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2625A - 친환경 세라믹타일이 결합된 두족류 낚시어구 - Google Patents

친환경 세라믹타일이 결합된 두족류 낚시어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2625A
KR20220112625A KR1020210016385A KR20210016385A KR20220112625A KR 20220112625 A KR20220112625 A KR 20220112625A KR 1020210016385 A KR1020210016385 A KR 1020210016385A KR 20210016385 A KR20210016385 A KR 20210016385A KR 20220112625 A KR20220112625 A KR 202201126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gear
fishing
cephalopod
storage case
gea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6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6771B1 (ko
Inventor
황정용
황민호
황민규
Original Assignee
황정용
황민호
황민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정용, 황민호, 황민규 filed Critical 황정용
Priority to KR1020210016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6771B1/ko
Publication of KR20220112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26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6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67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6Apparatus on l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utomatic hookers
    • A01K91/08Trol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3Connecting devices
    • A01K91/04Connecting devices for connecting lines to hooks or l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5/00Sinkers for angl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04Containers for bait; Preparation of bait
    • A01K97/05Containers for live bait kept in water, e.g. for minnows or shrimp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게추가 삽입되는 어구본체의 상단에 아릿줄결속대가 연결 설치되고, 상기 어구본체의 하단에는 형광튜브용 튜브장착대 또는 낚싯바늘용 바늘장착대가 연결 설치되며, 상기 어구본체의 후방면은 미끼부착면으로 형성된 주낙용 두족류 낚시어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어구본체를 전방면이 개구된 수납케이스로 형성시키고, 상기 수납케이스의 내측에 무게추를 대신하여 세라믹타일을 삽입 및 고정 설치하되, 상기 세라믹타일의 전방면을 이루는 매끄러운 도자기표면이 수납케이스의 개구부를 거쳐 외부로 노출되도록 함에 따라, 문어나 낙지 또는 주꾸미 등의 두족류가 어구본체의 후방면에 부착된 미끼를 감싸안을 경우 두족류의 다리에 있는 빨판이 어구본체의 전방면으로 노출된 세라믹타일의 도자기표면과 강하게 들러 붙을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하여 바늘이 없는 낚시어구를 주낙에 사용하더라도 낚시어구로부터 두족류가 떨어지지 않고 전량 어획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바늘이 적용된 낚시어구를 주낙에 사용할 시에도 두족류가 낚싯바늘에만 매달림에 따라 몸통이나 다리 부분이 찢겨지는 등의 어체 훼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하여 두족류의 어획성능과 상품가치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환경오염을 유발시키는 소재를 최소화시킨 친환경 낚시어구의 제작이 가능토록 한 세라믹타일이 결합된 두족류 낚시어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친환경 세라믹타일이 결합된 두족류 낚시어구{Fishing device for a cephalopod with eco-friendly ceramic tile}
본 발명은 무게추가 삽입되는 어구본체의 상단에 아릿줄결속대가 연결 설치되고, 상기 어구본체의 하단에는 형광튜브용 튜브장착대 또는 낚싯바늘용 바늘장착대가 연결 설치되며, 상기 어구본체의 후방면은 미끼부착면으로 형성된 주낙용 두족류 낚시어구에 있어, 상기 어구본체를 전방면이 개구된 수납케이스로 형성시키고, 상기 수납케이스의 내측에 무게추를 대신하여 세라믹타일을 삽입 및 고정 설치하되, 상기 세라믹타일의 전방면을 이루는 매끄러운 도자기표면이 수납케이스의 개구부를 거쳐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 친환경 세라믹타일이 결합된 두족류 낚시어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문어나 낙지 또는 주꾸미 등과 같은 두족류(頭足類)는 우리나라의 남해안과 서해안 지역에 서식하는 다년생 어종으로서 주낙(연승)이나 통발 또는 갯벌 지역에서의 채집에 의하여 어획되고 있으며, 우리나라 사람들이 매우 즐겨먹는 해산물의 일종으로서 남해안과 서해안에서 활동하는 주낙 어업인들의 주된 소득원을 제공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두족류를 어획하기 위한 주낙(Long lining)은, 모릿줄을 따라 일정한 간격(45~100cm)을 두고 부자와 아릿줄을 연결시킨 상태에서, 각각의 아릿줄마다 게나 굴 또는 조개 등의 미끼가 부착된 낚시어구를 매달아 놓은 다음, 각각의 낚시어구가 바닥면(해저면)상에 놓이도록 모릿줄을 풀어 놓은 상태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어선을 이동시키면서 모릿줄을 아릿줄과 함께 차례대로 걷어들임에 따라 미끼에 걸려든 두족류를 어획하는 방법이다.
