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4999B1 - 근채류 절단용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근채류 절단용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4999B1
KR101774999B1 KR1020160004156A KR20160004156A KR101774999B1 KR 101774999 B1 KR101774999 B1 KR 101774999B1 KR 1020160004156 A KR1020160004156 A KR 1020160004156A KR 20160004156 A KR20160004156 A KR 20160004156A KR 101774999 B1 KR101774999 B1 KR 101774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t
conveyor
feed
hopper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4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3454A (ko
Inventor
김경범
Original Assignee
김경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범 filed Critical 김경범
Publication of KR20170083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34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4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49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6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24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to obtain segments other than slices, e.g. cutting pies
    • B26D3/26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to obtain segments other than slices, e.g. cutting pie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fruit or vegetables, e.g. for on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6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 B26D7/0625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by endless conveyors, e.g.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0Cutting b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12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fixed, or normally fixed, relative to traction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30Details; Auxiliary devices
    • B65G17/38Chains or like traction elements; Connections between traction elements and load-carriers
    • B65G17/42Attaching load carriers to tract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4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2Rotary or reciprocating members for direct action on articles or materials, e.g. pushers, rakes, shov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2210/00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 B26D2210/02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for cutting food products, e.g. food slic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02Agricultural and processed food products
    • B65G2201/0211Fruits and veget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무, 오이 또는 단무지 등과 같은 근채류를 절단장치에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는 근채류 절단용 이송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채류 절단용 이송장치는, 무한궤도 형태로 회전하는 이송체인에 다수의 지지봉이 이송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롤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지지봉 위에 놓인 근채류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봉형 컨베이어부와, 컨베이어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컨베이어부에 의해 이송된 근채류를 호퍼부로 이동시키는 회전이송날개부와, 호퍼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회전이송날개부에 의해 호퍼부로 이동된 근채류를 절단장치 측으로 밀어 이동시키는 푸싱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근채류 절단용 이송장치{TRANSFER DEVICE FOR CUTTING ROOT VEGETABLES}
본 발명은 근채류 절단용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 오이 또는 단무지 등과 같은 근채류를 절단장치에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는 근채류 절단용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 오이 또는 단무지 등과 같은 근채류는 조리 방법 또는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절단되어 제공된다. 예컨대, 단무지의 경우를 보면 생무를 소금물에 장기간 절여 적당히 간이 베면 이를 세척한 후, 적당한 크기로 썰어서 반찬류로 이용되게 제공되는 식품으로서 일반가정에서는 김밥을 만드는데 사용하고 있으나, 대체적으로 음식점이나 분식점 등에서 대량으로 소비되고 있다. 이러한 단무지는 통상 얇게 썰거나 혹은 길이방향으로 절단하여 김밥용으로 이용하고 있는데, 종래에는 단무지의 절단을 일일이 수작업에 의존하였기 때문에 시간과 인력의 낭비가 심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이 개발하여 특허출원을 한 하기 특허문헌 표시와 같은 근채류 절단용 공급장치(이하 "선 출원" 이라 한다)를 사용하여 근채류를 대량으로 절단할 수 있다.
하기 특허문헌에 표시된 선 출원의 근채류 절단용 공급장치를 보면, 근채류 절단장치의 일측에 설치되며, 봉형 컨베이어, 회전이송날개 및 푸싱수단을 구비한다. 이를 통해, 봉형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근채류는 회전이송날개로 공급되고, 회전이송날개는 회전 작동으로 공급되는 근채류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즉, 봉형 컨베이어에 등간격으로 배열된 다수의 지지봉 위에 놓인 근채류가 봉형 컨베이어의 회전에 의해 회전이송날개로 이동하게 되고, 회전이송날개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등간격으로 설치된 다수의 날개들 사이의 공간으로 근채류를 받아들여 인접 설치된 푸싱수단을 갖는 호퍼로 근채류를 낙하시키게 되며, 호퍼에 투입된 근채류는 푸싱수단에 의해 절단장치로 밀어 넣어지게 함으로써 단무지와 같은 근채류가 대량으로 절단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봉형 컨베이어의 이송체인에 지지봉의 양단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이송과정에서 좌,우 이송체인 간 이송 간격 오차발생 시 지지봉에 좌우 비틀림이 발생하게 된다. 이로 인해 근채류를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하는 과정에서 근채류가 비틀리면서 일렬로 똑바로 정렬되지 않은 상태로 이송되어 이송과정에서 오작동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절단장치에 단무지를 공급하는 회전이송날개에 단무지 끼임 현상이나 부착 현상이 발생되어 절단장치에 의한 단무지의 연속적인 절단 작업에 막대한 지장을 주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즉, 봉형 컨베이어로부터 이송되는 단무지는 회전하는 회전이송날개에 의하여 푸싱수단을 갖는 호퍼쪽으로 신속하게 하나씩 이송되어야만 하는데, 봉형 컨베이어로부터 회전이송날개로 이송되는 단무지가 날개들 사이의 좁게 형성된 V자형 공간(측면에서 볼 때)내로 들어가 끼이는 일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단무지와 같은 근채류는 소프트한 재료이어서 날개들 사이에 더욱 심하게 끼게 되는 경향이 있어 회전이송날개로부터 그 다음 단계로의 신속한 이송에 큰 장애 요인이 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4-0150831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무, 오이 또는 단무지 등과 같은 근채류를 절단장치에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고, 이송과정에서 근채류가 비틀림없이 일렬로 똑바로 이송되도록 할 수 있는 근채류 절단용 이송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다수의 