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1394A - 프로젝터 - Google Patents

프로젝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1394A
KR20050001394A KR1020040047375A KR20040047375A KR20050001394A KR 20050001394 A KR20050001394 A KR 20050001394A KR 1020040047375 A KR1020040047375 A KR 1020040047375A KR 20040047375 A KR20040047375 A KR 20040047375A KR 20050001394 A KR20050001394 A KR 200500013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ortion correction
image
correction amount
contour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7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69530B1 (ko
Inventor
구보다케히로
도쿠야마데츠로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01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13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9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95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79Video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9/3185Geometric adjustment, e.g. keystone or converg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4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Abstract

본 발명은 투사 화상의 왜곡의 조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왜곡 보정량을 조정할 경우에, 희망 위치가 지정되면, 이것에 근거해서 형성될 수 있는 희망 윤곽 형상에 대응하는 왜곡 보정량을 산출한다. 산출된 왜곡 보정량의 전부가 원(元) 화상의 형상을 왜곡 보정 화상으로 변형 가능하게 하는 소정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산출된 왜곡 보정량의 전부가 소정 범위 내에 있는 경우에는, 산출된 왜곡 보정량을 화상 왜곡 보정부에 설정한다. 산출된 왜곡 보정량의 어느 하나가 소정 범위 외에 있는 경우에는, 산출된 왜곡 보정량을 화상 왜곡 보정부에 설정하지 않고, 투사 화상의 윤곽 형상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는 윤곽선을 생성시킨다. 윤곽 형상 중, 소정 범위 외에 있는 왜곡 보정량에 대응하는 윤곽 형상과, 소정 범위 내에 있는 왜곡 보정량에 대응하는 윤곽 형상을 식별할 수 있도록 윤곽선을 생성시킨다.

Description

프로젝터{PROJECTOR}
본 발명은 프로젝터에 의해 투사면에 대하여 화상을 경사지게 투사한 경우에 발생하는 투사 화상의 왜곡을 보정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프로젝터에서는, 조명 광학계로부터 사출된 광이 액정 광 밸브(액정 패널) 등의 공간 광 변조 장치에 의해 화상 신호에 따라 변조되고, 변조된 광이 투사 광학계에 의해 투사면 상에 투사되는 것에 의해 화상이 표시된다. 공간 광 변조 장치로서, 액정 광 밸브를 이용한 것을 예로 설명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컨대, 디지털 마이크로 미러 장치(DMD : 미국 TI사의 상표)나 다른 방식의 장치를 이용한 프로젝터에도 적용할 수 있다.
그런데, 투사면 상에 화상을 투사할 때에, 프로젝터로부터 사출되는 화상을 나타내는 광(화상광)의 중심축과 투사면의 법선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프로젝터로부터 투사면에 대해 장방형의 화상을 투사한다고 해도, 투사면 상에 표시되는 화상은 장방형이 아닌 사변형으로 왜곡되는 경우가 있다. 투사 화상의 왜곡은 액정 광 밸브로부터 사출되는 화상광이 나타내는 화상의 형상, 환언하면, 액정 광 밸브의 광 변조 영역(화상 형성 영역)에 형성되는 화상의 형상을 조정함으로써, 보정할 수 있다.
도 11은 투사 화상의 왜곡 보정 방법에 대해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1(a-1)은 왜곡을 보정하지 않은 경우에, 액정 광 밸브의 장방형의 화상 형성 영역에 형성되는 장방형의 화상 IMa(이하, 「원(元) 화상 IMa」라고도 함)를 나타내고 있다. 이 때, 투사면 상에는, 도 11(a-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방형이 아닌 사변형 형상으로 변형된 화상 IMaS가 표시된다. 또, 도 11(a-2)의 화상은 투사면의 법선에 대하여 우하(右下) 측의 경사 방향으로부터 투사면을 향하여 투사된 화상을 나타내고 있다.
도 11(b-1)은 도 11(a-2)에 나타낸 투사 화상의 왜곡을 보정하는 경우에, 액정 광 밸브의 화상 형성 영역에 형성되는 보정된 화상 IMc을 나타내고 있다. 이 보정된 화상 IMc는 왜곡 보정 화상 IMc-a와 배경 화상 IMc-b로 구성되어 있다. 왜곡 보정 화상 IMc-a는 도 11(a-2)와 역인 형상을 갖고 있고, 원 화상 IMa를 변형함으로써 생성된다. 또한, 배경 화상 IMc-b는 흑 화소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보정된 화상 IMc가 액정 광 밸브의 화상 형성 영역에 형성되면, 보정된 화상 IMc 내의 왜곡 보정 화상 IMc-a만이 투사되어, 투사면 상에는, 도 11(b-2)에 나타내는 장방형의 화상 IMcS(IMc-aS)가 표시된다.
또, 원 화상 IMa를 변형하여 왜곡 보정 화상 IMc-a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예컨대, 하기의 특허 문헌 1, 2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2-6391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3-46907호 공보
그런데, 왜곡 보정 화상 IMc-a의 형상은, 예컨대, 액정 광 밸브의 화상 형성 영역에서, 상기 원 화상 IMa의 네 개의 정점이 형성되는 위치(좌표)를 지정함으로써 조정된다.
도 12는 왜곡 보정 화상 IMc-a의 형상을 조정하는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또, 왜곡 보정 화상 IMc-a의 형상은 왜곡 보정이 행해지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는, 장방형의 원 화상 IMa와 같은 형상으로 설정된다. 이하에서는, 왜곡의 보정이 행해지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 원 화상 IMa의 네 개의 정점이 액정 광 밸브의 화상 형성 영역에서의 네 모서리의 위치 A0, B0, C0, D0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우선, 도 1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치 A0에 있는 좌상(左上)의 정점을 선택하여,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원 화상 IMa는 선택한 좌상의 정점의 이동 위치에 따라 설정되는 왜곡 보정 화상 IMc-a의 형상이 되도록 변형되어, 액정 광 밸브 상의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형성된 왜곡 보정 화상 IMc-a가 투사된다. 이 때, 투사 화상의 형상을 확인하면서, 선택한 좌상의 정점 위치를 순서대로 이동함으로써, 선택한 좌상의 정점 위치를 희망 위치 A1로 설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하여, 도 1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치 B0에 있는 우상(右上)의 정점을 희망 위치 B1로 설정하고, 도 1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치 C0에 있는 우하(右下)의 정점 위치를 희망 위치 C1로 설정하며, 도 12(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치 D0에 있는 좌하(左下)의 정점 위치를 희망 위치 D1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왜곡 보정 화상 IMc-a의 형상을 조정하는 경우에, 왜곡 보정 화상 IMc-a의 형상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즉, 설정 가능한 왜곡 보정 화상 IMc-a의 네 개의 정점 A1, B1, C1, D1을 연결하는 네 변의 경사, 원 화상 IMa에 대한 왜곡 보정 화상 IMc-a의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의 압축율 등에는, 통상, 원 화상 IMa를 왜곡 보정 화상 IMc-a와 같이 변형하는 기능의 성능에 의존하므로 한계가 있어, 이하의 문제가 발생한다.
