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9174B1 - 낙지용 주낙어구 - Google Patents

낙지용 주낙어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9174B1
KR102599174B1 KR1020230093623A KR20230093623A KR102599174B1 KR 102599174 B1 KR102599174 B1 KR 102599174B1 KR 1020230093623 A KR1020230093623 A KR 1020230093623A KR 20230093623 A KR20230093623 A KR 20230093623A KR 102599174 B1 KR102599174 B1 KR 1025991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ctopus
support
main body
fishing gear
body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93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희수
Original Assignee
조희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희수 filed Critical 조희수
Priority to KR1020230093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91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9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91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3/00Fish-hoo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18Trotlines, longlines; Accessories therefor, e.g. baiting devices, lifters or setting reel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사돌기가 형성된 본체판 및 본체판에 형성된 제1지지대와 제2지지대를 통해 미끼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미끼 고정작업의 편의성과 신속성이 개선된 낙지용 주낙어구에 관한 것으로서, 스테인레스강 소재의 판재로 이루어지며 테두리 상에 복수의 경사돌기가 구비되어 있는 본체판; 상기 본체판의 상단에 돌출 형성되며 일 지점에 주낙용 아릿줄을 고정하기 위한 홀이 구비되는 제1지지대; 및 상기 본체판의 하단에 돌출 형성되며 낙지 유인용 형광밴드가 고정되는 제2지지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낙지용 주낙어구{Fishhook of long lining for long-legged octopus}
본 발명은 낙지용 주낙어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경사돌기가 형성된 본체판 및 본체판에 형성된 제1지지대와 제2지지대를 통해 미끼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미끼 고정작업의 편의성과 신속성이 개선된 낙지용 주낙어구에 관한 것이다.
낙지는 성체 전장 길이가 30cm 전후인 중형 문어류로서 우리나라에서는 인기가 많은 해산물의 하나이다. 이러한 낙지는 주낙, 통발, 해루질 등의 방법으로 잡는데, 이 중에서 주낙을 이용한 포획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주낙을 이용한 낙지 포획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릿줄(2) 상에 일정 간격으로 부표(3)와 아릿줄(4)을 배치하고 각 아릿줄(4)이 말단에 게나 굴 또는 조개 등과 같은 미끼(a)(이하 ‘미끼’라 한다)를 매단 주낙어구(1)를 해저 바닥에 설치한 후 일정 시간 후 걷어 올리면 일부 주낙어구(1)에 미끼(a)를 움켜지고 있는 낙지가 딸려 올라온다.
한편, 주낙어구(1)는 일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특허문헌 1) 낚시바늘(101)이 미끼(a)를 매달을 수 있는 고정부(105)를 관통하여 구비되되 낚시바늘(101)의 상단에는 아릿줄(4)을 묶을 수 있는 고리(10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만, 주로 고무밴드를 이용하여 고정부(105)에 미끼(a)를 묶어 바다에 투입하는데, 해류에 의해 소실되거나 또는 다른 어종에 의해 뜯어 먹히는 일이 자주 발생하며 이로 인해, 주낙어구(1)의 수거 후 재투입 전에 미끼(a)를 보충하는 작업이 수반되어 작업속도가 더딘 측면이 있다.
특히, 낙지의 경우 군집을 이루지 않고 불특정하게 분산되어 생활하는 습성으로 인해, 조과를 올리기 위해서는 주낙어구(1)의 투입과 수거 후 재투입하는 회전율을 높이는 것이 중요한데, 이를 위해서는 미끼(a) 고정작업의 편의성과 신속성을 갖춘 주낙어구가 절실히 요구된다.
