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2815A - 엘리베이터용 속도 조절기 및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용 속도 조절기 및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2815A
KR20050002815A KR10-2004-7011089A KR20047011089A KR20050002815A KR 20050002815 A KR20050002815 A KR 20050002815A KR 20047011089 A KR20047011089 A KR 20047011089A KR 20050002815 A KR20050002815 A KR 200500028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speed regulator
return
lever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1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85556B1 (ko
Inventor
오카다미네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02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28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5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55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excessive speed
    • B66B5/044Mechanical overspeed govern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excessive spe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용 속도 조절기에 있어서는, 속도 조절기 본체의 복귀 동작을 보조하는 복귀 보조 기구가 속도 조절기 본체에 설치된다. 복귀 보조 기구는 외부 조작되는 작용 레버를 갖고 있다. 카의 상부에는 작용 레버를 기입 조작하는 조작 부재가 설치된다. 카 위로 작업원이 올라갈 수 없을 경우, 조작 부재에 의해 작용 레버를 가압 조작하고, 속도 조절기 본체의 복귀 동작을 보조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용 속도 조절기 및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SPEED GOVERNOR AND ELEVATOR APPARATUS}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는, 카의 속도가 미리 설정된 과속도에 도달하면, 카에 탑재된 비상 정지 장치가 속도 조절기에 의해 동작되어, 카가 비상 정지된다.
비상 정지후의 복귀 작업에 있어서는, 비상 정지 장치의 제동 상태가 해제 된 후, 속도 조절기에 대한 복귀 작업이 실시된다. 기계실이 아니라 승강로내의 상부에 속도 조절기가 배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는, 최상층의 랜딩(landing)으로부터 랜딩 도어를 열고, 작업원이 카 위로 올라가, 카상에서 속도 조절기에 손을 뻗쳐서 복귀 작업이 실시된다.
그러나, 카의 비상 정지 위치가 최상층의 랜딩 부근일 경우, 랜딩 도어를 열어도 카의 천정에 올라갈 수가 없다. 이 경우, 카를 상승시켜서, 비상 정지 장치의 카 가이드 레일로의 제동 상태를 해제시킬 수는 있지만, 카 위로 작업원이 올라가기 위해서 카를 하강시킬 수는 없다.
이것에 대하여, 예를 들면 최상층의 랜딩의 벽부에 복귀용 개구부를 설치하고, 이 복귀용 개구부를 통해 승강로내에 작업원이 손을 집어넣고, 속도 조절기에 대한 복귀 작업을 실시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복귀용 개구부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벽부에 구멍을 뚫는 공사가 필요하고, 손이 많이 가는 동시에, 내화성능이나 의장성이 저하된다. 또한, 복귀용 개구부는 랜딩 도어보다도 상방의 고소에 위치하고, 더구나 속도 조절기는 복귀용 개구부에서 더욱 깊숙이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복귀용 개구부로부터의 복귀 작업은 어렵게 된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행해진 것으로서, 카의 비상 정지 위치가 최상층의 랜딩 부근인 경우에도, 복귀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속도 조절기 및 그 속도 조절기를 사용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속도 조절기는 승강로내의 상부에 배치되어, 카의 속도가 미리 설정된 과속도에 도달한 것을 검출하여 동작하고, 카에 탑재된 비상 정지 장치를 동작시키는 속도 조절기 본체, 속도 조절기 본체에 설치되는 한편, 외부 조작되는 작용 레버를 가지며, 작용 레버가 조작됨으로써, 속도 조절기본체의 복귀 동작을 보조하기 위한 복귀 보조 기구, 및 카의 상부에 설치되고, 작용 레버를 가압 조작하기 위한 조작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로내를 