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4102A - 화상 투영 방법 및 프로젝터 - Google Patents

화상 투영 방법 및 프로젝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4102A
KR20080094102A KR1020087022073A KR20087022073A KR20080094102A KR 20080094102 A KR20080094102 A KR 20080094102A KR 1020087022073 A KR1020087022073 A KR 1020087022073A KR 20087022073 A KR20087022073 A KR 20087022073A KR 20080094102 A KR20080094102 A KR 200800941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rojection
range
projected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2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야 아라까와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94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41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4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79Video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9/3185Geometric adjustment, e.g. keystone or converge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키스톤보정의 조건을 조정하면서 투영범위의 디지털쉬프트를 행함으로써, 키스톤보정의 설정을 다시 실행하는 일 없이 투영화상을 피투사면 상에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화상투영방법, 및 프로젝터를 제공한다. 프로젝터(1)는, 스크린(피투사면)(S) 상에서 투영화상이 점유하는 범위인 투영범위를 설정하며, 투영화상의 이동지시를 받아들인 경우에는, 스크린좌표계(피투사면좌표계)에서 투영범위를 이동시킨다. 또한, 프로젝터(1)는, 이동 후의 투영범위의 스크린좌표에서의 좌표를 패널좌표계에서의 좌표로 변환하여, 스크린(S) 상에서의 투영범위에 대응하는 화상형성패널(21) 상에서의 범위의 위치를 구한다. 프로젝터(1)는, 투영범위에 대응하는 범위에 투영기초로 되는 화상이 들어가도록 화상을 변형하며, 변형한 화상을 포함하는 패널화상을 화상형성패널(21)에서 형성하여 투영화상을 투영한다.
Figure P1020087022073
투사 렌즈, 스크린, 스케링 처리부, 키스톤 처리부, 리모콘 수신부

Description

화상 투영 방법 및 프로젝터{IMAGE PROJECTING METHOD AND PROJECTOR}
본 발명은, 스크린 등의 외부의 피투사면에 대해서 장방형의 화상을 투영하는 프로젝터에 관하며, 보다 자세하게는, 피투사면에 투영된 화상의 형상을 보정하면서 화상을 투영하는 화상투영방법 및 프로젝터에 관한다.
프레젠테이션 또는 영상의 영사의 분야에서는, 화상데이터를 외부로부터 받아들여, 화상데이터에 근거한 화상을 외부의 스크린 또는 벽 등의 피투사면에 대해서 확대 투영하는 프로젝터가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프로젝터는, 액정패널 또는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등으로 이루어진 평면상의 화상형성패널로 화상을 형성하고, 화상을 형성한 화상형성패널에서 반사한 빛 또는 화상형성패널을 투과한 빛을 외부의 피투사면에 대해서 투사함으로써, 빛의 상으로 이루어진 화상을 투영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하, 피투사면에 투영된 화상을 투영화상、화상형성패널에 형성하는 화상을 패널화상이라고 한다.
프로젝터가 투영하려하는 투영화상의 형상은 통상은 장방형이며, 피투사면에 대해서 수직으로 빛을 투사할 수 있도록 프로젝터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는, 프로젝터는, 패널화상을 장방형으로 형성해서 빛을 투사함으로써, 장방형의 투영화상을 피투사면에 투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피투사면에 대해서 수직으로 빛을 투 사할 수 있도록 프로젝터를 배치할 수 없는 경우도 많으며, 이런 경우는, 프로젝터는 피투사면의 상하 또는 좌우의 비스듬한 방향으로부터 빛을 투사하게 된다. 패널화상을 장방형으로 형성한 뒤에 프로젝터가 피투사면의 비스듬한 방향으로부터 빛을 투사한 경우는, 화상의 양단에서 빛이 피투사면에 도달하기 까지의 거리가 달라 화상의 배율이 다르므로, 투영화상의 형상은 장방형으로부터 일그러지게 된다. 이러한 투영화상의 일그러짐을 키스톤(keystone)일그러짐이라고 한다. 그래서, 프로젝터에는, 패널화상 중의 투영화상에 대응하는 부분의 형상을 미리 장방형에서 변형한 뒤에 빛을 투사함으로써, 투영화상의 형상이 장방형으로 되도록 키스톤일그러짐을 보정하는 키스톤보정의 기능이 필요로 된다.
프로젝터가 키스톤보정을 행하는 방법으로서는 종래 여러가지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프로젝터가, 투영화상의 형상 또는 프로젝터와 피투사면의 사이의 거리 등을 검출하며, 검출결과에 근거하여 패널화상을 조정함으로써, 투영화상의 형상을 자동으로 보정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있다. 이러한 기술의 예는 특허 문헌1~3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자동으로 키스톤보정을 행하는 기술을 이용한 경우는, 키스톤보정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검출하는 센서가 프로젝터에 필요로 되어지나, 사용자가 시간과 수고를 들이지않고 용이하게 키스톤보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프로젝터가 일그러진 투영화상을 일단 투영하던가, 또는 투영화상의 범위를 나타내는 바깥 테두리 또는 네 귀퉁이의 점을 투영한 뒤에, 투영화상의 형상이 소정의 애스펙트 비를 가지는 장방형으로 되도록 투영화상에 포함되는 각 점의 위치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지정하여, 투영화상의 투영기초가 되는 화상이 패널화상 중에 차지하는 부분의 형상을 조정함으로써, 투영화상의 형상을 보정하는 기술도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키스톤보정을 행하는 기술을 이용한 경우는, 사용자가 프로젝터를 조작하는 수고가 필요하지만, 투영화상의 형상, 크기 및 위치 등을 어느 정도 자유롭게 사용자가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8은, 키스톤보정을 행하기 위해서 투영화상의 투영기초로 되는 화상을 변형하는 처리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8(a)는, 프로젝터로 투영하도록 프로젝터에 입력된 입력화상을 나타낸다. 프로젝터는, 입력화상의 데이터를 기억하고, 입력화상의 애스펙트 비 및 해상도에 따라서, 화상형성패널에서 투영화상의 투영기초로 되는 화상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 표시가능영역을 설정한다. 도8(b)는, 화상형성패널에서 설정한 표시가능영역을 나타낸다. 프로젝터는, 입력화상과 동일의 애스펙트 비로 표시가능영역의 형상을 설정하며, 입력화상의 해상도에 따라서 표시가능영역의 크기를 설정한다. 화상형성패널 상의 표시가능영역 이외의 부분은 화상이 형성되지않는 오프셋영역이 된다. 프로젝터는, 키스톤보정에 의해 데이터를 변환하여 입력화상을 변형하며, 변형한 입력화상을 포함시킨 패널화상을 화상형성패널에서 형성한다. 도8(c)은 변형한 입력화상을 포함하는 패널화상을 나타낸다. 도중에 나타내는 화상영역은, 키스톤보정에 의해 변형한 입력화상의 영역이며, 표시가능영역에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화상영역의 부분이 피투사면에 투영되어, 투영화상으로 된다. 패널화상 중의 화상영역 이외의 부분은, 예를 들면, 백색으로 투영된다.
