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2899A - 자주식 파쇄기 - Google Patents

자주식 파쇄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2899A
KR20050012899A KR10-2005-7000305A KR20057000305A KR20050012899A KR 20050012899 A KR20050012899 A KR 20050012899A KR 20057000305 A KR20057000305 A KR 20057000305A KR 20050012899 A KR20050012899 A KR 200500128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pressure
control valve
discharg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0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9763B1 (ko
Inventor
다나카마사미치
시바요시미
시오하타다다시
하시모토겐타로
Original Assignee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12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28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9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97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1/00Disintegrating plant with or without drying of the material
    • B02C21/02Transportable disintegrating pl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1/00Disintegrating plant with or without drying of the material
    • B02C21/02Transportable disintegrating plant
    • B02C21/026Transportable disintegrating plant self-propel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5/00Contro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쇄장치(20)와, 이 파쇄장치(20)를 구동하는 파쇄장치용 유압모터(21)와, 이 파쇄장치용 유압모터(21)를 구동하는 제 1 유압펌프(62) 및 이 제 1 유압펌프(62)를 구동하는 엔진(61)을 가지는 유압구동장치와, 파쇄장치(20)의 부하상황을 검출하는 압력센서(151)와, 이 압력센서(151)의 검출신호에 의거하여 엔진(61)의 회전수를 증대시키는 제어를 행하는 컨트롤러(84")를 구비한다. 따라서 파쇄장치에 중부하가 걸린 경우에도, 파쇄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주식 파쇄기{SELF-PROPELLING CRUSHER}
통상, 파쇄기는 예를 들면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크고 작은 여러가지의 암석·건설 폐자재 등의 피파쇄물을 소정의 크기로 파쇄함으로써, 폐자재의 재이용, 공사의 원활화, 비용절감 등을 도모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와 같은 파쇄기 중, 예를 들면 자주식 파쇄기는, 일반적으로 좌·우의 무한궤도 크롤러벨트를 구비한 주행체와, 호퍼로부터 투입된 피파쇄물을 소정의 크기로 파쇄하는 파쇄장치와, 호퍼로부터 투입된 피파쇄물을 파쇄장치로 유도하는 피더, 파쇄장치로 파쇄되어 작아진 파쇄물을 기기밖으로 반송하는 배출 컨베이어 및 이 배출 컨베이어의 위쪽에 설치되어 배출 컨베이어상의 운반중의 파쇄물에 포함되는 자성물을 자기적으로 흡인제거하는 자선기 등의 상기 파쇄장치에 의한 파쇄작업에 관련되는 작업을 행하는 보조기계로 구성되어 있다.
이 자주식 파쇄기의 일반적인 유압구동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11-226444호 공보와 같이, 원동기(엔진)에 의하여 구동되는 가변용량의 유압펌프(파쇄장치용 유압펌프, 보조기계용 유압펌프)와, 이들 유압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압유에 의하여 각각 구동되고, 파쇄장치 및 보조기계를 각각 구동하는 파쇄장치용 유압모터 및 보조기계용 유압 엑츄에이터(피더용 유압모터, 배출 컨베이어용 유압모터 및 자선기용 유압모터 등)와, 유압펌프로부터 그들 유압모터에 공급되는 압유의 방향 및 유량을 제어하는 복수의 컨트롤밸브와, 유압펌프의 토출유량을 제어하는 제어수단 등으로 구성된 것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유압구동장치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피파쇄물(파쇄원료)의 과잉공급 등의 원인에 의하여 파쇄작업 중에 파쇄장치에 중부하가 걸리는 경우에는 파쇄장치용 유압모터에도 부하가 걸리고, 그 결과 파쇄장치용 유압모터의 회전수가 저하되고 있었다. 이 때문에 파쇄장치의 파쇄효율이 저하되고, 나아가서는 파쇄 생산품의 생산성이 저하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조 크러셔, 롤 크러셔, 슈레더, 목재 파쇄기 등, 피파쇄물을 파쇄하는 파쇄장치를 구비한 자주식 파쇄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자주식 파쇄기의 일 실시형태의 전체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자주식 파쇄기의 일 실시형태의 전체구조를 나타내는 상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자주식 파쇄기의 일 실시형태의 전체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자주식 파쇄기의 일 실시형태에 구비되는 유압구동장치의전체구성을 나타내는 유압회로도,
도 5는 본 발명의 자주식 파쇄기의 일 실시형태에 구비되는 유압구동장치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유압회로도,
도 6은 본 발명의 자주식 파쇄기의 일 실시형태에 구비되는 유압구동장치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유압회로도,
도 7은 본 발명의 자주식 파쇄기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1 유압펌프로부터 토출되어 센터바이패스라인을 거쳐 펌프 컨트롤밸브의 피스톤 스로틀부분으로 유도되는 잉여유량, 또는 제 2 유압펌프로부터 토출되어 릴리프밸브를 거쳐 펌프 컨트롤밸브의 피스톤 스로틀부분으로 유도되는 잉여유량과, 이때 펌프 컨트롤밸브의 가변 릴리프밸브의 기능에 의하여 발생되는 제어압력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
도 8은 본 발명의 자주식 파쇄기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어압력과 제 1또는 제 2 유압펌프의 펌프 토출유량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
도 9는 본 발명의 자주식 파쇄기의 일 실시형태를 구성하는 컨트롤러의 기능중 엔진의 마력증대제어에 관계되는 제어내용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0은 본 발명의 자주식 파쇄기의 일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에 구비되는 유압구동장치의 구성 중 제 1 및 제 2 유압펌프 주위의 구성을 나타내는 유압회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자주식 파쇄기의 일 실시형태의 제 2 변형예를 구성하는 컨트롤러의 기능을 나타내는 기능 블럭도,
도 12는 본 발명의 자주식 파쇄기의 일 실시형태의 제 2 변형예를 구성하는 컨트롤러에 있어서의 엔진회전수와 스피드센싱 제어부가 출력하는 마력 감소신호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
도 13은 본 발명의 자주식 파쇄기의 일 실시형태의 제 2 변형예에 구비되는 유압구동장치의 구성 중 제 1 및 제 2 유압펌프 주위의 구성을 나타내는 유압회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자주식 파쇄기의 일 실시형태의 제 2 변형예에 있어서의 마력 감소신호의 출력과 도입관로 내의 마력 감소 파일럿압과의 관계 및 마력 감소파일럿압과 제 1 또는 제 2 유압펌프의 입력 토오크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
도 15는 본 발명의 자주식 파쇄기의 일 실시형태의 제 2 변형예에 있어서, 스피드센싱제어에 의하여 제 1 유압펌프의 특성이 고토오크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 2 유압펌프의 특성이 저토오크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및 한계치가 변동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
도 16은 본 발명의 자주식 파쇄기의 일 실시형태의 제 2 변형예를 구성하는 컨트롤러의 기능 중 엔진의 마력증대제어에 관계되는 제어내용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7은 본 발명의 자주식 파쇄기의 다른 실시형태의 전체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자주식 파쇄기의 다른 실시형태의 전체구조를 나타내는 상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자주식 파쇄기의 다른 실시형태에 구비되는 유압구동장치의 전체 개략구성을 나타내는 유압회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자주식 파쇄기의 다른 실시형태에 구비되는 유압구동장치를 구성하는 제 1 제어밸브장치의 상세구성을 나타내는 유압회로도,
도 21은 본 발명의 자주식 파쇄기의 다른 실시형태에 구비되는 유압구동장치를 구성하는 조작밸브장치의 상세구성을 나타내는 유압회로도,
도 22는 본 발명의 자주식 파쇄기의 다른 실시형태에 구비되는 유압구동장치를 구성하는 제 2 제어밸브장치의 상세구성을 나타내는 유압회로도,
도 23은 본 발명의 자주식 파쇄기의 다른 실시형태에 구비되는 유압구동장치를 구성하는 레귤레이터장치의 상세구조를 나타내는 유압회로도,
도 24는 본 발명의 자주식 파쇄기의 다른 실시형태에 구비되는 유압구동장치를 구성하는 제 3 제어밸브장치의 상세구성을 나타내는 유압회로도,
도 25는 본 발명의 자주식 파쇄기의 다른 실시형태를 구성하는 컨트롤러의 기능 중 엔진의 마력증대제어에 관계되는 제어내용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파쇄장치에 중부하가 걸린 경우에도 파쇄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자주식 파쇄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1)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피파쇄물을 파쇄하는 자주식 파쇄기에 있어서, 파쇄장치와, 이 파쇄장치를 구동하는 파쇄장치용 유압모터, 이 파쇄장치용 유압모터를 구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압펌프 및 이 유압펌프를 구동하는 원동기를 가지는 유압구동장치와, 상기 파쇄장치의 부하상황을 검출하는 파쇄장치부하검출수단과, 상기 파쇄장치 부하검출수단의 검출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원동기의 회전수를 증대시키는 제어를 행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피파쇄물(파쇄원료)의 과잉공급 등의 원인에 의하여 파쇄작업 중에 파쇄장치에 중부하가 걸려 파쇄장치용 유압모터의 부하압력이 커진 경우에는, 파쇄장치 부하검출수단으로 그 과부하상황을 검출하고, 제어수단으로 원동기의 회전수를 증대하여 원동기의 마력을 증대한다. 즉, 파쇄장치의 과부하시에 파쇄장치용 유압모터의 부하압력이 커짐으로써, 엔진 회전수가 저하하고, 그 결과 파쇄장치용 유압모터의 회전수가 저하하여 파쇄 생산품의 생산성이 저하할 가능성이 있던 종래구조에 비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파쇄장치의 과부하시에 원동기의 마력을 증대함으로써 파쇄장치용 유압모터의 회전수가 저하함으로써 생기는 파쇄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2)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또 본 발명은 피파쇄물을 파쇄하는 자주식 파쇄기에 있어서, 파쇄장치와, 이 파쇄장치에 의한 파쇄작업에 관련되는 작업을 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기계와, 상기 파쇄장치를 구동하는 파쇄장치용 유압모터, 상기 보조기계를 구동하는 보조기계용 유압 엑츄에이터, 상기 파쇄장치용 유압모터를 구동하는 제 1 유압펌프, 상기 보조기계용 유압 엑츄에이터를 구동하는 제 2 유압펌프 및 상기 제 1 유압펌프와 상기 제 2 유압펌프를 구동하는 원동기를 가지는 유압구동장치와, 상기 제 1 유압펌프의 토출압을 검출하는 제 1 토출압 검출수단과, 상기 제 2 유압펌프의 토출압을 검출하는 제 2 토출압 검출수단과, 상기 제 1 유압펌프와 제 2 유압펌프의 입력 토오크의 합계가 상기 원동기의 출력 토오크 이하가 되도록 상기 제 1 토출압 검출수단의 검출신호와 제 2 토출압 검출수단의 검출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유압펌프와 제 2 유압펌프의 토출유량을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토출압 검출수단과 제 2 토출압 검출수단과의 검출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원동기의 회전수를 증대시키는 제어를 행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파쇄장치용 유압모터에 압유를 공급하는 제 1 유압펌프와 보조기계용 유압 엑츄에이터에 압유를 공급하는 제 2 유압펌프의 토출압에 따라 이들 제 1 유압펌프 및 제 2 유압펌프의 유량을 각각 제어하고, 또한 이들 제 1 유압펌프 및 제 2 유압펌프의 토오크의 합계가 원동기의 마력을 하회하도록 제어를 행하는 이른바 전 마력제어를 행한다. 이에 의하여 제 1 유압펌프와 제 2 유압펌프의 부하의 차에 따른 형으로 원동기의 마력을 각각 효과적으로 배분함으로써, 원동기의 마력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3) 상기 (2)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유압펌프는 경전제어가 동조하는 2개의 가변용량형의 유압펌프로 구성되는 것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자주식 파쇄기의 일 실시형태를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자주식 파쇄기의 일 실시형태를 도 1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서 이하에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자주식 파쇄기의 일 실시형태의 전체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그 상면도, 도 3은 도 1에 있어서 좌측에서 본 정면도이다.
이들 도 1 내지 도 3에 있어서 1은 주행체이고, 이 주행체(1)는 주행장치(2)와, 이 주행장치(2)의 상부에 대략 수평으로 연장하여 설치한 본체 프레임(3)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4는 주행장치(2)의 트랙 프레임이고, 이 트랙 프레임(4)은 본체 프레임(3)의 하부에 연달아 설치되어 있다. 5, 6은 각각 이 트랙 프레임(4)의 양쪽 끝에 설치한 종동륜(아이들러) 및 구동륜, 7은 이들 종동륜(5) 및 구동륜(6)에 감은 크롤러벨트(무한궤도 크롤러벨트), 8은 구동륜(6)에 직결한 주행용 유압모터이고, 이 주행용 유압모터(8)는 자주식 파쇄기의 좌측에 배치된 좌측 주행용 유압모터(8L) 및 우측에 배치된 우측 주행용 유압모터(8R)로 구성되어 있다(뒤에서 설명하는 도 4 참조). 9, 10은 본체 프레임(3)의 길이방향 한쪽 측(도 1에 있어서 좌측)에 세워 설치한 지지 포스트, 11은 이들 지지 포스트(9, 10)에 지지된 지지 바이다.
12는 파쇄대상이 되는 피파쇄물을 받아 들이는 호퍼이고, 이 호퍼(12)는 아래쪽을 향하여 지름이 축소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 바(11)상에 복수의 지지부재(13)를 거쳐 지지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자주식 파쇄기는, 예를 들면 빌딩 해체시에 반출되는 콘크리트 덩어리나 도로보수시에 배출되는 아스팔트 덩어리 등의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크고 작은 여러가지 건설 폐자재, 산업 폐기물, 또는 암석 채굴현장이나 막장에서 채굴되는 암석·자연석 등을 처리대상으로 하고, 이들을 상기 피파쇄물로서 받아 들여 파쇄처리하는 것이다.
15는 호퍼(12)의 대략 바로 밑에 위치하는 피더(그리즈리 피더)이고, 이 피더(15)는 호퍼(12)에 받아 들인 피파쇄물을 뒤에서 설명하는 파쇄장치(20)에 반송하여 공급하는 역활을 하고, 호퍼(12)와는 독립하여 지지 바(11)에 지지되어 있다. 16은 피더(15)의 본체이고, 이 피더 본체(16) 내에는 선단(도 2에 있어서 우측 단부)이 빗살형태로 형성된 빗살형 플레이트(17)가 복수(이 예에서는 2매) 계단형상으로 고정되어 있고, 복수의 스프링(18)을 거쳐 지지 바(11)상에 진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19는 피더용 유압모터이고, 이 피더용 유압모터(19)는 투입된 빗살형 플레이트(17)상의 피파쇄물이 후방측(도 1에 있어서 우측)으로 보내지도록 피더(15)를 가진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피더용 유압모터(19)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편심축을 회전 구동시키는 진동모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14는 빗살형 플레이트(17)의 빗살부분의 대략 바로 밑에 설치한 슈트이고, 이 슈트(14)는, 빗살형 플레이트(17)의 빗살의 간극으로부터 낙하하는 피파쇄물 중에 함유된 세립(細粒)[이른바 광재(鑛滓)] 등을 뒤에서 설명하는 배출 컨베이어(40)상으로 유도하는 역활을 하는 것이다.
20은 피파쇄물을 파쇄하는 파쇄장치로서의 조크러셔[이하 적절하게 파쇄장치(20)라 기술한다]이고, 이 조크러셔(20)는 호퍼(12) 및 피더(15)보다도 후방측(도 1에 있어서 우측)에 위치하고,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 프레임(3)의 길이 방향(도 1에 있어서 좌우방향) 중앙 부근에 탑재되어 있다. 또 조크러셔(20)는 공지의 구성의 것으로, 내부에는 서로의 간극 공간이 아래쪽을 향하여 지름이 축소되도록 대향한 한 쌍의 움직이는 톱니 및 고정톱니(모두 도시생략)가 설치되어 있다. 21은 파쇄장치용 유압모터(도 2참조)이고, 이 파쇄장치용 유압모터(21)는 플라이휠(22)을 회전구동시키고, 또한 이 플라이휠(22)의 회전운동은 공지의 변환기구를 거쳐 움직이는 톱니(도시생략)의 요동운동으로 변환되도록 되어 있다. 즉, 움직이는 톱니는 정지한 고정톱니에 대하여 대략 전후방향(도 1에 있어서 좌우방향)으로 요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파쇄장치용 유압모터(21)로부터 플라이휠(22)에의 구동전달구조는, 벨트(도시생략)를 거친 구성으로 되어 있으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체인을 거치는 구성 등, 다른 구성이어도 상관없다.
25는 각 작동장치의 동력원을 내장한 동력장치(파워유니트)이고, 이 동력장치(25)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쇄장치(20)보다 더욱 후방측(도 1에 있어서 우측)에 위치하고, 지지부재(26)를 거쳐 본체 프레임(3)의 길이방향 다른쪽(도 1에 있어서 우측) 끝부에 지지되어 있다. 또 동력장치(25) 내에는 동력원이 되는 뒤에서 설명한 엔진(원동기)(61)이나 이 엔진(61)에 의하여 구동되는 뒤에서 설명하는 유압펌프(62, 63) 등이 구비되어 있다(상세한 것은 뒤에서 설명). 30, 31은 각각 동력장치(25)에 내장한 연료탱크 및 작동오일탱크(모두 도시생략)의 급유구이고, 이들 급유구(30, 31)는 동력장치(25)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32는 프리클리너이고, 이 프리클리너(32)는 엔진(61)으로의 흡기 중의 먼지를, 동력장치(25) 내의 에어클리너(도시생략)의 상류측에서 사전에 포집하는 것이다. 또 35는 조작자가 탑승하는 운전석이고, 이 운전석(35)은 동력장치(25)의 전방측(제1도중좌측)의 구획에 설치되어 있다. 36a, 37a는 좌·우측 주행용 유압모터(8L, 8R)를 조작하기 위한 좌·우측 주행용 조작레버이다.
40은 피파쇄물을 파쇄한 파쇄물이나 상기한 광재등을 기기밖으로 반송하여배출하는 배출 컨베이어이고, 이 배출 컨베이어(40)는 배출측(이 경우, 도 1에 있어서 우측)의 부분이 비스듬하게 상승하도록 지지부재(41, 42)를 거쳐 동력장치(25)에 장치한 아암부재(43)로부터 현가되어 있다. 또 이 배출 컨베이어(40)는 그 배출측과 반대측(도 1에 있어서 좌측) 부분이 본체 프레임(3)으로부터 대략 수평인 상태로 매달려 지지되어 있다. 45는 배출 컨베이어(40)의 컨베이어 프레임, 46, 47은 이 컨베이어 프레임(45)의 양쪽 끝에 설치한 종동륜(아이들러) 및 구동륜, 48은 구동륜(47)에 직결한 배출 컨베이어용 유압모터(도 2 참조)이다. 50은 종동륜(46) 및 구동륜(47)에 감은 반송벨트이고, 이 반송벨트(50)는 배출 컨베이어용 유압모터(48)에 의하여 구동륜(47)이 회전 구동됨에 따라 순환 구동하도록 되어 있다.
55는 배출하는 파쇄물 중의 철근 등이라는 이물(자성물)을 제거하는 자선기이고, 이 자선기(55)는 지지부재(56)를 거쳐 상기 아암부재(43)에 매달아 지지되어 있다. 자선기(55)는 구동륜(57) 및 종동륜(58)에 감은 자선기 벨트(59)가, 배출 컨베이어(40)의 반송벨트(50)의 반송면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도록 근접 배치하고 있다. 60은 구동륜(57)에 직결한 자선기용 유압모터이다. 또한 자선기 벨트(59)의 순환궤적의 안쪽에는 도시 생략한 자력 발생수단이 설치되어 있고, 반송벨트(50)상의 철근 등의 이물은 자선기 벨트(59) 너머로 작용하는 자력 발생수단으로부터의 자력에 의하여 자선기 벨트(59)에 흡착되고, 배출 컨베이어(40)의 옆쪽으로 반송되어 낙하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주행체(1), 피더(15), 파쇄장치(20), 배출 컨베이어(40) 및 자선기(55)는 이 자주식 파쇄기에 구비되는 유압구동장치에 의하여 구동되는 피구동부재를 구성하고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실시형태의 자주식 파쇄기에 구비되는 유압구동장치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유압회로도이다.
이들 도 4 내지 도 6에 있어서, 유압구동장치는 엔진(61)과, 이 엔진(61)에 의하여 구동되는 가변 용량형의 제 1 유압펌프(62) 및 제 2 유압펌프(63)와, 마찬가지로 엔진(61)에 의하여 구동되는 고정 용량형의 파일럿 펌프(64)와, 제 1 및 제 2 유압펌프(62, 63)로부터 토출되는 압유가 각각 공급되는 좌·우측 주행용 유압모터(8L, 8R), 피더용 유압모터(19), 파쇄장치용 유압모터(21), 배출 컨베이어용 유압모터(48) 및 자선기용 유압모터(60)와, 제 1 및 제 2 유압펌프(62, 63)로부터 이들 유압모터(8L, 8R, 19, 21, 48, 60)에 공급되는 압유의 흐름(방향 및 유량, 또는 유량만)을 제어하는 6개의 컨트롤밸브(65, 66, 67, 68, 69, 70)와, 상기한 운전석(35)에 설치되고, 좌·우측 주행용 컨트롤밸브(66, 67)(뒤에서 설명)를 각각 전환하여 조작하기 위한 좌·우측 주행용 조작레버(36a, 37a)와, 제 1 및 제 2 유압펌프(62, 63)의 토출유량(Q1, Q2)(뒤에서 설명하는 도 8 참조)을 조정하는 제어수단, 예를 들면 레귤레이터장치(71, 72)와, 예를 들면 운전석(35) 내에 설치되어 파쇄장치(20), 피더(15), 배출 컨베이어(40) 및 자선기(55)의 시동·정지 등을 조작자가 지시 입력하여 조작하기 위한 조작반(73)을 가지고 있다.
