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7070Y1 - 낚시바늘이 없는 두족류 주낙용 어구 - Google Patents

낚시바늘이 없는 두족류 주낙용 어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7070Y1
KR200467070Y1 KR2020120000526U KR20120000526U KR200467070Y1 KR 200467070 Y1 KR200467070 Y1 KR 200467070Y1 KR 2020120000526 U KR2020120000526 U KR 2020120000526U KR 20120000526 U KR20120000526 U KR 20120000526U KR 200467070 Y1 KR200467070 Y1 KR 2004670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octopus
fishing gear
squash
cephalop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05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정용
Original Assignee
황정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정용 filed Critical 황정용
Priority to KR20201200005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70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70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707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9/00Stationary catch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18Trotlines, longlines; Accessories therefor, e.g. baiting devices, lifters or setting reel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26Fly ty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9/00Stationary catching devices
    • A01K69/06Traps

Abstract

본 고안은 10m이하의 비교적 수심이 얕은 바다에서 낙지나 쭈꾸미 등을 포획하는 데 사용되는 낚시바늘이 없는 두족류 주낙용 어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바닥에 주로 서식하는 낙지나 쭈꾸미를 포획하기 위해 바다속에 풀어 놓은 주낙용 모릿줄을 배의 동력을 이용하여 이동시킬 경우 주낙용 모릿줄에 일정 간격으로 매달린 어구가 바위나 수초 등의 장애물에 걸리지 않고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게 함으로써 밑걸림으로 인한 어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주낙을 걷어 올리는 과정에서 어구에 붙어 있는 낙지나 쭈꾸미를 떼어낼 때 손 다칠 염려없이 어구에 붙어 있는 낙지나 쭈꾸미를 보다 신속하고 안전하게 떼어낼 수 있게 하는 동시에 주낙용 모릿줄에 일정 간격으로 매달린 어구들이 서로 엉키게 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조업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또 어구본체의 내부에 부력을 조절하는 중량추가 내장되도록 인서트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하여 해수유입으로 인한 중량추의 산화를 방지하므로 내구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낚시바늘이 없는 두족류 주낙용 어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낚시바늘이 없는 두족류 주낙용 어구{Implement for capturing the cephalopod without a fish hook}
본 고안은 10m이하의 비교적 수심이 얕은 바다에서 낙지나 쭈꾸미 등을 포획하는 데 사용되는 낚시바늘이 없는 두족류 주낙용 어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바닥에 주로 서식하는 낙지나 쭈꾸미를 포획하기 위해 바다속에 풀어 놓은 주낙용 모릿줄을 배의 동력을 이용하여 이동시킬 경우 주낙용 모릿줄에 일정 간격으로 매달린 어구가 바위나 수초 등의 장애물에 걸리지 않고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게 함으로써 밑걸림으로 인한 어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주낙을 걷어 올리는 과정에서 어구에 붙어 있는 낙지나 쭈꾸미를 떼어낼 때 손 다칠 염려없이 어구에 붙어 있는 낙지나 쭈꾸미를 보다 신속하고 안전하게 떼어낼 수 있게 하는 동시에 주낙용 모릿줄에 일정 간격으로 매달린 어구들이 서로 엉키게 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조업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또 어구본체의 내부에 부력을 조절하는 중량추가 내장되도록 인서트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하여 해수유입으로 인한 중량추의 산화를 방지하므로 내구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낚시바늘이 없는 두족류 주낙용 어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낙지나 쭈꾸미 등과 같은 두족류(頭足類)는 우리나라의 남해안과 서해안 지역에서 많이 서식하는 다년생 어종으로, 주로 주낙이나 통발 또는 갯벌 지역에서의 채집에 의하여 어획되고 있다.
이러한 두족류를 포획하는 방법 중 하나인 주낙(Long lining)은 모릿줄에 일정한 간격(45cm ~ 100cm)을 두고 부표물과 아릿줄을 연결시킨 상태에서 각각의 아릿줄마다 게나 굴 또는 조개 등과 같은 미끼가 고정된 낚시를 매달아 완전히 바닥에 닿도록 모릿줄을 풀어 놓고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모릿줄을 서서히 이동시켜 드리워진 낚시를 차례로 걷어들임으로써 미끼에 걸려든 두족류를 어획하는 방법이다.
