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1596B1 - 무 껍질 박피장치 - Google Patents

무 껍질 박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1596B1
KR102001596B1 KR1020180088408A KR20180088408A KR102001596B1 KR 102001596 B1 KR102001596 B1 KR 102001596B1 KR 1020180088408 A KR1020180088408 A KR 1020180088408A KR 20180088408 A KR20180088408 A KR 20180088408A KR 102001596 B1 KR102001596 B1 KR 1020015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plate
peeled
center
plat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8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광선
Original Assignee
정우엔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우엔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우엔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88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15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1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15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7/00Peeling vegetables or fruit
    • A23N7/02Peeling potatoes, apples or similarly shaped vegetables or frui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7/00Peeling vegetables or fruit
    • A23N7/10Driv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24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to obtain segments other than slices, e.g. cutting pies
    • B26D3/26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to obtain segments other than slices, e.g. cutting pie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fruit or vegetables, e.g. for on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박피 대상물인 무의 위치를 정확하게 잡아주고, 박피작업 중 박피 대상물의 무의 껍질을 완벽하게 박피해줌으로써, 박피 대상물인 무의 껍질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무 껍질 박피장치{Daikon skin peeling equipment}
본 발명은 무 껍질 박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소정의 두께로 절단된 무(10)의 껍질을 박피하는 무 껍질 박피장치(1)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무(10)가 적재되는 무적재실(100);와, 상기 무적재실(100)의 최하부에 위치된 상기 무(10)를 밀어주는 무공급푸시부재(200);와, 상기 무공급푸시부재(200)에 의해 이동된 상기 무(10)가 안착되는 무안착플레이트(300);와, 상기 무안착플레이트(300)에 안착된 상기 무(10)를 상기 무안착플레이트(300)의 중심에 위치시키는 무위치가이드부재(400);와, 상기 무(10)의 상부로부터 하강하여 상기 무(10)를 고정하고 회전시키는 무 고정 및 회전가이드부재(500);와, 상기 무(10)의 측면으로부터 전, 후진하여 상기 무 고정 및 회전가이드부재(500)에 의해 회전되고 있는 상기 무(10)의 껍질을 박피하는 칼날부재(600); 및 껍질이 박피된 상기 무(10)가 상기 무 고정 및 회전가이드부재(500)에 의해 상승하는 과정에서 상기 무(10)가 접촉되어 상기 무(10)를 상기 무안착플레이트(300)로 낙하시키는 걸림부재(7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 껍질 박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채소라함은 샐러드나 조리용으로 재배하는 작물로서, 과채류(果菜類), 협채류(莢菜類), 근채류(根菜類), 경엽채류(莖葉菜類), 구근류(球根類)등이 있다.
이 중, 구근류는 알뿌리를 가진 식물의 종류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고구마, 감자, 무, 마늘, 당근 등이 있다. 특히, 구근류 중에서 무는 십자화과에 속하는 초본식물로서 무수, 무시라고도 불리며, 크기는 15㎝∼30㎝ 내외이며, 무게는 300g∼1.5㎏ 정도 된다.