상기 6개의 컨트롤밸브(65∼70)는, 2위치 전환밸브 또는 3위치 전환밸브가고, 파쇄장치용 유압모터(21)에 접속된 파쇄장치용 컨트롤밸브(65)와, 좌측 주행용 유압모터(8L)에 접속된 좌측 주행용 컨트롤밸브(66)와, 우측 주행용 유압모터(8R)에 접속된 우측 주행용 컨트롤밸브(67)와, 피더용 유압모터(19)에 접속된 피더용 컨트롤밸브(68)와, 배출 컨베이어용 유압모터(48)에 접속된 배출 컨베이어용 컨트롤밸브(69)와, 자선기용 유압모터(60)에 접속된 자선기용 컨트롤밸브(70)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제 1 및 제 2 유압펌프(62, 63)중, 제 1 유압펌프(62)는 좌측 주행용 컨트롤밸브(66) 및 파쇄장치용 컨트롤밸브(65)를 거쳐 좌측 주행용 유압모터(8L) 및 파쇄장치용 유압모터(21)에 공급하기 위한 압유를 토출하도록 되어 있다. 이들 컨트롤밸브(65, 66)는 어느 것이나 대응하는 유압모터(21, 8L)에의 압유의 방향 및 유량을 제어 가능한 3위치 전환밸브로 되어 있고, 제 1 유압펌프(62)의 토출관로(74)에 접속된 센터 바이패스라인(75)에 있어서 상류측으로부터 좌측 주행용 컨트롤밸브(66), 파쇄장치용 컨트롤밸브(65)의 순서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센터 바이패스라인(75)의 최하류측에는 펌프 컨트롤밸브(76)(상세한 것은 뒤에서 설명)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제 2 유압펌프(63)는 우측 주행용 컨트롤밸브(67), 피더용 컨트롤밸브(68), 배출 컨베이어용 컨트롤밸브(69) 및 자선기용 컨트롤밸브(70)를 거쳐 우측 주행용 유압모터(8R), 피더용 유압모터(19), 배출 컨베이어용 유압모터(48) 및 자선기용 유압모터(60)에 공급하기 위한 압유를 토출하도록 되어 있다. 이들 중 우측 주행용 컨트롤밸브(67)는 대응하는 우측 주행용 유압모터(8R)에의 압유의 흐름을 제어 가능한 3위치 전환밸브로 되어 있고, 그 밖의 컨트롤밸브(68, 69, 70)는 대응하는 유압모터(19, 48, 60)에의 압유의 유량을 제어 가능한 2위치 전환밸브로되어 있으며, 제2 유압펌프(63)의 토출관로(77)에 접속된 센터 바이패스라인(78a) 및 이것의 하류측에 다시 접속된 센터라인(78b)에 있어서, 상류측으로부터 우측 주행용 컨트롤밸브(67), 자선기용 컨트롤밸브(70), 배출 컨베이어용 컨트롤밸브(69) 및 피더용 컨트롤밸브(68)의 순서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센터라인(78b)은 최하류측의 피더용 컨트롤밸브(68)의 하류측에서 폐지되어 있다.
상기 컨트롤밸브(65∼70) 중, 좌·우측 주행용 컨트롤밸브(66, 67)는 각각 파일럿펌프(64)에서 발생된 파일럿압을 사용하여 조작되는 센터 바이패스형의 파일럿조작밸브이다. 이들 좌·우측 주행용 컨트롤밸브(66, 67)는, 파일럿펌프(64)에서 발생되어 상기한 조작레버(36a, 37a)를 구비한 조작레버장치(36, 37)에 의해 소정 압력으로 감압된 파일럿압에 의하여 조작된다.
즉, 조작레버장치(36, 37)는 조작레버(36a, 37a)와 그 조작량에 따른 파일럿압을 출력하는 한 쌍의 감압밸브(36b, 36b 및 37b, 37b)를 구비하고 있다. 조작레버장치(36)의 조작레버(36a)를 도 4에 있어서 a 방향(또는 그 반대방향, 이하 대응관계동일)으로 조작하면, 파일럿압이 파일럿 관로(79)[또는 파일럿 관로(80)]를 거쳐 좌측 주행용 컨트롤밸브(66)의 구동부(66a)[또는 구동부(66b)]로 유도되고, 이것에 의하여 좌측 주행용 컨트롤밸브(66)가 도 4에 있어서 상측의 전환위치(66A)[또는 아래쪽의 전환위치(66B)]로 전환되고, 제 1 유압펌프(62)로부터의 압유가 토출관로(74), 센터 바이패스라인(75) 및 좌측 주행용 컨트롤밸브(66)의 전환위치(66A)[또는 아래쪽의 전환위치(66B)]를 거쳐 좌측 주행용 유압모터(8L)에 공급되어, 좌측 주행용 유압모터(8L)가 순방향(또는 역방향)으로 구동된다.
또한 조작레버(36a)를 도 4에 나타내는 중립위치로 하면, 좌측 주행용 컨트롤밸브(66)는 스프링(66c, 66d)의 가세력으로 도 4에 나타내는 중립위치로 복귀하고, 좌측 주행용 유압모터(8L)는 정지한다.
마찬가지로 조작레버장치(37)의 조작레버(37a)를 도 4에 있어서 b 방향(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조작하면 파일럿압이 파일럿 관로(81)[또는 파일럿 관로(82)]를 거쳐 우측 주행용 컨트롤밸브(67)의 구동부(67a)[또는 구동부(67b)]로 유도되어 도 4에 있어서 상측의 전환위치(67A)[또는 하측의 전환위치(67B)]로 전환되고, 우측 주행용유압모터(8R)가 순방향(또는 역방향)으로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조작레버(37a)를 중립위치로 하면 스프링(67c, 67d)의 가세력으로 우측 주행용 컨트롤밸브(67)는 중립위치로 복귀하고 우측 주행용 유압모터(8R)는 정지한다.
여기서 파일럿펌프(64)로부터의 파일럿압을 조작레버장치(36, 37)로 유도하는 파일럿 도입 관로(83a, 83b)에는 컨트롤러(84")로부터의 구동신호(St)(뒤에서 설명)에 의해 전환되는 솔레노이드제어밸브(85)가 설치되어 있다. 이 솔레노이드제어밸브(85)는 솔레노이드(85a)에 입력되는 구동신호(St)가 온이 되면 도 6에 있어서 좌측의 연통위치(85A)로 전환되고, 파일럿 펌프(64)로부터의 파일럿압을 도입관로(83a, 83b)를 거쳐 조작레버장치(36, 37)로 유도하여 조작레버(36a, 37a)에 의한 좌·우측 주행용 컨트롤밸브(66, 67)의 상기 조작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구동신호(St)가 오프가 되면, 솔레노이드제어밸브(85)는 스프링(85b)의 복원력으로 도 6에 있어서 우측의 차단위치(85B)로 복귀하여, 도입관로(83a)와 도입관로(83b)를 차단함과 동시에 도입관로(83b)를 탱크(86)에의 탱크라인(86a)에연통시키고, 이 도입관로(83b) 내의 압력을 탱크압으로 하여 조작레버장치(36, 37)에 의한 좌·우측 주행용 컨트롤밸브(66, 67)의 상기 조작을 불가능하게 하도록 되어 있다.
파쇄장치용 컨트롤밸브(65)는 양쪽 끝에 솔레노이드구동부(65a, 65b)를 구비한 센터 바이패스형의 전자비례밸브이다. 솔레노이드구동부(65a, 65b)에는 컨트롤러(84")로부터의 구동신호(Scr)로 구동되는 솔레노이드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파쇄장치용 컨트롤밸브(65)는 그 구동신호(Scr)의 입력에 따라 전환되도록 되어 있다.
즉, 구동신호(Scr)가 파쇄장치(20)의 정회전(또는 역회전, 이하 대응관계 동일)에 대응하는 신호, 예를 들면 솔레노이드구동부(65a 및 65b)에의 구동신호(Scr)가 각각 온 및 오프[또는 솔레노이드구동부(65a 및 65b)로의 구동신호(Scr)가 각각 오프 및 온]가 되면, 파쇄장치용 컨트롤밸브(65)가 도 4에 있어서 상측의 전환위치(65A)[또는 하측의 전환위치(65B)]로 전환된다. 이에 의하여 제 1 유압펌프(62)로부터의 압유가 토출관로(74), 센터 바이패스라인(75) 및 파쇄장치용 컨트롤밸브(65)의 전환위치(65A)[또는 하측의 전환위치(65B)]를 거쳐 파쇄장치용 유압모터(21)에 공급되고, 파쇄장치용 유압모터(21)가 순방향(또는 역방향)으로 구동된다.
구동신호(Scr)가 파쇄장치(20)의 정지에 대응하는 신호, 예를 들면 솔레노이드구동부(65a 및 65b)에의 구동신호(Scr)가 모두 오프가 되면, 컨트롤밸브(65)가 스프링(65c, 65d)의 가세력으로 도 4에 나타내는 중립위치로 복귀하고, 파쇄장치용 유압모터(21)는 정지한다.
펌프 컨트롤밸브(76)는 유량을 압력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것으로, 상기한 센터 바이패스라인(75)과 탱크라인(86b)을 스로틀부분(76aa)을 거쳐 접속·차단 가능한 피스톤(76a)과, 이 피스톤(76a)의 양쪽 끝부를 가세하는 스프링(76b, 76c)과, 상기한 파일럿 펌프(64)의 토출관로(87)에 파일럿 도입관로(88a) 및 파일럿 도입관로(88c)를 거쳐 상류측이 접속되어 파일럿압이 유도되고, 하류측이 탱크라인(86c)에 접속되고, 또한 상기한 스프링(76b)에 의하여 릴리프압이 가변으로 설정되는 가변릴리프밸브(76d)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펌프 컨트롤밸브(76)는 이하와 같이 기능한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좌측 주행용 컨트롤밸브(66) 및 파쇄장치용 컨트롤밸브(65)는 센터 바이패스형의 밸브로 되어 있고, 센터 바이패스라인(75)을 흐르는 유량은, 각 컨트롤밸브(66, 65)의 조작량(즉 스풀의 전환 스트로크량)에 의하여 변화된다. 각 컨트롤밸브(66, 65)의 중립시, 즉 제 1 유압펌프(62)에 요구하는 각 컨트롤밸브(66, 65)의 요구유량[바꿔 말하면 좌측 주행용 유압모터(8L) 및 파쇄장치용 유압모터(21)의 요구유량]이 적은 경우에는, 제 1 유압펌프(62)로부터 토출되는 압유 중 대부분이 잉여유량(Qt1)(뒤에서 설명하는 도 7 참조)으로서 센터 바이패스라인(75)을 거쳐 펌프 컨트롤밸브(76)에 도입되고, 비교적 큰 유량의 압유가 피스톤(76a)의 스로틀부분(76aa)을 거쳐 탱크라인(86b)에 도출된다. 이에 의하여 피스톤(76a)은 도 4에 있어서 우측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스프링(76b)에 의한 릴리프밸브(76d)의 설정 릴리프압이 낮아져 관로(88c)로부터 분기하여 설치되고, 뒤에서 설명하는 네거티브 경전 제어용의 제 1 서보밸브(131)에 이르는 관로(90)에, 비교적 낮은 제어압력(네거티브 컨트롤압)(Pc1)을 발생한다.
반대로, 각 컨트롤밸브(66, 65)가 조작되어 개방상태가 된 경우, 즉 제 1 유압펌프(62)에 요구하는 요구유량이 많은 경우에는, 센터 바이패스라인(75)을 흐르는 상기 잉여유량(Qt1)은 유압모터(8L, 21)측으로 흐르는 유량분만큼 줄어들기 때문에 피스톤 스로틀부분(76aa)을 거쳐 탱크라인(86b)으로 도출되는 압유 유량은 비교적 작아지고, 피스톤(76a)은 도 4에 있어서 좌측으로 이동하여 릴리프밸브(76cl)의 설정 릴리프압이 높아지기때문에, 관로(90)의 제어압력(Pc1)은 높아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뒤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이 제어압력(네거티브 컨트롤압)(Pc1)의 변동에 의거하여 제 1 유압펌프(62)의 사판(62A)의 경전각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상세한 것은 뒤에서 설명).
또한 제 1 및 제 2 유압펌프(62, 63)의 토출관로(74, 77)로부터 분기된 관로(91, 92)에는 릴리프밸브(93) 및 릴리프밸브(94)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제 1 및 제 2 유압펌프(62, 63)의 토출압(P1, P2)의 최대치를 제한하기 위한 릴리프압의 값을 각각에 구비된 스프링(93a, 94a)의 가세력으로 설정하도록 되어 있다.
피더용 컨트롤밸브(68)는 솔레노이드구동부(68a)를 구비한 전자전환밸브이다. 솔레노이드구동부(68a)에는 컨트롤러(84")로부터의 구동신호(Sf)에 의해 구동되는 솔레노이드가 설치되어 있고, 피더용 컨트롤밸브(68)는 그 구동신호(Sf)의 입력에 따라 전환되도록 되어 있다. 즉, 구동신호(Sf)가 피더(15)를 동작시키는 온 신호가 되면 피더용 컨트롤밸브(68)가 도 5에 있어서 상측의 전환위치(68A)로 전환된다.
이에 의하여 토출관로(77), 센터 바이패스라인(78a) 및 센터라인(78b)을 거쳐 유도된 제 2 유압펌프(63)로부터의 압유는, 전환위치(68A)에 구비된 스로틀수단(68Aa)으로부터, 이것에 접속하는 관로(95), 이 관로(95)에 설치된 압력제어밸브(96) (상세한 것은 뒤에서 설명), 전환위치(68A)에 구비된 포트(68Ab) 및 이 포트(68Ab)에 접속하는 공급관로(97)를 거쳐 피더용 유압모터(19)에 공급되고, 이 유압모터(19)가 구동된다. 구동신호(Sf)가 피더(15)의 정지에 대응하는 오프 신호가 되면 피더용 컨트롤밸브(68)는 스프링(68b)의 가세력으로 도 5에 나타내는 차단위치(68B)로 복귀하고, 피더용 유압모터(19)는 정지한다.
배출 컨베이어용 컨트롤밸브(69)는 상기 피더용 컨트롤밸브(68)와 마찬가지로 그 솔레노이드구동부(69a)에 컨트롤러(84")로부터의 구동신호(Sc온)로 구동되는 솔레노이드가 설치된다. 구동신호(Sc온)가 배출 컨베이어(40)를 동작시키는 온 신호가 되면, 배출 컨베이어용 컨트롤밸브(69)는 도 5에 있어서 상측의 연통위치(69A)로 전환되고, 센터라인(78b)으로부터의 압유가, 전환위치(69A)의 스로틀수단(69Aa)으로부터 관로(98), 압력제어밸브(99)(상세한 것은 뒤에서 설명), 전환위치(69A)의 포트(69Ab) 및 이 포트(69Ab)에 접속하는 공급관로(100)를 거쳐 배출 컨베이어용 유압모터(48)에 공급되어 구동된다. 구동신호(Sc온)가 배출 컨베이어(40)의 정지에 대응하는 오프 신호가 되면 배출 컨베이어용 컨트롤밸브(69)는 스프링(69b)의 가세력으로 도 5에 나타내는 차단위치(69B)로 복귀하고, 배출 컨베이어용 유압모터(48)는 정지한다.
자선기용 컨트롤밸브(70)는 상기 피더용 컨트롤밸브(68) 및 배출 컨베이어용컨트롤밸브(69)와 마찬가지로 솔레노이드구동부(70a)의 솔레노이드가 컨트롤러(84")로부터의 구동신호(Sm)로 구동된다. 구동신호(Sm)가 온 신호가 되면 자선기용 컨트롤밸브(70)는 도 5에 있어서 상측의 연통위치(70A)로 전환되고, 압유가 스로틀수단(70Aa), 관로(101), 압력제어밸브(102)(상세한 것은 뒤에서 설명), 포트(70Ab), 공급관로(103)를 거쳐 자선기용 유압모터(60)에 공급되어 구동된다. 구동신호(Sm)가 오프 신호가 되면 자선기용 컨트롤밸브(70)는 스프링(70b)의 가세력으로 차단위치(70B)로 복귀한다.
또한 상기한 피더용 유압모터(19), 배출 컨베이어용 유압모터(48) 및 자선기용 유압모터(60)에의 압유의 공급에 관하여, 회로보호 등의 관점에서 공급관로(97, 100, 103)와 탱크라인(86b)의 사이를 접속하는 관로(104, 105, 106)에 각각 릴리프밸브(107, 108, 109)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한 관로(95, 98, 101)에 설치한 압력제어밸브(96, 99, 102)에 관계되는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피더용 컨트롤밸브(68)의 전환위치(68A)의 상기 포트(68Ab), 배출 컨베이어용 컨트롤밸브(69)의 전환위치(69A)의 상기 포트(69Ab) 및 자선기용 컨트롤밸브(70)의 전환위치(70A)의 포트(70Ab)에는 각각 대응하는 피더용 유압모터(19), 배출 컨베이어용 유압모터(48), 자선기용 유압모터(60)의 부하압력을 각각 검출하기 위한 부하검출 포트(68Ac, 69Ac, 70Ac)가 연통되어 있다. 이때 부하검출포트(68Ac)는 부하검출관로(110)에 접속되어 있고, 부하검출포트(69Ac)는 부하검출관로(111)에 접속되어 있고, 부하검출포트(70Ac)는 부하검출관로(112)에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피더용 유압모터(19)의 부하압력이 유도되는 상기 부하검출관로(110)와, 배출 컨베이어용 유압모터(48)의 부하압력이 유도되는 상기 부하검출관로(111)는 다시 셔틀밸브(113)를 거쳐 부하검출관로(114)에 접속되고, 셔틀밸브(113)를 거쳐 선택된 고압측의 부하압력은 이 부하검출관로(114)에 유도되도록 되어 있다. 또 이 부하검출관로(114)와, 자선기용 유압모터(60)의 부하압력이 유도되는 상기 부하검출관로(112)는, 셔틀밸브(115)를 거쳐 최대 부하검출관로(116)에 접속되고, 셔틀밸브(115)로 선택된 고압측의 부하압력이 최대 부하압력으로서 최대 부하검출관로(116)에 유도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최대 부하검출관로(116)에 유도된 최대 부하압력은, 최대 부하검출관로(116)에 접속되는 관로(117, 118, 119, 120)를 거쳐 대응하는 상기 압력제어밸브(96, 99, 102)의 한쪽 측에 각각 전달된다. 이때 압력제어밸브(96, 99, 102)의 다른쪽측에는 상기한 관로(95, 98, 101) 내의 압력, 즉 스로틀수단(68Aa, 69Aa, 70Aa)의 하류측 압력이 유도되고 있다.
이상에 의하여 압력제어밸브(96, 99, 102)는, 컨트롤밸브(68, 69, 70)의 스로틀수단(68Aa, 69Aa, 70Aa)의 하류측 압력과, 피더용 유압모터(19), 배출 컨베이어용유압모터(48) 및 자선기용 유압모터(60) 중의 최대 부하압력과의 차압에 응답하여 작동하고, 각 유압모터(19, 48, 60)의 부하압력의 변화에 상관없이 상기한 차압을 일정값으로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즉, 스로틀수단(68Aa, 69Aa, 70Aa)의 하류측 압력을 상기한 최대 부하압력보다도 스프링(96a, 99a, 102a)에 의한 설정압분만큼 높게 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제 2 유압펌프(63)의 토출관로(77)에 접속한 센터 바이패스라인(78a) 및 센터라인(78b)으로부터 분기된 블리드 오프 관로(121)에는 스프링(122a)을 구비한 릴리프밸브(언로드밸브)(122)가 설치되어 있다. 이 릴리프밸브(122)의 한쪽 측에는 최대 부하검출관로(116), 이것에 접속하는 관로(123)를 거쳐 최대 부하압력이 유도되고 있고, 또 릴리프밸브(122)의 다른쪽 측에는 포트(122b)를 거쳐 블리드 오프 관로(121) 내의 압력이 유도되고 있다. 이에 의하여 릴리프밸브(122)는 관로(121) 및 센터라인(78b) 내의 압력을 상기한 최대 부하압력보다도 스프링(122a)에 의한 설정압분만큼 높게 하도록 되어 있다. 즉, 릴리프밸브(122)는 관로(121) 및 센터라인(78b) 내의 압력이 최대 부하압이 유도되는 관로(123) 내의 압력에 스프링(122a)의 스프링력분이 가산된 압력이 되었을 때에, 관로(121)의 압유를 펌프 컨트롤밸브(124)를 거쳐 탱크(86)로 유도되도록 되어 있다. 이상의 결과, 제 2 유압펌프(63)의 토출압이 최대 부하압보다도 스프링(122a)에 의한 설정압분만큼 높아지는 로드센싱제어가 실현된다.