본 출원인은 이러한 두족류 포획용 주낙에 사용되는 어구를 개량한 후 이를 선출원하여 실용신안등록번호 제395153호(등록일자 : 2005년 9월 1일)로 등록받은 바 있었다.
본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낙지 주낙용 낚시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방면에 미끼부착면(22a)이 형성된 낚시본체(22)의 후방측에는 무게추의 삽입을 위한 추케이스(23)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낚시본체(22)의 상,하부측에는 낚시줄 걸이부(24)와 낚시바늘 고정대(25)가 일체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낚시바늘 고정대(25)의 외측면에는 낚시바늘 고정대(25)에 삽입설치되는 낚시바늘(26)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캡(27)이 끼움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낙지 주낙용 낚시(21)에 의하면,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모릿줄(30)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고정된 부표물(31)마다 아릿줄(32)을 연결시킨 상태에서 각각의 아릿줄(32)의 끝단부에 살아 있는 반장게나 뻘게를 고정시킨 낚시(21)를 매달아 완전히 바닥에 닿도록 주낙을 풀어 놓은 후,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배의 동력을 이동하여 바다속에 풀어 놓은 모릿줄(30)을 천천히 이동시키게 되면 모릿줄(30)의 이동방향으로 아릿줄(30)에 매달린 낚시(21)가 함께 움직이게 되는데, 이 때 낚시(21)에 미끼(40)로 고정된 게의 움직임을 보고 낙지 또는 쭈꾸미가 접근하여 낚시(21)에 고정된 미끼(40)를 감싸고 있는 동안 재빨리 낚시(21)를 걷어올림으로써 낚시(21)에 걸린 낙지 또는 쭈꾸미를 포획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낙지 주낙용 낚시(21)는 낚시본체(22)의 하부측에 연장 형성된 낚시바늘 고정대(25)에 낙지나 쭈꾸미를 걸어 올리기 위해 제작된 큰 낚시바늘(16)이 설치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물살의 저항을 많이 받는 비교적 수심이 깊은 바다에서 조업할 경우에는 낚시바늘(16)이 낚시(21)를 걷어 올리는 과정에서 물살의 저항에 의해 낚시(21)에 붙어 있는 낙지 또는 쭈꾸미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안정적인 포획을 가능하게 하여 어획량을 증대시킬 수 있지만, 물살의 저항을 적게 받는 10m이하의 비교적 수심이 얕은 바다에서 조업할 경우에는 낚시(21)에 고정된 미끼(40)의 움직임을 만들기 위해 낚시(21)를 바닥에 닿게 한 채 모릿줄(30)을 이동시킬 때 낚시바늘(16)이 바닥의 바위나 수초에 걸리게 되는 밑걸림이 발생하여 어구의 손상이 유발될 뿐만 아니라, 낚시(21)를 걷어 올리면서 낚시(21)에 걸린 낙지나 쭈꾸미를 떼어낼 때 날카로운 낚시바늘(16)로 인해 손을 다칠 우려가 있으므로 낚시(21)에 걸린 낙지나 쭈꾸미를 떼어내는 손의 움직임이 조심스러워져서 조업속도가 느려지게 됨에 따라 조업율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낙지 주낙용 낚시(21)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낚시본체(22)의 상부측에 연장 형성된 낚시줄 걸이부(24)의 상단부에 아릿줄(32)을 결속할 경우 아릿줄(32)의 매듭부분이 낚시줄 걸이부(24)의 상단부중앙에 위치하도록 고정되지 않고 모릿줄(30)의 이동이나 물살의 영향에 의해 한쪽으로 쏠리게 되는데, 이와 같이 낚시줄 걸이부(24)의 상단부에 결속된 아릿줄(32)의 매듭부분이 한쪽으로 쏠리게 되면 아릿줄(32)의 끝단부에 매달된 낚시(21)의 자세가 비스듬하게 되므로 주낙을 걷어 올리는 과정에서 낚시바늘(26)이 다른 아릿줄(32)에 걸려 주낙을 엉키게 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됨에 따라 조업에 차질을 빚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종래의 낙지 주낙용 낚시(21)는 제조시 낚시본체(22)의 후방측에 무게추를 삽입한 후 추케이스(23)를 접착제로 접합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장기간 사용시 접착제가 노후되면서 접합면이 벌어져 낚시본체(22)의 내부로 해수가 유입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낚시본체(22)의 내부로 해수가 유입되면 금속재질로 된 무게추가 산화되면서 부력이 변하게 될 뿐만 아니라 부피가 팽창하면서 낚시본체(22)와 추케이스(23)를 분리시키게 되므로 내구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번호 제395153호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10m이하의 비교적 수심이 얕은 바다에서 바닥에 주로 서식하는 낙지나 쭈꾸미를 포획하기 위해 바다속에 풀어 놓은 주낙용 모릿줄을 배의 동력을 이용하여 이동시킬 경우 주낙용 모릿줄에 일정 간격으로 매달린 어구가 바위나 수초 등의 장애물에 걸리지 않고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게 