
    상기 위상동기수단(3)에 동기하여 전원전압파형을 차례로 기록하는 파형기록수단(22)과,
    상기 기록파형을 기초로 소정의 연산에 의해 하한역치 또는 상한역치를 발생하는 기록파형 역치 발생수단(23)과,
    상기 위상동기수단(3)에 동기하여 비교판정 유효영역을 설정하는 판정영역 설정수단(6)과,
    상기 판정영역 설정수단(6)이 전원전압파형의 비교판정 유효영역이라고 판정했을 경우에, 상기 전원전압파형과 전원전압파형 역치와의 비교를 기초로 전압저하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전원전압파형 비교수단(7)과,
    상기 판정영역 설정수단(6)이 기록파형의 비교판정 유효영역이라고 판단했을 경우에, 상기 전원전압파형과 기록파형 역치와의 비교를 기초로 전압저하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기록파형 비교수단(24)과,
    상기 전원전압파형 비교수단(7)이 소정시간 연속하여 전압저하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판정하는 연속성 판정수단(25)과,
    상기 전원전압파형 비교수단(7)의 출력과 상기 기록파형 비교수단(24)의 출력의 논리곱(AND)수단(26)과,
    상기 논리곱 수단(26)의 출력과 상기 연속성 판정수단(25)의 출력과의 논리합(OR)수단(27)에 의해 전압저하 검출출력을 출력하는 전압저하 검출출력수단(1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시전압저하 검출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동기수단(3)에 동기하여 전원전압파형의 소정 연산치를 소정기간 적산하는 파형적산수단(28)과, 상기 위상동기수단(3)에 동기하여 전원전압적산치에 대한 전압저하 판정기준인 전원전압적산 역치를 발생하는 적산 역치 발생수단(29)과, 상기 판정영역 설정수단(6)이 파형적산치의 비교판정 유효영역이라고 판단했을 경우에, 상기 전원전압파형 적산치와 적산 역치와의 비교를 기초로 전압저하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적산치 비교수단(30)과, 상기 전원전압파형 비교수단(7)의 출력과 상기 적산치 비교수단(30)의 출력과의 논리합(OR) 수단(31)과, 상기 논리합 수단(31)의 출력과 상기 기록파형 비교수단(24)의 출력과의 논리곱(AND) 수단(32)을 구비하고, 상기 논리곱 수단(26)의 입력은, 상기 기록파형 비교수단(24)의 출력과, 전원전압파형 비교수단(7)의 출력 또는 상기 적산치 비교수단(30)의 출력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시전압저하 검출장치.
KR1020057004224A 2003-06-05 2003-12-19 순시전압저하 검출장치 KR1007688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61120 2003-06-05
JPJP-P-2003-00161120 2003-06-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6767A true KR20050046767A (ko) 2005-05-18
KR100768878B1 KR100768878B1 (ko) 2007-10-22

Family

ID=33508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4224A KR100768878B1 (ko) 2003-06-05 2003-12-19 순시전압저하 검출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034515B2 (ko)
JP (1) JP4404851B2 (ko)
KR (1) KR100768878B1 (ko)
CN (1) CN100526889C (ko)
TW (1) TWI281543B (ko)
WO (1) WO200410930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7480A (ko) * 2017-10-27 2019-05-08 자동차부품연구원 충전 제어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65376B2 (ja) * 2006-02-14 2009-11-18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力変換装置
CN101093232B (zh) * 2006-06-19 2011-04-06 香港理工大学 电压突升和突降的快速检测器及方法
JP5359065B2 (ja) * 2008-06-30 2013-12-04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電気炊飯器
KR101077768B1 (ko) * 2010-04-30 2011-10-2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력계통의 이상 전류 감시 장치
JP5627545B2 (ja) * 2011-08-23 2014-11-19 アルパイン株式会社 車両搭載機器用電源監視システム
JP6003091B2 (ja) * 2012-02-29 2016-10-05 オムロン株式会社 電圧監視装置および電圧監視方法
CN103926455A (zh) * 2013-01-10 2014-07-1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识别直流输入电压瞬变速度的方法及装置
US10808616B2 (en) * 2013-02-28 2020-10-20 Raytheon Technologi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pre-diffuser airflow for cooling high pressure turbine components
CN103901306B (zh) * 2014-04-09 2016-05-04 南京航空航天大学 一种检测电网电压突变故障的方法
JP6855818B2 (ja) * 2016-02-03 2021-04-07 富士電機株式会社 電圧異常検出装置、プログラム、電圧異常検出方法
US10145868B2 (en) * 2016-03-14 2018-12-04 Ampere Computing Llc Self-referenced on-die voltage droop detector
CN106249034B (zh) * 2016-08-15 2018-10-02 北京航空航天大学 一种用于协同动态电压频率调整系统的片上电压降报警器
US10473729B2 (en) 2016-09-09 2019-11-12 Cisco Technology, Inc. Active AC power loss detection
CN108562784B (zh) * 2018-03-14 2024-03-29 杭州思泰微电子有限公司 一种应用于磁电流传感器的快速过流检测电路