승강하는 카, 카에 탑재되어, 카를 비상 정지시키는 비상 정지 장치, 승강로내의 상부에 배치되어, 카의 속도가 미리 설정된 과속도에 도달한 것을 검출하여 동작하고, 비상 정지 장치를 동작시키는 속도 조절기 본체, 속도 조절기 본체에 설치되는 한편, 외부 조작되는 작용 레버를 갖고, 작용 레버가 조작됨으로써 속도 조절기 본체의 복귀 동작을 보조하기 위한 복귀 보조 기구, 및 카의 상부에 설치되고, 작용 레버를 가압 조작하기 위한 조작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은 승강로내에 설치되어, 카(car)의 과속도(過速度)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용 속도 조절기 및 그 속도 조절기를 사용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일례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도시하는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속도 조절기 본체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3은 도 2의 요부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4는 도 3의 복귀용 레버를 복귀 위치까지 요동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일례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승강로(1)내의 상부에는, 구동 장치(2)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 장치(2)의 구동 로프 바퀴(sheave)(2a)에는 메인 로프(3)가 감겨 있다. 메인 로프(3)의 일 단부에는 카(4)가 매달려 있고, 메인 로프(3)의 다른 단부에는 카운터웨이트(counterweight)(5)가 매달려 있다. 승강로(1)내에는 카(4) 및 카운터웨이트(5)의 승강을 안내하는 한 쌍의 카 가이드 레일(6) 및 한 쌍의 카운터웨이트 가이드 레일(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카(4)의 하부에는 카(4)를 비상 정지시키기 위한 비상 정지 장치(7)가 탑재되어 있다. 카 가이드 레일(6)의 상단부 근방에는, 속도 조절기 지지 부재(8)가 고정되어 있다. 이 속도 조절기 지지 부재(8)상에는 카(4)의 과속도를 검출하여 비상 정지 장치(7)를 동작시키는 속도 조절기 본체(9)가 지지되어 있다.
승강로(1)의 바닥부 근방에는 회전 가능한 텐션 로프 바퀴(10)가 설치된다. 속도 조절기 본체(9) 및 텐션 로프 바퀴(10) 사이에는 루프 형상의 속도 조절기 로프(11)가 감겨 있다. 속도 조절기 로프(11)는 레버(12)를 거쳐서 비상 정지 장치(7)에 접속되고 있고, 카(4)의 승강에 따라 순환 이동된다.
랜딩(13)에는 랜딩 도어(14)가 설치된다. 카(4)의 상부에는 막대 형상의 조작 부재(조작 캠)(75)가 수직으로 고정되어 있다. 조작 부재(75)는 카(4)가 최상층의 랜딩(13)보다도 상방으로 이동했을 때에 속도 조절기 본체(9)에 근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속도 조절기 본체(9)를 도시하는 정면도다. 도면에 있어서, 속도 조절기 로프(11)가 감긴 로프 바퀴(21)는 로프 바퀴 샤프트(22)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베이스(23)에 지지되어 있다. 로프 바퀴(21)의 측면에는 핀(24)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한 쌍의 플라이웨이트(flyweight)(25)가 부착되어 있다. 이들 한 쌍의 플라이웨이트(25)는 링크(26)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한쪽의 플라이웨이트(25)의 일 단부에는 작동 폴(37)이 고정되어 있다. 플라이웨이트(25)는 로프 바퀴(21)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회동된다. 이로써, 작동 폴(37)은 로프 바퀴(21)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변위된다. 한쪽의 플라이웨이트(25)의 다른 단부와 로프 바퀴(21) 사이에는 원심력에 대항하는 평형 스프링(27)이 설치된다. 베이스(23)에는 구동 장치(2)의 브레이크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동작시키는 카 정지용 스위치(28)가 부착되어 있다. 카 정지용 스위치(28)는 작동 폴(37)에 의해 조작되는 스위치 레버(28a)를 갖고 있다.
로프 바퀴(23)에는 핀(24)과 평행한 축(7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트립 레버(trip lever)(72)가 부착되어 있다. 트립 레버(72)는 그 일부가 한쪽의 플라이웨이트(25)에 접촉하고 있어서, 플라이웨이트(25)의 회동에 의해 축(71)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된다. 축(71)에는 트립 레버(72)를 플라이웨이트(25)에 접촉시키는 방향(도면의 시계 방향)으로 힘을 부가하는 토션 스프링(73)이 설치된다.