함으로써 밑걸림으로 인한 어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주낙을 걷어 올리는 과정에서 어구에 붙어 있는 낙지나 쭈꾸미를 떼어낼 때 손 다칠 염려없이 어구에 붙어 있는 낙지나 쭈꾸미를 보다 신속하고 안전하게 떼어낼 수 있게 하는 동시에 주낙용 모릿줄에 일정 간격으로 매달린 어구들이 서로 엉키게 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조업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또 어구본체의 내부에 부력을 조절하는 중량추가 내장되도록 인서트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하여 해수유입으로 인한 중량추의 산화를 방지하므로 내구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부에는 부력조절용 통공이 형성된 중량추가 인서트되어 일체로 형성되며 전면에는 미끼안착용 요철부가 형성되고 전면의 하부양측에는 한 쌍의 미끼고정용 돌기가 형성되며 상면양측에는 상면에서 후면으로 이어지는 한 쌍의 보강용 돌기가 형성되고 양측면에는 측면에서 하면으로 이어지는 미끄럼방지용 돌기부가 형성되는 어구몸체가 구비되며, 상기 어구몸체의 상면중앙부에는 상단부가 뾰족하게 형성된 아릿줄결속부가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아릿줄결속부의 상부에는 아릿줄삽입공이 관통형성되고 아릿줄삽입공의 상측에는 아릿줄결속부의 상단부중앙에서 후면으로 이어지는 유동방지홈이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어구몸체의 하면중앙부에는 상단부전면에 미끼걸림턱이 형성되며 하단부에 반구형 튜브걸림턱이 형성된 튜브끼움부가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튜브끼움부의 외측면에는 형광 튜브가 삽입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튜브끼움부가 어구몸체의 전면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낚시바늘이 없는 두족류 주낙용 어구에 의하면, 10m이하의 비교적 수심이 얕은 바다에서 바닥에 주로 서식하는 낙지나 쭈꾸미를 포획하기 위해 바다속에 풀어 놓은 주낙용 모릿줄을 배의 동력을 이용하여 이동시킬 경우 주낙용 모릿줄에 일정 간격으로 매달린 어구가 바위나 수초 등의 장애물에 걸리지 않고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됨으로써 밑걸림으로 인한 어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주낙을 걷어 올리는 과정에서 어구에 붙어 있는 낙지나 쭈꾸미를 떼어낼 때 손 다칠 염려없이 어구에 붙어 있는 낙지나 쭈꾸미를 보다 신속하고 안전하게 떼어낼 수 있게 되는 동시에 주낙용 모릿줄에 일정 간격으로 매달린 어구들이 서로 엉키게 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조업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되며, 또 어구본체의 내부에 부력을 조절하는 중량추가 내장되도록 인서트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해수유입으로 인한 중량추의 산화가 방지되므로 내구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종래의 낙지 주낙용 낚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b는 종래의 낙지 주낙용 낚시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c는 종래의 낙지 주낙용 낚시를 이용한 조업과정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1d는 종래의 낙지 주낙용 낚시의 아릿줄 결속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두족류 주낙용 어구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두족류 주낙용 어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두족류 주낙용 어구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두족류 주낙용 어구에 미끼를 고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6의 (가)(나)는 본 고안에 의한 두족류 주낙용 어구에 아릿줄을 결속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두족류 주낙용 어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두족류 주낙용 어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을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의한 낚시바늘이 없는 두족류 주낙용 어구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내부에는 부력조절용 통공(3a)이 형성된 중량추(3)가 인서트되어 일체로 형성되며, 전면에는 미끼안착용 요철부(4)가 형성되고, 전면의 하부양측에는 한 쌍의 미끼고정용 돌기(5a)(5b)가 형성되며, 상면양측에는 상면에서 후면으로 이어지는 한 쌍의 보강용 돌기(6a)(6b)가 형성되고, 양측면에는 측면에서 하면으로 이어지는 미끄럼방지용 돌기부(7a)(7b)가 형성되는 어구몸체(2)가 구비된다.
