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3011A - 2부분의 풀아웃 프로파일을 가지는 롤러 블라인드 - Google Patents

2부분의 풀아웃 프로파일을 가지는 롤러 블라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3011A
KR20050033011A KR1020040077737A KR20040077737A KR20050033011A KR 20050033011 A KR20050033011 A KR 20050033011A KR 1020040077737 A KR1020040077737 A KR 1020040077737A KR 20040077737 A KR20040077737 A KR 20040077737A KR 20050033011 A KR20050033011 A KR 200500330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
roller blind
groove
window roller
out pro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7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발테르헤르베르트
한센멜프
카라스츠가보르
Original Assignee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050033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3011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00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346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in combination with welding or cutting covered by groups B23K5/00 - B23K25/00, e.g. in combination with resistance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19Roller blinds powered, e.g. by electric, hydraulic or pneumatic actuators
    • B60J1/2027Roller blinds powered, e.g. by electric, hydraulic or pneumatic actuators with a buckle-proof guided flexible actuating element acting on the draw bar for pushing or push-pulling, e.g. a Bowden c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36Roller blind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elements
    • B60J1/2044Draw bars, including elements attached to it, e.g. sliding shoes, gripping elements or pull co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66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 B60J1/2086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openable windows, e.g. side wind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02External sun shield, e.g. awning or visor
    • B60J3/005External sun shield, e.g. awning or visor for side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는 그 박판형 차양의 하나의 에지상에 풀아웃 프로파일을 구비한다. 상기 풀아웃 프로파일은 박판형 차양에 대한 연결을 위한 언더컷 홈을 포함한다. 상기 풀아웃 프로파일의 제조 및 박판형 차양 상으로의 그 장착을 단순화하기 위해, 풀아웃 프로파일은 두 부분으로 구성되고, 그 각각은 장착 홈의 일부를 포함한다. 각각의 개별 풀아웃 프로파일 부분은 상기 홈의 영역내에 언더컷이 없다.

Description

2부분의 풀아웃 프로파일을 가지는 롤러 블라인드{ROLLER BLIND WITH A TWO-PART PULL-OUT PROFILE}
자동차의 후방 옆문의 측면 윈도우를 위한 롤러 블라인드(roller blind)는 EP 1 149 718 A2로부터 알려져 있다.
상기 롤러 블라인드는 문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권취축을 포함하고, 상기 권취축에 가요성 박판형 차양(a flexible sheet-like shade)의 일 단부가 고착된다. 윈도우를 지나쳐 이동하는 박판형 차양의 에지는 이 박판형 차양의 에지를 안정화하기 위해 풀아웃 프로파일(pull-out profile)에 연결된다. 상기 풀아웃 프로파일을 결합하는 2개의 탄성, 가요성 추진 요소(thrust element)가 전기 모터에 의해 상부 윈도우 에지의 방향으로 도어로부터 변위되며, 따라서 상기 윈도우의 전방의 박판형 차양을 상승시킨다. 상기 박판형 차양의 권취 방향으로 권취축을 탄성적으로 예비응력부여하는 스프링 구동부가 권취축상에 박판형 차양을 권취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 공보의 도면은 윈도우 위로 이동하는 롤러 블라인드의 에지가 윈도우의 상부 에지에 따라 현저히 윤곽형성되는 것을 나타낸다. 결과적으로, 상기 풀아웃 프로파일을 박판형 차양에 연결하는 것이 매우 복잡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박판형 차양과 풀아웃 프로파일 사이의 연결부가 단순화된, 자동차용 롤러 블라인드를 개발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이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을 가지는 윈도우 블라인드로 실현된다.
자동차를 위한 신규한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에서, 상기 박판형 차양의 하나의 에지가 풀아웃 프로파일에 연결된다. 상기 풀아웃 프로파일은 박판형 차양이 고정되는 홈을 보유한다. 상기 홈의 단면은 박판형 차양의 대응 에지상에 제공된 후화부(thickening)에 적응된다. 상기 홈은 주로 홈 슬롯과 인접된 홈 챔버로 구성되며, 상기 홈 챔버의 간극 폭은 홈 슬롯 보다 현저히 크고, 그래서 언더컷 홈(undercut groove)이 형성된다. 상기 홈 챔버의 단면은 예로서, 원 같은 후화부의 단면에 적응되는 것이 적합하다.
상기 풀아웃 프로파일은 적어도 홈의 근방에서 그 단면 관하여 두 부분으로 분할된다. 따라서, 풀아웃 프로파일의 각 부분은 하나의 슬릿 벽(slit wall)을 포함하고, 각 풀아웃 프로파일은 홈 챔버 벽의 부분을 지지한다. 이 방식으로, 각 풀아웃 프로파일 부분은 적어도 박판형 차양을 고정하기 위한 홈에 관하여 언더컷을 갖지 않는다.