상기와 같이 두족류의 주낙에 사용되는 낚시어구의 대표적인 예를 들자면, 플라스틱 소재를 이용하여 납작한 케이스 형상으로 제작된 어구본체와, 상기 어구본체의 내부에 삽입 또는 매입(埋入) 설치되는 무게추와, 상기 어구본체의 상단에 연결 설치되는 아릿줄결속대와, 상기 어구본체의 하단에 연결 설치되는 바늘장착대와, 상기 바늘장착대상에 연결 설치되는 낚싯바늘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지고, 상기 어구본체의 후방면은 특정한 패턴(Pattern)의 요철 무늬가 제공된 미끼부착면으로 형성시킨 것이다.
따라서, 상기 아릿줄결속대의 상단에 아릿줄을 묶는 방식으로 각각의 아릿줄마다 낚시어구를 매달아 놓은 상태에서, 상기 어구본체의 후방측 미끼부착면상에 게나 굴 또는 조개 등의 미끼를 올려 놓은 다음, 아릿줄결속대와 바늘장착대에 걸쳐 양측 단부를 탄력적으로 걸어둘 수 있는 고무밴드 등을 이용하여 해당 미끼를 어구본체상에 고정시켜 놓은 후, 미끼가 고정된 낚시어구를 아릿줄과 함께 해수중으로 드리움에 따라 미끼에 걸려든 두족류를 어구본체의 낚싯바늘로 걸어 올릴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기존의 두족류 낚시어구는 주낙을 이용한 조업 도중에 낚싯바늘이 해저면의 바위나 수초 등에 걸리는 밑걸림 현상이 자주 발생하므로, 조류가 약하고 10m 미만의 낮은 수심을 가지는 천해(淺海)의 여밭에서는 그 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고, 아릿줄과 함께 선상으로 걷어 들인 두족류를 낚싯바늘로부터 떼어내는 작업 역시 까다롭게 될 뿐만 아니라, 날카로운 낚싯바늘에 의하여 작업자의 손부위에 상해를 입힐 우려가 크기 때문에 선상에서의 조업속도와 조업효율을 크게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서, 미끼부착면의 하부에 해당하는 어구본체의 후방면에 미끼걸림턱을 돌출 형성시키고, 어구본체의 하단면 중앙부에는 기존의 바늘장착대를 대신하여 튜브장착대를 형성시키는 한편, 상기 튜브장착대상에 형광튜브를 끼움식으로 설치함으로서, 조류가 약한 10m 미만의 얕은 천해에서도 사용이 가능하고, 낚싯바늘의 간섭에 의한 조업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두족류 주낙용 낚시어구가 본 출원인에 의하여 2012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526호로 선출원 및 등록(제 20-0467070호)되어 알려져 있다.
그러나, 낚싯바늘을 사용하지 않는 선출원된 두족류 주낙용 낚시어구는 미끼를 감싸안은 두족류 다리의 빨판이 어구본체의 표면에 부착되는 힘에 의존하여 어획작업이 수행되어야 하는 바, 플라스틱 소재로 제작된 어구본체의 표면이 외관상으로는 매끈해 보이지만, 해당 표면을 어느 정도 확대하여 보면 상당히 울퉁불퉁한 표면을 이루고 있으며, 플라스틱 자체가 스크래치 등에 취약한 소재이기 때문에 거친 바다환경에서의 조업작업시 어구본체의 표면 손상도 쉽게 발생하므로, 두족류 다리의 빨판과 어구본체 표면과의 부착력이 그다지 높지 아니하여 미끼에 걸려든 두족류를 아릿줄과 함께 선상으로 걷어 들이는 과정에서 두족류가 낚시어구로부터 쉽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상기와 같은 요인으로 인하여 낚싯바늘이 제공된 기존의 어구보다 두족류의 어획성능이 크게 저하됨은 물론이고, 낚싯바늘이 제공된 기존의 어구에 있어서도 미끼를 감싸안은 두족류 다리의 빨판이 플라스틱 재질의 어구본체와 강하게 부착되지 못함에 따라, 아릿줄을 걷어 들일시 미끼에 걸려든 두족류가 낚싯바늘에만 집중적으로 매달려 올라오는 상황이 빈번하게 발생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낚싯바늘에 걸린 두족류의 몸통이나 다리 부분이 찢어지는 등의 어체 손상으로 말미암아 어획된 두족류의 상품가치를 현저히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추가적인 사항으로서, 기존의 두족류 낚시어구는 어구본체와 아릿줄을 묶음식으로 결속 고정시키는 방식이 적용됨에 따라 아릿줄에 대한 어구본체의 상대운동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고, 이로 인하여 조류가 강한 수역(水域)에서는 낚시어구가 아릿줄과 함께 두족류의 유인에 적합한 경사각을 유지할 수 있으나, 조류가 약한 수역에서는 낚시어구가 적절한 경사각을 유지하지 못하여 두족류의 어획성능을 저하시키는 또 다른 요인을 제공하였으며, 플라스틱 재질의 어구본체와 금속 재질의 무게추 위주로 낚시어구가 제작됨으로서, 조업 도중에 낚시어구가 유실될 경우 플라스틱과 금속(부식)에 의한 환경오염 역시 우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 20-046707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상기 어구본체를 전방면이 개구된 수납케이스로 형성시키고, 상기 수납케이스의 내측에 무게추를 대신하여 세라믹타일을 삽입 및 고정 설치하되, 상기 