또한 이때 스프링(122a)으로 설정되는 릴리프압은 상기한 릴리프밸브(93) 및 릴리프밸브(94)의 설정 릴리프압보다도 작은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블리드 오프 관로(121)의 릴리프밸브(122)보다 하류측에는 상기한 펌프 컨트롤밸브(76)와 동일한 유량 - 압력 변환기능을 가지는 펌프 컨트롤밸브(124)가 설치되어 있고, 탱크라인(86d)에 접속되는 탱크라인(86e)과 관로(121)를 스로틀부분(124aa)을 거쳐 접속·차단 가능한 피스톤(124a)과, 이 피스톤(124a)의 양쪽 끝부를 가세하는 스프링(124b, 124c)과, 상기한 파일럿펌프(64)의 토출관로(87)에 파일럿 도입관로(88a) 및 파일럿 도입관로(88b)를 거쳐 상류측이 접속되어 파일럿압이 유도되고, 하류측이 상기 탱크라인(86e)에 접속되고, 또한 상기한 스프링(124b)에 의하여 릴리프압이 가변으로 설정되는 가변 릴리프밸브(124d)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파쇄작업시에 있어서, 펌프 컨트롤밸브(124)는 이하와 같이 기능한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센터라인(78b)의 최하류측 끝은 폐지되어 있고, 또 파쇄작업시에는 뒤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우측 주행용 컨트롤밸브(67)는 조작되지 않기 때문에 센터라인(78b)을 흐르는 압유의 압력은, 피더용 컨트롤밸브(68), 배출 컨베이어용 컨트롤밸브(69), 자선기용 컨트롤밸브(70)의 조작량(즉 스풀의 전환 스트로크량)에 의하여 변화된다. 각 컨트롤밸브(68, 69, 70)의 중립시, 즉 제 2 유압펌프(63)에 요구하는 각 컨트롤밸브(68, 69, 70)의 요구유량[환언하면 각 유압모터(19, 48, 60)의 요구유량]이 적은 경우에는 제 2 유압펌프(63)로부터 토출되는 압유는 대부분 공급관로(97, 100, 103)에 도입되지 않기 때문에, 잉여유량(Qt2)(뒤에서 설명하는 도 7참조)으로서 릴리프밸브(122)로부터 하류측으로 도출되고, 펌프 컨트롤밸브(124)에 도입된다. 이에 의하여 비교적 큰 유량의 압유가 피스톤(124a)의 스로틀부분(124aa)을 거쳐 탱크라인(86e)으로 도출되기 때문에, 피스톤(124a)은 도 5에 있어서 우측으로 이동하여 스프링(124b)에 의한 릴리프밸브(124d)의 설정 릴리프압이 낮아지고, 파일럿 도입관로(88b)로부터 분기하여 설치되어 뒤에서 설명하는 네거티브 경전제어용 제 1 서보밸브(132)에 이르는 관로(125)에 비교적 낮은 제어압력(네가티크 컨트롤압)(Pc2)을 발생한다.
반대로 각 컨트롤밸브가 조작되어 개방상태가 된 경우, 즉 제 2 유압펌프(63)에의 요구유량이 많은 경우에는 블리드 오프 관로(121)에 흐르는 상기 잉여유량(Qt2)이 유압모터(19, 48, 60)측으로 흐르는 유량분만큼 감소되기 때문에, 피스톤 스로틀부분(124aa)을 거쳐 탱크라인(86e)으로 도출되는 압유유량은 비교적 작아지고, 피스톤(124a)은 도 5에 있어서 좌측으로 이동하여 릴리프밸브(124d)의 설정 릴리프압이 높아지기 때문에, 관로(125)의 제어압력(Pc2)은 높아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뒤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이 제어압력(Pc2)의 변동에 의거하여 제 2 유압펌프(63)의 사판(63A)의 경전각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상세한 것은 뒤에서 설명).
이상 설명한 압력제어밸브(96, 99, 102)에 의한 스로틀수단(68Aa, 69Aa, 70Aa)의 하류측 압력과 최대 부하압력과의 사이의 제어 및 릴리프밸브(122)에 의한 블리드 오프 관로(121) 내의 압력과 최대 부하압력과의 사이의 제어에 의하여 스로틀 수단(68Aa, 69Aa, 70Aa)의 전후 차압을 일정하게 하는 압력보상기능을 하게 된다. 이에 의하여 각 유압모터(19, 48, 60)의 부하압력의 변화에 관계없이, 컨트롤밸브(68, 69, 70)의 개방도에 따른 유량의 압유를 대응하는 유압모터에 공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압력보상기능과 펌프 컨트롤밸브(124)로부터의 제어압력(Pc2)의 출력에 의거하는 뒤에서 설명하는 유압펌프(63)의 사판(63A)의 경전각 제어에 의하여 결과적으로, 제 2 유압펌프(63)의 토출압과 스로틀수단(68Aa, 69Aa, 70Aa)의 하류측 압력과의 차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상세한 것은 뒤에서 설명).
또, 최대 부하압이 유도되는 관로(123)와 탱크라인(86e)의 사이에는 릴리프밸브(126)가 설치되고, 관로(123) 내의 최대 압력을 스프링(126a)의 설정압 이하로 제한하여 회로보호를 도모하도록 되어 있다. 즉, 이 릴리프밸브(126)와 상기 릴리프밸브(122)로 시스템 릴리프밸브를 구성하고 있어, 관로(123) 내의 압력이 스프링(126a)에 의해 설정된 압력보다 커지면 릴리프밸브(126)의 작용에 의하여 관로(123) 내의 압력이 탱크압으로 내려 가고, 이것에 의하여 상기한 릴리프밸브(122)가 작동하여 릴리프상태가 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레귤레이터장치(71, 72)는 경전 엑츄에이터(129, 130)와, 제 1 서보밸브(131, 132)와 제 2 서보밸브(133, 134)를 구비하고, 이들 서보밸브(131∼134)에 의하여 파일럿펌프(64)나 제 1 및 제 2 유압펌프(62, 63)로부터 경전 엑츄에이터(129, 130)에 작용하는 압유의 압력을 제어하여, 제 1 및 제 2 유압펌프(62, 63)의 사판(62A, 63A)의 경전(즉 변위)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경전 엑츄에이터(129, 130f), 양쪽 끝에 큰 지름의 수압부(129a, 130a) 및 작은 지름의 수압부(129b, 130b)를 가지는 작동 피스톤(129c, 130c)과, 수압부(129a, 129b 및 130a, 130b)가 각각 위치하는 수압실(129d, 129e 및 130d, 130e)을 가진다. 그리고 양 수압실(129d, 129e 및 130d, 130e)의 압력이 서로 같을 때는 작동 피스톤(129c, 130c)은 수압면적의 차에 의하여 도 6에 있어서 우측으로 이동하고, 이것에 의하여 사판(62A, 63A)의 경전은 커져 펌프 토출유량(Q1, Q2)이 증대한다. 또 큰 지름측의 수압실(129d, 130d)의 압력이 저하하면 작동 피스톤(129c, 130c)은 도 6에 있어서 좌측으로 이동하고, 이것에 의하여 사판(62A, 63A)의 경전이 작아져 펌프 토출유량(Q1, Q2)이 감소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큰 지름측의 수압실(129d, 130d)은 제 1 및 제 2 서보밸브(131∼134)를 거쳐, 파일럿 펌프(64)의 토출관로(87)에 연통하는 관로(135)에 접속되어 있고, 작은 지름측의 수압실(129e, 130e)은 직접 관로(135)에 접속되어 있다.
제 1 서보밸브(131, 132) 중, 레귤레이터장치(71)의 제 1 서보밸브(131)는 상기한 바와 같이 펌프 컨트롤밸브(76)로부터의 제어압력(네거티브 컨트롤압)(Pc1)에 의하여 구동되는 네거티브 경전 제어용 서보밸브이고, 레귤레이터장치(72)의 제 1 서보밸브(132)는 상기한 바와 같이 펌프 컨트롤밸브(124)로부터의 제어압력(Pc2)에 의하여 구동되는 네거티브 경전 제어용 서보밸브이고, 이들은 서로 동등한 구조로 되어있다.
즉, 제어압력(Pc1, Pc2)이 높을 때는 밸브체(131a, 132a)가 도 6에 있어서 우측으로 이동하고, 파일럿 펌프(64)로부터의 파일럿압(Pp1)을 감압하지 않고 경전 엑츄에이터(129, 130)의 수압실(129d, 130d)에 전달하고, 이것에 의하여 사판(62A, 63A)의 경전이 커져 제 1 및 제 2 유압펌프(62, 63)의 토출유량(Q1, Q2)을 증대시킨다. 그리고 제어압력(Pc1, Pc2)이 저하함에 따라 밸브체(131a, 132a)가 스프링(131b, 132b)의 힘으로 도 6에 있어서 좌방향으로 이동하고, 파일럿 펌프(64)로부터의 파일럿압(Pp1)을 감압하여 수압실(129d, 130d)에 전달하여, 제 1 및 제 2 유압펌프(62, 63)의 토출유량(Q1, Q2)을 감소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상에 의하여 레귤레이터장치(71)의 제 1 서보밸브(131)에서는 상기한 펌프 컨트롤밸브(76)의 기능과 아울러 컨트롤밸브(65, 66)의 요구유량에 따른 토출유량(Q1)이 얻어지도록, 구체적으로는 센터 바이패스라인(75)으로부터 유입하여 펌프 컨트롤밸브(76)를 통과하는 유량이 최소가 되도록 제 1 유압펌프(62)의 사판(62A)의 경전(토출유량)을 제어하는, 이른바 네거티브 컨트롤이 실현된다.
또, 레귤레이터장치(72)의 제 1 서보밸브(132)에서는 상기한 펌프 컨트롤밸브(124)의 기능과 아울러, 컨트롤밸브(67, 68, 69, 70)의 요구유량에 따른 토출유량(Q2)이 얻어지도록, 구체적으로는 센터 바이패스라인(78a)으로부터 유입하여 펌프 컨트롤밸브(124)를 통과하는 유량이 최소가 되도록 제 2 유압펌프(63)의 사판(63A)의 경전(토출유량)을 제어하는, 이른바 네거티브 컨트롤이 실현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결과 실현되는 상기 펌프 컨트롤밸브(76, 124) 및 상기 레귤레이터(71, 72)에 의한 펌프 토출유량의 제어특성을 도 7 및 도 8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제 1 유압펌프(62)로부터 토출되어 센터 바이패스라인(75)을 거쳐 펌프 컨트롤밸브(76)의 피스톤 스로틀부분(76aa)으로 유도되는 상기 잉여유량(Qt1) 또는 제 2 유압펌프(63)로부터 토출되어 릴리프밸브(122)를 거쳐 펌프 컨트롤밸브(124)의 상기 피스톤 스로틀부분(124aa)으로 유도되는 상기 잉여유량(Qt2)과, 이때 펌프 컨트롤밸브(76, 124)의 상기 가변 릴리프밸브(76d, 124d)의 기능에 의하여 발생되는 상기 제어압력(Pc1, Pc2)과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 도 8은 상기 제어압력 (Pc1, Pc2)과 제 1 및 제 2 유압펌프(62, 63)의 펌프 토출유량(Q1, Q2)과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들 도 7 및 도 8에 있어서, 컨트롤밸브(65, 66)[또는 컨트롤밸브(67, 70,69, 68), 이하 대응관계 동일]의 요구유량이 많아 제 1 유압펌프(62)[또는 제 2 유압펌프(63)]로부터 펌프 컨트롤밸브(76)[또는 펌프 컨트롤밸브(124)]에의 잉여유량 (Qtl)[또는 잉여유량(Qt2)]이 전혀 없으면 제어압력(Pc1)[또는 제어압력(Pc2)]은 최대치(P1)가 되고(도 7에 있어서의 점 ①), 이 결과 도 8에 있어서의 점 ①'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펌프 토출유량(Q1)[또는 펌프 토출유량(Q2)]은 최대치(Qmax)가 된다.
컨트롤밸브(65, 66)[또는 컨트롤밸브(67, 70, 69, 68)]의 요구유량이 감소하여 제 1 유압펌프(62)[또는 제 2 유압펌프(63)]로부터 펌프 컨트롤밸브(76)[또는 펌프 컨트롤밸브(124)]에의 잉여유량(Qtl)(또는 Qt2)이 증가함에 따라, 도 7에 있어서 실선 A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압력(Pc1)[또는 제어압력(Pc2)]은 상기 최대치(P1)로부터 대략 직선적으로 감소하고, 이 결과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펌프 토출유량(Ql)[또는 펌프 토출유량(Q2)]도 상기 최대치(Qmax)로부터 대략 직선적으로 감소한다.
그리고 도 7에 있어서, 컨트롤밸브(65, 66)[또는 컨트롤밸브(67, 70, 69, 68)]의 요구유량이 더욱 감소하고 잉여유량(Qt1)(또는 Qt2)이 더욱 증가하여 제어압력(Pc1)(또는 Pc2)이 탱크압(PT)까지 감소하면(도 7에 있어서 점 ②), 도 8에 있어서 점 ②'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펌프 토출유량(Q1)[또는 펌프 토출유량(Q2)]은 최소값 (Qmin)이 되나, 이것 이후는 가변 릴리프밸브(76d, 124d)가 완전 개방상태가 되고, 잉여유량(Qt1)(또는 Qt2)이 증가하여도 제어압력(Pc1)(또는 Pc2)은 탱크압(PT) 그대로가 되어, 펌프 토출유량(Q1)(또는 Q2)도 최소값(Qmin) 그대로가 된다(도 8에 있어서의 점 ②').
이 결과, 상기한 바와 같이 컨트롤밸브(65, 66)의 요구유량에 따른 토출유량 (Q1)이 얻어지도록 제 1 유압펌프(62)의 사판(62A)의 경전을 제어하는 네거티브 컨트롤이나, 컨트롤밸브(67, 70, 69, 68)의 요구유량에 따른 토출유량(Q2)이 얻어지도록 제 2 유압펌프(63)의 사판(63A)의 경전을 제어하는 네거티브 컨트롤을 실현하도록 되어 있다.
도 4 내지 도 6으로 되돌아가, 제 2 서보밸브(133, 134)는 어느 것이나 입력 토오크제한 제어용 서보밸브이고, 서로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제 2 서보밸브(133, 134)는 제 1 및 제 2 유압펌프(62, 63)의 토출압(P1, P2)에 의하여 작동하는 밸브이고, 그들 토출압(P1, P2)이 제 1 및 제 2 유압펌프(62, 63)의 토출관로(74, 77)로부터 분기하여 설치된 토출압 검출관로(136a∼136c, l37a∼137c)를 거쳐 조작구동부(133a)의 수압실(133b, 133c) 및 조작구동부(134a)의 수압실(134c, 134b)로 각각 유도되도록 되어 있다.
즉, 제 1 및 제 2 유압펌프(62, 63)의 토출압의 합(P1 + P2)에 의하여 조작구동부(133a, 134a)에 작용하는 힘이 스프링(133d, 134d)으로 설정되는 스프링력에 의하여 밸브체(133e, 134e)에 작용하는 힘보다 작을 때는, 밸브체(133e, 134e)는 도 6에 있어서 우방향으로 이동하고, 파일럿 펌프(64)로부터 제 1 서보밸브(131, 132)를 거쳐 유도된 파일럿압(Pp1)을 감압하지 않고 경전 엑츄에이터(129, 130)의 수압실(129d, 130d)에 전달하고, 이것에 의하여 제 1 및 제 2 유압펌프(62, 63)의 사판(62A, 63A)의 경전을 크게 하여 토출유량을 크게 한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유압펌프(62, 63)의 토출압의 합(P1 + P2)에 의한 힘이 스프링(133d, 134d)의 스프링력 설정치에 의한 힘보다도 커짐에 따라 밸브체(133e, 134e)가 도 6에 있어서 좌방향으로 이동하여 파일럿 펌프(64)로부터 제 1 서보밸브(131, 132)를 거쳐 유도된 파일럿압(Pp1)을 감압하여 수압실(129d, 130d)에 전달하고, 이것에 의하여 제 1 및 제 2 유압펌프(62, 63)의 토출유량을 감소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상에 의하여 제 1 및 제 2 유압펌프(62, 63)의 토출압(P1, P2)이 상승함에 따라 제 1 및 제 2 유압펌프(62, 63)의 토출유량(Q1, Q2)의 최대치(Q1max, Q2max)가 작게 제한되고, 제 1 및 제 2 유압펌프(62, 63)의 입력 토오크의 합계를 엔진(61)의 출력 토오크 이하로 제한하도록 제 1 및 제 2 유압펌프(62, 63)의 사판(62A, 63A)의 경전이 제어되는 이른바 입력 토오크제한제어(마력제어)가 실현된다. 이때 더욱 상세하게는 제 1 유압펌프(62)의 토출압(P1)과 제 2 유압펌프(63)의 토출압(P2)과의 합에 따라, 제 1 및 제 2 유압펌프(62, 63)의 입력 토오크의 합계를 엔진(61)의 출력 토오크 이하로 제한하는 이른바 전 마력제어가 실현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유압펌프(62) 및 제 2 유압펌프(63)의 양쪽이 거의 동일한 특성으로 제어된다. 즉, 레귤레이터장치(71)의 제 2 서보밸브(133)에 있어서 제 1 유압펌프(62)를 제어할 때에 있어서의 제 1 및 제 2 유압펌프(62, 63)의 토출압의 합(P1 + P2)과 제 1 유압펌프(62)의 토출유량(Q1)의 최대치(Q1max)와의 관계와, 레귤레이터장치(72)의 제 2 서보밸브(134)에 있어서 제 2 유압펌프(63)를제어할 때에 있어서의 제 1 및 제 2 유압펌프(62, 63)의 토출압의 합(P1 + P2)과 제 2 유압펌프(63)의 토출유량(Q2)의 최대치(Q2max)와의 관계가, 서로 대략 동일한 관계(예를 들면 10% 정도의 폭으로)가 되도록, 또한 제 1 및 제 2 유압펌프(62, 63)의 토출유량(Q1, Q2)의 최대치(Q1max, Q2max)를 서로 대략 동일한 값(동일)으로 제한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조작반(73)은 파쇄장치(20)를 기동·정지시키기 위한 크러셔 기동·정지 스위치(73a)와, 파쇄장치(20)의 동작방향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방향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크러셔 정회전·역회전 선택 다이얼(73b)과, 피더(15)를 기동·정지시키기 위한 피더 기동·정지 스위치(73c)와, 배출 컨베이어(40)를 기동·정지시키기 위한 배출 컨베이어 기동·정지 스위치(73d)와, 자선기(55)를 기동·정지시키기 위한 자선기 기동·정지 스위치(73e)와, 주행조작을 행하는 주행 모드 및 파쇄작업을 행하는 파쇄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선택 스위치(73f)를 구비하고 있다.
조작자가 상기 조작반(73)의 각종 스위치 및 다이얼의 조작을 행하면, 그 조작신호가 상기한 컨트롤러(84")에 입력된다. 컨트롤러(84")는 조작반(73)으로부터의 조작신호에 의거하여 상기한 파쇄장치용 컨트롤밸브(65), 피더용 컨트롤밸브(68), 배출 컨베이어용 컨트롤밸브(69), 자선기용 컨트롤밸브(70) 및 솔레노이드제어밸브(85)의 솔레노이드구동부(65a, 65b), 솔레노이드구동부(68a), 솔레노이드구동부(69a), 솔레노이드구동부(70a) 및 솔레노이드(85a)에의 상기한 구동신호(Scr, Sf, Sc온, Sm, St)를 생성하고, 대응하는 솔레노이드에 그것들을 출력하도록 되어있다.
즉, 조작반(73)의 모드선택 스위치(73f)로 「주행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솔레노이드제어밸브(85)에의 구동신호(St)를 온으로 하여 솔레노이드제어밸브(85)를 도 6에 있어서 좌측의 연통위치(85A)로 전환하고, 조작레버(36a, 37a)에 의한 주행용 컨트롤밸브(66, 67)의 조작을 가능하게 한다. 조작반(73)의 모드선택 스위치(73f)로「파쇄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솔레노이드제어밸브(85)에의 구동신호(St)를 오프로 하여 도 6에 있어서 우측의 차단위치(85B)로 복귀시키고, 조작레버(36a, 37a)에 의한 주행용 컨트롤밸브(66, 67)의 조작을 불가능하게 한다.
또, 조작반(73)의 크러셔 정회전·역회전 선택 다이얼(73b)로 「정회전」(또는 「역회전」, 이하, 대응관계 동일)이 선택된 상태에서 크러셔 기동·정지 스위치(73a)가 「기동」측으로 눌러진 경우, 파쇄장치용 컨트롤밸브(65)의 솔레노이드구동부(65a)[또는 솔레노이드구동부(65b)]에의 구동신호(Scr)를 온으로 함과 동시에 솔레노이드구동부(65b)[또는 솔레노이드구동부(65a)]에의 구동신호(Scr)를 오프로 하고, 파쇄장치용 컨트롤밸브(65)를 도 4에 있어서 상측의 전환위치(65A)[또는 하측의 전환위치(65B)]로 전환하고, 제 1 유압펌프(62)로부터의 압유를 파쇄장치용 유압모터(21)에 공급하여 구동하고, 파쇄장치(20)를 정회전방향(또는 역회전방향)으로 기동한다.
그후, 크러셔 기동·정지 스위치(73a)가 「정지」측으로 눌러진 경우, 파쇄장치용 컨트롤밸브(65)의 솔레노이드구동부(65a) 및 솔레노이드구동부(65b)에의 구동신호(Scr)를 모두 오프로 하여 도 4에 나타내는 중립위치로 복귀시키고, 파쇄장치용 유압모터(21)를 정지하여 파쇄장치(20)를 정지시킨다.
또, 조작반(73)의 피더 기동·정지 스위치(73c)가 「기동」측으로 눌러진 경우, 피더용 컨트롤밸브(68)의 솔레노이드구동부(68a)에의 구동신호(Sf)를 온으로 하여 도 5에 있어서 상측의 전환위치(68A)으로 전환하고, 제 2 유압펌프(63)로부터의 압유를 피더용 유압모터(19)에 공급하여 구동하고, 피더(15)를 기동한다. 그후 조작반(73)의 피더 기동·정지 스위치(73c)가 「정지」측으로 눌러지면, 피더용 컨트롤밸브(68)의 솔레노이드구동부(68a)에의 구동신호(Sf)를 오프로 하여 도 5에 나타내는 중립위치로 복귀시키고, 피더용 유압모터(19)를 정지하여 피더(15)를 정지시킨다.
마찬가지로 배출 컨베이어 기동·정지 스위치(73d)가 「기동」측으로 눌러진 경우, 배출 컨베이어용 컨트롤밸브(69)를 도 5에 있어서 상측의 전환위치(69A)로 전환하고, 배출 컨베이어용 유압모터(48)를 구동하여 배출 컨베이어(40)를 기동하고, 배출 컨베이어 기동·정지 스위치(73d)가 「정지」측으로 눌러지면 배출 컨베이어용 컨트롤밸브(69)를 중립위치로 복귀시키고, 배출 컨베이어(40)를 정지시킨다.