이는 주로 두가지 장점을 제공한다. 첫 번째는 툴이 사출 성형 프로세스 동안 긴 언더컷 홈을 형성하기 위한 인발형 코어를 필요로하지 않기 때문에, 두 개의 풀아웃 프로파일 부분을 제조하기 위한 사출 성형 툴이 비교적 단순한 형태로 실현된다. 부가적으로, 홈의 곡률 반경이 풀아웃 프로파일의 길이에 걸쳐 변하는 경우에, 툴로부터 코어를 제거하는 것이 극도로 곤란하다.
상기 풀아웃 프로파일 부분이 고정 홈의 영역에 언더컷을 갖지 않기 때문에, 단순하고 강성적인 사출 성형 툴이 그 제조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두 번째 장점은, 풀아웃 프로파일에 대한 박판형 차양의 단순화된 부착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관하여, 두 개의 풀아웃 프로파일 부분 중 하나에 의해 형성된 홈의 부분내로 박판형 차양의 후화부를 배치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풀아웃 프로파일 부분 양자 모두가 함께 결합되고 나면, 후화부가 홈으로부터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는 언더컷 홈이 형성된다.
이 두 부분 설계는 풀아웃 프로파일내로 박판형 차양의 후화부를 종방향으로 추진하는 프로세스를 제거한다. 이러한 형태의 연결은 복잡하고 시간이 소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신규한 풀아웃 프로파일에서, 박판형 차양의 대응 에지가 복잡한 3차원 윤곽을 그릴 때, 즉, 박판형 차양의 에지가 차양의 평면내에서 풀아웃 차양에 수직인 방향으로 다양한 반경으로 굴곡되는 경우에, 풀아웃 프로파일과 박판형 차양 사이의 연결부를 형성하는 것도 쉽게 가능하다.
특히, 양 부분이 조립 상태에서 서로 인접하는 결합면을 보유하고, 홈으로부터 측정된 그 길이가 적어도 하나의 풀아웃 프로파일 부분의 두께 보다 큰 경우에, 상기 풀아웃 프로파일 부분 사이의 고형 연결부가 달성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풀아웃 프로파일은 횡단방향이 아닌 그 두께에 관하여 두 개의 풀아웃 부분으로 분할된다. 이는 두 개의 풀아웃 프로파일 부분 사이의 연결을 특히 안정하게 한다.
이에 관하여, 비분할(undivided) 풀아웃 프로파일 부분의 매끄러운 측부가 주도적으로 가시적인 풀아웃 프로파일 부분을 형성하고, 다른 풀아웃 프로파일 부분이 윈도우 차양이 저면으로부터 상향 이동할 때 그 하측에 배열되는 것이 실용적이다.
두 개의 풀아웃 프로파일 부분 사이의 분할은 하나의 풀아웃 프로파일 부분이 다른 풀아웃 프로파일 부분의 홈내에 삽입되고, 삽입 홈이 언더컷이 없는 방식으로 실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는 다른 풀아웃 프로파일 부분의 측방향 에지까지 박판형 차양을 위한 고정 홈으로부터 연장하는 풀아웃 프로파일 부분을 활용한다. 후자의 경우에, 툴은 안정화 목적을 위해 결합 프로세스 동안 필요하다. 툴은 일반적으로 다른 경우에는 불필요하다.
부분이 함께 결합된 이후, 이들은 일체로 연결되는 것이 적합하다. 이 일체형 연결은 접합, 초음파 용접 또는 레이저 용접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 챔버는 원형 단면을 갖는 것이 적합하다.
또한, 상기 제조 툴을 단순화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풀아웃 프로파일 부분의 각 슬롯 벽이 불연속부 또는 굴곡부를 갖지 않는 홈 챔버의 대응 벽 섹션내로의 평활한 전이부를 형성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박판형 차양은 주로 4개 측면 또는 3개 측면 형상으로 절단될 수 있다.
상기 박판형 차양은 또한 가요성 또는 보다 덜 강성적일 수 있다.
상기 풀아웃 프로파일의 형상이 박판형 차양이 풀아웃 프로파일에 연결되기 이전에, 그에 고정되는 박판형 차양의 에지의 형상에 이미 적응되는 경우에, 차양의 비틀림(twisting)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비드형 후화부는 봉합형(sewn-on) 덧댐부, 충전재를 갖는 봉합된 호스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비드형 후화부는 박판형 차양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배치될 필요가 없다. 상기 비드형 후화부가 단지 박판형 차양의 일 측부상에만 배치되는 것으로 충분하다.
윈도우 차양의 구동 유니트는 윈도우 차양이 가요성이며 비교적 작은 공간내에 수용될 수 있는 경우, 권취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윈도우 차양을 당겨내고 수축시키기 위해 전기 모터가 고려될 수 있다. 이 전기 모터는 각각 조절된 전기 모터에 의해 해제되고 나서 대향 방향으로 자동으로 박판형 차양을 이동시키기 위해 스프링과 협력하는 것이 적합하다. 한가지 특히 공간 절약적 변형은 권취축을 구동하기 위한 스프링 구동부를 사용한다.
