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2759Y1 - 김밥용 단무지 절단장치 - Google Patents

김밥용 단무지 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2759Y1
KR200472759Y1 KR2020130010265U KR20130010265U KR200472759Y1 KR 200472759 Y1 KR200472759 Y1 KR 200472759Y1 KR 2020130010265 U KR2020130010265 U KR 2020130010265U KR 20130010265 U KR20130010265 U KR 20130010265U KR 200472759 Y1 KR200472759 Y1 KR 2004727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er
cutting
radish
cut
automa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102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춘
Original Assignee
이수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수춘 filed Critical 이수춘
Priority to KR20201300102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27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27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275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18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to obtain cubes or the like
    • B26D3/185Grid like cutt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other treatment of fruits or vegetables for human purposes; Machines or apparatus for topping or skinning flower bul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24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to obtain segments other than slices, e.g. cutting pies
    • B26D3/26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to obtain segments other than slices, e.g. cutting pie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fruit or vegetables, e.g. for on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6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2210/00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 B26D2210/02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for cutting food products, e.g. food slic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단무지를 격자창 형태로 다수의 사각형의 절단날을 구비한 커터측으로 강제적으로 밀어서 한번에 다수의 김밥용 단무지를 가공할 수 있는 장치로서, 커터의 후방측에는 분리판이 장착되어 커터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단무지중, 단무지의 속부분이 절단되어 균일한 사이즈의 사각 단면의 정상 제품은 상기 분리판의 상부측으로, 그리고 단무지의 껍질 부분이 절단되고, 균일하지 못한 사이즈의 불량 제품은 상기 분리판의 하부측으로 분리시켜 각각 별도로 수거하도록 구성된 김밥용 단무지 절단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원기둥형의 단무지로부터 다수의 김밥용 단무지가 길이방향으로 절단되면, 자동으로 단무지 속부분의 정상 제품과, 커터 가장 자리 부분을 통과하는 불량품이 자동 분리됨으로써 작업 자동화 및 효율적인 공정 관리를 통해서 작업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에 의하면, 모터와 공압 실린더와 같은 자동화 장치를 통해서 단무지를 연속으로 하나씩 자동으로 공급하고, 커터측의 압축 절단 위치로 차례로 이동시켜서 차례차례 연속 절단할 수 있음으로써 자동화 공정을 통하여 인력을 크게 줄일 수 있고,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

Description

김밥용 단무지 절단장치{PICKLED RADISH CUTTING DEVICE FOR GIMBAP}
본 고안은 김밥용 단무지를 쉽게 절단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모터에 의해 동작하면서 단무지를 하나씩을 공급하는 자동 상승부와, 그러한 자동 상승부로부터 단무지를 하나씩 공급받아서 압축 절단 위치까지 중간에서 전달해 주는 전달부를 구비하여 쉽게 절단부로 단무지를 커터측으로 공급할 수 있고, 커터 후방에는 분리판을 구비하여 단무지 속부분의 정상 제품과, 커터 가장 자리 부분을 통과하는 불량품을 쉽게 분리시킴으로써 작업 자동화 및 효율적인 공정 관리를 통해서 작업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개선된 김밥용 단무지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무지는 단무지를 소금물에 장기간 절여 적당히 간이 베면 이를 세척한 후, 적당히 설어서 반찬류로 이용되는 식품이다.
이와 같은 단부지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절임류 식품중의 하나이며 대부분이 중국음식점이나 분식점에서 대량 소비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이와 같은 단무지는 원통의 단순한 형상을 가짐에 따라 식용하기 적당하도록 잘게 절단하여 사용하게 된다.
