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7472B1 - 근채류 탈피장치 - Google Patents

근채류 탈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7472B1
KR101877472B1 KR1020160045764A KR20160045764A KR101877472B1 KR 101877472 B1 KR101877472 B1 KR 101877472B1 KR 1020160045764 A KR1020160045764 A KR 1020160045764A KR 20160045764 A KR20160045764 A KR 20160045764A KR 101877472 B1 KR101877472 B1 KR 1018774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er
root canal
root
sheath
c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5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7832A (ko
Inventor
김경범
정연선
Original Assignee
김경범
정연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범, 정연선 filed Critical 김경범
Priority to KR1020160045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7472B1/ko
Publication of KR20170117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78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7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74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7/00Peeling vegetables or fruit
    • A23N7/02Peeling potatoes, apples or similarly shaped vegetables or frui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other treatment of fruits or vegetables for human purposes; Machines or apparatus for topping or skinning flower bulbs
    • A23N15/02Machines or apparatus for other treatment of fruits or vegetables for human purposes; Machines or apparatus for topping or skinning flower bulbs for stemming, piercing, or stripping fruit; Removing sprouts of potato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other treatment of fruits or vegetables for human purposes; Machines or apparatus for topping or skinning flower bulbs
    • A23N15/08Devices for topping or skinning onions or flower bul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006Cutting memb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24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to obtain segments other than slices, e.g. cutting pies
    • B26D3/26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to obtain segments other than slices, e.g. cutting pie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fruit or vegetables, e.g. for on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0Cutting beds

Abstract

무, 당근 등과 같은 근채류의 외피(껍질)을 자동으로 쉽게 제거함으로써 탈피된 근채류의 먹을 수 있는 부분(알맹이)만을 추출할 수 있는 근채류 탈피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근채류 탈피장치는, 하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의 상측으로 연장 설치되는 상부 프레임을 구비하는 프레임부와, 상부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하로 승강 작동하는 승강가압부와, 하부 프레임에 승강가압부와 대응되게 설치되고 근채류의 하단부가 삽입되게 올려지며 승강가압부가 하방으로 작동하여 근채류를 가압함에 따라 근채류의 둘레 외피를 절단하면서 탈피된 근채류를 통과시키는 절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근채류 탈피장치{APPARATUS FOR PEELING ROOT VEGETABLES}
본 발명은 근채류 탈피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 당근 등과 같은 근채류의 외피(껍질)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는 근채류 탈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무지는 대표적인 근채류인 무를 소금물에 장기간 절여 적당히 간이 배면 이를 세척한 후 적당히 썰어 반찬류로 이용되는 식품이다. 단무지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절임류 식품 중의 하나이며 대부분이 중국음식점이나 분식점에서 대량 소비되고 있다.
이러한 단무지 등에 많이 사용되는 무는 외피(껍질)을 제거한 후에 사용하게 된다. 종래에는 무의 외피를 제거할 때 일일이 수작업에 의존해야 했기 때문에 불필요한 시간이 많이 낭비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무의 외피를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장치가 개발된 바 있다. 종래의 무 탈피기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4-0021679호(선행기술문헌)에 개시된 바와 같이, 드럼의 내부에 무를 공급한 상태에서 드럼과 회전축을 각각 회전시키는 별도의 모터들로 구동시키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드럼과 회전축(연마석) 사이에서 탈피가 이루어지고, 탈피 과정에서 연마석이 편심됨에 따라 탈피된 무를 자동으로 배출하는 구성입니다.