가요성 박판형 차양을 사용할 때에, 부가적인 안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 실용적이다. 이들 안내 디바이스는 긴장된 상태로 박판형 차양을 유지하기 위해 굵고 또는 뒤틀림에 대해 충분한 내성을 갖는 종래의 안내 레일 또는 푸시 로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개선이 종속항의 목적을 형성한다.
도면의 설명은 또한 다수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명백하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면에 예시되어 있다.
도면의 하기의 설명에서, "전방", "후방", "상단" 또는 "저면" 같은 방향적 용어 및 예로서, "우측" 및 "좌측" 같은 유사한 의미를 갖는 용어는 자동차에 사용되는 관습적인 방향적 용어에 대응한다. 그러나, 상기 박판형 차양에 관하여, 용어, 전방 에지 및 후방 에지는 자동차내에서의 그 설치 위치에 무관하게 박판형 차양 자체를 의미한다.
도 1은 부분적으로 개방된 승용차의 후방 섹션을 도시한다. 특히, 이 도면은 도시되지 않은 좌측 내부 측부의 경면 대칭(mirror image) 이미지 형태로 실현되는 우측 내부 측부의 도면을 도시한다. 이 도면은 보강재 및 장착 수단 같은 차량 본체의 내부 구조체가 본 발명의 이해에 불필요하기 때문에 예시되어 있지 않은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시된 차량 본체 섹션(1)은 지붕(2)을 포함하고, 이 지붕으로부터 B-컬럼(3)이 도시되지 않은 플로어 그룹까지 측방향으로 하향 연장한다. 또한, 대응 B-컬럼이 자동차의 도시되지 않은 측부상에 배열된다. 그 후방 에지상에서, 상기 지붕(2)은 후방 윈도우 개구(4)내로 전이하고, 이 후방 윈도우 개구(4)내에 후방 윈도우(5)가 설치된다. 상기 후방 윈도우 개구(4)는 B-컬럼(3)으로부터 분리된 C-컬럼(6)에서 측방향으로 종결한다. 우측 후문(7)은 통상적으로 B-컬럼(3)과 C-컬럼(6) 사이에서 B-컬럼(3)에 힌지결합된다.
좌석(9) 및 등받이(11)로 구성되는 후방 벤치(8)는 우측 후문(7)의 높이로 배열된다. 상기 후방 좌석(9)은 후방 좌석(9)의 전방에 이 플로어 그룹내에 특정양의 다리 공간(leg room)(13)이 존재하는 플로어 그룹의 부분을 형성하는 베이스면(12)상에 배치된다.
내장 패널(14)이 차량 내부에 대면하는 옆문(7)의 내측에 제공된다. 문 손잡이(15)는 이 내장 패널상에 장착되고, 여기에서 상기 내장 패널은 또한 옆문(7)의 록크(lock)를 개방하기 위해 오목형 작동 손잡이(17)를 포함한다.
상기 내장 패널(14) 위에, 옆문(7)은 격벽편(19)에 의해 두 개의 섹션(21, 22)으로 분할되는 윈도우 개구(18)를 포함한다. 상기 섹션(22)은 거의 3개 측부를 가지며, 상기 섹션(21)은 가장 광의적인 의미에서, 4개 측부를 가진다. 이 섹션은 문 내로 일반적으로 하강할 수 있는 측부 창유리(23)를 포함한다. 상기 두 개의 섹션(21, 22)은 창유리 안내부로서 기능하는 격벽(19)에 의해 서로 분리된다.
외부 측부상에서, 양 섹션(21, 22)은 공통적이며 연속적인 윈도우 소피트(24; soffit)에 의해 포위된다. 그 하부 단부상에서, 상기 윈도우 소피트(24)는 윈도우 소피트(24)의 잔여부 보다 다소 넓은 실질적인 직선형 섹션(25)을 형성한다. 상기 윈도우 소피트 섹션(25)은 윈도우 소피트 섹션(25)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하며, 슬롯 에지(27)에 의해 차량 내부를 향해 한정된다. 외부 한계는 창유리(23) 및 윈도우 섹션(22)내의 유리에 의해 형성된다.
옆문(7)은 도 2에 세부적으로 예시된 측부 윈도우를 위한 롤러 블라인드(29)를 구비하며, 여기에서 상기 박판형 차양(31)은 도 1에 부분적으로 당겨 내어진 위치로, 그리고, 도 2에는 완전히 당겨내어진 위치로 예시되어 있다. 상기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는 측방향 태양 광선으로부터 승객실의 후방 영역을 보호하도록 기능한다. 상기 박판형 차양(31)은 윈도우 프레임 섹션(21, 22)아래에 또는 그에 인접하게 제공된 슬롯(26)을 통해 이동한다.
상기 옆문(7)이 도 2에 별도로 예시되어 있다. 도 2는 연속적인 도어 라벳(32; rabbet), 박판 금속으로 구성된 문 외피(33)의 섹션 및 문(7) 내피상에 배치된 섹션화된 내부 패널(14)을 도시한다.
측부 윈도우를 위한 롤러 블라인드는 윈도우 소피트 섹션(25) 아래의 도어(7)의 내부 패널(14) 뒤에 지지된다. 이를 위해, 상기 문(7)은 두 개의 분리된 베어링 블록(35, 36)을 구비하며, 이는 관형 권취축(34)으로부터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베어링 저널(37, 38)을 수용한다.