도 13은 종래의 문제점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치 A0에 형성된 좌상의 정점을 위치 A1까지 이동시키는 경우를 예로 설명한다. 이 경우에,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도중의 위치 Ap에서, 위치 Ap와 위치 B0을 연결하는 변 L1의 수평 방향에 대한 경사가 변형 가능한 한계에 도달할 경우, 더 이상 경사를 크게 하면 정상적으로 화상을 변형할 수 없기 때문에, 더 이상 정상적인 왜곡 보정을 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마찬가지로, 위치 Ap와 위치 D0을 연결하는 변 L4의 수직 방향에 대한 경사가 변형 가능한 한계에 도달하여, 더 이상 경사를 크게 하면 정상적인 왜곡 보정을 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
이 때문에, 위치 A0에 있던 좌상의 정점을 위치 A1로 이동시켜 왜곡 보정 화상 IMc-a를 생성할 때에, 변 L1 또는 변 L4의 상기 경사가 위치 Ap에서 한계에 도달한 경우에는, 통상, 변 L1 또는 변 L4의 경사가 더 이상 커지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이 금지되어, 더 이상의 조정이 금지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것은 다른 정점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이 선택한 정점의 이동 도중에, 더 이상의 조정이 금지된 경우, 이용자는 투사 화상을 보는 한에는, 더 이상 조정할 수 없는 것을 알 수 있게 된다. 그렇지만, 예컨대, 왜곡 보정을 조정하는 기능이 오동작하여 더 이상의 조정을 할 수 없는 것인지, 상기한 바와 같이 정점의 이동이 금지되어 조정을 할 수 없는 것인지를 알 수는 없다. 이 때문에, 이용자는 이와 같은 왜곡 보정의 조정을 할 수 없는 것에 대하여, 어떻게 대응하면 좋은지 알지 못한다. 따라서, 종래에 있어서의 투사 화상의 왜곡 보정의 조정은 조작성의 점에서 아직 불충분한 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투사 화상의 왜곡을, 용이하게 보정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프로젝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화상 처리 제어기(20) 내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실시예 1로서의 왜곡 보정량 조정 동작에 대해 나타내는 흐름도,
도 4는 도 3의 단계 S190에서의 윤곽선의 표시에 대해 나타내는 설명도,
도 5는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왜곡 보정량의 조정에 있어서의 조작 순서에 대해 나타내는 설명도,
도 6은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왜곡 보정량의 조정에 있어서의 조작 순서에 대해 나타내는 설명도,
도 7은 실시예 2로서의 왜곡 보정량 조정 동작에 대해 나타내는 흐름도,
도 8은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왜곡 보정량의 조정에 있어서의 조작 순서에 대해 나타내는 설명도,
도 9는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왜곡 보정량의 조정에 있어서의 조작 순서에 대해 나타내는 설명도,
도 10은 변형예 1에 있어서의 윤곽선의 표시에 대해 나타내는 설명도,
도 11은 투사 화상의 왜곡 보정 방법에 대해 나타내는 설명도,
도 12는 왜곡 보정 화상 IMc-a의 형상을 조정하는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3은 종래의 문제점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PJ : 프로젝터 SC : 투사면
10 : 화상 신호 변환부 20 : 화상 처리 제어기
30 : 액정 패널 드라이버 40 : 액정 패널
50 : 조명 광학계 60 : 투사 광학계
70 : 마이크로 프로세서 80 : 입력 장치
210 : 프레임 메모리 220 : 스케일러
222 : 레지스터 230 : 믹서
240 : 왜곡 보정량 조정부 250 : 온 스크린 표시부
상기한 목적의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1 태양에 따른 프로젝터는,
투사면 상에 화상을 투사하는 프로젝터로서,
상기 투사면에 대하여 경사 방향으로부터 투사함으로써 발생하는 투사 화상의 왜곡을 보정하도록, 설정된 왜곡 보정량에 근거해서 원 화상의 형상을 변형한 왜곡 보정 화상을 생성하기 위한 화상 왜곡 보정부와,
상기 투사 화상의 윤곽 형상이 희망 윤곽 형상으로 되도록 조정하기 위해, 상기 투사 화상의 윤곽 형상을 형성하는 네 개의 정점의 표시되어야 할 희망 위치를 지정하기 위한 희망 위치 지정부와,
상기 희망 위치 지정부에서 지정된 상기 희망 위치에 근거해서, 상기 화상 왜곡 보정부에 설정되는 상기 왜곡 보정량을 조정하기 위한 왜곡 보정량 조정부와,
상기 투사 화상의 윤곽 형상에 대응하는 윤곽선을 생성하기 위한 윤곽선 생성부를 구비하되,
상기 화상 왜곡 보정부에 설정되는 상기 왜곡 보정량을 조정하는 경우에,
상기 왜곡 보정량 조정부는
상기 희망 위치 지정부로부터 상기 희망 위치가 지정되면, 이에 근거해서 형성될 수 있는 상기 희망 윤곽 형상에 대응하는 상기 왜곡 보정량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왜곡 보정량의 전부가 상기 원 화상의 형상을 상기 왜곡 보정 화상으로 변형 가능하게 하는 소정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산출된 왜곡 보정량의 전부가 상기 소정 범위 내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산출된 왜곡 보정량을 상기 화상 왜곡 보정부에 설정하고,
상기 산출된 왜곡 보정량의 어느 하나가 상기 소정 범위 외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산출된 왜곡 보정량을 상기 화상 왜곡 보정부에 설정하지 않고, 상기 윤곽선 생성부에 대하여, 상기 투사 화상의 윤곽 형상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는 윤곽선을 생성시키고, 또한 상기 투사 화상의 윤곽 형상 중, 상기 소정 범위 외에 있는 왜곡 보정량에 대응하는 윤곽 형상과, 상기 소정 범위 내에 있는 왜곡 보정량에 대응하는 윤곽 형상을 식별할 수 있도록 윤곽선을 생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태양에 따른 프로젝터에 있어서는, 투사면에 대하여 경사 방향으로부터 투사함으로써 발생하는 투사 화상의 왜곡을 보정하기 위해, 화상 왜곡 보정부에 설정되는 왜곡 보정량을 조정하는 경우에, 투사 화상의 윤곽 형상을, 지정한 희망 위치에 근거해서 형성될 수 있는 희망 윤곽 형상으로 변형시킬 수 없는 상태에서는, 투사 화상의 윤곽 형상을 나타내는 윤곽선을 표시할 수 있으므로, 프로젝터의 이용자는 투사 화상의 윤곽 형상을, 지정한 희망 위치에 근거해서 형성될 수 있는 희망 윤곽 형상으로 변형시킬 수 없는 것을 용이하게 알 수 있다. 또한, 원 화상의 형상을 왜곡 보정 화상으로 변형 가능하게 하는 소정 범위 내에 있는 왜곡 보정량에 대응하는 윤곽 형상과, 소정 범위 외에 있는 왜곡 보정량에 대응하는 윤곽 형상을 식별할 수 있도록, 윤곽선을 생성시킬 수 있으므로, 투사 화상의 윤곽 형상을 변형시킬 수 없는 방향을 용이하게 알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 비해, 왜곡 보정량의 조정에 있어서의 조작성이 좋고, 투사 화상의 왜곡을 용이하게 보정할 수 있다.
