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1941B1 - 근채류 박피장치 - Google Patents

근채류 박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1941B1
KR101911941B1 KR1020170060167A KR20170060167A KR101911941B1 KR 101911941 B1 KR101911941 B1 KR 101911941B1 KR 1020170060167 A KR1020170060167 A KR 1020170060167A KR 20170060167 A KR20170060167 A KR 20170060167A KR 101911941 B1 KR101911941 B1 KR 1019119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t
blade
pair
clamp
root ca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0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연선
김경범
Original Assignee
정연선
김경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연선, 김경범 filed Critical 정연선
Priority to KR1020170060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19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1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19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other treatment of fruits or vegetables for human purposes; Machines or apparatus for topping or skinning flower bulbs
    • A23N15/02Machines or apparatus for other treatment of fruits or vegetables for human purposes; Machines or apparatus for topping or skinning flower bulbs for stemming, piercing, or stripping fruit; Removing sprouts of potato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25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28Splitting layers from work; Mutually separating layers by cutting
    • B26D3/282Splitting layers from work; Mutually separating layers by cutting by peeling-of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6D7/02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with cl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6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 B26D7/0608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by pus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18Means for removing cut-out material or was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2210/00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 B26D2210/02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for cutting food products, e.g. food slic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치 구조가 간단하고, 투입되는 근채류의 직경에 관계없이 다수의 근채류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면서 근채류의 외피(껍질)을 자동으로 쉽게 제거할 수 있는 근채류 박피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채류 박피장치는, 근채류가 투입되고 실린더로드가 근채류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직선 이동하면서 근채류를 가압하여 일방향으로 공급하는 근채류 공급유닛과, 근채류 공급유닛과 연결되며 실린더로드에 의해 가압되어 이동하는 근채류의 외피 둘레를 다수의 칼날부가 차례로 박피하는 근채류 박피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근채류 박피장치{APPARATUS FOR PEELING ROOT VEGETABLES}
본 발명은 근채류 박피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 당근 등과 같은 근채류의 외피(껍질)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는 근채류 박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무지는 대표적인 근채류인 무를 소금물에 장기간 절여 적당히 간이 배면 이를 세척한 후 적당히 썰어 반찬류로 이용되는 식품이다. 단무지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절임류 식품 중의 하나이며 대부분이 중국음식점이나 분식점에서 대량 소비되고 있다.
이러한 단무지 등에 많이 사용되는 무는 외피(껍질)을 제거한 후에 사용하게 된다. 종래에는 무의 외피를 제거할 때 일일이 수작업에 의존해야 했기 때문에 불필요한 시간이 많이 낭비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무의 외피를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장치가 개발된 바 있다. 종래의 무 박피기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4-0021679호(선행기술문헌)에 개시된 바와 같이, 드럼의 내부에 무를 공급한 상태에서 드럼과 회전축을 각각 회전시키는 별도의 모터들로 구동시키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드럼과 회전축(연마석) 사이에서 박피가 이루어지고, 박피 과정에서 연마석이 편심됨에 따라 박피된 무를 자동으로 배출하는 구성입니다.
그러나, 종래의 무 박피기는 드럼과 회전축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모터를 각각 구비하여야 하고,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이 구비되어야 하므로 구조가 복잡하며, 무 박피 작업이 용이하지 않다. 또한, 종래에는 하나의 무를 공급하여 박피 작업이 완료된 후 다음 순서의 무를 공급하여 박피 작업을 진행하여야 하므로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특허출원번호 제2017-0055582호의 근채류 박피장치를 출원한 바 있다. 상기 근채류 박피장치에 따르면, 회전하는 다수의 롤러부에 의해 다수의 근채류가 연속적으로 공급되어 이송되고, 다수의 롤러부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칼날부에 각각 설치된 한 쌍의 칼날부재 사이를 근채류가 차례로 통과하면서 근채류의 외피 둘레가 자동으로 박피될 수 있다.
그런데, 다수의 근채류를 연속적으로 공급 이송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롤러부와, 롤러부를 회전 구동하는 구동모터 및 연결체인 등이 설치되므로 장치 구조가 복잡하고 제작비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투입되는 근채류의 직경이 칼날부에 설치된 한 쌍의 칼날부재 사이의 간격보다 훨씬 클 경우, 근채류가 한 쌍의 칼날부재 사이를 통과할 수 없으므로 근채류의 외피를 박피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4-0021679호(1994.10.19. 공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장치 구조가 간단하고, 투입되는 근채류의 직경에 관계없이 다수의 근채류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면서 근채류의 외피(껍질)을 자동으로 쉽게 제거할 수 있는 근채류 박피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채류 박피장치는, 근채류가 투입되고, 실린더로드가 근채류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직선 이동하면서 근채류를 가압하여 일방향으로 공급하는 근채류 공급유닛; 및 상기 근채류 공급유닛과 연결되며, 상기 실린더로드에 의해 가압되어 이동하는 근채류의 외피 둘레를 다수의 칼날부가 차례로 박피하는 근채류 박피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근채류 공급유닛은, 근채류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면이 개방되고, 투입되는 근채류를 수용하는 내부공간이 마련되는 근채류 투입구를 갖는 투입부; 및 상기 근채류 투입구를 중심으로 상기 근채류 박피유닛과 수평상으로 대향되게 위치하도록 상기 투입부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로드가 상기 투입부를 지나 상기 근채류 박피유닛을 통과하도록 이동하면서 상기 투입부에 투입되는 근채류를 가압하여 상기 근채류 박피유닛의 칼날부를 통과하도록 밀어주는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근채류 공급유닛은, 상기 칼날부와 상기 가압부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투입부에 설치되며, 상기 투입부에 투입되는 근채류를 좌우방향에서 클램핑하면서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칼날부와 상기 가압부의 일직선 상에 근채류의 중심이 위치하도록 조절하는 센터링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터링조절부는, 상기 칼날부와 상기 가압부의 사이에서 상기 근채류 투입구의 좌우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로드에 의한 근채류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가로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근채류 투입구에 투입되는 근채류의 양측면을 클램핑하는 제 1 및 제 2 클램프; 상기 제 1 및 제 2 클램프로부터 상기 근채류 투입구의 길이방향 중심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지게 각각 연장되고, 근채류를 지지하면서 서로 교차되게 이동하도록 배치되는 다수의 제 1 및 제 2 센터가이드바; 및 상기 투입부의 좌우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클램프의 좌우 이동을 조절하는 제 1 및 제 2 조절실린더;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및 제 2 조절실린더에 의해 상기 제 1 및 제 2 클램프가 이동하여 근채류의 양측면을 클램핑할 때, 상기 제 1 및 제 2 센터가이드바가 근채류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칭되게 교차 이동함에 따라 근채류를 상하로 이동시켜 상기 칼날부와 상기 가압부의 일직선 상에 근채류의 중심이 위치하도록 센터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클램프와 상기 제 2 클램프는, 상기 칼날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측에 대칭되게 위치하며, 근채류의 양측면을 향해 ' < ' 와 ' > ' 형상으로 각각 절곡 형성되되, 상기 제 1 및 제 2 클램프의 절곡 중심부와 상기 칼날부의 중심부는 동일한 수평면상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클램프와 상기 제 2 클램프는, 상기 실린더로드에 의한 근채류의 이동방향을 따라 다수 개로 분할 배치되며, 각각 분할된 클램프는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제 1 및 제 2 조절실린더에 탄성 지지됨으로써 근채류의 길이방향에 대한 외경 변화에 맞게 탄성 클램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근채류 박피유닛은, 상기 가압부와 대향되는 상기 투입부의 타측에 설치되며, 상기 가압부에 의해 가압되는 근채류가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구가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칼날부에 의해 박피된 근채류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타측에 형성되는 하우징; 및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출구 사이에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개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로드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유입구에서 상기 배출구 방향으로 이동하는 근채류의 외피 둘레를 절단하여 박피하는 다수의 제 1 칼날부;를 포함하되, 다수의 상기 제 1 칼날부는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칼날부재가 근채류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소정의 회전 각도로 각각 설치되며, 근채류가 다수의 상기 제 1 칼날부에 각각 설치된 한 쌍의 칼날부재 사이를 차례로 통과하면서 근채류의 외주면 둘레가 박피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칼날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서로 나란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샤프트; 상기 한 쌍의 지지샤프트에 서로 대향하면서 근채류 직경의 안팍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회동플레이트; 상기 한 쌍의 지지샤프트와 상기 한 쌍의 회동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며, 근채류가 통과할 때 상기 한 쌍의 회동플레이트가 외측방향으로 회동 후 내측방향으로 복귀하도록 상기 한 쌍의 회동플레이트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한 쌍의 토션스프링; 상기 한 쌍의 회동플레이트의 단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장착플레이트; 및 상기 한 쌍의 장착플레이트에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며, 근채류가 통과하면서 근채류의 외피 둘레를 절단하여 박피하는 한 쌍의 칼날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장착플레이트는 상기 한 쌍의 회동플레이트의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한 쌍의 회동플레이트의 단부에는 내측으로 절곡된 스토퍼가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장착플레이트가 일정 각도 이상으로 회동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근채류 박피유닛은, 상기 가압부의 실린더로드와 수평상으로 대응되게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유입구 측에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로드에 의해 가압되는 근채류의 외주면 둘레를 절단하여 근채류가 다수의 상기 제 1 칼날부에 각각 설치된 한 쌍의 칼날부재 사이를 통과할 수 있도록 근채류의 직경을 조절하는 제 2 칼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칼날부는, 상기 투입부에 투입되는 근채류의 직경보다 작으면서 다수의 상기 제 1 칼날부에 각각 설치된 한 쌍의 칼날부재 사이의 최소 간격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실린더로드에 의해 가압되는 근채류의 외주면 둘레 외피를 절단하여 근채류의 직경을 감소시키는 원통형상의 외피절단칼날; 상기 외피절단칼날의 둘레 외측에 돌출되도록 복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외피절단칼날에 의해 근채류와 분리된 둘레 외피를 복수 개로 분할 절단시키는 수직판형상의 외피분할칼날; 및 상기 외피절단칼날에 원통형상으로 연장 형성되고 외주면에 경사면이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상기 외피분할칼날에 의해 분할된 둘레 외피가 상기 경사면을 따라 배출되도록 하며, 상기 하우징의 유입구 외측에 결합되는 칼날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근채류 박피장치에 따르면, 장치 구조가 간단하고, 투입되는 근채류의 직경에 관계없이 다수의 근채류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면서 근채류의 외피(껍질)을 자동으로 쉽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채류 박피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채류 박피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근채류 박피장치에서 근채류 공급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정면도.