상기 박판형 차양(31)은 소정 크기로 절단된 가요성 플라스틱 막으로 이루어지며, 태양광으로부터 차량 내부의 영역의 후방을 충분히 차폐한다. 외부 윤곽은 윈도우 개구(18)즉, 윈도우 개구(21 및 22) 양자 모두의 외부 윤곽에 대응한다.
상기 박판형 차양(31)은 구동 방향으로 배치된 직선형 측방향 에지(41), 상술된 에지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직선형 후방 에지(42), 굴곡된 상부 에지(43) 및 권취축(34)에 고착된 도시되지 않은 에지에 의해 한정된다. 이는 실질적으로 사다리꼴 박판형 차양을 초래한다.
구동 유니트(45)는 박판형 차양(31)을 당겨내거나 수축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상기 구동 유니트는 권취축(34)내에 배치된 개략적으로 예시된 스프링 구동부(46)를 포함한다. 스프링 구동부(46)의 일 단부는 권취축(34)에 고착된다. 다른 단부는 베어링 저널(38)에 회전 유격 없이 연결된다. 상기 베어링 저널(38)은 베어링 블록(35)내에 회전 유격 없이 연결된다. 스프링 구동부(46)는 권취축(46)상에 박판형 차양(31)의 권취 방향으로 예비응력을 생성한다. 이를 위해, 상기 박판형 차양(31)은 예로서, 웰트(welt)에 의해 권취축(46)상에 종래의 방식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구동 유니트(45)는 후술된 바와 같이 상부 에지(43)에 동력을 전달하도록 결합된 기어형 모터(46)를 포함한다.
두 개의 안내 블록(48, 39)이 소정 거리만큼 그들이 이격되도록 권취 샤프트(34) 아래에서 문(7)상에 장착된다. 상향 굴곡에 대해 비교적 내성적인 원통형, 뒤틀림 방지 작동 요소(48, 49)는 각 안내 블록(48, 49)으로부터 돌출한다. 상기 작동 요소(51, 52)의 상부 자유 단부는 상부 에지(43)에 고착된다. 상기 슬롯(26)을 통해 상향 연장하는 작동 요소(51, 52)의 섹션은 서로 평행하다.
관형 덮개(53, 54)는 안내 블록(48, 49)으로부터 기어형 모터(47)까지 도달한다. 상기 덮개는 뒤틀림 없이 내부에서 활주하는 작동 요소(51, 52)를 안내하도록 기능한다.
각각의 작동 요소(51, 52)는 뒤틀림 방지의 세장형 요소, 예로서, 가요성 금속 또는 플라스틱 와이어, Bowden 케이블의 코어 또는 응력부여시 뒤틀리지 않도록 안내되는 가닥형 와이어(stranded wire)로 구성된다. 각 작동 요소(51, 52)는 적어도 모터 측부상의 단부상에서 그 외주면상에 치형부를 형성하는 와이어 권선을 지지한다. 이 와이어 권선은 작동 요소(51, 52)에 강성적으로 연결된다. 이 유형의 작동 요소는 상표명"SU-flex shaft"하에 시중에서 입수할 수 있으며, 무엇 보다도 윈도우 개방기에 사용된다.
상기 구동 모터(47)는 영구 여기식 DC 모터로 구성된다. 감속 기어(55)가 이 DC 모터 하류에 배열된다. 원통형 기어(56)는 기어(55)의 출력 샤프트상에 회전 유격 없이 배치되며, 여기서 상기 원통형 기어의 피치는 작동 요소(51, 52)상의 웜 또는 스크류의 피치에 대응한다. 상기 작동 요소(51, 52)는 그 외부 치형부가 기어(56)와 맞물리도록 반대 측부상의 기어(56)를 초과하여 접선방향으로 연장한다.
따라서, 상기 구동 모터(47)는 박판형 차양(31)의 상부 에지(43)에 동력을 전달하도록 결합된다.
도 3에 도시된 개략 단면도에 따르면, 상기 박판형 차양(31)의 상부 에지는 측방향 에지(41)와 측방향 에지(42) 사이에서 거의 상부 에지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하는 풀아웃 프로파일(57)을 구비한다.
두 개의 작동 요소(51, 52)의 영역에서, 풀아웃 프로파일(57)은 수용부(57)를 구비하고, 그 내부로 작동 요소(51, 52)의 자유 단부가 삽입된다.
측부 윈도우를 위한 이런 롤러 블라인드(29)의 기능이 후술되며, 여기서, 이 설명은 도 2에 따른 당겨내어진 위치에 기초한다.
두 개의 작동 요소(51, 52)는 구동 모터(47)의 도움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풀아웃 프로파일(57)은 윈도우 소피트(24)의 상부 섹션 근방으로 상부 에지(43)를 이동시킨다. 단지 작은 간격만이 롤러 블라인드(29) 측부 윈도우의 상부 에지와 윈도우 소피트(24)의 상부 섹션 사이에 남겨진다. 상기 윈도우 개구(18)는 박판형 차양(31)에 의해 거의 완전히 덮혀진다.