KR 20-0421095 Y1 2006.07.03.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미끼 고정작업의 편의성과 신속성을 갖춘 낙지용 주낙어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낙지용 주낙어구는, 스테인레스강 소재의 판재로 이루어지며 테두리 상에 복수의 경사돌기가 구비되어 있는 본체판; 상기 본체판의 상단에 돌출 형성되며 일 지점에 주낙용 아릿줄을 고정하기 위한 홀이 구비되는 제1지지대; 및 상기 본체판의 하단에 돌출 형성되며 낙지 유인용 형광밴드가 고정되는 제2지지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낙지용 주낙어구는, 상기 경사돌기가 상방으로 경사각을 갖도록 절곡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낙지용 주낙어구는, 상기 경사돌기가 그 단부에 첨단이 형성되고, 상기 첨단이 미끼에 박혀 그 부위를 통해 미끼의 내장물 일부가 유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낙지용 주낙어구는, 상기 제1지지대와 제2지지대가 상방으로 절곡각을 갖는 구조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낙지용 주낙어구는, 상기 제2지지대의 말단부에 수용홈 또는 걸쇠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낙지용 주낙어구에 의하면, 경사돌기가 형성된 본체판을 통해 미끼의 견고한 고정이 가능해지고 고정작업의 편의성 및 신속성이 강화되므로 낙지용 주낙어구의 상품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낙지용 주낙어구에 의하면, 경사돌기에 의해 미끼의 내장물 일부가 유출되어 낙지 유인 효과가 더욱 우수해진다.
도 1은 낙지용 주낙어구의 해저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낙지 주낙용 낚시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낙지용 주낙어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낙지용 주낙어구를 도시한 좌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낙지용 주낙어구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낙지용 주낙어구의 제2지지대에 수용홈(a)과 걸쇠(b)가 부가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낙지용 주낙어구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낙지용 주낙어구를 도시한 좌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낙지용 주낙어구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 도 4,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낙지용 주낙어구(1)는 미끼(a)를 고정하는 본체판(10), 상기 본체판(1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1지지대(20)와 제2지지대(30)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판(10)은 사각의 판재로 이루어지며 테두리 상에 복수의 경사돌기(11)가 구비된다.
또한, 본체판(10)의 재질은 강소재로 이루어지되 해수에 의한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스테인레스강 소재가 바람직하고, 경사돌기(11)의 단부에 첨단(尖端, 11a)이 형성된다.
한편, 주낙어구(1)의 조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해류에도 해저 바닥에 착지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 기존 주낙어구 대부분은 본체를 합성수지 소재로 제작하고 그 배면에 무게추를 단다.
다만, 합성수지 소재가 열화되면 주낙어구 투입이나 수거 과정에서 무게추의 요동에 의해 쉽게 파손되어 주낙어구 교체 작업이 빈번히 발생할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의 본체판(10)은 중량감있는 스테인레스강 소재로 이루어져 무게추를 생략할 수 있고 주낙어구(1) 제작 또한 용이해지며 상기와 같은 주낙어구(1)의 내구성 저하 문제가 근본적으로 해소된다.
또한, 기존 주낙어구 대부분은 주낙어구(1)에 둘러붙은 낙지가 쉽게 도망가지 않도록 도 2에서와 같은 낚시바늘이 구비되는데, 실제 낙지의 사냥 습성상 낚시바늘이 꼭 필요한 구성은 아니며, 오히려 낚시바늘이 모릿줄(2)이나 아릿줄(4)에 걸려 작업을 방해하는 경우가 빈번한 바, 본 발명의 주낙어구(1)에는 낚시바늘이 구비되어 있지 않다.
한편, 상기 경사돌기(11)는 본체판(10)에 고정된 미끼(a)를 견고하게 잡아주는 기능을 하며, 이러한 고정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으로 경사각(α)을 갖도록 절곡되어 구비된다.
따라서, 다른 어종에 의해 또는 여러 원인에 의해 미끼(a) 일부가 훼손되어 그 크기가 줄어들더라도 나머지 부분을 절곡된 경사돌기(11) 내부에서 안정적으로 잡아주어 낙지 유인 기능이 지속될 수 있다.
그리고 미끼(a)가 본체판(10)에 고정된 상태에서 낙지의 먹이 활동시 충격으로 경사돌기(11)의 첨단(11a)이 미끼(a)에 박혀 그 부위를 통해 미끼(a)의 내장물 일부가 유출됨으로써 낙지 유인 효과가 배가되어 조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대(20)는 아릿줄(4)을 고정하는 구성으로서 본체판(10)의 일측에 구비되고 일 지점에 체결용 홀(2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체결용 홀(21)은 제1지지대(20)의 양면에 연결되는 양 단부를 라운드 가공을 함으로써 아릿줄(4)이 체결용 홀(21)에 반복 접촉되어 절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대(30)는 본체판(10)의 타측에 구비되고 낙지 유인용 형광밴드(p)가 고정되며, 형광밴드(p)의 유실 방지를 위해 말단부에는 단턱(31)이 형성된다.