이러한 무를 조리하여 섭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무의 표면에 묻어있는 흙을 닦아낸 후 무 표면의 껍질을 벗겨내고 알맞은 크기로 절단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한편, 무 표면의 껍질을 벗겨내기 위해서는 칼, 박피기, 필러, 채칼 등을 사용하여 수작업으로 무 표면의 껍질을 벗겨내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하지만, 무를 대량으로 소비하는 음식물 제조업체(예컨대, 김치공장 등)에서는 상기한 수작업 도구를 이용하는 경우, 무를 다듬는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반복작업으로 인해 작업자의 피로도가 증가하여 작업능률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관련업계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노력들이 이루어져 왔는데, 그 중 하나의 예를 들면 하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90099호(이하, ‘특허문헌’ 1 이라고 함.)에는, 스프링의 장력으로 절단 칼날의 돌출정도를 조정하여 과일이나 채소류의 껍질을 균일한 두께와 일정한 폭으로 제거하기 위한 과일 껍질 제거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하부 원판(1) 상부에 하부 고정 핀(6)이 설치되고 후방에 기둥(4)이 설치되어 절단 칼날부 슬라이드 몸체(2)와, 샤프트(스크류)(10)와 선 접촉할 수 있는 핀(16), 핀 고정용 볼 플런저(15), 그리고 상부 고정 핀 몸체(3)가 형성되고, 기둥(4) 내부에는 샤프트(스크류)(10)와 타이밍 풀리(11,13), 타이밍 벨트(12)가 형성되고 맨 위에는 이들을 회전 시킬 수 있는 핸들(5)이 설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에 따른 과일 껍질 제거기는 상, 하부고정핀에 대상물이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될 경우, 대상물이 회전력에 의해 외부로 이탈되기 때문에 대상물의 껍질을 안정적으로 벗길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90099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박피 대상물인 무의 위치를 정확하게 잡아주고, 박피작업 중 박피 대상물의 무의 껍질을 완벽하게 박피해줌으로써, 박피 대상물인 무의 껍질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는 채소껍질 박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 껍질 박피장치는, 소정의 두께로 절단된 무(10)의 껍질을 박피하는 무 껍질 박피장치(1)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무(10)가 적재되는 무적재실(100);와, 상기 무적재실(100)의 최하부에 위치된 상기 무(10)를 밀어주는 무공급푸시부재(200);와, 상기 무공급푸시부재(200)에 의해 이동된 상기 무(10)가 안착되는 무안착플레이트(300);와, 상기 무안착플레이트(300)에 안착된 상기 무(10)를 상기 무안착플레이트(300)의 중심에 위치시키는 무위치가이드부재(400);와, 상기 무(10)의 상부로부터 하강하여 상기 무(10)를 고정하고 회전시키는 무 고정 및 회전가이드부재(500);와, 상기 무(10)의 측면으로부터 전, 후진하여 상기 무 고정 및 회전가이드부재(500)에 의해 회전되고 있는 상기 무(10)의 껍질을 박피하는 칼날부재(600); 및 껍질이 박피된 상기 무(10)가 상기 무 고정 및 회전가이드부재(500)에 의해 상승하는 과정에서 상기 무(10)가 접촉되어 상기 무(10)를 상기 무안착플레이트(300)로 낙하시키는 걸림부재(7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무위치가이드부재(400)는, 제1 구동부(411)가 형성되는 지지플레이트(410)와, 상기 제1 구동부(411)와 연결되어 상기 제1 구동부(411)에 의해 승, 하강되는 연결플레이트(420)와, 상기 연결플레이트(420) 상부에 구비되되, 상부에 외주면이 경사진 곡면의 사면부(432)가 형성되는 승하강샤프트(431)를 포함하는 제2 구동부(430)와, 상기 제2 구동부(430)의 상부측에 구비되되, 중앙에 상기 사면부(432)가 이동되는 이동공(441)이 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이동공(441)과 연통되는 내부홈(442)이 다수개 형성되는 상부플레이트(440)와, 각각의 상기 내부홈(442)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승하강샤프트(431)의 상승 또는 하강 여부에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하여 상기 무(10)를 상기 무안착플레이트(300)의 중심에 위치시키는 중심이동가이드유닛(45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심이동가이드유닛(450)은, 전면에 상기 사면부(432)와 접촉되는 접촉경사부(452)가 형성되는 몸체부(451)와, 상기 몸체부(451)의 상부에 “ㄱ”형상으로 절곡형성되는 가압걸이부재(453)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부(451)의 후면측과 상기 내부홈(442)의 내측면 사이에는 상기 몸체부(451)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46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무안착플레이트(300)의 내측에는 상기 제1 구동부(411)의 구동에 의해 상부플레이트(440)가 상승하고 상기 제2 구동부(430)의 구동 여부에 따라 상기 중심이동가이드유닛(450)이 전진 