이송날개들 사이에 근채류가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근채류 절단용 이송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근채류 절단용 이송장치는, 근채류를 절단장치에 공급하는 근채류 절단용 이송장치에 있어서, 무한궤도 형태로 회전하는 이송체인에 다수의 지지봉이 이송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상기 지지봉 위에 놓인 상기 근채류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봉형 컨베이어부; 상기 컨베이어부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컨베이어부에 의해 이송된 상기 근채류를 호퍼부로 이동시키는 회전이송날개부; 및 상기 호퍼부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이송날개부에 의해 상기 호퍼부로 이동된 상기 근채류를 상기 절단장치 측으로 밀어 이동시키는 푸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부는 상기 지지봉이 상기 이송체인에 고정되거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부는 상기 이송체인에 이송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지지브라켓이 설치되고, 상기 지지브라켓에 회전축홀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봉의 회전축이 상기 회전축홀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봉은 상기 이송체인에 회전 롤링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브라켓은, 이웃하는 체인몸체를 서로 연결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체인몸체의 단부에 축결합되는 연결핀이 삽입되는 핀홀이 양단에 각각 형성되는 연결지지판; 및 상기 연결지지판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되게 연장되고, 상기 회전축홀이 형성되는 회전지지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이송날개부는, 상기 근채류의 이송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 간격으로 반경방향 외측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이송날개; 및 상기 이송날개들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이송날개들 사이에 존재하는 V자형 공간의 좁은 기저부를 차폐하면서 넓은 공간부만이 형성되게 하여 상기 근채류가 이송되는 과정에서 상기 이송날개들 사이에 끼이는 것을 방지하는 끼임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끼임방지부는 상기 이송날개들 사이의 기저부를 가로지르는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고 양단이 상기 이송날개들에 고정되는 끼임방지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날개는 중앙부분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깊이로 절개된 날개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부의 일측이 상기 날개홈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컨베이어부의 폭은 상기 날개홈의 폭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날개홈은 상기 이송날개의 반경방향 단부로부터 소정 깊이로 형성되는 제 1 홈부, 및 상기 제 1 홈부와 연장되도록 소정 깊이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홈부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 제 2 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체인은 무한궤도 형태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 1 홈부의 내부를 통과하고, 상기 지지봉은 상기 제 2 홈부의 내부를 통과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근채류 절단용 이송장치는, 상기 회전이송날개부와 상기 호퍼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날개에 의해 상기 호퍼부로 이송되는 상기 근채류가 상기 이송날개와 상기 호퍼부 사이로 빠지지 않도록 하는 빠짐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빠짐방지부는 상기 회전이송날개부와 상기 호퍼부 사이의 공간 및 상기 이송날개의 날개홈 내부 공간을 차폐하는 빠짐방지용 가이드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부의 폭방향 양측에 이송방향을 따라 한 쌍의 측면 가이드판이 설치되어 상기 컨베이어부에 의해 이동하는 상기 근채류의 양측면을 가이드하여 상기 근채류의 이송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상기 측면 가이드판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컨베이어부의 폭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장공에 볼트 체결을 통해 한 쌍의 상기 측면 가이드판의 폭방향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근채류 절단용 이송장치는 근채류를 절단장치에 공급하는 근채류 절단용 이송장치에 있어서, 무한궤도 형태로 회전하는 이송체인에 다수의 지지봉이 이송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상기 지지봉 위에 놓인 상기 근채류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봉형 컨베이어부; 상기 컨베이어부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컨베이어부에 의해 이송된 상기 근채류가 투입되는 호퍼부; 및 상기 호퍼부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컨베이어부에 의해 상기 호퍼부로 이동된 상기 근채류를 상기 절단장치 측으로 밀어 이동시키는 푸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근채류 절단용 이송장치는 상기 컨베이어부와 상기 호퍼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컨베이어부에 의해 상기 호퍼부로 이송되는 상기 근채류가 상기 컨베이어부와 상기 호퍼부 사이로 빠지지 않도록 하는 빠짐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호퍼부는 상기 근채류가 투입되는 반대측의 상부 일측에 이탈방지턱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호퍼부 내로 투입되는 상기 근채류가 상기 이탈방지턱에 의해 상기 호퍼부의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근채류 절단용 이송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봉형 컨베이어 상에서 이송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지지봉들 사이에 근채류가 놓인 상태에서 이동됨으로써 근채류가 가압되지 않고 이동될 수 있어 근채류가 손상 및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지지봉이 무한궤도 형태로 회전하는 이송체인에 롤링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지지봉의 좌우 비틀림 발생을 최소화함으로써, 이송과정에서 근채류가 비틀림없이 일렬로 똑바로 이송되도록 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은 회전이송날개부의 이송날개들 사이에 근채류 끼임방지판을 설치함으로써, 이송날개와 이송날개의 사이로 V자형 공간의 좁은 기저부를 없게 함과 아울러, 이송날개들 사이에 넓은 공간부만이 존재하게 하여 근채류를 절단장치로 이송함에 있어서 이송날개들 사이에 존재하는 V자형 공간의 좁은 기저부에 근채류가 끼이거나 달라붙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은 봉형 컨베이어부의 이송방향 말단부 일측이 날개홈의 내부에 삽입되게 위치하도록 컨베이어부의 폭은 날개홈의 폭보다 작게 형성함으로써, 컨베이어부와 이송날개부 사이의 공간발생을 최소화하여 컨베이어부로부터 이송날개부로 이송되는 근채류가 컨베이어부와 이송날개부 사이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은 봉형 컨베이어부와 호퍼부, 또는 회전이송날개부와 호퍼부 사이에 빠짐방지용 가이드판을 설치함으로써, 호퍼부로 이송되는 근채류가 봉형 컨베이어부와 호퍼부, 또는 회전이송날개부와 호퍼부 사이의 이격 공간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섯째, 본 발명은 컨베이어부의 폭방향 양측에 이송방향을 따라 한 쌍의 측면 가이드판이 설치되어 컨베이어부에 의해 이동하는 근채류의 양측면을 정렬 가이드함으로써, 이송과정에서 근채류가 비틀림없이 일렬로 똑바로 이송되어 호퍼부 내로 투입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측면 가이드판에 컨베이어부의 폭방향으로 형성된 장공에 볼트 체결을 통해 측면 가이드판을 폭방향으로 간격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근채류 절단용 이송장치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근채류 절단용 이송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근채류 절단용 이송장치에서 근채류를 이송시키는 이송수단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B부분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근채류 절단용 이송장치에서 회전이송날개의 사시도.