또, 상기 불가능의 판단 대상으로 된 부분에 대응하는 윤곽 형상과, 상기 불가능의 판단 대상으로 되지 않은 부분에 대응하는 윤곽 형상은 선의 유무, 다른 선색, 다른 선 폭, 다른 선 종류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식별되도록 할 수 있다.
선의 유무, 다른 선색, 다른 선 종류, 다른 선 폭으로 하면, 윤곽선의 차이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왜곡 보정량이 소정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경우에, 상기 희망 윤곽 형상의 상기 네 개의 변 각각의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에 대한 경사를 근거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태양에 있어서의 프로젝터에 있어서, 상기 왜곡 보정량 조정부는
상기 산출된 왜곡 보정량의 전부가 상기 소정 범위 내에 있는 경우에도, 상기 윤곽선 생성부에 대하여, 상기 투사 화상의 윤곽 형상에 대응하는 윤곽선을 생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화상 왜곡 보정부에 설정되는 왜곡 보정량을 조정하는 경우에 있어서,
투사 화상의 윤곽 형상에 대응하는 윤곽선을 표시할 수 있으므로, 투사 화상의 윤곽 형상을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태양에 따른 프로젝터는,
투사면 상에 화상을 투사하는 프로젝터로서,
상기 투사면에 대하여 경사 방향으로부터 투사함으로써 발생하는 투사 화상의 왜곡을 보정하도록, 설정된 왜곡 보정량에 근거해서 원 화상의 형상을 변형한 왜곡 보정 화상을 생성하기 위한 화상 왜곡 보정부와,
상기 투사 화상의 윤곽 형상이 희망 윤곽 형상으로 되도록 조정하기 위해, 상기 투사 화상의 윤곽 형상을 형성하는 네 개의 정점의 표시되어야 할 희망 위치를 지정하기 위한 희망 위치 지정부와,
상기 희망 위치 지정부에서 지정된 상기 희망 위치에 근거해서, 상기 화상 왜곡 보정부에 설정되는 상기 왜곡 보정량을 조정하기 위한 왜곡 보정량 조정부와,
상기 희망 위치를 지정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는 상기 투사 화상의 상기 희망 윤곽 형상에 대응하는 윤곽선을 생성하기 위한 윤곽선 생성부를 구비하되,
상기 화상 왜곡 보정부에 설정되는 상기 왜곡 보정량을 조정하는 경우에,
상기 왜곡 보정량 조정부는,
상기 희망 위치 지정부에서 상기 희망 위치가 지정되면, 이것에 근거해서 형성될 수 있는 상기 희망 윤곽 형상에 대응하는 상기 왜곡 보정량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왜곡 보정량의 전부가 상기 원 화상의 형상을 상기 왜곡 보정 화상으로 변형 가능하게 하는 소정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산출된 왜곡 보정량의 전부가 상기 소정 범위 내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산출된 왜곡 보정량을 상기 화상 왜곡 보정부에 설정하고,
상기 산출된 왜곡 보정량의 어느 하나가 상기 소정 범위 외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산출된 왜곡 보정량을 상기 화상 왜곡 보정부에 설정하지 않고, 상기 윤곽선 생성부에 대하여, 상기 희망 윤곽 형상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는 윤곽선을 생성시키고, 또한 상기 희망 윤곽 형상 중 상기 소정 범위 외에 있는 왜곡 보정량에 대응하는 윤곽 형상과, 상기 소정 범위 내에 있는 왜곡 보정량에 대응하는 윤곽 형상을 식별할 수 있도록 윤곽선을 생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태양에 따른 프로젝터에 있어서도, 투사면에 대하여 경사 방향으로부터 투사함으로써 발생하는 투사 화상의 왜곡을 보정하기 위해, 화상 왜곡 보정부에 설정되는 왜곡 보정량을 조정하는 경우에, 투사 화상의 윤곽 형상을, 지정한 희망 위치에 근거해서 형성될 수 있는 희망 윤곽 형상으로 변형시킬 수 없는 상태에서는, 지정한 희망 위치에 근거해서 형성될 수 있는 희망 윤곽 형상을 나타내는 윤곽선을 표시할 수가 있으므로, 프로젝터의 이용자는 투사 화상의 윤곽 형상을, 지정한 희망 위치에 근거해서 형성될 수 있는 희망 윤곽 형상으로 변형시킬 수 없는 것을 용이하게 알 수 있다. 또한, 원 화상의 형상을 왜곡 보정 화상으로 변형 가능하게 하는 소정 범위 내에 있는 왜곡 보정량에 대응하는 윤곽 형상과, 소정 범위 외에 있는 왜곡 보정량에 대응하는 윤곽 형상을 식별할 수 있도록, 윤곽선을 생성시킬 수 있으므로, 투사 화상의 윤곽 형상을 변형시킬 수 없는 방향을 용이하게 알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 비해, 왜곡 보정량의 조정에 있어서의 조작성이 좋고, 투사 화상의 왜곡을 용이하게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지정한 희망 위치에 근거해서 형성될 수 있는 희망 윤곽 형상에 대응하는 윤곽선을 표시시킬 수 있으므로, 예컨대, 하나의 정점만을 희망 위치로 지정하여 왜곡 보정 화상을 생성할 수 없는 경우에도, 다른 정점을 희망 위치로 지정하는 경우에는 왜곡 보정 화상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한 경우에는, 다른 정점을 희망 위치로 지정하여 왜곡 보정 화상의 생성이 가능해진 시점에서, 투사 화상의 윤곽 형상을 희망 윤곽 형상으로 변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으므로, 제 1 태양에 따른 프로젝터보다도 더 왜곡 보정량의 조정에 있어서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제 1 및 제 2 태양에 따른 프로젝터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형태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고, 예컨대, 화상 왜곡 조정 장치 및 그 방법 등의 여러 가지의 형태로 실현할 수도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실시예에 근거해서 이하의 순서로 설명한다.
A. 프로젝터의 구성 :
B. 화상 투사 동작 :
C. 왜곡 보정량 조정 동작 :
C1. 실시예 1의 왜곡 보정량 조정 동작 :
C2. 실시예 2의 왜곡 보정량 조정 동작 :
D. 변형예 :
A. 프로젝터의 구성 :
도 1은 본 발명의 프로젝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 프로젝터 PJ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상 신호 변환부(10)와, 화상 처리 제어기(20)와, 액정 패널(LCD) 드라이버(30)와, 액정 패널(LCD)(40)과, 조명 광학계(50)와, 투사 광학계(60)와, 마이크로 프로세서(70)와, 입력 장치(8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화상 처리 제어기(20) 내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화상 처리 제어기(20)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 메모리(210)와, 스케일러(220)와, 온 스크린 표시부(OSD)(250)와, 믹서(230)와, 왜곡 보정량 조정부(240)를 구비하고 있다.
B. 화상 투사 동작 :
프로젝터 PJ의 통상 동작인 화상 투사 동작에 대해 간단히 설명한다.
도 1에서, 이용자가 입력 장치(80)로부터 화상 투사의 개시를 지시하면, 그 지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70)에 전해진다. 마이크로 프로세서(70)는 전해진 지시에 근거해서 화상 신호 변환부(10), 화상 처리 제어기(20), 조명 광학계(50)를 비롯한 각 구성부를 제어하여, 화상 투사 동작을 행한다.