또는 후진하는 과정에서 상기 가압걸이부재(453)가 상기 무안착플레이트(300)를 통과하여 상기 무안착플레이트(300)의 중심측으로 전진하거나 후진되도록 이동안내홈(310)이 타공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무 고정 및 회전가이드부재(500)는, 제2 리니어부(510)와, 상기 제2 리니어부(510)에 결합되는 모터부(520)와, 상기 모터부(520)의 샤프트(521)에 형성되는 고정핀(530)으로 구성되어, 상기 무(10)가 상기 무안착플레이트(300)의 중심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2 리니어부(510)가 하강하여 상기 고정핀(530)을 통해 상기 무(10)를 고정시킨 후 회전시키고, 상기 무(10)의 껍질이 박피되면 상기 제2 리니어부(510)가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 리니어부(610)와, 상기 제1 리니어부(610)에 결합되는 실린더부(620)와, 상기 실린더부(620)에 결합되는 커팅부(630)로 구성되어, 상기 무(10)가 상기 무 고정 및 회전가이드부재(500)에 의해 회전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 리니어부(61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커팅부(630)를 전진시켜 상기 커팅부(630)가 상기 무(10)의 표면에 접촉되고 상기 실린더부(620)에 의해 상기 무(10)의 표면에 밀착되어 상기 무(10)의 껍질을 박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무적재실(100)의 일측에는 다수개의 상기 무(10)가 상기 무적재실(100)에 공급되도록 컨베이어 형태의 무공급부재(80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무안착플레이트(300)의 상부에는 껍질이 박피된 상기 무(10)를 밀어 상기 무안착플레이트(300)로부터 이탈시켜 외부로 토출되도록 무토출푸시부재(90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박피 대상물인 무의 위치를 정확하게 잡아주고, 박피작업 중 박피 대상물의 무의 껍질을 완벽하게 박피해줌으로써, 박피 대상물인 무의 껍질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 껍질 박피장치의 전체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 껍질 박피장치의 분해된 모습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 껍질 박피장치의 구성 중 무적재실, 무공급푸시부재 및 무공급부재의 모습을 보인 측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 껍질 박피장치의 구성 중 무위치가이드부재의 작동 모습을 보인 사시도 및 측면도
도 7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 껍질 박피장치가 작동되는 과정의 모습을 보인 실시예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 껍질 박피장치(1)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 또는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 껍질 박피장치(1)는 크게 무적재실(100), 무공급푸시부재(200), 무안착플레이트(300), 무위치가이드부재(400), 무 고정 및 회전가이드부재(500), 칼날부재(600), 걸림부재(700), 무공급부재(800) 및 무토출푸시부재(900)로 구성된다.
설명에 앞서, 상기 무 껍질 박피장치(1)는 그 작동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우징 역할을 하는 본체부(H)가 구성되고, 본체부(H)에는 상기 무 껍질 박피장치(1)의 구성요소들의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리니어 레일, 모터, 공압피팅장치, 실린더, 외부의 전원인가장치 등의 연동되는 구동요소들을 포함한 것으로서, 상기 구동요소들을 구성하고 작동되는 원리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수준의 기술수준에 해당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명확하고 상세한 설명을 위하여, 도면 중 일부의 도면에는 본 발명의 구성 중 일부 구성요소의 도시가 생략되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먼저, 무적재실(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무적재실(100)은 도 1 또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체부(H)의 일측에 구비되어 후술할 무공급부재(800)를 통해 공급되는 소정의 두께로 절단 된 무(10)가 다수개 적재되는 구성요소로서, 상부 일측은 상기 본체부(H)의 일측에 구비되는 상기 무공급부재(800)의 타측과 공간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무적재실(100)의 하부는 상기 무적재실(100)이 지지되는 판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형성하여 상기 무적재실(100)에 적재된 최하단의 무는 자유낙하하여 상기 무적재실(100)이 지지되는 판의 상부에 안착되어 후술할 무공급푸시부재(200)에 의해 무(10)가 본체부(H)의 타측방향으로 밀리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무공급부재(8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무공급부재(800)는 상기 무적재실(100)의 일측에 다수개의 상기 무(10)가 상기 무적재실(100)에 공급되도록 컨베이어 형태로 이루어진 구성요소이다.