특허문헌1: 일본국 특허공개 2004-187052호 공보
특허문헌2: 일본국 특허공개 2005-12561호 공보
특허문헌3: 일본국 특허공개 2005-136699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고자하는 과제>
그런데, 프로젝터로 투영화상을 투영하고 있는 도중에, 피투사면 상에서 투영화상의 위치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가 있다. 투영화상의 위치를 변경하는 방법에는, 프로젝터 자체의 위치를 변경하는 방법, 및 빛을 투사하기 위한 광학계를 제어해서 프로젝터 자체는 움직이지않고 빛이 피투사면에 닫는 위치를 변경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으로는, 투영화상의 각 부분에 대응하는 빛이 피투사면에 도달하기까지의 거리, 및 각 빛과 피투사면의 각도가 키스톤보정의 설정을 행했을 때의 상태로부터 변화하므로, 키스톤보정으로 키스톤일그러짐을 완전히 보정하지못하여 다시 투영화상의 형상이 일그러지게 된다. 또한, 투영화상의 위치를 변경하는 그 외의 방법으로서는, 프로젝터 자체의 위치 및 광학계의 상태를 변경하지않고, 화상형성패널 상에서 표시가능영역이 차지하는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투영화상의 피투사면 상에서의 위치를 변경하는 디지털 쉬프트(digital shift)를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투영화상에 대응하는 화상영역의 형상은, 일단 설정한 표시가능영역의 위치에 따라서 정해지고 있기 때문에, 표시가능영역의 위치를 변경한 경우는, 투영화상의 투영기초의 화상을 정해진 화상영역의 형상으로 변형하는 것으로는 키스톤일그러짐을 보정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다시 투영화상의 형상이 일그러지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프로젝터에서는, 피투사면 상에서 투영화상의 위치를 변경 할 때마다, 키스톤보정을 행하기 위한 조건이 변화하기 때문에, 투영화상의 키스톤일그러짐을 충분히 보정 할 수 있도록 키스톤보정의 설정을 반복할 필요가 있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키스톤보정의 설정을 행하는 프로젝터의 경우는, 사용자의 수고가 번잡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키스톤보정의 조건을 조정하면서 투영범위의 디지털쉬프트를 행함으로써, 키스톤보정의 설정을 다시 실행하는 일 없이 투영화상을 피투사면 상에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화상투영방법, 및 프로젝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하는 것은, 디지털쉬프트가 가능한 범위내에서 투영범위의 이동량을 정함으로써, 피투사면 상에서 이동한 뒤에 투영화상이 확실하게 투영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젝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위한 수단>
본 발명에 관련하는 화상투영방법은, 평면상의 화상형성패널에서 화상을 형성하며, 화상을 형성한 화상형성패널로부터의 빛을 외부의 피투사면으로 투사함으로써, 상기 피투사면에 투영화상을 투영하는 프로젝터에서의 화상투영방법에 있어서, 상기 피투사면 상에서 투영화상이 점유하는 투영범위를 설정하는 스텝과, 상기 피투사면 상에서의 위치를 규정하는 피투사면 좌표계에서 상기 투영범위의 좌표를 정하는 스텝과, 상기 피투사면 상에서 상기 투영범위를 이동시키는 것을 지시하는 이동지시를 받아들인 경우에, 받아들인 상기 이동지시에 따라서, 상기 피투사면 좌표계에서, 상기 투영범위의 좌표를 이동시키는 스텝과, 상기 피투사면 좌표계에서 이동시킨 후의 상기 투영범위의 좌표를, 상기 화상형성패널상에서의 위치를 규정하는 패널좌표계에서의 이동 후의 상기 투영범위에 대응하는 범위의 좌표로 변환하는 스텝과, 변환한 좌표가 나타내는 이동 후의 상기 투영범위에 대응하는 상기 화상형성패널 상의 범위에 화상을 형성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하는 프로젝터는, 평면상의 화상형성패널과, 화상을 형성한 화상형성패널로부터의 빛을 외부의 피투사면으로 투사함으로써, 상기 피투사면에 투영화상을 투영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프로젝터에 있어서, 상기 피투사면 상에서 투영화상이 점유하는 투영범위를 설정하는 수단과, 상기 화상형성패널 상에서의 위치를 규정하는 패널좌표계에서, 투영에 의해 상기 피투사면 상의 상기 투영범위에 대응하는 상기 화상형성패널 상의 범위의 좌표를 구하는 수단과, 상기 피투사면 상에서의 위치를 규정하는 피투사면좌표계에서 상기 투영범위의 좌표를 정하는 수단과, 투영에 의해 대응하는 상기 패널좌표계 상의 위치 및 상기 피투사면좌표계 상의 위치를 서로 변환하는 소정의 변환식에 필요한 변환파라미터를, 상기 패널좌표계에서의 상기 투영범위에 대응하는 범위의 좌표 및 상기 피투사면좌표계에서의 상기 투영범위의 좌표에 근거하여 계산하는 수단과, 상기 피투사면 상에서 상기 투영범위를 이동시키는 것을 지시하는 이동지시를 받아들이는 수단과, 이 수단이 받아들인 상기 이동지시에 따라서, 상기 피투사면좌표계에서, 상기 투영범위를 이동시키는 수단과, 이 수단이 이동시킨 후의 상기 피투사면좌표계에서의 상기 투영범위의 좌표를, 상기 변환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이동 후의 상기 투영범위에 대응하는 상기 패널좌표계에서의 범위의 좌표로 변환하는 수단과, 이 수단이 변환한 좌표가 나타내는 이동후의 상기 투영범위에 대응하는 상기 화상형성패널 상의 범위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하는 프로젝터는, 상기 이동지시는, 상기 피투사면좌표계에서 상기 투영범위를 이동시키는 이동방향에 관련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투영하려하는 투영화상의 애스펙트 비에 따라서, 상기 화상형성패널의 일부에, 화상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 표시가능영역을 설정하는 수단과, 상기 이동방향에 따른 방향으로 상기 화상형성패널 사에서 상기 표시가능영역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여지의 양에 따라서, 상기 이동지시에 따라서, 상기 피투사면좌표계에서 상기 투영범위를 이동시키는 이동량을 정하는 수단을 또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하는 프로젝터는, 상기 화상형성수단은, 이동 후의 상기 투영범위에 대응하는 상기 패널좌표계에서의 범위의 좌표에 근거하여, 상기 화상형성패널에서 형성하는 화상이 상기 범위에 들어가서 투영화상의 키스톤보정이 행해지도록 상기 화상을 변형하는 소정의 변형식에 필요한 파라미터를 구하는 수단과, 이 수단이 구한 상기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화상을 변형하는 수단과, 이 수단이 변형한 화상을 상기 화상형성패널 상의 상기 범위에 형성하는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프로젝터는, 화상을 형성한 화상형성패널로부터의 빛을 외부로 투사함으로써 스크린 등의 외부의 피투사면에 투영화상을 투영한다. 프로젝터는, 피투사면 상에서 투영화상이 점유하는 범위인 투영범위를 설정하며, 투영화상의 이동지시를 받아들인 경우에, 피투사면좌표계에서 투영범위를 이동시킨다. 프로젝터는, 이동 후의 투영범위의 피투사면좌표계에서의 좌표를 패널좌표계에서의 투영범위에 대응하는 범위의 좌표로 변환하며, 화상형성패널 상에서 투영범위에 대응하는 범위로 화상을 형성한다. 화상형성패널 상에서 이동 후의 투영범위에 대응하는 범위에 형성된 화상이 투영되며, 피투사면 상에서 이동 후의 투영범위로 투영화상이 투영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프로젝터는、화상형성패널 상에서 화상을 형성할 수 있는 표시가능영역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투영범위의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프로젝터는, 투영범위가 피투사면 상에서 이동하려하는 이동방향에 대응하는 화상형성패널 상에서의 방향으로 표시가능영역이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여지의 양에 따라서, 투영범위가 피투사면 상에서 이동하는 이동량을 결정한다. 이에 의해, 프로젝터는, 투영범위에 대응하는 화상형성패널 상에서의 범위가 화상형성패널 밖으로 비어져 나와 투영범위에 투영화상을 투영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어지는 사태를 방지한다.