도 6은 Ⅵ-Ⅵ선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도 2의 A부분에 대한 사시도.
도 8은 봉형 컨베이어부에서 지지봉을 이송체인의 외측단에 결합한 실시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봉형 컨베이어부에서 지지봉을 이송체인에 고정 결합한 실시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봉형 컨베이어부에 측면 가이드판이 설치된 실시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근채류 절단용 이송장치의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근채류 절단용 이송장치에서 근채류를 이송시키는 이송수단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근채류 절단용 이송장치에서 봉형 컨베이어부의 지지봉을 이송체인의 외측단에 결합한 실시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근채류 절단용 이송장치의 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근채류 절단용 이송장치에서 근채류를 이송시키는 이송수단의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근채류 절단용 이송장치에서 봉형 컨베이어부의 지지봉을 이송체인의 외측단에 결합한 실시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근채류 절단용 이송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근채류 절단용 이송장치의 측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근채류 절단용 이송장치에서 근채류를 이송시키는 이송수단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B부분 확대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근채류 절단용 이송장치에서 회전이송날개의 사시도이고, 도 6은 Ⅵ-Ⅵ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2의 A부분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봉형 컨베이어부에서 지지봉을 이송체인의 외측단에 결합한 실시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봉형 컨베이어부에서 지지봉을 이송체인에 고정 결합한 실시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0은 봉형 컨베이어부에 측면 가이드판이 설치된 실시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근채류 절단용 이송장치는 봉형 컨베이어부(100), 회전이송날개부(200), 호퍼부(300), 빠짐방지부(400) 및 푸싱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봉형 컨베이어부(100)는 다수의 지지봉(120)을 이송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이러한 지지봉(120)이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각 지지봉(120)의 양단은 무한궤도 형태로 회전하는 이송체인(110)에 설치된다.
이송체인(110)은 스프로킷(140)에 걸려 스프로킷(140)이 회전함에 따라 무한궤도 형태로 회전하여 지지봉(120)을 수평으로 이동시키며, 이렇게 수평으로 이동하는 지지봉(120)들의 위에 놓인 무, 오이 또는 단무지 등과 같은 근채류(1)가 지지봉(120)의 이동에 의해 일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송체인(110)은 스프로킷(140)의 회전에 의해 회동되고, 스프로킷(140)을 회전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구동수단(150)을 구비한다. 구동수단(151)은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나 구조가 단순하고 쉽게 구비할 수 있는 전동모터(미도시)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수단(151)의 동력을 스프로킷(140)에 전달하는 방법 또한 다양하므로 이를 제한할 수 없으나 전동모터를 사용할 경우 근채류(1)로부터 배출되는 수분으로부터 전동모터를 보호할 수 있게 봉형 컨베이어부(100)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도록 구동체인을 이용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수의 지지봉(120)은 서로 인접하여 설치되지 않고 소정 간격을 이루고 있으며, 이렇게 지지봉(120)들 사이에 간격을 둔 이유는 근채류(1)에 묻어 있는 물기가 지지봉(120)들 사이로 쉽게 배출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다수의 지지봉(120)은 이송체인(110)에 롤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송체인(110)에 이송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지지브라켓(130)이 설치되고, 지지브라켓(130)에 회전축홀(132a)이 형성되어 지지봉(120)의 회전축(121)이 회전축홀(132a)에 삽입되어 지지봉(120)의 양단은 이송체인(110)에 회전 롤링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지지봉(120)의 회전축(121)에는 직경을 관통하는 구멍(121a)이 형성되고, 회전축(121)이 회전축홀(132a)을 관통한 상태에서 구멍(121a)에 고정핀(123)이 삽입되어 지지봉(120)의 회전축(121)이 회전축홀(132a)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한다.