다음으로, 무공급푸시부재(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무공급푸시부재(200)는 도 2 또는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체부(H)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무적재실(100)에 적재된 무(10) 중 상기 무적재실(100)이 지지되는 판의 상부에 안착된 무(10)를 후술할 무안착플레이트(300)로 밀어주는 구성요소로서, 전체적인 구조는 샤프트가 전진하고 후진하는 역할을 포함하는 실린더 형태를 취한다.
다음으로, 무안착플레이트(3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무안착플레이트(300)는 도 1 또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체부(H)의 중앙측에 위치되어 상기 무공급푸시부재(200)에 의해 이동된 무(10)가 안착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무안착플레이트(310)의 내측에는 장방형으로 길게 타공형성되는 이동안내홈(310)이 다수개 구성됨으로써, 후술할 가압걸이부재(453)가 상기 무안착플레이트(300)를 통과하여 상기 무안착플레이트(300)의 중심측으로 전진하거나 후진되는 것을 가능하게 해 준다.
이때, 상기 이동안내홈(310)은 상기 무안착플레이트(300)를 중심으로 원형으로 배치되고, 상기 가압걸이부재(453)와 같은 수로 형성되며, 형성위치 또한 각각의 상기 가압걸이부재(453)의 수직 및 수평이동경로와 호환되는 곳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무안착플레이트(300)의 전면측에는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토출경사부(320)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무토출푸시부재(900)에 의해 밀려난 상기 무(10)가 상기 무안착플레이트(300)로부터 이탈되어 전면측 하부에 위치한 보관함 또는 후공정을 위한 컨베이어 등으로 이동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다음으로, 무위치가이드부재(4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무위치가이드부재(400)는 도 2, 도 4, 도 5 또는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본체부(H)의 중앙측에 위치되고, 상기 무안착플레이트(300)의 하부측에 위치되어 상기 무안착플레이트(300)에 안착된 상기 무(10)를 상기 무안착플레이트(300)의 중심 위치에 정확히 위치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지지플레이트(410), 연결플레이트(420), 상부플레이트(440) 및 중심이동가이드유닛(450)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410)는 상기 본체부(H)에 안착되는 다수개의 승강피스톤 포함하는 구성요소로서, 상부 중앙에는 실린더 형태의 제1 구동부(411)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플레이트(420)는 상기 지지플레이트(410)의 상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구동부(411)와 연결되어 상기 제1 구동부(411)의 구동여부에 따라 승, 하강되는 구성요소로서, 상부에 다수개의 승강피스톤이 형성되고, 상부 중앙에는 실린더 형태의 제2 구동부(430)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제2 구동부(430)는 구동여부에 따라 승,하강되는 승하강샤프트(431)가 형성되고, 상기 승하강샤프트(431)의 상부 외주면에는 경사진 곡면으로 형성되는 삼각뿔 형태의 사면부(432)가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상기 사면부(432)는 후술할 중심이동가이드유닛(450)에 구성된 접촉경사부(452)와 결합관계를 가지며, 상기 제2 구동부(43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승하강샤프트(431)가 하강하게 되면, 상기 중심이동가이드유닛(450)과 결합관계를 가지는 후술할 탄성부재(46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사면부(432)의 표면에 접촉되어 있는 상기 접촉경사부(452)는 상기 사면부(432)에 형성된 경사를 따라 상기 승하강샤프트(431)의 중심측으로 이동하여 결국 상기 중심이동가이드유닛(450)이 상기 무안착플레이트(300)의 중심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반대로, 상기 제2 구동부(43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승하강샤프트(431)가 상승하게 되면, 상기 사면부(432)의 표면에 접촉되어 있는 상기 접촉경사부(452)는 상기 사면부(432)에 형성된 경사를 따라 상기 승하강샤프트(431)의 외측으로 밀려 이동하여 결국 상기 중심이동가이드유닛(450)이 상기 무안착플레이트(300)의 외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상부플레이트(440)는 