도 5는 도 3의 평면도.
도 6은 도 3의 측면도.
도 7은 근채류 공급유닛에서 제 1 클램프의 제 1 좌측클램프를 나타낸 (a)사시도, (b)평면도 및 (c)정면도.
도 8은 근채류 공급유닛에서 제 1 클램프의 제 2 좌측클램프를 나타낸 (a)사시도, (b)평면도 및 (c)정면도.
도 9는 근채류 공급유닛에서 제 1 클램프의 제 3 좌측클램프를 나타낸 (a)사시도, (b)평면도 및 (c)정면도.
도 10은 근채류 공급유닛에서 제 2 클램프의 제 1 우측클램프를 나타낸 (a)사시도, (b)평면도 및 (c)정면도.
도 11은 근채류 공급유닛에서 제 2 클램프의 제 2 우측클램프를 나타낸 (a)사시도, (b)평면도 및 (c)정면도.
도 12는 근채류 공급유닛에서 제 2 클램프의 제 3 우측클램프를 나타낸 (a)사시도, (b)평면도 및 (c)정면도.
도 13은 근채류 공급유닛에서 센터링조절부를 통해 직경이 서로 다른 근채류의 중심을 센터링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근채류 박피장치에서 근채류 박피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정면도.
도 16a 및 도 16b는 도 15의 A-H 구간에서 제 1 칼날부의 칼날 배치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제 1 칼날부의 사시도.
도 18은 제 1 칼날부의 정면도.
도 19는 지지샤프트의 단면도.
도 20은 회동플레이트의 (a)정면도 및 (b)측면도.
도 21은 장착플레이트의 (a)정면도 및 (b)측면도.
도 22는 칼날부재의 정면도.
도 23은 회동플레이트의 회동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4는 근채류 박피장치에서 제 2 칼날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5는 도 24의 종단면도.
도 26 내지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채류 박피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채류 박피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채류 박피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채류 박피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채류 박피장치는 지지본체(10), 근채류 공급유닛(20) 및 근채류 박피유닛(30)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본체(10)는 사각판의 베이스플레이트(11)가 상면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베이스플레이트(11)의 네 모서리부에 4개의 포스트(12)가 수직방향으로 설치된다. 각각의 포스트(12) 하단 일측에는 캐스터(13)가 설치되어 본 장치를 이동이 가능하게 하며, 각각의 포스트(12) 하단 타측에는 스토퍼(13)를 설치하여 본 장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지지본체(10)의 하측에는 제 1 및 제 2 칼날부(500)(600)에 의해 박피된 근채류(1)의 외피(1a)가 낙하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외피배출구(미도시)가 형성된다. 외피배출구의 내측면에는 하향 경사면(15)이 형성되어 박피된 근채류(1)의 외피(1a)가 하향 경사면(15)에 의해 외피배출구 측으로 배출되도록 가이드 된다.
근채류 공급유닛(20)은 지지본체(10)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며, 근채류(1)가 투입되고, 실린더로드(220)가 근채류(1)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직선 이동하면서 근채류(1)를 가압하여 일방향으로 공급한다. 근채류 공급유닛(20)은 투입부(100), 가압부(200) 및 센터링조절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근채류 공급유닛(20)은 도 3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구체적으로 후술하기로 한다.
근채류 박피유닛(30)은 근채류 공급유닛(20)과 연결되도록 지지본체(10)의 상부 타측에 설치되며, 실린더로드(220)에 의해 가압되어 이동하는 근채류(1)의 외피 둘레를 제 1 칼날부(500) 및 제 2 칼날부(600)가 차례로 박피한다. 근채류 박피유닛(30)은 하우징(400), 제 1 칼날부(500) 및 제 2 칼날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근채류 박피유닛은 도 14 내지 도 25를 참조하여 설명할 때 구체적으로 후술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근채류 박피장치에서 근채류 공급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평면도이며, 도 6은 도 3의 측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근채류 박피장치에서 근채류 공급유닛(20)은 투입부(100), 가압부(200) 및 센터링조절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투입부(100)는 지지본체(10)의 상부 일측에 위치하며, 투입부(100)의 하면이 지지본체(10)의 베이스플레이트(11) 상면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투입부(100)는 상부가 호퍼형상을 갖는 직사각블록체 형태로 이루어지고, 근채류(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면이 개방되며, 투입되는 근채류(1)를 수용하는 내부공간이 마련되는 근채류 투입구(110)를 갖는다.
투입부(100)는 후술할 가압부(200)와 대향되는 일측면에 후술할 제 2 칼날부(6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원형홀(111)이 형성되며, 투입부(100)의 상부 일측에는 후술할 가압실린더(310)와 제 1 및 제 2 조절실린더(350)(360)를 작동시키는 스위치(130)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칼날부(600)가 투입부(100)에 삽입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투입부(100)의 일측면에 원형홀(111)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투입부(100)의 일측면을 개구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가압부(200)는 근채류 투입구(110)를 중심으로 근채류 박피유닛(30)의 칼날부(500)(600)와 수평상으로 대향되게 위치하도록 투입부(100)의 일측, 근채류(1)의 이동방향 후방측에 설치되며, 실린더로드(220)가 투입부(100)를 지나 근채류 박피유닛(30)의 제 1 및 제 2 칼날부(500)(600)를 통과하도록 이동하면서 투입부(100)에 투입되는 근채류(1)를 가압하여 근채류 박피유닛(30)의 제 1 및 제 2 칼날부(500)(600)를 통과하도록 밀어준다.
가압부(200)는 가압실린더(210) 및 가압판(230)을 포함할 수 있다.
가압실린더(210)는 근채류 박피유닛(30)의 제 1 및 제 2 칼날부(500)(600)와 수평상으로 일직선에 대응되게 위치하도록 투입부(100)의 일측 외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근채류 투입구(110)의 내부에서 제 1 및 제 2 칼날부(500)(600)를 향해 왕복 직선 운동하는 실린더로드(220)를 구비할 수 있다. 실린더로드(220)는 근채류 투입구(110)의 후방 일측에 형성된 로드관통홀을 관통하여 근채류 투입구(110)의 내부로 진입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가압실린더(210)는 공기를 작동 매체로 하여 실린더로드(220)를 이동시키는 공압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실린더로드(220)는 근채류 공급유닛(20)의 투입부(100)를 지나 근채류 박피유닛(30)의 제 1 및 제 2 칼날부(500)(600)를 차례로 통과하면서 근채류(1)를 가압하여 밀어줄 수 있도록 근채류 공급유닛(20)과 근채류 박피유닛(30)의 전체길이와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다.
실린더로드(220)가 근채류 투입구(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 1 및 제 2 칼날부(500)(600)를 향해 왕복 직선 운동을 하면서 근채류(1)를 가압할 때, 실린더로드(220)가 상하좌우로 틀어지지 않도록 하게 위하여 근채류 투입구(110)의 상부 양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한 쌍의 슬라이드바(241)가 서로 나란하게 설치되고, 슬라이드바(241)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브라켓(243)이 설치되며, 브라켓(243)의 하단에 실린더로드(220)가 결합될 수 있다.