그러나, 종래의 무 탈피기는 드럼과 회전축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모터를 각각 구비하여야 하고,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이 구비되어야 하므로 구조가 복잡하며, 무 탈피 작업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4-0021679호(1994.10.19. 공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무, 당근 등과 같은 근채류의 외피(껍질)을 자동으로 쉽게 제거함으로써 탈피된 근채류의 먹을 수 있는 부분(알맹이)만을 추출할 수 있는 근채류 탈피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채류 탈피장치는, 하부 프레임 및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측으로 연장 설치되는 상부 프레임을 구비하는 프레임부; 상기 상부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하로 승강 작동하는 승강가압부; 및 상기 하부 프레임에 상기 승강가압부와 대응되게 설치되고, 근채류의 하단부가 삽입되게 올려지며, 상기 승강가압부가 하방으로 작동하여 상기 근채류를 가압함에 따라 상기 근채류의 둘레 외피를 절단하면서 탈피된 근채류를 통과시키는 절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가압부는, 상기 절단부와 대응되도록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단 일측에 설치되며, 하방으로 신장하는 로드를 구비하는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승강되도록 상기 로드의 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로드가 신장함에 따라 하강하면서 상기 근채류의 상단부를 하방으로 눌러주는 승강누름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가압부는, 상기 승강누름판의 하부에 원뿔형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승강누름판이 하강하면서 상기 근채류의 상단부를 하방으로 눌러줄 때 상기 근채류의 상단부에 삽입되어 상기 근채류의 상단부가 상기 승강누름판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용 가압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단부는 상기 근채류의 하단부가 일부 삽입되도록 상기 근채류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기 근채류의 둘레 외피를 절단하는 원통형상의 외피절단커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피절단커터부는, 상단부에 반원형상의 요홈들이 상호 인접하여 연결되게 형성되는 파형 칼날, 삼각형상의 요홈들이 상호 인접하여 연결되게 형성되는 톱니형 칼날, 또는 칼날부위가 일직선으로 형성되는 일자형 칼날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단부는, 상기 외피절단커터부의 둘레 외측에 돌출되도록 복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외피절단커터부에 의해 근채류와 분리된 둘레 외피를 복수 개로 분할 절단시키는 수직판형상의 외피분할커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단부는, 상기 외피절단커터부의 하부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된 원통형상의 배출유도부에 착탈 결합되는 커터하우징을 더 포함하되, 상기 커터하우징은 외주면에 하향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외피분할커터부에 의해 분할된 둘레 외피가 상기 경사면을 따라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단부는, 상기 커터하우징의 양측에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외피분할커터부에 의해 분리된 둘레 외피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가이드하는 외피배출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근채류 탈피장치는, 상기 상부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근채류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는 상기 근채류의 길이에 대응되도록 상하 높이 조절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상부 프레임에 수직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지지봉; 상기 절단부의 상부에 이격되게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봉에 고정되고, 상기 근채류의 측부가 삽입되는 요홈부가 형성되는 받침대; 및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서 상기 근채류의 길이에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봉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하 높이 조절 후 상기 근채류의 상단부가 삽입되어 지지되며, 상기 승강누름판이 통과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지지캡;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근채류 탈피장치에 따르면, 무, 당근 등과 같은 근채류를 칼날이 형성된 절단부에 삽입되게 올린 후 작업자가 버튼을 작동시키면 승강가압부가 근채류를 눌러주어 하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절단부의 외피절단커터부에 의해 근채류의 외피(껍질)를 자동으로 쉽게 제거함과 동시에 탈피된 근채류의 먹을 수 있는 부분(알맹이)만을 추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피절단커터부에 의해 절단된 외피를 외피절단커터부의 둘레 외측에 방사형으로 돌출된 복수 개의 외피분할커터부가 근채류의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로 분할 절단함으로써, 근채류의 탈피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절단부의 칼날을 파형 칼날 또는 톱니형 칼날 형태로 형성하는 경우, 이러한 파형 칼날 및 톱니형 칼날은 일자형 칼날에 비해 근채류 하단부의 가장자리부가 깨지지 않게 근채류의 둘레 외피를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으며, 절단된 근채류의 둘레 외피가 칼날에 달라붙거나 끼이지 않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절단부의 양측에 하향 경사지게 외피배출관을 구비하여 외피절단커터부 및 외피분할커터부에 의해 분리된 외피를 배출되도록 가이드함으로써, 근채류의 외피 배출방향을 제어할 수 있고, 작업자가 배출된 근채류 외피를 청소하는데 걸리는 작업 시간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근채류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반구형의 지지캡을 근채류의 길이에 대응되도록 상하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길이를 갖는 근채류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채류 탈피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우측면도.
도 4는 도 1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근채류 탈피장치에서 승강가압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근채류 탈피장치에서 절단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정면도.
도 9는 도 7의 평면도.
도 10은 도 7의 종단면도.
도 11은 근채류 탈피장치의 절단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근채류 탈피장치의 절단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채류 탈피장치에 외피배출관이 구비된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채류 탈피장치의 제 1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채류 탈피장치의 제 2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근채류 탈피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채류 탈피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우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근채류 탈피장치에서 승강가압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종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근채류 탈피장치에서 절단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정면도이고, 도 9는 도 7의 평면도이며, 도 10은 도 7의 종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채류 탈피장치는 프레임부(100), 승강가압부(200), 절단부(300), 지지부(400) 및 배출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부(100)는 하부 프레임(110)과, 하부 프레임(110)의 상측으로 연장 설치되는 상부 프레임(120)을 구비할 수 있다.