화상 신호 변환부(10)는 비디오 플레이어나 텔레비전, DVD 플레이어 등으로부터 출력된 화상 신호나, 퍼스널 컴퓨터 등으로부터 출력된 화상 신호를 입력하고, 이들 화상 신호를 화상 처리 제어기(20)에 입력 가능한 디지털 화상 신호로 변환한다.
화상 처리 제어기(20)는 프레임 메모리(210)에의 화상 데이터의 기입이나 판독 기능, 화상의 확대/축소 기능, 투사 화상의 왜곡 보정 기능 등의 여러 가지 기능을 갖고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상 신호 변환부(10)로부터 입력된 화상 신호에 포함되는 화상 데이터는 프레임 메모리(210)에 기억된다.
프레임 메모리(210)로부터 판독된 화상 데이터는 스케일러(220)로 출력된다. 스케일러(220)는 레지스터(222)에 설정된 확대/축소 파라미터의 값에 따라, 프레임 메모리(210)로부터 판독된 화상 데이터가 나타내는 화상을 확대/축소한다. 또한, 스케일러(220)는 투사면 SC에 대하여 경사 방향으로부터 투사함으로써 발생하는 투사 화상의 왜곡을 보정하기 위해, 레지스터(222)에 설정된 왜곡 보정 파라미터의 값에 따라, 프레임 메모리(210)로부터 판독된 화상 데이터가 나타내는 화상(원 화상)을 왜곡 보정 화상으로 변형한다. 변형된 왜곡 보정 화상을 나타내는 왜곡 보정 화상 데이터에 근거해서 보정된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온 스크린 표시부(250)는 메뉴 화상 데이터나, 후술하는 왜곡 보정량 조정 동작에서 표시되는 윤곽선 데이터 등의 OSD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여, 믹서(230)로 출력한다.
믹서(230)는 OSD 화상 데이터와 스케일러(220)로부터 출력된 보정된 화상 데이터를 합성한 투사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여, 액정 패널 드라이버(30)로 출력한다. 단, 온 스크린 표시부(250)에서 OSD 화상 데이터가 생성되지 않은 경우에는, 보정된 화상 데이터가 투사 화상 데이터로서 출력된다.
또, 화상 처리 제어기(20)에는, 상기 구성 외에, 화상의 표시 상태, 예컨대, 휘도, 컨트라스트, 동기, 트래킹, 색의 농도, 색조 등이 소망의 상태로 되도록, 화상 데이터를 조정하는 여러 가지 기능을 갖고 있지만, 본 발명의 설명 상 특히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에서, 액정 패널 드라이버(30)는 화상 처리 제어기(20)로부터 입력된 투사 화상 데이터에 근거해서, 액정 패널(40)을 구동한다. 이에 따라, 액정 패널(40)에서는, 조명 광학계(50)로부터 사출된 조명광을, 투사 화상 데이터에 따라 변조한다. 투사 광학계(60)는 액정 패널(40)에 의해 변조된 화상을 나타내는 광(화상 광)을 투사면 SC 상에 투사한다. 여기서, 액정 패널(40)로부터 사출되는 화상광은 화상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액정 패널의 광 변조 영역을, 투사 화상 데이터가 나타내는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영역으로 잡고, 이 화상 형성 영역에 형성된 화상이 투사 광학계(60)에 의해 투사면 SC로 투사되고 있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C. 왜곡 보정량 조정 동작 :
프로젝터 PJ에 의해 투사면 SC의 법선에 대하여 경사 방향으로부터 화상을 투사하는 경우, 이하에 설명하는 것과 같은 투사 화상의 왜곡 보정량 조정 동작을 실행함으로써, 투사 화상의 왜곡의 보정량을 조정할 수 있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는, 프로젝터 PJ는 이용자에 의해, 투사면 SC에 대하여 오른쪽으로 경사져 아래 방향으로부터 화상을 투사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용자가 입력 장치(80)로부터 왜곡 보정량의 조정을 지시하면, 그 지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70)를 거쳐 화상 처리 제어기(20)로 전해진다. 화상 처리 제어기(20)의 왜곡 보정량 조정부(240)(도 2)는 그 지시에 근거해서 왜곡 보정량 조정 동작을 개시한다.
C1. 실시예 1의 왜곡 보정량 조정 동작 :
도 3은 실시예 1에서의 왜곡 보정량 조정 동작에 대해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왜곡 보정량 조정 동작이 개시되면, 우선, 이용자는 입력 장치(80)의 정점 선택키를 이용해서, 표시 화면의 네 개의 정점 중, 표시 위치를 조정하고 싶은 정점을 선택하고(단계 S110), 선택한 정점(선택 정점)의 이동 위치를 지정한다(단계 S120). 선택 정점의 이동 위치는 입력 장치(80)의 이동 방향 지시키를 이용해서, 액정 패널(40)이 장방형인 화상 형성 영역에서의 위치(좌표)를, 소정의 화소수 단위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지정된다. 예컨대, 상하좌우 키를 이용해서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1화소 단위로 이동시켜 지정할 수 있다.
선택 정점의 이동 위치(좌표) 데이터는 마이크로 프로세서(70)를 거쳐 왜곡 보정량 조정부(240)에 입력된다. 왜곡 보정량 조정부(240)에서는, 선택 정점의 이동 위치 데이터 및 다른 정점(비선택 정점)의 위치 데이터에 근거해서, 스케일러(220)의 레지스터(222)에 설정할 왜곡 보정 파라미터의 값이 산출된다(단계 S130). 왜곡 보정 파라미터로는, 예컨대, 네 개의 정점을 연결하는 네 변 각각의 경사, 프레임 메모리(210)로부터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가 나타내는 화상(원 화상)에 대한 왜곡 보정 화상의 압축율 등이 있다.
왜곡 보정량 조정부(240)에서는, 산출된 왜곡 보정 파라미터의 값이 스케일러(220)의 레지스터(222)에 설정 가능한 범위 내인지, 즉, 왜곡 보정이 가능한지 판정된다(단계 S140). 왜곡 보정이 가능하다고 판정된 경우(단계 S140 : 예)에는, 산출된 왜곡 보정 파라미터의 값은 스케일러(220)의 레지스터(222)에 설정된다(단계 S150). 그리고, 스케일러(220)에서는, 설정된 왜곡 보정 파라미터의 값에 근거해서 왜곡 보정량이 조정되고, 입력되는 원 화상 데이터를 왜곡 보정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보정된 화상 데이터가 생성되어, 투사 화상의 왜곡 보정이 실행된다(단계 S160).
상기 선택 정점의 이동 위치 지정(단계 S120)으로부터 투사 화상의 왜곡 보정(단계 S160)까지의 처리는 이용자에 의해 입력 장치(80)의 선택 정점 조정 종료키를 이용해서 선택 정점의 조정 종료가 지시되는 것에 의해 선택 정점의 조정이 종료라고 판단되기(단계 S170 : 예)까지 반복해서 실행된다. 또한, 정점의 선택(단계 S110)으로부터 투사 화상의 왜곡 보정(단계 S160)까지의 처리는 이용자에 의해 입력 장치(80)의 왜곡 보정량 조정 종료키를 이용하여 왜곡 보정량 조정의 종료가 지시되기(단계 S180 : 예)까지 반복해서 실행된다.
