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1224B1 -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1224B1
KR100901224B1 KR1020077011399A KR20077011399A KR100901224B1 KR 100901224 B1 KR100901224 B1 KR 100901224B1 KR 1020077011399 A KR1020077011399 A KR 1020077011399A KR 20077011399 A KR20077011399 A KR 20077011399A KR 100901224 B1 KR100901224 B1 KR 1009012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platform
maintenance
emergency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1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4380A (ko
Inventor
히데아키 고데라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77011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1224B1/ko
Publication of KR20070084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43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1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12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87Devices facilitating maintenance, repair or inspection t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7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o permit passengers to leave an elevator car in case of failure, e.g. moving the car to a reference floor or unlocking the door

Abstract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는, 엘리베이터 칸은 제 1 및 제 2 정지층을 포함하는 복수의 정지층에 정지된다. 제 1 정지층의 승강장에는 제 1 승강장 점검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제 2 정지층의 승강장에는 제 2 승강장 점검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승강장 점검장치에는, 엘리베이터 칸을 보수 운전하기 위한 제 1 보수 운전 조작부와, 비상시에 엘리베이터 칸을 이동시키기 위한 제 1 비상 운전 조작부가 설치되어 있다. 제 2 승강장 점검장치에는, 엘리베이터 칸을 보수 운전하기 위한 제 2 보수 운전 조작부와, 비상시에 엘리베이터 칸을 이동시키기 위한 제 2 비상 운전 조작부의 적어도 어느 한쪽이 설치되어 있다.
정지층, 승강장 점검장치, 비상 운전 조작부, 보수 운전 조작부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apparatus}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칸을 보수 운전하기 위한 보수 운전 조작부와, 비상시에 엘리베이터 칸을 이동시키기 위한 비상 운전 조작부가 승강장에 설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권상기가 승강로 내의 꼭대기부에 배치되어 있다. 최상층의 승강장에는, 비상시에 권상기의 브레이크를 수동으로 해제하기 위한 레버가 설치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또, 최상층의 승강장에는, 엘리베이터 칸을 보수 운전하기 위한 보수 운전 조작부가 설치되는 경우가 있다. 보수시에는, 보수 운전 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엘리베이터의 운전 모드를 보수 모드로 전환한다. 그리고, 보수 운전 조작부를 조작하여 작업원이 엘리베이터 칸 위를 탑승할 수 있는 위치까지 엘리베이터 칸을 하강시켜, 승강장의 문을 열어서 엘리베이터 칸 위에 올라타, 승강로 내에 설치된 기기의 보수 작업을 행한다.
특허문헌 1 : 미국특허 제 5971109 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권상기의 브레이크를 해방하기 위한 레버나 보수 운전 조작부가 최상층의 승강장에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을 조작하기 위해서는, 작업원이 그때마다 최상층까지 이동하지 않으면 안 되어 시간이 걸렸었다. 특히, 엘리베이터가 1대 밖에 설치되어 있지 않은 건물에서 고장이나 정전이 발생한 경우에는, 작업원은 계단을 이용하여 최상층까지 이동할 필요가 있었다. 또, 예를 들면 집합주택 등에서는, 최상층에도 거주자의 거실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가 많고, 기준층의 승강장만이 공용 존(zone)으로 되어 있어서 기준층 이외, 특히 최상층은 프라이버시 존으로 되어 있는 경우가 있고, 이와 같은 경우, 보수 점검시마다 작업원이 최상층에 가는 것은 거주자에게 불쾌감을 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보수 작업 등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작업에 의해 건물의 이용자에게 주는 불쾌감을 경감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구동장치, 구동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 구동장치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로 내를 승강하게 되며, 제 1 및 제 2 의 정지층을 포함하는 복수의 정지층에 정지되는 엘리베이터 칸, 제 1 정지 층의 승강장에 설치되어 있는 제 1 승강장 점검 장치 및 제 2 정지층의 승강장에 설치되어 있는 제 2 승강장 점검 장치를 구비하고, 제 1 승강장 점검 장치에는, 엘리베이터 칸을 보수 운전하기 위한 보수 운전 조작부와, 비상시에 엘리베이터 칸을 이동시키기 위한 비상 운전 조작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제 2 승강장 점검 장치에는 엘리베이터 칸을 보수 운전하기 위한 제 2 보수 운전 조작부와, 비상시에 엘리베이터 칸을 이동시키기 위한 제 2 비상 운전 조작부의 적어도 어느 한쪽이 설치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의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승강로(1) 내의 꼭대기부에는 구동장치(권상기)(2)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장치(2)는 구동 쉬브(3)와 구동장치 본체(4)를 가지고 있다. 구동장치 본체(4)는, 구동 쉬브(3)를 회전시키는 모터부(도시하지 않음)와, 구동 쉬브(3)의 회전을 제동하는 브레이크부(도시하지 않음)를 가지고 있다.