베이스(23)에는 로프 바퀴 샤프트(22)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래치트(ratchet)(30)가 설치된다. 이 래치트(30)의 외주부에는 다수의 톱니가 설치되어 있다. 한쪽의 핀(24)에는 트립 레버(72) 및 래치트(30)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결합하는 폴(29)이 축 지지되어 있다. 폴(29)은 리트랙팅(retracting) 스프링(74)에 의해 래치트(30)에 결합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고 있다. 폴(29)은 통상은 트립 레버(72)와 결합하여 래치트(30)로부터 이간되어 있지만, 트립 레버(72)와의 결합이 해제되면, 리트랙팅 스프링(74)의 스프링력에 의해 회동되어 래치트(30)의 톱니에 결합한다.
베이스(23)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아암(31)에는, 속도 조절기 로프(11)에 가압할 수 있는 슈(shoe)(32)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아암(31)의 스프링 베어링부(31a)에는 스프링 축(33)이 관통되어 있다. 스프링 축(33)의 일 단부와 래치트(30) 사이에는 접속 레버(34)가 접속되어 있다. 스프링 축(33)의 다른 단부에는 스프링 베어링 부재(35)가 설치된다. 스프링 베어링부(31a)와 스프링 베어링 부재(35) 사이에는 슈(32)를 속도 조절기 로프(11)에 가압하기 위한 로프 파지 스프링(36)이 설치된다.
베이스(23)에는 복귀용 레버(42)가 부착되어 있다. 복귀용 레버(42)는 로프 바퀴 샤프트(22)로 평행한 축(43)을 중심으로 요동 가능하다. 폴(29)에는 복귀용 레버(42)가 요동함으로써 가압되는 회전 가능한 돌기(44)가 설치된다. 베이스(23)와 복귀용 레버(42) 사이에는 돌기(44)로부터 이간되는 방향으로 복귀용 레버(42)에 힘을 부가하는 복귀 스프링(45)이 설치된다.
축(43)에는 외부로부터 조작됨으로써 축(43)을 중심으로 하여 복귀용 레버(42)와 일체적으로 회동되는 작용 레버(76)가 부착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복귀 보조 기구는 복귀용 레버(42), 축(43), 돌기(44), 복귀 스프링(45) 및작용 레버(76)를 갖고 있다. 이 복귀 보조 기구는 작용 레버(76)가 조작됨으로써, 속도 조절기 본체(9)의 일부 기구, 즉 폴(29) 및 트립 레버(72)를 과속도 검출에 의한 동작 상태로부터 동작전의 상태로 복귀시킨다. 즉, 복귀 보조 기구는 속도 조절기 본체(9)의 복귀 동작을 보조한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용 속도 조절기는, 속도 조절기 본체(9), 복귀 보조 기구 및 조작 부재(75)를 갖고 있다.
도 3은 도 2의 요부를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복귀용 레버(42)를 복귀 위치까지 요동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3에서는, 복귀용 레버(42)는 통상 위치에 있고, 돌기(44)로부터 이간되어 있다. 도 3의 상태로부터, 조작 부재(75)가 상방으로 변위되면, 작용 레버(73)가 조작 부재(75)에 의해 가압 되어 회동되고, 복귀용 레버(42)도 복귀 스프링(45)에 역행하여 복귀 위치까지 요동된다. 이로써, 돌기(44)가 복귀용 레버(42)에 의해 가압되어, 폴(29)이 리트랙팅 스프링(74)에 역행하여 도면의 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 트립 레버(72)와 결합한다.
다음으로,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카(4)의 승강 속도가 제 1 과속도(통상은 정격 속도의 1.3배 정도)에 도달하면, 원심력에 의한 플라이웨이트(25)의 회동에 의해 작동 폴(37)이 카 정지용 스위치(28)의 스위치 레버(28a)에 접촉하여 스위치 레버(28a)를 회동시킨다. 이로써, 스위치(28)가 작동하고, 구동 장치(2)의 전원이 차단되어, 구동 장치(2)의 브레이크 장치에 의해 카가 정지된다.