하부 프레임(110)은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된 하부 플레이트(111)가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하부 플레이트(111)의 하부 네 모퉁이에 4개의 하부 포스트(113)가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4개의 하부 포스트는 연결바(115)를 통해 서로 연결하여 지지한다.
상부 프레임(120)은 하부 플레이트(111)의 상부 네 모퉁이에 4개의 상부 포스트(123)가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상부 포스트(123)의 상단부에 상부 플레이트(121)가 고정되어 수평방향으로 배치된다. 4개의 상부 포스트(123) 중 2개의 상부 포스트에 후술할 실린더를 작동시키는 한 쌍의 버튼스위치(125)가 설치되어, 사용자가 한 쌍의 버튼스위치(125)를 동시에 눌렀을 때만 후술할 실린더(210)가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상부 플레이트(121)에는 실린더 로드(211)가 상하로 관통할 수 있도록 관통홀(121a)이 후술할 절단부(300)의 원통형 외피절단커터부(310)의 중심과 일치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 포스트(123)를 하부 포스트(113)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부 포스트(123)와 하부 포스트(113)를 상하로 일치되게 위치하거나 상부 포스트(123)를 하부 포스트(113)보다 외측에 위치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부 플레이트(121)의 크기를 하부 플레이트(111)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부 플레이트(121)의 크기를 하부 플레이트(111)의 크기와 같거나 더 크게 형성할 수도 있다.
승강가압부(200)는 상부 프레임(120)에 설치되어 상하로 승강 작동함으로써 절단부(300)에 올려진 근채류(1)를 하방으로 가압하여 눌러주는 역할을 한다.
승강가압부(200)는 실린더(210), 승강누름판(220) 및 이탈방지용 가압돌기(230)를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210)는 절단부(300)와 대응되도록 상부 플레이트(121)의 상단에 직립되게 고정되며, 하방으로 신장하는 로드(211)를 구비할 수 있다. 로드(211)는 상부 플레이트(121)의 관통홀(121a)을 통해 상하로 신장 가능하다. 여기서, 실린더(210)는 공기를 작동 매체로 하여 로드(211)를 신장시키는 공압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승강누름판(220)은 실린더(210)의 작동에 의해 승강되도록 로드(211)의 하단부에 구비되며, 로드(211)가 신장함에 따라 하강하면서 근채류(1)의 상단부를 하방으로 눌러준다. 승강누름판(220)은 하강 시 후술할 지지캡(430)에 형성된 관통공(431)을 통과할 수 있도록 관통공(431)과 대응되는 형상이면서 관통공(431)의 직경보다는 작은 직경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캡(430)의 원형 관통공과 대응되도록 승강누름판(220)을 원형으로 형성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지지캡(430)의 관통공(431)을 사각형으로 형성할 경우에는 사각형의 관통공과 대응하도록 승강누름판(220)을 사각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탈방지용 가압돌기(230)는 승강누름판(220)의 하부 중심에 원뿔형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승강누름판(220)이 하강하면서 근채류(1)의 상단부를 하방으로 눌러줄 때 이탈방지용 가압돌기(230)가 근채류(1)의 상단부에 약간 삽입됨으로써, 근채류(1)의 상단부가 승강누름판(22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탈방지용 가압돌기(230)를 하나 형성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 개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이탈방지용 가압돌기(230)의 형상을 원뿔형으로 형성하는 것외에도 근채류(1)의 상단부에 소정 깊이로 삽입될 수 있는 첨두 형상의 다양한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절단부(300)는 하부 플레이트(111)의 상부에 승강가압부(200)와 수직선상으로 대응되게 설치되고, 근채류(1)의 하단부가 삽입되게 올려지며, 승강가압부(200)의 승강누름판(220)이 하방으로 작동하여 근채류(1)를 하방으로 가압함에 따라 근채류(1)의 둘레 외피(1b), 예컨대 껍질을 벗겨 절단함과 동시에 탈피된 근채류(1a)를 통과시킨다.
절단부(300)는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외피절단커터부(310), 외피분할커터부(320) 및 커터하우징(330)를 포함할 수 있다.
외피절단커터부(310)는 근채류(1)의 하단부가 일부 삽입되도록 근채류(1)의 직경보다 약간 작은 직경을 가지며, 근채류(1)의 둘레 외피(1b)를 절단하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외피절단커터부(310)의 원통형 직경과 근채류(1)의 직경의 차이만큼의 두께에 해당하는 근채류(1)의 둘레 외피(1b)를 절단할 수 있게 된다. 외피절단커터부(310)의 원통형 개구부(301)는 지지캡(430)의 관통공(431)과 수직선상으로 일치되도록 위치한다.