엘리베이터 칸(5) 및 균형추(6)는 구동장치(2)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로(1)내를 승강하게 된다. 또, 엘리베이터 칸(5)은, 최상층(제 1 정지층) 및 최하층(제 2 정지층)을 포함하는 복수의 정지층에 정지하게 된다. 승강로(1)내에는, 엘리베이터 칸(5) 및 균형추(6)의 승강을 안내하는 복수개의 가이드 레일(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구동 쉬브(3)에는, 엘리베이터 칸(5) 및 균형추(6)를 매다는 메인 로프(7)가 감겨져 있다. 메인 로프(7)는, 승강로(1) 내의 꼭대기부에 접속된 제 1 및 제 2 단부(7a,7b)를 가지고 있다.
엘리베이터 칸(5)의 하부에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풀리(8, 9)가 설치되어 있다. 균형추(6)의 상부에는, 균형추 서스펜션 풀리(10)가 설치되어 있다. 메인 로프(7)는, 제 1 단부(7a)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풀리(8, 9), 구동 쉬브(3) 및 균형추 서스펜션 풀리(10)에 감겨져 있다. 즉, 엘리베이터 칸(5) 및 균형추(6)는, 메인 로프(7)에 의해 2:1 로핑 방식으로 승강로(1) 내에 매달려져 있다.
승강로(1) 내의 상부에는, 엘리베이터 장치의 운행을 제어하는 제어장치 (11)가 설치되어 있다. 제어장치(11)는, 구동장치(2)를 제어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5)의 운전을 제어한다. 또, 제어장치(11)는, 최상층 근방에서 승강로(1)의 벽부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제어장치(11)는 컴퓨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승강로(1)의 상부에는 조속기(12)가 설치되어 있다. 조속기(12)에는, 조속기 쉬브, 과속도 검출 스위치 및 로프 캐치 등이 설치되어 있다. 조속기 쉬브에는 조속기 로프(13)가 감겨져 있다. 조속기 로프(13)의 양 단부는, 엘리베이터 칸(5)에 탑재된 비상 멈춤 장치(도시하지 않음)의 조작 기구에 접속되어 있다. 조속기 로프(13)의 하단부는 승강로(1)의 하부에 배치된 텐션 풀리(14)에 감겨져 있다.
엘리베이터 칸(5)이 승강하게 되면, 조속기 로프(13)가 순환하게 되고 엘리베이터 칸(5)의 주행 속도에 따른 회전속도로 조속기 쉬브가 회전하게 된다. 엘리 베이터 칸(5)의 주행 속도가 정격 속도보다도 높은 제 1 과속도에 도달하면, 조속기(12)의 과속도 검출 스위치가 조작된다. 과속도 검출 스위치가 조작되면, 구동장치(2)의 모터부에의 전력 공급이 차단되는 동시에, 브레이크부에 의해 구동 쉬브(3)가 제동되어 엘리베이터 칸(5)이 비상 정지된다.
엘리베이터 칸(5)의 주행 속도가 제 1 과속도보다도 높은 제 2 과속도에 도달하면, 조속기(12)의 로프 캐치에 의해 조속기 로프(13)가 파지되어 조속기 로프(13)의 순환이 정지된다. 이에 의해, 비상 멈춤 장치가 동작하여 엘리베이터 칸(5)이 정지된다.