세라믹타일의 전방면을 이루는 매끄러운 도자기표면이 수납케이스의 개구부를 거쳐 외부로 노출되도록 함으로서, 문어나 낙지 또는 주꾸미 등의 두족류가 어구본체의 후방면에 부착된 미끼를 감싸안을 경우 두족류의 다리에 있는 빨판이 어구본체의 전방면으로 노출된 세라믹타일의 도자기표면과 강하게 들러 붙을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하여 바늘이 없는 낚시어구를 주낙에 사용하더라도 낚시어구로부터 두족류가 떨어지지 않고 전량 어획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바늘이 적용된 낚시어구를 주낙에 사용할 시에도 두족류가 낚싯바늘에만 매달림에 따라 몸통이나 다리 부분이 찢겨지는 등의 어체 훼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기존의 금속제 무게추를 대신하여 환경오염을 유발시키지 아니하는 세라믹타일을 적용한 친환경 두족류 낚시어구를 제공하는 것을 그 주된 기술적 과제로 한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은 상기 어구본체의 수납케이스 내측 바닥면과 세라믹타일의 후방면 사이에 얇은 두께의 금속제 보조중량판을 개재시키는 한편, 상기 보조중량판이 수납케이스의 내측 바닥면상에 견고히 고정 설치되게 함으로서, 일정한 크기와 무게를 가지는 한 가지 종류의 세라믹타일만으로도 다양한 침강력(沈降力)을 가지는 두족류 낚시어구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어구본체의 상단에 연결된 아릿줄결속대에 링 형상의 연결고리와 관통형 결속구멍을 동시에 형성시킴에 따라, 조류가 약한 수역에 사용되는 낚시어구는 연결고리만를 이용하여 아릿줄과의 원활한 상대운동(유동)이 가능하게 연결시키고, 조류가 강한 수역에 사용되는 낚시어구는 연결고리와 결속구멍을 모두 이용하여 아릿줄과의 상대운동이 불가능한 묶음식 결속작업이 가능토록 함으로서, 한 가지 종류의 낚시어구만으로도 조류의 강약에 맞춘 최적의 주낙채비 세팅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하여 낚시어구의 호환성(互換性)과 활용성 및 두족류의 어획성능을 한층 더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은, 무게추가 삽입되는 어구본체와, 상기 어구본체의 상단에 연결 설치되는 아릿줄결속대와, 상기 어구본체의 하단에 연결 설치되는 형광튜브용 튜브장착대 또는 낚싯바늘용 바늘장착대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며, 상기 어구본체의 후방면은 미끼부착면으로 형성된 두족류 낚시어구에 있어서, 상기 어구본체는 전방면이 개구된 수납케이스로 형성되고, 상기 수납케이스 내부의 수납공간에는 무게추를 대신하여 세라믹타일이 끼움식 또는 접착식으로 삽입 설치되며, 상기 세라믹타일의 전방면을 이루는 매끄러운 도자기표면이 어구본체용 수납케이스의 개구부를 거쳐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수납케이스의 내측 바닥면과 세라믹타일의 후방면 사이에는 금속 재질의 보조중량판이 개재되고, 상기 보조중량판은 수납케이스의 내측 바닥면상에 끼움식 또는 접착식으로 고정 설치되거나, 인서트 몰딩 방식에 의하여 수납케이스의 내측 바닥면상에 매입식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보조중량판의 외곽측에는 인서트 몰딩 방식에 의하여 수납케이스의 바닥면 내측으로 매입되는 인서트단부가 최소 2개 이상의 갯수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인서트단부는 보조중량판의 후방측을 향하여 소정의 각도만큼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아릿줄결속대의 상단에는 링 형상의 연결고리가 일체로 연결 형성되고, 상기 연결고리의 하부측에는 아릿줄결속대를 관통하는 결속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문어나 낙지 또는 주꾸미 등의 두족류가 어구본체의 후방면에 부착된 미끼를 감싸안을 경우, 두족류의 다리에 있는 빨판이 어구본체의 전방면으로 노출된 세라믹타일의 도자기표면과 강하게 들러 붙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고, 이를 통하여 바늘이 없는 낚시어구를 주낙에 사용하더라도 낚시어구로부터 두족류가 떨어지지 않고 전량 어획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바늘이 적용된 낚시어구를 주낙에 사용할 시에도 두족류가 낚싯바늘에만 매달림에 따라 몸통이나 다리 부분이 찢겨지는 등의 어체 훼손을 방지토록 함으로서, 두족류의 어획성능과 상품가치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와 더불어, 기존의 금속제 무게추를 대신하여 친환경 세라믹타일을 적용시킴으로서, 환경오염을 유발시키는 소재를 플라스틱만으로 최소화시킨 낚시어구를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상기 