예를 들면, 김밥에 들어가는 단무지는 김밥용으로 사용되기 위해 길이 방향으로 절단할 경우에는 일일 이 수작업에 의존함에 따라 불필요한 시간이 많이 낭비되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8-062703호의 '김밥용 단무지의 길이방향 절단기' 가 제안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김밥용 단무지의 길이방향 절단기에 관한 것으로, 단무지 절단을 위한 공급을 위에서 넣어 안전한 절단을 할 수 있도록 하고, 단무지를 밀어 압송시켜서 커터에서 절단시키는 밀대의 압송작용과 단무지를 잡아주는 협지구의 벌어짐 작용이 1개의 공압실린더에 의하여 작용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하판상부에는 수평으로 대향 설치하여 단무지를 옆에서 잡아주게 함과 동시에, 단무지를 끌어 올려서 중간에서 잡아 줄 수 있게 하고, 밀대는 여러 개의 길고 짧은 날개편으로 형성하여 협지구의 내면에 형성시킨 여러 칸의 안내홈에 각각 삽입 안내되도록 하여 밀대에 의한 단무지의 압송 절단이 원활하고, 절단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도록 고안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작업자가 단무지를 하나씩 넣는 것으로서, 단무지를 하나하나 수동으로 장입시키고, 매번 작동 스위치를 누르는 수동식이어서, 사용하기가 불편하고 작업 생상성이 낮은 것이다.
또한 자동으로 투입하고자 할 경우에는, 그 단무지 투입 시점을 잡기가 쉽지 않고, 작업 피로도가 증가하여 자칫 절단 칼날에 의해 작업자의 손이 부상되는 위험에 노출되기 쉬운 것이었다.
이와 유사한 다른 종래의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80844호의 '단무지 절단장치'가 있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실린더의 전방에 부착된 밀판을 통해 단무지를 격자창 형태로 다수의 사각형의 절단날을 구비한 커터로 강제적으로 밀어 한번에 다수의 김밥용 단무지를 가공할 수 있는 장치로서, 격자형 커터내에 각각의 형상을 가지는 제2, 3절단날이 구비됨으로서, 상기 제 2, 3절단날에 의해 다양한 형상을 가진 단무지를 가공할 수 있는 기술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도 작업자가 단무지를 하나씩 넣는 것으로서, 큰 작업 생상성의 향상을 얻을 수 없는 것이다.
또한, 종래에는 단무지를 다수의 사각형의 절단날을 구비한 커터로 강제적으로 밀어 한번에 다수의 김밥용 단무지를 가공하는 경우, 단무지 속부분의 정상 제품과, 커터 가장 자리 부분을 통과하는 불량품을 쉽게 분리시키기 어려운 것이었다.
따라서, 이와 같이 생산된 김밥용 단무지의 경우, 불량품은 단무지의 껍질 일부분을 포함하고, 사각단면으로 절단되지 못한 것이어서, 식감이 아삭아삭하지 못하고 질겨서 김밥용 재료로 내장되기가 어려운 것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길이방형으로 절단된 김밥용 단무지로부터 정상적으로 사용가능한 정상 제품과, 불량품이 섞여서 배출되기 때문에, 이를 작업자가 일일이 분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서, 더욱 작업 생산성이 저하되고, 인건비가 과다하게 지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원기둥형의 단무지로부터 다수의 김밥용 단무지가 길이방향으로 절단되면, 자동으로 단무지 속부분의 정상 제품과, 커터 가장 자리 부분을 통과하는 불량품이 분리됨으로써 작업 자동화 및 효율적인 공정 관리를 통해서 작업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개선된 김밥용 단무지 절단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모터와 공압 실린더와 같은 자동화 장치를 통해서 단무지를 연속으로 하나씩 자동으로 공급하고, 커터측의 압축 절단 위치로 차례로 이동시켜서 차례차례 연속 절단할 수 있음으로써 자동화 공정을 통하여 적정 인력으로 작업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김밥용 단무지 절단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단무지를 격자창 형태로 다수의 사각형의 절단날을 구비한 커터측으로 강제적으로 밀어서 한번에 다수의 김밥용 단무지를 가공할 수 있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터의 후방측에는 분리판이 장착되어 커터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단무지중, 단무지의 속부분이 절단되어 균일한 사이즈의 사각 단면의 정상 제품은 상기 분리판의 상부측으로, 그리고 단무지의 껍질 부분이 절단되고, 균일하지 못한 사이즈의 불량 제품은 상기 분리판의 하부측으로 분리시켜 각각 별도로 수거하도록 구성된 김밥용 단무지 절단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고안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리판은 커터의 후방측에 탈착식으로 고정되는 "∨"형의 