이상 설명한 왜곡 보정량의 조정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통상의 경우, 도 12를 이용해서 설명한 종래예와 마찬가지로, 액정 패널(40)의 화상 형성 영역에 형성되는 왜곡 보정 화상의 윤곽 형상을 조정함으로써, 투사 화상의 왜곡 보정량을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왜곡 보정량 조정 동작의 과정에서, 왜곡 보정이 불가인 것으로 판정된 경우(단계 S140 : 아니오)에는, 산출된 왜곡 보정 파라미터의 값을 스케일러(220)의 레지스터(222)에 설정하는 처리(단계 S150)는 실행되지 않고,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현재 투사되고 있는 표시 화면 상에 그 화면의 윤곽선이 표시된다(단계 S190).
도 4는 도 3의 단계 S190에 있어서의 윤곽선의 표시에 대해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온 스크린 표시부(250)에서는,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정 패널(40)의 화상 형성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왜곡 보정 화상 IMc-a(크로스 해칭으로 나타내어진 도형)의 4정점 P1, B0, C0, D0을 연결하는 네 변 L1, L2, L3, L4와 같은 네 개의 윤곽선 LP1, LP2, LP3, LP4를 나타내는 윤곽선 데이터가 생성된다. 또, 이들 윤곽선 데이터는 4정점 P1, B0, C0, D0의 위치 데이터에 근거해서 용이하게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윤곽선 데이터는 믹서(230)에 의해 보정된 화상 데이터에 합성되어 액정 패널 드라이버(30)로 출력된다. 이에 따라,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정 패널(40)의 화상 형성 영역에 네 개의 윤곽선 LP1, LP2, LP3, LP4가 형성되고,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투사 화상 IMcS의 표시 화면(크로스 해칭으로 나타내어진 도형) 상에 윤곽선이 합성 표시된다. 또, 도 4(a)의 파선으로 나타내는 사변형 A1B1C1D1은 투사 화상의 왜곡을 보정하기 위해 형성되어야 할 왜곡 보정 화상의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들 네 개의 윤곽선 중, 왜곡 보정이 불가인 것으로 판정된 판정 대상으로 된 왜곡 보정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변의 윤곽선은 다른 윤곽선과 다른 색으로 표시된다. 도 4에서는, 제 1 변 L1의 수평 방향에 대한 경사가 정점을 위치 P1보다도 아래 방향 또는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설정 가능한 최대값을 초과하게 되어, 제 1 변 L1에 대응하는 윤곽선 LP1이 적색(2점 쇄선으로 나타냄)이고, 다른 윤곽선 LP2, LP3, LP4가 청색(1점 쇄선으로 나타냄)으로 표시되어 있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 윤곽선의 표시는 산출된 왜곡 보정 파라미터의 값이 전부 설정 가능한 범위 내라고 판정된 경우(도 3의 단계 S140 : 예)에는, 온 스크린 표시부(250)에 의한 윤곽선 데이터의 생성이 정지되고, 이에 따라 윤곽선의 표시가 정지된다. 예컨대, 도 4의 예에서는, 우상의 정점을 위치 B0으로부터 위치 B1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제 1 변 L1의 상술한 경사를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산출되는 왜곡 보정 파라미터의 값이 전부 설정 가능한 범위 내라고 판정된 시점에서, 왜곡 보정이 실행되고(도 3의 단계 S160), 또한 온 스크린 표시부(250)에 있어서의 윤곽선 데이터의 생성이 정지되어 윤곽선의 표시가 정지된다. 그리고, 위치 P1에 있는 표시 화면 좌상의 정점을 재차 선택하여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5 및 도 6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왜곡 보정량의 조정에 있어서의 조작 순서에 대해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또, 도면 중 파선으로 나타내는 사변형 A0B0C0D0은 왜곡 보정이 실행되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 투사면 SC 상에 투사되는 표시 화면의 윤곽 형상을 나타내고 있고, 사변형 A1B1C1D1은 왜곡의 보정을 실행함으로써 투사시키고자 하는 표시 화면의 윤곽 형상(희망 윤곽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의 왜곡 보정량 조정 동작을 실행하면,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바와 같이, 표시 화면을 보면서 표시 화면의 윤곽 형상을 변형시킬 수 있다. 우선,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컨대, 투사면 SC 상에 표시되어 있는 투사 화상 IMcS(크로스 해칭로 나타내어진 도형)의 좌상의 정점을 선택하여, 위치 A0으로부터 희망 위치 A1을 향해 이동시킨다.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중의 위치 P1보다도 아래쪽 또는 오른쪽의 위치를 지정하여 왜곡 보정이 불가로 된 경우에는, 위치 P1에 있어서의 사변형 P1B0C0D0인 투사 화상 IMcS의 윤곽 형상 상에 윤곽선 LP1, LP2, LP3, LP4가 표시된다.
여기서, 예컨대, 제 1 변 L1의 수평 방향에 대한 경사가 좌상의 정점을 위치 P1보다도 아래 방향 또는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설정 가능한 최대값을 초과하게 되고, 제 1 변 L1에 대응하는 윤곽선 LP1이 적색(2점 쇄선으로 나타냄)이고 다른 윤곽선 LP2, LP3, LP4가 청색(1점 쇄선으로 나타냄)으로 표시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 때,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상의 정점을 선택하여, 위치 B0으로부터 희망 위치 B1을 향해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좌상의 정점 이동이 불가로 된 원인인 제 1 변 L1의 상기 경사를 작게 할 수 있으므로,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상의 정점을 재차 선택하여, 위치 P1로부터 희망 위치 A1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른 정점에 대해서도 같은 조작을 행함으로써, 장방형이 아닌 투사 화상 A0B0C0D0이 장방형인 투사 화상 A1B1C1D1로 되도록, 왜곡 보정량을 조정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예의 왜곡 보정량 조정 동작에 있어서는, 윤곽선을 표시함으로써, 이용자는 선택한 정점을 이동시키고 있는 도중에 왜곡 보정이 불가로 되어, 더 이상 이동시킬 수 없게 된 것을 용이하게 알 수 있다. 또한, 왜곡 보정 불가 판정의 대상으로 된 왜곡 보정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변의 윤곽선을, 다른 변의 윤곽선과 다른 색으로 표시함으로써, 선택한 정점이 이동할 수 없는 방향, 즉, 투사 화상의 윤곽 형상을 변형할 수 없는 방향을 용이하게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왜곡 보정량 조정 동작에 있어서의 이용자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 스케일러(220)가 본 발명의 화상 왜곡 보정부에 상당한다. 또한, 입력 장치(80) 및 마이크로 프로세서(70)가 본 발명의 희망 위치 지정부에 상당하고, 온 스크린 표시부(250)가 본 발명의 윤곽선 생성부에 상당한다.