어구본체를 해수중에서 자연 분해가 가능한 생분해성 수지로 제작할 경우에는, 낚시어구의 유실에 따른 환경오염을 보다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며, 상기 어구본체의 수납케이스 내측 바닥면과 세라믹타일의 후방면 사이에 얇은 두께의 금속제 보조중량판을 개재시켜 이를 어구본체와 견고히 고정시킴에 따라, 일정한 크기와 무게를 가지는 한 가지 종류의 세라믹타일만으로도 소비자(어업인)들의 요구에 맞춘 다양한 침강력을 가지는 두족류 낚시어구를 제작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추가적인 사항으로서, 조류가 약한 수역에 사용되는 낚시어구는 아릿줄결속대의 연결고리를 이용하여 아릿줄과의 상대운동이 가능하게 연결시킴으로서, 미끼가 부착된 낚시어구만이라도 두족류의 유인에 적합한 경사각을 이루도록 하고, 조류가 강한 수역에 사용되는 낚시어구는 아릿줄결속대의 연결고리와 결속구멍을 모두 이용하여 아릿줄과의 상대운동이 불가능하게 연결시킴으로서, 낚시어구가 아릿줄과 함께 적절한 경사각을 이루도록 하는 등, 한 가지 종류의 낚시어구만으로도 조류의 강약에 맞춘 최적의 주낙채비 세팅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며, 이를 통하여 낚시어구의 호환성과 활용성 및 두족류의 어획성능을 한층 더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두족류 낚시어구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두족류 낚시어구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 및 도 2의 결합된 상태의 외관사시도.
도 4는 도 3의 배면측 사시도.
도 5는 제 1실시예에 따른 두족류 낚시어구의 측단면도.
도 6의 (가) 및 (나)는 제 2실시예에 따른 두족류 낚시어구의 측단면도.
도 7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의 제 3 및 제 4실시예에 따른 두족류 낚시어구의 배면측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나)에 도시된 두족류 낚시어구에 미끼가 결합된 상태의 일부 측단면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두족류 낚시어구의 외관사시도 및 배면측 사시도.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두족류 낚시어구의 실시예별 사용상태도.
도 14의 (가) 및 (나)는 아릿줄결속대와 아릿줄간의 연결상태를 종류별로 나타내는 부분 확대 측단면도.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두족류 낚시어구는 도 1 및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스틱 소재를 이용하여 납작한 케이스 형태로 제작되는 어구본체(1)와, 상기 어구본체(1)의 상단면 중앙부에 연결 설치되는 아릿줄결속대(4)와, 상기 어구본체(1)의 하단면 중앙부에 연결 설치되는 튜브장착대(7)와, 상기 튜브장착대(7)상에 탄력적으로 끼움 결합되는 형광튜브(11)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며, 상기 어구본체(1)의 후방면은 특정한 패턴의 요철 무늬가 제공된 미끼부착면(17)으로 형성되어 있는 바, 이는 앞서 설명되어진 선출원의 구성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아릿줄결속대(4)와 튜브장착대(7)는 어구본체(1)의 사출성형시 어구본체(1)와 일체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튜브장착대(7)는 형광튜브(11)의 끼움식 조립을 위한 튜브지지대(8)와, 상기 튜브지지대(8)의 하단에 형성된 반구형의 이탈방지헤드(9)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미끼부착면(17)은 도 4를 기준으로 어구본체(1)의 높이 방향을 따라 다수 개의 선형 돌출부가 형성되는 한편, 그 양측으로 매우 작은 사각뿔 형상의 돌출부가 조밀하게 배치된 패턴을 가지며, 상기 미끼부착면(17)의 하부에 해당하는 어구본체(1)의 후방면에는 선출원에서와 같이 미끼지지대(18)가 어구본체(1)와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주된 요부를 이루는 구성요소로서는, 상기 어구본체(1)를 전방면이 개구된 수납케이스(2)로 형성시키고, 상기 수납케이스(2) 내부의 수납공간(3)에 기존의 무게추를 대신하여 세라믹타일(12)을 삽입시키되, 상기 세라믹타일(12)의 전방면을 이루는 매끄러운 도자기표면(13)이 어구본체(1)용 수납케이스(2)의 개구부를 거쳐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 것이며, 상기 세라믹타일(12)은 목욕탕이나 사우나에 설치되는 욕조의 외벽 표면이나 가정용 욕실의 바닥 또는 벽체용 마감재로 널리 사용되는 공지의 소재가 된다.