단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분리판은 "◇"형 커터의 테두리 하부 가장자리 칼날들을 따라서 배치되며, 상기 정상 제품은 커터의 중앙부분을 통과하여 분리판의 상부측으로 낙하되고, 상기 불량 제품은 커터의 하부 가장자리 칼날들을 통과하여 분리판의 하부측으로 낙하되어 별도의 컨베이어 밸트를 통해 분리 수거되는 김밥용 단무지 절단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터의 일측에는 모터에 의해 동작하면서 단무지를 하나씩을 공급하는 자동 상승부와, 상기 자동 상승부로부터 단무지를 하나씩 공급받아서 상기 커터 전방의 압축 절단 위치까지 중간에서 전달해 주는 전달부를 추가적으로 구비하여 단무지의 절단을 자동화한 김밥용 단무지 절단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고안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동 상승부는 모터에 의해서 회전 구동되는 상부 구동 스프로켓과, 상기 상부 구동 스프로켓에 체인을 통하여 연결되는 하부 종동 스프로켓 및 상기 체인에 일측 하단이 연결되어 무한 궤도형으로 회전되는 다수의 받침대들을 구비하고, 상기 각각의 받침대에는 단무지가 하나씩 실려서 모터 작동에 따라서 연속적으로 공급되며, 상기 체인에 연결된 받침대가 상기 상부 구동 스프로켓을 통과하면 상기 받침대에 실린 각각의 단무지는 상기 전달부의 회전통으로 낙하되어 차례로 공급되는 김밥용 단무지 절단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달부는 상기 자동 상승부의 측방에서 왕복 구동 실린더의 로드 왕복운동에 의해서 회전운동하는 회전통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통에는 "∨"형의 단무지 안착 홈이 형성되어 상기 자동 상승부의 받침대로부터 단무지를 받고, 상기 공압 실린더의 왕복운동으로 회전하면서 단무지를 커터 전방의 압축 절단 위치로 차례차례 이송시키는 김밥용 단무지 절단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단무지를 격자창 형태로 다수의 사각형의 절단날을 구비한 커터측으로 강제적으로 밀어서 한번에 다수의 김밥용 단무지를 가공하는 과정에서, 상기 커터의 후방측에는 분리판이 장착되어 커터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단무지중, 단무지의 속부분이 절단되어 균일한 사이즈의 사각 단면의 정상 제품은 상기 분리판의 상부측으로, 그리고 단무지의 껍질 부분이 절단되고, 균일하지 못한 사이즈의 불량 제품은 상기 분리판의 하부측으로 분리시켜 각각 별도로 수거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원기둥형의 단무지로부터 다수의 김밥용 단무지가 길이방향으로 절단되면, 자동으로 단무지 속부분의 정상 제품과, 커터 가장 자리 부분을 통과하는 불량품이 자동 분리됨으로써 작업 자동화 및 효율적인 공정 관리를 통해서 작업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에 의하면, 모터와 공압 실린더와 같은 자동화 장치를 통해서 단무지를 연속으로 하나씩 자동으로 공급하고, 커터측의 압축 절단 위치로 차례로 이동시켜서 차례차례 연속 절단할 수 있음으로써 자동화 공정을 통하여 인력을 크게 줄일 수 있고,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김밥용 단무지 절단장치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외관 사시도에서, 분리판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김밥용 단무지 절단장치에 구비된 분리판의 구성을 확대 도시한 외관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김밥용 단무지 절단장치에 구비된 커터와, 단무지 및 누름대의 배치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김밥용 단무지 절단장치에 구비된 커터, 단무지, 누름대 및 분리판의 배치 구조와, 분리판에 의해서 별도로 분리수거되는 정상 제품과 불량 제품을 설명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김밥용 단무지 절단장치에 구비된 자동 상승부 및 전달부를 통하여 단무지를 자동 공급시키는 자동화 공정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5a는 본 고안에 따른 김밥용 단무지 절단장치에 구비된 자동 상승부에서 전달부로 단무지를 자동 공급시키는 동작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김밥용 단무지 절단장치에 구비된 전달부에서 압축 절단 위치로 단무지를 자동 공급시키는 동작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김밥용 단무지 절단장치(100)는, 도 1에 전체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김밥용 단무지 절단장치(100)는, 단무지(102)를 격자창 형태로 다수의 사각형의 절단날을 구비한 커터(110)측으로 강제적으로 밀어서 한번에 다수의 김밥용 단무지(102a)으로 가공할 수 있는 장치이다.