가압판(230)은 근채류 투입구(110)의 내부에서 실린더로드(220)의 단부에 결합되며, 실린더로드(220)가 이동함에 따라 근채류 투입구(110)에 투입된 근채류(1)를 제 1 및 제 2 칼날부(500)(600)를 향해 가압하여 밀어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가압판(230)은 제 2 칼날부(600)를 향해 전진 이동 시 후술할 외피절단칼날(610)의 원통중심을 통과할 수 있도록 외피절단칼날(610)의 직경보다는 작은 직경의 원판 형태로 형성된다.
센터링조절부(300)는 제 2 칼날부(600)와 가압부(200)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투입부(100)에 설치되어 투입부(100)에 투입되는 근채류(1)를 좌우방향에서 클램핑하면서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제 2 칼날부(600)와 가압부(200)의 일직선 근채류(1)의 중심이 위치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센터링조절부(300)는 제 1 클램프(310), 제 2 클램프(320), 제 1 센터가이드바(330), 제 2 센터가이드바(340), 제 1 조절실린더(350) 및 제 2 조절실린더(3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클램프(310)는 제 2 칼날부(600)와 가압부(200)의 사이에서 근채류 투입구(110)의 좌측에 설치되고, 제 2 클램프(320)는 제 2 칼날부(600)와 가압부(200)의 사이에서 근채류 투입구(110)의 우측에 설치된다.
제 1 클램프(310)와 제 2 클램프(320)는 실린더로드(220)에 의한 근채류(1)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가로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근채류 투입구(110)에 투입되는 근채류(1)의 양측면을 클램핑한다.
제 1 클램프(310)와 제 2 클램프(320)는 제 2 칼날부(6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측에 대칭되게 위치하며, 근채류(1)의 양측면을 향해 ' < ' 와 ' > ' 형상으로 각각 절곡 형성된다. 이때, 제 1 및 제 2 클램프(310)(320)의 절곡 중심부(c1)(c2)와 제 2 칼날부(600)의 중심부(c3)는 동일한 수평면상에 위치한다. 즉, 제 1 및 제 2 클램프(310)(320)의 절곡 중심부(c1)(c2)와 제 2 칼날부(600)의 중심부(c3)는 동일한 높이에 위치한다.
제 1 클램프(310)와 제 2 클램프(320)는 실린더로드(220)에 의한 근채류(1)의 이동방향, 즉 근채류 투입구(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개로 분할 배치되며, 각각 분할된 클램프는 탄성부재(357)(367)에 의해 후술할 제 1 및 제 2 조절실린더(350)(360)에 탄성 지지됨으로써 근채류(1)의 길이방향에 대한 외경 변화에 맞게 탄성 클램핑하게 된다.
제 1 클램프(310)와 제 2 클램프(320)의 각각 분할된 클램프는, 실린더로드(220)의 전진방향과 대향되는 일단, 즉 실린더로드(220)에 의한 근채류(1) 이동방향 후방측 일단에 근채류 투입구(110)의 바깥쪽으로 경사지게 경사판(301)이 돌출 형성되어 제 1 클램프(310)와 제 2 클램프(320)가 근채류(1)를 클램핑한 상태에서 실린더로드(220)가 근채류(1)를 가압하여 밀어줄 때 근채류(1)가 경사판(301)에 의해 가이드 되면서 분할된 클램프의 사이에 걸리지 않도록 한다.
제 1 센터가이드바(330)는 제 1 클램프(310)의 내측 하단으로부터 근채류 투입구(110)의 길이방향 중심을 향해 우하향으로 대략 45도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되고, 제 2 센터가이드바(340)는 제 2 클램프(320)의 내측 하단으로부터 근채류 투입구(110)의 길이방향 중심을 향해 좌하향으로 대략 45도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된다.
제 1 센터가이드바(330)와 제 2 센터가이드바(340)는 근채류 투입구(110)에 투입된 근채류(1)의 하측을 지지하면서 서로 교차되게 좌우로 이동하도록 제 1 클램프(310)와 제 2 클램프(320)의 각각 분할된 클램프에 다수 개 배치된다.
제 1 조절실린더(350)는 투입부(100)의 좌측벽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제 1 클램프(310)의 좌우 이동을 조절하고, 제 2 조절실린더(360)는 근채류 투입부(100)의 우측벽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제 2 클램프(320)의 좌우 이동을 조절한다.
제 1 조절실린더(350)는 실린더로드(351)에 제 1 클램프이동판(353)이 결합되고, 제 1 클램프(310)가 제 1 클램프이동판(353)에 결합핀(355)으로 결합되어 좌우로 소정 간격 이동 가능하며, 제 1 클램프(310)와 제 1 클램프이동판(353) 사이에서 결합핀(355)의 외측에 탄성부재(357)가 끼워져 결합된다. 또한, 제 2 조절실린더(360)는 실린더로드(361)에 제 2 클램프이동판(363)이 결합되고, 제 2 클램프(320)가 제 2 클램프이동판(363)에 결합핀(365)으로 결합되어 좌우로 소정 간격 이동 가능하며, 제 2 클램프(320)와 제 2 클램프이동판(363) 사이에서 결합핀(365)의 외측에 탄성부재(367)가 끼워져 결합된다. 또한, 제 1 및 제 2 클램프이동판(353)(363)은 슬라이드바(354)(364)에 의해 근채류 투입부(100)의 측벽에 지지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클램프(310)(320)가 탄성부재(357)(367)에 의해 제 1 및 제 2 클램프이동판(353)(363)에 탄성 결합됨으로써, 제 1 및 제 2 클램프(310)(320)는 제 1 및 제 2 조절실린더(350)(360)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근채류(1)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센터링조절부(300)는 제 1 및 제 2 조절실린더(350)(360)에 의해 제 1 및 제 2 클램프(310)(320)가 이동하여 근채류(1)의 양측면을 클램핑할 때, 제 1 및 제 2 센터가이드바(330)(340)가 근채류(1)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칭되게 교차 이동함에 따라 근채류(1)를 상하로 이동시켜 제 2 칼날부(600)와 가압부(200)의 일직선 상에 근채류(1)의 중심이 위치하도록 센터링한다.
도 7은 근채류 공급유닛에서 제 1 클램프의 제 1 좌측클램프를 나타낸 (a)사시도, (b)평면도 및 (c)정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클램프(310)의 3개 분할 클램프 중에서 제 1 좌측클램프(311)는 근채류 투입구(110)의 좌측 길이방향 첫번째에 위치하며, 근채류 투입구(110)에 투입되는 근채류(1)의 좌측 첫번째 부분을 클램핑한다. 제 1 좌측클램프(311)의 우측면에는 근채류(1)의 좌측면을 향해 ' < ' 형상을 갖는 절곡부(311a)가 형성된다. 제 1 좌측클램프(311)의 절곡 중심부(c1)는 제 2 칼날부(600)의 중심부(c3)를 기준으로 후술할 제 1 우측클램프(321)의 절곡 중심부(c2)와 동일한 수평면상에 위치한다.
제 1 좌측센터가이드바(311b)는 제 1 좌측클램프(311)의 우측면 하단으로부터 근채류 투입구(110)의 길이방향 중심을 향해 우하향으로 대략 45도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된다. 또한, 제 1 좌측센터가이드바(311b)는 제 1 좌측클램프(3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2개 형성되며, 2개의 제 1 좌측센터가이드바(311b)의 사이 및 좌우측에 제 1 좌측교차홈(311c)이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제 1 좌측클램프(311)가 근채류(1)의 좌측면을 향해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할 때, 이와 연동하여 제 1 좌측센터가이드바(311b)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근채류 투입구(110)에 투입된 근채류(1)의 하부 좌측면을 지지함과 아울러 후술할 제 1 우측교차홈(321c)에 삽입 교차되면서 근채류(1)를 상부로 이동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제 2 칼날부(600)와 가압부(200)의 일직선 상에 근채류(1)의 중심이 위치하도록 조절하게 된다.
도 8은 근채류 공급유닛에서 제 1 클램프의 제 2 좌측클램프를 나타낸 (a)사시도, (b)평면도 및 (c)정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클램프(310)의 3개 분할 클램프 중에서 제 2 좌측클램프(312)는 근채류 투입구(110)의 좌측 길이방향 두번째에 위치하며, 근채류 투입구(110)에 투입되는 근채류(1)의 좌측 두번째 부분을 클램핑한다. 제 2 좌측클램프(312)의 우측면에는 근채류(1)의 좌측면을 향해 ' < ' 형상을 갖는 절곡부(312a)가 형성된다. 제 2 좌측클램프(312)의 절곡 중심부(c1)는 원통형 제 2 칼날부(600)의 중심부(c3)를 기준으로 후술할 제 2 우측클램프(322)의 절곡 중심부(c2)와 동일한 수평면상에 위치한다.