더욱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프로젝터는, 투영화상의 투영기초로 되는 화상이 투영범위에 대응하는 화상형성패널 상의 범위에 들어가도록 화상을 변형하며, 변형한 화상을 포함하는 패널화상을 화상형성패널에 형성하여 투영화상을 투영함으로써, 투영화상의 키스톤보정을 행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있어서는, 프로젝터는, 피투사면좌표계에서 투영범위를 이동시켜, 이동 후의 투영범위의 피투사면좌표계에서의 좌표를 패널좌표계로 변환하여, 이동한 투영범위에 투영화상을 투영하기 위해서 화상형성패널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범위의 위치 및 형상을 정한다. 이에 의해, 프로젝터는, 이동 후이더라도 투영화상이 키스톤보정되도록 키스톤보정의 조건을 조정하면서 투영화상을 피투사면 상에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프로젝터는, 키스톤보정의 설정을 다시 실행하는 일 없이, 투영화상을 피투사면 상에서 용이하게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투영화상을 피투사면 상에서 이동시킬 때마다 사용자가 프로젝터를 조작하여 키스톤보정의 설정을 행하는 수고가 불필요하게 되어지므로, 사용자는, 손쉽게 투영화상을 피투사면 상에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프로젝터의 사용상의 편리함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프로젝터는, 피투사면 상의 투영범위에 대응하는 화상형성패널 상에서의 범위가 화상형성패널 밖으로 비어져 나와 투영범위에 투영화상을 투영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어지는 사태를 방지 가능하도록, 투영범위가 피투사면 상에서 이동하는 이동량을 제한한다. 따라서, 프로젝터는, 키스톤보정된 투영화상을 확실하게 투영 할 수 있는 피투사면 상의 범위내에서 투영화상을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프로젝터는, 투영화상의 투영기초로 되는 화상이 투영범위에 대응하는 화상형성패널 상의 범위에 들어가도록 화상을 변형하며, 변형한 화상을 포함하는 패널화상을 화상형성패널에 형성하여 투영화상을 투영한다. 이에 의해, 프로젝터는, 키스톤보정에 의해 형상이 정리된 투영화상을 피투사면 상에서 소망의 위치로 용이하게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등, 본 발명은 우수한 효과를 가져온다.
도 1은 본 발명의 프로젝터의 내부의 기능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프로젝터가 행한 키스톤보정의 설정의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챠트이다.
도 3은 스크린 상의 투영범위와 화상형성패널이 형성한 패턴화상의 대응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프로젝터가 실행하는 디지털쉬프트의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프로챠트이다.
도 5는 스크린 상에서의 투영범위와 화상형성패널에서 형성되는 패널화상의 대응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프로젝터가 키스톤보정을 행하여 화상을 투영하는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챠트이다.
도 7은 프로젝터가 키스톤보정을 행하여 화상을 투영하는 처리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8은 키스톤보정을 행하기 위해서 투영화상의 투영기초로 되는 화상을 변형하는 처리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부호의 설명>
 1 프로젝터
 10 리모콘
 11 제어처리부
 13 패턴화상생성부
 14 리모콘수신부
 15 조작부
 16 입력부
 21 화상형성패널
 22 패널화상생성부
 23 키스톤처리부
 24 스케링처리부
 S 스크린(피투사면)
이하 본 발명을 그 실시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에 근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프로젝터의 내부의 기능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프로젝터(1)는, 연산을 행하는 프로세서, 및 연산에 동반하는 정보를 기억하는 RAM 등으로 이루어진 제어처리부(11)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처리부(11)에는, 제어프로그램을 기억하는 ROM(12)이 접속되어 있으며, 제어처리부(11)는, ROM(12)이 기억하는 제어프로그램에 따라서, 프로젝터(1)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처리를 행한다. 제어처리부(11)에는, 사용자가 조작하는 리모트콘트롤러 (리모콘)(10)으로부터 적외선 또는 전파를 이용하여, 발신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콘수신부(14) 및 각 종의 스위치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각 종 의 처리지시를 받아들이는 조작부(15)가 접속되어 있다. 제어처리부(11)는, 리모콘수신부(14) 또는 조작부(15)에서 각 종의 처리지시를 받아들여, 받아들인 처리지시에 따라서 처리를 실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프로젝터(1)는, 액정패널 또는 DMD 등으로 된 평면상의 화상형성패널(21)을 구비하고 있으며, 화상형성패널(21)은, 액정 또는 미소(微小) 미러 등을 이용하여 이루어진 복수의 화소를 가지며, 화소수로 규정되는 소정의 해상도로 패널화상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프로젝터(1)는, 도시하지않는 빛원 및 광학계를 이용하여 화상형성패널(21)에 대해서 빛을 조사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또한, 패널화상을 형성한 화상형성패널(21)에 조사되어 화상형성패널(21)에서 반사된 빛을 외부로 투사하는 투사렌즈(3)를 구비하고 있다. 도1중의 백색 화살표는 빛을 나타낸다. 투사렌즈(3)로부터의 빛은, 프로젝터(1) 밖의 스크린(피투사면)(S)에 대해서 투사되며, 스크린(S) 표면에 투영화상이 투영된다. 또한, 프로젝터(1)는, 패널화상을 형성한 화상형성패널(21)을 투과한 빛을 투사렌즈(3)로 투사함으로써, 투영화상을 투영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프로젝터(1)는, 텔레비젼 튜너 또는 PC 등의 외부의 장치로부터 화상데이터가 입력되는 입력부(16)를 구비하고 있다. 입력부(16)에는, 입력부(16)에 입력된 화상데이터에 근거한 화상을, 투영화상의 애스펙트 비 및 해상도에 맞추어서 스케링하는 스케링처리부(24)가 접속되어 있다. 스케링처리부(24)에는, 스케링처리부(24)가 스케링한 화상에 대한 키스톤보정의 처리를 행하는 키스톤처리부(23)가 접속되어 있다. 키스톤처리부(23)에는, 키스톤처리부(23)에 서 키스톤보정을 행한 화상을 포함하는 패널화상을 생성하는 패널화상생성부(22)가 접속되어 있다. 패널화상생성부(22)는 화상형성패널(21)에 접속되어 있으며, 화상형성패널(21)은 패널화상생성부(22)가 생성한 패널화상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화상형성패널(21)에는, 투영화상의 범위를 나타내는 바깥 테두리 또는 네 귀퉁이의 점으로 이루어진 패턴화상을 생성하는 패턴화상생성부(13)가 접속되어 있다. 프로젝터(1)는, 패턴화상생성부(13)가 생성한 패턴화상을 화상형성패널(21)이 형성함으로써, 투영화상의 범위를 나타내는 화상을 스크린(S)에 투영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입력부(16)는, 제어처리부(11)에 접속되어 있으며, 입력된 화상데이터에 관련하는 정보를 제어처리부(11)로 입력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패턴화상생성부(13), 스케링처리부(24), 키스톤처리부(23), 패널화상생성부(22) 및 화상형성패널(21)는, 제어처리부(11)에 접속되어 있으며, 제어처리부(11)에 의한 제어에 따라서 동작한다.
다음에, 이상의 구성으로 되어진 본 발명의 프로젝터(1)가 실행하는 본 발명의 화상투영방법을 설명한다. 제어처리부(11)는, 입력부(16)에 입력되는 화상데이터에 근거하여 투영하려하는 투영화상의 애스펙트 비 및 해상도에 따라서、화상형성패널(21)에서 화상을 형성하는 영역의 안, 투영화상의 투영기초의 화상을 형성하지않는 오프셋영역과 투영기초의 화상을 형성 할 수 있는 표시가능영역을 설정하고 있다. 투영화상의 애스펙트 비 및 해상도는, 입력된 화상데이터에 근거한 값, 화상형성패널(21)의 구성에 의해 규정되는 값,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설정된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프로젝터(1)가 최초에 투영화상을 투영하는 때에는, 화상형성패널(21)은 표시가능영역 전체에 투영기초의 화상을 펼친 패널화상을 형성한다. 일반적으로는 프로젝터(1)는 스크린(S)의 정면에는 배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표시가능영역 전체에 투영기초의 화상을 펼친 패널화상을 형성하여 프로젝터(1)가 스크린(S)에 투영한 투영화상은, 장방형으로부터 일그러진 형태로 투영된다. 따라서, 우선 키스톤보정에 의해 투영화상의 키스톤일그러짐을 보정하는 것이 필요로 된다.