외피절단커터부(310)는 원통형의 상단부에 반원형상의 요홈들이 상호 인접하여 연결되게 형성되는 파형 칼날(311)을 구비할 수 있다. 파형 칼날(311)은 원통형의 상단부 외주면에 칼날이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파형 칼날(311)에 의해 탈피된 근채류(1)의 둘레 외피(1b)가 원통형의 외측 칼날의 하향 경사면(311a)을 따라 바깥쪽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파형 칼날(311)은 일자형 칼날(313)에 비해 근채류(1) 하단부의 가장자리부가 깨지지 않고 근채류(1)의 둘레 외피(1b)를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으며, 파형 칼날(311)에 의해 절단된 근채류(1)의 둘레 외피(1b) 또는 찌꺼기가 칼날에 달라붙거나 끼이지 않게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외피절단커터부(310)의 원통형 내주벽에는 상단부의 내경보다 아래쪽의 내경이 더 크게 형성되는 내경확장부(314)가 형성되어 파형 칼날(311)에 의해 탈피된 근채류(1a)가 내경확장부(314)에 의해 외피절단커터부(310)의 내부에서 아래쪽으로 더 잘 통과하도록 할 수 있다.
외피분할커터부(320)는 외피절단커터부(310)의 둘레 외측에 방사형으로 돌출되도록 복수 개가 구비되며, 외피절단커터부(320)에 의해 근채류(1)와 분리된 둘레 외피(1b)를 복수 개로 분할 절단시키는 수직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외피분할커터부(320)를 8개 형성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외피분할커터부(320)는 적어도 2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4개 이상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외피분할커터부(320)를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외피분할커터부(320)는 삼각형, 사각형, 반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외피분할커터부(320)는 상단부에 칼날(321)이 형성되는데, 일자형 칼날로 형성되고, 외피분할커터부(320)의 칼날(321) 높이는 외피절단커터부(310)의 상단부 파형 칼날(311)의 높이와 대략과 일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피분할커터부(320)의 칼날(321)은 상단부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외피분할커터부(320)의 상단부 양면에 칼날(32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터하우징(330)은 외피절단커터부(310)의 하부에 원통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커터하우징(330)은 하광상협의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커터하우징(330)의 외주면에 하향 경사면(331)이 형성됨으로써 외피분할커터부(320)에 의해 분할된 둘레 외피(1b)가 커터하우징(330)의 경사면(331)을 따라 자연스럽게 아래쪽으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커터하우징(330)은 하부 프레임(110)의 상부에 직립되게 설치된 원통형상의 근채류 배출유도부(340)에 착탈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터하우징(330)의 하단에 원형의 결합돌부(333)가 돌출 형성되고, 커터하우징(330)의 결합돌부(333)가 배출유도부(340)의 상단에 형성된 원형의 결합홈부(341)에 삽입됨으로써, 커터하우징(330)은 배출유도부(34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근채류(1)의 직경에 따라 그에 맞는 외피절단커터부(310)를 갖는 절단부(300)로 교체하여 배출유도부(340)에 장착할 수 있고, 외피절단커터부(310)의 칼날 모양, 예컨대 파형 칼날(311), 톱니형 칼날(312) 또는 일자형 칼날(313)에 따라 절단부(300)를 교체하여 배출유도부(340)에 장착할 수도 있다.
