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1223B1 -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1223B1
KR100901223B1 KR1020077029652A KR20077029652A KR100901223B1 KR 100901223 B1 KR100901223 B1 KR 100901223B1 KR 1020077029652 A KR1020077029652 A KR 1020077029652A KR 20077029652 A KR20077029652 A KR 20077029652A KR 100901223 B1 KR100901223 B1 KR 1009012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urn
sheave
governor
lever
c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9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5112A (ko
Inventor
미네오 오카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77029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1223B1/ko
Publication of KR20080015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51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1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12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excessive speed
    • B66B5/044Mechanical overspeed govern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excessive speed
    • B66B5/04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excessive speed characterised by specific locations of the governor cable

Abstract

엘리베이터 칸이 승강로의 최정부(最頂部)에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조속기의 복귀 작업을 승강로 밖으로부터 실시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조속기를 제공한다.
통상 위치와 복귀 위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통상 위치로부터 복귀 위치로 변위되는 것에 의해 클로(claw)를 회동시켜 트립 레버에 걸어맞추는 복귀용 레버와, 복귀용 레버를 원격 조작에 의해 변위시키는 조작 수단과, 엘리베이터 칸이 정지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쉬브를 엘리베이터 칸이 상승 방향으로 운전하고 있는 경우에 회전하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강제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클로를 복귀용 레버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회전 수단을 구비한다.
엘리베이터 칸, 승강로, 조속기, 통상 위치, 복귀 위치, 복귀용 레버, 쉬브

Description

엘리베이터용 조속기{SPEED GOVERNOR FOR ELEVATOR}
본 발명은 조속기가 승강로 내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이 최정부(最頂部)에 있는 경우도 원격 복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조속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조속기의 구성을 도 11~도 16에 나타낸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문헌 1 참조). 도 11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조속기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전체 구성도, 도 12는 종래의 조속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상세도, 도 13은 조속기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4는 도 13의 복귀 레버를 복귀 위치까지 요동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5는 돌기가 복귀 레버에 정향(正向)하고 있지 않은 위치에 있는 경우의 조속기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6은 도 15의 복귀 레버를 복귀 위치까지 요동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1에 있어서, 승강로(1) 내의 상부에는 구동장치(2)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장치(2)의 쉬브(2a)에는 메인 로프(3)가 감겨져 있다. 메인 로프(3)의 일단부에는 엘리베이터 칸(4)이 매달아져 있고, 메인 로프(3)의 타단부에는 균형추(5)가 매달아져 있다. 승강로(1) 내에는, 엘리베이터 칸(4) 및 균형추(5)의 승강을 안내 하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6) 및 한 쌍의 중량 가이드 레일(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4)의 하부에는, 엘리베이터 칸(4)을 비상 정지시키기 위한 비상 정지 장치(7)가 마련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6)의 상단부 근방에는 조속기 지지 부재(8)가 고정되어 있다. 이 조속기 지지 부재(8) 상에는, 엘리베이터 칸(6)의 과속도를 검출하여 비상 정지 장치(7)를 동작시키는 조속기(9)가 지지되어 있다.
승강로(1)의 바닥부 근방에는 회전이 자유롭게 텐션 쉬브(10)가 마련되어 있다. 조속기(9) 및 텐션 쉬브(10)에는, 조속기 로프(11)의 상단부 및 하단부가 각각 감겨져 있다. 조속기 로프(11)는 레버(12)를 통하여 비상 정지 장치(7)에 접속되어 있고, 엘리베이터 칸(4)의 승강에 수반하여 순환 이동된다.
승강장(13)에는 승강장의 문(14)이 마련되어 있다. 조속기(9)와 최상층의 승강장(13) 사이에는 복귀용 와이어(41)가 배치되어 있다. 복귀용 와이어(41)의 승강장측의 단부인 기단부는 승강장 문턱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다.
도 12는 도 11의 조속기(9)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2에 있어서, 조속기 로프(11)가 감겨진 쉬브(21)는, 쉬브 축(22)을 중심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기대(23)에 지지되어 있다. 쉬브(21)의 측면에는, 핀(24)을 중심으로 회동이 자유로운 한 쌍의 플라이 웨이트(25)가 장착되어 있다. 이들 한 쌍의 플라이 웨이트(25)는 링크(26)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한쪽의 플라이 웨이트(25)의 일단부에는, 작동 클로(claw)(37)가 고정되어 있다. 플라이 웨이트(25)는 쉬브(21)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회동된다. 이에 의해, 작동 클로(37)는 쉬브(21)의 지름 방향 외측으로 변위된다. 한쪽의 플라이 웨이트(25)의 타단부와 쉬브(21) 사이에는 원심력에 대항하는 평형 스프링(27)이 마련되어 있다. 기대(23)에는, 구동장치(2)의 브레이크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동작시키는 엘리베이터 칸 정지용 스위치(28)가 장착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정지용 스위치(28)는 작동 클로(37)에 의해 조작되는 스위치 레버(28a)를 가지고 있다.