또, 자선기 기동·정지 스위치(73e)가 「기동」측으로 눌러진 경우, 자선기용 컨트롤밸브(70)를 도 5에 있어서 상측의 전환위치(70A)로 전환하고, 자선기용 유압모터(60)를 구동하여 자선기(55)를 기동하고, 자선기 기동·정지 스위치(73e)가 「정지」측으로 눌러지면 자선기용 컨트롤밸브(70)를 중립위치로 복귀시키고, 자선기(55)를 정지시킨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의 가장 큰 특징은, 제 1 및 제 2 유압펌프(62, 63)의 토출압을 각각 검출함으로써 엔진의 부하상황을 검출하고, 이 토출압의 평균치가 소정의 한계치 이상이 된 경우에 엔진(61)의 회전수를 증대시키는 것이다. 이하, 이 상세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6에 있어서, 138은 엔진(61)에 연료를 분사하는 연료분사장치(거버너), 139는 상기 연료분사장치(138)의 연료분사량을 제어하는 연료분사제어장치이다. 또 151, 152는 압력센서이고, 이들 압력센서(151 및 152)는 제 1 유압펌프(62)의 토출관로(74)로부터 분기되어 설치한 도압관로(153)와 제 2 유압펌프(63)의 토출관로(77)로부터 분기되어 설치한 도압관로(154)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또는 도 6에 있어서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토출압 검출관로(136b, 137c) 등에 설치하여도 좋다]. 이들 압력센서(151, 152)는 검출한 제 1 및 제 2 유압펌프(62, 63)의 토출압(P1, P2)을 컨트롤러(84")에 각각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이들 토출압(P1, P2)을 입력한 컨트롤러(84")는, 이 입력된 토출압(P1, P2)에 따라 연료분사제어장치(139)에 마력증대신호(Sen')를 출력하고, 연료분사제어장치(139)는 이 입력된 마력증대신호(Sen')에 따라 연료분사장치(138)로부터 엔진(61)에의 연료분사량을 증가시키는 마력증대제어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
도 9는 컨트롤러(84")의 기능 중, 이때의 엔진(61)의 마력증대제어에 관한 제어내용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또한 컨트롤러(84")는 예를 들면 조작자에 의해 전원이 투입됨으로써 이 도 9에 나타내는 플로우를 개시하고, 전원을 오프로 함으로써 이 플로우를 종료하도록 되어 있다.
이 도 9에 있어서, 먼저 단계 410에서는 엔진(61)이 컨트롤러(84")에 의하여 마력증대제어되어 있는 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제어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0으로 클리어하고, 다음 단계 420으로 이행한다.
단계 420에서는 압력센서(151, 152)가 검출한 제 1 및 제 2 유압펌프(62, 63)의 토출압(P1, P2)을 각각 입력하고, 다음 단계 430로 이행한다.
단계 430에서는 상기 단계 420에서 입력한 토출압(P1, P2)의 평균치(P1 + P2) /2를 산출하고, 이 값이 한계치(P0)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또한 이 한계치 (P0)는 엔진(61)에 대한 부하가 증대하여 제 1 유압펌프(62)의 토출유량(Q1)이 감소할 때(즉 파쇄효율이 저하하기 시작할 때)의 제 1 및 제 2 유압펌프의 토출압(P1 및 P2)의 평균치이며, 예를 들면 컨트롤러(84")에 미리 기억(또는 적절히 외부 단말에 의하여 설정 입력하여도 좋다)되어 있는 것이다. 토출압(P1, P2)의 평균치가 한계치(P0) 이상인 경우에는 판정이 만족되어, 다음 단계 440으로 이행한다.
단계 440에서는 상기 플래그가 엔진(61)의 마력증대제어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0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플래그가 1이면 판정이 만족되지 않아, 단계 420으로 되돌아간다. 한편 플래그가 0이면 판정이 만족되어, 다음 단계 450으로 이행한다.
단계 450에서는 토출압(P1, P2)의 평균치(P1+P2)/2가 상기 한계치(P0) 이상 인 상태가 소정의 시간 계속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또한 이 소정의 시간은 예를 들면 컨트롤러(84")에 미리 기억(또는 적절히 외부 단말에 의하여 설정 입력하여도 좋다)되어 있는 것이다.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판정이 만족되지 않아, 단계 420으로 되돌아간다. 한편,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는 판정이 만족되어, 다음 단계 460으로 이행한다.
단계 460에서는 컨트롤러(84")가 연료분사제어장치(139)에 마력증대신호 (Sen')를 출력함으로써, 연료분사제어장치(139)가 연료분사장치(138)로부터 엔진(61)에의 연료분사량을 증가시키고, 이에 의하여 엔진(61)의 회전수를 증대시킨다.
다음 단계 470에서 플래그를 엔진(61)이 마력증대제어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1로 하고, 단계 420으로 되돌아간다.
한편, 앞의 단계 430에 있어서, 토출압(P1, P2)의 평균치가 한계치(P0)보다 작은 경우에는 판정이 만족되지 않아, 단계 480으로 이행한다.
단계 480에서는 플래그가 엔진(61)의 마력증대제어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1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플래그가 0이면 판정은 만족되지 않아, 단계 420으로 되돌아간다. 한편 플래그가 1이면 판정이 만족되어, 다음 단계 490으로 이행한다.
단계 490에서는 토출압(P1, P2)의 평균치[(P1+P2)/2]가 한계치(P0)보다 작은 상태가 소정의 시간 계속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또한 이 소정의 시간은 예를 들면 컨트롤러(84')에 미리 기억(또는 적절히 외부단말에 의해 설정 입력하여도 좋다)되어 있는 것이다.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판정이 만족되지 않아, 단계 420으로 되돌아간다. 한편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는 판정이 만족되어, 다음 단계 500으로 이행한다.
단계 500에서는 컨트롤러(84")가 연료분사제어장치(139)에 출력하는 마력증대신호(Sen')를 오프로 함으로써, 연료분사제어장치(139)가 연료분사장치(138)로부터 엔진(61)에의 연료분사량을 원래의 분사량으로 되돌리고, 이에 의하여 엔진(61)의 회전수를 증대 전의 회전수로 복귀시킨다.
이상에 있어서, 피더(15), 배출 컨베이어(40) 및 자선기(55)는 특허청구의 범위 각 항에 기재된 파쇄장치에 의한 파쇄작업에 관련되는 작업을 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기계를 구성하고, 피더용 유압모터(19), 배출 컨베이어용 유압모터(48) 및 자선기용 유압모터(60)는 보조기계를 구동하는 보조기계용 유압 엑츄에이터를 구성한다. 또 제 1 유압펌프(62)는 파쇄장치용 유압모터를 구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압펌프를 구성함과 동시에 파쇄장치용 유압모터를 구동하는 제 1 유압펌프를 구성하고, 제 2 유압펌프(63)는 보조기계용 유압 엑츄에이터를 구동하는 제 2 유압펌프를 구성한다.
또, 압력센서(151)는 파쇄장치의 부하상황을 검출하는 파쇄장치 부하검출수단을 구성함과 동시에, 이 압력센서(151)와 토출압 검출관로(136a∼136c)가 제 1 유압펌프의 토출압을 검출하는 제 1 토출압 검출수단을 구성하고, 토출압 검출관로(137a∼137c) 및 압력센서(152)는 제 2 유압펌프의 토출압을 검출하는 제 2 토출압 검출수단을 구성한다. 또 컨트롤러(84")는 파쇄장치 부하검출수단의 검출신호에 의거하여 원동기의 회전수를 증대시키는 제어를 행하는 제어수단을 구성함과 동시에, 이 컨트롤러(84")와 레귤레이터장치(71, 72)가 제 1 유압펌프와 제 2 유압펌프의 입력 토오크의 합계가 원동기의 출력 토오크 이하가 되도록 제 1 토출압 검출수단의 검출신호와 제 2 토출압 검출수단의 검출신호에 의거하여 제 1 유압펌프와 제 2 유압펌프의 토출유량을 제어함과 동시에, 제 1 토출압 검출수단과 제 2 토출압 검출수단과의 검출신호에 의거하여 원동기의 회전수를 증대시키는 제어를 행하는 제어수단을 구성한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본 발명의 자주식 파쇄기의 일 실시형태의 동작을 이하에 설명한다.
상기 구성의 자주식 파쇄기에 있어서, 파쇄작업시에는 조작자는 조작반(73)의 모드선택 스위치(73f)로 「파쇄모드」를 선택하여 주행조작을 불가능하게 한 후, 자선기 기동·정지 스위치(73e), 배출 컨베이어 기동·정지 스위치(73d), 크러셔 기동·정지 스위치(73a) 및 피더 기동·정지 스위치(73c)를 순차 「기동」측으로 누른다.
상기한 조작에 의하여 컨트롤러(84)로부터 자선기용 컨트롤밸브(70)의 솔레노이드 구동부(70a)에의 구동신호(Sm)가 온이 되어 자선기용 컨트롤밸브(70)가 도 5에 있어서 상측의 전환위치(70A)로 전환되고, 또 컨트롤러(84)로부터 배출 컨베이어용 컨트롤밸브(69)의 솔레노이드 구동부(69a)에의 구동신호(Sc온)가 온이 되어 배출 컨베이어용 컨트롤밸브(69)가 도 5에 있어서 상측의 전환위치(69A)로 전환된다. 또한 컨트롤러(84)로부터 파쇄장치용 컨트롤밸브(65)의 솔레노이드 구동부(65a)에의 구동신호(Scr)가 온이 됨과 동시에 솔레노이드 구동부(65b)에의 구동신호(Scr)가 오프가 되고, 파쇄용 컨트롤밸브(65)가 도 4에 있어서 상측의 전환위치(65A)로 전환되고, 또 피더용 컨트롤밸브(68)의 솔레노이드 구동부(68a)에의 구동신호(Sf)가 온이 되어 피더용 컨트롤밸브(68)가 도 5에 있어서 상측의 전환위치(68A)로 전환된다.
이에 의하여 제 2 유압펌프(63)로부터의 압유가 센터 바이패스라인(78a) 및 센터라인(78b)에 도입되고, 다시 자선기용 유압모터(60), 배출 컨베이어용 유압모터(48) 및 피더용 유압모터(19)에 공급되어, 자선기(55), 배출 컨베이어(40) 및 피더(15)가 기동된다. 한편 제 1 유압펌프(62)로부터의 압유가 파쇄장치용 유압모터(65)에 공급되어 파쇄장치(20)가 정회전방향으로 기동된다.
그리고 예를 들면 유압셔블 등에 의하여 호퍼(12)에 피파쇄물을 투입하면, 호퍼(12)로 받아 들여진 피파쇄물은 피더(15)에 의하여 반송된다. 이때 빗살형 플레이트(17)의 빗살 사이의 간극보다도 작은 것(광재 등)은, 빗살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슈트(14)를 거쳐 배출 컨베이어(40) 상으로 유도되고, 그것보다 큰 것은 파쇄장치(20)로 반송된다. 파쇄장치(20)에 반송된 피파쇄물은 고정톱니 및 움직이는 톱니에 의하여 소정의 입도로 파쇄되어, 아래쪽의 배출 컨베이어(40)상으로 낙하한다. 배출 컨베이어(40)상으로 유도된 파쇄물이나 광재 등은, 후방(도 1에 있어서 우측)을 향하여 반송되고, 그 도중에 자선기(55)에 의하여 철근 등의 이물을 흡착 제거한 다음에, 최종적으로 기기밖으로 배출된다.
이와 같은 순서로 행하여지는 파쇄작업에 있어서, 상기한 바와 같이 조작자에 의하여 컨트롤러(84)의 전원이 투입된 시점으로부터 컨트롤러(84")는 도 9의 플로우에 나타내는 엔진마력증대제어를 개시한다.
즉, 단계 410에서 플래그를 0으로 한 후, 단계 420에서 압력센서(151, 152)로부터 출력되는 제 1 및 제 2 유압펌프(62, 63)의 토출압(P1, P2)을 입력하고, 단계 430에서 이들 토출압(P1, P2)의 평균치가 한계치(P0)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때 엔진(61)에 대한 부하가 통상의 부하량인 경우에는, 제 1 및 제 2 유압펌프 토출압 (P1, P2)의 평균치가 한계치(P0)보다 작아지기 때문에 단계 430의 판정이 만족되지 않고, 또 플래그가 0이기 때문에 다음 단계 480의 판정도 만족되지 않고 단계 420으로 되돌아간다. 이와 같이 통상의 엔진부하에 의해 파쇄작업이 행하여지고 있는 동안은 상기 단계 420 → 단계 430 → 단계 480 → 단계 420을 반복한다.
여기서, 예를 들면 피파쇄물(파쇄원료)의 과잉공급 등의 원인에 의하여 파쇄작업 중에 파쇄장치용 유압모터(21)의 부하압력이 커지고, 이것에 의하여 엔진(61)에 대한 부하가 상승한 경우, 제 1 및 제 2 유압펌프(62, 63)의 토출압(P1, P2)의 평균치가 한계치(P0) 이상이 되어, 상기 단계 430의 판정이 만족된다. 이때 플래그는 0 이기 때문에 다음 단계 440의 판정이 만족되어 단계 450으로 이행하여, 소정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단계 450 → 단계 420 ∼ 단계 450을 반복한다. 이와 같이 하여 토출압(P1, P2)의 평균치가 한계치(P0) 이상인 상태가 소정시간 계속되면, 단계 450의 판정이 만족되어 단계 460으로 이행하고, 컨트롤러(84")가 연료분사제어장치(139)에 마력증대신호(Sen')를 출력함으로써 연료분사제어장치(139)는 연료분사장치(138)로부터 엔진(61)에의 연료분사량을 증대시키고, 이에 의하여 엔진(61)의 회전수가 증대한다. 그리고 다음 단계 470에서 플래그를 1로 한다.
이와 같이 하여 컨트롤러(84")에 의한 엔진마력증대제어가 행하여지면, 단계 420∼단계 440 → 단계 420을 반복하면서 엔진(61)의 회전수가 증대한 상태에서 파쇄작업이 행하여진다. 이와 같이 파쇄작업이 행하여짐에 따라 토출압(P1, P2)의 평균치가 한계치(P0)보다 작아지면, 단계 430의 판정이 만족되지 않고 단계 480으로 이행되고, 플래그가 1 로 되어 있기 때문에 단계 480의 판정이 만족되어 단계 490으로 이행한다. 여기서 토출압(P1, P2)의 평균치가 한계치(P0)보다 작은 상태가 소정시간 계속될 때까지, 단계 490 →단계 420 →단계 430 →단계 480 →단계 490을 반복하고, 소정시간 경과하면 단계 490의 판정이 만족되어 다음 단계 500으로 이행한다. 이 단계 500에서 컨트롤러(84")는 연료분사제어장치(139)에 출력하고 있는 마력증대신호(Sen')를 오프로 하고, 이에 의하여 연료분사장치(138)로부터 엔진(61)에의 연료분사량이 원래의 분사량으로 되돌아가고, 엔진(61)의 회전수는 원래의 회전수로 복귀한다. 그리고 다음 단계 510에서 플래그를 0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 및 동작인 본 발명의 자주식 파쇄기의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전 마력제어를 행함으로써 제 1 및 제 2 유압펌프(62, 63)에 그것들의 부하의 차에 따라 엔진(61)의 마력을 배분하여 엔진마력을 유효 사용하여 효율좋게 파쇄작업을 행한다. 이때 예를 들면 피파쇄물(파쇄원료)의 과잉공급 등의 원인에 의하여 파쇄작업 중에 파쇄장치용 유압모터(21)의 부하압력이 커져, 전 마력제어에 의하여 제 1 유압펌프(62)측의 엔진마력 배분을 증가시켜도 따를 수 없고, 엔진마력이 부족되어 파쇄장치용 유압모터(21)의 회전수가 저하하는 바와 같은 경우에는 압력센서(151, 152)가 제 1 및 제 2 유압펌프(62, 63)의 토출압(P1, P2)을 각각 검출함으로써 엔진(61)의 과부하상태를 검출하고, 컨트롤러(84")가 연료분사제어장치(139)에 마력증대신호(Sen')를 출력함으로써 연료분사장치(138)로부터 엔진(61)에의 연료분사량을 증가시켜 엔진(61)의 회전수를 증대시킨다. 이에 의하여 엔진과부하시[즉 파쇄장치(20)의 과부하시]에 엔진(61)의 회전수를 증대시켜 엔진마력을 증대시켜, 파쇄장치용 유압모터(21)의 회전수가 저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자주식 파쇄기의 파쇄효율이 저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및 제 2 유압펌프(62, 63)의 각각이 자신의 토출압(P1, P2) 및 서로의 토출압(P2, P1)의 양쪽에 따라 전 마력제어되도록 하였으나,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전 마력제어가 행하여지지 않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즉, 예를 들면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서보밸브(133)에는 제 1 및 제 2 유압펌프(62, 63)의 토출압(P1, P2)의 양쪽이 토출압 검출관로(136a 및 137a, 137b)를 거쳐 도압되고, 제 2 서보밸브(134')에는 제 2 유압펌프(63)의 토출압(P2)만이 토출압 검출관로(137a 및 137c)를 거쳐 도압되도록 하고, 제 1 유압펌프(62)에 대해서는 토출압(P1, P2)에 따라, 제 2 유압펌프(63)에 대해서는 자신의 토출압(P2)만을 따라 경전제어하도록 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본 변형예에 있어서, 레귤레이터(71, 72')는 제 1 유압펌프와 제 2 유압펌프의 토출유량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성한다.
또, 본 발명을 엔진회전수(N)의 증감에 따라 제 1 및 제 2 유압펌프(62, 63)의 입력 토오크를 제어하는 이른바 스피드 센싱제어를 행하는 자주식 파쇄기에 적용하여도 좋다. 이하, 이 제 2 변형예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스피드 센싱제어기능을 구비한 컨트롤러(84')의 기능을 나타내는 기능 블럭도이다. 이 도 11에 있어서 컨트롤러(84')는 구동제어부(84'a)와, 스피드 센싱제어부(84'b)와, 엔진제어부(84'c)를 구비하고 있다. 구동제어부(84'a)는 상기 조작반(73)으로부터 각종 조작신호가 입력되면, 이들 조작신호에 의거하여 구동신호(Scr, Sc온, Sm, Sf, St)를 생성하고, 그것들을 대응하는 솔레노이드에 각각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스피드 센싱제어부(84'b)는 회전수센서(140)로부터 엔진(61)의 회전수(N)를 입력하고, 이 엔진회전수(N)에 따라 마력 감소신호(Sp)를 뒤에서 설명하는 마력 감소용 솔레노이드제어밸브(141)의 솔레노이드(141a)에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도 12는 이때의 엔진회전수(N)와 스피드 센싱제어부(84'b)가 출력하는 마력 감소신호(Sp)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도 12에 있어서, 스피드 센싱제어부(84'b)는 엔진회전수(N)가 목표 엔진회전수(Nt) 이상인 경우는 마력 감소신호(Sp)를 일정출력(예를 들면 일정한 전류치)으로 출력하고, 목표 엔진회전수(Nt)보다 이하인 경우는 엔진회전수(N)가 작아짐에 따라 마력 감소신호(Sp)의 출력을 대략 비례하여 작게 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목표 엔진회전수(NL)는 예를 들면 컨트롤러(84')에 미리 기억(또는 적절히 외부 단말에 의하여 설정 입력하여도 좋다)되어 있는 것이다.
도 13은 본 변형예에 있어서의 유압구동장치의 제 1 및 제 2 유압펌프(62,63) 주위의 구성을 나타내는 유압회로도이다.
이 도 13에 있어서, 141은 마력 감소용 솔레노이드제어밸브이고, 이 마력 감소용 솔레노이드제어밸브(141)는 비례 전자밸브이다. 즉, 엔진(61)에 대한 부하가 작고 엔진회전수(N)가 목표 엔진회전수(Nt)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컨트롤러(84')의 스피드 센싱제어부(84'b)로부터 상기 마력 감소용 솔레노이드제어밸브(141)의 솔레노이드(141a)에 마력 감소신호(Sp)를 일정 출력할 수 있고, 이 마력감소 솔레노이드제어밸브(141)는 도 13에 있어서 아래쪽의 차단위치(141A)가 된다. 이에 의하여 도입관로(142b, 142c)와 탱크(86)가 연통되고, 도입관로(142b, 142c)를 거쳐 조작 구동부(133'a, 134“a)의 수압실(133'f, 134“f) 내로 유도되는 파일럿압[마력 감소용 파일럿압(Pp2)]은 탱크압이 되기 때문에, 제 2 서보밸브(133', 134“)의 밸브체(133'e, 134“e)가 도 13에 있어서 우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경전 엑츄에이터(129, 130)의 수압실(129d, 130d)의 압력이 증가하고, 상기 작동 피스톤(129c, 130c)이 도 13에 있어서 우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사판(62A, 63A)의 경전이 각각 커져 펌프 토출유량(Q1, Q2)이 증가한다. 이와 같이 엔진(61)에 대한 부하가 작고 엔진회전수(N)가 목표 엔진회전수(Nt) 이상인 경우에는, 제 1 및 제 2 펌프(62, 63)의 입력 토오크가 커지도록 되어 있다.