지지부(400)는 승강가압부(200)와 절단부(300)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부 프레임(120)에 설치되어 절단부(300)에 올려진 근채류(1)의 상단부를 지지한다. 또한, 지지부(400)는 근채류(1)의 길이에 대응되도록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지지부(400)는 지지봉(410), 받침대(420) 및 지지캡(430)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봉(410)은 상단부가 상부 플레이트(121)의 하부에 고정되게 수직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3개의 지지봉(410)이 설치되되, 실린더(210)를 중심으로 동심원상의 좌측, 우측 및 우방측에 각각의 지지봉(410)이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받침대(420)는 절단부(300)의 상부에 소정 높이로 이격되게 위치하도록 지지봉(410)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받침대(420)는 절단부(300)에 올려진 근채류(1)의 최상단부 높이보다 더 낮은 높이에 위치하도록 지지봉(410)의 하단부에 볼트(411)로 체결되거나 용접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받침대(420)는 근채류(1)를 절단부(300)에 올려놓을 때 근채류(1)의 측부가 전방에서 삽입될 수 있도록 전면에 요홈부(421)가 형성된 반원 형태의 받침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받침대(420)는 좌측, 우측, 후방측에 고정편(423)이 각각 돌출 형성되어 3개의 지지봉(410) 하단부에 볼트(411)로 체결 고정할 수 있다. 또한, 고정편(423)의 상부에는 고무패드(425)와 같은 완충부재가 구비되어 후술할 지지캡(430)이 하강할 때 받침대(42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지지캡(430)은 받침대(420)의 상부에서 근채류(1)의 길이에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지지봉(410)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예를 들어, 지지캡(430)은 좌측, 우측, 후방측에 이동편(433)이 각각 돌출 형성되고, 각각의 이동편(433)에 형성된 구멍(433a)에 각각의 지지봉(410)이 삽입됨으로써, 지지캡(430)은 지지봉(410)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지지캡(430)은 근채류(1)의 길이에 대응되도록 상하로 높이를 조절한 후 근채류(1)의 상단부가 삽입되어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도록 반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캡(430)은 상부 중앙에 관통공(431)이 형성되어 승강누름판(220)이 관통공(431)을 통과하면서 근채류(1)의 상단부를 눌러줄 수 있도록 한다. 승강누름판(220)이 하강 시 지지캡(430)의 관통공(431)을 통과할 수 있도록 지지캡(430)의 관통공(431)은 승강누름판(220)과 대응되는 형상이면서 승강누름판(220)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원형의 승강누름판(220)과 대응되도록 지지캡(430)의 관통공(431)을 원형으로 형성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승강누름판(220)을 사각형으로 형성할 경우에는 사각형의 승강누름판(220)과 대응하도록 지지캡(430)의 관통공(431)을 사각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배출부(500)는 하부 플레이트(111)의 하부에 배출유도부(340)와 연통되게 설치되어 절단부(300)에 의해 탈피된 근채류(1a)를 배출시킨다. 배출부(500)는 탈피된 근채류(1a)를 장치의 후방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구(501)의 방향이 후방측으로 굴곡된 'ㄴ' 자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은 근채류 탈피장치의 절단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단부(300)는 외피절단커터부(310), 외피분할커터부(320) 및 커터하우징(330)을 포함하며, 외피절단커터부(310)가 톱니형 칼날(312)을 구비하는 구성을 제외하고는 도 7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형 칼날(311)의 절단부(300)와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일 실시예의 절단부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인 외피분할커터부(320) 및 커터하우징(330)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상기 일 실시예의 절단부와 상이한 구성인 톱니형 칼날(312)을 구비하는 외피절단커터부(310)에 대해서만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외피절단커터부(310)는 근채류(1)의 하단부가 일부 삽입되도록 근채류(1)의 직경보다 약간 작은 직경을 가지며, 근채류(1)의 둘레 외피(1b)를 절단하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외피절단커터부(310)는 원통형의 상단부에 삼각형상의 요홈들이 상호 인접하여 연결되게 형성되는 톱니형 칼날(312)을 구비할 수 있다. 톱니형 칼날(312)은 원통형의 상단부 외주면에 칼날이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톱니형 칼날(312)에 의해 탈피된 근채류(1)의 둘레 외피(1b)가 원통형의 외측 칼날의 하향 경사면(312a)을 따라 바깥쪽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2는 근채류 탈피장치의 절단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단부(300)는 외피절단커터부(310), 외피분할커터부(320) 및 커터하우징(330)을 포함하며, 외피절단커터부(310)가 일자형 칼날(313)을 구비하는 구성을 제외하고는 도 7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형 칼날(311)의 절단부(300)와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일 실시예의 절단부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인 외피분할커터부(320) 및 커터하우징(330)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상기 일 실시예의 절단부와 상이한 구성인 일자형 칼날(313)을 구비하는 외피절단커터부(310)에 대해서만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외피절단커터부(310)는 근채류(1)의 하단부가 일부 삽입되도록 근채류(1)의 직경보다 약간 작은 직경을 가지며, 근채류(1)의 둘레 외피(1b)를 절단하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외피절단커터부(310)는 원통형의 상단부에 칼날부위가 일직선으로 형성되는 일자형 칼날(313)을 구비할 수 있다. 일자형 칼날(313)은 원통형의 상단부 외주면에 칼날이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일자형 칼날(313)에 의해 탈피된 근채류(1a)의 둘레 외피(1b)가 원통형의 외측 칼날의 하향 경사면(313a)을 따라 바깥쪽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채류 탈피장치에 외피배출관이 구비된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근채류 탈피장치는 절단부(300)의 커터하우징(330)의 양측에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외피분할커터부(320)에 의해 분리된 둘레 외피(1b)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가이드하는 외피배출관(350)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외피배출관(350)을 통해 근채류(1)의 둘레 외피(1b)의 배출방향을 제어함으로써, 작업자가 배출된 둘레 외피(1b)를 청소하는데 걸리는 작업 시간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채류 탈피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400)의 지지캡(430)을 상부로 들어 올린 상태에서 근채류(1)의 하단부가 절단부(300)의 외피절단커터부(310)에 삽입되게 올린다. 이때, 근채류(1)의 직경이 원통형 외피절단커터부(310)의 직경보다 약간 더 크기 때문에 근채류(1)는 외피절단커터부(310)의 내부를 통과하지 못하고 근채류(1)의 하단부가 외피절단커터부(310)에 일부 삽입되면서 근채류(1)의 하단부 둘레부분이 걸린 상태로 올려지게 된다.