이 때, 상기 중량추(3)는 물보다 비중이 큰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합성수지재질로 된 어구몸체(2)와 인서트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데, 이와 같이 어구본체(2)의 내부에 중량추(3)가 내장되도록 인서트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하게 되면, 어구의 사용시 어구본체(2)의 내부로 해수가 전혀 유입되지 않게 됨에 따라 해수유입으로 인한 중량추(3)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내구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중량추(3)는 제조시 부력조절용 통공(3a)의 직경을 크게 하거나 작게 함으로써 어구의 부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어구몸체(2)는 전면에 형성되는 미끼안착용 요철부(4)가 어구몸체(2) 전면의 마찰력을 증대시키는 동시에 전면의 하부양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미끼고정용 돌기(5a)(5b)가 어구몸체(2)의 전면에 안착되는 게 등의 미끼(40)의 둥근 몸체의 하부양측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됨으로써, 어구(1)의 미끼 고정작업시 어구몸체(2)의 전면에 게 등의 미끼(40)를 안착한 후 고무밴드나 실과 같은 결속부재(41)를 이용하여 미끼(40)을 고정시킬 때 미끼(40)가 미끄러져 빠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어구몸체(2)의 상면양측에서 후면으로 이어지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보강용 돌기(6a)(6b)는 어구몸체(2)의 상면양측의 강도를 보강함으로써, 모릿줄에 일정 간격으로 매달린 주낙용 어구(1)가 바위나 수초 등의 장애물에 부딪힐 때 어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어구몸체(2)의 전면에 안착된 미끼(40)를 고정하고 있는 결속부재(41)가 어구몸체(2)로부터 쉽게 벗겨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결속부재(41)의 벗겨짐으로 인해 어구몸체(2)에 고정된 미끼(40)가 이탈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어구몸체(2)의 양측면에서 하면으로 이어지도록 형성되는 미끄럼방지용 돌기부(7a)(7b)는 어구몸체(2)에 미끼를 고정하기 위해 어구몸체(2)를 파지할 때 손끝의 미끌림을 방지함으로써 어구몸체(2)를 더욱더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어구몸체(2)의 상면중앙부에는 상단부가 뾰족하게 형성된 아릿줄결속부(8)가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데, 이 아릿줄결속부(8)의 상부에는 아릿줄삽입공(9)이 관통형성되고, 아릿줄삽입공(9)의 상측에는 아릿줄결속부(8)의 상단부중앙에서 후면으로 이어지는 유동방지홈(10)이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아릿줄결속부(8)의 상단부를 뾰족하게 형성한 이유는 배의 동력을 이용하여 모릿줄을 이동시킬 때 모릿줄에 일정 간격으로 매달린 주낙용 어구(1)가 수초에 걸리지 않고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 상기 아릿줄결속부(8)의 상단부중앙에서 후면으로 이어지도록 유동방지홈(10)을 오목하게 형성한 이유는, 도 6의 (가)(나)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아릿줄결속부(8)의 아릿줄삽입공(9)에 아릿줄(32)을 결속할 때 아릿줄(32)의 매듭부분이 유동방지홈(10)에 견고하게 끼워져 한쪽으로 쏠리지 않고 상단부중앙에만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아릿줄(32)의 끝단부에 결속되는 어구(1)의 자세가 항상 수직상태를 유지하게 하여 주낙을 걷어 올리는 과정에서 모릿줄에 일정 간격으로 매달린 주낙용 어구(1)들이 서로 엉키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어구몸체(2)의 하면중앙부에는 상단부전면에 미끼걸림턱(12)이 형성되며 하단부에 반구형 튜브걸림턱(13)이 형성된 튜브끼움부(11)가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데, 이 튜브끼움부(11)의 외측면에는 형광 튜브(14)가 삽입설치된다.