한편, 엔진(61)에 대한 부하가 커져 엔진회전수(N)가 목표 엔진회전수(Nt)를 하회하는 경우에는 스피드 센싱제어부(84'b)로부터 마력 감소용 솔레노이드제어밸브(141)의 솔레노이드(141a)에 입력되는 마력 감소신호(Sp)의 출력이 엔진회전수(N)의 감소와 대략 비례하여 작아지고, 마력 감소용 솔레노이드제어밸브(141)는 도16에 있어서 상측의 연통위치(141B)로 전환된다. 이때 입력되는 마력 감소신호(Sp)의 출력이 작아짐에 따라 도입관로(142a)와 도입관로(142b, 142c)의 연통 개방도가 커지고, 그것에 따라 도입관로(142a)로부터의 파일럿압이 도입관로(142b, 142c)로 유도되어, 도입관로(142b, 142c) 내의 파일럿압[마력 감소 파일럿압(Pp2)]이 점차로 커진다. 도 14(a)는 이때의 마력 감소신호(Sp)의 출력과 도입관로(142b, 142c) 내의 마력 감소 파일럿압(Pp2)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도 1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력 감소신호(Sp)의 출력이 작아짐에 따라 마력 감소 파일럿압(Pp2)은 대략 반비례하여 커진다. 이 마력 감소 파일럿압(Pp2)은 도입관로(142b, 142c)로부터 조작 구동부(133'a, 134“a)의 수압실(133'f, 134"f) 내로 유도되고, 이에 의하여 제 2 서보밸브(133', 134“)의 밸브체(133'e, 134“e)가 도 13에 있어서 좌방향으로 이동하여 경전 엑츄에이터 수압실(129d, 130d)의 압력이 저하하고, 작동 피스톤(129c, 130c)은 도 13에 있어서 좌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사판(62A, 63A)의 경전이 각각 작아져 펌프토출유량(Q1, Q2)이 감소한다. 이와 같이 엔진(61)에 대한 부하가 커져 엔진회전수(N)가 목표 엔진회전수(Nt) 이하가 되는 경우에는, 제 1 및 제 2 펌프(62, 63)의 입력 토오크가 작아지도록 되어 있다. 도 14(b)는 이 때의 마력 감소 파일럿압(Pp2)과 제1 및 제 2 유압펌프(62, 63)의 입력 토오크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이 도 1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력 감소 파일럿압(Pp2)이 커짐에 따라 제 1 및 제 2 유압펌프(62, 63)의 입력 토오크가 대략 반비례하여 작아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예를 들면 제 1 유압펌프(62)의 부하가 커져 엔진(61)이과부하가 되어 회전수(N)가 저하하면, 도 15(a)에 있어서 화살표 (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부하가 큰 제 1 유압펌프(62)의 특성을 고토오크측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도 15(b)에 있어서 화살표 (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부하가 작은 제 2 유압펌프(63)의 특성을 저토오크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엔진(61)의 마력을 유효 이용하고, 또 제 1 및 제 2 유압펌프(62, 63)의 입력 토오크의 합계를 엔진(61)의 출력 토오크보다 작게 하여 엔진(61)에 대한 부하를 작게 함으로써 엔진스톨을 방지하는 스피드 센싱제어가 실현된다.
이 스피드 센싱제어에 의하여 도 15(c)에 있어서 화살표가 (다) 또는 화살표 (라)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유압펌프(62)의 토출유량(Q1)이 감소할 때(즉 파쇄효율이 저하하기 시작할 때)의 제 1 및 제 2 유압펌프(62, 63)의 토출압(P1, P2)의 평균치[(P1+P2)/2]는 변동한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는 상기한 스피드 센싱제어부(84'b)가 이 변동하는 토출압(P1, P2)의 평균치를 한계치(P0')로 하여 뒤에서 설명하는 엔진제어부(84'c)에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도 11참조).
이때 스피드 센싱제어부(84'b)로부터 한계치(P0')를 입력받은 엔진제어부(84'c)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력센서(151, 152)로부터 출력되는 제 1 및 제 2 유압펌프(62, 63)의 토출압(P1, P2)을 입력하고, 이 토출압(P1, P2)의 평균치가한계치(P0')보다 큰 경우에 연료분사제어장치(139)에 마력증대신호(Sen")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도 16은 이때의 컨트롤러(84')의 엔진제어부(84'c)의 엔진마력증대제어에 관계되는 제어내용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이 도 16에 나타내는 엔진제어부(84'c)의 마력증대제어는 상기한 일 실시형태의 도 9에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에 있어서의 단계 430의 한계치(P0)를 상기 한계치 (P0')로 치환한 것으로, 그 제어내용은 도 9의 제어내용과 대략 동등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변형예에 있어서, 컨트롤러(84')는 파쇄장치 부하검출수단의 검출신호에 의거하여 원동기의 회전수를 증대시키는 제어를 행하는 제어수단을 구성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서는 압력센서(151, 152)가 검출하는 제 1 및 제 2 유압펌프(62, 63)의 토출압(P1, P2)의 평균치가 스피드 센싱제어에 의하여 변동되는 한계치(P0')보다 큰 경우에, 엔진(61)의 회전수를 증대시켜 엔진마력을 증대한다. 따라서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파쇄장치의 부하가 증대하여 엔진이 과부하상태가 되었을 때의 파쇄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자주식 파쇄기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 17 내지 도 2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는 슈레더형의 파쇄장치를 구비하는 자주식 파쇄기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것으로, 그 유압구동장치는 파쇄장치용 유압모터에 압유를 공급하는 2개의 유압펌프와, 보조기계용 유압모터에 압유를 공급하는 하나의 유압펌프를 합하여 3개의 가변 용량형 유압펌프를 구비하는 것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자주식 파쇄기의 다른 실시형태의 전체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8은 도 17에 나타낸 자주식 파쇄기의 상면도이다.
이들 도 17 및 도 18에 있어서, 161은 예를 들면 유압셔블의 버킷 등의 작업구에 의하여 피파쇄물이 투입되고, 그 피파쇄물을 받아 들이는 호퍼, 162는 호퍼(161)에 받아 들인 피파쇄물을 전단하여 소정의 크기로 파쇄하여 아래쪽으로 배출하는 전단식의 파쇄장치(본 예에서는 2축 슈레더), 163은 호퍼(161) 및 파쇄장치(162)를 탑재한 파쇄기 본체, 164는 이 파쇄기 본체(163)의 아래쪽에 설치된 주행체, 165는 파쇄장치(162)로 파쇄되어 아래쪽으로 배출된 파쇄물을 받아 들여 자주식 파쇄기의 후방측(도 17 및 도 18 중 우측)으로 운반하여 반출하는 배출 컨베이어, l66은 이 배출 컨베이어(165)의 위쪽에 설치되어 배출 컨베이어(165)상을 반송 중인 파쇄물에 포함되는 자성물(철근 등)을 자기적으로 흡인제거하는 자선기이다.
상기한 주행체(164)는 본체 프레임(167)과, 주행수단으로서의 좌·우측 무한 궤도 크롤러벨트(168)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 프레임(167)은 예를 들면 대략 장방형의 프레임체에 의하여 형성되고, 파쇄장치(l62), 호퍼(161) 및 파워유닛(170)(뒤에서 설명) 등을 탑재하는 파쇄기 설치부(167A)와, 이 파쇄기 설치부(167A)와 좌·우측 무한궤도 크롤러벨트(168)를 접속하는 트랙 프레임부(167B)로 구성된다. 또 무한궤도크롤러벨트(168)는 구동륜(172a)과 종동륜(아이들러)(172b)의 사이에 놓여져 있고, 구동륜(172a)측에 설치된 좌·우측 주행용 유압모터(176, 177)[단, 도 17에는 좌측 주행용 유압모터(176)만 도시]에 의하여 구동력이 주어짐으로써 자주식 파쇄기를 주행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파쇄장치(162)는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 프레임 파쇄기 설치부(167A)의 길이방향 전방측(도 17 및 도 18 에 있어서 좌측) 끝부에탑재되어 있고, 호퍼(161)는 파쇄장치(162)의 더욱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 파쇄장치(162)는 2축 전단기(이른바 슈레더, 전단식 파쇄장치)이고, 스페이서(162a)를 거쳐 커터(회전톱니)(162b)를 빗살형상으로 소정간격으로 설치한 2개의 회전축(도시생략)을, 서로 대략 평행하고 또한 커터(162b)가 교대로 맞물리도록 배치하고 있다. 그리고 그들 회전축을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호퍼(161)로부터 공급된 피파쇄물을 커터(162b, 162b)의 사이에 맞물리게 하여 가는 조작형상으로 물어 끊도록 전단하여, 소정의 크기로 파쇄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회전축에의 구동력은 본체 프레임 파쇄기 설치부(167A)상의 파쇄장치(162)보다 후방측(즉 본체 프레임 파쇄기 설치부(167A)의 길이방향 중간부)에 설치한 구동장치(175) 내의 가변 용량형의 파쇄장치용 유압모터(169)로부터의 구동력을, 도시 생략한 기어기구로 분배함으로써 각 구동축에 주어진다.
상기한 배출 컨베이어(165)는 프레임(165a)에 지지되어 배출 컨베이어용 유압모터(174)로 구동되는 구동륜(171)과, 종동륜(아이들러, 도시생략)과, 이들 구동륜(171) 및 종동륜의 사이에 감아 설치된 컨베이어벨트(165b)를 구비하고 있고, 컨베이어벨트(165b)를 순환 구동함으로써 파쇄장치(162)로부터 컨베이어벨트(165b)상으로 낙하하여 온 파쇄물을 운반하여, 반송측(도 17 및 도 18에 있어서 우측) 끝부로부터 배출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자선기(166)는 컨베이어벨트(165b)의 위쪽에 이 컨베이어벨트(165b)와 대략 직교하도록 설치된 자선기 벨트(166a)를, 자선기용 유압모터(173)에 의하여 자력발생수단(도시생략) 주위로 구동함으로써, 자력발생수단으로부터의 자력을자선기벨트(166a) 너머로 작용시켜 자성물을 자선기벨트(166a)에 흡착시킨 후 컨베이어벨트(165b)와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반송하여, 배출 컨베이어(165)의 프레임(165a)에 설치한 슈트(165c)를 거쳐 컨베이어벨트(165b)의 옆쪽으로 낙하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본체 프레임 파쇄기 설치부(167A)의 길이방향 후방측(도 17 및 도 18에 있어서 우측) 끝부의 상부에는 파워유닛 적재부재(170a)를 거쳐 파워유닛(170)이 탑재되어 있다. 이 파워유닛(170)은, 좌·우측 주행용 유압모터(176, 177), 파쇄장치용 유압모터(169), 배출 컨베이어용 유압모터(174) 및 자선기용 유압모터(173) 등의 유압 엑츄에이터에 압유를 토출하는 제 1 유압펌프 ∼ 제 3 유압펌프(179A∼179C)(도시생략, 뒤에서 설명하는 도 19 참조)와, 파일럿 펌프(185)(도 19 참조)와, 이들 유압펌프(179A∼179C, 185)를 구동하는 원동기로서의 엔진(181)(도 19 참조)과, 상기 유압펌프(179A∼179C, 185)로부터 상기 유압 엑츄에이터에 공급되는 압유의 흐름을 각각 제어하는 복수의 컨트롤밸브(뒤에서 설명)를 구비한 제어밸브장치(180A∼180C)(도 19 참조) 등을 내장하고 있다.
또, 파워유닛(170)의 전방측(도 17 및 도 18에 있어서 좌측)에는, 조작자가 탑승하는 운전석(178)이 설치되어 있고, 조작자가 이 운전석(178)에 서는 것에 의하여 파쇄작업 중에 있어서 파쇄장치(162)에 의한 파쇄상황을 어느 정도 감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파쇄장치(162), 배출 컨베이어(165), 자선기(166) 및 주행체(164)는, 이 자주식 파쇄기에 구비되는 유압구동장치에 의하여 구동되는 피구동부재를 구성하고 있다. 이하, 이 유압구동장치의 상세구성을 순서대로 설명한다.
(a) 전체구성
도 19는 본 발명의 자주식 파쇄기의 다른 실시형태에 구비되는 유압구동장치의 전체 개략구성을 나타내는 유압회로도이다.
이 도 19에 있어서, 181은 상기 엔진, 179A∼179C는 이 엔진(181)에 의하여 구동되는 가변 용량형의 상기 제 1 내지 제 3 유압펌프, 185는 마찬가지로 엔진(21)에 의하여 구동되는 고정용량형의 상기 파일럿 펌프, 169, 173, 174, 176, 177은 제 1 내지 제 3 유압펌프(179A∼C)로부터 토출되는 압유가 각각 공급되는 상기 유압모터, 180A, 180B, 180C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유압펌프(179A∼179C)로부터 유압모터(169, 173, l74, 176, 177)에 공급되는 압유의 흐름(방향 및 유량, 또는 유량만)을 제어하는 컨트롤밸브(186L, 186R, 187, 188, 190, 191)(상세한 것은 뒤에서 설명)를 내장하는 상기 제 1, 제 2, 제 3 제어밸브장치, 192a, 193a는 운전석(178)에 설치되고, 제 1 제어밸브장치(180A) 내의 좌측 주행용 컨트롤밸브(187)(뒤에서 설명) 및 제 2 제어밸브장치(180B) 내의 우측 주행용 컨트롤밸브(188)(뒤에서 설명)를 각각 전환하여 조작하기 위한 좌·우측 주행용 조작레버(도 18 참조), 194는 제 1 및 제 2 유압펌프(179A, 179B)의 토출유량을 조정하는 펌프제어수단, 예를 들면 레귤레이터장치, 195는 제 3 유압펌프(179C)의 펌프제어수단, 예를 들면 레귤레이터장치, 196은 파쇄기 본체(163)[예를 들면 운전석(178) 내]에 설치되고, 파쇄장치(162), 배출 컨베이어(165) 및 자선기(166)의 시동·정지 등을 조작자가 지시 입력하여 조작하기 위한 조작반이다.
제 1 내지 제 3 유압펌프(179A∼179C) 및 파일럿 펌프(185)의 토출관로(197A, 197B, 197C 및 199)로부터 분기된 관로(197Aa, 197Ba, 197Ca 및 199a)에는 릴리프밸브(200A, 200B, 200C 및 201)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제 1 내지 제 3 유압펌프(179A∼179C) 및 파일럿 펌프(185)의 토출압(P1', P2', P3', Pp')의 최대치를 제한하기 위한 릴리프압의 값을 각각 구비된 스프링(200Aa, 200Ba, 200Ca 및 201a)의 가세력으로 설정하도록 되어 있다.
5개의 유압모터(169, 173, 174, 176, 177)는 상기한 바와 같이 파쇄장치(162) 동작용 구동력을 발생하는 상기 파쇄장치용 유압모터(169), 자선기(166) 동작용 구동력을 발생하는 상기 자선기용 유압모터(173), 배출 컨베이어(165) 동작용 구동력을 발생하는 상기 배출 컨베이어용 유압모터(174) 및 좌·우측 무한궤도 크롤러벨트(168)에의 구동력을 발생하는 상기 좌·우측 주행용 유압모터(176, 177)로 구성되어 있다.
(b) 제 1 제어밸브장치 및 조작밸브장치
도 20은 제 1 제어밸브장치(180A)의 상세구성을 나타내는 유압회로도이다. 이 도 20에 있어서, 파쇄장치용 유압모터(169)에 접속된 제 1 파쇄장치용 컨트롤밸브(186L) 및 좌측 주행용 유압모터(176)에 접속된 좌측 주행용 컨트롤밸브(187)는 어느것이나 대응하는 유압모터(169, 176)에의 압유의 방향 및 유량을 제어 가능한 유압 파일럿방식의 3위치 전환밸브로 되어 있다.
이때 이들 좌측 주행용 컨트롤밸브(187) 및 제 1 파쇄장치용 컨트롤밸브(186L)에는 제 1 유압펌프(179A)로부터 토출된 압유가 도입되고, 이 압유를 좌측주행용 유압모터(176) 및 파쇄장치용 유압모터(169)에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이들 컨트롤밸브(187, 186L)는 제 1 유압펌프(179A)의 토출관로(197A)에 접속된 센터 바이패스라인(182Aa)을 구비한 제 1 밸브그룹(182A)에 있어서, 상류측으로부터 좌측 주행용 컨트롤밸브(187), 제 1 파쇄장치용 컨트롤밸브(186L)의 순서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 1 밸브그룹(182A)은 2연의 상기 컨트롤밸브(187, 186L)를 포함하는 하나의 밸브블럭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 센터 바이패스라인(182Aa)의 최하류측에는 펌프 컨트롤밸브(198L)(상세한 것은 뒤에서 설명)가 설치되어 있다.
좌측 주행용 컨트롤밸브(187)는 파일럿 펌프(185)에서 발생되어 상기한 조작 레버(192a)를 구비한 조작레버장치(192)로 소정압력으로 감압된 파일럿압에 의하여 조작된다. 즉, 조작레버장치(192)는 상기 조작레버(192a)와 그 조작량에 따른 파일럿압을 출력하는 한 쌍의 감압밸브(192b, 192b)를 구비하고 있다. 조작레버장치(192)의 조작레버(192a)를 도 20에 있어서 a방향(또는 그 반대방향, 이하 대응관계 동일)으로 조작하면, 파일럿압이 파일럿 관로(200a)(또는 200b)를 거쳐 좌측 주행용 컨트롤밸브(187)의 구동부(187a)(또는 187b)로 유도되고, 이것에 의하여 좌측 주행용 컨트롤밸브(187)가 도 20에 있어서 상측의 전환위치(187A)[또는 하측의 전환위치(187B)]로 전환되고, 제 1 유압펌프(179A)로부터의 압유가 토출관로(197A), 센터바이패스라인(182Aa) 및 좌측 주행용 컨트롤밸브(187)의 전환위치(187A)[또는 하측의 전환위치(187B)]를 거쳐 좌측 주행용 유압모터(176)에 공급되고, 좌측 주행용 유압모터(176)가 순방향(또는 역방향)으로 구동된다.
또한 조작레버(192a)를 도 20에 나타내는 중립위치로 하면, 좌측 주행용 컨트롤밸브(187)는 스프링(187c, 187d)의 가세력으로 도 20에 나타내는 중립위치로 복귀하고, 좌측 주행용 유압모터(176)는 정지한다.
도 21은 조작밸브장치(183)의 상세구성을 나타내는 유압회로도이다. 이 도 21에 있어서, 199는 파일럿 펌프(185)의 토출관로이며, 이 토출관로(199)에 대하여 주행 로크용 솔레노이드제어밸브(206), 파쇄장치 정회전용 솔레노이드제어밸브(208F) 및 파쇄장치 역회전용 솔레노이드제어밸브(208R)가 서로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주행 로크용 솔레노이드제어밸브(206)는 조작밸브장치(183)에 내장되어 있고, 파일럿 펌프(185)로부터의 파일럿압을 조작레버장치(192)로 유도하는 파일럿 도입관로(204a, 204b)에 배치되고, 컨트롤러(205)(도 19 참조)로부터의 구동신호(St') (뒤에서 설명)로 전환되도록 되어 있다.
즉, 이 주행 로크용 솔레노이드제어밸브(206)는 솔레노이드(206a)에 입력되는 구동신호(St)가 온이 되면 도 21에 있어서 우측의 연통위치(206)로 전환되고, 파일럿 펌프(185)로부터의 파일럿압을 도입관로(204a, 204b)를 거쳐 조작레버장치(192)로 유도하여 조작레버(192)에 의한 좌측 주행용 컨트롤밸브(187)의 상기 조작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구동신호(St)가 오프가 되면, 주행 로크용 솔레노이드제어밸브(206)는 스프링(206b)의 복원력으로 도 21에 있어서 좌측의 차단위치(206B)로 복귀하여, 도입관로(204a)와 도입관로(204b)를 차단함과 동시에 도입관로(204b)를 탱크(207)에의 탱크라인(207a)에 연통시키고, 이 도입관로(204b) 내의 압력을 탱크압으로 하여 조작레버장치(192)에 의한 좌측 주행용 컨트롤밸브(187)의 상기조작을 불가능하게 하도록되어 있다.
도 20으로 되돌아가, 제 1 파쇄장치용 컨트롤밸브(186L)는, 파일럿 펌프(185)에서 발생되어 조작밸브장치(183) 내의 상기 파쇄장치 정회전용 솔레노이드제어밸브(208F) 및 상기 파쇄장치 역회전용 솔레노이드제어밸브(208R)로 소정압력으로 감압된 파일럿압에 의하여 조작된다.
즉, 도 21에 나타낸 파쇄장치 정회전용 솔레노이드제어밸브(208F) 및 파쇄장치 역회전용 솔레노이드제어밸브(208R)는 컨트롤러(205)로부터의 구동신호(Scrl, Scr2)에 의해 각각 구동되는 솔레노이드(208Fa, 208Ra)가 설치되어 있고, 제 1 파쇄장치용 컨트롤밸브(186L)는 그 구동신호(Scr1, Scr2)의 입력에 따라 전환되도록 되어 있다.
즉, 구동신호(Scr1)가 온이고, 구동신호(Scr2)가 오프가 되면, 파쇄장치 정회전용 솔레노이드제어밸브(208F)가 도 21에 있어서 우측의 연통위치(208FA)로 전환됨과 동시에 파쇄장치 역회전용 솔레노이드제어밸브(208R)는 스프링(208Rb)의 복원력으로 도 21에 있어서 좌측의 차단위치(208RB)로 복귀한다. 이에 의하여 파일럿 펌프(185)로부터의 파일럿압이 도입관로(210a, 210b)를 거쳐 제 1 파쇄장치용 컨트롤밸브(186L)의 구동부(186La)로 유도되고, 또 도입관로(213b)는 탱크라인(207a)에 연통되어 탱크압이 되고, 이것에 의하여 제 1 파쇄장치용 컨트롤밸브(186L)가 도 20에 있어서 상측의 전환위치(186LA)로 전환된다. 이에 의하여 제 1 유압펌프(179A)로부터의 압유가 토출관로(197A), 센터 바이패스라인(182Aa) 및 제 1 파쇄장치용 컨트롤밸브(186L)의 전환위치(186LA)를 거쳐 파쇄장치용 유압모터(169)에 공급되고, 파쇄장치용유압모터(169)가 순방향으로 구동된다.
마찬가지로 구동신호(Scr1)가 오프이고 구동신호(Scr2)가 온이 되면, 파쇄장치 정회전용 솔레노이드제어밸브(208F)가 스프링(208Fb)의 복원력으로 도 21에 있어서 좌측의 차단위치(208FB)로 복귀함과 동시에 파쇄장치 역회전용 솔레노이드제어밸브(208R)가 도 21에 있어서 우측의 연통위치(208RA)로 전환된다. 이에 의하여 파일럿압이 도입관로(213a, 213b)를 거쳐 제 1 파쇄장치용 컨트롤밸브 구동부(186Lb)로 유도되고, 또 도입관로(210b)는 탱크압이 되어, 제 1 파쇄장치용 컨트롤밸브(186L)가 도 20에 있어서 아래쪽의 전환위치(186LB)로 전환된다. 이에 의하여 제 1 유압펌프(179A)로부터의 압유가 그 전환위치(186LB)를 거쳐 파쇄장치용 유압모터(169)에 공급되고, 파쇄장치용 유압모터(169)가 역방향으로 구동된다.