또한, 예를 들면 메인 로프(3)가 파단되었을 경우 등, 구동 장치(2)가 정지하여도, 카(4)가 정지되는 일없이 하강을 계속하고, 카(4)의 하강 속도가 제 2 과속도(통상은 정격 속도의 1.4배 정도)에 도달하면, 플라이웨이트(25)가 더욱 회동하고, 이에 따라 트립 레버(72)의 회동량도 커지고, 트립 레버(72)와 폴(29)의 결합이 해제된다. 이로써, 폴(29)이 리트랙팅 스프링(74)의 스프링력으로 회동되어 래치트(30)의 톱니에 결합한다. 그리고, 래치트(30)가 로프 바퀴(21)와 함께 도 2의 반시계 방향으로 약간 회전된다.
이 래치트(30)의 회전에 의해, 아암(31)이 도 2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어, 슈(32)가 속도 조절기 로프(11)에 접촉하는 동시에, 로프 파지 스프링(36)에 의해 슈(32)가 속도 조절기 로프(11)에 가압되어, 속도 조절기 로프(11)가 제동된다. 속도 조절기 로프(11)의 순환이 정지되면, 카(4)가 계속해서 하강하는 것에 의해 레버(12)가 조작되어, 비상 정지 장치(7)가 동작한다.
다음으로, 비상 정지 장치(7) 및 속도 조절기 본체(9)의 동작후의 복귀 작업에 대해서 설명한다.
복귀 작업에 있어서는, 우선 카(4)를 약간 상승시키고, 비상 정지 장치(7)의 카 가이드 레일(6)에의 제동 상태를 해제시킨다. 그 후, 더욱 카(4)를 상승시키면, 로프 바퀴(21)가 속도 조절기 로프(3)를 거쳐서 도 2의 시계 방향으로 회동되어, 폴(29)과 래치트(30)의 결합이 해제되고, 래치트(30)도 도면의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온다. 이로써, 아암(31)이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오고, 슈(32)가 속도 조절기 로프(11)로부터 분리된다.
그 후, 최상층의 랜딩(13)으로부터 카(4)의 천장에 올라갈 수 있는 위치까지카(4)를 상승시킨 후, 최상층의 랜딩(13)의 랜딩 도어(14)를 열고, 작업원이 카(4) 위로 올라간다. 그리고, 카(4)상으로부터 속도 조절기 본체(9)에 손을 뻗어 폴(29)을 트립 레버(72)에 결합시킴으로써, 복귀 작업이 종료된다.
이와 같이, 작업원이 카(4) 위로 올라갈 수 있으면, 폴(29)을 트립 레버(72)에 수동으로 결합시킬 수 있고, 복귀 보조 기구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한편, 속도 조절기 본체(9)가 제 2 과속도 동작을 했을 때의 카(4)의 위치가 최상층의 랜딩(13) 부근이고, 그 위치로부터는 랜딩 도어(14)를 열어서 카(4)의 천장에 올라갈 수 없을 경우, 카(4)를 더욱 상승시켜, 조작 부재(75)에 의해 작용 레버(76)를 가압한다. 이로써, 속도 조절기 본체(9)측에서는 복귀용 레버(42)가 복귀 스프링(45)에 역행하여 도 2 내지 도 4의 시계 방향으로 요동되어, 돌기(44)가 복귀용 레버(42)에 의해 가압된다. 그리고, 폴(29)이 리트랙팅 스프링(73)에 역행하여 도 2 내지 도 4의 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 트립 레버(72)에 결합한다.
또한, 복귀용 레버(42)와 돌기(44)가 대향하는 위치 관계에 있지 않을 경우에는, 카(4)를 그대로 잠시 상승시키고, 로프 바퀴(21)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로써, 조작 부재(75)는 작용 레버(76)에 계속해서 접촉하고, 로프 바퀴(21)와 일체로 회전하는 돌기(44)가 복귀 위치에 있는 복귀용 레버(42)에 접촉하여 가압된다.