최상층의 승강장에는, 제 1 승강장 점검 장치(15)가 설치되어있다. 제 1 승강장 점검 장치(15)에는, 엘리베이터 칸(5)을 보수 운전하기 위한 제 1 보수 운전 조작부(16)와, 비상시에 엘리베이터 칸(5)을 이동시키기 위한 제 1 비상 운전 조작부(17)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보수 운전 조작부(16)는, 접속 케이블(도시하지 않음)을 통하여 제어장치(11)에 접속되어 있으며, 제어장치(11)와의 사이에서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 1 보수 운전 조작부(16)에는, 제어장치(11)의 제어 모드를 자동 모드와 보수 모드와의 사이에서 전환하기 위한 모드 변환 스위치, 엘리베이터 칸(5)을 승강시키기 위한 업(UP)/다운(DOWN) 스위치, 및 엘리베이터 장치 상태(엘리베이터 칸 위치나 고장 모드 등)를 표시하는 표시부 등이 설치되어 있다.
제 1 비상 운전 조작부(17)에는, 구동장치(2)의 브레이크부를 원격으로부터 해방하기 위한 브레이크 해방 조작부와, 승강로(1) 내를 확인하기 위한 점검 창이 설치되어 있다. 브레이크 해방 조작부에 대한 조작력은, 전기 신호에 의해 브레이크부에 전달되거나, 또는 와이어 등을 통하여 기계적으로 브레이크부에 전달된다. 브레이크부가 해방되면, 엘리베이터 칸(5)은 엘리베이터 칸(5)과 균형추(6)와의 중량차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단, 엘리베이터 칸(5)의 중량과 균형추(6)의 중량이 동일하면 엘리베이터 칸(5)은 움직이지 않는다.).
조속기 로프(13) 또는 메인 로프(7)에는, 브레이크 해방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5)을 승강시킬 때에 엘리베이터 칸(5)이 정지층에 착상한 것을 나타내기 위한 복수의 마킹(도시하지 않음)이 부여되어 있다. 마킹은, 점검 창을 통하여 승강장으로부터 눈으로 볼 수 있게 되어 있다.
최하층의 승강장에는, 제 2 승강장 점검 장치(18)가 설치되어 있다. 제 2 승강장 점검 장치(18)에는, 엘리베이터 칸(5)을 보수 운전하기 위한 제 2 보수 운전 조작부(19)가 설치되어 있다. 제 2 보수 운전 조작부(19)는, 접속 케이블(도시하지 않음)을 통하여 제어장치(11)에 접속되어 있고, 제 1 보수 운전 조작부(16)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제 1 및 제 2 승강장 점검 장치(15, 18)는, 승강장 벽에 설치된 승강장 버튼 장치(도시하지 않음) 내에 수용되어 있고, 통상시는 승강장에 노출되지 않게 되어 있다. 그러나, 승강장 버튼 장치의 표판(表板)을 작업원이 떼어냄으로써, 제 1 및 제 2 승강장 점검 장치(15,18)는 승강장에 노출된다.
제어장치(11)는, 제 1 및 제 2 보수 운전 조작부(16,19)의 양쪽으로부터 조작이 입력되면, 어느 한쪽의 조작만을 선택하여 유효로 한다. 이 예에서는, 제 1 승강장 점검 장치(15)를 메인 승강장 점검 장치, 제 2 승강장 점검 장치(18)를 서브 승강장 점검 장치로서 위치 매김하고 있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보수 운전 조작부(16,19)의 양쪽이 조작 가능한 상태(보수 모드)가 되면, 제 1 보수 운전 조작부(16)에 대한 조작을 유효로 하고, 제 2 보수 운전 조작부(19)에 대한 조작을 무효로 한다. 반대로, 제 2 보수 운전 조작부(19)에 대한 조작이 유효로 되는 것은, 제 1 보수 운전 조작부(16)가 자동 모드이고, 제 2 보수 운전 조작부(19)가 보수 모드일 때이다. 이와 같은 제 1 보수 운전 조작부(16)를 우선적으로 선택하는 기능은, 제어장치(11)의 컴퓨터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실현된다.