또한, 제 2 좌측클램프(312)는 실린더로드(220)에 의한 근채류(1) 이동방향 후방측 일단에 근채류 투입구(110)의 좌측 바깥쪽으로 약 20도 각도로 경사지게 경사판(301)이 돌출 형성되어 제 2 좌측클램프(312)가 근채류(1)의 좌측면을 클램핑한 상태에서 실린더로드(220)가 근채류(1)를 가압하여 밀어줄 때 근채류(1)가 경사판(301)에 의해 가이드 되면서 제 1 좌측클램프(311)와 제 2 좌측클램프(312)의 사이에 걸리지 않도록 한다.
제 2 좌측센터가이드바(312b)는 제 2 좌측클램프(312)의 우측면 하단으로부터 근채류 투입구(110)의 길이방향 중심을 향해 우하향으로 대략 45도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된다. 또한, 제 2 좌측센터가이드바(312b)는 제 2 좌측클램프(3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3개 형성되며, 3개의 제 2 좌측센터가이드바(312b)의 사이에 제 2 좌측교차홈(312c)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 2 좌측클램프(312)가 근채류(1)의 좌측면을 향해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할 때, 이와 연동하여 제 2 좌측센터가이드바(312b)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근채류 투입구(110)에 투입된 근채류(1)의 하부 좌측면을 지지함과 아울러 후술할 제 2 우측교차홈(322c)에 삽입 교차되면서 근채류(1)를 상부로 이동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제 2 칼날부(600)와 가압부(200)의 일직선 상에 근채류(1)의 중심이 위치하도록 조절하게 된다.
도 9는 근채류 공급유닛에서 제 1 클램프의 제 3 좌측클램프를 나타낸 (a)사시도, (b)평면도 및 (c)정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클램프(310)의 3개 분할 클램프 중에서 제 3 좌측클램프(313)는 근채류 투입구(110)의 좌측 길이방향 세번째에 위치하며, 근채류 투입구(110)에 투입되는 근채류(1)의 좌측 세번째 부분을 클램핑한다. 제 3 좌측클램프(313)의 우측면에는 근채류(1)의 좌측면을 향해 ' < ' 형상을 갖는 절곡부(313a)가 형성된다. 제 3 좌측클램프(313)의 절곡 중심부(c1)는 원통형 제 2 칼날부(600)의 중심부(c3)를 기준으로 후술할 제 3 우측클램프(323)의 절곡 중심부(c2)와 동일한 수평면상에 위치한다.
또한, 제 3 좌측클램프(313)는 실린더로드(220)에 의한 근채류(1) 이동방향 후방측 일단에 근채류 투입구(110)의 좌측 바깥쪽으로 약 20도 각도로 경사지게 경사판(301)이 돌출 형성되어 제 3 좌측클램프(313)가 근채류(1)의 좌측면을 클램핑한 상태에서 실린더로드(220)가 근채류(1)를 가압하여 밀어줄 때 근채류(1)가 경사판(301)에 의해 가이드 되면서 제 2 좌측클램프(312)와 제 3 좌측클램프(313)의 사이에 걸리지 않도록 한다.
제 3 좌측센터가이드바(313b)는 제 3 좌측클램프(313)의 우측면 하단으로부터 근채류 투입구(110)의 길이방향 중심을 향해 우하향으로 대략 45도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된다. 또한, 제 3 좌측센터가이드바(313b)는 제 3 좌측클램프(313)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2개 형성되며, 2개의 제 3 좌측센터가이드바(313b)의 사이 및 좌우측에 제 3 좌측교차홈(313c)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 3 좌측클램프(313)가 근채류(1)의 좌측면을 향해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할 때, 이와 연동하여 제 3 좌측센터가이드바(313b)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근채류 투입구(110)에 투입된 근채류(1)의 하부 좌측면을 지지함과 아울러 후술할 제 3 우측교차홈(323c)에 삽입 교차되면서 근채류(1)를 상부로 이동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제 2 칼날부(600)와 가압부(200)의 일직선 상에 근채류(1)의 중심이 위치하도록 조절하게 된다.
도 10은 근채류 공급유닛에서 제 2 클램프의 제 1 우측클램프를 나타낸 (a)사시도, (b)평면도 및 (c)정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클램프(320)의 3개 분할 클램프 중에서 제 1 우측클램프(321)는 근채류 투입구(110)의 우측 길이방향 첫번째에 위치하며, 근채류 투입구(110)에 투입되는 근채류(1)의 우측 첫번째 부분을 클램핑한다. 제 1 우측클램프(321)의 좌측면에는 근채류(1)의 우측면을 향해 ' > ' 형상을 갖는 절곡부(321a)가 형성된다. 제 1 우측클램프(321)의 절곡 중심부(c2)는 원통형 제 2 칼날부(600)의 중심부(c3)를 기준으로 제 1 좌측클램프(311)의 절곡 중심부(c1)와 동일한 수평면상에 위치한다.
제 1 우측센터가이드바(321b)는 제 1 우측클램프(321)의 좌측면 하단으로부터 근채류 투입구(110)의 길이방향 중심을 향해 좌하향으로 대략 45도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된다. 또한, 제 1 우측센터가이드바(321b)는 제 1 우측클램프(3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3개 형성되며, 3개의 제 1 우측센터가이드바(321b)의 사이에 제 1 우측교차홈(321c)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 1 우측클램프(321)가 근채류(1)의 우측면을 향해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할 때, 이와 연동하여 제 1 우측센터가이드바(321b)는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근채류 투입구(110)에 투입된 근채류(1)의 하부 우측면을 지지함과 아울러 제 1 좌측교차홈(311c)에 삽입 교차되면서 근채류(1)를 상부로 이동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제 2 칼날부(600)와 가압부(200)의 일직선 상에 근채류(1)의 중심이 위치하도록 조절하게 된다.
도 11은 근채류 공급유닛에서 제 2 클램프의 제 2 우측클램프를 나타낸 (a)사시도, (b)평면도 및 (c)정면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클램프(320)의 3개 분할 클램프 중에서 제 2 우측클램프(322)는 근채류 투입구(110)의 우측 길이방향 두번째에 위치하며, 근채류 투입구(110)에 투입되는 근채류(1)의 우측 두번째 부분을 클램핑한다. 제 2 우측클램프(322)의 좌측면에는 근채류(1)의 우측면을 향해 ' > ' 형상을 갖는 절곡부(322a)가 형성된다. 제 2 우측클램프(322)의 절곡 중심부(c2)는 원통형 제 2 칼날부(600)의 중심부(c3)를 기준으로 제 2 좌측클램프(312)의 절곡 중심부(c1)와 동일한 수평면상에 위치한다.
또한, 제 2 우측클램프(322)는 실린더로드(220)에 의한 근채류(1) 이동방향 후방측 일단에 근채류 투입구(110)의 우측 바깥쪽으로 약 20도 각도로 경사지게 경사판이 돌출 형성되어 제 2 우측클램프(322)가 근채류(1)의 우측면을 클램핑한 상태에서 실린더로드(220)가 근채류(1)를 가압하여 밀어줄 때 근채류(1)가 경사판(301)에 의해 가이드 되면서 제 1 우측클램프(321)와 제 2 우측클램프(322)의 사이에 걸리지 않도록 한다.
제 2 우측센터가이드바(322b)는 제 2 우측클램프(322)의 좌측면 하단으로부터 근채류 투입구(110)의 길이방향 중심을 향해 좌하향으로 대략 45도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된다. 또한, 제 2 우측센터가이드바(322b)는 제 2 우측클램프(322)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2개 형성되며, 2개의 제 2 우측센터가이드바(322b)의 사이 및 좌우측에 제 2 우측교차홈(322c)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 2 우측클램프(322)가 근채류(1)의 우측면을 향해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할 때, 이와 연동하여 제 2 우측센터가이드바(322b)는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근채류 투입구(110)에 투입된 근채류(1)의 하부 우측면을 지지함과 아울러 제 2 좌측교차홈(312c)에 삽입 교차되면서 근채류(1)를 상부로 이동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제 2 칼날부(600)와 가압부(200)의 일직선 상에 근채류의 중심이 위치하도록 조절하게 된다.
도 12는 근채류 공급유닛에서 제 2 클램프의 제 3 우측클램프를 나타낸 (a)사시도, (b)평면도 및 (c)정면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클램프(320)의 3개 분할 클램프 중에서 제 3 우측클램프(323)는 근채류 투입구(110)의 우측 길이방향 세번째에 위치하며, 근채류 투입구(110)에 투입되는 근채류(1)의 우측 세번째 부분을 클램핑한다. 제 3 우측클램프(323)의 좌측면에는 근채류(1)의 우측면을 향해 ' > ' 형상을 갖는 절곡부(323a)가 형성된다. 제 3 우측클램프(323)의 절곡 중심부(c2)는 원통형 제 2 칼날부(600)의 중심부(c3)를 기준으로 제 3 좌측클램프(313)의 절곡 중심부(c1)와 동일한 수평면상에 위치한다.