상기와 같이 세라믹타일(12)의 경우 욕조의 표면 또는 욕실 바닥이나 벽체와의 접착면(부착면)이 되는 후방면을 제외한 전방면과 측면부가 매끄럽고 미려한 광택이 나며 스크래치 등에도 매우 강한 도자기표면(13)을 이루고 있으므로, 문어나 낙지 또는 주꾸미 등의 두족류 다리에 있는 빨판과의 부착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고, 그 자체가 적절한 중량을 가지기 때문에 기존의 금속제 무게추를 대신하여 두족류 주낙용 낚시어구(10)의 어구본체(1)에 충분히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상기 세라믹타일(12)이 어구본체(1)의 수납케이스(2)상에 견고히 위치 고정될 수 있도록, 수납케이스(2)의 내주면을 따라 세라믹타일(12)을 끼움식으로 조립시키거나 접착제를 이용하여 수납케이스(2)와 일체로 접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플라스틱을 이용한 어구본체(1)의 사출성형 과정에서 세라믹타일(12)이 어구본체(1)와 일체화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그 이외에도 다른 여러 가지의 방법을 사용하여 세라믹타일(12)을 어구본체(1)상에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두족류 낚시어구(10)는 도 2와 도 6의 (가) 및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납케이스(2)의 내측 바닥면과 세라믹타일(12)의 후방면 사이에 금속 재질의 보조중량판(14)을 추가로 개재시키는 것이며, 상기 보조중량판(14)은 0.5~2.5mm 정도의 얇은 두께를 가지는 금속판을 이용하여 수납케이스(2)와 동일한 치수의 평면 형태를 가지도록 펀칭(Punching) 성형시킨 다음, 앞서 설명되어진 세라믹타일(12)과 같이 수납케이스(2)의 내측 바닥면상에 끼움식 또는 접착식으로 고정시키거나, 인서트 몰딩(Insert molding) 방식에 의하여 수납케이스(2)의 내측 바닥면상에 매입(埋入)식으로 설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두족류 낚시어구(10)에 얇은 두께의 금속제 보조중량판(14)을 추가로 적용시키는 이유는, 통상의 두족류 낚시어구(10)가 8~25g(그램) 정도의 무게를 가지도록 제작되는 점을 감안할 경우, 8~12g 정도의 무게를 가지는 낚시어구(10)는 세라믹타일(12)만을 무게추로 활용하여 제작이 가능하지만, 12g을 초과하는 낚시어구(10)에 있어 세라믹타일(12)만을 무게추로 사용하게 되면, 세라믹타일(12)을 포함하는 어구본체(1)의 부피가 불필요하게 증대되는 단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 맞추어, 얇은 두께의 금속제 보조중량판(14)을 세라믹타일(12)과 함께 무게추 용도로 사용함으로서, 어구본체(1)의 부피를 불필요하게 증대시키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침강력을 가지는 낚시어구(10)를 제작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보조중량판(14)을 이용한 낚시어구(10)의 무게조절방식은 보조중량판(14)의 두께 자체를 달리하는 방식과, 보조중량판(14)의 두께를 일정하게 한 상태에서 보조중량판(14)에 형성되는 무게조정공(15)(도 1 및 도 4 참조)의 치수나 갯수를 달리하는 방식과, 이 2가지를 병행하는 방식을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보조중량판(14)을 다수 개의 절편(切片)으로 나누어 제작한 다음, 해당 절편이 수납케이스(2)의 내측에 삽입되는 개수를 조정하는 방식으로도 낚시어구(10)의 무게를 요구하는 수준으로 맞출 수 있으며, 상기 보조중량판(14)을 인서트 몰딩 방식에 의하여 수납케이스(2)의 내측면과 일체로 연결시킬 경우, 도 2와 도 6의 (나)에서와 같이 상기 보조중량판(14)의 외곽측에 인서트단부(16)를 돌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서, 어구본체(1)의 사출성형시 보조중량판(14)의 외곽측에 제공된 인서트단부(16)만이 수납케이스(2)의 내측 바닥면을 통하여 어구본체(1)로 매입되게 하는 것이 보조중량판(14) 전체를 수납케이스(2)의 내측 바닥면상으로 매입시키는 방식보다 훨씬 간단하고 경제적이라는 것이며, 이를 위하여 상기 인서트단부(16)는 보조중량판(14)의 외곽측에서 일정한 각도범위를 두고 최소 2개 이상의 갯수로 돌출 형성시키되, 각각의 인서트단부(16)가 보조중량판(14)의 후방측을 향하여 소정의 각도만큼 경사지도록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요부에 해당하는 구성요소로서는, 상기 제 1실시예 및 제 2실시예에 있어 아릿줄결속대(4)의 상단에 링 형상의 연결고리(5)를 일체로 형성시키는 한편, 상기 연결고리(5)의 하부측에 아릿줄결속대(4)를 관통하는 결속구멍(6)을 형성시킴으로서, 아릿줄에 낚시어구(10)를 연결시키는 방식을 연결고리(5)만을 이용한 유동형 연결방식과 연결고리(5) 및 결속구멍(6)을 이용한 고정형 연결방식의 2가지 방식 모두를 적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유동형 연결방식은 도 14의 (가)에서와 같이 아릿줄(29)에 대한 낚시어구(10)의 상대운동(도면상 좌,우 방향의 각운동)이 가능한 고리연결방식이 되고, 상기 고정형 연결방식은 도 14의 (나)에서와 같이 아릿줄(29)에 대한 낚시어구(10)의 상대운동이 불가능한 결속매듭방식이 되며, 도 14에서 도면부호 29a로 나타낸 것은 아릿줄(29)과 낚시어구(10)간의 연결매듭이 풀리지 않도록 하는 데 사용되는 라인압착용 금속제 핏팅튜브(Fitting tube)이다.