쉬브(21)에는 핀(24)과 평행한 축(7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트립 레버(72)가 장착되어 있다. 트립 레버(72)는 그 일부가 한쪽의 플라이 웨이트(25)에 맞닿아 있어, 플라이 웨이트(25)의 회동에 의해 축(71)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된다. 축(71)에는, 트립 레버(72)를 플라이 웨이트(25)에 맞닿게 하는 방향(도면의 시계 방향)으로 부세(附勢)하는 토션 스프링(73)이 마련되어 있다.
기대(23)에는 쉬브 축(2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래칫(30)이 마련되어 있다. 이 래칫(30)의 외주부에는 다수의 톱니가 마련되어 있다. 한쪽 핀(24)에는, 트립 레버(72) 및 래칫(30)의 중 어느 한쪽과 선택적으로 걸어 맞춤되는 클로(29)가 축 지지되어 있다. 클로(29)는 드레그 스프링(74)에 의해 래칫(30)에 걸어 맞춤하는 방향으로 부세되어 있다. 클로(29)는, 통상은 트립 레버(72)와 걸어 맞춰져서 래칫(30)으로부터 개리되어 있으나, 트립 레버(72)와의 걸어 맞춤이 빠지면, 드레그 스프링(74)의 스프링력에 의해 회동되어 래칫(30)에 걸어 맞춤된다.
기대(23)에 회동이 자유롭게 장착된 암(31)에는, 조속기 로프(11)에 내리눌 려지는 슈(32)가 회동이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다. 암(31)의 스프링 받침부(31a)에는 스프링 축(33)이 관통되어 있다. 스프링 축(33)의 일단부와 래칫(30) 사이에는 접속 레일(34)이 접속되어 있다. 스프링 축(33)의 타단부에는 스프링 받침부재(35)가 마련되어 있다. 스프링 받침부(31a)와 스프링 받침부재(35) 사이에는, 슈(32)를 조속기 로프(11)에 내리 누르기 위한 로프 그립 스프링(36)이 마련되어 있다.
기대(23)에는, 복귀용 레버(42)가 쉬브 축(22)과 평행한 축(43)을 중심으로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클로(29)에는, 복귀용 레버(42)가 요동함으로써 압압(押壓)되는 회전이 자유로운 돌기(44)가 마련되어 있다. 기대(23)와 복귀용 레버(42) 사이에는, 돌기(44)로부터 개리하는 방향으로 복귀용 레버(42)를 부세하는 리턴 스프링(45)이 마련되어 있다.
복귀용 레버(42)에는 복귀용 와이어(41)의 선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복귀용 와이어(41)는, 가소성을 갖는 튜브(46)에 삽입 통과되어 조속기(9)까지 안내되어 있다. 튜브(46)의 선단부는 복귀용 레버(42)의 근방에서 기대(23)에 고정되어 있다. 이 조작 수단은 복귀용 와이어(41), 리턴 스프링(45) 및 튜브(46)를 갖고 있다.
도 13은 도 12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4는 도 13의 복귀용 레버(42)를 복귀 위치까지 요동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3에서는, 복귀용 레버(42)는 통상 위치에 있고, 돌기(44)로부터 개리되어 있다. 도 13의 상태로부터, 복귀용 와이어(41)가 도면의 우측으로 당겨지면, 복귀용 레버(42)는 리턴 스프링(45)에 역행하여 복귀 위치까지 요동되어, 돌기(44)가 복귀용 레버(42)에 의해 압압된다. 이에 의해, 클로(29)는, 드레그 스프링(74)에 역행하여 도면의 시계 방향으로 회동되어 트립 레버(72)와 걸어 맞춤된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엘리베이터 칸(4)의 승강 속도가 제1 과속도(통상은 정격 속도의 1.3배 정도)에 이르면, 원심력에 의한 플라이 웨이트(25)의 회동에 의해 작동 클로(37)가 엘리베이터 칸 정지용 스위치(28)의 스위치 레버(28a)에 맞닿아 스위치 레버(28a)를 회동시킨다. 이에 의해, 스위치(28)가 작동하고, 구동장치(2)의 전원이 차단되어 구동장치(2)의 브레이크 장치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이 정지된다.
또, 예를 들면 메인 로프(3)가 파단된 경우 등, 구동장치(2)가 정지하더라도 엘리베이터 칸(4)이 정지하는 일 없이 하강을 계속하여, 엘리베이터 칸(4)의 하강 속도가 제2 과속도(통상은 정격 속도의 1.4배 정도)에 이르면, 플라이 웨이트(25)가 더욱 회동하며, 이에 수반하여 트립 레버(72)의 회동량도 커지게 되어, 트립 레버(72)와 클로(29)의 걸어맞춤이 빠진다. 이에 의해, 클로(29)가 드레그 스프링(74)의 스프링력으로 회동되어 래칫(30)의 톱니에 걸어 맞춤된다. 그리고, 래칫(30)이 쉬브(21)와 함께 도 12의 반시계방향으로 약간 회전된다.