도2는, 본 발명의 프로젝터(1)가 행하는 키스톤보정의 설정의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챠트이다. 제어처리부(11)는, 사용자가 조작부(15)에 소정의 조작을 행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리모콘(10)에 소정의 조작을 행하여 리모콘(10)이 송신한 소정의 신호를 리모콘수신부(14)가 수신하는 것에 의한, 스크린(S)상에서 투영화상이 점유하는 범위인 투영범위의 설정의 지시의 접수를 기다리고 있다(S11). 투영범위의 설정의 지시의 접수가 없는 경우는(S11:NO), 제어처리부(11)는, 지시의 접수의 대기를 속행한다. 투영범위의 설정의 지시를 받아들인 경우는(S11:YES), 제어처리부(11)는, 투영화상의 애스펙트 비 및 해상도에 따른 표시가능영역 및 오프셋영역을 포함하여, 표시가능영역 전체로 투영범위에 대응하는 화상을 펼친 패턴화상을 패턴화상생성부(13)에 생성시킨다. 제어처리부(11)는, 생성한 패턴화상을 화상형성패널(21)에 형성시켜서, 화상형성패널(21)에서 반사한 빛을 투사렌즈(3)로부터 투사함으로써, 투영범위를 나타내는 화상을 스크린(S)에 투영한다(S12). 이때 프로젝터(1)는, 투영범 위의 네 귀퉁이에 대응하는 4개소의 휘점으로 이루어진 화상을 스크린(S)에 투영한다. 또한, 프로젝터(1)는, 투영범위의 바깥 테두리에 대응하는 휘선으로 이루어진 화상을 투영하는 처리를 행하여도 된다.
도3은, 스크린(S) 상의 투영범위와 화상형성패널(21)이 형성하는 패턴화상의 대응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3(a)는, 화상형성패널(21)의 표시가능영역 전체에 패턴화상을 형성한 경우에 프로젝터(1)가 스크린(S)에 투영하는 화상의 예를 나타낸다. 도3(b)는, 표시가능영역 전체에 패턴화상을 형성한 화상형성패널(21)을 나타낸다. 도중의 백색 동그라미는, 투영범위의 네 귀퉁이에 대응하는 휘점을 나타낸다. 표시가능영역의 전체가 투영범위에 대응하는 경우는, 도3(a)에 나타내는 것처럼, 일반적으로는 투영범위의 형상은 장방형으로부터 일그러지게 된다. 도3(a)에 나타내는 것처럼 화상을 보고 확인한 사용자는, 조작부(15) 또는 리모콘(10)을 조작함으로써, 투영범위의 네 귀퉁이에 대응하는 각 휘점을 이동시켜서 투영범위를 변형하는 지시를 입력한다.
스텝S12가 종료한 후에는, 제어처리부(11)는, 투영범위를 변형하는 지시의 접수를 기다리고 있다(S13). 투영범위를 변형하는 지시를 받아들인 경우는(S13:YES), 제어처리부(11)는, 패턴화상생성부(13)에 생성시키는 패턴화상에 포함되는 각 휘점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스크린(S)에 투영된 휘점의 위치를 이동시켜서 투영범위를 변형시킨다(S14). 스텝S13에서 투영범위를 변형하는 지시의 접수가 없는 경우(S13:NO), 또는 스텝S14가 종료한 후에는, 제어처리부(11)는, 조작부(15) 또는 리모콘(10)을 사용자 가 조작하는 것에 의한、투영범위를 확정하는 지시의 접수를 기다린다(S15). 투영범위를 확정하는 지시의 접수가 없는 경우는(S15:NO), 제어처리부(11)는, 처리를 스텝S13으로 되돌린다. 투영범위를 확정하는 지시를 받아들인 경우는(S15:YES), 제어처리부(11)는, 패턴화상생성부(13)에서 생성한 패턴화상에 대응하는 투영범위를 확정한다(S16).
도3(c)는, 스크린(S) 상에서 확정한 투영범위를 나타낸다. 사용자는, 투영된 화상을 보고 확인하면서, 도에 나타내는 것처럼 투영범위가 장방형으로 되도록 프로젝터(1)를 조작한다. 도중에 나타내는 4개소의 휘점으로 둘러싸인 범위가 투영범위로 되며, 휘점을 네 귀퉁이로 하는 투영범위에 투영화상이 위치하게 된다. 도3(d)는, 스크린(S)상에서 확정한 투영범위에 대응하는 패턴화상을 형성한 화상형성패널(21)을 나타낸다. 투영범위의 네 귀퉁이에 대응하는 각 휘점이 스크린(S) 상에서 이동하여 투영범위가 장방형으로 되어진 것에 수반하여, 투영범위의 네 귀퉁이에 대응하는 화상형성패널(21) 상에서의 각 휘점도 표시가능영역 내에서 이동한다. 표시가능영역 내의 4개소의 휘점으로 둘러싸인 범위는, 투영범위에 대응하는 화상형성패널(21) 상의 범위이며, 이러한 범위에 형성된 화상이 투영화상으로서 투영되게 된다.
제어처리부(11)는, 다음에, 투영범위에 대응하는 화상형성패널(21) 상의 범위의 표시가능영역내에서의 위치를 취득한다(S17). 예를 들면, 제어처리부(11)는, A 및 B를 자연수로하여 표시가능영역이 화상형성패널(21) 상의 A×B의 화소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는, 표시가능영역의 좌상(左上) 귀퉁이의 화소의 좌표를 (0,0)으로써, 0≤x≤A, 0≤y≤B인 (x、y)로 표시가능영역 내의 각 화소의 좌표를 정하며, 투영범위의 네 귀퉁이에 대응하는 화상형성패널(21) 상의 휘점이 위치하는 화소의 좌표을 정함으로써, 투영범위에 대응하는 범위의 표시가능영역 내에서의 위치를 취득한다.
제어처리부(11)는, 다음에, 표시가능영역의 형상을 투영범위에 대응하는 범위의 형상으로 변형하기 위한 소정의 변형식에 필요한 변형 파라미터를 계산한다(S18). 이러한 변형은, 표시가능영역 내의 위치를 규정하는 좌표계에서, 사영(射影)변환에 의해 표시가능영역 내에 포함되어지는 각 점의 위치를 투영범위에 대응하는 범위 내에 포함되어지는 각 점의 위치로 변환하는 좌표변환이며, 사영변환에 의해 서로 위치를 변환하는 좌표변환의 일반적인 변환식이 알려져 있다. ROM(12)이 기억하는 제어프로그램은 이러한 변환식를 포함하고 있으며, 제어처리부(11)는, 이러한 변환식을 변형식으로써 이용하며, 투영범위의 네 귀퉁이에 대응하는 화상형성패널(21) 상의 범위의 표시가능영역 내에서의 위치에 근거하여, 변형식에 포함되어지는 변형파라미터를 계산한다. 제어처리부(11)는, 계산한 변형파라미터를 기억하며, 투영범위를 설정하는 처리를 종료한다.