도 7의 (가) 및 (나)에 도시된 것은 본 발명의 제 3 및 제 4실시예에 따른 두족류 낚시어구(10)로서, 어구본체(1)가 사각 케이스 형상을 가지도록 한 제 1 및 제 2실시예와는 달리 어구본체(1)가 마름모 또는 원형 케이스 형상으로 제작된 것이고, 상기 세라믹타일(12) 또한 어구본체(1)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것이 사용될 것이며, 그 이외의 나머지 세부적인 구성은 제 1 및 제 2실시예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것이고, 제 4실시예의 경우는 도 8에 보다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튜브장착대(7)가 어구본체(1)의 전방측을 향하여 소정의 각도(θ)만큼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는 바, 이는 앞서 설명되어진 선출원의 내용에도 기재된 사항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것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두족류 낚시어구(10)로서, 어구본체(1)의 하단면 중앙부에 바늘장착대(23)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바늘장착대(23)의 바늘지지대(24)와 장착브라켓(25)을 베이스로 하여 낚싯바늘(26)이 연결 설치되는 한편, 어구본체(1) 상단의 아릿줄결속대(4)에는 상기 연결고리(5)를 대신하여 아릿줄(29)과의 묶음식 결속 고정을 위한 결속홈(21)이 결속구멍(6)과 함께 결속헤드(22)를 이루고 있으며, 그 이외의 나머지 세부적인 구성은 앞서 설명되어진 제 1 및 제 2실시예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제 5실시예에 있어, 아릿줄(29)과의 묶음식 결속 고정을 위한 아릿줄결속대(4)와 낚싯바늘(26)용 바늘장착대(23)는 기존의 두족류 낚싯바늘에도 적용된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앞서 설명되어진 본 발명의 실질적인 요부에 해당하는 구성요소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 예를 들어 어구본체(1)의 외관 형상이나 미끼부착면(17)의 패턴, 그리고 미끼지지대(18)의 적용유무나 튜브장착대(7) 및 바늘장착대(23)의 구조 등은 도면에 도시된 방식과 상관없이 임의대로 변경이 가능함을 밝혀두는 바이다.
또한, 상기 튜브장착대(7)와 바늘장착대(23)는 형광튜브(11)와 낚싯바늘(26)을 설치하기 위한 주된 기능 이외에도, 두족류 낚시어구(10)가 소정의 각도만큼 경사지게 해저면으로 놓이도록 하는 기능과, 어구본체(1)의 후방면에 부착된 미끼(20)를 소정의 높이만큼 해저면으로부터 띄우는 부가적인 기능을 추가로 수행하는 것인 바, 이러한 후자의 부가기능만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튜브장착대(7)와 바늘장착대(23)를 일반적인 막대구조, 다시 말해서 형광튜브(11)와 낚싯바늘(26)이 설치되지 않는 단순한 막대구조로도 형성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것은 본 발명의 두족류 낚시어구(10)가 아릿줄(29)과 함께 해저면으로 드리워진 주낙(30) 상태를 각 실시예별로 나타낸 것으로서, 세라믹타일(12)의 도자기표면(13)이 어구본체(1)의 전방면을 통하여 노출되도록 한 것을 제외하면 그 전체적인 채비방식은 일반적인 주낙과 동일하며, 본 발명의 낚시어구(10)에 게나 굴 또는 조개 등의 미끼(20)를 부착시키는 방식 역시 도 8에서와 같이, 아릿줄결속대(4)와 튜브장착대(7)(또는 바늘장착대)에 걸쳐 양측 단부를 탄력적으로 걸어둘 수 있는 미끼고정밴드(고무밴드)(19)를 이용하여 해당 미끼(20)를 미끼부착면(17)과 밀착 고정시키는 기존의 방식이 그대로 적용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낚시어구(10)를 두족류 어획용 주낙(30)에 적용시키게 되면, 문어나 낙지 또는 주꾸미 등의 두족류가 어구본체(1)의 후방면에 부착된 미끼(20)를 감싸안을시, 두족류의 다리에 있는 빨판이 어구본체(1)의 전방면으로 노출된 세라믹타일(12)의 도자기표면(13)과 강하게 들러 붙도록 함으로서, 바늘이 없는 낚시어구(10)(제 1 내지 제 4실시예)의 경우에도 해당 어구로부터 두족류가 떨어지지 않고 전량 어획될 수 있는 한편, 바늘이 적용된 낚시어구(10)(제 5실시예)의 경우에도 두족류가 낚싯바늘(26)에만 매달림에 따라 몸통이나 다리 부분이 찢겨지는 등의 어체 훼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두족류의 어획성능과 상품가치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더불어, 