한편, 제1지지대(20)와 제2지지대(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으로 절곡각(θ)을 갖는 구조로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절곡각(θ)을 갖는 제1지지대(20)를 통해 본체판(10)의 해저 바닥 착지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즉, 정면에서 보았을 때 본체판(10), 제1지지대(20), 제2지지대(30)가 모두 직선형으로 배열되면, 제1지지대(20)와 제2지지대(30) 그리고 제1지지대(20)에 연결된 아릿줄(4) 부위가 해저 바닥의 지형지물에 걸려 주낙어구(1)가 전복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조과를 떨어트리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데, 제1지지대(20)와 제2지지대(30)가 절곡각(θ)을 갖는 구조로 구비되면 주낙어구(1)가 지형지물에 걸려 전복되는 경우를 크게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곡각(θ)을 갖는 제2지지대(30)를 통해 본체판(10)이 해저 바닥에 착지된 상태에서 낙지 유인용 형광밴드(p)가 해저 바닥으로부터 이격됨으로써 형광밴드(p)를 통한 낙지 유인 효과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미끼(a) 고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고무밴드(b)의 일단을 제1지지대(20)에 건 후, 본체판(10)에 미끼(a)를 밀착시킨 다음, 고무밴드(b)의 타단을 제2지지대(30)에 거는 방식으로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1지지대(20)에 감겨진 고무밴드(b) 부위는 아릿줄(4)과 본체판(10)의 어깨부위(10a)의 제약에 의해 이탈되지 않으며, 고무밴드(b)의 하단 부위는 제2지지대(30)에 걸리게 됨으로써, 미끼(a)가 본체판(10)에 안정적으로 고정되게 된다.
이밖에도, 본 발명에서는 제2지지대(30)의 말단부에 체결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수단으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홈(32) 또는 클립 형태의 걸쇠(33)가 채용될 수 있는데, 상기 수용홈(32)과 걸쇠(33)는 고무밴드(b) 걸이용으로써 해류의 교란 또는 이종 어류의 미끼(a) 탈취 시도로 인해 고무밴드(b)가 제2지지대(30)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조업 종료 후 주낙일체(1, 2, 3, 4)를 수거 정리할 때 주낙어구(1)가 아릿줄(4)에 수하(垂下)된 상태로 정리되면 주낙어구(1)들이 서로 엉퀴어 이후 조업 재개시 이를 풀어내며 미끼(a)를 달아야 함으로써 준비작업이 번거로울 수 있는데, 상기 체결수단을 통해 낙지용 주낙어구(1)를 모릿줄(2)과 아릿줄(4)의 분기지점에 고정하면 주낙어구(1)가 수하되지 않은 상태로 주낙일체(1, 2, 3, 4)가 정리되므로, 이후 조업 재개시 준비작업이 편리해 진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1: 주낙어구
10: 본체판
11: 경사돌기
20: 제1지지대
21: 체결용 홀
30: 제2지지대
31: 단턱 32: 수용홈 33: 걸쇠

Claims (5)

  1. 스테인레스강 소재의 판재로 이루어지며 테두리 상에 복수의 경사돌기(11)가 구비되어 있는 본체판(10);
    상기 본체판(10)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며 일 지점에 주낙용 아릿줄(4)을 고정하기 위한 체결용 홀(21)이 구비되는 제1지지대(20); 및
    상기 본체판(10)의 타측에 돌출 형성되며 낙지 유인용 형광밴드(p)가 고정되는 제2지지대(30);
    로 이루어지고,
    상기 경사돌기(11)는 상방으로 경사각(α)을 갖도록 절곡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지용 주낙어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돌기(11)는 그 단부에 첨단(11a)이 형성되고, 상기 첨단(11a)이 미끼(a)에 박혀 그 부위를 통해 미끼(a)의 내장물 일부가 유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지용 주낙어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대(20)와 제2지지대(30)는 상방으로 절곡각(θ)을 갖는 구조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지용 주낙어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대(30)의 말단부에 수용홈(32) 또는 걸쇠(33)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지용 주낙어구.