상기 커터(110)는 프레임(112)의 전방측에 위치되고, 프레임(112)의 내측에는 단무지(102)를 커터(110)측으로 강제적으로 밀어주는 밀판(122)이 구비되고, 상기 밀판(122)을 전후진시키는 수평 공압 실린더(12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밀판(122)에 의해서 단무지(102)가 커터(110)측으로 밀려 절단되는 과정에서, 상기 단무지(102)를 안정되게 고정시키지 위한 누름대(132)가 상기 프레임(112)의 상부측에 장착되며, 상기 누름대(132)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직 공압 실린더(130)가 상기 프레임(112)에 상하방향으로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김밥용 단무지 절단장치(100)는, 커터(110) 전방의 압축 절단 위치(P)로 공급된 단무지(102)를 상기 수직 공압 실린더(130)의 작동으로 누름대(132)가 하강하여 안정된 상태로 지지하게 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수평 공압 실린더(120)가 작동하여 밀판(122)이 단무지(102)를 커터(110)측으로 강제적으로 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커터(110)를 통과한 단무지(102)는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가닥으로 잘게 절단되어 깁밥용 단무지(102a)로 절개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본 고안에 따른 김밥용 단무지 절단장치(100)는, 상기 커터(110)의 후방측에는 분리판(140)이 장착되어 있다.
즉, 이와 같은 분리판(140)은 프레임(112)의 외측에서 커터(110)의 후방에 위치된 것으로서, 프레임(112)에 고정된 브라켓(142) 상에 볼트등의 고정 수단(144)을 통하여 탈착식으로 장착된 것이다.
이와 같은 분리판(140)의 장착구조가 도 2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즉, 상기 분리판(140)은 커터(110)의 후방측에 탈착식으로 고정되는 "∨"형의 단면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분리판(140)은 "◇"형 커터(110)의 테두리 하부 가장자리 칼날(110a)들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배치 구조가 도 3a 및 도 3b에서 상세히 비교되어 있다.
즉, 도 3a는 커터(110)의 후방에 분리판(140)이 장착되지 않는 상태이고, 도 3b는 커터(110)의 후방에 "∨"형 단면의 분리판(140)이 "◇"형 커터(110)의 테두리 하부 가장자리 칼날(110a)들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사각 격자형의 커터(110)를 통과하여 단무지(102)가 다수 가닥의 김밥용 단무지(102a)로 절단되면, 상기 단무지(102)의 속부분이 절단되어 균일한 사이즈의 사각 단면의 정상 제품(S1)은 상기 분리판(140)의 상부측으로, 그리고 단무지(102)의 껍질 부분이 절단되고, 균일하지 못한 사이즈의 불량 제품(S2)은 상기 분리판(140)의 하부측으로 분리 이동된다.
이와 같이, 상기 김밥용 단무지(102a)는 정상 제품(S1)과 불량 제품(S2)이 각각 상기 분리판(140)에 의해서 상하로 분리 수거된다.