C2. 실시예 2의 왜곡 보정량 조정 동작 :
도 7은 실시예 2에서의 왜곡 보정량 조정 동작에 대해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의 각 공정 중, 도 3에 나타내는 실시예 1에 있어서의 각 공정과 같은 공정에는 같은 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왜곡 보정량 조정 동작에서는, 우선, 투사 화상의 표시 화면 상에, 그 화면의 윤곽선이 표시된다(단계 S105). 윤곽선의 표시 방법은 실시예 1에서 도 4를 이용해서 설명한 경우와 마찬가지이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정점의 선택(단계 S110)으로부터 투사 화상의 왜곡 보정(단계 S160)까지의 처리가 실행된다. 투사 화상의 왜곡 보정이 실행되면(단계 S160), 왜곡의 보정이 실행된 투사 화상의 표시 화면에 대응하는 윤곽선의 표시가 실행된다(단계 S165). 이 윤곽선의 표시 방법도 상기 윤곽선 표시의 경우(단계 S105)와 마찬가지이다.
본 실시예의 왜곡 보정량 조정 동작에 있어서도,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왜곡 보정량 조정 동작(도 3의 단계 S160으로부터 단계 S180까지)과 마찬가지로, 투사 화상의 왜곡 보정량을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왜곡 보정량 조정 동작의 과정에서, 왜곡 보정이 불가인 것으로 판정된 경우(단계 S140 : 아니오)에는, 산출된 왜곡 보정 파라미터의 값을 스케일러(220)의 레지스터(222)에 설정하는 처리(단계 S150)는 실행되지 않고, 선택 정점의 지정된 이동 위치에 대응한 윤곽선이 표시된다(단계 S190a). 이 경우의 윤곽선은 투사 화상의 표시 화면의 실제 윤곽 위치가 아니라, 선택 정점의 지정 위치 데이터에 근거해서 설정될 수 있는 표시 화면의 윤곽 형상(희망 윤곽 형상)의 위치에 표시된다. 또, 이 경우의 희망 윤곽 형상에 대한 윤곽선의 표시도, 선택 정점의 실제 위치 데이터가 아니라, 선택 정점의 지정된 이동 위치 데이터를 이용하는 점을 제외하고, 상기 윤곽선 표시의 경우(단계 S105)와 마찬가지로 실행된다.
도 8 및 도 9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왜곡 보정량의 조정에 있어서의 조작 순서에 대해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또, 도면 중 파선으로 나타내는 사변형 A0B0C0D0은 왜곡 보정이 실행되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 투사면 SC 상으로 투사되는 표시 화면의 윤곽 형상을 나타내고 있고, 사변형 A1B1C1D1은 왜곡의 보정을 실행함으로써 투사시키고자 하는 표시 화면의 윤곽 형상(희망 윤곽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1점 쇄선 또는 2점 쇄선은 투사 화상 IMcS의 표시 화면(크로스 해칭으로 나타내어진 도형)의 윤곽선을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의 왜곡 보정량 조정 동작을 실행하면,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 화면을 보면서 표시 화면의 형상을 변형시킬 수 있다. 우선, 도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컨대, 투사면 SC 상에 표시되어 있는 투사 화상 IMcS(크로스 해칭으로 나타내어진 도형)의 좌상의 정점을 선택하여, 위치 A0으로부터 희망 위치 A1을 향해 이동시킨다. 또, 도 8(a)는 좌상의 정점 위치가 도중의 위치 P1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는, 표시 화면 좌상의 정점 위치를, 위치 P1보다도 더 오른쪽 또는 아래쪽으로 이동시킨 것으로 하면, 표시 화면의 제 1 변 L1의 수평 방향에 대한 경사가 이용 가능 범위보다도 커지기 때문에, 더 이상 좌상의 정점을 이동시킬 수 없다고 가정한다. 이 때,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택 정점의 위치로서 위치 P1보다도 더 위치 A1측의 위치를 지정한 경우에는, 산출되는 왜곡 보정 파라미터의 값이 설정 가능한 범위 외로 되므로, 더 이상의 왜곡 보정은 실행되지 않아, 투사 화상 IMcS의 표시 화면의 윤곽 형상은 변화하지 않는다. 그렇지만, 네 개의 윤곽선 LP1, LP2, LP3, LP4는 투사 화상 IMcS의 표시 화면의 윤곽 위치와는 다른 위치, 즉, 좌상의 정점이 지정된 위치 및 다른 정점의 위치에 근거해서 형성될 수 있는 표시 화면의 윤곽 형상(희망 윤곽 형상)의 위치에 표시된다. 도 8(b)는 좌상의 정점을 희망 위치 A1로 지정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네 개의 윤곽선 중, 설정 가능한 범위 외이라고 판정되는 보정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변의 윤곽선은 상기 실시예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다른 변의 윤곽선과는 다른 색으로 표시된다. 도 8(b)는 윤곽선 LP1이 적색(2점 쇄선으로 나타냄)이고 다른 윤곽선 LP2, LP3, LP4가 청색(1점 쇄선으로 나타냄)으로 표시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도 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치 B0에 있는 표시 화면의 우상의 정점을 선택하고, 이 선택 정점의 지정 위치를 희망 위치 B1을 향해 이동시키면, 윤곽선 LP1의 경사를 작게 할 수 있다. 이 때, 산출되는 왜곡 보정 파라미터의 값이 설정 가능한 범위 내로 된 시점에서,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투사 화상 IMcS의 표시 화면의 형상(크로스 해칭으로 나타내는 도형)은 윤곽선 LP1, P2, LP3, LP4로 나타내는 희망 윤곽 형상으로 되도록 왜곡의 보정이 실행된다.
다른 정점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의 동작을 행함으로써, 장방형이 아닌 투사 화상 A0B0C0D0이 장방형인 투사 화상 A1B1C1D1로 되도록 왜곡 보정량을 조정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예의 왜곡 보정량 조정 동작에 있어서도,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윤곽선을 표시함으로써, 이용자는 선택한 정점을 이동시키고 있는 도중에 왜곡 보정이 불가로 되어, 더 이상 이동시킬 수 없게 된 것을 용이하게 알 수 있다. 또한, 왜곡 보정 불가 판정의 대상으로 된 왜곡 보정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변의 윤곽선을, 다른 변의 윤곽선과 다른 색으로 표시함으로써, 선택한 정점이 이동할 수 없는 방향, 즉, 투사 화상의 윤곽 형상이 변형할 수 없는 방향을 용이하게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왜곡 보정량 조정 동작에 있어서의 이용자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왜곡 보정량 조정 동작에서는, 선택한 정점의 위치를 더 이상 이동할 수 없는 경우에도, 실제로 이동시키고 싶은 희망 위치를 지정하여, 지정된 선택 정점의 희망 위치에 따른 표시 화면의 윤곽 형상(희망 윤곽 형상)의 윤곽선을 표시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 1에 있어서는, 이동 불가로 된 정점 위치를 더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다른 정점을 선택해서 이동시킴으로써, 이동 불가로 되어 있던 정점의 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할 필요가 있는 것에 대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동 불가로 된 정점의 희망 위치를 지정해 두고, 다른 정점을 이동시킴으로써, 이동 불가로 되어 있던 정점의 이동이 가능해진 시점에서, 지정한 희망 윤곽 형상으로 되도록 왜곡의 보정을 실행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실시예 1보다도 더욱 보정량 조정 동작에 있어서의 이용자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스케일러(220)가 본 발명의 화상 왜곡 보정부에 상당한다. 또한, 입력 장치(80) 및 마이크로 프로세서(70)가 본 발명의 희망 위치 지정부에 상당하고, 온 스크린 표시부(250)가 본 발명의 윤곽선 생성부에 상당한다.