또한 구동신호(Scr1, Scr2)가 모두 오프가 되면, 파쇄장치 정회전용 솔레노이드제어밸브(208F) 및 파쇄장치 역회전용 솔레노이드제어밸브(208R)는 모두 스프링(208Fb, 208Rb)의 복원력으로 도 21에 있어서 좌측의 차단위치(208FB, 208RB)로 복귀하고, 제 1 파쇄장치용 컨트롤밸브(186L)는 스프링(186Lc, 186Ld)의 복원력으로 도 20에 나타내는 중립위치(186LC)로 복귀하고, 제 1 유압펌프(179A)로부터의 압유는 차단되어 파쇄장치용 유압모터(169)가 정지한다.
상기한 펌프 컨트롤밸브(198L)는 유량을 압력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것으로, 센터 바이패스라인(182Aa)과 탱크라인(207b)을 스로틀부분(198Laa)을 거쳐 접속·차단 가능한 피스톤(198La)과, 이 피스톤(198La)의 양쪽 끝부를 가세하는 스프링(198Lb, 198Lc)과, 파일럿 펌프(185)의 토출관로(199)에 파일럿 도입관로(216a) 및 파일럿 도입관로(216b)를 거쳐 상류측이 접속되어 파일럿압이 유도되고, 하류측이 탱크라인(47c)에 접속되고, 또 상기 스프링(198Lb)에 의하여 릴리프압이 가변으로 설정되는 가변 릴리프밸브(198Ld)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펌프 컨트롤밸브(198L)는 이하와 같이 기능한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좌측 주행용 컨트롤밸브(187) 및 제 1 파쇄장치용 컨트롤밸브(186L)는 센터 바이패스형의 밸브로 되어 있고, 센터 바이패스라인(182Aa)을 흐르는 유량은 각 컨트롤밸브(187, 186L)의 조작량(즉 스풀의 전환 스토크량)에 의하여 변화된다.
각 컨트롤밸브(187, 186L)의 중립시, 즉 제 1 유압펌프(179A)에 요구하는 각 컨트롤밸브(187, 186L)의 요구유량[환언하면 좌측 주행용 유압모터(176) 및 파쇄장치용 유압모터(169)의 요구유량]이 적은 경우에는, 제 1 유압펌프(179A)로부터 토출되는 압유 중 대부분이 잉여유량으로서 센터 바이패스라인(182Aa)을 거쳐 펌프 컨트롤밸브(198L)에 도입되고, 비교적 큰 유량의 압유가 피스톤(198La)의 스로틀부분(198Laa)을 거쳐 탱크라인(207)으로 도출된다. 이에 의하여 피스톤(198La)은 도 20에 있어서 우측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스프링(198Lb)에 의한 릴리프밸브(198Ld)의 설정 릴리프압이 낮아지고, 관로(216b)로부터 분기하여 설치되어 뒤에서 설명하는 네거티브 경전 제어용 제 1 서보밸브(255)에 이르는 관로(241a)에 비교적 낮은 제어압력(네거티브 컨트롤압)(Pc1)를 발생한다.
반대로, 각 컨트롤밸브(187, 186L)가 조작되어 개방된 상태가 된 경우, 즉 제1 유압펌프(179A)에 요구하는 요구유량이 많은 경우에는, 센터 바이패스라인(182Aa)에 흐르는 상기 잉여유량은 유압모터(l76, 169)측으로 흐르는 유량분만큼 감소되기 때문에, 피스톤 스로틀부분(198Laa)을 거쳐 탱크라인(207b)으로 도출되는 압유 유량은 비교적 작아지고, 피스톤(198La)은 도 20에 있어서 좌측으로 이동하여 릴리프밸브(198Ld)의 설정 릴리프압이 높아지기 때문에, 관로(241a)의 제어압력(Pc1)은 높아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뒤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이 제어압력(네거티브 컨트롤압)(Pc1)의 변동에 의거하여, 제 1 유압펌프(179A)의 사판(179Aa)의 경전각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상세한 것은 뒤에서 설명).
(c) 제 2 제어밸브장치
도 22는 제 2 제어밸브장치(180B)의 상세구성을 나타내는 유압회로도이다. 이 도 22에 있어서, 제 2 제어밸브장치(180B)는 상기한 제 1 제어밸브장치(180A)와 대략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고, 186R은 제 2 파쇄장치용 컨트롤밸브, 188은 우측 주행용 컨트롤밸브이고, 각각 제 2 유압펌프(179B)로부터 토출된 압유를 우측 주행용 유압모터(177) 및 파쇄장치용 유압모터(169)에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이들 컨트롤밸브(188, 186R)는 제 2 유압펌프(179B)의 토출관로(197B)에 접속된 센터 바이패스라인(182Ba)을 구비한 제 2 밸브그룹(182B)에 있어서 상류측으로부터 우측 주행용 컨트롤밸브(188), 제 2 파쇄장치용 컨트롤밸브(186R)의 순서로 배치되어 있다. 이 제 2 밸브그룹(182B)은 상기 제 1 제어밸브장치(180A)의 제 1 밸브그룹(182A)과 마찬가지로 하나의 밸브블럭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때 우측 주행용 컨트롤밸브(188)는 제 1 밸브그룹(182A)의 좌측 주행용 컨트롤밸브(187)와 유량제어특성이 동일한 밸브(예를 들면 동일구조의 밸브)로 되어 있고, 또한 제 2 파쇄장치용 컨트롤밸브(186R)는 제 1 밸브그룹(182A)의 제 1 파쇄장치용 컨트롤밸브(186L)와 유량제어특성이 동일한 밸브(예를 들면 동일구조의 밸브)로 되어 있고, 이 결과 제 2 밸브그룹(182B)을 구성하는 밸브블럭과, 제 1 밸브그룹(182A)을 구성하는 밸브블럭이 서로 동일구조로 되어 있다. 또 센터 바이패스라인(182Ba)의 최하류측에는 상기 펌프 컨트롤밸브(198L)와 동일한 구조·기능을 구비한 펌프 컨트롤밸브(198R)가 설치되어 있다.
우측 주행용 컨트롤밸브(188)는 좌측 주행용 컨트롤밸브(187)와 마찬가지로 조작레버장치(193)의 파일럿압에 의하여 조작되고, 조작레버(193a)를 도 22에 있어서 b 방향(또는 그 반대방향, 이하 대응관계 동일)으로 조작하면, 파일럿압이 파일럿 관로(202a)(또는 202b)를 거쳐 우측 주행용 컨트롤밸브(188)의 구동부(188a)(또는 188b)에 유도되고, 이것에 의하여 우측 주행용 컨트롤밸브(188)가 도 22에 있어서 상측의 전환위치(188A)[또는 아래쪽의 전환위치(188B)]로 전환되고, 제 2 유압펌프(179B)로부터의 압유가 그 전환위치(188A)[또는 아래쪽의 전환위치(188B)]를 거쳐 우측 주행용 유압모터(177)에 공급되어 순방향(또는 역방향)으로 구동된다. 조작레버(193a)를 도 22에 나타내는 중립위치로 하면, 우측 주행용 컨트롤밸브(188)는 스프링(188c, 188d)의 가세력으로 도 22에 나타내는 중립위치로 복귀하고, 우측 주행용 유압모터(177)는 정지한다.
또한 조작레버장치(193)에의 파일럿압은, 상기 조작레버장치(192)와 마찬가지로 파일럿 펌프(18)로부터 주행 로크용 솔레노이드제어밸브(206)를 거쳐 공급된다. 따라서 조작레버장치(192)와 마찬가지로 주행 로크용 솔레노이드제어밸브(206)의 솔레노이드(206a)에 입력되는 구동신호(St')가 온이 되면 조작레버장치(193)에 의한 우측 주행용 컨트롤밸브(188)의 상기 조작이 가능해지고, 구동신호(St')가 오프가 되면 조작레버장치(193)에 의한 우측 주행용 컨트롤밸브(188)의 상기 조작이 불가능하게 된다.
제 2 파쇄장치용 컨트롤밸브(186R)는 상기 제 1 파쇄장치용 컨트롤밸브(186L)와 마찬가지로 파일럿 펌프(185)에서 발생되어 조작밸브장치(183) 내의 파쇄장치 정회전용 솔레노이드제어밸브(208F) 및 파쇄장치 역회전용 솔레노이드제어밸브(208R)에의해 소정압력으로 감압된 파일럿압에 의하여 조작된다.
즉, 컨트롤러(205)로부터의 구동신호(Scr1)가 온이고, 구동신호(Scr2)가 오프가 되면, 파일럿 펌프(185)로부터의 파일럿압이 도입관로(210a, 210b)를 거쳐 제 2 파쇄장치용 컨트롤밸브(186R)의 구동부(186Ra)에 유도되고, 또 도입관로(213b)는 탱크라인(207a)에 연통되어 탱크압이 되고, 제 2 파쇄장치용 컨트롤밸브(186R)가 도 22에 있어서 상측의 전환위치(186RA)로 전환된다. 이에 의하여 제 2 유압펌프(179B)로부터의 압유가 그 전환위치(186RA)를 거쳐 파쇄장치용 유압모터(169)에 공급되고, 파쇄장치용 유압모터(169)가 순방향으로 구동된다.
마찬가지로 구동신호(Scr1)가 오프이고, 구동신호(Scr2)가 온이 되면, 파일럿압이 도입관로(213a, 213b)를 거쳐 제 2 파쇄장치용 컨트롤밸브 구동부(186Rb)로 유도되고, 또 도입관로(210b)는 탱크압이 되고, 제 2 파쇄장치용 컨트롤밸브(186R)가 도 22에 있어서 하측의 전환위치(186RB)로 전환되고, 제 2 유압펌프(179B)로부터의 압유가 그 전환위치(186RB)를 거쳐 파쇄장치용 유압모터(169)에 공급되어 파쇄장치용유압모터(169)가 역방향으로 구동된다.
구동신호(Scr1, Scr2)가 모두 오프가 되면, 제 2 파쇄장치용 컨트롤밸브(186R)는 스프링(186Rc, 186Rd)의 복원력으로 도 22에 나타내는 중립위치(186RC)로 복귀하여 파쇄장치용 유압모터(169)가 정지한다.
이상의 설명으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1 파쇄장치용 컨트롤밸브(186L)와 제 2 파쇄장치용 컨트롤밸브(186R)는 솔레노이드제어밸브(208F, 208R)에의 구동신호 (Scr1, Scr2)에 따라 서로 동일한 동작을 행하고, 구동신호(Scr1)가 온이고, 구동신호(Scr2)가 오프인 경우에는, 제 1 유압펌프(179A) 및 제 2 유압펌프(179B)로부터의 압유를 합류시켜 파쇄장치용 유압모터(169)에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펌프 컨트롤밸브(198R)는, 상기한 펌프 컨트롤밸브(198L)와 동일한 구성·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즉, 제 2 유압펌프(179B)에 요구하는 각 컨트롤밸브(188, 186R)의 요구유량[환언하면 우측 주행용 유압모터(177) 및 파쇄장치용 유압모터(169)의 요구유량]이 적은 경우에는, 비교적 큰 유량의 압유가 피스톤(198Ra)의 스로틀부분(198Raa)을 거쳐 탱크라인(207b)에 도출되고, 피스톤(198Ra)이 도 22에 있어서 좌측으로 이동하여 스프링(198Rb)에 의한 릴리프밸브(198Rd)의 설정 릴리프압이 낮아지고, 관로(216c)로부터 분기하여 설치되고 뒤에서 설명하는 네거티브 경전 제어용 제 2 서보밸브(256)에 이르는 관로(241b)에, 비교적 낮은 제어압력(네거티브 컨트롤압)(Pc2)을 발생한다. 각 컨트롤밸브(188, 186R)가 조작되어 제 2 유압펌프(179B) 에의 요구유량이 많은 경우에는 피스톤(198Ra)은 도 22에 있어서우측으로 이동하여 릴리프밸브(198Rd)의 설정 릴리프압이 높아지고, 관로(241b)의 제어압력(Pc2)은 높아진다. 그리고 제 1 유압펌프(179A)와 마찬가지로, 제 2 유압펌프(179B)의 사판(179Ba)의 경전각이 이 제어압력(네거티브 컨트롤압)(Pc2)의 변동에 의거하여 제어된다(상세한 것은 뒤에서 설명).
(d) 레귤레이터장치
도 23은 레귤레이터장치(194)의 상세구조를 나타내는 유압회로도이다.
이 도 23에 있어서, 레귤레이터장치(194)는 경전 엑츄에이터(253, 254)와, 상기 제 1 서보밸브(255, 256)와, 제 2 서보밸브(257) 및 이 서보밸브(257)와 동일구조의 제 2 서보밸브(258)를 구비하고, 이들 서보밸브(255, 256, 257, 258)에 의하여 파일럿 펌프(185)나 제 1, 제 2, 제 3 유압펌프(179A, 179B, 179C)로부터 경전 엑츄에이터(253, 254)에 작용하는 압유의 압력을 제어하고, 제 1 및 제 2 유압펌프(179A, 179B)의 사판(179Aa, 179Ba)의 경전(즉 변위)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경전 엑츄에이터(253, 254)는 양쪽 끝에 큰 지름의 수압부(253a, 254a) 및 작은 지름의 수압부(253b, 254b)를 가지는 작동 피스톤(253c, 254b)과, 수압부(253a, 253b 및 254a, 254b)가 각각 위치하는 수압실(253d, 253e 및 254d, 254e)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양 수압실(253d, 253e 및 254d, 254e)의 압력이 서로 같을 때는, 작동 피스톤(253c, 254c)은 수압면적의 차에 의하여 도 23에 있어서 우방향으로 이동하고, 이것에 의하여 사판(179Aa, 179Ba)의 경전은 커지고, 각각의 펌프 토출유량이 증대한다. 또 큰 지름측의 수압실(253d, 254d)의 압력이 저하하면, 작동 피스톤(253c, 254c)은 도 23에 있어서 좌방향으로 이동하고, 이것에 의하여 사판(179Aa, 179Ba)의 경전이 작아지고 각각의 펌프 토출유량이 감소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큰 지름측의 수압실(253d, 254d)은 제 1 서보밸브(255, 256)를 거쳐 파일럿 펌프(185)의 토출관로(199)에 연통하는 관로(251)에 접속되어 있고, 작은 지름측의 수압실(253e, 254e)은 직접 관로(251)에 접속되어 있다.
제 1 서보밸브(255, 256)는 펌프 컨트롤밸브(198L, 198R)로부터의 제어압력 (Pc1, Pc2)이 높을 때는 밸브체(255a, 256a)가 도 23에 있어서 우방향으로 이동하고, 이것에 의하여 사판(179Aa, 179Ba)의 경전이 커져 제 1 및 제 2 유압펌프(179A, 179B)의 토출유량을 증대시킨다. 그리고 제어압력(Pc1, Pc2)이 저하됨에 따라 밸브체(255a, 256a)가 스프링(255b, 256b)의 힘으로 도 23에 있어서 좌방향으로 이동하고, 제 1 및 제 2 유압펌프(179A, 179B)의 토출유량을 감소시킨다. 이상에 의하여 제 1 서보밸브(255, 256)에서는 상기한 펌프 컨트롤밸브(198L, 198R)의 기능과 아울러 컨트롤밸브(186L, 186R, 187, 188)의 요구유량에 따른 토출유량이 얻어지도록 제 1 및 제 2 유압펌프(179A, 179B)의 사판(179Aa, 179Ba)의 경전(토출유량)을 제어하는 네거티브 컨트롤이 실현된다.
제 2 서보밸브(257, 258)는, 어느 것이나 입력 토오크제한 제어용 서보밸브이고, 서로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다.
제 2 서보밸브(257)는 제 1, 제 3 유압펌프(179A, 179C)의 토출압(P1, P3)에 의하여 작동하는 밸브이고, 그들 토출압(P1, P3)이 제 1, 제 3 유압펌프(179A, 179C)의 토출관로(197A, 197C)로부터 분기하여 설치된 토출압 검출관로(260, 262, 262a)를 거쳐 조작구동부(257a)의 수압실(257b, 257c)로 각각 유도되도록 되어 있다.
즉, 제 1 및 제 3 유압펌프(179A, 179C)의 토출압력의 합(P1+P3)에 의하여 조작구동부(257a)에 작용하는 힘이 스프링(257d)으로 설정되는 스프링력에 의하여 밸브체(257e)에 작용하는 힘보다 작을 때는, 밸브체(257e)는 도 23에 있어서 우방향으로 이동하고, 파일럿 펌프(185)로부터 제 1 서보밸브(255)를 거쳐 유도된 파일럿압(PP')을 감압하지 않고 경전 엑츄에이터(253)의 수압실(253d)에 전달하고, 이것에 의하여 제 1 유압펌프(179A)의 사판(179Aa)의 경전을 크게 하여 토출유량을 크게 한다. 그리고 제 1 및 제 3 유압펌프(179A, 179C)의 토출압력의 합(P1+P3)에 의한 힘이 스프링(257d)의 스프링력 설정치에 의한 힘보다도 커짐에 따라 밸브체(257e)가 도 23에 있어서 좌방향으로 이동하고, 파일럿 펌프(185)로부터 제 1 서보밸브(255)를 거쳐 유도된 파일럿압(PP')을 감압하여 수압실(253d)에 전달하고, 이것에 의하여 제 1 유압펌프(179A)의 토출유량을 감소시키도록 되어 있다.
한편, 제 2 서보밸브(258)는 제 2, 제 3 유압펌프(179B, 179C)의 토출압(P2, P3)에 의하여 작동하는 밸브이고, 그들 토출압(P2, P3)이 제 2, 제 3 유압펌프(179B, 179C)의 토출관로(197B, 197C)로부터 분기하여 설치된 토출압 검출관로(261, 262, 262b)를 거쳐 조작구동부(258a)의 수압실(258b, 258c)로 각각 유도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와 마찬가지로, 제 2 및 제 3 유압펌프(179B, 179C)의 토출압력의 합 (P2+P3)에 의하여 조작구동부(258a)에 작용하는 힘이 스프링(258d)에 의해 설정되는 스프링력에 의하여 밸브체(258e)에 작용하는 힘보다 작을 때는 밸브체(258e)는 도 23에 있어서 우방향으로 이동하고, 파일럿압(PP')을 감압하지 않고 경전 엑츄에이터(254)의 수압실(254d)에 전달하고, 제 2 유압펌프(179B)의 사판(179Ba)의 경전을 크게 하여 토출유량을 크게 한다. 그리고 제 2 및 제 3 유압펌프(179B, 179C)의 토출압력의 합(P2+P3)에 의한 힘이 스프링(258d)의 스프링력 설정치에 의한 힘보다도 커짐에 따라 밸브체(258e)가 도 23에 있어서 좌방향으로 이동하고, 파일럿압(PP')을 감압하여 수압실(254d)에 전달하고, 이것에 의하여 제 2 유압펌프(179B)의 토출유량을 감소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제 1∼ 제 3 유압펌프(179A∼179C)의 토출압력(P1, P2, P3)이 상승함에 따라 제 1 및 제 2 유압펌프(179A, 179B)의 토출유량의 최대치가 작게 제한되고, 제 1∼제 3 유압펌프(179A∼179C)의 입력 토오크의 합계를 엔진(181)의 출력 토오크 이하로 제한하도록 제 1 및 제 2 유압펌프(179A, 179B)의 사판(179Aa, 179Ba)의 경전이 제어되는 이른바 입력 토오크제한 제어(마력제어)가 실현된다. 이 때 더욱 상세하게는 제 1 유압펌프(179A)측에서는 그 토출압(P1)과 제 3 유압펌프(179C)의 토출압(P3)과의 합에 따라, 제 2 유압펌프(179B)측에서는 그 토출압(P2)과 제 3 유압펌프(179C)의 토출압(P3)과의 합에 따라 제 1∼제 3 유압펌프(179A∼179C)의 입력 토오크의 합계를 엔진(181)의 출력 토오크 이하로 제한하는 이른바 전 마력제어가 실현된다.
(f) 제 3 제어밸브장치
도 24는 상기한 제 3 제어밸브장치(180C)의 상세구성을 나타내는 유압회로도이다. 이 도 24에 있어서, 190은 배출 컨베이어용 컨트롤밸브, 191은 자선기용 컨트롤밸브이다.
이들 컨트롤밸브(190, 191)는 제 3 유압펌프(179C)의 토출관로(197C)에 접속된 센터라인(225)에 대하여, 상류측으로부터 자선기용 컨트롤밸브(191), 배출 컨베이어용 컨트롤밸브(190)의 순서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센터라인(225)은 최하류측의 배출 컨베이어용 컨트롤밸브(190)의 하류측에서 폐지되어 있다.
배출 컨베이어용 컨트롤밸브(190)는 솔레노이드구동부(190a)를 구비한 전자전환밸브이다. 솔레노이드구동부(190a)에는 컨트롤러(205)로부터의 구동신호(Sc온')에 의해 구동되는 솔레노이드가 설치되어 있고, 배출 컨베이어용 컨트롤밸브(190)는 그 구동신호(Sc온')의 입력에 따라 전환되도록 되어 있다.
즉, 구동신호(Sc온')가 배출 컨베이어(165)를 동작시키는 온신호가 되면 배출 컨베이어용 컨트롤밸브(190)가 도 24에 있어서 상측의 전환위치(190A)로 전환된다. 이에 의하여 토출관로(197C) 및 센터라인(225)을 거쳐 유도된 제 3 유압펌프(179C)로부터의 압유는 전환위치(190A)에 구비된 스로틀수단(190Aa)으로부터 이것에 접속하는 관로(214b), 이 관로(214b)에 설치된 압력제어밸브(214)(상세한 것은 뒤에서 설명),전환위치(190A)에 구비된 포트(190Ab) 및 이 포트(190Ab)에 접속하는 공급관로(215)를 거쳐, 배출 컨베이어용 유압모터(174)에 공급되고, 이 배출 컨베이어용 유압모터(174)가 구동된다.