이 래칫(30)의 회전에 의해, 암(31)이 도 12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고, 슈(32)가 조속기 로프(11)에 맞닿는 동시에, 로프 그립 스프링(36)에 의해 슈(32)가 조속기 로프(11)에 내리 눌려져 조속기 로프(11)가 제동된다. 조속기 로프(11)의 순환이 정지되면, 엘리베이터 칸(4)이 하강을 계속하는 것에 의해 레버(12)가 조작되어 비상 정지 장치(7)가 동작한다.
다음에, 비상 정지 장치(7) 및 조속기(9)의 동작후의 복귀 작업에 대해 설명한다. 복귀 작업에 있어서는, 우선 엘리베이터 칸(4)을 약간 상승시켜, 비상 정지 장치(7)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6)에 대한 제동 상태를 해제시킨다. 이 후, 더욱 엘리베이터 칸(4)을 상승시키면, 쉬브(21)가 조속기 로프(3)를 통하여 도 12의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클로(29)와 래칫(30)의 걸어 맞춤이 빠져, 래칫(30)도 도면의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원래의 위치로 돌아온다. 이에 의해, 암(31)이 원래의 위치로 돌아와서 슈(32)가 조속기 로프(11)로부터 떨어진다.
이 후, 엘리베이터 칸(4)의 천장에 들어갈 수 있는 위치까지 엘리베이터 칸(4)을 상승시킨 후, 최상층의 승강장(13)으로부터 승강장의 문(14)을 열고, 작업원이 엘리베이터 칸(4)상에 탄다. 그리고, 엘리베이터 칸(4)상으로부터 조속기(9)에 손을 뻗어, 클로(29)를 트립 레버(72)에 걸어 맞춤시키는 것에 의해 복귀 작업이 종료한다.
한편, 조속기(9)가 제2 과속도 동작을 했을 때의 엘리베이터 칸(4)의 위치가 최상층의 승강장(13) 부근이며, 그 위치로부터는 승강장의 문(14)을 열고 엘리베이터 칸(4)의 천장에 들어갈 수 없는 경우, 승강장의 문(14)을 열어 문턱 하부의 복귀용 와이어(41)의 기단부를 승강장측으로 꺼내고, 복귀용 와이어(41)의 기단부를 튜브(46)에 대해 꺼낸다. 이에 의해, 조속기(9) 측에서는 복귀용 레버(42)가 리턴 스프링(45)에 역행하여 도 12~도 14의 시계 방향으로 요동되어 돌기(44)가 복귀용 레버(42)에 의해 압압된다. 그리고, 클로(29)가 드레그 스프링(73)에 역행하여 도 12~도 14의 시계 방향으로 회동되어 트립 레버(72)에 걸어 맞춤된다.
또한, 복귀용 레버(42)와 돌기(44)가 대향하는 위치 관계에 없는 경우에는, 우선 복귀용 레버(42)를 복귀 위치로 이동시킨 후, 쉬브(21)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쉬브(21)와 일체로 회전하는 돌기(44)가 복귀 위치에 있는 복귀용 레버(42)에 맞닿아서 압압된다.
이와 같이 조작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4)이 최상층의 승강장(13) 부근에 있고, 그 위치에서는 승강장의 문(14)을 열고 엘리베이터 칸(4)의 천장에 들어갈 수 없는 경우에 있어서도, 승강장(13) 측으로부터의 원격 조작에 의해 클로(29)를 트립 레버(72)에 걸어 맞춤시킬 수 있다.
따라서, 승강로(1) 내에 조속기(9)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라도, 작업자가 승강로(1) 내에 들어가거나 조속기(9)에 액세스하기 위한 개구부를 승강장 벽에 마련하거나 하는 일 없이, 조속기(9)에 대한 복귀 작업을 원격으로부터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어 복귀 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허문헌1: 일본 특개2002-370879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조속기에서는, 돌기(44)와 복귀 레버(42)가 대향하여 맞닿는 기회는, 쉬브(21)가 일회전하는 동안에 1회밖에 없다. 따라서,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기(44)가 복귀 레버(42)의 위치에 없는 경우에는, 복귀용 와이어(41)를 당겨서 복귀용 레버(42)를 요동시켰다고 하더라도,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클로(29)를 복귀 위치까지 이동시킬 수 없다. 따라서, 복귀시키기 위해서는, 쉬브(21)를 도 14에 나타내는 위치까지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쉬브(21)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엘리베이터 칸(4)을 상승시킬 필요가 있다. 만약, 엘리베이터 칸(4)이 승강로(1)의 최정부에 있는 경우에는, 당연히 엘리베이터 칸(4)은 그 이상 상승시킬 수 없기 때문에 쉬브(21)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도 불가능하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에는, 조속기(9)를 비상 정지 장치(7)를 동작시킨 상태로부터 복귀시킬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엘리베이터 칸이 승강로의 최정부에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조속기의 복귀 작업을 승강로 밖으로부터 실시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조속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용 조속기에 있어서는, 승강로 내에 설치되며 비상 정지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조속기 로프가 감겨져서 엘리베이터 칸의 승강 속도에 따라 회전하는 쉬브와, 쉬브에 마련되며 쉬브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회동되는 플라이 웨이트와, 플라이 웨이트를 원심력에 역행하는 방향으로 내리 누르는 평형 스프링과, 쉬브의 쉬브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래칫과, 쉬브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플라이 웨이트의 회동에 의해 회동되는 트립 레버와, 쉬브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통상은 트립 레버와 걸어 맞춤되며 엘리베이터 칸의 하강 속도가 미리 설정된 과속도에 이르렀을 때, 트립 레버와의 걸어 맞춤이 빠져 래칫에 걸어 맞춤됨으로써 쉬브와 동방향으로 래칫을 회전시키는 클로와, 쉬브와 동(同)방향으로 래칫이 회전했을 때에 조속기 로프를 제동하는 슈와, 통상 위치와 복귀 위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고, 통상 위치로부터 복귀 위치로 변위되는 것에 의해 클로를 회동시켜 트립 레버에 걸어 맞춤시키는 복귀용 레버와, 복귀용 레버를 원격 조작에 의해 변위시키는 조작 수단과, 엘리베이터 칸이 정지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쉬브를 엘리베이터 칸이 상승 방향으로 