근채류(1)를 절단부(300)에 올린 후 근채류(1)의 길이에 맞게 지지캡(430)을 하강시키면 반구형상의 지지캡(430)이 근채류(1)의 상단부를 감싸면서 근채류(1)가 좌우로 이동하지 않도록 근채류(1)의 상단부를 지지하게 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버튼스위치(125)를 동시에 누르면 실린더(210)의 로드(211)가 하방으로 신장되면서 지지캡(430)의 관통공(431)을 통과하게 되고, 로드(211)의 하단부에 고정된 승강누름판(220)이 근채류(1)의 상단부를 하방으로 가압하여 눌러주게 된다. 이때, 승강누름판(220)의 하부에 원뿔형으로 돌출 형성된 이탈방지용 가압돌기(230)가 근채류(1)의 상단부에 약간 삽입됨으로써, 승강누름판(220)이 근채류(1)를 가압하여 눌러주는 과정에서 근채류(1)의 상단부가 승강누름판(220)으로부터 좌우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승강누름판(220)이 근채류(1)를 가압하여 하방으로 눌러줌에 따라 절단부(300)의 외피절단커터부(310)에 삽입되게 올려진 근채류(1)는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근채류(1)가 하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외피절단커터부(310)는 근채류(1)의 둘레 외피(1b)를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절단하게 된다. 이때, 외피절단커터부(310)에 의해 절단된 둘레 외피(1b)는 외피절단커터부(310)의 둘레 외측에 방사형으로 돌출된 복수 개의 외피분할커터부(320)에 의해 근채류(1)의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로 분할 절단된 후 외피배출관(35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외피절단커터부(310) 및 외피분할커터부(320)에 의해 탈피된 근채류(1a)를 승강누름판(220)이 하방으로 최하단까지 이동하여 눌러줌에 따라 탈피된 근채류(1a)는 원통형 외피절단커터부(310)의 내부를 통과한 후 배출유도관(340)을 지나 배출부(500)의 후방 배출구(501)를 통해 외부로 자동 배출된다.