상기 박판형 차양(31)은 권취축(34)상으로 박판형 차양(31)을 권취하는 스프링 구동부(46)의 도움으로 긴장된다. 그러나, 스프링 구동부는 작동 요소(51, 52)에 의해 그렇게 되는 것이 방지되며, 그 하부 단부는 그들이 스프링 구동부(46)의 영향하에 후향 가압될 수 없도록 구동 모터(57)에 의해 차단되어 있다.
측부 윈도우를 위한 롤러 블라인드(29)를 수축시키기 위해, 각 승객은 도면에 관하여 아래로 작동 요소(51, 52)를 당기도록 대응 회전 방향으로 구동 모터(47)를 작동시키며, 기어(55)를 초과하여 돌출하는 작동 요소의 단부는 보호 또는 저장 관(65, 66)내로 추진된다.
상기 박판형 차양(31)의 상부 에지(43)는 슬롯(26)을 통한 작동 요소(51, 52)의 하향 이동과 동시에 하향 이동된다.
측부 윈도우를 위한 롤러 블라인드(29)는 역순으로 당겨내어진다.
도 4는 확대 단면도 형태의 풀아웃 프로파일(57)을 도시한다. 상기 풀아웃 프로파일(57)이 상부 풀아웃 프로파일 부분(59) 및 하부 풀아웃 프로파일 부분(60)으로 구성되는 샌드위치형 구조를 갖는 것을 볼 수 있다. 단면도 형태로 도시되는 경우에, 상기 풀아웃 프로파일(57)은 거의 직사각형이며, 윈도우에 대면한 좁은 전방 측부(61), 보다 넓은 상부 측부(62), 차량 내부에 대면한 좁은 측부(64) 및 보다 넓은 하측부(65)에 의해 규정된다.
상기 단면은 두 개의 풀아웃 프로파일 부분(59, 60)이 그 내부에 박판형 차양(31)의 상부 에지가 고정되는 언더컷 홈(66)을 제한하는 것을 도시한다. 박판형 차양(31)은 예로서, 봉합형 웰트 등의 형태로, 이를 위한 원형 단면의 후화부(67)를 구비한다.
상기 언더컷 홈(66)은 홈 챔버(68) 및 홈 슬롯(69)으로 구성된다. 상기 홈 슬롯(69)은 서로 대향 배치된 두 개의 슬롯 벽(70, 71)에 의해 한정된다. 그 내부 단부에서, 두 개의 슬롯벽(70, 71)은 홈 챔버(68)를 한정하는 벽(72)으로 전이한다.
상기 홈 챔버(68)는 실질적인 원형 단면을 가지며, 후화부(67)의 형상에 적응된다. 두 개의 슬롯 벽(70, 71)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하고, 여기에서 상기 슬롯벽(7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홈 챔버(68)의 원형 단면으로 접선방향으로 전이한다. 따라서, 상기 전이부는 불연속부 또는 굴곡부가 없다.
상부 풀아웃 프로파일 부분(59) 및 하부 풀아웃 프로파일 부분(60)은 두 개의 실질적인 직선형 결합면(73)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결합면(73)은 홈 챔버(68)로부터 풀아웃 프로파일(57)의 내부 좁은 측부(64)로 연장한다. 상기 결합면은 또한 풀아웃 프로파일(57)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한다. 다른 양태에서, 상기 결합면(73)은 벽(72)의 일 부분이 하부 풀아웃 프로파일 부분(60)내에 배치되고, 벽의 다른 부분이 상부 풀아웃 프로파일 부분(59)내에 배치되도록 홈 챔버(68)의 직경의 연장부로 연장한다. 상기 결합면은 거의 상부 측부(62)와 하부 측부(65)의 사이에서 중심에 배치된다. 결과적으로, 각 풀아웃 프로파일 부분(59, 60)은 풀아웃 프로파일 부분(57)의 두께의 절반이며, 대형 결합면이 형성된다.
상기 슬롯 벽(70)은 상부 풀아웃 프로파일 부분(59)의 일부를 형성하며, 슬롯 벽(71)은 하부 풀아웃 프로파일 부분(60)의 일부를 형성한다. 상기 풀아웃 프로파일 부분의 이 분할로 인해서, 상부 풀아웃 프로파일 부분(59)은 측부로부터 볼 때, 거의 L의 형상을 가지며, 벽(68)의 일부 및 슬롯 벽(70)은 내부 코너에 배치된다. 하부 풀아웃 프로파일 부분(60)은 대조적으로 거의 직사각형이며, 일 외측 코너가 오목하고, 결합 상태에서 홈 챔버(68)를 한정한다.