운전하고 있는 경우에 회전하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강제적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클로를 복귀용 레버의 위치에 이동시키는 회전 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엘리베이터 칸이 승강로의 최정부에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조속기의 복귀 작업을 승강로 밖으로부터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용 조속기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조속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상세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조속기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복귀 레버 및 암을 복귀 위치까지 요동시키는 것에 의해 롤러가 쉬브에 맞닿은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롤러가 구동함으로써 쉬브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돌기가 복귀 레버에 압압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용 조속기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VII-VII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복귀용 와이어의 조작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승강장의 벽부의 뒤쪽에 복귀용 와이어의 기단부를 배치했을 경우의 엘리베이터 승강장의 일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복귀용 와이어의 조작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조속기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전체 구성도이다.
도 12는 종래의 조속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상세도이다.
도 13은 조속기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복귀 레버를 복귀 위치까지 요동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5는 돌기가 복귀 레버에 정향하고 있지 않은 위치에 있는 경우의 조속기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복귀 레버를 복귀 위치까지 요동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승강로
2 구동장치
2a 쉬브
3 메인 로프
4 엘리베이터 칸
5 균형추
6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
7 비상 정지 장치
8 조속기 지지 부재
9 조속기
10 텐션 쉬브
11 조속기 로프
12 레버
13 승강장
14 승강장의 문
21 쉬브
22 쉬브 축
23 기대
24 핀
25 플라이 웨이트
26 링크
27 평형 스프링
28 엘리베이터 칸 정지용 스위치
28a 스위치 레버
29 클로
30 래칫
31 암
31a 스프링 받침부
32 슈
33 스프링 축
34 접속 레버
35 스프링 받침부재
36 로프 그립 스프링
37 작동 클로
41 복귀용 와이어
42 복귀용 레버
43 축
44 돌기
45 리턴 스프링
46 튜브
47 승강장 위치 표시기
48 케이스
49 링크
50 전면 커버
51 조작 기구
52 삼방 틀
53 조작 도구
54 액추에이터
55 배선
71 축
72 트립 레버
73 토션 스프링
74 드레그 스프링
90 회전 수단
91 암
92 롤러
93 축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첨부의 도면을 따라 이를 설명한 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용 조속기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조속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상세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조속기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도 3의 복귀 레버 및 암을 복귀 위치까지 요동시키는 것에 의해 롤러가 쉬브에 맞닿은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롤러가 구동하는 것에 의해 쉬브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돌기가 복귀 레버에 압압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용 조속기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7은 도 6의 VII-VII선을 따르는 단면도, 도 8은 도 7의 복귀용 와이어의 조작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승강장의 벽부의 뒤쪽에 복귀용 와이어의 기단부를 배치했을 경우의 엘리베이터 승강장의 일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0은 도 9의 복귀용 와이어의 조작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에 있어서, 승강로(1) 내의 상부에는 구동장치(2)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장치(2)의 쉬브(2a)에는 메인 로프(3)가 감겨져 있다. 메인 로프(3)의 일단부에는 엘리베이터 칸(4)이 매달아지고, 메인 로프(3)의 타단부에는 균형 추(5)가 매달아져 있다. 승강로(1) 내에는, 엘리베이터 칸(4) 및 균형추(5)의 승강을 안내하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6) 및 한 쌍의 중량 가이드 레일(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4)의 하부에는, 엘리베이터 칸(4)을 비상 정지시키기 위한 비상 정지 장치(7)가 마련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6)의 상단부 근방에는 조속기 지지 부재(8)가 고정되어 있다. 이 조속기 지지 부재(8)상에는, 엘리베이터 칸(6)의 과속도를 검출하여 비상 정지 장치(7)를 동작시키는 조속기(9)가 지지되어 있다. 이 조속기(9)는 종래의 조속기와 달리, 회전 수단(90)을 구비하고 있다.
승강로(1)의 바닥부 근방에는 회전이 자유롭게 텐션 쉬브(10)가 마련되어 있다. 조속기(9) 및 텐션 쉬브(10)에는, 조속기 로프(11)의 상단부 및 하단부가 각각 감겨져 있다. 조속기 로프(11)는 레버(12)를 통하여 비상 정지 장치(7)에 접속되어 있어, 엘리베이터 칸(4)의 승강에 수반하여 순환 이동된다.