D. 변형예 :
또,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나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태양에 있어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예컨대, 다음과 같은 변형도 가능하다.
D1. 변형예 1 :
실시예 1 및 2에서는, 네 개의 윤곽선을 표시하는 경우를 예로 나타내고 있지만, 선택 정점에 의해 형성되는 두 개의 변에 대응하는 두 개의 윤곽선만을 표시하도록 하여도 좋다. 도 10은 선택 정점에 의해 형성되는 두 개의 변에 대응하는 두 개의 윤곽선만을 표시한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본 예에서는, 위치 A0에 있던 좌상의 정점을 위치 P1로 이동시킨 경우에, 윤곽선 LP1, LP4가 형성되고, 설정 가능한 최대값을 초과한 변 L1에 대응하는 윤곽선 LP1이 적색(2점 쇄선으로 나타냄)이고 다른 윤곽선 LP4가 청색(1점 쇄선으로 나타냄)으로 표시되어 있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D2. 변형예 2 :
실시예 1에서는, 선택 정점이 이동 불가로 된 경우에 윤곽선을 표시하는 경우를 예로 나타내고 있지만,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왜곡 보정량 조정 동작 중에 항상 윤곽선을 표시하도록 하여도 좋다.
D3. 변형예 3 :
실시예 2에서는, 왜곡 보정량 조정 동작 중에 항상 윤곽선을 표시하는 경우를 예로 나타내고 있지만, 선택 정점의 이동이 더 이상 불가로 된 경우에만 윤곽선을 표시하도록 하여도 좋다.
D4. 변형예 4 :
실시예 1 및 2에서는, 윤곽선의 색을 변경하도록 하고 있지만 윤곽선의 선 폭이나 선 종류를 변경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소정 범위 외에 있는 왜곡 보정량에 대응하는 윤곽 형상을 나타내는 윤곽선만을 표시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투사 화상의 왜곡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기술을 구비한 프로젝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8)

  1. 투사면 상에 화상을 투사하는 프로젝터로서,
    상기 투사면에 대하여 경사 방향으로부터 투사하는 것에 의해 발생하는 투사 화상의 왜곡을 보정하도록, 설정된 왜곡 보정량에 근거해서 원(元) 화상의 형상을 변형한 왜곡 보정 화상을 생성하기 위한 화상 왜곡 보정부와,
    상기 투사 화상의 윤곽 형상이 희망 윤곽 형상으로 되도록 조정하기 위해, 상기 투사 화상의 윤곽 형상을 형성하는 네 개의 정점이 표시되어야 할 희망 위치를 지정하기 위한 희망 위치 지정부와,
    상기 희망 위치 지정부에 의해 지정된 상기 희망 위치에 근거해서, 상기 화상 왜곡 보정부에 설정되는 상기 왜곡 보정량을 조정하기 위한 왜곡 보정량 조정부와,
    상기 투사 화상의 윤곽 형상에 대응하는 윤곽선을 생성하기 위한 윤곽선 생성부
    를 구비하고,
    상기 화상 왜곡 보정부에 설정되는 상기 왜곡 보정량을 조정하는 경우에 있어, 상기 왜곡 보정량 조정부는
    상기 희망 위치 지정부에 의해 상기 희망 위치가 지정되면, 이것에 근거해서 형성될 수 있는 상기 희망 윤곽 형상에 대응하는 상기 왜곡 보정량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왜곡 보정량의 전부가 상기 원 화상의 형상을 상기 왜곡 보정화상으로 변형 가능하게 하는 소정의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산출된 왜곡 보정량의 전부가 상기 소정의 범위 내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산출된 왜곡 보정량을 상기 화상 왜곡 보정부에 설정하고,
    상기 산출된 왜곡 보정량의 어느 것이 상기 소정의 범위 외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산출된 왜곡 보정량을 상기 화상 왜곡 보정부에 설정하지 않고, 상기 윤곽선 생성부에 대하여, 상기 투사 화상의 윤곽 형상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는 윤곽선을 생성시키고, 또한 상기 투사 화상의 윤곽 형상 중, 상기 소정의 범위 외에 있는 왜곡 보정량에 대응하는 윤곽 형상과, 상기 소정의 범위 내에 있는 왜곡 보정량에 대응하는 윤곽 형상이 식별 가능해지도록 윤곽선을 생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범위 외에 있는 왜곡 보정량에 대응하는 윤곽 형상과, 상기 소정의 범위 내에 있는 왜곡 보정량에 대응하는 윤곽 형상은, 각각을 나타내는 윤곽선에 있어서의, 선의 유무, 다른 선색, 다른 선폭, 다른 선 종류 중 어느 것에 의해 식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왜곡 보정량이 소정의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경우에, 상기 희망 윤곽 형상의 상기 네 변의 각각의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에 대한 경사를 근거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왜곡 보정량 조정부는,
    상기 산출된 왜곡 보정량의 전부가 상기 소정의 범위 내에 있는 경우에도, 상기 윤곽선 생성부에 대하여, 상기 투사 화상의 윤곽 형상에 대응하는 윤곽선을 생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5. 투사면 상에 화상을 투사하는 프로젝터로서,
    상기 투사면에 대하여 경사 방향으로부터 투사하는 것에 의해 발생하는 투사 화상의 왜곡을 보정하도록, 설정된 왜곡 보정량에 근거해서 원 화상의 형상을 변형한 왜곡 보정 화상을 생성하기 위한 화상 왜곡 보정부와,
    상기 투사 화상의 윤곽 형상이 희망 윤곽 형상으로 되도록 조정하기 위해, 상기 투사 화상의 윤곽 형상을 형성하는 네 개의 정점이 표시되어야 할 희망 위치를 지정하기 위한 희망 위치 지정부와,
    상기 희망 위치 지정부에 의해 지정된 상기 희망 위치에 근거해서, 상기 화상 왜곡 보정부에 설정되는 상기 왜곡 보정량을 조정하기 위한 왜곡 보정량 조정부와,
    상기 희망 위치를 지정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는 상기 투사 화상의 상기 희망 윤곽 형상에 대응하는 윤곽선을 생성하기 위한 윤곽선 생성부
    를 구비하고,
    상기 화상 왜곡 보정부에 설정되는 상기 왜곡 보정량을 조정하는 경우에 있어, 상기 왜곡 보정량 조정부는
    상기 희망 위치 지정부에 의해 상기 희망 위치가 지정되면, 이것에 근거해서 형성될 수 있는 상기 희망 윤곽 형상에 대응하는 상기 왜곡 보정량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왜곡 보정량의 전부가 상기 원 화상의 형상을 상기 왜곡 보정 화상으로 변형 가능하게 하는 소정의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산출된 왜곡 보정량의 전부가 상기 소정의 범위 내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산출된 왜곡 보정량을 상기 화상 왜곡 보정부에 설정하고,
    상기 산출된 왜곡 보정량의 어느 것이 상기 소정의 범위 외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산출된 왜곡 보정량을 상기 화상 왜곡 보정부에 설정하지 않고, 상기 윤곽선 생성부에 대해 상기 희망 윤곽 형상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는 윤곽선을 생성시키고, 또한 상기 희망 윤곽 형상 중 상기 소정의 범위 외에 있는 왜곡 보정량에 대응하는 윤곽 형상과, 상기 소정의 범위 내에 있는 왜곡 보정량에 대응하는 윤곽 형상이 식별 가능해지도록 윤곽선을 생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범위 외에 있는 왜곡 보정량에 대응하는 윤곽 형상과, 상기 소정의 범위 내에 있는 왜곡 보정량에 대응하는 윤곽 형상은, 각각을 나타내는 윤곽선에 있어서의, 선의 유무, 다른 선색, 다른 선폭, 다른 선 종류 중 어느 것에 의해 식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왜곡 보정량이 소정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경우에, 상기 희망 윤곽 형상의 상기 네 변의 각각의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에 대한 경사를 근거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왜곡 보정량 조정부는 상기 산출된 왜곡 보정량의 전부가 상기 소정의 범위 내에 있는 경우에도 상기 윤곽선 생성부에 대해, 상기 투사 화상의 윤곽 형상에 대응하는 윤곽선을 생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KR1020040047375A 2003-06-26 2004-06-24 프로젝터 KR1005695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82140 2003-06-26
JPJP-P-2003-00182140 2003-06-26
JP2004140890A JP3630166B2 (ja) 2003-06-26 2004-05-11 投写画像の歪補正量調整
JPJP-P-2004-00140890 2004-05-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1394A true KR20050001394A (ko) 2005-01-06
KR100569530B1 KR100569530B1 (ko) 2006-04-07

Family