비록 상기 홈(66)이 언더컷 홈이지만, 도 4로부터 각 개별 풀아웃 프로파일 부분(59, 60)은 적어도 홈(66)의 영역에서 언더컷이 없다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이는 상부 풀아웃 프로파일 부분(59) 및 하부 풀아웃 프로파일 부분(60)을 슬롯 벽(70, 71)과 홈(66)의 벽(72)을 형성하기 위한 인발형 코어를 필요로하지 않는 몰드 캐비티내에서 사출 성형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복잡한 곡선형 윤곽, 즉, 그 곡률 반경이 상부 에지(43)를 따라 변하는 3차원 곡선을 따르는 윤곽을 갖는 풀아웃 프로파일을 제조할 수 있게 한다.
상술된 수용부(58)는 하부 풀아웃 프로파일 부분(60)내에 실현될 수 있다.
상기 풀아웃 프로파일(57)은 정확한 위치적 배열로 상부 풀아웃 프로파일 부분(59)의 내부 코너내로 후화부를 최초에 배치함으로써 박판형 차양(31)의 상부 에지(43)에 연결된다. 이는 에지(43)가 웰트형 후화부(67)에 의해 안정화되어 있기 때문에 비교적 간단한 절차이다. 이 상부 에지(43)의 배치 이후, 하부 풀아웃 프로파일 부분(60)의 결합면(73)은 상부 풀아웃 프로파일 부분(59)의 결합면(73)과 접촉한다. 두 개의 풀아웃 프로파일 부분(59, 60)은 그후 결합면(73)의 영역내에서 적어도 소정 지점에서 적절한 방식으로 재료 결합된다.
레이저 용접, 초음파 용접 또는 심지어 접착제가 이 연결을 형성하기 위해 고려될 수 있다. 필요하다면, 수용부(58)와 유사한 오목부가 하부측부(65)로부터 레이저 용접에 의해 이 연결을 형성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풀아웃 프로파일 부재(59, 60) 양자 모두를 스냅 연결 또는 클립 연결에 의해 서로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인발형 코어가 클립을 위한 매우 작은 언더컷을 생성하기 위해 쉽게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몰드 캐비티를 크게 복잡하게 하지 않는다.
도 4에 따른 실시예에서, 두 개의 풀아웃 프로파일 부분(59, 60)은 실질적으로 서로의 상단상에 샌드위치 결합된다. 상호연결된 풀아웃 프로파일 부분이 서로에 대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협력하는 핀 및 언더컷을 갖지 않은 개구가 양자 모두의 결합면(73)의 영역에 제공될 수 있다.
도 5는 하부 풀아웃 프로파일 부분(60)이 챔버(66)로부터 후방 측부 또는 내부 측부(64)까지 상부 풀아웃 프로파일 부분(57)의 폭에 걸쳐 연장하지 않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경우에, 상부 풀아웃 프로파일 부분(59)은 홈(66)에 인접한 풀아웃 프로파일 부분(57)의 종방향으로 연장하며, 여기에서 상기 홈 형 오목부는 그에 실질적인 수직으로 연장하는 표면(76) 및 표면(75)에 의해 한정된다. 상기 하부 풀아웃 프로파일 부분(6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이 홈형 오목부(74)내에 배치되고, 결합면(73)은 홈형 오목부(74)의 결합면(75)상에 배치되고, 하부 풀아웃 프로파일 부분(60)의 원래의 좁은 측부(64)는 표면(76)에 인접한다.
다른 관점에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두 실시예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신규한 풀아웃 프로파일이 풀아웃 프로파일에 연결된 상부 에지가 현저히 굴곡되는 옆문을 위한 롤러 블라인드와 연계하여 상술되었다. 말할 필요 없이, 2 부분 풀아웃 프로파일은 또한 박판형 차양의 직선형 상부 또는 전방 에지를 갖는 롤러 블라인드 배열과 연계하여서도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비록, 박판형 차양상의 풀아웃 프로파일의 장착이 이 경우에 비교적 복잡하지 않지만, 2 부분 디자인은 제조 프로세스에 관하여 현저한 장점을 제공한다.
윈도우를 위한 롤러 블라인드는 박판형 차양의 일 에지상에 풀아웃 프로파일을 구비한다. 풀아웃 프로파일은 박판형 차양상의 풀아웃 프로파일의 장착을 위한 언더컷 홈을 포함한다. 풀아웃 프로파일의 제조 및 박판형 차양상으로의 그 장착을 단순화하기 위해, 풀아웃 프로파일은 두 부분으로 구성되며, 그 각각은 장착 홈의 일부를 포함한다. 각 풀아웃 프로파일 부분은 홈의 영역에서 언더컷이 없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풀아웃 프로파일에 따라서, 박판형 차양에 대한 연결이 복잡하지 않게 됨으로써, 박판형 차양과 풀아웃 프로파일 사이의 연결부가 단순화된, 자동차용 롤러 블라인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우측 후문의 내측의 방향으로 본 리무진의 전방 영역의 단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우측 후문의 부분 단면의 개략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따른 측면 윈도우를 위한 박판형 차양의 전방 에지의 정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의 풀아웃 프로파일의 매우 확대된 단면도.