투영범위를 설정한 후, 프로젝터(1)는, 뒤에서 기술하는 처리에 의해, 설정한 투영범위에 투영화상이 투영되도록 키스톤보정을 실행하면서, 입력부(16)에 입력되는 화상데이터에 근거한 투영화상을 투영한다. 또한, 본 발명의 프로젝터(1)는, 디지털쉬프트에 의해, 일단 설정한 투영범위를 스크린(S) 상에서 이동시켜, 이동시킨 투영범위에 투영화상이 투영되도록 키스톤보정의 설정을 변경하는 처 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4는, 본 발명의 프로젝터(1)가 실행하는 디지털쉬프트의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스크린(S) 상의 설정된 투영범위에 패턴화상 또는 투영화상을 프로젝터(1)가 투영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어처리부(11)는, 패턴화상 또는 투영화상을 보고 확인한 사용자가 조작부(15) 또는 리모콘(10)에 대해서 소정의 조작을 행함으로써, 디지털쉬프트의 지시의 접수를 기다린다(S201). 디지털쉬프트의 지시는, 예를 들면, 조작부(15) 또는 리모콘(10)이 구비하는 커서키를 사용자가 소정시간 누름으로써 입력되어, 투영범위가 스크린(S) 상에서 이동하는 이동방향 및 이동거리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디지털쉬프트의 지시는, 본 발명에 관련하는 이동지시에 상당한다. 디지털쉬프트의 지시의 접수가 없는 경우는(S201:NO), 제어처리부(11)는, 디지털쉬프트의 지시의 접수의 대기를 속행한다. 디지털쉬프트의 지시를 받아들인 경우는(S201:YES), 제어처리부(11)는, 이러한 단계에 있어서의 화상형성패널(21)에서의 표시가능영역 및 오프셋영역의 설정에 근거하여, 디지털쉬프트의 지시에 따라서 이동방향으로 투영범위가 이동하는 것에 대응한 화상형성패널(21) 상에서의 방향으로, 화상형성패널(21) 상에서 표시가능영역이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여지가 있는 지 없는지를 판정한다(S202). 화상형성패널(21) 상에서의 표시가능영역에서 보아, 투영범위의 이동방향에 대응한 방향으로 오프셋영역이 존재하는 경우는, 표시가능영역의 위치를 변경 할 수 있는 여지가 있는 것이 된다. 투영범위의 이동방향에 대응하는 화상형성패널(21) 상에서의 방향으로 표시가능영역의 위치를 변경 할 수 있는 여지가 없는 경우는(S202:NO), 제어처리부(11)는, 처리를 종료한다. 이러한 때에 제어처리부(11)는, 소정의 화상을 화상형성패널(21)에 형성시켜서, 지시된 이동방향으로의 이 이상의 디지털쉬프트가 실행 불가능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투영화상을 투영하는 처리를 행하여도 된다.
스텝S202에서 투영범위의 이동방향에 대응하는 화상형성패널(21) 상에서의 방향으로 표시가능영역의 위치를 변경 할 수 있는 여지가 있는 경우는(S202:YES), 제어처리부(11)는, 스크린(S) 상에서의 위치를 규정하는 스크린좌표계(피투사면좌표계)에서, 이 단계에서의 투영범위의 좌표를 취득한다(S203). 여기서 제어처리부(11)는, 투영범위의 애스펙트 비 및 해상도에 따라서, 투영범위에 포함되는 각 화소의 위치를 정하는 스크린좌표계를 정의한다. 예를 들면, A 및 B를 자연수로 하여 투영범위의 해상도가 A×B인 경우는, 제어처리부(11)는, 스크린(S) 상의 투영범위의 네 귀퉁이의 좌표가 각각(0,0), (0,B), (A,0), (A,B)로 되도록 스크린좌표계를 정의하여 투영범위의 좌표를 취득한다.
제어처리부(11)는, 다음에, 화상형성패널(21) 상의 위치를 규정하는 패널좌표계에서, 스크린(S) 상의 투영범위에 투영에 의해 대응하는 화상형성패널(21) 상의 범위의 좌표를 취득한다(S204). 이 때 제어처리부(11)는, 스텝S17에서 정한(취득한) 투영범위에 대응하는 화상형성패널(21) 상의 범위의 표시가능영역 내에서의 위치에 대해서, 화상형성패널(21) 상에서의 표시가능영역의 위치를 부가함으로써, 패널좌표계에서의 투영범위에 대응하는 범위의 좌표를 구한 다. 예를 들면, 제어처리부(11)는, 화상형성패널(21)이 C×D의 화소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는, 화상형성패널(21)의 좌상(左上) 귀퉁이의 화소의 좌표를 (0,0)로 하여, 0≤x≤C, 0≤y≤D인 (x、y)로 화상형성패널(21)상의 각 화소의 좌표를 정하는 것으로 패널좌표계를 정의해 둔다. 또한, A<C, B<D이며 표시가능영역이 A×B의 화소를 포함하고 있으며, 표시가능영역이 화상형성패널(21)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는, 표시가능영역의 주위에 위치하는 오프셋영역의 폭은 x방향으로 (C-A)/2, y방향으로 (D-B)/2이다. 따라서, 제어처리부(11)는, 스텝S17에서 정한(취득한) 투영범위에 대응하는 범위의 표시가능영역 내에서의 위치(x、y)를, 화상형성패널(21) 상에서의 위치(x+(C-A)/2, y+(D-B)/2)로 변환하는 것에 의해, 패널좌표계에서 투영범위에 대응하는 범위의 좌표를 취득한다.
제어처리부(11)는, 다음에, 패널좌표계 상의 위치와 스크린좌표계 상의 위치를 서로 변환하는 좌표변환을 행하기 위한 소정의 변환식에 포함되는 변환파라미터를 계산한다(S205). 이러한 변환은, 패널좌표계와 스크린좌표계의 사이의 사영변환에 의한 좌표변환이며, 패널좌표계에서의 점의 좌표와 스크린좌표에서의 점의 좌표를 사영변환에 의해 좌표변환하는 일반적인 변환식이 알려져 있다. ROM(12)가 기억하는 제어프로그램은 이러한 변환식을 포함하고 있으며, 제어처리부(11)는, 스텝S203에서 취득한 스크린좌표에서의 투영범위의 좌표와, 스텝S204에서 취득한 패널좌표계에서의 투영범위에 대응하는 범위의 좌표의 대응관계에 근거하여, 변환식에 포함되는 변환파라미터를 계산한다. 제어처리부(11)는, 계산한 변환파라미터를 기억한다.
제어처리부(11)는, 다음에, 받아들인 디지털쉬프트의 지시에 따라서 투영범위의 이동방향에 대응하는 화상형성패널(21) 상에서의 이동방향으로, 디지털쉬프트의 지시에 따라서 투영범위의 이동거리에 대응하는 화상형성패널(21) 상에서의 이동거리만큼 표시가능영역의 화상형성패널(21) 상에서의 위치를 변경하여, 화상형성패널(21)에 포함되는 표시가능영역 및 오프셋영역의 배치를 재설정한다(S206). 이 때 제어처리부(11)는, 표시가능영역의 이동방향에 있는 오프셋영역을 삭감하며, 이동방향과는 반대측의 오프셋영역을 증가시킨다. 또한, 받아들인 디지털쉬프트의 지시가 나타내는 이동거리가, 표시가능영역이 위치를 변경하는 여지인 오프셋영역의 양(量) 이상인 경우는, 제어처리부(11)는, 표시가능영역의 이동방향에 있는 오프셋영역을 삭감하여, 최대한의 이동거리를 확보한다.