이 때, 상기 튜브끼움부(11)의 상단부전면에 형성되는 미끼걸림턱(12)은 어구몸체(2)의 전면에 안착되는 게 등의 미끼(40)의 하부가 걸리게 됨으로써 주낙용 어구(1)의 미끼 고정작업시 어구몸체(2)의 전면에 게 등의 미끼(40)를 안착한 후 고무밴드나 실과 같은 결속부재(41)를 이용하여 미끼(40)을 고정시킬 때 미끼(40)가 미끄러져 빠지게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튜브끼움부(11)의 외측면에 삽입설치되는 형광 튜브(14)는 형광물질이 함유된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되거나 합성수지재질로 된 튜브에 형광물질을 코팅한 것으로서, 야간조업시 형광빛을 발산하여 모릿줄에 일정 간격으로 매달린 주낙용 어구(1)의 위치를 표시하거나 낙지 또는 쭈꾸미를 유인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튜브끼움부(11)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반구형 튜브걸림턱(13)은 어구의 제조시 튜브끼움부(11)의 외측면에 형광 튜브(14)를 조립할 때 형광 튜브(14)의 입구부분이 벌어지게 하므로 형광 튜브(14)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어구의 사용시 튜브끼움부(11)에 삽입된 형광 튜브(14)가 튜브끼움부(11)로부터 이탈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낚시바늘이 없는 두족류 주낙용 어구의 다른 실시예는 도 7과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튜브끼움부(11)가 어구몸체(2)의 상면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낚시바늘이 없는 두족류 주낙용 어구에 의하면, 모릿줄(30)에 일정 간격으로 주낙용 어구(1)를 매달아 바다속으로 가라앉혔을 때, 모릿줄(30)에 매달린 주낙용 어구(1)가 중량추(3)의 무게로 인해 수직으로 하강함에 따라 튜브끼움부(11)부터 바닥의 뻘속에 깊이 박히게 되어 어구몸체(2)의 전면에 고정된 미끼(40)가 바닥의 뻘속에 묻히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모릿줄(30)에 매달린 주낙용 어구(1)가 바닥에 닿았을 때 어구몸체(2)의 전면에 고정된 미끼(40)가 항상 위로 향하도록 안정적인 착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낙지 또는 쭈꾸미에 대한 유인성을 더욱더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낚시바늘이 없는 두족류 주낙용 어구의 사용 및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의한 두족류 주낙용 어구는 낚시바늘이 없기 때문에 비교적 수심이 깊은 바다에서 사용할 경우 모릿줄에 일정 간격으로 매달린 주낙용 어구를 걷어 올릴 때 물살의 저항으로 인해 주낙용 어구에 붙어 있는 낙지 또는 쭈꾸미가 쉽게 떨어질 수 있으므로, 비교적 물살의 저항을 적게 받는 10m 이하의 수심이 얕은 바다에서만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의한 낚시바늘이 없는 두족류 주낙용 어구(1)는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모릿줄(30)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고정된 부표물(31)마다 아릿줄(32)을 연결시킨 상태에서 각각의 아릿줄(32)의 끝단부에 결속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 때, 본 고안에 의한 주낙용 어구(1)를 아릿줄(32)의 끝단부에 결속할 경우, 도 6의 (가)(나)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아릿줄(32)의 끝단부를 아릿줄결속부(8)의 아릿줄삽입공(9)에 삽입한 후 매듭부분이 유동방지홈(10)에 견고하게 끼워지도록 결속하게 되면, 아릿줄(32)의 끝단부에 결속되는 주낙용 어구(1)의 자세가 항상 수직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주낙을 걷어 올리는 과정에서 모릿줄(30)에 일정 간격으로 매달린 주낙용 어구(1)들이 서로 엉키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 의한 주낙용 어구(1)를 아릿줄(32)의 끝단부에 결속한 후에는 각 어구몸체(2)의 전면에 반장게나 뻘게 등의 미끼(40)를 안착한 다음 고무밴드나 실 등의 결속부재(41)를 이용하게 고정하게 된다.