다음으로, 보수 작업의 순서에 대해 설명한다. 작업원은 최하층의 승강장에서 제 2 승강장 점검 장치(18)를 노출시키고, 제 2 보수 운전 조작부(19)를 조작하여 제어장치(11)를 보수 모드로 한다. 엘리베이터 칸(5)상으로 이동할 필요가 없는 보수는, 그대로 최하층에서 실시한다. 엘리베이터 칸(5)상에 올라탈 필요가 있는 보수를 실시하는 경우, 최하층의 1층상의 층의 승강장으로부터 엘리베이터 칸(5)상에 이동할 수 있는 위치까지 엘리베이터 칸(5)을 하강시킨다. 그리고, 최하층의 1층상의 층으로 이동하여 승강장 도어를 개방하고, 엘리베이터 칸(5)상으로 이동한다.
엘리베이터 칸(5)상으로 이동한 후, 엘리베이터 칸(5)상의 운전 스위치(도시하지 않음)를 조작하고, 엘리베이터 칸(5)을 보수 모드 운전(저속 운전)으로 상승시킨다. 이 때, 승강로 기기의 점검을 아래로부터 순차적으로 실시해간다. 그리고, 최상층 부근에서 엘리베이터 칸(5)을 정지시켜 구동장치(2) 및 제어장치(11)에 대한 점검 작업을 행한다.
점검 종료후, 엘리베이터 칸(5)상에 탑승한 위치까지 엘리베이터 칸(5)을 하강시켜 최하층의 1층상의 층의 승강장에 내린다. 그리고, 최하층으로 이동하고, 제 2 보수 운전 조작부(19)를 조작하여 제어장치(11)를 자동 모드로 전환하여 승강장 버튼 장치의 표판을 처음으로 되돌리면, 보수 작업이 종료한다. 이와 같은 보수 작업은, 제 1 보수 운전 조작부(16)에 의해서도 실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정전이나 고장 등에 의해 정지한 엘리베이터 칸(5) 내로부터 승객을 구출하는 작업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 작업원은 최상층의 승강장에서 제 1 승강장 점검장치(15)를 노출시켜, 제 1 보수 운전 조작부(16)를 조작하여 제어장치(11)를 보수 모드로 한다. 이 후, 점검 창으로부터 엘리베이터 칸(5)이나 마킹을 확인하면서, 브레이크 해방 조작부를 단속적으로 조작하고, 브레이크부에 반복하여 번갈아 해방·제동 동작시킨다. 이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5)을 서서히 상승 또는 하강시켜 가장 가까운 층까지 이동시킨다. 그리고, 가장 가까운 층에서 엘리베이터 칸 도어 및 승강장 도어를 개방하고, 엘리베이터 칸(5) 내의 승객을 구출한다.
구출후의 복구 작업은, 다음과 같이 행한다. 즉, 구동장치(2)가 구동 제어 가능한 상태이면, 제 1 보수 운전 조작부(16)를 조작하고, 최상층의 승강장으로부터 엘리베이터 칸(5)상에 이동할 수 있는 위치까지 엘리베이터 칸(5)을 이동시킨다. 이 후 엘리베이터 칸(5)상에 작업원이 올라타, 보수시와 동일하게 구동장치(2)나 제어장치(11)의 점검·수리를 행한다. 또, 필요에 따라, 승강로 기기의 점 검· 수리도 행한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최상층의 승강장에 제 1 승강장 점검장치(15)를 설치하는 동시에, 최하층의 승강장에 제 2 승강장 점검장치(18)를 설치하고, 다시 제 2 승강장 점검장치(18)에는 제 2 보수 운전 조작부(19)를 설치하였으므로, 보수 작업을 최상층의 승강장으로 이동시키지 않고 실시할 수 있어, 보수 작업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작업에 의해 건물의 이용자에게 주는 불쾌감을 경감할 수 있다.