KR1020230093623A 2023-07-19 2023-07-19 낙지용 주낙어구 KR1025991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3623A KR102599174B1 (ko) 2023-07-19 2023-07-19 낙지용 주낙어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3623A KR102599174B1 (ko) 2023-07-19 2023-07-19 낙지용 주낙어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9174B1 true KR102599174B1 (ko) 2023-11-07

Family

ID=88747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3623A KR102599174B1 (ko) 2023-07-19 2023-07-19 낙지용 주낙어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9174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2152U (ko) * 1999-03-08 1999-06-25 이연재 낙지주낙용주지판
KR200395135Y1 (ko) * 2005-06-16 2005-09-07 황정용 낙지 주낙용 낚시
KR200421095Y1 (ko) 2006-04-17 2006-07-10 박원규 낙지 주낙용 낚시구
KR200432522Y1 (ko) * 2006-09-07 2006-12-05 이태현 연체동물 주낙용 낚시구
KR200467070Y1 (ko) * 2012-01-20 2013-05-31 황정용 낚시바늘이 없는 두족류 주낙용 어구
KR20180098983A (ko) * 2017-02-28 2018-09-05 이영수 주낙 낚시구
KR20190066822A (ko) * 2017-12-06 2019-06-14 이노을 주꾸미 낚시용 어구
KR20220112625A (ko) * 2021-02-04 2022-08-11 황정용 친환경 세라믹타일이 결합된 두족류 낚시어구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2152U (ko) * 1999-03-08 1999-06-25 이연재 낙지주낙용주지판
KR200395135Y1 (ko) * 2005-06-16 2005-09-07 황정용 낙지 주낙용 낚시
KR200421095Y1 (ko) 2006-04-17 2006-07-10 박원규 낙지 주낙용 낚시구
KR200432522Y1 (ko) * 2006-09-07 2006-12-05 이태현 연체동물 주낙용 낚시구
KR200467070Y1 (ko) * 2012-01-20 2013-05-31 황정용 낚시바늘이 없는 두족류 주낙용 어구
KR20180098983A (ko) * 2017-02-28 2018-09-05 이영수 주낙 낚시구
KR20190066822A (ko) * 2017-12-06 2019-06-14 이노을 주꾸미 낚시용 어구
KR20220112625A (ko) * 2021-02-04 2022-08-11 황정용 친환경 세라믹타일이 결합된 두족류 낚시어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86000B1 (en) Pocketed hoop net
US5231786A (en) Fishing lure
KR100993564B1 (ko) 주꾸미 증식용 인공어초
US20190045764A1 (en) Fishing lure having a curved plate
US7036266B2 (en) Weighted shank fish hooks
KR200485442Y1 (ko) 문어 낚싯바늘 유닛
KR102599174B1 (ko) 낙지용 주낙어구
KR200409920Y1 (ko) 낚시채비
US20110214333A1 (en) Fishing Lure
KR20210013872A (ko) 루어낚시용 베이트
KR200301965Y1 (ko) 바다 낚시용 채비
JP3532865B2 (ja) 藻類の育成部材
KR200195413Y1 (ko) 낙지 주낙용 낚시
KR20190088179A (ko) 낚시 도구
KR102425249B1 (ko) 구멍치기낚시용 낚시대
KR200496858Y1 (ko) 두족류 낚시용 전용 봉돌
KR200408885Y1 (ko) 낚시채비
NZ535695A (en) A fishing tackle including a body, a valley and fingers embedded with a baitfish
AU2008100112A4 (en) Straight fishing hook
US20040064999A1 (en) Center-weighted shank fish hooks
JP4020320B2 (ja) 釣針と釣具
JP3068120U (ja) 魚掛けの餌付け具及び引っ掛け針
Mathai Long lines and their operation
JPS6329424Y2 (ko)
JP2000125699A (ja) 釣り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