본 발명의 근채류 탈피장치에 따르면, 무, 당근 등과 같은 근채류(1)를 칼날이 형성된 절단부(300)에 삽입되게 올린 후 작업자가 버튼을 작동시키면 승강가압부(200)가 근채류(1)를 눌러주어 하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절단부(300)의 외피절단커터부(310)에 의해 근채류(1)의 외피(1b)를 자동으로 쉽게 제거함과 동시에 탈피된 근채류(1a)의 먹을 수 있는 부분(알맹이)만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외피절단커터부(310)에 의해 절단된 외피(1b)를 외피절단커터부(310)의 둘레 외측에 방사형으로 돌출된 복수 개의 외피분할커터부(320)가 근채류(1)의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로 분할 절단함으로써, 근채류(1)의 탈피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절단부(300)의 칼날을 파형 칼날(311) 또는 톱니형 칼날(312) 형태로 형성하는 경우, 이러한 파형 칼날(311) 및 톱니형 칼날(312)은 일자형 칼날(313)에 비해 근채류(1) 하단부의 가장자리부가 깨지지 않게 근채류(1)의 둘레 외피(1b)를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으며, 근채류(1)의 둘레 외피(1b)가 칼날에 달라붙거나 끼이지 않게 한다. 또한, 절단부(300)의 양측에 하향 경사지게 외피배출관(350)을 구비하여 외피절단커터부(310) 및 외피분할커터부(320)에 의해 분리된 외피(1b)를 배출되도록 가이드함으로써, 근채류(1)의 외피(1b) 배출방향을 제어할 수 있고, 작업자가 배출된 근채류 외피(1b)를 청소하는데 걸리는 작업 시간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근채류(1)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반구형의 지지캡(430)을 근채류(1)의 길이에 대응되도록 상하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길이를 갖는 근채류(1)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자격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 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프레임부 110 : 하부 프레임
120 : 상부 프레임 200 : 승강가압부
210 : 실린더 211 : 로드
220 : 승강누름판 230 : 이탈방지용 가압돌기
300 : 절단부 310 : 외피절단커터부
311 : 파형 칼날 312 : 톱니형 칼날
313 : 일자형 칼날 314 : 내경확장부
320 : 외피분할커터부 330 : 커터하우징
340 : 배출유도부 350 : 외피배출관
400 : 지지부 410 : 지지봉
420 : 받침대 430 : 지지캡
500 : 배출부

Claims (10)

  1. 하부 프레임 및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측으로 연장 설치되는 상부 프레임을 구비하는 프레임부;
    상기 상부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하로 승강 작동하는 승강가압부;
    상기 하부 프레임에 상기 승강가압부와 대응되게 설치되고, 근채류의 하단부가 삽입되게 올려지며, 상기 승강가압부가 하방으로 작동하여 상기 근채류를 가압함에 따라 상기 근채류의 둘레 외피를 절단하면서 탈피된 근채류를 통과시키는 절단부; 및
    상기 승강가압부와 상기 절단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상부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근채류의 상단부를 지지하며, 상기 근채류의 길이에 대응되도록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는,
    상기 상부 프레임에 수직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지지봉;
    상기 절단부의 상부에 이격되게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봉에 고정되고, 상기 근채류를 상기 절단부에 올려놓을 때 상기 근채류의 측부가 전방에서 삽입될 수 있도록 전면에 요홈부가 형성된 반원 형태의 받침대; 및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서 상기 근채류의 길이에 대응되게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봉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하 높이 조절 후 상기 근채류의 상단부가 삽입되어 지지되며, 상기 승강가압부에 설치되어 상기 근채류의 상단부를 하방으로 눌러주는 승강누름판이 통과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지지캡;을 포함하고,
    상기 절단부는, 상기 근채류의 하단부가 일부 삽입되도록 상기 근채류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기 근채류의 둘레 외피를 절단하는 원통형상의 외피절단커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피절단커터부는, 상단부에 반원형상의 요홈들이 상호 인접하여 연결되게 형성되는 파형 칼날, 삼각형상의 요홈들이 상호 인접하여 연결되게 형성되는 톱니형 칼날, 또는 칼날부위가 일직선으로 형성되는 일자형 칼날을 구비하고,
    상기 파형 칼날, 톱니형 칼날 또는 일자형 칼날은 상단부 외주면이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외피절단커터부의 원통형 내주벽은 상단부의 내경보다 아래쪽의 내경이 더 크게 형성되는 내경확장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채류 탈피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가압부는,
    상기 절단부와 대응되도록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단 일측에 설치되며, 하방으로 신장하는 로드를 구비하는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승강되도록 상기 로드의 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로드가 신장함에 따라 하강하면서 상기 근채류의 상단부를 하방으로 눌러주는 승강누름판;을 포함하는 근채류 탈피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가압부는, 상기 승강누름판의 하부에 원뿔형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승강누름판이 하강하면서 상기 근채류의 상단부를 하방으로 눌러줄 때 상기 근채류의 상단부에 삽입되어 상기 근채류의 상단부가 상기 승강누름판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용 가압돌기를 더 포함하는 근채류 탈피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상기 외피절단커터부의 둘레 외측에 돌출되도록 복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외피절단커터부에 의해 근채류와 분리된 둘레 외피를 복수 개로 분할 절단시키는 수직판형상의 외피분할커터부를 더 포함하는 근채류 탈피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상기 외피절단커터부의 하부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된 원통형상의 배출유도부에 착탈 결합되는 커터하우징을 더 포함하되,
    상기 커터하우징은 외주면에 하향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외피분할커터부에 의해 분할된 둘레 외피가 상기 경사면을 따라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채류 탈피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상기 커터하우징의 양측에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외피분할커터부에 의해 분리된 둘레 외피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가이드하는 외피배출관을 더 포함하는 근채류 탈피장치.