이렇게 조작함으로써, 카(4)가 최상층의 랜딩(13) 부근에 있고, 그 위치로부터는 랜딩 도어(14)를 열어서 카(4)의 천장에 올라갈 수 없을 경우에 있어서도, 랜딩(13)측으로부터의 원격 조작에 의해 폴(29)을 트립 레버(72)에 결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승강로(1)내에 속도 조절기 본체(9)가 배치되어 있을 경우라도, 속도 조절기 본체(9)로 액세스하기 위한 개구부를 랜딩 벽에 설치하는 일없이, 속도 조절기 본체(9)에 대한 복귀 작업을 원격으로부터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고, 복귀 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속도 조절기 본체(9)로부터 랜딩(13)까지 원격 조작용의 와이어 등을 배선할 필요도 없이, 승강로(1)내의 기기 레이아웃의 자유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최상층보다도 하방에서 비상 정지 장치(7)가 동작했을 경우에도, 카(4) 위로 작업원이 올라가는 일없이, 조작 부재(75)를 사용해서 복귀 작업을 실행하는 것은 가능하다. 단지, 카(4)를 최상층의 착상 위치보다도 상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예를 들면 안전 장치를 해제하는 등의 손이 많이 가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카(4) 위로 올라가는 것이 간단한 경우가 많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조작 부재(75)를 카(4) 위로 고정했지만, 조작 부재는 카(4)에 대하여 상하 이동 가능하게 하여도 좋다. 이 경우, 카(4)를 최상층의 착상 위치보다도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일없이, 조작 부재를 사용해서 복귀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조작 부재를 상하 이동 가능하게 할 경우, 카 실내로부터의 수동 조작에 의해 상하 이동시켜도 좋고, 또한 전동 모터 등의 구동력에 의해 상하 이동시켜도 좋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이른바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를 도시했지만, 속도 조절기가 승강로내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라면, 기계실을 갖는 엘리베이터 장치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Claims (5)

  1. 엘리베이터용 속도 조절기에 있어서,
    승강로내의 상부에 배치되고, 카의 속도가 미리 설정된 과속도에 도달한 것을 검출해서 동작하여, 상기 카에 탑재된 비상 정지 장치를 동작시키는 속도 조절기 본체와,
    상기 속도 조절기 본체에 설치되는 한편, 외부 조작되는 작용 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작용 레버가 조작됨으로써, 상기 속도 조절기 본체의 복귀 동작을 보조하기 위한 복귀 보조 기구와,
    상기 카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작용 레버를 가압 조작하기 위한 조작 부재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용 속도 조절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 조절기 본체는,
    상기 비상 정지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속도 조절기 로프가 감기고, 상기 카의 승강 속도에 따라 회전하는 로프 바퀴(sheave)와,
    상기 로프 바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폴(pawl)과,
    상기 로프 바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로프 바퀴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회동되는 플라이웨이트(flyweight)와,
    상기 로프 바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편, 통상은 상기 폴과 결합하고 있고, 상기 카의 속도가 상기 과속도에 도달했을 때, 상기 플라이웨이트의 회동에 의해 회동되어 상기 폴과의 결합이 해제되는 트립 레버(trip lever)와,
    상기 트립 레버와 상기 폴의 결합이 해제되었을 때에 상기 속도 조절기 로프를 제동하는 슈(shoe)를 구비하고,
    상기 복귀 보조 기구는,
    통상 위치와 복귀 위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작용 레버가 가압 조작됨으로써 상기 통상 위치로부터 상기 복귀 위치로 변위되어, 상기 폴을 상기 트립 레버에 결합시키는 복귀용 레버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용 속도 조절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카에 대하여 상하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용 속도 조절기.