또한, 상기 분리판(140)의 하부측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컨베이어 밸트(150)가 추가적으로 구비되는데, 결과적으로 불량 제품(S2)은 커터(110)의 하부 가장자리 칼날(110a)들을 통과하여 분리판(140)의 하부측의 별도의 컨베이어 밸트(150) 상에 낙하되고, 정상 제품(S1)과는 완벽하게 분리 수거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김밥용 단무지 절단장치(100)는, 상기 커터(110)의 일측에서 모터(162)에 의해 동작하면서 단무지(102)를 하나씩을 공급하는 자동 상승부(160)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자동 상승부(160)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162)에 의해서 회전 구동되는 상부 구동 스프로켓(164)과, 상기 상부 구동 스프로켓(164)에 체인(168)을 통하여 연결되는 하부 종동 스프로켓(166) 및 상기 체인(168)에 일측 하단이 연결되어 무한 궤도형으로 회전되는 다수의 받침대(170)들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받침대(170)는, 예를 들면 9개가 체인(168)에 일정간격으로 연결된 것으로서, 그 각각에는 단무지(102)가 하나씩 실려서 모터(162)의 작동에 따라서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자동 상승부(160)는, 하부 종동 스프로켓(166)으로부터 상부 구동 스프로켓(164)으로 향하여 체인(168)이 경사진 상태로 연결되어 무한궤도형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상기 체인(168)에 연결된 받침대(170)는 그 상부에 단무지(102)를 하나씩 실은 상태에서, 상부 구동 스프로켓(164)을 통과하면 받침대(170)에 실린 단무지(102)를, 이후에 설명되는 전달부(180)의 회전통(182)으로 낙하시켜서 공급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김밥용 단무지 절단장치(100)는, 상기 자동 상승부(160)의 일측에서, 상기 자동 상승부(160)로부터 단무지(102)를 하나씩 공급받아서 상기 커터(110) 전방의 압축 절단 위치(P)까지 중간에서 차례차례 전달해 주는 전달부(180)를 추가적으로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전달부(180)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동 상승부(160)의 측방에서 왕복 구동 실린더(184)의 로드(186) 왕복운동에 의해서 회전운동하는 회전통(182)을 구비한다.
이러한 상기 전달부(180)의 회전통(182)에는 "∨"형의 단무지 안착 홈(188)이 형성되어 상기 자동 상승부(160)의 받침대(170)로부터 낙하되는 단무지(102)를 받고, 상기 왕복 구동 실린더(184)의 로드(186)의 왕복운동으로 회전하면서 단무지(102)를 커터(110) 전방의 압축 절단 위치(P)로 차례차례 이송시킨다.
상기 왕복 구동 실린더(184)는, 예를 들면 바람직하게는 공압 실린더로 이루어지고, 링크부재(190)를 통하여 상기 회전통(182)에 연결되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왕복 구동 실린더(184)가 로드(186)를 당기면 상기 안착 홈(188)을 세워서 자동 상승부(160)로부터 단무지(102)를 받고, 왕복 구동 실린더(184)가 로드(186)를 밀면 상기 안착 홈(188)을 회동시켜서 커터(110) 전방의 압축 절단 위치(P)로 단무지(102)를 이동시킨다.
이와 같은 전달부(180)의 작동은, 상기 자동 상승부(160)의 모터(162) 회전과 연동되어 차례차례 하나씩 단무지(102)를 커터(110) 전방의 압축 절단 위치(P)로 이동시키고, 설비를 자동화하여 성력화를 유도하며, 작업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킨다.
도 1에서 미 설명 부호는, 모터(162)와 실린더를 순차적으로 자동제어하는 콘트롤러(미 도시)가 내장된 제어반(200)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김밥용 단무지 절단장치(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 상승부(160)의 각각의 받침대(170)상에 단무지(102)를 하나씩 적재시키고, 모터(162)를 구동하면, 체인(168)이 받침대(170)를 무한 궤도식으로 회전시키면서, 단무지(102)를 상향 공급한다.
이와 같은 자동 상승부(160)의 작동으로 받침대(170)가 상부 구동 스프로켓(164)을 통과하면, 받침대(170)에 실린 단무지(102)를 전달부(180)의 회전통(182)으로 낙하시킨다.
이와 같이 전달부(180)의 회전통(182)에 마련된 "∨"형의 단무지 안착 홈(188)에 단무지(102)가 낙하되면, 상기 전달부(180)의 왕복 구동 실린더(184)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186)를 밀어서 상기 회전통(182)을 회동시키고, 커터(110) 전방의 압축 절단 위치(P)로 단무지(102)를 이동시킨다.