상기 연결플레이트(420)의 상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플레이트(420)에 형성된 다수개의 승강피스톤과 연결되는 구성요소로서, 중앙에는 상기 사면부(432)가 이동되어 노출되는 이동공(441)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기 승하강샤프트(431)를 중심으로 원형으로 배치되고 상기 이동공(441)과 연통되며 상기 중심이동가이드유닛(450)과 탄성부재(460)가 안착되는 내부홈(442)이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중심이동가이드유닛(450)은 상기 승하강샤프트(431)를 중심으로 원형으로 배치되고, 각각의 상기 내부홈(442)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승하강샤프트(431)의 상승 또는 하강 여부에 따라 상기 사면부(432)에 의해 전진(승하강샤프트(431)의 중심측방향) 또는 후진(승하강샤프트(431)의 외측방향)하여 상기 무(10)를 상기 무안착플레이트(300)의 중심에 위치시키는 구성요소로서, 몸체부(451) 및 가압걸이부재(453)으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451)는 상기 내부홈(442)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부재(460)와 연결되어 상기 탄성부재(460)의 탄성력에 의해 전진하고, 상기 사면부(432)의 상승이동에 따라 후진하는 구성요소로서, 전면에는 상기 사면부(432)와 접촉되는 소정의 경사를 가진 접촉경사부(452)가 형성된다.
상기 가압걸이부재(453)는 상기 몸체부(451)의 상부에 “ㄱ”형상으로 절곡형성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탄성부재(46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몸체부(451)가 전진함에 따라 상기 무안착플레이트(300)에 안착된 상기 무(10)의 외측면에 접촉하여 상기 중심이동가이드유닛(450)의 원형 배치에 따라 상기 무(10)를 상기 무안착플레이트(300)의 중심에 위치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다음으로, 무 고정 및 회전가이드부재(5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무 고정 및 회전가이드부재(500)는 도 1 또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체부(H)의 중앙측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무(10)를 고정하고 회전시키는 구성요소로서, 본체부(H)에 형성된 리니어레일에 결합되는 제2 리니어부(510)와, 상기 제2 리니어부(510)에 결합되는 모터부(520)와, 상기 모터부(520)의 샤프트(521)에 형성되는 고정핀(530)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상기 무(10)가 상기 무안착플레이트(300)의 중심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2 리니어부(510)가 하강하여 상기 고정핀(530)을 통해 상기 무(10)를 고정시킨 후 상기 모터부(520)가 작동하여 상기 무(10)를 회전시키고, 상기 무(10)의 껍질이 후술할 칼날부재(600)에 의해 박피가 완료되면, 상기 제2 리니어부(510)가 상승하고 상기 무(10)를 상기 무안착플레이트(300)로 부터 들어올리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다음으로, 칼날부재(6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칼날부재(600)는 도 1 또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무안착플레이트(300)의 측면측에 위치되어 상기 무 고정 및 회전가이드부재(500)에 의해 회전되고 있는 상기 무(10)의 껍질을 박피하는 구성요소로서, 본체부(H)에 형성된 다른 리니어레일에 결합되는 제1 리니어부(610)와, 상기 제1 리니어부(610)에 결합되는 실린더부(620)와, 상기 실린더부(620)에 결합되는 커팅부(63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상기 무(10)가 상기 무 고정 및 회전가이드부재(500)에 의해 회전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 리니어부(61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커팅부(630)를 전진시켜 상기 커팅부(630)가 상기 무(10)의 표면에 접촉하여 상기 무(10)의 껍질을 박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일반적인 무는 상부로부터 하부로 연결되는 형상이 일정하지 않음으로써, 소정의 두께로 절단된 상기 무(10)는 그 지름이 각각 다르고 표면 또한 매끄럽지 않다.
이러한 다양한 형태의 상기 무(10)를 상기 실린더부(620)에 의한 공압조절을 통해 상기 커팅부(630)가 상기 무(10)의 표면에 일정하게 밀착되어 박피함으로써, 상기 무(10)의 껍질을 보다 효율적으로 박피하는 것이 가능 해 진다.