  4.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승강로내를 승강하는 카와,
    상기 카에 탑재되고, 상기 카를 비상 정지시키는 비상 정지 장치와,
    상기 승강로내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카의 속도가 미리 설정된 과속도에 도달한 것을 검출해서 동작하여, 상기 비상 정지 장치를 동작시키는 속도 조절기본체와,
    상기 속도 조절기 본체에 설치되는 한편, 외부 조작되는 작용 레버를 갖고, 상기 작용 레버가 조작됨으로써 상기 속도 조절기 본체의 복귀 동작을 보조하기 위한 복귀 보조 기구와,
    상기 카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작용 레버를 가압 조작하기 위한 조작 부재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카의 상부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카를 최상층의 착상 위치보다도 상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조작 부재가 상기 작용 레버를 가압 조작하도록 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KR1020047011089A 2003-01-08 2003-01-08 엘리베이터용 속도 조절기 및 엘리베이터 장치 KR1006855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3/000070 WO2004063074A1 (ja) 2003-01-08 2003-01-08 エレベータ用調速機及びエレベー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2815A true KR20050002815A (ko) 2005-01-10
KR100685556B1 KR100685556B1 (ko) 2007-02-22

Family

ID=32697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1089A KR100685556B1 (ko) 2003-01-08 2003-01-08 엘리베이터용 속도 조절기 및 엘리베이터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598300A4 (ko)
JP (1) JP4209393B2 (ko)
KR (1) KR100685556B1 (ko)
CN (1) CN100335395C (ko)
WO (1) WO20040630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38300A1 (ja) * 2004-10-07 2006-04-13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エレベータ装置
EP2020396A4 (en) * 2006-05-22 2013-10-02 Mitsubishi Electric Corp REGIME LIMITER FOR ELEVATOR
CN101233067B (zh) * 2006-05-22 2010-05-19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用调速器
KR100901223B1 (ko) 2007-12-18 2009-06-08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US20110272223A1 (en) * 2008-10-24 2011-11-10 Reto Drayer Velocity limiter for an elevator
JP5735504B2 (ja) 2009-07-20 2015-06-17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Otis Elevator Company エレベータの調速機
CN107021395B (zh) 2016-01-04 2020-11-10 奥的斯电梯公司 具有自动复位的电梯超速调节器
CN107673159B (zh) 2016-08-01 2020-09-08 奥的斯电梯公司 升降机的限速器
CN107673155B (zh) 2016-08-02 2021-03-26 奥的斯电梯公司 限速器组件以及电梯
CN108002168B (zh) 2016-10-27 2021-04-02 奥的斯电梯公司 远程触发装置,限速器组件以及电梯
CN111268532B (zh) 2018-12-04 2022-08-30 奥的斯电梯公司 超速保护开关、限速器组件以及电梯系统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94948C (fi) * 1994-01-05 1995-11-27 Kone Oy Laitteisto hissin nopeudenrajoittimessa
JP4437574B2 (ja) * 1999-10-05 2010-03-2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用調速機
JP2001151434A (ja) * 1999-12-01 2001-06-05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
JP2002270879A (ja) 2001-03-14 2002-09-20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装置
JP3929724B2 (ja) * 2001-06-12 2007-06-13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98300A1 (en) 2005-11-23
CN1639043A (zh) 2005-07-13
WO2004063074A1 (ja) 2004-07-29
JP4209393B2 (ja) 2009-01-14
KR100685556B1 (ko) 2007-02-22
CN100335395C (zh) 2007-09-05
EP1598300A4 (en) 2011-05-25
JPWO2004063074A1 (ja) 2006-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05360B2 (ja) エレベータ用調速機
JP4745332B2 (ja) エレベータ用調速機
JP4437574B2 (ja) エレベータ用調速機
JP3929724B2 (ja) エレベータ
JP4868807B2 (ja) エレベータの調速機
KR100685556B1 (ko) 엘리베이터용 속도 조절기 및 엘리베이터 장치
WO2006008813A1 (ja) エレベータの調速機
JP6296973B2 (ja) 調速機及びエレベータ装置
JP4276036B2 (ja) エレベータ用調速機
JPWO2007057950A1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040029816A (ko) 엘리베이터 장치의 조속기
JP6522564B2 (ja) 調速機、および、試験装置
JP4456967B2 (ja) エレベータ用調速機
JP5157648B2 (ja) エレベータ用調速機
WO2003089354A1 (en) Emergency brake device for elevator
KR100901223B1 (ko)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KR100444976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200299198Y1 (ko) 엘리베이터 장치의 조속기
JP3898969B2 (ja) 調速機のラッチ自動解除方法
JP2005112580A (ja) エレベータ用調速機
JP4974372B2 (ja) エレベータ用調速機
WO2019224881A1 (ja) エレベータ調速機及びエレベータ装置
KR100857644B1 (ko)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KR100901224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H09170U (ja) エレベ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