지지브라켓(130)은 연결지지판(131) 및 회전지지판(132)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지지판(131)은 이웃하는 체인몸체(111)를 서로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연결지지판(131)은 체인몸체(111)의 단부에 축결합되는 연결핀(113)이 삽입되는 핀홀(131a)이 양단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회전지지판(132)은 연결지지판(131)의 상단 중앙 일측으로부터 돌출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회전지지판(132)에는 지지봉(120)의 회전축(121)이 삽입되는 회전축홀(132a)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봉(120)의 양단이 이송체인(110)에 고정된 구조의 경우에는 좌,우 이송체인(110) 간 이송 간격 오차발생 시 지지봉(120)에 좌우 비틀림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지지봉(120)의 양단을 이송체인(110)에 롤링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함으로써, 지지봉(120)의 좌우 비틀림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이송과정에서 근채류(1)가 비틀림없이 일렬로 똑바로 이송되도록 하여 이송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고, 근채류(1)를 이송하는 과정에서 지지봉(120) 위에 근채류(1)가 적재될 경우 현 위치에서 대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컨베이어부(100)의 이송방향 말단부 일측은 후술할 날개홈(221)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컨베이어부(100)의 폭(W1)은 날개홈(221)의 폭(W2)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처럼 컨베이어부(100)의 이송방향 일측이 날개홈(221)의 내부에 삽입되게 위치함으로써, 컨베이어부(100)와 회전이송날개부(200) 사이의 공간발생을 최소화하여 컨베이어부(100)로부터 회전이송날개부(200)로 이송되는 근채류(1)가 컨베이어부(100)와 회전이송날개부(200) 사이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송체인(110)의 내측단에 지지브라켓(130)을 설치하고 지지봉(120)의 양단부를 지지브라켓(1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지지봉(120)의 길이가 좌,우 이송체인(110)의 이격 거리보다 작게 형성하여 지지봉(120)이 좌,우 이송체인(110)의 내측에 위치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체인(110)의 외측단에 지지브라켓(130)을 설치하고 지지봉(120)의 양단부를 지지브라켓(1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지지봉(120)의 길이와 좌,우 이송체인(110)의 이격 거리가 동일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봉(120)의 양단이 이송체인(110)에 롤링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봉(120)의 양단이 이송체인(110)에 고정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컨베이어부(100)의 폭방향 양측에는 이송방향을 따라 한 쌍의 측면 가이드판(160)이 길게 설치되어 컨베이어부(100)에 의해 이동하는 근채류(1)의 양측면을 정렬 가이드함으로써, 이송과정에서 근채류(1)가 비틀림없이 일렬로 똑바로 이송되어 호퍼부(300) 내로 투입될 수 있도록 한다.
한 쌍의 측면 가이드판(160) 중 적어도 하나에는 컨베이어부(100)의 폭방향으로 장공(161)이 형성되고, 장공(161)에 볼트(162) 체결을 통해 한 쌍의 측면 가이드판(160)의 폭방향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측면 가이드판(160) 중 어느 하나는 컨베이어부(100)를 기준으로 상판프레임(101)의 상부 일측에 고정되고, 한 쌍의 측면 가이드판(160) 중 다른 하나는 컨베이어부(100)를 기준으로 상판프레임(101)의 상부 타측에 컨베이어부(100)의 폭방향으로 장공(161)을 따라 이동한 후 볼트(162)로 체결됨으로써 측면 가이드판(160)의 폭방향 가변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컨베이어부(100)와 측면 가이드판(160)의 사이에 이송방향을 따라 레일, 예컨대 상면이 개방된 'ㄷ' 자 형상의 레일이 설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단무지와 같이 무른 근채류의 경우 컨베이어부에 의해 이송되는 과정에서 근채류의 양단이 측면 가이드판에 부딪힐 때 레일이 근채류 양단의 하부를 정렬 지지함으로써 근채류의 비틀림 발생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회전이송날개부(200)는 컨베이어부(100)의 이송방향 말단부 일측에 설치되며, 회전 작동을 통해 컨베이어부(100)에 의해 이송된 근채류(1)를 호퍼부(300)로 이동시킨다. 회전이송날개부(200)는 컨베이어부(100) 보다 낮게 설치되어 컨베이어부(100)에 의해 이송된 근채류(1)가 이송날개(220) 쪽으로 자연스럽게 낙하되면서 이동되도록 한다.
회전이송날개부(200)는 회전축(210), 이송날개(220) 및 끼임방지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축(210)은 구동수단(152)의 구동에 의해 근채류(1)의 이송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컨베이어부(100)의 말단부 일측 하부에 지지봉(120)과 나란하게 설치된다.
이송날개(220)는 회전축(210)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 간격으로 반경방향 외측으로 다수 개가 설치된다. 이를 통해 회전이송날개부(200)는 회전축(210)을 중심으로 등간격으로 설치된 다수의 이송날개(220)들 사이의 공간으로 근채류(1)를 받아들여 일측에 설치된 호퍼부(300)로 근채류(1)를 이동 낙하시킨다.
이송날개(220)는 중앙부분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깊이로 절개된 날개홈(221)이 형성될 수 있다.
날개홈(221)은 이송날개(220)의 반경방향 단부로부터 소정 깊이로 형성되는 제 1 홈부(221a)와, 제 1 홈부(221a)와 연장되도록 소정 깊이로 형성되고 제 1 홈부(221a)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 제 2 홈부(221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송체인(110)은 무한궤도 형태로 회전하면서 제 1 홈부(221a)의 내부를 통과하고, 지지봉(120)은 제 2 홈부(221b)의 내부를 통과하게 됨으로써 봉형 컨베이어부(100)는 회전이송날개부(200)에 최대한 인접되게 위치하게 된다.