도 5는 풀아웃 프로파일의 다른 실시예의 도 4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2: 에지 29: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
31: 박판형 차양 45: 구동 유니트
57: 풀아웃 프로파일 67: 후화부
68: 홈 챔버 70,71: 슬롯벽

Claims (20)

  1. 두 개의 비인접 에지(non-adjacent edge)로서, 그 중 하나가 이 에지의 길이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실질적으로 연속 연장하는 비드형 후화부(67; thickening)를 구비하는 두 개의 비인접 에지를 구비한 박판형 차양(31)과, 상기 박판형 차양(31)에 연결되면서 상기 박판형 차양을 이동시키도록 설계된 구동 유니트(45), 및 하나의 에지(22)상에 배열되면서 홈(66)을 포함하는 풀아웃 프로파일(57)을 가지는 자동차를 위한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29)에 있어서,
    상기 홈(66)은 그 단면에 관해 상기 후화부(67)에 적응되고,
    그 내부에 상기 박판형 차양의 상기 후화부(67)가 고정되며,
    상기 풀아웃 프로파일(57)의 길이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연속적으로 연장하고,
    두 개의 슬롯 벽(70, 71)에 의해 한정되는 홈 슬롯(69) 및 벽(72)에 의해 한정되는 홈 챔버(68)로 구성되고, 상기 홈 챔버의 폭은 상기 홈 슬롯의 것 보다 크며,
    상기 풀아웃 프로파일(57)은 그 단면에 대하여, 적어도 상기 홈(66)의 영역에서 두 개의 풀아웃 프로파일 부분(59, 60)으로 구성되고, 각 풀아웃 프로파일 부분은 각 풀아웃 프로파일 부분(57)이 적어도 상기 홈(66)의 영역에서 실질적으로 언더컷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나의 슬롯 벽(70, 71) 및 상기 홈 챔버(68)의 벽(72)의 하나의 섹션을 포함하는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풀아웃 프로파일 부분(59, 60)은 연결된 상태에서 서로 인접하는 결합면(73, 75)을 가지고, 상기 홈(66)으로부터 측정된 그 폭은 적어도 하나의 풀아웃 프로파일 부분(59, 60)의 두께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풀아웃 프로파일 부분(59, 60)의 폭은 상기 홈(66)으로부터 상기 나머지 풀아웃 프로파일 부분(59)의 대응 측방향 에지(64)까지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풀아웃 프로파일 부분(59, 60)은 나머지 풀아웃 프로파일 부분(60)의 수용 홈(74)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풀아웃 프로파일 부분(59, 60)은 적어도 특정 지점(spot)에서 나머지 중 하나에 재료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홈(74)은 언더컷이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 챔버(68)는 적어도 실질적인 원형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풀아웃 프로파일 부분(59)의 슬롯 벽(70)은 상기 홈 챔버(68)의 상기 벽(72)의 인접 섹션내로 매끄럽게 전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풀아웃 프로파일 부분(59, 60)은 레이저 또는 초음파 용접 또는 접합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판형 차양(31)은 실질적으로 4 측면 또는 3 측면 형상으로 절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판형 차양(31)은 가요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화부(67)를 가지는 에지(22)는 직선형이 아닌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풀아웃 프로파일(57)의 윤곽은 상기 박판형 차양(31)상으로의 상기 풀아웃 프로파일(57)의 장착 이전에 내부에 고정되는 박판형 차양(31)의 에지(22)의 윤곽에 이미 적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지(22)는 상기 당겨내어진 박판형 차양(31)의 평면내에서 볼록하게 연장하며, 곡률 반경은 에지(22)를 따라 적합하게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형 후화부(67)는 웰트(welt)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형 후화부(67)는 단지 상기 박판형 차양(31)의 하나의 측면상에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니트(45)는 권취축(3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니트(45)는 전기 모터(4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니트(45)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또는 스프링 구동부(4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
  20. 제 1 항에 있어서, 수축 위치와 당겨내어진 위치 사이에서의 그 이동 동안 상기 풀아웃 프로파일(57)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 배열(51, 52)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
KR1020040077737A 2003-10-02 2004-09-30 2부분의 풀아웃 프로파일을 가지는 롤러 블라인드 KR2005003301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346190.6 2003-10-02
DE2003146190 DE10346190B3 (de) 2003-10-02 2003-10-02 Rollo mit zweiteiligem Auszugsprofi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3011A true KR20050033011A (ko) 2005-04-08

Family

ID=34306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7737A KR20050033011A (ko) 2003-10-02 2004-09-30 2부분의 풀아웃 프로파일을 가지는 롤러 블라인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520740B1 (ko)
JP (1) JP4694170B2 (ko)
KR (1) KR20050033011A (ko)
CN (1) CN100404295C (ko)
DE (2) DE10346190B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24250A1 (de) * 2007-05-16 2008-11-20 Bos Gmbh & Co. Kg Auszugsprofil für Fensterblende
DE102010020526A1 (de) * 2010-05-14 2011-11-17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Rolloführung für eine Seitenscheibe einer Fahrzeugtür eines Kraftfahrzeugs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29014A (en) * 1988-12-27 1990-05-29 Prince Full windshield sunshade
DE3905503C1 (en) * 1989-02-23 1990-07-05 Daimler-Benz Aktiengesellschaft, 7000 Stuttgart, De Sun-shielding device for double-glazed window panes of vehicles
JPH0661293B2 (ja) * 1989-08-30 1994-08-17 豊田合成株式会社 カーテンレールの製造方法
IT1237092B (it) * 1989-10-18 1993-05-18 Iti Ind S R L Struttura di tendina parasole, per lunotti e finestrini di autoveicoli, per parabrezza di veicoli industriali e simili e per abitazioni.