그 다음, 압축 절단 위치(P)로 단무지(102)가 이동되면, 수직 공압 실린더(130)의 작동으로 누름대(132)가 하강하여 안정된 상태로 단무지(102)를 지지하게 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수평 공압 실린더(120)가 작동하여 밀판(122)이 단무지(102)를 커터(110) 측으로 강제적으로 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커터(110)를 통과한 단무지(102)는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가닥으로 잘게 절단되어 깁밥용 단무지(102a)로 절개된다.
동시에, 상기 커터(110)를 통과한 김밥용 단무지(102a)는, 정상 제품(S1)은 상기 분리판(140)의 상부측으로, 그리고 불량 제품(S2)은 상기 분리판(140)의 하부측으로 분리 수거되며, 분리판(140) 하부측의 별도의 컨베이어 밸트(150)를 통해서 정상 제품(S1)과는 완벽하게 분리 수거된다.
이와 같이 하나의 단무지(102)가 다수 가닥의 김밥용 단무지(102a)로 절단되면, 다시 자동 상승부(160)와 전달부(180)를 통해서 새로운 단무지(102)가 압축 절단 위치(P)로 이동되고, 재차 수직 공압 실린더(130)와 수평 공압 실린더(120)가 작동하여 연속하여 새로운 단무지(102)를 깁밥용 단무지(102a)로 절단하고, 이와 같은 작동은 제어반(200)의 콘트롤러에 의해서 연속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모터와 공압 실린더와 같은 자동화 장치를 통해서 단무지(102)를 연속으로 하나씩 자동으로 공급하고, 커터(110)측의 압축 절단 위치(P)로 차례로 이동시켜서 차례차례 김밥용 단무지(102a)로 연속 절단할 수 있음으로써 자동화 공정을 통하여 인력을 크게 줄일 수 있고,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
또한, 이와 같은 과정에서 본 고안에 의하면 단무지(102)의 절단과 동시에, 분리판(140)에 의해서 자동으로 단무지 속부분의 정상 제품(S1)과, 커터(110) 가장 자리 부분을 통과하는 불량 제품(S2)이 자동 분리됨으로써 작업 자동화 및 효율적인 공정 관리를 통해서 작업 생산성을 더욱 극대화할 수 있다.
아래의 표 1에는 종래의 기술과 본 고안에 의해서 대비되는 작업 생산성의 각 항목이 비교되어 있다.
Figure 112013112951276-utm00001
아래의 표 2에는 종래의 기술과 본 고안에 의해서 대비되는 효율성의 각 항목이 비교되어 있다.
Figure 112013112951276-utm00002
본 고안은 상기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실시 예에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와 같은 특정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 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 사상 및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각종 실린더 및 모터의 작동 순서를 설정하기 위한 타이머 및 위치감지 센서들이 다양하게 추가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그렇지만 그와 같은 단순한 설계적인 수정 또는 변형 구조들은 모두 명백하게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게 됨을 미리 밝혀 두고자 한다.