  9. 삭제
  10. 삭제
KR1020160045764A 2016-04-14 2016-04-14 근채류 탈피장치 KR1018774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5764A KR101877472B1 (ko) 2016-04-14 2016-04-14 근채류 탈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5764A KR101877472B1 (ko) 2016-04-14 2016-04-14 근채류 탈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7832A KR20170117832A (ko) 2017-10-24
KR101877472B1 true KR101877472B1 (ko) 2018-07-11

Family

ID=60299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5764A KR101877472B1 (ko) 2016-04-14 2016-04-14 근채류 탈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74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3000A (ko) * 2021-11-18 2023-05-25 주식회사 엠티솔루션 탈피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4379B1 (ko) * 2017-06-16 2020-06-17 신광선 채소껍질 박피장치
KR102001596B1 (ko) * 2018-07-30 2019-07-19 정우엔텍 주식회사 무 껍질 박피장치
CN109520770A (zh) * 2019-01-17 2019-03-26 山东省农业科学院农业质量标准与检测技术研究所 一种设施农业根茎类蔬菜取样器
CN111588260A (zh) * 2020-06-09 2020-08-28 惠安县华洛广告设计中心 一种智能高效型水果刮皮机构装置系统
CN112352968A (zh) * 2020-10-28 2021-02-12 游宜生 一种食品加工用瓜果削皮切条设备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4694Y1 (ko) * 2000-03-02 2000-09-01 최영민 과일의 껍질 분리기
JP3752605B2 (ja) * 1995-11-16 2006-03-08 株式会社平野製作所 パイナップルカッター
KR101447372B1 (ko) * 2013-06-20 2014-10-06 정연선 파인애플 자동절단장치
KR20140132580A (ko) * 2013-05-08 2014-11-18 윤종활 쌈무 제조장치
KR101595973B1 (ko) * 2015-01-16 2016-02-19 김형훈 파인애플 자동 절단장치
KR20160023403A (ko) * 2014-08-22 2016-03-03 정연선 파인애플 오토필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52605B2 (ja) * 1995-11-16 2006-03-08 株式会社平野製作所 パイナップルカッター
KR200194694Y1 (ko) * 2000-03-02 2000-09-01 최영민 과일의 껍질 분리기
KR20140132580A (ko) * 2013-05-08 2014-11-18 윤종활 쌈무 제조장치
KR101447372B1 (ko) * 2013-06-20 2014-10-06 정연선 파인애플 자동절단장치
KR20160023403A (ko) * 2014-08-22 2016-03-03 정연선 파인애플 오토필러
KR101595973B1 (ko) * 2015-01-16 2016-02-19 김형훈 파인애플 자동 절단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3000A (ko) * 2021-11-18 2023-05-25 주식회사 엠티솔루션 탈피장치
KR102648086B1 (ko) * 2021-11-18 2024-03-15 주식회사 엠티솔루션 탈피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7832A (ko) 2017-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7472B1 (ko) 근채류 탈피장치
KR102235511B1 (ko) 과실 씨 제거장치
US3128810A (en) Fruit corer and quartering device
KR102058772B1 (ko) 음식물 삽입 장치를 포함하는, 취사용 가전 기기
KR101458328B1 (ko) 매실씨 분리기
KR101911941B1 (ko) 근채류 박피장치
CN105263369A (zh) 双驱动榨汁机
CN204868974U (zh) 一种多功能切菜器
CN110605751B (zh) 一种中药饮片制取多头式制片机
CN211220975U (zh) 一种水果分瓣装置
KR101881311B1 (ko) 근채류 탈피장치
KR200460687Y1 (ko) 스팀압을 이용한 밤 껍질 탈피장치
KR200488322Y1 (ko) 매실씨 분리기
CN218342222U (zh) 可切丁的高效切菜机
KR101909229B1 (ko) 청과 절단 장치
KR20130142362A (ko) 양파 가공기
US3016608A (en) Pie cutter
RU166433U1 (ru)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я удаления кочерыжек капусты
CN210055607U (zh) 一种榨汁机的压榨模组
CN210987969U (zh) 一种方便清洗的鸭脖切断机
CN210055605U (zh) 一种榨汁机的压榨模组
KR102430599B1 (ko) 과실 씨 제거방법 및 과실 씨 제거장치
CN106376938A (zh) 山楂去核切片两步操作一体机
KR102268629B1 (ko) 과실 씨 제거장치
CN213971460U (zh) 切菜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