제어처리부(11)는, 다음에, 패널좌표계로부터 스크린좌표계로 좌표를 변환하는 변환식 및 변환파라미터를 이용하여, 패널좌표계에서 표시가능영역이 위치를 변경한 방향 및 거리를 좌표변환함으로써, 디지털쉬프트의 지시에 따라서, 스크린좌표계에서 투영범위가 이동하려하는 이동방향 및 이동량을 결정한다(S207). 제어처리부(11)는, 다음에, 스크린좌표계에서 결정한 이동방향으로 결정한 이동량만큼 투영범위의 좌표를 이동시킨다(S208). 제어처리부(11)는, 다음에, 스크린좌표계로부터 패널좌표계로 좌표를 변환하는 변환식 및 변환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스크린좌표계에서 이동한 투영범위의 좌표를 패널좌표계에서의 투영범위에 대응하는 범위의 좌표로 변환한다(S209). 변환한 패널좌표계에서의 투영범위 에 대응하는 범위의 좌표는, 화상형성패널(21) 상에서 표시가능영역에 포함되게 된다.
제어처리부(11)는, 다음에, 투영범위에 대응하는 범위의 표시가능영역 내에서의 위치를 취득한다(S210). 이 때 제어처리부(11)는, 투영범위에 대응하는 범위의 패널좌표계에서의 좌표로부터 오프셋영역에 의한 기여분을 빼는 것에 의해, 투영범위에 대응하는 범위의 표시가능영역 내에서의 위치를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표시가능영역의 좌상 귀퉁이의 화소의 좌표가 (X,Y)인 경우는, 투영범위에 대응하는 범위에 포함되는 화소의 패널좌표계에서의 좌표(x,y)를 좌표(x-X,y-Y)로 변환함으로써 표시가능영역의 좌상 귀퉁이의 화소를 원점(0,0)으로 한 표시가능영역 내에서의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계에서 투영범위에 대응하는 범위의 위치를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어처리부(11)는, 다음에, 표시가능영역의 형상을 투영범위에 대응하는 범위의 형상으로 변형하기 위한 소정의 변형식에 필요한 새로운 변형파라미터를 계산하며(S211), 계산한 변형파라미터를 기억하여 처리를 종료한다.
도5는, 스크린(S) 상에서의 투영범위와 화상형성패널(21)에서 형성되는 패널화상의 대응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5(a)는 디지털쉬프트를 행하지않은 투영범위를 나타낸다. 도5(b)는 디지털쉬프트를 행하지않은 패널화상을 나타낸다. 화상형성패널(21)의 중앙에 표시가능영역이 위치하며, 그 주위에 오프셋영역이 위치하고 있으며, 스크린(S) 상에 투영범위가 설정되는 한편, 투영범위에 대응하는 범위가 표시가능영역에 포함되어 있다. 도5(c)는, 스크린(S) 상에서 윗 방향으로 디지털쉬프트를 행한 투영범위를 나타내며, 파선으로 디지털쉬프트전의 투영범위를 나타내고 있다. 도5(d)는 스크린(S) 상에서 윗 방향으로 디지털쉬프트를 행한 패널화상을 나타낸다. 표시가능영역에서 보아, 스크린(S)의 윗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의 오프셋영역이 삭감되며, 오프셋영역이 삭감된 부분에 표시가능영역의 일부가 위치하도록, 표시가능영역의 위치가 변경되어 있다. 위치의 변경전에 표시가능영역이 차지하고 있던 부분은, 새로운 오프셋영역으로 되어 있다. 이동 후의 투영범위의 형상을 표현가능하도록, 투영범위의 이동 전과는 다른 위치 및 형상으로, 투영범위에 화상형성패널(21) 상에서 대응하는 범위가 표시가능영역에 포함되어 있다.
또한, 도5(e)는 스크린(S) 상에서 횡(橫)방향으로 디지털쉬프트를 행한 패널화상을 나타내며, 파선으로 디지털쉬프트전의 투영범위를 나타내고 있다. 도5(f)는 스크린(S) 상에서 횡방향으로 디지털쉬프트를 행한 패널화상을 나타낸다. 투영범위의 이동방향에 대응한 방향으로 표시가능영역의 위치가 변경되며, 이동 후의 투영범위의 형상을 표현가능한 위치 및 형상으로, 투영범위에 화상형성패널(21) 상에서 대응하는 범위가 표시가능영역에 포함되어 있다. 또한, 도5에는, 스크린(S) 상에서 투영범위를 상하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예를 나타내었으나, 프로젝터(1)는,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동시에 투영범위를 스크린(S) 상에서 이동시키는 처리를 실행하는 것도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프로젝터(1)는, 디지털쉬프트에 의해, 투영화상이 스크린(S) 상에서 점유하는 범위인 투영범위를 가능한 범위에서 이동시켜, 새로운 투영범위를 설정한다. 투영범위를 설정한 후, 프로젝터(1)는, 설정한 투영범위에 투영화상이 투영되도록 키스톤보정을 실행하면서, 입력부(16)에 입력되는 화상데이터에 근거한 투영화상을 투영한다. 도6은, 본 발명의 프로젝터(1)가 키스톤보정을 행하여 화상을 투영하는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챠트이며, 도7은, 프로젝터(1)가 키스톤보정을 행하여 화상을 투영하는 처리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2 또는 도4의 플로챠트에서 나타낸 처리에 의해, 도5(b), (d), (f)에 나타내는 것처럼, 패널화상에 포함되는 표시가능영역 및 오프셋영역이 설정되며, 표시가능영역 내에 투영범위에 대응하는 범위가 설정되어 있다.
외부로부터 화상데이터가 입력부(16)에 입력되어(S31), 스케링처리부(24)는, 입력된 화상데이터에 근거한 화상을 화상형성패널(21)의 표시가능영역의 해상도에 맞추어서 스케링한다(S32). 도7(a)은, 표시가능영역의 해상도에 맞추어서 스케링한 화상을 나타낸다. 제어처리부(11)는, 다음에, 스텝S18 또는 스텝S211에서 계산한 키스톤보정을 위한 변형식 및 변형파라미터를 이용하여, 키스톤처리부(23)에, 스케링한 화상을 변형시켜(S33), 키스톤처리부(23)는, 변형한 화상을 포함하는 서브이미지화상을 생성한다(S34). 도7(b)는, 서브이미지화상의 예를 나타낸다. 도중에 나타낸 화상영역은, 키스톤보정에 의해 변형한 화상에 대응하며, 최종적으로 투영화상에 대응하는 영역이다. 패널화상생성부(22)는, 다음에, 오프셋영역에 대응하는 부분 및 서브이미지화상을 포함하는 패널화상을 생성한다(S35). 도7(c)는, 패널화상의 예를 나타낸다. 패널화상은. 오프셋영역을 포함하며, 표시가능영역의 부분에 서브이미지화상 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투영범위에 대응하는 표시가능영역 내에서의 범위에 화상영역이 위치하고 있다. 제어처리부(11)는, 다음에, 패널화상생성부(22)가 생성한 패널화상을 화상형성패널(21)에 형성시켜(S36), 화상형성패널(21)에서 반사한 빛을 투사렌즈(3)로부터 투사함으로써, 키스톤보정된 투영화상을 스크린(S)에 투영한다 (S37). 도7(d)는, 투영화상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화상영역의 화상형성패널(21) 상에서의 위치 및 형상에 따라서 설정된 스크린(S) 상에서의 위치에 키스톤보정된 장방형의 형상으로 투영화상이 투영된다.