끼임방지부(230)는 이송날개(220)들 사이에 설치되며, 이송날개(220)들 사이에 존재하는 V자형 공간의 좁은 기저부(基底部)(221)를 차폐하면서 넓은 공간부(223)만이 형성되게 하여 근채류(1)가 이송되는 과정에서 이송날개(220)들 사이에 끼이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끼임방지부(230)는 이송날개(220)들 사이의 기저부(222)를 가로지르는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고 양단이 이송날개(220)들에 용접 고정되는 끼임방지판(231)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끼임방지판(231)을 이송날개(220)에 용접하여 고정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끼임방지판(231)의 교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나사(미도시)를 이용하여 이송날개(220)에 고정할 수도 있다.
이송날개(220)들 사이에 끼임방지부(230)를 설치함으로써, 이송날개(220)들 사이로 V자형 공간의 좁은 기저부(222)를 없게 함과 아울러, 이송날개(220)들 사이에 넓은 공간부(223)만이 존재하게 하여 근채류(1)를 절단장치(10)로 이송함에 있어서 이송날개(220)들 사이에 존재하는 V자형 공간의 좁은 기저부(222)에 근채류(1)가 끼이거나 달라붙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끼임방지부(230)를 형성하는 끼임방지판(231)은 마찰계수가 적고 미끄럼율이 우수한 판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재료의 손질을 줄이고자 이송날개(220)의 사이 일부에만 끼임방지판(231)을 설치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회전축(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송날개(220)들 사이의 전체를 막는 형태로 끼임방지판(231)을 설치할 수도 있다.
호퍼부(300)는 회전이송날개부(200)의 이송방향 일측에 설치되어 회전이송날개부(200)에 의해 이동된 근채류(1)가 투입 안착된다. 이를 위해 호퍼부(300)는 회전이송날개부(200)보다 낮게 설치되어 회전이송날개부(200)에 의해 이동된 근채류(1)가 낙하되면서 안착되도록 한다.
호퍼부(300)의 상부에는 가압실린더(600)가 설치될 수 있다. 가압실린더(600)는 실린더 로드(610)가 하강하면서 가압판(620)이 호퍼부(300)에 안착된 근채류(1)를 가압하여 지지하고, 후술할 푸싱부(500)가 근채류(1)를 절단장치(10)에 밀어 이동한 후에 가압판(620)이 상승하게 된다.
호퍼부(300)는 일측에 푸싱부(500)가 설치되고, 푸싱부(500)와 반대되는 타측에 절단장치(10)가 장착된다.
절단장치(10)는 근채류(1)가 통과하면서 균일한 두께로 절단될 수 있도록 복수의 절단홀을 갖는 칼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복수 개의 칼날들이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서로 교차하면서 격자형으로 배열된다. 칼날들의 간격은 절단하고자 하는 근채류(1)의 종류 또는 절단하고자 하는 두께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호퍼부(300)는 근채류(1)가 투입되는 반대측의 상부 외곽 일측에 이탈방지턱(301)이 돌출 형성되어 회전이송날개부(200)에 의해 호퍼부(300)로 이동하는 근채류(1)가 이탈방지턱(301)에 의해 호퍼부(300)의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빠짐방지부(400)는 회전이송날개부(200)와 호퍼부(300) 사이에 설치되어 회전이송날개부(200)에 의해 호퍼부(300)로 이송되는 근채류(1)가 회전이송날개부(200)와 호퍼부(300) 사이의 이격 공간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빠짐방지부(400)는 회전이송날개부(200)와 호퍼부(300) 사이의 공간 및 이송날개(220)의 날개홈(221) 내부 공간을 차폐하는 빠짐방지용 가이드판(41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빠짐방지용 가이드판(410)은 한 개의 판재로 이루어지거나 다수의 판재를 수평으로 배열하여 회전이송날개부(200)와 호퍼부(300) 사이의 공간을 막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빠짐방지용 가이드판(410)은 회전이송날개부(200)에서 호퍼부(300)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함으로써, 이송날개(220)에 의해 이동된 근채류(1)가 빠짐방지용 가이드판(410)의 하향 경사면을 따라 호퍼부(300)쪽으로 자연스럽게 낙하되도록 할 수 있다.
푸싱부(500)는 호퍼부(300)의 일측에 설치된다. 푸싱부(500)는 회전이송날개부(200)에 의해 호퍼부(300)로 이동된 근채류(1)를 길이방향으로 절단장치(10) 측으로 밀어 이동시킨다.
푸싱부(500)는 실린더본체(510), 실린더로드(520) 및 푸싱몸체(530)를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로드(520)는 컨베이어부(100) 및 회전이송날개부(200)의 이송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전진 및 후진한다. 실린더로드(520)는 공압 또는 유압으로 동작하는 실린더본체(510)에 연결되어 전진 및 후진 이동한다.