JPH06209843A (ja) * 1993-01-20 1994-08-02 Aisin Seiki Co Ltd カーテン開閉装置
DE4320393C2 (de) * 1993-06-19 1996-09-19 Webasto Karosseriesysteme Bremsvorrichtung
JPH08122831A (ja) * 1994-10-21 1996-05-17 Fujikura Ltd 車両用日除け装置
FR2741658B1 (fr) * 1995-11-29 1999-02-26 Farnier Et Penin Snc Store de garniture et d'isolation pour toit ouvrant de vehicule automobile
DE19605997C2 (de) * 1996-02-17 1998-11-05 Daimler Benz Ag Fensterrolloanordnung,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Seitentürfenster
CN1162538A (zh) * 1997-01-10 1997-10-22 李伟 机动车遮阳降温卷帘
JP3566549B2 (ja) * 1998-06-19 2004-09-15 アラコ株式会社 ドアサンシェードアッセンブリ構造
JP2001039156A (ja) * 1999-07-28 2001-02-13 Asmo Co Ltd 遮光装置
AU2343401A (en) * 1999-12-31 2001-07-16 Qinye Wu A device for movably supporting a movable body such as sunshading curtain
DE10064513B4 (de) * 2000-01-28 2011-07-28 FKT technische Produkte GmbH, 85104 Rollo
DE10010026A1 (de) * 2000-03-02 2001-09-06 Volkswagen Ag Rollo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fenster
DE10020212B4 (de) * 2000-04-25 2004-02-19 Bos Gmbh & Co. Kg Seitenfensterrollo mit Schlitzabdeckung
DE10028883B4 (de) * 2000-06-10 2013-01-17 Volkswagen Ag Rolloanordnung für ein Fahrzeugfenster
CN2447200Y (zh) * 2000-07-21 2001-09-12 林永清 汽车后窗用遮阳帘
JP2002144869A (ja) * 2000-11-08 2002-05-22 Kasai Kogyo Co Ltd 車両用サンバイザ
CN2464917Y (zh) * 2001-02-14 2001-12-12 李均 军用车卷帘
CN2510333Y (zh) * 2001-12-24 2002-09-11 温俊 一种车用电动窗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112348A (ja) 2005-04-28
EP1520740B1 (de) 2010-12-01
DE10346190B3 (de) 2005-06-23
EP1520740A2 (de) 2005-04-06
EP1520740A3 (de) 2008-01-09
CN100404295C (zh) 2008-07-23
CN1603147A (zh) 2005-04-06
JP4694170B2 (ja) 2011-06-08
DE502004011949D1 (de) 2011-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56863B2 (ja) 側部窓用ウィンドウシェード装置
KR100744958B1 (ko) 자동차의 측면창 롤업 블라인드
ES2242683T3 (es) Techo de vehiculo de tipo modular.
US7896057B2 (en) Roller blind for complete shading of a motor vehicle window
US7347246B2 (en) Side window shade with contour part
US7114767B2 (en) Window blind for a sliding roof system
US7469960B2 (en) Vehicle roof comprising a roller blind system
US6347825B2 (en) Side window blind with slot covering
US7717158B2 (en) Side window roll-up shade with cable drive
JP4452290B2 (ja) ウィンドウシェードを有する内装パネル部材
KR20020040579A (ko) 이중 구동 기구를 구비한 권취식 윈도우 셰이드
KR20110046972A (ko) 자동차용 롤러 블라인드
KR20050033011A (ko) 2부분의 풀아웃 프로파일을 가지는 롤러 블라인드
US8800635B2 (en) Lateral guide for shading roller blind, and shading roller blind for motor vehicles
KR101264631B1 (ko) 차량용 롤 블라인드
CN210257954U (zh) 遮阳装置
US12036849B2 (en) Shading apparatus for a vehicle interior of a motor vehicle
CN220067129U (zh) 一种车用直升款窗帘驱动装置的传动组件
CN221340147U (zh) 遮阳帘总成及车辆
CN110857023B (zh) 用于开放式车顶构造的导轨及包括其的开放式车顶构造
KR20110099613A (ko) 자동차용 롤러 블라인드
JP2652530B2 (ja) 自動車の窓ガラス昇降装置
JP3164488B2 (ja) 車両用窓装置
KR20110047113A (ko) 자동차용 롤러 블라인드
KR20210047067A (ko) 자동차용 윈도우 차광장치의 가이드 레일 조립체 및 이를 갖는 자동차용 윈도우 차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