기존의 금속제 무게추를 대신하여 친환경 세라믹타일(12)을 적용시킴으로서, 환경오염을 유발시키는 소재를 플라스틱만으로 최소화시킨 낚시어구(10)를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상기 어구본체(1)를 해수중에서 자연 분해가 가능한 생분해성 수지로 제작할 경우에는, 낚시어구(10)의 유실에 따른 환경오염을 보다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어구본체(1)의 수납케이스(2) 내측 바닥면과 세라믹타일(12)의 후방면 사이에 얇은 두께의 금속제 보조중량판(14)을 개재시켜 이를 어구본체(1)와 견고히 고정시킴에 따라, 일정한 크기와 무게를 가지는 한 가지 종류의 세라믹타일(12)만으로도 소비자(어업인)들의 요구에 맞춘 다양한 침강력을 가지는 두족류 낚시어구(10)를 제작할 수 있다.
추가적인 사항으로서, 조류가 약한 수역에 사용되는 낚시어구(10)는 아릿줄결속대(4)의 연결고리(5)를 이용하여 도 14의 (가)에서와 같이 아릿줄(29)과의 상대운동이 가능하게 연결시킴으로서, 미끼(20)가 부착된 낚시어구(10)만이라도 두족류의 유인에 적합한 경사각을 이루도록 하고, 조류가 강한 수역에 사용되는 낚시어구(10)는 아릿줄결속대(4)의 연결고리(5)와 결속구멍(6)을 모두 이용하여 도 14의 (나)에서와 같이 아릿줄(29)과의 상대운동이 불가능하게 연결시킴으로서, 도 11 내지 도 13처럼 낚시어구(10)가 아릿줄(29)과 함께 적절한 경사각을 이루도록 하는 등, 한 가지 종류의 낚시어구(10)만으로도 조류의 강약에 맞춘 최적의 주낙채비 세팅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낚시어구(10)의 호환성과 활용성 및 두족류의 어획성능을 한층 더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1 : 어구본체 2 : 수납케이스 3 : 수납공간
4 : 아릿줄결속대 5 : 연결고리 6 : 결속구멍
7 : 튜브장착대 8 : 튜브지지대 9 : 이탈방지헤드
10 : 낚시어구 11 : 형광튜브 12 : 세라믹타일
13 : 도자기표면 14 : 보조중량판 15 : 무게조정공
16 : 인서트단부 17 : 미끼부착면 18 : 미끼지지대
19 : 미끼고정밴드 20 : 미끼 21 : 결속홈
22 : 결속헤드 23 : 바늘장착대 24 : 바늘지지대
25 : 장착브라켓 26 : 낚싯바늘 27 : 모릿줄
28 : 부자 29 : 아릿줄 29a : 핏팅튜브
30 : 주낙

Claims (4)

  1. 무게추가 삽입되는 어구본체(1)와, 상기 어구본체(1)의 상단에 연결 설치되는 아릿줄결속대(4)와, 상기 어구본체(1)의 하단에 연결 설치되는 형광튜브(11)용 튜브장착대(7) 또는 낚싯바늘(26)용 바늘장착대(23)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며, 상기 어구본체(1)의 후방면은 미끼부착면(17)으로 형성된 두족류 낚시어구(10)에 있어서,
    상기 어구본체(1)는 전방면이 개구된 수납케이스(2)로 형성되고, 상기 수납케이스(2) 내부의 수납공간(3)에는 무게추를 대신하여 세라믹타일(12)이 끼움식 또는 접착식으로 삽입 설치되며,
    상기 세라믹타일(12)의 전방면을 이루는 매끄러운 도자기표면(13)이 어구본체(1)용 수납케이스(2)의 개구부를 거쳐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세라믹타일이 결합된 두족류 낚시어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케이스(2)의 내측 바닥면과 세라믹타일(12)의 후방면 사이에는 금속 재질의 보조중량판(14)이 개재되고, 상기 보조중량판(14)은 수납케이스(2)의 내측 바닥면상에 끼움식 또는 접착식으로 고정 설치되거나, 인서트 몰딩 방식에 의하여 수납케이스(2)의 내측 바닥면상에 매입(埋入)식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세라믹타일이 결합된 두족류 낚시어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중량판(14)의 외곽측에는 인서트 몰딩 방식에 의하여 수납케이스(2)의 바닥면 내측으로 매입되는 인서트단부(16)가 최소 2개 이상의 갯수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인서트단부(16)는 보조중량판(14)의 후방측을 향하여 소정의 각도만큼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세라믹타일이 결합된 두족류 낚시어구.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릿줄결속대(4)의 상단에는 링 형상의 연결고리(5)가 일체로 연결 형성되고, 상기 연결고리(5)의 하부측에는 아릿줄결속대(4)를 관통하는 결속구멍(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세라믹타일이 결합된 두족류 낚시어구.