또한, 제 3 우측클램프(323)는 실린더로드(220)에 의한 근채류(1) 이동방향 후방측 일단에 근채류 투입구(110)의 우측 바깥쪽으로 약 20도 각도로 경사지게 경사판(301)이 돌출 형성되어 제 3 우측클램프(323)가 근채류(1)의 우측면을 클램핑한 상태에서 실린더로드(220)가 근채류(1)를 가압하여 밀어줄 때 근채류(1)가 경사판(301)에 의해 가이드 되면서 제 2 우측클램프(322)와 제 3 우측클램프(323)의 사이에 걸리지 않도록 한다.
제 3 우측센터가이드바(323b)는 제 3 우측클램프(323)의 좌측면 하단으로부터 근채류 투입구(110)의 길이방향 중심을 향해 좌하향으로 대략 45도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된다. 또한, 제 3 우측센터가이드바(323b)는 제 3 우측클램프(323)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3개 형성되며, 3개의 제 3 우측센터가이드바(323b)의 사이에 제 3 우측교차홈(323c)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 3 우측클램프(323)가 근채류(1)의 우측면을 향해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할 때, 이와 연동하여 제 3 우측센터가이드바(323b)는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근채류 투입구(110)에 투입된 근채류(1)의 하부 우측면을 지지함과 아울러 제 3 좌측교차홈(323c)에 삽입 교차되면서 근채류(1)를 상부로 이동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제 2 칼날부(600)와 가압부(200)의 일직선 상에 근채류(1)의 중심이 위치하도록 조절하게 된다.
도 13은 근채류 공급유닛에서 센터링조절부를 통해 직경이 서로 다른 근채류의 중심을 센터링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채류 투입구(110)에 투입된 근채류(1)는 근채류 투입구(110)의 양측에 설치된 제 1 클램프(310)와 제 2 클램프(320)로부터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서로 교차되는 제 1 센터가이드바(330)와 제 2 센터가이드바(340)에 의해 지지된다. 이때, 제 1 클램프(310)와 제 2 클램프(320)가 근채류(1)의 양측면을 클램핑할 때 근채류(1)의 중심이 제 2 칼날부(600)와 가압부(200)의 일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자동으로 센터링하여야 한다. 특히, 직경이 크고 작은 서로 다른 근채류(1)의 경우 이러한 근채류(1)의 직경 변화에 대하여 자동으로 센터링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경(D1)이 큰 근채류(1a)의 경우에는 제 1 클램프(310)와 제 2 클램프(320)가 L1 길이만큼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근채류(1)의 양측면을 클램핑하게 된다. 이때, 제 1 클램프(310)의 ' < ' 절곡부와 제 2 클램프(320)의 ' > ' 절곡부에 근채류(1)의 양측면이 접하게 되며, 제 1 클램프(310)의 절곡 중심부(c1)와 제 2 클램프(320)의 절곡 중심부(c2)는 제 2 칼날부(600)의 중심부(c3)와 동일한 수평면상에 위치한다.
제 1 클램프(310)와 제 2 클램프(320)가 이동하여 근채류(1)의 양측면을 클램핑할 때, 제 1 센터가이드바(330)와 제 2 센터가이드바(340)가 근채류(1)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칭되게 교차 이동함에 따라 근채류(1)를 상부로 H1 높이만큼 이동시키면서 근채류(1)의 중심이 제 2 칼날부(600)와 가압부(200)의 일직선 상에 자동으로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L1은 H1*tanθ 에 대응한다. θ는 제 1 센터가이드바(330)와 제 2 센터가이드바(340)의 하향 경사각도 이다.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경(D2)이 작은 근채류(1b)의 경우에는 제 1 클램프(310)와 제 2 클램프(320)가 L2 길이만큼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근채류(1)의 양측면을 클램핑하게 된다. 이때, 제 1 클램프(310)의 ' < ' 절곡부와 제 2 클램프(320)의 ' > ' 절곡부에 근채류(1)의 양측면이 접하게 되며, 제 1 클램프(310)의 절곡 중심부(c1)와 제 2 클램프(320)의 절곡 중심부(c2)는 제 2 칼날부(600)의 중심부(c3)와 동일한 수평면상에 위치한다.
제 1 클램프(310)와 제 2 클램프(320)가 이동하여 근채류(1)의 양측면을 클램핑할 때, 제 1 센터가이드바(330)와 제 2 센터가이드바(340)가 근채류(1)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칭되게 교차 이동함에 따라 근채류(1)를 상부로 H2 높이만큼 이동시키면서 근채류(1)의 중심이 제 2 칼날부(600)와 가압부(200)의 일직선 상에 자동으로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L2는 H2*tanθ 에 대응한다.
이와 같이 센터링조절부(300)를 통해 직경이 서로 다른 근채류(1a)(1b)의 중심을 제 2 칼날부(600)와 가압부(200)의 일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자동으로 센터링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근채류 박피장치에서 근채류 박피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정면도이며, 도 16a 및 도 16b는 도 15의 A-H 구간에서 제 1 칼날부의 칼날 배치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근채류 박피장치에서 근채류 박피유닛(30)은 하우징(400), 제 1 칼날부(500) 및 제 2 칼날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400)은 근채류 공급유닛(20)의 가압부(200)와 대향되는 투입부(100)의 타측에 설치되며, 수평상으로 길이방향을 갖는 직사각형 블록체로 이루어진다.
하우징(400)은 가압부(200)에 의해 가압되는 근채류(1)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우징(400)의 일측에 유입구(401)가 형성되고, 후술할 제 1 칼날부(500)에 의해 박피된 근채류(1)가 배출되도록 하우징(400)의 타측에 배출구(403)가 형성되며, 유입구(401)와 배출구(403)는 동일한 수평상에서 다수의 제 1 칼날부(500)를 사이에 두고 하우징(400)의 양측에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다.
또한, 하우징(400)의 하측에는 제 1 칼날부(500)에 의해 박피된 근채류(1)의 외피(1a)가 낙하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외피배출구(405)가 형성된다.
제 1 칼날부(500)는 하우징(400)의 내부에서 유입구(401)와 배출구(403) 사이에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개 설치되며, 실린더로드(220)에 의해 가압되어 유입구(401)에서 배출구(403) 방향으로 이동하는 근채류(1)의 외피 둘레를 절단하여 박피한다.
다수의 제 1 칼날부(500)는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칼날부재가 근채류(1)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소정의 회전 각도로 각각 설치되며, 근채류(1)가 다수의 제 1 칼날부(500)에 각각 설치된 한 쌍의 칼날부재 사이를 차례로 통과하면서 근채류(1)의 외주면 둘레가 박피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입구(401)와 배출구(403) 사이에 8개의 제 1 칼날부(500)를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한다. 이때, 유입구(401)와 배출구(403), 8개의 제 1 칼날부(500)는 하우징(400)의 내부에서 근채류(1)가 이동하는 수평상으로 동일하게 위치한다.
A구간에서 유입구(401) 측을 기준으로 1번 칼날부(501)의 칼날부재(561) 방향을 수직방향(θ=90도)으로 배치하고, H구간에서 8번 칼날부(508)의 칼날부재(568) 방향을 수평방향(θ=0도)으로 배치한다.
그리고, 1번 칼날부(501)와 8번 칼날부(508)의 사이에 배치되는 2번 칼날부(502) 내지 7번 칼날부(507)의 회전 각도를 근채류(1)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배치되도록 한다. 즉, B구간에서 2번 칼날부(502)의 칼날부재(562) 방향을 우향 67.5도, C구간에서 3번 칼날부(503)의 칼날부재(563) 방향을 좌향 67.5도로 배치한다. 또한, D구간에서 4번 칼날부(504)의 칼날부재(564) 방향을 우향 45도, E구간에서 5번 칼날부(505)의 칼날부재(565) 방향을 좌향 45도로 배치한다. 또한, F구간에서 6번 칼날부(506)의 칼날부재(566) 방향을 우향 22.5도, G구간에서 7번 칼날부(507)의 칼날부재(567) 방향을 좌향 22.5도로 배치한다.
이와 같이 다수의 제 1 칼날부(500)는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칼날부재(560)가 근채류(1)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소정의 회전 각도로 각각 설치되어 근채류(1)가 다수의 제 1 칼날부(500)에 각각 설치된 한 쌍의 칼날부재(560) 사이를 차례로 통과하면서 근채류(1)의 외주면 둘레가 절단되어 박피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칼날부(500)는 한 쌍의 칼날부재(56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박피하는 근채류(1)의 최소 직경을 설정할 수 있다. 제 1 칼날부(500)는 도 17 내지 도 23를 참조하여 설명할 때 구체적으로 후술하기로 한다.