구동신호(Sc온')가 오프가 되면, 배출 컨베이어용 컨트롤밸브(190)는 스프링(190b)의 가세력으로 도 24에 나타내는 차단위치(190B)로 복귀하고, 배출 컨베이어용유압모터(174)는 정지한다.
자선기용 컨트롤밸브(191)는 상기 배출 컨베이어용 컨트롤밸브(190)와 마찬가지로 솔레노이드구동부(191a)를 구비한 전자전환밸브가고, 솔레노이드구동부(191a)에 컨트롤러(205)로부터의 구동신호(Sm')가 입력됨으로써 전환되도록 되어 있다. 즉, 도 24에 있어서 컨트롤러(205)로부터 솔레노이드구동부(191a)에 입력되는 구동신호 (Sm')가 온이 되면, 도 24에 있어서 상측의 연통위치(191A)로 전환된다. 이에 의하여 제 3 유압펌프(179C)로부터의 압유는 전환위치(191A)에 구비된 스로틀수단(191Aa)으로부터 관로(217b), 압력제어밸브(217)(상세한 것은 뒤에서 설명), 포트(191Ab), 공급관로(218)를 거쳐 자선기용 유압모터(173)에 공급되어 구동된다. 구동신호(Sm')가 오프가 되면, 자선기용 컨트롤밸브(191)는 스프링(191b)의 가세력으로 차단위치(191B)로 복귀하고, 자선기용 유압모터(173)는 정지한다.
여기서 상기한 관로(214b, 217b)에 설치한 압력제어밸브(214, 217)에 관한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배출 컨베이어용 컨트롤밸브(190)의 전환위치(190A)의 포트(190Ab) 및 자선기용 컨트롤밸브(191)의 전환위치(191A)의 포트(191Ab)에는 각각 대응하는 배출 컨베이어용 유압모터(174), 자선기용 유압모터(173)의 부하압력을 각각 검출하기 위한 부하검출포트(190Ac), 부하검출포트(191Ac)가 연통되어 있다. 이때 부하검출포트(190Ac)는 부하 검출관로(226)에 접속되어 있고, 부하검출포트(191Ac)는 부하 검출관로(227)에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배출 컨베이어용 유압모터(174)의 부하압력이 유도되는 상기 부하 검출관로(226)와, 자선기용 유압모터(173)의 부하압력이 유도되는 상기 부하 검출관로(227)는 셔틀밸브(230)를 거쳐 최대 부하 검출관로(231a)에 접속되고, 셔틀밸브(230)로 선택된 고압측의 부하압력이 최대 부하압력으로서 최대 부하 검출관로(231a)에 유도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최대 부하 검출관로(231a)에 유도된 최대 부하압력은, 최대 부하검출관로(231a)에 접속되는 관로(231b, 231c)를 거쳐 대응하는 상기 압력제어밸브(214, 217)의 한쪽 측에 각각 전달된다. 이때 압력제어밸브(214, 217)의 다른쪽측에는 상기한 관로(214b, 217b) 내의 압력, 즉 스로틀수단(190Aa, 191Aa)의 하류측 압력이 유도되어 있다.
이상에 의하여 압력제어밸브(214, 217)는 컨트롤밸브(190, 191)의 스로틀수단(190Aa, 191Aa)의 하류측 압력과, 배출 컨베이어용 유압모터(174) 및 자선기용 유압모터(173) 중의 최대 부하압력과의 차압에 응답하여 작동하고, 각 유압모터(174, 173)의 부하압력의 변화에 관계 없이, 상기한 차압을 일정값으로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즉, 스로틀수단(190Aa, 191Aa)의 하류측 압력을, 상기한 최대 부하압력보다도 스프링(214a, 217a)에 의한 설정압분만큼 높게 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제 3 유압펌프(179C)의 토출관로(197C)로부터 분기된 블리드 오프(236)에는 스프링(237a)을 구비한 릴리프밸브(언로드밸브)(237)가 설치되어 있다. 이 릴리프밸브(237)의 한쪽측에는 최대 부하 검출관로(231a), 이것에 접속되는 관로(231d, 231e)를 거쳐 최대 부하압력이 유도되어 있고, 또 릴리프밸브(237)의 다른쪽측에는 포트(237b)를 거쳐 블리드 오프 관로(236) 내의 압력이 유도되고 있다. 이에 의하여 릴리프밸브(237)는 관로(236) 및 센터라인(225) 내의 압력을, 상기한 최대 부하압력보다도 스프링(237a)에 의한 설정압분만큼 높게 하도록 되어 있다. 즉, 릴리프밸브(237)는 관로(236) 및 센터라인(225) 내의 압력이, 최대 부하압이 유도되는 관로(231e) 내의 압력에 스프링(237a)의 스프링력분이 가산된 압력이 되었을 때에 관로(236)의 압유를 펌프 컨트롤밸브(242)(뒤에서 설명)를 거쳐 탱크(207)로 유도되도록 되어 있다. 이상의 결과, 제 3 유압펌프(179C)의 토출압력이 최대 부하압보다도 스프링(237a)에 의한 설정압분만큼 높아지는 로드센싱제어가 실현된다.
그리고 이상 설명한 압력제어밸브(214, 217)에 의한 스로틀수단(190Aa, 19lAa)의 하류측 압력과 최대 부하압력과의 사이의 제어 및 릴리프밸브(237)에 의한 블리드 오프 관로(236) 내의 압력과 최대 부하압력과의 사이의 제어에 의하여 스로틀 수단(190Aa, 191Aa)의 전후 차압을 일정하게 하는 압력보상기능을 하게 된다. 이에 의하여 각 유압모터(174, 173)의 부하압력의 변화에 관계없이, 컨트롤밸브(190, 191)의 개방도에 따른 유량의 압유를 대응하는 유압모터에 공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여기서 블리드 오프 관로(236)의 릴리프밸브(237)로부터 하류측에는 상기 펌프 컨트롤밸브(198L, 198R)와 동일한 유량 - 압력변환기능을 가지는 펌프 컨트롤밸브(242)가 설치되어 있고, 스로틀부분(242aa)을 구비한 피스톤(242a)과, 이 피스톤(242a)의 양쪽 끝부를 가세하는 스프링(242b, 242c)과, 상기한 파일럿 펌프(185)의토출관로(199)에 파일럿 도입관로(216a, 216d)를 거쳐 상류측이 접속되어 파일럿압이 유도되고, 하류측이 탱크라인(207d)에 접속되고, 또한 상기한 스프링(242b)에 의하여 릴리프압이 가변으로 설정되는 가변 릴리프밸브(242d)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파쇄작업시에 있어서, 펌프 컨트롤밸브(242)는 이하와 같이 기능한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센터라인(225)의 최하류측 끝은 폐지되어 있기 때문에, 센터라인(225)을 흐르는 압유의 압력은, 배출 컨베이어용 컨트롤밸브(190), 자선기용 컨트롤밸브(191)의 조작량(즉 스풀의 전환 스트로크량)에 의하여 변화된다. 각 컨트롤밸브(190, 191)의 중립시, 즉 제 3 유압펌프(179C)에 요구하는 각 컨트롤밸브(190, 191)의 요구유량[환언하면 각 유압모터(174, 173)의 요구유량]이 적은 경우에는 제 3 유압펌프(179C)로부터 토출되는 압유는 대부분 공급관로(215, 218)에 도입되지 않기 때문에, 잉여유량으로서 릴리프밸브(237)로부터 하류측으로 도출되고, 펌프 컨트롤밸브(242)에 도입된다. 이에 의하여 비교적 큰 유량의 압유가 피스톤(242a)의 스로틀부분(242aa)을 거쳐 탱크라인(207d)에 도출되기 때문에, 피스톤(242a)은 도 24에 있어서 우측으로 이동하여 스프링(242b)에 의한 릴리프밸브(242d)의 설정 릴리프압이 낮아지고, 관로(216d)로부터 분기하여 설치되어 제 3 유압펌프 네거티브 경전 제어용 상기 레귤레이터(195)에 이르는 관로(241c)(도 19도 참조)에 비교적 낮은 제어압력(네거티브 컨트롤압)(Pc3)을 발생한다.
반대로 각 컨트롤밸브가 조작되어 개방상태가 된 경우, 즉 제 3 유압펌프(179C)에의 요구유량이 많은 경우에는, 블리드 오프 관로(236)에 흐르는 상기 잉여유량이 유압모터(174, 173)측으로 흐르는 유량분만큼 감소되기 때문에, 피스톤 스로틀부분(242aa)을 거쳐 탱크라인(207d)으로 도출되는 압유유량은 비교적 작아지고, 피스톤(242a)은 도 24에 있어서 좌측으로 이동하여 릴리프밸브(242d)의 설정 릴리프압이 높아지기 때문에, 관로(241c)의 네거티브 컨트롤압(Pc3)은 높아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뒤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이 네거티브 컨트롤압(Pc3)의 변동에 의거하여, 제 3 유압펌프(179C)의 사판(179Ca)의 경전각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상세한 것은 뒤에서 설명).
또한 최대 부하압이 유도되는 관로(231d)와 탱크라인(207b)과의 사이에는 릴리프밸브(245)가 설치되고, 관로(231a∼231e) 내의 최대 압력을 스프링(245a)의 설정압 이하로 제한하여 회로보호를 도모하도록 되어 있다. 즉, 이 릴리프밸브(245)와 상기 릴리프밸브(237)로 시스템 릴리프밸브를 구성하고 있고, 관로(231a∼231e) 내의 압력이 스프링(245a)에 의해 설정된 압력보다 커지면, 릴리프밸브(245)의 작용에 의하여 관로(231a∼231e) 내의 압력이 탱크압으로 내려가고, 이것에 의하여 상기한 릴리프밸브(237)가 작동하여 릴리프상태가 되도록 되어 있다.
(g) 제 3 유압펌프용 레귤레이터장치
도 19로 되돌아가, 상기 레귤레이터(195)는 오일실(195a)과, 피스톤(195b)과, 스프링(195c)으로 구성되어 있고, 관로(241c)를 거쳐 오일실(195a)에 도입되는 제어압력(PC3)이 높을 때는 피스톤(195b)이 스프링(195c)의 가세력에 저항하여 도 19에 있어서 좌방향으로 이동하고, 이것에 의하여 제 3 유압펌프(179C)의 사판(179Ca)의 경전이 커져 제 3 유압펌프(179C)의 토출유량을 증대시킨다. 한편, 제어압력(PC3)이 저하함에 따라 피스톤(195b)이 스프링(195c)의 힘으로 도 19에 있어서 우측으로 이동하고, 제 3 유압펌프(179C)의 토출유량을 감소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상에 의하여 레귤레이터(195)에서는 상기한 펌프 컨트롤밸브(242)의 기능과 아울러 컨트롤밸브(190, 191)의 요구유량에 따른 토출유량이 얻어지도록, 구체적으로는 펌프 컨트롤밸브(242)를 통과하는 유량이 최소가 되도록 제 3 유압펌프(179C)의 사판(179Ca)의 경전(토출유량)을 제어하는, 이른바 네거티브 컨트롤이 실현된다.
(e) 조작반
도 19에 있어서, 상기한 조작반(196)에는 파쇄장치(162)를 기동·정지시키기 위한 슈레더 기동·정지 스위치(196a)와, 파쇄장치(162)의 동작방향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방향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슈레더 정회전·역회전 선택 다이얼(196b)과, 배출 컨베이어(165)를 기동·정지시키기 위한 컨베이어 기동·정지 스위치(196c)와, 자선기(166)를 기동·정지시키기 위한 자선기 기동·정지 스위치(196d)와, 주행조작을 행하는 주행모드 및 파쇄작업을 행하는 파쇄모드 중 어느 한쪽을 선택하기 위한 모드선택 스위치(196e)를 구비하고 있다.
조작자가 상기 조작반(196)의 각종 스위치 및 다이얼의 조작을 행하면, 그 조작신호가 컨트롤러(205)에 입력된다. 컨트롤러(205)는 조작반(196)으로부터의 조작신호에 의거하여 배출 컨베이어용 컨트롤밸브(190), 자선기용 컨트롤밸브(191), 주행 로크용 솔레노이드제어밸브(206), 파쇄장치 정회전용 솔레노이드제어밸브(208F), 파쇄장치 역회전용 솔레노이드제어밸브(208R)의 솔레노이드구동부(190a), 솔레노이드구동부(191a), 솔레노이드(206a), 솔레노이드(208Fa), 솔레노이드(208Ra)에의 구동신호 (Sc온', Sm', St', Scr1, Scr2)를 생성하고, 대응하는 솔레노이드에 그것들을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즉, 조작반(196)의 모드선택 스위치(196e)에 의해 「주행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주행 로크용 솔레노이드제어밸브(206)의 구동신호(St')를 온으로 하여 주행 로크용 솔레노이드제어밸브(206)를 도 21에 있어서 우측의 연통위치(206A)로 전환하고, 조작레버(192a, 193a)에 의한 주행용 컨트롤밸브(l87, 188)의 조작을 가능하게 한다. 조작반(196)의 모드선택 스위치(196e)에 의해 「파쇄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주행 로크용 솔레노이드제어밸브(206)의 구동신호(St')를 오프로 하고 도 21에 있어서 좌측의 차단위치(206B)로 복귀시켜, 조작레버(192a, 193a)에 의한 주행용 컨트롤밸브(187, 188)의 조작을 불가능하게 한다.
또, 조작반(196)의 슈레더 정회전·역회전 선택 다이얼(196b)로 「정회전」(또는「역회전」,이하, 대응관계 동일)이 선택된 상태에서 슈레더 기동·정지 스위치(196a)가 「기동」측으로 눌러진 경우, 파쇄장치 정회전용 솔레노이드제어밸브(208F)의 솔레노이드(208Fa)[또는 파쇄장치 역회전용 솔레노이드제어밸브(208R)의 솔레노이드(208Ra)]에의 구동신호(Scr1)[또는 구동신호(Scr2)]를 온으로 함과 동시에 파쇄장치 역회전용 솔레노이드제어밸브(208R)의 솔레노이드(208Ra)[또는 파쇄장치 정회전용 솔레노이드제어밸브(208F)의 솔레노이드(208Fa)]에의 구동신호(Scr2)[또는 구동신호 (Scr1)]를 오프로 하고, 제 1 및 제 2 파쇄장치용 컨트롤밸브(186L,186R)를 도 20 및 도 22에 있어서 상측의 전환위치(186LA, 186RA)[또는 아래쪽의 전환위치(186LB, 186RB)]로 전환하고, 제 1 및 제 2 유압펌프(179A, 179B)로부터의 압유를 합류시켜 파쇄장치용 유압모터(169)에 공급하여 구동하고, 파쇄장치(162)를 정회전방향(또는 역회전방향)으로 기동한다.
그후, 슈레더 기동·정지 스위치(196a)가 「정지」측으로 눌러진 경우, 상기구동신호(Scr1, Scr2)를 모두 오프로 하여 제 1 및 제 2 파쇄장치용 컨트롤밸브(186L, 186R)를 도 20 및 도 22에 나타내는 중립위치에 복귀시키고, 파쇄장치용 유압모터(169)를 정지하여, 파쇄장치(162)를 정지시킨다.
또, 조작반(196)의 컨베이어 기동·정지 스위치(196c)가 「기동」측으로 눌러진 경우, 배출 컨베이어용 컨트롤밸브(190)의 솔레노이드구동부(190a)에의 구동신호 (Sc온')를 온으로 하여 도 24에 있어서 상측의 연통위치(190A)로 전환하고, 제 3 유압펌프(179C)로부터의 압유를 배출 컨베이어용 유압모터(174)에 공급하여 구동하고 배출 컨베이어(165)를 기동한다. 그후 조작반(196)의 컨베이어 기동·정지 스위치(196c)가 「정지」측으로 눌러지면, 배출 컨베이어용 컨트롤밸브(190)의 솔레노이드구동부(190a)에의 구동신호(Sc온')를 오프로 하여 도 24에 나타내는 차단위치(190B)로 복귀시키고, 배출 컨베이어용 유압모터(174)를 정지하여 배출 컨베이어(165)를 정지시킨다.
마찬가지로 자선기 기동·정지 스위치(196d)가 「기동」측으로 눌러진 경우, 자선기용 컨트롤밸브(191)를 도 24에 있어서 상측의 연통위치(191A)로 전환하고, 자선기용 유압모터(173)를 구동하여 자선기(166)를 기동하고, 자선기 기동·정지스위치(196d)가 「정지」측으로 눌러지면, 자선기용 컨트롤밸브(191)를 차단위치로 복귀시켜 자선기(166)를 정지시킨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상기한 일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제 1 내지 제 3 유압펌프(179A, 179B, 179C)의 토출압을 각각 검출함으로써 엔진의 부하상황을 검출하여, 이 토출압의 평균치가 소정의 한계치 이상이 된 경우에 엔진(181)의 회전수를 증대하는 마력증대제어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 이하, 이 상세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9, 도 20, 도 22 및 도 24에 있어서, 271은 엔진(181)에 연료를 분사하는 연료분사장치(거버너), 272는 상기 연료분사장치(271)의 연료·분사량을 제어하는 연료분사제어장치이다. 또 158, 159, 160은 압력센서이고, 압력센서(158)는 제 1 유압펌프(179A)의 토출관로(197A)로부터 분기하여 설치된 도압관로(155)에 설치되고, 압력센서(159)는 제 2 유압펌프(179B)의 토출관로(197B)로부터 분기하여 설치된 도압관로(156)에 설치되고, 압력센서(160)는 제 3 유압펌프(179C)의 토출관로(197C)로부터 분기하여 설치된 도압관로(157)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들 압력센서(158, 159, 160)는 검출한 제 1 내지 제 3 유압펌프(179A, 179B, 179C)의 토출압(P1', P2', P3)을 컨트롤러(84")에 각각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이들 토출압(P1', P2', P3)을 입력받은 컨트롤러(205)는 이 입력된 토출압(P1', P2', P3)에 따라 연료분사제어장치(271)에 마력증대신호(Sen)를 출력하고, 연료분사제어장치(271)는 이 입력된 마력증대신호(Sel1)에 따라 연료분사장치(27l)로부터 엔진(181)에의 연료분사량을 증가시키는 마력증대제어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
도 25는 컨트롤러(205)의 기능 중, 이때의 엔진(181)의 마력증대제어에 관한 제어내용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고, 상기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도 9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또한 컨트롤러(205)는 예를 들면 조작자에 의하여 전원이 투입됨으로써 이 도 25에 나타내는 플로우를 개시하고, 전원을 오프로 함으로써 이 플로우를 종료하도록 되어 있다.
이 도 25에 있어서, 먼저 단계 610에서는 엔진(181)이 컨트롤러(205)에 의하여 마력증대제어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제어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0으로 클리어하고, 다음 단계 620에서는 압력센서(158, 159, 160)로 검출한 제 1 내지 제 3 유압펌프(179A, 179B, 179C)의 토출압(P1', P2', P3)을 입력하고, 다음 단계 630로 이행한다.
단계 630에서는, {((P1'+P2')/2)+P3}/2 가 한계치(P0")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또한 이 한계치(P0")는 엔진(181)에 대한 부하가 증대하여 제 1 및 제 2 유압펌프(179A, 179B)의 토출유량이 감소할 때(즉 파쇄효율이 저하하기 시작할 때)의 제 1 및 제 2 유압펌프(179A, 179B)의 토출압(P1' 및 P2')의 평균치와 제 3 유압펌프(179C)의 토출압(P3)과의 평균치이며, 예를 들면 컨트롤러(205)에 미리 기억(또는 적절히 외부 단말에 의해 설정 입력하여도 좋다)되어 있는 것이다. {((P1'+P2') /2)+P3}/2 가 한계치(P0") 이상인 경우에는 판정이 만족되어, 다음 단계 640로 이행한다.
단계 640에서는 상기 플래그가 엔진(181)의 마력증대제어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0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플래그가 1 이면 판정이 만족되지 않아, 단계 620으로 되돌아간다. 한편, 플래그가 0 이면 판정이 만족되어, 다음 단계 650으로 이행한다.
단계 650에서는 상기 {((P1'+P2')/2)+P3}/2 가 한계치(P0") 이상인 상태가 소정의 시간 계속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판정이 만족되지 않아, 단계 620으로 되돌아간다. 한편,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는 판정이 만족되어, 다음 단계 660으로 이행한다.
단계 660에서는 컨트롤러(205)에 의하여 연료분사제어장치(272)에 마력증대신호(Sen)를 출력함으로써, 연료분사제어장치(272)가 연료분사장치(271)로부터 엔진(181)에의 연료분사량을 증가시키고, 이에 의하여 엔진(181)의 회전수가 증대한다. 다음 단계 670에서는 플래그를 1로 하고, 단계 620으로 되돌아간다.
한편, 앞의 단계 630에 있어서, {((P1'+P2')/2)+P3}/2가 한계치(P0")보다 작은 경우에는 판정이 만족되지 않아, 단계 680으로 이행한다. 단계 680에서는 플래그가 1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플래그가 0 이면 판정은 만족되지 않아, 단계 620으로 되돌아간다. 한편, 플래그가 1 이면 판정이 만족되어, 다음 단계 690로 이행한다.
단계 690에서는 {((P1'+P2')/2)+P3}/2 가 한계치(P0")보다 작은 상태가 소정의 시간 계속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판정이 만족되지 않아, 단계 620으로 되돌아간다. 한편,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는 판정이 만족되어, 다음 단계 700으로 이행한다.
단계 700에서는 컨트롤러(205)가 연료분사제어장치(272)에 출력하는 마력증대신호(Sen)를 오프로 함으로써, 연료분사제어장치(272)가 연료분사장치(271)로부터 엔진(181)에의 연료분사량을 원래의 분사량으로 되돌리고, 이에 의하여 엔진(181)의 회전수가 증대 전의 회전수로 복귀한다. 그리고 다음 단계 710에서 플래그를 0 으로 하고, 단계 620으로 되돌아간다.