승강장(13)에는 승강장의 문(14)이 마련되어 있다. 조속기(9)와 최상층의 승강장(13) 사이에는 복귀용 와이어(41)가 배치되어 있다. 복귀용 와이어(41)의 승강장측의 단부인 기단부는 승강장 문턱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조속기(9)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에 있어서, 조속기 로프(11)가 감겨진 쉬브(21)는, 쉬브 축(22)을 중심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기대(23)에 지지되어 있다. 쉬브(21)의 측면에는, 핀(24)을 중심으로 회동이 자유로운 한 쌍의 플라이 웨이트(25)가 장착되어 있다. 이들 한 쌍의 플라이 웨이트(25)는 링크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한쪽의 플라이 웨이트(25)의 일단부에는 작동 클로(37)가 고정되어 있다. 플라이 웨이트(25)는 쉬브(21)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회동된다. 이에 의 해, 작동 클로(37)는 쉬브(21)의 지름 방향 외측으로 변위된다. 한쪽의 플라이 웨이트(25)의 타단부와 쉬브(21) 사이에는 원심력에 대항하는 평형 스프링(27)이 마련되어 있다. 기대(23)에는, 구동장치(2)의 브레이크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동작시키는 엘리베이터 칸 정지용 스위치(28)가 장착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정지용 스위치(28)는 작동 클로(37)에 의해 조작되는 스위치 레버(28a)를 갖고 있다.
쉬브(21)에는 핀(24)과 평행한 축(7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트립 레버(72)가 장착되어 있다. 트립 레버(72)는, 그 일부가 한쪽의 플라이 웨이트(25)에 맞닿고 있어, 플라이 웨이트(25)의 회동에 의해 축(71)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된다. 축(71)에는 트립 레버(72)를 플라이 웨이트(25)에 맞닿게 하는 방향(도면의 시계 방향)으로 내리 누리는 토션 스프링(73)이 마련되어 있다.
기대(23)에는 쉬브 축(2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래칫(30)이 마련되어 있다. 이 래칫(30)의 외주부에는 다수의 톱니가 마련되어 있다. 한쪽의 핀(24)에는, 트립 레버(72) 및 래칫(30) 중 어느 한쪽과 선택적으로 걸어 맞춤되는 클로(29)가 축 지지되어 있다. 클로(29)는 드레그 스프링(74)에 의해 래칫(30)에 걸어 맞춤되는 방향으로 내리 눌려져 있다. 클로(29)는, 통상은 트립 레버(72)와 걸어 맞춤하여 래칫(30)으로부터 개리되어 있으나, 트립 레버(72)와의 걸어 맞춤이 빠지면 드레그 스프링(74)의 스프링력에 의해 회동되어 래칫(30)에 걸어 맞춤된다.
기대(23)에 회동이 자유롭게 장착된 암(31)에는, 조속기 로프(11)에 내리 눌려지는 슈(32)가 회동이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다. 암(31)의 스프링 받침부(31a)에는 스프링 축(33)이 관통되어 있다. 스프링 축(33)의 일단부와 래칫(30) 사이에는 접속 레버(34)가 접속되어 있다. 스프링 축(33)의 타단부에는 스프링 받침부재(35)가 마련되어 있다. 스프링 받침부(31a)와 스프링 받침부재(35) 사이에는, 슈(32)를 조속기 로프(11)에 내리 누리기 위한 로프 그립 스프링(36)이 마련되어 있다.
기대(23)에는 복귀용 레버(42)가 쉬브 축(22)과 평행한 축(43)을 중심으로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클로(29)에는, 복귀용 레버(42)가 요동하는 것에 의해 압압되는 회전이 자유로운 돌기(44)가 마련되어 있다. 기대(23)와 복귀용 레버(42) 사이에는, 돌기(44)로부터 개리되는 방향으로 복귀용 레버(42)를 내리 누르는 리턴 스프링(45)이 마련되어 있다.
복귀용 레버(42)에는 복귀용 와이어(41)의 선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복귀용 와이어(41)는 가소성을 갖는 튜브(46)에 삽입 통과되어 조속기(9)까지 안내되어 있다. 튜브(46)의 선단부는 복귀용 레버(42)의 근방에서 기대(23)에 고정되어 있다. 이 조작 수단은 복귀용 와이어(41), 리턴 스프링(45) 및 튜브(46)를 가지고 있다.
회전 수단(90)은 쉬브 축(22)과 평행하게 기대(23)에 장착된 축(93)과, 이 축(93)을 중심으로 요동이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암(91)과, 이 암(91)의 상기 축(93)과는 반대측에 장착되어, 필요할 때에 원격 조작 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회전 구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롤러(9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암(91)에는 복귀용 와이어(41)의 선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복귀용 와이어(41)는 튜브(46)에 삽입 통과되어 있으나, 삽입구 바로 앞의 노출부에 있어서 복귀용 레버(42)에도 접속되어 있다.