제 2 칼날부(600)는 가압부(200)의 실린더로드(220)와 수평상으로 대응되게 위치하도록 근채류 박피유닛(30)의 하우징(400)의 유입구(401) 외측에 설치되고, 근채류 공급유닛(20)의 투입부(100) 일측면에 형성된 원형홀(111)을 통해 투입부의 내부로 삽입된다. 이러한 제 2 칼날부(600)는 실린더로드(220)에 의해 가압되는 근채류(1)의 외주면 둘레를 절단하여 근채류(1)가 다수의 제 1 칼날부(500)에 각각 설치된 한 쌍의 칼날부재(560) 사이를 통과할 수 있도록 근채류(1)의 직경을 작게 조절할 수 있다. 즉, 제 2 칼날부(600)는 다수의 제 1 칼날부(500)에 설치된 한 쌍의 칼날부재(560) 사이를 통과할 수 있는 근채류(1)의 최대 직경을 설정하게 된다. 제 2 칼날부(600)는 도 24 및 도 25를 참조하여 설명할 때 구체적으로 후술하기로 한다.
도 17은 제 1 칼날부의 사시도이고, 도 18은 제 1 칼날부의 정면도이고, 도 19는 지지샤프트의 단면도이고, 도 20은 회동플레이트의 (a)정면도 및 (b)측면도이고, 도 21은 장착플레이트의 (a)정면도 및 (b)측면도이고, 도 22는 칼날부재의 정면도이며, 도 23은 회동플레이트의 회동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7 내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칼날부(500)는 고정플레이트(510), 한 쌍의 지지샤프트(520), 한 쌍의 회동플레이트(530), 한 쌍의 토션스프링(540), 한 쌍의 장착플레이트(550) 및 한 쌍의 칼날부재(56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플레이트(510)는 하우징(400)의 내부에 볼트(511)로 체결 고정될 수 있다.
한 쌍의 지지샤프트(520)는 고정플레이트(510)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나란하게 결합된다. 한 쌍의 지지샤프트(520)는 근채류(1)의 외피(1a) 둘레를 박피하기 위하여 다수의 제 1 칼날부(500)에 각각 설치된 칼날부재(560)의 회전 각도 배치에 따라 고정플레이트(510)에 대하여 경사각도를 이루도록 결합될 수 있다.
지지샤프트(520)는 일단에 와셔가 삽입되는 와셔홀(521)이 형성되고, 와셔를 와셔홀(521)에 삽입한 상태에서 볼트(524)로 지지샤프트(520)에 체결할 수 있도록 볼트체결홀(523)이 형성된다. 지지샤프트(520)의 타단에는 고정플레이트(510)에 볼트(526)로 체결 고정할 수 있도록 볼트체결홀(525)이 형성된다.
또한, 지지샤프트(520)의 중간부분에는 스프링지지블록(541)이 볼트(미도시)로 체결될 수 있도록 볼트체결홀(527)이 형성된다.
한 쌍의 회동플레이트(530)는 한 쌍의 지지샤프트(520)에 서로 대향하면서 근채류(1) 직경의 안팍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회동플레이트(530)는 회동지지판(531)의 양측면에 절곡되고 일측 단부에 회동홀(533a)이 형성된 한 쌍의 회동결합판(533)이 마련되고, 지지샤프트(520)가 한 쌍의 회동결합판(533)의 회동홀(533a)에 각각 삽입 결합됨으로써, 회동플레이트(530)는 지지샤프트(52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 쌍의 회동결합판(533)의 타측 단부에는 장착플레이트(550)의 양측 회동핀(551)이 삽입되는 구멍(533b)이 형성되고, 스토퍼(535)가 내측으로 절곡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스토퍼(535)에 의해 회동플레이트(5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장착플레이트(550)가 일정 각도 이상으로 회동하지 않도록 회전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한 쌍의 토션스프링(540)은 한 쌍의 지지샤프트(520)와 한 쌍의 회동플레이트(530) 사이에 설치되며, 근채류(1)가 통과할 때 한 쌍의 회동플레이트(530)가 외측방향으로 회동 후 내측방향으로 복귀하도록 한 쌍의 회동플레이트(530)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한다. 토션스프링(540)은 지지샤프트(520)의 외주면에 삽입될 수 있도록 원형코일스프링 형상을 가지며, 토션스프링(540)의 일단은 스프링지지블록(541)에 의해 지지되고, 토션스프링(540)의 타단은 회동플레이트(530)의 회동지지판(531)에 의해 지지된다.
한 쌍의 장착플레이트(550)는 한 쌍의 회동플레이트(530)의 단부에 양측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장착플레이트(550)의 양측부에는 회동핀(550)이 삽입 결합되는 회동편(553)이 마련된다.
또한, 장착플레이트(550)에는 칼날부재(560)의 양단을 볼트로 체결할 수 있도록 볼트체결홀(552)이 형성된다.
한 쌍의 칼날부재(560)는 한 쌍의 장착플레이트(550)에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며, 근채류(1)가 한 쌍의 칼날부재(560) 사이를 통과하면서 근채류(1)의 외피(1a) 둘레를 절단하여 박피한다.
칼날부재(560)는 일측면에 칼날(561)이 일자형상으로 형성되고, 양측에는 장착플레이트(550)에 볼트로 체결할 수 있도록 볼트체결홀(562)이 형성된다.
도 24는 근채류 박피장치에서 제 2 칼날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5는 도 24의 종단면도이다.
도 24 및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칼날부(600)는 외피절단칼날(610), 외피분할칼날(620), 칼날하우징(630) 및 칼날고정판(640)을 포함할 수 있다.
외피절단칼날(610)은 투입부(100)에 투입되는 근채류(1)의 직경보다 작으면서 다수의 제 1 칼날부(500)에 각각 설치된 한 쌍의 칼날부재(560) 사이의 최소 간격보다 약간 큰 직경을 가지며, 실린더로드(220)에 의해 가압되는 근채류(1)의 외주면 둘레 외피를 절단하여 근채류(1)의 직경을 감소시키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외피절단칼날(510)의 원통형 개구부(501)는 가압부(200)의 실린더로드(220)와 수평상으로 일직선에 위치한다.
또한, 외피절단칼날(510)은 원통형의 상단부에 칼날부위가 일직선으로 형성되는 일자형 칼날(511)을 구비할 수 있다. 일자형 칼날(511)은 원통형의 상단부 외주면에 칼날이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일자형 칼날(511)에 의해 박피된 근채류(1)의 둘레 외피가 원통형의 외측 칼날의 하향 경사면(511a)을 따라 바깥쪽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외피절단칼날(510)의 칼날부위를 일자형 칼날(511)로 형성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외피절단칼날(510)은 원통형의 상단부에 반원형상의 요홈들이 상호 인접하여 연결되게 형성되는 파형 칼날(미도시)로 형성하거나, 원통형의 상단부에 삼각형상의 요홈들이 상호 인접하여 연결되게 형성되는 톱니형 칼날(미도시)로 형성할 수도 있다. 특히, 파형 칼날은 일자형 칼날(511)에 비해 근채류(1)의 단부 가장자리가 깨지지 않고 근채류(1)의 둘레 외피를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으며, 절단된 근채류(1)의 둘레 외피 또는 찌꺼기가 칼날에 달라붙거나 끼이지 않게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외피절단칼날(510)의 원통형 내주벽에는 상단부의 내경보다 아래쪽의 내경이 더 크게 형성되는 내경확장부(514)가 형성되어 외피절단칼날(510)에 의해 박피된 근채류(1)가 내경확장부(514)에 의해 외피절단칼날(510)의 내부에서 더 잘 통과하도록 할 수 있다.
외피분할칼날(520)은 외피절단칼날(510)의 둘레 외측에 방사형으로 돌출되도록 복수 개가 구비되며, 외피절단칼날(510)에 의해 근채류(1)와 분리된 둘레 외피를 복수 개로 분할 절단시키는 수직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외피분할칼날(520)을 8개 형성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외피분할칼날(520)은 적어도 2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4개 이상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외피분할칼날(520)을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외피분할칼날(520)은 삼각형, 사각형, 반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외피분할칼날(520)은 상단부에 칼날(521)이 형성되고, 외피분할칼날(520)의 칼날(521) 높이는 외피절단칼날(510)의 상단부 칼날(511)의 높이와 대략 일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피분할칼날(520)은 상단부 일면 또는 양면에 칼날이 형성될 수 있으며, 외피분할칼날(520)의 상단부 양면에 칼날(52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칼날하우징(530)은 외피절단칼날(510)의 하부에 원통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칼날하우징(530)은 하광상협의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칼날하우징(530)의 외주면에 하향 경사면(531)이 테이퍼지게 형성됨으로써 외피분할칼날(520)에 의해 분할된 둘레 외피가 칼날하우징(530)의 경사면(531)을 따라 자연스럽게 배출되도록 한다.
칼날고정판(540)은 칼날하우징(530)의 하단부 외측에 사각판 형태로 형성되며, 칼날고정판(540)의 4개의 모서리에 볼트구멍(541)이 형성되어 근채류 박피유닛(30)의 하우징(400) 유입구(401) 외측에 볼트로 체결 고정된다.