다음으로, 걸림부재(7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걸림부재(700)는 도 1 또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무안착플레이트(300)와 상기 무 고정 및 회전가이드부재(500) 사이에 위치되어, 껍질이 박피된 상기 무(10)가 상기 무 고정 및 회전가이드부재(500)에 의해 상승하는 과정에서 상기 무(10)가 접촉되어 상기 무(10)를 상기 무안착플레이트(300)로 낙하시켜 상기 무(10)가 외부로 토출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무토출푸시부재(9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무토출푸시부재(900)는 도 1 또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무안착플레이트(300)의 상부 측면측에 위치되어, 껍질이 박피된 상기 무(10)를 밀어 상기 무안착플레이트(300)로부터 이탈시켜 상기 무안착플레이트(300)의 전면측 하부에 위치한 보관함 또는 후공정을 위한 컨베이어 등으로 이동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17를 참조하여,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 껍질 박피장치(1)의 작동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무공급부재(800)를 통해 소정의 두께로 절단된 상기 무(10)는 상기 무적재실(100)로 이동하게 되고 다수개의 상기 무(10) 중 최하단에 위치한 상기 무(10)는 상기 무공급푸시부재(200)에 의해 상기 무안착플레이트(300)로 이동하게 된다.(도 7, 도 8)
이후, 상기 무안착플레이트(300)에 위치한 상기 무(10)는 상기 무위치가이드부재(400)의 구동에 의해 상기 무안착플레이트(300)의 중심으로 이동하게 된다.(도 9, 도 10, 도 11)
다음으로, 상기 무안착플레이트(300)의 중심으로 이동하게 된 상기 무(10)는 상기 무 고정 및 회전가이드부재(500)에 의해 고정되고, 이후 상기 무위치가이드부재(400)는 최초 위치로 되돌아가게 되며, 상기 무 고정 및 회전가이드부재(500)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도 12)
이후, 상기 무(10)가 회전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칼날부재(600)가 구동하여 상기 무(10)의 껍질을 박피한 후 박피가 완료되면 상기 칼날부재(600)는 최초 위치로 되돌아가게 된다.(도 13, 도 14)
다음으로, 껍질의 박피가 완료된 상기 무(10)는 상기 무 고정 및 회전가이드부재(500)에 의해 회전을 멈춘 후 상승하게 되고, 상승 중 상기 걸림부재(700)에 의해 걸려 낙하되어 상기 무안착플레이트(300)의 상부로 안착된다.(도 15)
이후, 상기 무안착플레이트(300)에 위치된 상기 무(10)는 상기 무토출푸시부재(900)에 의해 상기 무안착플레이트(300)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무안착플레이트(300)의 전면측 하부에 위치한 보관함 또는 후공정을 위한 컨베이어 등으로 이동된다.(도 16, 도 17)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무 껍질 박피장치
10: 무
100: 무적재실
200: 무공급푸시부재
300: 무안착플레이트 310: 이동안내홈
320: 토출경사부
400: 무위치가이드부재
410: 지지플레이트 411: 제1 구동부
420: 연결플레이트 430: 제2 구동부
431: 승하강샤프트 432: 사면부
440: 상부플레이트 441: 이동공
442: 내부홈 450: 중심이동가이드유닛
451: 몸체부 452: 접촉경사부
453: 가압걸이부재 460: 탄성부재
500: 무 고정 및 회전가이드부재
510: 제2 리니어부 520: 모터부
530: 고정핀
600: 칼날부재
610: 제1 리니어부 620: 실린더부
630: 커팅부
700: 걸림부재
800: 무공급부재
900: 무토출푸시부재

Claims (8)

  1. 소정의 두께로 절단된 무(10)의 껍질을 박피하는 무 껍질 박피장치(1)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무(10)가 적재되는 무적재실(100);
    상기 무적재실(100)의 최하부에 위치된 상기 무(10)를 밀어주는 무공급푸시부재(200);
    상기 무공급푸시부재(200)에 의해 이동된 상기 무(10)가 안착되는 무안착플레이트(300);
    상기 무안착플레이트(300)에 안착된 상기 무(10)를 상기 무안착플레이트(300)의 중심에 위치시키는 무위치가이드부재(400);
    상기 무(10)의 상부로부터 하강하여 상기 무(10)를 고정하고 회전시키는 무 고정 및 회전가이드부재(500);
    상기 무(10)의 측면으로부터 전, 후진하여 상기 무 고정 및 회전가이드부재(500)에 의해 회전되고 있는 상기 무(10)의 껍질을 박피하는 칼날부재(600);
    껍질이 박피된 상기 무(10)가 상기 무 고정 및 회전가이드부재(500)에 의해 상승하는 과정에서 상기 무(10)가 접촉되어 상기 무(10)를 상기 무안착플레이트(300)로 낙하시키는 걸림부재(700);로 구성되되,
    상기 무안착플레이트(300)의 상부에는 껍질이 박피된 상기 무(10)를 밀어 상기 무안착플레이트(300)로부터 이탈시켜 외부로 토출되도록 무토출푸시부재(90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 껍질 박피장치(1).