푸싱몸체(530)는 실린더로드(520)의 선단부에 고정된다. 이는 호퍼부(300)의 내부로 투입되는 근채류(1)는 다양한 굵기를 가지며, 실린더로드(520)가 정확하게 근채류(1)의 단면 중앙을 밀수 있어야 하지만, 이렇게 정밀하게 실린더로드(520)의 위치를 정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므로 실린더로드(520)의 단부에 실린더로드(520)보다 단면적이 넓은 푸싱몸체(53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푸싱몸체(530)는 실린더로드(520)의 단면적보다 넓어 호퍼부(300) 내부의 어느 부분에 근채류(1)가 투입되어도 근채류(1)를 가압하여 밀 수 있다.
또한, 푸싱몸체(530)는 호퍼부(300)의 내부 공간의 단면과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근채류 절단용 이송장치는 봉형 컨베이어부(100) 상에서 이송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다수의 지지봉(120)들 사이에 근채류(1)가 놓인 상태에서 이동됨으로써 근채류(1)가 가압되지 않고 이동될 수 있어 근채류(1)가 손상 및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봉(120)의 양단이 이송체인(110)에 롤링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됨으로써, 지지봉(120)의 좌우 비틀림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이송과정에서 근채류(1)가 비틀림없이 일렬로 똑바로 이송되도록 하여 이송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고, 근채류(1)를 이송하는 과정에서 지지봉(120) 위에 근채류(1)가 적재될 경우 현 위치에서 대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컨베이어부(100)의 폭방향 양측에 이송방향을 따라 한 쌍의 측면 가이드판(160)이 설치되어 컨베이어부(100)에 의해 이동하는 근채류(1)의 양측면을 정렬 가이드함으로써, 이송과정에서 근채류(1)가 비틀림없이 일렬로 똑바로 이송되어 호퍼부(300) 내로 투입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측면 가이드판(160)에 컨베이어부(100)의 폭방향으로 형성된 장공(161)에 볼트(162) 체결을 통해 측면 가이드판(160)을 폭방향으로 간격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회전이송날개부(200)의 이송날개(220)들 사이에 근채류 끼임방지판(231)을 설치함으로써, 이송날개(220)들 사이에 V자형 공간의 좁은 기저부(222)를 없게 함과 아울러, 이송날개(220)들 사이에 넓은 공간부(223)만이 존재하게 하여 근채류(1)를 절단장치(10)로 이송함에 있어서 이송날개(220)들 사이에 존재하는 V자형 공간의 좁은 기저부(222)에 근채류(1)가 끼이거나 달라붙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봉형 컨베이어부(100)의 이송방향 말단부 일측이 날개홈(221)의 내부에 삽입되게 위치하도록 컨베이어부(100)의 폭(W1)은 날개홈(221)의 폭(W2)보다 작게 형성함으로써, 컨베이어부(100)와 회전이송날개부(200) 사이의 공간발생을 최소화하여 컨베이어부(100)로부터 회전이송날개부(200)로 이송되는 근채류가 컨베이어부(100)와 회전이송날개부(200) 사이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회전이송날개부(200)와 호퍼부(300) 사이에 빠짐방지용 가이드판(410)을 설치함으로써, 회전이송날개부(200)에 의해 호퍼부(300)로 이송되는 근채류(1)가 회전이송날개부(200)와 호퍼부(300) 사이의 이격 공간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빠짐방지용 가이드판(410)을 회전이송날개부(200)에서 호퍼부(300)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함으로써, 이송날개(220)에 의해 이동된 근채류(1)가 가이드판(410)의 하향 경사면을 따라 호퍼부(300)쪽으로 자연스럽게 낙하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근채류 절단용 이송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근채류 절단용 이송장치에서 근채류를 이송시키는 이송수단의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근채류 절단용 이송장치에서 봉형 컨베이어부의 지지봉을 이송체인의 외측단에 결합한 실시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근채류 절단용 이송장치는 봉형 컨베이어부(100), 호퍼부(300) 및 푸싱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설명한 제 1 실시예에서 회전이송날개부(200) 및 빠짐방지부(400)를 제거하고 봉형 컨베이어부(100), 호퍼부(300) 및 푸싱부(500)만으로 구성되는 실시 형태이다. 따라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 예컨대, 봉형 컨베이어부(100), 호퍼부(300) 및 푸싱부(500)에 대해서는 이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호퍼부(300)는 봉형 컨베이어부(100)의 이송방향 일측에 설치되어 컨베이어부(100)에 의해 이동된 근채류(1)가 투입 안착된다. 이를 위해 호퍼부(300)는 컨베이어부(100)보다 낮게 설치되어 컨베이어부(100)에 의해 이동된 근채류(1)가 자연스럽게 낙하되면서 호퍼부(300) 내에 안착되도록 한다.