도 3은 조속기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도 3의 복귀 레버 및 암을 복귀 위치까지 요동시키는 것에 의해 롤러가 쉬브에 맞닿은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롤러가 구동하는 것에 의해 쉬브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돌기가 복귀 레버에 압압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에서는, 복귀용 레버(42)는 통상 위치에 있고, 돌기(44)로부터 개리되어 있다. 따라서, 복귀용 와이어(41)가 도 3의 오른쪽 방향으로 끌어당겨지면, 복귀용 레버(42) 및 암(91) 양쪽 모두가 리턴 스프링(45)에 역행하여, 복귀용 레버(42)는 복귀 위치에, 암(91)은 회전 위치까지 각각 요동된다(도 3으로부터 도 4로의 변화 참조). 즉, 복귀용 레버(42)는 리턴 스프링(45)에 역행하여 복귀 위치까지 요동되어 돌기(44)가 복귀용 레버(42)에 의해 압압 된다. 이에 의해, 클로(29)는 드레그 스프링(74)에 역행하여 도면의 시계 방향으로 회동되어 트립 레버(72)와 걸어 맞춤된다. 또, 암(91)은 리턴 스프링(45)에 역행하여 회전 위치까지 요동되고, 암(91)의 움직임에 의해 쉬브(21)에 맞닿은 롤러(92)를 도 4의 반시계방향으로 구동하는 것에 의해, 쉬브(21)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기(44)가 복귀 레버(42)에 압압된 상태가 된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엘리베이터 칸(4)의 승강 속도가 제1 과속도(통상은 정격 속도의 1. 3배 정도)에 이르면, 원심력에 의한 플라이 웨이트(25)의 회동에 의해 작동 클로(37)가 엘리베이터 칸 정지용 스위치(28)의 스위치 레버(28a)에 맞닿아 스위치 레버(28a)를 회동시킨다. 이에 의해, 스위치(28)가 작동하여, 구동장치(2)의 전원이 차단되어 구동장치(2)의 브레이크 장치에 의해 엘리 베이터 칸이 정지된다.
또, 예를 들면 메인 로프(3)가 파단된 경우 등, 구동장치(2)가 정지하더라도 엘리베이터 칸(4)이 정지하는 일 없이 하강을 계속하여, 엘리베이터 칸(4)의 하강 속도가 제2 과속도(통상은 정격 속도의 1. 4배 정도)에 이르면, 플라이 웨이트(25)가 더욱 회동하고, 이에 수반하여 트립 레버(72)의 회동량도 커지게 되어, 트립 레버(72)와 클로(29)의 걸어 맞춤이 빠진다. 이에 의해, 클로(29)가 드레그 스프링(74)의 스프링력으로 회동되어 래칫(30)의 톱니에 걸어 맞춤된다. 그리고, 래칫(30)이 쉬브(21)와 함께 도 12의 반시계방향으로 약간 회전된다.
이 래칫(30)의 회전에 의해, 암(31)이 도 12의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고 슈(32)가 조속기 로프(11)에 맞닿는 동시에, 로프 그립 스프링(36)에 의해 슈(32)가 조속기 로프(11)에 내리 눌려져서 조속기 로프(11)가 제동된다. 조속기 로프(11)의 순환이 정지되면, 엘리베이터 칸(4)이 하강을 계속함으로써 레버(12)가 조작되어 비상 정지 장치(7)가 동작한다.
다음에, 비상 정지 장치(7) 및 조속기(9)의 동작후의 복귀 작업에 대해 설명한다. 복귀 작업에 있어서는, 우선 엘리베이터 칸(4)을 약간 상승시켜, 비상 정지 장치(7)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6)에 대한 제동 상태를 해제시킨다. 이 후, 더욱 엘리베이터 칸(4)을 상승시키면, 쉬브(21)가 조속기 로프(3)를 통하여 도 12의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클로(29)와 래칫(30)의 걸어 맞춤이 빠져서, 래칫(30)도 도면의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원래의 위치로 돌아온다. 이에 의해, 암(31)이 원래의 위치에 돌아와서, 슈(32)가 조속기 로프(11)로부터 떨어진다.
이 후, 엘리베이터 칸(4)의 천장에 들어갈 수 있는 위치까지 엘리베이터 칸(4)을 상승시킨 후, 최상층의 승강장(13)으로부터 승강장의 문(14)을 열고, 작업원이 엘리베이터 칸(4)상에 탄다. 그리고, 엘리베이터 칸(4)상으로부터 조속기(9)에 손을 뻗어, 클로(29)를 트립 레버(72)에 걸어 맞춤시키는 것에 의해 복귀 작업이 종료한다.
한편, 조속기(9)가 제2 과속도 동작을 했을 때의 엘리베이터 칸(4)의 위치가 최상층의 승강장(13) 부근이며, 그 위치로부터는 승강장의 문(14)을 열고 엘리베이터 칸(4)의 천장에 들어갈 수 없는 경우, 승강장의 문(14)을 열고 문턱 하부의 복귀용 와이어(41)의 기단부를 승강장측으로 꺼내고, 복귀용 와이어(41)의 기단부를 튜브(46)에 대해 꺼낸다. 이에 의해, 조속기(9)측에서는 복귀용 레버(42)가 리턴 스프링(45)에 역행하여 도 12~도 14의 시계 방향으로 요동되어 돌기(44)가 복귀용 레버(42)에 의해 압압된다. 그리고, 클로(29)가 토션 스프링(73)에 역행하여 도 12~도 14의 시계 방향으로 회동되어 트립 레버(72)에 걸어 맞춤된다.