또, 구동장치(2)는 승강로(1) 내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 2 보수 운전 조작부(19) 보다도 구동장치(2)의 근처에 배치되어 있는 제 1 승강장 점검 장치(15)에 비상 운전 조작부(17)를 설치하였으므로, 비상 운전 조작부(17)로부터 구동장치(2)에의 조작력의 전달 경로를 짧게 할 수 있어, 구동장치(2)를 보다 확실히 조작할 수 있다. 특히, 이 예에서는, 구동장치(2)가 승강로(1)내의 꼭대기부에 배치되어 있고, 제 1 승강장 점검장치(15)를 최상층에 배치하였으므로, 구동장치(2)를 보다 확실히 조작할 수 있는 동시에, 구동장치(2)를 점검 창으로부터 눈으로 확인할 수도 있다.
또한, 비상 운전 조작부(17)는, 제 1 승강장 점검장치(15)에만 설치되어 있으므로, 전체의 구성을 간단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또, 제어장치(11)는 제 1 및 제 2 보수 운전 조작부(16, 19)의 양쪽으로부터 조작이 입력되면, 어느 한쪽의 조작만을 선택하여 유효로 하므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의 형태 2.
다음으로,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제 2 승강장 점검장치(18)에는, 제 2 보수 운전 조작부(19)와, 비상시에 엘리베이터 칸(5)을 이동시키기 위한 제 2 비상 운전 조작부(20)가 설치되어 있다. 제 2 비상 운전 조작부(20)의 구성은 제 1 비상 운전 조작부(17)와 동일하다. 다른 구성은, 실시의 형태 1과 동일하다.
이와 같이, 제 1 승강장 점검장치(15)뿐만 아니라, 제 2 승강장 점검장치(18)에도 비상 운전 조작부(20)를 설치해도 되며, 엘리베이터 칸(5) 내의 승객의 구출 작업을 최상층으로 이동시키지 않고 최하층으로부터 실시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 2 승강장 점검장치에는, 제 2 보수 운전 조작부를 설치하지 않고 제 2 비상 운전 조작부 만을 설치할 수도 있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최상층을 제 1 정지층으로 하였으나, 다른 정지층이라도 된다. 동일하게, 제 2 정지층은 최하층이 아니어도 된다. 단, 상기와 같이 제 1 정지층을 구동장치에 가까운 정지층으로 하면, 승객 구출 작업 등의 작업 효율은 더욱 향상된다. 또, 건물으로의 입구가 설치된 현관층을 제 2 정지층으로 하면, 보수 작업 등의 작업 효율은 더욱 향상한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제 1 보수 운전 조작부(16)를 제 2 보수 운전 조작부(19)보다 우선하였으나, 먼저 조작된 쪽을 우선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제 1 및 제 2 보수 운전 조작부에 상대가 사용중인지의 여부를 표시하는 인디케이 터(indicator)를 설치해도 된다.
그리고 또, 상기의 예에서는, 구동장치 및 제어장치가 승강로 내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나, 각각 다른 위치에 배치해도 된다. 이 경우도, 상술한 바와 같이, 비상 운전 조작부를 갖는 제 1 승강장 점검장치는 제 2 승강장 점검 장치보다도 구동장치의 근처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엘리베이터 장치 전체에서 2개의 승강장 점검장치를 설치하였으나, 3개 이상 설치해도 된다. 예를 들면, 현관층이 2개 있는 건물에서는, 한쪽 현관층의 승강장에 제 2 승강장 점검장치를 설치하고, 다른 쪽 현관층의 승강장에 제 3 승강장 점검장치를 설치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구동장치나 제어장치가 기계실 안에 설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으나, 구동장치 등에 대한 보수 작업을 엘리베이터 칸 위로부터 행할 필요가 있는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특히 유효하다.