KR1020210016385A 2021-02-04 2021-02-04 친환경 세라믹타일이 결합된 두족류 낚시어구 KR1025767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6385A KR102576771B1 (ko) 2021-02-04 2021-02-04 친환경 세라믹타일이 결합된 두족류 낚시어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6385A KR102576771B1 (ko) 2021-02-04 2021-02-04 친환경 세라믹타일이 결합된 두족류 낚시어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2625A true KR20220112625A (ko) 2022-08-11
KR102576771B1 KR102576771B1 (ko) 2023-09-11

Family

ID=82803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6385A KR102576771B1 (ko) 2021-02-04 2021-02-04 친환경 세라믹타일이 결합된 두족류 낚시어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67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9174B1 (ko) * 2023-07-19 2023-11-07 조희수 낙지용 주낙어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7572B1 (ko) * 2023-06-01 2023-10-11 주식회사 오션테크 친환경 문어 어획용 낚시어구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문어 어획용 낚시어구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6900Y1 (ko) * 1991-11-06 1993-10-09 양동반 낙지잡이용 줄낚시봉돌
JPH07203811A (ja) * 1994-01-26 1995-08-08 Gamakatsu:Kk 釣り針
KR19980055883U (ko) * 1998-06-17 1998-10-07 황정용 낙지 주낙용 낚시
JP2000069892A (ja) * 1998-09-03 2000-03-07 Gamakatsu Co Ltd がん玉及びがん玉付き釣り針
KR200467070Y1 (ko) 2012-01-20 2013-05-31 황정용 낚시바늘이 없는 두족류 주낙용 어구
KR20190066822A (ko) * 2017-12-06 2019-06-14 이노을 주꾸미 낚시용 어구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6900Y1 (ko) * 1991-11-06 1993-10-09 양동반 낙지잡이용 줄낚시봉돌
JPH07203811A (ja) * 1994-01-26 1995-08-08 Gamakatsu:Kk 釣り針
KR19980055883U (ko) * 1998-06-17 1998-10-07 황정용 낙지 주낙용 낚시
KR200195413Y1 (ko) * 1998-06-17 2000-09-01 황정용 낙지 주낙용 낚시
JP2000069892A (ja) * 1998-09-03 2000-03-07 Gamakatsu Co Ltd がん玉及びがん玉付き釣り針
KR200467070Y1 (ko) 2012-01-20 2013-05-31 황정용 낚시바늘이 없는 두족류 주낙용 어구
KR20190066822A (ko) * 2017-12-06 2019-06-14 이노을 주꾸미 낚시용 어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9174B1 (ko) * 2023-07-19 2023-11-07 조희수 낙지용 주낙어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6771B1 (ko) 2023-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12625A (ko) 친환경 세라믹타일이 결합된 두족류 낚시어구
US5335443A (en) Weight for fish lure
WO2013109704A1 (en) Improved fishing lure
US3844060A (en) Live bait fishing lure
JP5687375B1 (ja) テンヤ
FI105770B (fi) Viehe
KR200432522Y1 (ko) 연체동물 주낙용 낚시구
JPS6038367Y2 (ja) えさ取り防止器
JP3245186U (ja) 疑似餌及び釣り具用錘
KR100288162B1 (ko) 자석내장형 바다낚시용 찌
KR200195413Y1 (ko) 낙지 주낙용 낚시
CN205431673U (zh) 一种装有带饵钩的鱼钩的翻板钩
KR200197696Y1 (ko) 미끼함을 구비한 낚시
JP3000105U (ja) 二重構造浮子
JP3010164U (ja) タコの脱出防止具
KR200493863Y1 (ko) 도래 조립체
JP3149380B2 (ja) ルアー
CN2386627Y (zh) 鱼钩新结构
JP5107831B2 (ja) 天秤機能付きの飛ばし浮子
JP3074314U (ja) 遊動機能調整中通しうき
JP3057563U (ja) 釣 針
JP3047631U (ja) バナナ型メタルジグルアー
JP3017237U (ja) 釣り用うき
JPH03112430A (ja) 自動合わせ浮きの磁石を使った物
JP3062508U (ja) ハリス用浮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