또한, 복귀용 레버(42)와 돌기(44)가 대향하는 위치 관계에 없는 경우에는, 우선 복귀용 레버(42)를 복귀 위치에 이동시킨 후, 쉬브(21)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쉬브(21)와 일체로 회전하는 돌기(44)가 복귀 위치에 있는 복귀용 레버(42)에 맞닿아서 압압된다.
단, 엘리베이터 칸(4)이 승강로(1)의 최정부에 있는 경우에는, 쉬브(21)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4)을 상승시킬 수 없다. 그 경우에는, 복귀용 와이어(41)를 꺼냄으로써 회전 위치까지 요동한 암(91)의 이동에 의 해 쉬브(21)에 맞닿은 롤러(92)를, 도 4의 반시계방향으로 구동시킨다. 그러면, 쉬브(21)는 강제적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기(44)가 복귀 위치에 있는 복귀용 레버(42)에 맞닿아서 압압되어, 클로(29)를 트립 레버(72)에 걸어 맞춤시킬 수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칸(4)이 승강로(1)의 최정부에 있는 경우라도, 조속기(9)의 복귀 작업을 승강로(1) 밖으로부터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어 복귀 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롤러(92)의 구동 방법은 모터 등의 전기적으로 실시하는 방법이나, 미리 감아 둔 와이어를 잡아 당겨서 실시하는 방법 등, 어떠한 방법이라도 된다.
다음에, 복귀용 와이어(41)의 격납 방법의 일례를 도 6~도 8에 의해 설명한다. 이 예에서는, 복귀용 와이어(41)의 승강장(13)측의 기단부가 승강장 위치 표시기(47)내에 수납되어 있다. 승강장 위치 표시기(47)의 내부 구조의 도시는 생략되어 있다.
승강장 위치 표시기(47)는, 표시기 본체(도시하지 않음)를 수납한 케이스(48)와, 복수의 링크(49)를 통하여 케이스(48)에 개폐 가능하게 연결된 전면 커버(50)를 가지고 있다. 복귀용 와이어(41)의 기단부는 케이스(48) 내에 수납되고, 전면 커버(50)를 열으므로써 승강장(13)측으로 꺼낼 수 있게 되어 있다.
복귀용 와이어(41)를 조작하는 경우, 복귀용 와이어(41) 및 튜브(46)의 기단부에 조작 기구(51)가 장착된다. 조속기(9)의 복귀를 실시하는 경우, 승강장 위치 표시기(47)의 전면 커버(50)를 열고, 복귀용 와이어(41) 및 튜브(46)의 기단부에 조작 기구(51)를 장착한다. 그리고, 복귀용 와이어(41)의 기단부를 튜브(46)에 대해 꺼낸다.
이 예에서는, 복귀용 와이어(41)의 기단부를 승강장 위치 표시기(47) 내에 수납하여 승강장(13)측으로부터 용이하게 꺼낼 수 있도록 했기 때문에, 승강장의 문(14)을 열지 않고 복귀용 와이어(41)를 조작할 수 있어 복귀 작업의 작업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예에서는, 복귀용 와이어(41)의 기단부를 승강장 위치 표시기(47) 내에 수납했으나, 승강장 누름 버튼 장치(도시하지 않음) 내에 수납해도 된다.
다음에, 복귀용 와이어(41)의 격납 방법의 다른 예를 도 9 및 도 10에 의해 설명한다. 상술의 예에서는, 복귀용 와이어(41)의 기단부를 승강장 위치 표시기(47) 내에 수납했으나, 도 9 및 도 10의 예에서는, 승강장(13)의 벽부(15)의 뒤쪽에 복귀용 와이어(41)의 기단부가 배치되어 있다. 복귀용 와이어(41)를 조작하는 경우, 승강장의 문(13)과 삼방 틀(52) 사이의 틈새로부터 조작 기구(53)를 삽입하여 조작 기구(53)를 복귀용 와이어(41)에 걸어 맞춤시킨다. 다른 부분은 실시의 형태 1과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복귀용 와이어(41)의 기단부를 벽부(15)의 뒤쪽에 배치했을 경우에도, 승강장의 문(14)을 닫은 채로 복귀용 와이어(41)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상술의 예에서는, 복귀용 와이어(41)를 통하여 복귀용 레버(42)를 요동시켰으나, 예를 들면 전자식의 액추에이터(54)를 복귀용 레버(42)에 접속하고, 이 액추에이터(54)를 조작하기 위한 배선(55)을 승강장(13)까지 연장하여 원격 조작하도록 해도 된다. 또, 액추에이터(54)를 무선에 의해 원격 조작해도 된다.