도 26 내지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채류 박피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 당근 등과 같은 근채류(1)를 근채류 투입구(110)에 투입하면 근채류(1)는 제 1 및 제 2 칼날부(500)(600)와 가압부(200) 사이에서 제 1 센터가이드바(330)와 제 2 센터가이드바(340)에 의해 지지된다.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채류 투입구(110)에 근채류(1)를 투입한 상태에서 스위치(130)를 누르면, 제 1 및 제 2 조절실린더(350)(360)가 작동하여 제 1 및 제 2 클램프(310)(320)가 이동하여 근채류(1)의 양측면을 클램핑하게 된다. 이때, 도 13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센터가이드바(330)(340)가 근채류(1)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칭되게 교차 이동함에 따라 근채류(1)를 상하로 이동시켜 제 1 및 제 2 칼날부(500)(600)와 가압부(200)의 일직선상에 근채류(1)의 중심이 위치하도록 센터링된다.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칼날부(500)(600)와 가압부(200)의 일직선상에 근채류(1)의 중심이 위치하도록 센터링된 상태에서, 가압실린더(210)의 실린더로드(220)가 제 1 및 제 2 칼날부(500)(600)를 향해 전진 이동하면서 실린더로드(220)의 단부에 고정된 가압판(230)이 근채류(1)를 제 1 및 제 2 칼날부(500)(600)를 향해 가압하여 밀어주게 된다.
가압판(230)이 근채류(1)를 가압하여 밀어줌에 따라 근채류(1)는 제 2 칼날부(600)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 2 칼날부(600)의 외피절단칼날(610)이 실린더로드에 의해 가압되는 근채류(1)의 외주면 둘레를 절단하여 근채류(1)가 다수의 제 1 칼날부(500)에 각각 설치된 한 쌍의 칼날부재(560) 사이를 통과할 수 있도록 근채류(1)의 직경을 작게 조절하게 된다. 즉, 제 2 칼날부(600)는 다수의 제 1 칼날부(500)에 설치된 한 쌍의 칼날부재(560) 사이를 통과할 수 있는 근채류(1)의 최대 직경을 설정하게 된다.
이렇게 제 2 칼날부(600)의 외피절단칼날(610)에 의해 절단된 둘레 외피는 외피절단칼날(610)의 둘레 외측에 방사형으로 돌출된 복수 개의 외피분할칼날(620)에 의해 근채류(1)의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로 분할 절단된 후 투입부(100)의 하측 개구부(미도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외피절단칼날(610) 및 외피분할칼날(620)에 의해 직경이 작게 박피된 근채류(1)를 가압판(230)이 외피절단칼날(610)의 중공부를 관통하도록 이동하여 밀어줌에 따라 근채류(1)는 원통형 외피절단칼날(610)의 내부를 통과한 후 다수의 제 1 칼날부(500)로 이동하게 된다.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로드(220)가 제 2 칼날부(600)를 관통하면서 다수의 제 1 칼날부(500) 사이를 지나가도록 근채류(1)를 가압하여 밀어주게 되고, 근채류(1)가 다수의 칼날부(500)를 차례로 지나갈 때 다수의 칼날부(500)는 근채류(1)의 외피(1a) 둘레를 자동으로 절단하면서 탈피된 근채류(1)를 통과시키게 된다.
도 30 및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1번 칼날부(501)의 칼날부재(560) 방향이 수직방향(90도)(도 15의 A 참조)으로 배치되므로 근채류(1)가 1번 칼날부(501)의 칼날부재(560)를 통과하면서 근채류(1)의 외피(1a) 둘레 중 90도 회전 각도에서 양측 껍질이 커팅되어 절단된다.
이어서, 2번 칼날부(502)의 칼날부재(560) 방향이 우향 67.5도(도 15의 B 참조), 3번 칼날부(503)의 칼날부재(560) 방향이 좌향 67.5도(도 15의 C 참조)로 배치되므로 근채류(1)가 2번 칼날부(502)와 3번 칼날부(503)를 차례로 통과하면서 근채류(1)의 외피(1a) 둘레 중 좌우향 67.5도 회전 각도에서 양측 껍질이 커팅되어 절단된다.
이어서, 4번 칼날부(504)의 칼날부재(560) 방향이 우향 45도(도 15의 D 참조), 5번 칼날부(505)의 칼날부재(560) 방향이 좌향 45도(도 15의 E 참조)로 배치되므로 근채류(1)가 4번 칼날부(504)와 5번 칼날부(505)를 차례로 통과하면서 근채류(1)의 외피(1a) 둘레 중 좌우향 45도 회전 각도에서 양측 껍질이 커팅되어 절단된다.
이어서, 6번 칼날부(506)의 칼날부재(560) 방향이 우향 22.5도(도 15의 F 참조), 7번 칼날부(507)의 칼날부재(560) 방향이 좌향 22.5도(도 15의 G 참조)로 배치되므로 근채류(1)가 6번 칼날부(506)와 7번 칼날부(507)를 차례로 통과하면서 근채류(1)의 외피 둘레 중 좌우향 22.5도 회전 각도에서 양측 껍질이 커팅되어 절단된다.
마지막으로, 8번 칼날부(508)의 칼날부재(560) 방향이 수평방향(0도)(도 15의 H 참조)으로 배치되므로 근채류(1)가 8번 칼날부(508)의 칼날부재(560)를 통과하면서 근채류(1)의 외피(1a) 둘레 중 수평방향 0도 회전 각도에서 양측 껍질이 커팅되어 절단된다.
이와 같이 다수의 제 1 칼날부(500)에 한 쌍의 칼날부재(560)가 근채류(1)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소정의 회전 각도로 각각 설치되어 근채류(1)가 다수의 제 1 칼날부(500)에 각각 설치된 한 쌍의 칼날부재(560) 사이를 차례로 통과하면서 무, 당근 등과 같은 근채류의 외피(껍질)(1a) 둘레가 자동으로 완전히 탈피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근채류 박피장치는 장치 구조가 간단하고, 투입되는 근채류(1)의 직경에 관계없이 다수의 근채류(1)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면서 근채류의 외피(껍질)을 자동으로 쉽게 제거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자격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 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지지본체 20 : 근채류 공급유닛
30 : 근채류 박피유닛 100 : 투입부
110 : 근채류 투입구 200 : 가압부
210 : 가압실린더 220 : 실린더로드
230 : 가압판 300 : 센터링조절부
301 : 경사판 310 : 제 1 클램프
311 : 제 1 좌측클램프 312 : 제 2 좌측클램프
313 : 제 3 좌측클램프 320 : 제 2 클램프
321 : 제 1 우측클램프 322 : 제 2 우측클램프
323 : 제 3 우측클램프 330 : 제 1 센터가이드바
340 : 제 2 센터가이드바 350 : 제 1 조절실린더
360 : 제 2 조절실린더 400 : 하우징
401 : 유입구 403 : 배출구
500 : 제 1 칼날부 501 : 1번 칼날부
502 : 2번 칼날부 503 : 3번 칼날부
504 : 4번 칼날부 505 : 5번 칼날부
506 : 6번 칼날부 507 : 7번 칼날부
508 : 8번 칼날부 510 : 고정플레이트
520 : 지지샤프트 530 : 회동플레이트
531 : 회동지지판 533 : 회동결합판
535 : 스토퍼 540 : 토션스프링
550 : 장착플레이트 560 : 칼날부재
600 : 제 2 칼날부 610 : 외피절단칼날
620 : 외피분할칼날 630 : 칼날하우징
640 : 칼날고정판

Claims (11)

  1. 근채류가 투입되고, 실린더로드가 근채류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직선 이동하면서 근채류를 가압하여 일방향으로 공급하는 근채류 공급유닛; 및
    상기 근채류 공급유닛과 연결되며, 상기 실린더로드에 의해 가압되어 이동하는 근채류의 외피 둘레를 다수의 칼날부가 차례로 박피하는 근채류 박피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근채류 공급유닛은,
    근채류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면이 개방되고, 투입되는 근채류를 수용하는 내부공간이 마련되는 근채류 투입구를 갖는 투입부; 및
    상기 근채류 투입구를 중심으로 상기 근채류 박피유닛과 수평상으로 대향되게 위치하도록 상기 투입부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로드가 상기 투입부를 지나 상기 근채류 박피유닛을 통과하도록 이동하면서 상기 투입부에 투입되는 근채류를 가압하여 상기 근채류 박피유닛의 칼날부를 통과하도록 밀어주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근채류 공급유닛은,
    상기 칼날부와 상기 가압부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투입부에 설치되며, 상기 투입부에 투입되는 근채류를 좌우방향에서 클램핑하면서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칼날부와 상기 가압부의 일직선 상에 근채류의 중심이 위치하도록 조절하는 센터링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터링조절부는,
    상기 칼날부와 상기 가압부의 사이에서 상기 근채류 투입구의 좌우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로드에 의한 근채류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가로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근채류 투입구에 투입되는 근채류의 양측면을 클램핑하는 제 1 및 제 2 클램프;
    상기 제 1 및 제 2 클램프로부터 상기 근채류 투입구의 길이방향 중심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지게 각각 연장되고, 근채류를 지지하면서 서로 교차되게 이동하도록 배치되는 다수의 제 1 및 제 2 센터가이드바; 및
    상기 투입부의 좌우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클램프의 좌우 이동을 조절하는 제 1 및 제 2 조절실린더;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및 제 2 조절실린더에 의해 상기 제 1 및 제 2 클램프가 이동하여 근채류의 양측면을 클램핑할 때, 상기 제 1 및 제 2 센터가이드바가 근채류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칭되게 교차 이동함에 따라 근채류를 상하로 이동시켜 상기 칼날부와 상기 가압부의 일직선 상에 근채류의 중심이 위치하도록 센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채류 박피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클램프와 상기 제 2 클램프는, 상기 칼날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측에 대칭되게 위치하며, 근채류의 양측면을 향해 ' < ' 와 ' > ' 형상으로 각각 절곡 형성되되, 상기 제 1 및 제 2 클램프의 절곡 중심부와 상기 칼날부의 중심부는 동일한 수평면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채류 박피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클램프와 상기 제 2 클램프는, 상기 실린더로드에 의한 근채류의 이동방향을 따라 다수 개로 분할 배치되며,