이상 상술한 것처럼, 본 발명에 있어서는, 프로젝터(1)에서 스크린(S)에 투영화상을 투영할 때, 스크린(S) 상에서 투영화상이 점유하는 범위인 투영범위를 장방형으로 설정하며, 투영에 의해 투영범위에 대응하는 화상형성패널(21) 상의 범위를 취득한다. 프로젝터(1)는, 취득한 범위에 투영기초로 되는 화상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키스톤보정을 행하며, 장방형의 투영화상을 스크린(S)에 투영한다. 또한, 본 발명의 프로젝터(1)는, 디지털쉬프트의 지시를 받아들인 경우에는, 받아들인 지시에 따라서, 스크린좌표계에서 투영범위를 이동시켜, 이동 후의 투영범위의 스크린좌표에서의 좌표를 패널좌표계에서의 좌표로 변환함으로써, 스크린(S) 상에서의 투영범위에 대응하는 화상형성패널(21) 상에서의 범위의 위치를 구한다. 이 때, 프로젝터(1)는, 투영범위에 대응하는 범위가 표시가능영역에 포함되도록, 표시가능영역 및 오프셋영역의 화상형성패널(21) 상에서의 위치를 변경한다. 프로젝터(1)는, 화상형성패널(21) 상에서 투영범위에 대응하는 범위에 투영기초로 되는 화상이 들어가도록 화상을 변형하며, 변형한 화상을 포함하는 패널화상을 화상형성패널(21)에서 형성하여 투영화상을 투영함으로써, 투영화상의 키스톤보정을 행한다. 이에 의해, 스크린(S) 상의 투영범위에 투영화상이 투영되며, 디지털쉬프트에 의해 스크린(S) 상에서 이동한 뒤에 키스톤보정에 의해 형상이 장방형으로 정리된 투영화상이 스크린(S)에 투영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프로젝터(1)는, 스크린좌표계에서 투영범위를 이동시켜, 이동 후의 투영범위의 스크린좌표에서의 좌표를 패널좌표계로 변환함으로써, 이동한 장방형의 투영범위에 투영화상을 투영하기 위해서 화상형성패널(21)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범위의 위치 및 형상을 정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프로젝터(1)는, 스크린(S) 상에서 이동한 후이더라도 키스톤보정된 투영화상이 투영되도록 키스톤보정의 조건을 조정하면서 투영화상의 디지털쉬프트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프로젝터(1)는, 키스톤보정의 설정을 다시 실행하는 일 없이, 투영화상을 스크린(S) 상에서 용이하게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투영화상을 스크린(S) 상에서 이동시킬 때마다 사용자가 프로젝터(1)를 조작하여 키스톤보정의 설정을 행하는 수고가 불필요하게 되어지므로, 사용자는 손쉽게 투영화상을 스크린(S) 상에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프로젝터(1)의 사용상의 편리함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프로젝터(1)는, 화상을 형성 할 수 있는 표시가능영역의 화상형성패널(21) 상에서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디지털쉬프트를 가능하게 하여, 투영범위가 이동하려하는 이동방향에 대응하는 화상형성패널(21) 상에서의 방향으로 표시가능영역이 위치를 변경 할 수 있는 여지의 양에 따라서, 투영범위가 스 크린(S) 상에서 이동하는 이동량을 결정한다. 이에 의해, 프로젝터(1)는, 투영범위에 대응하는 화상형성패널(21) 상에서의 범위가 화상형성패널(21) 밖으로 비어져 나와 투영범위에 투영화상을 투영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어지는 사태를 방지가능하도록, 투영범위가 스크린(S) 상에서 이동하는 이동량을 제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프로젝터(1)는, 키스톤보정된 투영화상을 확실하게 투영할 수 있는 스크린(S) 상의 범위내에서 투영화상을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프로젝터(1)는, 키스톤보정의 설정을 행하기 위해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스크린(S) 상에서의 투영범위를 설정하는 형태를 나타내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스크린(S)에 투영된 패턴화상을 촬영하며, 촬영된 패턴화상이 장방형으로 되도록 자동으로 투영범위를 설정하는 형태이어도 된다. 이러한 형태에 있어서도, 본 발명의 프로젝터(1)는, 키스톤보정의 설정을 다시 실행하는 일 없이, 투영화상을 스크린(S) 상에서 용이하게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프로젝터(1)가 스크린(S)에 대하여 투영화상을 투영하는 예를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의 프로젝터(1)는, 본 발명에 관련하는 피투사면이 벽 등의 그 외의 형태인 경우라도, 앞서 기술한 것과 같은 처리를 행하여 키스톤보정된 투영화상을 투영하는 것이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Claims (4)

  1. 평면상의 화상형성패널에서 화상을 형성하며, 화상을 형성한 화상형성패널로부터의 빛을 외부의 피투사면으로 투사함으로써, 상기 피투사면에 투영화상을 투영하는 프로젝터에서의 화상투영방법에 있어서,
    상기 피투사면 상에서 투영화상이 점유하는 투영범위를 설정하는 스텝과,
    상기 피투사면 상에서의 위치를 규정하는 피투사면 좌표계에서 상기 투영범위의 좌표를 정하는 스텝과,
    상기 피투사면 상에서 상기 투영범위를 이동시키는 것을 지시하는 이동지시를 받아들인 경우에, 받아들인 상기 이동지시에 따라서, 상기 피투사면 좌표계에서, 상기 투영범위의 좌표를 이동시키는 스텝과,
    상기 피투사면 좌표계에서 이동시킨 후의 상기 투영범위의 좌표를, 상기 화상형성패널상에서의 위치를 규정하는 패널좌표계에서의 이동 후의 상기 투영범위에 대응하는 범위의 좌표로 변환하는 스텝과,
    변환한 좌표가 나타내는 이동 후의 상기 투영범위에 대응하는 상기 화상형성패널 상의 범위에 화상을 형성하는 스텝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투영방법.
  2. 평면상의 화상형성패널과, 화상을 형성한 화상형성패널로부터의 빛을 외부의 피투사면으로 투사함으로써, 상기 피투사면에 투영화상을 투영하는 수단을 구비하 는 프로젝터에 있어서,
    상기 피투사면 상에서 투영화상이 점유하는 투영범위를 설정하는 수단과,
    상기 화상형성패널 상에서의 위치를 규정하는 패널좌표계에서, 투영에 의해 상기 피투사면 상의 상기 투영범위에 대응하는 상기 화상형성패널 상의 범위의 좌표를 구하는 수단과,
    상기 피투사면 상에서의 위치를 규정하는 피투사면좌표계에서 상기 투영범위의 좌표를 정하는 수단과,
    투영에 의해 대응하는 상기 패널좌표계 상의 위치 및 상기 피투사면좌표계 상의 위치를 서로 변환하는 소정의 변환식에 필요한 변환파라미터를, 상기 패널좌표계에서의 상기 투영범위에 대응하는 범위의 좌표 및 상기 피투사면좌표계에서의 상기 투영범위의 좌표에 근거하여 계산하는 수단과,
    상기 피투사면 상에서 상기 투영범위를 이동시키는 것을 지시하는 이동지시를 받아들이는 수단과,
    이 수단이 받아들인 상기 이동지시에 따라서, 상기 피투사면좌표계에서, 상기 투영범위를 이동시키는 수단과,
    이 수단이 이동시킨 후의 상기 피투사면좌표계에서의 상기 투영범위의 좌표를, 상기 변환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이동 후의 상기 투영범위에 대응하는 상기 패널좌표계에서의 범위의 좌표로 변환하는 수단과,
    이 수단이 변환한 좌표가 나타내는 이동 후의 상기 투영범위에 대응하는 상기 화상형성패널 상의 범위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지시는, 상기 피투사면좌표계에서 상기 투영범위를 이동시키는 이동방향에 관련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투영하려하는 투영화상의 애스펙트 비에 따라서, 상기 화상형성패널의 일부에, 화상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 표시가능영역을 설정하는 수단과,
    상기 이동방향에 따른 방향으로 상기 화상형성패널 상에서 상기 표시가능영역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여지의 양에 따라서, 상기 이동지시에 따라서, 상기 피투사면좌표계에서 상기 투영범위를 이동시키는 이동량을 정하는 수단
    을 또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수단은,
    이동 후의 상기 투영범위에 대응하는 상기 패널좌표계에서의 범위의 좌표에 근거하여, 상기 화상형성패널에서 형성하는 화상이 상기 범위에 들어가서 투영화상의 키스톤보정이 행해지도록 상기 화상을 변형하는 소정의 변형식에 필요한 파라미터를 구하는 수단과,
    이 수단이 구한 상기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화상을 변형하는 수단과,
    이 수단이 변형한 화상을 상기 화상형성패널 상의 상기 범위에 형성하는 수 단
    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KR1020087022073A 2006-02-10 2006-08-10 화상 투영 방법 및 프로젝터 KR2008009410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34271A JP3880609B1 (ja) 2006-02-10 2006-02-10 画像投影方法及びプロジェクタ
JPJP-P-2006-00034271 2006-02-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4102A true KR20080094102A (ko) 2008-10-22

Family

ID=37801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2073A KR20080094102A (ko) 2006-02-10 2006-08-10 화상 투영 방법 및 프로젝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90015730A1 (ko)
JP (1) JP3880609B1 (ko)
KR (1) KR20080094102A (ko)
CN (1) CN101371572B (ko)
DE (1) DE112006003735B4 (ko)
WO (1) WO20070913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51010B2 (ja) * 2007-06-19 2013-07-3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プロジェクタ
JP2009200557A (ja) 2008-02-19 2009-09-03 Seiko Epson Corp プロジェクタ、電子機器、および、プロジェクタの制御方法