또, 상술의 예에서는, 요동하여 클로(29)를 회동시키는 복귀용 레버(42)를 나타냈으나, 복귀용 레버(42)는 직선적으로 변위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상술의 예에서는, 승강로(1) 내의 상부에 조속기(9)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으나, 예를 들면 피트 내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어, 작업원이 피트에 내리지 않고 복귀 작업을 승강장측으로부터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용 조속기는, 엘리베이터 칸이 승강로의 최정부에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조속기의 복귀 작업을 승강로 밖으로부터 실시할 수 있다.

Claims (6)

  1. 승강로 내에 설치되고, 비상 정지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조속기 로프가 감겨져 엘리베이터 칸의 승강 속도에 따라 회전하는 쉬브와,
    상기 쉬브에 마련되고, 상기 쉬브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회동되는 플라이 웨이트와,
    상기 플라이 웨이트를 원심력에 역행하는 방향으로 부세(附勢)하는 평형 스프링과,
    상기 쉬브의 쉬브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래칫과,
    상기 쉬브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플라이 웨이트의 회동에 의해 회동되는 트립 레버와,
    상기 쉬브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통상은 상기 트립 레버와 걸어 맞춤되어, 엘리베이터 칸의 하강 속도가 미리 설정된 과속도에 이르렀을 때, 상기 트립 레버와의 걸어 맞춤이 빠져 상기 래칫에 걸어 맞춤되는 것에 의해, 상기 쉬브와 동방향으로 상기 래칫을 회전시키는 클로(claw)와,
    상기 쉬브와 동(同)방향으로 상기 래칫이 회전했을 때에 상기 조속기 로프를 제동하는 슈와,
    통상 위치와 복귀 위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고, 통상 위치로부터 복귀 위치로 변위됨으로써, 상기 클로를 회동시켜 상기 트립 레버에 걸어 맞춤시키는 복귀용 레버와,
    상기 복귀용 레버를 원격 조작에 의해 변위시키는 조작 수단과,
    엘리베이터 칸이 정지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쉬브를 엘리베이터 칸이 상승 방향으로 운전하고 있는 경우에 회전하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강제적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클로를 상기 복귀용 레버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회전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 수단은 쉬브와 맞닿은 경우에 상기 쉬브를 회전시키는 롤러와, 상기 롤러의 위치를 통상 위치와 복귀 위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한 암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암은, 통상 위치로 부세하는 리턴 스프링과, 복귀용 와이어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복귀용 와이어의 기단부는, 승강장 위치 표시기 내에 수납되어 승강장으로 꺼낼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복귀용 와이어의 기단부는, 승강장의 벽부의 뒤쪽에 배치되어 승강장의 문과 삼방 틀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조작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6. 청구항 3에 있어서,
    리턴 스프링 또는 복귀용 와이어는, 암과 조작 수단으로 동일한 것을 사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KR1020077029652A 2007-12-18 2006-05-22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KR1009012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7029652A KR100901223B1 (ko) 2007-12-18 2006-05-22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7029652A KR100901223B1 (ko) 2007-12-18 2006-05-22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5112A KR20080015112A (ko) 2008-02-18
KR100901223B1 true KR100901223B1 (ko) 2009-06-08

Family

ID=39383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9652A KR100901223B1 (ko) 2007-12-18 2006-05-22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122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6454A (ja) 1999-10-05 2001-04-17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用調速機
JP2002370879A (ja) 2001-06-12 2002-12-24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用調速機
WO2004063074A1 (ja) 2003-01-08 2004-07-29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エレベータ用調速機及びエレベータ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6454A (ja) 1999-10-05 2001-04-17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用調速機
JP2002370879A (ja) 2001-06-12 2002-12-24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用調速機
WO2004063074A1 (ja) 2003-01-08 2004-07-29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エレベータ用調速機及びエレベー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5112A (ko) 2008-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05360B2 (ja) エレベータ用調速機
JP4437574B2 (ja) エレベータ用調速機
JP3929724B2 (ja) エレベータ
JP4745332B2 (ja) エレベータ用調速機
KR101199745B1 (ko) 엘리베이터용 안전장치
JP4868807B2 (ja) エレベータの調速機
EP1770044B1 (en) Speed governor of elevator
KR100685556B1 (ko) 엘리베이터용 속도 조절기 및 엘리베이터 장치
JP4276036B2 (ja) エレベータ用調速機
JP5082887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5609268B2 (ja) 巻胴式エレベータの戸開走行防止システム
KR101199691B1 (ko) 엘리베이터용 안전장치
KR100901223B1 (ko)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JP4456967B2 (ja) エレベータ用調速機
JP5157648B2 (ja) エレベータ用調速機
KR100644080B1 (ko) 엘리베이터 조속기의 원격작동 및 해제장치
KR100857644B1 (ko)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KR100901224B1 (ko) 엘리베이터 장치
WO2023126047A1 (en) Elevator arrangement and method of operating elevator
KR20060109193A (ko) 엘리베이터 조속기
KR20060109204A (ko) 엘리베이터의 트립 방지장치
JP2005112580A (ja) エレベータ用調速機
JP2008273676A (ja) エレベーターの閉じ込め救出装置及び閉じ込め救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