CN109752670A (zh) * 2019-02-26 2019-05-14 美登思电气(上海)有限公司 用于电源切换装置的电源状态检测系统及其检测方法
KR102072602B1 (ko) * 2019-06-12 2020-03-02 주식회사 이온 상용전원 우선공급 방식 ups의 고속 절체를 위한 상용전원 순시 저전압 검출 방법
KR102620030B1 (ko) * 2019-06-17 2023-12-29 도시바 미쓰비시덴키 산교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전원 장치 및 교류 전원의 이상 검출 방법
CN112415294A (zh) 2019-08-22 2021-02-26 上海中兴软件有限责任公司 电压瞬间下降的检测电路及车载诊断系统
CN112986680A (zh) * 2021-02-10 2021-06-18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基于坐标变换的电压暂降快速检测方法和系统
CN113252966A (zh) * 2021-06-04 2021-08-13 广东福德电子有限公司 一种单相交流电源信号检测电路
CN113433481A (zh) * 2021-06-04 2021-09-24 广东福德电子有限公司 一种快速检测单相交流电源信号的电路
US11682904B2 (en) 2021-09-24 2023-06-20 Cisco Technology, Inc. Three-phase AC load unbalance detection and balancing method and circuit
CN114047376A (zh) * 2021-09-27 2022-02-15 宁波三星智能电气有限公司 一种双芯电能表的电压暂降事件检测方法
CN116449193B (zh) * 2023-06-13 2023-09-26 上海红檀智能科技有限公司 物联网智能断路器电压陷波快速检测与预警方法及装置
CN117434334B (zh) * 2023-12-21 2024-05-28 广州智光储能科技有限公司 一种电压暂降检测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48070A (en) * 1969-11-20 1972-03-07 Detroit Edison Co Structure for and method of voltage dip counting
JPH052036A (ja) * 1991-06-24 1993-01-08 Osaka Gas Co Ltd 交流異常電流の検出装置
JPH05215791A (ja) * 1992-02-06 1993-08-24 Rohm Co Ltd 電圧低下検出回路
JP3972226B2 (ja) 1998-08-07 2007-09-05 日新電機株式会社 電圧低下検出回路
HU227141B1 (en) * 1999-07-15 2010-08-30 Andras Fazakas Method and apparatus for sensing small and slow changing of voltage signals with proper sign
JP3705119B2 (ja) * 2000-11-17 2005-10-12 横河電機株式会社 電源異常波形検出装置
JP2002171690A (ja) 2000-11-29 2002-06-14 Nissin Electric Co Ltd 瞬時電圧低下対策装置
JP2003002036A (ja) * 2001-06-26 2003-01-08 Calsonic Kansei Corp 車両用空調装置の配管構造
JP2003315370A (ja) * 2002-04-24 2003-11-06 Yokogawa Electric Corp 波形記録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7480A (ko) * 2017-10-27 2019-05-08 자동차부품연구원 충전 제어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012379A1 (en) 2006-01-19
US7034515B2 (en) 2006-04-25
CN1692284A (zh) 2005-11-02
KR100768878B1 (ko) 2007-10-22
TWI281543B (en) 2007-05-21
TW200427992A (en) 2004-12-16
CN100526889C (zh) 2009-08-12
JP4404851B2 (ja) 2010-01-27
WO2004109303A1 (ja) 2004-12-16
JPWO2004109303A1 (ja) 200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8878B1 (ko) 순시전압저하 검출장치
US7911284B2 (en)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JP6586723B2 (ja) 電力変換装置の横流電流抑制方法
JP2003520966A (ja) 電気アーク監視システム
US801030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active and reactive powers
KR20150056685A (ko) 터치스크린의 신호 처리 회로 및 그의 제어 방법
JP4935166B2 (ja) 電力変換装置の位相同期制御装置
JP2011220953A (ja) ゼロクロス信号生成回路および位相測定器
Montero-Hernandez et al. A fast detection algorithm suitable for mitigation of numerous power quality disturbances
JP4191582B2 (ja) 交流電圧低下検出装置
JP6059380B1 (ja) 系統連系三相インバータ
JP3958255B2 (ja) 発電機における位相同期検出回路
KR100305688B1 (ko) 교류파형의 위상검출장치 및 그 방법
RU2668330C1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основной частотной составляющей напряжения питающей сети
JP2024040626A (ja) 回路装置及び角速度検出装置
JP7431335B2 (ja) 静電容量検出装置、及び、静電容量検出方法
JPH0636275B2 (ja) Afcオフセツト・エラ−を減少するための回路
JP2002111485A (ja) デジタル位相比較器
JP3068039B2 (ja) 同期判定装置
JPH10303708A (ja) 周波数逓倍回路
WO2019013733A1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основной частотной составляющей напряжения питающей сети
JPH07311228A (ja) 位相差検出回路
JP2020187043A (ja) パラメータ算出装置、パラメータ算出方法、および電気量測定装置
JPH08241137A (ja) 自励式無効電力補償装置の制御方式
JP2585402B2 (ja) 無効電力補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