JP5210702B2 (ja) * 2008-04-23 2013-06-1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映像補正方法、プログラム及び立体視映像生成システム
JP5405047B2 (ja) * 2008-05-09 2014-02-05 三洋電機株式会社 投写型映像表示装置
JP2010130385A (ja) * 2008-11-28 2010-06-10 Sharp Corp 画像表示方法及び画像表示装置
JP5436080B2 (ja) * 2009-07-21 2014-03-0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投射装置
JP5440250B2 (ja) * 2010-02-26 2014-03-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補正情報算出装置、画像処理装置、画像表示システム、および画像補正方法
JP2011205524A (ja) * 2010-03-26 2011-10-13 Seiko Epson Corp プロジェクター装置およびプロジェクター装置の投写方法
WO2012120586A1 (ja) * 2011-03-04 2012-09-13 Necディスプレイ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投写型画像表示装置及び光量調整方法
CN103092432B (zh) * 2011-11-08 2016-08-03 深圳市中科睿成智能科技有限公司 人机交互操作指令的触发控制方法和系统及激光发射装置
JP2012234203A (ja) * 2012-08-06 2012-11-29 Hitachi Ltd 投射型映像表示システム
WO2014115884A1 (ja) * 2013-01-28 2014-07-31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投射装置、画像補正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306834B2 (ja) 2013-07-24 2018-04-0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KR102170182B1 (ko) * 2014-04-17 2020-10-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패턴 프로젝션을 이용한 왜곡 보정 및 정렬 시스템, 이를 이용한 방법
JP6525612B2 (ja) * 2015-01-30 2019-06-0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投射装置
CN106603950A (zh) * 2015-10-19 2017-04-26 无锡视美乐激光显示科技有限公司 投影图像移动控制方法、系统及dlp投影仪
US10609350B1 (en) * 2017-01-09 2020-03-31 Amazon Technologies, Inc. Multiple frequency band image display system
JP6822209B2 (ja) 2017-02-24 2021-01-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ーおよびプロジェクターの制御方法
CN107422590B (zh) * 2017-09-12 2020-09-08 中广热点云科技有限公司 自动调节投影面大小的家用投影系统
JP2020136909A (ja) * 2019-02-20 2020-08-3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投写画像の調整方法、及び投写装置
JP7336027B2 (ja) 2020-04-24 2023-08-3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制御方法、投影装置、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7439682B2 (ja) 2020-07-29 2024-02-2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補正方法、及び、プロジェクター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08239B2 (ja) * 1994-10-03 2004-03-22 ソニー株式会社 液晶プロジェクタ装置
DE69635101T2 (de) * 1995-11-01 2006-06-01 Canon K.K. Verfahren zur Extraktion von Gegenständen und dieses Verfahren verwendendes Bildaufnahmegerät
JP3735158B2 (ja) * 1996-06-06 2006-01-18 オリンパス株式会社 画像投影システム、画像処理装置
US6870246B1 (en) * 2001-08-31 2005-03-22 Rambu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integrated circuit cover
JP3731663B2 (ja) * 2002-12-04 2006-01-0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処理システム、プロジェクタ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2004361771A (ja) * 2003-06-06 2004-12-24 Seiko Epson Corp 背面投写型プロジェクタおよびその使用方法
JP2005012561A (ja) * 2003-06-19 2005-01-13 Sony Corp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投射装置
JP2005136699A (ja) * 2003-10-30 2005-05-26 Sharp Corp 投射型表示装置の台形歪み自動補正方法
JP2005192188A (ja) * 2003-12-03 2005-07-14 Seiko Epson Corp プロジェクタ
JP3996571B2 (ja) * 2003-12-05 2007-10-24 Necディスプレイ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
JP2005215542A (ja) * 2004-01-30 2005-08-11 Toshiba Corp ビデオプロジェクタ装置及びその投射映像の位置調整方法
JP3960390B2 (ja) * 2004-05-31 2007-08-15 Necディスプレイ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台形歪み補正装置を備えたプロジェクタ
JP3722146B1 (ja) * 2004-06-16 2005-11-3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および画像補正方法
JP4016972B2 (ja) * 2004-07-30 2007-12-0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および、プロジェクタの制御方法
JP2006121240A (ja) * 2004-10-20 2006-05-11 Sharp Corp 画像投射方法、プロジェクタ、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8089567B2 (en) * 2005-07-29 2012-01-03 Optoma Technology, Inc. Methods and systems for displaying video on an adjustable screen
JP3953500B1 (ja) * 2006-02-07 2007-08-08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投影方法及びプロジェ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880609B1 (ja) 2007-02-14
CN101371572B (zh) 2011-09-28
US20090015730A1 (en) 2009-01-15
DE112006003735B4 (de) 2020-03-26
DE112006003735T5 (de) 2009-04-09
WO2007091341A1 (ja) 2007-08-16
CN101371572A (zh) 2009-02-18
JP2007215029A (ja) 2007-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94102A (ko) 화상 투영 방법 및 프로젝터
JP3953500B1 (ja) 画像投影方法及びプロジェクタ
JP2006121240A (ja) 画像投射方法、プロジェクタ、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3844076B2 (ja) 画像処理システム、プロジェクタ、プログラム、情報記憶媒体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4232042B2 (ja) 投写制御システム、プロジェクタ、プログラム、情報記憶媒体および投写制御方法
US20130222776A1 (en) Image projector, method of image projection,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for causing computer to execute image projection
JP4688768B2 (ja) 画像調整方法及びプロジェクタ
TWI252366B (en) Adjustment in the amount of projected image distortion correction
JP4578341B2 (ja) 画像投射方法、プロジェクタ、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9207392A (ja) 制御装置、制御方法、投影システム、プログラム、記憶媒体
JP2010130385A (ja) 画像表示方法及び画像表示装置
JP2020178221A (ja) 投影制御装置、投影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245805B2 (ja) プロジェクタ、その制御方法、及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JP2019204034A (ja) 投影制御装置、その制御方法、投影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JP3959740B2 (ja) プロジェクタおよび画像補正方法
JP4508750B2 (ja) プロジェクタ
JP2006140556A (ja) プロジェクタ
JP2020191586A (ja) 投影装置
US20040150617A1 (en) Image projector having a grid display device
JP2015115801A (ja) 画像投射装置および画像投射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WO2006008792A1 (ja) 画像投射方法、プロジェクタ、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TWI244860B (en) Image projection method, projector,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JP2021089313A (ja) 画像投射装置
JP2020202527A (ja) 画像処理装置、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2020154191A (ja) 画像投射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