    각각 분할된 클램프는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제 1 및 제 2 조절실린더에 탄성 지지됨으로써 근채류의 길이방향에 대한 외경 변화에 맞게 탄성 클램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채류 박피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근채류 박피유닛은,
    상기 가압부와 대향되는 상기 투입부의 타측에 설치되며, 상기 가압부에 의해 가압되는 근채류가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구가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칼날부에 의해 박피된 근채류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타측에 형성되는 하우징; 및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출구 사이에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개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로드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유입구에서 상기 배출구 방향으로 이동하는 근채류의 외피 둘레를 절단하여 박피하는 다수의 제 1 칼날부;를 포함하되,
    다수의 상기 제 1 칼날부는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칼날부재가 근채류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소정의 회전 각도로 각각 설치되며, 근채류가 다수의 상기 제 1 칼날부에 각각 설치된 한 쌍의 칼날부재 사이를 차례로 통과하면서 근채류의 외주면 둘레가 박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채류 박피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칼날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서로 나란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샤프트;
    상기 한 쌍의 지지샤프트에 서로 대향하면서 근채류 직경의 안팍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회동플레이트;
    상기 한 쌍의 지지샤프트와 상기 한 쌍의 회동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며, 근채류가 통과할 때 상기 한 쌍의 회동플레이트가 외측방향으로 회동 후 내측방향으로 복귀하도록 상기 한 쌍의 회동플레이트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한 쌍의 토션스프링;
    상기 한 쌍의 회동플레이트의 단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장착플레이트; 및
    상기 한 쌍의 장착플레이트에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며, 근채류가 통과하면서 근채류의 외피 둘레를 절단하여 박피하는 한 쌍의 칼날부재;를 포함하는 근채류 박피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장착플레이트는 상기 한 쌍의 회동플레이트의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한 쌍의 회동플레이트의 단부에는 내측으로 절곡된 스토퍼가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장착플레이트가 일정 각도 이상으로 회동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채류 박피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근채류 박피유닛은,
    상기 가압부의 실린더로드와 수평상으로 대응되게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유입구 측에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로드에 의해 가압되는 근채류의 외주면 둘레를 절단하여 근채류가 다수의 상기 제 1 칼날부에 각각 설치된 한 쌍의 칼날부재 사이를 통과할 수 있도록 근채류의 직경을 조절하는 제 2 칼날부를 더 포함하는 근채류 박피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칼날부는,
    상기 투입부에 투입되는 근채류의 직경보다 작으면서 다수의 상기 제 1 칼날부에 각각 설치된 한 쌍의 칼날부재 사이의 최소 간격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실린더로드에 의해 가압되는 근채류의 외주면 둘레 외피를 절단하여 근채류의 직경을 감소시키는 원통형상의 외피절단칼날;
    상기 외피절단칼날의 둘레 외측에 돌출되도록 복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외피절단칼날에 의해 근채류와 분리된 둘레 외피를 복수 개로 분할 절단시키는 수직판형상의 외피분할칼날; 및
    상기 외피절단칼날에 원통형상으로 연장 형성되고 외주면에 경사면이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상기 외피분할칼날에 의해 분할된 둘레 외피가 상기 경사면을 따라 배출되도록 하며, 상기 하우징의 유입구 외측에 결합되는 칼날하우징;을 포함하는 근채류 박피장치.
KR1020170060167A 2017-05-15 2017-05-15 근채류 박피장치 KR1019119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0167A KR101911941B1 (ko) 2017-05-15 2017-05-15 근채류 박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0167A KR101911941B1 (ko) 2017-05-15 2017-05-15 근채류 박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1941B1 true KR101911941B1 (ko) 2018-10-25

Family

ID=64131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0167A KR101911941B1 (ko) 2017-05-15 2017-05-15 근채류 박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194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52725A (zh) * 2018-12-04 2019-02-19 佛山市美润橡塑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汽车前舱盖前端密封条冲切机
CN110764189A (zh) * 2019-11-05 2020-02-07 苏州天孚光通信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光纤剥皮机
KR102180256B1 (ko) * 2020-02-26 2020-11-18 주식회사 엠티솔루션 탈피장치
KR20210011616A (ko) * 2019-07-23 2021-02-02 원용대 자동 박피 장치
KR20230065568A (ko) 2021-11-05 2023-05-12 주식회사 엠티솔루션 탈피장치
KR20230073000A (ko) * 2021-11-18 2023-05-25 주식회사 엠티솔루션 탈피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0844Y1 (ko) * 2002-04-10 2002-07-06 허점둘 단무지 절단장치
KR200472759Y1 (ko) * 2013-12-10 2014-05-21 이수춘 김밥용 단무지 절단장치
KR101595973B1 (ko) * 2015-01-16 2016-02-19 김형훈 파인애플 자동 절단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0844Y1 (ko) * 2002-04-10 2002-07-06 허점둘 단무지 절단장치
KR200472759Y1 (ko) * 2013-12-10 2014-05-21 이수춘 김밥용 단무지 절단장치
KR101595973B1 (ko) * 2015-01-16 2016-02-19 김형훈 파인애플 자동 절단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52725A (zh) * 2018-12-04 2019-02-19 佛山市美润橡塑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汽车前舱盖前端密封条冲切机
KR20210011616A (ko) * 2019-07-23 2021-02-02 원용대 자동 박피 장치
KR102270312B1 (ko) * 2019-07-23 2021-06-28 원용대 자동 박피 장치
CN110764189A (zh) * 2019-11-05 2020-02-07 苏州天孚光通信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光纤剥皮机
CN110764189B (zh) * 2019-11-05 2024-05-31 苏州天孚光通信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光纤剥皮机
KR102180256B1 (ko) * 2020-02-26 2020-11-18 주식회사 엠티솔루션 탈피장치
KR20230065568A (ko) 2021-11-05 2023-05-12 주식회사 엠티솔루션 탈피장치
KR102648085B1 (ko) * 2021-11-05 2024-03-15 주식회사 엠티솔루션 탈피장치
KR20230073000A (ko) * 2021-11-18 2023-05-25 주식회사 엠티솔루션 탈피장치
KR102648086B1 (ko) 2021-11-18 2024-03-15 주식회사 엠티솔루션 탈피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1941B1 (ko) 근채류 박피장치
KR101644992B1 (ko) 병 재배 버섯 절단 수확기
KR101184870B1 (ko) 양파 껍질 제거기
KR101877472B1 (ko) 근채류 탈피장치
US5021025A (en) Method and machine for making food patties
KR20130101731A (ko) 옥수수 탈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옥수수 탈피방법
CN206493371U (zh) 一种全自动中药切片机
KR101881311B1 (ko) 근채류 탈피장치
EP3412418B1 (en) Improved machine for cutting food products
CN108858391A (zh) 多组式香肠三面切花机
US5030164A (en) Method and machine for making food patties
CN207824975U (zh) 一种中药材刨片机
EP0697829B1 (de) Schälvorrichtung
JP4190977B2 (ja) 野菜切截機
US6666395B2 (en) Apparatus for wiredrawing vegetables or dicing them into three dimensional shapes
CN110340957A (zh) 一种姜片深加工用生姜切片装置
CN212650124U (zh) 一种脱叶装置
CN210650889U (zh) 一种可烘干中药切片机
CN208098256U (zh) 一种梅菜切碎设备
JP3013134B2 (ja) 野菜の芯抜き機
CN115464733B (zh) 一种富贵竹剥叶切段筛选多功能一体机
CN108720060B (zh) 一种蔬菜根部自动化修剪设备
CN221021313U (zh) 一种鲍鱼片切片机
CN211323480U (zh) 一种自动制刷平毛开花一体机
CN113424975B (zh) 辣椒除柄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