Claims (5)

  1. 구동장치,
    상기 구동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
    상기 구동장치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로 내를 승강하게 되며, 제 1 및 제 2 정지층을 포함하는 복수의 정지층에 정지되는 엘리베이터 칸,
    상기 제 1 정지층의 승강장에 설치되어 있는 제 1 승강장 점검장치, 및
    상기 제 2 정지층의 승강장에 설치되어 있는 제 2 승강장 점검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승강장 점검 장치에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보수 운전하기 위한 제 1 보수 운전 조작부와, 비상시에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이동시키기 위한 제 1 비상 운전 조작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승강장 점검 장치에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보수 운전하기 위한 제 2 보수 운전 조작부와, 비상시에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이동시키기 위한 제 2 비상 운전 조작부의 적어도 어느 한쪽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승강로 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1 승강장 점검장치는, 상기 제 2 승강장 점검 장치보다도 상기 구동장치의 근처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2 승강장 점검 장치에는, 상기 제 2 보수 운전 조작부 및 상기 제 2 비상 운전 조작부 중의 상기 제 2 보수 운전 조작부 만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승강로의 꼭대기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1 정지층은 최상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정지층은 건물의 현관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 1 및 제 2 보수 운전 조작부의 양쪽으로부터 조작이 입력되면, 어느 한쪽의 조작만을 선택하여 유효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KR1020077011399A 2007-05-18 2005-11-16 엘리베이터 장치 KR1009012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7011399A KR100901224B1 (ko) 2007-05-18 2005-11-16 엘리베이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7011399A KR100901224B1 (ko) 2007-05-18 2005-11-16 엘리베이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4380A KR20070084380A (ko) 2007-08-24
KR100901224B1 true KR100901224B1 (ko) 2009-06-08

Family

ID=38612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1399A KR100901224B1 (ko) 2007-05-18 2005-11-16 엘리베이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122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9119A (ja) * 1994-08-22 1996-03-05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乗場に設けられたエレベータ保守用運転装置
WO2001027013A1 (fr) * 1999-10-07 2001-04-19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Appareil de commande de maintenance/d'exploitation d'ascenseur
JP2001354369A (ja) 2000-04-27 2001-12-25 Inventio Ag エレベーター乗客の避難用装置
JP2003252544A (ja) 2002-03-06 2003-09-10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ータの保守運転操作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9119A (ja) * 1994-08-22 1996-03-05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乗場に設けられたエレベータ保守用運転装置
WO2001027013A1 (fr) * 1999-10-07 2001-04-19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Appareil de commande de maintenance/d'exploitation d'ascenseur
JP2001354369A (ja) 2000-04-27 2001-12-25 Inventio Ag エレベーター乗客の避難用装置
JP2003252544A (ja) 2002-03-06 2003-09-10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ータの保守運転操作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4380A (ko) 2007-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5987B1 (ko) 엘리베이터의 보수운전장치
JP4905360B2 (ja) エレベータ用調速機
EP1950165A1 (en) Elevator device
JP2004504997A (ja) エレベータケージ内に組込まれた駆動プーリ式駆動機械を備えたエレベータケージ
WO2014006720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4209393B2 (ja) エレベータ用調速機及びエレベータ装置
KR100901224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2011126609A (ja) エレベータ及びエレベータの点検方法
JP3961895B2 (ja) エレベータの閉じ込め救出方法および装置
JP2011111283A (ja) エレベータの閉じ込め救出方法
JP6580275B2 (ja) エレベータのインターロック装置
JP2008068945A (ja) エレベータ
JPH1059635A (ja) エレベータの保守運転装置
JP2001002340A (ja) エレベータのブレーキ解放装置
WO2019106778A1 (ja) エレベーター制御装置、エレベーター、およびエレベーター制御方法
JP2003238044A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JP2007062900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4454766B2 (ja) エレベーターの昇降路装置
JP4387243B2 (ja) エレベータの閉じ込め救出装置
JP7323032B1 (ja) エレベータ用かご枠、およびエレベータの足場なし工法
CN114072345B (zh) 乘客救援方法以及电梯装置
JP4484315B2 (ja) エレベーター制御装置
JP2001122547A (ja) エレベータ巻上機の手動操作装置
EP1329410B1 (en) Elevator and car position confirmation device for the elevator
JP5023889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