100: 김밥용 단무지 절단장치
102: 단무지 102a: 김밥용 단무지
110: 커터 110a: 하부 가장자리 칼날
112: 프레임 120: 수평 공압 실린더
122: 밀판 130: 수직 공압 실린더
132: 누름대 140: 분리판
142: 브라켓 144: 고정 수단
150: 컨베이어 밸트 160: 자동 상승부
162: 모터 164: 상부 구동 스프로켓
166: 하부 종동 스프로켓 168: 체인
170: 받침대 180: 전달부
182: 회전통 184: 왕복 구동 실린더
186: 로드 188: 단무지 안착 홈
200: 제어반 P: 압축 절단 위치
S1: 정상 제품 S2: 불량 제품

Claims (5)

  1. 단무지를 격자창 형태로 다수의 사각형의 절단날을 구비한 커터측으로 강제적으로 밀어서 한번에 다수의 김밥용 단무지를 가공할 수 있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터의 후방측에는 분리판이 장착되어 커터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단무지중, 단무지의 속부분이 절단되어 균일한 사이즈의 사각 단면의 정상 제품은 상기 분리판의 상부측으로, 그리고 단무지의 껍질 부분이 절단되고, 균일하지 못한 사이즈의 불량 제품은 상기 분리판의 하부측으로 분리시켜 각각 별도로 수거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커터의 일측에는 모터에 의해 동작하면서 단무지를 하나씩을 공급하는 자동 상승부와, 상기 자동 상승부로부터 단무지를 하나씩 공급받아서 상기 커터 전방의 압축 절단 위치까지 중간에서 전달해 주는 전달부를 추가적으로 구비하여 단무지의 절단을 자동화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김밥용 단무지 절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은 커터의 후방측에 탈착식으로 고정되는 "∨"형의 단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분리판은 "◇"형 커터의 테두리 하부 가장자리 칼날들을 따라서 배치되며, 상기 정상 제품은 커터의 중앙부분을 통과하여 분리판의 상부측으로 낙하되고, 상기 불량 제품은 커터의 하부 가장자리 칼날들을 통과하여 분리판의 하부측으로 낙하되어 별도의 컨베이어 밸트를 통해 분리 수거되는 것임은 특징으로 하는 김밥용 단무지 절단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상승부는 모터에 의해서 회전 구동되는 상부 구동 스프로켓과, 상기 상부 구동 스프로켓에 체인을 통하여 연결되는 하부 종동 스프로켓 및 상기 체인에 일측 하단이 연결되어 무한 궤도형으로 회전되는 다수의 받침대들을 구비하고, 상기 각각의 받침대에는 단무지가 하나씩 실려서 모터 작동에 따라서 연속적으로 공급되며, 상기 체인에 연결된 받침대가 상기 상부 구동 스프로켓을 통과하면 상기 받침대에 실린 각각의 단무지는 상기 전달부의 회전통으로 낙하되어 차례로 공급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김밥용 단무지 절단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부는 상기 자동 상승부의 측방에서 왕복 구동 실린더의 로드 왕복운동에 의해서 회전운동하는 회전통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통에는 "∨"형의 단무지 안착 홈이 형성되어 상기 자동 상승부의 받침대로부터 단무지를 받고, 상기 왕복 구동 실린더의 왕복운동으로 회전하면서 단무지를 커터 전방의 압축 절단 위치로 차례차례 이송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김밥용 단무지 절단장치.
KR2020130010265U 2013-12-10 2013-12-10 김밥용 단무지 절단장치 KR2004727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10265U KR200472759Y1 (ko) 2013-12-10 2013-12-10 김밥용 단무지 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10265U KR200472759Y1 (ko) 2013-12-10 2013-12-10 김밥용 단무지 절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2759Y1 true KR200472759Y1 (ko) 2014-05-21

Family

ID=51490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10265U KR200472759Y1 (ko) 2013-12-10 2013-12-10 김밥용 단무지 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2759Y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4999B1 (ko) * 2016-01-08 2017-09-05 김경범 근채류 절단용 이송장치
KR101774998B1 (ko) * 2015-10-28 2017-09-05 김경범 근채류 절단용 이송장치
KR20180068408A (ko) * 2016-12-14 2018-06-22 정연선 근채류 탈피장치