이상에 있어서, 배출 컨베이어(165) 및 자선기(166)는 특허청구범위의 각 항에 기재된 파쇄장치에 의한 파쇄작업에 관련되는 작업을 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기계를 구성하고, 배출 컨베이어용 유압모터(174) 및 자선기용 유압모터(173)는 보조기계를 구동하는 보조기계용 유압 엑츄에이터를 구성한다. 또 제 1 유압펌프(179A) 및 제 2 유압펌프(179B)는 파쇄장치용 유압모터를 구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압펌프를 구성함과 동시에, 청구항 3에 기재된 경전제어가 동조하는 2개의 가변 용량형의 유압펌프로 구성된 제 1 유압펌프를 구성하고, 제 3 유압펌프(179C)는 보조기계용 유압 엑츄에이터를 구동하는 제 2 유압펌프를 구성한다.
또, 압력센서(158, 159) 및 토출압 검출관로(260, 261)는 제 1 유압펌프의 토출압을 검출하는 제 1 토출압 검출수단을 구성하고, 압력센서(160) 및 토출압 검출관로(262, 262a, 262b)는 제 2 유압펌프의 토출압을 검출하는 제 2 토출압 검출수단을 구성한다. 또 컨트롤러(205)는 원동기의 회전수를 증대시키는 제어를 행하는 제어수단을 구성함과 동시에, 이 컨트롤러(205)와 레귤레이터장치(194)가, 제 1 유압펌프와 제 2 유압펌프의 입력 토오크의 합계가 원동기의 출력 토오크 이하가되도록 제 1 토출압 검출수단의 검출신호와 제 2 토출압 검출수단의 검출신호에 의거하여 제 1 유압펌프와 제 2 유압펌프의 토출유량을 제어함과 동시에, 제 1 토출압 검출수단과 제 2 토출압 검출수단과의 검출신호에 의거하여 원동기의 회전수를 증대시키는 제어를 행하는 제어수단을 구성한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본 발명의 자주식 파쇄기의 다른 실시형태의 동작을 이하에 설명한다.
상기 구성의 자주식 파쇄기에 있어서, 파쇄작업시에는 조작자는 조작반(196)의 모드선택 스위치(196e)에 의하여 「파쇄모드」를 선택하여 주행조작을 불가능하게 한 후, 슈레더 정회전·역회전 선택 다이얼(196b)로 「정회전」을 선택하면서, 자선기 기동·정지 스위치(196d), 컨베이어 기동·정지 스위치(196c), 슈레더 기동·정지스위치(196a)를 순차 「기동」측으로 누른다.
상기한 조작에 의하여 컨트롤러(205)로부터 자선기용 컨트롤밸브(191)의 솔레노이드구동부(191a)에의 구동신호(Sm')가 온이 되어 자선기용 컨트롤밸브(191)가 도 24에 있어서 상측의 연통위치(191A)로 전환되고, 또 컨트롤러(205)로부터 컨베이어용 컨트롤밸브(190)의 솔레노이드구동부(190a)에의 구동신호(Sc온')가 온이 되어 배출 컨베이어용 컨트롤밸브(190)가 도 24에 있어서 상측의 연통위치(190A)로 전환된다. 또한 컨트롤러(205)로부터 제 1 및 제 2 파쇄장치용 컨트롤밸브(186L, 186R)의 솔레노이드구동부(186La, 186Ra)에의 구동신호(Scr1)가 온이 됨과 동시에 솔레노이드구동부(186Lb, 186Rb)에의 구동신호(Scr2)가 오프가 되고, 제 1 및 제 2 파쇄장치용 컨트롤밸브(186L, 186R)가 도 20 및 도 22에 있어서 상측의 전환위치(186LA, 186RA)로 전환된다.
이에 의하여 제 3 유압펌프(179C)로부터의 압유가 자선기용 유압모터(173) 및 배출 컨베이어용 유압모터(174)에 공급되어, 자선기(166) 및 배출 컨베이어(165)가 기동되는 한편, 제 1 및 제 2 유압펌프(179A, 179B)로부터의 압유가 합류하여 파쇄장치용 유압모터(169)에 공급되어 파쇄장치(162)가 정회전방향으로 기동된다.
그리고 예를 들면 유압셔블의 버킷으로 호퍼(161)에 피파쇄물을 투입하면, 그 투입된 피파쇄물이 파쇄장치(162)로 유도되어, 파쇄장치(162)로 소정의 크기로 파쇄된다. 파쇄된 파쇄물은 파쇄장치(162) 하부의 공간으로부터 배출 컨베이어(165)상으로 낙하하여 운반되고, 그 운반 도중에 자선기(166)에 의하여 파쇄물에 혼입한 자성물(예를 들면 콘크리트의 건설 폐자재에 혼입되어 있는 철근조각 등)이 제거되고, 크기가 대략 정돈되어, 최종적으로 자주식 파쇄기의 뒷부분(도 17에 있어서 우측 끝부)으로부터 반출된다.
이러한 순서로 행하여지는 파쇄작업에 있어서, 상기한 바와 같이 조작자에 의하여 컨트롤러(205)의 전원이 투입된 시점으로부터, 컨트롤러(205)는 도 25의 플로우에 나타내는 엔진 마력증대제어를 개시한다.
즉, 단계 610에서 플래그를 0으로 한 후, 단계 620에서 압력센서(158, 159, 160)로부터 출력되는 제 1 내지 제 3 유압펌프(179A, 179B, 179C)의 토출압(P1', P2', P3)을 입력하고, 단계 630에서 {((P1'+P2')/2)+P3}/2 가 한계치(P0")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때 파쇄장치용 유압모터(169)의 부하가 통상의 부하량인 경우에는, {((P1'+P2')/2)+P3}/2 가 한계치(P0")보다 이하가 되기 때문에 단계 630의 판정이 만족되지 않고, 또 플래그가 0 이기 때문에 다음 단계 680의 판정도 만족되지 않아 단계 620으로 되돌아간다. 이와 같이 통상의 엔진부하에 의해 파쇄작업이 행하여지고 있는 동안은 상기 단계 620 → 단계 630 → 단계 680 →단계 620을 반복한다.
여기서, 예를 들면 피파쇄물(파쇄원료)의 과잉공급 등의 원인에 의하여 파쇄작업 중에 파쇄장치용 유압모터(169)의 부하압력이 커지면, {((P1'+P2')/2)+ P3}/2 가 한계치(P0") 이상이 되어, 상기 단계 630의 판정이 만족된다. 이때 플래그는 0 이기 때문에 다음 단계 640의 판정이 만족되어 단계 650으로 이행하고, 소정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단계 650 →단계 620∼단계 650을 반복한다. 이와 같이 하여 {((P1'+ P2')/2)+P3}/2 가 한계치(P0") 이상인 상태가 소정시간 계속되면, 단계 650의 판정이 만족되어 단계 660으로 이행하고, 컨트롤러(205)가 연료분사제어장치(272)에 마력증대신호(Sen)를 출력함으로써, 연료분사제어장치(272)는 연료분사장치(271)로부터 엔진(181)에 대한 연료분사량을 증대시켜, 엔진(181)의 회전수가 증대한다. 그리고 다음 단계 670에서 플래그를 1 로 한다.
이와 같이 하여 컨트롤러(205)에 의한 엔진 마력증대제어가 행하여져 엔진(181)의 회전수가 증대하면, 파쇄장치(162)에 의한 피파쇄물의 파쇄처리가 진행되고, 파쇄장치용 유압모터(169)의 부하압력이 저하한다. 이에 의하여{((P1'+P2')/2)+ P3}/2 가 한계치(P0") 보다 작아지기 때문에 단계 630의 판정은 만족되지 않아, 단계620 →단계 630 →단계 680으로 진행하고, 플래그는 1 이기 때문에 이 단계 680의 판정이 만족되어 단계 690으로 이행한다. 여기서, {((P1'+P2')/2)+P3}/2 가 한계치(P0")보다 작은 상태가 소정시간 계속될 때까지, 단계 690 →단계 620 →단계 630 → 단계 680 →단계 690을 반복하고, 소정시간 경과하면 단계 690의 판정이 만족되어, 다음 단계 700으로 이행한다. 이 단계 700에서 컨트롤러(205)는 연료분사제어장치(272)에 출력하고 있는 마력증대신호(Sen)를 오프로 하고, 이에 의하여 연료분사장치(271)로부터 엔진(181)에 대한 연료분사량이 원래의 분사량으로 되돌아가, 엔진(181)의 회전수는 원래의 회전수로 복귀한다. 그리고 다음 단계 710에서 플래그를 0 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 및 동작인 본 발명의 자주식 파쇄기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하면, 압력센서(158, 159, 160)가 제 1 내지 제 3 유압펌프(179A, 179B, 179C)의 토출압(P1', P2', P3)을 검출하여 엔진(181)의 과부하상태를 검출한 경우에, 컨트롤러(205)가 엔진(181)의 회전수를 증대시킨다. 이에 의하여 상기한 일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파쇄장치의 부하가 증대하여 엔진이 과부하상태가 되었을 때에 엔진(181)의 마력을 증대하기 때문에, 파쇄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상 설명하여 온 본 발명의 자주식 파쇄기의 일 실시형태 및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압력센서를 사용하여 제 1 및 제 2(및 제 3) 유압펌프의 토출압을 검출하고, 이에 의하여 엔진의 과부하상태를 검출하였을 때에 엔진의 마력증대제어를 행하도록 하였으나,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엔진의 회전수를 검출하여 그 회전수가 소정의 값보다 작은 경우에 엔진이 과부하상태라고 하여 엔진의 마력증대를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예를 들면 피파쇄물(파쇄원료)의 과잉공급 등의 원인에 의하여 파쇄작업 중에 파쇄장치에 중부하가 걸려 파쇄장치용 유압모터의 부하압력이 커진 경우에는, 파쇄장치 부하 검출수단으로 그 과부하상황을 검출하고, 제어수단으로 원동기의 회전수를 증대하여 원동기의 마력을 증대한다. 이와 같이 파쇄장치의 과부하시에 원동기의 마력을 증대함으로써, 파쇄장치용 유압모터의 회전수가 저하함으로써 생기는 파쇄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Claims (3)

  1. 피파쇄물을 파쇄하는 자주식 파쇄기에 있어서,
    파쇄장치(20 ; 162)와,
    이 파쇄장치(20 ; 162)를 구동하는 파쇄장치용 유압모터(21 ; 169)와,
    이 파쇄장치용 유압모터(21 ; 169)를 구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압펌프(62 ; 179A, 179B) 및 이 유압펌프(62 ; 179A, 179B)를 구동하는 원동기(61, 181)를 가지는 유압구동장치와,
    상기 파쇄장치(20 ; 162)의 부하상황을 검출하는 파쇄장치 부하 검출수단(151 ; 158, 159) 과,
    상기 파쇄장치 부하 검출수단(151 ; 158, 159)의 검출신호에 의거하여, 상기원동기(61 ; 181)의 회전수를 증대시키는 제어를 행하는 제어수단(84', 84" ; 205)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파쇄기.
  2. 피파쇄물을 파쇄하는 자주식 파쇄기에 있어서,
    파쇄장치(20 ; 162)와,
    이 파쇄장치(20 ; 162)에 의한 파쇄작업에 관련되는 작업을 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기계(15, 40, 55 ; 165, 166)와,
    상기 파쇄장치(20 ; 162)를 구동하는 파쇄장치용 유압모터(21 ; 169)와,
    상기 보조기계(15, 40, 55 ; 165, 166)를 구동하는 보조기계용 유압 엑츄에이터(19, 48, 60 ; 173, 174)와,
    상기 파쇄장치용 유압모터(21, 169)를 구동하는 제 1 유압펌프(62 ; 179A, 179B)와,
    상기 보조기계용 유압 엑츄에이터(19, 48, 60 ; l73, 174)를 구동하는 제 2 유압펌프(63 ; 179C) 및 상기 제 1 유압펌프(62 ; 179A, 179B)와 상기 제 2 유압펌프(63 ; 179C)를 구동하는 원동기(61 ; 181)를 가지는 유압구동장치와,
    상기 제 1 유압펌프(62 ; l79A, 179B)의 토출압을 검출하는 제 1 토출압 검출수단(136a∼136c, 151 ; 158, 159, 260, 261)과,
    상기 제 2 유압펌프(63 ; 179C)의 토출압을 검출하는 제 2 토출압 검출수단(137a∼137c, 152 ; 160, 262, 262a, 262b)과,
    상기 제 1 유압펌프(62 ; 179A, 179B)와 제 2 유압펌프(63 ; 179C)의 입력 토오크의 합계가 상기 원동기(61 ; 181)의 출력 토오크 이하가 되도록 상기 제 1 토출압 검출수단(136a∼136c, 151 ; 158, 159, 260, 261)의 검출신호와 제 2 토출압 검출수단(137a∼137c, 152 ; 160, 262, 262a, 262b)의 검출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유압펌프(62 ; 179A, 179B)와 제 2 유압펌프(63 ; 179C)의 토출유량을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토출압 검출수단(136a∼136c, 151 ; 158, 159, 260, 261)과 제 2 토출압 검출수단(137a∼137c, 152 ; 160, 262, 262a, 262b)의 검출신호에 의거하여 상기원동기(61 ; 181)의 회전수를 증대시키는 제어를 행하는 제어수단(71, 72, 72', 84', 84" ; 194, 205)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파쇄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압펌프(62 ; 179A, 179B)는, 경전제어가 동조하는 2개의 가변 용량형의 유압펌프(179A, 179B)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파쇄기.
KR1020057000305A 2002-12-11 2003-12-10 자주식 파쇄기 KR1007097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359862 2002-12-11
JP2002359862A JP2004188326A (ja) 2002-12-11 2002-12-11 自走式破砕機
PCT/JP2003/015774 WO2004052544A1 (ja) 2002-12-11 2003-12-10 自走式破砕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2899A true KR20050012899A (ko) 2005-02-02
KR100709763B1 KR100709763B1 (ko) 2007-04-19

Family

ID=32500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0305A KR100709763B1 (ko) 2002-12-11 2003-12-10 자주식 파쇄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318463B2 (ko)
EP (1) EP1579917A1 (ko)
JP (1) JP2004188326A (ko)
KR (1) KR100709763B1 (ko)
CN (1) CN1691981A (ko)
AU (1) AU2003289300B2 (ko)
WO (1) WO20040525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1424B1 (ko) * 2003-10-22 2011-06-15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자주식 리사이클기의 주행제어장치
US7204324B2 (en) * 2004-03-03 2007-04-17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Rotating systems associated with drill pipe
US7198213B2 (en) * 2004-08-13 2007-04-03 Vecoplan, Llc Mobile shredder
JP2006329248A (ja) * 2005-05-24 2006-12-07 Kobelco Contstruction Machinery Ltd 作業機械の油圧供給装置
US7395913B1 (en) * 2007-05-23 2008-07-08 Nmc-Wollard, Inc. Conveyor with belt to roller synchronization mechanism
SE531298C2 (sv) * 2007-06-15 2009-02-17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Krossanläggning och metod för styrning av densamma
JP5378371B2 (ja) * 2008-05-29 2013-12-25 株式会社小松製作所 自走式破砕機、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8157014B2 (en) * 2008-12-12 2012-04-17 Hydril Usa Manufacturing Llc Subsea solids processing apparatuses and methods
JP5175870B2 (ja) * 2010-01-13 2013-04-03 川崎重工業株式会社 作業機械の駆動制御装置
JP5566333B2 (ja) * 2011-05-11 2014-08-06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制御システム
CN102698854A (zh) * 2012-05-21 2012-10-03 中国煤炭科工集团太原研究院 自移式给料破碎机
FI129852B (fi) * 2012-10-02 2022-09-30 Metso Minerals Inc Menetelmä mineraalimateriaalin prosessointilaitoksen ohjaamiseksi ja mineraalimateriaalin prosessointilaitos
FI124339B (fi) * 2012-10-26 2014-07-15 Metso Minerals Inc Menetelmä, ohjausjärjestelmä sekä tietokoneohjelma mineraalimateriaalin prosessointilaitoksen ohjaamiseksi ja mineraalimateriaalin prosessointilaitos
US9205431B2 (en) * 2013-03-14 2015-12-08 Joy Mm Delaware, Inc. Variable speed motor drive for industrial machine
CN105102048B (zh) 2013-03-15 2018-09-21 费雪派克医疗保健有限公司 鼻套管组件和相关部件
CN103127999A (zh) * 2013-03-25 2013-06-05 广西黎塘建设机械厂 履带式移动磁选机动力控制系统
PL3763409T3 (pl) 2013-08-09 2022-05-30 Fisher & Paykel Healthcare Limited Asymetryczne elementy podawania donosowego i łączniki dla interfejsów nosowych
EP3152334A4 (en) * 2014-06-03 2018-02-28 Putsch&Company, Inc. Process for producing pulp from sugar beets
GB2527078B (en) * 2014-06-10 2019-03-20 Terex Gb Ltd Movable chute for material processing apparatus
CN105435881B (zh) * 2014-08-27 2017-12-19 中联重科股份有限公司 一种物料破碎装置以及物料输送系统
US10279354B2 (en) * 2014-10-24 2019-05-07 Mclanahan Corporation Impact crusher and curtain adjustment system
CN104594905B (zh) * 2014-12-26 2017-05-10 中国煤炭科工集团太原研究院有限公司 露天煤矿连续运输行走式破碎机
CN104549699A (zh) * 2015-01-09 2015-04-29 深圳中城绿建科技有限公司 一种履带式自行移动式一体化破碎机
CN105214795B (zh) * 2015-11-03 2018-11-06 湖南三一路面机械有限公司 一种剪切式破碎机及其破碎控制方法
USD870269S1 (en) 2016-09-14 2019-12-17 Fisher & Paykel Healthcare Limited Nasal cannula assembly
CN106762988B (zh) * 2017-01-23 2019-08-06 柳工美卓建筑设备(常州)有限公司 一种用于移动式筛分设备的液压控制系统
CN109210028A (zh) * 2018-11-12 2019-01-15 环创(厦门)科技股份有限公司 移动破碎车液压驱动系统
CN109778938B (zh) * 2019-01-22 2021-03-16 徐州徐工挖掘机械有限公司 一种基于破碎工况挖掘机功率自适应控制装置及方法
DE102020101863A1 (de) * 2020-01-27 2021-07-29 Kleemann Gmbh Brechanlage
CN114471926B (zh) * 2021-12-16 2023-04-21 韶关核力重工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碎石制砂的供电智能控制系统、设备
KR20230155254A (ko) 2022-05-03 2023-11-1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프로파페논 및 mTOR 억제제 또는 혈당강하제를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396323B (sv) * 1974-12-18 1977-09-19 Bofors Ab Anordning for att mojliggora samkorning mellan ett dragfordon och ett slepfordon
WO1990008263A1 (en) * 1989-01-18 1990-07-26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Hydraulic driving unit for construction machinery
KR0167013B1 (ko) * 1993-02-26 1999-01-15 안자끼 사또루 자주식 파쇄기
US5641261A (en) * 1993-10-18 1997-06-24 Taylor Iron-Machine Works, Inc. Fork lift truck
JP3449643B2 (ja) * 1994-07-20 2003-09-22 株式会社小松製作所 自走式破砕機械の破砕機制御装置
JP3657765B2 (ja) 1998-02-13 2005-06-08 日立建機株式会社 自走式破砕機の油圧駆動装置
JP3967497B2 (ja) * 1998-08-25 2007-08-29 日立建機株式会社 自走式破砕機のエンジン制御装置
JP3631044B2 (ja) * 1999-05-24 2005-03-23 日立建機株式会社 自走式破砕機の油圧駆動装置
EP1361378B1 (en) * 2001-01-19 2009-05-06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Hydraulic motor trouble detector and hydraulically driven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052544A1 (ja) 2004-06-24
CN1691981A (zh) 2005-11-02
KR100709763B1 (ko) 2007-04-19
US20050173570A1 (en) 2005-08-11
AU2003289300A1 (en) 2004-06-30
JP2004188326A (ja) 2004-07-08
AU2003289300B2 (en) 2007-02-08
EP1579917A1 (en) 2005-09-28
US7318463B2 (en) 2008-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9763B1 (ko) 자주식 파쇄기
US8118246B2 (en) Mobile crusher
CN100451352C (zh) 油压驱动控制装置
JP3967497B2 (ja) 自走式破砕機のエンジン制御装置
JPH11226446A (ja) 破砕機のフィーダ制御装置
JP2004261758A (ja) 自走式破砕機の原動機制御装置
JP4262864B2 (ja) 自走式リサイクル品生産機の油圧駆動装置
JP2004188251A (ja) 自走式破砕機
JP4014782B2 (ja) 自走式リサイクル製品生産機の油圧駆動装置
JP3784210B2 (ja) 自走式破砕機の油圧駆動装置
JP2008110296A (ja) リサイクル機械
JP4058331B2 (ja) 自走式破砕機
JP3657765B2 (ja) 自走式破砕機の油圧駆動装置
JP3631044B2 (ja) 自走式破砕機の油圧駆動装置
JP2002001157A (ja) 自走式破砕機の振動抑制方法及び自走式破砕機
JPH11253831A (ja) 破砕機のフィーダ制御装置
JP3748346B2 (ja) 自走式破砕機の油圧駆動装置
JP2002239409A (ja) 自走式リサイクル製品生産機の油圧駆動装置
JP2001041202A (ja) 自走式破砕機の油圧駆動装置
JP4566446B2 (ja) 自走式破砕機の油圧駆動装置及び自走式破砕機
JP4286426B2 (ja) 自走式破砕機
JP2001190980A (ja) 自走式破砕機
JP2003170076A (ja) 自走式破砕機
CN112211250A (zh) 一种阀外合流液压系统及挖掘机
JP2005305291A (ja) 自走式破砕機における油圧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