호퍼부(300)는 근채류(1)가 투입되는 반대측의 상부 외곽 일측에 이탈방지턱(301)이 돌출 형성되어 컨베이어부(100)에 의해 이송되어 호퍼부(300) 내로 투입되는 근채류(1)가 이탈방지턱(301)에 의해 호퍼부(300)의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송체인(110)의 내측단에 지지브라켓(130)을 설치하고 지지봉(120)의 양단부를 지지브라켓(1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지지봉(120)의 길이가 좌,우 이송체인(110)의 이격 거리보다 작게 형성하여 지지봉(120)이 좌,우 이송체인(110)의 내측에 위치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체인(110)의 외측단에 지지브라켓(130)을 설치하고 지지봉(120)의 양단부를 지지브라켓(1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지지봉(120)의 길이와 좌,우 이송체인(110)의 이격 거리가 동일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봉(120)의 양단이 이송체인(110)에 롤링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지지봉(120)의 양단이 이송체인(110)에 용접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근채류 절단용 이송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근채류 절단용 이송장치에서 근채류를 이송시키는 이송수단의 사시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근채류 절단용 이송장치에서 봉형 컨베이어부의 지지봉을 이송체인의 외측단에 결합한 실시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근채류 절단용 이송장치는 봉형 컨베이어부(100), 호퍼부(300), 빠짐방지부(400) 및 푸싱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설명한 제 1 실시예에서 회전이송날개부(200)를 제거하고 봉형 컨베이어부(100), 호퍼부(300), 빠짐방지부(400) 및 푸싱부(500)만으로 구성되는 실시 형태이다. 따라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 예컨대, 봉형 컨베이어부(100), 호퍼부(300), 빠짐방지부(400) 및 푸싱부(500)에 대해서는 이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빠짐방지부(400)는 봉형 컨베이어부(100)와 호퍼부(300) 사이에 설치되어 컨베이어부(100)에 의해 호퍼부(300)로 이송되는 근채류(1)가 컨베이버부(100)와 호퍼부(300) 사이의 이격 공간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빠짐방지부(400)는 컨베이어부(100)와 호퍼부(300) 사이의 공간을 차폐하는 빠짐방지용 가이드판(41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빠짐방지용 가이드판(410)은 한 개의 판재로 이루어지거나 다수의 판재를 수평으로 배열하여 컨베이어부(100)와 호퍼부(300) 사이의 공간을 막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빠짐방지용 가이드판(410)은 컨베이어부(100)에서 호퍼부(300)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함으로써, 컨베이어부(100)에 의해 이동된 근채류(1)가 빠짐방지용 가이드판(410)의 하향 경사면을 따라 호퍼부(300)쪽으로 자연스럽게 낙하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빠짐방지용 가이드판(410)은 중앙부분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깊이로 절개홈(4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지지봉(120)이 설치된 이송체인(110)이 무한궤도 형태로 회전하면서 절개홈(411)의 내부를 통과하게 됨으로써 봉형 컨베이어부(100)와 빠짐방지용 가이드판(410) 사이의 이격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송체인(110)의 내측단에 지지브라켓(130)을 설치하고 지지봉(120)의 양단부를 지지브라켓(1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지지봉(120)의 길이가 좌,우 이송체인(110)의 이격 거리보다 작게 형성하여 지지봉(120)이 좌,우 이송체인(110)의 내측에 위치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체인(110)의 외측단에 지지브라켓(130)을 설치하고 지지봉(120)의 양단부를 지지브라켓(1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지지봉(120)의 길이와 좌,우 이송체인(110)의 이격 거리가 동일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봉(120)의 양단이 이송체인(110)에 롤링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지지봉(120)의 양단이 이송체인(110)에 용접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자격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 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봉형 컨베이어부 110 : 이송체인
120 : 지지봉 130 : 지지브라켓
131 : 연결지지판 132 : 회전지지판
140 : 스프로킷 160 : 측면 가이드판
161 : 장공 200 : 회전이송날개부
210 : 회전축 220 : 이송날개
221 : 날개홈 222 : 기저부
230 : 끼임방지부 231 : 끼임방지판
300 : 호퍼부 301 : 이탈방지턱
400 : 빠짐방지부 410 : 빠짐방지용 가이드판
500 : 푸싱부 510 : 실린더본체
520 : 실린더로드 530 : 푸싱몸체

Claims (17)

  1. 근채류를 절단장치에 공급하는 근채류 절단용 이송장치에 있어서,
    무한궤도 형태로 회전하는 이송체인에 다수의 지지봉이 이송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상기 지지봉 위에 놓인 상기 근채류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봉형 컨베이어부;
    상기 컨베이어부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컨베이어부에 의해 이송된 상기 근채류를 호퍼부로 이동시키는 회전이송날개부; 및
    상기 호퍼부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이송날개부에 의해 상기 호퍼부로 이동된 상기 근채류를 상기 절단장치 측으로 밀어 이동시키는 푸싱부;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이송날개부는,
    상기 근채류의 이송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 간격으로 반경방향 외측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이송날개; 및
    상기 이송날개들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이송날개들 사이에 존재하는 V자형 공간의 좁은 기저부를 차폐하면서 넓은 공간부만이 형성되게 하여 상기 근채류가 이송되는 과정에서 상기 이송날개들 사이에 끼이는 것을 방지하는 끼임방지부;를 포함하는 근채류 절단용 이송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부는 상기 지지봉이 상기 이송체인에 고정되거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채류 절단용 이송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부는 상기 이송체인에 이송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지지브라켓이 설치되고, 상기 지지브라켓에 회전축홀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봉의 회전축이 상기 회전축홀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봉은 상기 이송체인에 회전 롤링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채류 절단용 이송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라켓은,
    이웃하는 체인몸체를 서로 연결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체인몸체의 단부에 축결합되는 연결핀이 삽입되는 핀홀이 양단에 각각 형성되는 연결지지판; 및