KR101911941B1 (ko) * 2017-05-15 2018-10-25 정연선 근채류 박피장치
KR20180130547A (ko) * 2016-06-23 2018-12-07 청두 아카데미 오브 애그리컬쳐 앤드 포레스트리 사이언시즈 유채 배가 반수체 유도계에서 십자화과 채소 재료 및 품종을 선별 육종하는 방법
KR20200050598A (ko) * 2018-11-02 2020-05-12 김중관 사료 제조 플랜트
KR102180256B1 (ko) * 2020-02-26 2020-11-18 주식회사 엠티솔루션 탈피장치
KR102236113B1 (ko) * 2019-12-31 2021-04-05 기백준 식품 절단기
KR200493765Y1 (ko) * 2020-01-30 2021-06-01 신윤섭 단무지 절단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6508A (ko) * 2000-11-23 2001-11-07 박준호 야채절단장치
KR200280844Y1 (ko) 2002-04-10 2002-07-06 허점둘 단무지 절단장치
JP2004025421A (ja) 2002-06-21 2004-01-29 Hirano Seisakusho:Kk 塊状野菜の切断器およびその切断方法
KR101076438B1 (ko) 2010-07-29 2011-10-25 김경범 근채류 절단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6508A (ko) * 2000-11-23 2001-11-07 박준호 야채절단장치
KR200280844Y1 (ko) 2002-04-10 2002-07-06 허점둘 단무지 절단장치
JP2004025421A (ja) 2002-06-21 2004-01-29 Hirano Seisakusho:Kk 塊状野菜の切断器およびその切断方法
KR101076438B1 (ko) 2010-07-29 2011-10-25 김경범 근채류 절단기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4998B1 (ko) * 2015-10-28 2017-09-05 김경범 근채류 절단용 이송장치
KR101774999B1 (ko) * 2016-01-08 2017-09-05 김경범 근채류 절단용 이송장치
KR20180130547A (ko) * 2016-06-23 2018-12-07 청두 아카데미 오브 애그리컬쳐 앤드 포레스트리 사이언시즈 유채 배가 반수체 유도계에서 십자화과 채소 재료 및 품종을 선별 육종하는 방법
KR102198083B1 (ko) 2016-06-23 2021-01-05 청두 아카데미 오브 애그리컬쳐 앤드 포레스트리 사이언시즈 유채 배가 반수체 유도계에서 십자화과 채소 재료 및 품종을 선별 육종하는 방법
KR20180068408A (ko) * 2016-12-14 2018-06-22 정연선 근채류 탈피장치
KR101881311B1 (ko) * 2016-12-14 2018-07-24 정연선 근채류 탈피장치
KR101911941B1 (ko) * 2017-05-15 2018-10-25 정연선 근채류 박피장치
KR20200050598A (ko) * 2018-11-02 2020-05-12 김중관 사료 제조 플랜트
KR102248218B1 (ko) * 2018-11-02 2021-05-04 김중관 사료 제조 플랜트
KR102236113B1 (ko) * 2019-12-31 2021-04-05 기백준 식품 절단기
KR200493765Y1 (ko) * 2020-01-30 2021-06-01 신윤섭 단무지 절단 장치
KR102180256B1 (ko) * 2020-02-26 2020-11-18 주식회사 엠티솔루션 탈피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2759Y1 (ko) 김밥용 단무지 절단장치
US3965783A (en) Automatic slicing machine for food stuffs
KR101469922B1 (ko) 계육 수직 절단가공장치
CN110574775A (zh) 一种生牛肉切割机
CN209224176U (zh) 一种吐司切片机
CN210590714U (zh) 一种小食品切块机用切块机构
KR200477424Y1 (ko) 슬라이스 단무지 절단장치
CN211868018U (zh) 肉类切块机
CN110744599B (zh) 一种土豆清洗和切片装置
CN210634164U (zh) 一种小食品切块机
CN117562099B (zh) 肉制品切片装置及切片方法
KR101117584B1 (ko) 근채류 절단용 공급장치
KR101013884B1 (ko) 꼬치 제조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6649397A (zh) 调理肉制品低温全自动切割工艺及其装置
CN107627355B (zh) 食品切割、拉花、穿串一体机
KR100455407B1 (ko) 고기 절단장치
CN211415356U (zh) 一种马铃薯切片设备
KR101836424B1 (ko) 근채류 절단장치
CN219190441U (zh) 一种食品加工的切片机
KR100478926B1 (ko) 육류 자동절단장치
KR200326135Y1 (ko) 육류 세절기
CN215790151U (zh) 切肉架、切肉机以及售面装置
CN220458466U (zh) 一种带式禽类切块设备
CN220680873U (zh) 一种智能化直线往复式中药切片机
JPH06345035A (ja) ミンチのトレイへの盛付方法及び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