이 때, 본 고안에 의한 주낙용 어구(1)는 상기 어구몸체(2)의 전면에 형성되는 미끼안착용 요철부(4)에 의해 어구몸체(2) 전면의 마찰력이 증대되고, 상기 어구몸체(2)의 전면의 하부양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미끼고정용 돌기(5a)(5b)와 튜브끼움부(11)의 상단부전면에 형성되는 미끼걸림턱(12)에 의해 어구몸체(2)의 전면에 안착되는 미끼(40)가 안정적으로 지지되며, 상기 어구몸체(2)의 양측면에서 하면으로 이어지도록 형성되는 미끄럼방지용 돌기부(7a)(7b)에 의해 미끼고정작업을 위해 어구몸체(2)를 파지할 때 손끝의 미끌림이 방지되므로, 미끼 고정작업시 어구몸체(2)의 전면에 미끼(40)를 안착한 후 고무밴드나 실과 같은 결속부재(41)를 이용하여 미끼(40)을 고정시킬 때 미끼(40)가 미끄러져 빠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어구몸체(2)를 더욱더 견고하게 파지한 상태로 미끼고정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므로 작업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 의한 주낙용 어구(1)에 미끼(40)를 고정한 후에는, 10m이하의 비교적 수심이 얕은 바다속에 주낙용 어구(1)가 일정 간격으로 매달린 주낙을 풀어 놓은 후 바닥에 있는 낙지나 쭈꾸미를 유인하기 위해 배의 동력을 이용하여 모릿줄(30)을 천천히 이동시키게 되는데, 이 때 본 고안에 의한 주낙용 어구(1)는 낚시바늘이 없기 때문에 바위나 수초 등의 장애물에 걸리지 않고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되므로 밑걸림으로 인한 어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배의 동력을 이용하여 모릿줄(30)을 천천히 이동시키게 되면, 모릿줄(30)에 일정 간격으로 매달린 주낙용 어구(1)에 미끼(40)로 고정된 게의 움직임과 어구몸체(2)의 튜브끼움부(11)에 삽입된 형광 튜브(14)로부터 발산되는 형광빛을 보고 낙지 또는 쭈꾸미가 접근하여 주낙용 어구(1)에 고정된 미끼(40)를 먹기 위해 주낙용 어구(1)를 감싸게 되는데, 이렇게 낙지 또는 쭈꾸미가 주낙용 어구(1)에 고정된 미끼(40)를 먹기 위해 주낙용 어구(1)를 감싸고 있는 동안 신속하게 주낙을 걷어올림으로써 주낙용 어구(1)에 붙어 있는 낙지 또는 쭈꾸미를 용이하게 포획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주낙용 어구(1)는 날카로운 낚시바늘이 없기 때문에 주낙을 걷어 올리는 과정에서 주낙용 어구(1)에 붙어 있는 낙지나 쭈꾸미를 떼어낼 때 손 다칠 염려가 없으므로, 어구(1)에 붙어 있는 낙지나 쭈꾸미를 더욱더 신속하게 떼어낼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모릿줄(30)에 일정 간격으로 매달린 주낙용 어구(1)들이 서로 엉키지 않고 신속하게 걷어올릴 수 있게 되므로 조업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고안에 의한 주낙용 어구(1)는 어구본체(2)의 내부에 중량추(3)가 내장되도록 인서트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어구본체(2)의 내부로 해수가 전혀 유입되지 않게 되므로 해수유입으로 인한 중량추(3)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내구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1 : 두족류 주낙용 어구 2 : 어구몸체
3 : 중량추 3a : 부력조절용 통공
4 : 미끼안착용 요철부 5a, 5b : 미끼고정용 돌기
6a, 6b : 보강용 돌기 7a, 7b : 미끄럼방지용 돌기부
8 : 아릿줄결속부 9 : 아릿줄삽입공
10 : 유동방지홈 11 : 튜브끼움부
12 : 미끼걸림턱 13 : 반구형 튜브걸림턱
14 : 형광 튜브

Claims (2)

  1. 내부에는 부력조절용 통공(3a)이 형성된 중량추(3)가 인서트되어 일체로 형성되며 전면에는 미끼안착용 요철부(4)가 형성되고 전면의 하부양측에는 한 쌍의 미끼고정용 돌기(5a)(5b)가 형성되며 상면양측에는 상면에서 후면으로 이어지는 한 쌍의 보강용 돌기(6a)(6b)가 형성되고 양측면에는 측면에서 하면으로 이어지는 미끄럼방지용 돌기부(7a)(7b)가 형성되는 어구몸체(2)가 구비되며,
    상기 어구몸체(2)의 상면중앙부에는 상단부가 뾰족하게 형성된 아릿줄결속부(8)가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아릿줄결속부(8)의 상부에는 아릿줄삽입공(9)이 관통형성되고 아릿줄삽입공(9)의 상측에는 아릿줄결속부(8)의 상단부중앙에서 후면으로 이어지는 유동방지홈(10)이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어구몸체(2)의 하면중앙부에는 상단부전면에 미끼걸림턱(12)이 형성되며 하단부에 반구형 튜브걸림턱(13)이 형성된 튜브끼움부(11)가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튜브끼움부(11)의 외측면에는 형광 튜브(14)가 삽입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바늘이 없는 두족류 주낙용 어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끼움부(11)는 어구몸체(2)의 상면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바늘이 없는 두족류 주낙용 어구.