  2.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위치가이드부재(400)는,
    제1 구동부(411)가 형성되는 지지플레이트(410)와,
    상기 제1 구동부(411)와 연결되어 상기 제1 구동부(411)에 의해 승, 하강되는 연결플레이트(420)와,
    상기 연결플레이트(420) 상부에 구비되되, 상부에 외주면이 경사진 곡면의 사면부(432)가 형성되는 승하강샤프트(431)를 포함하는 제2 구동부(430)와,
    상기 제2 구동부(430)의 상부측에 구비되되, 중앙에 상기 사면부(432)가 이동되는 이동공(441)이 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이동공(441)과 연통되는 내부홈(442)이 다수개 형성되는 상부플레이트(440)와,
    각각의 상기 내부홈(442)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승하강샤프트(431)의 상승 또는 하강 여부에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하여 상기 무(10)를 상기 무안착플레이트(300)의 중심에 위치시키는 중심이동가이드유닛(45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 껍질 박피장치(1).
  3. 청구항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이동가이드유닛(450)은,
    전면에 상기 사면부(432)와 접촉되는 접촉경사부(452)가 형성되는 몸체부(451)와,
    상기 몸체부(451)의 상부에 “ㄱ”형상으로 절곡형성되는 가압걸이부재(453)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부(451)의 후면측과 상기 내부홈(442)의 내측면 사이에는 상기 몸체부(451)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46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 껍질 박피장치(1).
  4. 청구항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무안착플레이트(300)의 내측에는 상기 제1 구동부(411)의 구동에 의해 상부플레이트(440)가 상승하고 상기 제2 구동부(430)의 구동 여부에 따라 상기 중심이동가이드유닛(450)이 전진 또는 후진하는 과정에서 상기 가압걸이부재(453)가 상기 무안착플레이트(300)를 통과하여 상기 무안착플레이트(300)의 중심측으로 전진하거나 후진되도록 이동안내홈(310)이 타공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 껍질 박피장치(1).
  5.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 고정 및 회전가이드부재(500)는,
    제2 리니어부(510)와,
    상기 제2 리니어부(510)에 결합되는 모터부(520)와,
    상기 모터부(520)의 샤프트(521)에 형성되는 고정핀(530)으로 구성되어,
    상기 무(10)가 상기 무안착플레이트(300)의 중심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2 리니어부(510)가 하강하여 상기 고정핀(530)을 통해 상기 무(10)를 고정시킨 후 회전시키고, 상기 무(10)의 껍질이 박피되면 상기 제2 리니어부(510)가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 껍질 박피장치(1).
  6.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부재(600)는
    제1 리니어부(610)와,
    상기 제1 리니어부(610)에 결합되는 실린더부(620)와,
    상기 실린더부(620)에 결합되는 커팅부(630)로 구성되어,
    상기 무(10)가 상기 무 고정 및 회전가이드부재(500)에 의해 회전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 리니어부(61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커팅부(630)를 전진시켜 상기 커팅부(630)가 상기 무(10)의 표면에 접촉되고 상기 실린더부(620)에 의해 상기 무(10)의 표면에 밀착되어 상기 무(10)의 껍질을 박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 껍질 박피장치(1).