    상기 연결지지판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되게 연장되고, 상기 회전축홀이 형성되는 회전지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채류 절단용 이송장치.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끼임방지부는 상기 이송날개들 사이의 기저부를 가로지르는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고 양단이 상기 이송날개들에 고정되는 끼임방지판을 포함하는 근채류 절단용 이송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날개는 중앙부분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깊이로 절개된 날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채류 절단용 이송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부의 일측이 상기 날개홈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컨베이어부의 폭은 상기 날개홈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채류 절단용 이송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홈은 상기 이송날개의 반경방향 단부로부터 소정 깊이로 형성되는 제 1 홈부, 및 상기 제 1 홈부와 연장되도록 소정 깊이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홈부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 제 2 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체인은 무한궤도 형태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 1 홈부의 내부를 통과하고, 상기 지지봉은 상기 제 2 홈부의 내부를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채류 절단용 이송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근채류 절단용 이송장치는,
    상기 회전이송날개부와 상기 호퍼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날개에 의해 상기 호퍼부로 이송되는 상기 근채류가 상기 이송날개와 상기 호퍼부 사이로 빠지지 않도록 하는 빠짐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근채류 절단용 이송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빠짐방지부는 상기 회전이송날개부와 상기 호퍼부 사이의 공간 및 상기 이송날개의 날개홈 내부 공간을 차폐하는 빠짐방지용 가이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채류 절단용 이송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부의 폭방향 양측에 이송방향을 따라 한 쌍의 측면 가이드판이 설치되어 상기 컨베이어부에 의해 이동하는 상기 근채류의 양측면을 정렬 가이드하여 상기 근채류의 이송을 원활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채류 절단용 이송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측면 가이드판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컨베이어부의 폭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장공에 볼트 체결을 통해 한 쌍의 상기 측면 가이드판의 폭방향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채류 절단용 이송장치.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제 1 항 내지 제 4항, 제 6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부는 상기 근채류가 투입되는 반대측의 상부 일측에 이탈방지턱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호퍼부 내로 투입되는 상기 근채류가 상기 이탈방지턱에 의해 상기 호퍼부의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채류 절단용 이송장치.
KR1020160004156A 2016-01-08 2016-01-13 근채류 절단용 이송장치 KR1017749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2660 2016-01-08
KR20160002660 2016-01-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3454A KR20170083454A (ko) 2017-07-18
KR101774999B1 true KR101774999B1 (ko) 2017-09-05

Family

ID=59442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4156A KR101774999B1 (ko) 2016-01-08 2016-01-13 근채류 절단용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49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9769A (ko) 2018-05-10 2019-11-20 신영태 식재료가공컨베이어
KR20190139789A (ko) 2018-06-08 2019-12-18 신영태 식재료가공컨베이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401357B (zh) * 2023-12-12 2024-03-19 苏州金记食品有限公司 一种豆制品预制菜自动传送流水线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6772B1 (ko) * 2013-12-27 2014-03-20 창 구 이 이열 공급식 가래떡 자동 절단장치
KR200472759Y1 (ko) * 2013-12-10 2014-05-21 이수춘 김밥용 단무지 절단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759Y1 (ko) * 2013-12-10 2014-05-21 이수춘 김밥용 단무지 절단장치
KR101376772B1 (ko) * 2013-12-27 2014-03-20 창 구 이 이열 공급식 가래떡 자동 절단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9769A (ko) 2018-05-10 2019-11-20 신영태 식재료가공컨베이어
KR20190139789A (ko) 2018-06-08 2019-12-18 신영태 식재료가공컨베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3454A (ko) 2017-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4999B1 (ko) 근채류 절단용 이송장치
US8439730B1 (en) Gizzard processing apparatus
EP2226170B1 (de) Zuführkettenrahmen für automatische Scheibenschneidemaschinen
EP2399466B1 (de) Fördertrommel der Tabak verarbeitenden Industrie
EP3322304B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öffnen von kakaofrüchten
US8827774B2 (en) Portioning and/or transport device for portioning and/or transporting elongated sausage or other food products
US645087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utting poultry paws
JPS5842755B2 (ja) ナツツノ カワムキソウチ
US3356205A (en) Log conveyor
EP2871965B1 (en) Shoulder positioning conveyor
JP7284900B2 (ja) パイナップルの果肉削ぎ取り装置及び方法
DE19525742A1 (de) Produktzuführung für eine Schneidvorrichtung
DE2841386A1 (de) Vorrichtung zum automatischen schneiden von bahnmaterial
DE2016054C3 (de) Vorrichtung zum Überführen von Behältern in den Förderer einer Einkocheinrichtung
KR101469256B1 (ko) 꼬치 제조장치
DE3912446A1 (de) Vorschubvorrichtung an schneidmaschinen
DE102008006688A1 (de) Lebensmittel-Schneidemaschine und Verfahren zur Einstellung einer Schnittgutscheibendicke bei einer Lebensmittel-Schneidemaschine
CN205415818U (zh) 一种切片切条机
US3076998A (en) Poultry gizzard splitting and washing apparatus
US5460567A (en) Poultry hock cutter apparatus
EP0087800B1 (de) Vorrichtung zum Zerteilen von Rundholz
US9718204B2 (en) Chain-type cutting assembly
KR950003401Y1 (ko) 계육 절단기
US9635867B2 (en) Fish processing systems and methods
CN219404559U (zh) 一种针对菠萝去蒂、自动分瓣、分瓣导向、挖肉的生产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