KR2020120000526U 2012-01-20 2012-01-20 낚시바늘이 없는 두족류 주낙용 어구 KR2004670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0526U KR200467070Y1 (ko) 2012-01-20 2012-01-20 낚시바늘이 없는 두족류 주낙용 어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0526U KR200467070Y1 (ko) 2012-01-20 2012-01-20 낚시바늘이 없는 두족류 주낙용 어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7070Y1 true KR200467070Y1 (ko) 2013-05-31

Family

ID=53717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0526U KR200467070Y1 (ko) 2012-01-20 2012-01-20 낚시바늘이 없는 두족류 주낙용 어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707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2625A (ko) 2021-02-04 2022-08-11 황정용 친환경 세라믹타일이 결합된 두족류 낚시어구
KR102481282B1 (ko) * 2022-05-25 2022-12-28 주식회사 세온 두족류 낚시용 봉돌
KR102599174B1 (ko) * 2023-07-19 2023-11-07 조희수 낙지용 주낙어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5135Y1 (ko) 2005-06-16 2005-09-07 황정용 낙지 주낙용 낚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5135Y1 (ko) 2005-06-16 2005-09-07 황정용 낙지 주낙용 낚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2625A (ko) 2021-02-04 2022-08-11 황정용 친환경 세라믹타일이 결합된 두족류 낚시어구
KR102576771B1 (ko) 2021-02-04 2023-09-11 황정용 친환경 세라믹타일이 결합된 두족류 낚시어구
KR102481282B1 (ko) * 2022-05-25 2022-12-28 주식회사 세온 두족류 낚시용 봉돌
KR102599174B1 (ko) * 2023-07-19 2023-11-07 조희수 낙지용 주낙어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53966B2 (en) Fishing lure
KR100431240B1 (ko) 낚시바늘 집
KR200487601Y1 (ko) 갈치 낚시채비
US20140259869A1 (en) Fishing jig attachment systen
KR200467070Y1 (ko) 낚시바늘이 없는 두족류 주낙용 어구
KR102484460B1 (ko) 두족류 포획용 애자
US10285389B2 (en) Shielded point motion tackle
JP2015192607A (ja) テンヤ
JP5291242B1 (ja) 小蟹小魚捕獲具
US20180125046A1 (en) Weedless fishing lure device
KR101407741B1 (ko) 낚시용 찌
TWI620501B (zh) 魚餌扣
JP3140792U (ja) 蟹釣り用掛け針
US2932116A (en) Fishhooks
KR101226391B1 (ko) 다어종 포획용 망낚시구
KR200459187Y1 (ko) 두족류 포획용 어구
KR200447474Y1 (ko) 인조미끼
JP2011205996A (ja) 玉網の柄
CN207836558U (zh) 全自动钓鱼器
CN205922565U (zh) 一种无饵自动提示爆炸钩
JP2007275038A (ja) ワカサギ収集器(ワカサギ・キャッチャー)
JP2012161299A (ja) 釣り具
CN211268230U (zh) 一种多功能鱼钩
KR100720169B1 (ko) 루어용 다기능 싱커
KR20150016569A (ko) 낚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