ID=33422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7375A KR100569530B1 (ko) 2003-06-26 2004-06-24 프로젝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093940B2 (ko)
EP (1) EP1492337B1 (ko)
JP (1) JP3630166B2 (ko)
KR (1) KR100569530B1 (ko)
CN (1) CN100472316C (ko)
DE (1) DE602004002621T2 (ko)
TW (1) TWI25236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50924B2 (ja) * 2003-07-02 2008-09-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処理システム、プロジェクタ、プログラム、情報記憶媒体および画像処理方法
US7546025B2 (en) * 2004-07-06 2009-06-0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dia projector system
US7399086B2 (en) * 2004-09-09 2008-07-15 Jan Huewel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e processing device
TW200708091A (en) * 2005-08-03 2007-02-16 Coretronic Corp Projectio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WO2007072695A1 (ja) * 2005-12-22 2007-06-2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画像投射装置
JP4688768B2 (ja) * 2006-09-26 2011-05-25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調整方法及びプロジェクタ
US8159615B2 (en) * 2007-07-25 2012-04-17 Sigma Designs, Inc. System and method of geometrical predistortion of overlaying graphics sources
JP5405047B2 (ja) * 2008-05-09 2014-02-05 三洋電機株式会社 投写型映像表示装置
JP2010060806A (ja) * 2008-09-03 2010-03-18 Sony Corp 投射型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制御方法
JP5997882B2 (ja) * 2011-07-21 2016-09-2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ー及びプロジェクターの制御方法
JP5924020B2 (ja) * 2012-02-16 2016-05-2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ー、及び、プロジェクターの制御方法
JP6201290B2 (ja) * 2012-10-02 2017-09-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装置の画像調整方法
JP6164820B2 (ja) 2012-10-11 2017-07-19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その制御方法、及び画像投影システム
JP6194595B2 (ja) * 2013-02-27 2017-09-1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プロジェクター及び画像処理方法
JP6299071B2 (ja) * 2013-03-27 2018-03-2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ー、映像補正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897191B2 (ja) * 2017-03-17 2021-06-3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ーおよびプロジェクターの制御方法
JP6345316B2 (ja) * 2017-06-14 2018-06-20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US10437139B2 (en) * 2017-06-20 2019-10-08 Casio Computer Co., Ltd. Projector apparatus, projec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JP2019012361A (ja) * 2017-06-29 2019-01-24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方法
CN110689501B (zh) * 2019-09-29 2022-07-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畸变校正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89051B2 (ja) * 1998-02-18 2008-05-2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4493113B2 (ja) 1999-01-29 2010-06-30 株式会社リコー プロジェクタおよび投影画像補正装置
JP4415101B2 (ja) 1999-03-30 2010-02-17 独立行政法人情報通信研究機構 画像投影装置及び画像投影方法
JP2002006391A (ja) 2000-06-21 2002-01-09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プロジェクタ投影面の調整方法及び記録媒体
JP4961628B2 (ja) 2000-08-11 2012-06-27 日本電気株式会社 投射映像補正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JP2002158946A (ja) * 2000-11-20 2002-05-31 Seiko Epson Corp プロジェクタおよび画像歪補正方法
JP3646658B2 (ja) * 2001-03-01 2005-05-1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歪みの補正
JP3775256B2 (ja) 2001-07-30 2006-05-17 ソニー株式会社 投射型表示装置
JP3879560B2 (ja) 2002-03-27 2007-02-1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投写型画像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9530B1 (ko) 2006-04-07
EP1492337A1 (en) 2004-12-29
DE602004002621D1 (de) 2006-11-16
US20050024597A1 (en) 2005-02-03
US7093940B2 (en) 2006-08-22
JP2005039784A (ja) 2005-02-10
TWI252366B (en) 2006-04-01
JP3630166B2 (ja) 2005-03-16
CN100472316C (zh) 2009-03-25
EP1492337B1 (en) 2006-10-04
TW200513782A (en) 2005-04-16
DE602004002621T2 (de) 2007-08-16
CN1577052A (zh) 2005-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9530B1 (ko) 프로젝터
US6450647B1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9841662B2 (en) Projec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projector
US7233370B2 (en) Method for correcting for distortion of projected image, program for correcting image distortion, and projection-type image display device
KR20080094102A (ko) 화상 투영 방법 및 프로젝터
JP2002158946A (ja) プロジェクタおよび画像歪補正方法
JP6155717B2 (ja) 画像処理装置、プロジェクター及び画像処理方法
JP3646580B2 (ja) 投写型表示装置、並びに、投写表示システムおよびその表示方法
JP4578341B2 (ja) 画像投射方法、プロジェクタ、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887804B2 (ja) プロジェクター、及び、プロジェクターの制御方法
JP6217100B2 (ja) 画像処理装置、プロジェクター、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3959740B2 (ja) プロジェクタおよび画像補正方法
KR20030064657A (ko) 왜곡 보정 기능을 갖는 투사형 표시 장치
JP4851860B2 (ja) プロジェクタおよび画角制御方法
JP6551427B2 (ja) プロジェクター、プロジェクターの黒レベル領域設定方法
JP5194976B2 (ja) プロジェクタ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6226003B2 (ja) プロジェクター、及び、プロジェクターの制御方法
JP2002135690A (ja) 投写型表示装置
JP2012199734A (ja) 投写型表示装置および投写型表示装置の制御方法
JP2009147584A (ja) 画像処理装置、プロジェクタ、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WO2006008801A1 (ja) プロジェクタ
JP2021117375A (ja) 制御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JP2004104443A (ja) 投射型画像表示装置およびその画像変換方法
JP2021118465A (ja) 制御装置、投影制御方法、投影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