  7.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적재실(100)의 일측에는 다수개의 상기 무(10)가 상기 무적재실(100)에 공급되도록 컨베이어 형태의 무공급부재(80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 껍질 박피장치(1).






  8. 삭제
KR1020180088408A 2018-07-30 2018-07-30 무 껍질 박피장치 KR1020015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408A KR102001596B1 (ko) 2018-07-30 2018-07-30 무 껍질 박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408A KR102001596B1 (ko) 2018-07-30 2018-07-30 무 껍질 박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1596B1 true KR102001596B1 (ko) 2019-07-19

Family

ID=67511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8408A KR102001596B1 (ko) 2018-07-30 2018-07-30 무 껍질 박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1596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0099A (ko) 2001-09-20 2001-10-18 김광환 과일 껍질 제거기
KR20110000071A (ko) * 2009-06-26 2011-01-03 주식회사 파코엔지니어링 감자 탈피기
KR101060423B1 (ko) * 2009-12-08 2011-08-29 청도군농업기술센터 가공용 감의 자동 박피장치
KR20120024068A (ko) * 2010-09-03 2012-03-14 주식회사 삼원테크 무 등 구근류 자동 박피 장치
KR20170117832A (ko) * 2016-04-14 2017-10-24 김경범 근채류 탈피장치
KR20170118525A (ko) * 2016-04-15 2017-10-25 조인남 무 껍질 제거장치
KR20180068408A (ko) * 2016-12-14 2018-06-22 정연선 근채류 탈피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0099A (ko) 2001-09-20 2001-10-18 김광환 과일 껍질 제거기
KR20110000071A (ko) * 2009-06-26 2011-01-03 주식회사 파코엔지니어링 감자 탈피기
KR101060423B1 (ko) * 2009-12-08 2011-08-29 청도군농업기술센터 가공용 감의 자동 박피장치
KR20120024068A (ko) * 2010-09-03 2012-03-14 주식회사 삼원테크 무 등 구근류 자동 박피 장치
KR20170117832A (ko) * 2016-04-14 2017-10-24 김경범 근채류 탈피장치
KR20170118525A (ko) * 2016-04-15 2017-10-25 조인남 무 껍질 제거장치
KR20180068408A (ko) * 2016-12-14 2018-06-22 정연선 근채류 탈피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58469C (en) Melon wedger
KR20120106202A (ko) 자동 양파 탈피장치
JP3167028B2 (ja) 切断アセンブリ
CN106072693B (zh) 仿手工瓜果去皮机
CN107081802B (zh) 食物推动器、食物固定器系统以及厨用切片器
KR101832391B1 (ko) 무 껍질 제거장치
JP2012080851A (ja) リンゴ、柿、梨子、玉葱の農作物用の芯抜き、皮剥ぎ、かつ分割装置
US5806414A (en) Apparatus for removing rind from spheroidal fruits and vegetables
KR102114379B1 (ko) 채소껍질 박피장치
KR102001596B1 (ko) 무 껍질 박피장치
US6516713B1 (en) Produce mandrel system
US2383814A (en) Apple slicer
PL177280B1 (pl) Urządzenie do obierania długich warzyw
JP5838449B2 (ja) 結球野菜の芯を除去する方法及び装置
JP6132268B2 (ja) 皮剥き装置用保持具、皮剥き装置及び皮剥き方法
JP7254561B2 (ja) カボチャの種ワタ除去方法および装置
US20180015623A1 (en) Spiral cutting apparatus
KR100718816B1 (ko) 유자씨 배출장치
US4108565A (en) Potato processing
KR20010090099A (ko) 과일 껍질 제거기
CN213695634U (zh) 水果去皮装置
KR101671194B1 (ko) 머리고기 탈모장치
KR101764984B1 (ko) 양파 탈피 장치
US5329843A (en) Cherry pitter
JP7202600B2 (ja) 根切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